KR101500211B1 -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 Google Patents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211B1
KR101500211B1 KR20130149037A KR20130149037A KR101500211B1 KR 101500211 B1 KR101500211 B1 KR 101500211B1 KR 20130149037 A KR20130149037 A KR 20130149037A KR 20130149037 A KR20130149037 A KR 20130149037A KR 101500211 B1 KR101500211 B1 KR 101500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seat
rail
lock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9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현
김형종
김형준
황성준
정재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49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211B1/ko
Priority to US14/320,207 priority patent/US9475408B2/en
Priority to CN201410317756.9A priority patent/CN10467004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18Location of the latch in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37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 B60N2/0843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about a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60N2/12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and provided with memory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하기 위해 시트 위치를 설정한 상태에서 시트를 워크인 작동시켜 이동시켰다가 시트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때 시트를 기설정된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메모리 장치를 갖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장치가, 차량 실내 바닥면에 장착된 로워 레일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록 해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록킹핀이 전후진 작동됨으로써 가이드 레일에 선택적으로 록/해제되는 록 어셈블리; 쿠션프레임에 장착된 어퍼 레일 측에 일체로 설치되고, 워크인 레버의 회전 조작상태에 따라, 상기 록킹핀을 작동시켜 록 어셈블리를 가이드 레일에 록/해제시키는 한편, 상기 록 어셈블리를 어퍼 레일 측과도 일체로 움직이도록 록 시키거나 록 해제시키는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어퍼 레일 측에 구비되어 워크인 작동 후 시트 복귀시에 가이드 레일과의 록 상태인 록 어셈블리에 접촉하여 시트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SEAT RAIL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WALK IN MEMORY FUNC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체형에 맞게 최적의 시트 위치를 조정해둔 상태에서 시트를 워크인 작동시켜 이동시켰다가 시트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때 시트를 이전의 조정된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쿠션과, 등 부분을 받쳐주는 시트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의 편안함을 위해 여러 편의 기능들을 갖추고 있다.
그 예로, 사용자(운전자 및 탑승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추어 시트쿠션을 전후로 밀거나 당겨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시트백을 시트쿠션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용 시트는 시트 전체를 전후로 이동시켜 자신의 체형에 맞게 위치 조정할 수 있는 시트레일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더불어 시트백을 앞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해주는 폴딩장치와,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주는 리클라이너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시트레일 장치는 시트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쿠션프레임과 차량 플로어 사이에 설치되는 시트트랙(어퍼 레일과 로워 레일이 조합된 구성), 그리고 트랙 레버의 조작에 따라 쿠션프레임에 장착된 어퍼 레일을 차량 플로어에 장착된 로워 레일에 록/해제(lock/unlock)하는 록킹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차종에 따라 뒷좌석 탑승자의 탑승을 위해 시트백 폴딩 상태에서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뒤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워크인 기능을 구비한 워크인 시트가 설치되기도 한다.
워크인 기능은 뒷좌석 탑승자의 탑승을 용이하게 하거나 공간의 확장을 극대화하기 위해 리클라이너 장치 및 시트레일 장치를 이용하여 앞좌석 시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시킬 수 있는 기능으로, 뒷좌석에 탑승자가 타고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앞좌석 시트백을 폴딩하면 리클라이너 장치와 연동하여 록킹장치의 록이 해제되면서 시트 전체를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기능이다.
이러한 워크인 기능을 구비한 워크인 시트 또는 워크인 장치의 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09683호(2009.10.21), 공개특허 제10-2013-0066346호(2013.6.20), 등록특허 제10-0785234호(2007.12.5)에 개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로, 워크인 시트에서는 워크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시트 일측에 작동레버(9)(위치나 형상은 차종에 따라 차이가 있음)가 구비되어 있는바, 작동레버(9)를 조작하면 링크를 통해 케이블이 연동되면서 시트백의 리클라이너 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며, 이때 시트백(10)을 전방으로 폴딩시키게 된다.
또한, 시트백(10)이 전방으로 폴딩되면서 리클라이너 장치의 작동에 연동하여 워크인 케이블이 더욱 당겨지게 되고, 워크인 케이블이 당겨지면 시트레일 장치의 록킹장치가 로워 레일과의 록을 해제(unlock)하게 되어 시트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되는 워크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워크인 원복시, 즉 시트를 다시 착석 가능한 위치로 복귀시킬 때는 시트를 뒤로 밀어 시트 전후 위치가 적정할 때(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트 이동이 스토퍼에 의해 정지되는 상태가 될 때) 폴딩된 시트백을 뒤로 펴주어 시트 위치가 록킹장치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즉, 시트 후방 이동 후 폴딩된 시트백을 펴주게 되면 록킹장치에 의해 쿠션프레임의 어퍼 레일이 차량 플로어의 로워 레일에 자동 록킹되면서 시트 위치가 그 자리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워크인 시트에서는 탑승자가 워크인 원복시에 시트를 일정한 위치(예를 들면, 최후방 위치)로 후방 이동시켜 정지시킨 다음 시트 위치를 자신의 체형에 맞게 다시 조정해야 한다.
특히, 탑승자가 시트를 이미 자신의 체형에 맞게 최적의 위치로 조정하여 사용하고 있는 도중에 워크인 작동을 시키게 되면 워크인 원복 후 시트에 앉아 시트 위치를 다시 최적의 위치로 조정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탑승자가 체형에 맞게 최적의 시트 위치를 조정해둔 상태에서 시트를 워크인 작동시켜 이동시켰다가 시트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때(즉, 워크인 원복시에) 시트에 앉아 위치를 재조정하는 번거로움 없이 시트를 이전의 조정된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메모리 장치를 갖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장치가, 차량 실내 바닥면에 장착된 로워 레일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록 해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록킹핀이 전후진 작동됨으로써 가이드 레일에 선택적으로 록/해제되는 록 어셈블리; 쿠션프레임에 장착된 어퍼 레일 측에 일체로 설치되고, 워크인 레버의 회전 조작상태에 따라, 상기 록킹핀을 작동시켜 록 어셈블리를 가이드 레일에 록/해제시키는 한편, 상기 록 어셈블리를 어퍼 레일 측과도 일체로 움직이도록 록 시키거나 록 해제시키는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어퍼 레일 측에 구비되어 워크인 작동 후 시트 복귀시에 가이드 레일과의 록 상태인 록 어셈블리에 접촉하여 시트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시트레일 장치에 의하면, 기 조정된 시트 위치를 워크인 작동 시작시 시트 복귀 위치로 설정해주어 워크인 작동 후 시트 복귀시에 상기 설정된 시트 복귀 위치까지 시트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탑승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최적의 시트 위치를 조정해둔 상태에서, 시트를 워크인 작동시켜 이동시켰다가 시트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때, 시트에 앉아 위치를 재조정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단히 시트를 상기 메모리 장치에 의해 정지되는 위치(설정 및 기억된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이전의 시트 위치로 쉽게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장치의 측면도로서, 도 7은 록킹레버에 의한 록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은 록 해제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a)는 워크인 레버의 회전 전 상태를, (b)는 워크인 레버의 회전상태를 나타낸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장치에서 메모리 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장치에서 워크인 작동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장치에서 워크인 작동시 록 어셈블리가 고정된 상태로 어퍼레일과 구동 어셈블리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장치에서 워크인 원복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장치에서 시트백을 미리 세운 상태로 워크인 원복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는, 탑승자가 시트 록킹장치의 록(lock)을 해제한 뒤 시트를 자신의 체형에 맞게 이동시켜 위치를 조정해둔 상태에서, 이후 뒷좌석에 다른 탑승자가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도록 워크인 장치를 작동시켜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다음 다시 후방으로 복귀시킬 때, 시트에 앉아 시트 위치를 재조정하는 번거로움 없이 앞서 조정한 시트 위치(기억된 위치)로 간편히 시트를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를 위해, 실시예의 시트레일 장치는 시트의 전후 위치가 조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워크인 작동 시작시 기구적인 방식으로 시트 복귀 위치(워크인 원복시의 시트 복귀 위치)를 앞서 조정해놓은 시트 위치로 설정 및 기억해두는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탑승자(워크인 시트의 착석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시트 위치를 미리 조정한 상태에서 시트를 워크인 작동시키면 앞서 조정한 시트 위치가 상기 메모리 장치에 의해 기억되어 시트 복귀 위치로 설정되고, 이후 워크인 원복시 간편히 시트를 설정된 위치까지 후방 이동시키기만 하면(시트가 정지할 때까지 이동시키기만 하면) 다시 이전에 사용하던 위치로 시트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워크인 조작 및 작동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자가 작동레버(도 1의 도면부호 9임)를 조작한 뒤 시트백을 폴딩시켜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조작 및 그 작동상태를 의미하고, 워크인 원복 조작 및 작동은 워크인 작동으로 전방 이동된 시트를 시트백 폴딩상태로 후방으로 이동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 뒤 시트백을 언폴딩하여 시트 위치를 다시 고정하는 조작 및 그 작동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시트의 전후 위치 조정은 공지의 차량용 시트에서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조작수단, 예컨대 시트 하단에 구비된 트랙 레버를 록 해제방향으로 조작하여 록킹장치(후술하는 록킹레버)에 의한 시트트랙의 록(어퍼 레일 및 로워 레일 간의 록)을 해제한 뒤 시트 전체를 트랙(로워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메모리 장치에 의한 시트 복귀 위치 설정은 워크인 작동 시작시 워크인 레버의 회전에 의해 워크인 원복시 복귀할 시트 위치를 미리 설정 및 기억해두는 것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앞서 조정해놓은 시트 위치(워크인 이전에 사용 중이던 사용자 최적 시트 위치로서, 메모리 위치가 됨)를 워크인 원복시의 시트 복귀 위치로 설정 및 기억해두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트 복귀 위치 설정은 메모리 장치의 기구적인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며, 워크인 작동 시작시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 메모리 장치의 록 어셈블리는 이전의 조정된 시트 위치에서 차량 플로어의 레일(가이드 레일) 측에 위치 고정해두는바, 워크인 작동 및 원복 동안 시트가 이동하더라도 메모리 장치의 록 어셈블리는 원래 위치(메모리 위치)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때, 차량 플로어의 레일 측에 위치 고정된 메모리 장치의 록 어셈블리가 시트의 어퍼 레일과 분리된 상태에서, 워크인 작동 및 원복 동안 시트 및 어퍼 레일은 차량 플로어의 로워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메모리 장치의 록 어셈블리 위치를 고정해둘 경우, 워크인 작동 후 원복시에 메모리 장치의 록 어셈블리가 고정되어 있는 메모리 위치(이전 시트 위치)까지 시트를 이동시켜 고정하기만 하면, 시트를 이전의 조정된 위치에서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시트레일 장치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장치의 측면도로서, 도 7은 록킹레버(131)에 의한 록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은 록 해제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a)는 워크인 레버(141)의 회전 전 상태를, (b)는 워크인 레버(141)의 회전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시트쿠션 및 쿠션프레임, 시트백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트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시트레일 장치의 로워 레일(120)이 고정되는 차량 플로어에 대해서도 도시를 생략하였다.
먼저, 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면, 시트레일 장치는 시트 하단부, 즉 쿠션프레임 하측에 고정 장착되는 어퍼 레일(110), 차량 실내 바닥면(차량 플로어 상면)에 고정 정착되어 상기 어퍼 레일(11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워 레일(120), 상기 어퍼 레일(110)을 로워 레일(120)에 선택적으로 록(lock)/해제(unlock)하여 시트 위치를 고정/해제하는 록킹장치(130), 워크인 작동을 위한 시트백 폴딩시에 리클라이너 장치의 작동에 연동하여 당겨지는 워크인 케이블에 의하여 상기 록킹장치(130)의 록 상태를 해제하도록 작동하는 워크인 레버 장치(140), 및 시트가 전후로 이동되어 위치 조정된 상태에서 워크인 작동 시작시에 상기 조정된 시트 위치를 시트 복귀 위치로 설정해주어 워크인 작동 후 시트 복귀시(워크인 복원시) 상기 설정된 시트 복귀 위치까지 시트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장치(150)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 레일(110)은 시트쿠션에 장착된 쿠션프레임 측에 고정되는 레일로서, 쿠션프레임에 일체로 장착되는 마운팅 브라켓(111)의 하면에 체결되어서 시트 측에 고정되는 레일이며, 시트와는 항상 일체로 전후 이동하는 이동형 레일이다.
또한, 로워 레일(120)은 차량 실내 바닥면, 즉 플로어 상면에 고정되는 레일로서, 차량에서 항상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형 레일이며, 이 로워 레일(120)에 상기 어퍼 레일(110)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로워 레일(120)은 차량 플로어에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어퍼 레일(11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이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록킹홀(12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록킹장치(130)는 로워 레일(120)에 대하여 어퍼 레일(110)의 위치를 고정하여 시트 위치를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어퍼 레일(110)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브라켓(1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됨에 의해 어퍼 레일(110)을 로워 레일(120)에 선택적으로 록/해제(lock/unlock)하는 록킹레버(131)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레버(131)는 고정브라켓(112)에 결합되는 힌지축(13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이때 상기 힌지축(132)에는 록 해제 조작된 록킹레버(131)를 록 방향으로 탄력 회전시키기 위한 리턴스프링(133)이 설치된다.
상기 리턴스프링(133)은 록 해제방향으로 회전된 록킹레버(131)를 다시 록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서, 힌지축(132)상에서 록킹레버(131)와 고정브라켓(112) 사이에 장착되어 록킹레버(131)를 록 방향으로 탄력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록킹레버(131)는 로워 레일(120)의 록킹홀(121)에 끼워질 수 있는 록킹돌기(131a)들을 가지며, 록킹레버(131)의 록 방향 회전시 록킹돌기(131a)들이 로워 레일(120)의 록킹홀(121)에 끼워짐으로써 로워 레일(120)에서 어퍼 레일(110)을 위치 고정되도록 록 시키게 된다.
상기 록킹장치(130)는 시트의 전후 위치가 조정된 후 록킹레버(131)를 통해 어퍼 레일(110)을 로워 레일(120)에 록 시킴으로써 시트 위치를 조정된 위치로 고정시키는데, 이러한 어퍼 레일(110) 및 로워 레일(120), 어퍼 레일(110)을 로워 레일(120)에 선택적으로 록/해제하는 록킹장치(130)는 통상의 시트레일 장치에 기 적용되고 있는 공지의 구성요소이다.
상기 록킹장치(130)에서 록킹레버(131)는 미도시된 조작수단, 예컨대 시트의 전후 이동 및 위치 조정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게 되는 시트 하단의 트랙 레버를 조작할 경우 그 조작상태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즉, 트랙 레버를 록 해제방향으로 조작하면(통상 트랙 레버를 당겨줌) 록킹레버(131)가 회전하여 록킹돌기(131a)가 로워 레일(120)의 록킹홀(121)로부터 분리되고, 이에 어퍼 레일(110)과 로워 레일(120) 간의 록이 해제되는바, 이 상태에서 시트의 전후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트랙 레버를 놓아주게 되면(트랙 레버의 당김을 해제하면) 록킹레버(131)가 리턴스프링(1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원 회전하게 되고, 이에 록킹돌기(131a)가 로워 레일(120)의 록킹홀(121)에 다시 삽입되면서 어퍼 레일(110)과 로워 레일(120) 간의 록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록킹레버(131)는 어퍼 레일(110) 내측으로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그 록킹돌기(131a)들이 다시 어퍼레일(110) 외측으로 관통하여 로워 레일(120)의 록킹홀(121)에 록킹되어야 하는바, 도 5에서 도면부호 115a는 록킹레버(131)가 어퍼 레일(110)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관통하는 상측의 레버홀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115b는 록킹돌기(131a)들이 어퍼 레일(110) 외측으로 관통하는 하측의 돌기홀들을 나타낸다.
또한, 록킹레버(131)의 일측에는 눌림단(131b)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눌림단(131b)은 트랙 레버의 조작시 눌러지는 부분으로, 트랙 레버가 록 해제방향으로 조작될 경우 눌림단(131b)이 워크인 레버(141)의 가압단(141b)에 의해 눌리면서 록킹레버(131)가 록 해제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때 록킹돌기(131a)들이 로워 레일(120)의 록킹홀(121)들로부터 빠지면서 분리되어 록 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록킹레버(131)의 록/해제 동작은 상기 트랙 레버의 조작에 의해서도 이루어지지만, 시트의 워크인 작동 시작시 및 시트의 워크인 원복 종료시(시트 복귀 후) 워크인 레버 장치(140)의 동작에 의해서도 이루어지는바, 이는 워크인 기능을 가지는 시트, 즉 워크인 시트에서 공지의 기술적 사항이다.
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워크인 레버 장치(140)는 워크인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되는 레버, 즉 워크인 레버(141)를 포함하며, 워크인 레버(141)는 시트 하측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설치된 파이프(142)의 단부에 장착되어 지지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시트레일 장치의 구성요소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 및 구성으로 하여 시트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파이프(142)는 반대쪽 워크인 레버(141)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바, 상기 파이프(142)의 일단부에는 도시된 워크인 레버(141)가, 그리고 그 타단부에는 시트 반대쪽에 위치되는 또 다른 워크인 레버(141)가 장착된다.
따라서, 도시된 워크인 레버(141)에 연결된 하나의 워크인 케이블이 당겨져 워크인 레버(141) 및 파이프(142)가 회전될 경우 반대쪽에 위치된 워크인 레버(141) 또한 회전되어 동일한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 워크인 레버(141)와 파이프(142)는 어퍼 레일(110)에 일체 결합되는 브라켓, 보다 명확히는 제1브라켓(113)과 제2브라켓(114)에 의해 지지되며, 파이프(142)의 단부가 제2브라켓(114)의 홀(114a)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파이프(142) 및 이에 장착된 워크인 레버(141)가 어퍼 레일(110)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워크인 레버(141)의 일측에는 워크인 케이블이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141a)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회전 조작상태에 따라 록킹레버(131)의 눌림단(131b)을 눌러주도록 된 가압단(141b)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워크인 작동을 위해 작동레버(도 1에서 도면부호 9임)를 조작한 뒤 시트백을 폴딩하면, 이에 연동하여 워크인 케이블이 당겨지고, 이때 워크인 케이블이 케이블 연결부(141a)를 당겨주게 된다.
결국, 워크인 케이블에 의해 워크인 레버(141)가 회전되며(워크인 레버의 회전중심은 파이프가 됨), 이렇게 워크인 레버(141)가 회전됨에 따라 그 가압단(141b)이 눌림단(131b)을 눌러주어 록킹레버(131)를 록 해제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요컨대, 사용자가 시트의 전후 위치 조정을 위해 트랙 레버를 조작하면 록킹레버(131)가 록 해제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어퍼 레일(110)과 로워 레일(120) 간의 록이 해제되고, 이때 시트를 전후로 이동시키면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별도로, 워크인 작동을 위해 작동레버를 조작한 뒤 시트백을 폴딩하면 워크인 케이블이 자동으로 당겨지면서 워크인 레버(141)를 회전시키고, 이 워크인 레버(141)의 회전에 의해 록킹레버(131)가 록 해제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어퍼 레일(110)과 로워 레일(120) 간의 록이 해제되는바, 이때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워크인 작동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시트백 폴딩시에는 워크인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워크인 레버(141)가 회전되고, 또한 이에 의해 로워 레일(120)의 록킹홀(121)로부터 분리되도록 록킹레버(131)가 회전되어 어퍼 레일(110)과 로워 레일(120) 간의 록 상태가 해제되는 반면, 시트백 언폴딩시에는 워크인 케이블의 당김이 해제되면서 록킹레버(131)가 리턴스프링(133)에 의해 록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워크인 레버(141)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워크인 작동 전에 시트를 전후로 이동시켜 그 위치를 조정한 상태에서, 메모리 장치(150)는 워크인 조작(시트백 폴딩)에 의해 워크인 원복시의 시트 복귀 위치를 상기 조정된 시트 위치(탑승자 기 착석위치로서, 메모리 위치가 됨)로 설정 및 기억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메모리 장치(150)는 워크인 작동 후 시트의 위치를 원복시킬 때(즉, 워크인 원복시에) 다시 고정될 시트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하여 시트가 상기 설정된 시트 복귀 위치(메모리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시트 이동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시트가 메모리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도록 함).
상기 메모리 장치(150)에 의해 시트 위치가 설정된 시트 복귀 위치까지 원복되고 나면, 시트백 언폴딩 조작에 따른 워크인 레버 장치(140)의 동작에 연동하여 록킹장치(130)가 다시 록 작동하여 시트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더불어, 시트백 언폴딩 조작에 따른 워크인 레버 장치(140)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150)는 시트에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작동하게 되는데, 이 시점부터 메모리 장치(150)는 시트 전후 위치 조정을 위해 록킹장치(130)의 록이 해제될 경우 시트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는 시트와의 일체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시트백 언폴딩 조작은 사용자가 워크인 작동시 폴딩한 시트백을 다시 위로 펴주는 조작, 즉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조작을 의미한다.
상기 메모리 장치(150)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로워 레일(120) 내측을 따라 길게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60)과, 상기 가이드 레일(160)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된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160)에 선택적으로 록/해제되는 록 어셈블리(170)와, 워크인 레버(141)의 회전 조작상태에 따라 록 어셈블리(170)를 가이드 레일(160)과 어퍼 레일(110)에 선택적으로 록/해제되도록 작동시키는 구동 어셈블리(180)와, 어퍼 레일(110) 측에 구비되어 워크인 작동 후 시트 복귀시(워크인 원복시)에 가이드 레일(160)과의 록 상태인 록 어셈블리(170)에 접촉하여 시트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레일(160)은 로워 레일(120) 내측에서 로워 레일 바닥면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록킹홀(16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160)의 상, 하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록 어셈블리(170)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레일부(162)가 형성된다.
상기 록 어셈블리(170)는 가이드 레일(160)의 레일부(162)에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결합되는 슬라이더(171)와, 상기 슬라이더(171)에 대략 수평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160)의 록킹홀(161)에 선택적으로 록/해제되는 록킹핀(174)과, 구동 어셈블리(180)에 의해 누름 조작될 경우 상기 록킹핀(174)을 가이드 레일(160)과의 록이 해제되도록 후방 이동시키는 핀작동부(175)와, 상기 록킹핀(174)을 탄성 지지하면서 록킹핀(174)을 록 방향으로 전진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17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더(171)는 상, 하단에 가이드 레일(160)의 레일부(162)에 결합되는 결합단(172a,172b)이 형성된 플레이트(172)와, 상기 플레이트(172)에 볼팅 체결되어 결합되고 내측으로 록킹핀(174)이 전후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지지되는 가이드 블록(1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72)의 상단을 따라서는 가이드 레일(160)의 상단을 따라 형성된 레일부(162) 상측으로 맞물림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단(172a)이 벤딩되어 형성되고, 플레이트(172)의 하단을 따라서는 가이드 레일(160)의 하측 레일부인 슬롯(163)에 삽입 및 맞물림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단(172b)이 벤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블록(173)은 상단부에 경사면(173a)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면서 중앙의 홈부(173b) 내측으로는 록킹핀(174) 및 탄성스프링(176)이 삽입 설치되는 수용부(173c)가 위치되는 구성을 가진다(도 6 참조).
상기 가이드 블록(173)의 경사면(173a)은 중앙의 홈부(173b)를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시트 및 어퍼 레일이 전후로 이동한다고 할 때 그 이동방향을 따라서 전측과 후측이 됨)의 상단부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의 경사면(173a) 모두 중앙의 홈부(173b)쪽으로 가면서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 형상을 가진다(도 6 참조).
상기 슬라이더(171)의 좌, 우측 경사면(173a), 즉 가이드 블록(173)의 좌, 우측 경사면(173a)은 모두 후술하는 구동 어셈블리(180)의 작동핀(182)이 슬라이드 접촉되어 눌리면서 중앙의 홈부(173b)쪽으로 타고 넘을 수 있게 하기 위한 면으로, 구동 어셈블리(180)의 작동핀(182)이 하방으로 돌출 작동(전진 작동)된 상태에서는 작동핀(182)의 끝단면이 경사면(173a)을 따라 슬라이드 되어 중앙의 홈부(173b)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하방으로 돌출 작동된 작동핀(182)은 끝단면이 슬라이더(171)의 경사면(173a)(가이드 블록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될 때 눌리어 상방 작동(후진 작동)되면서 중앙의 홈부(173b)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록 어셈블리(170)의 록킹핀(174)은 가이드 블록(173)의 중앙 홈부(173b) 하측으로 위치되는 수용부(173c) 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176)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후방에서 탄성스프링(176)이 지지하는 상태에서 록킹핀(174)이 탄력적으로 전후진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록킹핀(174)이 핀작동부(175)에 의해 후퇴 이동된 상태에서는 가이드 레일(160)의 록킹홀(161)로부터 분리되어 록 어셈블리(170) 전체가 가이드 레일(160)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가이드 레일과의 록 해제상태)가 되는 반면, 록킹핀(174)이 탄성스프링(17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진 이동된 상태에서는 가이드 레일(160)의 록킹홀(161)에 삽입되면서 록 어셈블리(170) 전체가 가이드 레일(160)에서 록 상태가 되어 위치 고정된다.
이렇게 록킹핀(174)이 가이드 레일(160)의 선택된 록킹홀(161)에 삽입되거나 분리됨에 따라 록 어셈블리(170)가 가이드 레일(160)에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거나 위치 고정된 상태가 되는바, 록 어셈블리(170)가 위치 고정된 상태(가이드 레일과의 록 상태)에서 록 어셈블리(170)를 제외한 어퍼 레일(110) 및 시트 전체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고, 또는 록 어셈블리(170)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이드 레일과의 록이 해제된 상태)에서 어퍼 레일(110) 및 시트와 함께 일체로 록 어셈블리(170) 역시 가이드 레일(16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핀(174)은 후단부에 돌기(174a)가 양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록 어셈블리(170)의 핀작동부(175)는 구동 어셈블리(180)의 작동핀(182)에 의해 누름 조작될 경우 가이드 레일(160)과의 록이 해제되도록 록킹핀(174)을 이동시키는 부재로서, 상단부에는 구동 어셈블리(180)의 작동핀(182)이 눌러줄 수 있도록 눌림부(175a)가 형성되고, 상기 눌림부(175a)의 좌우 양측에는 하방으로 측벽(175b)이 길게 연장 형성된다.
이때, 핀작동부(175)는 가이드 블록(173)의 중앙 홈부(173b) 내측에 눌림부(175a)와 좌우 양측벽(175b)이 삽입되도록 조립되는데, 가이드 블록(173)의 중앙 홈부(173b)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조립되고, 더불어 핀작동부(175)의 좌우 양 측벽(175b) 사이에 수평으로 전후진 이동되는 록킹핀(174)이 위치하도록 조립된다.
상기 각 측벽(175b)은 후단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역삼각형의 모양을 가지는바, 측벽(175b) 후단의 경사면은 록킹핀(174)의 돌기(174a)가 슬라이드 접촉되는 부분으로, 핀작동부(175)가 구동 어셈블리(180)의 작동핀(182)에 의해 눌리면서 이동(하강)할 때 각 측벽(175b) 후단의 경사면이 돌기(174a)를 후방으로 밀게 되면서 록킹핀(174)을 수평으로 후진시키게 된다(핀작동부가 하강시 록킹핀을 후방으로 당겨주는 역할을 함).
이때, 록킹핀(174)은 탄성스프링(176)을 압축하면서 후진하게 되고, 이후 하강한 상태의 핀작동부(175)가 구동 어셈블리(180)의 작동핀(182)에 의한 눌림이 해제되면서 상승하게 될 때 상기 탄성스프링(17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록킹핀(174)이 전진 이동하게 된다.
요컨대, 구동 어셈블리(180)의 작동핀(182)이 하강하여 핀작동부(175)의 눌림부(175a)를 눌러주게 되면, 핀작동부(175)가 하강하면서 측벽(175b) 하단의 경사면 및 돌기(174a) 간의 슬라이드 접촉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록킹핀(174)이 탄성스프링(176)을 압축하면서 후진 이동되고, 이때 록 어셈블리(170)와 가이드 레일(160) 간의 록은 해제된다(가이드 레일의 록킹홀에서 록킹핀이 빠져나옴).
반면, 구동 어셈블리(180)의 작동핀(182)이 상승하여 핀작동부(175)의 눌림상태가 해제되면, 록킹핀(174)이 탄성스프링(17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면서 전진 이동되고, 이때 록 어셈블리(170)와 가이드 레일(160) 간의 록이 이루어지게 된다(가이드 레일의 록킹홀에 록킹핀이 삽입됨).
상기 핀작동부(175)에서 좌우 양 측벽(175b)의 끝단부(도면상 하단부)에는 록킹핀(174)의 돌기(174a)가 하방으로 걸릴 수 있게 돌출된 형상의 걸림턱부(175c)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도 6에서 도면부호 172c는 슬라이더(171)의 플레이트(172)에 록킹핀(174)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홀을 나타내며, 록킹핀(174)이 이 홀(172c)을 관통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160)의 록킹홀(161)에 삽입됨으로써 록 어셈블리(170)의 위치가 고정되는 록 상태가 된다.
상기 스토퍼(190)는 워크인 원복시에 시트가 후방 이동하여 메모리 장치(150)에 의해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시트가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시트 이동을 정지시키는 구성부이다.
상기 스토퍼(190)는 시트와 일체로 이동하는 어퍼 레일(110) 측에 구비되며, 구동 어셈블리(180)의 작동핀(182)이 록 어셈블리(170)에 결합될 수 있는 위치, 즉 작동핀(182)이 핀작동부(175)를 눌러주도록 슬라이더(171)의 홈부(173b) 내측에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록킹 어셈블리(180)의 슬라이더(171)에 부딪힐 수 있는 위치 및 형상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190)는 슬라이더(171) 측면부분에 부딪힐 수 있도록 록킹레버(131)가 장착되어 있는 고정브라켓(112) 일측에 하방으로 길게 돌출 형성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171)의 플레이트(172)에 가이드 블록(173) 측방에 위치하도록 접촉단(172d)이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접촉단(172d)이 스토퍼(190)가 부딪히도록 된 슬라이더 부분, 즉 슬라이더 측면부분이 되고, 스토퍼(190)가 접촉단(172d)에 접촉하여 부딪히게 되면 어퍼 레일(110) 및 시트의 이동이 정지된다.
한편, 구동 어셈블리(180)는 어퍼 레일(110) 측에 설치되는 구성부로서, 워크인 레버(141)의 회전 조작상태에 따라 상하로 전후진 동작하는 작동핀(182)을 포함하며, 이 작동핀(182)은 전진하여(즉, 하강하여) 록 어셈블리(170)를 가이드 레일(160)로부터 록 해제시키거나, 반대로 후진하여(즉, 상승하여) 록 어셈블리(170)를 가이드 레일(160)에 록 시키게 된다.
또한, 구동 어셈블리(180)의 작동핀(182)이 전진하게 되면, 록 어셈블리(170)와 가이드 레일(160) 간의 록은 해제되면서, 상기 작동핀(182)이 록 어셈블리(170)(보다 명확히는 슬라이더의 홈부)에 결합되어 어퍼 레일(110)과 록 어셈블리(170)를 서로 연결하게 되어, 어퍼 레일(110) 및 구동 어셈블리(180), 록 어셈블리(170) 간이 일체화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 어셈블리(180)의 작동핀(182)에 의해 어퍼 레일(110)과 록 어셈블리(170)가 일체화 되면(록 되면), 가이드 레일(160)과의 록이 해제된 록 어셈블리(170)가 어퍼 레일(110)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시트가 전후로 이동할 때 록 어셈블리(170)는 가이드 레일(160)을 따라서, 어퍼 레일(110)은 로워 레일(12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워크인 작동이 아닌 평상시 사용에 있어서 록 어셈블리(170)와 어퍼 레일(110) 간의 록(일체화)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시트를 전후로 이동시킬 때 록 어셈블리(170)가 시트와 일체로 가이드 레일(16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위의 설명에서 구동 어셈블리(180)의 작동핀(182)이 결합되어 록 어셈블리(170)와 어퍼 레일(110)이 일체화된다는 것은 구동 어셈블리(180)와 록 어셈블리(170), 어퍼 레일(110) 모두가 일체로 고정됨을 의미하고, 이는 메모리 장치(150)와 시트의 어퍼 레일(110)이 일체로 고정됨을 의미한다.
또한, 록 어셈블리(170)와 어퍼 레일(110) 간의 일체화(록) 상태에서 워크인 작동을 위해 구동 어셈블리(180)의 작동핀(182)이 후진하게 되면, 작동핀(182)이 록 어셈블리(170)로부터 분리되면서 어퍼 레일(110)과 록 어셈블리(170) 간의 일체화가 해제된다.
이때, 록 어셈블리(170)와 가이드 레일(160)은 록 상태이므로, 워크인 작동시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 어퍼 레일(110) 및 구동 어셈블리(180)는 이동하게 되나, 록 어셈블리(170)는 이전 시트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160)에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 그에 부속된 어퍼 레일(110) 및 구동 어셈블리(180)가 이동하는 것과 달리, 록 어셈블리(170)가 가이드 레일(160)에 위치 고정되어 있게 되므로 이전 시트 위치를 설정 위치로 기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후 워크인 원복시 시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때, 어퍼 레일(110) 측에 설치된 스토퍼(190)가 가이드 레일(160)에 록 상태로 있는 록 어셈블리(170)(슬라이더)와 접촉하게 되면, 그 접촉에 의해 시트 이동이 제한되면서 시트가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시트백의 언폴딩 조작이 이루어지면, 구동 어셈블리(180)의 작동핀(182)이 록 어셈블리(170)(슬라이더의 홈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록킹레버(131)가 로워 레일(120)에 록킹되므로, 시트가 록 어셈블리(170)에 의해 설정된(기억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180)의 구성을 살펴보면, 어퍼 레일(110)에 위치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181)와, 상기 가이드 부재(181)에서 대략 수직(상하방향)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후 이동상태에 따라 록 어셈블리(170)에 결합/해제되면서 록 어셈블리(170)를 록/해제 작동시키는 작동핀(182)과, 워크인 레버(141)의 회전 조작상태에 따라 상기 작동핀(182)을 전후 이동시키는 핀작동부(183)와, 상기 가이드 부재(181)에서 작동핀(182)을 탄성 지지하면서 작동핀(182)을 록 어셈블리(170)에 결합되는 위치로 전진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18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181)는 어퍼 레일(110) 측, 바람직하게는 어퍼 레일(110)에 결합된 마운팅 브라켓(111)의 상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을 가지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그 내부공간에 작동핀(182)이 어퍼 레일(110)을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핀작동부(183)는 가이드 부재(181)에 대략 수평으로 전후진할 수 있게 조립되고, 이를 위해 가이드 부재(181)의 양 측단에 레일부(181a)가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부재(181)의 레일부(181a)에 상기 핀작동부(183)의 양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레일결합부(183a)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로써 핀작동부(183)가 가이드 부재(181)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작동핀(182)은 가이드 부재(181)의 내부공간에서 탄성스프링(184)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설치되며, 탄성스프링(184)이 후방에서 지지하는 상태로 상기 작동핀(182)이 탄력적으로 전후진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작동핀(182)은 탄성스프링(184)의 힘에 의해 전진 이동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록 어셈블리(170)의 슬라이더(171)에 마련된 홈부(173b)에 결합되고, 이때 작동핀(182)은 록 어셈블리(170)의 핀작동부(175)를 눌러주게 되어 록 어셈블리(170)의 록(가이드 레일과의 록)을 해제하게 된다.
또한, 작동핀(182)이 홈부(173b)에 삽입되어 록 어셈블리(170)와 결합된 상태에서 어퍼 레일(110)과 메모리 장치(150) 간의 일체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반면, 작동핀(182)이 핀작동부(183)에 의해 후진하여 록 어셈블리(170)로부터 분리되면, 이때 어퍼 레일(110)과 메모리 장치(150) 간의 일체화가 해제되면서, 동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록 어셈블리(170)가 가이드 레일(160)에 록 되도록 작동된다(록킹핀이 전진하여 가이드 레일의 록킹홀에 삽입됨).
또한, 상기 작동핀(182)은 후단부에 돌기(182a)가 양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마운팅 브라켓(111)과 어퍼 레일(110)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하로 전후 작동이 이루어지는바, 도 6에서 도면부호 111a와 117은 작동핀(182)이 수직 관통하도록 형성된 마운팅 브라켓(111)의 홀과 어퍼 레일(110)의 홀을 각각 나타낸다.
구동 어셈블리(180)의 핀작동부(183)는 워크인 작동 시작시 워크인 케이블에 의해 당겨져 회전되는 워크인 레버(141)에 의해 누름 조작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이를 위해 핀작동부(183)의 일측에는 회전되는 워크인 레버(141)의 돌출부(141c)가 눌러주도록 된 핀(183b)이 측방으로 길게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핀작동부(183)의 좌우 양측에는 측벽(183c)이 형성되고, 작동핀(182)이 양 측벽(183c) 사이에 위치할 수 있게 가이드 부재(181)에 조립된다.
상기 각 측벽(183c)은 상단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모양을 가지는바, 측벽(183c)의 경사면은 작동핀(182)의 돌기(182a)가 슬라이드 접촉되는 부분으로, 핀작동부(183)가 워크인 레버(141)에 의해 눌리면서 수평으로 전진 이동될 때 각 측벽(183c)의 경사면이 돌기(182a)를 위로 밀게 되면서 작동핀(182)을 후진시키게 된다(핀작동부가 작동핀을 위로 당겨줌).
이때, 작동핀(182)은 탄성스프링(184)을 압축하면서 후진 이동(상승)하게 되고, 이후 워크인 레버(141)에 의한 핀작동부(183)의 눌림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스프링(18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작동핀(182)이 전진 이동(하강)하게 된다.
상기 핀작동부(183)에서 좌우 양 측벽(183c)의 끝단부에는 작동핀(182)의 돌기(182a)가 하방으로 걸릴 수 있게 돌출된 형상의 걸림턱부(183d)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도 8은 평상시 탑승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시트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 즉 트랙 레버를 당김 조작하여 시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a)는 워크인 레버의 회전 전 상태를, (b)는 워크인 레버의 회전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장치에서 메모리 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장치에서 워크인 작동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장치에서 워크인 작동시 록 어셈블리가 고정된 상태로 어퍼레일과 구동 어셈블리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장치에서 워크인 원복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 장치에서 시트백을 미리 세운 상태로 워크인 원복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구동 어셈블리(180)의 작동핀(182)이 전진하여 록 어셈블리(170)의 슬라이더(171)에 마련된 홈부(173b)에 삽입되어 있게 되는바, 작동핀(182)이 록 어셈블리(170)에 결합된 상태에서 시트의 쿠션프레임에 장착된 어퍼 레일(110), 어퍼 레일(110) 측에 설치된 구동 어셈블리(180), 그리고 가이드 레일(160)상의 록 어셈블리(170)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록 어셈블리(170)와 가이드 레일(160) 간의 록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록 어셈블리(170)가 시트의 전후 이동시에 가이드 레일(160)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이다.
이때, 탑승자가 트랙 레버를 조작하면 어퍼 레일(110)에 장착되어 있는 록킹레버(131)가 로워 레일(120)로부터 분리되면서 로워 레일(120)과의 록이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시트를 전후로 이동시키면 록 어셈블리(170) 및 구동 어셈블리(180)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150) 전체가 어퍼 레일(110) 및 시트와 일체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시트의 전후 이동시 구동 어셈블리(180)뿐만 아니라 록 어셈블리(170)도 동시에 이동되며(메모리 장치 전체가 시트와 함께 이동됨), 이러한 시트 위치 조정 후에 탑승자가 트랙 레버를 놓아주게 되면 록킹레버(131)가 로워 레일(120)에 다시 록 되면서 시트 위치가 고정된다.
도 12와 도 13은 워크인 작동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시트의 전후 위치가 이미 조정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작동레버(도 1에서 도면부호 9임)를 조작하여 시트백을 폴딩시키면, 워크인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워크인 레버(141)가 회전된다.
이에 워크인 레버(141)에 의해 록킹레버(131)가 록 해제방향으로 회전되고, 결국 트랙 레버의 조작시와 마찬가지로 록킹레버(131)가 로워 레일(120)의 록킹홀(121)로부터 분리되면서, 록킹레버(131)에 의한 어퍼 레일(110)과 로워 레일(120) 간의 록 상태가 해제되어(시트 측과 플로어측 간의 록 해제), 시트의 전후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함께 회전되는 워크인 레버(141)가 메모리 장치(150)를 작동시켜 현재 조정되어 있는 시트 위치(이전의 탑승자 착석위치)가 이후 워크인 원복시의 시트 복귀 위치(메모리 위치가 됨)로 설정된다(조정된 시트 위치가 기억됨).
이때, 회전되는 워크인 레버(141)의 돌출부(141c)가 구동 어셈블리(180)의 핀작동부(183)에 설치된 핀(183b)을 눌러주게 되면서 핀작동부(183)가 이동(가이드 부재쪽으로 전진)하고, 이때 돌기(182a)가 핀작동부(183)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작동핀(182)이 위로 당겨지게 된다(도 10 참조).
이에 작동핀(182)이 록 어셈블리(170)와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는데, 슬라이더(171)에 마련된 홈부(173b)로부터 작동핀(182)이 빠지면서 록 어셈블리(170)의 핀작동부(183)를 누르고 있던 힘이 제거된다(도 10 참조).
결국, 록 어셈블리(170)의 록킹핀(174)이 탄성스프링(176)의 탄성복원력으로 전진 이동하여 가이드 레일(160)의 록킹홀(161)에 삽입되고, 이에 록 어셈블리(170)와 가이드 레일(160) 간의 록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조정된 시트 위치에서 록 어셈블리(170)는 가이드 레일(160)에 위치 고정되고, 이때의 록 어셈블리 위치가 워크인 원복시의 시트 복귀 위치(탑승자 착석위치)로 설정되어진다.
이 상태에서 탑승자가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공간을 확보하게 되는데, 워크인 작동시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 가이드 레일(160)에 록 어셈블리(170)가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핀(182)을 포함한 구동 어셈블리(180)와 어퍼 레일(110)은 시트와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도 12 및 도 13 참조).
다음으로, 도 15는 워크인 원복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탑승자가 시트백 폴딩 유지상태로 시트를 원래의 위치로 후방 이동시키며, 이때 어퍼 레일(110) 측에 설치된 스토퍼(190)가 록 어셈블리(170)의 슬라이더(171) 측면부분, 즉 슬라이더의 접촉단(172d)에 접촉하게 되면 시트 이동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록 어셈블리(170)가 고정되어 있는 위치까지 시트가 이동할 수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이동된 시트의 위치는 이전의 착석위치, 즉 워크인 작동시 록 어셈블리(170)에 의해 설정되어진 위치가 된다.
이 상태에서 시트백을 펴주게 되면, 워크인 케이블의 당김이 해제되면서 워크인 레버(141)를 통해 핀작동부(183)를 누르고 있던 힘이 해제되고, 이때 구동 어셈블리(180)에서는 탄성스프링(18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작동핀(182)이 전진 이동(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핀(182)이 전진 이동하는 동안 핀작동부(183)가 워크인 작동시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워크인 레버(141) 역시 워크인 작동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워크인 레버(141)가 회전되면서 록킹레버(131)는 이동된 시트 위치에서 로워 레일(120)의 록킹홀(121)에 삽입되어 어퍼 레일(110)과 로워 레일(120) 간을 다시 록 시키게 되고, 결국 시트 위치가 다시 고정된다.
더불어, 상기와 함께 전진 이동하는 작동핀(182)은 록 어셈블리(170)의 슬라이드에 마련된 홈부(173b) 내측으로 삽입되는바, 이에 구동 어셈블리(180)와 록 어셈블리(170)는 서로 일체화되고, 록 어셈블리(170)와 가이드 레일(160) 간의 록 상태는 해제된다.
즉, 작동핀(182)이 록 어셈블리(170)의 핀작동부(175)를 눌러주게 되면, 록킹핀(174)이 하강하는 핀작동부(175)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져 가이드 레일(160)의 록킹홀(161)로부터 빠지지게 되고, 이에 록 어셈블리(170)와 가이드 레일(160) 간의 록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이후 시트를 전후 이동시켜 시트 위치를 재조정해주면 메모리 장치(150)의 록 어셈블리(170)가 어퍼 레일(110) 측의 구동 어셈블리(180)와 작동핀(182)에 의해 연결된 상태이므로 록 어셈블리(170) 역시 시트와 함께 이동되고, 이후 재조정된 위치에서 워크인 작동시에 록 어셈블리(170)가 다시 가이드 레일(160)에 록킹되면서 시트 위치가 기억된다.
다음으로, 도 16은 워크인 원복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시트가 후방 이동되는 동안 탑승자가 시트백을 폴딩 상태로 유지해야 하나, 시트백을 미리 세웠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보통 탑승자는 시트백을 먼저 편 후 시트를 후방으로 밀려고 하는 습성을 보이는데, 시트 이동 동안 시트가 기설정된 위치(메모리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시트백을 미리 펴주게 되면, 워크인 케이블의 당김이 해제되면서 워크인 레버(141)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록 어셈블리(170)의 홈부(173b)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구동 어셈블리(180)의 작동핀(182)이 먼저 전진 이동(하강)하게 된다.
또한, 워크인 레버(141)가 회전되면서 시트가 이동되고 있는 위치에서 록킹레버(131)가 로워 레일(120)의 록킹홀(121)에 삽입되어 어퍼 레일(110)과 로워 레일(120) 간을 록 시키는바, 시트가 기설정된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시트 위치가 고정된다.
시트백이 세워진 상태에서는 시트가 기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기 전 상태라 하더라도 탑승자가 착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시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시트백이 세워지게 되면 록킹레버(131)의 작동으로 어퍼 레일(110)과 로워 레일(120)을 록 시켜 시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다만, 이에 시트를 다시 기설정된 위치, 즉 메모리 장치에 의해 기억된 위치(록 어셈블리가 고정되어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트랙 레버를 당겨 록킹레버(131)에 의한 록을 해제해 준 상태로 시트를 후방 이동시킨다.
하지만, 트랙 레버를 조작하여 시트트랙의 록 상태를 해제해줄 경우 시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나, 구동 어셈블리(180)의 작동핀(182)이 록 어셈블리(170)의 홈부(173b)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전진해 있는 상태(즉, 아래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작동핀(182)을 록 어셈블리(170)의 홈부(173b) 내에 원활히 삽입시키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록 어셈블리(170)의 슬라이더(171) 측면에 경사면(173a)(가이드 블록의 경사면)을 두는 것이며, 작동핀(182)이 전진(하강)한 상태에서 슬라이드의 경사면(173a)에 접촉한 뒤 경사면(173a)을 따라 이동하여 슬라이더(171) 중앙의 홈부(173b) 내에 삽입 및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작동핀(182)이 록 어셈블리(170)의 경사면(173a), 즉 가이드 블록(173)의 경사면(173a)을 타고 중앙의 홈부(173b)로 넘어가도록 하면, 작동핀(182)이 전진한 상태(아래로 돌출된 상태)에서도 순간적으로 후진한 뒤 홈부(173b)에 결합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트랙 레버를 놓아주게 되면 시트가 기설정된 위치에서 다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10 : 어퍼 레일 120 : 로워 레일
130 : 록킹장치 131 : 록킹레버
140 : 워크인 레버 장치 141 : 워크인 레버
150 : 메모리 장치 160 : 가이드 레일
170 : 록 어셈블리 171 : 슬라이더
172 : 플레이트 173 : 가이드 블록
174 : 록킹핀 175 : 핀작동부
180 : 구동 어셈블리 181 : 가이드 부재
182 : 작동핀 183 : 핀작동부
190 : 스토퍼

Claims (21)

  1. 기 조정된 시트 위치를 워크인 작동 시작시 시트 복귀 위치로 설정해주어 워크인 작동 후 시트 복귀시에 상기 설정된 시트 복귀 위치까지 시트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장치를 갖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장치는,
    차량 실내 바닥면에 장착된 로워 레일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록 해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록킹핀이 전후진 작동됨으로써 가이드 레일에 선택적으로 록/해제되는 록 어셈블리;
    쿠션프레임에 장착된 어퍼 레일 측에 일체로 설치되고, 워크인 레버의 회전 조작상태에 따라, 상기 록킹핀을 작동시켜 록 어셈블리를 가이드 레일에 록/해제시키는 한편, 상기 록 어셈블리를 어퍼 레일 측과도 일체로 움직이도록 록 시키거나 록 해제시키는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어퍼 레일 측에 구비되어 워크인 작동 후 시트 복귀시에 가이드 레일과의 록 상태인 록 어셈블리에 접촉하여 시트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 어셈블리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서 전후진 작동하도록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과의 선택적인 록/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록킹핀과;
    상기 슬라이더의 홈부에 설치되어 구동 어셈블리의 작동핀에 의해 누름 조작될 경우 가이드 레일과의 록이 해제되도록 상기 록킹핀을 이동시키는 핀작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록킹핀이 삽입됨으로써 록 어셈블리가 가이드 레일에 록 되도록 하는 록킹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록 어셈블리는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록킹핀을 탄성 지지하면서 록킹핀을 록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돌출 작동된 작동핀이 접촉하여 슬라이드 됨과 동시에 눌리면서 상기 홈부 내측으로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슬라이더 상단부에 로워 레일을 따르는 시트 및 어퍼 레일의 전후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홈부를 중심으로 한 전측과 후측에 각각 형성되고, 양측 경사면 모두 중앙의 홈부쪽으로 가면서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체결되어 결합되고, 내측으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삽입된 록킹핀을 지지하며, 상기 핀작동부가 설치되는 홈부를 가지는 가이드 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플레이트에 접촉단이 형성되고,
    워크인 작동 후 시트 복귀시 상기 접촉단에 스토퍼가 접촉하여 부딪히면서 어퍼 레일 및 시트 이동이 정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9. 청구항 2, 청구항 5,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홈부는 전진 이동하여 돌출 작동한 작동핀이 핀작동부를 눌러준 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작동핀은 슬라이더 홈부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록 어셈블리와 결합됨으로써 록 어셈블리를 어퍼 레일 측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게 록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핀작동부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의 작동핀이 눌러주도록 된 눌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핀이 접촉된 상태에서 구동 어셈블리의 작동핀에 의한 누름 조작상태 및 누름 해제상태에 따라 상기 록킹핀을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핀작동부는 상기 눌림부의 좌우 양측에 하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측벽을 가지며,
    전후진 이동되는 록킹핀이 슬라이더 홈부 내측에 위치된 상기 핀작동부의 좌우 양 측벽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각 측벽에는 록킹핀의 좌우 양측 돌기가 슬라이드 접촉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핀작동부가 작동핀에 의해 눌리면서 이동될 때 상기 각 측벽의 경사면이 상기 돌기를 밀게 되면서 록킹핀을 이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핀작동부의 좌우 양 측벽 끝단부에는 록킹핀의 돌기가 걸릴 수 있게 돌출된 형상의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워크인 작동 후 시트 복귀시, 구동 어셈블리의 작동핀이 록 어셈블리와 가이드 레일 간의 록이 해제되도록 록킹핀을 작동시키면서 상기 록 어셈블리에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록킹 어셈블리에 접촉할 수 있는 위치 및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어퍼 레일에 고정 장착되어 있는 고정브라켓에 하방으로 길게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시트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록킹장치의 록킹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어퍼 레일 측에 위치 고정되어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서 전후진 작동하도록 설치되어 전후진 작동상태에 따라 록 어셈블리에 결합/해제되면서 상기 록 어셈블리를 가이드 레일과의 록/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작동시키는 작동핀과;
    상기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워크인 레버의 회전 조작상태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작동핀을 전후진 작동시키는 핀작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가이드 부재에 설치되어 작동핀을 탄성 지지하면서 상기 작동핀을 록 어셈블리와의 결합방향으로 돌출 작동시키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핀작동부는,
    워크인 작동을 위해 회전되는 워크인 레버에 의해 누름 조작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가이드 부재에 설치되고, 작동핀이 접촉된 상태에서 워크인 레버에 의한 누름 조작상태 및 누름 해제상태에 따라 작동핀을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핀작동부는 일측에 핀이 측방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어 워크인 작동을 위해 회전되는 워크인 레버의 돌출부가 상기 핀작동부의 핀을 눌러줌으로써 누름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핀작동부는 좌우 양측에 길게 연장 형성된 측벽을 가지며,
    상기 핀작동부의 좌우 양 측벽 사이에 전후진 이동되는 작동핀이 위치되고,
    상기 각 측벽에는 작동핀의 좌우 양측 돌기가 슬라이드 접촉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핀작동부가 작동핀에 의해 눌리면서 이동될 때 상기 각 측벽의 경사면이 상기 돌기를 밀게 되면서 작동핀을 이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핀작동부의 좌우 양 측벽 끝단부에는 작동핀의 돌기가 걸릴 수 있게 돌출된 형상의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KR20130149037A 2013-12-03 2013-12-03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KR101500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9037A KR101500211B1 (ko) 2013-12-03 2013-12-03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US14/320,207 US9475408B2 (en) 2013-12-03 2014-06-30 Seat rail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walk-in memory function
CN201410317756.9A CN104670046B (zh) 2013-12-03 2014-07-04 用于车辆的具有翻移记忆功能的座椅导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9037A KR101500211B1 (ko) 2013-12-03 2013-12-03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0211B1 true KR101500211B1 (ko) 2015-03-06

Family

ID=53026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9037A KR101500211B1 (ko) 2013-12-03 2013-12-03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75408B2 (ko)
KR (1) KR101500211B1 (ko)
CN (1) CN10467004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185B1 (ko) * 2015-08-25 2016-10-2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4075B2 (ja) * 2013-07-30 2018-01-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17024622A (ja) * 2015-07-24 2017-02-0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17047728A (ja) * 2015-08-31 2017-03-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ウォークイン装置
CA2982922C (en) * 2016-10-18 2022-03-01 Magna Seating Inc. Power return for seat adjuster with easy-entry
JP6834509B2 (ja) * 2017-01-18 2021-02-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DE102017000510A1 (de) * 2017-01-20 2018-07-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Sitzanordnung für ein Fahrzeug, Fahrzeug mit der Sitzanordnung und Verfahren zur Verstellung eines Fahrzeugsitzes einer Sitzanordnung
DE102019206304B4 (de) * 2018-05-04 2022-01-27 Lear Corporation Schienenanordnung
DE102019104530B3 (de) * 2019-02-22 2020-06-10 Grammer Ag Führungseinrichtung zum Führen einer Verstellbewegung eines Fahrzeugsitzes
KR20220042545A (ko) * 2020-09-28 2022-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및 개인 모빌리티 무빙 록킹 장치
CN114655084B (zh) * 2022-04-22 2022-11-25 浙江万兆汽车零部件有限公司 前置式汽车座椅水平驱动器总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180B1 (ko) * 2006-08-08 2007-09-14 주식회사 오스템 워크인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JP2009056912A (ja) * 2007-08-31 2009-03-19 Fuji Kiko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EP2184200A1 (en) * 2007-09-10 2010-05-12 Shiroki Corporation Walk-in seat
KR20130013362A (ko) * 2011-07-28 2013-02-06 주식회사다스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0804B1 (fr) * 2001-10-15 2004-01-16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 dossier rabattable vers l'avant
JP4080268B2 (ja) * 2002-07-19 2008-04-23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部構造及びその組付方法
KR100453026B1 (ko) * 2002-07-27 2004-10-14 대원산업 주식회사 자동 텀블 및 대좌 조립이 가능한 착탈식 시트
JP2004058928A (ja) * 2002-07-31 2004-02-26 Fuji Kiko Co Ltd 車両用シートの折り畳み機構
US6869057B2 (en) * 2002-12-20 2005-03-22 Fuji Kiko Co., Ltd. Seat slide device
US7025419B2 (en) * 2003-05-12 2006-04-11 Shiroki Corporation Seat mechanism for vehicle
JP2006008010A (ja) 2004-06-28 2006-01-12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6008036A (ja) 2004-06-29 2006-01-12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DE102004038587B4 (de) 2004-08-06 2014-01-16 Johnson Controls Gmbh Vorrichtung zur selbsttätigen Arretierung einer Komponente, insbesondere ein Fahrzeugsitz und insbesondere in oder an einem Fahrzeug und Fahrzeugsitz
DE602005002720T2 (de) * 2004-12-20 2008-07-17 Aisin Seiki K.K., Kariya Sitzgleitschienen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
JP4534828B2 (ja) * 2005-03-24 2010-09-0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DE202006005103U1 (de) * 2006-03-30 2007-08-0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stellsystem für einen Fahrzeugsitz
JP4968776B2 (ja) * 2006-08-18 2012-07-04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034604B2 (ja) * 2007-03-29 2012-09-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7819479B2 (en) * 2007-10-10 2010-10-26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assembly having walk-in and fold-flat features
DE112008003251B4 (de) * 2007-12-03 2017-07-27 Toyota Boshoku K.K. Fahrzeugsitz
KR101000217B1 (ko) * 2008-07-23 2010-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용 워크인 메모리장치
DE112009003579B4 (de) * 2008-12-19 2023-01-26 Lear Corporation Sitz-Verstellvorrichtung und Fahrzeugsitzanordnung
CA2781909C (en) * 2009-11-26 2017-06-27 Magna Seating Inc. Seat track easy-entry actuation mechanism
US8408631B2 (en) * 2010-01-13 2013-04-02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easy entry assembly with position memory
JP5499845B2 (ja) * 2010-04-05 2014-05-2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331055B2 (ja) * 2010-05-11 2013-10-3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BR112013009518B1 (pt) * 2010-12-03 2020-02-04 Magna Seating Inc conjunto de trilho de assento, e, conjunto de assento preso a um piso em um veículo automotivo
US8585145B2 (en) * 2011-01-14 2013-11-19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easy entry system
KR101230850B1 (ko) 2011-05-17 2013-02-0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레일 록킹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180B1 (ko) * 2006-08-08 2007-09-14 주식회사 오스템 워크인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JP2009056912A (ja) * 2007-08-31 2009-03-19 Fuji Kiko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EP2184200A1 (en) * 2007-09-10 2010-05-12 Shiroki Corporation Walk-in seat
KR20130013362A (ko) * 2011-07-28 2013-02-06 주식회사다스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185B1 (ko) * 2015-08-25 2016-10-2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75408B2 (en) 2016-10-25
CN104670046A (zh) 2015-06-03
US20150151650A1 (en) 2015-06-04
CN104670046B (zh) 201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211B1 (ko)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US10293717B2 (en) Vehicle seat
KR101054755B1 (ko) 시트백 연동형 전후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장치
KR101000217B1 (ko) 자동차 시트용 워크인 메모리장치
EP1393968B1 (en) Vehicle seat
US9789791B2 (en) Child safety seat
JP4147002B2 (ja) 接近を容易にする完全記憶式シート組立体
KR101774793B1 (ko)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KR20100062228A (ko)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장치
JP2010125917A (ja) 車両用スライドシート装置
KR101263153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JP4374383B2 (ja) 自動車
JP7068591B2 (ja) 乗物用シート
JPH0840200A (ja) 自動車シート用スライド部材およびこのスライド部材により取り付けられた自動車シート
JP4712036B2 (ja) 自動車用座席
JP4544786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レール構造
KR101404478B1 (ko)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JP4437977B2 (ja) シート装置
KR20060010948A (ko) 자동차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JP2006087800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4047048B2 (ja) シート
KR102050557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0315397B1 (ko)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딩장치
KR101716968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JP2006008010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