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302B1 - 복수의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가지는 항염증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수의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가지는 항염증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302B1
KR101478302B1 KR1020127030670A KR20127030670A KR101478302B1 KR 101478302 B1 KR101478302 B1 KR 101478302B1 KR 1020127030670 A KR1020127030670 A KR 1020127030670A KR 20127030670 A KR20127030670 A KR 20127030670A KR 101478302 B1 KR101478302 B1 KR 101478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eno
pyrimidin
phenol
ylamino
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266A (ko
Inventor
양범석
김용주
박태교
우성호
이향숙
김선영
조종운
이홍범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004583&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7830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PCT/KR2010/003332 external-priority patent/WO2011149126A1/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30031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6Antigout agents, e.g. antihyperuricemic or uricosur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61P2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for myasthenia gra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4Decongestants or antiallerg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에 대해 저해능을 가지는 항염증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복수의 타이로신 카이네이즈들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어, 이와 관련된 염증성 질환이나 자가면역질환 등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가지는 항염증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ANTI-INFLAMMATORY COMPOUND HAVI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MULTIPLE TYROSINE KINAS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AME}
본 발명은 하이드록시(혹은 메톡시) 아닐리노 싸이에노 피리미딘이나 하이드록시(혹은 메톡시) 아닐리노 싸이에노 피리딘을 모핵으로 공유하며 복수의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에 대한 저해능을 가지는 화합물 및 이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염증질환 및 면역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용도로 사용하거나, 상처 치유 촉진 및 상흔 형성 억제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염증 반응은 염증성 면역세포의 활성이 주 원인이다. 또한 여러 염증성 질환에서 활성화된 염증성 면역세포의 영향으로 그 주위에 존재하는 섬유 아세포, 상피세포 또는 평활근세포가 미요브라스트 (myoblast) 형태의 세포로 활성화되는 현상이 발견된다. 미요브라스트 (myoblast) 형태로 활성화된 섬유아세포, 상피세포 또는 평활근세포는 증가된 세포 증식 능력 및 이동성을 나타내며 섬유질 콜라겐 단백질등을 포함하는 세포외 기질 단백질을 대량 생성 분비하여 결국에는 조직의 섬유화와 비대화를 유도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이 조직 손상 치유과정에서 나타날 때는 섬유화된 부분은 조직에 상처 (Scar)로 남게 된다.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염증성 면역세포의 활성화와 더불어 염증부위의 활성화된 섬유아세포, 상피세포 또는 평활근세포 등의 협력적 역할에 의한 기여가 여러 염증성 질환의 병리적 현상에서 중요하다고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대표적인 예를 우리 신체의 조직이 외부의 물리적 충격이나 내부의 지속적인 염증 등의 원인으로 손상을 입게 되면 이를 자체적으로 치유하고자 하는 기전인 상처 치유 과정(Wound healing process)에서 볼 수 있다. 조직의 손상 후 대식세포나 호중성 백혈구, 호산백혈구, 비만세포 등의 염증성 면역세포가 손상 부위로 빠르게 침투 하면서 활성화되며 여러 사이토카인을 분비하게 되고 이것들은 주위의 섬유아세포나 상피세포, 평활근세포를 다시 활성화 시켜 이들을 미요브라스트형의 세포로 활성화시키는데 이 미요브라스트 형의 세포는 다량의 세포외 기질 단백질을 생산 분비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조직에 세포외 기질 단백질의 다량 축적을 초래하여 상처를 남기며 또한 조직의 섬유화나 비대화를 유도하게 된다 (Gurtner GC et al., Trends Cell Biol. 15 : 599-607, 2005). 이 병리 기전은 창상, 화상, 욕창등에 의한 피부 상처시 발생되는 피부 조직 내의 상흔 형성이나 간, 신장, 혈관, 폐등의 조직의 경화성 섬유화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중 하나이다. 아울러 아토피 질환, 천식질환, COPD, 건선증, 켈로이드, 증식성 망막증등 에서도 염증성 면역세포의 활성화와 더불어 염증 부위의 활성화된 섬유아세포나 상피세포, 평활근세포 등의 협력적 역할이 이들 질환의 병리 현상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아토피성 피부염은 알러지성 피부 염증반응으로서 주로 제2형 helper T cell pathway의 과도한 작용으로 나타난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경우 혈중의 IgE 양이 증가하고 IL-4, IL-13 등의 사이토카인 양이 증가하고 피부 표피의 수분을 함유하는 정도가 떨어지고 염증부위에 과도한 비만세포가 모이고 이들 비만세포의 탈과립화에 의한 여러 염증 매개 면역 조절제가 과도하게 분비된다. 흥미롭게도 아토피성 피부염의 경우 피부에 콜라겐 축적이 일어남이 확인되었다. 또다른 피부 염증성 질환인 건선증이나 켈로이드 등에서 염증세포의 침윤과 활성화와 더불어 케라티노 사이트 등의 세포의 활성화가 같이 기여하고 피부에 섬유화된 조직의 축적이 진행된다.
천식은 아토피성 피부염과 마찬가지로 알러지성 염증 반응으로 기도에서 발생한다. 최근 천식이나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등 기도의 염증 질환에서 염증세포와 더불어 기도의 섬유아세포나 상피세포나 평활근 세포의 활성화에 의한 기여가 중요함이 제시되고 있다.
동맥경화나 간경화, 신장 경화, 또한 증식성 망막증 등에서도 대식세포 등 염증성 면역세포의 활성화와 더불어 평활근세포, 간성상세포, 신장 섬유아세포, 메산지알세포, 안구섬유아세포 등의 활성화가 각각 같이 관찰되며 이들이 이들 염증성 질환의 병리에 관여한다.
염증성 면역세포의 활성화시 일반적으로 염증 세포의 이동성 증가와 더불어 여러 면역 매개 화학 물질이나 사이토카인의 생성 및 분비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식세포의 활성화시 케모카인의 유도에 의한 조직 침투성이 증가하고 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발현과 NO (nitric oxide) 생성이 증가한다. 동시에 TNF-알파 등의 사이토카인의 생성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섬유아세포나 상피세포 또는 평활근세포등이 미요브라스트 형태의 세포로의 활성화시 큰 특징 중의 하나는 알파 스무쓰 머슬 액틴 (alpha smooth muscle actin)의 발현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또한 세포 내의 FAK나 Akt1의 카이네이즈 활성이 증가하는데 이것은 이들 세포가 증가된 증식능력과 이동성을 가지는데 직접적으로 기여한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 난치성 염증 질환에서 염증성 면역세포의 활성화에 이어서 주위의 섬유아세포나 상피 세포, 평활근 세포 등의 활성화가 활성화된 염증성 면역세포와 서로 시너지 효과를 가지고 발생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활성화된 면역세포의 활성 억제와 더불어 섬유아세포나 상피세포, 평활근세포 등이 활성화된 미요브라스트 형태 세포의 활성을 동시에 강력히 억제하는 화합물의 개발을 통하여 난치성 염증성 질환 및 면역질환을 예방 및 치료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염증성 면역세포와 섬유아세포, 상피 세포, 평활근 세포 등의 활성화 신호전달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단백질 카이네이즈들의 활성을 강력하게 저해하는 저분자 화합물을 발명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세포내 카이네이즈 중 특히 c-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가 주로 여러 염증성 면역세포의 활성화 신호전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패밀리는 조직에서 섬유아세포나 상피세포, 또는 평활근세포등이 활성화되어 증식성 증가와 세포외기질 (ECM)을 생산, 분비하는데 중요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c-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와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패밀리의 활성을 동시에 저해하는 저분자 화합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단백질 카이네이즈는 특정 기질 단백질에 존재하는 특정 타이로신이나 세린, 쓰레오닌 아미노산 기의 하이드록시 그룹에 ATP의 감마 위치의 인산기를 전달하여 기질 단백질에 인산화 타이로신, 혹은 인산화 세린, 혹은 인산화 트레오닌을 생성 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 단백질들을 말하며 이 때 특정 타이로신기에 대해 인산기를 전달시켜 인산화된 타이로신을 만들어내는 효소는 특히 타이로신 단백질 카이네이즈라 부른다. 고등 동물의 세포에는 500종 이상의 다양한 단백질 카이네이즈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는 세포가 내부 혹은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세포 내에 신호를 전달 할 때 그 경로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며 세포의 항상성 유지를 위해서 이들의 잘 조절된 정상적인 활동이 반드시 필요하다. 반면에 이들 활성의 과다한 증가나 감소는 많은 경우 암, 면역질환 등 다양한 질환을 유발하는 직접 혹은 간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특정 단백질 카이네이즈의 정상을 벗어난 과다한 활성은 암 세포나 면역 관련 세포의 비 이상적인 과잉 성장, 이동성 증가 및 전이, 과도한 사이토카인 생성등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증명되었다.
염증성 면역세포의 활성화 신호 전달에 관여하여 염증반응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여러 단백질 타이로신 카이네이즈가 알려져 왔다. 이중 가장 많이 연구된 카이네이즈 단백질 중의 하나로 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를 들 수 있다.
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는 c-Src를 위시하여 Fgr, Fyn, Yes, Blk, Hck, Lck, Lyn등 총 8개의 비수용체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단백질들로 구성 되어 있으며 생체 내에서의 다양한 역할이 알려져 있지만 특히 면역반응에 관계된 세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이 확인되어 있다 (Okutani et al., Am. J. Physiol. Lung Cell MoI. Physiol. 291: 129-141, 2006). 이중에 특히 Hck, Fgr, and Lyn은 대식세포나 neutrophil등 염증 세포의 염증 부위에서의 활성화와 흡착에 중요하다. Lck는 T-세포에서만 그 발현이 되는데 T-세포 신호전달경로에서 T-세포 수용체 바로 다음 단계에서 활성화되는 신호전달 물질로서 이것의 활성은 이 신호전달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Hck, Lyn, Fgr의 경우는 단핵세포나 대식세포가 예를 들어 LPS (lipo-poly-saccharide)로 활성화되면 그 발현이 증가한다. 또한 예를 들어 Lyn, Fyn, Bik의 발현이 방해되게 되면 B-세포의 분화과정에서 비성숙한 B-세포가 성숙한 B-세포로 분화되는 것이 억제된다. Src 패밀리 카이네이즈는 또한 단핵세포, 대식세포, 호중구 세포 등이 염증 부위에 모이게 되고 활성화되는데 뿐만 아니라 또한 염증 부위의 조직에 있는 여러 세포들이 면역반응에 참여하는데 필수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상당한 수의 자가면역이나 면역성 질환은 T-세포나 B-세포 그리고 또한 단핵세포나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세포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다. 또 다른 비수용체형 타이로신 카이네이즈들도 염증 세포들의 활성화에 중요하다. Syk1 카이네이즈는 B 세포, 비만세포, 대식세포, 단구세포등의 활성화에 중요하다. 또한 Btk1은 대식세포, 비만세포, 혈소판의 활성화에 중요하게 관여한다. 따라서 이들 c-Src 패밀리, Syk1, Btk1등 3가지 비수용체형 타이로신 카이네이즈는 염증 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약물 개발의 주요 표적으로 간주 되고 있다.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 (DDR)는 수용체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패밀리에 속하며 1형과 2형 두가지가 있다. 이들 두형은 카이네이즈 도메인이 89% 동등성을 보여 매우 유사한 단백질이다. 이 수용체는 콜라겐을 그 활성 리간드로 가지고 있다. DDR2 는 섬유아세포의 활성화시에 세포의 이동, 증식, 콜라겐 분비 증가등 활성화에 중요하며 간조직에서 간경화에서 콜라겐을 대량으로 생산하여 분비하는 세포인 간성상세포의 활성화와 관절염에서 관절 내 섬유아세포의 활성화, 협심증이나 동맥경화증 질환시 혈관조직에서 콜라겐을 생산하는 세포인 평활근 세포의 증식등에 중요하다. DDR1 역시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에 중요하고 신장이나 폐에 있는 섬유아세포의 지나친 활성화에 의한 조직 섬유화와 관계가 있으며 또한 동맥경화나 신장경화, 폐경화의 염증 현상에서 대식세포가 염증 부위에 모이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자들은 c-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와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패밀리의 활성을 동시에 저해하는 저분자 화합물로서, 싸이에노 피리미딘 혹은 싸이에노 피리딘을 모핵으로 하고 모핵 주위에 특징적인 치환기를 가지는 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또한, 이들 화합물이 면역세포의 활성화 신호전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활성을 저해함과 동시에, 섬유아세포, 평활근세포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활성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들 화합물이 다양한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치료 및 상처 치유 촉진, 상흔형성 억제에 유용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c-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와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패밀리의 활성을 동시에 저해하는 신규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면역질환 또는 상처치유반응에서의 조직섬유화 및 상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 또는 면역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흔 형성 억제 또는 상처 치유 촉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들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 이들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염증질환 및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 또는 상처 치유 촉진 및 상흔 형성 억제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96549112-pct00131
상기 X1 은 N 또는 CH이고;
상기 R1은 -OH, 또는 -OCH3 이고;
상기 Y는 R2로 치환된 C6 - 10아릴, 또는 R2로 치환된 C5 - 10헤테로아릴 또는 N-메틸피페라지닐이고;
상기 R2는 -(CH2)n-R3, -(CH2)n-C(O)-R3, 또는 -O(CH2)n-R3이고;
상기 R3는 -H, -CN, 할로겐, C1 - 3알킬, C1 - 3알콕시, 페닐, 피리디닐, 아미노, C1-3알킬아미노, 디C1 - 3알킬아미노, 하이드록시C1 - 3알킬아미노, 카르복시C1 - 3알킬아미노, C3 - 6사이클로알킬C1 - 3알킬아미노, 피롤리디닐, 하이드록시피롤리디닐, 하이드록시C1-3알킬피롤리디닐, 카르복시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C1 - 3알킬피페리디닐, 디C1 - 3알킬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C1 - 3알킬피페라지닐, C1 - 4알콕시카르보닐피페라지닐, 또는 모르포닐린이고; 및
상기 n은 0 내지 3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3는 -H, -CN, 할로겐, C1 - 3알킬, C1 - 3알콕시, 페닐, 피리디닐, 아미노, 에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모르포닐린 또는 하기 구조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다.
Figure 112012096549112-pct00132
본 발명의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c-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및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를 동시에 저해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양한 염증성 질환과 면역 질환, 특히 섬유화 조직이나 상처의 축적이 동반되는 염증성 질환과 피부 상처에 대한 치유 촉진 및 상흔 형성 억제를 위한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NO 생성 및 면역 사이토카인의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iNOS 생성 및 COX-2의 생성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활성화된 대식세포의 이동성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IgE로 활성화된 비만세포에서의 탈과립화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IgE로 활성화된 비만세포에서의 TNF-alpha 및 IL-4의 생성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아토피성 피부염증 유발 동물 모델에서 유발부위의 수분손실량(TEWL) 감소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아토피성 피부염증 유발 동물 모델에서 혈청내의 IgE 양의 증가 억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아토피성 피부염증 유발 동물 모델에서 유발 부위의 표피 두께의 증가 억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아토피성 피부염증 유발 동물 모델에서 유발 부위의 비만세포의 증가 억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피부 상처 치유 동물 모델에서 피부상처 치유 촉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피부 상처 치유 동물 모델에서 상처가 아문 후(wound closing) 나타난 상흔 증가 지수(SEI)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피부 상처 치유 동물 모델에서 대식세포와 미요브라스트 세포의 활성화 억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천식동물 모델에서 기도저항성 (AHR) 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천식동물 모델에서 기도내 활성산소(ROS) 생성을 억제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천식동물 모델에서 폐조직내 호산백혈구 염증세포수및 에오텍신 염증 매개 물질의 양의 억제 효능을 보여준 그래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천식동물 모델에서 폐조직내 뮤신단백질의 축적 억제 효능을 보여준 것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용어의 정의를 한다.
용어 "Src"는 여러 다양한 세포에서 발현되고 대식세포에서 발현이 유도되는 Src 단백질 타이로신 카이네이즈를 의미한다. Src 는 염증관련 유전자 예를 들어 LPS 를 대식세포에 처리시 활성화되는 TNF-alpha 등의 발현을 유도하는 신호전달에 관여한다.
용어 "Yes"는 다양한 종류의 세포에서 발현되는 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에 속한 타이로신 카이네이즈를 의미한다. Yes 는 면역이나 염증세포에서 사이토카인의 신호전달 경로에 관여한다.
용어 "Fyn"은 예를 들어 T-cells, B-cells, NK cells, 비만세포에서 발현되는 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를 의미한다. 이것은 T-세포 수용체나 세포부착과 연관된 신호전달 체계에 관여하며 마스트 세포의 탈과립화와 사이토카인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용어 "lck" 는 예를 들어 T-세포 그리고 NK 세포에서 발현되는 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를 의미하며 이것은 T-세포 활성화와 분화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용어 "Lyn" 은 T-세포, B-세포, NK 세포, 호중구, 호산구, 대식세포, 단핵구, 비만세포 그리고 수지상세포와 같은 조혈세포에서 널리 발현되는 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중의 하나를 의미하며 이것은 B-세포 반응을 조절한다.
용어 "Hck"는 예를 들어 호중구, 호산구, 대식세포, 단핵구, 수지상 세포에서 발현되는 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중의 하나를 의미하며 이들 세포에서 세포 성장과 분화 이동에 관여하는 여러 세포 신호전달을 중개하는 역할을 한다.
용어 "Fgr" 은 예를 들어 호중구, 호산구, 대식세포, 단핵구, 수지상 세포에서 발현되는 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중의 하나를 의미하며 이들 세포에서 B-세포 수용체, FcR, 그리고 인테그린 패밀리의 신호전달 단계에 관여한다.
용어 "Syk1" 은 T-세포, B-세포, 비만세포, 단핵구, 대식세포 등에서 널리 발현되고 또한 섬유모세포, 상피세포, 간세포, 신경세포, 혈관내피세포 등에서도 발현되는 Syk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중의 하나를 의미한다. 이것은 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신호전달 체계의 하부에서 작용하여 FcεR 수용체의 신호 전달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것이 주로 면역반응 신호전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여 따라서 여러 염증성 질환의 주요 표적으로 간주된다.
용어 "Btk1" 은 B-세포, 비만세포, 대식세포 등 여러 조혈세포에서 널리 발현되는 Te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의 일종이다. 이것은 B-세포의 성숙과 분화에 중요함이 잘 알려져 있으며 동시에 비만세포, 대식세포, 혈소판, 파골세포의 활성화 신호전달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용어 "VEGFR2"는 VEGFR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의 일종으로서 VEGF-A의 주요 수용체이다. 이 수용체는 내피세포들이 그 전구세포인 중배엽 세포들에서 분화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하며 따라서 혈관재생에서 중요한 신호전달을 담당 한다. 당뇨성 망막증이나 류마티즘 등의 질환에서 염증 현상이 관찰됨과 아울러 무분별한 혈관재생이 또한 이들 질환의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 알려진 것으로 미루어 이 표적의 저해는 과도한 혈관재생이 문제가 되는 암 등의 질환과 더불어 염증성 질환 치료에도 중요하다.
용어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 (DDR) 타이로신 카이네이즈"는 수용체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의 일종으로서 DDR1과 DDR2 형이 있다. 이들은 콜라겐 단백질이 리간드이며 이들과 결합시 활성화되어 자가인산화가 일어난다. DDR1은 그 활성화가 대식세포의 분화에 중요하고 상피세포나 평활근 세포들의 활성화와 관여가 있다. DDR2는 섬유아세포, 간성상세포, 연골세포, 평활근세포등의 활성화와 관여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및 면역질환 억제 또는 상처 치유 촉진 및 상흔 형성 억제를 위한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96549112-pct00133
상기 X1 은 N 또는 CH이고;
상기 R1은 -OH, 또는 -OCH3 이고;
상기 Y는 R2로 치환된 C6 - 10아릴, 또는 R2로 치환된 C5 - 10헤테로아릴 또는 N-메틸피페라지닐이고;
상기 R2는 -(CH2)n-R3, -(CH2)n-C(O)-R3, 또는 -O(CH2)n-R3이고;
상기 R3는 -H, -CN, 할로겐, C1 - 3알킬, C1 - 3알콕시, 페닐, 피리디닐, 아미노, C1-3알킬아미노, 디C1 - 3알킬아미노, 하이드록시C1 - 3알킬아미노, 카르복시C1 - 3알킬아미노, C3 - 6사이클로알킬C1 - 3알킬아미노, 피롤리디닐, 하이드록시피롤리디닐, 하이드록시C1-3알킬피롤리디닐, 카르복시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C1 - 3알킬피페리디닐, 디C1 - 3알킬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C1 - 3알킬피페라지닐, C1 - 4알콕시카르보닐피페라지닐, 또는 모르포닐린이고; 및
상기 n은 0 내지 3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3는 -H, -CN, 할로겐, C1 - 3알킬, C1 - 3알콕시, 페닐, 피리디닐, 아미노, 에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모르포닐린 또는 하기 구조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다.
Figure 112012096549112-pct00134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무독성산부가염을 형성하는 산,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라이클로로아세트산,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등과 같은 유기카본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또는 나프탈렌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염산 또는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형성할 수 있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대표적인 화합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괄호 안의 명칭은 코드네임으로서 본 발명에서 화합물의 구분을 위하여 사용한다:
3-(6-(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08),
4-(4-(3-메톡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조나이트릴 (LCB 03-0009),
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조나이트릴 (LCB 03-0013),
3-(6-브로모-싸이에노[3,2-d]피리미딘-4-닐아미노)-페놀 (LCB 03-0015),
4-(4-(3-메톡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페놀 (LCB 03-0016),
3-[6-(4-메톡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닐아미노]-페놀 (LCB 03-0017),
N-(3-메톡시페닐)-6-(4-(2-모폴리노에톡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LCB 03-0018),
3-(6-(4-클로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19),
3-(6-(4-(2-모폴리노에톡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20),
N-(3-메톡시페닐)-6-(4-페네톡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LCB 03-0021),
N-(3-메톡시페닐)-6-(4-(2-(피리딘-2-일)에톡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LCB 03-0022),
(6-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3-메톡시페놀)-아민 (LCB 03-0023),
(6-퓨란-3-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3-메톡시페놀)-아민 (LCB 03-0024),
N-(3-메톡시페닐)-6-(4-(2-(피롤리딘-1-일)에톡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LCB 03-0026),
N-(3-메톡시페닐)-6-(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LCB 03-0027),
(3-메톡시페닐)-(6-싸이오펜-3-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민 (LCB 03-0028),
N-(3-메톡시페닐)-6-(4-(2-(피페라진-1-일)에톡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LCB 03-0029),
(3-메톡시페닐)-(6-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민 (LCB 03-0030),
3-(6-싸이오펜-3-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31),
3-((6-(4-(모폴리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32),
3-((6-(4-(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33),
3-(6-(4-(피롤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34),
3-((6-(4-(피페리딘-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35),
3-((6-(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36),
3-((6-(4-((다이에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37),
3-(6-(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38),
3-(6-(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39),
3-(6-(4-((사이클로프로필메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40),
3-((6-(4-((아이소부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41),
3-((6-(4-((에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42),
3-((6-(4-(2-(피롤리딘-1-일)에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43),
3-((6-(4-(2-(피페리딘-1-일)에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44),
3-((6-(4-(2-(4-메틸피페라진-1-일)에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45),
3-(6-(4-(2-모폴리노에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46),
2-(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페닐)-1-(4-메틸피페라진-1-일)에타논 (LCB 03-0047),
2-(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페닐)-1-(피롤리딘-1-일)에타논 (LCB 03-0049),
N,N-다이에틸-2-(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페닐)아세트아마이드 (LCB 03-0050),
3-(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조산 (LCB 03-0051)
(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페닐)(4-메틸피페라진-1-일)메타논 (LCB 03-0052),
(3-(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페닐(피롤리딘-1-일)메타논 (LCB 03-0053),
N,N-다이에틸-3-(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즈아마이드 (LCB 03-0054),
(3-(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페닐(4-메틸피페라진-1-일)메타논 (LCB 03-0055),
메틸 1-(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질)피롤리딘-2-카복실레이트 (LCB 03-0056),
3-(6-(4-((2-(하이드록시메틸)피롤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57),
3-(6-(4-((4-메틸피페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58),
3-(6-(4-(((2R,6S)-2,6-다이메틸피페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59),
3-(6-(3-(피페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60),
3-(6-(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61),
3-(6-(3-(피롤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62),
3-(6-(3-((다이에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63),
3-(6-(3-(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64),
3-(6-(3-((에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65),
3-(6-(3-(모폴리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66),
3-(6-(3-((아이소부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67),
1-(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질)피롤리딘-2-카복사마이드 염산염 (LCB 03-0068)
1-(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질)피롤리딘-2-카복실산 염산염(LCB 03-0069)
3-(6-(4-((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70),
메틸 2-(3-(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 (LCB 03-0071)
1-(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질)피롤리딘-3-올 염산염 (LCB 03-0072)
3-(6-(4-(에톡시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73),
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N-(1-하이드록시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LCB 03-0074),
2-(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즈아미도)프로판산 (LCB 03-0075)
3-(6-(3-(2-(피롤리딘-1-일)에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76),
3-(6-(3-(2-(피페라진-1-일)에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79),
3-(2-(4-(피롤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LCB 03-0080),
3-(6-(4-모폴리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82),
3-(2-(4-(모폴리노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LCB 03-0083),
3-(2-(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LCB 03-0084),
3-(6-(5-(피롤리딘-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85),
3-(6-(5-(피롤리딘-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86),
3-(6-(5-((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87),
3-(6-(5-(피페리딘-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88),
3-(6-(5-(모폴리노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89),
3-(6-(5-(피페라진-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90),
3-(6-(5-((에틸아미노)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91),
3-(6-(5-((4-메틸피페라진-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92),
3-(6-(5-(피페리딘-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93),
3-(6-(5-(피페라진-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94),
3-(6-(5-((에틸아미노)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095),
3-(2-(4-(피페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LCB 03-0097),
3-(2-(4-(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LCB 03-0098),
3-(2-(4-((에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LCB 03-0099),
3-(2-(4-메틸피페라진-1-일)싸이아졸로[4,5-d]피리미딘-7-일아미노)페놀 (LCB 03-0100),
3-(6-(4-(피롤리딘-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101),
3-(6-(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102),
3-(6-(4-(피페리딘-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103),
3-(6-(4-(모폴리노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LCB 03-0104)
3-(6-(4-(피페라진-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LCB 03-0105)
3-(6-(4-((에틸아미노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106),
3-(2-(3-(피롤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LCB 03-0107),
3-(2-(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LCB 03-0108),
3-(2-(3-(피페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LCB 03-0109),
3-(2-(3-(모폴리노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LCB 03-0110),
3-(2-(3-(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LCB 03-0111),
3-(2-(3-((에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LCB 03-0112), 및
3-(6-(4-(피롤리딘-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113).
3-(6-(4-((4-메틸피페라진-1-일)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LCB 03-0114) 및
3-(6-(4-(피페리딘-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LCB 03-0115)
바람직한 양태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LCB 03-0110으로 표시한 3-(2-(3-(모폴리노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염증질환 및 면역질환에 관여하는 면역세포 및 상처치유반응에서 활성화되는 섬유아세포의 활성화를 저해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이 화합물들이 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및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 타이로신 카이네이즈를 동시에 저해하며 더 나아가 부가적으로 Syk1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Btk1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EPHA3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FLT3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및 VEGFR2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에 대한 강력한 저해제임을 확인하였다.
Syk1, Btk1, VEGFR2, EPHA3, FLT3 등의 카이네이즈는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면역세포의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카이네이즈로서 이를 저해하는 화합물은 중요한 항염증 화합물로서 제안되었다. 이로 미루어, 본 발명에서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은 c-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저해와 더불어 여러 염증반응에 중요한 카이네이즈 표적들을 저해하여 대식세포 등의 염증 세포의 NO 및 TNF-알파 생성등의 활성을 억제하고, 동시에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섬유아세포, 상피세포, 또는 평활근세포가 미요브라스트형태의 세포로 변하여 알파 스무쓰 머슬 액틴 단백질 생성 증가 및 이동성 증가 등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활성을 가짐으로써, 다양한 염증성 질환 특히 섬유화된 조직이나 상처의 축적이 동반되는 염증성 질환과 피부 상처에 대한 치유 촉진 및 상흔 형성 억제를 위한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Oxazolone 처리에 의한 생쥐 피부 염증 모델에서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화학식 I 로 표시된 화합물 중 대표적인 화합물인 LCB 03-0110 을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처리시 iNOS 단백질, NO 및 TNF-알파 면역사이토카인 생성을 저해하고, 대식세포의 염증 부위로의 이동성을 저해하며, 비만세포에서 TNF-알파 및 IL-4 의 생성을 억제 및 탈과립화를 저해하였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생쥐 모델에서의 아토피 피부염을 억제하는 약리 효과, 피부상처유발 모델에서 상처치유 촉진 및 상흔형성 억제 효과, 오브알부민으로 유도된 생쥐 천식 모델에서 천식 억제 효과가 검증되었다. 따라서 제시된 화합물은 다양한 염증성 질환 특히 섬유화 조직이나 상처의 축적이 동반되는 염증성 질환과 피부 상처에 대한 치유 촉진 및 상흔 형성 억제를 위한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싸이에노 피리딘의 모핵을 가지지만 본 발명 화학식 1 의 정의에는 포함되지 않는 다른 유사 화합물들과 비교했을 때에도(본 발명 실시예의 비교 화합물 1 내지 3), 염증질환 및 면역질환에 관여하는 대식세포의 활성화 억제 및 상처치유반응에서 활성화되는 섬유아세포의 활성화를 저해하는데 더욱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나아가 동물 피부 염증 모델에 대한 실험에서도 더욱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이 가지는 우수한 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화합물들은 이전에 실제로 합성된 적이 없는 신규한 화합물이다.
2)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화합물들은 대식세포 등의 염증 세포의 활성화나 섬유아세포, 상피 세포 또는 평활근세포의 미요브라스트형의 세포로의 활성화를 동시에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접촉성 및 아토피성 피부염(contact and atopic dermatitis),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건선증, 증식성 망막증 등의 등의 다양한 염증성 질환이나 면역질환의 치료목적, 및 피부상처 치유 촉진 및 상흔 형성 억제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염증 세포 활성화와 섬유아세포, 상피세포 또는 평활근세포의 활성화에 중요하기 관여하는 c-Src 카이네이즈 및 그 패밀리 카이네이즈와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 패밀리 카이네이즈 활성을 동시에 저해함을 직접적으로 규명하였다.
3)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화합물들은, 싸이에노 피리딘의 모핵을 가지지만 본 발명 화학식 1의 정의에는 포함되지 않는 3종의 유사 화합물들과 함께 src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패밀리 억제능과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저해능을 측정하고 또한 대식세포 활성화시나 섬유아세포 활성화시 나타나는 바이오마커의 억제 능력 측정 후 본 발명의 화합물들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에서 정의된 화합물들이 그 구조가 유사한 비교 화합물들에 비해 더욱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4)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화합물들은 oxazolone 으로 유도한 피부 염증 모델에서 우수한 억제 효과를 보여 주었는데 특히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중 하나인 LCB 03-0110을 이용한 질환 동물 모델 실시예 실험에서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 및 천식 억제, 그리고 상흔 형성 억제 효능을 보여 주었다.
5)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화합물들은, 싸이에노 피리딘의 모핵을 가지지만 본 발명 화학식 1의 정의에는 포함되지 않는 3종의 유사 화합물들과 함께 oxazolone 으로 유도한 피부 염증 모델에서 염증 현상 억제능을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그 구조가 유사한 비교 화합물들에 비해 우수한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대상에게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 내 염증성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대상에게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 내 면역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대상에게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 내 상처치유반응에서 치유촉진 및 상흔 생성 억제를 위한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염증질환은 급성 염증 질환, 만성 염증 질환 또는 비감염성 안구 질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급성 염증 질환은 급성 폐손상,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알레르기, 과민증, 패혈증, 천식 및 이식편대숙주병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만성염증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건선증, 크론씨병, 궤양성 대장염, 류마티즘, 골관절염, 통풍, 건선성 관절염, 간경변, 만성폐쇄성 폐질환, 비염,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신부전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및 다발성 경화증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비감염성 안구 질환은 알레르기성 결막염, 포도막 염, 홍채염, 각막염, 공막염, 상공막염, 안염, 눈꺼풀염 및 건조 각막 결막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면역질환은 자가 면역 위염, 애디슨 병, 자가 면역 용혈 빈혈, 자가 면역성 갑상샘염, 만성 특발 두드러기, 만성 면역 다발 콩팥병증, 중증 근육 무력, 심상성 천포창, 악성 빈혈,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전신 홍반 루프스, 갑상샘 눈병 및 장기 이식 거부 반응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상처 질환은 창상, 화상, 욕창, 당뇨성 족부 궤양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비경구, 직장, 경피, 안구, 비강, 혈관 주사제, 근육주사제, 국소 투여, 플라스터 또는 패취 형태등의 투여 형태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약제 조성들은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th ed., 2000등에 잘 밝혀진 것과 같은 약제 기술 등을 이용한 잘 알려진 방법으로 편리하게 제조 될 수 있다.
모든 방법들은 활성 구성 성분을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진 캐리어와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약제 조성은 일정하게 잘 섞이게끔 하여 활성 구성 성분들을 액체 캐리어 또는 잘게 부순 고체 캐리어 각각 혹은 둘 모두와 혼합되어 제조되고 또 필요하면 그 산물을 바람직한 형태로 만들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향낭, 과립제, 로젠지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오일(예: 목화씨 오일, 참깨오일, 코코넛오일 또는 피넛오일 같은 식용오일), 현택제(예: 트래거캔스, 알지네이트, 아카시아, 덱스트란, 카복시메틸셀루로오즈나트륨, 젤라틴, 메틸셀루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루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루로오즈, 카보머, 폴리비닐피롤리돈 같은 합성 또는 천연 검)를 함유한다.
정제 제형으로는 유효성분을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보조성분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압력을 가하거나 몰딩하여 만들 수 있다. 압력을 가해서 만드는 정제는 분말 또는 과립 같은 자유-유동 형태의 유효성분을 이외에 결합제(예: 락토즈, 글루코즈, 전분, 젤라틴, 아카시아 검, 트래거캔스 검, 알지네이트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루로오즈, 메틸셀루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루로오즈, 폴리에틸렌글리콘, 왁스), 윤활제(예: 올레인산염, 스테아린산염,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벤조산염, 아세트산염, 염화나트륨) 붕해제(예: 전분, 메틸셀루로오즈, 한천, 벤토나이트, 크로스카멜로오즈나트륨, 전분 클리콜산나트륨, 크로스포비돈), 분산제(폴리솔베이트 80)와 혼합한 뒤 압력을 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몰딩된 정제는 분말화 된 유효성분과 적당한 비활성 용매를 섞은 후 몰딩 기기를 이용하여 몰딩함으로써 만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혈관 주사제, 경피투여, 국소투여, 직장투여, 근육주사, 플라스터 또는 패취 형태로 가능하다.
특히, 안구를 통한 투여 조성은 활성성분을 멸균된 수용액에 녹이거나 예를 들어 미세결정의 수용액 현탁액형태로 만들어 투여가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Encyclopedia of Pharmaceutical Technology, vol.2, 1989에 나타난 바와 같은 리포좀을 이용한 조성이나 생분해성 폴리머를 이용하는 조성도 안구 투여를 위해 사용되어 질 수 있다.
국소 혹은 안구 투여에 적당한 조성으로서 액체상 혹은 도포제, 로션, 젤이나 크림, 연고 또는 반죽 같은 에멀젼 형태의 준 액상, 혹은 드롭 형태의 용액이나 현탁액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코나 구강 흡수를 통한 투여를 위한 약제 조성은 파우더나 자가추진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이나 분무형태와 같은 형태로의 조성으로 만들어 가능하다. 이러한 조성의 제조에 관한 방법은 Modern Pharmaceutics, 2<nd> ed., G. S. Banker and CT. Rhodes (Eds.), page 427-432, Marcel Dekker, New York; Modern Pharmaceutics, 3th ed., G. S. Banker and CT. Rhodes (Eds.), page 618-619 and 718-721, Marcel Dekker, New York and Encyclopedia of Pharmaceutical Technology vol. 10, J Swarbrick and J. C. Boylan (Eds), page 191-221, Marcel Dekker, New York 의 문헌에 나와 있는 일반적인 방법을 따를 수 있다.
앞에 언급된 요소에 추가하여 화학식 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은 희석제, 완충용액, 방향제, 발색제, 계면활성제, 침강제, 메틸 하이드록시벤조산 같은 방부제, 에멀젼화제나 그 유사물질 같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 할 수 있고, 활성 성분이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무독성의 산이나 염기를 이용하여 염의 형태로 투여되는 경우, 바람직한 염은 특정경우에 부합되는 흡수도를 달성하도록 예를 들어 쉽게 물에 녹을 수 있거나 약하게 녹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몸무게가 70 kg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1 ~ 500 mg/kg 체중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면 하기 반응식 1과 같다. 다만, 하기의 제조방법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기의 제조방법의 변형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며, 달리 언급이 없는 한 하기 반응식의 치환체의 정의는 상기 화학식 1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싸이에노피리미디논, 싸이에노피리디논 또는 싸이아졸로피리미디논의 골격을 가지는 (I)의 화합물을 클로리네이션하여 7-클로로싸이에노피리미딘 또는 싸이에노피리딘 유도체 (II)를 합성하고, 브로미네이션하여 2-브로로-7-클로로싸이에노피리미딘 또는 싸이에토피리딘 유도체(III)을 합성한 다음, 아닐린 유도체 (IV)와 치환반응을 통해 (V)의 화합물을 합성 할 수 있다. 화합물 (V)는 스즈키 커플링(Suzuki coupling)을 통하여 각각의 화학식 1-1, 1-2, 1-3의 싸이에노피리미딘, 싸이에노피리딘 및 싸이아졸로피리미딘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12096549112-pct00135
상기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화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반응식을 도식화하면 하기 반응식 2와 같다. 하기 반응식 2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출발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하기 제조방법의 변형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며, 달리 언급이 없는 한 하기 반응식의 치환체의 정의는 상기 화학식 1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반응식 2]
Figure 112012096549112-pct00136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제조예 및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화합물의 제조예를 다음에서 기술 하였다.
[ 제조예 1]
Figure 112012096549112-pct00137
[제조예 1-1]
1-(4-(메톡시벤질옥시)-3-나이트로벤젠 (1-(4-methoxybenzyloxy)-3-nitrobenzene)의 제조
0 ℃ 에서 10 ml 탈기체화된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에 소디움하이드라이드 (0.54g, 13.36 mmol)을 넣고 3-나이트로페놀 (1.69 g, 12.14 mmol)을 7 ml의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에 녹여서 천천히 적가한 뒤, 파라-메톡시벤질클로라이드 (1.81 ml, 13.36 mmol)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온도를 실온으로 올려서 2시간 교반 후 포화된 염화암모늄 100ml와 에틸아세테이트 100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물 100 ml로 2회 반복하여 씻어준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뒤 감압농축하여 생긴 고체는 n-헥세인을 이용, 고체화하여 1-(4-methoxybenzyloxy)-3-nitrobenzene (2.85 g, 90 %)을 옅은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NMR (600 MHz, CDCl3); δ 7.83-7.81 (m, 2H), 7.42 (t, J = 8.4 Hz, 1H), 7.37 (d, J = 8.4 Hz, 2H), 7.28 (dd, J, 2.4, 8.4 Hz, 1H), 6.93 (d, J= 8.4 Hz, 2H), 5.06 (s, 2H), 3.82 (s, 3H)
[제조예 1-2]
3-(4-메톡시벤질옥시)아닐린 (3-(4-methoxybenzyloxy)aniline)의 제조
철 (5.6g, 100.28 mmol)을 메탄올 : 물 (15 ml : 3 ml)와 혼합 후 30분간 환류 교반하였다. 온도를 실온으로 낮춘 후 6ml의 메탄올 : 물 (5:1)에 녹인 1-(4-methoxybenzyloxy)-3-nitrobenzene (1.3 g, 5.01 mmol)을 첨가하고 15시간 환규교반하였다. 셀라이트를 이용하여 철을 제거하고 메탄올을 사용하여 씻어준 후 감압농축하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포화된 염화암모늄 100 ml에 다이클로로메테인 150 ml 를 넣고 추출한 뒤 유기층을 물로 다시 씻어주었다. 유기용매는 감압농축하고 표제 화합물 (1.14 g, 99 %)을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34 (d, J=7.2 Hz, 1H), 7.25 (s, 1H), 7.05-7.04 (m, 1H), 6.91-6.90 (m, 2H), 6.40-6.31 (m, 3H), 4.94 (s, 2H), 3.81 (s, 3H)
[ 제조예 2]
3-( 터트 - 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 )아닐린 3-( tert -butyldimethylsilyloxy)anil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38
다이클로로메테인 200 ml에 3-아미노페놀 (6.64 g, 60.81 mmol), 아미다졸 (5.38 g, 79.10 mmol)을 넣고 클로로 터트-부틸다이메틸실란 (11 g, 72.98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된 염화암모늄 200 ml와 다이클로로메테인 200 ml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유기층은 다시 물 200 ml를 2회 반복하여 씻어주었다. 감압농축하여 표제화합물 (13.5 g, 99 %)을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6.95 (t, J = 8.0 Hz, 1H), 6.27-6.18 (m, 2H), 6.16-6.15 (m, 1H), 3.56 (brs, 2H), 0.90 (s, 9H), 0.11 (s, 6H); LC-MS 224 (MH+)
[ 제조예 3]
Figure 112012096549112-pct00139
[제조예 3-1]
메틸 3-포름아미도사이오펜-2-카르복실레이트 (methyl 3-formamidothiophene-2-carboxylate)의 제조
메틸 3-아미노-2-사이오펜 카르복실레이트 (25 g, 159.04 mmol)에 포름산 125 ml와 암모늄 아세테이트 (15.9 g, 207 mmol)을 넣고 4시간 동안 환류교반한 뒤, 실온으로 온도를 내리고 이때 생성된 고체를 필터하여 물로 씻어주어 표제화합물 (29 g, 98%)을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10.10 (br, 1H), 8.42 (s, 1H), 8.10 (d, J =5.6Hz, 1H), 7.49 (d, J =5.2Hz, 1H), 3.90 (s, 3H); LC-MS 186.20 (MH+)
[제조예 3-2]
3H-싸이에노[3,2-d]피리미딘-4-온 (3H-Thieno[3,2-d]pyrimidin-4-one)의 제조
제조예 3-1에서 합성한 화합물 (29 g, 156.6 mmol)와 암모늄 포메이트 (29.7 g, 469.8 mmol), 포름아마이드 (38 ml, 939.5 mmol)를 섞은 뒤 140 ℃에서 20시간 가열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내리고 생성된 고체를 물로 씻어주어 표제 화합물 (15.7 g, 66 %)을 황토색의 고체로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8.18 (d, J =5.2Hz, 1H), 8.15 (s, 1H), 7.40 (d, J =5.2Hz, 1H); LC-MS 153.0 (MH+)
[제조예 3-3]
4-클로로-싸이에노[3,2-d]피리미딘 (4-chloro-thieno[3,2-d]pyrimidine)의 제조
다이클로로에테인 150 ml에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15.4 ml, 197.13 mmol)를 넣고 0 ℃로 온도를 낮춘 후, 옥살릴 클로라이드 (25. 4 ml, 295.70 mmol)을 천천히 넣으면 흰색 젤형태가 생기기 시작할 때 3H-싸이에노[3,2-d]피리미딘-4-온 (15 g, 98.57 mmol)을 넣었다. 반응액을 2.5 시간 동안 환류교반한 뒤, 실온으로 온도를 내리고 물을 부은 다음 다이클로로메테인 (3×300 ml)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을 이용하여 건조하고 감압농축 후 헥세인 200 ml로 트리터레이션(trituration)하여 표제화합물 (16.7 g, 99 %)을 황토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δ 9.06 (s, 1H), 8.61 (d, J =5.2Hz, 1H), 7.78 (d, J =5.2Hz, 1H); LC-MS 173.2 (MH+)
[제조예 3-4]
6-브로모-4-클로로-싸이에노[3,2-d]피리미딘 (6-bromo-4-chloro-thieno[3,2-d]pyrimidine)의 제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0 ml 에 리튬 다이아이소프로필아민 (25 ml, 61.54 mmol)을 넣고 -78 ℃로 온도를 낮춘 후, 50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4-클로로-싸이에노[3,2-d]피리미딘 (5 g, 39.30 mmo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20분 후에 1,2-다이브로로-1,1,2,2-테트라플루오로에테인 (11.45 g, 35.17 mmol)을 천천히 넣었다. -78 ℃에서 20분간 교반 후 실온으로 온도를 올려 2시간 동안 더 교반하고 반응액에 물을 부었다. 클로로포름 (3×300 ml)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을 이용하여 건조하고 감압농축 후 n-헥세인 200 ml로 트리터레이션(trituration)하여 표제화합물 (6.5 g, 89.2 %)을 황토색 고체로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8.94 (s, 1H), 7.62 (s, 1H); LC-MS: 249, 251(MH+)
[ 제조예 4]
6- 브로모 -N-(3-(4- 메톡시벤질옥시 )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아민 (6-bromo-N-(3-(4-methoxybenzyloxy)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40
제조예 3-4에서 얻은 화합물 (0.18 g, 0.80 mmol)을 다이클로에테인 3 ml와 t-부탄올 3 ml에 녹여 sealed tube에 넣고 85 ℃에서 3일간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생성된 옅은 갈색 고체를 다이에틸 에테르를 이용하여 씻어주어 표제화합물 (0.25 g, 80%)을 잿빛의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600MHz, DMSO-d6); δ 10.52 (brs, 1H), 8.70 (s, 1H), 7.73 (s, 1H), 7.44-7.27 (m, 5H),6.95-6.88 (m, 3H), 5.04 (s, 2H), 3.75 (s, 3H); LC-MS: 443 (MH+)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화합물을 합성하였다.
[ 제조예 5]
6- 브로모 -N-(3-( 터트 - 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 ) 페닐 ) 싸이에토 [3,2-d]피리미딘-4-아민 (6- bromo -N-(3-( tert - butyldimethylsilyloxy ) phenyl ) thieno [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41
1H-NMR (400 MHz, CDCl3); δ 8.62(s, 1H), 7.40(s, 1H), 7.30-7.26(m, 1H), 7.06-7.02(m, 2H), 6.87-6.82(m, 2H), 1.00(s, 9H), 0.23(s, 6H); LC-MS 439 (MH+)
[ 제조예 6]
4-(4-(3-( 터트 - 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 ) 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 벤즈알데하이드 (4-(4-(3-( tert -butyldimethylsilyl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benzaldehyd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42
제조예 5에서 합성한 화합물 (3.5 g, 8.02 mmol), 4-포밀페닐 보론산 (1.44 g, 9.62 mmol), 팔라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1.85 g, 1.60 mmol), 2N 탄산나트륨 (8 ml, 16.04 mmol)을 1,4-다이옥산 30 ml 에 넣고 3시간 동안 환류교반 시켰다. 반응액에 포화된 탄산수소나트륨 50 ml와 다이클로로메테인 150 ml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유기층을 포화된 탄산수소나타륨 150 ml로 2회 더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을 이용하여 건조하고 감압농축 후 관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n-헥세인, 1/3)를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2.1 g, 56.7 %)을 갈색 고체로 얻었다.
1H-NMR (600MHz, CDCl3); δ 10.06 (s, 1H), 8.72 (s, 1H), 7.96 (d, J = 8.4 Hz, 2H), 7.83 (d, J = 8.4 HZ, 2H), 7.17 (s, 1H), 7.30-7.28 (m, 1H), 7.18 (s, 1H), 7.16-7.14 (m, 1H), 6.93 (brs, 1H), 6.79 (d, J = 8.4 Hz, 1H), 0.96 (s, 9H), 0.21 (s, 6H); LC-MS: 462(MH+)
[ 제조예 7]
Figure 112012096549112-pct00143
[제조예 7-1]
1-(다이플루오로메틸)-3-나이트로벤젠 (1-(difluoromethyl)-3-nitrobenzene)의 제조
3-나이트로벤즈알데히드 (1 g, 6.61 mmol)을 20 ml의 다이클로로메테인에 녹인 후 -78 ℃하에서 5 ml의 다이클로로메테인에 희석된 다이에텔아미노설퍼 트리플루오라이드 (DAST, 20 ml, 13.23 mmol)을 천천히 적가한 후 15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물 100 ml를 넣고 100 ml의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감압증류 후 관컬럼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n-헥세인, 1/15)로 표제 화합물 (1.11 g, 97.3 %)을 갈색 오일로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8.40 (s, 1H), 8.37-8.35 (m, 1H), 7.87 (d, J= 7.6 Hz, 1H), 7.69 (t, J = 8.0 Hz, 1H), 6.75 (t, J = 56.0 Hz, 1H)
[제조예 7-2]
3-(다이플루오로메틸)아닐린 (3-(difluoromethyl)aniline)의 제조
철 100 mg을 아세트산 3 ml에 넣고 15분동안 환류교반 후 실온으로 온도를 낮추고, 1-(difluoromethyl)-3-nitrobenzene (0.2 g, 1.15 mmol)을 넣고 다시 1시간 환류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를 첨가한 후 셀라이트로 부생성물들을 제거하고 유기층을 감압농축한 뒤 관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n-헥세인, 1/15)를 이용하여 표제화합물 (0.16 g, 50 %)을 얻었다.
1H-NMR (600 MHz, CDCl3); δ 7.22 (t, J = 7.8 Hz, 1H), 6.86 (d, J = 7.8 Hz, 1H), 6.81 (s, 1H), 6.77-6.75 (m, 1H), 6.54 (t, J = 56 Hz, 1H), 3.91 (brs, 2H)
[ 제조예 8]
6- 브로모 -N-(3-( 트라이플루오로메틸 )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아민 (6-bromo-N-(3-(trifluoro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44
제조예 3-4에서 합성한 화합물 (0.1 g, 0.40 mmol)을 2 ml 다이클로로에테인과 2 ml t-부탄올 에 녹인 후 3-클루오로메틸 아닐린 (55 ㎕, 0.44 mmol)을 첨가한 후 20시간 환류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농축 후 생성된 노란색 고체를 다이에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씻어주어 표제 화합물 (0.12 g, 100 %)을 얻었다.
1H-NMR (400MHz, DMSO-d6); δ 10.83 (brs, 1H), 8.76 (s, 1H), 8.20 (s, 1H), 8.09 (d, J= 8.0 Hz, 1H), 7.78 (d, J = 2.0 Hz, 1H), 7.66 (t, J = 8.0 Hz, 1H), 7.53 (d, J = 7.6 Hz, 1H); LC-MS: 323 (MH+)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의 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 제조예 9]
N-(3-(6- 브로모싸이에노[3,2-d]피리미딘 -4- 일아미노 ) 페닐 )2,2,2- 트라이플루오로마아세트아마이드 (N-(3-(6- bromothieno [3,2-d]pyrimidin-4- ylamino ) phenyl )-2,2,2-trifluoroacetamid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45
1H-NMR (600MHz, DMSO-d6) δ 11.40 (brs, 1H), 8.70 (s, 1H), 7.74 (s, 1H), 7.62-7.60 (m, 2H), 7.49-7.44 (m, 2H); LC-MS: 419 (MH+2)
[ 제조예 10]
6- 브로모 -N-(3-( 다이플루오로메틸 )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아민 (6-bromo-N-(3-(difluoro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46
1H-NMR (400 MHz, CDCl3); δ 10.75 (brs, 1H), 8.74 (s, 1H), 7.98 (s, 1H), 7.94-7.92 (m, 1H), 7.77 (d, J = 1.6 Hz, 1H), 7.57 (t, J = 8.0 HZ, 1H), 7.40 (d, J 8.0 HZ, 1H), 7.09 (t, J = 56 HZ, 1H)
[ 제조예 11]
4-(4-(3-( 트라이플루오로메틸 ) 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 벤즈알데하이드 (4-(4-(3-( trifluoromethyl ) phenylamino ) thieno [3,2-d] pyrimidin -6-yl)benzaldehyd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47
제조예 8에서 합성한 화합물 (60 mg, 0.18 mmol)을 제조예 6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 (64 mg, 86 %)을 얻었다.
1H-NMR (600 MHz, CDCl3); δ 10.07 (s, 1H), 8.00-7.98 (m, 3H), 7.89-7.87 (m, 3H), 7.79 (s, 1H), 7.58-7.47 (m, 2H), 6.87 (brs, 1H)
[ 제조예 12]
4-(4-(3-( 다이플루오로메틸 ) 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 벤즈알데하이드 (4-(4-(3-( difluoromethyl ) phenylamino ) thieno [3,2-d] pyrimidin -6-yl)benzaldehyd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48
1H-NMR (400 MHz, CDCl3); δ 10.07 (s, 1H), 8.77 (s, 1H), 7.99 (d, J= 8.4 Hz, 2H), 7.88 (d, J = 8.4 Hz, 2H), 7.99-7.78 (m, 2H), 7.53 (t, J = 7.6 Hz, 1H), 7.39 (d, J= 7.6 Hz, 1H), 6.84 (brs, 1H), 6.71 (t, J = 56 Hz, 1H)
[ 제조예 13]
Figure 112012096549112-pct00149
1H NMR (600Hz, CDCl3); δ 10.06 (s, 1H), 8.72 (s, 1H), 7.96 (d J = 8.47 Hz, 2H), 7.83 (d, J = 8.47 Hz, 2H), 7.71 (s, 1H), 7.38 (d, J = 8.8 Hz, 2H), 7.30-7.28 (m, 1H), 7.18 (s, 1H), 7.16-7.14 (m, 1H), 6.95 (d, J = 8.8 Hz, 2H), 6.93 (brs,1H), 5.03 (s, 2H), 3.82 (s, 3H); LC-MS 346 (MH+)
[ 제조예 14]
4- 클로로 -3-(4- 메톡시벤질옥시 )아닐린 (4- chloro -3-(4-methoxybenzyloxy)anil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50
1-아미노-5-나이트로페놀 (2 g, 12.97 mmol), 소디움나이트리트 (0.9 g, 12.97 mol)에 물 10 ml와 30 ml 48 % HBF4를 넣고 실온에서 30분 교반한 후 염화구리(I) (642 mg, 6.48 mmol)를 첨가하고 80 ℃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0 ℃하에서 얼음물을 첨가한 뒤 포화된 탄산수소나트륨 200 ml와 에틸아세테이트 200 ml로 추출,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농축하고 관크로마토그래피(n-헥세인/에틸아세테이트, 15/1)를 시행하여 2-클로로-5-나이트로페놀 (0.46 g, 23 %)을 수득하였다. 2-클로로-5-나이트로페놀 (0.36 g, 2.29 mmol)을 제조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 (0.167 g, 94 %)을 얻었다.
1H-NMR (400MHz, CDCl3); δ 7.37 (d, J =8.8 Hz, 2H), 7.10 (d, J = 8.8 Hz, 1H), 6.92 (d, J =10.8 Hz, 2H), 6.32 (d, J = 2.4 Hz, 1H), 6.23 (dd, J = 2.0, 8.4 Hz, 1H), 5.02 (s, 2H), 3.81 (s, 3H); LC-MS: 248 (MH+)
[ 제조예 15]
6- 브로로 -N-(4- 클로로 -3-(4- 메톡시벤질옥시 )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아민 (6- bromo -N-(4- chloro -3-(4- methoxybenzyloxy ) phenyl ) thieno [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51
제조예 8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1H-NMR (400MHz, DMSO-d6); δ 10.58 (brs, 1H), 8.72 (s, 1H), 7.75-7.73 (m, 2H), 7.43-7.38 (m, 4H), 6.97 (d, J= 8.0 Hz, 2H), 5.12 (s, 2H), 3.76 (s, 3H); LC-MS: 477 (MH+)
[ 제조예 16]
4-(4-(4- 클로로 -3-(4- 메톡시벤질옥시 ) 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 벤즈알데하이드 (4-(4-(4- chloro -3-(4-methoxybenzyl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benzaldehyd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52
제조예 6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1H NMR (600MHz, CDCl3); δ 10.05 (s, 1H), 8.62 (s, 1H), 7.98 (d, J = 8.4 Hz, 2H), 7.90 (d, J = 8.4 Hz, 2H), 7.76 (s, 1H), 7.49-7.48 (m, 1H), 7.41 (d, J = 8.4 Hz, 2H), 7.16 (dd, J = 1.8, 8.4 Hz, 1H), 6.94-6.90 (m, 4H), 5.13 (s, 2H), 3.79 (s, 3H); LC-MS 502 (MH+)
[ 제조예 17]
3-(4-(3-(4- 메톡시벤질옥시 ) 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 벤즈알데하이드 (3-(4-(3-(4- methoxybenzyloxy ) phenylamino ) thieno [3,2-d] pyrimidin -6-yl)benzaldehyd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53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 (500 mg, 0.89 mmol)과 3-포밀페닐보론산 (160 mg, 1.06 mmol), 팔라디움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21.7 mg, 0.02 mmol)을 탈기체화된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5 ml에 순차적으로 넣고 2N 탄산나트륨 1.33 ml을 넣었다. 80 ℃에서 15시간 교반한 후 반응액에 다이클로로메테인 50 ml와 포화된 염화암모늄 50 ml을 넣고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된 염화암모늄 50 ml로 2회 더 추출한 후 황산나트륨을 이용하여 건조하고 감압농축 후 다이에틸에테르 10 ml로 트리터레이션(trituration)하여 표제화합물 (320 mg, 77 %)을 갈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600MHz, CDCl3); δ 10.09 (s, 1H), 8.73 (s, 1H), 8.17 (s, 1H), 7.94 (t, J = 9.0Hz, 1H), 7.69 (s, 1H), 7.65 (t, J = 7.8Hz, 1H), 7.37 (m, 3H), 7.33 (t, J = 7.8Hz , 3H), 7.11 (d, J = 5.4Hz, 1H), 6.90 (m, 3H), 6.79 (br, 1H), 5.04 (s, 2H), 3.80 (s, 3H); LC-MS 468(MH+)
[ 제조예 18]
Figure 112012096549112-pct00154
[제조예 18-1]
2-(5-브로모사이오펜-2-일)-1,3-다이옥솔레인 (2-(5-bromothiophen-2-yl)-1,3-dioxolane)의 제조
5-브로모사이오펜-2-카복시알데하이드 (2 g, 10.46 mmol)을 톨루엔 30 ml에 녹이고 파라-톨루엔설폰산 (60 mg, 0.31 mmol)과 에틸렌글라이콜 (0.75 ml, 13.61 mmol)을 투입한 후 dean stock 장치에서 130 ℃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 20 ml을 가하고 포화된 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으로 중화 후 다이에틸에테르 1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 50 ml와 소금물 50 ml로 씻은 후 황산마그네슘을 이용해 건조, 여과후 감압 농축하여 표제화합물 (1.8 g, 73.1 %)을 갈색 오일로 얻었다.
1H NMR (600MHz, CDCl3); δ 9.78 (s, 1H), 7.52 (d, J = 3.6 Hz, 1H)
[제조예 18-2]
6-(5-(1,3-다이옥솔레인-2-일)사이오펜-2-일)-N-(3-(4-메톡시벨질옥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6-(5-(1,3-dioxolan-2-yl)thiophen-2-yl)-N-(3-(4-methoxybenzyloxy)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제조예 18-1에서 얻은 화합물 (0.1 g, 0.35 mmol)와 제조예 7에서 얻은 화합물 (0.1 g, 0.22 mmol), PdCl2(dppf)2 (5 mg, 0.006 mmol)을 반응 용기에 넣고 질소로 충진 후, 탈기체화된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5 ml와 2N 탄산나트륨 (0.3 ml, 0.66 mmol)을 넣고 80 ℃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다이클로로메테인 50 ml와 포화된 염화암모늄 수용액 50 ml을 넣고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된 염화암모늄 수용액 50 ml로 2회 더 추출한 후 황산나트륨을 이용하여 건조하고 감압농축 후 감압농축 후 관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n-헥세인, 1/15)로 표제화합물 (39 mg, 34 %)의 갈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600MHz, CDCl3); δ 8.68 (s, 1H), 7.44 (s, 1H), 7.37 (d, J = 7.8 Hz, 2H), 7.32-7.31 (m, 2H), 7.23-7.22 (m, 1H), 7.12 (d, J = 3.0 Hz, 1H), 6.91 (d, J = 7.8 Hz, 2H), 6.88-6.87 (m, 1H), 6.79 (s, 1H), 5.03 (s, 2H), 4.17-4.15 (m, 2), 4.06-4.04 (m, 2H), 3.08 (s, 3H); LC-MS 518 (MH+)
[제조예 18-3]
5-(4-(3-(4-메톡시벤질옥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사이오펜-2-카브알데하이드 (5-(4-(3-(4-methoxybenzyl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thiophene-2-carbaldehyde)의 제조
제조예 18-2에서 얻은 화합물 (0.27 g, 0.52 mmol)을 Acetone 10 ml에 녹이고 파라-톨루엔설폰산 (49 mg, 0.26 mmol)을 가하고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된 탄산수로나트륨 50 ml을 가하여 중화하여 감압농축하였다. 잔여물에 물 10 ml을 가하고 30분간 교반 후 여과하고 여과물을 다이클로로메테인 5 ml와 메탄올 1 ml에서 고체화하여 표제화합물 (240 mg, 85 %)을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 (600MHz, DMSO-d6); δ 9.97 (brs, 1H), 8.63 (s, 1H), 8.23 (d, J = 3.6 Hz, 1H), 8.00 (s, 1H), 7.86 (d, J = 4.2 Hz, 1H), 7.59-7.58 (m, 1H), 7.40 (d, J = 8.4 Hz, 2H), 7.37 (d, J = 7.8 HZ, 1H), 7.27 (t, J = 8.4 HZ, 1H), 6.95 (d, J = 8.4 Hz, 2H), 6.78 (dd, J = 1.8, 8.4 Hz, 1H), 5.03 (s, 2H), 3.75 (s, 3H); LC-MS 474 (MH+)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의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 제조예 19]
5-(4-(3-(4- 메톡시벤질옥시 ) 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 퓨란 - 2-카브알데하이드 (5-(4-(3-(4- methoxybenzyloxy ) phenylamino ) thieno [3,2-d]pyrimidin-6-yl)furan-2-carbaldehyd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55
[제조예 19-1]
2-(5-브로로퓨란-2-일)-1,3-다이옥솔레인 (2-(5-bromofuran-2-yl)-1,3-dioxolane)의 제조
1H NMR (600MHz, CDCl3); δ 6.41 (d, J = 2.4 Hz, 1H), 6.28 (d, J = 2.0 Hz, 1H), 5.87 (s, 1H), 4.15-4.10 (m, 2H), 4.03-4.00 (m, 2H)
[제조예 19-2]
6-(5-(1,3-다이옥솔레인-2-일)퓨란-2-일)-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6-(5-(1,3-dioxolan-2-yl)furan-2-yl)-N-(3-(4-methoxybenzyloxy)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1H NMR (600MHz, CDCl3); δ 8.69 (s, 1H), 7.53 (s, 1H), 7.37 (d, J = 9.0 Hz, 2H), 7.34-7.33 (m, 1H), 7.31 (t, J = 7.8 Hz, 1H), 7.08-7.07 (m, 1H), 6.91 (d, J= 9.0 Hz, 2H), 6.87-6.86 (m, 1H), 6.74 (brs, 1H), 6.71 (d, J = 3.6 Hz, 1H), 6.55 (d, J = 3.6 Hz, 1H), 5.99 (s, 1H), 5.03 (s, 2H), 4.17-4.15 (m, 2H), 4.07-4.04 (m, 3H), 3.80 (s, 4H); LC-MS 502 (MH+)
[제조예 19-3]
5-(4-(3-(4-메톡시벤질옥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퓨란-2-카브알데하이드 (5-(4-(3-(4-methoxybenzyl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furan-2-carbaldehyde)의 제조
1H NMR (400MHz, DMSO-d6); δ 9.80 (brs, 1H), 9.67 (s, 1H), 8.63 (s, 1H), 7.74 (d, J=4.0 Hz, 1H), 7.58 (s, 1H), 7.51 (d, J = 4.0 Hz, 1H), 7.40 (d, J = 8.8 Hz, 2H), 7.38-7.36 (m, 1H), 7.28 (t, J = 8.0 HZ, 1H), 6.95 (d, J= 8.4 Hz, 2H), 6.79-6.78 (m, 1H), 5.03 (s, 2H), 3.75 (s, 3H); LC-MS 458 (MH+)
[ 제조예 20]
Figure 112012096549112-pct00156
[제조예 20-1]
2-(5-브로모사이오펜-3-일)-1,3-다이옥솔레인 (2-(5-bromothiophen-3-yl)-1,3-dioxolane)의 제조
1H-NMR (400 MHz, CDCl3); δ 7.29 (d, J = 1.6 Hz, 1H), 7.10 (d, J = 1.6 Hz, 1H), 5.80 (s, 1H), 4.07-4.06 (m, 2H), 4.01-3.99 (m, 2H)
[제조예 20-2]
6-(4-(1,3-다이옥솔레인-2-일)사이오펜-2-일)-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6-(4-(1,3-dioxolan-2-yl)thiophen-2-yl)-N-(3-(4-methoxybenzyloxy)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1H-NMR (400 MHz, CDCl3); δ 8.68 (s, 1H), 7.45 (d, J = 4.4 Hz, 2H), 7.38 (m, 3H), 7.32 (s, 2H), 7.08 (d, J = 8.8 Hz, 1H), 6.87 (m, 4H); LC-MS 518 (MH+)
[제조예 20-3]
5-(4-(3-(4-메톡시벤질옥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사이오펜-3-카브알데하이드 (5-(4-(3-(4-methoxybenzyl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thiophene-3-carbaldehyde)의 제조
1H-NMR (400 MHz, CDCl3); δ 9.97 (s, 1H), 9.81 (s, 1H), 8.62 (s, 1H), 8.12 (d, J = 4.0 Hz, 1H), 8.00 (s, 1H), 7.86 (d, J = 4.0 Hz, 1H), 7.59 (s, 1H), 7.41 (d, J = 5.6 Hz, 2H), 7.30 (m, 1H), 7.27 (m, 1H), 6.96 (d, J = 8.8 Hz, 2H), 6.80 (m, 1H), 5.03 (s, 2H), 3.79 (s, 3H); LC-MS 474 (M+H+)
[ 제조예 21]
Figure 112012096549112-pct00157
[제조예 21-1]
2-(5-브로모퓨란-3-일)-1,3-다이옥솔레인 (2-(5-bromofuran-3-yl)-1,3-dioxolane)의 제조
1H-NMR (400 MHz, CDCl3); δ 7.52(s, 1H), 6.39(s, 1H), 5.79(s, 1H), 4.11-4.04(m, 2H), 3.93-3.86(m, 2H)
[제조예 21-2]
6-(4-(1,3-다이옥솔레인-2-일)퓨란-2-일)-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6-(4-(1,3-dioxolan-2-yl)furan-2-yl)-N-(3-(4-methoxybenzyloxy)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1H-NMR (400 MHz, CDCl3); δ 8.66 (s, 1H), 7.58 (s, 1H), 7.49 (s, 1H), 7.37-7.26 (m, 6H), 7.08(d, J = 7.2Hz, 1H), 6.88 (m, 2H), 6.80 (s, 1H), 5.01 (s, 2H), 4.12-3.98 (m, 4H), 3.76 (s, 1H); LC-MS 502(MH+)
[제조예 21-3]
5-(4-(3-(4-메톡시벤질옥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퓨란-3-카브알데하이드 (5-(4-(3-(4-methoxybenzyl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furan-3-carbaldehyde)의 제조
1H-NMR (400 MHz, CDCl3); δ 9.97 (s, 1H), 8.70 (s, 1H), 8.13 (s, 1H), 7.61 (s, 1H), 7.38-7.26 (m, 4H), 7.08 (m, 2H), 6.91 (m, 2H), 5.04 (s, 2H), 3.80 (s, 3H); LC MS 458 (MH+)
[ 제조예 22]
Figure 112012096549112-pct00158
[제조예 22-1]
사이오펜-3-아민 (thiophen-3-amine)의 제조
메틸 3-아미노-2-사이오펜카르복실레이트 10 g (63.61mmol)을 60 ml 2N-소디움히드록사이드에 녹여 2시간 동안 환류교반 하였다. 반응용액을 0 ℃로 낮춘 다음 염산을 사용하여 pH 5로 맞추었다. 이때 생성된 베이지색 고체를 물로 씻어주고 acetone 40 ml에 녹인 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여과후 감압 농축하고 50 ml 아이소프로필알코올과 옥살산 (6.3 g, 69.28 mmol)을 넣고 38 ℃에서 45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0 ℃로 내리고 다이에틸에테르를 첨가한 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한 뒤 다이에틸에테르를 이용하여 씻어 주어 표제화합물 (2.54 g, 40.3 %)을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13-7.11 (m, 1H), 6.65-6.63 (m,1H), 6.17-6.16 (m, 1H), 3.60 (brs, 2H)
[제조예 22-2]
4H-싸이에노[3,2-b]피리딘-7-온 (4H-Thieno[3,2-b]pyridine-7-one)의 제조
다이메틸-[1,3]다이옥산-4,6-다이온 (4.61 g, 32.01 mmol)에 트리메틸올소포메이트 (14 ml, 128.07 mmol)을 넣고 30 ℃에서 1시간 정도 교반하였다. 반응물에 사이오펜-3-아민 (2.54 g, 25.61 mmol)을 실온에서 소량씩 첨가하면 백색의 침전물이 생긴다. 이 반응혼합물을 85 ℃에서 15시간 교반 후, 실온으로 온도를 내리고 25 ml의 이소프르필 에테르를 첨가 한 뒤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때 생성된 자주색 고체(중간체)는 아이소프로필 에테르를 이용하여 씻어주었다. 중간체를 다이클로로메테인과 탄산칼륨에 녹이고 30분간 교반시켰다. 고체는 여과하여 제거하고 용액을 농축하여 2,2-다이메틸-5-(사이오펜-3-일아미노에틸렌)-[1,3]다이오산-4,6-다이온을 얻었다. 259 ℃의 다이페닐 에테르 5 ml에 2,2-다이메틸-5-(사이오펜-3-일아미노에틸렌)-[1,3]다이오산-4,6-다이온을 소량씩 넣은 후 30분간 환류교반 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낮춘 후, 아이소프로필 에테르를 첨가한 뒤 1시간 교반하여 표제화합물을 옅은 갈색 고체 (2 g, 53 %)로 수득하였다.
1H-NMR (600MHz, DMSO-d6); δ 12.15 (brs, 1H), 7.96 (d, J = 8.4 Hz, 1H), 7.82 (d, J = 10.8 Hz, 1H), 7.24 (d, J = 7.8 Hz, 1H), 6.01 (d, J = 10.8 Hz, 1H); LC-MS: 152 (MH+)
[제조예 22-3]
7-클로로-싸이에노[3,2-b]피리딘 (7-chloro-thieno[3,2-b]pyridine)의 제조
250 ml 둥근 플라스트에 30 ml의 다클로로메테인과 20 ml의 디클로로에테인, 디메틸포름아미드 (1.8 ml, 23.28 mmol)을 넣고 0 ℃ 에서 옥살릴클로라이드 (2.9 ml, 33.86 mmol)를 서서히 적가한 뒤, 4H-싸이에노[3,2-b]피리딘-7-온 (1.6 g, 10.58 mmol)을 첨가하고 6시간 동안 환류교반 하였다. 실온으로 온도를 내리면서 표제 화합물을 노란색 고체 (1.7 g, 90 %)로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8.61 (d, J = 5.2 Hz, 1H), 7.81 (d, J = 5.2 Hz, 1H), 7.30 (d, J = 4.8 Hz, 1H)
[제조예 22-4]
2-브로모-7-클로로싸이에노[3,2-b]피리딘 (2-bromo-7-chlorothieno[3,2-b]pyridine)의 제조
20 ml의 테트라히드로퓨란과 정제된 다이아이소프로필아민 (0.93 ml, 6.63 mmol)을 250 ml 둥근 플라스트에 넣은 후, 질소로 충전하고, -78 ℃ 에서 n-부틸리튬 (2.45 ml, 6.12 mmol)을 적가한 뒤 10분간 0 ℃에서 교반하고 이를 다시 -78 ℃로 내린 후, 10 ml 테트라히드로퓨란에 녹인 7-클로로-싸이에노[3,2-b]피리딘 (0.87 g, 5.1 mmol)을 캐뉼러(cannular)를 이용하여 첨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0분간 교반 후 1,2-다이브로로-1,1,2,2-테트라플루오로메테인(2 g, 6.12 mmol)을 첨가하고 30분간 교반 후, 실온으로 서서히 온도를 올려준다. 1시간 후 반응 혼합물에 물을 붓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30 ml x 2)로 추출하였다.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후 감압 농축하고, 관크로마토그래피 (n-헥세인/에틸아세테이트, 1/40) 를 시행하여 표제화합물 (1.12mg, 88 %)을 수득하였다.
1H-NMR (600MHz, DMSO-d6); δ 8.64 (d, J = 5.2 Hz, 1H), 7.94 (s, 1H), 7.61 (d, J = 5.2 Hz, 1H)
[ 제조예 23]
2- 브로로 -N-(3-(4- 메톡시벤질옥시 ) 페닐 ) 싸이에노 [3,2-b]피리딘-7-아민 (2-bromo-N-(3-(4-methoxybenzyloxy)phenyl)thieno[3,2-b]pyridin-7-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59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0.18 g, 0.80 mmol)에 다이클로에테인 3 ml와 t-부탄올 3 ml에 녹여 sealed tube에 넣고 제조예 22-4에서 합성한 화합물 (198 mg, 0.80 mmol)을 첨가한 다음 85 ℃에서 3일간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생성된 옅은 갈색 고체를 다이에틸에테르를 이용하여 씻어 주어 표제화합물 (0.25 g, 80%)을 잿빛의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8.32 (d, J = 5.2 Hz, 1H), 7.50 (s, 1H), 7.34 (d, J = 7.6 Hz, 2H), 7.29 (t, J = 8.0 Hz, 1H), 6.92 (d, J = 7.6 Hz, 2H), 6.83-6.80 (m, 4H), 5.00 (s, 2H), 3.82 (s, 3H)
[ 제조예 24]
4-(7-(3-(4- 메톡시벤질옥시 ) 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b]피리딘-2-일) 벤즈알데하이드 4-(7-(3-(4- methoxybenzyloxy ) phenylamino ) thieno [3,2-b] pyridin -2-yl)benzaldehyd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60
제조예 22에서 얻은 화합물 (0.5 g, 0.89 mmol)와 4-포밀페닐보론산 (0.16 g, 1.06 mmol), PdCl2(dppf)2 (21 mg, 0.03 mmol)을 반응 용기에 넣고 질소로 충진 후, 탈기체화된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5 ml와 2N 탄산나트륨 (0.9 ml, 1.78 mmol)을 넣고 80 ℃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다이클로로메테인 50 ml와 포화된 염화암모늄 수용액 50 ml을 넣고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된 염화암모늄 수용액 50mL로 2회 더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을 이용하여 건조하고 감압 농축 후 다이에틸에테르 10 ml로 트리터레이션(trituration)하여 표제화합물을 320mg (0.69mmol, 77%)의 갈색 고체로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10.06 (s, 1H), 8.39 (d, J =3.6Hz, 1H), 7.96 (d, J =5.2Hz, 2H), 7.89-7.7.86 (m, 3H), 7.35 (d, J =5.6Hz, 2H), 7.31 (t, J =5.2Hz, 1H), 6.94-6.90 (m, 4H), 6.86 (d, J =5.2Hz, 1H), 6.82 (d, J =5.2Hz, 1H), 6.09 (s, 1H), 5.01 (s, 2H), 3.82 (s, 3H); LC-MS 467.0 (MH+)
[ 제조예 25]
3-(7-(3-(4- 메톡시벤질옥시 ) 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b]피리딘-2-일) 벤즈알데하이드 (3-(7-(3-(4- methoxybenzyloxy ) phenylamino ) thieno [3,2-b] pyridin -2-yl)benzaldehyd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61
제조예 23에서 얻은 화합물 (6.69 g, 15.63 mmol)와 3-포밀페닐보론산 (2.7 g, 18.76 mmol), PdCl2(dppf)2 (388 mg, 0.46 mmol)을 반응 용기에 넣고 질소로 충진 후, 탈기체화된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70 ml와 2N 탄산나트륨 (23 ml, 46.89 mmol)을 넣고 80 ℃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다이클로로메테인 250 ml와 포화된 염화암모늄 수용액 250 ml을 넣고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된 염화암모늄 수용액 150mL로 2회 더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을 이용하여 건조하고 감압농축 후 다이에틸에테르 10 ml로 트리터레이션(trituration)하여 표제화합물 (2.5 g, 36 %)을 갈색 고체로 얻었다.
1H-NMR (600MHz, DMSO-d6); δ 10.11 (s, 1H), 8.92 (s, 1H), 8.32-8.31 (m, 2H), 8.19 (d, J=8.4Hz, 1H), 7.97 (s, 1H), 7.76 (d, J =7.8Hz, 1H), 7.75 (t, J =7.8Hz, 1H), 7.64-7.60 (m, 1H), 7.57-7.54 (m, 1H), 7.38 (d, J =8.4Hz, 2H), 6.95 (d, J =8.4Hz, 2H), 6.90-6.87 (m, 2H), 6.77 (dd, J =1.8Hz, 7.8Hz, 1H), 5.04 (s, 2H), 3.76 (s, 3H); LC-MS 467 (MH+)
[ 제조예 26]
Figure 112012096549112-pct00162
[제조예 26-1]
메틸 2-(4-브로모페닐)아세테이트 (methyl 2-(4-bromophenyl)acetate)의 제조
4-브로모페닐아세트산 (2g, 9.3 mmol)에 아세토나이트릴 20 ml를 넣고 0 ℃하에서 1,8-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덱-2-엔 (1.7 g, 11.2 mmol)을 넣었다. 반응액에 아이오도 메테인 (1.98 g, 14.0 mmol)을 천천히 적가한 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물(100 ml×2)과 다이클로로메테인 (100 ml)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관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n-헥세인, 1/15)를 이용하여 표제화합물 (1.7 g, 75 %)을 얻었다.
1H-NMR (600MHz, CDCl3); δ 7.45 (d, J =12.6Hz, 2H), 7.15 (d, J =12.6Hz, 2H), 3.69 (s, 3H), 3.58 (2H),
[제조예 26-2]
메틸 2-(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페닐)아세테이트 (methyl 2-(4-(4-(3-hydr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phenyl)acetate)의 제조
비스(피나콜레이토)다이보레인 (1.95g, 7.68 mmol), PdCl2dppf (171 mg, 0.21 mmol), 포타슘아세테이트 (2.06 g, 7.68 mmol)을 반응용기에 넣고 진공건조하였다. 탈기체화된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5 ml에 제조예 18-1에서 합성한 화합물 (1.6 g, 7.0 mmol)을 녹여 반응용기에 옮긴 후 85 ℃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 하고 에틸아세테이트 50 ml와 포화된 염화암모늄 50 ml을 넣고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화암모늄 50 ml로 2회 더 씻어준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을 이용하여 건조하고 감압농축하여 짙은 갈색 오일형태의 메틸 2-(4-(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레인-2-일)페닐)아세테이트 (methyl 2-(4-(4,4,5,5-tetramethyl-1,3,2-dioxaborolan-2-yl)phenyl)acetate)을 얻었다. 이 화합물과 제조예 5-2에서 합성한 화합물(1.8 g, 4.23 mmol), PdCl2dppf (80 mg, 0.10 mmol)을 탈기체화된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20 ml에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2N 탄산나트륨 수용액 (2 ml, 6.52 mmol)을 투입하였다. 80 ℃에서 15시간 동안 교반 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에틸아세테이트 100 ml와 포화된 염화암모늄 1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된 염화암모늄 100 ml로 2회 더 씻어준 후 무수 황산 마그네슘을 이용해 건조하고 감압농축 후 관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세인, 1/2) 표제화합물(A) (0.51 g, 40 %)을 얻었다.
1H-NMR (400MHz, DMSO-d6); δ 9.61(brs, 1H), 9.43 (brs, 1H), 8.58 (s, 1H), 7.88 (s, 1H), 7.83 (d, J = 8.0 Hz, 2H), 7.43 (d, J = 8.4 Hz, 2H), 7.33-7.30 (m, 1H), 7.20-7.12 (m, 2H), 6.54-6.52 (m, 1H), 3.78 (s, 2H), 3.64 (s, 3H); LC-MS: 392 (MH+)
[ 제조예 27]
메틸 -2-(4-(4-(3-( 터트 - 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 ) 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 페닐 )아세테이트 (methyl-2-(4-(4-(3-(tert- butyldimethylsilyloxy ) phenylamino ) thieno [3,2-d] pyrimidin -6- yl ) phenyl ) acetate )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63
상시 제조예 26-2 에서 합성한 화합물 (0.51 g, 1.30 mmol)을 10 ml 다이클로로메테인과 5 ml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에 녹인 후 이미다졸 (0.11 g, 1.69 mmol)과 tert-부틸클로로다이메틸실레인 (0.24 mg, 1.56 mmol)을 넣고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하였다. 포화 암모늄 클로라이드 용액 (100 ml)에 반응 용액을 부은 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 × 2)로 추출 한 후 유기층을 물 (100 ml × 2)로 씻어 주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농축 후 관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n-헥세인, 1:2)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 (0.49 g, 74.4 %)을 노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8.69 (s, 1H), 7.64 (d, J= 8.0 Hz, 2H), 7.59 (s, 1H), 7.36 (d, J= 8.0 Hz, 2H), 7.28-7.24 (m, 1H), 6.76 (brs, 1H), 7.19 (t, J= 2.2 Hz, 1H), 7.16-7.16 (m, 1H), 6.76 (brs, 1H), 6.75-6.74 (m, 1H), 3.68 (s, 2H), 1.00 (s, H), 0.24 (s, 6H) ; LC-MS: 506 (MH+)
[ 제조예 28]
4-(4-(3-( 터트 - 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 ) 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벤조산 (4-(4-(3-( tert - butyldimethylsilyloxy ) phenylamino ) thieno [3,2-d]pyrimidin-6-yl)benzoic acid )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64
제조예 6에서 합성한 화합물 (0.2 g, 0.46 mmol)을 2 ml 아세톤에 녹인 후 물 0.4 ml와 아세톤2.5 ml에 녹인 포타슘 퍼망가네이트 (130 mg, 0.82 mmol)를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2N 염산 20 ml와 에틸 아세테이트 30 ml로 추출하고 물 30 ml로 두 번 더 씻었다.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표제화합물 (0.2 g, 96 %)을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10.44 (brs, 1H), 8.78 (s, 1H), 8.12 (t, J= 7.6 Hz, 1H), 8.05 (d, J = 8.0 Hz, 2H), 7.69-7.59 (m, 3H), 7.48 (d, J = 8.0 Hz, 1H), 7.43 (s, 1H), 7.33 (t, J = 8.0 Hz, 1H), 6.74 (d, J= 8.4 Hz, 1H), 1.01 (s, 9H), 0.28 (s, 6H); LC-MS: 478 (MH+)
[ 제조예 29]
2-(4-(4-(3-( 터트 - 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 ) 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 페닐 )아세트산 (2-(4-(4-(3-( tert -butyldimethylsilyl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phenyl)acetic acid)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65
1H-NMR (400 MHz, CDCl3); δ 10.44 (br, 1H), 8.78 (s, 1H), 8.12 (t, J =7.6Hz, 1H), 8.05 (d, J =8.0Hz, 2H), 7.69-7.59 (m, 2H), 7.48 (d, J =8.0Hz, 1H), 7.43 (s, 1H), 7.33 (t, J =8.0Hz, 1H), 6.74 (d, J =8.4Hz, 1H), 3.60 (s, 2H), 1.01 (s, 9H), 0.28 (s, 6H); LC-MS 478 (MH+)
[ 제조예 30]
1- 브로모 -4-( 에톡시메틸 )벤젠 (1- bromo -4-( ethoxymethyl ) benzene )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66
소디움하이드라이드 (0.1 g, 2.4 mmol)을 2 ml 탈기체화된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에 넣고 4-브로모벨질알콜 (0.3 g, 1.6 mmol)을 서서히 넣었다. 실온에서 아이오도에테인 (0.14 ml, 1.76 mmol)을 첨가하고 2시간 교반한 후 2N 염산 50 ml를 가한 뒤, 에틸아세테이트 50 ml 로 추출한 뒤 물 50 ml로 2회 반복하여 유기층을 씻어주었다. 감압증류 후에 관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n-헥세인, 1/10)로 표제 화합물 (0.17 g, 48 %)을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1H-NMR (600MHz, CDCl3); δ 7.46 (d, J = 8.4 Hz, 2H), 7.21 (d, J= 8.4 Hz, 2H), 4.45 (s, 2H), 3.55-3.51 (m, 2H), 1.28-1.23 (m, 3H)
[ 제조예 31]
에틸 4-아미노-2-( 메틸사이오 ) 사이아졸 -5- 카복실레이트 ( ethyl 4- amino -2-(methylthio)thiazole-5-carboxylat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67
에틸 2-머켑토아세테이트 (50 g, 0.416 mol)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500 ml에 녹이고 다이메틸N-시아노다이사이오이미노 카보네이트 (67 g, 0.416 mol)과 다이아이소프로필아민 (112 ml, 0.624 mol)을 넣고 100 ℃에서 5시간 가열하고 포화된 염화암모늄 500 ml와 에틸아세테이트 500 ml를 사용하여 추출한 다음,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생긴 고체를 n-헥세인으로 씻어주어 표제화합물 (90 g, 99 %)을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5.84 (brs, 2H), 4.26 (q, J = 7.2 Hz, 2H), 2.63 (s, 3H), 1.32 (t, J = 7.2 Hz, 3H); LC-MS 219 (MH+)
[ 제조예 32]
Figure 112012096549112-pct00168
[제조예 32-1]
에틸 4-포름아미도-2-(메틸사이오)사이아졸-5-카복실레이트 (ethyl 4-formamido-2-(methylthio)thiazole-5-carboxylate)의 제조
제조예 31에서 합성한 화합물 (30 g, 138.05 mol)와 암모늄아세테이트(13.8 g, 179.03 mol)을 200 ml의 포름산 (formic acid) 과 섞은 후 46시간 환류교반하였다. 감압농축하여 폼산을 제거하고 포화된 탄산수소나트륨 300 ml를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후 유기층을 감압농축하여 표제화합물 (29.5 g, 87.3 %)를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9.38 (s, 1H), 5.81 (brs, 1H), 4.32 (q, J= 6.8 Hz, 2H), 2.70 (s, 3H), 1.35 (t, J = 6.8 Hz, 3H); LC-MS 246 (MH+)
[제조예 32-2]
2-(메틸사이오)사이아졸로[4,5,-d]피리미딘-7(6H)-온 (2-(methylthio)thiazolo[4,5-d]pyrimidin-7(6H)-one)의 제조
제조예 32-1에서 합성한 화합물 (29.5 g, 0.12 mol), 암모늄 포메이트 (22.7 g, 0.36 mol), 포름아마이드 (28.7 ml, 0.72 mol)를 섞은 후 140 ℃에서 48 시간 가열한 후 100 ml의 물을 첨가하였다. 다이에틸에테르를 200 ml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 정도 교반 후 생성된 고체를 n-헥세인을 이용하여 씻어주어 표제 화합물 (20.5 g, 85 %)을 옅은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NMR (400MHz, DMSO-d6); δ 8.83 (s, 1H), 8.60 (s, 1H), 3.38 (s, 3H); LC-MS 202 (MH+)
[제조예 32-3]
7-클로로-2-(메틸사이오)사이아졸로[4,5-d]피리미딘 (7-chloro-2-(methylthio)thiazolo[4,5-d]pyrimidine)의 제조
제조예 32-2에서 합성한 화합물 (2 g, 9.93 mmol)과 포스포릴클로라이드 4 ml를 130 ℃에서 15시간 가열하였다. 감압농축하여 포스포릴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얼음물 100 ml를 넣고 20분간 교반하여 생성된 고체를 물 100 ml와 n-헥세인을 이용하여 씻어주어 표제 화합물 (0.88 g, 40.4 %)을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8.95 (s, 1H), 2.90 (s, 3H); LC-MS 220 (MH+)
[ 제조예 33]
N-(3-(4- 메톡시벤질옥시 ) 페닐 )-2-( 메틸사이오 ) 사이아졸로 [4,5-d]피리미딘- 7- 아민 (N-(3-(4- methoxybenzyloxy ) phenyl )-2-( methylthio ) thiazolo [4,5-d]pyrimidin-7-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69
제조예 32-3에서 합성한 화합물 (0.2 g, 0.91 mmol)와 제조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 (0.23 g, 1.00 mmol), 다이아이소프로필아민 (0.2 ml, 1.09 mmol)을 2 ml 아이소프로필알코올과 혼합한 후 80 ℃에서 2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감압농축하여 아이소프로필알코올을 제거한 다음 다이클로로메테인 20 ml와 메탄올 2 ml를 넣고 다시 감압농축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n-헥세인과 다이에틸에테르를 이용 트리터레이션(trituration)하여 표제 화합물 (260 mg, 70 %)을 베이지색 고체로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8.65 (s, 1H), 7.36-7.30 (m, 3H), 7.07 (brs, 1H), 7.05-7.04 (m, 1H), 6.96-6.90 (m, 4H), 5.30 (s, 2H), 3.81 (s, 3H), 2.79 (s, 3H); LC-MS 412 (MH+)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시예를 제시한다.
[ 실시예 1]
(6- 브로모 - 싸이에노[3,2-d]피리미딘 -4-닐)-(3- 메톡시 - 페닐 )-아민 ((6- Bromo -thieno[3,2-d]pyrimidin-4-yl)-(3-methoxy-phenyl)-amine) ( LCB03 -0007)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70
제조예 3-4에서 합성한 화합물 (1 g, 4.00 mmol)과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9 ml, 메타아니시딘 0.56 ml을, 아이소프로필알콜 5 ml에 넣은 후 12시간 환류교반 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반응물에 에틸아세테이트80 ml을 넣고 증류수 20 ml씩 2회 씻어주고 감압 농축 한 후 n-헥세인으로 3회 씻어주고 농축하여 표제화합물 (1.05 g, 78 %)을 연한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41(s, 1H), 7.34 (t, J = 8.4 Hz, 1H), 7.20 (s, 1H), 7.10 (dd, J = 2.0, 8.0 Hz, 1H), 7.03 (dd, J = 2.0, 8.0 Hz, 1H), 6.89 (dd, J = 2.4, 8.4 Hz, 1H), 3.85 (s, 3H); LC-MS 336, 338(M+, MH+2)
[ 실시예 2]
3-(6- 브로모 - 싸이에노[3,2-d]피리미딘 -4- 닐아미노 )페놀 (3-(6- Bromo -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 LCB03 -0015)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71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 (150 mg, 0.45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5 ml에 녹인 후 0 ℃에서 1M 보론트라이브로마이드 0.89 ml을 서서히 넣어준 후 상온에서 12시간 교반 후 다이클로로메테인 30 ml,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20 ml로 추출하였다. 감압 농축 후 관크로마토그래피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20/1)를 이용하여 표제화합물 (90 mg, 63 %)을 연한 노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8.60 (s, 1H), 7.65 (s, 1H), 7.19-7.15 (m, 1H), 7.09 (d, J = 8.0 Hz, 1H), 7.77 (s, 1H), 6.61 (d, J = 8.0 Hz, 1H), 3.83 (s, 3H); LC-MS 322, 324 (M+, MH+2)
[ 실시예 3]
3-[6-(4- 메톡시페닐 )- 싸이에노[3,2-d]피리미딘 -4- 닐아미노 ]-페놀 (3-[6-(4-Methoxy-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 LCB03 -0017)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72
실시예 2에서 합성한 화합물 (45 mg, 0.14 mmol)과 4-메톡시페닐보론산 (22 mg, 0.15 mmol), 2M 탄산칼륨 (0.14 ml, 0.28 mmol), 팔라디움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 10 mg을 1,4-다이옥산 1 ml에 넣은 후 3시간 환류교반 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20 ml을 넣고 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10 ml로 2회 씻어주고 감압 농축 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40/1)를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27 mg, 57 %)을 노란색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9.55 (s, 1H), 9.43 (s, 1H), 8.58 (s, 1H), 7.81 (d, J = 8.8 Hz, 2H), 7.77 (s, 1H), 7.32 (s, 1H), 7.19 (d, J = 8.0 Hz, 1H), 7.16 (m, 1H), 7.09 (d, J = 8.8 Hz, 2H), 6.52 (d, J = 8.0 Hz, 1H), 3.83 (s, 3H); LC-MS 350 (MH+)
[ 실시예 4]
(3- 메톡시페닐 )-(6- 싸이오펜 -2-일- 싸이에노[3,2-d]피리미딘 -4-일)-아민 ((3-Methoxyphenyl)-(6-thiophen-2-yl-thieno[3,2-d]pyrimidin-4-yl)-amine) ( LCB03 -0030)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73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 (70 mg, 0.21 mmol)과 2-싸이오펜보론산 (20 mg, 0.23 mmol), 2M 탄산칼륨 (0.46 ml, 0.42 mmol), 팔라디움테트라키스트라이닐포스핀 10 mg을 1,4-다이옥산 1 ml 에 넣은 후 12시간 환류교반 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20 ml을 넣고 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10 ml로 2회 씻어주고 감압농축 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n-헥세인, 1/1)을 이용하여 표제화합물 (51 mg, 71 %)을 연한노란색의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8.69 (s, 1H), 7.46 (s, 1H), 7.40 (dd, J = 4.8, 0.8 Hz, 1H), 7.35 (dd, J = 4.8, 0.8 Hz, 1H), 7.33 (t, J = 8.0Hz, 1H), 7.25 (t, J = 2.4 Hz, 1H), 7.11-7.08 (m, 2H), 6.83-6.80 (m, 2H), 3.85 (s, 3H); LC-MS 340 (MH+)
실시예 4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화합물을 합성하였다.
[ 실시예 5]
(3- 메톡시페닐 )-(6- 싸이오펜 -3-일- 싸이에노[3,2-d]피리미딘 -4-일)-아민 ((3-Methoxyphenyl)-(6-thiophen-3-yl-thieno[3,2-d]pyrimidin-4-yl)-amine) ( LCB03 -0028)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74
1H-NMR (400 MHz, CDCl3); δ 8.70 (s, 1H), 7.61-7.60 (m, 1H), 7.49 (s, 1H), 7.44-7.39 (m, 2H), 7.33 (t, J = 8.0 Hz, 1H), 7.26-7.25 (m, 1H), 7.12-7.10 (m, 1H), 6.83-6.80 (m, 1H), 6.72 (s, 1H), 3.86 (s, 3H); LC-MS 340 (MH+)
[ 실시예 6]
(6- 퓨란 -2-일- 싸이에노[3,2-d]피리미딘 -4-일)-(3- 메톡시페놀 )-아민 ((6-Furan-2-yl-thieno[3,2-d]pyrimidin-4-yl)-(3-methoxyphenyl)-amine) ( LCB03 -0023)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75
1H-NMR (400 MHz, CDCl3); δ 8.70 (s, 1H), 7.52 (m, 2H), 7.40 (t, J = 8.0Hz, 1H), 7.25 (t, J = 2.4Hz, 1H), 7.11-7.08 (m, 1H), 6.84-6.81 (m, 1H), 6.78 (d, J = 7.6Hz, 1H), 6.73 (s, 1H), 6.53 (dd, J = 3.6, 2.4 Hz, 1H), 3.86 (s, 3H); LC-MS 324 (MH+)
[ 실시예 7]
(6- 퓨란 -3-일- 싸이에노[3,2-d]피리미딘 -4-일)-(3- 메톡시페놀 )-아민 ((6-Furan-3-yl-thieno[3,2-d]pyrimidin-4-yl)-(3-methoxyphenyl)-amine) ( LCB03 -0024)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76
1H-NMR (400 MHz, CDCl3); δ 8.71 (s, 1H), 7.79 (s, 1H), 7.50 (t, J = 1.6 Hz, 1H), 7.40 (s, 1H), 7.32 (t, J = 8.0 Hz, 1H), 7.23 (t, J = 1.6Hz, 1H), 7.10-7.08 (m, 1H), 6.83-6.80 (m, 1H), 6.68 (dd, J = 1.6, 0.8 Hz, 1H), 3.84 (s, 3H); LC-MS 324 (MH+)
[ 실시예 8]
N-(3- 메톡시페닐 )-6- 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 -4-아민 (N-(3-methoxyphenyl)-6-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 ( LCB03 -0006)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77
1H-NMR (400 MHz, CDCl3); δ 8.71 (s, 1H), 7.68 (d, J = 6.8 Hz, 2H), 7.60 (s, 1H), 5.46-7.41 (m, 4H), 7.34-7.30 (m, 2H), 7.13-7.11 (m, 1H), 7.03 (brs, 1H), 6.82-6.80 (m, 1H), 3.48 (s, 3H); LC-MS: 334 (MH+)
[ 실시예 9]
4-(4-(3- 메톡시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페놀 (4-(4-(3-meth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phenol) ( LCB03 -0016)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78
1H-NMR (400 MHz, CDCl3); δ 8.44 (s, 1H), 7.62 (d, J = 8.8 Hz, 2), 7.42 (s, 1H), 7.32 (t, J = 2.2 Hz, 1H), 7.25-7.19 (m, 2H), 6.85 (d, J = 8.8 Hz, 2H), 6.74-6.71 (m, 1H), 3.79 (s, 3H); LC-MS 350 (MH+)
[ 실시예 10]
4-(4-(3- 메톡시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 벤조나이트릴 (4-(4-(3-meth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benzonitrile) ( LCB03 -0009)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79
1H-NMR (400 MHz, CDCl3); δ 8.78 (s, 1H), 7.79-7.73 (m,4H), 7.70 (s, 1H), 7.35 (t, J = 8.4 Hz, 1H), 7.24-7.21 (m, 1H), 7.11-7.10 (m, 1H), 6.86-6.84 (m, 1H), 6.82 (brs, 1H), 3.86 (s, 3H); LC-MS 359 (MH+)
[ 실시예 11]
N-(3- 메톡시페닐 )-6-( 싸이오펜 -2-일)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아민 (N-(3-methoxyphenyl)-6-(thiophen-2-yl)thieno[3,2-d]pyrimidin-4-amine) ( LCB03 -0027)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80
1H-NMR (400 MHz, CDCl3); δ 8.69 (s, 1H), 7.46 (s, 1H), 7.40 (dd, J = 4.8, 0.8 Hz, 1H), 7.35 (dd, J = 4.8, 0.8 Hz, 1H), 7.33 (t, J = 8.0 Hz, 1H), 7.25 (t, J = 2.4 Hz, 1H), 7.11-7.08 (m, 2H), 6.83-6.80 (m, 2H), 3.85 (s, 3H); LC-MS 340(MH+)
[ 실시예 12]
3-(6- 싸이오펜 -2-일- 싸이에노[3,2-d]피리미딘 -4- 일아미노 )-페놀 ( 3-(6-Thiophen-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81
실시예 4에서 합성한 화합물 (40 mg, 0.12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2 ml에 녹인 후 0 ℃에서 1M 보론 트라이브로마이드 0.3 ml을 서서히 넣은 후 상온에서 12시간 교반 후 증류수 20 ml, 에틸아세테이트 50 ml로 추출하고 감압농축한 다음 관크로마토그래피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20/1) 이용하여 표제화합물 (15 mg, 39 %)을 노란색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DMSO-d6); δ 9.53 (s, 1H), 9.39 (s, 1H), 8.52 (s, 1H), 7.71 (d, J = 1.2 Hz, 1H), 7.63 (s, 1H), 7.61 (d, J = 1.2 Hz, 1H), 7.27 (s, 1H), 7.19-7.07 (m, 3H), 6.48-6.47 (m, 1H); LC-MS 326 (MH+)
실시예 12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의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 실시예 13]
3-(6- 싸이오펜 -3-일- 싸이에노[3,2-d]피리미딘 -4- 일아미노 )-페놀 (3-(6-Thiophen-3-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 LCB03 -0031)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82
1H-NMR (400 MHz,DMSO-d6); δ 10.89 (s, 1H), 8.86 (s, 1H), 8.21 (t, J = 1.2 Hz, 1H), 7.76 (dd, J = 4.8, 2.4 Hz, 1H), 7.72 (s, 1H), 7.61 (d, J = 4.8Hz, 1H), 7.21 (t, J = 8.0Hz, 1H), 7.08 (s, 1H), 7.05 (d, J = 8.4Hz, 1H), 6.68 (d, J = 8.0Hz, 1H); LC-MS 326 (MH+)
[ 실시예 14]
3-(6-( 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 -4- 일아미노 )페놀 ( 3-(6-(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 LCB03 -0008)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83
1H-NMR (400 MHz,DMSO-d6); δ 8.82 (s, 1H), 7.89-7.87 (m, 3H), 7.58-7.54 (m, 3H), 7.24 (t, J= 8.0 Hz, 1H), 7.16-7.11 (m, 2H), 6.71-6.69 (m, 1H); LC-MS 320 (MH+)
[ 실시예 15]
4-(4-(3- 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 벤조나이트릴 (4-(4-(3-hydr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benzonitrile) ( LCB03 -0013)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84
1H-NMR (400 MHz, MeOH-d4); δ 8.43 (s, 1H), 7.90 (d, J = 8.4 Hz, 2H), 7.76 (d, J = 8.4 Hz, 2H), 7.71 (s, 1H), 7.16 (t, J = 2.0 Hz, 1H), 7.11 (t, J= 8.0 Hz, 1H), 7.01-6.99 (m, 1H), 6.57-6.55 (m, 1H); LC-MS 345 (MH+)
[ 실시예 16]
3-(6-(4- 클로로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 일아미노 )페놀 (3-(6-(4-chloro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 LCB03 -0019)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85
1H-NMR (400 MHz,DMSO-d6); δ 9.59 (s, 1H), 9.40 (s, 1H), 8.53 (s, 1H), 7.93 (s. 1H), 7.84 (d, J = 6.8 Hz, 2H), 7.52-7.49 (m, 1H), 7.26 (t, J = 2.0 Hz, 1H), 7.14-7.07 (m, 2H), 6.50-6.47 (m, 1H); LC-MS 354 (MH+)
[ 실시예 17]
N-(3- 메톡시페닐 )-6-(4-(2- 모폴리노에톡시 )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아민 (N-(3- methoxyphenyl )-6-(4-(2- morpholinoethoxy ) phenyl ) thieno [3,2-d]pyrimidin-4-amine) ( LCB03 -0018)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86
N-(3-메톡시페닐)-6-(4-브로모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0.26 g, 0.76 mmol)을 5 ml의 탈기체화된 다이메틸폼아마이드에 녹이고 4-(2-하이드록시에틸)모폴린 (0.12 ml, 0.92 mmol)과 트라이페닐포스핀 (241 mg, 0.92 mmol)을 넣고 0 ℃에서 DIAD (0.18 ml, 0.92 mmol)를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포화된 탄산수소나트륨 50 ml와 에틸아세테이트 50 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 50 ml를 사용하여 2번 씻어준 후, 황산마그네슘을 이용하여 건조, 여과하였다. 감압 농축 후 관크로마토그래피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15/1)을 시행하여 표제 화합물 (100 mg, 29 %)을 상아색의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8.69 (s, 1H), 7.61 (d, J = 8.8 Hz, 2H), 7.49 (s, 1H), 7.32 (t, J = 7.6 Hz, 1H), 7.26 (t, J = 2.0 Hz, 1H), 7.12-7.10 (m, 1H), 6.97 (d, J = 8.8 Hz, 2H), 6.86 (brs, 1H), 6.81-6.78 (m, 1H), 4.16 (t, J = 6.0 Hz, 2H), 3.76-3.73 (m, 4H), 2.83 (t, J = 5.6 Hz, 2H), 2.60-2.58 (m, 4H); LC-MS 463 (MH+)
실시예 17과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의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 실시예 18]
N-(3- 메톡시페닐 )-6-(4-(2-(피페라진-1-일) 에톡시 )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아민 (N-(3- methoxyphenyl )-6-(4-(2-( piperazin -1-yl)ethoxy)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 ( LCB03 -0029)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87
1H-NMR (400 MHz, DMSO-d6); δ 9.64 (s, 1H), 8.58 (s, 1H), 7.82-7.79 (m, 3H), 7.48-7.42 (m, 2H), 7.27 (t, J= 8.4 Hz, 1H), 7.10 (d, J = 8.8 Hz, 2H), 6.70-6.82 (m, 1H), 4.16 (t, J = 5.6 Hz, 2H), 2.95-2.92 (m, 4H), 2.76 (t, J = 5.6 Hz, 2H), 2.59-2.51 (m, 4H); LC-MS 463 (MH+)
[ 실시예 19]
터트 -부틸 4-(2-(4-(3- 메톡시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 페녹시 )에틸)피페라진-1- 카복실레이트 ( tert - butyl 4-(2-(4-(4-(3- methoxyphenylamino ) thieno [3,2-d] pyrimidin -6- yl ) phenoxy ) ethyl ) piperazine -1-carboxylate) ( LCB03 -0025)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88
1H-NMR (400 MHz, CDCl3); δ 8.70 (s, 1H), 7.62 (d, J = 8.8 Hz, 2H), 7.51 (s, 1H), 7.34-7.30 (m, 2H), 7.12-7.0 (m, 1H), 6.97 (d, J = 8.8 Hz, 2H), 6.81-6.78 (m, 1H), 6.70 (s, 1H), 4.16 (t, J= 5.6 Hz, 2H), 3.47-3.45 (m, 4H), 2.84 (t, J = 5.6 Hz, 2H), 2.55-2.50 (m, 4H), 1.55 (s, 9H); LC-MS 562 (MH+)
[ 실시예 20]
N-(3- 메톡시페닐 )-6-(4-(2-( 피롤리딘 -1-일) 에톡시 )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아민 (N-(3- methoxyphenyl )-6-(4-(2-( pyrrolidin -1-yl)ethoxy)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 ( LCB03 -0026)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89
1H-NMR (400 MHz, CDCl3); δ 8.69 (s, 1H), 7.62 (d, J = 8.8 Hz, 2H), 7.49 (s, 1H), 7.34-7.28 (m, 2H), 7.12-7.10 (m, 1H), 6.98 (d, J = 8.8 Hz, 2H), 6.81-6.78 (m, 1H), 6.71 (brs 1H), 4.17 (t, J= 6.4 Hz, 2H), 2.96-2.95 (m, 3H), 2.67-2.66 (m, 2H), 2.07-2.02 (m, 1H), 1.83-1.80 (m, 2H), 1.65-1.63 (m, 2H); LC-MS 447 (MH+)
[ 실시예 21]
N-(3- 메톡시페닐 )-6-(4- 페네톡시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아민 (N-(3-methoxyphenyl)-6-(4-(phenethoxy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 (LCB03-0021)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90
1H-NMR (400 MHz, CDCl3); δ 8.69 (s, 1H), 7.61 (d, J = 8.8 Hz, 2H), 7.49 (s, 1H), 7.35-7.30 (m, 8H), 7.12 7.10 (m, 1H), 6.96 (d, J = 8.8 Hz, 1H), 6.81-6.95 (m, 1H), 6.71 (brs, 1H), 4.23 (t, J = 7.2 Hz, 2H), 3.84 (s, 3H), 3.13 (t, J = 6.8 Hz, 2H); LC-MS 454 (MH+)
[ 실시예 22] N-(3-( 메톡시페닐 )-6-(4-(2-(피리딘-2-일) 에톡시 ) 페닐 ) 싸이에노 [ 3,2-d]피리미딘 -4-아민 (N-(3-( methoxyphenyl )-6-(4-(2- pyridin -2-yl)ethoxy)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 ( LCB03 -0022)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91
1H-NMR (400 MHz, CDCl3); δ 10.07 (s, 1H), 9.65 (s, 1H), 8.58 (s, 1H), 7.72-7.70 (m, 4H), 7.48 (t, J = 2.0 Hz, 1H), 7.45-7.44 (m, 1H), 7.30-7.29 (m, 1H), 6.92 (d, J = 8.8 Hz, 2H), 6.81 (d, J = 7.6 Hz, 1H), 6.69 (dd, J = 2.0, 8.4 Hz, 1H), 3.76 (s, 3H), 3.72-3.71 (m, 2H), 3.20-3.17 (m, 2H); LC-MS 454 (MH+)
[ 실시예 23]
3-(6-(4-(2- 모폴리노에톡시 )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 일아미노 )페놀 (3-(6-(4-(2-morpholinoethoxy)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LCB03-0020)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92
실시예 17에서 합성한 화합물 (75 mg, 0.16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1 ml에 녹인 후 0 ℃에서 1M 보론트라이브로마이드 (0.73 ml, 0.64 mmol)을 서서히 넣어준 후 상온에서 12시간 교반 한 후 다이클로로메테인 30 ml, 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20 ml로 추출한 뒤, 감압 농축하고 관크로마토그래피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15/1)을 시행하여 표제 화합물 (22 mg, 30 %)을 연한 노란색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9.49 (brs, 1H), 9.38 (s, 1H), 8.50 (s, 1H), 7.73 (t, J = 8.0 Hz, 2H), 7.26 (s, 1H), 7.12-7.03 (m, 4H), 6.46 (d, J = 6.8 Hz, 1H), 4.13-4.11 (m, 2H), 3.53 (m, 4H), 3.12-3.10 (m, 4H), 2.67-2.66 (m, 2H); LC-MS449 (MH+)
[ 실시예 24]
3-(6-(4-( 모폴리노메틸 )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 일아미노 )페놀 (3-(6-(4-(morpholino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LCB03-0032)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93
1H-NMR (400 MHz, DMSO-d6); δ 11.67 (br, 1H), 10.99 (br, 1H), 8.84 (s, 1H), 7.97-7.94 (m, 3H), 7.83 (d, J = 8.4Hz, 2H), 7.24 (t, J = 8.0 Hz, 1H), 7.17 (brs, 1H), 7.12 (d, J =8.0 Hz, 1H), 6.72 ( d, J= 7.6 Hz, 1H), 4.40 (s, 2H), 3.95-3.92 (m, 2H), 3.87-3.81 (m, 2H), 3.25-3.23 (m, 2H), 3.14-3.12 (m, 2H); LC-MS 419 (MH+)
[ 실시예 25] 3-(6-(4-(피페라진-1- 일메틸 )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 piperazine -1- ylmethyl ) phenyl ) thieno [3,2-d] pyrimidin -4-ylamino)phenol) ( LCB03 -0033)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94
1H-NMR (400 MHz, DMSO-d6); δ 9.59 (br, 2H), 8.80 (s, 1H), 7.97-7.95 (m, 3H), 7.83-7.81 (m, 2H), 7.23 (t, J= 7.6 Hz, 1H), 7.21 (s, 1H), 7.14-7.12 (m, 1H), 6.70 (d, J= 7.6 Hz, 1H), 4.43 (s, 2H), 3.57-3.37 (m, 4H), 3.36-3.30 (M, 2H), 2.53-2.50 (m, 2H); LC-MS 418 (MH+)
[ 실시예 26]
3-(6-(4-(피페리딘- 일메틸 )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 일아미노 )페놀 (3-(6-(4-( piperidin -1- ylmethyl ) phenyl ) thieno [3,2-d] pyrimidin -4-ylamino)phenol) ( LCB03 -0035)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95
1H-NMR (400 MHz, DMSO-d6); δ 10.99 (brs, 1H), 10.82 (brs, 1H), 8.82 (s, 1H), 7.97 (s, 1H), 7.95 (d, J = 8.0 Hz, 2H), 7.81 (d, J = 8.0 Hz, 2H), 7.24 (t, J = 8.0 Hz, 1H), 7.22 (brs, 1H), 7.13 (d, J= 7.6 Hz, 1H), 6.71 (d, J= 8.0 Hz, 1H), 4.33 (s, 2H), 3.71-3.67 (m, 1H), 3.50-3.28 (m, 5H), 2.87-2.85 (m, 1H), 1.79-1.68 (m, 3H); LC-MS 417 (MH+)
[ 실시예 27] 3-(6-(4-((4- 메틸피페라진 -1-일- 메틸 )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 일아미노 )페놀 (3-(6-(4-((4- methylpiperazin -1-yl)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 LCB03 -0036)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96
1H-NMR (400 MHz, DMSO-d6); δ 11.03 (brs, 1H), 8.84 (s, 1H), 7.96 (s, 1H), 7.95 (d, J = 8.4 Hz, 2H), 7.83-7.81 (m, 2H), 7.25 (t, J = 8.4 Hz, 1H), 7.17 (s, 1H), 7.12 (d, J = 7.6 Hz, 1H), 6.73 (d, J= 7.6 Hz, 1H), 4.39 (s, 2H), 3.73-3.34 (m, 6H), 3.26-3.24 (m, 2H), 2.89 (s, 3H); LC-MS 432 (MH+)
[ 실시예 28]
3-((6-(4-(( 다이에틸아미노 ) 메틸 )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 일아미노 )페놀 (3-((6-(4-(( diethylamino ) methyl ) phenyl ) thieno [3,2-d] pyrimidin -4-ylamino)phenol) ( LCB03 -0037)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97
1H-NMR (400 MHz, DMSO-d6); δ 10.86 (brs, 1H), 8.83 (s, 1H), 7.97 (s, 1H), 7.95 (d, J = 8. Hz, 2H), 7.85 (d, J = 8.4 Hz, 2H), 7.24 (t, J = 8.4 Hz, 1H), 7.18 (s, 1H), 7.12 (d, J = 8.0 Hz, 1H), 6.73 (d, J = 8.4 Hz, 1H), 4.36 (d, J= 5.2 Hz, 2H), 3.07-3.04 (m, 4H), 1.27 (t, J = 7.2 Hz, 6H); LC-MS 405 (MH+)
[ 실시예 29]
3-((6-(4-(( 사이클로프로필메틸아미노 ) 메틸 )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 cyclopropylmethylamino ) methyl ) phenyl ) thieno [3,2-d]pyrimidin-4-ylamino)phenol) ( LCB03 -0040)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98
1H-NMR (400 MHz, DMSO-d6); δ 9.50-9.48 (m, 2H), 8.77 (s, 1H), 7.95-7.93 (m, 3H), 7.73 (d, J = 8.0 Hz, 2H), 7.24-7.13 (m, 3 H), 6.67 (d, J = 7.6 Hz, 1H), 4.30 (s, 2H), 3.70-3.67 (m, 1H), 0.91-0.75 (m, 2H), 0.59-0.54 (m, 2H); LC-MS 389 (MH+)
[ 실시예 30]
3-((6-(4-(( 아이소부틸아미노 ) 메틸 )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 일아미노 )페놀 (3-((6-(4-(( isobutylamino ) methyl ) phenyl ) thieno [3,2-d] pyrimidin -4-ylamino)phenol) ( LCB03 -0041)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199
1H-NMR (400 MHz, DMSO-d6); δ 9.20 (brs, 2H), 8.78 (s, 1H), 7.95-7.93 (m, 3H), 7.75 (d, J = 8.0 Hz, 2H), 7.24-7.12 (m, 3H), 6.68 (d, J = 7.2 Hz, 1H), 4.21 (s, 2H), 2.75-2.74 (m, 2H), 2.08-2.02 (m, 1H), 0.95 (d, J = 6.8 Hz, 6H); LC-MS 405 (MH+)
[ 실시예 31]
3-((6-(4-(( 에틸아미노 ) 메틸 )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 일아미노 )페놀 (3-((6-(4-(( ethylamino ) methyl ) phenyl ) thieno [3,2-d] pyrimidin -4-ylamino)methyl)phenol) ( LCB03 -0042)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00
1H-NMR (400 MHz, DMSO-d6); δ 9.11 (brs, 2H), 8.73 (s, 1H), 7.95-7.94 (m, 3H), 7.70 (d, J= 8.4 Hz, 2H), 7.22-7.13 (m, 3H), 6.64 (d, J = 7.2 Hz, 1H), 4.20 (s, 2H), 3.01-3.98 (m, 2H), 1.24 (t, J = 7.2 Hz, 3H); LC-MS 377 (MH+)
[ 실시예 32]
(3-(4-(3- 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 페닐 ( 피롤리딘 -1-일) 메타논 ((3-(4-(3- hydroxyphenylamino ) thieno [3,2-d] pyrimidin -6-yl)phenyl)(pyrrolidin-1-yl)methanone)) ( LCB03 -0053)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01
1H-NMR (600 MHz, DMSO-d6); δ 11.09 (brs, 1H), 8.85 (s, 1H), 7.99-7.97 (m, 2H), 7.93 (d, J = 7.2 Hz, 1H), 7.67 (d, J = 7.2 Hz, 1H), 7.63 (t, J = 7.8 Hz, 1H), 7.25 (t, J = 8.4 Hz, 1), 7.17 (s, 1H), 7.12 (d, J = 7.8 Hz, 1H), 6.73 (d, J = 7.2 Hz, 1H), 3.52-3.49 (m, 2H), 3.44-3.42 (m, 2H), 1.91-1.82 (m, 4H); LC-MS 417 (MH+)
[ 실시예 33]
N,N- 다이에틸 -3-(4-(3- 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벤즈아마이드 (N,N- diethyl -3-(4-(3- hydroxyphenylamino ) thieno [3,2-d] pyrimidin -6-yl)benzamide)) ( LCB03 -0054)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02
1H-NMR (600 MHz, DMSO-d6); δ 8.82 (s, 1H), 7.99 (s, 1H), 7.91 (d, J = 7.8 Hz, 1H), 7.82 (s, 1H), 7.63 (t, J = 7.8 Hz, 1H), 7.50 (d, J= 7.2 Hz, 1H), 7.24 (t, J = 7.8 Hz, 1H), 7.17 (s, 1H), 7.12 (d, J = 7.2 Hz, 1H), 6.70 (d, J= 7.2 Hz, 1H), 3.47-3.45 (m, 2H), 3.22-3.21 (m, 2H), 1.19-1.18 (m, 3H), 1.10-1.07 (m, 3H); LC-MS 419 (MH+)
[ 실시예 34]
(3-(4-(3- 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 페닐 (4- 메틸피페라진 -1-일) 메타논 ((3-(4-(3- hydroxyphenylamino ) thieno [3,2-d] pyrimidin -6-yl)phenyl)(4-methylpiperazin-1-yl)methanone)) ( LCB03 -0055)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03
1H-NMR (600 MHz, DMSO-d6); δ 9.70 (brs, 1H), 8.78 (s, 1H), 8.03-7.95 (m, 3H), 7.66-7.59 (m, 2H), 7.23-7.15 (m, 4H), 6.68 (s, 1H), 3.71-3.66 (m, 2H), 3.46-3.39 (m, 2H), 3.16-3.12 (m, 4H), 2.81 (s, 3H); LC-MS 482 (MH+)
[ 실시예 35]
3-(6-(4- 모폴리노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 일아미노 )페놀 (3-(6-(4-morpholino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 LCB03 -0082)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04
1H-NMR (600 MHz, DMSO-d6); δ 9.50(s, 1H), 8.53(s, 1H), 7.71(m, 3H), 7.32(s, 1H), 7.15(m, 2H), 7.06(d, J = 8.82 Hz, 1H), 6.52(d, J = 8.0 Hz, 1H), 3.76(t, J = 4.8 Hz, 4H), 3.23(t, J= 4.8 Hz, 4H); LC-MS 405 (MH+)
[ 실시예 36]
[단계 1]
N-(3-(tert-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6-(4-(피롤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6-(4-(pyrrolidin-1-yl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05
제조예 6에서 합성한 화합물 (1.7 g, 3.68 mmol)과 피롤리딘 (0.46 ml, 5.52 mmol)을 다이클로로에탄 1 ml에 순차적으로 넣고 20분간 교반한 후 초산 나트륨 (0.44 g, 5.52 mmol)과 소디움트라이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 (1.56 g, 7.36 mmol)을 넣고 7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다이클로로메테인 130 ml와 포화된 염화암모늄 수용액 130 ml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농축 후, 관크로마토그래피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1/15)를 시행하여 표제화합물 (1.4 g, 73.7 %)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8.68 (s, 1H), 7.62 (d, J = 8.0 Hz, 2H), 7.58 (s, 1H), 7.41 (d, J= 8.0 Hz, 2H), 7.28-7.24 (m, 1H), 7.17-7.14 (m, 1H), 7.20-7.19 (m, 1H), 6.99 (brs, 1H), 6.76-6.74 (m, 1H), 3.68 (s, 2H), 2.56 (m, 4H), 1.85-1.78 (m, 4H), 1.00 (s, 9H), 0.23 (s, 6H); LC-MS 517 (MH+)
[단계 2]
3-(6-(4-(피롤리딘-1-일메틸)페닐)사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염산염 (3-(6-(4-(pyrrolidin-1-yl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HCl) (LCB03-0034)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06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합물 (15 mg, 0.03 mmol)을 디클로로메테인 1 ml에 녹인 후 4 M 염산/1,4-다이옥산 1 ml을 넣고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뒤 감압농축하였다. 이를 다시 디클로로메테인과 메탄올, 디에틸에테르등을 이용하여 공비농축하고 진공건조하여 옅은 노란색고체의 표제화합물 (12 mg, 94 %)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11.29 (brs, 1H), 11.03 (brs, 1H), 8.84 (s, 1H), 7.96 (s, 1H), 7.94 (d, J = 8.0 Hz, 2H), 7.82 (d, J = 8.0 Hz, 2H), 7.25 (t, J = 8.0 Hz, 2H), 7.17 (s, 1H), 7.12 (d, J = 7.6 Hz, 1H), 6.73 (d, J = 7.2 Hz, 1H), 4.42 (d, J= 6.0 Hz, 2H), 3.39-3.36 (m, 2H), 3.08-3.04 (m, 2H), 2.02-1.89 (m, 4H); LC-MS: 403 (MH+)
상기 실시예 36과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의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 실시예 37]
[단계 1]
메틸 1-(4-(4-(3-(tert-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질)피롤리딘-2-카복실레이트 (methyl 1-(4-(4-(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benzyl)pyrrolidine-2-carboxylat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07
1H-NMR (600 MHz, CDCl3); δ 8.67 (s, 1H), 7.60 (d, J = 7.8 Hz, 2H), 7.57 (s, 1H), 7.39 (d, J= 7.8 Hz, 2H), 7.24-7.23 (m, 2H), 7.17 (t, J = 2.4 Hz, 1H), 7.13-7.12 (m, 1H), 6.74-6.72 (m, 1H), 3.94 ( d, J = 7.2 Hz, 1H), 3.64 (s, 3H), 3.57 (d, J = 7.2 Hz, 1H), 3.28-3.25 (m, 1H), 3.05-3.02 (m, 1H), 2.37 (q, J = 8.4 Hz, 1H), 2.15-2.12 (m, 1H), 1.98-1.76 (m, 3H), 1.04 (s, 9H), 0.23 (s, 6H); LC-MS 575 (MH+)
[단계 2]
메틸 1-(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질)피롤리딘-2-카복실레이트 염산염 (methyl 1-(4-(4-(3-hydr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benzyl)pyrrolidine-2-carboxylate, HCl) (LCB03-0056)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08
1H-NMR (600 MHz, DMSO-d6); δ 10.75 (brs, 1H), 9.72 (brs, 1H), 8.79 (s, 1H), 7.94 (s, 1H), 7.92 (d, J = 7.8 Hz, 2H), 7.69 (d, J = 6.6 Hz, 2H), 7.20 (t, J = 7.8 Hz, 1H), 7.16 (s, 1H), 7.10 (d, J = 7.2 Hz, 1H), 6.78 (d, J= 7.2 Hz, 1H), 4.57-4.40 (m, 3H), 3.46-3.44 (m, 2H), 3.28-3.27 (m, 1H), 2.03-2.02 (m, 2H), 1.89-1.88 (m, 1H); LC-MS: 461 (MH+)
[ 실시예 38]
[단계 1]
N-(3-(터트-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6-(4-((4-메틸피페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6-(4-((4-methylpiperidin-1-yl)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09
1H-NMR (600 MHz, CDCl3); δ 7.63 (d, J = 7.8 Hz, 2H), 7.59 (s, 1H), 7.40 (d, J = 8.4 Hz, 2H), 7.28 (t, J = 8.4 Hz, 1H), 7.20-7.19 (m, 2H), 7.16-7.15 (m, 1H), 6.75 (dd, J = 2.4, 8.4 Hz, 1H), 6.73 (brs, 1H), 3.52 (s, 2H), 2.86-2.84 (m, 2H), 2.10-1.94 (m, 3H), 1.62-1.60 (m, 4H), 1.00 (s, 9H), 0.93 (d, J = 7.2 Hz, 3H), 0.09 (s, 6H); LC-MS 545 (MH+)
[단계 2]
3-(6-(4-((4-메틸피페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염산염 (3-(6-(4-((4-methylpiperidin-1-yl)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HCl) (LCB03-0058)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10
1H-NMR (600 MHz, DMSO-d6); δ 8.79 (s, 1H), 8.00-7.95 (m, 3H), 7.78 (d, J = 7.8 Hz, 1H), 7.14 (d, J = 7.8 Hz, 1H),6.70-6.69 (m, 1H), 4.32 (d, J = 4.8 Hz, 2H), 3.32-3.31 (m, 1H), 2.93-2.88 (m, 1H), 1.80-1.76 (m, 2H), 1.49-1.43 (m, 2H), 1.10-1.09 (m, 1H), 0.91 (d, J = 6.0 Hz, 3H); LC-MS: 431 (MH+)
[ 실시예 39]
[단계 1]
N-(3-(tert-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6-(4-(피롤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6-(4-(pyrrolidin-1-yl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11
1H-NMR (600 MHz, CDCl3); δ 8.67 (s, 1H), 7.60 (d, J = 7.8 Hz, 2H), 7.59 (s, 1H), 7.48 (d, J = 8.4 Hz, 2H), 7.28-7.23 (m, 1H), 7.20-7.19 (m, 1H), 7.18-7.17 (m, 1H), 7.15-7.13 (m, 1H), 6.76-6.75 (m, 1H), 3.83 (s, 2H), 2.51-2.50 (m, 2H), 2.04-2.02 (m, 1H), 1.67-1.65 (m, 1H), 1.60-1.58 (m, 2H), 1.35-1.32 (m, 2H), 1.07 (d, J = 6.6 Hz, 6H), 1.00 (s, 9H), 0.23 (s, 6H); LC-MS 559 (MH+)
[단계 2]
3-(6-(4-(((2R,6S)-2,6-다이메틸피페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염산염 (3-(6-(4-(((2R,6S)-2,6-dimethylpiperidin-1-yl)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HCl) (LCB03-0059)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12
1H-NMR (600 MHz, DMSO-d6); δ 8.78 (s, 1H), 7.99-7.93 (m, 3H), 7.78 (d, J = 8.4 Hz, 1H), 7.74 (d, J= 8.4 Hz, 1H), 7.24-7.21 (m, 2H), 7.14-7.13 (m, 1H), 6.89-6.88 (m, 1H), 4.56 (s, 1H), 4.39 (s, 1H), 3.38-3.36 (m, 2H), 3.09-3.08 (m, 1H), 1.85-1.82 (m, 1H), 1.76-1.70 (m, 3H), 1.68-1.60 (m, 1H), 1.56 (d, J = 6.0 Hz, 3H), 1.30 (d, J = 6.6 Hz, 3H); LC-MS: 445 (MH+)
[ 실시예 40]
[단계 1]
1-(4-(4-(3-(tert-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질)피롤리딘-2-카복사마이드 (1-(4-(4-(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benzyl)pyrrolidine-2-carboxamid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13
1H-NMR (600 MHz, CDCl3); δ 8.72 (s, 1H), 7.66 (d, J = 7.8 Hz, 2H), 7.60 (s, 1H), 7.38 (d, J = 7.8 Hz, 2H), 7.29 (t, J = 7.2 Hz, 1H), 7.20-7.15 (m, 2H), 6.87 (brs, 1H), 6.76 (dd, J = 2.4, 8.4 Hz, 1H), 5.40 (s, 1H), 3.98 (d, J = 13.8 Hz, 1H), 3.55 (d, J = 13.8 Hz, 1H), 3.22 (dd, J = 5.4, 10.2 Hz, 1H), 3.08-3.00 (m, 1H), 2.40-2.35 (m, 1H), 2.29-2.24 (m, 1H), 2.08-1.94 (m, 2H), 1.84-1.76 (m, 2H), 1.00 (s, 9H), 0.25 (s, 6H); LC-MS 560 (MH+)
[단계 2]
1-(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질)피롤리딘-2-카복사마이드 염산염 (1-(4-(4-(3-hydr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benzyl)pyrrolidine-2-carboxamide. HCl) (LCB03-0068)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14
1H-NMR (400 MHz, DMSO-d6); δ 9.78 (brs, 1H), 8.81 (s, 1H), 8.06 (s, 1H), 7.97 (s, 1H), 7.93 (d, J = 8.0 Hz, 2H), 7.70-7.68 (m, 1H), 7.46 (brs, 1H), 7.25-7.10 (m, 3H), 6.70 (d, J = 8.0 Hz, 1H), 4.49-4.40 (m, 3H), 4.17 (br, 2H), 3.35-3.32 (m, 2H), 2.08-2.07 (m, 2H), 1.91-1.84 (m, 2H); LC-MS: 446 (MH+)
[ 실시예 41]
[단계 1]
2-(4-(4-(3-(tert-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질아미노)에탄올 (2-(4-(4-(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benzylamino)ethanol)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15
1H-NMR (400 MHz, CDCl3); δ 8.67 (s, 1H), 7.61 (d, J = 8.0 Hz, 2H), 7.57 (s, 1H), 7.39 (d, J= 8.0 Hz, 2H), 7.26 (t, J= 8.0 Hz, 1H), 7.19-7.14 (m, 2H), 6.77-6.74 (m, 1H), 3.88 (s, 2H), 3.66-3.64 (m, 2H), 2.04-2.01 (m, 2H), 1.00 (s, 9H), 0.23 (s, 6H); LC-MS 507 (MH+)
[단계 2]
3-(6-(4-((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염산염 (3-(6-(4-((2-hydroxyethylamino)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HCl) (LCB03-0070)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16
1H-NMR (600 MHz, DMSO-d6); δ 9.23 (brs, 2H), 8.77 (s, 1H), 7.95 (s, 1H), 7.94 (d, J = 7.2 Hz, 2H), 7.72 (d, J= 7.2 Hz, 2H), 7.23-7.20 (m, 2H), 7.14-7.13 (m, 1H), 6.67 -6.66 (m, 1H), 4.23 (t, J= 5.4 Hz, 2H), 3.72-3.67 (m, 2H), 2.99-2.98 (m, 2H); LC-MS 393 (MH+)
[ 실시예 42]
6-(4-( 피롤리딘 -1- 일메틸 ) 페닐 )-N-(3-( 트라이플로로메틸 ) 페닐 ) 싸이에노 [3,2 - d]피리미딘-4-아민 (6-(4-( pyrrolidin -1- ylmethyl ) phenyl )-N-(3-(trifluoro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 ( LCB03 -0077)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17
1H-NMR (400 MHz, CDCl3); δ 8.76 (s, 1H), 7.99 (s, 1H), 7.89 (d, J =8Hz, 1H), 7.66-7.63 (m, 3H), 7.53 (t, J=8Hz, 1H), 7.44 (m, 3H), 7.05 (br, 1H), 3.68 (s, 2H), 2.55 (s, 4H), 1.81 (s, 4H); LC-MS 454 (MH+)
[ 실시예 43]
N-(3-( 다이플로로메틸 ) 페닐 )-6-(4-( 피롤리딘 -1- 일메틸 )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아민 (N-(3-( difluoromethyl ) phenyl )-6-(4-( pyrrolidin -1-yl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 ( LCB03 -0078)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18
1H-NMR (400 MHz, CDCl3); δ 8.75 (s, 1H), 7.87 (s, 1H), 7.79 (d, J= 8.0 Hz, 1H), 7.69-7.63 (m, 3H), 7.51 (m, 2H), 7.36 (d, J = 8.0 Hz, 1H), 6.90(brs, 1H), 6.70 (t, J = 56.4 Hz, 1H), 3.79 (s, 2H), 2.69 (s, 4H), 1.88 (s, 4H); LC-MS 436 (MH+)
[ 실시예 44]
[단계 1]
1-(4-(4-(3-(터트-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아미노)사이에토[3,2-d]피리미딘-6-일)벤질)피롤리딘-3-올 (1-(4-(4-(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benzyl)pyrrolidin-3-ol)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19
1H-NMR (400 MHz, CDCl3); δ 8.69 (s, 1H), 7.63 (d, J =5.2 Hz, 2H), 7.59 (s, 1H), 7.41 (d, J = 5.6 Hz, 2H), 7.28-7.25 (m, 1H), 7.19 (t, J= 1.6 Hz, 1H), 7.15 (d, J = 5.2 Hz, 1H), 6.18 (br, 1H), 6.75 (d, J = 5.2 Hz, 1H), 4.36-4.35 (m, 1H), 3.69 (s, 2H), 2.93-2.89 (m, 1H), 2.72 (d, J = 6.4 Hz, 1H), 2.59-2.56 (m, 1H), 2.36-2.33 (m, 1H), 2.25-2.19 (m, 1H), 2.04-2.02 (m, 1H), 1.80-1.76 (m, 1H), 1.00 (s, 9H), 0.24 (s, 6H); LC-MS 533.2 (MH+)
[단계 2]
1-(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질)피롤리딘-3-올 염산염 (1-(4-(4-(3-hydr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benzyl)pyrrolidin-3-ol. HCl) (LCB03-0072)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20
1H-NMR (400 MHz, DMSO-d6); δ 10.82 (br, 1H), 9.71 (br, 1H), 8.74 (s, 1H), 7.96 (m, 3H), 7.76 (m, 2H), 7.20 (m, 3H), 6.65 (d, J=8.4Hz, 1H), 4.45 (m, 4H), 3.71-3.43 (m, 3H), 2.40 (m, 1H), 2.13 (m, 1H), 2.02 (m, 1H) ); LC-MS 419.2 (MH+)
[ 실시예 45]
3-(6-(4-((2-( 하이드록시메틸 ) 피롤리딘 -1-일) 메틸 )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 일아미노 )페놀 염산염 (3-(6-(4-((2-( hydroxymethyl ) pyrrolidin -1-yl)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HCl ) ( LCB03 -0057)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21
1H-NMR (400 MHz, DMSO-d6); δ 8.89 (s, 1H), 8.02 (s, 1H), 8.17-7.98 (m, 2H), 7.77-7.76 (m, 2H), 7.30-7.27 (m, 1H), 7.26 (s, 1H), 7.17 (d, J = 7.2 Hz, 1H), 6.75 (d, J= 7.2 Hz, 1H), 4.69 (dd, J = 2.8, 8.8 Hz, 1H), 4.38 (dd, J = 4.4, 8.8 HZ, 1H), 3.75-3.64 (m, 3H), 3.32-3.31 (m, 1H), 3.21-3.17 (m, 1H), 2.18-2.13 (m, 1H), 2.02-2.00 (m, 1H), 1.91-1.80 (m, 2H); LC-MS: 433 (MH+)
[ 실시예 46]
1-(4-(4-(3- 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벤질) 피롤리딘 -2- 카복실산 염산염 (1-(4-(4-(3- hydroxyphenylamino ) thieno [3,2-d] pyrimidin -6-yl)benzyl)pyrrolidine-2-carboxylic acid . HCl ) ( LCB03 -0069)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22
1H-NMR (400 MHz, DMSO-d6); δ 8.65 (s, 1H), 7.98 (s, 1H), 7.96 (d, J= 8.4 Hz, 2H), 7.68 (d, J= 8.4 Hz, 2H), 7.27 (s, 1H), 7.18-7.17 (m, 2H), 6.59-6.58 (m, 1H), 4.55-4.39 (m, 2H), 3.45-3.40 (m, 3H), 2.51-2.49 (m, 2H); LC-MS: 447 (MH+)
[ 실시예 47]
4-(4-(3- 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N-(1- 하이드록시프로판 -2-일) 벤즈아마이드 염산염 (4-(4-(3- hydroxyphenylamino ) thieno [3,2-d]pyrimidin-6-yl)-N-(1-hydroxypropan-2-yl)benzamide. HCl )) ( LCB03 -0074)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23
1H-NMR (400 MHz, DMSO-d6); δ 10.65 (brs, 1H), 8.80 (s, 1H), 8.29 (d, J= 8.0 Hz, 1H), 8.04-7.95 (m, 4H),7.24 ( d, J = 8.0 Hz, 1H), 7.21 (s, 1H), 7.14 (d, J = 7.6 Hz, 1H), 6.68 (d, J = 8.4 Hz, 1H), 4.07-4.02 (m, 1H), 3.52-3.49 (m, 2H), 1.10 (d, J = 8.0 Hz, 3H); LC-MS 421 (MH+)
[ 실시예 48]
[단계 1]
N-(3-(터트-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6-(3-(피페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6-(3-(piperidin-1-yl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24
1H-NMR (400 MHz, CDCl3); δ 8.70 (s, 1H), 7.66 (s, 1H), 7.62 (s, 1H), 7.57-7.56 (m, 1H), 7.39-7.38 (m, 2H), 7.27-7.25 (m, 1H), 7.21 (m, 1H), 7.17-7.16 (m, 1H), 6.76-6.73 (m, 2H), 3.52 (s, 2H), 2.41-2.39 (m, 4H), 1.62-1.58 (m, 4H), 1.45-1.44 (m, 2H), 1.00 (s, 9H), 0.24 (s, 6H);LC-MS 531 (MH+)
[단계 2]
3-(6-(3-(피페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염산염 (3-(6-(3-(piperidin-1-yl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HCl) (LCB03-0060)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25
1H-NMR (400 MHz, DMSO-d6); δ 10.54 (br, 1H), 9.65 (br, 1H), 8.76 (s, 1H), 8.23 (s, 1H), 7.95 (s,1H), 7.89 (m, 1H), 7.70-7.69 (m, 1H), 7.66-7.63 (t, J = 5.2 Hz, 1H), 7.21 (m, 2H), 7.14 (d, J = 4.8 Hz, 1H), 6.65 (m, 1H), 4.36 (s, 2H), 3.40-3.32 (m, 4H), 1.79 (m, 4H), 1.37 (m, 2H); LC-MS 417 (MH+)
[ 실시예 49]
[단계 1]
N-(3-(터트-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6-(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6-(3-((4-methylpiperazin-1-yl)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26
1H-NMR (400 MHz, CDCl3); δ 8.70 (s, 1H), 7.66 (s, 1H), 7.62 (s, 1H), 7.59-7.57 (m,1H), 7.40-7.37 (m, 2H), 7.27-7.25 (m, 1H), 7.22-7.21 (m, 1H), 7.18-7.16 (m, 1H), 6.78 (br, 1H), 6.76-6.73 (m, 1H), 3.64 (s, 2H), 2.65-2.64 (m, 4H), 2.44 (s, 3H), 1.47-1.45 (m, 4H), 1.00 (s, 9H), 0.24 (s, 6H);LC-MS 546.2 (MH+)
[단계 2]
3-(6-(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염산염 (3-(6-(3-((4-methylpiperazin-1-yl)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HCl) (LCB03-0061)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27
1H-NMR (400 MHz, DMSO-d6); δ 10.54 (br, 1H), 9.65 (brs, 1H), 8.84 (s, 1H), 7.94 (s, 1H), 7.87 (m, 1H), 7.76 (m, 1H), 7.64 (t, J = 4.8 Hz, 1H), 7.26-7.23 (m, 2H), 7.18 (m, 1H), 7.14-7.12 (m, 1H), 6.72 (m, 1H), 3.76 (s, 2H), 2.81-2.80 (m, 4H), 2.47 (s, 3H), 1.41 (m, 4H); LC-MS 432 (MH+)
[ 실시예 50]
[단계 1]
N-(3-(터트-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6-(3-(피롤리딘-1-일메틸)페닐(사이에토[3,2-d]피리미딘-4-아민 (N-(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6-(3-(pyrrolidin-1-yl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28
1H-NMR (400 MHz, CDCl3); δ 8.70 (s, 1H), 7.73 (s, 1H), 7.62-7.60 (m, 2H), 7.46-7.40 (m, 2H), 7.29-7.25 (m, 1H), 7.22 (m, 1H), 7.18-7.17 (m, 1H), 6.88 (br, 1H), 6.75-6.73 (m, 1H), 3.79 (s, 2H), 2.68-2.65 (m, 4H), 1.87-1.85 (m, 4H), 1.00 (s, 9H), 0.24 (s, 6H); LC-MS 518 (MH+)
[단계 2]
3-(6-(3-(피롤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염산염 (3-(6-(3-(pyrrolidin-1-yl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HCl) (LCB03-0062)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29
1H-NMR (400 MHz, DMSO-d6); δ 11.22 (br, 1H), 9.65 (br, 1H), 8.81 (s, 1H), 8.27 (s, 1H), 7.96 (s, 1H), 7.86 (m, 1H), 7.75-7.73 (m, 1H), 7.64 (t, J = 4.8 Hz, 1H), 7.25-7.22 (m, 2H), 7.14-7.12 (m, 1H), 6.69 (m, 1H), 4.45 (d J = 4.0 Hz, 2H), 3.51-3.46 (m, 2H), 3.38-3.37 (m, 2H), 2.04 (m, 2H), 1.91 (m, 2H); LC-MS 403 (MH+)
[ 실시예 51]
[단계 1]
N-(3-(터트-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6-(3-((다이에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6-(3-((diethylamino)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30
1H-NMR (400 MHz, CDCl3); δ 8.68 (s, 1H), 7.67 (s, 1H), 7.62-7.58 (m, 2H), 7.47-7.39 (m, 2H), 7.28-7.24 (m,1H), 7.20-7.16 (m, 2H), 6.76-6.73 (m, 1H), 3.76 (s, 2H), 2.70-2.68 (m, 4H), 1.15 (t, J= 7.2 Hz, 6H), 0.99 (s, 9H), 0.24 (s, 6H); LC-MS 519.2 (MH+)
[단계 2]
3-(6-(3-((다이에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염산염 (3-(6-(3-((diethylamino)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HCl) (LCB03-0063)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31
1H-NMR (400 MHz, DMSO-d6); δ 10.86 (brs 1H), 9.79 (m, 1H), 8.81 (s, 1H), 8.32 (s, 1H), 7.97 (s, 1H), 7.87 (s, 1H), 7.75 (s, 1H), 7.64 (s, 1H), 7.21 (m, 2H), 7.14 (s, 1H),6.68 (s, 1H) 4.39 (s, 2H), 3.08 (m, 4H), 1.28 (s, 6H); LC-MS 405 (MH+)
[ 실시예 52]
[단계 1]
터트-부틸 4-(3-(4-(3-(터트-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아미노)사이에토[3,2-d]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tert-butyl 4-(3-(4-(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benzyl)piperazine-1-carboxylat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32
1H-NMR (400 MHz, CDCl3); δ 8.70 (s, 1H), 7.73 (s, 1H), 7.62-7.60 (m, 2H), 7.46-7.40 (m, 2H), 7.29-7.25 (m, 1H), 7.21 (m, 1H), 7.18-7.16 (m, 1H), 6.84 (br, 1H), 6.76-6.73 (m, 1H), 3.56 (d, J =3.6Hz, 2H), 3.45 (m, 4H), 2.42 (m, 4H), 1.46 (s, 9H), 1.00 (s, 9H), 0.24 (s, 6H); LC-MS 632.5 (MH+)
[단계 2]
3-(6-(3-(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염산염 (3-(6-(3-(piperazin-1-yl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HCl) (LCB03-0064)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33
1H-NMR (400 MHz, DMSO-d6); δ 10.75 (br, 1H), 9.44 (br, 1H), 8.80 (s, 1H), 8.24 (s, 1H), 7.95 (s, 1H), 7.89 (d, J = 5.2 Hz, 1H), 7.74 (d, J = 4.4 Hz, 1H), 7.65 (t, J = 5.2 Hz, 1H), 7.23 (t, J= 5.6 Hz, 1H), 7.19 (s, 1H), 7.13 (d, J = 5.2 Hz, 1H), 6.69 (d, J = 5.2 Hz, 1H), 3.76 (s, 2H), 2.81-2.80 (m, 4H), 2.47 (m, 4H); LC-MS 418 (MH+)
[ 실시예 53]
[단계 1]
N-(3-(터트-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6-(3-((에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6-(3-((ethylamino)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34
1H-NMR (400 MHz, CDCl3); δ 8.70 (s, 1H), 7.67 (s, 1H), 7.62 (s,1H), 7.57-7.55 (m, 1H), 7.42-7.38 (m, 1H), 7.29-7.25 (m, 1H), 7.21 (t, J =1.2 Hz, 1H), 7.17 (m, 1H), 6.75-6.73 (m, 2H), 3.87 (s, 2H), 2.74 (q, J =4.8Hz, 2H), 1.18 (t, J=4.8Hz, 3H), 1.00 (s, 9H), 0.24 (s, 6H); LC-MS 491.2 (MH+)
[단계 2]
3-(6-(3-((에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염산염 (3-(6-(3-((ethylamino)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HCl) (LCB03-0065)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35
1H-NMR (400 MHz, DMSO-d6); δ 9.68 (br, 1H), 9.24 (br, 1H), 8.78 (s, 1H), 8.14 (s, 1H), 7.93 (s, 1H), 7.88 (m, 1H), 7.67 (m, 1H), 7.63 (m, 1H), 7.22 (m, 2H), 7.14 (m, 1H), 6.68 (m, 1H), 4.23 (m, 2H), 3.01 (m, 2H), 1.25 (t, J = 4.8 Hz, 3H); LC-MS 377 (MH+)
[ 실시예 54]
[단계 1]
N-(3-(터트-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6-(3-(모폴리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6-(3-(morpholino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36
1H-NMR (400 MHz, CDCl3); δ 8.69 (s, 1H), 7.73 (s, 1H), 7.62-7.60 (m, 2H), 7.46-7.40 (m, 2H), 7.29 (m, 1H), 7.25-7.24 (m, 2H), 7.21-7.19 (m, 1H), 6.73-6.71 (m, 1H), 3.73 (t, J =2.8 Hz, 4H), 3.55 (s, 2H), 2.48 (br, 4H), 0.99 (s, 9H), 0.24 (s, 6H); LC-MS 533.5 (MH+)
[단계 2]
3-(6-(3-(모폴리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염산염 (3-(6-(3-(morpholino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HCl) (LCB03-0066)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37
1H-NMR (400 MHz, DMSO-d6); δ 10.86 (br, 1H), 9.80 (br, 1H), 8.81 (s, 1H), 8.28 (s,1H), 7.95 (s, 1H), 7.90 (d, J = 7.6 Hz, 1H), 7.73 (d, J = 7.6 Hz, 1H), 7.65 (t, J = 8.0 Hz, 1H), 7.25-7.19 (m, 2H), 7.13 (d, J = 8.0 Hz, 1H), 6.69 (d, J= 7.6 Hz, 1H), 4.44 (s, 2H), 3.93-3.85 (m, 3H), 3.82 (t, J = 12 Hz, 1H), 2.48 (br, 4H); LC-MS 419 (MH+)
[ 실시예 55]
[단계 1]
N-(3-(터트-부틸다이메티실릴옥시)페닐)-6-(3-((아이소부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6-(3-((isobutylamino)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38
1H-NMR (400 MHz, CDCl3); δ 8.69 (s, 1H), 7.66 (s, 1H), 7.61 (s, 1H), 7.55 (d, J= 4.4 Hz, 1H), 7.40-7.38 (m, 2H), 7.26 (t, J = 5.2 Hz, 1H), 7.20 (t, J =1.2 Hz, 1H), 7.16 (d, J= 5.2 Hz, 1H), 7.08 (br, 1H), 6.75 (d, J = 4.4 Hz, 1H), 3.85 (s, 2H), 2.47 (d, J =4.8 Hz, 2H), 1.79 (m, 1H), 0.99 (s, 9H), 0.94 (d, J = 4.4 Hz, 6H), 0.24 (s, 6H); LC-MS 519 (MH+)
[단계 2]
3-(6-(3-((아이소부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염산염 (3-(6-(3-((isobutylamino)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HCl) (LCB03-0067)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39
1H-NMR (400 MHz, DMSO-d6); δ 10.82 (br, 1H), 9.71 (br, 1H), 9.27 (br, 1H), 8.81 (s, 1H), 8.21 (s, 1H), 7.94 (s, 1H), 7.87 (d, J = 7.6 Hz, 1H), 7.71 (d, J = 7.2 Hz, 1H), 7.62 (t, J = 7.2 Hz, 1H), 7.25-7.19 (m, 2H), 7.13 (d, J = 7.6 Hz, 1H), 6.70 (d, J= 8.8 Hz, 1H), 4.25 (s, 2H), 2.77-2.75 (m, 2H), 2.06-2.05(m, 1H), 0.96 (d, J = 6.4 Hz, 6H); LC-MS 405 (MH+)
[ 실시예 56]
[단계 1]
N-(3-(터트-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6-(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6-(furan-2-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40
제조예 5에서 합성한 화합물 (0.1 mg, 0.23 mmol), 2-퓨란보론산 (2-furanboronic acid) (33 mg, 0.27 mmol), 팔라듐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 (53 mg, 0.04 mmol), 2N 탄산나트륨 (0.23 ml, 0.46 mmol)을 1,4-다이옥산 2 ml 에 넣고 2시간동안 환류교반 시켰다. 반응액에 포화된 탄산수소나트륨 50 ml와 다이클로로메테인 50 ml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유기층을 포화된 탄산수소나타륨 50 ml로 2회 더 추출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을 이용하여 건조하고 감압농축 후 관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n-헥세인, 1/3)를 이용하여 표제화합물 (76.3 mg, 78.9 %)을 노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8.68 (s, 1H), 7.51-7.50 (m, 2H), 7.29-7.25 (m, 1H), 7.61-7.12 (m, 2H), 6.81 (brs, 1H), 6.78-6.75 (m, 2H), 6.52-6.51 (m, 1H), 1.00 (s, 9H), 0.23 (s, 6H); LC-MS 422 (MH+)
[단계 2]
3-(6-(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염산염 (3-(6-(furan-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HCl) (LCB03-0038)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41
1H-NMR (400 MHz, DMSO-d6); δ 11.10 (brs, 1H), 8.86 (s, 1H), 8.53 (s, 1H), 7.92 (t, J = 1.8 Hz, 1H), 7.71 (s, 1H), 7.24 (t, J= 8.0 Hz, 1H), 7.13 (s, 1H), 7.10-7.08 (m, 2H), 6.73 (dd, J = 1.6, 8.0 Hz, 1H); LC-MS 310 (MH+)
상기 실시예 56과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 실시예 57]
[단계 1] N-(3-(터트-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6-(퓨란-3-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6-(furan-3-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42
1H-NMR (400 MHz, CDCl3); δ 8.67 (s, 1H), 7.79 (s, 1H), 7.50 (t, J = 1.8 Hz, 1H), 7.37 (s. 1H), 7.28-7.24 (m, 1H), 7.15-7.11 (m, 2H), 6.79 (brs, 1H), 6.77-6.74 (m, 1H), 6.69-6.68 (m, 1H); LC-MS 422 (MH+)
[단계 2]
3-(6-(퓨란-3-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염산염 (3-(6-(furan-3-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HCl) (LCB03-0039)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43
상기 단계 1에서 합성한 화합물 (63 mg, 0.15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1 ml에 녹인 후 4M 염산/1,4-다이옥산 1mL과 메탄올 0.2 ml를 넣은 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 후 반응액을 감압농축하였다. 다이클로로메테인 2 ml, 메탄올 2 ml, 다이클로로메테인 2 ml과 다이에틸에테르 2 ml로 공비농축하고 진공건조하여 표제화합물 (42 mg, 90%)을 노란색의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11.03 (brs, 1H), 8.84 (s, 1H), 7.94 (s, 1H), 7.72 (s, 1H), 7.39 (d, J = 3.6 Hz, 1H), 7.26 (t, J = 8.0 Hz, 1H), 7.12 (s, 1H), 7.09 (d, J = 8.4 Hz, 1H), 6.78-6.74 (m, 2H); LC-MS 310 (MH+)
[ 실시예 58]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6-(5-(피롤리딘-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6-(5-pyrrolidin-1-ylmethyl)thiophen-2-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44
제조예 18에서 얻은 화합물 (24 mg, 0.05 mmol), 피롤리딘 (6.3 ㎕, 0.07 mmol)을 다이클로로에탄 1 ml에 순차적으로 넣고 20분간 교반한 후 초산 나트륨 (13 mg, 0.15 mmol)과 소디움트라이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 (64 mg, 0.30 mmol)을 넣고 7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다이클로로메테인 10 ml와 포화된 염화암모늄 수용액 10 ml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농축 후, 관크로마토그래피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40/1)를 시행하여 표제화합물 (21 mg, 78.6 %)을 노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8.64 (s, 1H), 7.41 (d, J = 8.8 Hz, 2H), 7.43 (s, 1H), 7.38-7.35 (m, 3H), 7.17 (d, J = 3.6 Hz, 1H), 6.89 (d, J = 8.8 HZ, 2H), 6.84-6.83 (m, 3H), 5.02 (s, 2H), 3.92 (s, 2H), 3.79 (s, 3H), 2.78-2.70 (m, 4H), 1.87-1.85 (m, 4H); LC-MS 529 (MH+)
[단계 2]
3-(6-(5-(피롤리딘-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6-(5-(pyrrolidin-1-ylmethyl)thiophen-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TFA) (LCB03-0085)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45
1H-NMR (400 MHz, Acetone-d6); δ 8.59 (s, 1H), 7.26-7.21 (m, 5H), 7.01 (d, J = 3.6 Hz, 1H), 6.84 (d, J = 8.0 Hz, 1H), 6.81 (d, J = 3.6 Hz, 1H), 6.75 (dd, J= 1.6, 8.4 Hz, 1H), 3.81 (s, 2H), 2.69-2.65(m, 4H), 2.04-2.02 (m, 4H); LC-MS 409 (MH+)
상기 실시예 58과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화합물을 합성하였다.
[ 실시예 59]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6-(5-((4-메틸피페라진-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6-(5-((4-methylpiperazin-1-yl)methyl)thiophen-2-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46
1H-NMR (400 MHz, CDCl3); δ 8.67 (s, 1H), 7.39 (s, 1H), 7.37 (d, J= 8.8 Hz, 2H), 7.34-7.29 (m, 2H), 7.18 (d, J = 3.6 Hz, 1H), 7.09-7.07 (m, 1H), 6.91 (d, J = 8.4 Hz, 2H), 6.88 (d, J= 2.8 Hz, 1H), 6.86 (d, J = 2.4 Hz, 1H), 6.73 (brs, 1H), 5.03 (s, 2H), 3.81 (s, 3H), 3.71 (s, 2H), 2.50 (m, 4H), 2.20(s, 3H), 1.62 (m, 4H); LC-MS 558 (MH+)
[단계 2]
3-(6-(5-((4-메틸피페라진-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6-(5-((4-methylpiperazin-1-yl)methyl)thiophen-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TFA) (LCB03-0092)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47
1H-NMR (600 MHz, DMSO-d6); δ 9.90 (brs, 1H), 8.62 (s, 1H), 7.61 (s, 1H), 7.53 (d, J= 3.6 Hz, 1H), 7.24 (s, 1H), 7.18-7.09 (m, 3H), 6.58 (d, J= 7.2 Hz, 1H), 3.86 (s, 2H), 3.47-3.46 (m, 4H), 3.05-3.03 (m, 4H), 2.80 (s, 3H); LC-MS 438 (MH+)
[ 실시예 60]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6-(5-(피페리딘-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6-(5-(piperidin-1-ylmethyl)thiophen-2-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48
1H-NMR (400 MHz, CDCl3); δ 8.67 (s, 1H), 7.39 (s, 1H), 7.37 (d, J= 8.4 Hz, 2H), 7.34-7.29 (m, 2H), 7.19 (d, J = 3.6 Hz, 1H), 7.09-7.07 (m, 1H), 6.91 (d, J = 8.4 Hz, 2H), 6.88-6.86 (m, 2H),6.77 (brs, 1H), 5.03 (s, 2H), 3.81 (s, 3H), 3.68 (s, 2H), 2.46 (m, 4H), 1.62-1.60 (m, 4H), 1.47-1.45 (m, 2H); LC-MS 543 (MH+)
[단계 2]
3-(6-(5-(피페리딘-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6-(5-(piperidin-1-ylmethyl)thiophen-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TFA) (LCB03-0093)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49
1H-NMR (600 MHz, DMSO-d6); δ 9.97 (brs, 1H), 9.98 (brs, 1H), 8.61 (s, 1H), 7.75 (s, 1H), 7.66 (d, J = 3.6 Hz, 1H), 7.38 (d, J = 30 Hz, 1H), 7.25 (s, 1H), 7.18-7.14 (m, 2H), 6.38 (d, J = 8.4 Hz, 1H), 6.57 (d, J = 7.2 Hz, 1H), 4.59 (s, 2H), 3.73-3.70 (m, 2H), 2.93-2.91 (m, 2H), 1.86-1.84 (m, 2H), 1.70-1.62 (m, 3H), 1.38-1.36 (m, 1H); LC-MS 438 (MH+)
[ 실시예 61]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6-(5-(모폴리노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6-(5-(morpholinomethyl)thiophen-2-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50
1H-NMR (400 MHz, CDCl3); δ 8.68 (s, 1H), 7.49 (s, 1H), 7.38-7.31 (m, 4H), 7.08 (dd, J= 1.6, 7.6 Hz, 1H), 6.92 (brs, 1H), 6.90-6.85 (m, 3H), 6.70 (d, J = 3.2 Hz, 1H), 6.35 (d, J = 3.2 Hz, 1H), 5.03 (s, 2H), 3.80 (s, 3H), 3.74-3.72 (m, 4H), 3.62 (s, 2H), 2.56-2.53 (m, 4H); LC-MS 545 (MH+)
[단계 2]
3-(6-(5-(모폴리노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6-(5-(morpholinomethyl)thiophen-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TFA) (LCB03-0096)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51
1H-NMR (400 MHz, Acetone-d6); δ 8.74 (s, 1H), 7.74 (s, 1H), 7.55-7.53 (m, 1H), 7.42-7.41 (m, 1H), 7.35-7.32 (m, 1H), 7.27 (t, J = 8.0 Hz, 1H), 7.20-7.18 (m, 1H), 6.83-6.82 (m, 1H), 4.67 (s, 2H), 3.96-3.94 (m, 4H), 3.35-3.33 (m, 4H); LC-MS 425 (MH+)
[ 실시예 62]
[단계 1]
터트-부틸 4-((5-(4-(3-(4-메톡시벤질옥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싸이오펜-2-일)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tert-butyl 4-((5-(4-(3-(4-methoxybenzyl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thiophen-2-yl)methyl)piperazine-1-carboxylat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52
1H-NMR (400 MHz, CDCl3); δ 8.68 (s, 1H), 7.40 (s, 1H), 7.38 (d, J= 8.4 Hz, 2H), 7.34-7.33 (m, 1H), 7.31 (t, J = 7.8 Hz, 1H), 7.19 (d, J = 3.6 Hz, 1H),6.91 (d, J = 8.4 Hz, 2H), 6.88-6.86 (m, 3H), 6.77 (brs, 1H), 5.04 (s, 2H), 3.81 (s, 3H), 3.72 (s, 2H), 3.44-3.42 (m, 4H), 2.47-2.46 (m, 4H), 1.48 (s, 9H); LC-MS 644 (MH+)
[단계 2]
3-(6-(5-(피페라진-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6-(5-(piperazin-1-ylmethyl)thiophen-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TFA) (LCB03-0094)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53
1H-NMR (400 MHz, Acetone-d6); δ 8.71 (s, 1H), 7.67 (s, 1H), 7.46 (d, J= 3.6 Hz, 1H), 7.38 (s, 1H), 7.29-7.20 (m, 2H), 7.16-7.10(m, 1H), 6.84-6.78 (m, 1H), 4.04 (s, 2H), 3.51-3.43 (m, 4H), 3.05-3.04 (m, 4H); LC-MS 538 (MH+)
[ 실시예 63]
[단계 1]
6-(5-((에틸아미노)메틸)싸이오펜-2-일)-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6-(5-((ethylamino)methyl)thiophen-2-yl)-N-(3-(4-methoxybenzyloxy)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54
1H-NMR (400 MHz, CDCl3); δ 8.67 (s, 1H), 7.39 (s, 1H), 7.37 (d, J= 7.8 Hz, 2H), 7.34-7.29 (m, 2H), 7.20 (d, J = 3.6 Hz, 1H), 7.07 (d, J = 7.8 Hz, 1H), 6.91 (d, J = 7.2 Hz, 2H), 6.90 (d, J = 3.6 Hz, 1H), 6.87 (d, J = 7.8 Hz, 1H), 6.75 (brs, 1H), 5.03 (s, 1H), 4.00 (s, 2H), 3.81 (s, 3H), 2.74 (q, J = 7.2 Hz, 2H), 1.17 (t, J = 7.2 Hz, 3H; LC-MS 503 (MH+)
[단계 2]
3-(6-(5-((에틸아미노)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6-(5-((ethylamino)methyl)thiophen-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TFA) (LCB03-0095)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55
1H-NMR (600 MHz, Acetone-d6); δ 8.65 (s, 1H), 7.60 (s, 1H), 7.47-7.42 (m, 3H), 7.23-7.21 (m, 3H), 6.74-6.73 (m, 1H), 4.64 (s, 2H), 3.32-3.30 (m, 2H), 1.39 (t, J = 6.4 Hz, 3H); LC-MS 383 (MH+)
[ 실시예 64]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6-(5-(피롤리딘-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6-(5-(pyrrolidin-1-ylmethyl)furan-2-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56
1H-NMR (600 MHz, Acetone-d6); δ 8.74 (brs, 1H), 8.62 (s, 1H), 7.73 (s, 1H), 7.57 (s, 1H), 7.43 (d, J =8.4 Hz, 2H), 7.40 (d, J = 7.8 Hz, 1H), 7.27 (t, J = 8.4 Hz, 1H), 7.00 (d, J = 3.0 Hz, 1H), 6.95 (d, J= 8.4 Hz, 2H), 6.80-6.78 (m, 1H), 6.55 (s, 1H), 5.07 (s, 2H), 3.84 (s, 2H), 3.80 (s, 3H), 3.59-3.57 (m, 3H), 2.65 (brm 5H); LC-MS 513 (MH+)
[단계 2]
3-(6-(5-(피롤리딘-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6-(5-(pyrrolidin-1-ylmethyl)furan-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TFA) (LCB03-0086)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57
1H-NMR (600 MHz, CDCl3); δ 8.60 (s, 1H), 7.31 (s, 1H), 7.27-7.26 (m, 1H), 7.22 (t, J = 7.8 Hz, 1H), 6.81 (d, J = 7.8 Hz, 1H), 6.82 (brs, 1H), 6.69 (dd, J = 2.4, 8.4 Hz, 1H), 6.60 (d, J = 3.0 Hz, 1H), 6.31 (d, J= 3.0 Hz, 1H), 3.76 (s, 2H), 2.78-2.77 (m, 4H), 1.88-1.86 (m, 4H); LC-MS 330 (MH+)
[ 실시예 65]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6-(5-((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6-(5-((4-methylpiperazin-1-yl)methyl)furan-2-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58
1H-NMR (400 MHz, Acetone-d6); δ 8.72 (brs, 1H), 8.62 (s, 1H), 7.74 (t, J = 2.0 Hz, 1H), 7.55 (s, 1H), 7.44-7.40 (m, 3H), 7.27 (t, J = 8.0 Hz, 1H), 6.99 d, J = 3.2 Hz, 1H), 6.95 (d, J = 8.8 Hz, 2H), 6.79 (dd, J = 2.4, 8.4 Hz, 1H), 6.48 (d, J = 3.6 Hz, 1H), 5.07 (s, 2H), 3.80 (s, 3H), 3.61 (s, 2H), 2.51-2.21 (m, 8H), 2.20 (s, 3H); LC-MS 542 (MH+)
[단계 2]
3-(6-(5-((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6-(5-((4-methylpiperazin-1-yl)methyl)furan-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TFA) (LCB03-0087)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59
1H-NMR (600 MHz, Acetone-d6); δ 8.70 (brs, 1H), 8.61 (s, 1H), 7.58-7.53 (m, 2H), 7.28 (s, 1H), 7.21 (t, J = 8.4 H, 1H), 7.02 (s, 1H), 6.66 (d, J = 7.8 Hz, 1H), 6.55 (s, 1H), 3.72 (s, 2H), 2.88-2.86 (m, 4H), 2.60-2.58 (m, 4H), 2.27 (s, 3H); LC-MS 422 (MH+)
[ 실시예 66]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6-(5-(피페리딘-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6-(5-(piperidin-1-ylmethyl)furan-2-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66
1H-NMR (400 MHz, Acetone-d6); δ 8.71 (brs, 1H), 8.62 (s, 1H), 7.74 (t, J = 2.0 Hz, 1H), 7.54 (s, 1H), 7.44-7.39 (m, 4H), 7.28 (t, J = 8.0 Hz, 1H), 6.98 (d, J = 2.4 Hz, 1H), 6.95 (d, J = 8.8 Hz, 2H), 6.80-6.77 (m, 1H), 6.45 (d, J= 3.2 Hz, 1H), 5.07 (s, 2H), 3.80 (s, 3H), 3.57 (s, 2H), 2.46-2.45 (m, 4H), 1.59-1.53 (m, 4H), 1.42-1.41 (m, 2H); LC-MS 527 (MH+)
[단계 2]
3-(6-(5-(피페리딘-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6-(5-(piperidin-1-ylmethyl)furan-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TFA) (LCB03-0088)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60
1H-NMR (400 MHz, Acetone-d6); δ 8.66 (s, 1H), 7.71 (s, 1H), 7.58 (s, 1H), 7.23-7.22 (m, 2H), 7.11 (d, J = 4.8 Hz, 1H), 6.93 (d, J= 4.8 Hz, 1H), 6.72-6.70 (m, 1H), 4.51 (s, 2H), 3.61 (brm, 6H), 1.93-1.91 (m, 4H); LC-MS 407 (MH+)
[ 실시예 67]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6-(5-(모폴리노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6-(5-(morpholinomethyl)furan-2-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61
1H-NMR (400 MHz, CDCl3); δ 8.68 (s, 1H), 7.49 (s, 1H), 7.38-7.31 (m, 4H), 7.08 (dd, J = 1.6, 7.6 Hz, 1H), 6.92 (brs, 1H), 6.90-6.85 (m, 3H), 6.70 (d, J = 3.2 Hz, 1H), 6.35 (d, J = 3.2 Hz, 1H), 5.03 (s, 2H), 3.80 (s, 3H), 3.74-3.72 (m, 4H), 3.62 (s, 2H), 2.56-2.53 (m, 4H); LC-MS 529 (MH+)
[단계 2]
3-(6-(5-(모폴리노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6-(5-(morpholinomethyl)furan-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TFA) (LCB03-0089)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62
1H-NMR (400 MHz, CDCl3); δ 8.69 (s, 1H), 7.75 (s, 1H), 7.45 (s, 1H), 7.23 (d, J= 5.2 Hz, 2H), 7.09 (d, J = 3.2 H, 1H), 6.90 (d, J = 3.6 Hz, 1H), 6.76-6.71 (m, 1H), 4.48 (s, 2H), 3.94-3.93 (m, 4H), 3.34-3.31 (m, 4H); LC-MS 409 (MH+)
[ 실시예 68]
[단계 1]
터트-부틸 4-((5-(4-(3-(4-메톡시벤질옥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퓨란-2-일)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tert-butyl 4-((5-(4-(3-(4-methoxybenzyl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furan-2-yl)methyl)piperazine-1-carboxylat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63
1H-NMR (400 MHz, CDCl3); δ 8.67 (s, 1H), 7.47 (s, 1H), 7.37-7.34 (m, 4H), 7.28 (t, J = 8.0 Hz, 1H), 7.10-7.08 (m, 1H), 6.91-6.85 (m, 3H), 6.90 (d, J = 3.2 Hz, 1H), 6.33 (d, J = 3.6 Hz, 1H), 5.02 (s, 2H), 3.80 (s, 3H), 3.63 (s, 2H), 3.48-3.44 (m, 4H), 2.49-2.47 (m, 4H), 1.45 (s, 9H); LC-MS 628 (MH+)
[단계 2]
3-(6-(5-(피페라진-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6-(5-(piperazin-1-ylmethyl)furan-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TFA) (LCB03-0090)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64
1H-NMR (400 MHz,Acetone-d6); δ 8.76 (brs, 1H), 7.74 (s, 1H),7.37-7.36 (m, 1H), 7.28 (t, J = 7.6 Hz, 1H), 7.20-7.28 (m, 1H), 7.12-7.10 (m, 2H), 6.84-6.82 (m, 2H), 6.67 (d, J = 3.2 Hz, 1H), 3.95 (s, 2H), 3.53 (m, 4H), 3.14 (m, 4H); LC-MS 408 (MH+)
[ 실시예 69]
[단계 1]
6-(5-((에틸아미노)메틸)퓨란-2-일)-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6-(5-((ethylamino)methyl)furan-2-yl)-N-(3-(4-methoxybenzyloxy)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65
1H-NMR (400 MHz, CDCl3); δ 8.67 (s, 1H), 7.46 (s, 1H), 7.38-7.28 (m, 4H), 7.08 (dd, J = 1.2, 8.0 Hz, 1H), 6.90 (d, J = 8.8 Hz, 2H), 6.86 (dd, J = 1.6, 7.6 Hz, 1H), 6.68 (d, J= 3.0 Hz, 1H), 6.32 (d, J = 3.2 Hz, 1H), 5.02 (s, 2H), 3.87 (s, 2H), 3.80 (s, 3H), 3.48 (q, J = 7.2 Hz, 2H), 2.74 (q, J = 7.2 Hz, 2H), 1.17 (t, J = 7.2 Hz, 3H); LC-MS 487 (MH+)
[단계 2]
3-(6-(5-((에틸아미노)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6-(5-((ethylamino)methyl)furan-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TFA) (LCB03-0091)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66
1H-NMR (400 MHz, CDCl3); δ 8.67 (brs, 1H), 7.68 (s, 1H), 7.41 (s, 1H), 7.26-7.19 (m, 3H), 7.01 (d, J = 3.2 Hz, 1H), 6.86 (d, J= 3.2 Hz, 1H), 6.75-6.73 (m, 1H), 4.55 (s, 2H), 3.34 (q, J = 6.8 Hz, 2H), 1.41 (t, J = 7.2 Hz, 3H); LC-MS 367 (MH+)
[ 실시예 70]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6-(4-(모폴리노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6-(4-(morpholinomethyl)thiophen-2-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67
1H-NMR (400 MHz, CDCl3); δ 8.68 (s, 1H), 7.44 (s, 1H), 7.38 (d, J = 8.8 Hz, 2H), 7.32 (m, 3H), 7.19 (s, 1H), 7.09 (d, J = 8.0 Hz, 1H), 6.92 (d, J = 8.8 Hz, 2H), 6.89 (m, 1H), 6.83 (br, 1H), 5.03 (s, 2H), 3.80 (s, 3H), 3.68 (m, 2H), 3.47-3.44 (m, 4H), 2.48 (m, 4H); LC-MS 423 (MH+)
[단계 2]
3-(6-(4-(모폴리노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6-(4-(morpholinomethyl)thiophen-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TFA) (LCB03-0104)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68
1H-NMR (400 MHz, Acetone-d6); δ 8.89 (s, 1H), 7.98 (s, 1H), 7.82 (s, 1H), 7.72 (s, 1H), 7.42 (s, 1H), 7.28 (m, 2H), 7.15 (m, 1H), 6.87 (m, 1H), 6.79 (s, 1H), 4.51 (m, 2H), 3.77 (m, 2H), 3.45 (m, 2H), 1.15 (m, 4H); LC-MS 425 (MH+)
[ 실시예 71]
[단계 1]
터트-부틸 4-((5-(4-(3-(4-메톡시벤질옥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싸이오펜-3-일)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tert-butyl 4-((5-(4-(3-(4-methoxybenzyl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thiophen-3-yl)methyl)piperazine-1-carboxylat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69
1H-NMR (400 MHz, CDCl3); δ 8.68 (s, 1H),7.42 (s, 1H), 7.36 (d, J = 6.0 Hz, 2H), 7.33-7.31 (m, 3H), 7.19 (s,1H), 7.11 (d, J = 5.6 Hz, 1H), 6.68-6.66 (m, 3H), 5.02 (s,s 2H), 3.70 (s, 3H), 3.47-3.44 (m, 4H), 3.43 (s, 2H), 2.44-2.42 (m, 4H), 1.46 (s, 9H); LC-MS 524 (MH+)
[단계 2]
3-(6-(4-(피페라진-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6-(4-(piperazin-1-ylmethyl)thiophen-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TFA) (LCB03-0105)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70
1H-NMR (400 MHz, DMSO-d6); δ 8.95 (s, 1H), 8.15(s, 1H), 7.40-7.37 (m, 2H), 7.32-7.27 (m, 1H), 7.13-7.11 (m, 2H), 6.93 (m, 1H), 6.86 (m, 1H), 4.29 (s, 2H), 3.75 (brm, 4H), 1.98-1.97 (m, 4H); LC-MS 422 (MH+)
[ 실시예 72]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6-(4-(피롤리딘-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6-(4-(pyrrolidin-1-ylmethyl)thiophen-2-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71
1H-NMR (400 MHz, CDCl3); δ 8.66 (s, 1H), 7.42 (s, 1H), 7.-7.36 (m, 3H), 7.66 (t, J = 1.6 Hz, 1H), 7.31 (d, J = 5.6 Hz, 1H), 7.25 (s, 1H), 7.10 (d, J = 3.6 Hz, 1H), 6.91 (d, J = 6.0 Hz, 2H), 6.87 (d, J = 5.6 Hz, 1H), 3.68 (s, 2H), 2.64 (m, 4H), 1.85 (m, 4H); LC-MS 409 (M+H+)
[단계 2]
3-(6-(4-(피롤리딘-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6-(4-(pyrrolidin-1-ylmethyl)thiophen-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TFA) (LCB03-0101)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72
1H-NMR (400 MHz, CDCl3); δ 8.59 (s, 1H), 7.26-7.21 (m, 1H), 7.14-7.11 (m, 2H), 7.01 (d, J = 3.6 Hz, 1H), 6.84 (d, J = 8.0 Hz, 1H), 6.81 (d, J = 3.6 Hz, 1H), 6.75 (dd, J= 1.6, 8.4 Hz, 1H), 3.81 (s, 2H), 2.69 (brm, 4H), 2.04-2.02 (m, 4H); LC-MS 409 (MH+)
[ 실시예 73]
[단계 1]
6-(4-((에틸아미노)메틸)싸이오펜-2-일)-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6-(4-((ethylamino)methyl)thiophen-2-yl)-N-(3-(4-methoxybenzyloxy)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73
1H-NMR (600 MHz, CDCl3); δ 8.68 (s, 1H), 7.42 (s, 1H), 7.38 (d, J = 6.0 Hz, 2H), 7.33 (m, 3H), 7.19 (s, 1H), 7.09 (d, J = 5.6 Hz, 1H), 6.68 (m, 3H), 3.80 (s, 2H), 2.71 (m, 2H), 1.06 (m, 3H); LC-MS 383 (MH+)
[단계 2]
3-(6-(4-((에틸아미노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6-(4-((ethylamino)methyl)thiophen-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TFA) (LCB03-0106)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74
1H-NMR (600 MHz, Acetone-d6); δ 8.65 (s, 1H), 7.60 (s, 1H), 7.47-7.42 (m, 3H), 7.23-7.21 (m, 3H), 6.74-6.73 (m, 1H), 4.64 (s, 2H), 3.32-3.30 (m, 2H), 1.39 (t, J = 6.4 Hz, 3H); LC-MS 383 (MH+)
[ 실시예 74]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6-(4-(피롤리딘-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6-(4-(pyrrolidin-1-ylmethyl)furan-2-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75
1H-NMR (400 MHz, CDCl3); δ 8.96 (s, 1H), 8.73 (s, 1H), 8.17 (s, 1H), 7.41-7.36 (m, 2H), 7.32-7.26 (m, 2H), 7.14-7.10 (m, 2H), 6.92 (d, J = 8.4 Hz, 2H), 6.85 (m, 1H), 5.07 (s, 2H), 4.16 (s, 2H), 3.76 (s, 3H), 3.57 (m, 4H), 1.95 (m, 4H); LC-MS 393 (MH+)
[단계 2]
3-(6-(4-(피롤리딘-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6-(4-(pyrrolidin-1-ylmethyl)furan-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TFA) (LCB03-0113)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76
1H-NMR (400 MHz, DMSO-d6); δ 8.76 (s, 1H), 8.16 (s, 1H), 7.41-7.37 (m, 2H), 7.32-7.26 (m, 1H), 7.14-7.11(m, 2H), 6.93 (m, 1H), 6.86 (m, 1H), 4.50 (s, 2H), 2.48 (m, 4H), 1.72 (m, 4H); LC-MS 393 (MH+)
[ 실시예 75]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6-(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6-(4-((4-methylpiperazin-1-yl)methyl)furan-2-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77
1H-NMR (600 MHz, CDCl3); δ 8.95 (s, 1H), 8.73 (s, 1H), 8.19 (s, 1H), 7.37-7.29 (m, 3H), 7.11 (d, J = 8.4 Hz, 2H), 6.92-6.86 (m, 3H), 6.79 (s, 1H), 5.02 (s, 2H), 3.74 (s, 3H), 3.45 (s, 2H), 3.57 (m, 4H), 1.95 (m, 4H), 2.27 (s, 3H); LC-MS 542 (MH+)
[단계 2]
3-(6-(4-((4-메틸피페라진-1-일)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6-(4-((4-methylpiperazin-1-yl)methyl)furan-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TFA) (LCB03-0114)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78
1H-NMR (400 MHz DMSO-d6); δ 8.95 (s, 1H), 8.15 (s, 1H), 7.40-7.37 (m, 2H), 7.32-7.27 (m, 1H), 7.13-7.11 (m, 2H), 6.93 (m, 1H), 6.86 (m, 1H), 4.29 (s, 2H), 2.65-2.63 (m, 4H), 2.44 (s, 3H), 1.47-1.45 (m, 4H); LC-MS 422 (MH+)
[ 실시예 76]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6-(4-(피페리딘-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6-(4-(piperidin-1-ylmethyl)furan-2-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79
1H-NMR (600 MHz, CDCl3); δ 8.92 (s, 1H), 8.75 (s, 1H), 8.19 (s, 1H), 7.39-7.36 (m, 3H), 7.30 (t, J = 7.8 Hz, 1H), 7.12 (d, J = 8.4 Hz, 1H), 6.92 (d, J = 8.4 Hz, 2H), 6.86 (d, J = 8.4 Hz,1H), 6.80 (s, 1H), 5.02 (s, 2H), 4.19 (s, 2H), 3.81 (s, 3H), 3.43 (m, 4H) 1.64 (m, 6H); LC-MS 527 (MH+)
[단계 2]
3-(6-(4-(피페리딘-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piperidin-1-ylmethyl)furan-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LCB03-0115)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80
1H-NMR (400MHz, Acetone-d6); δ 8.79 (brs, 1H), 7.74(s, 1H), 7.37-7.36(m, 1H), 7.28(t, J =7.6Hz, 1H), 7.20-7.18(m, 1H), 7.12-7.10(m, 2H), 6.84-6.82(m, 2H), 6.67(d, J=3.2Hz, 1H), 4.50(s, 2H), 2.48(m, 4H), 1.72(m, 4H), 1.37(m, 2H); LC-MS 407.0 (MH+)
[ 실시예 77]
3-(6-(4-(피페리딘-1- 일메틸 ) 싸이오펜 -2-일)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 일아미노 )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6-(4-( piperidin -1- ylmethyl ) thiophen -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TFA ) ( LCB03 -0103)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81
1H-NMR (400 MHz, DMSO-d6); δ 8.76 (s, 1H), 8.16 (s, 1H), 7.41-7.37 (m, 2H), 7.32-7.26 (m, 1H), 7.14-7.11 (m, 2H), 6.93 (m, 1H), 6.86 (m, 1H), 4.50 (s, 2H), 2.48 (m, 4H), 1.72 (m, 4H)1.56-1.54 (m, 2H); LC-MS 393 (MH+)
[ 실시예 78]
3-(6-(4-((4- 메틸피페라진 -1-일) 메틸 ) 싸이오펜 -2-일)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 일아미노 )페놀 (3-(6-(4-((4- methylpiperazin -1- yl ) methyl ) thiophen -2-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 LCB03 -0102)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82
1H-NMR (400MHz, DMSO-d6); δ 8.95 (s, 1H), 8.15(s, 1H), 7.40-7.37 (m, 2H), 7.32-7.27 (m, 1H), 7.13-7.11 (m, 2H), 6.93-6.92 (m, 1H), 6.86-6.85 (m, 1H), 2.81-2.80 (m, 4H), 2.47 (s, 3H), 1.41-1.39 (m, 4H); LC-MS 438 (MH+)
[ 실시예 79]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2-(4-(피페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2-(4-(piperidin-1-ylmethyl)phenyl)thieno[3,2-b]pyridin-7-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83
제조예 24에서 얻은 화합물 (50 mg, 0.10 mmol)과 피페리딘 (92 mg, 1.07 mmol)을 다이클로로에테인 1 ml에 순차적으로 넣고 20분간 교반 후 초산나트륨 (26 mg, 0.32 mmol)과 소디움트라이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 (136 mg, 0.64 mmol)을 넣고 5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다이클로로메테인 30 ml와 포화된 염화암모늄 수용액 30 ml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농축 후, 관크로마토그래피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1/25)를 시행하여 표제화합물 (42mg, 73 %)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8.35 (d, J = 5.6 Hz, 1H), 7.74-7.72 (m, 1H), 7.62 (d, J = 5.6 Hz, 1H), 7.39-7.29 (m, 4H), 6.91-6.78 (m, 6H), 6.16 (s, 1H), 5.01 (s, 2H), 3.81 (s, 3H), 3.55 (s, 2H), 2.44 (m, 4H), 2.12 (m, 2H), 1.61 (m, 4H); LC-MS: 536 (MH+)
[단계 2]
3-(2-(4-(피페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2-(4-(piperidin-1-ylmethyl)phenyl)thieno[3,2-b]pyridin-7-ylamino)phenol. TFA) (LCB03-0097)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84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합물 (15 mg, 0.03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1 ml에 녹인 후 트라이플로로아세트산 1 ml와 아니솔 (40 mg, 0.38 mmol)을 넣고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뒤, 감압농축하였다. 이를 다시 다이클로로메테인과 메탄올, 다이에틸에테르등을 이용하여 공비농축하고 진공건조하여 옅은 노란색고체의 표제화합물 (14 mg, 99%)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8.41-8.40 (m, 1H), 8.17 (s, 1H), 7.83 (d, J = 8.4 Hz, 2H), 7.74 (d, J= 8.4 Hz, 2H), 7.34 (t, J = 8.4 Hzm 1H), 7.08-7.06 (m, 1H), 7.01-6.99 (m, 2H), 6.96-6.90 (m, 2H), 4.41 (s, 2H), 3.83-3.80 (m, 4H), 2.95-2.93 (m, 2H), 1.90-1.88 (m, 4H); LC-MS 416 (MH+)
상기 실시예 79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화합물을 합성하였다.
[ 실시예 80]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2-(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2-(4-((4-methylpiperazin-1-yl)methyl)phenyl)thieno[3,2-b]pyridin-7-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85
1H-NMR (400 MHz, CDCl3); δ 8.36 (d, J = 5.2 Hz, 1H), 7.70-7.68 (m, 3H), 7.41 (d, J = 7.2 Hz, 2H), 7.36 (d, J = 6.8 Hz, 2H), 7.31 (t, J = 8.4 Hz, 1H), 6.93 (d, J = 6.8 Hz, 2H), 6.89-6.84 (m, 3H), 6.80 (d, J = 7.6 Hz, 1H), 6.01 (s, 1H), 5.02 (s, 2H), 3.82 (s, 3H), 3.56 (s, 2H), 2.52 (m, 4H), 2.32 (s, 3H), 1.76 (m, 4H); LC-MS: 538 (MH+)
[단계 2]
3-(2-(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2-(4-((4-methylpiperazin-1-yl)methyl)phenyl)thieno[3,2-b]pyridin-7-ylamino)phenol. TFA) (LCB03-0084)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86
1H-NMR (600 MHz, Acetone-d6); δ 9.98 (brs, 1H), 8.41 (brs, 1H), 8.04 (s, 1H), 7.81 (d, J = 7.2 Hz, 2H), 7.69 (d, J = 7.2 Hz, 2H), 7.36 (t, J = 8.4 Hz, 1H), 7.11 (d, J = 8.4 Hz, 2H), 6.99 (s, 1H), 6.92-6.91 (m, 1H), 6.82 (d, J= 8.4 Hz, 2H), 4.40 (s, 2H), 3.75-3.74 (m, 4H), 3.66-3.65 (m, 4H), 3.00 (s, 3H); LC-MS: 431 (MH+)
[ 실시예 81]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2-(4-(피롤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2-(4-(pyrrolidin-1-ylmethyl)phenyl)thieno[3,2-b]pyridin-7-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87
1H-NMR (400 MHz, CDCl3); δ 8.36 (s, 1H), 7.75-7.73 (m, 1H), 7.66-7.65 (m, 1H), 7.41-7.29 (m, 5H), 6.93-6.79 (m, 6H), 6.14 (s, 1H), 5.05 (s, 2H), 3.82 (s, 3H), 3.76 (s, 2H), 2.62 (m, 4H), 1.83 (m, 4H); LC-MS: 523 (MH+)
[단계 2]
3-(2-(4-(피롤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2-(4-(pyrrolidin-1-ylmethyl)phenyl)thieno[3,2-b]pyridin-7-ylamino)phenol. TFA) (LCB03-0080)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88
1H-NMR (400 MHz, Acetone-d6); δ 8.41-8.40 (m, 1H), 8.17 (s, 1H), 7.83 (d, J = 8.4 Hz, 2H), 7.74 (d, J = 8.4 Hz, 2H), 7.34 (t, J = 8.4 Hz, 1H), 7.08-7.06 (m, 1H), 7.01-6.99 (m, 2H), 6.96-6.90 (m, 2H), 4.41 (s, 2H), 3.83-3.80 (m, 4H), 1.90-1.88 (m, 4H); LC-MS 402 (MH+)
[ 실시예 82]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2-(4-(모폴리노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2-(4-(morpholinomethyl)phenyl)thieno[3,2-b]pyridin-7-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89
1H-NMR (400 MHz, CDCl3); δ 8.38 (d, J = 5.2 Hz, 1H), 7.72-7.70 (m, 3H), 7.44 (d, J= 7.2 Hz, 2H), 7.35 (d, J = 7.2 Hz, 2H), 7.32-7.29 (m, 1H), 6.94 (d, J = 6.8 Hz, 2H), 6.90-6.81 (m, 4H), 6.02 (s, 1H), 5.03 (s, 2H), 3.84 (s, 3H), 3.74-3.73 (m, 4H), 2.50-2.49 (m, 4H); LC-MS: 551 (MH+)
[단계 2]
3-(2-(4-(모폴리노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2-(4-(morpholinomethyl)phenyl)thieno[3,2-b]pyridin-7-ylamino)phenol. TFA) (LCB03-0083)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90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합물 (15 mg, 0.03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 1 ml에 녹인 후 트라이플로로아세트산 1 ml와 아니솔 (40 mg, 0.38 mmol)을 넣고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뒤, 감압농축하였다. 이를 다시 다이클로로메테인과 메탄올, 다이에틸에테르등을 이용하여 공비농축하고 진공건조하여 옅은 노란색고체의 표제화합물 (14 mg, 99%)을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Acetone-d6); δ 10.61 (brs, 1H), 8.34 (brs, 1H), 8.00 (s, 1H), 7.77-7.70 (m, 3H), 7.33 (t, J= 8.4 Hz, 1H), 7.11 (d, J = 7.8 Hz, 2H), 6.99 (s, 1H), 6.90 (d, J = 7.8 Hz, 1H), 6.83 (d, J = 8.4 Hz, 2H), 4.49 (s, 2H), 3.96-3.93 (m, 4H), 3.28-3.26 (m, 4H); LC-MS: 418 (MH+)
[ 실시예 83]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2-(4-(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2-(4-(piperazin-1-ylmethyl)phenyl)thieno[3,2-b]pyridin-7-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91
1H-NMR (400 MHz, Acetone-d6); δ 8.44 (d, J = 6.8 Hz, 1H), 8.15 (s, 1H), 8.01 (s, 1H), 7.81 (d, J = 8.4 Hz, 2H), 7.62 (d, J = 8.0 Hz, 2H), 7.37 (t, J = 8.0 Hz, 1H), 7.30 (t, J = 8.4 Hz, 1H), 7.10 (m, 2H), 7.01 (m, 2H), 6.94 (m, 1H), 5.00 (s, 2H), 3.97 (s, 2H), 3.84 (s, 2H), 3.54-3.52 (m, 4H), 3.12-3.10 (m, 4H); LC-MS 537 (MH+)
[단계 2]
3-(2-(4-(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2-(4-(piperazin-1-ylmethyl)phenyl)thieno[3,2-b]pyridin-7-ylamino)phenol. TFA) (LCB03-0098)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92
1H-NMR (400 MHz, Acetone-d6); δ 8.44 (d, J = 6.8 Hz, 1H), 8.15 (s, 1H), 7.81 (d, J = 8.4 Hz, 2H), 7.62 (d, J = 8.0 Hz, 2H), 7.37 (t, J = 8.0 Hz, 1H), 7.10 (m, 2H), 7.01 (m, 2H), 6.94 (m, 1H), 3.97 (s, 2H), 3.54-3.52 (m, 4H), 3.12-3.10 (m, 4H); LC-MS 418 (MH+)
[ 실시예 84]
[단계 1]
2-(4-((에틸아미노)메틸)페닐)-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아민 (2-(4-((ethylamino)methyl)phenyl)-N-(3-(4-methoxybenzyloxy)phenyl)thieno[3,2-b]pyridin-7-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93
1H-NMR (400 MHz, Acetone-d6); δ 9.99 (brs, 1H), 8.36 (d, J = 6.8 Hz, 1H), 7.97 (s, 1H), 7.98 (s, 1H), 7.72 (d, J = 8.4 Hz, 2H), 7.68 (d, J = 8.0 Hz, 2H), 7.64 (t, J= 7.8 Hz, 1H), 7.33 (t, J = 8.0 Hz, 1H), 7.03 (m, 2H), 6.91 (m, 2H), 6.86-6.83 (m, 2H), 4.99 (s, 2H), 3.80 (s, 3H), 3.78 (s, 2H), 3.28 (q, J = 6.8 Hz, 2H), 1.38 (t, J = 6.8 Hz, 3H); LC-MS 496 (MH+)
[단계 2]
3-(2-(4-((에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2-(4-((ethylamino)methyl)phenyl)thieno[3,2-b]pyridin-7-ylamino)phenol. TFA) (LCB03-0099)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94
1H-NMR (400 MHz, Acetone-d6); δ 8.36 (d, J = 6.8 Hz, 1H), 7.97 (s, 1H), 7.72 (d, J = 8.4 Hz, 2H), 7.68 (d, J = 8.0 Hz, 2H), 7.33 (t, J = 8.0 Hz, 1H), 7.03 (m, 2H), 6.91 (m, 2H), 4.37 (s, 2H), 3.28 (q, J = 6.8 Hz, 2H), 1.38 (t, J = 6.8 Hz, 3H); LC-MS 376 (MH+)
[ 실시예 85]
[단계 1]
N-(4-클로로-3-(4-메톡시벤질옥시)페닐)-6-(4-피롤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4-chloro-3-(4-methoxybenzyloxy)phenyl)-6-(4-(pyrrolidin-1-yl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95
1H-NMR (400 MHz, CDCl3); δ 8.69 (s, 1H), 7.63-7.59 (m, 3H), 7.53 (d, J= 2.0 Hz, 1H), 7.43-7.36 (m, 6H), 7.03 (dd, J =2.0, 8.4 Hz 1H), 6.89 (d, J = 8.8 Hz, 2H), 5.12 (s, 2H), 3.78 (s, 3H), 3.67 (s, 2H), 2.55 (m, 4H), 1.80 (m, 4H); LC-MS 558 (MH+)
[단계 2]
4-클로로-5-(6-(4-(피롤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로로메탄술폰산 (4-chloro-5-(6-(4-(pyrrolidin-1-yl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TFA) (LCB03-0081)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96
1H-NMR (400 MHz, CDCl3); δ 8.51 (s, 1H), 7.86 (d, J = 8.4 Hz, 2H), 7.67 (s, 1H), 7.55 (d, J = 8.0 Hz, 2H), 7.50 (d, J = 2.4 Hz, 1H), 7.25 (d, J= 8.8 Hz, 1H), 7.09 (d, J = 8.6 Hz, 1H), 4.80 (s, 1H), 4.09 (s, 2H), 3.01 (s, 4H), 1.97 (s, 4H); LC-MS 437 (MH+)
[ 실시예 86]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2-(3-(피페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2-(3-(piperidin-1-ylmethyl)phenyl)thieno[3,2-b]pyridin-7-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97
제조예 25에서 얻은 화합물 (30 mg, 0.06 mmol)과 피페리딘 (64 ㎕, 0.61 mmol)을 DCE 1 ml에 순차적으로 넣고 20분간 교반한 후 초산나트륨 (16 mg, 0.19 mmol)과 소디움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 (82 mg, 0.38 mmol)을 넣고 5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다이클로로메테인 30 ml와 포화된 염화암모늄 수용액 30 ml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기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농축 후, 관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테인/메탄올, 1/25)를 시행하여 표제화합물 (17 mg, 48 %)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8.35 (d, J = 5.6 Hz, 1H), 7.72-7.70 (m, 1H), 7.62 (d, J = 5.6 Hz, 1H), 7.40-7.29 (m, 5H), 6.93-6.78 (m, 6H), 6.16 (s, 1H), 5.01 (s, 2H), 3.81 (s, 3H), 3.55 (s, 2H), 2.44 (m, 4H), 2.12 (m, 2H), 1.61 (m, 4H); LC-MS: 536 (MH+)
[단계 2]
3-(2-(3-(피페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2-(3-(piperidin-1-ylmethyl)phenyl)thieno[3,2-b]pyridin-7-ylamino)phenol.TFA) (LCB03-0109)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98
1H-NMR (600 MHz, Acetone-d6); δ 8.32 (brs, 1H), 8.02 (brs, 1H), 7.99 (s, 1H), 7.71 (t, J= 7.2 Hz, 2H), 7.53 (t, J = 7.2 Hz, 1H), 7.31-7.26 (m, 2H), 7.03 (s, 1H), 6.98 (t, J = 6.6 Hz, 1H), 6.92-6.88 (m, 3H), 4.43 (s, 2H), 3.59-3.56 (m, 2H), 3.56-3.54 (m, 2H), 2.06-2.04 (m, 2H), 1.90-1.89 (m, 4H); LC-MS 416 (MH+)
상기 실시예 86과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 실시예 87]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2-(3-(피롤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2-(3-(pyrrolidin-1-ylmethyl)phenyl)thieno[3,2-b]pyridin-7-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299
1H-NMR (400 MHz, CDCl3); δ 8.36 (s, 1H), 7.73-7.72 (m, 1H), 7.64-7.63 (m, 1H), 7.41-7.29 (m, 5H), 6.93-6.79 (m, 6H), 6.14 (s, 1H), 5.01 (s, 2H), 3.82 (s, 3H), 3.74 (s, 2H), 2.62 (m, 4H), 1.83 (m, 4H); LC-MS: 523 (MH+)
[단계 2]
3-(2-(3-(피롤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2-(3-(pyrrolidin-1-ylmethyl)phenyl)thieno[3,2-b]pyridin-7-ylamino)phenol. TFA) (LCB03-0107)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00
1H-NMR (600 MHz, Acetone-d6); δ 10.07 (brs, 1H), 8.35-8.33 (m, 1H), 8.06 (s, 1H), 7.99 (s, 1H), 7.73 (t, J = 8.4 Hz, 2H), 7.54 (t, J= 7.8 Hz, 1H), 7.33 (t, J = 7.8 Hz, 1H), 7.04 (s, 1H), 7.01 (t, J = 6.6 Hz, 1H), 6.93 (s, 1H), 6.92-6.89 (m, 2H), 4.55 (s, 2H), 3.66-3.64 (m, 2H), 3.29-3.28 (m, 2H), 2.16-2.14 (m, 4H); LC-MS: 402 (MH+)
[ 실시예 88]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6-(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6-(3-((4-methylpiperazin-1-yl)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01
1H-NMR (400 MHz, CDCl3); δ 8.35 (d, J = 5.6 Hz, 1H), 7.72-7.71 (m, 2H), 7.62 (d, J= 7.2 Hz, 1H), 7.41-7.30 (m, 5H), 6.93-6.79 (m, 6H), 6.19 (s, 1H), 5.01 (s, 2H), 3.82 (s, 3H), 3.57 (s, 3H), 3.47-3.46 (m,2H), 2.63 (m, 4H), 2.09 (m, 4H); LC-MS: 523 (MH+)
[단계 2]
3-(2-(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2-(3-((4-methylpiperazin-1-yl)methyl)phenyl)thieno[3,2-b]pyridin-7-ylamino)phenol. TFA) (LCB03-0108)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02
1H-NMR (600 MHz, Acetone-d6); δ 9.99 (brs, 1H), 8.39 (brs, 1H), 8.08 (s, 1H), 7.29 (s, 1H), 7.71 (d, J = 7.8 Hz, 2H), 7.59 (d, J = 7.8 Hz, 1H), 7.53 (t, J = 7.8 Hz, 1H), 7.35 (t, J= 7.8 Hz, 1H), 7.13-7.12 (m, 1H), 7.12-7.10 (m, 2H), 6.96-6.92 (m, 2H), 6.83-6.82 (m, 1H), 4.03 (s, 2H), 3.86-3.85 (m, 2H), 3.74 (s, 3H), 3.62-3.61 (m, 3H), 3.19-3.18 (m, 3H), 2.09 (s, 3H); LC-MS: 431 (MH+)
[ 실시예 89]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6-(3-(모폴리노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6-(3-(morpholinom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03
1H-NMR (400 MHz, CDCl3); δ 8.20 (d, J = 5.6 Hz, 1H), 7.79 (s, 1H), 7.69 (s, 1H), 7.57 (s, 1H), 7.37-7.28 (m, 4H), 6.94-6.83 (m, 6H), 6.19 (s, 1H), 5.01 (s, 2H), 3.80 (s, 3H), 3.74-3.73 (m, 3H), 3.52-3.50 (m, 4H), 2.49-2.48 (m, 3H); LC-MS: 538 (MH+)
[단계 2]
3-(2-(3-(모폴리노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2-(3-(morpholinomethyl)phenyl)thieno[3,2-b]pyridin-7-ylamino)phenol. TFA) (LCB03-0110)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04
1H-NMR (600 MHz, Acetone-d6); δ 8.37 (d, J = 6.0 Hz, 1H), 8.08 (brs, 1H), 8.02 (s, 1H), 7.77-7.73 (m, 2H), 7.57 t, J = 7.8 Hz, 1H), 7.33 (t, J= 8.4 Hz, 1H), 7.29-7.26 (m, 1H), 7.02-7.01 (m, 1H), 6.93-6.91 (m, 3H), 4.52 (s, 2H), 4.07-4.03 (m, 4H), 3.59-3.55 (m, 4H); LC-MS: 418 (MH+)
[ 실시예 90]
[단계 1] 터트-부틸 4-(3-(7-(3-(4-메톡시벤질옥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b]피리딘-2-일)벤질)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tert-butyl 4-(3-(7-(3-(4-methoxybenzyloxy)phenylamino)thieno[3,2-b]pyridin-2-yl)benzyl)piperazine-1-carboxylat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05
1H-NMR (400 MHz, CDCl3); δ 8.34 (d, J = 5.6 Hz, 1H), 7.72-7.63 (m, 3H), 7.56-7.53 (m, 1H), 7.48-7.46 (m, 1H), 7.41-7.27 (m, 4H), 6.93-6.85 (m, 4H), 6.80-6.78 (m, 1H), 6.48 (s, 1H), 5.00 (s, 2H), 3.81 (s, 3H), 3.40-3.38 (m, 2H), 2.47 (m, 4H), 2.20 (m, 4H), 1.49 (s, 9H); LC-MS 637 (MH+)
[단계 2]
3-(2-(3-(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2-(3-(piperazin-1-ylmethyl)phenyl)thieno[3,2-b]pyridin-7-ylamino)phenol. TFA) (LCB03-0111)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06
1H-NMR (600 MHz, Acetone-d6); δ 8.45 (d, J = 7.2 Hz, 1H), 8.12 (brs, 1H), 8.02 (s, 1H), 7.86 (d, J = 7.8 Hz, 1H), 7.78 (d, J = 7.8 Hz, 1H), 7.63 (t, J = 7.8 Hz, 1H), 7.28-7.24 (m, 1H), 7.12 (d, J= 6.6 Hz, 1H), 6.98-6.95 (m, 1H), 6.92-6.60 (m, 3H), 4.61 (s, 2H), 3.94-3.87 (m, 4H), 3.72-3.52 (m, 4H); LC-MS: 417 (MH+)
[ 실시예 91]
[단계 1]
2-(3-((에틸아미노)메틸)페닐)-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아민 (2-(3-((ethylamino)methyl)phenyl)-N-(3-(4-methoxybenzyloxy)phenyl)thieno[3,2-b]pyridin-7-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07
1H-NMR (400 MHz, CDCl3); δ 8.31 (d, J= 5.6 Hz, 1H), 7.75-7.74 (m, 1H), 7.71 (s, 1H), 7.62-7.61 (m, 1H), 7.46-7.29 (m, 5H), 6.93-6.87 (m, 5H), 6.81-6.79 (m, 1H), 5.01 (s, 2H), 3.90 (s, 2H), 3.82 (s, 3H), 2.80 (q, J = 6.8 Hz, 2H), 1.24-1.22 (m, 3H); LC-MS 496 (MH+)
[단계 2]
3-(2-(3-((에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2-(3-((ethylamino)methyl)phenyl)thieno[3,2-b]pyridin-7-ylamino)phenol. TFA) (LCB03-0112)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08
1H-NMR (600 MHz, Acetone-d6); δ 8.35 (d, J = 6.0 Hz, 1H), 8.09 (brs, 1H), 7.96 (s, 1H), 7.70 (t, J = 7.8 Hz, 2H), 7.51 (t, J = 7.8 Hz, 1H), 7.34 (t, J= 7.8 Hz, 1H), 7.29-7.26 (m, 1H), 7.05-6.94 (m, 2H), 6.92-6.89 (m, 3H), 4.43 (s, 2H), 3.41-3.40 (m, 2H), 1.40 (t, J= 7.2 Hz, 3H); LC-MS 376 (MH+)
[ 실시예 92]
[단계 1]
2-(4-(4-(3-(터트-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페닐)에탄올 (2-(4-(4-(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phenyl)ethanol)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09
리튬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44 mg, 1.16 mmol)을 3 ml의 건조된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에 넣고 질소로 충진된 상태에서 제조예 28에서 수득한 화합물 (0.49 mg, 0.96 mmol)을 건조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7 ml에 녹여서 0 ℃하에서 천천히 적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44 ㎕와 15 % 수산화나트륨 44 ㎕, 132 ㎕의 물을 0 ℃하에서 천천히 순차적으로 넣어 준 후 무수 황산나트륨을 소량 넣고 건조한 다음 필터하여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씻어주었다. 감압 농축 후 n-헥세인을 이용하여 트리터레이션(trituration)하여 표제화합물 (0.34 g, 76 %)을 옅은 노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9.64 (s, 1H), 8.58 (s, 1H), 7.86 (s, 1H), 7.79 (d, J = 8.4 Hz, 2H), 7.50-7.48 (m, 1H), 7.44 (t, J = 2.0 Hz, 1H), 7.38 (d, J= 8.4 Hz, 2H), 6.60-6.58 (m, 1H), 4.70 (t, J = 5.2 Hz, 1H), 3.65 (q, J = 6.8 HZ, 2H), 2.79 (t, J= 7.2 HZ, 2H), 0.98 (s, 9H), 0.22 (s, 6H); LC-MS: 478 (MH+)
[단계 2]
4-(4-(3-(터트-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페네틸메탄설포네이트 (4-(4-(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phenethylmethanesulfonat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10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합물 (0.33 g, 0.69 mmol)을 5 ml의 다이클로로메테인에 녹인 후 0 ℃에서 트라이에틸아민 (116 ㎕, 0.83 mmol), 클로로 메탄술폰산 (56 ㎕, 0.72 mmo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30분간 0 ℃에서 교반 후, 실온에서 2시간 정도 더 교반하였다. 2 N 염산 (50 mL)를 반응 용액에 부은 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 x 2)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물 (100 mL x 2)로 씻어 주고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감압 농축 후 관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n-헥세인, 1:2)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 (0.22 g, 57 %)을 노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8.53 (s, 1H), 7.73 (s, 1H), 7.58-7.52 (m, 2H), 7.32-7.14 (m, 5H), 6.89 (d, J = 6.0 Hz, 1H), 4.43 (brm, 2H), 3.08 (brm, 2H), 2.91 (s, 3H), 0.88 (s, 9H), 0.02 (s, 6H); LC-MS 556 (MH+)
[단계 3]
N-(3-(터트-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6-(4-(2-모폴리노에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6-(4-(2-morpholino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ami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11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합물 (50 mg, 0.089 mmol)을 1 ml 톨루엔에 녹인 후 다이아이소프로필아민 (24 ㎕, 0.13 mmol), 모폴린 (12 ㎕, 0.13 mmol)을 반응액에 넣고 환류교반하였다. 감압 농축 후 관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n-헥세인, 1:1)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 (15 mg, 31 %)을 노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8.69 (s, 1H), 7.61-7.57 (m, 3H), 7.30-7.24 (m, 3H), 7.19 (t, J = 2.0 Hz, 1H), 7.16-7.13 (m, 1H), 6.84 (br, 1H), 6.76-6.74 (m, 1H), 3.75 (t, J = 4.4 Hz, 2H), 2.87-2.83 (m, 2H), 2.64-2.60 (m, 4H), 2.55-2.54 (m, 4H), 0.99 (s, 9H), 0.24 (s, 6H); LC-MS: 547 (MH+)
[단계 4]
3-(6-(4-(2-모폴리노에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염산염 (3-(6-(4-(2-morpholinoethyl)phenyl)thieno[3,2-d]pyrimidin-4-ylamino)phenol. HCl) (LCB03-0046)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12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화합물 (15 mg, 0.02 mmol)을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 (12 mg, 93%)을 노란색의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11.25 (brs, 1H), 8.80 (s, 1H), 7.89 (s, 1H), 7.86 (d, J = 8.0 Hz, 2H), 7.48 (d, J = 8.0 Hz, 2H), 7.25-7.11 (m, 3H), 6.69 (d, J = 7.6 Hz, 1H), 4.01-3.99 (m, 2H), 3.83-3.78 (m, 2H), 3.51-3.46 (m, 2H), 3.40-3.35 (m, 2H), 3.17-3.10 (m, 4H); LC-MS 433 (MH+)
상기 실시예 92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 실시예 93]
3-((6-(4-(2-( 피롤리딘 -1-일)에틸)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 일아미노 )페놀 (3-((6-(4-(2-( pyrrolidin -1- yl ) ethyl ) phenyl ) thieno [3,2-d] pyrimidin -4-ylamino)phenol) ( LCB03 -0043)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13
1H-NMR (400 MHz, DMSO-d6); δ 7.87-7.85 (m, 3H), 7.49-7.47 (m, 2H), 7.22-7.15 (m, 4H), 6.66-6.65 (m, 1H), 3.55 (s, 2H), 3.17-3.11 (m, 4H), 2.34-2.32 (m, 2H), 2.01-1.89 (m, 4H); LC-MS 417 (MH+)
[ 실시예 94]
3-((6-(4-(2-(피페리딘-1-일)에틸)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 일아미노 )페놀 (3-((6-(4-(2-( piperidin -1- yl ) ethyl ) phenyl ) thieno [3,2-d] pyrimidin -4-ylamino)phenol) ( LCB03 -0044)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14
1H-NMR (400 MHz, DMSO-d6); δ 10.44 (brs, 1H), 8.78 (s, 1H), 7.89-7.84 (m, 3H), 7.48-7.46 (m, 2H), 7.20-7.14 (m, 3H), 6.70-6.69 (m, 1H), 3.49 (s, 2H), 3.39-3.37 (m, 2H), 3.37-3.27 (m, 2H), 3.20-3.18 (m, 2H), 2.90-2.89 (m, 2H), 1.90-1.87 (m, 3H), 1.38-1.35 (m, 3H); LC-MS 431 (MH+)
[ 실시예 95]
3-((6-(4-(2-(4- 메틸피페라진 -1-일)에틸)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 일아미노 )페놀 ( 3-((6-(4-(2-(4- methylpiperazin -1- yl ) ethyl ) phenyl ) thieno [3,2-d]pyrimidin-4-ylamino)phenol) ( LCB03 -0045)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15
1H-NMR (400 MHz, DMSO-d6); δ 8.75 (s, 1H), 7.88 (S, 1H), 7.85 (d, J = 7.6 Hz, 2H), 7.48 (d, J = 7.6 Hz, 2H), 7.23-7.12 (m, 3H), 6.66 (d, J = 7.2 Hz, 1H), 3.72-3.68 (m, 2H), 3.51-3.47 (m, 2H), 3.44-3.37 (m, 4H), 3.16-3.12 (m, 4H), 2.83 (s, 3H); LC-MS 446 (MH+)
[ 실시예 96]
3-(6-(3-(2-( 피롤리딘 -1-일)에틸)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 일아미노 )페놀) 염산염 (3-(6-(3-(2-( pyrrolidin -1- yl ) ethyl ) phenyl ) thieno [3,2-d]pyrimidin-4-ylamino)phenol. HCl ) ( LCB03 -0076)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16
1H-NMR (400 MHz, CDCl3); δ 8.53 (s, 1H), 7.72 (br, 1H), 7.58 (s, 1H), 7.34-7.26 (m, 3H), 7.22-7.12 (m, 3H), 6.88 (d, J =7.6Hz, 1H), 6.69 (d, J =8Hz, 1H), 2.89-2.87(m, 4H), 2.74-2.72 (m, 4H), 1.86 (s, 4H); LC-MS 417.2 (MH+)
[ 실시예 97]
3-(6-(3-(2-(피페라진-1-일)에틸)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 일아미노 )페놀 (3-(6-(3-(2-( piperazin -1- yl ) ethyl ) phenyl ) thieno [3,2-d] pyrimidin -4-ylamino)phenol) ( LCB03 -0079)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17
1H-NMR (400 MHz, DMSO-d6); δ 9.83 (brs, 1H), 8.85 (s, 1H), 7.93 (s, 1H), 7.83-7.73 (m, 2H), 7.54-7.48 (m, 2H), 7.23-7.13 (m, 3H), 6.73 (s, 1H), 3.75-3.71 (m, 2H), 3.66-3.64 (m, 2H), 3.33-3.31 (m, 4H), 3.17-3.15 (m, 4H); LC-MS 432 (MH+)
[ 실시예 98]
[단계 1]
2-(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페닐아세트산 (2-(4-(4-(3-hydr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phenyl)acetic acid)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18
제조예 27에서 합성한 화합물 (0.2 g, 0.39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 ml와 메탄올 1 ml에 녹인 후 1 ml의 물에 녹인 리튬하이드록사이드 (166 mg, 3.95 mmol)을 0 ℃에서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15시간동안 교반한후 2N 염산을 이용하여 pH를 4로 맞추고 감압 증류하여 반응용매를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50 ml)와 물 (50 ml)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용매를 감압증류하여 제거 한 후 표제 화합물 (0.13 mg, 87.2 %)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10.78 (brs, 1H), 9.69 (brs, 1H), 8.80 (s, 1H), 7.87 (s, 1H), 7.82 (d, J = 8.0 Hz, 2H), 7.45 (d, J = 8.0 Hz, 2H), 7.25 (t, J = 8.0 Hz, 1H), 7.19 (s, 1H), 7.14-7.12 (m, 1H), 6.71-6.68 (m, 1H), 3.68 (s, 2H; LC-MS 378 (MH+)
[단계 2]
2-(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페닐)-1-(4-메틸피페라진-1-일)에타논 (2-(4-(4-(3-hydr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phenyl)-1-(4-methylpiperazin-1-yl)ethanone)) (LCB03-0047)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19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합물 (30 mg, 0.08 mmol)을 탈기체화된 다이메틸폼아마이드 2 ml에 녹인 후 (벤조트라이아졸-1-일옥시)트라이피롤리디노포스포니움 헥사플로로포스페이트 (62 mg, 0.12 mmol)을 첨가하고 N-메틸피페라진 (44 ㎕, 0.40 mmol)을 넣고 15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포화된 염화암모늄 50 ml 와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 50 ml로 두번 더 씻어준 후에 감압 증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n-헥세인을 이용하여 고체화하여 표제화합물 (20 mg, 54.8 %)을 베이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8.87 (s, 1H), 7.88 (s, 1H), 7.82 (d, J = 8.0 Hz, 2H), 7.41 (d, J= 8.0 Hz, 2H), 7.26 (t, J = 8.0 Hz, 1H), 7.14 (s, 1H), 7.10 (d, J = 8.0 Hz, 1H), 6.76-6.74 (m, 1H), 3.60 (s, 2H), 3.54 (s, 3H), 3.49-3.39 (m, 6H), 2.77-2.76 (m, 2H); LC-MS: 460 (MH+)
상기 실시예 98과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 실시예 99]
2-(4-(4-(3- 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 페닐 )-1-(피롤리딘-1-일) 에타논 (2-(4-(4-(3- hydroxyphenylamino ) thieno [3,2-d] pyrimidin -6-yl)phenyl)-1-(pyrrolidin-1-yl)ethanone)) ( LCB03 -0049)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20
1H-NMR (400 MHz, DMSO-d6); δ 9.61 (brs, 1H), 9.43 (s, 1H), 8.57 (s, 1H), 7.86 (s, 1H), 7.80 (d, J = 8.0 Hz, 2H), 7.39 (d, J = 8.0 Hz, 2H), 7.33 (s, 1H), 7.20-7.12 (m, 2H), 6.53-6.51 (m, 1H), 3.70 (s, 2H), 3.50 (t, J= 6.4 Hz, 2H), 3.40-3.29 (m, 2H), 1.89 (p, J = 7.0 Hz, 2H), 1.78 (p, J = 7.0 Hz, 2H); LC-MS: 431 (MH+)
[ 실시예 100]
N,N- 다이에틸 -2-(4-(4-(3- 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 페닐 ) 아세트아마이드 (N,N- diethyl -2-(4-(4-(3- hydroxyphenylamino ) thieno [3,2-d]pyrimidin-6-yl)phenyl)acetamide)) ( LCB03 -0050)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21
1H-NMR (400 MHz, DMSO-d6); δ 8.72 (s, 1H), 7.57 (d, J = 8.4 Hz, 2H), 7.54 (s, 1H), 7.31-7.28 (m, 3H), 6.93 (d, J = 8.4 Hz, 2H), 6.76 (dd, J = 2.0, 8.0 Hz, 1H), 3.91 (s, 2H), 3.42 (q, J = 7.2 HZ, 2H), 3.34 (q, J = 7.2 Hz, 2H), 1.13-1.10 (m, 6H); LC-MS 433 (MH+)
[ 실시예 101]
[단계 1]
(4-(4-(3-(터트-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페닐)(4-메틸피페라진-1-일)메타논 ((4-(4-(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phenyl)(4-methylpiperazin-1-yl)methanon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22
1H-NMR (400 MHz, CDCl3); δ 7.71 (s, 1H), 7.70 (d, J = 8.4 Hz, 2H), 7.64 (s, 1H), 7.49 (d, J = 8.0 Hz, 2H), 7.27 (t, J = 8.0 Hz, 2H), 7.19-7.15 (m, 2H), 6.85 (brs, 1H), 6.77 (dd, J = 2.4, 8.0 Hz, 1H), 3.82 (brm, 2H), 3.48 (brm, 2H), 3.44-3.33 (m, 1H), 2.50 (brm, 2H), 2.38-2.37 (m, 1H), 2.33 (s, 3H), 1.00 (s, 9H), 0.24 (s, 6H); LC-MS 560 (MH+)
[단계 2]
(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페닐)(4-메틸피페라진-1-일)메타논 염산염 ((4-(4-(3-hydr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phenyl)(4-methylpiperazin-1-yl)methanone. HCl)) (LCB03-0052)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23
1H-NMR (400 MHz, DMSO-d6); δ 10.65 (brs, 1H), 9.68 (brs, 1H), 7.99 (s, 1H), 7.97 (d, J = 8.0 Hz, 2H), 7.64 (d, J = 8.0 Hz, 2H), 7.24-7.13 (m, 4H), 6.68 (d, J = 8.0 Hz, 1H), 3.50-3.39 (m, 4H), 3.33-3.32 (m, 2H), 3.11-3.08 (m, 2H), 2.78 (s, 3H); LC-MS 446 (MH+)
[ 실시예 102]
[단계 1] 메틸 2-(4-(4-(3-(터트-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 (methyl 2-(4-(4-(3-(tert-butyldimethylsilyl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benzamido)propanoate)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24
1H-NMR (400 MHz, CDCl3); δ 8.69 (s, 1H), 7.68-7.63 (m, 3H), 7.47-7.44 (m, 2H), 7.29-7.26 (m, 1H), 7.17-7.14 (m, 2H), 6.92 (d, J = 5.2 Hz, 1H), 6.77 (d, J= 3.6 Hz, 1H), 4.81 (m, 1H), 3.80 (s, 3H), 1.55 (d, J = 5.2 Hz, 3H), 0.99 (s, 9H), 0.23 (s, 6H); LC-MS 563 (MH+)
[단계 2]
메틸 2-(3-(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 (methyl 2-(3-(4-(3-hydr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benzamido)propanoate)) (LCB03-0071)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25
1H-NMR (600 MHz, DMSO-d6); δ 9.64 (brs, 1H), 8.91 (d, J = 6.6 Hz, 1H), 8.56 (s, 1H), 8.00-7.99 (m, 3H), 7.95 (d, J= 8.4 Hz, 2H), 7.29 (brs, 1H), 7.15 (d, J = 7.2 Hz, 1H), 7.11 (t, J = 7.8 Hz, 1H), 6.49 (d, J = 7.8 Hz, 1H), 4.48-4.46 (1H), 3.61 (s, 3H), 1.38 (d, J = 7.2 Ha, 3H); LC-MS 449 (MH+)
[ 실시예 103]
3-(4-(3- 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벤조산 (3-(4-(3-hydroxyphenylamino)thieno[3,2-d]pyrimidin-6-yl)benzoic acid )) ( LCB03 -0051)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26
1H-NMR (400 MHz, DMSO-d6); δ 9.70 (brs, 1H), 8.61 (s, 1H), 8.35 (s, 1H), 8.19 (d, J = 7.6 Hz, 1H), 8.04-8.01 (m, 2H), 7.68 (t, J = 7.6 Hz, 1H), 7.50 (d, J= 8.4 Hz, 1H), 7.45 (s, 1H), 7.24 (t, J = 8.0 Hz, 1H), 6.61 (d, J = 8.0 Hz, 1H); LC-MS 364 (MH+)
[ 실시예 104]
3-(6-(4-( 에톡시메틸 ) 페닐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4- 일아미노 )페놀 (3-(6-(4-( ethoxymethyl ) phenyl ) thieno [3,2-d] pyrimidin -4- ylamino ) phenol ))( LCB03 -0073)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27
비스(피나콜레이토)다이보레인 (0.16 g, 0.63 mmol), PdCl2dppf (13 mg, 0.015 mmol), 포타슘아세테이트 (0.15 g, 1.57 mmol)을 반응용기에 넣고 진공건조하였다. N2 로 탈기체화된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3 ml에 제조예 30에서 합성한 화합물 (0.11 g, 0.52 mmol)을 녹여 반응용기에 옮긴 후 85℃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 하고 에틸아세테이트 50 ml와 포화된 염화암모늄 50 ml을 넣고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화암모늄 50 ml로 2회 더 씻어준 후 무수 황산나트륨을 이용하여 건조하고 감압농축하여 짙은 갈색 오일형태의 2-(4-(에톡시메틸)페닐)-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레인을 수득하였다. 이 화합물과 제조예 6 (50 mg, 0.11 mmol), PdCl2dppf (3 mg, 0.003 mmol)을 탈기체화된 다이메틸폼아마이드 20 ml에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2N 탄산나트륨 수용액 (0.12 ml, 0.23 mmol)을 투입하였다. 80 ℃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에틸아세테이트 100 ml와 포화된 염화암모늄 1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된 염화암모늄 100 ml로 2회 더 씻어준 후 황산나트륨을 이용해 건조하고 감압농축 후 관크로마토그래피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20/1)로 표제화합물 (20 mg, 64 %)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DMSO-d6); δ 9.60 (brs, 1H), 9.44 (brs, 1H), 8.58 (s, 1H), 7.88 (s, 1H), 7.85 (d, J = 8.0 Hz, 1H), 7.47 (d, J = 8.0 Hz, 2H), 7.33 (s, 1H), 7.19 (d, J = 8.0 Hz, 1H), 7.14 (t, J = 8.0 Hz, 2H), 6.52 (d, J = 7.6 Hz, 1H), 4.52 (s, 2H), 3.52 (q, J = 7.0 Hz, 2H), 1.18 (t, J= 6.8 Hz, 3H); LC-MS 378 (MH+)
[ 실시예 105]
2-(4-(4-(3- 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 ) 싸이에노 [3,2-d]피리미딘-6-일) 벤즈아미도 )프로판산 (2-(4-(4-(3- hydroxyphenylamino ) thieno [3,2-d] pyrimidin -6-yl)benzamido)propanoic acid )) ( LCB03 -0075)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28
실시예 102의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합물(40 mg, 0.07 mmol)을 실시예 31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 (18 mg, 60 %)을 수득하였다.
1H-NMR (400 MHz, CDCl3); δ 10.07 (brs, 1H), 9.53 (brs, 1H), 8.82 (d, J= 10.8 Hz, 1H), 8.67 (s, 1H), 8.05-7.97 (m, 4H), 7.28 (s, 1H), 7.18 (d, J = 7.2 Hz, 2H), 6.59-6.58 (m, 1H), 4.44 (p, J = 10.8 Hz, 1H), 1.49 (d, J = 10.8 Hz, 3H); LC-MS 435 (MH+)
[ 실시예 106]
[단계 1]
N-(3-(4-메톡시벤질옥시)페닐)-2-(4-메틸피페라진-1-일)싸이아졸로[4,5-d]피리미딘-7-아민 (N-(3-(4-methoxybenzyloxy)phenyl)-2-(4-methylpiperazin-1-yl)thiazolo[4,5-d]pyrimidin-7-amine)의 제조
제조예 33에서 합성한 화합물 (100 mg, 0.24 mmol)을 2 ml의 N-메틸피롤리딘에 녹이고 N-메틸피페라진 (0.57 ml, 4.87 mmol)을 첨가하여 18시간동안 환류교반하였다. 물 40 ml와 에틸아세테이트 4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후 감압농축한 다음 관크로마토그래피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20/1 → 15/1)를 이용하여 표제 화합물 (111 mg, 99 %)을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8.52 (s, 1H), 7.35 (d, J = 8.4 Hz, 2H), 7.29 (t, J= 8.0 Hz, 1H), 7.00-6.99 (m, 1H), 6.91-6.86 (m, 4H), 5.01 (s, 2H), 3.81 (s, 3H), 3.66 (m, 4H), 2.50-2.47 (m, 4H), 2.33 (s, 3H); LC-MS 463 (MH+)
[단계 2]
3-(2-(4-메틸피페라진-1-일)싸이아졸로[4,5-d]피리미딘-7-일아미노)페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2-(4-methylpiperazin-1-yl)thiazolo[4,5-d]pyrimidin-7-ylamino)phenol. TFA)) (LCB03-0100)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29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합물 (50 mg, 0.108 mmol)을 2 ml의 다이클로로메테인에 녹인 후크리플루오로아세트산 2 ml와 아니솔 (59 ㎕, 0.54 mmol)를 넣고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하였다. 감압농축 후 다시 다이클로로메테인과 메탄올, 다이에틸에테르등을 이용하여 공비농축하여 표제화합물 (48 mg, 99 %)을 얻었다.
1H-NMR (600 MHz, Acetone-d6); δ 8.69 (s, 1H), 7.31-7.28 (m, 1H), 7.15-7.13 (m, 1H), 7.02-6.98 (m, 1H), 6.87-6.84 (m, 1H), 4.13-4.10 (m, 4H), 3.59-3.58 (m, 4H), 3.02 (s, 3H); LC-MS 343 (MH+)
[ 비교예 ] 비교 화합물 1~3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효과의 우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과 유사하게 싸이에노 피리딘의 모핵을 가지지만 본 발명 화학식 1의 정의에는 포함되지 않는 하기의 비교 화합물 3종을 각각 합성하였다. 비교 화합물들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하기 비교 제조예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96549112-pct00330
[비교 제조예 1]
Figure 112012096549112-pct00331
[비교 제조예 1-1]
2-메틸-5-니트로인돌(2g, 8.78 mmol)을 디클로로메탄 80ml에 녹인 후 소듐 히드록사이드(1.1g, 26.36mmol)과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32mg, 0.87 mmol), 4-니트로페닐 클로로포메이트(1.86g, 9.22mmol)을 순서대로 넣은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중 생긴 고체를 필터하여 디클로로메탄으로 씻은 후 여액층을 농축하여 2-메틸-5-니트로-1-(4-니트로페녹시카보닐)인돌 (2.9g, 96%)을 노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DMSO-d6); δ 8.73(d, J=4.8Hz, 1H), 8.13(s, 1H), 7.69(d, J=4.8Hz, 1H), 5.08(brs, 1H), 4.40~4.34(m, 1H), 4.02~3.95(m, 2H), 3.69~3.59(m, 2H), 2.05~1.94(m, 2H)
LC-MS 342(MH+)
[비교 제조예 1-2]
2-메틸-5-니트로-1-(4-니트로페녹시카보닐)인돌(1.9g, 5.56 mmol)을 테트라히드로퓨란 25ml에 녹인 후 사이클로프로필 아민(3.1ml, 44.53mmol)을 넣은 후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다음 생성된 고체를 필터하여 제거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n-헥세인, 1/4)를 이용하여 2-메틸-5-니트로 인돌-1-카복시산 사이클로프로필아미드 (660 mg, 46 %)를 옅은 노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CDCl3); δ 8.40(d, J=2.4Hz, 1H), 8.09(dd, J=9.6, 2.4Hz, 1Hz), 7.65(d, J=9.6Hz, 1H), 6.47(s, 1H), 5.79(brs, 1H), 2.98~2.82(m, 1H), 2.59(s, 3H), 0.99~0.97(m, 2H), 0.79~0.74(m, 2H)
LC-MS 476 (MH+)
[비교 제조예 1-3]
2-메틸-5-니트로 인돌-1-카복시산 메틸아미드 (860 mg, 3.32 mmol)을 에틸아세테이트/테트라히드로퓨란(30ml/24ml)에 녹인 후 10%Pd/C(354mg, 0.33mmol)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셀라이트를 이용하여 팔리듐을 제거하고 감압농축한 다음 관크로마토그래피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98/2)를 이용하여 5-아미노-2-메틸-인돌-1-카복시산 사이클로프로피아미드(490mg, 64%)을 주황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CDCl3); δ 7.32(d, J=8.4Hz, 1H), 6.76(d, J=2.4Hz, 1H), 6.56(dd, J=8.4, 2.4Hz, 1H), 6.136(s, 1H), 5.84(brs, 1H), 3.55(brs, 1H), 2.89~2.86(m , 1H), 2.53(s, 3H), 0.92~0.88(m, 2H), 0.71~0.69(m, 2H)
LC-MS 230 (MH+)
[비교 제조예 2]
5-[2-(3R-히드록시-피롤리딘-1-카보닐)-티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2-메틸-인돌-1-카복시산 사이클로프로필마아미드 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32
[비교 제조예 2-1]
제조예 6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된 출발물질(0.1g, 0.46mmol)을 디클로로메탄 5ml에 녹인 후 티오닐클로라이드 (0.05ml, 0.70mol)을 넣고 디메틸포름아미드 1방울 넣은 후 2시간동안 환류교반하였다. 반응용매를 감압증류하여 제거한 후 1ml의 디클로로메탄에 녹인 R-3-pyrrolidinol(45mg, 0.51mmol)을 천천히 적가한 후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감압증류하여 제거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98/2)를 이용하여 중간화합물 (98 mg, 74 %)을 흰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DMSO-d6); δ 8.73(d, J=4.8Hz, 1H), 8.13(s, 1H), 7.69(d, J=4.8Hz, 1H), 5.08(brs, 1H), 4.40~4.34(m, 1H), 4.02~3.95(m, 2H), 3.69~3.59(m, 2H), 2.05~1.94(m, 2H)
LCMS 283(MH+)
[비교 제조예 2-2]
수득한 중간 화합물(97mg, 0.34mmol)과 비교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화합물 (87mg, 0.38mmol)을 디클로로메탄 0.6ml와 에탄올6ml에 녹인 후 4M 염산/다이옥산 0.08ml를 넣고 20시간 환류교반하였다. 반응용매를 감압증류하여 제거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 97/3)를 이용하여 표제화합물 (100 mg, 60 %)을 노란색 고체로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DMSO-d6); δ 9.11(brs, 1H), 8.52(s, 1H), 8.29(d, J=5.4Hz, 1H), 7.83(d, J=39.6Hz, 1H), 7.55(d, J=8.4Hz, 1H), 7.37(s, 1H), 7.10,(8.4Hz, 1H), 6.73(d, 4.8Hz, 1H), 6.36(s, 1H), 5.07(d, J=8.4Hz, 1H), 4.35(d, J=33Hz, 1H), 3.95~3.90(m, 2H), 3.64~3.55(m, 2H), 3.46~3.44(m, 1H), 2.88~2.82(m, 1H), 2.47(s, 3H), 2.03~1.85(m, 2H), 0.77~0.76(m, 2H), 0.69~0.64(m, 2H)
LCMS 476(MH+)
[비교 제조예 3]
5-(2-[(S)-2-( 메톡시메틸 ) 피롤리딘 -1- 카보닐 ] 티에노 [3,2-b]피리딘-7- 일아미노 )-2- 메틸인돌 -1- 카복시산 사이클로프로필아미드 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33
비교 제조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CDCl3); δ 8.32(d, J=6.0Hz, 1H), 7.77(brs, 1H), 7.61(d, J=8.4Hz, 1H), 7.37(d, 1.8Hz, 1H), 7.08(dd, J=8.4, 2.4Hz, 1H), 6.68(d, J=6.0Hz, 1H), 6.29(s, 1H), 6.19(s, 1H), 6.12(brs, 1H), 4.49(brs, 1H), 3.87~3.83(m, 2H), 3.65~3.61(m, 2H), 3.38(s, 3H), 2.96~2.92(m, 1H), 2.59(s, 3H), 2.08~1.79(m, 5H), 0.98~0.92(m, 2H), 0.88~0.86(m, 2H)
LCMS 504(MH+)
[비교 제조예 4]
Figure 112012096549112-pct00334
(2S, 4R)-4-히드록시피롤리딘-1,2-디카복시산 1-벤질에스터 2-메틸에스터 (1.6g, 6.03mmol)을 아세톤 16 ml에 녹이고 실버 옥사이드 (4.7g, 20.50mol)와 아이오도 메탄(1.3ml, 21.10mmol)을 넣고 57℃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셀라이트를 이용하여 실버옥사이드를 제거한 후 메탄올로 씻어준 후 농축한 다음 관크로마토그래피 (에틸아세테이트/n-헥세인, 1/9) 이용하여 (2S, 4R)-4-메톡시피롤리딘-1,2-디카복시산 1-벤질에스터 2-메틸에스터 (1.53g, 87 %)을 오일로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CDCl3); δ 7.31~7.23(m, 5H), 5.22~5.00(m, 2H), 4.44~4.40(m, 1H), 4.10~4.02(m, 1H), 3.76(s, 3H), 3.69(m, 1H), 3.54(s, 2H), 3.29(brs, 3H), 2.42~2.30(m, 1H)
(2S, 4R)-4-메톡시피롤리딘-1,2-디카복시산 1-벤질에스터 2-메틸에스터 (1.53g, 5.25mmol)를 7 ml의 테트라히드로퓨란에 녹인 후 0℃에서 리튬보로히드라이드(2.0M/THF)를 3.15ml 천천히 적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ml의 포화된 탄산수소 나트륨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와 탄산수소 나트륨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농축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n-헥세인, 1/9) 이용하여 (2S, 4R)-2-히드록시메틸-4-메톡시피롤리딘-1-카복시산 벤질에스터(1.3 g, 93%)을 무색의 액체로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CDCl3); δ 7.51~7.38(m, 5H), 5.24~5.00(m, 2H), 4.45~4.40(m, 1H), 4.23~4.18(m, 2H), 3.95~3.73(m, 3H), 3.51~3.42(m, 1H), 3.31(s, 3H), 2.22~2.14(m, 1H)
(2S, 4R)-2-히드록시메틸-4-메톡시피롤리딘-1-카복시산 벤질에스터(1.25g, 4.71 mmol)을 메탄올에 녹인 후 10%Pd/C을 넣고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셀라이트를 이용하여 팔리듐을 제거하고 감압농축하여 ((2S, 4R)-4-메톡시피롤리딘-2-일)메탄올(606mg, 98%)을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CDCl3); δ 4.11~4.08(m, 2H), 4.00~3.98(m, 1H), 3.82~3.79(m, 1H), 3.51~3.49(m, 1H), 3.41~3.88(m 1H), 3.32(s, 3H), 2.17~2.14(m, 1H), 2.03~1.99(m, 1H)
((2S, 4R)-4-메톡시피롤리딘-2-일)메탄올을 이용하여 비교 제조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600 MHz, CDCl3); δ 8.65(d, J=4.8Hz, 1H), 7.58(s, 1H), 7.37(d, J=4.8Hz, 1H), 4.61~4.57(m, 1H), 4.12~4.05(m, 2H), 4.01(brs, 1H), 3.94~3.87(m, 2H), 3.77~3.74(brs, 1H) 3.28(s, 3H), 2.34~2.30(m, 1H), 1.87~1.82(m, 1H)
LC-MS 327 (MH+)
[비교 제조예 5]
5-[2-((2S, 4R)-2- 히드록시메틸 -4- 메톡시 - 피롤리딘 -1- 카보닐 )- 벤조[b]티오펜 -7-일 아미 노]-2- 메틸 -인돌-1- 카복시산 사이클로프로필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12096549112-pct00335
비교 제조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22mg, 0.09 mmol)과 비교 제조예 4에서 수득한 화합물 (28mg, 0.08 mmol)을 비교 제조예 2-2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1H-NMR (600 MHz, CDCl3); δ 8.94(s, 1H), 8.58(d, J=3.0Hz, 1H), 8.34(d, J=5.3Hz, 1H), 7.84(s, 1H), 7.61(d, J=8.6Hz, 1H), 7.43(d, J=1.8Hz, 1H), 7.16(dd, J=8.8, 2.0Hz, 1H), 6.78(d, J=5.6Hz, 1H), 6.54(s, 1H), 6.43(s, 1H), 4.86(t, J=5.5Hz, 1H), 4.28(brs, 1H), 4.09(brs, 1H), 3.95~3.89(m, 2H), 3.78~3.75(m, 1H), 3.60~3.58(m, 1H), 3.23(s, 3H), 2.94~2.89(m, 1H), 2.56(m, 3H), 2.15(t, J=7.3Hz, 2H), 0.84~0.82(m, 2H), 0.74~0.71(m, 2H)
LC-MS 520 (MH+)
실험예 1> c- SRc 패밀리및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에 대한 생체외 활성 저해능 측정.
여러 염증세포의 활성화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중 c-Src, Hck, Fgr, Lyn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의 활성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앞에서 언급한 3종의 비교 화합물의 저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생체 외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일부 면역세포나 평활근세포, 섬유아세포의 활성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인 DDR1 과 DDR2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의 활성에 대하여도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앞에서 기술한 3종의 비교 화합물의 저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생체 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c-Src, Hck, Fgr, Lyn 인간 재조합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단백질은 각각의 단백질을 통상적인 방법인 바큐로 바이러스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곤충세포에서 발현 후 이를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글루타치온-S-트랜스퍼라제 (GST)와 융합한 활성화된 DDR1 혹은 DDR2 카이네이즈 도메인 단백질은 이전에 발표된 논문에 따라 활성화 시킨 후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Yang K. et al, J Biol Chem. ;280(47):39058-66, 2005). 즉 인간 DDR1 과 DDR2 전체 단백질 중 세포질에 노출된 부위로서 카이네이즈 도메인을 포함하는 절편을 GST 에 융합시킨 단백질을 c-Src 단백질과 함께 통상적인 바큐로바이러스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곤충세포에서 공동 발현하여 이 GST 융합 DDR1 혹은 DDR2 카이네이즈 도메인 단백질의 카이네이즈 활성을 활성화 시킨 후 이를 글루타치온-아가로즈 비드를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 그라피 법으로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위에 언급된 카이네이즈에 대한 저해 활성 측정은 2 μl 의 정제된 카이네이즈 단백질 (10-50 ng), 20mM Tris-HCl, pH 8.0, 5mM MgCl2, 0.5 mM dithiothreitol, 0.01 mM ATP, 4 ug 의 poly(D4Y)n 펩타이드 기질 (Promega), 0.2 uCi 의 32P-ATP 를 포함하는 반응용액에 하기 표 1 에 나타낸 화합물 1 μM 을 처리하고 15 분간 30℃ 에서 방치한 후, 1/2 부피의 30% 인산 용액을 가하여 카이네이즈 효소 반응을 종료시켰다. 이후, 반응물을 아비딘(avidine)이 코팅된 멤브레인(Promega)에 스포팅하였다. 이 멤브레인을 50mM 포스페이트, 0.1N NaCl 버퍼(pH 6.0) 용액에서 10 분씩 5 번 세척 후 각 스폿의 방사능을 BAS 이미지 분석기(Fuji)를 이용해 정량화하여 카이네이즈 효소 반응 정도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 1 에 나타낸 각 실시예의 화합물과 3 종의 비교화합물의 1μM 의 농도에서 c-Src, Hck, Fgr, Lyn, DDR1 과 DDR2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에 대한 저해 정도(%)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96549112-pct00336
Figure 112012096549112-pct00337
Figure 112012096549112-pct00338
Figure 112012096549112-pct00339
표 1 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1μM 의 농도에서, 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활성을 저해하였는데 평균적으로는 65% 이상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LCB 03-0032~37, LCB 03-0040~42, LCB 03-0060~67, LCB 03-0070, LCB 03-0076, LCB 03-0079~95 LCB 03-0107~112 화합물등이 특징적인 구조적 공통성을 가지며 대체적으로 70%~80% 이상의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비교 화합물 3 종 모두 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에 대해 본 발명에서 실시예로 보여준 표 1 에 나타낸 화합물들과 비교하여 20% 이하의 낮은 저해능을 보여주었다.
또한 표 1 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1μM 의 농도에서,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활성을 저해하였으며 평균적으로 70% 이상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LCB 03-0032~37, LCB 03-0040~68, LCB 03-0070, LCB 03-0072~80, LCB 03-0083~99, LCB 03-0107~112 화합물등이 구조상 특징적인 공통성을 가지며 대체적으로 70%~80% 이상의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비교 화합물 3 종 모두 디스코이딘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에 대해 본 발명에서 실시예로 보여준 표 1 에 나타낸 화합물들과 비교하여 20% 이하의 낮은 저해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사실은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하이드록시 아닐리노 피리미딘, 혹은 하이드록시 아닐리노 피리딘을 공통적인 모핵으로 가지며 이 모핵의 유도체들인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대체적으로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와 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에 대해 강력한 저해 효능을 보임을 보여준다. 반면에 비교화합물 3 종은 Src 나 디스코이딘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저해능이 매우 약하여 작용 약리 기전이 본 발명의 화합물과 크게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염증 질환과 관련된 Src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섬유아세포나 상피세포나 평활근세포의 활성화에 중요한 디스코이딘 도메인 수용체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활성을 동시에 함께 저해함으로써 섬유아세포나 상피세포나 평활근세포의 활성화를 동반하여 조직 비대화나 섬유화가 같이 진행되는 염증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억제 하는데 사용되어질 수 있다.
실험예 2> LPS ( lipo - poly - saccharide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의 Nitric Oxide ( NO ) 및 TNF -α 생성 저해능 측정.
생체 외 실험과 생체 내 실험에서 LPS 처리를 하면 주로 대식세포 등에서 TNF-α, IL-6, IL-12 등의 면역 사이토카인 그리고, Nitric Oxide (NO)를 생성하는 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효소의 증가에 의한 NO 생성 증가 등이 유도된다. 이때 이러한 염증성 면역 매개 물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은 항염증 활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TNF-α, NO 의 생성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을 처리했을 경우에 이들의 생성이 저해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생체 외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24 well 배양 접시에서 10% FBS 를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배양한 J744A.1 대식세포주를 1% FBS 를 포함하는 DMEM 배지로 옮긴 후에, 10 μM 농도의 실시예 화합물들을 처리하고 30분 후에, 100 ng/ml 의 농도로 LPS 를 처리하였다. 6시간 후에 배양 배지를 취한 후 생성된 TNF-α 의 양을 효소면역측정법 키트(R&D 시스템)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화합물이 처리되지 않은 경우의 TNF-α 생성 양에 대비하여 각 화합물이 처리되어 감소한 TNF-α 양을 % 저해정도로 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96549112-pct00340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10 μM 농도에서, TNF-alpha 생성을 저해하였다. 특히 LCB 03-0015, LCB 03-0030~42, LCB 03-0053~67, LCB 03~0070, LCB 03~0072, LCB 03~0076, LCB 03~0079~80, LCB 03~0082~94의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특징적인 구조적 공통성을 가지며 70% 근처 혹은 그 이상의 높은 저해 효과를 보였고 구조적인 공통점을 가지는 LCB 03-0108-111의 화합물도 50% 이상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3종의 비교 화합물은 TNF-alpha 생성 저해능이 표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화합물들과 비교하여 동일 조건의 비교 실험에서 현저히 떨어짐을 보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염증성 질환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매개물질인 TNF-alpha 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염증성 질환의 예방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되어 활성화시킨 J744A.1 대식세포를 24시간 배양 후 배양배지 100μl 를 취하고 같은 부피의 그리스(Griess)시약을 혼합하였다. 15분 후에 대식세포주에서 생성된 nitric oxide(NO)의 상대적인 양을 측정하고자 540nm 파장에서 흡광도 측정법으로 정량화하였다. 화합물이 처리되지 않은 경우의 NO 생성 양에 대비하여 각 화합물이 처리되어 감소한 NO 양을 % 저해정도로 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96549112-pct00341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10 μM 의 농도에서, NO 생성을 저해하였는다. 특히 LCB 03-0030, LCB 03-0031~38, LCB 03-0040~42, LCB 03-0053~54, LCB 03-0060~67, LCB 03~0070, LCB 03~0076, LCB 03~0082, LCB 03-0084~94, LCB 03-0107~112의 화합물들의 경우에는 구조적인 공통점을 가지면서 대체적으로 80% 근처 혹은 그 이상의 높은 저해 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3종의 비교 화합물은 NO 생성 저해능이 표 3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화합물들에 비해 동일 실험 비교 조건에서 현저히 떨어짐을 보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염증 질환과 관련된 주요 염증 매개 물질로 알려진 TNF-alpha 및 NO 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효능은 3종의 비교 화합물에 비해 더욱 우수한 것을 보여준다.
실험예 3> 제 I 형 콜라겐과 TGF -β1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섬유 아세포에서의 α- 스무쓰 머슬 액틴 단백질 발현 증가 및 세포 이동성 증가에 대한 저해능 측정
섬유아세포나 상피세포나 평활근세포등이 활성화되어 미요브라스트(Myoblast)형의 세포로 변환될 때 그 특징중의 하나는 α-스무쓰 머슬 액틴 단백질의 발현 증가이다. 또한 α-스무쓰 머슬 액틴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된 미요브라스트형의 세포는 그 이동성이 증가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현상은 여러 염증 현상에서 염증세포의 활성화와 더불어 나타나는 현상이며 활성화된 미요브라스트형 세포는 염증성 질환의 병리현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한다고 알려졌다.
본 연구팀은 Balb/C 생쥐의 등 피부 조직에서 분리한 피부 섬유아세포를 DMEM 배양배지에서 200 ul 의 100 ug/ml 제 I 형 콜라겐으로 코팅한 배양 접시에 프래이팅 후 여기에 10ng/ml 의 TGF-β1을 48시간 처리하였을 때 α-스무쓰 머슬 액틴 단백질 발현이 크게 증가하였음을 세포 파쇄액을 만들어 α-스무쓰 머슬 액틴 특이적 항체를 이용하여 웨스턴브로팅을 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실험에서 α-스무쓰 머슬 액틴 발현 정도는 웨스턴 브로팅 후 케미루미네슨스 신호를 X-레이 필름에 현상 후 현상된 α-스무쓰 머슬 액틴 단백질 밴드를 덴시토미터를 이용하여 정량할 수 있다. 이러한 실험에서 다음 표 4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0.5 uM 농도로 처리시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 대비하여 각 화합물의 α-스무쓰 머슬 액틴 단백질 발현증가에 대한 저해 정도를 구하여 % 값으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96549112-pct00342
표 4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0.5 μM 의 농도에서, α-스무쓰 머슬 액틴 단백질 발현증가를 저해하였고 평균적으로 55.3%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LCB 03-0032~37, LCB 03-0040~42, LCB 03-0059~67, LCB 03-0070, LCB 03-0076, LCB 03-0079~80, LCB 03-0083~85, LCB 03-0088, LCB 03-0107~112의 화합물의 경우에는 어느정도 일정한 구조적인 공통점을 가지면서 대체적으로 60% 근처 혹은 그 이상의 높은 저해 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3종의 비교 화합물은 저해능이 표 4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대부분의 화합물들에 비해 동일 실험 비교 조건에서 현저히 떨어짐을 보였다.
섬유 아세포를 콜라겐과 TGF-β1으로 활성화시킬 때 그 이동성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이때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이 이동성을 억제하는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생쥐 피부 섬유 아세포를 높은 밀도로 10% FBS 를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콜라겐이 코팅된 6웰 배양접시에 프레이팅 하여 하루밤 방치하여 다음날 배양접시에 단일 층으로 거의 100% 밀도로 자라게 하였다. 이 단일층에 마이크로 파이펫 팁을 이용하여 일자형의 일정한 넓이의 스크래치 상처를 만든 후 배지를 DMEM 으로 교환하고 여기에 10ng/ml 의 TGF-β1을 처리한 후 37도 세포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접시의 세포를 포르말린으로 픽싱 후 크리스탈 바이오렛으로 세포를 염색하였다. 각 염색된 배양접시를 임의적으로 선택한 5군데의 스크랫치 상처 부위에 대하여 100X 배율로 사진을 찍은 후 처음 스크랫치 상처가 만들어진 부위 안으로 이동한 세포의 수를 세어 평균을 내었다. 이러한 실험 방법으로 다음 표 5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0.5 uM 농도로 처리시, 화합물의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이동한 세포수의 평균값을 100% 하였을 때 감소된 이동한 세포수의 평균값을 %값으로 한 저해능을 표5에서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96549112-pct00343
표 5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0.5 μM 의 농도에서, 활성화된 섬유아세포의 이동성을 저해하였으며 평균적으로 36.9 %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LCB 03-0032, LCB 03-0036~37, LCB 03-0040~42, LCB 03-0060~67, LCB 03-0076, LCB 03-0079~80, LCB 03-0084~85, LCB 03-0091, LCB 03-0107~112의 화합물의 경우에는 특징적인 구조적 공통점을 가지면서 대체적으로 평균저해값 근처 혹은 그 이상의 높은 저해 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3종의 비교 화합물은 저해능이 표 5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대부분의 화합물들에 비해 동일 실험 비교 조건에서 현저히 떨어짐을 보였다.
이들 결과는 본 발명에서 제시한 화합물이 섬유아세포류의 미요브라스트 세포 형태로의 활성화 현상을 억제하는 효능에서 우수함을 보여준다. 반면에 비교 화합물 3종은 이러한 저해능이 현저히 떨어져서 이로부터 본 발명에서 제시한 화합물이 활성화된 미요브라스트 세포가 관여하는 염증성 질환이나 상처 치료 및 상흔형성방지에서 우월적인 우수한 예방 및 치료 효능을 보일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험예 4> Oxazolone 으로 유도한 생쥐 피부 염증 모델에서 항염증 효능 측정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동물모델에서 항염증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하기 위하여 8주령 Balc/C 생쥐 귀에서 oxazolone 으로 유도한 피부염증 모델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먼저 아세톤:오리브오일 (4:1) 용액에 녹인 50ul 의 3% oxazolone 을 8주령 Balc/C 생쥐의 털을 제거한 등에 이틀 연속 발라준다. 이후 4일 후 캘리퍼를 이용하여 생쥐의 귀의 두께를 재어 염증을 유도하기 전의 귀의 두께 값으로 한다. 연이어 20 ul 의 에탄올에 녹인 0.1% 각 화합물을 귀의 안과 밖에 발라준다. 30분 후에 생쥐 귀 안과 밖의 면에 20 ul 의 아세톤:오리브오일 (4:1) 용액에 녹인 0.5% oxazolone 을 발라준다. 36시간이 경과한 후에 염증으로 인해 증가한 귀의 두께를 잰다. 화합물 대신 캐리어 용액 20ul 만을 처리한 군의 귀 두께 증가율을 100%로 하여 각 화합물을 처리한 군의 두께 증가율을 % 값으로 나타낸다. 각 군은 n=4로 실험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이러한 실험 방법으로 다음 표 6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화합물 0.1%와 비교화합물 2종을 염증 유발 생쥐 귀의 피부에 처리시 염증 정도와 비례하는 귀의 두께 증가를 억제하는 정도를 표6에서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96549112-pct00344
표 6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대부분 0.1%의 농도에서 생쥐 귀의 염증을 저해하였으며 평균적으로 49.4 % 저해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LCB 03-0059~67, LCB 03-0070, LCB 03-0072, LCB 03-0076, LCB 03-0079~80, LCB 03-0093~94, LCB 03-0107~112의 화합물의 경우에는 특징적인 구조적 공통점을 가지면서 대체적으로 50% 근처 혹은 그 이상의 높은 저해 효과를 보였다.
표 6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2종의 비교 화합물에 비해 표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 실험 비교 조건에서 항 염증 작용이 대체적으로 현저히 우수한 경향을 보여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시하는 화합물은 항 염증 효능이 우수하며 이는 비교 화합물보다 뚜렸하게 더욱 우수하다.
실험예 5> LCB 03-0110의 다양한 타이로신 카이네이즈들에 대한 활성 저해능 측정.
본 발명이 제시하는 화합물중에 대표적인 화합물중의 하나인 LCB 03-0110 의 다양한 카이네이즈들의 활성에 대한 저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생체 외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양한 카이네이즈에 대한 IC50 값을 구하는 실험은 상기 실험 예 1 에서 기술한 생체외 카이네이즈 활성 측정법을 이용하거나 혹은 이러한 실험을 대행해 주는 업체, 예를 들어 Reaction Biology 사 (Palo Alto, U.S.A.)에 의뢰하여 측정 할 수 있다.
다음 표 7 에서 LCB 03-0110 의 여러 면역세포 활성화에 관여하는 다양한 타이로신 카이네이즈들에 대한 세포외 활성 저해능 IC50 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96549112-pct00345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LCB 03-0110 화합물은 다양한 면역세포 활성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가진 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에 대해 생체외 활성저해 IC50 값으로 1.3~50.7 nM 을 보여주었고 또한 역시 다양한 면역세포 활성화 신호전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Syk1, Btk1, EPHA3, 그리고 FLT3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에 대해서도 IC50=4.6 nM~26.1 nM 의 강력한 저해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 바, 상기 이들 카이네이즈 활성이 깊게 관여하는 다양한 면역세포들의 활성화를 효과적으로 저해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LCB 03-0110 화합물과 이와 유사한 구조와 활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염증과 면역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가진 Src 패밀리와 더불어 Syk1, Btk1, EPHA3, 그리고 FLT3 타이로신 카이네이즈등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염증성 질환 및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CB 03-0110 화합물과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화합물들은 신생 혈관 생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가진 VEGFR2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당뇨성 망막증등의 예방 및 치료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6> LCB 03-0110의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의 사이토카인 및 NO 생성 저해능 측정.
실험예 2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화합물 LCB 03-0110를 여러 농도로 J774A.1 대식세포에 처리 후 LPS 로 자극을 주고 6시간 후 배양 배지를 회수하여 배지에 포함된 TNF-alpha, IL-6, IL-12 각각의 사이토카인 양을 효소면역측정법으로 정량 한 것과 24시간 후 채취한 배양배지에서 정량화한 NO 생성양의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TNF-alpha 와 NO 의 생성을 50% 저해하기 위해서 필요한 화합물 LCB 03-0110의 농도는 약 2μM 이었고 IL-6의 생성을 50% 저해하기 위해서 필요한 화합물 LCB 03-0110의 농도는 약 7μM 이었다. 특히 IL-12의 경우에는 화합물 LCB 03-0110을 1μM 농도로 처리했을 때 LPS 에 의한 생성 유도가 거의 100% 저해되었다.
이로부터 LCB 03-0110 화합물과 이와 유사한 구조와 활성를 가지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화합물들은 TNF-alpha, IL-6, IL-12등의 면역사이토카인및 NO 등의 염증성 면역 매개 물질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7> LCB 03-0110의 LPS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의 COX -2, iNOS 단백질 생성 저해능 측정.
COX-2, iNOS 의 대식세포에서의 유도된 발현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LCB 03-0110을 농도 별로 처리했을 경우에 이들의 발현이 저해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생체 외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J744A.1 대식세포 배양배지에 LCB 03-0110 화합물을 농도 별로 처리하고 30분 후, 100 ng/ml 의 농도로 LPS 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다. 배양된 세포를 취하여 파쇄액으로 만들고 이를 같은 부피의 2X 램리 버퍼와 섞은 후 2분간 끓였다. 위와 같이 처리된 배양세포에서 같은 양의 단백질이 포함되도록 각 파쇄액 시료를 10% SDS-폴리아크릴 아마이드 젤 전기영동으로 전개한 후, PVDF 멤브레인으로 이동하여 항체를 이용한 웨스턴 블로팅을 실시함으로써 세포 내에서 COX-2, iNOS 발현양을 알수 있었다.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LPS 처리는 대식세포내의 iNOS 와 COX-2의 발현을 증가시켰지만 LCB 03-0110 화합물 약 1μM 농도로 iNOS 의 생성이 50% 저해되었고, LCB 03-0110 화합물 약 2μM 농도로 COX-2 생성이 50% 저해되었다.
이로부터 LCB 03-0110 화합물과 이와 유사한 구조와 활성을 가지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화합물들은 iNOS, COX-2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8> LCB 03-0110의 대식세포의 이동성 저해능 측정.
염증 반응에서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염증 부위에서 생성되는 케모카인에 반응하여 염증부위로의 이동성이 증가하며 이것은 염증이 일어나는 장소에 더 많은 대식세포가 모여들게 하여 염증을 지속적이고 더욱 강하게 일어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LCB 03-0110이 활성화된 Raw264.7 대식세포의 MCP-1에 의한 이동성 증가를 억제 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1% FBS 를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24 웰 transwell 세포이동분석 시스템(Coning 사)의 상부 챔버에 105개의 Raw264.7 대식세포주를 프레이팅하고, 100 ng/ml 의 LPS 단독 또는 여러 농도의 LCB 03-0110 화합물을 가하였다. 하부 챔버에는 1% FBS 를 포함하는 DMEM 배지에 20ng/ml 의 MCP-1을 가하였다. 8 시간 후 상부 챔버의 윗부분 세포를 면봉으로 제거하고 폴리카보네이트 필터를 통하여 아랫면으로 이동한 대식세포를 크리스탈 바이올렛으로 염색한 후 사진을 찍어 이동한 대식세포 수를 정량한 결과를 도 3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MCP-1은 LPS 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 세포의 이동을 크게 증가시켰지만 LCB 03-0110 화합물 약 2μM 을 처리함으로써 대식세포의 이동성이 50% 이상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LCB 03-0110 화합물과 이와 유사한 구조와 활성을 가지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화합물들은 활성화 된 대식세포가 염증 부위로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으로써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9> LCB 03-0110의 비만세포에서의 탈과립화 저해능 측정.
천식 및 아토피성 피부염 등 알러지성 면역 질환에 참여하는 주요 면역세포로 비만세포를 들 수 있다. 알러지 면역 반응에서 증가되는 IgE가 비만세포 표면에 있는 FcεRI 수용체에 결합하고 IgE에 대한 항원이 결합하면 FcεRI 수용체 활성화를 통해 세포 내 Src 패밀리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와 Syk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Btk1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의 활성화 신호전달 과정에 비만세포를 활성화 시켜 TNF-alpha, IL-4, IL-13등의 사이토카인 생성을 유도하고 또한 탈과립화를 촉진한다. 비만세포의 탈과립화에 의한 여러 면역조절 물질들의 세포 밖으로의 방출은 심한 알러지성 염증 질환 증상의 주요 원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IgE로 활성화 된 수용체의 신호전달에 의해 비만세포가 활성화되어 생성되는 면역사이토카인과 탈과립화를 억제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10% FBS를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20만개의 RBL-2H3 mast세포를 24웰 배양접시에 플레이팅 후 500ng/ml의 anti-DNP IgE를 가하고 20 시간 후, 10% FBS와 CaCl2를 포함하는 PIPES 버퍼 용액으로 배양된 세포를 2번 씻었다. 각 24웰당 200 μl의 PIPES 버퍼용액과 LCB 03-0110 화합물을 가하고 30분간 방치한 후, DNP-HSA 25 ng/ml 농도의 항원을 가하고 10분간 방치한 후, 얼음 위로 배양 접시를 옮겼다. 위의 배양액 100ul를 취한 것에 Hexosaminidase의 기질인 p-NAG를 가한 후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Na2CO3/NaHCO3 250ul를 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 4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LCB 03-0110의 화합물을 0.3 μM 농도로 처리시 탈과립화에 의한 헥소사미니다제(Hexosaminidase)의 세포 배양 배지로의 방출 정도의 증가는 80% 이상 저해되었다.
이로부터 LCB 03-0110 화합물과 이와 유사한 구조와 활성을 가지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화합물들은 천식 및 아토피성 피부염 등과 관련된 비만세포의 탈과립화를 효과적으로 저해함으로써 알러지성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험예 10> LCB 03-0110의 비만세포에서의 TNF - alpha IL -4 생성 저해능 측정.
비만세포에서 TNF-alpha 및 IL-4의 생성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저해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10% FBS를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20만개의 RBL-2H3 mast세포를 24웰 배양접시에 플레이팅 후 500ng/ml의 anti-DNP IgE를 가하고 20 시간 후, 10% FBS와 CaCl2를 포함하는 PIPES 버퍼 용액으로 배양된 세포를 2번 씻었다. 각 24웰당 200 μl의 PIPES 버퍼용액과 LCB 03-0110 화합물과 DNP-HSA 25 ng/ml 농도의 항원을 30분 간격으로 연이어 처리한 후, 4시간 후에 배양배지를 취하여 각각에 대한 효소면역측정법으로 정량화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LCB 03-0110 화합물을 약 2 μM 농도로 처리시, TNF-alpha의 생성이 50% 이상 저해되었고, LCB 03-0110 화합물을 약 3 μM 농도로 처리시 IL-4의 생성이 50% 이상 저해되었다.
이로부터 LCB 03-0110 화합물과 이와 유사한 구조와 활성을 가지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화합물들은 활성화된 비만세포에서 TNF-alpha 와 IL-4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비만세포의 활성이 관여된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11> LCB 03-0110의 동물 모델에서의 항 아토피 피부염 효능 측정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처리시 억제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생쥐의 피부에 아토피성 피부염을 유발 한 후 화합물 처리에 따른 피부 수분 손실량(TEWL), IgE 변화량, 표피 두께 및 비만세포 수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아세톤(3):올리브 오일(1) 용액에 용해한 5% TNCB 150 ul를 6주령 암컷 Nc/Nga 생쥐 피부에 주당 2회 2주간 도포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유도한 동물 모델을 만든 후, 하기와 같이 4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었다. 각 실험군은 n=5로 실험하였다.
(1) 20%에탄올:80%PEG400 캐리어 용액 150μl를 2주간 매일 경피 도포한 양성 대조군(TNCB군);
(2) LCB 03-0110 화합물 0.1%를 2주간 매일 경피 도포한 LCB 03-0110 군;
(3) tacrolimus(FK506) 0.1% 용액을 2주간 매일 경피 도포하여 효능 비교를 위한 Tacrolimus군; 및
(4) 정상 생쥐에 캐리어 용액만을 2주간 매일 도포한 정상대조군 (Normal군).
4개의 실험군에 각각의 화합물을 도포하기 전과 도포 2주 후 각 실험군의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표피 부위의 피부 수분 손실량 (TEWL)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또한 각 실험군에 화합물을 도포하기 전후에 약 100ul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을 분리한 다음 효소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IgE 양을 정량화하여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나아가 각 실험군에서 아토피성 피부염 유발 부위를 생체 검사하고 파라핀 블록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파라핀 블록으로부터 4um 두께의 절편을 취한 후 H&E 염색과 톨루이딘 블루 염색을 하였다. H&E 염색을 한 절편으로부터 표피의 두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고, 톨루이딘 블루 염색을 한 절편으로부터 비만세포 수를 정량화하여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TNCB 군은 2주 후 3배 이상의 피부수분손실량(TEWL)을 보인 반면에, LCB 03-0110군은 TNCB 군에 비해서 피부수분손실량(TEWL)이 유의성 있게 30% 이상 감소되는 양상을 보여 주었고 이는 효능 비교대조군으로 사용한 tacrolimus 군 보다 더욱 우수하였다.
도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TNCB 군은 IgE 양의 뚜렷한 증가를 보인 반면에, LCB 03-0110군은 TNCB 군에 비해서 IgE 양이 20% 이상 감소함을 나타내었고 효능 비교대조군으로 사용한 tacrolimus 군 보다 우월한 효능을 보여주었다.
도 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TNCB 군은 4배 이상의 표피 두께 증가를 보인 반면에, LCB 03-0110군은 TNCB 군에 비해서 표피 두께 증가가 유의성 있게 60% 이상 감소함을 보여 주었고 효능 비교대조군으로 사용한 tacrolimus 군 보다 우월한 효능을 보여주었다.
도 9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TNCB 군은 비만세포 수가 약 2배 증가된 것을 보인 반면에. LCB 03-0110군은 TNCB 군에 비해서 비만세포 수의 증가를 유의성 있게 약 25% 감소시킴을 보여주었고 효능 비교대조군으로 사용한 tacrolimus 군 보다 우월한 효능을 보여주었다.
이로부터 LCB 03-0110 화합물과 이와 유사한 구조와 활성을 가지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화합물들은 동물모델 실험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그 효과는 현재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물질로 사용중인 Tacrolimus 보다 우수하였다.
실험예 12> LCB 03-0110의 피부 상처 치유 과정에서의 치유 촉진 및 상흔 형성 저해능 측정
생체 내 조직 손상 후에 상처치유과정이 시작되면서 상처 부위에서 염증반응이 시작된다. 이때 상처 부위에 모여든 활성화된 대식세포 등의 염증 세포는 주위의 섬유화 세포, 상피세포, 평활근 세포등을 활성화 시켜 과잉 증식을 유도하고 과도한 콜라겐 등 세포 외 기질 단백질을 생성하여 축적하게 하기도 한다. 이 결과 상처 치유 후 일종의 섬유성 콜라겐이 축적된 상흔을 남기게 되며 이것의 과도한 축적은 결국 조직 섬유화를 야기하게 된다. 실지로 아토피성 피부염에서도 콜라겐 과다 침착이 일어나고 또한 천식에서도 역시 기도에 콜라겐의 과다 침착과 활성화된 미요브라스트 형 세포의 과다증식으로 기도가 좁아지며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혈관조직의 손상은 혈관벽에 콜라겐을 축적시켜 동맥경화를 유발한다. 당뇨병에서는 지속적인 높은 당 농도가 혈관조직에 손상을 가하고 이로인해 무분별한 신생 모세 혈관 형성을 유발하는 것이 반복되면서 안구조직, 신장 조직 등에 지속적인 손상을 가하고 이는 염증반응을 동반하여 궁극적으로는 당뇨성 신부전증, 당뇨성 망막증 및 족부 궤양 등의 부작용을 유발한다. 또한 피부조직 손상 후 치유과정에서 축적된 콜라겐은 상처를 남겨 미관상 역효과를 준다. 실지로 대식세포 생성을 유전자 변형으로 억제한 생쥐에서는 피부 상흔 형성이 크게 억제됨이 알려졌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대식세포 등 면역세포의 활성을 억제하여 염증반응을 억제하며 동시에 섬유아세포의 미요브라스트형 세포로의 활성화를 억제한다는 면에서 염증을 동반한 조직 섬유화 질환들에서 상흔 형성을 방지하여 조직에 섬유화 물질의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이 신생혈관 생성에서 중요한 VEGFR2을 역시 억제한다는 점에서 무분별한 혈관생성과 염증이 동시에 관여하는 관절염 질환이나 당뇨합병증 질환에 대한 효능이 기대된다.
피부창상 치유 모델 실험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실지로 염증세포인 대식세포의 활성화와 미요브라스트 세포의 활성화 억제를 통하여 상흔 형성 억제 효과를 보이고 동시에 상처가 아무는 것 (Wound closing)을 촉진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생후 8주의 뉴질랜드산 흰 토끼를 Zoletil 50® 15mg/Kg 용량으로 근육 주사하여 마취한 후 치오글리콜산으로 실험부위 털을 제거하고, 1회용 6mm 생체검사 펀치(STIEFEL®)를 사용하여 토끼 귀 양쪽에 각각 4개의 전층결손창상 (Full excisional wound)을 만들었다. 상처를 유발 한 각 토끼에서 한쪽 귀의 상처 4군데에는 20%에탄올:80%PEG400 캐리어 용액에 LCB 03-0110 화합물 0.1% 녹인 용액을 각 상처당 150ul 를 도포하고 맞은 편 귀의 상처 4군데에는 20% 에탄올:80% PEG400의 캐리어 용액만 도포한 뒤 듀오덤(Convatec)을 사용하여 밀봉 드레싱하였다. 각군은 n=12로 시행하였다. 첫 처리 이후 21일 동안 3일 간격으로 위와 같이 처리하며 매 3일 간격으로 12일 까지 원형 상처의 최대와 최소 직경을 캘리퍼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이로부터 아직 아물지 않은 상처부위의 면적을 구하여 이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창상 후 21일째 8mm 생체검사 펀치로 각 상처 조직을 채취하여 10%포르말린 용액으로 고정시킨 후 파라핀으로 포매한 다음, 6μm 두께로 절편 한 박편을 H&E 염색을 하였다. 이로 부터 Saulis 등이 기술한 방법 (Saulis AS et al., Plast Reconstr Surg. 2002. 110(1):177-83)에 준하여 이를 40 배율 현미경하에서 사진을 찍고 imagepro plus® softwar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새로 형성된 상처 이전 면적에 준하는 표피와 진피 층 면적(아래그림, Area A)과 상흔을 형성한 부위의 면적(아래그림, Area B)을 잰 후 이로부터 다음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scar elevation index (SEI)를 측정한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96549112-pct00346
[수학식 1]
Figure 112012096549112-pct00347
도 11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LCB 03-0110 화합물을 처리한 군은 캐리어 용액만을 처치한 대조군에 비해 상처가 아무는 속도가 더 빠른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LCB 03-0110 이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효능이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에 상처 치유 후에 구한 SEI 값은 LCB 03-0110 화합물을 처리한 군의 SEI 값이 캐리어 용액만을 처치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P<0.05, student t-test) 약 30%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어 LCB 03-0110 이 상흔형성을 억제함을 보여주었다.
본 동물모델 실험에서의 LCB 03-0110 의 상흔 형성 억제가 실지로 이 화합물의 대식세포와 미요브라스트 세포의 활성화 억제와 연관됨을 확인하기 위하여 위에 기술한 방식으로 만들어진 상처에 0.1% LCB 03-0110 혹은 Carrier 용액을 처리 후 듀오뎀을 덮고 3 일 지난 후 상처 조직을 회수하여 파라핀 블록을 만들었다. 이 파라핀 블록을 6 μm 두께의 절편을 만들어 F4/80 항체와 알파 스무쓰 머슬 액틴에 특이적 항체를 이용하여 대식세포와 활성화된 미요브라스트형 세포를 각각 면역염색하였다. 각 조직 면역 염색후 상처에서 신생 조직 부위를 배율 100 배로 촬영한 사진중 하나를 예시로 도 12 에서 보여주었고 동시에 각 면역 염색 사진으로부터 F4/80 항체에 인식되는 대식세포의 수와 알파 스무쓰 머슬 액틴을 발현하는 활성화된 미요브라스트형 세포의 수를 세어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을 보여주었다. 이 실험에서 LCB 03-0110 은 유의성 있게 (P<0.05, student t-test) 상처조직의 상처치유과정에서 대식세포와 미요브라스트형 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함이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LCB 03-0110 화합물과 이와 유사한 구조와 활성을 가지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화합물들은 상처 치유 과정에서 대식세포등 염증성 세포와 미요브라스트등의 활성을 억제하고 상흔형성을 저해함으로써 염증성 질환, 특히 조직 섬유화 및 비대화를 동반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와 피부 상처 치유 촉진, 피부 상흔방지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13> LCB 03-0110의 항 천식 효능 측정
천식은 기도조직에서 일어나는 알러지성 염증반응이다. 본 발명에서 LCB 03-0110이 항천식 효능이 있음을 검증하기 위하여 생쥐에 오브알부민으로 유도한 천식모델을 사용하였다. 첫번째 천식 질환동물 모델 실험에서는 8주령 암컷 Balb/C 생쥐에 1일과 14일째에 각각 20 ug 오브알부민과 2.25mg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를 녹인 식염수 용액을 복강으로 주사 하고 21, 22, 23 일에는 오브알부민을 식염수에 1% 되게 녹인 후 이것을 울트라소닉 네블라이저 (Omron, Kyoto, Japan)를 이용하여 마우스에게 기도를 통하여 흡입케 하였다. 이 동물 실험에서 화합물 처리는 21, 22, 23 일 각각 오브알부민 용액을 흡입시키기 한시간 전 양성 대조 물질로서 BLT2 길항제인 LY255283을 5mg/kg 의 용량으로 꼬리로 i.v 주사를 통해 주입하였고 (OVA/LY255283), LCB 03-0110을 주입한 군은 30% DMSO 를 포함하는 식염수에 LCB 03-0110을 0.1% 농도로 녹인 용액을 21, 22, 23 일 각각 오브알부민 용액을 흡입시키기 한시간 전 네블라이저를 이용하여 기도로 흡입시켜서 투여하였다 (OVA/LCB 03-0110). 정상군은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동물군이며 (Normal), 음성대조군은 30% DMSO 를 포함하는 식염수만을 21, 22, 23 일 각각 오브알부민 용액을 흡입시키기 한시간 전 네블라이저를 이용하여 기도로 흡입시켰다(OVA/30%DMSO). 기도 저항성 (AHR)은 21일째 마지막 오브알부민 용액을 네블라이션을 이용하여 투여 후 24 시간 후에 측정을 하였고, 48 시간 후에는 생쥐로부터 1ml PBS 용액을 이용하여 BALF (bronchoalveolar lavage fluid)를 취하였다. 각 실험군은 n=4~8로 하였다.
도 13에서는 0.1% LCB03-0110을 기도로 흡입시켜 투여한 군에서 AHR 이 뚜렷하게 향상됨을 보여주고 있다. 도 13에서는 48 시간 후 채취한 BALF 에서 활성산소 (ROS)의 상대적인 양을 측정시 0.1% LSB03-0110을 기도로 흡입시킨 군에서 뚜렷하게 감소함을 보여준다. 이 결과들은 기도흡입에 의한 LCB 03-0110 주입이 오브알부민으로 유발된 기도의 염증성 증상을 뚜렸하게 개선함을 보여주었다.
또 다른 동물 모델실험으로 400ng 의 정제된 집진드기 알러지물질을 0, 14, 21 일에 각각 Balb/C 생쥐의 기도내에 직접 주입 (intratracheal injection)에 의한 방법으로 유도한 천식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LCB 03-0110의 항 천식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LCB 03-0110을 0.1% 농도로 20% 에탄올/식염수 용액에 녹인 후 20ul 를 21일째 날 집진드기 알러지물질을 투여하기 한 시간 전에 역시 기도 내에 직접 주입 (intratracheal injection)에 의한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LCB 군). 음성 대조군은 20% 에탄올/식염수 용액 20ul 를 주입하였고 (Vehicle 군) 양성 대조군은 Budesonide 0.03%를 20% 에탄올/식염수 용액에 녹여 20ul 를 주입하였다 (Bude 군). 각군은 n=4~8마리의 동물을 사용하였다. 마지막 집진드기 알러젠을 투여 후 4시간 후 폐조직과 BALF 를 채취하여 뮤신 생성및 여러 염증성 면역세포 및 면역매개 물질의 양을 측정하였다. 도 14에서 보여준바와 같이 이 실험에서 LCB 03-0110 투여는 호산백혈구 (eosinophil)의 폐조직으로의 침투 정도를 억제하였고 (도 15-왼쪽) 이것은 LCB 03-0110을 투여한 동물군에서 채취한 BALF 에서 측정된 염증매개 물질인 에오텍신 (eotaxin)의 양이 억제되는 것과 잘 연관되었다 (도 15-오른쪽). 또한 폐조직내의 뮤신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피리오딕 쉬프 염색(periodic schiff staining)을 하였다. 이 염색 결과를 도 16에서 나타내었다. 20% 에탄올/식염수 용액만을 주입한 경우에는 (도 16-A) 뮤신 염색 정도가 강하게 보였지만 0.1% LCB 03-0110을 투여한 경우 (도 16-B)와 Budesonide 0.03%를 투여한 경우 (도 16-C)에서는 그 염색정도가 감소하였다. 각각의 군에서의 뮤신의 염색 정도를 히스톨로지 스코어링하여 도 16 하단에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을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 0.1% LCB 03-0110을 투여한 군에서는 양성대조군인 Budesonide 를 처리한 군과 비슷하게 20% 에탄올/식염수 용액만을 주입한 군(Vehicle)에 비해 뮤신 생성 정도가 유의성있게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p<0.05, student t-test). 뮤신은 천식증상에서 주로 활성화된 기도내의 상피세포에서 생성되며 기도를 폐쇄시키는 주요 원인물질이다. 이 결과들은 LCB 03-0110 화합물과 이와 유사한 구조와 활성을 가지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화합물들은 기도내 염증반응을 억제하고 동시에 기도내의 뮤신 생성을 억제하여 천식이나 COPD 등 기도내 염증반응과 관련된 질환에 대한 예방과 치료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6-(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4-(4-(3-메톡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조나이트릴,
    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조나이트릴,
    3-(6-브로모-싸이에노[3,2-d]피리미딘-4-닐아미노)-페놀,
    4-(4-(3-메톡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페놀,
    3-[6-(4-메톡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닐아미노]-페놀,
    N-(3-메톡시페닐)-6-(4-(2-모폴리노에톡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3-(6-(4-클로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2-모폴리노에톡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N-(3-메톡시페닐)-6-(4-페네톡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메톡시페닐)-6-(4-(2-(피리딘-2-일)에톡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6-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3-메톡시페놀)-아민,
    (6-퓨란-3-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3-메톡시페놀)-아민,
    N-(3-메톡시페닐)-6-(4-(2-(피롤리딘-1-일)에톡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N-(3-메톡시페닐)-6-(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3-메톡시페닐)-(6-싸이오펜-3-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민,
    N-(3-메톡시페닐)-6-(4-(2-(피페라진-1-일)에톡시)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아민,
    (3-메톡시페닐)-(6-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민,
    3-(6-싸이오펜-3-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모폴리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피롤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피페리딘-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다이에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사이클로프로필메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아이소부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에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2-(피롤리딘-1-일)에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2-(피페리딘-1-일)에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2-(4-메틸피페라진-1-일)에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2-모폴리노에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2-(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페닐)-1-(4-메틸피페라진-1-일)에타논,
    2-(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페닐)-1-(피롤리딘-1-일)에타논,
    N,N-다이에틸-2-(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페닐)아세트아마이드,
    3-(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조산,
    (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페닐)(4-메틸피페라진-1-일)메타논,
    (3-(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페닐(피롤리딘-1-일)메타논,
    N,N-다이에틸-3-(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즈아마이드,
    (3-(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페닐(4-메틸피페라진-1-일)메타논,
    메틸 1-(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질)피롤리딘-2-카복실레이트,
    3-(6-(4-((2-(하이드록시메틸)피롤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4-메틸피페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2R,6S)-2,6-다이메틸피페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3-(피페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3-(피롤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3-((다이에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3-(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3-((에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3-(모폴리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3-((아이소부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1-(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질)피롤리딘-2-카복사마이드 염산염,
    1-(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질)피롤리딘-2-카복실산 염산염,
    3-(6-(4-((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메틸 2-(3-(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즈아미도)프로파노에이트,
    1-(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질)피롤리딘-3-올 염산염,
    3-(6-(4-(에톡시메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N-(1-하이드록시프로판-2-일)벤즈아마이드,
    2-(4-(4-(3-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싸이에노[3,2-d]피리미딘-6-일)벤즈아미도)프로판산,
    3-(6-(3-(2-(피롤리딘-1-일)에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3-(2-(피페라진-1-일)에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2-(4-(피롤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3-(6-(4-모폴리노페닐)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2-(4-(모폴리노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3-(2-(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3-(6-(5-(피롤리딘-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5-(피롤리딘-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5-((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5-(피페리딘-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5-(모폴리노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5-(피페라진-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5-((에틸아미노)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5-((4-메틸피페라진-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5-(피페리딘-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5-(피페라진-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5-((에틸아미노)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2-(4-(피페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3-(2-(4-(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3-(2-(4-((에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3-(2-(4-메틸피페라진-1-일)싸이아졸로[4,5-d]피리미딘-7-일아미노)페놀,
    3-(6-(4-(피롤리딘-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피페리딘-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모폴리노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6-(4-(피페라진-1-일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3-(6-(4-((에틸아미노메틸)싸이오펜-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2-(3-(피롤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3-(2-(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3-(2-(3-(피페리딘-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3-(2-(3-(모폴리노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3-(2-(3-(피페라진-1-일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3-(2-(3-((에틸아미노)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
    3-(6-(4-(피롤리딘-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3-(6-(4-((4-메틸피페라진-1-일)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및
    3-(6-(4-(피페리딘-1-일메틸)퓨란-2-일)싸이에노[3,2-d]피리미딘-4-일아미노)페놀.
  4. 제3항에 있어서, 3-(2-(3-(모폴리노메틸)페닐)싸이에노[3,2-b]피리딘-7-일아미노)페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무기산염, 유기카본산염 또는 설폰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산염은 염산염이고, 상기 유기카본산염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면역질환 또는 상처치유반응에서의 조직섬유화 및 상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 질환은 급성 염증 질환, 만성 염증 질환 또는 비감염성 안구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제8항 에 있어서, 상기 급성 염증 질환은 급성 폐손상,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알레르기, 과민증, 패혈증, 천식 및 이식편대숙주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0. 제8항 에 있어서, 상기 만성염증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건선증, 크론씨병, 궤양성 대장염, 류마티즘, 골관절염, 통풍, 건선성 관절염, 간경변, 만성폐쇄성 폐질환, 비염,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신부전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 이루어 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1. 제8항 에 있어서, 상기 비감염성 안구 질환은 알레르기성 결막염, 포도막 염, 홍채염, 각막염, 공막염, 상공막염, 안염, 눈꺼풀염 및 건조 각막 결막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질환은 자가 면역 위염, 애디슨 병, 자가 면역 용혈 빈혈, 자가 면역성 갑상샘염, 만성 특발 두드러기, 만성 면역 다발 콩팥병증, 중증 근육 무력, 심상성 천포창, 악성 빈혈,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전신 홍반 루프스, 갑상샘 눈병 및 장기 이식 거부 반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처는 창상, 화상, 욕창 또는 당뇨성 족부 궤양에 의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1 ~ 500mg/kg 체중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학적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경피 투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은 연고, 크림 또는 패취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7. 삭제
  18. 삭제
KR1020127030670A 2010-05-26 2011-05-26 복수의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가지는 항염증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1478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9368 2010-05-26
PCT/KR2010/003332 WO2011149126A1 (ko) 2010-05-26 2010-05-26 타이로신 카이네이즈 저해능을 가지는 항염증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100049368 2010-05-26
WOPCT/KR2010/003332 2010-05-26
PCT/KR2011/003873 WO2011149288A2 (ko) 2010-05-26 2011-05-26 복수의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가지는 항염증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266A KR20130031266A (ko) 2013-03-28
KR101478302B1 true KR101478302B1 (ko) 2014-12-31

Family

ID=45004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670A KR101478302B1 (ko) 2010-05-26 2011-05-26 복수의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가지는 항염증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062066B2 (ko)
EP (1) EP2578590B1 (ko)
JP (1) JP5613323B2 (ko)
KR (1) KR101478302B1 (ko)
CN (1) CN102971327B (ko)
DK (1) DK2578590T3 (ko)
ES (1) ES2647586T3 (ko)
HU (1) HUE035589T2 (ko)
WO (1) WO201114928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38566A1 (en) 2012-05-02 2023-09-06 Georgetown University Treating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with tyrosine kinase inhibitors
KR101540051B1 (ko) * 2013-11-27 2015-07-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2017527615A (ja) * 2014-09-02 2017-09-21 シーダーズ−サイナイ メディカル センター 線維化疾患及び癌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US20170157215A1 (en) 2015-12-04 2017-06-08 Jomoco, Corp. Compositions and methods to mitigate or prevent an immune response to an immunogenic therapeutic molecule in non-human primates
US20190262323A1 (en) * 2016-10-31 2019-08-29 Georgetown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WO2018148533A1 (en) 2017-02-09 2018-08-16 Georgetown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lysosomal storage disorders
CN110368498A (zh) * 2019-08-26 2019-10-25 瑞希(重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促进伤口愈合的制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2383B1 (en) * 1997-11-11 2002-12-10 Pfizer Inc. Thienopyrimidine and thienopyridine derivatives useful as anticancer agents
WO2006124874A2 (en) * 2005-05-12 2006-11-23 Kalypsys, Inc. Inhibitors of b-raf kinas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5018972D1 (de) * 2005-09-23 2010-03-04 Equispharm Co Ltd 5,6-dimethylthienoä2,3-diüpyrimidin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für die bekämpfung von viren
WO2007056214A2 (en) * 2005-11-02 2007-05-18 Cytovia, Inc N-alkyl-n-aryl-thienopyrimidin-r-amines and uses thereof
KR101126736B1 (ko) * 2008-11-27 2012-04-12 주식회사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티로신 키나아제 저해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2383B1 (en) * 1997-11-11 2002-12-10 Pfizer Inc. Thienopyrimidine and thienopyridine derivatives useful as anticancer agents
WO2006124874A2 (en) * 2005-05-12 2006-11-23 Kalypsys, Inc. Inhibitors of b-raf kin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78590A2 (en) 2013-04-10
WO2011149288A3 (ko) 2012-04-19
US20130072482A1 (en) 2013-03-21
CN102971327A (zh) 2013-03-13
KR20130031266A (ko) 2013-03-28
JP5613323B2 (ja) 2014-10-22
EP2578590B1 (en) 2017-08-16
WO2011149288A2 (ko) 2011-12-01
JP2013527199A (ja) 2013-06-27
CN102971327B (zh) 2016-04-20
ES2647586T3 (es) 2017-12-22
EP2578590A4 (en) 2013-12-04
HUE035589T2 (en) 2018-05-28
DK2578590T3 (da) 2017-11-20
US9062066B2 (en) 201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302B1 (ko) 복수의 타이로신 카이네이즈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가지는 항염증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1126736B1 (ko) 티로신 키나아제 저해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DE60126997T2 (de) Stickstoff-enthaltende aromatische ringverbindungen zur behandlung von tumorerkrankungen
AU2007292155B2 (en) Imidazole derivative
KR102311573B1 (ko) 브로모도메인 억제제
JP6425724B2 (ja) Cftrモジュレーターとしてのチエノ[2,3−c]ピラン
AU2010227230B2 (en) Thienopyrimidinedione derivatives as TRPA1 modulators
CN103764655B (zh) 作为alk5和/或alk4抑制剂的经2‑吡啶基取代的咪唑
RU2422449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соединения
KR100997549B1 (ko) P2x3 길항제로서의 피페리딘 및 피페라진 유도체
JPWO2002051849A1 (ja) Cdk4活性阻害剤
KR20050005548A (ko) 치환된 3-아미노-티에노[2,3-b]피리딘-2-카복실산 아미드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WO2009049028A1 (en) Pyrrolopyrimidine compounds and their use as janus kinase modulators
JP6581745B2 (ja) 抗b型肝炎ウイルスのピラゾール−オキサゾリジノン系化合物
JP2004521915A (ja) Tgf過剰発現に対するピラゾール誘導体
KR101457339B1 (ko) 아랄킬 치환된 피페리딘 또는 피페라진 유도체 및 정신분열증 치료를 위한 이의 용도
WO2016009297A1 (en) Pyridine derivatives as muscarinic m1 receptor positive allosteric modulators
KR20100122512A (ko) 질소 함유 이환성 복소환 화합물
US20080139588A1 (en) Pyrrolo[2,3-d]pyrimidine cytokine inhibitors
CN114478511B (zh) 苯并恶唑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药物组合物和应用
KR101730205B1 (ko) 신규 (헤테로사이클/테트라히드로피리딘)-(피페라지닐)-1-알카논 및 (헤테로사이클/디히드로피롤리딘)-(피페라지닐)-1-알카논유도체, 및 p75 억제제로서의 그의 용도
CN107074831B (zh) Mapk抑制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5000080;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70809

Effective date: 20181022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