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031B1 - 항종양성 다이하이드로피란-2-온 화합물 - Google Patents

항종양성 다이하이드로피란-2-온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031B1
KR101474031B1 KR1020097000830A KR20097000830A KR101474031B1 KR 101474031 B1 KR101474031 B1 KR 101474031B1 KR 1020097000830 A KR1020097000830 A KR 1020097000830A KR 20097000830 A KR20097000830 A KR 20097000830A KR 101474031 B1 KR101474031 B1 KR 101474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ituted
unsubstitute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tautomer
stereois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261A (ko
Inventor
로페즈 엠 지저스 마틴
몰리네로 라우라 코엘로
베니테즈 호세 페르난도 리예스
비센트 알베르토 로드리게즈
가르시아-이바르롤라 마리아 가르란조
페레즈 카르멘 무르시아
솔로소 안드레스 프란세슈
산초 프란시스코 산체즈
마르챈트 마리아 델 카르멘 쿠에바스
로드리게즈 로겔리오 페르난데즈
Original Assignee
파르마 마르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르마 마르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파르마 마르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90024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9/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9/3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9/3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one oxygen atom in position 2 or 4, e.g. pyr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9/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yrane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스파일리이다에(Raspailiidae) 과, 리토플로카미아(Lithoplocamia) 속, 리티스토이데스(lithistoides) 종의 해면동물로부터 수득된 하기 화학식 I의 항종양성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Description

항종양성 다이하이드로피란-2-온 화합물{ANTITUMORAL DIHYDROPYRAN-2-ONE COMPOUNDS}
본 발명은 신규 항종양성 화합물,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및 항종양제로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1990년에 군나세케라(Gunasekera SP) 등은 심해 캐리비언(Caribbean) 해면 디스코데르미아 디솔루타(Discodermia dissoluta)로부터 하기 화학식의 신규 폴리하이드록실화된 락톤, 즉 (+)-디스코데르몰라이드의 단리에 대해 보고하였다(군나세케라 등의 문헌 [J. Org. Chem. 1990, 55, 4912-4915] 및 문헌 [J. Org. Chem. 1991, 56, 1346]):
Figure 112009002661053-pct00001
이 화합물은, 임상적으로 입증된 항암제 파클리탁셀(paclitaxel)(쉬 프(Schiff PB) 등의 문헌 [Nature 1979, 277, 665-667])의 것과 유사한 활성 양상을 갖는 강력한 효능의 항유사분열제인 것으로 드러났다(훙(Hung DT) 등의 문헌 [Chem. Biol. 1996, 3, 287-293] 및 테르 하르(ter Haar E) 등의 문헌 [Biochemistry 1996, 35, 243-250]). 천연 제품은 모두 세포 주기를 M 상에서 저지시키고, 미소관 형성을 촉진시키고, 유방암 암종에 대한 유사 억제 효과를 갖는다(각각 2.4 nM 및 2.1 nM의 IC50).
반면, N-아실 엔아마이드 작용기를 함유하는 일부 특정의 선형 다이펩타이드가 콘드로마이세스(Chondromyces) 속에 속하는 믹소박테리아(myxobacteria)로부터 단리되었다(쿤제(Kunze B) 등의 문헌 [J. Antibiot. 1994, 47, 881-886] 및 잔센(Jansen R) 등의 문헌 [J. Org. Chem. 1999, 1085-1089]). 특히, 이들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의 크로카신(crocacin) A, B, C 및 D이며, 전자 수송 억제제들의 군이다:
Figure 112009002661053-pct00002
크로카신 A 내지 D는 소수의 그람-양성 박테리아의 성장을 보통으로 억제하며, 동물 세포 배양물 및 일부 효모와 진균류의 강력한 억제제이다. 최고의 활성물질은 진균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에 대해 1.4 ng/mL의 MIC, 및 L929 마우스 섬유아 세포 배양물에 대해 강력한 독성(0.06 mg/L의 IC50)을 나타내는 크로카신 D이다.
암은 동물과 인간에게 죽음에 이르게 하는 주된 원인이다. 암으로 고통받는 환자에게 투여하는데 활성적이고 안전한 항종양제를 얻기 위해서 막대한 노력이 있었으며 여전히 진행 중이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암 치료에 유용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유도체, 호변이성질체, 전구약물 또는 입체이성질체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9002661053-pct00003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ORa, OCORa, OCOORa, NRaRb, NRaCORb 및 NRaC(NRa)NRaRb로부터 선택되고;
R2 및 R3은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킨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41, R42, R43, R44, R45, R46, R47 및 R48은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킨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5, R6 및 R7은 수소, CORa, COORa,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킨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5 및 R48은 이들이 부착되는 상응하는 N 원자 및 C 원자와 함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를 형성할 수 있고;
Ra 및 Rb는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킨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점선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추가 결합을 각각 나타낸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약제로서, 특히 암을 치료하는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유도체, 호변이성질체, 전구약물 또는 입체이성질체에 관한 것이다.
추가 양태에서, 또한 본 발명은, 암의 치료에서, 또는 약제의 제조에서, 바람직하게는 암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유도체, 호변이성질체, 전구약물 또는 입체이성질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치료 방법, 및 이들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암에 걸린 임의의 포유동물, 특히 인간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병에 걸린 개체에게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을 치료 효과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유도체, 호변이성질체, 전구약물 또는 입체이성질체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와 함께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라스파일리이다에(Raspailiidae) 과, 리토플로카미아(Lithoplocamia) 속, 리티스토이데스(lithistoides) 종의 해면동물로부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단리하는 방법, 이를 수득하는 방법, 및 이 화합물들로부터 유도체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이들 화합물에서, 치환기들은 이하 설명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알킬 기는 분지 또는 비분지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약 12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다. 알킬 기의 더 바람직한 한 부류는 1 내지 약 6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다. 1, 2, 3 또는 4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 알킬 기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및 뷰틸, 예컨대 t-뷰틸, s-뷰틸 및 아이소뷰틸이 본 발명의 화합물들 중의 특히 바람직한 알킬 기이다. 알킬 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부류는 6 내지 약 10개의 탄소 원자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 8 또는 9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다. 헵틸, 옥틸 및 노닐이 이 부류의 가장 바람직 한 알킬 기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 중의 바람직한 알켄일 및 알킨일 기는 분지 또는 비분지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불포화 연결기들 및 2 내지 약 12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다. 알켄일 및 알킨일 기의 더 바람직한 한 부류는 2 내지 약 6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다. 2, 3 또는 4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 알켄일 및 알킨일 기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알켄일 및 알킨일 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부류는 4 내지 약 10개의 탄소 원자들, 더 바람직하게는 6 내지 약 10개의 탄소 원자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 8 또는 9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 중의 적합한 아릴 기는 단일 및 다중 고리 화합물들, 예컨대 개별 및/또는 융합된 아릴 기를 함유하는 다중 고리 화합물들을 포함한다. 전형적인 아릴 기는 1 내지 3개의 개별 또는 융합된 고리들 및 6 내지 약 18개의 탄소 고리 원자들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아릴 기는 6 내지 약 10개의 탄소 고리 원자들을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아릴 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나프틸,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바이페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펜안트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안트릴을 포함한다.
적합한 헤테로사이클릭 기는 1 내지 3개의 개별 또는 융합된 고리들 및 5 내지 약 18개의 고리 원자들를 함유하는 헤테로방향족 및 헤테로지환족 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헤테로방향족 및 헤테로지환족 기는 5 내지 약 10개의 고리 원자들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 중의 적합한 헤테로방향족 기는 N, O 또는 S 원자들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들을 함유하고, 예컨대 쿠마린 일, 예컨대 8-쿠마린일, 퀴놀릴, 예컨대 8-퀴놀릴, 아이소퀴놀릴, 피리딜, 피라진일, 피라졸릴, 피리미딘일, 퓨릴, 피롤릴, 싸이엔일, 싸이아졸릴, 아이소싸이아졸릴, 트라이아졸릴, 테트라졸릴, 아이속사졸릴, 옥사졸릴, 이미다졸릴, 인돌릴, 아이소인돌릴, 인다졸릴, 인돌리진일, 프탈라진일, 프테리딘일, 푸린일, 옥사다이아졸릴, 싸이아다이아졸릴, 퓨라잔일, 피리다진일, 트라이아진일, 신놀린일,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퓨란일, 벤조퓨라잔일, 벤조싸이오페닐, 벤조싸이아졸릴, 벤즈옥사졸릴, 퀴나졸린일, 퀴녹살린일, 나프티리딘일 및 퓨로피리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 중의 적합한 헤테로지환족 기는 N, O 또는 S 원자들로부터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들을 함유하고, 예컨대 피롤리딘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일, 다이하이드로퓨란일, 테트라하이드로싸이엔일, 테트라하이드로싸이오피란일, 피페리딜, 모폴린일, 싸이오모폴린일, 싸이옥산일, 피페라진일, 아제티딘일, 옥세탄일, 싸이에탄일, 호모피페리딜, 옥세판일, 싸이에판일, 옥사제핀일, 다이아제핀일, 싸이아제핀일, 1,2,3,6-테트라하이드로피리딜, 2-피롤린일, 3-피롤린일, 인돌린일, 2H-피란일, 4H-피란일, 다이옥산일, 1,3-다이옥솔란일, 피라졸린일, 다이싸이안일, 다이싸이올란일, 다이하이드로피란일, 다이하이드로싸이엔일, 다이하이드로퓨란일, 피라졸리딘일, 이미다졸린일, 이미다졸리딘일, 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실, 3-아자바이사이클로[4.1.0]헵틸, 3H-인돌릴 및 퀴놀리진일을 포함한다.
앞서 언급된 기들은 하나 이상의 허용 가능한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적합한 기, 예컨대 OR', =O, SR', SOR', SO2R', NO2, NHR', N(R')2, =N-R', NHCOR', N(COR')2, NHSO2R', NR'C(=NR')NR'R', CN, 할로젠, COR', COOR', OCOR', OCONHR', OCON(R')2, 보호된 OH,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이때 R'는 수소, OH, NO2, NH2, SH, CN, 할로젠, COH, CO알킬, CO2H,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킨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이러한 기가 자체적으로 치환되는 경우, 치환기들은 상기 목록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 중의 적합한 할로젠 치환기들은 F, Cl, Br 및 I를 포함한다.
OH에 대한 적합한 보호기들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다. 유기 화학에서 보호기들에 대한 총체적인 검토는 우츠(Wuts, PGM) 및 그린(Greene TW)의 문헌 [Protecting Groups in Organic Synthesis, 4th Ed. Wiley-Interscience] 및 코시엔스키(Kocienski PJ)의 문헌 [Protecting Groups, 3rd Ed. Georg Thieme Verlag]에 의해 제공된다. 이들 참고문헌은 OH를 위한 보호기들에 관한 섹션들을 제공한다. 이들 모든 참고문헌은 전반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인용하고 있다. 이러한 보호된 OH의 예는 에터, 실릴 에터, 에스터, 설폰에이트, 설펜에이트 및 설핀에이트, 카본에이트 및 카밤에이트를 포함한다. 에터의 경우, OH를 위한 보호기는 메틸, 메톡시메틸, 메틸싸이오메틸, (페닐다이메틸실릴)메톡시메틸, 벤질옥시메틸, p-메톡시벤질옥시메틸, [(3,4-다이메톡시벤질)옥시]메틸, p-나이트로벤질옥시메틸, o-나이트로벤질옥시메틸, [(R)-1-(2-나이트로페닐)에톡시]메틸, (4-메톡시페녹시)메틸, 구아이아콜메틸, [(p-페닐페닐)옥시]메틸, t-뷰톡시메틸, 4-펜텐일옥시메틸, 실록시메틸, 2-메톡시에톡시메틸, 2-사이아노에톡시메틸, 비스(2-클로로에톡시)메틸, 2,2,2-트라이클로로에톡시메틸, 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 멘톡시메틸, o-비스(2-아세톡시에톡시)메틸,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플루오러스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3-브로모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싸이오피란일, 1-메톡시사이클로헥실, 4-메톡시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4-메톡시테트라하이드로싸이오피란일, 4-메톡시테트라하이드로싸이오피란일 S,S-다이옥사이드, 1-[(2-클로로-4-메틸)페닐]-4-메톡시피페리딘-4-일, 1-(2-플루오로페닐)-4-메톡시피페리딘-4-일, 1-(4-클로로페닐)-4-메톡시피페리딘-4-일, 1,4-다이옥산-2-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일, 테트라하이드로싸이오퓨란일, 2,3,3a,4,5,6,7,7a-옥타하이드로-7,8,8-트라이메틸-4,7-메타노벤조퓨란-2-일, 1-에톡시에틸, 1-(2-클로로에톡시)에틸, 2-하이드록시에틸, 2-브로모에틸, 1-[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에틸, 1-메틸-1-메톡시에틸, 1-메틸-1-벤질옥시에틸, 1-메틸-1-벤질옥시-2-플루오로에틸, 1-메틸-1-페녹시에틸, 2,2,2-트라이클로로에틸, 1,1-다이아니실-2,2,2-트라이클로로에틸, 1,1,1,3,3,3-헥사플루오로-2-페닐아이소프로필, 1-(2-사이아노에톡시)에틸, 2-트라이메틸실릴에틸, 2-(벤질싸이오)에틸, 2-(페닐셀렌일)에틸, t-뷰틸, 사이클로헥실, 1-메틸-1'-사이클로프로필메틸, 알릴, 프렌일, 신남일, 2-펜알릴, 프로파길, p-클로로페닐, p-메톡시페닐, p-나이트로페닐, 2,4-다이나이트로페닐, 2,3,5,6-테트라플루오로-4-(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 벤질, p-메톡시벤질, 3,4-다이메톡시벤질, 2,6-다이메톡시벤질, o-나이트로벤질, p-나이트로벤질, 펜타다이엔일나이트로벤질, 펜타다이엔일나이트로피페론일, 할로벤질, 2,6-다이클로로벤질, 2,4-다이클로로벤질, 2,6-다이플루오로벤질, p-사이아노벤질, 플루오러스 벤질, 4-플루오러스알콕시벤질, 트라이메틸실릴자일릴, p-페닐벤질, 2-페닐-2-프로필, p-아실아미노벤질, p-아지도벤질, 4-아지도-3-클로로벤질, 2-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질, 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질, p-(메틸설핀일)벤질, p-실레탄일벤질, 4-아세톡시벤질, 4-(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벤질, 2-나프틸메틸, 2-피콜릴, 4-피콜릴, 3-메틸-2-피콜릴 N-옥시도, 2-퀴놀린일메틸, 6-메톡시-2-(4-메틸페닐-4-퀴놀린메틸, 1-피렌일메틸, 다이페닐메틸, 4-메톡시다이페닐메틸, 4-페닐다이페닐메틸, p,p'-다이나이트로벤즈하이드릴, 5-다이벤조수베릴, 트라이페닐메틸, 트리스(4-t-뷰틸페닐)메틸, α-나프틸다이페닐메틸, p-메톡시페닐다이페닐메틸, 다이(p-메톡시페닐)페닐메틸, 트라이(p-메톡시페닐)메틸, 4-(4'-브로모펜아실옥시)페닐다이페닐메틸, 4,4',4"-트리스(4,5-다이클로로프탈이미도페닐)메틸, 4,4',4"-트리스(레불리노일옥시페닐)메틸, 4,4',4"-트리스(벤조일옥시페닐)메틸, 4,4'-다이메톡시-3"-[N-(이미다졸릴메틸)]트라이틸, 4,4'-다이메톡시-3"-[N-(이미다졸릴에틸)카밤오일]트라이틸, 비스(4-메톡시페닐)-1'-피렌일메틸, 4-(17-테트라벤조[a,c,g,i]플루오렌일메틸)-4,4"-다이메톡시트라이틸, 9-안트릴, 9-(9-페닐)잔텐일, 9-페닐싸이오잔틸, 9-(9-페닐-10-옥소)안트릴, 1,3-벤조다이싸이올란-2-일, 및 4,5-비스(에톡시카본일)-[1,3]-다이옥솔란-2-일, 벤즈아이소싸이아졸릴 S,S-다이옥시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실릴 에터의 경우, OH를 위한 보호기는 트라이메틸실릴, 트라이에틸실릴, 트라이아이소프로필실릴, 다이메틸아이소프로필실릴, 다이에틸아이소프로필실릴, 다이메틸헥실실릴, 2-노본일다이메틸실릴, t-뷰틸다이메틸실릴, t-뷰틸다이페닐실릴, 트라이벤질실릴, 트라이-p-자일릴실릴, 트라이페닐실릴, 다이페닐메틸실릴, 다이-t-뷰틸메틸실릴, 비스(t-뷰틸)-1-피렌일메톡시실릴, 트리스(트라이메틸실릴)실릴, (2-하이드록시스티릴)다이메틸실릴, (2-하이드록시스티릴)다이아이소프로필실릴, t-뷰틸메톡시페닐실릴, t-뷰톡시다이페닐실릴, 1,1,3,3-테트라아이소프로필-3-[2-(트라이페닐메톡시)에톡시]다이실록세인-1-일 및 플루오러스 실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에스터의 경우, OH를 위한 보호기는 폼에이트, 벤조일폼에이트, 아세테이트, 클로로아세테이트, 다이클로로아세테이트, 트라이클로로아세테이트, 트라이클로로아세트아미데이트, 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 메톡시아세테이트, 트라이페닐메톡시아세테이트, 페녹시아세테이트, p-클로로페녹시아세테이트, 페닐아세테이트, 다이페닐아세테이트, 3-페닐프로피온에이트, 비스플루오러스 쇄형 프로판오일, 4-펜테노에이트, 4-옥소펜타노에이트, 4,4-(에틸렌다이싸이오)펜타노에이트, 5-[3-비스(4-메톡시페닐)하이드록시메틸페녹시]레불린에이트, 피발로에이트, 1-아다만토에이트, 크로톤에이트, 4-메톡시크로톤에이트, 벤조에이트, p-페닐벤조에이트, 2,4,6-트라이메틸벤조에이트, 4-브로모벤조에이트, 2,5-다이플루오로벤조에이트, p-나이트로벤조에이트, 피콜린에이트, 니코틴에이트, 2-(아지도메틸)벤조에이트, 4-아지도뷰티레이트, (2-아지도메틸)페닐아세테이트, 2-{[(트라이틸싸이오)옥시]메틸}벤조에이트, 2-{[(4-메톡시트라이틸싸이오)옥시]메틸}벤조에이트, 2-{[메틸(트라이틸싸이오)아미노]메틸}벤조에이트, 2-{{[(4-메톡시트라이틸)싸이오]메틸아미노}-메틸}벤조에이트, 2-(알릴옥시)페닐아세테이트, 2-(프렌일옥시메틸)벤조에이트, 6-(레불린일옥시메틸)-3-메톡시-2-나이트로벤조에이트, 6-(레불린일옥시메틸)-3-메톡시-4-나이트로벤조에이트, 4-벤질옥시뷰티레이트, 4-트라이알킬실릴옥시뷰티레이트, 4-아세톡시-2,2-다이메틸뷰티레이트, 2,2-다이메틸-4-펜테노에이트, 2-요오도벤조에이트, 4-나이트로-4-메틸펜타노에이트, o-(다이브로모메틸)벤조에이트, 2-폼일벤젠설폰에이트, 4-(메틸싸이오메톡시)뷰티레이트, 2-(메틸싸이오메톡시메틸)벤조에이트, 2-(클로로아세톡시메틸)벤조에이트, 2-[(2-클로로아세톡시)에틸]벤조에이트, 2-[2-(벤질옥시)에틸]벤조에이트, 2-[2-(4-메톡시벤질옥시)에틸]벤조에이트, 2,6-다이클로로-4-메틸페녹시아세테이트, 2,6-다이클로로-4-(1,1,3,3-테트라메틸뷰틸)페녹시아세테이트, 2,4-비스(1,1-다이메틸프로필)페녹시아세테이트, 클로로다이페닐아세테이트, 아이소뷰티레이트, 모노석시노에이트, (E)-2-메틸-2-뷰테노에이트, o-(메톡시카본일)벤조에이트, α-나프토에이트, 나이트레이트, 알킬 N,N,N',N'-테트라메틸포스포로다이아미데이트 및 2-클로로벤조에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설폰에이트, 설펜에이트 및 설핀에이트의 경우, OH를 위한 보호기는 설페이트, 알릴설폰에이트, 메테인설폰에이트, 벤질설폰에이트, 토실레이트, 2-[(4-나이트로페닐)에틸]설폰에이트, 2-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젠설폰에이트, 4-모노메톡시트라이틸설펜에이트, 알킬 2,4-다이나이트로페닐설펜에이트, 2,2,5,5-테트라메틸피롤리딘-3-온-1-설핀에이트, 보레이트 및 다이메틸포스피노싸이올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카본에이트의 경우, OH를 위한 보호기는 메틸 카본에이트, 메톡시메틸 카본에이트, 9-플루오렌일메틸 카본에이트, 에틸 카본에이트, 브로모에틸 카본에이트, 2-(메틸싸이오메톡시)에틸 카본에이트, 2,2,2-트라이클로로에틸 카본에이트, 1,1-다이메틸-2,2,2-트라이클로로에틸 카본에이트, 2-(트라이메틸실릴)에틸 카본에이트, 2-[다이메틸(2-나프틸메틸)실릴]에틸 카본에이트, 2-(페닐설폰일) 에틸 카본에이트, 2-(트라이페닐포스포니오)에틸 카본에이트, 시스-[4-[[(메톡시트라이틸)설펜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옥시 카본에이트, 아이소뷰틸 카본에이트, t-뷰틸 카본에이트, 바이닐 카본에이트, 알릴 카본에이트, 신남일 카본에이트, 프로파길 카본에이트, p-클로로페닐 카본에이트, p-나이트로페닐 카본에이트, 4-에톡시-1-나프틸 카본에이트, 6-브로모-7-하이드록시쿠마린-4-일메틸 카본에이트, 벤질 카본에이트, o-나이트로벤질 카본에이트, p-나이트로벤질 카본에이트, p-메톡시벤질 카본에이트, 3,4-다이메톡시벤질 카본에이트, 안트라퀴논-2-일메틸 카본에이트, 2-단실에틸 카본에이트, 2-(4-나이트로페닐)에틸 카본에이트, 2-(2,4-다이나이트로페닐)에틸 카본에이트, 2-(2-나이트로페닐)프로필 카본에이트, 알킬 2-(3,4-메틸렌다이옥시-6-나이트로페닐)프로필 카본에이트, 2-사이아노-1-페닐에틸 카본에이트, 2-(2-피리딜)아미노-1-페닐에틸 카본에이트, 2-[N-메틸-N-(2-피리딜)]아미노-1-페닐에틸 카본에이트, 펜아실 카본에이트, 3',5'-다이메톡시벤조인 카본에이트, 메틸 다이싸이오카본에이트 및 S-벤질 싸이오카본에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카밤에이트의 경우, OH를 위한 보호기는 다이메틸싸이오카밤에이트, N-페닐카밤에이트, N-메틸-N-(o-나이트로페닐)카밤에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들 기에 대한 언급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는데, 이는 이들이 단순히 OH를 위한 보호기들의 설명으로서만 언급되지만, 상기 작용기를 갖는 추가 기들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알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발명에 또한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유도체, 전구약물"은, 환자에게 투여함에 있어서, 본원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화합물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에스터,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임의의 다른 화합물을 지칭한다. 그러나, 약학적으로 허용 불가능한 염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될 것인데, 이는 이들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염, 전구약물 및 유도체들의 제조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들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원에 제공된 화합물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염기성 또는 산성 잔기를 함유하는 모 화합물로부터 통상의 화학적 방법들에 의해 합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염은 예컨대 이들 화합물들의 유리 산 또는 염기 형태를 물 중 또는 유기 용매 중에서 또는 둘 다의 혼합물 중에서 화학량론적 양의 적절한 염기 또는 산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비수성 매질, 예컨대 에터, 에틸 아세테이트,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또는 아세토나이트릴이 바람직하다. 산 부가 염의 예로는 무기 산 부가 염, 예컨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 설페이트, 나이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및 유기 산 부가 염, 예컨대 아세테이트, 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 말레에이트, 퓨마레이트, 시트레이트, 옥살레이트, 석신에이트, 타르트레이트, 말레이트, 만델레이트, 메테인설폰에이트 및 p-톨루엔설폰에이트가 포함된다. 알칼리 부가 염의 예로는 무기 염, 예컨대 나트륨, 칼륨, 칼슘 및 암모늄 염, 및 유기 알칼리 염, 예컨대 에틸렌다이아민, 에탄올아민, N,N-다이알킬렌에탄올아민, 트라이에탄올아민 및 염기성 아미노산 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유리 화합물로서 또는 용매화물(예컨대 수화물)로서 결정질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둘 다의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용매화의 방법들은 일반적으로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전구약물인 임의의 화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와 취지 내에 속한다. 용어 "전구약물"은 이의 가장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되며, 생체 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로 전환되는 유도체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도체들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용이한 것이며, 예컨대 유리 하이드록시 기가 에스터 유도체로 전환된 화합물들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언급되는 임의의 화합물은 이러한 특정 화합물, 및 특정 변형물 또는 형태를 대표하는 것이다. 특히, 본원에서 언급되는 화합물들은 비대칭성 중심들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여러 거울상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한다. 본원에서 언급되는 화합물들의 모든 광학적 이성질체들 및 입체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본원에서 언급되는 임의의 제시된 화합물은 라세미체, 하나 이상의 거울상이성질체 형태, 하나 이상의 부분입 체 이성질체 형태, 하나 이상의 회전장애 이성질체 형태,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임의의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특히, 앞서 기재된 화학식 I로 대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들의 비대칭성에 의존하는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 이성질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 결합에 대한 입체이성질체도 가능하며, 따라서 일부 경우 분자는 (E)-이성질체 또는 (Z)-이성질체로서 존재한다. 분자가 수 개의 이중 결합을 함유한다면, 이중 결합은 각각은 그 자체로 입체이성질체성을 나타낼 것이며, 이는 분자의 다른 이중 결합의 입체이성질체성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단일 이성질체들 및 이성질체들의 혼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더욱이, 본원에서 언급된 화합물들은 기하학적 이성질체들(즉 시스 및 트랜스 이성질체들)로서, 호변이성질체로서 또는 회전장애 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특별히, 용어 호변이성질체는, 평형상태로 존재하고 하나의 이성질체 형태로부터 또 다른 것으로 용이하게 전환되는, 화합물의 2개 이상의 구조적 이성질체들 중 하나를 지칭한다. 통상의 호변이성질체 쌍들은 아민-이민, 아마이드-이미드, 케토-엔올, 락탐-락팀 등이다. 또한, 본원에서 언급된 임의의 화합물은 수화물, 용매화물 및 다형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때 이러한 형태들은 매질 중에 존재한다. 또한, 본원에서 언급된 화합물들은 동위원소-표지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서 언급된 화합물들의 모든 기하학적 이성질체들, 호변이성질체, 회전장애 이성질체, 수화물, 용매화물, 다형체 및 동위원소-표지된 형태들, 및 이들의 혼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더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본원에 제시된 정량적 표현들 중 일부는 용어 "약"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약"이 명백하게 또는 그렇지 않게 사용되는지에 상관없이, 본원에서 제시된 모든 양은 실제 제시된 값을 지칭하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이는 상기 제시된 값에 대한 실험 및/또는 측정 조건 때문에 당해 분야의 숙련 기술에 기초하여 합리적으로 추론되는 상기 제시된 값에 대한 어림 값, 예컨대 등가 값 및 어림 값을 지칭하는 의미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특히 바람직한 R1은 수소, ORa 및 OCORa이되, Ra는 수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Ra는 수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 알킬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및 뷰틸, 예컨대 t-뷰틸이다. 수소, OH 및 메톡시가 가장 바람직한 R1 기이다.
특히 바람직한 R2 및 R3은 수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이다. 더 바람직한 R2 및 R3은 수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 알킬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수소이다.
특히 바람직한 R41, R42, R43, R44, R45, R46, R47 및 R48은 수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이다. 더 바람직한 R41, R42, R43, R44, R45, R46, R47 및 R48은 수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 알킬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메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에틸,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프로필,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이소프로필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뷰틸, 예컨대 치환 또는 비치환된 t-뷰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이소뷰틸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s-뷰틸이다. 상기 기의 바람직한 치환기들은 OR', =O, SR', SOR', SO2R', NO2, NHR', N(R')2, =N-R', NHCOR', N(COR')2, NHSO2R', NR'C(=NR')NR'R', CN, 할로젠, COR', COOR', OCOR', OCONHR', OCON(R')2, 보호된 OH,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이고, 이때 R'는 수소, OH, NO2, NH2, SH, CN, 할로젠, COH, CO알킬, COOH,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킨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이러한 기들이 자체적으로 치환되는 경우, 치환기들은 상기 목록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기들의 더욱더 바람직한 치환기들은 OH, SCH3, SH, NH2, NHC(=NH)NH2, CONH2, COOH, 페닐, p-, m- 또는 o-하이드록시페닐, 인돌릴, 예컨대 1-, 2- 및 3-인돌릴, 및 이미다졸릴, 예컨대 4- 및 5-이미다졸릴이다. 수소, 메틸, 아이소프로필, t-뷰틸 및 벤질이 가장 바람직한 R41, R42, R43, R44, R45, R46, R47 및 R48 기이다. 특별히, 특히 바람직한 R42, R44, R45, R46 R47은 수소이다. 특히 바람직한 R41 및 R43은 메틸이다. 그리고, 특히 바람직한 R48 아이소프로필, t-뷰틸 또는 벤질이다.
특히 바람직한 R5 및 R6은 수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이다. 더 바람직한 R5 및 R6은 수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 알킬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및 뷰틸, 예컨대 t-뷰틸이다. 수소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5 및 R48은 이들이 부착되는 상응하는 N 원자 및 C 원자와 함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를 형성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헤테로사이클릭 기는 피롤리딘일, 예컨대 1-, 2- 및 3-피롤리딘일이다.
특히 바람직한 R7은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수소, 치환된 C1-C12 알킬 및 치환된 C2-C12 알켄일이다. 바람직한 치환된 알킬 및 치환된 알켄일에는 하나뿐만 아니라 2개 이상의 치환기가 존재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한 알킬 기로는 6 내지 약 10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 것;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 8 또는 9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 것이 있다. 헵틸, 옥틸 및 노닐이 가장 바람직한 알킬 기이다. 반면, 더 바람직한 알켄일 기로는 6 내지 약 10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 것;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 8 또는 9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 것이 있다. 옥타-1,6-다이엔일, 옥타-1,5-다이엔일, 옥타-1,4-다이엔일, 옥타-1,3-다이엔일, 노나-1,7-다이엔일, 노나-1,6-다이엔일, 노나-1,5-다이엔일, 노나-1,4-다이엔일, 노나-1,3-다이엔일, 헵타-1,5-다이엔일, 헵타-1,4-다이엔일, 헵타-1,3-다이엔일이 가장 바람직한 알켄일 기이다. 상기 알킬 및 알켄일 기를 위한 바람직한 치환기들은 OR', =O, SR', SOR', SO2R', NO2, NHR', N(R')2, =N-R', NHCOR', N(COR')2, NHSO2R', NR'C(=NR')NR'R', CN, 할로젠, COR', COOR', OCOR', OCONHR', OCON(R')2, 보호된 OH,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이고, 이때 R'는 수소, OH, NO2, NH2, SH, CN, 할로젠, COH, CO알킬, COOH,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킨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이러한 기들이 자체적으로 치환되는 경우, 치환기들은 상기 목록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알킬 및 알켄일 기를 위한 더 바람직한 치환기들은 할로젠, OR', =O, OCOR', OCONHR', OCON(R')2 및 보호된 OH이고, 이때 R'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킨일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로부터 각각 선택된다. 이들 알킬 및 알켄일 기를 위한 더욱더 바람직한 치환기들은 할로젠, OR', =O, OCONHR', OCON(R')2 및 보호된 OH이되, OH를 위한 보호기는 바람직하게는 트라이메틸실릴, 트라이에틸실릴, 트라이아이소프로필실릴, 다이메틸아이소프로필실릴, 다이에틸아이소프로필실릴, 다이메틸헥실실릴, 2-노본일다이메틸실릴, t-뷰틸다이메틸실릴, t-뷰틸다이페닐실릴, 트라이벤질실릴, 트라이-p-자일릴실릴, 트라이페닐실릴, 다이페닐메틸실릴, 다이-t-뷰틸메틸실릴, 비스(t-뷰틸)-1-피렌일메톡시실릴, 트리스(트라이메틸실릴)실릴, (2-하이드록시스티릴)다이메틸실릴, (2-하이드록시스티릴)다이아이소프로필실릴, t-뷰틸메톡시페닐실릴, t-뷰톡시다이페닐실릴, 1,1,3,3-테트라아이소프로필-3-[2-(트라이페닐메톡시)에톡시]다이실록세인-1-일 및 플루오러스 실릴로부터 선택되고, R'는 더 바람직하게는 수소, 비치환된 C1-C6 알킬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로부터 각각 선택된다. Cl, OH, =O, OCONH2, OCONH페닐 및 보호된 OH(여기서, OH를 위한 보호기는 바람직하게는 트라이메틸실릴, 트라이에틸실릴, 트라이아이소프로필실릴, 다이메틸아이소프로필실릴, 다이에틸아이소프로필실릴, 다이메틸헥실실릴, 2-노본일다이메틸실릴, t-뷰틸다이메틸실릴, t-뷰틸다이페닐실릴, 트라이벤질실릴, 트라이-p-자일릴실릴, 트라이페닐실릴, 다이페닐메틸실릴, 다이-t-뷰틸메틸실릴, 비스(t-뷰틸)-1-피렌일메톡시실릴, 트리스(트라이메틸실릴)실릴, (2-하이드록시스티릴)다이메틸실릴, (2-하이드록시스티릴)다이아이소프로필실릴, t-뷰틸메톡시페닐실릴, t-뷰톡시다이페닐실릴, 1,1,3,3-테트라아이소프로필-3-[2-(트라이페닐메톡시)에톡시]다이실록세인-1-일 및 플루오러스 실릴로부터 선택된다)가 이들 알킬 및 알켄일 기를 위한 가장 바람직한 치환기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점선으로 지적된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 결합이 존재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점선으로 지적된 모든 위치에서 추가 결합이 존재하는 것이다. 또한, 이중 결합 각각에 대한 입체이성질체는 (E)-이성질체 또는 (Z)-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단일 이성질체들 및 상기 이성질체들의 혼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더 특히는,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유도체, 호변이성질체, 전구약물 또는 입체이성질체를 제공한다:
Figure 112009002661053-pct00004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ORa, OCORa, OCOORa, NRaRb, NRaCORb 및 NRaC(NRa)NRaRb로부터 선택되고;
R41, R43 및 R48은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킨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5, R6 및 R7은 수소, CORa, COORa,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킨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5 및 R48은 이들이 부착되는 상응하는 N 원자 및 C 원자와 함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를 형성할 수 있고;
Ra 및 Rb는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킨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점선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추가 결합을 각각 나타낸다.
화학식 II의 화합물에서, 특히 바람직한 R1은 수소, ORa 및 OCORa이고, 이때 Ra는 수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Ra는 수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 알킬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및 뷰틸, 예컨대 t-뷰틸이다. 수소, OH 및 메톡시가 가장 바람직한 R1 기이다.
특히 바람직한 R41, R43 및 R48은 수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이다. 더 바람직한 R41, R43 및 R48은 수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 알킬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메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에틸,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프로필,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이소프로필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뷰틸, 예컨대 치환 또는 비치환된 t-뷰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이소뷰틸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s-뷰틸이다. 상기 기들의 바람직한 치환기들은 OR', =O, SR', SOR', SO2R', NO2, NHR', N(R')2, =N-R', NHCOR', N(COR')2, NHSO2R', NR'C(=NR')NR'R', CN, 할로젠, COR', COOR', OCOR', OCONHR', OCON(R')2, 보호된 OH,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이고, 이때 R'는 수소, OH, NO2, NH2, SH, CN, 할로젠, COH, CO알킬, COOH,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킨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이러한 기들이 자체적으로 치환되는 경우, 치환기들은 상기 목록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기들의 더욱더 바람직한 치환기들은 OH, SCH3, SH, NH2, NHC(=NH)NH2, CONH2, COOH, 페닐, p-, m- 또는 o-하이드록시페닐, 인돌릴, 예컨대 1-, 2- 및 3-인돌릴, 및 이미다졸릴, 예컨대 4- 및 5-이미다졸릴이다. 수소, 메틸, 아이소프로필, t-뷰틸 및 벤질이 가장 바람직한 R41, R43 및 R48 기이다. 특별히, 특히 바람직한 R41 및 R43은 메틸이고, 특히 바람직한 R48 아이소프로필, t-뷰틸 또는 벤질이다.
특히 바람직한 R5 및 R6은 수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이다. 더 바람직한 R5 및 R6은 수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 알킬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및 뷰틸, 예컨대 t-뷰틸이다. 수소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5 및 R48 이 이들이 부착되는 상응하는 N 원자 및 C 원자와 함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를 형성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헤테로사이클릭 기는 피롤리딘일, 예컨대 1-, 2- 및 3-피롤리딘일이다.
특히 바람직한 R7은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수소, 치환된 C1-C12 알킬 및 치환된 C2-C12 알켄일이다. 더 바람직한 알킬 기는 6 내지 약 10개의 탄소 원자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 8 또는 9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 것이다. 헵틸, 옥틸 및 노닐이 가장 바람직한 알킬 기이다. 반면, 더 바람직한 알켄일 기는 6 내지 약 10개의 탄소 원자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7, 8 또는 9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 것이다. 옥타-1,6-다이엔일, 옥타-1,5-다이엔일, 옥타-1,4-다이엔일, 옥타-1,3-다이엔일, 노나-1,7-다이엔일, 노나-1,6-다이엔일, 노나-1,5-다이엔일, 노나-1,4-다이엔일, 노나-1,3-다이엔일, 헵타-1,5-다이엔일, 헵타-1,4-다이엔일, 헵타-1,3-다이엔일이 가장 바람직한 알켄일 기이다. 상기 알킬 및 알켄일 기를 위한 바람직한 치환기들은 OR', =O, SR', SOR', SO2R', NO2, NHR', N(R')2, =N-R', NHCOR', N(COR')2, NHSO2R', NR'C(=NR')NR'R', CN, 할로젠, COR', COOR', OCOR', OCONHR', OCON(R')2, 보호된 OH,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이고, 이때 R'는 수소, OH, NO2, NH2, SH, CN, 할로젠, COH, CO알킬, COOH,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킨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이러한 기들이 자체적으로 치환되는 경우, 치환기들은 상기 목록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알킬 및 알켄일 기를 위한 더 바람직한 치환기들은 할로젠, OR', =O, OCOR', OCONHR', OCON(R')2 및 보호된 OH이고, 이때 R'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킨일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로부터 각각 선택된다. 이들 알킬 및 알켄일 기를 위한 더욱더 바람직한 치환기들은 할로젠, OR', =O, OCONHR', OCON(R')2 및 보호된 OH이되, OH를 위한 보호기는 바람직하게는 트라이메틸실릴, 트라이에틸실릴, 트라이아이소프로필실릴, 다이메틸아이소프로필실릴, 다이에틸아이소프로필실릴, 다이메틸헥실실릴, 2-노본일다이메틸실릴, t-뷰틸다이메틸실릴, t-뷰틸다이페닐실릴, 트라이벤질실릴, 트라이-p-자일릴실릴, 트라이페닐실릴, 다이페닐메틸실릴, 다이-t-뷰틸메틸실릴, 비스(t-뷰틸)-1-피렌일메톡시실릴, 트리스(트라이메틸실릴)실릴, (2-하이드록시스티릴)다이메틸실릴, (2-하이드록시스티릴)다이아이소프로필실릴, t-뷰틸메톡시페닐실릴, t-뷰톡시다이페닐실릴, 1,1,3,3-테트라아이소프로필-3-[2-(트라이페닐메톡시)에톡시]다이실록세인-1-일 및 플루오러스 실릴로부터 선택되고, R'는 더 바람직하게는 수소, 비치환된 C1-C6 알킬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로부터 각각 선택된다. Cl, OH, =O, OCONH2, OCONH페닐 및 보호된 OH(여기서, OH를 위한 보호기는 바람직하게는 트라이메틸실릴, 트라이에틸실릴, 트라이아이소프로필실릴, 다이메틸아이소프로필실릴, 다이에틸아이소프로필실릴, 다이메틸헥실실릴, 2-노본일다이메틸실릴, t-뷰틸다이메틸실릴, t-뷰틸다이페닐실릴, 트라이벤질실릴, 트라이-p-자일릴실릴, 트라이페닐실릴, 다이페닐메틸실릴, 다이-t-뷰틸메틸실릴, 비스(t-뷰틸)-1-피렌일메톡시실릴, 트리스(트라이메틸실릴)실릴, (2-하이드록시스티릴)다이메틸실릴, (2-하이드록시스티릴)다이아이소프로필실릴, t-뷰틸메톡시페닐실릴, t-뷰톡시다이페닐실릴, 1,1,3,3-테트라아이소프로필-3-[2-(트라이페닐메톡시)에톡시]다이실록세인-1-일 및 플루오러스 실릴로부터 선택된다)가 이들 알킬 및 알켄일 기를 위한 가장 바람직한 치환기들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점선으로 지적된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 결합이 존재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점선으로 지적된 모든 위치에서 추가 결합이 존재하는 것이다. 또한, 이중 결합 각각에 대한 입체이성질체는 (E)-이성질체 또는 (Z)-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단일 이성질체들 및 상기 이성질체들의 혼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1 내지 8이다:
Figure 112009002661053-pct00005
Figure 112009002661053-pct00006
화합물 1 내지 8은 라스파일리이다에 과, 리토플로카미아 속, 리티스토이데스 종의 해면동물로부터 단리되었다.
리토플로카미아 리티스토이데스의 샘플은, 참조 코드 LEB-ICML-UNAM-11-2004로서 멕시코 마자틀란 소재의 기관 "Universidad Nacional Autonoma de Mexico"의 "Instituto de Ciencias del Mar y Limnologia"에 기탁되었다. 이 해면은 마다가스카(S 17°06.071'/E 49°51.385')에서 깊이 6 내지 20 m로 스쿠바 다이빙하여 손으로 수집하였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라스파일리이다에 과: 라스파일리이다에(Hentschel, 1923)는, 통상적으로 매우 센 털(hispid) 표면을 갖는, 외피를 갖고(encrusting) 육중하고(massive) 열편 및 팬-모양을 갖거나(lobate, fan-shaped) 가지 성장 형태를 갖는 해면이다. 작고 얇은 스타일의 브러쉬들로 이루어진 특화된 엑토소멀(ectosomal) 골격(문헌 [Hooper & Wiedenmayer 1994: fig. 17]) 또는 개별적인 길고 두꺼운 스타일 또는 옥세아스(oxeas)를 감싸는 옥세아스(문헌 [Hooper & Wiedenmayer 1994: fig. 5])가 전형적으로 존재한다. 코아노소말(choanosomal) 골격은 압축된 축 골격으로부터 플루모-레티큘레이트(plumo-reticulate) 또는 독점적 레티큘레이트 구조까지 변화한다. 스폰진(Spongin) 섬유는 통상적으로 코어링 교미침(coring spicule)을 완벽하게 감싼다(코아노소말 스타일, 옥세아스 또는 둘 다). 특정 범주의 돌기형 스타일(spined style)(문헌 [Hooper & Wiedenmayer 1994: fig. 22]) 또는 변형 스타일(예컨대 도 22 내지 25, 28), 유극성(echinate) 섬유는 섬유의 직각으로 돌출한다. 마이크로스커(Microsclere)는 통상적으로 없지만, 단일 침상결정(raphide)(문헌 [Hooper & Wiedenmayer 1994: fig. 109]) 또는 다발(트리코드라그마타(trichodragmata); 문헌 [Hooper & Wiedenmayer 1994: fig. 110])이 일부 속에서 발생할 수 있다. 라스파일리이드(Raspailiid)는 앝은 물로부터 적어도 깊이 2460 m까지 널리 분포되어 있다(Hartman 1982).
리토플로카미아 속, 리티스토이데스 종은 외피를 갖고 육중한 성장 형태를 가지며, 코아노소말 골격은 축방향 응축 없이 에치네이팅 아칸토스타일(echinating acanthostyle) 없이 매끄러운 스타일의 축외 라디알 트랙을 가지며 통상적으로는 특화된 라스파일리이드 엑토소말 골격 없이 제 1 또는 제 2 크기 범주에서 아칸토스트롱길의 조밀한 아이소딕티알(isodictyal) 또는 불규칙적 서브아이소딕티알 망상조직(subisodictyal reticulation)이며(그러나, 현존 엑토소말 교미침은 길고 가는 옥세아스이다); 마이크로스클러는 존재하지 않는다.
리토플로카미아 리티스토이데스의 샘플을 또한 케냐(S 04°40' 5.5"/E 39°26' 4.3", 및 S 03°38' 36.5"/E 39°53' 53.8") 및 탄자니아(S 08°55' 31.7"/E 39°34' 53.5", 및 S 05°24.200'/E 39°47.730')에서 깊이 30 및 40 m에서 수집하였다.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합성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합물 1은 하기 반응식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여러 단편들을 연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9002661053-pct00007
상기 식에서,
R, RI, RII, RIII, RIV, RV, RVI, RVII 및 RVIII은 필요에 따라 목적하는 기 또는 적절한 보호기이다.
이 공정은 이하 주요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a) 표준 문헌 절차(고자와(Kozawa Y) 등의 문헌 [Tetrahedron Lett. 2002, 43, 111])에 따라 단편 C를 사용하는 요오도알켄일 유도체(단편 D)의 아마이드화에 의해 상응하는 엔아마이드(단편 CD)를 수득하는 단계.
b) 유기 합성에서 공지된 절차들(스콧(Scott WJ) 등의 문헌 [J. Am. Chem. Soc. 1984, 106, 4630]; 라바디(Labadie J W) 등의 문헌 [J. Org. Chem. 1983, 48, 4634-4642]; 파리나(Farina V) 등의 문헌 [Organic Reactions 1998, Wiley])을 따라 단편 A와 단편 B 사이의 스틸 커플링 반응(Stille coupling reaction)에 의해 선형 폴리엔(단편 AB)을 수득하는 단계.
c) 표준 절차들(보단스즈키(Bodanszky M) 및 보단스즈키(Bodanszky A)의 문헌 [The Practice of Peptide Synthesis, Springer-Verlag, 1993])에 따라 단편들 AB 및 CD를 커플링시켜 화합물 1의 탄소 골격을 수득할 수 있는 단계.
d) 유기 합성에서 공지된 절차들(그린(Greene) 및 우츠(Wuts)의 문헌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 Wiley-Interscience]; 부케(Burke) 및 단헤이저(Danheiser)의 문헌 [Handbook of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Oxidizing and Reducing Agents, Wiley]; 플라(Pla D) 등의 문헌 [J. Org. Chem. 2005, 70, 8231])에 따라 알코올 ORII를 탈보호시킨 후 락톤화할 수 있는 단계.
e) 최종적으로, 표준 문헌 절차들(러브(Love B) 등의 문헌 [Organic Synthesis, Coll. Vol. 5, p. 162; Vol. 48, p. 32]; 뮐러(Muller E) 등의 문헌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Houben-Weyl), 4th ed., Vol. 8, G. Thieme, Stuttgart, 1952, p. 137])에 의해 알코올 ORIII을 탈보호시킨 후 카밤에이트를 형성시켜 화합물 1을 수득할 수 있는 단계.
단계들의 순서는 최종 화합물을 수득하기 위해 교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편 BC는 제 1 단계에서 제조된 후, 단편들 A 및 D를 사용하는 연속적인 커플링에 가하여서 화합물 1의 탄소 골격을 수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합물 1은, 임의의 순서로 단편들 A, B, C 및 D의 연속적인 커플링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선택사항은 임의의 다른 단편과의 커플링 전에 단편 A 상에서 락톤 잔기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화합물 1의 동종체는 화합물 1에 대해 기재된 바와 등가의 공정에 의해 각 경우 중간체 화합물들의 적절한 치환기들을 선택함으로써 합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적절한 보호기들는 반응기들이 영향을 받지 않게 하도록 치환기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합성은 적절한 단계에서 목적하는 치환기로 전환될 수 있는 전구체 치환기들을 사용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고리-구조에서의 포화 또는 불포화는 합성의 일부로서 도입 또는 제거될 수 있다. 출발 물질 및 시약은 목적한 바와 같이 의도된 화합물의 합성을 보장하도록 개질될 수 있다. 또한,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합성 유기 화학에서 통상의 절차들에 의해 동종체들이 또한 화합물 1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합성 경로들은 목적하는 바와 같이 개질되어서 입체특이적 화합물 및 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들을 수득할 수 있다. 합성 도중 입체특이적 시약의 사용 또는 화합물 내에 키랄 중심들을 도입시키는 것을 비롯한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특정 입체이성질체 또는 특정 혼합물들을 합성할 수 있다. 합성 도중 하나 이상의 입체중심들을 도입시킬 수 있으며, 또한 존재하는 입체중심들을 전화시킬 수 있다(invert). 또한, 화합물이 일단 합성되면, 숙련자에게 공지된 표준 분해 기술에 의해 입체이성질체를 분리할 수 있다.
앞서 기재된 화학식 I 및 II의 화합물의 중요한 특징은 이들의 생물활성, 특히 이들의 세포독성 및 항유사분열성 활성에 있다.
본 발명은 세포독성 및 항유사분열성 활성을 갖는 화학식 I 및 II의 화합물의 신규 약학 조성물, 및 이들의 항종양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유도체, 호변이성질체, 전구약물 또는 입체이성질체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약학 조성물의 예는 경구, 국소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해 임의의 고체(정제, 환제, 캡슐, 과립 등) 또는 액체(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투여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 예컨대 정맥 내 주입, 경구 제조물, 및 복강 내 및 정맥 내 투여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24시간 이하의 주입 시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시간이다. 병원에서 밤새도록 입원하지 않고서 치료가 가능한 짧은 주입 시간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주입은 12 내지 24시간이거나, 필요하다면 더 길어질 수 있다. 주입은 1 내지 4주의 적합한 간격으로 주입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지효성 제형 내에서 리포솜 또는 나노구체(nanosphere) 캡슐화에 의해, 또는 다른 표준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화합물의 정확한 투여량은 특정 제형, 적용 방식, 및 치료하는 특정 장소, 숙주 및 종양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연령, 체중, 성별, 식의요법, 투약 시간, 배변율, 숙주의 상태, 약물 조합, 반응 민감성 및 질병의 심각성과 같은 다른 요인들이 고려된다. 최대 허용 투여량 내에서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투약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성물은 다른 약물과 함께 사용되어서 조합 요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약물은 동일한 조성물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동시에 또는 다른 시간에 투약용 개별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의 항종양성 활성은 폐암, 결장암, 유방암 및 자궁경부암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해양 생명체 및 수집 측면에 대한 설명
리토플로카미아 리티스토이데스를 마다가스카(S 17°06.071'/E 49°51.385')에서 깊이 6 내지 20 m로 스쿠바 다이빙하여 손으로 수집하였다. 상기 동물 재료를 조세 루이스 카발로(Jose Luis Carballo)(Universidad Autonoma de Mejico)에 의해 동정하였다. 상기 표본의 샘플을 참조 코드 LEB-ICML-UNAM-11-2004로서 멕시코 마자틀란 소재의 기관 "Universidad Nacional Autonoma de Mexico"의 "Instituto de Ciencias del Mar y Limnologia"에 기탁하였다.
실시예 2: 화합물 1의 단리
실시예 1의 냉동된 표본(61 g)을 다이싱(dicing)하고, H2O(3 x 200 mL)로 추출한 후, MeOH:다이클로로메테인의 혼합물(1:1, 3 x 200 mL)로 실온에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추출물들을 농축시켜 조생성물 1.11 g을 수득하였다. 이 물질을 H2O로부터 MeOH까지의 단계적 구배를 갖는 리크로프렙(Lichroprep) RP-18 상의 VLC에 가하였다.
화합물 1(1.6 mg)을, MeOH로 용리시키는 단편들로부터, 반제조용(semipreparative) 역상 HPLC(SymmetryPrep C18 7 μm, 7.8 x 150 mm, 구배 H2O:MeCN 35 내지 100% MeCN(30 분), UV 검출, 유동 2.5 mL/분, rt 14.4 분)에 의해 단리하였다.
화합물 1: 비정질 백색 고체. (+)HRESIMS m/z 606.2940 [M+H]+(C31H45 35ClN3O7에 대한 계산치 606.2946); 1H(500 MHz) 및 13C NMR(125 MHz) 표 1 참조.
Figure 112009002661053-pct00008
실시예 3: 화합물들 2, 3, 4, 5, 6 및 7의 단리
리토플로카미아 리티스토이데스 샘플의 제 2 군(7.66 kg)을 분쇄하고, MeOH:다이클로로메테인의 혼합물(1:1, 14 L, 2 × 5 L, 4 L)로 철저하게 추출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하는 수용액을 EtOAc로 추출하였다(12 L, 3 × 8 L). 유기 층을 증발시켜 조생성물 21.71 g을 수득하였다.
이 물질을 H2O:MeOH(4:6)로부터 MeOH까지의 단계적 구배를 갖는 RP-18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가하였다. H2O:MeOH(2:8, 430 mg)로 용리된 단편들을 풀링(pooling)시키고, 제조용 HPLC(아틀란티스(Atlantis) dC18, OBD, 5 μm, 19 × 150 mm, 등용매 H2O:MeOH(39:61), 유동: 20 mL/분, UV 검출)에 가하여 순수한 화합물들 1(160.8 mg), 2(13.2 mg) 및 7(1.8 mg), 및 화합물 3과 4의 혼합물(11.4 mg) 및 화합물 5와 6의 혼합물(10.0 mg)을 수득하였다. 순수한 화합물들 3(5.1 mg) 및 4(2.6 mg)를 혼합물의 최종 정제 후 반제조용 HPLC(X-Terra Prep RP-18, 10 μm, 10 × 150 mm, 50 내지 70% MeOH에 대한 구배 H2O:MeOH(70 분), 유동: 2.5 mL/분, UV 검출)에 가함으로써 수득하였다. 화합물들 5(3.6 mg) 및 6(1.0 mg)을 유사한 방식으로 반제조용 HPLC(X-Terra Prep RP-18, 10 μm, 10 × 150 mm, 등용매 H2O:MeOH(45:55), 유동: 2.5 mL/분, UV 검출)에 의해 분리하였다.
화합물 2: 비정질 백색 고체. MS(ES) m/z 606.3 [M+H]+, 628.3 [M+Na]+; 1H(500 MHz) 및 13C NMR(125 MHz) 표 2 참조.
화합물 3: 비정질 백색 고체. (+)HRESIMS m/z 628.2774 [M+Na]+(C31H44 35ClN3O7Na에 대한 계산치 628.2760); 1H(500 MHz) 및 13C NMR(125 MHz) 표 3 참조.
화합물 4: 비정질 백색 고체. (+)HRESIMS m/z 594.3152 [M+Na]+(C31H45N3O7Na에 대한 계산치 594.3150); 1H(500 MHz) 및 13C NMR(125 MHz) 표 4 참조.
화합물 5: 비정질 백색 고체. MS(ES) m/z 592.3 [M+H]+, 614.3 [M+Na]+; 1H(500 MHz) 및 13C NMR(125 MHz) 표 5 참조.
화합물 6: 비정질 백색 고체. MS(ES) m/z 592.3 [M+H]+, 614.3 [M+Na]+; 1H(500 MHz) 및 13C NMR(125 MHz) 표 6 참조.
화합물 7: 비정질 백색 고체. (+)HRESIMS m/z 427.2207 [M+Na]+(C22H32N2O5Na에 대한 계산치 427.2203); 1H(500 MHz) 및 13C NMR(125 MHz) 표 7 참조.
Figure 112009002661053-pct00009
Figure 112009002661053-pct00010
Figure 112009002661053-pct00011
Figure 112009002661053-pct00012
Figure 112009002661053-pct00013
Figure 112009002661053-pct00014
실시예 4: 화합물 8의 단리
실시예 3에서 개시된 추출 절차로부터 유래된 화합물 1이 함유된 분획물(61.6 mg)을, 반제조용 HPLC(Symmetryprep C-18, 7 μm, 7.8 × 150 mm, 등용매 H2O:CH3CN(55:45), 유동: 2.3 mL/분, UV 검출)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였으며, 화합물 8 0.9 mg을 순수한 형태로 수득하였다.
화합물 8: 비정질 백색 고체. MS(ES) m/z 606.2 [M+H]+, 628.3 [M+Na]+; 1H(500 MHz) 및 13C NMR(125 MHz) 표 8 참조.
Figure 112009002661053-pct00015
실시예 5: 단편 A의 합성
하기 반응식 2는 반응식 1에서 표시된 명칭에 따라 단편 A의 합성의 몇몇 실시예를 제공한다:
Figure 112009002661053-pct00016
중간체 9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17
다이클로로메테인/DMSO(331 mL/149 mL)의 혼합물 중의 (2S,3S)-3,5-비스{[(t-뷰틸)다이메틸실릴]옥시}-4-메틸펜탄-1-올의 0℃ 용액(푸칸(P. Phukan), 사스말(S. Sasmal) 및 마이어(M.E. Maier)의 문헌 [Eur. J. Org. Chem. 2003, 1733-1740])(50 g, 0.14 몰)에, Et3N(96.1 mL, 0.69 몰)을 부가 깔대기를 통해 첨가하였다. 10분 후, SO3·Pyr(54.8 g, 0.34 몰)을 적가하고, 용액을 2시간 더 0℃에서 교반하였다. 그 다음, 이를 다이클로로메테인(800 mL)으로 희석하고, HCl(0.5N, 800 mL)로 켄칭시켰다. 유기 층을 폐기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100:0 내지 10:1)에 의해 정제하여 알데하이드 9 45 g(수율: 90%)을 수득하였다.
1H-RMN(CDCl3, 300 MHz) δ: 9.79(s, 1H), 4.30(m, 1H), 3.65(m, 2H), 2.51(m, 1H), 1.69(m, 2H), 1.04(d, 3H, J = 6.9Hz), 0.85-0.88(m, 18H), 0.03-0.07(m, 12H).
13C-RMN(CDCl3, 75 MHz) δ: 205.4, 69.4, 59.6, 51.7, 37.5, 26.1, 26.0, 18.4, 18.2, 8.0, -4.3, -4.5, -5.2.
중간체 10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18
톨루엔(625 mL) 중의 알데하이드 9(45 g, 0.12 몰)의 용액 위에 카보에톡시에틸리덴-트라이페닐포스포레인(113 g, 0.31 몰)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60℃로 17시간에 걸쳐 가열하였다. 그 다음,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생성된 오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100:0 내지 10:1)에 의해 정제하여 에스터 화합물 10 53.3 g(수율: 96%)을 수득하였다.
1H-RMN(CDCl3, 300 MHz) δ: 6.71(dd, 1H, J = 1.5, 10.2 Hz), 4.19(m, 2H), 3.77(m, 1H), 3.66(m, 2H), 2.61(m, 1H), 1.85(d, 3H, J = 1.5 Hz), 1.68(m, 2H), 1.30(t, 3H, J = 7.2 Hz), 0.98(d, 3H, 6.9 Hz), 0.90(m, 18H), 0.05(m, 12H).
13C-RMN(CDCl3, 75 MHz) δ: 168.3, 145.4, 126.7, 72.2, 60.4, 59.7, 38.4, 38.0, 25.9, 18.2, 18.1, 14.3, 14.3, 12.6, -4.4, -4.6, -5.4.
중간체 11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19
무수 THF(525 mL) 중의 에스터 10(46.7 g, 0.105 몰)의 -78℃ 냉각된 용액 위에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톨루엔(231 mL, 0.231 몰) 중의 다이아이소뷰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DIBAL) 1M을 10 분에 걸쳐 첨가하고, 혼합물을 -78℃에서 교반하였다. 4시간 후, 반응물을 MeOH(10 mL)로 켄칭시키고, 타르트르산 나트륨 칼륨의 포화 용액을 첨가하고(800 mL), EtOAc(1000 mL)로 희석하였다. 이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유기 층을 폐기하였다. 수성 잔류물을 추가의 EtOAc(2 x 400 mL)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 층들을 건조시키고(Na2SO4), 용매를 증발시켰다. 생성된 오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20:1 내지 10:1)에 의해 정제하여 알코올 11 32.5 g(수율: 77%)을 수득하였다.
1H-RMN(CDCl3, 300 MHz) δ: 5.31(d, 1H, J = 9.6 Hz), 3.98(m, 2H), 3.66(m, 3H), 2.49(m, 1H), 1.67(s, 3H), 1.70-1.62(m, 2H), 0.91(d, 3H, J = 6.9 Hz), 0.88(m, 18H), 0.03(m, 12H).
13C-RMN(CDCl3, 75 MHz) δ: 133.9, 129.8, 73.1, 69.1, 59.9, 37.8, 37.5, 25.9, 18.3, 18.1, 15.9, 13.9, -4.4, -4.4, -5.3.
중간체 12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20
에틸 에터(387 mL) 중의 알코올 11(31.2 g, 77.5 밀리몰)의 용액 위에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MnO2(101 g, 1.16 몰)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EtOAc(3L)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칼럼 상에서 여과하고, 생성된 용액을 감압 하에서 건조시켜 알데하이드 12 29.1 g(수율: 94%)을 수득하였다.
1H-RMN(CDCl3, 300 MHz) δ: 9.37(s, 1H), 6.44(d, 1H, J = 9.6 Hz), 3.82(dd, 1H, J = 6.3, 10.8 Hz), 3.65(m, 2H), 2.82(m, 1H), 1.74(s, 3H), 1.67(m, 2H), 1.02(d, 3H, J = 6.9 Hz), 0.86(s, 18H), 0.04-0.01(m, 12H).
13C-RMN(CDCl3, 75 MHz) δ: 195.4, 157.8, 138.3, 134.5, 72.0, 59.5, 36.7, 37.5, 25.8, 18.2, 18.1, 14.3, 9.4, -4.4, -4.5, -5.4.
중간체 13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21
THF(727 mL) 중의 요오도메틸 트라이페닐포스포늄 요오다이드(길버트 스토크(Gilbert Stork, KZ.)의 문헌 [Tetrahedron letters 1989, 30(17), 2173])(96.3 g, 181. 7 밀리몰)의 현탁액에 0℃에서 나트륨 헥사메틸다이실라제인(NaHMDS)(181.7 mL, 181.7 밀리몰)의 1M 용액을 부가 깔대기를 통해 10분에 걸쳐 서서히 첨가하였다. 5분 더 교반한 후, 용액을 -78℃까지 냉각한 후, 1,3-다이메틸-3,4,5,6-테트라하이드로-2(1H)-피리미딘온(DMPU)(43.9 mL, 363.4 밀리몰)을 삽입관을 통해 첨가한 다음, THF(727 mL) 중에 용해된 알데하이드 12(29.1 g, 72.7 밀리몰)를 첨가하였다. 온도를 -78℃에서 유지하면서,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헥세인(1 L)을 첨가하고, 생성된 슬러리를 셀라이트(celite) 상에서 여과하고, 추가의 헥세인(3 L)으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키고, 생성된 오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100:0 내지 20:1)에 의해 정제하여 요오다이드 13 32 g(수율: 84%)을 수득하였다.
1H-RMN(CDCl3, 300 MHz) δ: 6.73(d, 1H, J = 8.4 Hz), 6.09(dd, 1H, J = 8.4, 1.2 Hz), 5.57(dd, 1H, J = 9.6, 1.2 Hz), 3.63-3.71(m, 3H), 2.58(m, 1H), 1.90(s, 3H), 1.70(m, 2H), 0.96(dd, 3H, J = 6.6, 1.2 Hz), 0.88(s, 18H), 0.04(m, 12H).
13C-RMN(CDCl3, 75 MHz) δ: 142.3, 138.1, 131.8, 74.6, 72.9, 59.8, 38.1, 37.9, 26.0, 18.3, 18.2, 15.7, 15.7, -4.4, -5.2, -5.2.
중간체 14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22
EtOH(114 mL) 중의 요오다이드 13(12 g, 22.9 밀리몰)의 용액에 피리디늄 p-톨루엔설폰에이트(PPTS)(2.01 g, 8.0 밀리몰)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생성된 오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10:1)에 의해 정제하여 알코올 14 8.7 g(수율: 93%)을 수득하였다.
1H-RMN(CDCl3, 300 MHz) δ: 6.69(d, 1H, J = 8.4 Hz), 6.12(d, 1H, J = 8.4 Hz), 5.47(d, 1H, J = 9.9 Hz), 3.67-3.87(m, 4H), 2.71(m, 1H), 1.89(s, 3H), 1.73-1.86(m, 2H), 1.01(d, 3H, J = 6.9 Hz), 0.91(s, 9H), 0.087-0.115(m, 6H).
13C-RMN(CDCl3, 75 MHz) δ: 142.4, 136.4, 132.6, 75.8, 75.2, 60.0, 38.1, 36.4, 26.1, 18.2, 17.1, 16.0, -4.1, -4.2.
중간체 15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23
다이클로로메테인/DMSO(50.9 mL/22.9 mL)의 혼합물 중의 알코올 14(8.7 g, 21.2 밀리몰)의 0℃ 용액에, Et3N(14.8 mL, 106 밀리몰)을 부가 깔대기를 통해 첨가하였다. 10분 후, SO3·Pyr(8.43 g, 53.0 몰)을 적가하고, 용액을 2시간 더 0℃에서 교반하였다. 그 다음, 이를 다이클로로메테인(800 mL)으로 희석하고, HCl(0.5N, 50 mL)로 켄칭시켰다. 유기 층을 폐기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10:1)에 의해 정제하여 알데하이드 15 6.9 g(수율: 80%)을 수득하였다.
1H-RMN(CDCl3, 300 MHz) δ: 9.89(t, 1H, J = 1.5 Hz), 6.67(d, 1H, J = 8.4 Hz), 6.13(d, 1H, J = 8.4 Hz), 5.43(d, 1H, J = 10.2 Hz), 3.98(m, 1H), 2.59-2.69(m, 3H), 1.85(s, 3H), 1.01(d, 3H, J = 6.6 Hz), 0.86(s, 9H), 0.06(s, 3H), 0.03(s, 3H).
13C-RMN(CDCl3, 75 MHz) δ: μ201.8, 141.9, 135.2, 133.3, 76.3, 71.9, 49.3, 39.3, 25.8, 18.0, 16.7, 15.9, -4.4, -4.5.
중간체 16a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24
무수 THF(390 mL) 중의 다이에틸(메톡시[메톡시카본일]메틸)포스폰에이트(5.51 g, 14.45 밀리몰)와 18-크라운-6(11.5 g, 43.34 밀리몰)의 용액에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78℃에서 교반하고, 0.5M 칼륨 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마이드 용액(KHMDS)(43.34 mL, 21.67 밀리몰)을 적가하였다. 15분 후, 무수 THF 중의 알데하이드 15(5.9 g, 14.45 밀리몰)를 30분에 걸쳐 적가하고, -78℃에서 9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반응물을 포화 NH4Cl 용액(200 mL)으로 켄칭시키고, 실온까지 가온시키고, 다이클로로메테인(1000 mL)으로 희석하였다.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Na2SO4),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2O 20:1)에 의해 정제하여 순수한 (E)-16a 4.2 g(59%)을 수득하였다.
1H-RMN(CDCl3, 300 MHz) δ: 6.70(d, 1H, J = 8.4 Hz), 6.08(d, 1H, J = 8.4 Hz), 5.47(d, 1H, J = 9.9 Hz), 5.37(t, 1H, J = 7.2 Hz), 3.78(s, 3H), 3.60(s, 3H), 3.60(m, 1H), 2.79(m, 1H), 2.52-2.67(m, 2H), 1.83(s, 3H), 0.99(d, 3H, J = 6.6 Hz), 0.89(s, 9H), 0.05(s, 3H), 0.04(s, 3H).
13C-RMN(CDCl3, 75 MHz) δ: 163.7, 145.9, 142.1, 137.3, 132.1, 110.4, 75.4, 74.8, 55.4, 51.9, 38.1, 32.3, 25.9, 18.1, 16.5, 15.7, -4.3, -4.5.
중간체 16b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25
무수 THF(2.4 mL) 중의 에틸 [비스(2,2,2-트라이플루오로에톡시)포스핀일]아세테이트(0.16 mL, 0.66 밀리몰)와 18-크라운-6(350 mg, 1.32 밀리몰)의 용액에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0℃에서 교반하고, KHMDS(1.23 mL, 0.62 밀리몰)를 적가하였다. 30분 후, 무수 THF 중의 알데하이드 15(180 mg, 0.44 밀리몰)를 적가하고, -78℃에서 6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반응물을 포화 NH4Cl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실온까지 가온시키고, EtOAc로 희석하였다.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Na2SO4),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100:1 내지 15:1)에 의해 정제하여 (Z)-16b 172 mg(수율: 82%)을 수득하였다.
1H-RMN(CDCl3, 300 MHz) δ: 6.70(d, 1H, J = 8.7 Hz), 6.44-6.36(m, 1H), 6.09(d, 1H, J = 8.7 Hz), 5.86-5.81(m, 1H), 5.47(d, 1H, J = 9.9 Hz), 4.14(q, 2H, J = 7.2 Hz), 3.69-3.64(m, 1H), 3.06-3.00(m, 1H), 2.85-2.75(m, 1H), 2.59-2.51(m, 1H), 1.84(s, 3H), 1.28(t, 3H, J = 7.2 Hz), 1.00(d, 3H, J = 6.6 Hz), 0.89(s, 9H), 0.06(s, 3H), 0.05(s, 3H).
MS(ES) m/z 501.0 [M+Na]+
중간체 17a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26
MeOH(125 mL) 중의 에스터 16a(4.15 g, 8.39 밀리몰)의 용액에 실온에서 HCl 37%(1.04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NaHCO3(pH 7 내지 8)의 포화 용액으로 중화시키고, 유기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생성된 현탁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3 x 200 mL)으로 추출하고,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10:1 내지 2:1)에 의해 여과하여 락톤 17a 2.76 g(수율: 94%)을 수득하였다.
1H-RMN(500 MHz, CDCl3) δ: 6.68(d, 1H, J = 9.0 Hz), 6.20(d, 1H, J = 8.5 Hz), 5.63(dd, 1H, J = 2.5, 6.5 Hz), 5.43(d, 1H, J = 10.0 Hz), 4.19(m, 1H), 3.65(s, 3H), 2.84(m, 1H), 2.55(m, 1H), 2.43(dc, J = 1H, 3.0, 12.0, 15.0, 18.0 Hz), 1.87(s, 3H), 1.16(d, 3H, J = 6.5 Hz).
13C-RMN(125 MHz, CDCl3) δ: 161.6, 145.2, 141.8, 134.4, 132.7, 108.3, 81.7, 77.4, 55.4, 37.1, 26.6, 16.5, 16.1.
중간체 17b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27
MeOH(4.5 mL) 중의 에스터 16b(172 mg, 0.36 밀리몰)의 용액에 실온에서 HCl 37%(0.03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NaHCO3(pH 7 내지 8)으로 중화시키고, 유기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생성된 현탁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고,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10:1 내지 5:1)에 의해 여과하여 락톤 17b 70 mg(수율: 61%)을 수득하였다.
1H-RMN(CDCl3, 300 MHz) δ: 6.91-6.85(m, 1H), 6.68(d, 1H, J = 8.4 Hz), 6.62(d, 1H, J = 8.4 Hz), 6.02(dd, 1H, J = 2.7, 9.6 Hz), 5.45(d, 1H, J = 9.9 Hz), 4.19(m, 1H), 3.65(s, 3H), 4.26-4.18(m, 1H), 2.92-2.79(m, 1H), 2.57-2.48(m, 1H), 2.39-2.28(m, 1H), 1.88(s, 3H), 1.17(d, 3H, J = 6.6 Hz).
실시예 6: 단편 D의 합성
하기 반응식 3은 반응식 1에서 표시된 명칭에 따라 단편 D의 합성의 몇몇 실시예를 제공한다:
Figure 112009002661053-pct00028
중간체 19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29
다이클로로메테인(DCM)(918 mL) 중의 중간체 18(72.3 g)의 용액에 실온에서 3-클로로퍼벤조산(m-CPBA)(100 g, 0.58 몰)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백색 침전물을 NaHCO3의 포화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DCM으로 추출하고(3 x 250 mL), 다시 NaHCO3의 포화 용액(3 x 25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들을 합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오일을 실리카 겔(헥세인-AcOEt; 15:1) 상에서 정제하여 에폭사이드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64.5 g, 82%). 무수 THF(7.5 mL) 중의 라세미체 에폭사이드(30 g)의 용액에 (R,R)Co(II) 착체(448 mg, 0.74 밀리몰)를 첨가한 후, AcOH(0.14 m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0℃까지 냉각시키고, 물(1.2 mL)을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까지 가온시키고,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시간 후, 휘발 물질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조생성물을 직접적으로 실리카 겔 칼럼 상에 적재하였다. 헥세인/EtOAc(15:1 내지 12:1)를 용리제로서 사용하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키랄 에폭사이드 (+)-19(13.6 g, 수율: 46%)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α]D = +14.1(c= 1, CHCl3).
1H NMR(CDCl3, 300 MHz) δ: 3.74(t, 2H, J = 6.3 Hz), 3.01(m, 1H), 2.74(t, 1H, J = 4.6 Hz), 2.48(dd, 1H, J = 5.1, 3.1 Hz), 1.70(m, 2H), 0.87(s, 9H), 0.04(s, 6H).
13C RMN(CDCl3, 75 MHz) δ: 60.2, 50.2, 47.3, 36.1, 26.1, 18.4, -5.2.
중간체 20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30
프로핀을 -78℃에서 응축시키고, 무수 THF(165 mL) 중에 용해시켰다. n-뷰틸리튬을 Ar 하에서 30분에 걸쳐 적가하고, 생성된 백색 현탁액을 30분 더 -78℃에서 교반하였다. 그 다음, 무수 THF(125 mL) 중의 (+)(R)-2-[2-(t-뷰틸다이메틸실릴옥시)에틸]옥시레인 19(23.7 g)의 용액을 적가한 후, BF3OEt2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78℃에서 및 0℃에서 1시간 더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NH4Cl의 포화 수용액(150 mL)으로 켄칭시키고, Et2O(3 x 150 mL)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층들을 Na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10:1 내지 1:1)에 의해 알코올 20 22.7 g(수율: 80%)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α]D = +5.6(c= 0.1, CHCl3).
1H-RMN(500 MHz, CDCl3) δ: 3.75-3.90(m, 3H), 3.47(d, 1H, J = 2.7 Hz, OH), 2.34(m, 2H), 1.79, (t, 3H, J = 2.4 Hz), 1.75(m, 2H), 0.89(s, 9H), 0.07(s, 6H).
13C-RMN(125 MHz, CDCl3) δ: 77.8, 75.8, 70.7, 62.4, 37.6, 27.6, 26.1, 18.3, 3.7, -5.3, -5.4.
MS(ES) m/z 243.2 [M+H]+, 265.2 [M+Na]+
중간체 21a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31
DCM 중의 중간체 20(22.7 g)과 p-메톡시벤질트라이클로로아세트이미데이트(PMBTCA)의 용액을 Sc(OTf)3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TLC 체크), 반응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50:1 내지 15:1)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21a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18.3 g; 수율: 55%).
1H NMR(CDCl3, 300 MHz) δ: 7.25(d, 2H, J = 8.7 Hz), 6.90(d, 2H, J = 8.7 Hz), 4.45(m, 2H), 3.80(s, 3H), 3.65(m, 3H), 2.40(m, 2H), 1.82(m, 2H), 1.79(t, 3H, J = 2.4 Hz), 0.92(s, 9H), 0.05(s, 6H).
중간체 21b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32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14 mL) 중의 알코올 20(2.88 g, 11.9 밀리몰), t-뷰틸다이페닐실릴 클로라이드(4.39 mL, 16.89 밀리몰) 및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43.6 mg)의 용액을 밤새도록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2O로 추출하고,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Hex/EtOAc, 95:1)에 의해 실릴 에터 21b(5.3 g, 수율: 93%)를 무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7.70-7.66(m, 4H), 7.40-7.34(m, 6H), 3.99-3.95(m, 1H), 3.70-3.62(m, 2H), 2.23-2.22(m, 2H), 1.84-1.81(m, 2H), 1.69(t, 3H, J = 2.7 Hz), 1.05(s, 9H), 0.84(s, 9H), 0.01(s, 6H).
13C-RMN(CDCl3, 75 MHz) δ: 136.1; 134.6; 129.7; 127.8; 77.8; 76.2; 69.9; 60.1; 39.6; 27.5; 27.2; 26.2; 19.6; 18.5; 3.7; -5.1.
중간체 22a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33
무수 톨루엔 중의 화합물 21a의 용액에 Ar 하에서 0℃에서 슈바르츠 시약(Schwartz's reagent)(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지르코늄(IV) 클로라이드 하이드라이드, Cp2ZrHC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5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온도를 50℃까지 20분에 걸쳐 증가시키고, 50℃에서 2.3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시간 동안, 반응 용액은 주황색으로 변하였다. 반응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N-클로로석신이미드를 한 부분으로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실온에서 계속적으로 교반하고, 반응물을 헥세인/EtOAc(95:5; 500 mL)로 희석하였다. 고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휘발 물질을 증발시켜 화합물 22a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15.1 g; 수율: 86%).
[α]D = +20.5(c= 1, CHCl3).
1H NMR(CDCl3, 300 MHz) δ: 7.25(d, 2H, J = 8.7 Hz), 6.87(d, 2H, J = 8.7 Hz), 5.64(td, 1H, J = 7.8, 0.9 Hz), 4.45(q, 2H, J = 11.1 Hz), 3.80(s, 3H), 3.70(m, 2H), 3.62(m, 1H), 2.27(t, 2H, J = 6.9 Hz), 2.03(s, 3H), 1.70(m, 2H), 0.89(s, 9H), 0.05(s, 6H).
13C RMN(75 MHz, CDCl3) δ: 159.4, 130.9, 130.7, 129.6, 124.2, 114.0, 75.2, 71.4, 59.8, 55.5, 37.7, 33.8, 26.1, 21.2, 18.5, -5.1.
중간체 22b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34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화합물 21b(4.73 g, 9.85 밀리몰), 퀴놀라인(0.582 mL, 4.92 밀리몰) 및 린들라(lindlar) 촉매(2.18 g)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플라스크를 비우고, H2로 플러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H2(1 atm) 하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셀라이트의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였다. 상기 플러그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헹구고, 합쳐진 여액들을 0.1% HC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중간체 22b(4.27 g, 수율: 90%)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7.70-7.67(m, 4H), 7.44-7.36(m, 6H), 5.48(m, 1H), 5.36-5.27(m, 1H), 3.95-3.87(m, 1H), 3.71-3.55(m, 2H), 2.16(dd, 2H, J = 6.9, 6.3 Hz), 1.73-1.66(m, 2H), 1.41(dd, 3H, J = 6.6, 1.2 Hz), 1.05(s, 9H), 0.84(s, 9H), -0.02(s, 6H).
13C-RMN(CDCl3, 75 MHz) δ:136.2; 134.8; 129.8; 127.8; 126.4; 125.8; 70.9; 60.4; 39.6; 34.8; 27.3; 26.2; 19.7; 18.5; 13.1; -5.1.
중간체 23a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35
무수 THF 중의 화합물 22a(23 g)의 용액에 Ar 하에서 0℃에서 테트라뷰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TBAF)의 용액을 2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용액은 적색으로 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NH4Cl(200 mL)의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켰다. 합쳐진 층들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EtOAc(3 x 150 mL)로 철저하게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층들을 Na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4:1 내지 1:1)에 의해 화합물 23a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11.9 g; 수율: 73%).
1H NMR(CDCl3, 300 MHz) δ: 7.25(d, 2H, J = 8.7 Hz), 6.86(d, 2H, J = 8.7 Hz), 5.62(t, 1H, J = 7.8 Hz), 4.45(m, 2H), 3.80(s, 3H), 3.70(m, 3H), 2.35(m, 2H), 2.03(s, 3H), 1.75(m, 2H).
중간체 23b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36
PPTS(837.7 mg, 3.33 밀리몰)를 한 부분으로 에탄올(80 mL) 중의 화합물 22b(4 g, 8.33 밀리몰)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한 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에서 희석하고, NaHCO3의 포화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Hex/EtOAc, 95:1)에 의해 실릴 에터 23b(2.12 g, 수율: 69%)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7.73-7.69(m, 4H), 7.44-7.36(m, 6H), 5.44-5.38(m, 1H), 5.21-5.17(m, 1H), 4.01-3.94(m, 1H), 3.84-3.76(m, 1H), 3.69-3.64(m, 1H), 2.32-2.14(m, 2H), 1.89-1.78(m, 1H), 1.70-1.60(m, 1H), 1.37(d, 3H, J = 6.9 Hz), 1.07(s, 9H).
13C-RMN(CDCl3, 75 MHz) δ: 136.2; 134.1; 130.0; 127.8; 126.3; 125.9; 72.3; 60.1; 37.7; 34.3; 27.2; 19.5; 13.0.
중간체 24a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37
(다이아세톡시요오도)벤젠(BAIB)(11.5 g, 35.7 밀리몰)을 무수 다이클로로메테인(92 mL) 중의 알코올 23a(9.2 g, 32 4 밀리몰)와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1-옥실(TEMPO)(515 mg, 3.3 밀리몰)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알코올이 더 이상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TLC),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한 후, 이를 NH4Cl의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DCM으로 추출하였다(3 x 100 mL). 합쳐진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4:1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24a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6.3 g; 수율: 70%).
1H NMR(CDCl3, 300 MHz) δ: 9.78(s, 1H), 7.25(d, 2H, J = 8.7 Hz), 6.85(d, 2H, J = 8.7 Hz), 5.64(t, 1H, J = 7.8 Hz), 4.45(q, 2H, J = 11.1 Hz), 4.02(m, 1H), 3.80(s, 3H), 2.60(m, 2H), 2.35(m, 2H), 2.03(s, 3H).
13C RMN(CDCl3, 75 MHz) δ: 201, 159.6, 132.1, 130.1, 129.7, 122.8, 114.1, 73.3, 71.5, 55.5, 48.3, 33.5, 21.3.
중간체 24b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38
BAIB(1.97 g, 6.11 밀리몰)를 DCM 25 mL 중의 알코올 23b(2.05 g, 5.56 밀리몰)와 TEMPO(86.87 mg, 0.56 밀리몰)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알코올이 더 이상 검 출되지 않을 때까지(TLC),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내지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 이를 NH4Cl의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DCM 5:1 내지 1:2)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24b(1.733 mg, 수율: 79%)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9.72(t, 1H, J = 2.7 Hz), 7.74-7.67(m, 4H), 7.48-7.37(m, 6H), 5.56-5.45(m, 1H), 5.32-5.23(m, 1H), 4.29-4.20(m, 1H), 2.51-2.48(m, 2H), 2.31-2.27(m, 2H), 1.43(dd, 3H, J = 6.9, 1.5 Hz), 1.06(s, 9H).
13C-RMN(CDCl3, 75 MHz) δ: 202.3; 136.1; 134.0; 130.1; 127.9; 127.4; 125.1; 69.4; 50.1; 35.1; 27.2; 19.5; 13.1.
중간체 25a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39
무수 THF(126 mL) 중의 요오도메틸트라이페닐포스포늄 요오다이드(16.6 g; 31 밀리몰)의 현탁액에 실온에서 THF 중의 NaHMDS의 1M 용액(31.27 m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2분 동안 교반한 후, 황색 혼합물을 -78℃까지 냉각시킨 후, THF(82 mL) 중의 화합물 24a(6.3 g, 22 밀리몰)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하고, 헥세인으로 희석하고, 셀라이트의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였다. 상기 플러그를 헥세인으로 헹구고, 합쳐진 여액들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키고, 생성된 오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12:1 내지 8:1)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25a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5.6 g; 수율: 62%).
1H NMR(CDCl3, 300 MHz) δ: 7.25(d, 2H, J = 8.7 Hz), 6.85(d, 2H, J = 8.7 Hz), 6.25(m, 2H) 5.64(t, 1H, J = 7.8 Hz), 4.42(m, 2H), 3.80(s, 3H), 3.55(m, 1H), 2.40(m, 2H), 2.25(m, 2H), 2.03(s, 3H).
중간체 25b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40
THF(60 mL) 중의 요오도메틸트라이페닐포스포레인(3.32 g, 6.38 밀리몰)의 현탁액에 실온에서 THF 중의 NaHMDS(6.38 밀리몰)의 1M 용액 6.83 mL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2분 동안 교반한 후, 황색 혼합물을 -78℃까지 냉각시킨 후, THF(40 mL) 중의 화합물 24b(1.67 g, 4.56 밀리몰)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90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하고, 헥세인으로 희석하고, 플러그 셀라이트/SiO2를 통해 여과하였다. 상기 플러그를 헥세인/EtOAc(10:1 내지 5:1)로 헹궈 화합물 25b(2 g, 수율: 89%)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7.70-7.66(m, 4H), 7.45-7.34(m, 6H), 6.21-6.31(m, 2H), 5.49-5.43(m, 1H), 5.35-5.27(m, 1H), 3.94-3.75(m, 1H), 2.30-2.27(m, 2H), 2.24-2.04(m, 2H), 1.43(d, 3H, J = 6.6 Hz), 1.06(s, 9H).
13C-RMN(CDCl3, 75 MHz) δ: 138.2; 136.2; 134.3; 129.9; 127.8; 126.4; 126.0; 84.1; 71.9; 41.6; 34.5; 27.2; 19.6; 13.2.
중간체 25c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41
2,3-다이클로로-5,6-다이사이아노-p-벤조퀴논(DDQ)(3.6 g, 16 밀리몰)을 DCM-H2O(20:1) 중의 화합물 25a(5 g; 12 밀리몰)의 용액에 Ar 분위기 하에서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1:30시간 후(TLC 헥세인/EtOAc 4:1에서는 출발 물질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응물을 Et2O(200 mL) 중에 붓고 1M NaOH(3 x 50 mL) 및 염수(50 mL)로 세척함으로써 켄칭시켰다.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p-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를 p-메톡시벤질 알코올로의 환원에 의해 촉진시켰다. 이것의 말단 부근에서, Ar 분위기 하에서 NaBH4를 사용하여 MeOH 중에서 수득된 잔류물의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Et2O(100 mL) 중에 붓고, 1M HCl(40 mL) 및 염수(40 mL)로 세척함으로써 켄칭시켰다.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생성된 오일을 실리카 겔(헥세인/EtOAc 10:1 내지 4:1) 상에서 정제하여 2차 알코올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2.8 g; 수율: 80%).
무수 DCM 중의 2차 알코올(2.8 g; 10 밀리몰)의 용액에 Ar 하에서 0℃에서 2,6-루티다인을 적가한 후, t-뷰틸다이메틸실릴 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에이트(TBSOTf)를 첨가하였다(TLC 헥세인/DCM 4:1에서는 출발 물질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시점에서, 조질의 혼합물을 0.5M HCl(25 mL)로 켄칭시키고, DCM으로 추출하였다(2 x 25 mL). 합쳐진 유기 층들을 NaHCO3과 염수의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Na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100:1 내지 20:1)에 의해 화합물 25c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3.14 g; 수율: 80%).
1H NMR(CDCl3, 300 MHz) δ: 6.25(m, 2H) 5.64(t, 1H, J = 7.8 Hz), 3.82(m, 1H), 2.38(t, 2H, J = 6.0 Hz), 2.20(t, 2H, J = 6.3 Hz), 2.03(s, 3H), 0.86(s, 9H), 0.05(s, 6H).
13C RMN(CDCl3, 75 MHz) δ: 137.7, 130.9, 124.3, 84.6, 70.6, 42.5, 36.6, 25.9, 21.3, 18.2, -4.4.
실시예 7: 단편 BCD의 합성
하기 반응식 4는 반응식 1에서 표시된 명칭에 따라 단편 BCD의 합성의 몇몇 실시예를 제공한다:
Figure 112009002661053-pct00042
중간체 26a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43
재밀봉 가능한 슐렝크관(Schlenk tube)을 구리(I) 요오다이드(148 mg, 0.78 밀리몰), 탄산 칼륨(1.076 g, 7.78 밀리몰) 및 Boc-t-LeuCONH2(포즈드네브(Pozdnev, V. F.)의 문헌 [Tetrahedron Letters 1995, 36, 7115-7118]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됨)(0.96 g, 4.15 밀리몰)로 채우고, 비우고, 아르곤으로 충전하였다. N,N'-다이메틸에틸렌다이아민(DMEDA)(0.166 mL, 1.55 밀리몰), 바이닐 요오다이드 25c(1.04 g, 2.59 밀리몰) 및 무수 DMF(15 mL)를 아르곤 하에서 첨가하였다. 슐렝크관을 밀봉하고, 90℃로 16 내지 18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로 켄칭시켰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20:1 내지 15:1)에 의해 정제하였다. 중간체 26a(670 mg, 수율, 53%)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7.72(d, 1H, J = 9.9 Hz), 6.70(t, 1H, J = 9.6 Hz), 5.54(t, 1H, J = 7.8 Hz), 5.35(d, 1H, J = 9.0 Hz), 4.76(q, 1H, J = 7.8 Hz), 3.89(d, 1H, J = 9.0 Hz), 3.73-3.68(m, 1H), 2.12(m, 4H), 1.98(s, 3H), 0.971(s, 9H), 0.84(s, 9H), 0.02(s, 3H), 0.01(s, 3H).
13C NMR(CDCl3, 75 MHz) δ: 168.9, 156.0 131.1, 123.9, 122.6, 108.2, 79.9, 71.6, 62.5, 36.5, 34.8, 33.8, 28.1, 26.7, 25.9, 21.2, 18.3, -4.3, -4.4.
중간체 26b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44
재밀봉 가능한 슐렝크관을 구리(I) 요오다이드(232.4 mg, 1.22 밀리몰), 탄산 칼륨(1.688 g, 12.23 밀리몰) 및 Boc-t-LeuCONH2(2.474 g, 6.12 밀리몰)로 채우고, 비우고, 아르곤으로 충전시켰다. N,N'-다이메틸에틸렌다이아민(0.26 mL, 2.45 밀리몰), 바이닐 요오다이드 25b(2 g, 4.08 밀리몰) 및 무수 DMF(35 mL)를 아르곤 하에서 첨가하였다. 슐렝크관을 밀봉하고, 90℃로 16 내지 18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로 켄칭시켰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20:1 내지 15:1)에 의해 정제하였다. 중간체 26b(1.06 g, 수율: 44%)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7.70-7.67(m, 4H), 7.43-7.35(m, 6H), 7.13(d, 1H, J = 10.5 Hz), 6.67(dd, 1H, J = 10.2, 9.6 Hz), 5.56-5.45(m, 1H), 5.36-5.28(m, 2H), 4.86-4.78(m, 2H), 3.88-3.77(m, 1H), 2.26-2.04(m, 4H), 1.44(d, 3H, J = 6.9 Hz), 1.43(s, 9H), 1.06(s, 9H), 0.96(s, 9H).
중간체 26c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45
재밀봉 가능한 슐렝크관을 구리(I) 요오다이드(40.4 mg, 0.213 밀리몰), 탄산 칼륨(294 mg, 2.13 밀리몰) 및 Boc-Val-CONH2(포즈드네브의 문헌 [Tetrahedron Letters 1995, 36, 7115-7118]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됨)(230 mg, 1.06 밀리몰)로 채우고, 비우고, 아르곤으로 충전시켰다. N,N'-다이메틸에틸렌다이아민(45 μL, 0.426 밀리몰), 바이닐 요오다이드 25c(283 mg, 0.71 밀리몰) 및 무수 DMF(35 mL)를 아르곤 하에서 첨가하였다. 슐렝크관을 밀봉하고, 90℃로 16 내지 18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로 켄칭시켰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7:1 내지 3:1)에 의해 정제하였다. 중간체 26c(270 g, 수율: 77%)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7.80(d, 1H, J = 9.3), 6.79-6.73(m, 1H), 5.58(t, 1H, J = 7.5 Hz), 5.02(br s, 1H), 4.85-4.76(m, 1H), 3.93(dd, 1H, J = 8.4, 6.0 Hz), 3.80-3.73(m, 1H), 2.12-2.22(m, 5H), 2.02(s, 3H), 1.45(s, 9H), 0.98(d, 3H, J = 6.9 Hz), 0.93(d, 3H, J = 6.9 Hz), 0.89(s, 9H), 0.07(s, 3H), 0.06(s, 3H).
13C NMR(CDCl3, 75 MHz) δ: 169.3, 131.1, 124.0, 122.7, 108.9, 71.6, 36.5, 33.8, 30.6, 28.5, 26.1, 21.3, 19.6, 18.3, 17.9, -4.3, -4.4.
중간체 26d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46
재밀봉 가능한 슐렝크관을 구리(I) 요오다이드(14.2 mg, 0.075 밀리몰), 탄산 칼륨(104 mg, 0.75 밀리몰) 및 Fmoc-Phe-CONH2(포즈드네브의 문헌 [Tetrahedron Letters 1995, 36, 7115-7118]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됨)(145 mg, 0.375 밀리몰)로 채우고, 비우고, 아르곤으로 충전시켰다. N,N'-다이메틸에틸렌다이아민(16 μL, 0.15 밀리몰), 바이닐 요오다이드 25c(100 mg, 0.25 밀리몰) 및 무수 DMF(2.5 mL)를 아르곤 하에서 첨가하였다. 슐렝크관을 밀봉하고, 90℃로 16 내지 18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로 켄칭시켰다.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4:1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였다. 중간체 26d(46 mg, 수율: 42%)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9.19(d, 1H, J = 11.1 Hz), 7.36-7.21(m, 5H), 6.77(ddd, 1H, J = 10.2, 9.3, 0.9), 5.60(br t, 1H, J = 7.8 Hz), 4.82-4.78 m, 1H), 3.79-3.71(m, 1H), 3.67(dd, 1H, J = 9.6, 3.9 Hz), 3.32(dd, 1H, J = 13.8, 3.9 Hz), 2.69(dd, 1H, J = 13.8, 9.6 Hz), 2.20-2.11(m, 4H), 1.99(s, 3H), 0.89(s, 9H), 0.05(s, 3H), 0.04(s, 3H).
13C NMR(CDCl3, 75 MHz) δ: 171.9, 137.9, 130.9, 129.5, 129.1, 127.2, 124.1, 122.5, 107.9, 71.4, 56.6, 40.9, 36.3, 33.6, 26.1, 21.3, 18.3, -4.4, -4.5.
MS(ES) m/z 437.1 [M+H]+, 459.0 [M+Na]+.
중간체 27a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47
에틸렌-글리콜(30 mL) 중의 아미노 보호된 유도체 26a(670 mg, 1.33 밀리몰)의 용액을 200℃로 10 내지 20분 동안 가열하였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냉각하고, DCM으로 희석하고, 염수로 켄칭시키고, 물 중에 부었다. 용액이 pH 14에 도달될 때까지, 몇 방울의 3M NaOH를 첨가한 후, DCM으로 철저하게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1차 아민 27a(510 mg, 수율: 95%)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8.77(d, 1H, J = 9.9 Hz), 6.71(t, 1H, J = 9.6 Hz), 5.56(t, 1H, J = 7.8 Hz), 4.71(m, 1H), 3.72(m, 1H), 3.14(s, 1H), 2.14(m, 4H), 1.97(s, 3H), 0.97(s, 9H), 0.84(s, 9H), 0.02(s, 6H).
13C RMN(CDCl3, 75 MHz) δ: 171.2, 131.0, 124.1, 122.5, 107.1, 71.5, 64.3, 36.2, 34.5, 33.8, 26.5, 26.0, 21.2, 18.2, -4.4, -4.5.
중간체 27b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48
에틸렌-글리콜(50 mL) 중의 아미노 보호된 유도체 26b(847 mg, 1.43 밀리몰)의 용액을 200℃로 10 내지 20분 동안 가열하였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DCM으로 희석하고, 염수로 켄칭시키고, 물 중에 부었다. 용액이 pH 14에 도달될 때까지, 몇 방울의 3M NaOH를 첨가한 후, DCM으로 철저하게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10:1 내지 1:2)에 의해 정제하여 1차 아민 27b(435 mg, 62%)를 백색 포말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8.50(d, 1H, J = 10.8 Hz), 7.70-7.66(m, 4H), 7.45-7.33(m, 6H), 6.67(dd, 1H, J = 11.1, 9.3 Hz), 5.48-5.40(m, 1H), 5.36-5.28(m, 1H), 4.79(dd, 1H, J = 16.2, 7.5 Hz), 3.87-3.79(m, 1H), 3.08(s, 1H), 2.22-2.14(m, 4H), 1.43(d, 3H, J = 6.9 Hz), 1.05(s, 9H), 0.97(s, 9H).
13C-RMN(CDCl3, 75 MHz) δ: 171.0; 136.1; 134.5; 129.8; 127.8; 126.3; 126.2; 122.1; 107.6; 72.6; 64.4; 34.0; 34.4; 32.8; 27.2; 26.9; 19.6; 13.2.
중간체 27c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49
에틸렌-글리콜(15 mL) 중의 아미노 보호된 유도체 26c(255 mg, 0.52 밀리몰)의 용액을 200℃로 10 내지 20분 동안 가열하였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DCM으로 희석하고, 염수로 켄칭시키고, 물 중에 부었다. 용액이 pH 14에 도달될 때까지, 몇 방울의 3M NaOH를 첨가한 후, DCM으로 철저하게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1차 아민 27c(170 mg, 85%)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9.27(d, 1H, J = 10.2), 6.76(dd, 1H, J = 11.1, 9.6 Hz), 5.61(t, 1H, J = 7.8 Hz), 4.80-4.72(m, 1H), 3.81-3.73(m, 1H), 3.31(d, 1H, J = 3.6 Hz) 2.44-2.33(m, 1H), 2.20-2.16(m, 4H), 2.03(s, 3H), 1.59(br s, 2H), 1.00(d, 3H, J = 6.9 Hz), 0.89(s, 9H), 0.82(d, 3H, J = 6.9 Hz), 0.05(s, 6H).
13C NMR(CDCl3, 75 MHz) δ: 172.1, 131.1, 124.1, 122.5, 107.4, 71.5, 36.5, 33.7, 30.8, 26.0, 21.3, 20.0, 16.1, -4.3, -4.4.
중간체 28a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50
DCM/DMF(10:1, 39.6 mL) 중의 아민 27a(918 mg, 2.27 밀리몰)의 용액에 무수 DCM 중의 (Z)-3-트라이뷰틸스탄닐프로페노산(1028 mg, 2.84 밀리몰)의 용액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첨가한 후, 0℃로 냉각하였다.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0.6 mL, 3.4 밀리몰), 1-하이드록시-7-아자벤조트라이아졸(HOAt)(310 mg, 2.27 밀리몰) 및 N,N,N',N'-테트라메틸-O-(7-아자벤조트라이아졸-1-일)유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860 mg, 2.27 밀리몰)를 용액에 첨가하고, 30분 후, 차가운 조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NH4Cl의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물 중에 붓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20:1 내지 15:1)에 의해 정제하여 아마이드 28a(1110 mg; 수율: 66%)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7.63(d, 1H, J = 10.5 Hz), 6.97(d, 1H, J = 12.3 Hz), 6.75(d, 1H, J = 12.3 Hz), 6.72(t, 1H, J = 9.5 Hz), 6.50(d, 1H, J = 9.0 Hz), 5.56(t, 1H, J = 6.6 Hz), 4.83(q, 1H, J = 9.0 Hz), 4.41(d, 1H, J = 9.6 Hz) 3.76(m, 1H), 2.17(m, 4H), 2.01(s, 3H), 1.45(m, 6H), 1.25(m, 8H), 1.0(s, 9H), 0.88(s, 9H), 0.84(m, 13H), 0.06(s, 6H).
중간체 28b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51
DCM/DMF(4:1, 12.5 mL) 중의 아민 27b(575 mg, 1.17 밀리몰)의 용액에 무수 DCM 중의 (Z)-3-트라이뷰틸스탄닐프로페노산(505.6 mg, 1.4 밀리몰)의 용액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첨가한 후, 0℃로 냉각하였다. DIPEA(0.243 mL, 1.76몰), 7-하이드록시벤조트라이아졸(HOBt)(189.2 mg, 1.4 밀리몰) 및 HATU(532.28 mg, 1.4 밀리몰)를 용액에 첨가하고, 30분 후, 차가운 조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NH4Cl의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물 중에 붓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20:1 내지 15:1)에 의해 정제하여 아마이드 28b(780.4 mg; 수율: 77%)를 백색 포말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7.70-7.68(m, 4H), 7.43-7.36(m, 6H), 7.02(d, 1H, J = 12.3 Hz), 7.00(d, 1H, J = 10.8 Hz), 6.75(d, 1H, J = 12.3 Hz), 6.66(t, 1H, J = 9.3 Hz), 6.26(d, 1H, J = 9.6 Hz), 5.57-5.34(m, 1H), 5.38-5.28(m, 1H), 4.83(dd, 1H, J = 16.5, 7.8 Hz), 4.31(d, 1H, J = 9.6 Hz), 3.89-3.82(m, 1H), 2.26-2.02(m, 4H), 1.50-1.42(m, 6H), 1.43(d, 3H, J = 6.9 Hz), 1.33-1.20(m, 6H), 1.06(s, 9H), 0.96(s, 9H), 0.95-0.83(m, 15H).
13C-RMN(CDCl3, 75 MHz) δ: 168.0; 166.2; 153.8; 136.3; 136.1; 134.3; 130.0; 127.8; 126.7; 126.0; 121.6; 109.0; 72.6; 60.7; 35.7; 34.0; 32.7; 29..5; 27.7; 27.2; 26.7; 19.5; 14.0; 13.2; 11.8.
중간체 28c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52
DCM/DMF(10:1, 7.7 mL) 중의 아민 27c(170 mg, 0.437 밀리몰)의 용액에 무수 DCM 중의 (Z)-3-트라이뷰틸스탄닐프로페노산(197.2 mg, 0.546 밀리몰)의 용액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첨가한 후, 0℃로 냉각하였다. DIPEA(0.11 mL, 0.655 밀리몰), HOAt(59.4 mg, 0.437 밀리몰) 및 HATU(166 mg, 0.437 밀리몰)를 용액에 첨가하고, 30분 후, 차가운 조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NH4Cl의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물 중에 붓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20:1 내지 15:1)에 의해 정제하여 아마이드 28c(250 mg, 수율: 78%)를 백색 포말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7.94(d, 1H, J = 10.8 Hz), 7.00(d, 1H, J = 12.3 Hz), 6.75(d, 1H, J = 12.3 Hz), 6.72(t, 1H, J = 9.5 Hz), 6.50(d, 1H, J = 9.0 Hz), 5.56(t, J = 6.6 Hz, 1H), 4.83(q, 1H, J = 9.0 Hz), 4.41(t, 1H, J = 9.0 Hz), 3.76(m, 1H), 2.17(m, 4H), 2.01(s, 3H), 1.45(m, 7H), 1.25(m, 8H), 0.88(s, 9H), 0.84(m, 19H), 0.06(s, 6H).
13C-RMN(CDCl3, 75 MHz) δ: 169.2, 166.8, 153.8, 136.2, 131.1, 123.9, 122.6, 108.7, 71.6, 59.2, 36.5, 33.7, 31.4, 29.5, 29.4, 27.6, 26.1, 21.3, 19.5, 18.5, 18.3, 14.0, 11.8, -4.3, -4.4.
중간체 28d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53
DCM/DMF(10:1, 1.3 mL) 중의 아민 26d(44 mg, 0.1 밀리몰)의 용액에 무수 DCM 중의 (Z)-3-트라이뷰틸스탄닐프로페노산(45 mg, 0.125 밀리몰)의 용액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첨가한 후, 0℃로 냉각하였다. DIPEA(26 μL, 0.15 밀리몰), HOAt(13.6 mg, 0.1 밀리몰) 및 HATU(38 mg, 0.1 밀리몰)를 용액에 첨가하고, 30분 후, 차가운 조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NH4Cl의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물 중에 붓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20:1 내지 15:1)에 의해 정제하여 아마이드 28d(60 mg, 수율: 80%)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7.43(d, 1H, J = 10.8 Hz), 7.34-7.22(m, 5H), 7.02(d, 1H, J = 12.3 Hz), 6.70(d, 1H, J = 12.3 Hz), 6.66(dd, 1H, J = 9.9, 9.3 Hz), 6.34(d, 1H, J = 7.8 Hz), 5.51(dd, 1H, J = 8.1, 7.5 Hz), 4.81-4.71(m, 2H), 3.68-3.59(m, 1H), 3.18(dd, 1H, J = 13.5, 6 Hz), 2.69(dd, 1H, J = 13.5, 8.4 Hz), 2.11-2.04(m, 2H), 2.01(s, 3H), 1.96-1.87(m, 1H), 1.80-1.70(m, 1H), 1.53-1.43(m, 8H), 1.31-1.24(m, 10H), 0.89-0.85(m, 9H), 0.88(s, 9H), 0.04(s, 3H), 0.01(s, 3H).
13C NMR(CDCl3, 75 MHz) δ: 168.5, 166.5, 154.4, 136.7, 135.9, 131.0, 129.5, 129.1, 127.4, 124.0, 122.3, 108.8, 71.5, 55.1, 38.8, 36.6, 33.3, 29.5, 29.4, 27.6, 26.0, 21.3, 18.2, 14.0, 11.8, -4.3, -4.5.
MS(ES) m/z 781.2 [M+H]+, 803.2 [M+Na]+.
중간체 28e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54
DCM/DMF(10:1, 1 mL) 중의 아민 27a(30 mg, 0.075 밀리몰)의 용액에 무수 DCM 중의 (E)-3-트라이뷰틸스탄닐프로페노산(33.5 mg, 0.095 밀리몰)의 용액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첨가한 후, 0℃로 냉각하였다. DIPEA(19 μL, 0.11 몰), HOAt(10 mg, 0.075 밀리몰) 및 HATU(27.5 mg, 0.075 밀리몰)를 용액에 첨가하고, 30분 후, 차가운 조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NH4Cl의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물 중에 붓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6:1)에 의해 정제하여 아마이드 28e(25 mg, 수율: 45%)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7.68(d, 1H, J = 9.2 Hz), 7.52(d, 1H, J = 18.9 Hz), 6.73(t, 1H, J = 9.2 Hz), 6.28(d, 1H, J = 10.8 Hz), 6.25(d, 1H, J = 18.9 Hz), 5.60(t, 1H, J = 7.2 Hz), 4.83(q, 1H, J = 9.2 Hz), 4.40(d, 1H, J = 9.6 Hz), 3.77(m, 1H), 2.17(m, 4H), 2.01(s, 3H), 1.45(m, 6H), 1.25(m, 8H), 1.0(s, 9H), 0.88(s, 9H), 0.84(m, 13H), 0.06(s, 6H).
실시예 8
하기 반응식 5는 본 발명의 일부 화합물의 합성을 제공한다:
Figure 112009002661053-pct00055
화합물 29a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56
1-메틸-2-피롤리딘온(NMP)(14.7 mL) 중의 알켄일스탄네인 28a(1.1 g, 1.47 밀리몰)와 화합물 17a(0.62 g, 1.77 밀리몰)의 용액에 0℃에서 구리 싸이오펜카복실레이트(CuTC)(422 mg, 2.2 밀리몰)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45분 동안 및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조질의 혼합물을 중성 알루미나의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고, EtOAc/에터(50:50)로 세척하고, 합쳐진 여액들을 HCl 0.5N으로 세척하였다(3 x 15 mL). 유기 용액을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5:1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여 트라이엔 29a(0.66 g, 수율: 66%)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7.89(d, 1H, J = 10.8 Hz), 7.22(dd, 1H, J = 12.3, 11.4 Hz), 6.86(dd, 1H, J = 11.7, 11.4 Hz), 6.70(dd, 1H, J = 9.9, 9.3 Hz), 6.35(d, 1H, J = 9.3 Hz), 6.13(d, 1H, J = 11.4 Hz), 5.66(d, 1H, J = 11.4 Hz), 5.60(dd, 1H, J = 5.4, 3.9 Hz), 5.55(br t, 1H, J = 7.8 Hz), 5.26(d, 1H, J = 10.2 Hz), 4.84-4.76(m, 1H), 4.3(d, 1H, J = 9.3 Hz), 4.20-4.16(m, 1H), 3.77-3.69(m, 1H), 3.63(s, 3H), 2.89-2.77(m, 1H), 2.41-2.33(m, 2H), 2.19-2.13(m, 4H), 2.00(s, 3H), 1.82(s, 3H), 1.13(d, 3H, J = 6.9 Hz), 1.02(s, 9H), 0.86(s, 9H), 0.4(s, 3H), 0.03(s, 3H).
13C-RMN(CDCl3, 75 MHz) δ: 168.5; 166.4; 161.8; 145.4; 140.3, 137.3; 134.4; 134.3; 131.0, 124.3; 124.1, 122.4; 121.2; 108.7; 108.4; 82.0; 71.6; 60.6; 55.6; 37.5; 36.5, 35.1; 33.8; 26.5; 26.0; 21.3, 18.3, 17.4, 16.9, -4.3, -4.4.
화합물 29b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57
NMP(9 mL) 중의 알켄일스탄네인 28b(780.4 mg, 0.904 밀리몰)와 화합물 17a(377.4 mg, 1.085 밀리몰)의 용액에 0℃에서 구리 싸이오펜카복실레이트(258.5 mg, 1.36 밀리몰)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45분 동안 및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조질의 혼합물을 중성 알루미나의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고, EtOAc/에터(50:50)로 세척하고, 합쳐진 여액들을 HCl 0.5N으로 세척하였다(3 x 10 mL). 유기 용액을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5:1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여 트라이엔 29b(459.7 mg, 수율: 66%)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7.66-7.64(m, 4H), 7.43-7.32(m, 7H), 7.23(t, 1H, J = 11.7 Hz), 6.85(t, 1H, J = 11.7 Hz), 6.62(dd, 1H, J = 10.5, 9.3 Hz), 6.41(d, 1H, J = 9.3 Hz), 6.11(d, 1H, J = 11.7 Hz), 5.66(d, 1H, J = 11.4 Hz), 5.60(dd, 1H, J = 5.7, 5.1 Hz), 5.49-5.41(m, 1H), 5.32-5.27(m, 1H), 5.25(d, 1H, J = 9.9 Hz), 4.83-4.75(m, 1H), 4.32(d, 1H, J = 9.3 Hz), 4.22-4.15(m, 1H), 3.83-3.78(m, 1H), 3.62(s, 3H), 2.86-2.78(m, 1H), 2.40-2.35(m, 2H), 2.20-2.04(m, 4H), 1.81(s, 3H), 1.40(d, 3H, J = 6.9 Hz), 1.13(d, 3H, J = 6.9 Hz), 1.03(s, 9H), 0.97(s, 9H).
13C-RMN(CDCl3, 75 MHz) δ: 168.3; 166.3; 161.8; 145.4; 140.2, 137.3; 136.1; 134.8; 134.4; 134.3; 129.9; 127.8;126.4; 126.1; 124.4; 121.7; 121.2; 108.4; 109.1; 82.0; 72.6; 60.6; 55.6; 37.5; 35.2; 32.7; 31.1; 27.2; 26.8, 26.5; 19.5; 17.4; 16.9; 13.1.
화합물 29c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58
NMP(2.5 mL) 중의 알켄일스탄네인 28c(250 mg, 0.34 밀리몰)와 화합물 17a(142 mg, 0.409 밀리몰)의 용액에 0℃에서 구리 싸이오펜카복실레이트(97 mg, 0.51 밀리몰)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45분 동안 및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조질의 혼합물을 중성 알루미나의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고, EtOAc/에터(50:50)로 세척하고, 합쳐진 여액들을 HCl 0.5N으로 세척하였다(3 x 10 mL). 유기 용액을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10:1 내지 6:1)에 의해 정제하여 트라이엔 29c(150 mg, 수율: 67%)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8.21(d, 1H, J = 10.8 Hz), 7.28(t, 1H, J = 11.7 Hz), 6.88(dd, 1H, J = 11.7, 11.4 Hz), 6.72(dd, 1H, J = 10.2, 9.3 Hz), 6.42(d, 1H, J = 8.4 Hz), 6.15(d, 1H, J = 11.7 Hz), 5.66(d, 1H, J = 11.4 Hz), 5.61(dd, 1H, J = 5.7, 3.6 Hz), 5.56(br t, 1H, J = 8.1 Hz), 5.27(d, 1H, J = 9.9 Hz), 4.85-4.77(m, 1H), 4.30(dd, 1H, J = 8.1, 7.5 Hz), 4.24-4.16(m, 1H), 3.79-3.72(m, 1H), 3.66(s, 3H), 2.88-2.80(m, 1H), 2.42-2.37(m, 2H), 2.18-2.14(m, 5H), 2.00(s, 3H), 1.83(s, 3H), 1.14(d, 3H J = 6.9 Hz), 0.97(d, 3H, J = 6.6 Hz), 0.96(d, 3H, J = 6.6 Hz), 0.86(s, 9H), 0.4(s, 6H).
13C-RMN(CDCl3, 75 MHz) δ: 169.2 166.8; 161.8; 145.4; 140.5, 137.7; 134.6; 134.3; 131.0, 124.3; 124.2, 122.6; 121.2; 108.6; 108.4; 82.0; 71.5; 58.9; 55.6; 37.5; 36.4; 33.8; 30.8, 26.5; 26.1; 21.3, 19.6, 18.5, 18.3, 17.4, 16.9, -4.3, -4.4.
화합물 29d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59
NMP(1 mL) 중의 알켄일스탄네인 28d(60 mg, 0.08 밀리몰)와 화합물 17a(32.4 mg, 0.09 밀리몰)의 용액에 0℃에서 구리 싸이오펜카복실레이트(22 mg, 0.12 밀리몰)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45분 동안 및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조질의 혼합물을 중성 알루미나의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고, EtOAc/에터(50:50)로 세척하고, 합쳐진 여액들을 HCl 0.5N으로 세척하였다(3 x 10 mL). 유기 용액을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4:1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여 트라이엔 29d(13 mg, 수율: 25%)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7.59(d, 1H, J = 11.1 Hz), 7.33-7.24(m, 5H), 7.23(t, 1H, J = 11.7 Hz), 6.90(dd, 1H, J = 11.7, 11.4 Hz), 6.66(dd, 1H, J = 10.5, 9 Hz), 6.24(d, 1H, J = 7.2 Hz), 6.17(d, 1H, J = 12.0 Hz), 5.63-5.58(m, 2H), 5.51(td, 1H, J = 7.8, 1.2 Hz), 5.28(d, 1H, J = 10.8 Hz), 4.79-4.67(m, 2H), 4.24-4.17(m, 1H), 3.66(s, 3H), 3.65-3.62(m, 1H), 3.22(dd, 1H, J = 13.5, 6.3 Hz), 3.04(dd, 1H, J = 13.8, 8.4 Hz), 2.89-2.81(m, 1H), 2.43-2.37(m, 2H), 2.11-2.04(m, 2H), 2.00(s, 3H), 1.84(s, 3H), 1.93-1.72(m, 2H), 1.16(d, 3H, J = 6.9 Hz), 0.86(s, 9H), 0.03(s, 3H), 0.01(s, 3H).
13C NMR(CDCl3, 75 MHz) δ: 168.4, 166.5, 161.7, 145.5, 140.8, 138.1, 136.8, 134.5, 134.3, 131.0, 129.5, 129.1, 127.4, 124.2, 124.1, 122.3, 120.4, 108.7, 108.3, 82.0, 71.4, 55.7, 54.9, 38.3, 37.5, 36.6, 33.4, 26.5, 26.0, 21.3, 18.2, 17.4, 16.9, -4.3, -4.4.
MS(ES) m/z 711.2 [M+H]+.
화합물 29e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60
NMP(1 mL) 중의 알켄일스탄네인 28e(50 mg, 0.067 밀리몰)와 화합물 17a(28 mg, 0.08 밀리몰)의 용액에 0℃에서 구리 싸이오펜카복실레이트(19.1 mg, 0.10 밀리몰)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45분 동안 및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조질의 혼합물을 중성 알루미나의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고, EtOAc/에터(50:50)로 세척하고, 합쳐진 여액들을 HCl 0.5N으로 세척하였다(3 x 10 mL). 유기 용액을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5:1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여 트라이엔 29e(33 mg, 수율: 50%)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7.73(d, 1H, J = 11.4 Hz), 7.70(dd, 1H, J = 14.1, 11.7 Hz), 6.71(dd, 1H J = 9.9, 9.7 Hz), 6.30(d, 1H, J = 9.3 Hz), 6.13(d, 1H, J = 12.9 Hz), 6.04(dd, 1H, J = 11.7, 11.4 Hz), 5.93(d, 1H, J = 15.0 Hz), 5.63(br t, 1H, J = 4.5 Hz), 5.58-5.53(m, 1H), 5.34(d, 1H, J = 9.9 Hz), 4.85-4.78(m, 1H), 4.41(d, 1H, J = 9.3), 4.24-4.16(m, 1H), 3.77-3.72(m, 1H), 3.64(s, 3H), 2.90-2.78(m, 1H), 2.45-2.41(m, 2H), 2.19-2.12(m, 4H), 2.01(s, 3H), 1.91(s, 3H), 1.16(d, 3H, J = 6.6 Hz), 1.02(s, 9H), 0.87(s, 9H), 0.06(s, 3H), 0.04(s, 3H).
13C NMR(CDCl3, 75 MHz) δ: 168.5, 166.1, 161.8, 145.4, 140.7, 138.0, 135.3, 134.9, 131.1, 125.8, 124.9, 124.0, 122.4, 108.7, 108.5, 81.9, 71.6, 60.9, 55.6, 37.6, 36.5, 35.2, 33.8, 29.9, 26.8, 26.1, 21.3, 18.3, 17.3, 16.9, -4.3, -4.4.
화합물 29f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61
NMP(0.9 mL) 중의 알켄일스탄네인 28a(60 mg, 0.083 밀리몰)와 화합물 17b(29 mg, 0.09 밀리몰)의 용액에 0℃에서 구리 싸이오펜카복실레이트(24 mg, 0.12 밀리몰)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45분 동안 및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조질의 혼합물을 중성 알루미나의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고, EtOAc/에터(50:50)로 세척하고, 합쳐진 여액들을 HCl 0.5N으로 세척하였다(3 x 10 mL). 유기 용액을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5:1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여 아마이드 29f(27 mg, 수율: 50%)를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7.62(d, 1H, J = 10.5 Hz), 7.25(dd, 1H, J = 12.6, 11.4 Hz), 6.94-6.84(m, 2H), 6.73(dd, 1H, J = 10.5, 9.0 Hz), 6.23(d, 1H, J = 9.3 Hz), 6.17(d, 1H, J = 11.4 Hz), 6.06-6.01(m, 1H), 5.66(d, 1H, J = 11.4 Hz), 5.60-5.55(m, 1H), 5.29(d, 1H, J = 9.9 Hz), 4.88-4.80(m, 1H), 4.34(d, 1H, J = 9.3 Hz), 4.27-4.19(m, 1H), 3.79-3.72(m, 1H), 2.90-2.81(m, 1H), 2.36-2.30(m, 2H), 2.21-2.13(m, 4H), 2.03(s, 3H), 1.85(s, 3H), 1.17(d, 3H, J = 6.6 Hz), 1.03(s, 9H), 0.89(s, 9H), 0.08(s, 3H), 0.06(s, 3H).
화합물 30a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62
THF(6 mL) 중의 화합물 29a(275 mg, 0.41 밀리몰)의 용액에 N2 하에서 실온에서 THF 중의 TBAF 1M(0.82 mL, 0.82 밀리몰)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 NH4Cl의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3:1 내지 1:2)에 의해 정제하여 알코올 30a(175 mg; 수율: 76%)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9.00(d, 1H, J = 10.2 Hz), 7.25(dd, 1H, J = 12.0, 11.4 Hz), 6.86(dd, 1H, J = 11.7, 11.4 Hz), 6.72(dd, 1H, J = 9.6, 8.7 Hz), 6.68(d, 1H, J = 8.7 Hz), 6.13(d, 1H, J = 11.7 Hz), 5.68(d, 1H, J = 11.4 Hz), 5.63-5.58(m, 2H), 5.27(d, 1H, J = 10.2 Hz), 4.85-4.76(m, 1H), 4.42(d, 1H, J = 9.3Hz), 4.25-4.17(m, 1H), 3.70-3.69(m, 1H), 3.63(s, 3H), 3.48(br s, 1H), 2.89-2.75(m, 1H), 2.42-2.36(m, 2H), 2.22-2.11(m, 4H), 2.04(s, 3H), 1.82(s, 3H), 1.14(d, 3H, J = 6.6 Hz), 1.03(s, 9H).
합성 공정을 라세미체 단편 D로부터 출발하여 실시하는 경우, 이성질체 (21S)-화합물 30a를 수득하였다. 이성질체들의 최종 혼합물[(21S)-화합물 30a와 (21R)-화합물 30a]을 반제조용 역상 HPLC(SymmetryPrep C18 7 μm, 7.8 x 150 mm, 구배 H2O:MeCN 50 내지 60% MeCN(30 분), UV 검출, 유동 2.5 mL/분, [rt((21S)-30a): 15.4 분, rt((21R)-30a): 14.7 분])에 의해 분리하고, (21S)-화합물 30a를 순수한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02661053-pct00063
1H NMR(CDCl3, 300 MHz) δ: 8.62(d, 1H, J = 10.2 Hz), 7.28-22(m, 1H), 6.93-6.86(m, 1H), 6.81-6.75(m, 1H), 6.32(d, 1H, J = 9.0 Hz), 6.17(d, 1H, J = 11.7 Hz), 5.68-5.58(m, 3H), 5.28(d, 1H, J = 10.2 Hz), 4.93-4.84(m, 1H), 4.32(d, 1H, J = 9.3Hz), 4.25-4.17(m, 1H), 3.78-3.67(m, 1H), 3.66(s, 3H), 2.89-2.81(m, 1H), 2.43-2.38(m, 2H), 2.28-2.20(m, 4H), 2.08(s, 3H), 1.84(s, 3H), 1.16(d, 3H J = 6.9 Hz), 1.02(s, 9H).
화합물 30b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64
THF(7.5 mL) 중의 화합물 29b(586 mg, 0.76 밀리몰)의 용액에 N2 하에서 실온에서 THF 중의 TBAF 1M(1.53 mL, 2 밀리몰)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 NH4Cl의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3:1 내지 1:2)에 의해 정제하여 알코올 30b(320 mg, 수율: 80%)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8.95(d, 1H, J = 10.2 Hz), 7.25(t, 1H, J = 12.0 Hz), 6.85(t, 1H, J = 11.7 Hz), 6.73(t, 1H, J = 9.6 Hz), 6.57(d, 1H, J = 8.7 Hz), 6.12(d, 1H, J = 11.4 Hz), 5.67(d, 1H, J = 11.4 Hz), 5.61(dd, 1H, J = 5.4, 3.9 Hz), 5.63-5.58(m, 1H), 5.44-5.35(m, 1H), 5.26(d, 1H, J = 9.9 Hz), 4.86(q, 1H, J = 8.1 Hz), 4.38(d, 1H, J = 9.3 Hz), 4.24-4.16(m, 1H), 3.81-3.71(m, 1H), 3.64(s, 3H), 2.96-2.92(m, 1H), 2.86-2.79(m, 1H), 2.41-2.37(m, 2H), 2.28-2.14(m, 4H), 1.82(s, 3H), 1.61(d, 3H, J = 6.6 Hz), 1.14(d, 3H, J = 6.6 Hz), 1.02(s, 9H).
13C-RMN(CDCl3, 75 MHz) δ: 168.7; 166.6; 161.8; 145.4; 140.3; 137.5; 134.4; 134.3; 127.7; 126.0; 124.4; 123.7; 121.1; 108.9; 108.4; 82.0; 72.1; 60.9; 55.7; 37.6; 35.0; 34.8; 33.2; 26.9; 26.5; 17.4; 16.9; 13.3.
화합물 30c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65
THF(4.8 mL) 중의 화합물 29c(150 mg, 0.23 밀리몰)의 용액에 N2 하에서 실온에서 THF 중의 TBAF 1M(0.45 mL, 0.45 밀리몰)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 NH4Cl의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3:1 내지 1:2)에 의해 정제하여 알코올 30c(90 mg, 수율: 73%)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9.16(d, 1H, J = 10.2 Hz), 7.26(dd, 1H, J = 12.0, 11.1 Hz), 6.87(dd, 1H, J = 11.7, 11.4 Hz), 6.79-6.70(m, 2H), 6.14(d, 1H, J = 11.7 Hz), 5.68(d, 1H, J = 11.7 Hz), 5.63-5.58(m, 2H), 5.27(d, 1H, J = 9.6 Hz), 4.85-4.76(m, 1H), 4.35(dd, 1H, J = 8.4, 7.5 Hz), 4.24-4.17(m, 1H), 3.70-3.69(m, 1H), 3.63(s, 3H), 3.43(br s, 1H), 2.89-2.76(m, 1H), 2.42-2.36(m, 2H), 2.21-2.14(m, 4H), 2.03(s, 3H), 1.82(s, 3H), 1.13(d, 3H J = 6.9 Hz), 0.96(d, 6H, J = 6.6 Hz).
13C-RMN(CDCl3, 75 MHz) δ: 169.7, 167.1, 161.8, 145.4, 140.5, 137.8, 134.6, 134.2, 131.6, 124.4, 123.9, 123.8, 120.7, 108.5, 108.4, 82.0, 59.1, 55.7, 37.5, 36.4, 33.5, 31.0, 26.5, 21.3, 19.5, 18.7, 17.4, 16.8.
MS(ES) m/z 549.0 [M+H]+, 571.1 [M+Na]+.
화합물 30d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66
THF(0.32 mL) 중의 화합물 29d(11 mg, 0.02 밀리몰)의 용액에 N2 하에서 실온에서 THF 중의 TBAF 1M(0.03 mL, 0.03 밀리몰)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 NH4Cl의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 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3:1 내지 1:2)에 의해 정제하여 알코올 30d(6 mg, 수율: 65%)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8.54(d, 1H, J = 9.9 Hz), 7.34-7.23(m, 5H), 7.20(t, 1H, J = 11.7 Hz), 6.89(dd, 1H, J = 11.7, 11.4 Hz), 6.72(dd, 1H, J = 9.9, 9.3 Hz), 6.27(d, 1H, J = 8.1 Hz), 6.17(d, 1H, J = 11.7 Hz), 5.63-5.53(m, 3H), 5.28(d, 1H, J = 10.2 Hz), 4.84-4.76(m, 1H), 4.75-4.68(m, 1H), 4.25-4.17(m, 1H), 3.66(s, 3H), 3.67-3.65(m, 1H), 3.18(dd, 1H, J = 13.8, 6.3 Hz), 3.06(dd, 1H, J = 13.8, 8.1 Hz), 2.89-2.81(m, 1H), 2.43-2.38(m, 2H), 2.15-2.10(m, 3H), 2.06(s, 3H), 1.92-1.87(m, 1H), 1.84(s, 3H), 1.16(d, 3H, J = 6.6 Hz).
13C NMR(CDCl3, 75 MHz) δ: 168.6, 166.6, 160.8, 145.8, 140.8, 138.1, 136.8, 134.6, 134.2 ,129.6, 129.0, 127.2, 124.1, 124.0, 123.4, 120.4, 108.3, 108.2, 82.0, 71.6, 55.7, 55.0, 38.4, 37.5, 36.4, 33.0, 26.5, 21.3, 17.4, 16.9.
MS(ES) m/z 597.2 [M+H]+.
화합물 30e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67
THF(1 mL) 중의 화합물 29e(32 mg, 0.047 밀리몰)의 용액에 N2 하에서 실온에서 THF 중의 TBAF 1M(0.094 mL, 0.094 밀리몰)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 NH4Cl의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3:1 내지 1:2)에 의해 정제하여 알코올 30e(14 mg, 수율: 55%)를 백색 포말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500 MHz) δ: 8.97(d, 1H, J = 10.2 Hz), 7.71(dd, 1H J = 14.7, 11.7 Hz), 6.74(dd, 1H J = 9.3, 9.9 Hz), 6.57(d, 1H, J = 9.0 Hz), 6.15(d, 1H, J = 11.7 Hz), 6.03(dd, 1H, J = 11.7, 11.4 Hz), 5.95(d, 1H, J = 14.7 Hz), 5.65-5.58(m, 2H), 5.35(d, 1H, J = 9.9 Hz), 4.87-4.78(m, 1H), 4.42(d, 1H, J = 9.3), 4.25-4.18(m, 1H), 3.72-3.68(m, 1H), 3.65(s, 3H), 3.25(br s, 1H), 2.87-2.79(m, 1H), 2.45-2.40(m, 2H), 2.23-2.12(m, 4H), 2.04(s, 3H), 1.89(s, 3H), 1.15(d, 3H, J = 6.6 Hz).1.03(s, 9H).
13C NMR(CDCl3, 75 MHz) δ: 168.8, 166.5, 161.68, 145.3, 140.9, 138.2, 135.4, 134.7, 132.0, 125.68, 124.6, 123.9, 123.6, 108.6, 108.4, 81.9, 71.7, 61.3, 55.7, 37.5, 36.5, 36.3, 34.9, 33.3, 26.9, 26.7, 21.3, 17.0, 16.7.
MS(ES) m/z 563.3 [M+H]+, 585.2 [M+Na]+.
화합물 30f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68
THF(1 mL) 중의 화합물 29f(28 mg, 0.04 밀리몰)의 용액에 N2 하에서 실온에서 THF 중의 TBAF 1M(0.09 mL, 0.09 밀리몰)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 NH4Cl의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3:1 내지 1:2)에 의해 정제하여 알코올 30f(17 mg; 수율: 75%)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9.05(d, 1H, J = 10.2 Hz), 7.35(m, 2H), 7.0(dd, 1H, J = 11.7, 11.4 Hz), 6.73(dd, 1H, J = 9.6, 8.7 Hz), 6.56(d, 1H, J = 8.7 Hz), 6.05(m, 3H), 5.63-5.58(m, 2H), 5.30(d, 1H, J = 10.2 Hz), 4.78(m, 1H), 4.50(d, 1H, J = 9.3Hz), 3.68(m, 1H), 3.48(br s, 1H), 2.45(m, 1H), 2.42-2.36(m, 2H), 2.22-2.11(m, 4H), 2.04(s, 3H), 1.82(s, 3H), 1.14(d, 3H J = 6.6 Hz), 1.03(s, 9H).
화합물 1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69
다이클로로메테인(7.5 mL) 중의 화합물 30a(300 mg, 0.53 밀리몰)의 용액에 0℃에서 트라이클로로아세틸 아이소사이안에이트(TCAI)(76 μL, 0.64 밀리몰)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중성 알루미늄 산화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 내지 30분 동안 교반한 후, 알루미늄 산화물의 패드 내에 적셨다. 생성물을, DCM/MeOH 50:1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세척 제거하였다. 여액을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2:1 내지 1:2)에 의해 정제하였다. 화합물 1(0.26 g, 수율: 81%)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실시예 2에서 보고된 것과 동등하게 물리적 및 분광학적 특징들(1H, 13C RMN 및 MS)을 나타냈다.
이성질체 (21S)-화합물 1을 이하 2개의 방법에 의해 수득하였다.
A. 동일한 절차에 따라, 이성질체들 (21R)- 및 (21S)-화합물 30a의 혼합물로부터 출발하고, (21S)-화합물 1을 반제조용 역상 HPLC(SymmetryPrep C18 7 μm, 7.8 x 150 mm, 구배 H2O:MeOH 50 내지 100% MeOH(30 분), UV 검출, 유동 2.5 mL/분, [rt((21S)-1): 19.2 분, rt((21R)-1): 19.8 분])에 의해 최종적으로 분리하였다.
B. 화합물 1에 대해 개시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따르되, 순수한 (21S)-화합물 30a로부터 출발하였다.
Figure 112009002661053-pct00070
1H NMR(CDCl3, 500 MHz) δ: 8.69(d, 1H, J = 10.5 Hz), 7.30(t, 1H, J = 11.5 Hz), 6.90(t, 1H, J = 11.5 Hz), 6.86-6.82(m, 1H), 6.34(d, 1H, J = 9.0 Hz), 6.17(d, 1H, J = 11.5 Hz), 5.66(d, 1H, J = 11.5 Hz), 5.64-5.62(m, 1H), 5.59-5.56(m, 1H), 5.29(d, 1H, J = 9.5 Hz), 4.81-4.77(m, 1H), 4.50-4.45(m, 1H), 4.42(d, 1H, J = 9.5 Hz), 4.25-4.20(m, 1H), 3.66(s, 3H), 2.89-2.81(m, 1H), 2.44-2.31(m, 5H), 2.24-2.17(m, 1H), 2.06(s, 3H), 1.84(s, 3H), 1.16(d, 3H, J = 6.5 Hz), 1.04(s, 9H).
13C-RMN(125 MHz, CDCl3) δ: 168.4, 166.1, 157.2, 148.3, 145.2, 140.2, 137.4, 134.1, 134.0, 132.0, 124.7, 124.2, 122.4, 120.7, 108.1, 104.7, 81.8, 75.0, 60.8, 55.4, 37.2, 34.8, 32.5, 30.3, 26.7, 26.2, 21.0, 17.1, 16.6.
화합물 4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71
다이클로로메테인(1 mL) 중의 화합물 30b(56 mg, 0.105 밀리몰)의 용액에 0℃에서 트라이클로로아세틸 아이소사이안에이트(15 μL, 0.126 밀리몰)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중성 알루미늄 산화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 내지 30분 동안 교반한 후, 알루미늄 산화물의 패드 내에 적셨다. 생성물을, DCM/MeOH 50:1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세척 제거하였다. 여액을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3:1 내지 1:2)에 의해 정제하였다. 화합물 4(57.6 mg, 수율: 96%)를 백색 포말로서 수득하였으며, 실시예 3에서 보고된 것과 동등하게 물리적 및 분광학적 특징들(1H, 13C RMN 및 MS)을 나타냈다.
화합물 5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72
다이클로로메테인(2 mL) 중의 화합물 30c(115 mg, 0.21 밀리몰)의 용액에 0℃에서 트라이클로로아세틸 아이소사이안에이트(27 μL, 0.23 밀리몰)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중성 알루미늄 산화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 내지 30분 동안 교반한 후, 알루미늄 산화물의 패드 내에 적셨다. 생성물을, DCM/MeOH 50:1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세척 제거하였다. 여액을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3:1 내지 1:2)에 의해 정제하였다. 화합물 5(71 mg, 수율: 57%)를 백색 포말로서 수득하였으며, 실시예 3에서 보고된 것과 동등하게 물리적 및 분광학적 특징들(1H, 13C RMN 및 MS)을 나타냈다.
이성질체들의 최종 혼합물(15 mg)을 반제조용 역상 HPLC(SymmetryPrep C18 7 μm, 7.8 x 150 mm, 구배 H2O:MeOH 50 내지 70% MeOH(75 분), UV 검출, 유동 2.5 mL/분, [rt((15R)-7): 18.15 분, rt((15S)-7]): 19.62 분)에 의해 분리하고, 순수한 (15R)-화합물 7 3.1 mg 및 순수한 (15S)-화합물 7 2.9 mg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5를 반제조용 역상 HPLC(SymmetryPrep C8, 구배 H2O:MeCN 45 내지 50% MeCN(30 분), UV 검출, 유동 4.7 mL/분, [rt((21S)-5):21.6 분, rt((21R)-5): 23.6 분)에 의해 정제하여 이성질체 (21S)-화합물 5를 단리하였다. 이성질체 모두를 함유하는 샘플(50 mg)로부터 출발하여, 앞서 언급된 분리 후, 순수한 (21R)-화합물 5 39 mg 및 순수한 (21S)-화합물 5 6.1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02661053-pct00073
1H NMR(CDCl3, 500 MHz) δ: 8.74(d, 1H, J = 10.5 Hz), 7.29(dd, 1H, J = 11.7, 11.4 Hz), 6.94(dd, 1H, J = 11.7, 11.4 Hz), 6.84(dd, 1H, J = 10.5, 9.3 Hz), 6.22(m, 2H), 5.68(d, 1H, J = 11.5 Hz), 5.63(m, 2H), 5.42(d, 1H, J = 9.3 Hz), 4.81(m, 1H), 4.52(m, 1H), 4.41(m, 1H), 4.23(m,1H), 3.66(s, 3H), 2.91(m, 1H), 2.49-2.38(m, 3H), 2.35-2.31(m, 2H), 2.24-2.17(m, 2H), 2.05(s, 3H), 1.82(s, 3H), 1.15(d, 3H J = 6.6 Hz), 0.99(d, 3H, J = 6.9 Hz) 0.96(d, 3H, J = 6.9 Hz).
MS(ES) m/z 592.3 [M+H]+.
화합물 31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74
다이클로로메테인(0.7 mL) 중의 화합물 30d(5 mg, 0.008 밀리몰)의 용액에 0℃에서 트라이클로로아세틸 아이소사이안에이트(1.1 μL, 0.009 밀리몰)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중성 알루미늄 산화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 내지 30분 동안 교반한 후, 알루미늄 산화물의 패드 내에 적셨다. 생성물을, DCM/MeOH 50:1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세척 제거하였다. 여액을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3:1 내지 1:2)에 의해 정제하였다. 화합물 31(3.5 mg, 수율: 66%)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8.43(d, 1H, J = 10.5 Hz), 7.29-7.19(m, 6H,), 6.91(dd, 1H, J = 11.7, 11.4 Hz), 6.77(br dd, 1H, J = 10.2, 9.6 Hz), 6.51(d, 1H, J = 8.1 Hz), 6.16(d, 1H, J = 11.4 Hz), 5.69-5.63(m, 2H), 5.59-5.54(m, 1H), 5.31(d, 1H, J = 9.3 Hz), 5.12(br s, 1H,), 4.91-4.84(m, 1H), 4.76-4.70(m, 1H), 4.31-4.13(m, 2H, CH-5), 3.66(s, 3H), 3.20(dd, 1H, J = 13.5, 6.9 Hz), 3.09(dd, 1H, J = 13.5, 6.6 Hz), 2.89-2.81(m, 1H), 2.48-2.35(m, 2H), 2.28-2.23(m, 3H), 2.05(s, 3H), 2.01-1.90(m, 1H), 1.81(s, 3H), 1.15(d, 3H, J = 6.6 Hz).
13C NMR(CDCl3, 75 MHz) δ: 168.9, 166.5, 161.9, 157.1, 145.4, 140.6, 137.9, 136.4, 134.4, 133.9, 132.1, 129.7, 128.8, 127.2, 124.6, 124.6, 122.7, 120.7, 108.5, 105.6, 82.1, 74.8, 55.7, 54.6, 38.7, 37.2, 33.1, 30.5, 26.2, 21.2, 17.3, 16.4.
화합물 8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75
다이클로로메테인(1.7 mL) 중의 화합물 30e(13 mg, 0.023 밀리몰)의 용액에 0℃에서 트라이클로로아세틸 아이소사이안에이트(3 μL, 0.025 밀리몰)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중성 알루미늄 산화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 내지 30분 동안 교반한 후, 알루미늄 산화물의 패드 내에 적셨다. 생성물을, DCM/MeOH 50:1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세척 제거하였다. 여액을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3:1 내지 1:2)에 의해 정제하였다. 화합물 8(14.3 mg, 수율: 100%)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 실시예 4에서 보고된 것과 동등하게 물리적 및 분광학적 특징들(1H, 13C RMN 및 MS)을 나타냈다.
실시예 9
하기 반응식 6은 본 발명의 일부 화합물들에 대한 합성 공정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2661053-pct00076
중간체 32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77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78℃에서 교반된 무수 THF(59 mL) 중의 트라이에틸 4-포스포노크로톤에이트(3.7 g, 14.66 밀리몰)와 18-크라운-6(6.2 g, 23.46 밀리몰)의 용액에 KHMDS(28.1 mL, 14.07 밀리몰)를 적가하였다. 15분 후, 알데하이드 12(2.35 g, 5.86 밀리몰)를 적가하고, 20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그 다음, 반응물을 포화 NH4Cl 용액(200 mL)으로 켄칭시키고, EtOAc로 희석하였다.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Na2SO4),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20:1 내지 10:1)에 의해 정제하여 트라이엔 32 2.7 g(수율: 93%)을 수득하였다.
1H-RMN(300 MHz, CDCl3) δ: 7.31(dd, 1H, J = 11.2, 15.3 Hz), 6.53(d, 1H, J = 15.0 Hz), 6.21(dd, 1H, J = 11.7, 13.8 Hz), 5.84(d, 1H, J = 15.1 Hz), 5.61(d, 1H, J = 9.6 Hz), 4.17(m, 2H), 3.72(m, 1H), 3.63(m, 2H), 2.61(m, 1H), 1.78(s, 3H), 1.67(m, 2H), 1.26(m, 3H), 0.94(d, 3H, J = 6.7 Hz), 0.87(s, 18H), 0.01(m, 12H).
중간체 33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78
EtOH(38 mL) 중의 화합물 32(3.75 g, 7.54 밀리몰)의 용액에 피리디늄 p-톨루엔설폰에이트(663 mg, 2.64 밀리몰)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생성된 오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4:1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여 알코올 33 2.11 g(수율: 73%)을 수득하였다.
1H-RMN(300 MHz, CDCl3) δ: 7.31(dd, 1H, J = 10.8, 15.0 Hz), 6.52(d, 1H, J = 15.3 Hz), 6.23(dd, 1H, J = 11.1, 15.0 Hz), 5.86(d, 1H, J = 15.3 Hz), 5.52(d, 1H, J = 9.9 Hz), 4.18(q, 2H, J = 7.5 Hz), 3.72(m, 3H), 2.73(m, 1H), 1.82(s, 3H), 1.68(m, 2H), 1.28(t, 3H, J = 7.2 Hz), 0.98(d, 3H, J = 6.6 Hz), 0.88(s, 9H), 0.08(m, 6H).
중간체 34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79
알코올 33(130 mg, 0.34 밀리몰)을 실온에서 DCM(3.4 mL) 중의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고, 페리오디네인(DMP)(288.5 mg, 0.68 밀리몰)을 한 부분으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완료될 때까지 교반한 후(TLC, 약 1시간), NaHCO3(포화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DCM으로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물을 EtOAc/헥세인(1:4)으로 용리시키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알데하이드 34 약 125 mg(수율: 96%)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RMN(300 MHz, CDCl3) δ: 9.79(s, 1H), 7.31(dd, 1H, J = 11.1, 15.3 Hz), 6.52(d, 1H, J = 15.3 Hz), 6.25(dd, 1H, J = 11.1, 15.3 Hz), 5.87(d, 1H, J = 15.3 Hz), 5.48(d, 1H, J = 10.5 Hz), 4.19(q, 2H, J = 7.2 Hz), 4.03(m, 1H), 2.69(m, 1H), 2.54(m, 2H), 1.80(s, 3H), 1.29(t, 3H, J = 6.9 Hz), 1.01(d, 3H, J = 6.9 Hz), 0.88(s, 9H), 0.06(m, 6H).
중간체 35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80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78℃에서 교반된 무수 THF(10 mL) 중의 포스폰에이트(170 mg, 0.67 밀리몰)와 18-크라운-6(357 mg, 1.35 밀리몰)의 용액에 KHMDS(1.34 mL, 0.67 밀리몰)를 적가하였다. 15분 후, 무수 THF(8.5 mL) 중의 알데하이드 34(170 mg, 0.45 밀리몰)의 용액을 30분에 걸쳐 적가하고, -78℃에서 9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반응물을 포화 NH4Cl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실온까지 가온시키고,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희석하였다.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Na2SO4),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20:1 내지 10:2)에 의해 정제하여 (E)-35 170 mg(수율: 82%)을 수득하였다.
1H-RMN(300 MHz, CDCl3) δ: 7.29(dd, 1H, J = 10.8, 15.3 Hz), 6.50(d, 1H, J = 15.3 Hz), 6.19(dd, 1H, J = 10.8, 15.0 Hz), 5.83(d, 1H, J = 15.3 Hz), 5.48(d, 1H, J = 10.2 Hz), 5.33(t, 1H, J = 7.2 Hz), 4.17(m, 2H), 3.71(s, 3H), 3.61(m, 1H), 3.58(s, 3H), 2.73(m, 1H), 2.57(m, 2H), 1.71(s, 3H), 1.25(m, 3H), 0.97(d, 3H, J = 6.7 Hz), 0.88(s, 9H), 0.03(m, 6H).
중간체 36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81
LiOH(15.8 mg, 0.66 밀리몰)를 20% 물/다이옥세인(7 mL) 중의 에스터 35(140 mg, 0.30 밀리몰)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4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DCM으로 희석하고, HCl(0.5N, 10 mL)로 세척하였다. 수성 상을 반복적으로 DCM으로 추출하고, 합쳐진 유기 층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조질의 이산(di-acid)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농축 HCl(43 μL)을 MeOH(5.2 mL) 중의 조질의 화합물의 용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그 다음,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생성된 오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1:4 내지 EtOAc/MeOH 5:1)에 의해 정제하여 산 36 72 mg(수율: 70%)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RMN(300 MHz, CDCl3) δ: 7.40(dd, 1H, J = 10.8, 15.0 Hz), 6.57(d, 1H, J = 15.0 Hz), 6.31(dd, 1H, J = 11.4, 15.3 Hz), 5.89(d, 1H, J = 15.0 Hz), 5.60(m, 1H), 5.52(d, 1H, J = 10.2 Hz), 4.22(m, 1H), 3.64(s, 3H), 2.90(m, 1H), 2.38(m, 2H), 1.84(s, 3H), 1.15(d, 3H, J = 6.9 Hz).
화합물 37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82
DCM/DMF(10:1, 1.3 mL) 중의 아민 27a(37.6 mg, 0.093 밀리몰)의 용액에 무수 DCM 중의 산 36(30 mg, 0.103 밀리몰)의 용액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첨가한 후, 0℃로 냉각하였다. DIPEA(26 μL, 0.14 밀리몰), HOAt(12.7 mg, 0.093 밀리몰) 및 HATU(35.4 mg, 0.093 밀리몰)를 용액에 첨가하고, 30분 후, 차가운 조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NH4Cl의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물 중에 붓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2:1 내지 1:4)에 의해 정제하여 아마이드 37(34.7 mg, 수율: 55%)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500 MHz) δ: 7.88(d, 1H J = 10.5 Hz), 7.26(dd, 1H, J = 14.4, 11.4 Hz), 6.72(dd, 1H, J = 9.9, 9.6 Hz), 6.50(d, 1H, J = 15.3 Hz), 6.31-6.22(m, 2H), 5.94(d, 1H, J = 14.7 Hz), 5.61-5.54(m, 2H), 5.44(d, 1H, J = 9.9 Hz), 4.87-4.79(m, 1H), 4.45(d, 1H, J = 9.3), 4.24-4.16(m, 1H), 3.77-3.44(m, 1H), 3.64(s, 3H), 2.96-2.2.81(m, 1H), 2.39-2.35(m, 2H), 2.16-2.15(m, 4H), 2.01(s, 3H), 1.82(s, 3H), 1.14(d, 3H, J = 6.6 Hz).1.02(s, 9H), 0.87(s, 9H), 0.06(s, 3H), 0.05(s, 3H).
화합물 38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83
THF(0.6 mL) 중의 화합물 37(28 mg, 0.04 밀리몰)의 용액에 N2 하에서 실온에서 THF 중의 TBAF 1M(83 μL, 0.08 밀리몰)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 NH4Cl의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3:1 내지 1:2)에 의해 정제하여 알코올 38(22 mg, 수율: 96%)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500 MHz) δ: 9.06(d, 1H, J = 9.9 Hz), 7.24(dd, 1H, J = 14.7, 10.5 Hz), 6.76(d, 1H, J = 9.6 Hz), 6.74(dd, 1H, J = 9.6, 9.6 Hz), 6.50(d, 1H, J = 15.3 Hz), 6.25(dd, 1H, J = 15.3, 11.1 Hz), 5.99(d, 1H, J = 14.7 Hz), 5.65-5.60(m, 2H), 5.45(d, 1H, J = 9.9 Hz), 4.87-4.81(m, 1H), 4.45(d, 1H, J = 9.3), 4.24-4.16(m, 1H), 3.74-3.64(m, 1H), 3.64(s, 3H), 3.22-3.17(m, 1H), 2.95-2.2.82(m, 1H), 2.40-2.35(m, 2H), 2.23-2.16(m, 4H), 2.05(s, 3H), 1.81(s, 3H), 1.13(d, 3H, J = 6.6 Hz), 1.03(s, 9H).
화합물 3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84
다이클로로메테인(0.35 mL) 중의 화합물 38(20 mg, 0.04 밀리몰)의 용액에 0℃에서 트라이클로로아세틸 아이소사이안에이트(5.1 μL, 0.04 밀리몰)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중성 알루미늄 산화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 내지 30분 동안 교반한 후, 알루미늄 산화물의 패드 내에 적셨다. 생성물을, DCM/MeOH 50:1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세척 제거하였다. 여액을 진공 하에서 증발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1:1 내지 1:3)에 의해 정제하였다. 화합물 3(13.6 mg, 수율: 63%)을 백색 포말로서 수득하였으며, 실시예 3에서 보고된 것과 동등하게 물리적 및 분광학적 특징들(1H, 13C RMN 및 MS)을 나타냈다.
실시예 10
하기 반응식 7은 화합물 7에 대한 합성 공정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2661053-pct00085
중간체 40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86
MeOH 중의 Boc-t-LeuCONH2 39(포즈드네브의 문헌 [Tetrahedron Letters 1995, 36, 7115-7118]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됨)(1.9 g, 8.26 밀리몰)의 용액에 MeOH 중의 HCl의 용액 1.25M 66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그 다음, 고체를 MeOH 중에 현탁하고, 농축 수산화 암모늄으로 중화시켰다. 용매를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하고, 조질의 화합물을 다이클로로메테인 중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중간체 40 730 mg(수율: 68%)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6.65-6.55(br s, 1H), 5.65-5.55(br s, 1H), 3.18(s, 1H), 1.65-1.55(br s, 2H), 1.05(s, 9H).
중간체 41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87
DCM/DMF(10:1, 7.7 mL) 중의 아민 40(100 mg, 0.77 밀리몰)의 용액에 무수 DCM 중의 (Z)-3-트라이뷰틸스탄닐프로페노산(306 mg, 0.85 밀리몰)의 용액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첨가한 후, 0℃로 냉각하였다. DIPEA(0.27 mL, 1.54 밀리몰), HOAt(115.6 mg, 0.85 밀리몰) 및 HATU(323 mg, 0.85 밀리몰)를 용액에 첨가하고, 30분 후, 차가운 조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NH4Cl의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물 중에 붓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10:1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여 아마이드 41(228 mg, 수율: 63%)을 백색 포말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6.99(d, 1H, J = 12.3 Hz), 6.77(d, 1H, J = 12.3 Hz), 6.47(d, 1H, J = 9.6 Hz), 6.38(br s, 1H), 6.12(br s, 1H), 4.46(d, 1H, J = 9.9 Hz), 1.48-1.40(m, 6H), 1.31-1.19(m, 12H), 1.00(s, 9H), 0.89- 0.83(m, 9H).
13C NMR(CDCl3, 75 MHz) δ: 173.4, 166.6, 153.4, 136.6, 60.0, 35.0, 29.6, 27.6, 26.8, 14.0, 11.7.
화합물 7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88
NMP(5 mL) 중의 알켄일스탄네인 41(227.6 mg, 0.48 밀리몰)과 화합물 17a(200.9 mg, 0.58 밀리몰)의 용액에 0℃에서 구리 싸이오펜카복실레이트(19.1 mg, 0.10 밀리몰)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45분 동안 및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조질의 혼합물을 중성 알루미나의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고, EtOAc/에터(50:50)로 세척하고, 합쳐진 여액들을 HCl 0.1%로 세척하였다. 유기 용액을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다이클로로메테인/MeOH 100:1 내지 10:1)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7(65.7 mg, 수율: 34%)을 백색 포말로서 수득하였다. 이 합성 생성물은 실시예 3에서 보고된 것과 동등하게 물리적 및 분광학적 특징들(1H, 13C RMN 및 MS)을 나타냈다.
이성질체 (15R)-화합물 7을 수득하였으며, 이때 아미노 산(Boc-t-LeuCONH2)의 라세미체 혼합물을 사용하여 이들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성질체들의 최종 혼합물(15 mg)을 반제조용 역상 HPLC(SymmetryPrep C18 7 μm, 7.8 x 150 mm, 구배 H2O:MeOH 50 내지 70% MeOH(75 분), UV 검출, 유동 2.5 mL/분, [rt((15R)-7): 18.15 분, rt((15S)-7]): 19.62 분)에 의해 분리하고, 순수한 (15R)-화합물 7 3.1 mg 및 순수한 (15S)-화합물 7 2.9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02661053-pct00089
1H NMR(MeOD, 500 MHz) δ: 7.23(dd, 1H, J = 12.5, 11.5 Hz), 6.94(dd, 1H, J = 12.5, 11.5 Hz), 6.18(d, 1H, J = 12.0 Hz), 5.91-5.88(m, 1H), 5.86(t, 1H, J = 4.5 Hz), 5.34(d, 1H, J = 10.0 Hz), 4.33-4.28(m, 1H), 3.64(s, 3H), 2.92-2.88(m, 1H), 2.47-2.44(m, 2H), 1.85(s, 3H), 1.17(d, 3H, J = 6.6 Hz ), 1.02(s, 9H).
13C NMR(MeOD, 125 MHz) δ: 175.3, 168.6, 164.0, 146.0, 140.8, 138.2, 135.4, 135.4, 125.5, 121.9, 111.1, 83.5, 61.8, 55.9, 38.4, 35.0, 27.2, 27.1, 17.3, 16.8.
실시예 11
하기 반응식 8은 화합물들 42 및 43을 수득하기 위한 공정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2661053-pct00090
화합물 42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91
피리딘(0.45 mL) 중의 알코올 30a(5 mg, 8.8 마이크로몰)의 용액에 페닐아이소시안에이트(29 mL, 0.27 밀리몰)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한 후, NH4Cl의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쳐진 유기 상들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 로마토그래피(헥세인/EtOAc 20:1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42(2.7 mg, 수율: 44%)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8.81-8.77(m, 1H), 7.46-7.43(m, 2H), 7.34-7.23(m,3H), 7.11-7.06(m, 2H), 6.88-6.77(m, 2H), 6.39(d, 1H, J = 9.9 Hz), 6.10(d, 1H, J = 11.7 Hz), 5.67-5.57(m, 3H), 5.27(d, 1H, J = 9.9 Hz), 4.85-4.78(m, 1H), 4.62-4.56(m, 1H), 4.54(d, 1H, J = 9.3 Hz), 4.25-4.17(m, 1H), 3.66(s, 3H), 2.87-2.80(m, 1H), 2.41-2.38(m, 5H), 2.21-2.13(m, 1H), 2.08(s, 3H), 1.82(s, 3H), 1.16(d, 3H J = 6.6 Hz), 1.07(s, 9H).
화합물 43의 합성
Figure 112009002661053-pct00092
알코올 30a(5 mg, 8.88 마이크로몰)를 실온에서 DCM(0.1 mL) 중의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고, 페리오디네인(7.5 mg, 0.018 밀리몰)을 한 부분으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완결될 때까지 교반한 후(TLC, 약 1시간), NaHCO3(포화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DCM으로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물을 EtOAc/헥세인(1:1)으로 용리시키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케톤 43 약 4.5 mg(수율: 90%)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8.32(d, 1H, J = 9.9 Hz), 7.31-7.23(m, 1H), 6.91(dd, 1H, J = 11.7, 11.4 Hz), 6.84(dd, 1H, J = 9.9, 8.7 Hz), 6.26(d, 1H, J = 8.7 Hz), 6.18(d, 1H, J = 11.4 Hz), 5.78-5.73(m, 1H), 5.68(d, 1H, J = 11.4 Hz), 5.64-5.61(m, 1H), 5.30-5.27(m, 1H), 4.94-4.86(m, 1H), 4.41(d, 1H, J = 9.0 Hz), 4.25-4.17(m, 1H), 3.66(s, 3H), 3.18(dd, 4H, J = 18.3, 7.2 Hz), 2.89-2.75(m, 1H), 2.44-2.38(m, 2H), 2.04(s, 3H), 1.84(s, 3H), 1.16(d, 3H J = 6.9 Hz), 1.05(s, 9H).
실시예 12: 항종양 활성의 검출을 위한 생체검정
이 검정의 목적은 시험하는 샘플의 세포증식억제성(cytostatic)(종양 세포 성장을 지연 또는 저지시키는 능력) 또는 세포독성(종양 세포를 죽이는 능력)을 실험관 내에서 평가하는 것이다.
세포주
명칭 N°ATCC 종류 조직 특징
A549 CCL-185 인간 폐 암종
HT29 HTB-38 인간 결장 결장-직장 샘암종
MDA-MB-231 HTB-26 인간 유방 유방 샘암종
SBR 비색계 검정을 사용하는 세포독성 활성의 평가
세포 성장 및 생존성에 대한 정량적 측정을 위해 설포호드아민(sulforhodamine B)(SRB) 반응을 사용하는 비색계 유형의 검정이 개조되어 왔다(스케한(Skehan P) 등의 문헌 [J. Natl. Cancer Inst. 1990, 82, 1107-1112]에 의해 기재된 기술에 따름).
이 형태의 검정은 SBS-표준 96-웰 세포 배지 미소판(microplate)을 사용한다(페어클로쓰(Faircloth) 등의 문헌 [Methods in cell science, 1988, 11(4), 201-205]; 모스만(Mosmann) 등의 문헌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1983, 65(1-2), 55-63]). 여러 유형의 인간 암으로부터 유래되는, 이 연구에서 사용되는 모든 세포주를 미국 미생물보존센터(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로부터 얻었다.
세포를 10% 소 태반 혈청(Fetal Bovine Serum)(FBS), 2 mM L-글루타민, 100 U/mL 페니실린 및 100 U/mL 스트렙토마이신이 보충된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DMEM) 중에서 37℃, 5% CO2 및 98% 습도에서 유지시켰다. 실험을 위해, 세포를 트립신화(trypsinization)를 사용하여 하위-융합성(subconfluent) 배양액으로부터 수확하고, 계수 및 도말 전에 새로운 배지 중에 재현탁시켰다.
분취량 150 μL의 웰당 5 x 103개의 세포로 96 웰 마이크로적정 플레이트에서 세포를 씨딩하고, 약물-부재 배지에서 18시간 동안 플레이트 표면에 부착시켰다. 각 세포주의 하나의 대조(미처리됨) 플레이트를 (이하 기재되는 바와 같이) 고정하고, 시간에 대해 제로 참조 값을 사용하였다. 이어서, 시험 샘플을 10 내지 0.00262 μg/mL의 분취량 50 μL로 10개의 일련 희석으로 배양액에 첨가하였다. 48시간 노출 후, SRB 방법에 의해 항종양 효과를 예측하였다. 요약하면, 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하고, 15분 동안 1% 글루타르알데하이드 용액 중에 고정하고, PBS 중에 2회 헹구고, 0.4% SRB 용액 중에 30분 동안 실온에서 염색하였다. 그 다음, 세포를 1% 아세트산 용액으로 수회 헹구고, 공기 건조시켰다. 그 다음, SRB를 10mM 트라이즈마(trizma) 베이스 용액 중에서 추출하고, 490 nm에서 자동화 분광계 플레이트 판독기 내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성은 대조 세포 성장의 백분율로서 표기하였다. 시험하는 샘플의 최종 효과는 NCI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예측하였다(보이드(Boyd MR) 및 파울(Paull KD)의 문헌 [Drug Dev. Res. 1995, 34, 91-104]).
삼중 배양액(triplicate culture)의 평균 + SD를 사용하여, 비선형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투여량-응답 곡선을 자동적으로 생성시켰다. 자동 보간법(interpolation)에 의해 3개의 참조 파라미터를 계산하였다(NCI 알고리즘): GI50 = 50% 성장 억제를 생성시키는 농도; TGI = 총 성장 억제(세포증식억제성 효과) 및 LC50 = 50% 순수 세포 사멸을 생성시키는 농도(세포독성 효과).
유사분열억제성 검정 프로토콜
특정 유사분열 마커(marker)를 정량적으로 검출하는 특수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 면역검정을 사용하여 세포 배양액의 유사분열 비율(유사분열에서 저지된 세포의 백분율)을 예측하였다. HeLa 세포(h-경부 암종(h-cervix carcinoma), ATCC# CCL-2)를 시험하는 샘플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18시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새로이 제조된 용해 완충액(1 mM EGTA(pH 7.5), 0.5 mM PMSF 및 1 mM NaVO3) 75 μL 중의 얼음 상에서 30분 동안 용해시켰다. 세포 추출의 분취물(60 μL)을 고결합성 표면의 ELISA 플레이트에 옮기고, 스피트-vac(speed-vac) 내에서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그 다음, 플레이트를 100 μL 중에 블로킹시켰다(block). PBS-1% BSA를 30분 동안 30℃에서 유지한 후, 안티-MPM2 1차 마우스 단핵성 항체(업스테이트 바이오테크놀로지(Upstate Biotechnology), cat # 05-368)와 함께 18시간 동안 4℃에서 그리고 적절한 퍼옥시다제-공액 2차 항체와 함께 1시간 동안 30℃에서 연속적으로 항온처리하였다. 0.02% Tween-20 중에서 집중적으로 세척한 후, TMB(3,3',5,5'-테트라메틸-벤지다인) 30 μL를 30분 동안 30℃에서 사용하여 퍼옥시다제 반응을 실시하였다. 4% H2SO4 용액 30 μL를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하였다. 450 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분광계에서 O.D.를 측정함으로써 검정을 결정하였다. 결과는, 미처리된 대조 배양액과 비교함으로써 처리된 세포 배양액에서 50% 유사분열 저지를 생성시키는 샘플 농도를 IC50으로서 표기하였다.
표 9 및 10은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생물학적 활성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02661053-pct00093
Figure 112009002661053-pct00094
Figure 112009002661053-pct00095
Figure 112009002661053-pct00096

Claims (42)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화학식 I
    Figure 112014060658701-pct00097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ORa, OCORa, OCOORa, NRaRb, NRaCORb 및 NRaC(NRa)NRaRb로부터 선택되고;
    R2 및 R3은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킨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41, R42, R43, R44, R45, R46, R47 및 R48은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킨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5, R6 및 R7은 수소, CORa, COORa,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킨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5 및 R48은 이들이 부착되는 상응하는 N 원자 및 C 원자와 함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를 형성할 수 있고;
    Ra 및 Rb는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킨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점선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추가 결합을 각각 나타내고;
    상기 알킬, 알켄일, 알킨일, 헤테로사이클릭 및 아릴 기는 OR', =O, SR', SOR', SO2R', NO2, NHR', N(R')2, =N-R', NHCOR', N(COR')2, NHSO2R', NR'C(=NR')NR'R', CN, 할로젠, COR', COOR', OCOR', OCONHR', OCON(R')2, 보호된 OH,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하나 이상의 허용 가능한 위치에서 각각 치환될 수 있고, 이때 R'는 수소, OH, NO2, NH2, SH, CN, 할로젠, COH, CO알킬, COOH,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킨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되,
    상기 치환기 자체가 하나 이상의 허용 가능한 위치에서 치환될 때, 치환기는 다시 OR', =O, SR', SOR', SO2R', NO2, NHR', N(R')2, =N-R', NHCOR', N(COR')2, NHSO2R', NR'C(=NR')NR'R', CN, 할로젠, COR', COOR', OCOR', OCONHR', OCON(R')2, 보호된 OH, 비치환된 아릴 및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이때 R'는 수소, OH, NO2, NH2, SH, CN, 할로젠, COH, CO알킬, COOH, 비치환된 C1-C12 알킬, 비치환된 C2-C12 알켄일, 비치환된 C2-C12 알킨일, 비치환된 아릴 및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화학식 II
    Figure 112012047677211-pct00098
    상기 식에서,
    R1, R41, R43, R48, R5, R6 및 R7은 제 1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3. 제 1 항에 있어서,
    R2 및 R3이 수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 알킬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4. 제 3 항에 있어서,
    R2 및 R3이 수소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이 수소, ORa 및 OCORa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Ra가 수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6. 제 5 항에 있어서,
    R1이 수소 또는 메톡시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7. 제 1 항에 있어서,
    R42, R44, R45, R46 및 R47이 수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8. 제 7 항에 있어서,
    R42, R44, R45, R46 및 R47이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메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이소프로필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t-뷰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9. 제 8 항에 있어서,
    R42, R44, R45, R46 R47이 수소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R41, R43 및 R48이 수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R41, R43 R48이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메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이소프로필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t-뷰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R41 및 R43이 메틸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13. 제 11 항에 있어서,
    R48이 아이소프로필, t-뷰틸 및 벤질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R5 및 R6이 수소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 알킬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R5 및 R6이 수소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R7이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R7이 수소 및 치환된 C2-C12 알켄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R7이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할로젠, OR', =O, OCOR', OCONHR', OCON(R')2 및 보호된 OH로 치환되는 알켄일 기이고, 이때 R'가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2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켄일,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2 알킨일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19.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 결합이 점선으로 표시된 모든 위치에 존재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들 중 하나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Figure 112013111393411-pct00099
    Figure 112013111393411-pct00100
    .
  2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Figure 112012047677211-pct00107
    .
  2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Figure 112012047677211-pct00108
    .
  2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Figure 112012047677211-pct00109
    .
  2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Figure 112012047677211-pct00110
    .
  2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Figure 112012047677211-pct00111
    .
  2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Figure 112012047677211-pct00112
    .
  2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Figure 112012047677211-pct00113
    .
  2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Figure 112012047677211-pct00114
    .
  2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들 중 하나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Figure 112012047677211-pct00115
    Figure 112012047677211-pct00116
    Figure 112012047677211-pct00117
    Figure 112012047677211-pct00118
    Figure 112012047677211-pct00119
    Figure 112012047677211-pct00120
    Figure 112012047677211-pct00121
    Figure 112012047677211-pct00122
    Figure 112012047677211-pct00123
    Figure 112012047677211-pct00124
    Figure 112012047677211-pct00125
    Figure 112012047677211-pct00126
    Figure 112012047677211-pct00127
    Figure 112012047677211-pct00128
    Figure 112012047677211-pct00129
    Figure 112012047677211-pct00130
    Figure 112012047677211-pct00131
    Figure 112012047677211-pct00132
    Figure 112012047677211-pct00133
    Figure 112012047677211-pct00134
    Figure 112012047677211-pct00135
    Figure 112012047677211-pct00136
    Figure 112012047677211-pct00137
    Figure 112012047677211-pct00138
    Figure 112012047677211-pct00139
    Figure 112012047677211-pct00140
    Figure 112012047677211-pct00141
    .
  3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Figure 112012047677211-pct00142
    .
  3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Figure 112012047677211-pct00143
    .
  3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Figure 112012047677211-pct00144
    .
  3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Figure 112012047677211-pct00145
    .
  3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Figure 112012047677211-pct00146
    .
  3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Figure 112012047677211-pct00147
    .
  3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Figure 112012047677211-pct00148
    .
  3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Figure 112012047677211-pct00149
    .
  3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Figure 112012047677211-pct00150
    .
  39. 제 1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호변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암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KR1020097000830A 2006-06-16 2007-06-15 항종양성 다이하이드로피란-2-온 화합물 KR101474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380173.2 2006-06-16
EP06380173 2006-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261A KR20090024261A (ko) 2009-03-06
KR101474031B1 true KR101474031B1 (ko) 2014-12-17

Family

ID=3850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830A KR101474031B1 (ko) 2006-06-16 2007-06-15 항종양성 다이하이드로피란-2-온 화합물

Country Status (30)

Country Link
US (2) US8324406B2 (ko)
EP (3) EP2404912A3 (ko)
JP (2) JP5117491B2 (ko)
KR (1) KR101474031B1 (ko)
CN (2) CN101679340B (ko)
AR (1) AR061506A1 (ko)
AT (1) ATE522514T1 (ko)
AU (1) AU2007259257B8 (ko)
BR (2) BRPI0722429A2 (ko)
CA (1) CA2654334C (ko)
CY (1) CY1112103T1 (ko)
DK (1) DK2032551T3 (ko)
ES (1) ES2371942T3 (ko)
HK (1) HK1130052A1 (ko)
HR (1) HRP20110845T1 (ko)
IL (1) IL195676A (ko)
MX (1) MX2008015754A (ko)
MY (1) MY145788A (ko)
NO (2) NO341508B1 (ko)
NZ (1) NZ573706A (ko)
PL (1) PL2032551T3 (ko)
PT (1) PT2032551E (ko)
RS (1) RS52034B (ko)
RU (2) RU2444519C2 (ko)
SG (1) SG174830A1 (ko)
SI (1) SI2032551T1 (ko)
TW (2) TWI373469B (ko)
UA (1) UA97369C2 (ko)
WO (1) WO2007144423A1 (ko)
ZA (1) ZA2008103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84420T3 (es) 2007-12-20 2012-07-04 Pharma Mar S.A. Compuestos antitumorales
WO2009104147A2 (en) 2008-02-20 2009-08-27 Actelion Pharmaceuticals Ltd Azatricyclic antibiotic compounds
US8349826B2 (en) 2008-02-22 2013-01-08 Actelion Pharmaceuticals Ltd. Oxazolidinone derivatives
PT2344495E (pt) 2008-10-07 2015-04-01 Actelion Pharmaceuticals Ltd Compostos antibióticos de oxazolidinona tricíclica
BRPI0920870A2 (pt) 2008-10-10 2018-06-26 Actelion Pharmaceuticals Ltd antibióticos de oxazolidinila.
WO2010149688A2 (en) 2009-06-24 2010-12-29 Pharma Mar, S.A. Antitumoral compounds
GB201309807D0 (en) * 2013-05-31 2013-07-17 Pharma Mar Sau Antibody drug conjugates
CN108467378A (zh) * 2017-02-23 2018-08-31 复旦大学 一种二氢吡喃酮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JOP20190254A1 (ar) 2017-04-27 2019-10-27 Pharma Mar Sa مركبات مضادة للأورام
CN110790737B (zh) * 2019-11-07 2022-07-22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2,3-二氢-3,5-二羟基-6-乙基-4h-吡喃-4-酮的制备方法
AU2022369058A1 (en) 2021-10-22 2024-05-02 Pharma Mar, S.A. Antitumoral compoun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17894A1 (en) 2004-06-03 2005-12-15 Kosan Biosciences Incorporated Leptomycin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938019B (en) * 1992-11-13 1995-04-28 Upjohn Co Pyran-2-ones and 5,6-dihydropyran-2-ones useful for treating HIV and other retroviruses
ATE263761T1 (de) * 1993-11-19 2004-04-15 Parke Davis & Co 5,6-dihydropyronderivate als proteaseinhibitoren und antiviralmitt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17894A1 (en) 2004-06-03 2005-12-15 Kosan Biosciences Incorporated Leptomycin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32551A1 (en) 2009-03-11
ATE522514T1 (de) 2011-09-15
HRP20110845T1 (hr) 2011-12-31
ZA200810315B (en) 2010-02-24
RS52034B (en) 2012-04-30
BRPI0713031B1 (pt) 2020-10-06
IL195676A0 (en) 2009-09-01
CA2654334C (en) 2014-06-10
MY145788A (en) 2012-04-30
NO20090054L (no) 2009-01-06
NZ573706A (en) 2011-09-30
CA2654334A1 (en) 2007-12-21
UA97369C2 (ru) 2012-02-10
EP2032551B1 (en) 2011-08-31
JP2012021023A (ja) 2012-02-02
CN101679340A (zh) 2010-03-24
US20100048690A2 (en) 2010-02-25
IL195676A (en) 2012-06-28
EP2404913A3 (en) 2012-06-06
CN101679340B (zh) 2013-06-05
AU2007259257A1 (en) 2007-12-21
MX2008015754A (es) 2009-01-12
BRPI0713031B8 (pt) 2021-05-25
RU2444519C2 (ru) 2012-03-10
US20120190870A1 (en) 2012-07-26
EP2032551B9 (en) 2012-02-29
BRPI0722429A2 (pt) 2013-11-26
AU2007259257B2 (en) 2011-12-08
AU2007259257A8 (en) 2012-04-05
US8501968B2 (en) 2013-08-06
RU2009101150A (ru) 2010-07-27
BRPI0713031A2 (pt) 2013-03-12
RU2011133128A (ru) 2013-02-10
ES2371942T3 (es) 2012-01-11
NO341508B1 (no) 2017-11-27
KR20090024261A (ko) 2009-03-06
TW201213316A (en) 2012-04-01
HK1130052A1 (en) 2009-12-18
CY1112103T1 (el) 2015-11-04
SI2032551T1 (sl) 2012-01-31
TW200811128A (en) 2008-03-01
PL2032551T3 (pl) 2012-01-31
AR061506A1 (es) 2008-09-03
DK2032551T3 (da) 2012-01-02
EP2404912A2 (en) 2012-01-11
PT2032551E (pt) 2011-12-06
AU2007259257B8 (en) 2012-04-05
CN102336730A (zh) 2012-02-01
US20090186938A1 (en) 2009-07-23
JP2009539943A (ja) 2009-11-19
US8324406B2 (en) 2012-12-04
NO20111248L (no) 2008-12-16
JP5117491B2 (ja) 2013-01-16
SG174830A1 (en) 2011-10-28
WO2007144423A1 (en) 2007-12-21
EP2404912A3 (en) 2012-07-25
EP2404913A2 (en) 2012-01-11
TWI373469B (en) 2012-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031B1 (ko) 항종양성 다이하이드로피란-2-온 화합물
KR101541436B1 (ko) 항암 화합물
AU2011203085A1 (en) Antitumoral dihydropyran-2-one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