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759B1 - 쉘터용 조립식 벽체 - Google Patents

쉘터용 조립식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759B1
KR101370759B1 KR1020100119223A KR20100119223A KR101370759B1 KR 101370759 B1 KR101370759 B1 KR 101370759B1 KR 1020100119223 A KR1020100119223 A KR 1020100119223A KR 20100119223 A KR20100119223 A KR 20100119223A KR 101370759 B1 KR101370759 B1 KR 101370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groove
frame
struts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478A (ko
Inventor
이동헌
남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인
Priority to KR1020100119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75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7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쉘터의 벽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설치 및 분해가 가능하게 구성된 쉘터용 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격상태를 이루면서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지주; 상기 지주들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들 사이를 차폐하는 쉴드유닛; 상기 쉴드유닛과 함께 상기 지주에 설치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 및 쉴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지주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쉴드유닛 및 캐비닛이 연결부재를 통해 지주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쉴드유닛 및 캐비닛을 지주에 조립식으로 설치하거나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으며, 보수시 해당부분만 해체하여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쉘터용 조립식 벽체 { COMVINED SECTION WALL FOR SHELTER }
본 발명은 쉘터의 벽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설치 및 분해가 가능하게 구성된 쉘터용 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쉘터는 정류장 또는 육교와 같은 구조물에 설치되며, 기둥에 지붕 및 벽체가 설치되어 비바람이나 태양광을 피하는 피신공간이나 대기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쉘터는 벽체에 버스노선을 안내하는 안내문이나 광고물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쉘터는 지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콘크리트재 기초대에 기둥이 고정된 후 기둥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들보가 설치되고, 들보나 기둥에 들보의 전방을 향하는 켄틸레버 형태의 서까래가 설치되며, 서까래의 상부에 지붕이 설치된다. 그리고, 기둥들 사이에 칸막이 기능의 벽체가 설치된다. 또한, 쉘터는 최근들어 점등식 광고물이 설치된 광고벽이 기둥에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쉘터는 골조를 구성하는 기둥과 들보 및 서까래가 현장에서 용접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쉘터는 벽체 또는 광고벽의 프레임도 대부분 용접에 의해 설치되며, 지붕의 경우 폴리카보네이트나 유리와 같은 부품을 제외한 나머지 부품들도 대부분 용접에 의해 설치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쉘터는 골조와 그 외의 부품들이 용접으로 연결되므로 설치가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시공비 및 시공기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며, 보수시 분해 및 재설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벽체를 구성하는 부품을 현장에서 용접하여 벽체를 제조한 후 용접으로 기둥에 설치하거나, 공장에서 벽체를 용접으로 제조한 후 현장으로 이송하여 용접으로 기둥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더욱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송이 매우 불편하다.
또한, 용접시 화재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용접부위를 후가공하여야 하며, 후가공하여도 용접부위가 노출되어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서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조립식으로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 있는 쉘터용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내부에 공간을 갖는 개폐가능한 박스형태의 부재와 수직으로 설치되는 차폐물을 조립식으로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 있는 쉘터용 조립식 벽체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격상태를 이루면서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지주; 상기 지주들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들 사이를 차폐하는 쉴드유닛; 상기 쉴드유닛과 함께 상기 지주에 설치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 및 쉴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지주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유닛은 상기 캐비닛이 설치된 상기 지주들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투명이나 불투명 또는 반투명재로 이루어진 수직판; 상기 수직판의 상단부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하는 상단부 고정구; 및 상기 상단부 고정구의 반대편에서 상기 수직판의 하단부를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하는 하단부 고정구;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상단부 고정구는 상기 지주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수직판의 상부에 위치하고, 양단부가 상기 연결부재에 볼팅으로 고정되어 연결부재를 통해 양측의 지주에 연결되거나 양측의 지주에 직접연결되는 상부 크로스바; 및 상기 상부 크로스바 및 상기 수직판의 상단부에 양측이 제각기 고정되어 수직판의 상단부를 상부 크로스바에 연결하는 상부연결대;를 포함한다.
상기 하단부 고정구는 상기 지주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수직판의 하부에 위치하고, 양단부가 상기 연결부재에 볼팅으로 고정되어 연결부재를 통해 양측의 지주에 연결되거나 양측의 지주에 직접연결되는 하부 크로스바; 및 상기 하부 크로스바 및 상기 수직판의 하단부에 양측이 제각기 고정되어 수직판의 하단부를 하부 크로스바에 연결하는 하부연결대;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지주들이나 연결부재들 사이에 개재되고, 소정의 폭을 가지며, 상기 지주들이나 연결부재들에 양단부가 볼팅으로 고정되어 지주들이나 연결부재들을 통해 양측의 지주에 연결되는 크로스 프레임; 상기 크로스 프레임의 하부에 이격상태로 설치되고, 소정의 폭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크로스 프레임의 전후방을 제각기 차폐하는 복수의 커버; 및 상기 커버들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를 상기 크로스 프레임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크로스 프레임에 형성되는 힌지; 및 상기 커버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에 끼워지는 반원형의 힌지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크로스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커버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홈형태의 포켓;을 더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크로스 프레임 및 베이스 프레임을 이격상태로 연결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크로스 프레임 및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의 상단에 일측이 볼팅으로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크로스 프레임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상부의 절곡브래킷; 상기 절곡브래킷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크로스 프레임의 하부면에 걸려서 고정되는 브래킷 볼트; 상기 수직바의 하단에 일측이 볼팅으로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하부의 절곡브래킷; 상기 상부나 하부의 절곡브래킷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걸려서 고정되는 또 다른 브래킷 볼트; 상기 브래킷 볼트 및 또 다른 상기 브래킷 볼트들에 체결되는 너트; 및 상기 크로스 프레임 및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크로스 프레임의 하부면 및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홈형태로 제각기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 볼트 및 또 다른 상기 브래킷 볼트에 체결된 상기 너트가 삽입되며, 개방된 단부가 너트의 지름 보다 작게 형성되어 너트가 걸려서 고정되는 너트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주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그루브; 상기 그루브에 수직으로 삽입되고, 그루브의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되는 삽입프레임; 상기 삽입프레임 및 지주를 관통하여 삽입프레임을 지주에 고정하는 롱볼트; 상기 롱볼트에 체결되는 너트; 상기 삽입프레임의 일부분 전방측에 일측이 밀착되고, 상기 캐비닛이나 쉴드유닛이 타측에 볼팅으로 고정되는 인스톨빔; 상기 삽입프레임의 일부분 후방측에 일측이 밀착되고, 타측이 상기 인스톨빔에 볼팅으로 고정되는 서브빔; 및 상기 서브빔 및 삽입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인스톨빔의 일측에 체결되는 관통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관통볼트의 양단을 제각기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인스톨빔의 일측에 일단부가 걸려서 고정되고, 타단부가 인스톨빔의 타측에 걸리면서 상기 관통볼트의 일단부를 차폐하는 일단부 커버; 및 상기 인스톨빔의 반대편 타측에 일단부가 걸려서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서브빔의 일측에 걸리면서 상기 관통볼트의 타단부를 차폐하는 타단부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너트의 측면을 지지하여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지주의 그루브에 삽입되어 상기 롱볼트에 체결되는 체결블록; 및 상기 체결블록에 돌출되어 상기 롱볼트에 체결된 상기 너트의 측면을 지지하는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그루브에 결합되어 그루브을 차폐하는 그루브차폐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그루브차폐수단은 상기 그루브에 삽입되어 그루브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양측날개가 양측에 형성되고, 길게 형성된 몰드판; 상기 몰드판의 양측날개에 돌출형성되는 후크; 및 상기 그루브의 양측면에 언더커팅되어 상기 후크가 걸리는 후크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쉴드유닛은 하부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포터는 상기 쉴드유닛의 하부에 볼팅으로 고정되고, 양측 날개가 하방을 향하며, 양측날개에 세레이션을 갖는 찬넬형태의 쉴드소켓; 및 상기 쉴드소켓의 양측날개에 끼워지는 관형태의 다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삽입프레임은, 상기 그루브의 측방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이동하여 상기 그루브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일부분이 상기 그루브의 내측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분이 상기 그루브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외측으로 노출되는 나머지 일부분의 단부에 상기 인스톨빔이 밀착상태로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쉴드유닛 및 캐비닛이 연결부재를 통해 지주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쉴드유닛 및 캐비닛을 지주에 조립식으로 설치하거나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으며, 보수시 해당부분만 해체하여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연결부재가 수평상태로 지주의 측방으로 이동하여 지주의 그루브에 삽입되므로 연결부재를 지주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특히, 쉴드유닛과 캐비닛 및 연결부재의 구성요소가 모두 조립식으로 조립되므로 쉴드유닛과 캐비닛 및 연결부재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의 커버가 힌지부재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크로스프레임에 결합되므로 조립식으로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쉘터용 조립식 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캐비닛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해된 상태의 연결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조립된 상태의 연결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의자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식 벽체가 적용된 쉘터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10), 쉴드유닛(20), 캐비닛(40) 및 연결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주(110)는 강관이나 압출로제조된 알루미늄관이나 압출로제조된 알루미늄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주(110)는 복수로 구성되어 일정간격 이격상태로 정류장의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쉴드유닛(20)은 지주(110)들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110)들 사이를 차폐한다. 캐비닛(40)은 쉴드유닛(20)과 함께 지주(110)에 설치된다. 연결부재(60)는 캐비닛(40) 및 쉴드유닛(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주(11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되는 지주(110)들의 사이에 연결부재(60)들을 연결하고, 캐비닛(40) 및 쉴드유닛(20)을 연결하는 것으로 조립작업이 완료되므로,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쉴드유닛(20)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21), 상단부 고정구(23) 및 하단부 고정구(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직판(21)은 캐비닛(40)이 설치된 지주(110)들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투명이나 불투명 또는 반투명재 또는 디스플레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단부 고정구(23)는 수직판(21)의 상단부를 캐비닛(40)이나 지주(110)에 고정한다. 하단부 고정구(25)는 상단부 고정구(23)의 반대편에서 수직판(21)의 하단부를 연결부재(60)나 지주(110)에 고정한다. 이러한, 상단부 고정구(23)나 하단부 고정구(25)는 볼팅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쉴드유닛(20)은 지주(110)나 연결부재(60)들의 사이에 상단부 고정구(23)를 연결하고, 수직판(21)을 상단부 고정구(23)에 매달리게 연결한 후, 하단부 고정구(25)가 수직판(21)을 받치도록 하단부 고정구(25)를 수직판(21)의 하부에 연결하는 것으로 조립작업이 완료되므로, 수직판(21)을 수직상태이면서 부양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단부 고정구(23)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크로스바(23a) 및 상부연결대(2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 크로스바(23a)는 지주(110)들 사이에 개재되어 수직판(21)의 상부에 위치하고, 양단부가 연결부재(60)에 볼팅으로 고정되어 연결부재(60)를 통해 양측의 지주(110)에 연결되거나 양측의 지주(110)에 직접연결된다. 상부연결대(23b)는 상부 크로스바(23a) 및 수직판(21)의 상단부에 양측이 제각기 고정되어 수직판(21)의 상단부를 상부 크로스바(23a)에 연결한다.
따라서, 상단부 고정구(23)는 상부 크로스바(23a)를 지주(110)들이나 연결부재(60)들의 사이에 수평상태로 연결하고, 상부연결대(23b)가 수직판(21)을 상부 크로스바(23a)에 매달리게 고정하므로, 수직판(21)의 수직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단부 고정구(25)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크로스바(25a) 및 하부연결대(2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크로스바(25a)는 지주(110)들 사이에 개재되어 수직판(21)의 하부에 위치하고, 양단부가 연결부재(60)에 볼팅으로 고정되어 연결부재(60)를 통해 양측의 지주(110)에 연결되거나 양측의 지주(110)에 직접연결된다. 하부연결대(25b)는 하부 크로스바(25a) 및 상기 수직판의 하단부에 양측이 제각기 고정되어 수직판의 하단부를 하부 크로스바(25a)에 연결한다.
따라서, 하단부 고정구(25)는 하부 크로스바(25a)를 지주(110)들이나 연결부재(60)들의 사이에 수평상태로 연결하고, 하부연결대(25b)가 수직판(21)을 하부 크로스바(25a)에 받치는 상태로 고정하므로, 수직판(21)의 하단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쉴드유닛(20)은 지면에 이격된 지주(110)들의 사이에서 상부에 상부 크로스바(23a)를 볼팅으로 연결하고, 상부연결대(23b)를 이용하여 수직판(21)의 상부를 연결한 후, 지주(110)들의 사이에서 하부에 하부 크로스바(25a)를 연결하고, 하부연결대(25b)를 이용하여 수직판(21)의 하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지주(110)들의 사이를 차폐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캐비닛(40)은 예컨대 확대도면(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프레임(41), 베이스 프레임(43), 복수의 커버(45) 및 힌지부재(4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크로스 프레임(41)은 지주(110)들이나 연결부재(60)들의 사이에 개재되고, 소정의 폭을 가지며, 지주(110)들이나 연결부재(60)들에 양단부가 볼팅으로 고정되어 지주(110)들에 직접연결되거나 연결부재(60)들을 통해 양측의 지주(110)에 연결된다. 베이스 프레임(43)은 크로스 프레임(41)의 하부에 이격상태로 설치되고, 소정의 폭을 갖는다. 복수의 커버(45)는 베이스 프레임(43) 및 크로스 프레임(41)의 전후방을 제각기 차폐한다. 힌지부재(47)는 커버(45)들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를 크로스 프레임(41)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한다.
힌지부재(47)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47a) 및 힌지홀더(47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힌지(47a)는 크로스 프레임(41)에 형성된다. 힌지홀더(47b)는 커버(45)의 형성된 힌지(47a)에 끼워지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45)는 힌지홀더(47b)가 힌지(47a)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므로 착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베이스 프레임(43) 및 크로스 프레임(41)의 전방이나 후방을 개폐할 수 있다.
힌지부재(47)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홈형태의 포켓(47c)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포켓(47c)은 크로스 프레임(41)에 형성되어 힌지(47a)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커버(45)의 일단부가 삽입된다. 즉, 포켓(47c)은 힌지(47a)의 상부에 형성되므로 상부로 회전되는 커버(45)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45)는 힌지(47a)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캐비닛(40)은 크로스 프레임(41)이 연결부재(60)들의 사이에 볼팅으로 고정되고, 베이스 프레임(43)이 크로스 프레임(41)의 하부에 이격상태로 연결부재(60)들의 사이에 볼팅으로 고정되며, 복수의 커버(45)들이 힌지부재(47)를 통해 크로스 프레임(41)의 상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조립이 완료된다.
캐비닛(40)은 예컨대 확대도면(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프레임(41) 및 베이스 프레임(43)을 이격상태로 연결하는 스페이서(4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49)는 수직바(49a), 절곡브래킷(49b), 브래킷 볼트(49c), 너트(49d) 및 너트홀더(49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직바(49a)는 크로스 프레임(41) 및 베이스 프레임(43)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수직바(49a)는 크로스 프레임(41) 및 베이스 프레임(43)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부의 절곡브래킷(49b)은 수직바(49a)의 상단에 일측이 볼팅으로 고정되고, 타측이 크로스 프레임(41)의 하부면에 밀착된다. 브래킷 볼트(49c)는 복수로 구성되며, 그 중 하나의 브래킷 볼트(49c)는 상부나 하부의 절곡브래킷(49b)의 타측을 관통하여 크로스 프레임(41)의 하부면에 걸려서 고정된다. 하부의 절곡브래킷(49b)은 수직바(49a)의 하단에 일측이 볼팅으로 고정되고, 타측이 베이스 프레임(43)의 하부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또 다른 브래킷 볼트(49c)는 하부의 절곡브래킷(49b)의 타측을 관통하여 베이스 프레임(43)의 상부면에 걸려서 고정된다. 너트(49d)는 브래킷 볼트(49c)에 체결된다. 너트홀더(49e)는 크로스 프레임(41) 및 베이스 프레임(43)의 길이방향을 따라 크로스 프레임(41)의 하부면 및 베이스 프레임(43)의 상부면에 홈형태로 제각기 형성되고, 브래킷 볼트(49c)에 체결된 너트(49d)가 삽입되며, 개방된 단부가 너트(49d)의 지름 보다 작게 형성되어 너트(49d)가 걸려서 고정된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49)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수직바(49a)는 일측에서 상단 및 하단에 복수의 절곡브래킷(49b)이 볼팅으로 제각기 고정된 상태로 크로스 프레임(41) 및 베이스 프레임(43)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어서,
복수의 브래킷 볼트(49c)는 절곡브래킷(49b)들의 타측을 제각기 관통하여 너트(49d)들에 최소한으로 가결합된다. 너트(49d)들은 크로스 프레임(41) 및 베이스 프레임(43)에 대향되게 형성된 너트홀더(49e)들에 제각기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바(49a)와 함께 크로스 프레임(41) 및 베이스 프레임(43)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마지막으로, 너트(49d)는 브래킷 볼트(49c)만 조이는 것으로 브래킷 볼트(49c)와 결합된다. 따라서, 수직바(49a)는 크로스 프레임(41) 및 베이스 프레임(43)에 결합된다.
따라서, 스페이서(49)는 캐비닛(4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캐비닛(40)의 내구력을 증대시키면서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쉴드유닛(20)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를 지지하는 서포터(2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포터(27)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찬넬형태의 쉴드소켓(27a) 및 관형태의 다리(27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쉴드소켓(27a)은 쉴드유닛(20)의 하부에 볼팅으로 고정되고, 양측 날개(27c)가 하방을 향하며, 양측날개(27c)에 세레이션을 갖는다. 다리(27b)는 쉴드소켓(27a)의 양측날개(27c)에 끼워진다.
따라서, 다리(27b)는 쉴드소켓(27a)에 삽입되어 양측날개(27c)에 형성된 세레이션에 의해 쉴드소켓(27a)에 고정되므로,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쉴드유닛(20)의 하부를 지지하여 쉴드유닛(2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재(60)는 예컨대 확대도면(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61), 삽입프레임(62), 롱볼트(63), 너트(64), 인스톨빔(65), 서브빔(66) 및 관통볼트(6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루브(61)은 지주(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주(11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삽입프레임(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61)의 측방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이동하여 그루브(61)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일부분이 그루브(61)의 내측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분이 그루브(61)의 외측으로 노출된다.(도 4 참조) 이러한 삽입프레임(6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노출되는 나머지 일부분의 단부에 인스톨빔(65)이 밀착상태로 연결된다. 이때, 삽입프레임(62)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관통볼트(67) 및 서브빔(66)을 통해 인스톨빔(65)에 밀착상태로 연결된다.
롱볼트(63)는 삽입프레임(62) 및 지주(110)를 관통하여 삽입프레임(62)을 지주(110)에 고정한다. 너트(64)는 롱볼트(63)에 체결된다. 인스톨빔(65)은 삽입프레임(62)의 일부분 전방측에 일측이 밀착되고, 캐비닛(40)이나 쉴드유닛(20)이 타측에 볼팅으로 고정된다. 서브빔(66)은 삽입프레임(62)의 일부분 후방측에 일측이 밀착되고, 타측이 인스톨빔(65)에 볼팅으로 고정된다. 관통볼트(67)는 서브빔(66) 및 삽입프레임(62)을 관통하여 인스톨빔(65)의 일측에 체결된다.
삽입프레임(62)은 일측이 그루브(61)에 수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롱볼트(63)와 결합되는 너트(64)에 의해 지주(110)에 결합된다. 이어서, 인스톨빔(65) 및 서브빔(66)은 삽입프레임(62)의 타측에 관통볼트(67)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연결부재(60)는 삽입프레임(62), 인스톨빔(65) 및 서브빔(66)들이 롱볼트(63), 너트(64) 및 관통볼트(67)들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6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볼트(67)의 양단을 제각기 차폐하는 차폐부재(6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폐부재(68)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 커버(68a) 및 타단부 커버(68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단부 커버(68a)는 인스톨빔(65)의 일측에 일단부가 걸려서 고정되고, 타단부가 인스톨빔(65)의 타측에 걸리면서 관통볼트(67)의 일단부를 차폐한다. 타단부 커버(68b)는 인스톨빔(65)의 반대편 타측에 일단부가 걸려서 고정되고, 타단부가 서브빔(66)의 일측에 걸리면서 관통볼트(67)의 타단부를 차폐한다. 이러한, 일단부 커버(68a) 및 타단부 커버(68b)는 앵글형태로 형성되면서 탄성력을 갖는다.
따라서, 일단부 커버(68a) 및 타단부 커버(68b)는 인스톨빔(65) 및 서브빔(66)에 제각기 억지끼움으로 끼워지고, 탄성력에 의해 끼워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즉, 일단부 커버(68a) 및 타단부 커버(68b)는 인스톨빔(65) 및 서브빔(66)에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6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64)의 측면을 지지하여 너트(64)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64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방지수단(64a)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블록(64a-1) 및 복수의 돌기(64a-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체결블록(64a-1)은 지주(110)의 그루브(61)에 삽입되어 롱볼트(63)에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블록(64a-1)은 일측에서 타측의 돌기(64a-2)들 사이까지 관통되는 볼트홀(64a-3)이 형성되어 롱볼트(63)가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64a-2)는 너트(64)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너트(64)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체결블록(64a-1)에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재(60)는 예컨대 확대도면(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다. 먼저, 삽입프레임(62)은 지주(110)의 그루브(61)에 삽입된다. 이어서, 롱볼트(63)는 지주(110)와 삽입프레임(62)을 관통하여 너트(64)와 결합된다. 이때, 롱볼트(63)는 그루브(61)에 삽입된 회전방지수단(64a)을 통해 너트(64)와 결합된다. 즉, 복수의 돌기(64a-2)에 너트(64)를 삽입시킨다. 이어서, 롱볼트(63)를 체결블록(64a-1)에 관통시키면서 너트(64)와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조인다. 따라서, 삽입프레임(62)은 너트(64)가 복수의 돌기(64a-2)에 고정된 상태에서 롱볼트(63)를 조이는 것으로 지주(110)에 결합된다. 계속해서, 인스톨빔(65)은 쉴드유닛(20)과 케비닛(40)이 볼팅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프레임(62)의 일측에 배치된 후, 삽입프레임(62)의 타측에 배치되는 서브빔(66)과 함께 관통볼트(67)에 의해 삽입프레임(62)에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일단부 커버(68a) 및 타단부 커버(68b)를 인스톨빔(65) 및 서브빔(66)에 제각기 억지끼움으로 끼운다.
따라서, 인스톨빔(65)은 쉴드유닛(20)과 케비닛(40)이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프레임(62)에 결합되므로, 편리하게 조립작업을 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64a-2)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블록(64a-1)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어 롱볼트(63)에 체결된 너트(64)의 측면을 지지한다. 이러한, 복수의 돌기(64a-2)는 너트(64)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너트(64)의 양면을 지지하여 회전을 방지한다. 여기서, 너트(64)는 복수의 돌기(64a-2)에 지지되는 양면을 갖는 육각너트가 바람직하다.
회전방지수단(64a)은 예컨대 확대도면(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61)에 결합되어 그루브(61)을 차폐하는 그루브차폐수단(64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루브차폐수단(64b)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판(64b-1), 후크(64b-2) 및 후크홀더(64b-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몰드판(64b-1)은 그루브(61)에 삽입되어 그루브(61)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양측날개(64b-4)가 양측에 형성된다. 몰드판(64b-1)은 그루브(61)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된다. 후크(64b-2)는 몰드판(64b-1)의 양측날개(64b-4)에 돌출형성된다. 후크홀더(64b-3)는 그루브(61)의 양측면에 언더커팅되어 후크(64b-2)가 걸린다.
따라서, 그루브차폐수단(64b)은 그루브(61)에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므로, 개방된 그루브(61)을 폐쇄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쉴드유닛(20)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의자(80)는 복수의 지지브라켓(81), 크로스바(83), 복수의 켄틸레버(85), 시트(87) 및 체결부재(8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81)는 전술한 그루브(61)에 삽입되는 수직단(81a)과 크로스바(83)의 저면을 지지하는 상부요홈(81b)이 형성된다. 크로스바(83)는 강관이나 압출로제조된 알루미늄관으로 구성된다. 복수의 켄틸레버(85)는 하부에 끼움관(85a)이 형성되고 상부에 평탄면(85b)이 형성된다. 시트(87)는 판재형태로 구성되어 켄틸레버(85)의 평탄면(85b)에 안착된다. 체결부재(89)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어 지지브라켓(81)을 지주(110)에 체결하고, 지지브라켓(81)에 크로스바(83)를 체결하며, 시트(87)를 켄틸레버(85)에 체결한다.
이와 같은, 의자(80)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복수의 켄틸레버(85)는 크로스바(83)에 삽입된다. 즉, 켄틸레버(85)는 끼움관(85a)이 크로스바(83)에 삽입된다. 이어서, 크로스바(83)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지지브라켓(81)에 안착된다. 즉, 크로스바(83)는 양단이 복수의 상부요홈(81b)에 제각기 삽입된다. 이어서, 체결부재(89)는 지지브라켓(81)과 크로스바(83)를 관통하여 체결한다. 그리고, 체결부재(89)는 켄틸레버(85)와 크로스바(83)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계속해서, 시트(87)는 켄틸레버(85)의 평탄면(85b)에 안착된다. 체결부재(89)는 시트(87)를 켄틸레버(85)에 체결한다. 마지막으로, 복수의 지지브라켓(81)는 그루브(61)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89)에 의해 지주(110)에 체결된다. 즉, 체결부재(89)는 지지브라켓(81)와 지주(110)를 관통하여 체결한다. 이때, 체결부재(89)는 전술한 회전방지수단(64a)을 통해 체결된다.
따라서, 의자(80)는 체결부재(89)들에 의해 조립되면서 지주(110)의 그루브(61)에 체결되므로, 지주(110)에서 높이가 조절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의자(80)는 회전방지수단(64a)을 통해 지주(110)에 체결될 수 있으므로, 볼트나 너트 중 어느 하나만 조임에 의해 지주(110)에 고정된다.
한편, 크로스바(8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그루브(8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브라켓(81) 및 켄틸레버(85)는 상부요홈(81b) 및 끼움관(85a)에 그루브(83a)에 삽입되는 돌기(85c)가 제각기 형성된다.
따라서, 돌기(85c)들은 그루브(83a)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브라켓(81) 및 켄틸레버(85)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의자(80)는 정류장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승객이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쉴드유닛(20)은 정류장에 기립되어 상부에 지붕(200)이 설치되는 지주(110)들의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쉴드유닛(20)은 상부에 햇빛이나 빗물을 피해 지붕(200)의 아래에서 차도와 인도를 분할하므로, 지붕(200)의 아래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의자(80)에 앉아 휴식을 취하는 승객들을 주행하는 자동차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지주
20 : 쉴드유닛
40 : 캐비닛
60 : 연결부재
80 : 의자
200 : 지붕

Claims (13)

  1. 이격상태를 이루면서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지주(110);
    상기 지주(110)들 사이에 설치되어 지주(110)들 사이를 차폐하는 쉴드유닛(20);
    상기 쉴드유닛(20)과 함께 상기 지주(110)에 설치되는 캐비닛(40); 및
    상기 캐비닛(40) 및 쉴드유닛(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지주(11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60);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유닛(20)은,
    상기 캐비닛(40)이 설치된 상기 지주(110)들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투명이나 불투명 또는 반투명재로 이루어진 수직판(21);
    상기 수직판(21)의 상단부를 상기 캐비닛(40)에 고정하는 상단부 고정구(23); 및
    상기 상단부 고정구(23)의 반대편에서 상기 수직판(21)의 하단부를 상기 연결부재(60)에 고정하는 하단부 고정구(25);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은(40),
    상기 지주(110)들이나 연결부재(60)들 사이에 개재되고, 소정의 폭을 가지며, 상기 지주(110)들이나 연결부재(60)들에 양단부가 볼팅으로 고정되어 지주(110)들이나 연결부재(60)들을 통해 양측의 지주(110)에 연결되는 크로스 프레임(41);
    상기 크로스 프레임(41)의 하부에 이격상태로 설치되고, 소정의 폭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43);
    상기 베이스 프레임(43) 및 크로스 프레임(41)의 전후방을 제각기 차폐하는 복수의 커버(45); 및
    상기 커버(45)들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를 상기 크로스 프레임(41)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부재(47);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재(47)는,
    상기 크로스 프레임(41)에 형성되는 힌지(47a); 및
    상기 커버(45)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47a)에 끼워지는 반원형의 힌지홀더(47b);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재(47)는,
    상기 크로스 프레임(41)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47a)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커버(45)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홈형태의 포켓(47c);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60)는,
    상기 지주(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주(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그루브(61);
    상기 그루브(61)에 수직으로 삽입되고, 그루브(61)의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되는 삽입프레임(62);
    상기 삽입프레임(62) 및 지주(110)를 관통하여 삽입프레임(62)을 지주(110)에 고정하는 롱볼트(63);
    상기 롱볼트(63)에 체결되는 너트(64);
    상기 삽입프레임(62)의 일부분 전방측에 일측이 밀착되고, 상기 캐비닛(40)이나 쉴드유닛(20)이 타측에 볼팅으로 고정되는 인스톨빔(65);
    상기 삽입프레임(62)의 일부분 후방측에 일측이 밀착되고, 타측이 상기 인스톨빔(65)에 볼팅으로 고정되는 서브빔(66); 및
    상기 서브빔(66) 및 삽입프레임(62)을 관통하여 상기 인스톨빔(65)의 일측에 체결되는 관통볼트(67);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프레임(62)은,
    상기 그루브(61)의 측방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이동하여 상기 그루브(61)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일부분이 상기 그루브(61)의 내측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분이 상기 그루브(61)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외측으로 노출되는 나머지 일부분의 단부에 상기 인스톨빔(65)이 밀착상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터용 조립식 벽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 고정구(23)는,
    상기 지주(110)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수직판(21)의 상부에 위치하고, 양단부가 상기 연결부재(60)에 볼팅으로 고정되어 연결부재(60)를 통해 양측의 지주(110)에 연결되거나 양측의 지주(110)에 직접연결되는 상부 크로스바(23a); 및
    상기 상부 크로스바(23a) 및 상기 수직판(21)의 상단부에 양측이 제각기 고정되어 수직판(21)의 상단부를 상부 크로스바(23a)에 연결하는 상부연결대(23b);를 포함하는 쉘터용 조립식 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 고정구(25)는,
    상기 지주(110)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수직판(21)의 하부에 위치하고, 양단부가 상기 연결부재(60)에 볼팅으로 고정되어 연결부재(60)를 통해 양측의 지주(110)에 연결되거나 양측의 지주(110)에 직접연결되는 하부 크로스바(25a); 및
    상기 하부 크로스바(25a) 및 상기 수직판(21)의 하단부에 양측이 제각기 고정되어 수직판(21)의 하단부를 하부 크로스바(25a)에 연결하는 하부연결대(25b);를 포함하는 쉘터용 조립식 벽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40)은,
    상기 크로스 프레임(41) 및 베이스 프레임(43)을 이격상태로 연결하는 스페이서(49);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49)는,
    상기 크로스 프레임(41) 및 베이스 프레임(43)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바(49a);
    상기 수직바(49a)의 상단에 일측이 볼팅으로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크로스 프레임(41)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상부의 절곡브래킷(49b);
    상기 절곡브래킷(49b)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크로스 프레임(41)의 하부면에 걸려서 고정되는 브래킷 볼트(49c);
    상기 수직바(49a)의 하단에 일측이 볼팅으로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43)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하부의 절곡브래킷(49b);
    상기 상부나 하부의 절곡브래킷(49b)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43)의 상부면에 걸려서 고정되는 또 다른 브래킷 볼트(49c);
    상기 브래킷 볼트(49c) 및 또 다른 상기 브래킷 볼트(49c)들에 체결되는 너트(49d); 및
    상기 크로스 프레임(41) 및 베이스 프레임(43)의 길이방향을 따라 크로스 프레임(41)의 하부면 및 베이스 프레임(41)의 상부면에 홈형태로 제각기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 볼트(49c) 및 또 다른 상기 브래킷 볼트(49c)에 체결된 상기 너트(49d)가 삽입되며, 개방된 단부가 너트(49d)의 지름 보다 작게 형성되어 너트(49d)가 걸려서 고정되는 너트홀더(49e);를 포함하는 쉘터용 조립식 벽체.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볼트(67)의 양단을 제각기 차폐하는 차폐부재(68);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재(68)는,
    상기 인스톨빔(65)의 일측에 일단부가 걸려서 고정되고, 타단부가 인스톨빔(65)의 타측에 걸리면서 상기 관통볼트(67)의 일단부를 차폐하는 일단부 커버(68a); 및
    상기 인스톨빔(65)의 반대편 타측에 일단부가 걸려서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서브빔(66)의 일측에 걸리면서 상기 관통볼트(67)의 타단부를 차폐하는 타단부 커버(68b);를 포함하는 쉘터용 조립식 벽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64)의 측면을 지지하여 너트(64)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64a);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방지수단(64a)은,
    상기 지주(110)의 그루브(61)에 삽입되어 상기 롱볼트(63)에 체결되는 체결블록(64a-1); 및
    상기 체결블록(64a-1)에 돌출되어 상기 롱볼트(63)에 체결된 상기 너트(64)의 측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돌기(64a-2);를 포함하는 쉘터용 조립식 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61)에 결합되어 그루브(61)을 차폐하는 그루브차폐수단(64b);을 더 포함하며,
    상기 그루브차폐수단(64b)은,
    상기 그루브(61)에 삽입되어 그루브(61)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양측날개가 양측에 형성되고, 길게 형성된 몰드판(64b-1);
    상기 몰드판(64b-1)의 양측날개에 돌출형성되는 후크(64b-2); 및
    상기 그루브(61)의 양측면에 언더커팅되어 상기 후크(64b-2)가 걸리는 후크홀더(64b-3);를 포함하는 쉘터용 조립식 벽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유닛(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서포터(2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포터(27)는,
    상기 쉴드유닛(20)의 하부에 볼팅으로 고정되고, 양측날개(27c)가 하방을 향하며, 양측날개(27c)에 세레이션을 갖는 찬넬형태의 쉴드소켓(27a); 및
    상기 쉴드소켓(27a)의 양측날개(627c)에 끼워지는 관형태의 다리(27b);를 포함하는 쉘터용 조립식 벽체.
KR1020100119223A 2010-11-26 2010-11-26 쉘터용 조립식 벽체 KR101370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223A KR101370759B1 (ko) 2010-11-26 2010-11-26 쉘터용 조립식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223A KR101370759B1 (ko) 2010-11-26 2010-11-26 쉘터용 조립식 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478A KR20120057478A (ko) 2012-06-05
KR101370759B1 true KR101370759B1 (ko) 2014-04-04

Family

ID=4660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223A KR101370759B1 (ko) 2010-11-26 2010-11-26 쉘터용 조립식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7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3152B (zh) * 2017-10-27 2021-06-29 应用材料公司 用于无接触运输载具的***、以及用于在沉积***中无接触运输载具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281U (ko) * 1994-08-22 1996-03-15 버스 승차대
KR100194974B1 (ko) * 1995-09-13 1999-06-15 권동열 칸막이장치 및 그 조립방법
US20050072060A1 (en) 2003-09-23 2005-04-07 Moncho Fernando R. Shelter
JP2005139805A (ja) 2003-11-07 2005-06-02 Okamura Corp 共有空間構造体におけるパネル体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281U (ko) * 1994-08-22 1996-03-15 버스 승차대
KR100194974B1 (ko) * 1995-09-13 1999-06-15 권동열 칸막이장치 및 그 조립방법
US20050072060A1 (en) 2003-09-23 2005-04-07 Moncho Fernando R. Shelter
JP2005139805A (ja) 2003-11-07 2005-06-02 Okamura Corp 共有空間構造体におけるパネル体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478A (ko) 201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1895Y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101577633B1 (ko) 에어 포켓형 멤브레인이 적용되는 막 구조물의 프레임 연결구조
JP2014136956A (ja) 屋根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370759B1 (ko) 쉘터용 조립식 벽체
KR20160009981A (ko) 태양광 모듈 지지용 지지체 어셈블리
KR101632155B1 (ko) 설치가 간편한 케노피 구조물
JP6346755B2 (ja) 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
JP5110616B2 (ja) フェンス
JP2014212177A (ja) 太陽電池アレイの据付装置
JP2014148820A (ja) 太陽電池アレイの据付装置
KR101344679B1 (ko) 쉘터
JP2005155074A (ja) シェルター
JP2020084493A (ja) 簡易建物
JP2020084492A (ja) 簡易建物
JP4005473B2 (ja) 施工性のよいフエンス及びその施工方法
CN217581791U (zh) 一种装配式乡建用门斗结构
CN214785103U (zh) 一种幕墙立柱与主体的连接结构
JPH10306624A (ja) 骨組み用ジョイント並びにそれを用いた居住空間用骨組み及びテント
CN215671312U (zh) 一种利用楼座结构可拆卸可周转使用的安全防砸棚***
KR20040107996A (ko) 조립식 막 구조물 및 막 구조물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KR101198469B1 (ko) 쉘터용 조립식 골조
JPH0633059Y2 (ja) 外壁開口部の補強枠の構造
JP5485768B2 (ja) 防護柵及び防護柵の改修方法
JP2005090169A (ja) 防音パネルの落下防止装置及び落下防止装置を備えた防音パネル
JP2024081233A (ja) 柵用門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