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391B1 - 클리닝 헤드 - Google Patents

클리닝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391B1
KR101340391B1 KR1020060119708A KR20060119708A KR101340391B1 KR 101340391 B1 KR101340391 B1 KR 101340391B1 KR 1020060119708 A KR1020060119708 A KR 1020060119708A KR 20060119708 A KR20060119708 A KR 20060119708A KR 101340391 B1 KR101340391 B1 KR 101340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xhaust
duct
air suction
suc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1492A (ko
Inventor
마사아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휴글엘렉트로닉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글엘렉트로닉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휴글엘렉트로닉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21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14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cleaning by blowing-off,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3/00Accessorie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bility for machines or apparatus f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리닝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적절하게 부품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설정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에어 분출실(11) 및 에어 흡인실(12)를 내부에 가지고, 6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하면에 에어 분출구 및 에어 흡인구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헤드 본체(10)에 대하여, 커버부(20)와, 에어 분출실(11)과 연통되는 급기 덕트(30)와, 에어 흡인실(12)과 연통되는 하류측 배기 덕트(40)와, 에어 흡인실(12)과 연통되는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장착할 때, 커버부(20) 및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배기 방향과 급기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를 형성한다.
Figure R1020060119708
클리닝 헤드, 덕트, 흡인, 배기, 제진, 에어

Description

클리닝 헤드{CLEANING HEA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2의 (a)는 상면도, 도 2의 (b)는 전면도, 도 2의 (c)는 우측면도, 도 2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2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3은 에어 흡인실과 에어 분출실의 배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3의 (a)는 VPV에 대한 설명도, 도 3의 (b)는 PVP에 대한 설명도, 도 3의 (c)는 다른 VPV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4의 (a)는 상면도, 도 4의 (b)는 전면도, 도 4의 (c)는 우측면도, 도 4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4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5의 (a)는 상면도, 도 5의 (b)는 전면도, 도 5의 (c)는 우측면도, 도 5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5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6의 (a)는 상면도, 도 6의 (b)는 전면도, 도 6의 (c)는 우측면도, 도 6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6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7의 (a)는 상면도, 도 7의 (b)는 전면도, 도 7의 (c)는 우측면도, 도 7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7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8의 (a)는 상면도, 도 8의 (b)는 전면도, 도 8의 (c)는 우측면도, 도 8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8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9의 (a)는 상면도, 도 9의 (b)는 전면도, 도 9의 (c)는 우측면도, 도 9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9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10의 (a)는 상면도, 도 10의 (b)는 전면도, 도 10의 (c)는 우측면도, 도 10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10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11의 (a)는 상면도, 도 11의 (b)는 전면도, 도 11의 (c)는 우측면도, 도 11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11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12의 (a)는 상면도, 도 12의 (b)는 전면도, 도 12의 (c)는 우측면도, 도 12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12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헤드 본체 11: 에어 분출실
12: 에어 흡인실 13: 배출구
20: 커버부 30: 급기 덕트
4O: 상류측 배기 덕트 50: 하류측 배기 덕트
60: 배기 덕트용 실 70: 급기 덕트용 실
80: 헤드 본체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 11(1999)-253897호 공보(도 1)
본 발명은, 유리판·합성 수지판·금속판 등의 기판, 얇은 금속이나 종이, 수지 필름, 필름 상태의 금속(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피제진물(被除塵物)이라 한다)에 대향하여, 간단하게 청정 에어나 초음파 주파수로 진동하는 초음파 에어(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세정 에어 라 한다)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피제진물 표면에 부착되는 티끌이나 먼지 등을 비산시켜서 흡인하여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헤드에 관한 것이다.
클리닝 헤드에 관한 선행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일본국 특개평 11-253897호 공보)의 「제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진 장치에서는, 2대의 제진 장치를 연결하여 형성하고, 유리 기판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에 설치된 제진 장치의 압력측의 배관에 밸브를 설치한다. 유리 기판을 세정하는 경우에는, 상류측의 헤드부로부터 흡인하는 양을 저하시키지 않고 상류측의 헤드부로부터 배출되는 에어의 배출력을, 상기 밸브를 개방하는 것에 따라서 하류측의 헤드부로부터 배출되는 에어의 배출력보다 약하게 설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수단에 의해, 클리닝 헤드의 주위로 에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클리닝 헤드는, 각 공장에서의 배관 사정에 의해, 클리닝 헤드에의 급기구나 클리닝 헤드로부터의 배기구의 배치·방향이 결정된다. 이와 같은 클리닝 헤드는, 일반적으로 주문 생산되고, 고비용이며 납기일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개별적인 사정에 의해 구조가 좌우되는 클리닝 헤드일지라도 단기 납기, 저비용화하여 시장 경쟁력을 높이고자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부품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
적어도 각각 1개의 에어 분출실 및 에어 흡인실을 내부에 가지고, 6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하면에 에어 분출구 및 에어 흡인구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헤드 본체와,
에어 분출실과 연통되는 급기 덕트와,
에어 흡인실과 연통되는 배기 덕트
를 구비하고,
급기 덕트와 배기 덕트의 장착 방향을 바꾸어, 배기 방향과 급기 방향을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
제1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를 하나 배치한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
제1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2개를 배 치한 것으로서, 양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
제1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는 함께 에어 흡인실과 연통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서,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동시에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 그리고,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외부의 일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
제1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는 함께 에어 흡인실과 연통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서,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동시에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 그리고,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외부의 일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는 배기 덕트이며,
상기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함과 동시에, 에어가 유출되는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배기 덕트를 같은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
제1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는 함께 에어 흡인실과 연통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서,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동시에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 그리고,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외부의 일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는 배기 덕트이며,
상기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함과 동시에, 에어가 유출되는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배기 덕트를 반대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
제1 발명 내지 제6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출실은 좌우의 양측 개구면에 연통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헤드 본체의 좌우의 한쪽 개구면은 커버부에 의해 닫혀지고, 또한, 상기 헤드 본체의 다른 쪽 개구면에는 상기 급기 덕트가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부터 세정 에어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8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
제1 발명 내지 제6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출실은 좌우의 양측 개구면에 연통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헤드 본체의 좌우 양쪽의 개구면에는 상기 급기 덕트가 설치되어 2방향으로부터 세정 에어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
제1 발명 내지 제8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는, 제1 에어 분출실과 이것을 그 사이에 두는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이 제진 대상의 반송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
제1 발명 내지 제8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는, 제1 에어 흡인실과 이것을 그 사이에 두는 제1 에어 분출실, 제2 에어 분출실이 제진 대상의 반송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
제1 발명 내지 제10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는, 헤드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2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
제1 발명 내지 제9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헤드 본체의 앞면 및 후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클리닝 헤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2의 (a)는 상면도, 도 2의 (b)는 전면도, 도 2의 (c)는 우측면도, 도 2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2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이다. 도 3은 에어 분출실과 에어 흡인실의 배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3의 (a)는 VPV의 설명도, 도 3의 (b)는 PVP의 설명도, 도 3의 (c)는 다른 VPV의 설명도이다. 그리고, 「V」는 흡인(Vacuum)을, 「P」는 분출(pressure)을 의미하고 있다.
클리닝 헤드(1)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본체(10), 커버부(20), 급기 덕트(30), 상류측 배기 덕트(40), 하류측 배기 덕트(50), 배기 덕트용 실(60), 급기 덕트용 실(70)을 구비하고 있다. 클리닝 헤드(1)의 전후 좌우 상하의 위치 관계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다. 그리고, 전후 방향은 도시하지 않은 피제진물의 반송 방향과 대략 일치한다.
헤드 본체(1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의 (a)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 분출실(11), 에어 흡인실(12), 배출구(13)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 본체(10)의 형상으로서는 6면에 의해 형성되는 6면체이며, 도 1, 도 3의 (a)에서는 중앙에 에어 분출실(11)이 그 전후 양측에 에어 흡인실(12)이 벽에 의해 나누어져 형성되어 있다. 하면에는 헤드 본체(10)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도시하지 않는 평행한 3선의 직선형의 에어 분출구(11a) 및 에어 흡인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면 측에서는, 도 1, 도 3의 (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형의 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13)는 전후방향으로 2열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또한 좌우방향으로 2열로 배열되어, 합계 4개가 형성되어 있다. 앞쪽의 좌우 같은 열의 2개의 배출구(13)는 같은 앞쪽의 에어 흡인실(12)과 연통하고, 또 뒤쪽의 좌우방향으로 같은 열의 2개의 배출구(13)는 같은 뒤쪽의 에어 흡인실(12)과 연통한다. 또한, 헤드 본체(10)의 좌우 양쪽으로 에어 분출실(11)과 에어 흡인실(12)이 개구되어 있다. 헤드 본체(10)는, 도 3의 (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에어 분출실(11)과 이것을 그 사이에 두는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12)이 제진 대상의 반송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배열되어 에어 분출구(11a)의 전후 양쪽을 에어 흡인구(12a)가 그 사이에 두는 VPV 구조이다. 전후 2개의 배출구(13)는 각각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12)과 별개로 연통된다.
그리고, VPV 구조 이외에도, 예를 들면, 도 3의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에어 흡인실(12)과 이것을 그 사이에 두는 제1 에어 분출실, 제2 에어 분출실(11)이 제진 대상의 반송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배열되어 에어 흡인구(12a)의 전후 양쪽을 에어 분출구(11a)가 그 사이에 두는 PVP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후 2개의 급기구(14)는 각각 제1 에어 분출실, 제2 에어 분출실(11)과 별개로 연통되고, 도 1에서 나타낸 급기 덕트(30)는 그대로 배기 덕트로서 기능하고, 마찬가지로 상류측 배기 덕트(40)·하류측 배기 덕트(50)는 급기 덕트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하나의 에어 분출구(11a)와 하나의 에어 흡인구(12a)가 정렬된 PV구조 등 각종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VPV 구조를 채용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3의 (c)의 VPV 구조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커버부(20)는, 헤드 본체(10)의 에어 분출실(11)과 에어 흡인실(12)의 개구면을 막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급기 덕트(30)는 헤드 본체(10)의 에어 흡인실(12)의 개구면을 막는 동시에 에어 분출실(11)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커버부(20) 및 급기 덕트(30)를 헤드 본체(10)에 장착함으로써, 에어 분출실(11)과 에어 흡인실(12)이 형성된다. 에어 분출실(11)은 급기 덕트(30)의 통부와 유로를 형성하고, 에어 흡인실(12)은 배출구(13)와 유로를 형성한다.
상류측 배기 덕트(40)는,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하고, 대략 L자형의 유로가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로의 배출구(13)와 접속되는 입구는, 도 1에서 나타낸 배출구(13)를 전부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로는 배기 유로이며, 배기 유로는 출구로부터 가장 먼 부분으로부터 출구측으로 갈수록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직선형의 배출구(13)에서의 흡인력을 배출구(13)의 지점에 상관없이 균일하게 하고 있다.
하류측 배기 덕트(50)는,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하고, 대략 T자형의 유로가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로의 배출구(13)와 접속되는 입구는, 도 1에서 나타낸 배출구(13)를 전부 덮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로는 상측에서 배기 유로와 합류한다. 배기 유로는 상류측 배기 덕트(4O) 측에 배기 유로 입구가, 다른 쪽에 배기 유로 출구가 설치되고, 배기 유로 입구로부터 배기 유로 출구로 갈수록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류측 배기 덕트(50)는, 배기 유로 입구에서는 상류측 배기 덕트(40)의 배기구의 개구 면적과 동일하거나 조금 넓게 형성하고, 배기 유로 출구에서는 배기 유로 입구보다 넓어지도록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직선형의 좌우의 배출구(13)에서의 흡인력을 배출구(13)의 지점에 상관없이 균일하게 하고 있다.
이들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는, 고무 호스·금속제 배관 등의 통체(도시하지 않음)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통체는 같은 개구 면적이 된다. 이들 상류측 배기 덕트(40), 하류측 배기 덕트(50) 및 통체로 배기 덕트를 구성한다. 배기 덕트는 함께 에어 흡인실(12)과 연통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서,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고무 호스 등의 통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에, 그리고,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로부터 외부의 일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는 형태가 된다.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후 중 한쪽 또는 전후 양쪽의 에어 흡인구(12a)로부터의 흡인에는 피제진물의 크기가 클수록, 에어 흡인실(12)도 크게 형성할 필요가 있지만 좌우 방향의 압력 분포가 배출구(13)의 위치에 의하여 변화하여 균일한 흡인을 할 수 없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그 구성을 연구하고 있다.
(1) 배출구(13)를 길게 하고, 넓은 부분으로 흡인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배출구(13)에서의 흡인력을 위치에 따르지 않고 일정하게 설정하여 에어 흡인구(12a)로부터 일정한 힘으로 흡인하도록 배려하고 있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에 의한 배기 유로에서는, 배기 유로 선단의 개구 면적을 좁게 형성하고, 배기 유로 출구에 가까워질수록 개구 면 적이 넓어지도록 형성하고 있다.
(2) 또한, 상측에 있는 배출구로부터 하측의 흡인구까지의 사이에 거리를 둠으로써, 균일하게 흡인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점은, 헤드 본체(10)를 상하 방향, 즉 세로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배기 덕트용 실(60)은 헤드 본체(10)와 상류측 배기 덕트(40)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헤드 본체(10)와 상류측 배기 덕트(40)의 간극을 실링(sealing)한다. 마찬가지로 헤드 본체(1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헤드 본체(1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의 간극을 실링한다. 도 1에서는 상류측 배기 덕트(40)용의 배기 덕트용 실(60)과 하류측 배기 덕트(50)용의 배기 덕트용 실(60)의 형상이 상이하지만, 설계에 의해 형상을 동일하게 하여 공통화하면 비용 저감에 기여한다.
급기 덕트용 실(70)은 헤드 본체(10)와 커버부(20)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헤드 본체(10)와 커버부(20)의 간극을 실링한다. 마찬가지로 헤드 본체(10)와 급기 덕트(30)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헤드 본체(10)와 급기 덕트(30)의 간극을 실링한다. 급기 덕트용 실(70)에서는 급기 덕트(30)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만, 커버부(20)에서는 상기 구멍은 커버부(20)로 밀봉되고, 공통화를 실현하고 있다. 도 1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공통되는 형상으로 하면 비용 저감에 기여한다.
이와 같은 클리닝 헤드(1)에서는, 헤드 본체(10)는 압출 성형 또는 인발 성형(pultrusion)을 채용하고, 또한 커버부(20), 급기 덕트(30), 상류측 배기 덕 트(40), 하류측 배기 덕트(50)는 다이캐스트 성형을 채용하므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동시에 기계 가공을 매우 적어지도록 하였다.
클리닝 헤드(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1)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블로어(blower)로부터 HEPA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r Air Filter)를 통과한 청정 에어가 급기 덕트(30)에 공급된다. 상기 청정 에어는, 급기 덕트(30), 에어 분출실(11)을 통하여 에어 분출구(11a)로부터 분사된다. 세정 에어는, 도시하지 않은 제진 대상인 피제진물에 분사된다. 이 때 피제진물에 부착되는 먼지가 날려지지만, 헤드 본체(10)의 전후의 에어 흡인구(12a)에 흡인된다. 흡인된 배기 에어는, 에어 흡인실(12), 배출구(13)를 거쳐 상류측 배기 덕트(40), 하류측 배기 덕트(50)로부터 배출된다. 클리닝 헤드(1)의 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어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4의 (a)는 상면도, 도 4의 (b)는 전면도, 도 4의 (c)는 우측면도, 도 4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4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
앞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한쌍 구비하는 형태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를 하나 배치한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에어가 배기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배출 구(13)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면 중앙에서 전후방향으로 2열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또한 좌우방향으로 1열(합계 2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도 4의 (a), 4의 (b) 및 4의 (c)에서는 급기와 배기를 동일한 측에서 행하고 있다. 즉, 도시하지 않은 급기 호스와 배기 호스가 동일 측과 접속된다.
또한, 헤드 본체(10)는 좌우 양쪽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동일한 형상이므로,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래서, 도 4의 (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급기와 배기를 반대측에서 수행하도록 하거나, 도 4의 (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덕트(30)를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급기를 양쪽에서 수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은 공통 부품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구성하거나,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종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1)로서 형성된다.
이어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5의 (a)는 상면도, 도 5의 (b)는 전면도, 도 5의 (c)는 우측면도, 도 5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5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
앞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한쌍 구비하는 형태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를 2개 좌우 반대 방향으로 배치한 것으로서 좌우 양쪽에서 양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배출구(13)는 도 1과 마찬가지로 상면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2열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또한 좌우방향으로 2열로 배열되어, 합계 4개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도 5의 (a), 5의 (b) 및 5의 (c)에서는 급기를 한쪽에서, 또한, 배기를 양쪽에서 행하고 있다. 즉, 도시하지 않은 급기 호스는 한쪽에 접속되고, 배기 호스가 양쪽으로 접속된다.
또한, 헤드 본체(10)의 좌우 양쪽의 개구부는 동일한 형상이므로,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래서, 도 5의 (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급기를 반대측에서 수행하도록 하거나, 도 5의 (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덕트(30)를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급기와 배기를 함께 양쪽에서 수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형태는 상류측 배기 덕트(4O)를 여러개 준비하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들은 공통 부품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구성하거나,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종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1)로서 형성된다.
이어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6의 (a)는 상면도, 도 6의 (b)는 전면도, 도 6의 (c)는 우측면도, 도 6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6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
앞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측 배기 덕 트(4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한쌍 구비하는 형태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함께 에어 흡인실(12)과 연통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서,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도시하지 않은 통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에, 그리고,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로부터 외부의 일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도록 구성되는 배기 덕트이며, 이와 같은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함과 동시에, 에어가 유출되는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배기 덕트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배출구(13)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면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2열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또한 좌우방향으로 4열(합계 8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 경우, 헤드 본체(10)는 길게 형성된다. 도 6의 (a), 6의 (b) 및 6의 (c)에서는 급기 및 배기를 같은 한쪽에서 행하고 있다. 즉, 도시하지 않은 급기 호스 및 배기 호스는 같은 한쪽과 접속된다.
또한, 헤드 본체(10)의 좌우 양쪽의 개구부는 동일한 형상이므로,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래서, 도 6의 (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좌우로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급기와 배기를 반대측에서 수행하도록 하거나, 도 6의 (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덕트(30)를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급기를 양쪽으로, 또한, 배기를 한쪽에서 수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은 공통 부품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고,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정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종류를 용이하 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1)로서 형성된다.
이어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7의 (a)는 상면도, 도 7의 (b)는 전면도, 도 7의 (c)는 우측면도, 도 7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7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
앞의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에 의한 배기 덕트 2쌍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는 형태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함께 에어 흡인실(12)과 연통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서,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통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에, 그리고,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로부터 외부의 일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도록 구성되는 배기 덕트이며, 이와 같은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함과 동시에, 에어가 유출되는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배기 덕트를 반대 방향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배출구(13)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면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2열로 형성되고, 또한 좌우방향으로 4열(합계 8개) 배열하여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 경우, 헤드 본체(10)는 길게 형성된다. 도 7의 (a), 7의 (b) 및 7의 (c)에서는 급기를 한쪽에서, 또한, 배기를 양쪽에서 행하고 있다. 즉, 도시하지 않은 급기 호스는 한쪽에서, 또한, 배기 호스는 양쪽과 접속된다.
또한, 헤드 본체(10)의 좌우 양쪽의 개구부가 동일한 형상이므로,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래서, 도 7의 (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급기를 반대측에서 수행하도록 하거나, 도 7의 (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덕트(30)를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급기·배기 함께 양쪽으로 수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은 공통 부품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고,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정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종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1)로서 형성된다.
이어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8의 (a)는 상면도, 도 8의 (b)는 전면도, 도 8의 (c)는 우측면도, 도 8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8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
앞의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를 하나 상면에 배치한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에어가 배기되는 형태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의 하나를 앞면에, 또한 하나를 후면에 배치한 것으로서 동일한 일방향으로 에어가 배기되는 형태이다.
도 8에서 나타낸 헤드 본체(80)는, 상세하게는, 도 3의 (c)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 분출실(11), 에어 흡인실(12), 배출구(13)를 구비하고, 중앙에 에어 분출실(11)이, 그 전후 양측에 에어 흡인실(12)이 형성되어 있다. 하면 측에서는 헤드 본체(80)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3선의 직선형의 에어 분출구(11a) 및 에어 흡인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직선형의 배출구(13)는, 앞면 중앙 및 후면 중앙에 각각에 일렬 구비되는 형태이다. 또한, 헤드 본체(80)의 좌우 양쪽으로 에어 분출실(11)과 에어 흡인실(12)은 개구되어 있다. 이 경우, 헤드 본체(80)에 형성되는 분출구(11a)와 흡인구(12a)는, 도 3의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배열되어 에어 분출구(11a)의 양쪽을 에어 흡인구(12a)가 그 사이에 두는 VPV 구조로만 된다. 도 8의 (a), 8의 (b) 및 8의 (c)에서는 급기와 배기를 동일한 측에서 행하고 있다. 즉, 도시하지 않은 급기 호스와 배기 호스가 동일한 측과 접속된다.
또한, 헤드 본체(80)의 좌우 양쪽의 개구부는 동일한 형상이므로,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래서 도 8의 (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급기와 배기를 반대측에서 수행하도록하거나, 도 8의 (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덕트(30)를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배기를 한쪽에서, 또한, 급기를 양쪽에서 수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은 공통 부품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고,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정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종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1)로서 형성된다.
이어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9의 (a)는 상면도, 도 9의 (b)는 전면도, 도 9의 (c)는 우측면도, 도 9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9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
앞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상면에서 한쌍 구비하는 형태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함께 에어 흡인실(12)과 연통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서,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통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로, 그리고,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로부터 외부의 일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는 배기 덕트로서, 상기 배기 덕트를 앞면 및 후면에서 2개 배치함과 동시에, 에어가 유출되는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배기 덕트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는 형태가 된다.
도 9에서 나타낸 헤드 본체(80)는, 상세하게는, 도 3의 (c)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 분출실(11), 에어 흡인실(12), 배출구(13)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의 (c)에서는, 중앙에 에어 분출실(11)이, 그 전후 양측에 에어 흡인실(12)이 형성되어 있다. 하면 측에서는 헤드 본체(80)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의 에어 분출구(11a) 및 에어 흡인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직선형의 배출구(13)는, 앞면 중앙 및 후면 중앙의 각각에 좌우방향으로 2열로 구비되는 형태이다. 또한, 헤드 본체(80)의 좌우 양쪽으로 에어 분출실(11)과 에어 흡인실(12)은 개구되어 있다. 이 경우, 헤드 본체(80)에 형성되는 분출구(11a)와 흡인구(12a)는, 도 3의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배열되어 에어 분출구(11a)의 양쪽을 에어 흡인구(12a)가 그 사이에 두는 VPV 구조로만 된다. 도 9의 (a), 9의 (b) 및 9의 (c)에서는 급기와 배기를 동일한 측에서 행하고 있다. 즉, 도시하지 않은 급기 호스와 배기 호스가 동일 측과 접속된다.
또한, 헤드 본체(80)의 좌우 양쪽의 개구부는 동일한 형상이므로,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래서, 도 9의 (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급기와 배기를 반대측에서 수행하도록 하거나, 도 9의 (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덕트(30)를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배기를 한쪽에서, 또한, 급기를 양쪽으로 수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형태는 상류측 배기 덕트(40) 및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여러개 준비하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들은 공통 부품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고,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정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종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1)로서 형성된다.
이어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10의 (a)는 상면도, 도 10의 (b)는 전면도, 도 10의 (c)는 우측면도, 도 10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10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
앞의 실시예에서는,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상면에 있어서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를 2개 좌우 반대 방향으로 배치한 것으로서 좌우 양쪽으로 양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도록 한 덕트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배기 덕트를 앞면에 2개 및 후면에 2개의 합계 4개 배치함과 동시에, 에어가 유출되는 방향을 역으로 배치하는 형태가 된다. 도 10에서 나타낸 헤드 본체(80)는, 도 9에서 나타낸 헤드 본체(80)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헤드 본체(80)의 좌우 양쪽의 개구부는 동일한 형상이므로,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래서, 도 10의 (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급기를 반대측에서 수행하도록 하거나, 도 10의 (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덕트(30)를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배기 및 급기를 양쪽에서 수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형태는 상류측 배기 덕트(40)를 여러개 준비하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들은 공통 부품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고,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정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종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1)으로서 형성된다.
이어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11의 (a)는 상면도, 도 11의 (b)는 전면도, 도 11의 (c)는 우측면도, 도 11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11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
앞의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에 의한 배기 덕트 2쌍을 상면에 있어서 같은 방향으로 배치하는 형태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함께 에어 흡인실(12)과 연통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서,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통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로, 그리고,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로부터 외부의 일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도록 구성되는 배기 덕트이며, 이와 같은 배기 덕트를 앞면 및 후면에 있어서 각각 2개 배열하여 합계 4개 배치함과 동시에, 에어가 유출되는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배기 덕트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배출구(13)는 앞면에 좌우 방향으로 4열 및 후면에 좌우 방향으로 4열 구비하는 형태이다. 이 경우, 헤드 본체(80)는 길게 형성된다. 도 11의 (a), 11의 (b) 및 11의 (c)에서는 급기 및 배기는 동일한 측에서 행하고 있다. 즉, 도시하지 않은 급기 호스 및 배기 호스는 동일 측과 접속된다.
또한, 헤드 본체(80)의 좌우 양쪽의 개구부는 서로 동일한 형상이므로,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래서, 도 11의 (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급기와 배기를 반대측에서 수행하도록 하거나, 도 11의 (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덕트(30)를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배기를 한쪽에서, 급기를 양쪽에서 수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은 공통 부품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고,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정 가능하고, 다양한 종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1)로서 형성된다.
이어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12의 (a)는 상면도, 도 12의 (b)는 전면도, 도 12의 (c)는 우측면도, 도 12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12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
앞의 실시예에서는, 도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에 의한 배기 덕트 2쌍을 앞면에, 또한, 배기 덕트 2쌍을 후면에 각각 배치하고, 배기 덕트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는 형태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함께 에어 흡인실(12)과 연통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서,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통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로, 그리고,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로부터 외부의 일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도록 구성되는 배기 덕트이며, 이와 같은 배기 덕트를 앞면 및 후면에 있어서 각각 좌우방향으로 2개 배열하여 합계 4개 배치함과 동시에, 에어가 유출되는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배기 덕트를 반대 방향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배출구(13)는 앞면에 4열 및 후면에 4열 구비되는 형태이다. 이 경우, 헤드 본체(80)는 길게 형성된다. 도 12의 (a), 12의 (b) 및 12의 (c)에서는 급기를 한쪽에서, 또한, 배기를 양쪽에서 행하고 있다. 즉, 도시하지 않은 급기 호스는 한쪽에서, 또한, 배기 호스는 양쪽과 접속된다.
또한, 헤드 본체(80)는 좌우의 양쪽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동일 한 형상이므로,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래서, 도 12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급기를 반대측에서 수행하도록 하거나, 도 12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덕트(30)를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급기 및 배기를 양쪽에서 수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은 공통 부품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고,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정 가능하고, 다양한 종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1)로서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1)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헤드 본체(10, 80), 커버부(20), 급기 덕트(30), 상류측 배기 덕트(40), 하류측 배기 덕트(50), 배기 덕트용 실(60), 급기 덕트용 실(70)은 공통 부품을 적절하게 선택한 후에 조립되어 다양한 종류의 클리닝 헤드(1)를 형성하는 형태를 채용한다. 그러므로 공통 부품을 사전에 대량으로 제조해 두면 되고, 부품 제조 시의 비용·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커버부(20), 급기 덕트(30), 상류측 배기 덕트(40), 하류측 배기 덕트(50)는, 종래에는 판금, 기계가공으로 제작되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다이케스트로 성형함으로써 비용 저감·제작 시간 단축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에어의 배기 방향이나 급기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1)를 형성할 수 있고, 종래에는 개개의 사정에 의한 특별 주문품으로서 대응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표준품을 취급할 수 있어서, 납기의 단축에 기여한다.
또한, 배기 덕트가 상면에 장착되는 형태에서는, 전후의 에어 흡인구(12a) 또는 배출구(13)의 전후 방향의 폭(슬릿폭)을 상이한 폭으로 설정함으로써, 전후의 배기량을 바꿀 수 있다.
또한, 배기 덕트를 전후의 측면에 장착하는 경우도, 전후의 에어 흡인구(12a) 또는 배출구(13)의 슬릿폭을 상이하게 설정함으로써 전후의 배기량을 바꿀 수 있음은 물론, 에어 흡인구(12a)나 배출구(13)의 슬릿폭을 동일하게 설정하고, 한쪽 배관 또는 양쪽 배관에 밸브를 개재시켜 배기량이 상이하게 되도록 조절함으로써도 전후의 에어 흡인구(12a)의 배기량을 원하는 양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를 제공한다.

Claims (12)

  1. 외관이 6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그 내부에서 제1 에어 분출실과, 상기 제1 에어 분출실을 사이에 두는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이 제진 대상의 반송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좌우에서 각각 연통하는 개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분출실은 좌우의 양쪽 개구면에 연통하고, 상기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은 상면의 배출구에 연통하고, 하면에 1개의 에어 분출구 및 상기 에어 분출구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에어 흡인구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헤드 본체;
    좌우의 한쪽의 개구면이 폐색(閉塞)되는 헤드 본체의 다른 쪽의 개구면에서 제1 에어 분출실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좌우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세정 에어가 유입하는 급기 덕트; 및
    상기 헤드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과 상면의 배출구에서 연통하고,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으로 배기 에어가 배출되는 배기 덕트;
    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급기 덕트의 장착 개소의 변경 및 상기 배기 덕트의 장착 방향의 변경을 행하여, 급기 방향 및 배기 방향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한,
    클리닝 헤드.
  2. 외관이 6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그 내부에서 제1 에어 분출실과, 상기 제1 에어 분출실을 사이에 두는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이 제진 대상의 반송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좌우에서 각각 연통하는 개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분출실은 좌우의 양쪽 개구면에 연통하고, 상기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은 각각 전면(前面) 및 후면(後面)의 배출구에 연통하고, 하면에 1개의 에어 분출구 및 상기 에어 분출구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에어 흡인구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헤드 본체;
    좌우 중 한쪽의 개구면이 폐색(閉塞)되는 헤드 본체의 다른 쪽의 개구면에서 제1 에어 분출실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좌우 방향 중 한쪽으로부터 세정 에어가 유입하는 급기 덕트; 및
    상기 헤드 본체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어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과 전면 및 후면의 배출구에서 각각 연통하고,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으로 배기 에어가 배출되는 배기 덕트;
    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급기 덕트의 장착 개소의 변경 및 배기 덕트의 장착 방향의 변경을 행하여, 급기 방향 및 배기 방향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한,
    클리닝 헤드.
  3. 외관이 6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그 내부에서 제1 에어 분출실과, 상기 제1 에어 분출실을 사이에 두는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이 제진 대상의 반송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좌우에서 각각 연통하는 개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분출실은 좌우의 양쪽 개구면에 연통하고, 상기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은 상면의 배출구에 연통하고, 하면에 1개의 에어 분출구 및 상기 에어 분출구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에어 흡인구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헤드 본체;
    상기 헤드 본체의 좌우 양쪽의 개구면에서 제1 에어 분출실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좌우 방향의 2 방향으로부터 세정 에어가 유입하는 급기 덕트; 및
    상기 헤드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과 상면의 배출구에서 연통하고,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으로 배기 에어가 배출되는 배기 덕트;
    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배기 덕트의 장착 방향의 변경을 행하여, 급기 방향을 양(兩) 방향으로, 또는, 상기 배기 방향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한,
    클리닝 헤드.
  4. 외관이 6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그 내부에서 제1 에어 분출실과, 상기 제1 에어 분출실을 사이에 두는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이 제진 대상의 반송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좌우에서 각각 연통하는 개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분출실은 좌우의 양쪽 개구면에 연통하고, 상기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은 각각 전면(前面) 및 후면(後面)의 배출구에 연통하고, 하면에 1개의 에어 분출구 및 상기 에어 분출구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에어 흡인구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헤드 본체;
    상기 헤드 본체의 좌우 양쪽의 개구면에서 제1 에어 분출실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좌우 방향의 2 방향으로부터 세정 에어가 유입하는 급기 덕트; 및
    상기 헤드 본체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과 전면 및 후면의 배출구에서 각각 연통하고,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으로 배기 에어가 배출되는 배기 덕트;
    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배기 덕트의 장착 방향의 변경을 행하여, 급기 방향을 양(兩) 방향으로, 또는, 배기 방향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한,
    클리닝 헤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를 1개 배치한 것이며 좌우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에어가 배출되는, 클리닝 헤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를 2개 반대 방향을 향해서 배치한 것이며, 좌우 방향의 양(兩) 방향으로 에어가 배출되는, 클리닝 헤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는 모두 에어 흡인실과 연통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 상기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 또한 상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외부로, 좌우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에어가 배출되는, 클리닝 헤드.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는 모두 에어 흡인실과 연통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 상기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 또한, 상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외부로, 좌우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에어가 배출되는 배기 덕트로 하고,
    상기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하는 동시에, 에어가 유출되는 방향을 동일하게 하도록 배기 덕트를 좌우 방향에서 같은 방향으로 배치하는, 클리닝 헤드.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는 모두 에어 흡인실과 연통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 상기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 또한, 상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외부로, 좌우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에어가 배출되는 배기 덕트로 하고,
    상기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하는 동시에, 에어가 유출되는 방향을 역(逆)으로 하도록 배기 덕트를 좌우 방향에서 역 방향으로 배치하는, 클리닝 헤드.
  10. 외관이 6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그 내부에서 제1 에어 흡인실과, 상기 에어 흡인실을 사이에 두는 제1 에어 분출실, 제2 에어 분출실이 제진 대상의 반송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좌우에서 각각 연통하는 개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흡인실은 좌우의 양쪽 개구면에 연통하고, 상기 제1 에어 분출실, 제2 에어 분출실은 상면의 공급구에 연통하고, 하면에 1개의 에어 흡인구 및 상기 에어 흡인구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에어 분출구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헤드 본체;
    상기 헤드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에어 분출실, 제2 에어 분출실과 상면의 공급구에서 연통하고,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세정 에어가 공급되는 급기 덕트; 및
    좌우의 한쪽의 개구면이 폐색되는 헤드 본체의 다른 쪽의 개구면에서 상기 제1 에어 흡인실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좌우 방향 중 한쪽으로부터 배기 에어가 배출되는 배기 덕트;
    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급기 덕트의 장착 방향의 변경 및 상기 배기 덕트의 장착 개소의 변경을 행하여, 급기 방향 및 배기 방향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한,
    클리닝 헤드.
  11. 외관이 6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그 내부에서 제1 에어 흡인실과, 상기 에어 흡인실을 사이에 두는 제1 에어 분출실, 제2 에어 분출실이 제진 대상의 반송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좌우에서 각각 연통하는 개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흡인실은 좌우의 양쪽 개구면에 연통하고, 상기 제1 에어 분출실, 제2 에어 분출실은 상면의 공급구에 연통하고, 하면에 1개의 에어 흡인구 및 상기 에어 흡인구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에어 분출구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헤드 본체;
    상기 헤드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에어 분출실, 제2 에어 분출실과 상면의 공급구에서 연통하고,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세정 에어가 공급되는 급기 덕트; 및
    상기 헤드 본체의 좌우 양쪽의 개구면에서 상기 제1 에어 흡인실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2 방향으로부터 배기 에어가 배출되는 배기 덕트;
    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급기 덕트의 장착 방향의 변경을 행하여, 배기 방향을 양(兩) 방향으로, 또는, 급기 방향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한,
    클리닝 헤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덕트는 모두 에어 흡인실과 연통하는 T자형의 상류측 급기 덕트와 L자형의 하류측 급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 상기 T자형의 상류측 급기 덕트와 L자형의 하류측 급기 덕트를 연결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T자형의 상류측 급기 덕트로, 또한, 상기 T자형의 상류측 급기 덕트로부터 L자형의 하류측 급기 덕트로, 좌우 방향 중 한 방향으로부터 에어가 유입하는, 클리닝 헤드.
KR1020060119708A 2006-06-21 2006-11-30 클리닝 헤드 KR101340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70949A JP4771419B2 (ja) 2006-06-21 2006-06-21 クリーニングヘッド
JPJP-P-2006-00170949 2006-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492A KR20070121492A (ko) 2007-12-27
KR101340391B1 true KR101340391B1 (ko) 2013-12-11

Family

ID=38990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708A KR101340391B1 (ko) 2006-06-21 2006-11-30 클리닝 헤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71419B2 (ko)
KR (1) KR101340391B1 (ko)
CN (1) CN101091951B (ko)
TW (1) TW2008004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491B1 (ko) * 2015-04-20 2017-06-27 주식회사하나스틸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5259A (ja) * 2010-05-13 2011-11-24 Sawa Corporation 付着物除去装置
JP6058312B2 (ja) * 2012-08-06 2017-01-11 ヒューグル開発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ヘッド
JP6574555B2 (ja) * 2014-08-06 2019-09-11 株式会社Trinc 横方向除塵装置
JP6465489B2 (ja) * 2015-10-23 2019-02-06 ヒューグル開発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ヘッドおよび清掃方法
CN107234101A (zh) * 2017-07-28 2017-10-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板清洗装置
CN107900029B (zh) * 2017-11-27 2024-04-09 江西合力泰科技有限公司 自动贴片机的表面处理机构
CN111299245A (zh) * 2018-12-11 2020-06-19 韶阳科技股份有限公司 气体循环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5960A (ja) * 1992-11-27 1994-06-14 Hiyuuguru Electron Kk 吸引ノズル、超音波除塵ノズル及び超音波除塵装置
JP2004041851A (ja) * 2002-07-09 2004-02-12 Hugle Electronics Inc 除塵ヘッド
JP3653198B2 (ja) * 1999-07-16 2005-05-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乾燥用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乾燥装置ならびに洗浄装置
KR100530779B1 (ko) * 1999-01-26 2005-11-23 휴글엘렉트로닉스가부시키가이샤 기판용 반송제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393A (ja) * 1990-05-22 1992-01-30 Iseki & Co Ltd 植物細胞への遺伝子導入法
JPH06262149A (ja) * 1993-03-15 1994-09-20 Satako Eng:Kk 集束超音波によるクリーニング方法
JPH0738284A (ja) * 1993-07-23 1995-02-07 Nec Ibaraki Ltd 異物除去装置
CN2260280Y (zh) * 1996-01-10 1997-08-20 王冬来 燃气热水器排气罩
JP2000005715A (ja) * 1998-06-25 2000-01-11 Huegle Electronics Kk 除塵装置
JP2000084510A (ja) * 1998-09-10 2000-03-28 Huegle Electronics Kk 基板用搬送除塵装置
JP2000124180A (ja) * 1998-10-20 2000-04-28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基板処理装置
JP2006142178A (ja) * 2004-11-18 2006-06-08 Okatsune Haguruma Seisakusho:Kk パネル状体洗浄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5960A (ja) * 1992-11-27 1994-06-14 Hiyuuguru Electron Kk 吸引ノズル、超音波除塵ノズル及び超音波除塵装置
KR100530779B1 (ko) * 1999-01-26 2005-11-23 휴글엘렉트로닉스가부시키가이샤 기판용 반송제진장치
JP3653198B2 (ja) * 1999-07-16 2005-05-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乾燥用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乾燥装置ならびに洗浄装置
JP2004041851A (ja) * 2002-07-09 2004-02-12 Hugle Electronics Inc 除塵ヘッ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491B1 (ko) * 2015-04-20 2017-06-27 주식회사하나스틸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91951B (zh) 2012-04-18
JP2008000659A (ja) 2008-01-10
TW200800427A (en) 2008-01-01
CN101091951A (zh) 2007-12-26
JP4771419B2 (ja) 2011-09-14
TWI321498B (ko) 2010-03-11
KR20070121492A (ko)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391B1 (ko) 클리닝 헤드
JP6058312B2 (ja) クリーニングヘッド
JP3737869B2 (ja) プロセスガス供給ユニット
CN112474191B (zh) 一种狭缝涂布模头
JP2010058057A (ja) 除塵装置
JP2008201588A (ja) 流体または粉体搬送装置
CN104064536A (zh) 冷却器
KR20090047382A (ko) 제진 장치
RU2004109151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материала путем создания плоской струи
US10544509B2 (en) Film forming device
US20190178145A1 (en) Exhaust gas dispersion device for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US4848440A (en) Mold core setter with improved vacuum system
EP1568927B1 (en) Fluid control device
EP0999053A3 (en) Micro injecting device
JPH0632812Y2 (ja) スリットノズル装置
CN109715959B (zh) 利用型材的真空泵
JP2022120899A (ja) スプレーノズル、塗布装置および塗布膜付き部材の製造方法
EP2550140B1 (en) Sheet forming apparatus for use with doctor blade
KR100827953B1 (ko) 차량의 흡기장치용 흡기구
JP2021020188A (ja) スリットノズル
JP2014036943A (ja) 塗装ブース
US20080146141A1 (en) Air shower apparatus
JP4673261B2 (ja) 塗工装置
JP4606157B2 (ja) ダイヘッド
CN217429896U (zh) 一种用于清洁机的分液器及地刷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