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146B1 -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과 가식 사출성형 물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전사 필름 - Google Patents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과 가식 사출성형 물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전사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146B1
KR101184146B1 KR1020077006855A KR20077006855A KR101184146B1 KR 101184146 B1 KR101184146 B1 KR 101184146B1 KR 1020077006855 A KR1020077006855 A KR 1020077006855A KR 20077006855 A KR20077006855 A KR 20077006855A KR 101184146 B1 KR101184146 B1 KR 101184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lastic material
decorative element
plastic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7107A (ko
Inventor
우베 루터
안드레아스 히르세펠더
Original Assignee
레오나르트 쿠르츠 스티프퉁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오나르트 쿠르츠 스티프퉁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레오나르트 쿠르츠 스티프퉁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67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2045/14237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outside the mould or mould cavity
    • B29C2045/14245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outside the mould or mould cavity using deforming or preforming means outside the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88Coating articles provided with a decoration
    • B29C2045/14696Coating articles provided with a decoration transparent decorate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6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41Trim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2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29L2031/7224Hol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 및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의 인몰드 기술에 의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특히 고도로 가교된 플라스틱 재료의 방출층을 갖는 IMD-가능한 전사 필름이 사용된다. 형성된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은 전사 필름의 전사층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 필름 웹과 선택적으로 접합되는 가식적 요소의 양면 코팅에 기초하여 고수준의 광학 품질을 갖고, 사출성형에 의해 사출성형 물품용 가식을 제공한다.
사출성형, 가식

Description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과 가식 사출성형 물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전사 필름{Decorated injection-moulded article, method for producing one such article, and a transfer film for using in one such method}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사출된 플라스틱 재료와, 그에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접합된 적어도 하나의 가식적 요소로 형성되고, 또한 전사 필름의 전사층에 의해 형성되며, 사출성형 물품용 가식을 제공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사필름의 전사층에 의해 형성되고, 사출성형 물품용 가식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식적 요소를 사용하여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가식적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사출성형 틀 내에 배치되고,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사출성형 틀은 플라스틱 사출 재료로 채워진다. 사출성형품에 대한 가식 방법은 통상 인몰드(inmold) 가식방법 또는 IMD 사출성형방법으로 칭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사용되기 위한 전사필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사필름은 적어도 캐리어 필름, 캐리어 필름상에 배치된 방출층 및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방출층의 측면부에 배치된 전사층을 가식적 요소로서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방출층에 접하는 전사층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층, 상기 제2 층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식층 및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전사 필름의 측면부 상에서 상기 가식층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을 구비한다.
상기한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 그 제조 방법 및 인몰드 가능한 전사필름 또는 IMD필름은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다. 즉, DE 102 21 482 C1에는 캐리어 필름과 가식층을 포함하는 스탬핑(stamping) 필름으로 인몰드 사출에 의해 가식되는 경화 사출성형 재료를 포함하는 사출품을 생산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스탬핑 필름은 사출성형 툴 내부로 도입되고, 상기 스탬핑 필름의 가식층은 그 틀의 상부를 향하게 된다. 사출경로를 통해 상기 장치의 사출성형 틀 공동(cavity)으로 사출성형 재료가 사출될 때, 스탬핑 필름은 사출성형되는 부분의 가시면으로 밀접하게 점착된다. 이 과정에서 스탬핑 필름은 경화 후 사출성형 틀로부터 제거되는 사출성형 재료에 접합된다. 캐리어 필름이 가식층으로부터 탈착된 후, 가식성형이 종료된다. 상기 방식으로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은 특히, 도어 스트립,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스트립, 변속레버 커버 및 중앙 콘솔 커버와 같은 자동차 내부 부품 및 도어 램 가드 스트립, A, B, C 필러(pillar)의 커버 및 라디오와, 텔레비젼의 케이스 상의 가식용 스트립에 관련된 오디오 및 비디오 분야와 같은 자동차 외부 부품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다수의 추가적 사용분야가 있다.
DE 102 36 810 A1에는 사출성형 틀에 사용되기 적합한 부분적으로 구조화된 다층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IMD-가능한 다층 필름 또는 사출성형된 부분의 인몰드 가식용 다층 필름은 사출성형된 부분에 전사하기 위한 가식층이 구비된 캐리어 필름을 보유한다. 상기 캐리어 필름은 사출성형된 본체에 가식적 요소가 부가된 후에 제거된다. 상기 가식적 요소는 방출층, 보호 래커층(lacquer layer), 공간적인 구조를 갖는 구조층, 중간층, 반사층 및 점착제층을 갖는다. 상기 방출층은 가식적 요소를 캐리어로부터 방출하는 경우에 작용하며, 통상 왁스 재료를 포함한다.
JP 62128720A에는 IMD필름이 일반적으로 필름 전진 장치에 의해 사출성형 틀의 고정부 및 이동부 사이로 안내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적층(lamination)에 의해 적용되는 가식적 필름 영역 내에 개별적인 이미지를 표현하는 경우에, IMD필름은 사출성형 틀이 닫히기 이전에 IMD필름 상에 있는 센서 및 위치 표시에 의해 사출성형 틀에 비해 정확한 자리에 위치하게 되고, 고온의 플라스틱 사출 재료가 IMD필름 후방으로 사출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가식(加飾)적 요소로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의 작업효율 및 광학적 품질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가식적 요소로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의 생산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상기한 광학적 품질 및 작업 효율이 개선된 사출성형 물품의 생산이 간단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제조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전사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적어도 하나의 사출된 플라스틱 재료와, 상기 플라스틱 재료에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연결되고, 전사필름의 전사층에 의해 형성되며, 사출성형된 물품에 가식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식적 요소로 형성된,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을 제공하는 목적은 다음 방법으로 달성된다. a)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식적 요소의 양 측면부가 적어도 하나의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거나, 또는 b)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식적 요소의 제1 측면부가 적어도 하나의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식적 요소의 제2 측면부가 딥 드로잉(deep drawing)에 의해 3차원적으로 성형된 열가소성 보조 필름 웹(web)상에 배치되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식적 요소로부터 멀리 떨어진 보조 필름 웹의 측면부는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게 된다.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재료를 가식적 요소의 양 측면부 또는 보조 필름 웹상에 배치된 가식적 요소에 적용하면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의 광택, 표면 품질 및 가시면의 깊이 효과면에서 매우 높은 수요를 만족시키는 가식적 성분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가식에 대해 달성될 수 있는 삼차원적 효과는 통상의 IMD 기술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생산된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의 깊이 효과를 능가한다. 제1 가식적 요소 또는 보조 필름 웹을 포함하는 제1 가식적 요소에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재료를 양 측면부로 적용하면 가식적 요소의 표면이 기계적 또는 부식성 공격으로부터 보호되고, 따라서, 그 가식적 외관이 장기간동안 변화없이 유지된다.
전사필름의 전사층에 의해 형성되고, 사출성형된 물품에 가식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식적 요소를 사용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의 생산방법에 있어서, 상기의 적어도 하나의 가식적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사출성형 틀 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사출성형 틀은 플라스틱 사출 재료로 채워지는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은 다음 방법으로 달성된다. a)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식적 요소의 양 측면부가 플라스틱 사출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거나, 또는 b) 제1 및 제2 측면부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식적 요소는 상기 제2 측면부가 열가소성 보조 필름 웹에, 특히 스탬핑에 의해 기계적으로 고정되며, 제1 가식적 요소를 포함하는 보조 필름 웹은 딥 드로잉에 의해 3차원적으로 성형되고, 그리고 제1 가식적 요소의 제1 측면부와 제1 가식적 요소로부터 떨어져 있는 보조 필름 웹의 측면부가 플라스틱 사출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게 된다.
상기한 종류의 방법은, 이미 상기한 바와 같이, 높은 광학적 품질 및 탁월한 작업 효율을 갖는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신속하고 저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보조 필름 웹은 바람직하게는 175 내지 1200 ㎛ 범위의 층 두께를 갖는다. 적합한 보조 필름 웹은 적어도 딥 드로잉 작업 후에 일정 강성도를 갖는다. 보조 필름 웹으로 바람직한 재료는 ABS, ASA, PC, PMMA, PS, PBT 또는 이들 재료의 혼합물이고, 특히 ABS/PC 블렌드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PP 또는 PE같은 열가소성 올레핀(TPO)이 적합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보조 필름 웹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식적 요소로서, 적어도 캐리어 필름, 상기 캐리어 필름상에 배치된 방출층 및 상기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방출층의 측면부에 배치된 전사층을 가식적 요소로서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전사층은 방출층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층, 상기 제 2층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식층, 및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전사필름의 측면부상에서 상기 가식층과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층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사필름을 제공하는 목적은 방출층을 조사 경화(radiation hardening), 이소시아네이트 경화 또는 산 경화에 의해 고도로 가교(cross-linking)된 플라스틱층으로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한 종류의 방출층은 잔여물 없이 전사층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사층의 제2 층은 플라스틱 사출 재료와 만족스럽게 접합될 수 있다. 통상 채용되는 왁스같은 또는 실리콘 함유한 방출층을 사용하면, 제2 층상의 또는 제2 층과 플라스틱 사출 재료간의 잔여물이 점착 문제 및 광학적 불규칙성을 야기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고 광학적 품질 및 작업 효율을 갖는 사출성형 물품의 생산이 가능하고, 이들은 전사 필름으로 만족스럽게 가식된다.
(a)경우의 방법에 있어서, 전사필름을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을 생산하는데 적절히 사용하면 가치가 있다고 증명되었는데, 상기 전사 필름은 적어도 캐리어 필름, 캐리어 필름 상에 배치된 방출층 및 상기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방출층의 측면부에 배치된 전사층을 제1 가식적 요소로서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전사 필름은 제1 사출성형 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사출성형 틀은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전사 필름의 측면부가 제1 플라스틱 사출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는 방식으로 제1 플라스틱 사출 재료에 의해 채워지며, 여기서, 상기 제1 플라스틱 사출 재료는 경화되어 제1 플라스틱 재료를 공급하고, 그에 접합된 전사 필름을 포함하는 제1 플라스틱 재료는 상기 제1 사출성형 틀에서 인출되고, 방출층을 포함하는 상기 캐리어 필름은 전사 필름으로부터 제거되며, 또한, 여기서 상기 방식으로 전사층으로 가식된 제1 플라스틱 재료는 제2 사출성형 틀 내에 배치되고, 제1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덮이지 않은 전사층의 적어도 측면부가 제2 플라스틱 사출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출(over-injected)된다.
(b)경우의 방법에 있어서, 전사 필름이,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면 가치있다고 증명되었는데, 상기 전사 필름은, 적어도 캐리어 필름, 상기 캐리어 필름 상에 배치된 방출층 및 상기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방출층의 측면부에 배치된 전사층을 제1 가식적 요소로서 구비하고, 상기 전사 필름은 상기 보조 필름 웹 상에 스탬핑되어 상기 전사층이 상기 보조 필름 웹에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접합되고, 상기 전사 필름을 포함하는 상기 보조 필름 웹은 딥 드로잉된 후, 제1 사출성형 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사출성형 틀은 상기 제1 플라스틱 사출 재료로 채워져서 전사 필름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보조 필름 웹의 측면부상에서 상기 보조필름 웹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플라스틱 사출 재료로 덮이고, 상기 제1 플라스틱 사출 재료는 경화되어 제1 플라스틱 재료를 제공하고, 그에 접합된 전사 필름을 포함하는 제1 플라스틱 재료는 제1 사출성형 틀에서 인출되고, 방출층을 포함하는 상기 캐리어 필름은 제거되며, 상기 방식을 통해 전사층으로 가식된 제1 플라스틱 재료는 제2 사출성형 틀 내에 배치되고, 여전히 덮이지 않은 전사층의 적어도 측면부가 제2 플라스틱 사출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출된다.
(a)경우에 있어, 제1 가식적 요소의 양 측면부 중 하나가 제1 플라스틱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고, 제1 가식적 요소의 나머지 측면부가 제2 플라스틱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면 가치있다고 판명되었다. 또한, (b)경우에 있어, 적어도 하나의 가식적 요소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보조 필름 웹의 측면부가 제1 플라스틱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고, 상기 제1 가식적 요소의 제1 측면부가 제2 플라스틱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면 가치있다고 판명되었다. 사출성형 물품을 위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은 특별한 광학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이는 이하에 후술한다.
(a)경우에서, 제1 가식적 요소의 양 측면부 중 하나가 제1 플라스틱 재료로 완전히 덮이고, 제1 가식적 요소의 나머지 측면부도 제2 플라스틱 재료로 완전히 덮이며, 여기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플라스틱 재료가 투명하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b)경우에서, 제1 가식적 요소의 제1 측면부가 제2 플라스틱 재료로 완전히 덮이고, 적어도 하나의 가식적 요소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보조 필름 웹의 측면부가 제1 플라스틱 재료로 완전히 덮이며, 여기서 상기 보조 필름 웹을 포함하는 제1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제2 플라스틱 재료가 투명하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한 관점에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상기 가식적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가시상태가 유지되도록 선택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은 제1 가식적 요소의 두 측면부에 최적의 보호를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광학적 효과를 부여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가식적 요소는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의 가시적인 측면부 상의 투명한 제2 플라스틱 재료를 통해 깊이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일 수 있으며, 제1 플라스틱 재료는 제1 가식적 요소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임의의 투명한 영역을 통해 가시적일 수 있다. 상기 제1 재료 및 제2 플라스틱 재료가 모두 가시적인 측면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이 사용되면, 제1 가식적 요소의 두 측면부는 상이한 구성을 가질수 있고, 각각 제1 투명 플라스틱 재료 및 제2 투명 플라스틱 재료를 통해 보여질 수 있으며, 또한 투명한 보조 필름 웹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필름 상의 전사 필름의 전사층의 형태로 공급되는 제2 가식적 요소가 제2 사출성형 틀 내의 가식된 제1 플라스틱 재료와 함께 놓여지고, 그 후 제2 플라스틱 사출 재료가 도입되는 방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식적 요소가 제1 및/또는 제2 플라스틱 재료의 표면에 배치되면 유리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상기한 방식은 제1 플라스틱 재료 및 제2 플라스틱 재료 사이에 배치된 제1 가식적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재료의 표면에 배치된 추가적인 제2 가식적 요소를 갖는 사출성형 물품을 제공한다. 이미 경화된 제1 플라스틱 재료 영역, 또는 또한, 제1 가식적 요소의 영역을 동시에 가식하면, 상기한 위치에서 만족스러운 접합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2 가식적 요소 내로 충분한 열이 공급되어야 하거나, 또는 제2 가식적 요소와 충분한 반응성이 있어야 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상기한 방식으로 또 다른 특별한 광학적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관점에서, 제2 가식적 요소가 제1 및/또는 제2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멀리 떨어진 그 측면부 상에서, 제3 사출성형 틀 내에서 제3 플라스틱 사출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고,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플라스틱 재료는 제2 가식적 요소에 광학적 향상을 부여하고, 손상에 대해 기계적인 보호를 제공한다.
상기한 관점에서,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 및 제2 플라스틱 재료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일면 유리하다. 상기한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료라는 용어는 화학적 및 물리적 물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의미할 때 사용한다. 상기한 관점에서, 단지 색상만 상이한 재료도 역시 고려될 수 있다.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게 되면, 경화시 상기 플라스틱 사출 재료들의 열적 팽창 및 수축 특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제조된 사출성형 물품의 형상에 있어 안정성이 증진된다. 결과적으로, 사출성형 물품의 뒤틀림 정도가 감소되고, 치수의 정확성이 증가된다.
또한, 제1 플라스틱 재료 및 제2 플라스틱 재료는 상이한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 물성을 갖는 물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관점에서 서로 양립할 수 없는 재료들을 플라스틱 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고, 이 경우 제1 가식적 요소 또는 보조 필름 웹을 포함하는 제1 가식적 요소는 결합제로서 기능한다.
ABS, ABS/PC 혼합물, PC, PMMA, SAN, ASA, TPO, PP 또는 상기한 재료 중에 적어도 두 물질의 혼합물이, 서로 양립하는 한, 제1 플라스틱 재료로 사용되는 것이 유리하다고 증명되었다. PMMA, ASA, ABS, SAN, PA, PC, PP 또는 상기한 재료 중에 적어도 두 물질의 혼합물의 사용은, 그것들이 서로 양립하는 한, 제2 플라스틱 재료로 유리하다고 판명되었다. 상기한 종류의 플라스틱 재료는 사출성형 기계 상에서 신뢰성 있게 가공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 또는 제2 플라스틱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냉각된 사출성형 틀 내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된 상태에서 사출된다.
또한, 제2 플라스틱 재료가 반응성 있게 가교된 플라스틱 재료, 특히, 반응 레진, 폴리우레탄, 폴리아민 또는 폴리우레아계 물질로 형성되면 적절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상기한 재료들은 반응 사출성형에 의해 가공되는데, 이 경우 통상적인 방법은 두개의 구성성분이, 가능하게는 촉매 또는 기타 보조제의 첨가와 함께 사출성형 틀 내부로 사출되기 이전에 단시간에 강하게 혼합되고, 경화는 상기 사출성형 틀 내에서 가교에 의해 수행된다. 이 경우에, 상기 사출성형 틀은 반응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예열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플라스틱 재료로서 PP 재료와 제2 플라스틱재료로서 PMMA재료, 이때, 상기 재료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데, 유리하게도 어떠한 문제도 없이 적절히 배치된 가식적 요소 또는 보조 필름 웹을 포함하는 가식적 요소에 결합제로서 확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a)경우에서, 제1 가식적 요소의 두 측면부 중 한 측면부가 제1 플라스틱 재료와 관련하여 화학적으로 양립할 수 있고, 제1 플라스틱 재료에 대한 사출 온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화되는 제1 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가치있다고 특별히 증명되었다. 이 방식에서 상기 제1 층은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에 특히 기계적으로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b)경우에서, 바람직하게는 보조 필름 웹은 제1 플라스틱 재료에 대해 화학적으로 양립할 수 있으며, 여기서, 보조 필름 웹은 제1 플라스틱 재료에 대한 사출 온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화되고, 제1 플라스틱 재료에 기계적으로 굳게 접합되며, 제1 가식적 요소의 제2 측면부는 상기 보조 필름 웹에 대해 화학적으로 양립할 수 있고, 상기 보조 필름 웹 상에 스탬핑할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화되고, 그리고 상기 보조 필름 웹에 기계적으로 굳게 접합되는 제 1층에 의해 제공된다.
따라서, 전사 필름 또는 가식적 요소 각각에 있어서, (a)경우의 제1 층과 (b)경우의 보조 필름 웹은 ABS, ABS/PC 혼합물, PC, SAN, ASA, TPO 또는 PP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제1 플라스틱 재료에 대해 화학적으로 양립할 수 있고, 제1 층은 제1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 온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화되거나 또는 보조 필름 웹 상에 스탬핑 작업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화된다면 유리하다고 증명되었다. 상기한 성질의 제1 층은 가식적 요소가 제1 플라스틱 재료 및 보조 필름 웹과 각각 기계적으로 특별히 굳게 접합되도록 한다.
또한, (a)경우에서 제1 가식적 요소의 두 측면부 중 나머지 측면부와 (b)경우에서 가식적 요소의 제1 측면부가 제2 플라스틱 재료에 대해 화학적으로 양립할 수 있고, 제2 플라스틱 재료에 대한 사출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화되는 제2 층에 의해 형성된다면 유리하다. 상기한 종류의 제2 층은 제2 플라스틱 재료에 기계적으로 특별히 굳게 접합될 수 있다. 상기한 관점에서, 제2 층이 특히 뜨거운 사출성형 재료에 의해 제2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세척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분한 열적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3㎛ 내지 15㎛ 사이의 층 두께가 유리하다. 더 두꺼운 제2 층의 경우에는 제1 가식적 요소의 모서리 영역에서 제1 플라스틱 재료로 처리될 때 단편(flake)으로 칭하는 층 탈착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단편은 제2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시 포함되기 때문에, 제1 플라스틱 재료의 가식의 광학적 품질에 역효과(adverse effect)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광학적 외관을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사 필름 또는 제1 가식적 요소 각각에 있어서, 제2 층이 PMMA, ASA, ABS, SAN, PA 또는 PC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제2 플라스틱 재료에 대해 화학적으로 양립할 수 있고, 제2 플라스틱 재료에 대한 사출 온도에서 제 2층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화된다면 유리하다고 판명되었다. 제2 층에 대한 상기와 같은 구조는 제2 층과 제2 플라스틱 재료가 기계적으로 특히 굳게 접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전사 필름 또는 제1 가식층 각각에 있어서, 제2 층이, 반응성 있게 가교된 플라스틱 재료, 특히, 반응 레진, 또는 폴리우레탄, 폴리아민 또는 폴리우레아계로 형성되는 제2 플라스틱 재료와 화학적으로 양립할 수 있다면 유리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특히,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은 제1 플라스틱 재료로서 ABS/PC 혼합물, 제2 플라스틱 재료로서 PMMA를 갖고, 반면에 주요 구성성분으로서 제2 층은 분자량이 약 100,000g/mol이고 유리 전이 온도(Tg)가 약 120℃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가지면 유리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제2 플라스틱 재료는, 제1 가식적 요소의 평면에 수직으로 볼때 1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 범위의 두께이면 유리하다. 상기한 종류의 제2 플라스틱 재료는 가식적 요소에 대하여 충분한 깊이 효과 및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동일한 적절한 보호를 제공한다.
사출성형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착색제인 착색제로 착색될 수 있다. 그러나, 금속 입자 또는 안료, 특히, 시온 안료(thermochromic pigment)나 시광성(photochromic) 안료도 사용될 수 있다. 제1 플라스틱 재료 및 제2 플라스틱 재료가 상이하게 착색되고 그리고/또는 상이한 투명도를 갖는다면 특별히 매력적인 광학적 효과가 달성된다. 상기한 경우, 보조 필름 웹이 제공된다면 보조 필름 웹도 투명하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제1 가식적 요소와 관련한 깊이 효과는 바람직하게는 (a)경우에 제1 가식적 요소가 그에 접합된 제1 플라스틱 재료 내의 융기부(raised portion)와 오목부(depression)를 재생산한다면 더욱 증진된다. 제1 플라스틱 재료의 표면 직조화(texturing)는 예를 들어, 사출성형 틀의 표면을 구조화 또는 연마하여 달성되고, 사출성형 틀의 표면은 전사 필름 또는 가식적 요소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한 경우에, 상기 사출성형 틀의 표면은 전영역에서 또는 단지 부분적으로 구조화되거나 연마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라스틱 재료는 제1 가식적 요소로부터 멀리 떨어진 표면상에 3차원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2 플라스틱 재료의 표면 직조화는 예를 들어, 사출성형 틀의 표면을 구조화하거나 연마하여 달성될 수 있고, 상기 표면은 제2 플라스틱 재료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한 경우에 있어 사출성형 틀의 표면은 전영역에서 또는 단지 부분적으로 구조화되거나 연마될 수 있다.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의 가시 영역에서의 3차원적인 구조는 제1 가식적 요소에 대한 깊이 효과 및/또는 가식적 요소의 가식층의 광학적 효과와 겹쳐질 수 있고, 한번 더 특별한 광학적 효과가 달성된다.
(a)경우에서, 제1 가식적 요소가 회절 구조 또는 홀로그램같은 3차원적 릴리프(relief) 구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지면, 이들은 그에 접합되는 제1 플라스틱 재료 내의 융기부 및 오목부, 및/또는 제1 가식적 요소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2 플라스틱 재료의 표면 내의 3차원적 구조와 겹쳐질 수 있다. (b)경우에서, 제1 가식적 요소가 회절 구조 또는 홀로그램같은 3차원적 릴리프 구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지면, 이들은 그에 접합되는 보조 필름 웹 내의 융기부 및 오목부, 및/또는 제1 가식적 요소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2 플라스틱 재료의 표면 내의 3차원적 구조와 겹쳐질 수 있다. 상기한 방식으로 렌즈 효과, 매팅(matting) 또는 예를 들어, 고가의 목재 구조와 같은 복잡하고 비싼 구조물을 생산할 수 있다.
가식적 요소에 있어서, 그것이 제1 층 및 제2 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가식층을 구비하면 특히 유리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러나, 제1 층 및/또는 제 2층에 의해 가식이 이미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상기 관점에서, 적합한 가식층은 예를 들어, 전체 표면적에 관련되거나 또는 부분적인 금속층, 적어도 부분적인 간섭층, 적어도 부분적인 착색층, 거시적 릴리프 구조, 회절 구조 또는 홀로그램과 같은 릴리프 구조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층 또는 형광성, 인광성, 시온성 또는 시광성 안료 또는 각도-의존적인 색상 변화 효과를 보이는 안료로 제조되는 안료층(pigmented layer)이다. 그러나, 상기 가식층을 사용할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식층 영역에서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의 제1 플라스틱 재료와 제2 플라스틱 재료가 사출성형 작업 동안 및 그 이후에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현저히 더욱 어렵게 하기 위해서, 가식적 요소의 제1 층 및 제2 층 사이에 여전히 견고한 결합이 유지되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적합한 가식층으로는 고온의 사출성형 재료, 적어도 제1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가식이 세척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한 열적 저항 수준을 보유하는 것이 사용된다. 따라서, 약 120℃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갖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계열의 래커 및 염화비닐 함량이 85 내지 95%이고 유리 전이 온도(Tg)가 약 100℃인 PVC 공중합체가 가식층, 예를 들어, 다색상(multi-colored) 목재 가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사 필름과 관련하여, 가식적 요소의 제1 층 및/또는 제 2층은 래커층 또는 점착제층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명되었다. 예를 들어, 점착제층이 제1 층으로 사용되면, IMD-필름에 통상 채택되는 모든 결합제는 동등하게 적합하다. 래커층의 경우에, 그에 결합되는 플라스틱 재료에 대한 우수한 점착성에도 주의해야 한다. 상기한 래커층 또는 점착제층은 예를 들어, 가식적 요소의 가식층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단지 부분적인 성질일 수 있다.
가식적 요소의 제1 층 및/또는 제2 층이 투명하다면 또한 유리하다. 가식적 요소의 투명한 제1 층 및/또는 제2 층은 그 하부에 배치되는 가식층이 쉽게 보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관점에서, 제1 층이 점착제층의 형태이고, 제2 층이 투명한 래커층의 형태이거나, 또는 제1 층 및 제2 층이 모두 투명한 래커층의 형태라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관점에서, 제1 층 및/또는 제2 층이 제1 플라스틱 재료 또는 보조 필름 웹 또는 제2 플라스틱 재료와 각각 충분히 양립가능한 것이 중요하다.
방출층에 있어서, 상기 방출층은 캐리어 필름, 바람직하게는 PET의 캐리어 필름에 0.2 내지 2 g/㎡(건조)의 두께의 층으로 적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종류의 방출층은 전사층 상에 방출층의 잔여물을 남기는 일 없이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100㎛ 범위의 두께인 캐리어 필름과 함께 전사층으로부터 쉽게 탈착될 수 있다.
전사필름의 캐리어 필름 상의 방출층, 제1 층, 가식층(들) 및 제2 층은 바람직하게는 요판인쇄(intaglio printing) 또는 스크린인쇄로 형성되며, 여기서 원칙적으로 디지탈인쇄, 플렉소인쇄(flexoprinting) 또는 오프셋인쇄를, 특히 가식층과 관련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상기 층들을 제조하기 위해 주조방법의 사용도 적절하다고 판명되었다.
제1 플라스틱 사출 재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된 상태로 전사 필름의 제1 층 또는 보조 필름 웹 상으로 수평 또는 수직 사출성형 장치로 사출되고, 여기서 초기 사출은 핫러너(hot runner), 원주형 게이트(gate) 또는 3-플레이트(plate) 기구에 의해 직접적으로 수행되거나 터널 게이트 또는 필름 게이트에 의해 간접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명되었다.
제2 플라스틱 사출 재료의 사출 작업과는 반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된 상태로, 수평 또는 수직 사출성형 장치로 사출되고, 상기 사출은 터널 게이트 또는 필름 게이트에 의해 간접적으로 수행된다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층 상의 열응력(thermal stress)은 가능한 낮게 유지되고, 사출표시가 남지 않는다. 이는 제2 플라스틱 재료가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의 가시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제2 플라스틱 사출 재료가 반응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면, 제2 층 상의 열적 부하(loading)가 발생하지 않거나 매우 경미한 정도로만 발생하므로 직접 사출 및 간접 사출 모두에 의해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출성형 적용의 순서는 원칙적으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으나, 생산공학적 관점에서, 시각적인 측면부의 손상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먼저 기초부를 제조하고, 다음 작업 공정으로 가시적인 측면부를 위한 플라스틱 재료를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도 1은 PET인 캐리어 필름(10)을 갖는 전사 필름을 나타내는 것으로, 층 두께는 50㎛이다. 자외선-경화되고, 고도로 가교된 플라스틱 재료인 방출층(12)은 상기 캐리어 필름(10)의 일 측면부에 배치된다.
상기 방출층(12)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하기 조성으로부터 형성되었다:
25부 메틸에틸케톤
25부 에틸아세테이트
5부 시클로헥사논
18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분자량은 60,000 g/mol)
25부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2부 광개시제 타입I(예를 들어 Ciba Geigy사의 Irgacure® 1000)
다른 방법으로 상기 방출층(12)은 산-경화되고 하기 조성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10부 에탄올
10부 이소프로판올
5부 메틸에틸케톤
10부 톨루엔
25부 헥사메틸메틸멜라민
30부 크실렌에 용해된 히드록실기-기능화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60% 용액
10부 p-톨루엔 술폰산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방출층(12)은 이소시아네이트 경화되고 하기 조성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15부 부틸아세테이트
10부 시클로헥사논
40부 에톡시프로판올에 용해된 히드록실기-기능화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60% 용액
35부 Desmodur® IL (디이소시아네이트, Leverkusen의 Bayer사에서 구입)
상기 방출층(12) 상에 7㎛ 두께의 제2 층(13)이 배치되는데, 상기 제2 층은 투명하고 PMMA-양립가능할 만큼 선명한 래커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층(13)은 주요 성분으로 분자량이 약 100,000 g/mol이고, 유리 전이 온도(Tg)가 약 120℃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래커로 형성된다.
사용되는 상기 선명한 래커는 하기 조성으로 이루어진다:
32부 메틸에틸케톤
30부 톨루엔
17부 시클로헥사논
15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분자량 100,000 g/mol)
4부 80-95%의 비닐클로라이드 함량을 갖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혼합된 폴리머
0.5부 할스(Hals) 타입의 광차단제
1.5부 자외선 흡수제(벤조트리아졸 유도체)
상기 제2 층(13) 상에 간섭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다른 가식적 요소(14b), 예를 들어 공간층(spacer layer) 외에 부분적으로 제공된 금속표면(14a)을 구비한 다층의 가식층(14)이 배치된다. 상기 가식층(14) 상에 ABS/PC 혼합물과 양립할 수 있는 열-밀봉성(heat-sealable) 점착층의 형태로 제1 층(15)이 배치된다. 상기한 방식으로, 가식적 요소(16)는 제2 층(13), 가식층(14) 및 제1 층(15)으로 구성된다.
도 2는 인몰드 사출성형 방법에서 가식적 요소(16)로 가식된 사출성형된 제1 플라스틱 재료(6)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플라스틱 재료(16)는 불투명하게 갈색으로 착색된 ABS/PC 혼합물로 형성된다. 상기 가식적 요소(16)는 점착제층의 형태인 제1 층(15)과 함께, 제1 플라스틱 재료(6)의 표면에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접합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의 표면은 물결모양 형상 또는 상기 가식적 요소(16)에 의해 재생산되는 3-차원적 구조를 갖는다. 도 2는 상기 방출층(12)를 포함하는 상기 캐리어 필름(10)이 잔여물 없이 상기 제2 층(13)에서 제거된 후, 도 1의 전사 필름의 가식적 요소(16)를 보여준다. 상기 가식적 요소(16)로 가식된 제1 플라스틱 재료(6)는 제2 플라스틱 재료와, 바람직하게는 주로 제2 층(13) 부위에서 접합될 수 있고, 이런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라 추가적 인몰드 사출성형 과정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1 플라스틱 재료(6)의 경우에, 가시적인 측면부가 상기 가식적 요소(16)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가식적 요소(16)의 반대편인 제1 플라스틱 재료(6)의 측면부 상에 예를 들어 자동차 내부에 제1 플라스틱 재료를 고정하기 위한 돌출부(6a)가 제공된다.
도 3은 플렉시유리(plexiglas)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된 제1 플라스틱 재료(7) 및 가식적 요소(16)에 접합된 그 후방면을 보여준다. 이 경우, 상기 가식적 요소(16)는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7)를 통과하여 보여지므로, 상기 가식층(14)의 가식이 차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한 점착층(15)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 상기 가식적 요소(16)는 도 1에 표시된 가식적 요소(16)와 같은 구성이고, 이 경우 상기 방출층(12)을 포함하는 상기 캐리어 필름(10)은 어떠한 잔여물도 없이 상기 제2 층(13)으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제2 층(13)은 추가의 인몰드 사출성형 과정에서 제2 플라스틱 재료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접합에 유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가식된 제1 플라스틱 재료(6)를 사용하여 형성된,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11)을 나타낸다. 도 2의 상기 가식적 요소(16)를 포함하는 상기 가식된 제1 플라스틱 재료(6)는 상기 목적을 위해 또 다른 사출성형 틀에 배치되고, 상기 사출성형 틀 내에 남아있는 공동은 경화 후에 제2 플라스틱 재료(8)를 생산하는 제2 플라스틱 사출 재료로 채워졌다.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는 상기 가식적 요소의 PMMA와 양립가능한 제2 층(13)과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접합되는 PMMA로 형성된다. 상기 가식적 요소(16)의 가식층(14)은 투명한 제2 플라스틱 재료(8) 및 선명한 래커층의 형태인 제2 층(13)을 통해서 관측자에게 가시화된다. 제2 플라스틱 재료(8)로 인하여, 이 배치는 상기 가식적 요소(16)로부터 멀리 떨어진 그 측면부 상에서 제2 플라스틱 재료(8)의 표면의 구조화에 의해 더욱 증진되는 깊이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가식적 요소(16)와 결합하여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11)의 광학적 품질을 더욱 개선시키는 특히 흥미있는 광학적 효과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표면 구조물은 제1 플라스틱 재료(6) 및 제2 플라스틱 재료(8)의 영역에서 서로에 대해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가식된 제1 플라스틱 재료(6)로부터 출발하여 다시 한번 생산되는 또 다른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11a)을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가식적 요소(16)로 가식된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는 또 다른 사출성형 틀에 넣어지고, 그와 함께 전사 필름이 추가적으로 사출성형 틀내에 위치된다. 캐리어 필름 및 자외선-경화된 방출층 외에 투명한 보호층(13'), 가식층(14') 및 제1 층(15')을 포함하는 가식적 요소(16')를 구비한 전사 필름이 사용된다. 제2 플라스틱 사출 재료는 제1 가식적 요소(16)의 제2 층(13) 및 제2 가식적 요소(16')의 제1 층(15')에 결합하도록 또 다른 사출성형 틀 내부로 사출된다. 제2 가식적 요소(16')의 제1 층(15')은 이 경우에, 고온 밀봉 작업후에 투명하고 선명한 형태로 존재하는 열-밀봉성 점착제층의 형태로 존재한다. 내스크래치성(scratch-resistance)의 선명한 래커층의 형태인 보호층(13')에 의해 덮혀진 가식층(14')은 상기 가식적 요소(16')의 제1 층(15') 상에 증착된다. 상기 보호층(13') 하부에 배치된 상기 가식층(14')은 보호층(13')을 통하여 상기 제2 가식적 요소(16')의 제1 층(13')의 뷰어에 의해 가시화된다. 또한, 상기 가식층(14')도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가 상기 가식층(14') 및 제1 층(15')을 통해서 가시화되도록 투명한 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의 가식층(14)이 제2 플라스틱 재료(8) 및 선명한 래커층 형태인 제1 가식적 요소(16)의 제2 층(13)을 통해서 가시적인 상태로 남도록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는 투명하거나, 적어도 반투명이다. 이 경우, 특히 고가이고 확실한 3차원적 효과를 제공하며, 한편 제2 가식적 요소(16')와 관련하여 제1 가식적 요소(16)의 특정 배치는 광학적으로 달성될 수 있는 효과에 추가적인 변화가 있도록 한다. 제1 플라스틱 재료(6) 또는 제2 플라스틱 재료(8)의 착색은 사용되는 상기 가식적 요소들(16, 16')과 결합하여 다수의 광학적 배치의 선택을 제공하는 부가적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도 2의 가식된 제1 플라스틱 재료(6)로부터 출발하여 다시 한번 생산되는 또 다른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11b)을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가식적 요소(16)로 가식된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는 또 다른 사출성형 틀에 위치되고, 그와 함께 전사 필름이 추가적으로 사출성형 틀 내에 위치된다. 상기한 경우에, 상기 전사 필름은 제1 가식적 요소(16)의 제2 층(13)과 부분적으로 접촉된다. 캐리어 필름 및 자외선-경화된 방출층 외에, 투명한 보호층(13'), 가식층(14') 및 제1 층(15')을 포함하는 가식적 요소(16')를 구비한 전사 필름이 사용된다. 제2 층(13) 및 제1 층(15')의 영역은 서로 직접 접촉하고, 사용되는 사출성형 틀의 적합한 가열에 의해 결합되는데, 제2 플라스틱 사출 재료는 제1 가식적 요소(16)의 제2 층(13) 및 제2 가식적 요소(16')의 제1 층(15')과 부분적으로 결합하도록 또 다른 사출성형 틀 내로 사출된다. 제2 가식적 요소(16')의 제1 층(15')은 이 경우에, 고온 밀봉 작업후에 투명하고 선명한 형태로 존재하는 열-밀봉성 점착제층의 형태로 있다. 내스크래치성의 선명한 래커층의 형태인 보호층(13')에 의해 덮혀진 가식층(14')은 상기 가식적 요소(16')의 제1 층(15') 상에 배치된다. 상기 보호층(13') 하부에 배치된 상기 가식층(14')은 보호층(13')을 통하여 상기 제2 가식적 요소(16')의 제1 층(13')의 뷰어에 의해 가시화된다. 또한, 상기 가식층(14')도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 또는 제1 가식적 요소(16)가 직접적으로 상기 가식층(14') 및 제1 층(15')을 통해서 가시화되도록 투명한 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의 가식층(14)이 제2 플라스틱 재료(8) 및 선명한 래커층 형태인 제1 가식적 요소(16)의 제2 층(13)을 통해서 뷰어에게 가시적인 상태로 남도록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는 투명하거나, 적어도 반투명이다. 이는, 특히 고가이고 확실한 3차원적 효과를 제공하며, 여기서, 제2 플라스틱뿐만 아니라 제2 가식적 요소(16')에 대한 제1 가식적 요소(16)의 특정 배치는 선택적으로 달성될 수 있는 효과에 추가적인 변화가 있도록 한다. 제1 플라스틱 재료(6) 또는 제2 플라스틱 재료(8)의 착색은 사용되는 상기 가식적 요소들(16, 16')과 조합하여 다수의 광학적 배치의 선택을 제공하는 부가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제1 플라스틱 재료(6), 제2 플라스틱 재료(8') 및, 제1 플라스틱 재료 및 제2 플라스틱 재료(6, 8') 사이의 보조 필름 웹(2)을 포함하는 제1 가식적 요소(16)를 포함하는 가식된 사출성형물품(11c)을 나타낸다. 도 7의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11c)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온 스탬핑에 의해 평평한 보조 필름 웹(2) 상에 고정되는 전사 필름(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전사 필름(1)은 따라서, 점착제층의 형태인 제1 층(15)과 함께 상기 보조 필름 웹(2)의 표면에 기계적으로 굳게 접합된다. 이어서, 상기 전사 필름(1)을 포함하는 보조 필름 웹(2)은 딥 드로잉되고, 도 7에 나타낸 3차원적 형태가 이미 그때 생산된다. 상기 전사 필름(1)을 포함하는 딥 드로잉된 보조 필름 웹(2)은 제1 사출성형 틀 내에 위치되고, 제1 플라스틱 사출성형 재료가 보조 필름 웹(2)의 후방에 사출되어 제1 플라스틱 재료(6)를 형성한다. 이 경우, 제1 플라스틱 재료(6)는 불투명한 갈색으로 착색된 ABS/PC 혼합물로부터 형성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방출층(12)을 포함하는 캐리어 필름(10)이 제거된다. 가식적 요소(16) 및 보조 필름 웹(2)를 포함하는 가식된 제1 플라스틱 재료(6)가 또 다른 사출성형 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사출성형 틀 내의 가식적 요소(16)의 측면부 상에 남아있는 공동은 반응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제2 플라스틱 사출 재료로 채워지는데, 그것은 경화 또는 가교 후에 제2 플라스틱 재료(8')를 제공한다.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는 그와 양립할 수 있는 가식적 요소의 제2 층(13)과 기계적으로 굳게 결합되는 가교된 투명한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다. 가식적 요소(16)의 가식층(14)은 제2 플라스틱 재료(8')를 통해 및 선명한 래커층의 형태인 제2 층(13)을 통해서 가시화된다. 제2 플라스틱 재료(8')에 의해, 상기 배치는 가식적 요소(16)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면부 상에서의 제2 플라스틱 재료(8')의 표면의 구조화에 의해 더욱 증진된 깊이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한 방식에서, 가식적 요소(16)와 결합하여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11c)의 광학적 품질을 더욱 개선시키는 특히 흥미있는 광학적 효과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표면 구조물은 제1 플라스틱 재료(6) 또는 보조 필름 웹(2)의 영역에 각각 그리고 제2 플라스틱 재료(8')의 영역 내에 서로 관련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관점에서, 본원 발명에 나타낸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의 형상은 사출성형에 적합한 임의의 형태일 수 있음을 짐작하는 것과, 가식적 요소의 배치는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은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적합한 가식적 요소의 배치 또한 광범위한 한계 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가장 단순한 경우에서, 가식적 요소가 제1 플라스틱 재료 및 제2 플라스틱 재료와 양립할 수 있고, 제1 층 및 제2 층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필름을 구비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예를 들어, 일 측면부 또는 양 측면부에 부분적으로 금속화되거나 인쇄되어 가식층을 형성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양 측면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재료와 접합될 수 있다. 보조 필름 웹을 포함할 수도 있는 사용되는 가식적 요소에 대해 유일하게 중요한 고려사항은 두개의 측면부에 충분한 다수의 영역이 존재하고, 인접하는 플라스틱 사출 재료에 확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플라스틱 사출 재료 또는 보조 필름 웹과 각각 접합하도록 채택되는 가식적 요소의 각 층은 광범위한 한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가 즉시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착안에 의해 채택될 수 있는 다수의 가능한 배치의 형태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 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제1 가식적 요소에 의해 가식된 제1 플라스틱 재료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다른 제1 가식적 요소에 의해 가식된 다른 제1 플라스틱 재료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제1 플라스틱 재료, 제2 플라스틱 재료 및 제1 플라스틱 재료와 제2 플라스틱 재료 사이에 제1 가식적 요소를 구비한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제1 플라스틱 재료와 제2 플라스틱 재료 사이의 제1 가식적 요소외에, 제1 가식적 요소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2 플라스틱 재료의 측면부 상에 제2 가식적 요소를 갖는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제1 플라스틱 재료와 제2 플라스틱 재료 사이의 단지 일부분만 적용된 제1 가식적 요소외에, 제2 가식적 요소도 갖는 다른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제1 플라스틱 재료, 제2 플라스틱 재료 및 제1 플라스틱 재료와 제2 플라스틱 재료 사이에 보조 필름 웹을 구비한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40)

  1. 사출된 플라스틱 재료(6, 8) 및 이에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접합되고, 전사 필름(1)의 전사층에 의해 형성되며, 사출성형된 물품(11, 11a, 11b)에 가식을 제공하는 가식적 요소(16, 16')로 형성되고,
    (a) 제1 가식적 요소(16)의 양 측면부가 사출성형 플라스틱 재료(6, 8)로 부분적으로 덮이거나, 또는
    (b) 제1 가식적 요소(16)의 제1 측면부가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재료로 부분적으로 덮이고, 제1 가식적 요소(16)의 제2 측면부가 딥 드로잉(deep drawing)에 의해 3차원적으로 성형된 열가소성 보조 필름 웹(12) 상에 배치되고, 여기서, 가식적 요소(16)로부터 멀리 떨어진 보조 필름 웹(2)의 측면부는 사출성형 플라스틱 재료로 부분적으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11, 11a, 11b).
  2. 청구항 1에 있어서, (a)경우에는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의 두 측면부 중의 하나가 제1 플라스틱 재료(6)로 덮이고,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의 두 측면부 중의 나머지가 제2 플라스틱 재료(8)로 덮이며, 그리고, (b)경우에는 상기 가식적 요소(16)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보조 필름 웹(2)의 측면부가 제1 플라스틱 재료(6)로 덮이고,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의 제1 측면부가 제2 플라스틱 재료(8')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
  3. 청구항 2에 있어서, (a)경우에는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의 두 측면부 중의 하나가 제1 플라스틱 재료(6)로 완전히 덮이고,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의 두 측면부 중의 나머지가 제2 플라스틱 재료(8)로 완전히 덮이며, 여기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플라스틱 재료(6, 8)는 투명하고, 그리고, (b)경우에는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의 제1 층이 제2 플라스틱 재료(8')로 완전히 덮이고, 상기 하나의 가식적 요소(18)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보조 필름 웹(2)의 상기 측면부가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로 완전히 덮이고, 여기서, 상기 보조 필름 웹(2)을 포함하는 제1 플라스틱 재료(6) 및/또는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는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 및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 8')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거나, 상이한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 물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는 ABS, ABS/PC 혼합물, PC, PMMA, SAN, ASA, TPO, PP 또는 서로 양립할 수 있는 상기 군의 재료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 8')는 PMMA, ASA, ABS, SAN, PA, PC, PP 또는 서로 양립할 수 있는 상기 군의 재료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되거나, 또는 반응성 있게 가교된 플라스틱 재료, 특히 반응 레진 또는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우레아계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 및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 8')는 서로 양립할 수 없는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a)경우에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가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 및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 간의 결합제로서 작용하고, (b)경우에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 및 상기 보조 필름 웹(2)이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 및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 간의 결합제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
  8.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a)경우에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의 두 측면부 중의 한 측면부는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와 화학적으로 양립할 수 있고,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에 대한 사출 온도에서 연화되며,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에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접합되는 제1 층(15)에 의해 형성되고, (b)경우에 상기 보조 필름 웹(2)은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와 화학적으로 양립할 수 있고,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에 대한 사출 온도에서 연화되고,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에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접합되며, 여기서,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의 제2 측면부는 상기 보조 필름 웹(2)과 화학적으로 양립할 수 있고, 상기 보조 필름 웹(2) 상에서 스탬핑 작업시 연화되며, 상기 보조 필름 웹(2)에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접합되는 제1 층(15)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
  9.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a)경우에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의 두 측면부 중 나머지 측면부 및 (b)경우에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의 제1 측면부가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 8')와 화학적으로 양립할 수 있고, 3 내지 15㎛ 범위의 층 두께이며,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 8')에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접합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 8')에 대한 사출 온도에서 연화되는 제2 층(13)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는 상기 제1 층(15) 및 상기 제2 층(13) 사이에 가식층(1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는 ABS/PC 혼합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 8')는 PMMA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2 층(13)은 주요 구성성분으로 분자량이 100,000 g/mol이고 유리 전이 온도(Tg)가 120℃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
  12.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의 평면에 수직으로 관찰할 때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 8')는 1 내지 10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 범위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6, 8, 8')는 착색제,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착색제, 금속 입자 또는 시온성(thermochromic) 안료 또는 시광성(photochromic) 안료로 착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
  1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 및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 8')는 상이하게 착색되고 그리고/또는 상이하게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
  1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a)경우에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는 그에 접합되는 제1 플라스틱 재료(6) 내의 융기부(raised portion)와 오목부(depression)를 모방(copy)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
  1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 8')는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로부터 멀리 떨어진 표면 상에 3차원적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a)경우에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는 회절 구조 또는 홀로그램과 같은 3차원적 릴리프(relief)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릴리프 구조는 그에 접합되는 제1 플라스틱 재료(6) 내의 융기부와 오목부, 및/또는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의 표면 내의 3차원적 구조와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
  18.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b)경우에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는 회절 구조 또는 홀로그램과 같은 3차원적 릴리프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릴리프 구조는 그에 접합되는 보조 필름 웹(2) 내의 융기부와 오목부, 및/또는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의 표면 내의 3차원적 구조와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2 가식적 요소(16')가 상기 제1 및/또는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6, 8)의 표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식적 요소(16')가 상기 제1 및/또는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6, 8)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그 측면부 상에서 제3 사출성형 플라스틱 재료에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
  21. 전사 필름(1)의 전사층에 의해 형성되고, 사출성형된 물품(11, 11a, 11b)에 가식을 제공하는 가식적 요소(16, 16')를 사용하며, 여기서 가식적 요소(16, 16')가 사출성형 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사출성형 틀은 플라스틱 사출 재료(6, 8)로 채워지며,
    (a) 제1 가식적 요소(16)의 양 측면부가 상기 플라스틱 사출 재료(6, 8)로 덮이거나, 또는
    (b) 제1 및 제2 측면부를 구비한 제1 가식적 요소(16)는 상기 제2 측면부가 열가소성 보조 필름 웹(2)에, 특히 스탬핑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를 포함하는 상기 보조 필름 웹(2)이 딥 드로잉에 의해 3차원적으로 성형되고, 그리고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의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보조 필름 웹(2)의 측면부가 플라스틱 사출 재료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11, 11a, 11b)의 제조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a)경우에 전사 필름(1)이 상기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11, 11a, 11b)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전사 필름은 캐리어 필름(10), 상기 캐리어 필름(10) 상에 배치된 방출층(12) 및 상기 캐리어 필름(1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방출층(12)의 측면부에 제1 가식적 요소(16)로서 배치된 전사층을 구비하고, 상기 전사 필름(1)은 제1 사출성형 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사출성형 틀은 제1 플라스틱 사출 재료로 채워져서 상기 캐리어 필름(1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전사 필름(1)의 측면부 상에서 상기 전사 필름(1)은 상기 제1 플라스틱 사출 재료로 덮이고, 상기 제1 플라스틱 사출 재료는 경화되어 제1 플라스틱 재료(6)를 제공하고, 그에 접합된 상기 전사 필름(1)을 포함하는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는 상기 제1 사출성형 틀에서 인출되고, 그리고, 상기 방출층(12)을 포함하는 상기 캐리어 필름(10)은 상기 전사 필름(1)으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방식을 통해 상기 전사층으로 가식된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는 제2 사출성형 틀 내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에 의해 덮이지 않은 상기 전사층의 측면부가 제2 플라스틱 사출 재료(8)로 사출(over-inject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b)경우에 가식된 사출성형 플라스틱 물품(11c)을 생산하기 위해 캐리어 필름(10), 상기 캐리어 필름(10) 상에 배치된 방출층(12) 및 상기 캐리어 필름(1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방출층(12)의 측면부에 제1 가식적 요소(16)로서 배치된 전사층을 구비한 전사 필름(1)이 사용되고, 상기 전사 필름(1)은 상기 보조 필름 웹(2) 상에 스탬핑되어 상기 전사층이 상기 보조 필름 웹(2)에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접합되고, 상기 전사 필름(1)을 포함하는 상기 보조 필름 웹(2)은 딥 드로잉되고, 그리고 나서 상기 전사 필름(1)을 포함하는 상기 보조 필름 웹(2)은 제1 사출성형 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사출성형 틀은 제1 플라스틱 사출 재료로 채워져서 상기 전사 필름(1)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보조 필름 웹(2)의 측면부 상에서 상기 보조 필름 웹(2)은 상기 제1 플라스틱 사출 재료로 덮이고, 상기 제1 플라스틱 사출 재료는 경화되어 제1 플라스틱 재료(6)를 제공하고, 그에 접합된 상기 전사 필름(1)을 포함하는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는 상기 제1 사출성형 틀에서 인출되고, 그리고, 상기 방출층(12)을 포함하는 상기 캐리어 필름(10)은 제거되고, 상기 방식을 통해 상기 전사층으로 가식된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는 제2 사출성형 틀 내에 배치되고, 그리고 여전히 덮이지 않은 상기 전사층의 측면부가 제2 플라스틱 사출 재료(8')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4. 청구항 22 또는 청구항 23에 있어서, (a)경우에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의 두 측면부 중 하나가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로 완전히 덮이고,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의 두 측면부 중 나머지가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로 완전히 덮이고, 그리고 (b)경우에 상기 제1 가식적 요소(16)의 제1 측면부가 제2 플라스틱 재료(8')로 완전히 덮이고, 가식적 요소(18)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상기 보조 필름 웹(2)의 측면부가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로 완전히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5. 청구항 22 또는 청구항 23에 있어서, 제2 가식적 요소(16')가, 상기 제2 사출성형 틀 내에 위치되는 상기 가식된 제1 플라스틱 재료(6) 및 그 후에 그 안으로 도입되는 상기 제2 플라스틱 사출 재료와 함께 상기 제2 가식적 요소(16')에 의해 상기 제1 및/또는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6, 8)의 표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식적 요소(16')가 상기 제1 및/또는 제2 플라스틱 재료(6, 8)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그 측면부 상에서 제3 사출성형 틀 내에서 제3 플라스틱 사출 재료로 덮이고, 기계적으로 확고하게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7. 청구항 21 내지 청구항 23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필름(1)은 캐리어 필름(10), 상기 캐리어 필름(10) 상에 배치된 방출층(12) 및 상기 캐리어 필름(1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방출층(12)의 측면부에 가식적 요소(16)로서 배치된 전사층으로 형성되고, 여기서 상기 전사층은 상기 방출층(12)에 인접하는 제2 층(13), 상기 제2 층에 접하는 가식층(14) 및 상기 캐리어 필름(1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전사 필름(1)의 측면부 상에서 상기 가식층(14)에 접하는 제1 층(15)으로 형성되며, 여기서, 상기 방출층(12)은 조사 경화, 이소시아네이트 경화 또는 산 경화에 의해 고도로 가교된 플라스틱 층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1 층(15)은 (a)경우에 ABS, ABS/PC 혼합물, PC, PMMA, SAN, ASA, TPO 또는 PP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1 플라스틱 재료(6)와 화학적으로 양립할 수 있고, 상기 제1 층(15)은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6)에 대한 사출 온도에서 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9.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1 층(15)은 (b)경우에 ABS, ABS/PC 혼합물, PC, PMMA, SAN, ASA, TPO 또는 PP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로 형성되는 상기 보조 필름 웹(2)과 화학적으로 양립할 수 있고, 상기 제1 층(15)은 상기 보조 필름층(2)에 스탬핑시 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0.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2 층(13)은 PMMA, ASA, ABS, SAN, PA, PC 또는 PP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제2 플라스틱 재료(8, 8')와 화학적으로 양립할 수 있고, 상기 제2 층(13)은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8, 8')에 대한 사출 온도에서 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1.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2 층(13)은 반응성 있게 가교된 플라스틱 재료, 특히 반응 레진, 또는 폴리우레탄, 폴리아민 또는 폴리우레아계로부터 형성되는 제2 플라스틱 재료(8')와 화학적으로 양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2.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가식적 요소(16)의 상기 제1 층(15) 및/또는 상기 제2 층(13)은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3.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1 층(15) 및 상기 제2 층(13) 사이에 배치된 상기 가식층(14)은 금속층 및/또는 간섭층 및/또는 착색층 및/또는 거시적 릴리프 구조, 회절 구조 또는 홀로그램과 같은 릴리프 구조로 부분적으로 배치된 층, 및/또는 형광성, 인광성, 시온성 또는 시광성 안료 또는 각도-의존적인 색상 변화 효과를 보이는 안료를 갖는 안료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KR1020077006855A 2004-08-27 2005-08-23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과 가식 사출성형 물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전사 필름 KR101184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41833A DE102004041833A1 (de) 2004-08-27 2004-08-27 Dekorierter Spritzgussartike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korierten Spritzgussartikels sowie Transferfolie zur Verwendung in einem derartigen Verfahren
DE102004041833.0 2004-08-27
PCT/DE2005/001486 WO2006021199A1 (de) 2004-08-27 2005-08-23 Dekorierter spritzgussartike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korierten spritzgussartikels sowie transferfolie zur verwendung in einem derartigen verfah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107A KR20070067107A (ko) 2007-06-27
KR101184146B1 true KR101184146B1 (ko) 2012-09-19

Family

ID=3546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855A KR101184146B1 (ko) 2004-08-27 2005-08-23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과 가식 사출성형 물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전사 필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06054B2 (ko)
EP (1) EP1796892A1 (ko)
JP (1) JP4989475B2 (ko)
KR (1) KR101184146B1 (ko)
CN (1) CN101035658A (ko)
DE (1) DE102004041833A1 (ko)
TW (1) TWI359071B (ko)
WO (1) WO20060211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504B1 (ko) * 2021-03-08 2022-01-14 주식회사 수인산업 3색사출을 이용한 버튼형 자동차용 부품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27455A1 (en) * 2006-11-28 2008-06-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manufacturing a housing element having a decorative covering and a grip layer, a decorated foil and the housing element
DE102007028469B4 (de) 2007-06-18 2013-08-14 Oechsler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dekorierten Spritzguß-Formteilen und Einrichtung zum Ausüben des Verfahrens
DE102007034170B4 (de) 2007-07-23 2018-09-20 Gerhardi Kunststofftechn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reidimensionalen Gestaltungselementes sowie ein derartiges Gestaltungselement
KR100949940B1 (ko) * 2009-10-08 2010-03-30 장한인프라 주식회사 미세 요철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출물에 홀로그램을 전위시키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품
US20110258896A1 (en) 2010-04-23 2011-10-27 Lomont Molding, Inc. Detectable signage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985364B1 (en) 2010-04-23 2011-07-26 Lomont Molding,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jection molded product
US9283701B2 (en) 2010-07-22 2016-03-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mold decorative applique with textured surface
DE102010049006A1 (de) * 2010-10-21 2012-04-26 Schreiner Group Gmbh & Co. Kg Sensoranordnung zur Detektion einer Annäherung und/oder Berührung sowie Verfahren zur Assemblierung einer Sensoranordnung
ITMI20102364A1 (it) * 2010-12-22 2012-06-23 Cleaf S P A Struttura di rivestimento per superfici decorative, particolarmente per il settore dell'arredamento, e procedimento per la sua realizzazione.
DE102012003375B4 (de) 2012-02-22 2018-10-25 Daimler Ag Dekorformteil und Herstellungsverfahren
TW201343410A (zh) * 2012-04-27 2013-11-01 Chaei Hsin Entpr Co Ltd 多層裝飾膜結構
DE102013205141A1 (de) * 2013-03-22 2014-09-2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chmelzeleitsystem für In-Mold-Decoration (IMD)- oder In-Mold-Labeling (IML)-Verfahren zum Spritzgießen
KR101431059B1 (ko) 2014-02-07 2014-09-26 주식회사 성곡 인장강도와 굴곡강도가 개선된 플라스틱 시트
CN104859362B (zh) * 2014-06-22 2017-07-04 吕海波 能跟随视角旋转的人面像工艺品制作方法
EP2960039B1 (de) 2014-06-24 2020-11-25 Merck Patent GmbH Spritzgiessverfahren zur erzeugung von dreidimensionalen mustern in kunststoffformkörpern , eins solcher kunststoffformkörpern sowie dessen verwendung
JP6533833B2 (ja) * 2015-10-21 2019-06-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温度検知体
US10821640B2 (en) 2015-12-15 2020-11-03 Merck Patent Gmbh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virtual three-dimensional patterns in mouldings
US20170314838A1 (en) 2016-04-29 2017-11-02 Thermo King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nclosure for a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and transport unit
RU2695185C1 (ru) * 2016-06-14 2019-07-22 Сэн-Гобэн Гласс Франс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астмассовой съемной детал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DE102016112505A1 (de) * 2016-07-07 2018-01-11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Transferfolie
WO2018073111A1 (de) * 2016-10-18 2018-04-26 Covestro Deutschland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körpers, welcher sich als dekorelement eignet
DE102017102541A1 (de) * 2017-02-09 2018-08-09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formteils mit einer dekorierten Oberfläche sowie ein Kunststoffformteil
US10882259B2 (en) * 2017-06-01 2021-01-05 Thermo King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for an aesthetic structural part
WO2018224306A1 (de) 2017-06-07 2018-12-13 Merck Patent Gmbh Spritzgiessverfahren zur erzeugung von virtuellen dreidimensionalen mustern in formkörpern
DE102017118904A1 (de) * 2017-08-18 2019-02-21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Transferfol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lienbeschichteten Artikels und folienbeschichteter Artikel
US11046473B2 (en) 2018-07-17 2021-06-2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Blow molded article with visual effects
WO2020081114A1 (en) 2018-10-19 2020-04-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low molded article with debossing
DE102018128194A1 (de) * 2018-11-12 2020-05-14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sowie Spritzgießvorrichtung
WO2020114924A1 (de) 2018-12-04 2020-06-11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erzeugung von virtuellen dreidimensionalen mustern in formkörpern aus kunststoff
ES2897468T3 (es) * 2018-12-21 2022-03-01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Película recubierta, componente de plástico fabricado con la misma, así como procedimiento y herramienta para su fabricación
DE102019106561A1 (de) * 2019-03-14 2020-09-17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JP2022526631A (ja) 2019-04-11 2022-05-2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視覚効果のあるブロー成形品
EP4087727A1 (en) 2020-01-08 2022-11-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low molded multilayer article with color gradient
DE102020105361A1 (de) * 2020-02-28 2021-09-02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ekorieren eines Spritzgussformteils sowie ein Spritzgussformteil
FR3121640B1 (fr) 2021-04-09 2023-04-14 Faurecia Interieur Ind Panneau de commande pour véhicule et procédé de réalis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9985A (en) 1991-09-06 2000-10-10 Yamaha Corporation Composite molded article comprising a wood layer
JP2002293094A (ja) 2001-03-29 2002-10-09 Nissha Printing Co Ltd 転写シートと積層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0578A (en) * 1979-10-10 1982-05-18 Mitsubishi Rayon Co., Ltd. Synthetic resin decorative articl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S58132529A (ja) * 1982-02-02 1983-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射出同時成形工法
JPS58217332A (ja) * 1982-06-10 1983-12-17 Nissha Printing Co Ltd 絵付プラスチツク成型品の製造方法
JPS62128720A (ja) * 1985-11-29 1987-06-11 Dainippon Printing Co Ltd 射出同時成形法
US4969257A (en) * 1987-09-04 1990-11-13 Shinko Electric Industries, Co., Ltd. Transfer sheet and process for making a circuit substrate
JPS6480510A (en) * 1987-09-24 1989-03-27 Yoshino Kogyosho Co Ltd Forming method for decorative laminated sheet
JPH0755520B2 (ja) * 1989-11-22 1995-06-14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側面照明式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H03231821A (ja) * 1990-02-07 1991-10-15 Toppan Printing Co Ltd 絵付き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転写箔
JPH03288700A (ja) * 1990-04-05 1991-12-18 Toppan Printing Co Ltd 転写箔
JPH0475085A (ja) * 1990-07-18 1992-03-10 Toppan Printing Co Ltd 転写箔
JPH06106572A (ja) * 1992-09-29 1994-04-19 Nissha Printing Co Ltd 二色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DE4301444C2 (de) * 1993-01-20 1995-08-31 Pelz Ernst Empe Werk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Auskleidungsteiles sowie insbesondere danach hergestelltes Auskleidungsteil
DE4313521C1 (de) * 1993-04-24 1994-06-16 Kurz Leonhard Fa Dekorationsschichtaufbau und dessen Verwendung
JP2607032B2 (ja) * 1993-07-16 1997-05-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成形同時絵付転写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80891A (ja) * 1993-09-16 1995-03-28 Pacific Ind Co Ltd 樹脂製ホイールキャップの製造方法
JP3514573B2 (ja) 1995-12-28 2004-03-31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2色成形同時絵付け品の製造方法
JPH09239779A (ja) * 1996-03-12 1997-09-16 Nissha Printing Co Ltd キーパッドの製造方法およびキーパッド製造用金型
JP3241621B2 (ja) 1996-12-18 2001-12-25 太平洋工業株式会社 樹脂製ホイールキャップ
JPH10180801A (ja) * 1996-12-26 1998-07-07 Nissha Printing Co Ltd 絵付シートとこれを用いた絵付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1030286A (ja) * 1999-07-16 2001-02-06 Nippon Plast Co Ltd インサート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14325B2 (ja) 1999-09-22 2005-01-26 宇部興産株式会社 貼り合わせ成形方法
FI20002038A (fi) * 2000-09-15 2002-03-16 Nokia Mobile Phones Ltd Koristeltu ruiskupuristettu tuote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DE10204348A1 (de) * 2002-02-05 2003-11-20 Orga Kartensysteme Gmbh Spritzgusswerkzeug zur Herstellung einer Kunststoffkarte, insbesondere einer Chipkarte,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erartigen Kunststoffkarte
JP4022819B2 (ja) * 2002-12-26 2007-12-19 豊田合成株式会社 電波透過カバー
DE10221482C1 (de) * 2002-05-15 2003-09-18 Kurz Leonhard Fa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abgewinkelt profilierten Formteiles, das mit einer Prägefolie dekoriert wird
DE10236810A1 (de) * 2002-08-10 2004-02-26 Leonhard Kurz Gmbh & Co. Kg Teilstrukturierte IMD-fähige Mehrschichtfolie
DE10252163A1 (de) * 2002-11-09 2004-05-27 Braun Gmbh Spritzling
WO2005070647A1 (en) * 2003-12-31 2005-08-04 Collins & Aikman Products Co. In mold lamination of decorative products
US20050255314A1 (en) * 2004-04-20 2005-11-17 Fei Wang Composition for release layer of in-mold deco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9985A (en) 1991-09-06 2000-10-10 Yamaha Corporation Composite molded article comprising a wood layer
JP2002293094A (ja) 2001-03-29 2002-10-09 Nissha Printing Co Ltd 転写シートと積層体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504B1 (ko) * 2021-03-08 2022-01-14 주식회사 수인산업 3색사출을 이용한 버튼형 자동차용 부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89475B2 (ja) 2012-08-01
TWI359071B (en) 2012-03-01
US20070269671A1 (en) 2007-11-22
TW200615116A (en) 2006-05-16
CN101035658A (zh) 2007-09-12
JP2008510636A (ja) 2008-04-10
WO2006021199A1 (de) 2006-03-02
US7906054B2 (en) 2011-03-15
EP1796892A1 (de) 2007-06-20
DE102004041833A1 (de) 2006-03-02
KR20070067107A (ko)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146B1 (ko) 가식된 사출성형 물품과 가식 사출성형 물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전사 필름
JP4827846B2 (ja) 転写フィルムおよび加飾射出成形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5912081A (en) Method and paint firm for painting an object during a creative shaping
KR101423799B1 (ko) 엠보싱 장식 사출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8510636A5 (ko)
JP2007517686A (ja) 装飾製品の金型内ラミネーション
KR102207465B1 (ko) 플라스틱 차량 부가 부품 제조 방법
US20090160087A1 (en) In-mold decoration method & apparatus
JP2018501135A (ja) 複合体の製造方法及び複合体
JP3500234B2 (ja) アクリル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とアクリルインサート成形品製造用シート
EP1747877A1 (en) Moulded article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m
JP4287014B2 (ja) 射出成形同時絵付用シート及び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
JP2001199013A (ja) 絵付シート及び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
JP2009083321A (ja) インサート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5194681B2 (ja) エンボス加飾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222067B1 (ko) 입체장식효과를 가지는 인서트 성형용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H1134247A (ja) 射出成形同時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射出成形同時加飾方法
JP2946573B2 (ja) 表面保護用フィルムおよび表面保護層を有する合成樹脂成型品の製造方法
JP3710858B2 (ja) 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サートフィルム
JP4268378B2 (ja) 射出成形同時加飾方法
JP4121759B2 (ja) 加飾成形用シート及び加飾成形品
JP4357653B2 (ja) 射出成形同時加飾用シート及び加飾成形品
JP4659967B2 (ja) 射出成形同時絵付用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樹脂成形品
JP2000153587A (ja) 絵付け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絵付け成形品
JP2001030286A (ja) インサート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