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793B1 - 정보통신단말, 정보분배장치, 정보분배시스템, 콘텐츠 관리방법, 방송 수신방법, 정보분배방법, 프로그램,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정보통신단말, 정보분배장치, 정보분배시스템, 콘텐츠 관리방법, 방송 수신방법, 정보분배방법, 프로그램,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793B1
KR101011793B1 KR1020107013839A KR20107013839A KR101011793B1 KR 101011793 B1 KR101011793 B1 KR 101011793B1 KR 1020107013839 A KR1020107013839 A KR 1020107013839A KR 20107013839 A KR20107013839 A KR 20107013839A KR 101011793 B1 KR101011793 B1 KR 101011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2383A (ko
Inventor
이즈루 다나카
히라쿠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82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3Query formulation using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4387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by the use of play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정보분배 시스템에 있어서의 편리성, 서비스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정보분배장치(서버)와 정보통신단말에 있어서, 콘텐츠는 일원 관리된 콘텐츠 식별자(콘텐츠 ID)에 의하여 관리되도록 한다. 특히, 단말에서는, 예를 들면 CD등으로부터 리핑(reaping)하여 HDD에 축적한 콘텐츠에 대해서도, 정보분배장치로부터 콘텐츠 ID를 취득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축적한 콘텐츠를, 정보분배장치측과 공통관리되는 콘텐츠 식별자로 관리한다. 그리고 단말측에서는, 정보분배장치와의 통신시에 있어서, 축적수단에 축적된 콘텐츠를 특정하는 경우에 일원 관리된 콘텐츠 식별자를 이용하는 것으로, 콘텐츠의 다운로드, 부가정보의 취득, 그 외 각종 분배서비스를 다양하게 실현한다.

Description

정보통신단말, 정보분배장치, 정보분배시스템, 콘텐츠 관리방법, 방송 수신방법, 정보분배방법, 프로그램, 기록매체{Information communicating terminal, information distributing apparatus, information distributing system, content managing method, broadcast receiving method, information distribut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정보통신단말, 정보분배장치, 정보분배시스템, 콘텐츠 관리방법, 방송 수신방법, 정보분배방법, 프로그램,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소유하는 시청각 기기로서 각종의 것이 보급되고 있고, 이른바 음악 소프트웨어나 영상 소프트웨어를 개인으로 즐기는 것이 일반화하고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CD(Compact Disc), MD(Mini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등의 디스크 기록매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시스템등을 소유하고, 패키지 미디어로서 판매되고 있는 소망의 CD, MD, DVD등을 구입하고 콘텐츠를 재생시키거나, 혹은 기록 가능한 미디어에 자신의 취향의 선곡으로 녹음을 행하는 등이 행해지고 있다.
또, 시청각 기기로서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등의 대용량 미디어를 이용하고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나 비디오 데이터 파일을 축적하는 기록 재생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기록 재생장치는, CD등의 사용자가 소유하는 패키지미디어에 수록되어 있는 악곡등의 콘텐츠를, 그 기록 재생장치내의 하드 디스크 등에 더빙 기록한다. 기록 재생장치에서는,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등의 대용량의 기억 매체를 이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소유하는 다수의 CD등에 있어서의 전악곡등을 기록 재생 시스템내에 격납해 둘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어떤 악곡등을 재생시키고 싶을 때에는, 사용자가 일부러 그 악곡이 수록된 CD등을 찾아 기록 재생장치에 장전할 필요는 없다. 즉 기록 재생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악곡을 HDD로부터 읽어내어 재생하도록 하면 좋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록 재생장치는, 특히 대량의 CD등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등에게 있어서 매우 편리한 것으로 된다. 또 CD등의 교체등도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그 날의 기분이나 상황에 따른 선곡으로 음악을 즐기는 등이라고 하는 것도 간편하게 가능하게 된다.
또, 이와 같은 기록 재생장치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게 되며, 외부 서버(정보분배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음악등의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된다. 즉 정보통신단말로서 기능한다.
다운로드된 콘텐츠도 HDD에 격납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음악등을 즐길 수 있다.
그런데,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또는 분배된 콘텐츠에는, 통상, 서버측에서 할당한 콘텐츠 ID가 붙여져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정보 통신단말(기록 재생장치)측에서 HDD에 저장할 때에는,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CD등의 미디어로부터 재생시켜 HDD에 기록한 콘텐츠에 대해서는, 원래 콘텐츠 ID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HDD상에서 관리하기 위하여, 정보통신단말이 콘텐츠 ID를 주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정으로부터, CD 등의 기록매체로부터 거두어들인(리핑(reaping)한) 콘텐츠와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콘텐츠에서는, HDD에 있어서 콘텐츠 ID가 일원화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기기의 동작 기능의 향상이나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의 향상에 한도를 주는 것으로 되어 버린다.
예를 들면 외부서버로부터 분배 가능한 콘텐츠를 제시할 때에, HDD에 저장한 콘텐츠와의 대응을 취할 수 없다. 이것은, 예를 들면 유료로 분배 가능하게 하여 제시되는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는 각 악곡 등의 콘텐츠에 대하여, 그 사용자가 이미 HDD에 저장하고 있는 악곡인지 아닌지 등을 판별할 수 없게 된다.
또 CD등으로부터 리핑(reaping)한 악곡 등에 대하여, 그 콘텐츠에 관련하는 다양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취득하고 싶다고 생각해도, 대상으로 되는 콘텐츠 ID가 다르기 때문에 원활한 통신 처리를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정보통신단말에 있어서, 일원 관리된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콘텐츠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기능이나 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통신단말은, 네트워크를 거쳐서 외부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수단과 콘텐츠 및 콘텐츠의 관리정보가 축적되는 축적 수단과, 기록매체로부터 콘텐츠를 읽어 내고, 읽어낸 콘텐츠를 상기 축적 수단에 축적시키는 콘텐츠 축적 제어 수단과, 상기 콘텐츠 축적 제어 수단에 의해서 상기 축적수단에 축적되는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 특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콘텐츠 식별자(識別子)를 관리하는 외부의 정보분배장치에 송신시키는 콘텐츠 특정 정보송신 제어수단과, 상기 관리정보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특정정보의 송신에 대응하고 상기 정보분배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콘텐츠 식별자를 이용하고, 상기 축적수단에 축적된 콘텐츠의 관리가 행해지도록 제어하는 관리 정보 제어 수단을 갖춘다.
이 경우,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 송신 제어수단은, 상기 콘텐츠 축적제어 수단이 콘텐츠 독출을 행한 기록매체 자체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생성한다.
또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는,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정보로부터 생성되는 정보이다.
또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는, 상기 기록매체에 부여된 바코드 정보로부터 생성되는 정보이다.
또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는, 상기 기록매체에 부여된 ISRC 정보로부터 생성되는 정보이다.
또 상기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관리하는 외부의 정보분배장치가 발행한 콘텐츠 식별자이다.
또 상기 콘텐츠 식별자는, CIDF 준거의 콘텐츠 식별자이다.
또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 송신제어수단은, 상기 콘텐츠 축적제어 수단이 콘텐츠 독출을 행한 기록매체자체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생성하고, 그 콘텐츠 특정정보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콘텐츠 식별자를 관리하는 외부의 정보분배장치에 송신시키는 동시에, 상기 관리 정보 제어수단은,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의 송신에 대응하고 상기 정보분배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콘텐츠 식별자로서, 상기 기록매체에 수록된 모든 콘텐츠에 대응하는 각 콘텐츠 식별자가 상기 관리정보에 포함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관리 정보 제어수단은, 상기 관리정보에 있어서, 각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상기 축적수단에 축적이 끝났는지 아닌지 관리되도록 한다.
또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송신 제어수단은,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콘텐츠에 관한 부가정보를 관리하는 외부의 정보분배장치에 송신시키는 동시에, 상기 관리정보 제어수단은,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의 송신에 따라 상기 정보분배장치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부가정보가, 상기 관리정보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하여 관리되도록 한다.
또 상기 콘텐츠 특정정보 송신제어수단은, 상기 콘텐츠 축적 제어수단이 콘텐츠 독출을 행한 기록매체 자체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생성하고, 그 콘텐츠 특정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콘텐츠에 관한 부가정보를 관리하는 외부의 정보분배장치에 송신시키는 동시에, 상기 관리정보 제어수단은, 상기 콘텐츠 특정정보의 송신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분배장치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부가정보로서, 상기 기록매체에 수록된 모든 콘텐츠의 각각에 대응하는 부가정보가, 상기 관리정보에 있어서, 각각 각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하여 관리되도록 한다.
또 외부의 정보분배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수신함에 따라,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자에 의거하여 상기 관리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 열거된 각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축적수단에 축적이 끝났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가 표현되는 상태로, 상기 콘텐츠 리스트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더 갖춘다.
또는, 적어도 상기 축적수단에 축적된 전부 또는 일부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관리하는 외부의 정보분배장치에 송신시키는 콘텐츠 식별자 송신제어 수단과, 상기 정보분배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콘텐츠 리스트와,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 열거된 각 콘텐츠가 상기 축적수단에 축적이 끝났는지 아닌지를 판별한 판별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판별정보가 표현되는 상태로, 상기 콘텐츠 리스트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더 갖춘다.
또, 상기 축적수단에 축적된 콘텐츠, 또는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출력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재생수단으로 재생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관리정보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외부의 정보분배장치에 송신시키는 콘텐츠 식별자 송신제어수단과, 상기 콘텐츠 식별자의 송신에 따라 상기 정보분배장치로부터 송신되며,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더욱 갖춘다.
또, 적어도 상기 축적수단에 축적된 전부 또는 일부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백업 관리를 행하는 외부의 정보분배장치에 송신시키는 콘텐츠 식별자 송신제어수단을, 더욱 갖춘다.
본 발명의 정보통신 단말은, 네트워크를 거쳐서 외부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수단과 방송수신수단과, 상기 방송수신수단으로 수신되어 있는 신호로부터 콘텐츠 식별자를 추출하는 추출수단과, 상기 추출수단에서 추출한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외부의 정보분배장치에 송신시키는 콘텐츠 식별자 송신제어수단과, 상기 콘텐츠 식별자의 송신에 따라 상기 정보분배장치로부터 송신되며,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갖춘다.
본 발명의 정보통신단말은, 네트워크를 거쳐서 외부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수단과, 방송수신수단과, 상기 방송수신수단으로 수신하고 있는 방송국 및/또는 방송시각의 정보로부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콘텐츠 식별자를 관리하는 외부의 정보분배장치에 송신시키는 콘텐츠 특정 정보 송신 제어수단과, 상기 콘텐츠 특정정보의 송신에 따라 상기 정보분배장치로부터 송신되며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서 수신된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외부의 정보분배장치에 송신시키는 콘텐츠 식별자 송신제어수단과, 상기 콘텐츠 식별자의 송신에 따라 상기 정보분배장치로부터 송신되며, 상기 통신수단에 의하여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갖춘다.
본 발명의 정보분배장치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통신단말과 통신 가능한 통신수단과, 콘텐츠 특정정보에 근거하여 1 또는 복수의 콘텐츠 식별자가 특정할 수 있는 관리상태로, 콘텐츠 식별자를 격납하는 격납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서 어떤 정보통신단말로부터 콘텐츠 특정정보가 수신되는 것에 따라서, 그 콘텐츠 특정정보를 이용해 상기 격납수단을 검색하고, 1 또는 복수의 콘텐츠 식별자를 추출하는 검색수단과, 상기 검색수단으로 검색된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콘텐츠 특정정보를 송신해 온 정보통신단말에 대해서 송신시키는 분배제어수단을 갖춘다.
이 경우, 상기 콘텐츠 특정정보는, 상기 정보통신단말에 있어서 콘텐츠 독출이 가능한 기록매체 자체에 대응하는 정보이다.
또 상기 콘텐츠 특정정보는, 상기 정보통신단말에 있어서 콘텐츠 독출이 가능한 기록매체의 관리정보로부터 생성되는 정보이다.
또, 상기 콘텐츠 특정정보는, 상기 정보통신단말에 있어서 콘텐츠 독출이 가능한 기록매체에 부여된 바코드 정보로부터 생성되는 정보이다.
또 상기 콘텐츠 특정정보는, 상기 정보통신단말에 있어서 콘텐츠 독출이 가능한 기록매체에 부여된 ISRC 정보로부터 생성되는 정보이다.
또 상기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정보통신단말측과 함께 일원 관리되는 식별자로서 당해 정보분배장치가 발행한 콘텐츠 식별자이다.
또 상기 콘텐츠 식별자는, CIDF 준거의 콘텐츠 식별자이다.
또 상기 격납수단에는, 또한, 콘텐츠 특정정보에 대응하여 부가정보가 격납되고 있고, 상기 검색수단은, 통신수단에 의해서 어떤 정보통신단말로부터 콘텐츠 특정정보가 수신되는 것에 따라서, 그 콘텐츠 특정정보를 이용하고 상기 격납 수단을 검색하고 부가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분배제어수단은, 상기 검색 수단으로 검색된 부가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콘텐츠 특정정보를 송신해 온 정보 통신단말에 대하여 송신시킨다.
본 발명의 정보분배장치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 통신단말과 통신 가능한 통신수단과, 상기 정보통신단말측과 함께 일원 관리된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격납하는 격납수단과, 상기 격납 수단에 격납한, 상기 일원 관리된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정보통신단말에 송신시키는 분배 제어수단을 갖춘다.
본 발명의 정보분배장치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통신단말과 통신 가능한 통신수단과, 상기 정보통신단말측과 함께 일원 관리된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격납하는 격납수단과, 상기 정보통신단말측에 축적된 전부 또는 일부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가, 상기 정보통신단말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것에 따라, 분배대상의 콘텐츠 리스트로 열거된 각 콘텐츠가 상기 정보통신단말측에 축적이 끝났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분배대상의 콘텐츠 리스트와, 상기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정보통신단말에 송신시키는 분배 제어 수단을 갖춘다.
본 발명의 정보분배장치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통신단말과 통신 가능한 통신수단과, 적어도 상기 정보통신단말측과 함께 일원 관리된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하여 콘텐츠에 관련하는 정보를 격납하는 격납수단과 콘텐츠 식별자가, 상기 정보통신단말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수신됨에 따라, 그 콘텐츠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격납수단을 검색하여 대응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검색수단과, 상기 검색수단으로 검색된 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송신해 온 정보 통신단말에 대하여 송신시키는 분배제어수단을 갖춘다.
본 발명의 정보분배장치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정보통신단말과 통신 가능한 통신수단과, 상기 정보통신단말측과 함께 일원 관리된 콘텐츠 식별자로서, 상기 정보통신단말에 축적된 전부 또는 일부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수신함에 따라서, 수신한 콘텐츠 식별자를 격납하는 백업 격납수단을 갖춘다.
또 본 발명은, 이상의 각 구성의 정보통신단말, 정보분배장치에 의해,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호 통신 가능한 정보통신단말과 정보분배장치로 이루어지는 정보분배시스템을 구축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각 구성의 정보통신단말의 동작을 실행하는 콘텐츠 관리방법, 또는 방송 수신방법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각 구성의 정보분배장치의 동작을 실행하는 정보분배방법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정보통신단말, 정보분배장치의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이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분배장치와 정보통신단말에 있어서, 콘텐츠는 일원 관리된 콘텐츠 식별자에 의하여 관리된다. 특히 정보통신단말에서는, 예를 들면 CD등의 디스크 미디어로부터 리핑하고 축적한 콘텐츠에 대해서도, 정보분배장치로부터 콘텐츠 식별자를 취득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축적된 콘텐츠를 정보분배장치측과 공통 관리되는 콘텐츠 식별자로 관리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정보 통신 단말측에서는, 정보분배장치와의 통신시에 콘텐츠를 특정하는 경우에 일원 관리된 콘텐츠 식별자를 이용할 수 있고, 콘텐츠의 다운로드, 부가 정보의 취득, 그 외 각종 분배서비스를 다양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이해되도록,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분배장치와 정보통신단말에 있어서, 콘텐츠는 일원 관리된 콘텐츠 식별자(콘텐츠 ID)에 의해서 관리된다. 특히 정보통신단말에서는, 예를 들면 CD등의 디스크 미디어로부터 리핑하여 축적한 콘텐츠에 대해서도, 정보 분배 장치로부터 콘텐츠 식별자(콘텐츠 ID)를 취득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축적된 콘텐츠를 정보분배장치측과 공통관리되는 콘텐츠 식별자로 관리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서, 정보통신단말측에서는, 정보분배장치와의 통신시에 있어서, 축적수단에 축적된 콘텐츠를 특정하는 경우에 일원 관리된 콘텐츠 식별자를 이용할 수 있고, 콘텐츠의 다운로드, 부가정보의 취득, 그 외 각종 분배서비스를 다양하게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정보통신 단말에서는, CD 등의 기록매체로부터 콘텐츠를 읽어내고, 읽어낸 콘텐츠를 축적수단에 축적시키는 경우에, 그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생성하고, 정보분배장치에 송신한다. 그리고 정보분배장치는, 콘텐츠 특정 정보에 대응하여 콘텐츠 식별자를 정보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것으로, 정보통신 단말에서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일원 관리된 콘텐츠 식별자(콘텐츠 ID)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사용자는 특히 콘텐츠 식별자에 대해서 의식할 필요없이, 축적수단에 축적되는 콘텐츠가 콘텐츠 식별자로 관리되는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부가정보로서 콘텐츠에 대응하는 각종의 정보(CD타이틀 정보 등)를 얻는 것으로, 그들도 관리 정보에 더하여, 다양한 정보를 보관 유지할 수 있도록 된다.
또, 콘텐츠 특정정보는, 상기한 CD식별자와 같이 기록매체자체에 대응하는 정보, 예를 들면 TOC등의 관리정보, 바코드 정보, ISRC정보등에 의해서 생성하는 것으로, 정보분배장치측은, 기록매체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 혹은 부가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그것을 정보통신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D등으로부터 1곡의 콘텐츠를 HDD등의 축적수단으로 리핑했을 경우에서도, 그 CD의 타이틀등이나, CD에 수록된 전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나 부가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정보통신단말에서는, 축적수단에 축적한 콘텐츠 뿐만이 아니라, CD등의 미디어를 재생할 때에도, 관리정보에 기록된 부가정보를 표시하거나 관련하는 정보를 외부의 정보분배장치에 요구하는 것 등도 가능해진다.
또한 관리정보에 있어서, 각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상기 축적수단에 축적이 끝났는지 아닌지가 관리되도록 하는 것으로, 적절한 관리가 실현된다.
또, 외부의 정보분배장치가 제공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할 때에, 콘텐츠 식별자에 의거하여 상기 관리정보를 참조하는 것으로, 콘텐츠 리스트에 열거된 각 콘텐츠에 대해 축적수단에 축적이 끝났는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리스트 표시시에, 사용자에 대해서 축적이 끝난 콘텐츠인지 아닌지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분배 희망하는 콘텐츠를 선택할 때에 편리하게 된다. 예를 들면 분배구입을 위한 콘텐츠 리스트가 표시되었을 때에, 축적이 끝났는지 아닌지를 알 수 있으므로, 중복한 콘텐츠를 구입해 버리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정보분배장치 측이, 정보통신 단말의 콘텐츠 식별자로부터, 제공하려고 하는 콘텐츠 리스트 내의 각 콘텐츠가 이미 정보통신 단말의 축적수단에 축적이 끝났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콘텐츠 리스트와 함께 판별정보를 송신하고, 정보통신 단말에 있어서 판별정보가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상태로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함으로써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있어서 매우 적합한 것으로 된다.
또, 정보통신단말에서는 관리정보에 있어서 일원 관리된 콘텐츠 식별자에 의해서 콘텐츠가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콘텐츠에 관련하는 정보를 외부의 정보 분배장치에 요구할 때에 콘텐츠 식별자를 이용할 수 있다. 외부의 정보분배장치는, 콘텐츠 식별자에 의해서 요구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정보통신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정보통신단말에서는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재생하고 있는 콘텐츠에 관련하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고, 정보서비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보분배시스템에 있어서의 정보분배장치로서는, 일원 관리된 콘텐츠 식별자에 의해서 콘텐츠나 관련정보를 관리하는 것으로, 각 정보분배장치에서는, 공통의 콘텐츠 식별자에 의하여 정보를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분배장치에 의한 서비스를 용이하게 복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정보통신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정보통신단말은, 축적수단에 축적된 전부 또는 일부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를, 백업관리를 실시하는 외부의 정보분배장치에 송신하고, 정보 분배장치는, 정보통신단말로부터 송신되어 온 콘텐츠 식별자를 백업 보존하는 것으로, 정보통신단말의 고장시등에 대응하는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콘텐츠 식별자로부터 정보통신 단말에 축적되어 있던 콘텐츠가 특정가능하기 때문에, 콘텐츠 데이터 자체를 보장하는 서비스도 가능하다.
*또 정보통신단말은, 방송수신수단에서 수신되고 있는 신호로부터 콘텐츠 식별자를 추출한다. 혹은 방송국 및/또는 방송시각의 정보로부터 콘텐츠 특정정보를 생성하고, 그 콘텐츠 특정정보를 외부의 정보분배장치에 송신하고,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를 수신한다.
그리고 콘텐츠 식별자를 외부의 정보분배장치에 송신하고, 정보분배장치는 콘텐츠 식별자에 따른 정보를 검색하고 정보통신단말에 송신하는 것으로, 정보통신단말에서는, 방송내용에 대응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되며, 이것도 사용자에 있어서 매우 적합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의하면,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정보통신단말, 정보분배장치, 혹은 이들에 의한 정보 분배시스템을,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정보분배시스템의 설명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의 CD정보서버의 블럭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의 단말 블럭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의 CD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격납 정보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의 CD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격납 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6a는, 실시 형태의 단말의 HDD의 축적 정보의 설명도이다.
도 6b는, 실시 형태의 단말의 HDD의 축적 정보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의 단말의 HDD의 축적 정보 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의 단말의 CD장전시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의 콘텐츠 ID를 포함하는 CD정보 취득을 위한 통신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의 정보분배시스템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11a는, 실시 형태의 CD타이틀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콘텐츠 ID 데이터베이스의 설명도이다.
도 11b는, 실시 형태의 CD타이틀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콘텐츠 ID 데이터베이스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의 콘텐츠 ID를 포함하는 CD정보 취득을 위한 다른 통신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의 콘텐츠 ID를 포함하는 CD정보 취득을 위한 또 다른 통신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14a는, 실시 형태의 악곡 리스트 데이터베이스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의 설명도이다.
도 14b는, 실시 형태의 악곡 리스트 데이터베이스와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의 악곡 리스트의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의 악곡 리스트 표시 및 콘텐츠 다운로드를 위한 통신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의 단말의 악곡 리스트표시를 위한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의 단말의 악곡 리스트의 표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19는, 실시 형태의 악곡 리스트 표시 및 콘텐츠 다운로드를 위한 다른 통신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의 분배 서버에 있어서의 단말 콘텐츠 체크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21은, 실시 형태의 재생 콘텐츠에 대한 관련정보취득을 위한 통신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2는, 실시 형태의 방송신호에 대한 관련 정보 취득을 위한 통신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의 방송신호에 대한 관련정보 취득을 위한 다른 통신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24는, 실시 형태의 백업 서비스를 위한 통신처리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정보분배시스템 및 정보분배방법을, 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작하면서 상술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다음의 순서로 설명해 나간다.
1. 정보분배시스템의 개요 2. CD정보서버의 구성 3. 단말의 구성 4. CD정보데이터베이스 5. 단말의 HDD 축적정보 6. 단말의 CD장전시의 처리 7. CD타이틀 정보 서버와 콘텐츠 ID서버에 의한 시스템 8. 분배서버와 콘텐츠 서버 및 악곡 리스트 9. 단말의 악곡 리스트 표시처리 10. 악곡 리스트 송신에 걸리는 분배서버에 의한 처리 11. 재생시의 콘텐츠 ID송신에 의한 정보취득처리 12. 방송 수신시의 콘텐츠 ID송신에 의한 정보취득처리 1 13. 방송 수신시의 콘텐츠 ID송신에 의한 정보취득처리 2 14.백업 서비스
1. 정보분배시스템의 개요
도 1은 본 예의 정보분배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정보분배시스템은, 일반 사용자가 가정등에서 이용하는 단말(기록재생장치)(1)과 단말(1)의 사용에 관한 정보 서비스를 행하는 각종의 서버가 네트워크(2)를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시스템이다.
네트워크(2)는 공중회선망으로 해도 좋고, 본 시스템을 위한 전용회선망을 구축해도 좋다. 또 CATV(Cable Television), 무선 커뮤니케이션, 위성통신 회선 등으로도 좋고, 그 통신 형태 혹은 전송로의 형태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1)은,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내부에 대용량의 데이터 파일 축적부(예를 들면 도 3의 HDD(31))를 갖추는 동시에,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카드 등의 패키지 미디어의 드라이브 기능이나, 네트워크(2)를 통한 데이터 입출력 기능 등을 갖춘다. 예를 들면 본 예에서는 패키지 미디어의 드라이브기능으로서 CD를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는 예로 한다.
그리고 단말(1)에서는, CD로부터 재생된 오디오 콘텐츠나, 네트워크(2)를 거쳐서 다운로드된 콘텐츠를, 각각 콘텐츠 파일로서 HDD 등에 저장해 갈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음악 콘텐츠를 예로 들지만, 영상 콘텐츠, 텍스트 데이터, 응용 프로그램, 게임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콘텐츠에 대응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 단말(1)에서는, HDD등의 축적부에 저장한 파일(예를 들면 음악 등을 1곡 단위로 1개의 파일로서 저장하고 있다)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임의로 재생시키는 것 등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다수의 CD를 가지는 사용자가, 전 CD의 전 악곡을 각각 1개의 파일로서 단말(1) 내에 저장해 두면, 일부러 CD 등을 선택하여 장전하지 않아도, 원하는 악곡 등의 재생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 단말(1)은, 사용자의 가정에서의 오디오 기기로서의 사용에 적합하도록, 이른바 라디오 카셋트형의 기기로 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물론 컴포넌트 타입이라도 좋다.
그리고 단말(1)에는, 사용자가 각종 조작을 행하기 위한 각종의 조작 키나 조작 손잡이, 조그다이얼로 불리는 회동 푸쉬식의 키등이, 기기 전면 패널 등에 설치되어 있다.
또 사용자에 대한 출력부위로서 재생 음성등을 출력하는 스피커나, 각종 정보를 표시출력하는 표시부가 설치된다.
또, 사용자가 소유하는 광디스크(예를 들면 오디오 CD, CD-ROM, CD-R, CD-RV등)를 재생시키거나 후술하는 내부의 HDD등에 데이터 축적등을 실시하기 위해, 광디스크를 삽입하는 광디스크 삽입부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단말(1)과 통신 가능한 서버로서 도 1에서는 CD정보서버(3), 분배 서버(5), 콘텐츠 서버(7), 방송정보서버(9), 백업 서비스 서버(11)를 예시하고 있다.
각 서버에 대해서는, 각각 후에, 동작기능을 설명해 나가지만, 대략 다음과 같은 것으로 된다.
CD정보 서버(3)는, CD정보데이터베이스(4)를 갖추고, 적어도 당시스템내에서 일원 관리되는 콘텐츠 ID를 관리한다. 콘텐츠 ID란, 일반적으로 유통하는 콘텐츠의 각각에 대하여 할당된 식별자이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CD에 수록되는 각 악곡 타이틀마다, 각각 고유의 콘텐츠 ID가 부여되며, CD정보 서버(3)는, 예를 들면 CD에 수록되는 악곡에 대해 콘텐츠 ID를 관리한다.
또 CD정보 서버는, CD앨범 혹은 콘텐츠(악곡) 자체에 대응하는 부가정보로서의 CD타이틀 정보도 CD정보데이터베이스(4)에 있어서 관리하고 있다.
부가정보(CD타이틀 정보)란, 예를 들면, 곡명, 아티스트명, 가사등의 텍스트 데이터, 악곡 이미지나 아티스트의 화상이나 자켓 화상등의 화상 데이터, 아티스트의 인터넷 홈 페이지의 어드레스(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저작권에 관한 정보, 관계자명(예를 들면 작사자, 작곡자, 제작자등 )····등의 정보이다.
이 CD정보서버(3)는 단말(1)에 대해서 콘텐츠 ID나 부가정보를 분배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된다.
단말(1)은, CD 등으로부터 리핑하여 HDD 등에 축적한 콘텐츠에 대해서, CD정보서버(3)로부터 콘텐츠 ID를 수신하는 것으로, 일원관리된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CD정보서버(3)로부터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HDD 등에 축적한 콘텐츠에 대응하여 상기와 같은 각종 부가정보를 저장하고, 표시출력에 이용하는 등 각종 동작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된다.
분배서버(5)는, 콘텐츠 분배 서비스를 실시하는 서버이다. 이 분배서버(5)는 악곡 리스트 데이터베이스(6)를 갖추고, 예를 들면 유료로 일반 사용자에게 분배하는 악곡 콘텐츠의 리스트(악곡 리스트)를 관리한다.
그리고, 단말(1)에 대해서 악곡 리스트를 분배하고, 악곡 콘텐츠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실행한다.
악곡 리스트에 있어서는, 상기 콘텐츠 ID에 의해서 각 악곡을 관리하고 있다.
콘텐츠 서버(7)는, 일반 사용자에 대해서 분배하는 악곡 콘텐츠 자체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8)에는, 분배하는 악곡 콘텐츠가 격납되며, 단말(1)이 상기 악곡 리스트에 대하여 구입(분배) 희망의 조작을 행하는 것에 따라서, 요구된 악곡 콘텐츠를 단말(1)에 다운로드하는 서비스를 행한다.
각 악곡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 ID에 의해서 관리된다.
방송정보서버(9)는, 라디오 방송, 텔레비젼 방송등의 각종 방송국과 그 방송 타임 테이블을 관리하는 동시에, 방송되는 콘텐츠에 대응하고 콘텐츠 ID를 특정하는 서비스를 실시하는 서버이다. 방송 정보 데이터베이스(10)에는 각 방송국의 타임 테이블이나, 방송되는 콘텐츠의 콘텐츠 ID가 격납되어 있다.
단말(1)은, 방송수신시에, 방송국이나 방송 시각의 정보를 방송정보서버(9)에 송신하는 것으로, 방송정보서버(9)로부터, 방송되고 있는 음악 콘텐츠에 대해서의 콘텐츠 ID를 취득할 수 있다.
백업 서비스 서버(11)는, 단말(1)에서의 관리정보를 백업 데이터베이스(12)에 격납하는 것으로, 단말(1)의 백업 서비스를 행한다. 즉 단말(1)에 축적되어 있는 콘텐츠의 콘텐츠 ID가 포함된 관리정보를 백업하는 것으로, 단말(1)의 고장시등에 소요의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 서버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시스템예는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콘텐츠 서버(7)는, 다수의 레코드 회사등이 각각 운영하는 것으로, 다수의 콘텐츠 서버(7)가 시스템에 포함되는 것으로 된다. 다른 서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CD정보서버(3)는, 일반적으로 유통하고 있는 CD에 대응하고 콘텐츠 ID나 부가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설명하지만, 물론 다양한 패키지 미디어, 예를 들면 DVD, MD등에 대응하는 서버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음악 콘텐츠 뿐만이 아니라, 영상 콘텐츠 그 외의 콘텐츠에 대해서, 일원 관리된 콘텐츠 ID를, 관리하는 서버도 생각할 수 있다.
2. CD정보서버의 구성
도 2에 CD정보 서버(3)의 구성을 나타낸다.
CPU(41)는, 기동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CD정보서버(3)의 전체 제어, 연산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2)를 통한 통신동작, 오퍼레이터에 대한 입출력 동작, CD정보 데이터베이스(4)의 제어, 데이터 연산을 행한다.
CPU(41)는 버스(42)를 거쳐서 각 회로부와의 사이에서 제어신호나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메모리부(43)는 CPU(41)가 처리에 이용하는 RAM, ROM, 플래쉬 메모리등을 포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메모리부(43)에 있어서의 ROM에는, CPU(41)의 동작 프로그램, 프로그램 로더등이 기억된다. 메모리부(43)에 있어서의 플래쉬 메모리에는, 각종 연산 계수, 프로그램으로 이용하는 파라미터등이 기억된다. 메모리부(43)에 있어서의 RAM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있어서의 데이터 영역, 태스크 영역이 일시적으로 확보된다.
입력부(45)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리모트 코맨더, 그 외 입력 디바이스이며, CD정보서버(3)의 오퍼레이터가 각종 조작입력이나 데이터 입력을 행한다. 입력된 정보는 입력처리부(44)에서 소정의 처리가 실시되며, CPU(41)에 대해서 조작 또는 데이터의 입력으로서 전달된다. CPU(41)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여 필요한 연산이나 제어를 행한다.
표시부(47)는, 예를 들면 CRT나 액정 패널 등의 표시 디바이스로 되며,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각종 정보표시를 행한다.
CPU(41)가 각종 동작상태나 입력상태에 따라서 표시정보를 표시처리부(46)에 공급하면, 표시처리부(46)는 공급된 표시 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부(47)에 표시동작을 실행시킨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8)는, CPU(41)의 제어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HDD 등에 있어서 구축되는 CD정보데이터베이스(4)에 대한 기입·독출 액세스 동작, 검색 동작 등을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CD정보데이터베이스(4)에는, 일반적으로 유통하는 각종 CD타이틀에 대응하여, CD타이틀 정보(부가정보)나 콘텐츠 ID가 저장되어 있다.
통신처리부(49)는, CPU(41)의 제어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의 인코드처리, 수신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를 행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는, 통신처리부(49)에서 인코드된 송신 데이터를 네트워크(2)를 거쳐서 소정의 기기에 송신한다. 또 네트워크(2)를 거쳐서 외부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호를 통신처리부(49)에 주고 받는다.
통신처리부(49)는 수신한 정보를 CPU(41)에 전송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CD정보서버(3)의 구성으로서 나타냈지만, 분배서버(5), 콘텐츠서버(7), 방송정보서버(9), 백업서비스서버(11) 및 도 10에서 후술하는 CD타이틀 정보서버(3a), 콘텐츠 ID서버(3b)에 대해서도, 구성은 도 2와 같이 하여 실현할 수 있다. 즉, 각 서버에 있어서 후술하는 동작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도 2의 구성에 있어서, 각각 각 서버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으면 좋고, 또 각각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요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으면 좋은 것이다.
3. 단말의 구성
*도 3에 단말(1)의 구성을 나타낸다.
CPU(21)는, 기동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단말(1)의 전체의 제어, 연산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2)를 통한 통신동작, 사용자에 대한 입출력동작, CD의 재생이나 리핑, HDD(31)로의 콘텐츠 저장이나 관리정보의 작성·갱신, 콘텐츠 ID취득을 위한 콘텐츠 특정정보로 되는 CD식별자의 생성, 데이터 연산 등을 행한다.
CPU(21)는 버스(22)를 거쳐서 각 회로부와의 사이에서 제어신호나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메모리부(23)는 CPU(21)가 처리에 이용하는 RAM, ROM, 플래쉬 메모리등을 포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메모리부(23)에 있어서의 ROM에는, CPU(21)의 동작프로그램, 프로그램 로더 등이 기억된다. 메모리부(23)에 있어서의 플래쉬 메모리에는, 각종 연산계수, 프로그램에서 이용하는 파라미터 등이 기억된다. 메모리부(23)에 있어서의 RAM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있어서의 데이터 영역, 태스크 영역이 일시적으로 확보된다.
입력부(25)는, 단말(1)의 케이스체에 설치된 조작키나 조그다이얼, 터치 패널, 리모트 코맨더, 바코드 스캐너, 그 외의 입력 디바이스이며, 단말(1)의 사용자가 각종 조작입력이나 데이터입력을 행한다. 키보드나 마우스가 입력부(25)로서 설치되어도 좋다.
입력부(25)에서 입력된 정보는 입력처리부(24)에서 소정의 처리가 실시되며, CPU(21)에 대해서 조작 또는 데이터의 입력으로서 전달된다. CPU(21)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여 필요한 연산이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입력부(25)로서의 디바이스 하나에 터치패널이 설치되는 경우는, 표시부(27)에 이른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로서 조작용의 화상이 표시되는 동시에, 그 표시부(27)상의 화상에 대해서 손가락 또는 전용의 입력 펜 등이 대어지는 것으로, 그 GUI화상에 따른 조작입력이 행해지도록 구성된다.
또 입력부(25)의 디바이스의 하나로서, 바코드 스캐너가 준비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CD의 패키지(앨범 자켓 등)에 표시되어 있는 바코드를 독해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입력부(25)로서 덴키(숫자 키)가 준비되도록(혹은 GUI로서 텐키 화상이 표시되며 터치 패널방식으로 숫자입력가능하게 된다)하면, 사용자는 바코드 표시에 부가되어 있는 바코드 넘버(바코드 패턴의 하부에 나타내져 있는 숫자)를 숫자로 입력해 갈 수도 있다.
표시부(27)는, 예를 들면 액정패널등의 표시 디바이스로 되며, 사용자에 대해서 각종 정보표시를 행한다.
CPU(21)가 각종 동작상태나 입력상태, 통신 상태에 따라 표시 정보를 표시처리부(26)에 공급하면, 표시처리부(26)는 공급된 표시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부(27)에 표시동작을 실행시킨다.
예를 들면 CD재생시, 혹은 HDD(31)에 저장된 콘텐츠의 재생시에는, 트랙넘버, 연주시간, 동작상태, 음량 상태 등이 표시된다. 또 재생하는 콘텐츠에 대응하여 CD타이틀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곡명, 아티스트명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 라디오 수신시에는, 수신주파수, 음량상태등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각종 서버와의 통신에 따라 다양한 표시가 실행된다.
CD드라이브(29)는, 광학헤드, 스핀들 모터, 재생신호처리부, 서보회로등을 갖추고, CD에 대한 재생동작을 행한다. CD드라이브 제어부(28)는, CD드라이브(29)에 있어서의 CD에 대한 재생동작, 액세스 동작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입력부(25)로부터 CD재생조작을 행했을 경우는, CPU(21)는 CD드라이브 제어부(28)에 CD재생을 지시한다. 그러면 CD드라이브제어부(28)는, CD드라이브(29)에 대해서 재생/액세스를 실행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CD드라이브(29)에서는, CD로부터 읽어낸 신호에 대해서 디코드를 행하고, 재생데이터를 CD드라이브 제어부(28)를 거쳐서 버스(22)에 송출한다.
이 재생데이터는 오디오데이터 처리부(34)에 있어서 이쿼라이징등의 음장처리나 음량조정, D/A변환, 증폭등의 처리가 실시되며, 스피커부(34)로부터 출력된다.
또 CD 드라이브(29)에서 재생된 데이터는, 데이터 베이스관리부(30)에 전송되며, 소요의 파일 인코드처리가 실시되어 HDD(31)에 콘텐츠 파일로서 축적할 수도 있다.
또한, 공지와 같이 CD에서는 그 최내주측에 TOC라 불리는 관리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CD재생시에는 TOC에 의거하여 디스크상의 트랙(콘텐츠)의 액세스를 행한다. 따라서 CD드라이브 제어부(28)는, CD가 장전되었을 때에는 CD드라이브(29)에 TOC독출을 지시하고, 독출된 TOC데이터를 얻는 것으로, CD의 재생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튜너부(37)는, 예를 들면 AM·FM라디오 튜너로 되며, CPU(21)의 제어에 의거하여, 안테나(36)에서 수신된 방송신호를 복조한다. 물론 텔레비전 튜너나 위성방송튜너, 디지털방송 튜너 등으로서의 튜너이어도 좋다.
복조된 방송음성신호는, 오디오데이터 처리부(34)에 있어서 소요의 처리가 실시되며, 스피커부(35)로부터 방송음성으로서 출력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0)는, CPU(41)의 제어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HDD(31)에 대하여 콘텐츠 파일이나, 콘텐츠 파일을 관리하는 관리파일의 기입·독출 액세스 동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CD드라이브(29)에서 재생된 콘텐츠나, 외부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콘텐츠를, 콘텐츠 파일로서 HDD(31)에 축적하는 동시에, 그 관리파일을 기입/갱신한다. 후술하는 관리파일에는, CD정보서버(3)로부터 취득한 콘텐츠 ID나 CD타이틀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된다.
또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0)는, CPU(21)의 지시에 따라서, 소정의 콘텐츠 파일을 독출하여 오디오데이터 처리부(34)에 전송하고, 스피커부(35)로부터 음성출력시킬 수도 있다.
또한, 물론 HDD(31)는, 이와 같이 콘텐츠 파일의 데이터베이스로서 이용될 뿐만 아니라, CPU(21)에서 기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 등의 격납영역으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통신처리부(32)는, CPU(41)의 제어에 의거하여 송신데이터의 인코드처리, 수신데이터의 디코드처리를 행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3)는, 통신처리부(32)에서 인코드 된 송신데이터를 네트워크(2)를 거쳐서 소정의 기기, 예를 들면 상기 각종 서버장치에 송신한다. 또 네트워크(2)를 거쳐서 상기 서버등의 외부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호를 통신처리부(32)로 주고 받는다.
통신처리부(32)는 수신한 정보를 CPU(21)에 전송한다.
또한, 단말(1)의 구성은, 이 도 3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더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종 기록매체에 대응하도록, DVD드라이브, MD드라이브, 테이프 드라이브등이 설치되거나, 예를 들면 USB,IEEE 1394등의 통신방식에 의한 주변기기와의 인터베이스가 설치되도록 해도 좋다.
또 마이크로폰이나 외부의 헤드폰 접속에 이용되는 단자나, DVD재생시에 대응하는 비디오 출력단자, 라인 접속단자, 광디지털 접속단자등이 설치되어도 좋다.
또 PCMCIA슬롯, 메모리카드 슬롯등이 형성되며, 외부의 정보처리장치나 오디오기기와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도 좋다.
4. CD정보데이터베이스
CD정보서버(3)가 관리하는 CD정보데이터베이스(4)에 격납되는 CD정보를 도 4에 모식적으로 나타난다.
CD정보데이터베이스(4)에는, 시장에 유통하고 있는 패키지미디어로서의 다수의 CD에 대응하여 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정보(#1, #2‥‥)는 각각이 1장의 CD타이틀에 대응하는 CD정보로 된다.
각 CD정보, 즉 각 CD타이틀에 대응해서는, 각각 고유 CD식별자가 부여되어 있다. 후술하지만, 단말(1)과의 네트워크통신시에는 이 CD식별자가, 하나 또는 복수의 콘텐츠 ID를 특정하는 콘텐츠 특정정보로서 기능한다.
CD식별자의 생성형태는, 네트워크상의 각 기기에서 공통화된다. 이 CD식별자는, 각각의 CD타이틀에 대응한 고유의 코드데이터로 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생성형태로서는 이하와 같은 예가 고려된다.
·CD식별자를 CD의 TOC데이터로부터 생성한다.
CD의 TOC데이터에는, CD에 수록되어 있는 트랙수(곡수), 각 트랙의 어드레스(절대시간정보), 총연주시간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것은 통상, 동일 타이틀 CD에 있어서 동일의 데이터로 되지만, 다른 타이틀 CD에 있어서 모두 일치하는 것은, 우선 있을 수 없다. 따라서, TOC데이터로부터 CD타이틀에 고유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TOC데이터로부터 선두 트랙넘버, 최종 트랙넘버, 각 트랙의 어드레스, 총연주시간 등을 추출하고, 그 값을 합성하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연주처리에 의해 각 값을 이용한 연주를 행하는 것으로, 고유의 코드값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을 CD식별자로 하면 좋다.
·CD식별자를 ISRC정보로부터 생성한다.
각 CD타이틀에는, 그 앨범 또는 각 악곡마다에, 저작권관리 코드로서 ISRC가 부여되며, TOC에 기록되고 있다. 그리고 이 ISRC코드는 CD타이틀에 고유 코드데이터로서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ISRC코드를 이용하고, 혹은 ISRC코드에 특정의 연산처리를 부여하고, 그것을 CD식별자로 할 수 있다.
·CD식별자를 바코드정보로부터 생성한다.
각 CD타이틀에는, 그 앨범 자켓에, 제품관리정보로 되는 바코드가 인쇄되어 있다. 이 바코드정보는 디스크 제조자가 CD타이틀 고유의 정보로서 부여하고, 제품관리, 판매관리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바코드정보를 이용하고, 혹은 바코드정보에 특정의 연산처리를 부여하고, 그것을 CD식별자로 할 수 있다.
*물론 이들 예시하는 이외의 생성형태라도 좋고, 예를 들면 상기 각 예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CD식별자를 생성하도록 해도 좋지만, 예를 들면 이와 같은 CD식별자의 생성형태를 채용하면, 단말(1) 측에서도 마찬가지의 생성형태에서 개개의 CD에 대해서의 CD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도록 된다. 본 예에서는, 콘텐츠 특정정보로 되는 CD식별자가 단말(1) 측에서 생성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생성방식의 CD식별자를, 개개의 CD타이틀에 대응하는 CD식별자로서, CD정보데이터베이스(4)에 격납하도록 한다. 이것은, 단말(1)이 CD식별자를 생성하여, CD정보서버(3)에 송신해 왔을 때에, 그 CD식별자에 의해 CD정보데이터베이스(4)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CD정보데이터베이스에는, 예를 들면 상기 3개의 생성형태등, 복수의 생성형태에 의한 CD식별자를 병열적으로 기록해 두도록 하고, 단말(1)측이 어떤 생성형태로 CD식별자를 생성한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고려된다.
CD정보데이터베이스(4)에는, 각 CD식별자(즉 각 CD타이틀)에 대응해서는, CD타이틀 정보 및 콘텐츠 ID가 격납된다.
CD타이틀정보란, CD내용에 관하여 부가된 각종 정보이다. 예를 들면 CD타이틀명, 아티스트명, 수록곡수, 혹은 각 콘텐츠(각 악곡)에 대해서의 곡명 그 외이다.
콘텐츠ID는, CD에 수록된 각 콘텐츠(악곡)의 각각에 고유로 부여된 콘텐츠 식별자이다.
CD식별자에 대응하여 격납되어 있는 CD타이틀정보 및 콘텐츠 ID의 파일형태를 도 5에 나타낸다. 이 도 5의 데이터파일이, 1장의 CD앨범에 대응하는 정보로 된다.
우선, CD 식별자에 대응하여, 우선 CD 전체에 대응하는 부여정보가 격납된다. 여기서는 부가정보로서, CD타이틀(앨범 명), 아티스트 명, 수록곡 수, 또 다른 각종의 1 또는 복수의 부가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다른 부가정보란, 앨범 자켓 화상데이터, 아티스트 화상데이터, 프로듀서 명이나 레코드회사 명 등의 관계자 정보, 앨범 해설 텍스트나 코멘트, 아티스트나 레코드회사 등의 인터넷 홈페이지의 어드레스(URL), 저작권 정보 등이 고려된다.
또, CD식별자에 대응하여, 각 악곡(트랙(TK1∼TKn))의 각각의 콘텐츠 ID가 격납된다.
그리고 각 콘텐츠ID에 대응하여, 각 악곡에 대해서의 부가정보가 격납된다. 여기서는 부가정보로서는, 곡명, 아티스트 명, 또 다른 각종 1 또는 복수의 부가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다른 부가정보란, 예를 들면 곡 단위에서의 관계자(예를 들면 작사자, 작곡자, 제작자 등), 저작권정보, 가사, 코멘트, 곡마다의 이미지데이터 등으로 된다.
이와 같이 CD정보데이터베이스(4)에는, 하나의 CD타이틀에 대응하여, 도 5의 파일구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D타이틀정보와 콘텐츠ID가 격납된다.
또한 설명상, 「CD타이틀정보」란, 도 5에 있어서 CD식별자에 대응하여 격납되는 콘텐츠 ID이외의 정보, 즉 부가정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 「CD 정보」란, 콘텐츠 ID와 CD 타이틀정보를 포함한 총칭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CD에 수록된 각 트랙(각 악곡)으로서의 콘텐츠의 각각에 대응하는 콘텐츠 ID는, 각 악곡고유의 식별자이다.
이 콘텐츠 ID는, 본 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일원관리되는 것으로 된다. 즉, 단말(1), CD정보서버(3) 및 도 1에 나타낸 다른 서버에 있어서는 공통으로, 어떤 콘텐츠 ID는 특정의 악곡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용된다.
이 콘텐츠 ID는, CD정보서버(3)가 각 악곡에 대응한 고유의 코드데이터로서 생성하여 부여하고, 다른 서버에 제공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다른 서버도, 콘텐츠 ID에 의하여 악곡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다. 또, CD정보서버(3) 이외에서 콘텐츠 ID를 생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지만, 적어도 CD정보서버(3)가 그 콘텐츠 ID를 관리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말하는 관리란, 단말(1)에 콘텐츠 ID를 제공하거나, 혹은 다른 서버에 있어서 콘텐츠 ID가 이용되도록 하기 위한 관리이다.
또, 넓은 범위에서 일원 관리된 콘텐츠 ID로서는, CIDF(콘텐츠 ID포럼)에서 규정된 콘텐츠 ID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CIDF는, 인터넷의 보급, 디지털 데이터 부호화기술의 향상 등에 따라, 콘텐츠의 유통의 편리성이나 그 과금, 저작권, 부정이용의 방지 등을 위하여 조직된 것으로, 이른바 디지털 콘텐츠를 대상으로서 글로벌 스탠더드화를 고려한 콘텐츠 ID포맷을 책정하는 단체이다. 따라서, 이 CIDF에서의 콘텐츠 ID포맷에 준거한 콘텐츠 ID를 이용하는 것도, 본 시스템에 있어서 유효하게 된다.
5. 단말의 HDD축적정보
다음으로 도 6에, 단말(1)의 HDD(31)에 축적되는 파일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1)에서는, CD로부터 리핑한 콘텐츠(악곡)를 콘텐츠 파일로서 축적할 수 있다. 또, 네트워크(2)를 거쳐서 콘텐츠를 다운로드한 경우도, 그 콘텐츠를 콘텐츠 파일로서 HDD(31)에 축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곡이 든 CD로부터 5곡을 리핑한 경우, HDD(21)에는 5개의 콘텐츠파일이 축적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다량으로 콘텐츠파일을 축적시킨 HDD(31)로부터 소망의 콘텐츠파일을 선택하고 재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a에 있어서 HDD(31) 내에 나타내는 콘텐츠파일군이란, 각각 1곡을 하나의 콘텐츠파일로 한 다수의 콘텐츠파일을 나타내고 있다. 즉 실데이터(음악 데이터)로서의 콘텐츠파일군이다.
한편, HDD(31)내로 하여 나타내는 관리파일군이란, 콘텐츠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다수의 관리파일을 나타내고 있다.
도 6b에는 관리파일군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관리파일은, 시장에 유통하고 있는 패키지 미디어로서의 CD에 대응한 관리정보로 된다. 즉 도 6b에 나타내는 관리파일(#1, #2…)은, 각각이 1장의 CD타이틀에 대응하는 관리정보로 된다. 그리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관리정보는, 각각 CD식별자에 대응하여 CD타이틀정보나 콘텐츠 ID를 포함하는 정보로 된다.
단, HDD(31)에 있어서의 관리파일(#1, #2…)은, 사용자가 HDD(31)에 축적한 콘텐츠파일에 대응하여 생성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어떤 CD를 리핑하여, 그 CD에 수록되는 전곡을 각각 콘텐츠 파일로서 HDD(31)에 축적한 경우, 그 CD에 대응하는 하나의 관리파일이 생성되어 HDD(31)에 격납된다.
또, 예를 들면 사용자가 어떤 CD를 리핑하고, 그 CD에 수록되는 1 또는 복수의 일부곡을 콘텐츠 파일로서 HDD(31)에 축적한 경우도, 그 CD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관리파일이 생성되고 HDD(31)에 격납된다.
또한, 네트워크(2)를 거쳐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 HDD(31)에 축적한 경우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CD식별자가 수신되면, 그 콘텐츠가 포함되는 CD등의 미디어에 대응시키고 관리파일을 형성하고 격납할 수 있다.
각 관리파일에 있어서의 CD식별자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핑한 CD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CD정보서버(3)와의 통신을 행하여 콘텐츠 ID를 취득할 때, 콘텐츠 ID 특정정보로 된다. 즉 의미적으로 상기 CD정보서버(3)의 CD정보데이터 베이스(4)에 있어서의 CD식별자와 같은 것이다.
따라서 단말(1)에서는, 상술한 CD정보데이터 베이스(4)에서의 CD식별자의 생성형태와 동일한 생성형태로 CD식별자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CD의 리핑을 행할 때에, TOC데이터로부터 CD식별자를 생성한다. 또는 CD의 ISRC정보로부터 CD식별자를 생성한다. 또는 CD에 부가된 바코드데이터로부터 CD식별자를 생성한다. 물론 이 이외의 생성형태라도 좋지만, 어느 것으로 해도 CD정보서버(3)측에서의 CD식별자의 생성형태와 동일하게 된다.
각 관리파일에는, 각각 CD식별자(즉 각 CD타이틀)에 대응하여, CD 타이틀정보와 콘텐츠 ID가 격납된다.
CD식별자에 대응하여 CD타이틀정보 및 콘텐츠 ID가 격납되는 관리파일의 형태를 도 7에 나타낸다. 이 도 7의 관리파일은, 1장의 CD앨범에 대응한다. 그리고 그 CD앨범에 수록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콘텐츠파일로서 HDD(31)에 축적되어 있는 것이다. 단, 수록 콘텐츠중에서 하나의 콘텐츠도 HDD(31)에 축적하고 있지 않는 CD앨범에 대하여, 미리 관리파일을 형성하여, 그 후의 리핑이나 다운로드에 갖추도록 하는 것도 고려된다.
관리파일에 있어서는, CD식별자에 대응하고, 우선 CD전체에 대응하는 부가정보가 격납된다. 여기서는 부가정보로서 CD타이틀(앨범명) 아티스트명, 수록곡수, 또 다른 각종의 1 또는 복수의 부가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다른 부가정보란, 앨범자켓 화상데이터, 아티스트화상데이터, 프로듀서명이나 레코드회사명등의 관계자정보, 앨범 해설 텍스트나 코멘트, 아티스트나 레코드회사등의 인터넷 홈페이지의 어드레스(URL), 저작권 정보등이 고려된다.
또, CD 식별자에 대응하여, 각 악곡(트랙(TK1∼TKn))의 각각의 콘텐츠ID가 격납된다.
그리고 각 콘텐츠ID에 대응하여, 각 악곡에 대해서의 부가정보가 격납된다. 여기서는 부가정보로서는, 곡명, 아티스트명, 또 다른 각종의 1 또는 복수의 부가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다른 부가정보란, 예를 들면 곡단위에서의 관계자(예를 들면 작사자, 작곡자, 제작자 등), 저작권정보, 가사, 코멘트, 곡마다의 이미지 데이터 등으로 된다.
또한 각 콘텐츠 ID에 대응하여 콘텐츠파일 링크정보, 콘텐츠 소스정보가 격납된다.
콘텐츠 파일 링크정보는, 그 콘텐츠 ID에 의하여 나타내지는 실데이터로서의 HDD(31)에 축적된 콘텐츠파일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 콘텐츠 파일 링크 정보에 의하여, HDD(31)내에서 당해 콘텐츠 ID에 해당하여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파일이 지정되는 것으로, HDD(31)에 축적된 콘텐츠에 대해서의 관리파일에서 지정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실데이터로서의 콘텐츠파일이 HDD(31)에 축적되어 있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 때는, 콘테츠 파일 링크정보가 「노우 링크」로 되어 있는 것으로, 관리파일에서 해당하는 콘텐츠 파일이 HDD(31)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콘텐츠소스는, HDD(31)에 축적한 콘텐츠파일에 대해서의 소스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콘텐츠파일은 CD로부터 리핑되거나, 외부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고, HDD(31)에 축적되기 때문에, 소스 정보는 CD·다운로드의 구별이나, 또한 다운로드 경우의 다운로드 원래 서버의 식별정보등으로 된다.
이와 같이 HDD(31)의 관리파일은, 하나의 CD타이틀(CD 식별자)에 대응하고, 도 7의 구조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CD타이틀 정보와 콘텐츠 ID가 격납된다.
여기서, 단말(1)에 있어서는, CD로부터 리핑하고 콘텐츠파일을 축적하는 경우는, 그 재생하는 CD의 TOC정보등으로부터 CD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관리파일에 특정 CD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런데, 콘텐츠 ID는 상기와 같이 일원관리되는 ID이며, CD정보서버(3)가 생성하거나, 혹은 CIDF준거의 ID로 된다. 따라서, 단말(1)이 리핑한 콘텐츠 파일에 대하여 마음대로 부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 CD타이틀정보도,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입력하지 않는 한 얻을 수 없다.
그래서 후술하지만, 단말(1)은, 리핑시에는, 생성한 CD식별자를 CD정보서보(3)에 송신하고, CD정보서버(3)로부터 콘텐츠 ID나 CD타이틀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도 7과 같은 관리파일을 형성하고, 축적한 콘텐츠파일의 관리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콘텐츠 다운로드의 경우는, 다운로드에 따라 콘텐츠 ID나 부가정보가 송신되어 오면, 이들을 포함한 관리파일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CD(혹은 다른 미디어)로부터의 리핑의 경우는, 이와 같이 CD식별자(미디어식별자)에 대응하는 단위로서 관리파일을 구축할 수 있지만, 외부서버로부터의 다운로드의 경우는, 꼭 미디어단위로 관리파일을 구축할 수 있는 것으로는 되지 않는다.
그래서, 미디어 단위로 관리파일을 구축할 수 없는 경우는, 적어도 콘텐츠 ID에 대응시키어, 축적한 콘텐츠파일이 관리될 수 있도록 관리파일이 구축되도록 하면 좋다.
6. 단말 CD장전시의 처리
본 예는, 단말(1)에 있어서 HDD(31)에 격납된 콘텐츠파일이, 상기 도 7과 같이, 관리파일에 있어서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관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단, CD로부터의 리핑시에는, 콘텐츠 ID나 CD타이틀정보(부가정보)는 단말(1)만으로는 얻을 수 없고, CD정보서버(3)에 콘텐츠 ID나 CD타이틀정보를 요구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은 요구동작을 포함하는 처리로서, 단말(1)의 CD드라이브(29)에 CD가 장전되고 나서의 처리에 대하여 도 8, 도 9에서 설명한다. 이 처리는 CPU(21)의 제어 및 그것에 의거하는 소요 각부의 동작으로서 실현된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는, CD식별자는 TOC데이터로부터 생성하는 예로 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1)의 CD드라이브(29)에 CD가 장전되면, CPU(21)는 스텝(F101)으로서 CD드라이브 제어부(28)에 지시를 내고, 우선, CD의 TOC데이터의 독해를 실행시킨다.
독출된 TOC데이터는, 그 후의 CD재생을 위한 관리정보로서 CD드라이브제어부(28) 혹은 CPU(21)에 의하여 확보되지만, CPU(21)는 스텝(F102)으로서, 읽어들인 TOC데이터로부터, 당해 CD의 CD식별자를 판별한다. 결국, TOC데이터 중 트랙넘버, 트랙 어드레스 등의 정보를 추출하고, 특정의 연산처리를 행하여, CD고유의 CD식별자로서의 정보를 얻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TOC데이터에 포함되는 ISRC코드로부터 CD식별자를 생성해도 좋고, 이 시점(혹은 리핑을 행하는 시점)에서 사용자에 바코드 데이터입력을 요구하고, 바코드 데이터로부터 CD식별자를 생성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코드 데이터 입력을 위해서는 바코드 스캐너에 의한 것으로 하거나, 혹은 사용자에게 숫자입력을 요구하도록 하면 좋다.
스텝(F103)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0)에 대하여, 상기 CD식별자를 이용한 관리파일의 검색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이번에 장전된 CD에 대응하는 관리파일이 이미 HDD(31)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장전된 CD가, 과거에 리핑을 행한 CD였다고 하면, 이미 당해 CD에 대응하는 관리파일이 존재한다. 과거에 리핑을 행하고 있지 않는 CD이더라도, 수록곡의 일부가 외부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며, 동시에 CD식별자 및 부가정보, 콘텐츠 ID가 송신된 것이었다고 하면, 대응하는 관리파일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대응하는 관리파일이 존재한 경우는, 스텝(F104)으로서 CD정보를 표시부(27)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앨범 타이틀, 각곡의 곡명, 아티스트명, 자켓 이미지 등, 상기 도 7과 같이 부가정보로서 격납되어 있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CPU(21)는, HDD(31)로부터 각종 부가정보를 독출시켜, 표시처리부(26)에 공급하고 표시시킨다.
한편, 대응하는 관리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HDD(31)에 부가정보는 없기 때문에, TOC데이터에 근거한 표시를 행한다. 즉 CPU(21)는 스텝(F105)으로서 TOC데이터에서 얻어지는 표시정보를 표시처리부(26)에 공급하고 표시부(27)에 수록되어 있는 트랙넘버나 총 연주시간등의 표시를 실행시킨다.
스텝(F106, F108)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을 대기한다. 즉, CD재생조작, 혹은 CD에 수록된 악곡의 리핑조작을 대기한다.
재생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스텝(F106)에서 스텝(F107)으로 진행하고, 재생을 실행시킨다. 즉 CPU(21)는, 입력부(25)로부터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지정된 트랙의 재생이 행해지도록 CD드라이브 제어부(28)에 지시를 내고, CD드라이브(29)에서 재생동작을 실행시킨다.
사용자의 정지조작, 혹은 전곡의 재생이 완료했다면 스텝(F106, F107)의 루프로 복귀하고, 다음의 조작을 기다린다.
한편, 사용자가 CD에 수록된 전곡 또는 일부의 곡을 HDD(31)에 리핑하는 조작을 행한 경우에, CPU(21)는 스텝(F108)에서 스텝(F109)으로 진행하고, 지정된 악곡의 리핑처리를 행한다.
즉 CPU(21)는 CD드라이브 제어부(28)에, 지정된 트랙의 재생을 지시한다. 그리고 CD드라이브(29)에서 재생된 트랙의 오디오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0)에 전송되도록 한다. CPU(21)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0)에 대해서는, 재생된 1 또는 복수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콘텐츠 파일로서 HDD(31)에 격납해 가도록 지시한다.
이와 같은 콘텐츠 파일의 축적동작에 따라, CPU(21)는 스텝(F110)에서는, 당해 CD에 대한 관리파일이 HDD(31)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스텝(F103)과 마찬가지의 처리이다.(CD장전후, 2회 이상 리핑이 행해진 경우는, 스텝(F103)에서 관리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되었을 경우에도, 이 스텝(F110)의 시점에서 관리파일이 존재하는 것으로 될 경우가 있다).
이번 회 HDD(31)에 기입된 콘텐츠 파일에 대응하는 관리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스텝(F111)에서 관리파일 생성처리를 행한다. 존재하면, 스텝(F112)에서 관리파일 갱신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콘텐츠 파일의 기입 및 관리파일의 생성 또는 갱신에 의하여 리핑을 완료했다면, 스텝(F106, F107)의 루프로 복귀하고, 다음 조작을 대기한다.
또한, 도시를 생략했지만, 스텝(F106, F107)의 루프에 있어서 이젝트조작이 행해진 경우는, CD를 배출하고 도 8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F111)의 관리파일 생성처리에 대하여 도 9에서 설명한다.
이 경우, CPU(21)는 순서(S1)로서, 통신처리부(32)에 지시를 내고, 네트워크(2)를 거친 CD정보서버(3)와의 통신을 확립시킨다. 그리고 통신이 확립되었다면, 스텝(F102)에서 얻은 CD식별자를 송신하여 CD정보를 요구한다.
CD정보서버(3)에서는, 통신처리부(49)가 단말(1)로부터의 통신확립요구를 받는 것에 따라서 통신확립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단말(1)로부터의 CD식별자를 포함하는 요구신호를 수신했다면, CD정보서버(3)의 CPU(41)는, 그 CD식별자에 의하여 CD정보데이터베이스(4)의 검색을 행하도록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8)에 지시한다.
이것에 의하여 CD정보서버(3)에서는 순서(S11)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CD정보데이터베이스(4)의 검색이 실행된다. 그리고 CD정보데이터베이스(4)에는, 도 4,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D식별자에 대응하고 CD정보(CD타이틀정보 및 그 CD에 수록되어 있는 각 악곡의 콘텐츠 ID)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CD식별자에 근거하는 검색에 의해, 어느 하나의 CD에 대응하는 CD정보가 추출되며, 독출된다.
CPU(41)는, 예를 들면 도 5와 같은 CD정보로서, 단말(1)에 있어서 장전되어 있는 CD에 대응하는 CD정보가 추출된다면, 순서(S12)에 있어서, 검색결과의 통지를 행한다. 검색결과의 통지를 행한다. 즉 통신처리부(32)에 의해, 검색결과로서 검색완료/검색에러의 정보나, 검색완료의 경우의 CD타이틀정보 및 콘텐츠 ID를 단말(1)에 송신시킨다.
단말(1)에서는, 검색결과로서 CD타이틀정보 및 콘텐츠ID를 수신한다면, 순서(S2)로서 관리파일을 생성한다. 즉 도 7과 같이 CD식별자에 대응시키어 CD타이틀정보와, 각 악곡에 대응하는 콘텐츠 ID를 포함하는 관리파일을 생성한다. 또, HDD(31)에 축적한 콘텐츠 파일에 대해서는,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 파일링크정보를 설정한다. 또 콘텐츠소스정보로서, CD로부터의 리핑인 정보를 더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7에 나타내는 형태의 관리파일을 생성하고, HDD(31)에 기입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단말(1)에서는 CD로부터의 리핑에 의하여 콘텐츠 파일을 HDD(31)에 축적한 경우라도, 일원관리되는 콘텐츠 ID에 의하여 각 콘텐츠파일이 관리될 수 있는 상태로 할 수 있다.
후술하지만, 일원관리된 콘텐츠 ID에 의하여 콘텐츠 파일이 관리되는 것으로, 그 후, 외부서버로부터 콘텐츠에 관련하는 정보를 취득하고 하고 싶은 경우등에 호적한 것으로 된다.
또한 후술하지만, 콘텐츠 다운로드를 위한 리스트표시등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호적한 표시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도 9의 통신에 의하여 단말(1)이 얻어지는 CD정보는, CD식별자에 대응하는 CD정보이며, CD에 수록되고 있는 전곡의 콘텐츠 ID나,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단말(1)에서 CD에 수록되어 있는 일부 곡에 대해서만 리핑한 경우여도, 전곡에 대해서의 콘텐츠 ID 및 부가정보를 얻을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리핑하고 있지 않는 곡에 대해서의 콘텐츠 ID 및 부가정보도, 관리파일에 포함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10곡 든 CD로부터 2곡째의 트랙만에 대해서 리핑이 행해진 것으로 한다.
도 9의 통신에 의하여, CD정보서버(3)로부터는, 전곡에 대해서의 콘텐츠 ID 및 부가정보가 보내져 온다.
이 때문에 순서(S2)에서는, 리핑한 콘텐츠파일을 적절하게 콘텐츠 ID에 대응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즉 CPU(21)는 2곡째(CD의 제 2트랙)을 리핑했기 때문에, 그 콘테츠파일에 대해서는, 송신되어 온 콘텐츠 ID 및 부가정보로서, 제 2트랙의 콘텐츠 ID 및 부가정보에 대응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있어서 TK(2) 콘텐츠 ID에 대응시키어, 리핑한 콘텐츠파일에 대해서의 콘텐츠파일링크정보를 기입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 리핑하고 있지 않은 콘텐츠(CD트랙)에 대응하는 콘텐츠 ID에 대해서의 콘텐츠 파일링크정보에서는, 노우 링크의 데이터를 기입한다.
이와 같이 일부 트랙의 리핑이더러도, CD에 수록된 전트랙의 콘텐츠 ID 및 부가정보가 얻어지는 것으로, 그 후의 처리에 호적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제 2트랙이 리핑된 후, 동일한 CD로부터 다른 트랙이 리핑된 경우를 생각하면, 도 8의 스텝(F110)에서는 관리파일이 존재한다고 판단된다. 즉 리핑한 곡에 대해서의 콘텐츠 ID나 부가정보는 이미 축적되어 있다.
따라서, 그 경우는 도 9와 같은 통신을 행하여 CD정보를 얻을 필요는 없고, 상기와 같이 스텝(F112)으로 진행하여 관리정보를 갱신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그 때에 리핑한 트랙에 대응하는 콘텐츠 ID에 관련지어진 콘텐츠 파일링크정보로서, HDD(31)에 기입한 콘텐츠 파일이 나타내지도록 하고, 또 콘텐츠 소스정보로서 CD로부터의 리핑인 것을 나타내도록 갱신하면 좋다.
또, 적어도 1곡이 리핑된 CD에서는, 전곡에 대해서의 부가정보가 얻어지고 있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그 CD가 장전되었을 때에는 스텝(F104)에서, 전곡에 대해서의 곡명 등의 CD타이틀정보를, 사용자에 대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된다.
7. CD타이틀정보 서버와 콘텐츠 ID서버에 의한 시스템
그런데 도 1의 시스템에서는, CD정보서버(3)가 CD타이틀정보와 콘텐츠ID를 관리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CD타이틀정보의 분배서비스를 행하는 서버(CD타이틀 정보서버)가 존재하고, 그 CD타이틀 정보서버를 도 1의 CD정보서버(3)로서 실현하도록 하면, 그 CD타이틀정보서버에 있어서의 데이터베이스에, 콘텐츠 ID를 추가할 필요가 있고, 시스템구축에 방대한 코스트나 노력이 필요하게 될 경우가 있다.
그래서, 기존의 CD타이틀정보 서버를 그대로 본 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하고, 또한 일원 관리된 콘텐츠ID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D타이틀정보서버(3a) 이외에 콘텐츠 ID서버(3b)를 설치한다고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CD타이틀정보서버(3a)는, CD타이틀정보데이터베이스(4a)에 있어서,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유통하는 각 CD타이틀 마다의 CD식별자에 대응하여, CD타이틀정보를 격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즉 앨범명이나 아티스트명 등의 CD전체에 대응하는 정보나, 수록된 각 악곡에 대응하는 곡명, 작곡자명 등의 정보이다.
단, 콘텐츠 ID에 대해서는 격납하고 있지 않다.
한편, 콘텐츠 ID서버(3b)는, 콘텐츠 ID데이터 베이스(4b)에 있어서,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유통하는 각 CD타이틀마다의 CD식별자에 대응하여, 그 CD에 수록된 각 곡에 대응하는 콘텐츠 ID를 격납하고 있다. 한편, CD전체 혹은 콘텐츠마다에 대응하는 부가정보는 격납하고 있지 않다(또한 격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CD타이틀정보서버(3a), 콘텐츠 ID서버(3b)는, 도 2에서 설명한 CD정보서버와 동일 구성으로 되면 좋다.
이와 같은 콘텐츠 ID서버(3b)를 시스템으로 조합하는 것으로, 기존의 CD타이틀정보서버(3a)를 그대로 본 예의 시스템동작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 8의 스텝(F111)으로서의, 단말(1)에서의 관리파일 생성처리를 위한 통신동작이, 도 12 또는 도 13과 같이 행해지도록 하면 좋다.
우선 도 12의 예를 설명한다.
이 경우, 단말(1)의 CPU(21)는 순서(S1)로서, 통신처리부(32)에 지시를 하고, 네트워크(2)를 거친 CD타이틀정보서버(3a)와의 통신을 확립시킨다. 그리고 통신이 확립되면, 스텝(F102)에서 얻어진 CD식별자를 송신하고 CD정보를 요구한다.
CD타이틀정보서버(3a)에서는, 단말(1)로부터의 통신확립 요구를 받는 것에 따라 통신확립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단말(1)로부터 CD식별자를 포함하는 요구신호를 수신한다면, 순서(S10)로서, CD식별자를 포함하는 콘텐츠 ID의 요구신호를 콘텐츠 ID서버(3b)에 송신한다.
또, 당해 송신과 함께, CD타이틀정보서버(3a)는, 순서(S11)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1)로부터 수신한 CD식별자를 이용하여, 도 11a와 같은 CD타이틀 정보데이터베이스(4a)의 검색을 행한다.
한편, CD타이틀정보서버(3a)로부터, CD식별자를 포함하는 콘텐츠ID의 요구신호를 수신한 콘테츠ID서버(3b)는, 순서(S21)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CD식별자를 이용하여, 도 11b와 같은 콘텐츠ID데이터베이스(4b)의 검색을 행한다.
그리고 검색결과를 얻는다면, 순서(S22)로서 추출된 콘텐츠 ID, 결국 당해 대상으로되어 있는 CD에 수록되어 있는 전곡에 대해서의 콘텐츠 ID를, CD타이틀정보서버(3a)에 송신한다.
CD타이틀정보서버(3a)에서는, 콘텐츠ID서버(3b)로부터 콘텐츠 ID를 수신하는 것으로, 순서(S11)에 있어서의 검색동작에서 얻은 CD타이틀정보에 있어서의 각 악곡에 대응하는 콘텐츠ID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순서(S12)로서, CD타이틀정보와 콘텐츠 ID를 포함하는 CD정보, 즉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데이터 내용의 CD정보를, 검색결과로서 단말(1)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단말(1)에서는, CD타이틀정보 및 콘텐츠ID를 수신할 수 있고, 순서(S2)로서 관리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7과 같이 CD식별자에 대응시키어 CD타이틀정보와, 각 악곡에 대응하는 콘텐츠ID를 포함하는 관리파일을 생성하는 동시에, 콘텐츠파일링크정보나 콘텐츠소스정보를 더하여 도 7에 나타내는 형태의 관리파일을 생성하고, HDD(31)에 기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의 예를 설명한다.
이 경우, 단말(1)의 CPU(21)는 순서(S1A)로서, 네트워크(2)를 거친 CD타이틀정보서버(3a)와의 통신을 확립시킨다. 그리고 통신이 확립된다면, 스텝(F102)에서 얻은 CD식별자를 송신한다. 단, 이 경우는 콘텐츠ID를 제외한 CD타이틀정보를 요구하는 것으로 된다.
CD타이틀정보서버(3a)에서는, 단말(1)로부터의 통신확립요구를 받는 것에 따라서 통신확립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단말(1)으로부터의 CD식별자를 포함하는 요구신호를 수신한다면, 순서(S11)로서, 단말(1)로부터 수신한 CD식별자를 이용하고, 도 11a과 같은 CD타이틀 정보데이터베이스(4a)의 검색을 행한다.
그리고 검색에 의해 얻어진 CD타이틀정보를, 순서(S12)에 있어서 검색결과로서 단말(1)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하여 단말(1)에서는, 리핑한 대상의 CD에 대해서의 앨범명, 곡명등의 CD타이틀정보를 얻을 수 있다.
계속하여 단말(1)의 CPU(21)는 순서(S1B)로서, 네트워크(2)를 거친 콘텐츠 ID서버(3b)와의 통신을 확립시킨다. 그리고 통신이 확립된다면, 스텝(SF102)에서 얻은 CD식별자를 송신한다. 이 경우는 콘텐츠 ID만을 요구하는 것으로 된다.
단말(1)로부터 CD식별자를 포함하는 콘텐츠ID의 요구신호를 수신한 콘텐츠 ID서버(3b)는, 순서(S21)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CD식별자를 이용하여, 도 11b와 같은 콘텐츠 ID데이터베이스(4b)의 검색을 행한다.
그리고 검색결과를 얻는다면, 순서(S22)로서, 추출된 콘텐츠ID, 결국 당해 대상으로 되어 있는 CD에 수록되어 있는 전곡에 대해서의 콘텐츠ID를, 단말(1)에 송신한다.
이상의 통신에 의하여 단말(1)에서는, CD타이틀정보 및 콘탠츠ID를 수신할 수 있고, 순서(S2)로서 관리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7과 같이 CD식별자에 대응시키어 CD타이틀정보와, 각 악곡에 대응하는 콘텐츠ID를 포함하는 관리파일을 생성하는 동시에, 콘텐츠파일링크정보나 콘텐츠소스정보를 가하여 도 7에 나타내는 상태의 관리파일을 생성하고, HDD(31)에 기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도 12, 도 13과 같은 통신처리가 행해지도록 하는 것으로, 단말(1)은 CD타이틀정보서버(3a), 콘텐츠ID서버(3b)로부터, CD타이틀정보나 콘텐츠ID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0과 같은 서버구성에 의하면, 기존의 CD타이틀정보서버(3a)(CD타이틀정보데이터베이스(4a))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콘텐츠 ID서버(3b) 및 콘텐츠ID 데이터베이스(4b)는 신규 구축되는 것이지만, CD타이틀정보로서의 부가정보를 관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구축이나 운용은 비교적 간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8. 분배서버와 콘텐츠서버 및 악곡리스트
계속하여, 단말(1)의 사용자가 네트워크(2)를 거쳐서 악곡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단말(1)은, 도 1에 나타낸 분배서버(5)나 콘텐츠서버(7)와 통신을 행하게 된다.
분배서버(5)는, 사용자의 요망에 따라서 유료 또는 무료로 악곡콘텐츠를 분배하기 위한 관리를 행하는 서버이다.
콘텐츠서버(8)는, 실제의 악곡콘텐츠데이터를 관리하고, 분배서버(5)의 지시에 따라서 단말(1)에 콘텐츠데이터를 분배하는 서버이다.
도 1에 나타낸 분배서버(5)가 관리하는 악곡리스트 데이터베이스(6)에는, 도 14a와 같이, 악곡리스트데이터(#1, #2, …)가 격납되어 있다.
악곡리스트는,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악곡콘텐츠의 리스트이며, 사용자가 악곡리스트로부터 다운로드하고 싶은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악곡리스트데이터(#1, #2, …)는, 예를 들면 악곡장르마다나 아티스트마다 등에 악곡콘텐츠의 리스트로 한 것이거나, 구입 추천 악곡콘텐츠의 리스트로 한 것인 등으로서, 분배서버(5) 측에서 임의로 형성할 수 있다.
각 악곡리스트 데이터(#1, #2…)는, 각각 악곡리스트 데이터의 식별자로 관리된다.
그리고, 각 악곡리스트데이터(#1, #2, …)에는, 각각 악곡리스트 타이틀정보와, 그 리스트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콘텐츠ID를 포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악곡리스트 데이터베이스(6)에 있어서의, 하나의 악곡리스트 데이터(#x)의 구조를 도 15에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악곡리스트에 대하여 악곡리스트식별자가 부여되며, 이 악곡리스트 식별자에 대응하여, 악곡리스트 타이틀정보와, 그 리스트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콘텐츠ID가 격납된다.
악곡리스트 타이틀정보란, 악곡리스트의 내용에 관하여 부가된 각종의 정보이다.
콘텐츠ID는, 악곡리스트에 열거된 각 콘텐츠(악곡)의 각각에 고유로 부여된 콘텐츠 식별자이며, 이것은 상술한 CD정보서버(3)(또는 콘텐츠 ID서버(3b)에서 일원 관리되는 콘텐츠 ID이다.
도 15에 있어서는, 악곡리스트 타이틀정보(부가정보)로서, 우선 악곡리스트 전체에 대응하는 부가정보가 격납된다. 여기서는, 악곡리스트타이틀(리스트명), 아티스트명, 리스트 수록곡수, 또 다른 각종의 1 또는 복수의 부가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다른 부가정보란, 악곡리스트의 가이드정보, 수록곡이나 아티스트에 관한 화상데이터, 관계자정보, 저작권 정보등이 고려된다.
또, 악곡리스트 식별자에 대응하여, 리스트업된 각 악곡의 각각의 콘텐츠 ID가 격납된다.
그리고 각 콘텐츠 ID에 대응하여, 각 악곡에 대해서의 악곡리스트 타이틀정보로서의 부가정보가 격납된다. 여기서는 부가정보로서는, 곡명, 아티스트명, 또 다른 각종의 1 또는 복수의 부가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다른 부가정보란, 예를 들면 곡단위에서의 관계자(예를 들면 작사자, 작곡자, 제작자 등), 저작권정보, 가사, 코멘트, 곡마다의 이미지데이터 등으로 된다.
그리고 또한, 각 악곡의 콘텐츠 데이터를 실제로 관리하고 분배를 행하는 콘텐츠서버의 URL정보도 격납된다.
또한 설명상, 「악곡리스트 타이틀정보」란, 도 15에 있어서 악곡리스트 식별자에 대응하여 격납되는 콘텐츠 ID 이외의 정보, 즉 부가정보라는 것을 나타낸다. 또, 「악곡리스트정보」란, 콘텐츠ID와 악곡리스트정보를 포함한 총칭으로서 사용한다.
도 1의 콘텐츠서버(7)가 관리하는 콘텐츠데이터베이스(8)에는, 도 14b와 같이 콘텐츠데이터가 관리된다.
즉 데이터(#1. #2…)로서, 각각 콘텐츠 ID에 대응하여 콘텐츠데이터(악곡등의 실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이 경우의 콘텐츠ID도, 상술한 CD정보서버(3)(또는 콘텐츠ID서버(3b))에서 일원 관리되는 콘텐츠ID 이다.
9. 단말의 악곡리스트 표시처리
단말(1)은, 분배서버(5)가 상기와 같이 관리하고 있는 악곡리스트를 표시부(27)에 표시시키는 것으로, 단말(1)의 사용자는, 임의의 악곡을 선택하여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다. 특히 리스트표시를 할 때에, 리스트에 열거되어 있는 악곡에 대하여, 단말(1)의 HDD(31)에 이미 축적이 끝난 악곡인지 아닌지도, 사용자에게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이미 소유하고 있는 악곡을 재차 다운로드해 버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소유 악곡의 확인에 아주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악곡리스트에 포함되는 악곡이 단말(1)의 HDD(31)에 이미 격납이 끝났는지 아닌지의 판별은, 단말(1)측에서 행하는 경우와, 분배서버(5)측에서 행하는 경우가 고려되고, 여기서는 우선 단말(1)측에서 행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6에 악곡리스트의 요구로부터 콘텐츠 다운로드까지 흐름에 있어서의 통신처리를 나타낸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단말(1)처리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CPU(21)의 제어에 의하여 통신처리부(32)나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0)의 동작에 의하여 실현되는 처리이다. 또 분배서버(5)나 콘텐츠서버(7)는, 그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CD정보서버(3)와 대략 마찬가지이며, 각각 CPU의 제어에 의하여 통신처리부나 데이터베이스관리부의 동작에 의하여 실현되는 처리이다.
단말(1)에서는, 사용자가 악곡리스트를 표시시키는 조작을 행하는 것에 따라, 순서(S31)로서 악곡리스트를 요구하는 신호를 분배서버(5)에 송신한다.
또한, 여기서는, 간략화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최초 단계에서 악곡리스트 자체의 리스트를 요구하고, 사용자가 그 중에서 소정의 리스트를 선택하고, 그 악곡리스트를 요구하는 등, 리스트메뉴가 계층화되는 것이 고려된다.
도 16의 순서(S31)로서는, 사용자가, 그 전 단계에서 분배서버로부터 공급된 악곡리스트 메뉴로부터, 어떤 악곡리스트를 선택하는 것에 따라서, 단말(1)의 CPU(21)가, 그 악곡리스트에 대응하는 악곡리스트 식별자를 분배서버(5)에 요구신호로서 송신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분배서버(5)에서는, 악곡리스트의 요구신호를 수신하면, 순서(S41)로서, 요구된 악곡리스트의 악곡리스트 식별자로부터, 도 14a와 같은 악곡리스트 데이터 베이스(6)의 검색을 행한다. 그리고 순서(S42)에서, 검색된 악곡리스트정보로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조의 악곡리스트정보를 단말(1)에 송신한다.
단말(1)에서는, 악곡리스트정보를 수신하면, 순서(S32)로서, 그 악곡리스트정보에 포함되는 각 악곡에 대하여, 이미 HDD(31)애 축적이 끝난 곡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 상태에서, 표시부(27)에 악곡리스트의 표시를 행한다.
이 순서(S32)의 처리를 도 17, 도 18에서 설명한다.
CPU(21)는, 도 17의 스텝(F201)으로서, 변수(i)를 「1」로 세트하고, 스텝(F202)에서 변수(i)가 수신한 악곡리스트에 포함되는 수록곡수를 초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초과하고 있지 않다면 스텝(F203)에서, 수신한 악곡리스트정보에 있어서의 제 i곡째의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HDD(31)의 관리파일군을 검색하고, 같은 콘텐츠 ID를 포함하는 관리파일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파일내에는, 아직 축적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데이터에 대해서의 콘텐츠ID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있다. 그 때문에, 악곡리스트정보내의 콘텐츠 ID와 동일의 콘텐츠ID가 어떤 관리파일내에서 검색된 경우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콘텐츠 ID에 대응하여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파일 링크 정보를 참조한다. 여기서 콘텐츠 파일 링크 정보가 「노우 링크」이면, 해당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는 HDD(31)에 축적되어 있지 않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즉 스텝(F203)의 체크처리에서는, 악곡 리스트 정보내의 콘텐츠 ID와 동일한 콘텐츠 ID를 포함하는 관리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것, 혹은, 어떤 관리파일에 동일한 콘텐츠 ID가 있었지만, 그것에 대응하는 콘텐츠 파일 링크 정보가 노우 링크인 것의 어느 것인가에 의해, 악곡 리스트 정보에 나타내진 콘텐츠ⅠD의 콘텐츠 데이터가 HDD(31)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크처리에 의해서, 악곡 리스트 정보에 있어서의 제 i곡째의 콘텐츠 ID에서 나타내지는 콘텐츠 데이터가 HDD(31)에 축적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었을 경우는, 스텝(F204)에서 스텝(F205)으로 진행하고,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지 않는 곡」으로서 표시되도록 세트한다.
한편, 악곡 리스트 정보에 있어서의 제 i곡째의 콘텐츠 ID에서 나타내지는 콘텐츠데이터가 HDD(31)에 축적되어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는, 스텝(F204)에서 스텝(F206)으로 진행하고,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곡」으로서 표시되도록 세트한다.
이와 같은 처리를, 스텝(F207)에서 변수(i)를 인크리먼트(increment)하면서, 스텝(F202)에서 변수(i)가 악곡 리스트 수록곡수를 초과했다고 판단될 때까지 반복한다. 결국 도 15와 같은 악곡 리스트 정보에 열거되어 있는 모든 콘텐츠 ID에 대해서,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가 HDD(31)에 축적이 끝났는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그리고, 이 도 17의 처리를 끝내는 것으로, 수신된 악곡 리스트 정보에 근거하는 표시는, 예를 들면 도 18과 같이 실행된다.
도 18은, 악곡 리스트 정보의 표시예이며, 예를 들면 「당사이트 점장이 추천하는 Jazz lO곡 선택」이라고 하는 타이틀의 악곡 리스트 정보가 수신되었을 경우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악곡 리스트의 선두 4곡의 악곡이 제시된다. 나머지 악곡은 페이지 이송조작에서 표시된다. 곡명이나 아티스트명은.도 15와 같이 악곡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정보가 표시된다.
또, 각 악곡에 대해서, 「구입」이나 「시청(試聽)」을 요구하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구입」을 클릭하는 것으로, 다운로드를 요구할 수 있다. 또 「시청」을 클릭하는 것으로, 다운로드 전에 확인 등을 위해서 악곡의 일부를 시청할 수 있다(시청용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재생출력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클릭은 터치 패널 조작이나, 혹은 숫자 지정 입력 조작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악곡 리스트에 제 2곡째와 제 4곡째로서 게재되어 있던 콘텐츠 데이터가, 이미 HDD(31)에 축적이 끝났다고 판단된 것으로 한다. 그러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 2곡째와 제 4곡째에 대해서는 「구입」의 아이콘이 클릭 불능의 비액티브의 상태로 되며,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는 이미 HDD(31)에 축적이 끝났기 때문에, 이번에 구입할 필요는 없다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비액티브로 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잘못해서 클릭하여 중복 구입해 버리는 일이 방지된다.
또한, HDD(31)에 축적이 끝난 상태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표시양태는, 다양하게 고려된다. 예를 들면 각 악곡에 대응하여 「HDD 격납이 끝남」혹은 그것에 유사한 메시지 표시가 행해지도록 해도 좋다.
또, HDD 격납이 끝난 곡에 대해서는, 「구입」을 비액티브로서 다운로드를 위한 클릭 조작 불능으로 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는, HDD 격납이 끝난 곡인 것을 승낙한 후에, 재차 다운로드하고 싶다고 하는 일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HDD 격납이 끝남」이라고 하는 메세지를 표시한 다음 「구입」을 클릭 가능하게 해 두어도 좋다.
혹은, 도 18과 같은 화면상에서는, 특히 격납이 끝난 곡인 것의 표시는 행하지 않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가 격납이 끝난 곡에 대해서 구입 희망 조작을 행했을 경우는, 그 다운로드 실행의 확인 화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이미 HDD 격납이 끝난 곡이지만, 다운로드합니까?」 등으로 명시하고, 실행인지 캔슬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악곡 리스트 표시가 행해지는 것으로, 사용자는 리스트업 된 악곡을 소유가 끝난지 아닌지를 인식하면서 다운로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소유가 끝난 악곡인 것을 잊어 다운로드해 버리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리스트업 된 어떤 악곡에 대해 사용자가 구입 조작을 행했을 경우, 도 16의 순서(S33)로서 CPU(21)가 그 조작을 인식하고, 순서(S34)로서 콘텐츠 서버(7)에 대해서 콘텐츠 요구(다운로드 요구)의 송신을 행한다.
이 때, CPU(21)는, 사용자에게 구입 조작된 악곡에 대해서, 악곡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 서버의 URL를 참조하고, 그 URL에서 나타내어지는 콘텐츠 서버(7)에 대해서, 콘텐츠 ID를 송신하는 것으로 된다.
콘텐츠 서버(7)에서는, 콘텐츠 요구신호를 수신하면, 순서(S51)로서 콘텐츠 요구로서 송신되어 온 콘텐츠 ID로부터, 도 14b와 같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8)의 검색을 행한다. 그리고 순서(S52)에서, 검색된 콘텐츠 데이터를 단말(1)에 송신하는 다운로드를 실행한다.
또한, 콘텐츠 서버(7)는, 다운로드 완료에 따라서, 순서(S53)로서 단말(1)의 사용자에 대한 과금 처리를 행한다. 단, 이 과금 처리는 분배 서버(5)에서 행하도록 해도 좋다.
단말(1)에서는,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에 따라서, 순서(S35)로서, 그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파일로서 HDD(31)에 격납시킨다.
그리고 순서(S36)에서는, 이번 콘텐츠 파일의 기록에 대응하여 관리파일의 생성 또는 기존의 관리파일의 갱신을 실시한다.
다운로드한 콘텐츠 파일의 콘텐츠 ID가, 상기 도 17의 처리에 있어서, HDD(31)내의 어느 관리 파일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 ID이었다고 판단된 경우는, 이번 다운로드에 따라 새로운 관리 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CD단위의 CD식별자로 나타내지는 관리파일이 아니라, 콘텐츠 ID로 관리되는 관리 파일이 생성된다. 이때 관리 파일에 있어서는, 악곡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곡명 등의 부가 정보를 포함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서버(7)가 콘텐츠 데이터와 함께 부가정보를 격납하고 있고,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시에 부가정보도 공급하도록 하고 있으면,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관리파일에, 악곡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부가정보를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악곡 리스트 정보(혹은 콘텐츠 서버로부터의 다운로드 데이터내)에, 그 다운로드 악곡이 수록되어 있는 CD의 CD식별자가 기록되어 있으면, 신규 관리 파일을 도 7과 같이 CD식별자에 대응한 형태의 관리 파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CD식별자를 CD정보 서버(3)에 송신하고, 그 CD식별자에 대응한 각종 부가정보나, 그 CD에 포함되는 다른 곡의 콘텐츠 ID를 수취하도록 해도 좋다.
또, 악곡 리스트 등에 CD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콘텐츠 ID를 CD정보 서버(3)에 송신함으로써 검색을 요구해도 좋다. 이 경우 CD정보 서버(3)는 콘텐츠 ID에 의해서 도 4, 도 5와 같은 CD정보 데이터베이스(4)를 검색하고, 그 콘텐츠 ID가 포함되어 있는 파일을 추출한다. 그리고 검색된 CD식별자, 다른 CD수록곡의 콘텐츠 ID, 부가 정보를 단말(1)에 송신한다. 그러면, 단말(1)에서는, 상술한 CD로부터의 리핑시와 마찬가지로, 다운로드시에 도 7의 형태의 관리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다운로드한 콘텐츠 파일의 콘텐츠 ID가, 상기 도 17의 처리에 있어서, HDD(31)내의 어떤 관리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 ID였다고 판단되어 있던 경우는, 이번 다운로드에 따라 새로운 관리파일을 생성할 필요는 없고, 그 관리 파일의 갱신을 행하면 좋다.
즉, 다운로드한 콘텐츠 파일의 HDD(31)로의 기록에 따라서, 해당 관리파일내에서 해당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 파일 링크정보, 콘텐츠 소스 정보를 갱신하면 좋다. 또, 악곡 리스트 정보내의 부가정보나, 콘텐츠 서버(7)로부터의 부가 정보에 대해서, 관리파일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가 있으면, 그것을 부가정보로서 추가해도 좋다.
10. 악곡 리스트 송신에 관계되는 분배서버에 의한 처리
상기 예는, 악곡 리스트에 포함되는 악곡이 단말(1)의 HDD(31)에 이미 격납이 끝났는지 아닌지의 판별을 단말(1)측에서 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다음에, 악곡 리스트에 포함되는 악곡이, 그 악곡 리스트를 요구한 단말(1)의 HDD(31)에 이미 격납이 끝났는지 아닌지의 판별을 분배서버(5)측에서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에, 악곡 리스트의 요구로부터 콘텐츠 다운로드까지의 흐름에 있어서의 통신처리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도 16의 경우와 동일하게, 단말(1)의 처리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CPU(21)의 제어에 의해서 통신 처리부(32)나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0)의 동작에 의해서 실현되는 처리이다. 또 분배서버(5)나 콘텐츠 서버(7)는, 그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CD정보 서버(3)와 대략 동일하고, 각각 CPU의 제어에 의해서 통신처리부나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의 동작에 의해서 실현되는 처리이다.
도 16의 경우와 동일하게, 단말(1)에서는, 사용자가 악곡 리스트를 표시시키는 조작을 행함에 따라서, 순서(S31)로서 악곡 리스트 식별자를 포함하는 악곡 리스트 요구 신호를 분배 서버(5)에 송신한다.
또 이 경우, 단말(1)은, 그 시점에서 HDD(31)에 격납되어 있는 전관리 파일에 대해서의 정보를, 분배 서버(5)에 송신한다. 여기서 전관리 파일에 대해서의 정보란, 적어도 전관리 파일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콘텐츠 ID의 것이다. 또, 상기와 같이 단말(1)에서, HDD(31)에 격납되어 있지 않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의 콘텐츠 ID가 관리파일에 포함되는 것이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콘텐츠 ID에 대응하고 콘텐츠 파일 링크 정보(이 경우, 적어도 노우 링크인지 아닌지의 정보)도 송신하게 된다.
또 전콘텐츠 ID에 더하여 전CD식별자를 송신해도 좋다.
분배서버(5)에서는, 악곡 리스트의 요구신호를 수신하면, 순서(S41)로서 요구된 악곡 리스트 식별자로부터, 도 14a와 같은 악곡 리스트 데이터베이스(6)의 검색을 행한다.
다음에 순서(S43)로서 분배 서버(5)의 CPU는, 검색한 악곡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 ID에 대해서, 단말(1)로부터 송신되어 온 모든 콘텐츠 ID와 대조확인하는 체크처리를 행한다.
이 분배 서버(5)의 CPU가 실행하는 체크 처리를 도 20에 나타낸다.  분배 서버(5)의 CPU는 도 20의 스텝(F301)으로서 변수(i)를 「1」로 세트하고, 스텝(F302)에서 변수(i)가 검색한 악곡 리스트에 포함되는 수록곡수를 초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초과하지 않으면 스텝(F303)에서, 악곡 리스트 정보에 있어서의 제 i곡째의 콘텐츠 ID에 대해서, 단말(1)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ID 중에 같은 콘텐츠 ID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 파일내에는, 아직 축적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의 콘텐츠 ID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있기 때문에, 수신한 콘텐츠 ID중에서, 검색한 악곡 리스트 정보내의 콘텐츠 ID와 동일한 콘텐츠 ID가 존재했을 경우는, 그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 파일 링크 정보를 참조한다. 여기서 콘텐츠 파일 링크정보가 「노우 링크」이면, 당해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는 단말(1)의 HDD(31)에 축적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즉 스텝(F303)의 체크 처리에서는, 악곡 리스트 정보내의 콘텐츠 ID와 동일한 콘텐츠 ID가 존재하지 않는 것, 혹은, 동일한 콘텐츠 ID가 있었지만, 그것에 대응하는 콘텐츠 파일 링크정보가 노우 링크인 것의 어느 것인가에 의해, 악곡 리스트 정보에 나타내진 콘텐츠 ID의 콘텐츠 데이터가 단말(1)의 HDD(31)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크처리에 의해서, 악곡 리스트 정보에 있어서의 제 i곡째의 콘텐츠 ID에서 나타내지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단말(1)의 HDD(31)에 축적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었을 경우는, 스텝(F304)에서 스텝(F305)으로 진행되며,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지 아니한 곡」으로서 판별 데이터를 세트한다.
한편, 악곡 리스트 정보에 있어서의 제 i곡째의 콘텐츠 ID로 나타내지는 콘텐츠 데이터가 단말(1)의 HDD(31)에 축적되어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는, 스텝(F304)에서 스텝(F306)으로 진행하며,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곡」으로서 판별 데이터를 세트한다.
이와 같은 처리를, 스텝(F307)에서 변수(i)를 인크리먼트하면서, 스텝(F302)에서 변수(i)가 악곡 리스트 수록곡수를 초과했다고 판단될 때까지 반복한다. 결국 도 15와 같은 악곡 리스트 정보에 열거되어 있는 모든 콘텐츠 ID에 대해서,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가 단말(1)의 HDD(31)에 축적이 끝났는지 아닌지를 판별한 판별 데이터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체크 결과로서의 판별 데이터를 생성하면, 분배 서버(5)는 순서(S44)에서, 검색된 악곡 리스트 정보와 판별 데이터를 단말(1)에 송신한다.
단말(1)에서는, 악곡 리스트 정보 및 판별 데이터를 수신하면, 순서(S37)로서 판별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낼 수 있는 상태로, 표시부(27)에 악곡 리스트의 표시를 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도 18과 같이, 사용자가 HDD(31)에 소유하는 악곡에 대해서는 「분배」를 비액티브 상태로 표시한다. 즉 판별 데이터로서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곡」으로 된 것에 대해서 「분배」아이콘을 비액티브 상태로 한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비액티브로 하지 않고 「HDD 격납이 끝남」혹은 그것에 유사한 메시지 표시가 행해지도록 하거나 분배 요구시의 확인 화면에서 표시하는 등, 다른 표시 양태도 다양하게 고려된다.
그리고, 단말(1)에서의 악곡 리스트 표시시에 판별 데이터의 내용이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리스트업 된 악곡을 소유가 끝났는지 아닌지를 인식하면서 다운로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소유가 끝난 악곡인 것을 잊어 다운로드해 버리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리스트업 된 어떤 악곡에 대해 사용자가 구입 조작을 행했을 경우 이후의, 도 19의 순서(S33~S36)의 처리 및 콘텐츠 서버(7)의 순서(S51~S53)에 대해서는, 상기 도 16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11. 재생시의 콘텐츠 ID송신에 의한 정보취득처리
다음에, 단말(1)에 있어서 CD재생을 행할 경우, 혹은 HDD(31)에 축적한 콘텐츠 파일을 재생할 경우의, 콘텐츠 ID를 이용한 처리에 대해 도 21에서 설명한다.
이것은, 콘텐츠 재생시에, 그 콘텐츠에 관련하는 정보를 취득하고, 사용자에게 제시하거나 다른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단말(1)의 CPU(21)는, 도 21의 순서(S61)로서 장전 된 CD에 수록된 콘텐츠, 혹은 HDD(31)에 기록한 어떤 콘텐츠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에는, 관리 파일로부터 그 재생하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ID를 취득하고, 순서(S61)로서 CD정보 서버(3)에 관련정보의 요구신호로서 송신한다.
CD정보 서버(3)는, 관련 정보의 요구 신호로서 콘텐츠 ID를 수신하면, 순서(S71)로서 그 콘텐츠 ID에 의해서 도 4,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CD정보 데이터베이스(4)를 검색하고, 그 콘텐츠 ID에 대응하여 기록되어 있는 부가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검색된 부가정보, 즉 단말(1)에서 재생하고 있는 콘텐츠에 관련하는 정보를, 단말(1)에 송신한다.
그러면, 단말(1)에서는, 재생중의 콘텐츠에 관련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되고, 순서(S63)로서 그 정보를 표시부(27)에 표시시켜,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대해서 부가가치가 높은 음악 재생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단말(1)에서는 취득한 관련 정보를, 콘텐츠 ID에 대응시키고 관리 파일에 추가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처리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항상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유효하다. 예를 들면 CD정보 서버(3)에서는, 항상 콘텐츠 ID에 대응하는 관련 정보로서 아티스트의 콘서트 정보, 관련상품 판매정보, 신보정보, 텔레비젼 방송출연정보등을 CD정보 데이터베이스(4)에 갱신하면서 격납해 나가도록 하면, 사용자가 콘텐츠 재생을 행했을 때에, 그들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판매촉진을 위한 유효한 선전방식도 된다. 게다가 이들 관련정보로서 콘서트 티켓의 예약 사이트, 인터넷 판매사이트, 관련 데이터의 다운로드 사이트 등, 관련 사이트의 URL도 실어두고 사용자가 표시내용에 대한 클릭 조작으로, 그 관련 사이트로서의 웹페이지가 표시되도록 하면, 선전 뿐만이 아니라 사용자의 예약이나 구입을 위한 편의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12. 방송수신시의 콘텐츠 ID송신에 의한 정보취득처리(1)
다음으로, 단말(1)에 있어서 라디오 방송이나 데이터 방송의 수신을 행하는 경우에, 수신한 방송음성으로서의 콘텐츠에 대해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처리를 도 22에서 설명한다.
이것은, 방송하고 있는 콘텐츠를 청취하고 있을 때에, 그 콘텐츠에 관련하는 정보를 취득하고, 사용자에게 제시하거나 다른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22는, 방송국은 방송신호로, 콘텐츠 ID를 중첩하여 방송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즉 방송국은, CD정보 서버(3)에서 일원 관리되는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악곡 콘텐츠의 방송시에는, 대응하는 콘텐츠 ID로서의 데이터를 중첩한다.
단말(1)에서는, 도 22의 순서(S81)로서 튜너부(37)에서의 수신데이터를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34)에 보내고, 스피커부(35)로부터 음성출력시키는 동작이 행해진다.
여기서 CPU(21)는 순서(S82)로서 수신중의 방송신호중에서 콘텐츠 ID의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순서(S83)로서 CD정보 서버(3)에 콘텐츠 ID를 관련 정보의 요구 신호로서 송신한다.
CD정보 서버(3)는, 관련 정보의 요구신호로서 콘텐츠 ID를 수신하면, 순서(S91)로서 그 콘텐츠 ID에 의해서 도 4,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CD정보 데이터베이스(4)를 검색하고, 그 콘텐츠 ID에 대응하여 기록되어 있는 부가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검색된 부가정보, 즉 단말(1)에서 수신출력하고 있는 악곡등의 콘텐츠에 관련하는 정보를, 단말(1)에 송신한다.
그러면, 단말(1)에서는, 수신중의 콘텐츠의 곡명, 아티스트명이나, 또 다른 관련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되고, 순서(S84)로서 그들 정보를 표시부(27)에 표시시키고,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방송되고 있는 곡명이나 아티스트명을 알 수 있고, 또 관련정보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대해서 부가가치가 높은 방송수신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방송 신호로부터 추출한 콘텐츠 ID가, HDD(31)내의 어떤 관리파일내의 콘텐츠 ID와 일치했을 경우는, CD정보 서버(3)로부터 취득한 관련정보를 부가 정보로서 관리파일에 추가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사용자는 방송하고 있는 악곡 등에 대해 정확한 곡명 등을 인식할 수 있는 외에 상기 도 21의 처리 예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최신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유효하다. 즉, 방송하고 있는 곡에 대응하여 콘서트 정보, 관련상품 판매정보, 신보정보, 텔레비전 방송출연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고, 또 콘서트 티켓의 예약사이트, 인터넷 판매사이트, 관련데이터의 다운로드 사이트 등으로의 안내도 가능해진다.
13. 방송수신시의 콘텐츠 ID송신에 의한 정보취득처리(2)
그런데 상기예에서는, 방송신호에 콘텐츠 ID가 포함되는 것으로 하고 있고, 이것에는 방송국측이 콘텐츠 ID를 이용한 서비스에 협력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방송국이 콘텐츠 ID를 방송신호에 포함하지 않아도, 상기와 같은 관련정보의 표시를 실현할 수도 있다.
도 23에서 그와 같은 처리를 설명한다.
이 경우, 도 1에 나타낸 방송정보서버(9)와의 통신이 행해진다. 방송 정보서버(9)는, 그 방송 정보 데이터베이스(10)에 있어서, 각 방송국의 타임 테이블과 방송되는 악곡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격납하고 있다. 이 콘텐츠 ID는 CD정보 서버(3)에서 일원 관리되고 있는 콘텐츠 ID이다.
단말(1)에서는, 도 23의 순서(S81)로서 튜너부(37)에서의 수신데이터를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34)에 보내고, 스피커부(35)로부터 음성출력시키는 동작이 행해진다.
여기서 CPU(21)는 순서(S83A)로서 수신중의 방송신호에 대한 방송국명(방송국의 식별정보)과 방송시각을, 콘텐츠 ID의 요구신호로서 방송정보서버(9)에 송신한다.
이것에 대해서 방송정보서버(9)에서는, 순서(S95)로서 방송국명과 방송 시각의 정보에 근거해 방송정보데이터베이스(10)의 검색을 실시하고, 그 방송국에서 그 방송 시각에 방송되고 있던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ID를 추출한다. 그리고 순서(S96)로서 얻어진 콘텐츠 ID를 단말(1)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서 단말(1)에서는 방송 수신하고 있는 악곡에 대한 콘텐츠 ID를 얻을 수 있고, 이 콘텐츠 ID를 순서(S83B)에 있어서, CD정보 서버(3)에 관련 정보의 요구신호로서 송신한다.
CD정보 서버(3)는, 관련정보의 요구신호로서 콘텐츠 ID를 수신하면, 순서 (S91)로서 그 콘텐츠 ID에 의해서 CD정보 데이터베이스(4)를 검색하고, 그 콘텐츠 ID에 대응하여 기록되어 있는 부가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검색된 부가정보, 즉 단말(1)에서 수신 출력하고 있는 악곡 등의 콘텐츠에 관련하는 정보를, 단말(1)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단말(1)에서는, 수신중의 콘텐츠의 곡명, 아티스트명이나, 또 다른 관련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되고, 순서(S84)로서 그들의 정보를 표시부(27)에 표시시켜,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즉 방송신호에 콘텐츠 ID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여도, 방송정보서버(9)로부터 콘텐츠 ID를 취득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방송되고 있는 곡명이나 아티스트명을 알 수 있고, 또 관련정보를 알 수 있도록 된다.
14. 백업 서비스
본 예의 단말(1)에서는, 리핑이나 다운로드에 의해서 HDD(31)에 축적한 콘텐츠 파일에 대해서는, 관리 파일에 있어서 콘텐츠 ID에 대응하여 관리되는 것으로 된다. 이 콘텐츠 ID는 도 1의 시스템상에서 공통의 식별자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백업 서비스도 실현 가능해진다.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콘텐츠 서버(7)로부터 다운로드한 콘텐츠 데이터, 즉 대금을 지불하고 구입한 악곡에 대해서는, HDD(31)에 격납되는 것으로 되지만, 따라서, 만약 HDD(31)가 크래쉬(crash)하거나 혹은 단말(1) 자체가 고장이 나서 새로 교체를 행할 경우 등은, 구입한 악곡 자체도 잃는 것으로 되어 버린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에 대비하여,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백업 서비스를 도 24와 같이 행한다.
단말(1)의 CPU(21)는, 정기적으로, 혹은 필요한 시점에서, 순서(SlOl, SlO2)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업 서비스 서버(11)에 대해서 관리 파일의 내용을 송신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 송신하는 관리파일의 내용으로서는, 적어도 콘텐츠 ID이다. 예를 들면 백업 서비스의 대상이, HDD(31)에 격납된 모든 콘텐츠 파일로 되어 있다면, 그 모든 콘텐츠 파일에 대해서의 콘텐츠 ID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모든 관리파일에 포함되는 콘텐츠 ID이며, 콘텐츠 파일링크 정보가 「노우링크」가 아닌 콘텐츠 ID를 송신하면 좋다.
또, CD로부터 리핑된 콘텐츠는, 사용자는 그 CD를 소유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백업 서비스 대상으로 하지 않는 것이 고려되지만, 그 경우는, 다운로드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ID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모든 관리파일에 포함되는 콘텐츠 ID이며, 콘텐츠 소스 정보가 다운로드를 나타내고 있는 콘텐츠 ID를 송신하면 좋다.
또 단말(1)의 송신 시기로서는, 정기적으로 하는 이외는, HDD(31)에 콘텐츠 파일이 추가된 직후, 다운로드가 행해진 직후등으로 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이와 같은 단말(1)로부터의 관리파일내용(콘텐츠 ID)의 송신에 따라서, 백업 서비스 서버(11)는, 단말(1)(또는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함께 송신되어 온 내용을, 백업 데이터베이스(12)에 격납해 간다(순서(Flll, Fl12)).
따라서, 백업 데이터베이스(12)에는, 항상 단말(1)에서 보유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정보가 축적되게 된다. 이것은, 백업해야 할 콘텐츠 데이터를 단말(1)마다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또 실제의 콘텐츠 데이터 자체의 백업이 아니고, 콘텐츠 ID를 격납할 뿐이기 때문에, 다수의 단말(1)에 대해서 백업 서비스를 행해도, 용량적으로 극단적으로 큰 용량이 백업 데이터베이스(12)에 필요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어느때에 단말(1)이 고장나, 사용자가 새로운 단말(1)로 교체한다고 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조작 혹은 구입 후의 설정에 따라서, 신단말(1)은 순서(SlO3)로서 백업 서비스 서버(11)에 대해서 백업요구를 송신한다. 이 때, 사용자의 식별정보나, 구단말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등으로 하고, 혹은 사용자의 비밀번호 입력이나 소정의 인증처리 등이 행해지도록 하고, 구단말에서 신단말로의 기종변경이, 백업 서비스 서버(11)측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백업 서비스 서버(11)에서는 순서(Sl13)로서 백업 요구에 따라 백업 데이터베이스(12)로부터 백업하고 있는 콘텐츠 ID를 읽어낸다. 이것에 의해서, 백업 해야 할 콘텐츠를 확인한다.
그리고 순서(Sl14)로서 백업 대상으로 되어 있는 전부의 콘텐츠 ID를, 무료 다운로드 의뢰로서 콘텐츠 서버(7)에 송신한다. 또한 단말(1)에 대해서는, 순서(Sl15) 백업 대상으로 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다운로드되는 것을 통지한다.
콘텐츠 서버(7)에서는 순서(S121)로서 송신되어 온 각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도 14(b)와 같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검색한다. 그리고 순서(S122)에서, 검색된 각 콘텐츠 데이터를, 단말(1)에 다운로드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신단말(1)에서는, 구단말(1)에서 격납되어 있던 콘텐츠를, 무료로 도입할 수 있고, 즉 단말 고장에 따라, 구입한 콘텐츠까지도 소실되어 버린다고 하는 사용자의 불이익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실제의 운용으로서는, 무료가 아니고, 예를 들면 통상보다 염가로 다운로드를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 백업 서비스 서버(11)는, 백업 요구시에, 백업 콘텐츠의 리스트를 신단말(1)에 송신하고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선택시켜, 선택된 콘텐츠에 대해서, 다운로드가 실행되도록 콘텐츠 ID를 콘텐츠 서버에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실시의 형태로서의 구성 및 동작예를 각종 설명해 왔지만, 단말(1)이나 각종 서버의 구성예나 동작예, 시스템 구성예 등은 한층 더 다양하게 고려된다.
또 실시의 형태에서는 CD를 재생 가능하게 한 단말(1)에 대응하여 CD식별자를 이용하고 콘텐츠 ID가 검색되는 예를 들었지만, 물론 DVD등의 다른 미디어이며 DVD 식별자등이 이용되도록 해도 좋다.
또 본 발명은 악곡 콘텐츠에 한정하지 않고, 동영상, 정지화상, 텍스트, 프로그램 그 외의 어떤 콘텐츠를 대상으로 해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단말(1)이나 각 서버에 있어서 상기해 온 각종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며, 정보처리장치를 상기 서버등으로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그와 같은 본 발명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서버등의 동작이 실현되는 프로그램의 제공이 용이해져, 시스템 구축에 매우 적합하다.

Claims (6)

  1. 네트워크를 거쳐서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수단과,
    콘텐츠 데이터가 축적되는 축적수단과,
    기록매체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읽어내고, 당해 읽어낸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축적수단에 축적시키는 축적제어수단과, 
    상기 축적수단에 축적된 콘텐츠 데이터를 특정하는 콘텐츠 특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콘텐츠 특정 데이터 생성수단과,
    콘텐츠 식별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분배장치에 상기 콘텐츠 특정 데이터를 송신시키고, 송신된 상기 콘텐츠 특정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분배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콘텐츠 식별데이터를 수신시키도록 상기 통신수단을 제어하는 통신제어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에서 수신한 콘텐츠 식별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축적수단에 축적된 콘텐츠 데이터의 관리를 실행하는 관리제어수단을 갖추는 데이터 통신장치와,
    상기 데이터 통신장치와 통신하는 통신수단과,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동시에 적어도 상기 데이터 통신장치와 당해 데이터 분배장치에 대해서 일의적으로 정해져 있는 콘텐츠 식별데이터와 콘텐츠 특정 데이터가 대응하여 축적되는 축적수단과,
    상기 데이터 통신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콘텐츠 특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데이터를 상기 축적수단으로부터 추출하는 콘텐츠 식별추출수단과,
    상기 콘텐츠 식별데이터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콘텐츠 식별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통신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수단을 제어하는 통신제어수단을 갖추는 데이터 분배장치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장치와 통신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콘텐츠 식별데이터에 대응한 부가 데이터가 축적된 축적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콘텐츠 특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가 데이터를 상기 축적수단에 의해 추출하는 부가 데이터 추출수단과,
    상기 부가 데이터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부가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통신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수단을 제어하는 통신제어수단을 갖추는 제 2의 데이터 분배장치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3. 네트워크를 거쳐서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수단과,
    방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데이터 수신수단과,
    상기 방송데이터 수신수단에서 수신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방송국 또는 방송시각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콘텐츠 특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콘텐츠 특정 데이터 생성수단과,
    콘텐츠 식별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분배장치에 상기 콘텐츠 특정 데이터를 송신시키고, 송신한 상기 콘텐츠 특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콘텐츠 식별데이터를 수신시키는 동시에, 또한 상기 콘텐츠 식별데이터를 송신하고, 송신한 상기 콘텐츠 식별데이터에 대응하여 데이터 분배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시키도록 상기 통신수단을 제어하는 통신제어수단과,
    상기 콘텐츠 식별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갖추는 데이터 통신장치와,
    상기 데이터 통신장치와 통신하는 통신수단과,
    적어도 상기 데이터 통신장치와 당해 제 1의 데이터 분배장치 자체에 대하여 일의적으로 정해지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콘텐츠 식별데이터와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특정하는 콘텐츠 특정 데이터를 대응시키어 축적하는 축적수단과,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송신되며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콘텐츠 특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콘텐츠 식별데이터를 상기 축적수단으로부터 추출하는 콘텐츠 식별데이터 추출수단과,
    상기 콘텐츠 식별데이터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콘텐츠 식별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수단을 제어하는 통신제어수단을 갖추는 제 1의 데이터 분배장치와,
    상기 데이터 통신장치와 통신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제 1의 데이터 분배장치에 있어서 추출된 상기 콘텐츠 식별데이터에 대응한 부가 데이터가 축적된 축적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콘텐츠 특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가 데이터를 상기 축적수단에 의해 추출하는 부가 데이터 추출수단과,
    상기 부가 데이터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부가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수단을 제어하는 통신제어수단을 갖추는 제 2의 데이터 분배장치로 구성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4. 네트워크를 거쳐서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수단과,
    콘텐츠 데이터가 축적되는 축적수단과,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당해 콘텐츠를 식별하는 동시에 당해 데이터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데이터 통신장치에 대하여 일의적으로 정해지는 콘텐츠 식별데이터와 대응시키어 상기 축적수단에 축적시키는 축적제어수단과,
    상기 콘텐츠 식별데이터를 데이터 분배장치에 송신시키고, 송신한 상기 콘텐츠 식별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분배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수단을 제어하는 통신제어수단과,
    상기 데이터 분배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갖추는 데이터 통신장치와,
    상기 데이터 통신장치와 통신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콘텐츠 식별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축적하는 축적수단과,
    상기 데이터 통신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콘텐츠 식별데이터가 상기 축적 수단에 축적되어 있는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콘텐츠 리스트와 상기 판별수단의 판별결과를 상기 데이터 통신장치에 송신시키도록 상기 통신수단을 제어하는 통신제어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분배장치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5. 네트워크를 거쳐서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수단과,
    복수의 데이터 통신장치에 대하여 일의적으로 정해지는 콘텐츠 식별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축적하는 축적수단과,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데이터 통신장치에 송신시키도록 상기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통신제어수단을 갖추는 데이터 분배장치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데이터 분배장치와 통신하는 통신수단과,
    콘텐츠 데이터와 당해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동시에 적어도 상기 데이터 분배장치와 당해 데이터 통신장치에 대해서 일의적으로 정해지는 콘텐츠 데이터 식별데이터를 대응시키어 축적하는 축적수단과,
    상기 데이터 분배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하고, 상기 축적수단에 축적되어 있는 콘텐츠 식별 데이터가 수신한 상기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콘텐츠 리스트와 상기 판별수단의 판별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갖추는 데이터 통신장치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6. 삭제
KR1020107013839A 2002-05-08 2003-05-08 정보통신단말, 정보분배장치, 정보분배시스템, 콘텐츠 관리방법, 방송 수신방법, 정보분배방법,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011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32469A JP4200686B2 (ja) 2002-05-08 2002-05-08 情報通信端末、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受信方法、情報配信方法
JPJP-P-2002-132469 2002-05-0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668A Division KR101002420B1 (ko) 2002-05-08 2003-05-08 정보통신단말, 정보분배장치, 정보분배시스템, 콘텐츠관리방법, 방송 수신방법, 정보분배방법, 프로그램,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383A KR20100082383A (ko) 2010-07-16
KR101011793B1 true KR101011793B1 (ko) 2011-02-07

Family

ID=2941663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839A KR101011793B1 (ko) 2002-05-08 2003-05-08 정보통신단말, 정보분배장치, 정보분배시스템, 콘텐츠 관리방법, 방송 수신방법, 정보분배방법,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20107013837A KR101054803B1 (ko) 2002-05-08 2003-05-08 정보통신단말, 정보분배장치, 정보분배시스템, 콘텐츠 관리방법, 방송 수신방법, 정보분배방법,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20047017668A KR101002420B1 (ko) 2002-05-08 2003-05-08 정보통신단말, 정보분배장치, 정보분배시스템, 콘텐츠관리방법, 방송 수신방법, 정보분배방법, 프로그램,기록매체
KR1020107013835A KR101011791B1 (ko) 2002-05-08 2003-05-08 정보통신단말, 정보분배장치, 정보분배시스템, 콘텐츠 관리방법, 방송 수신방법, 정보분배방법, 프로그램, 기록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837A KR101054803B1 (ko) 2002-05-08 2003-05-08 정보통신단말, 정보분배장치, 정보분배시스템, 콘텐츠 관리방법, 방송 수신방법, 정보분배방법,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20047017668A KR101002420B1 (ko) 2002-05-08 2003-05-08 정보통신단말, 정보분배장치, 정보분배시스템, 콘텐츠관리방법, 방송 수신방법, 정보분배방법, 프로그램,기록매체
KR1020107013835A KR101011791B1 (ko) 2002-05-08 2003-05-08 정보통신단말, 정보분배장치, 정보분배시스템, 콘텐츠 관리방법, 방송 수신방법, 정보분배방법, 프로그램, 기록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8) US8255488B2 (ko)
EP (4) EP1918835A1 (ko)
JP (1) JP4200686B2 (ko)
KR (4) KR101011793B1 (ko)
CN (2) CN100527101C (ko)
WO (1) WO20030962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6074B1 (en) 2000-01-26 2012-04-10 Synchronoss Technologies, Inc. Data transfer and synchronization system
US8620286B2 (en) 2004-02-27 2013-12-31 Synchronos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moting and transferring licensed content and applications
US6671757B1 (en) 2000-01-26 2003-12-30 Fusionone, Inc. Data transfer and synchronization system
US20040019658A1 (en) * 2001-03-26 2004-01-29 Microsoft Corporation Metadata retrieval protocols and namespace identifiers
EP1580753A4 (en) * 2003-02-12 2008-07-02 Sony Corp DIGITAL DATA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US7426637B2 (en) * 2003-05-21 2008-09-16 Music Public Broadcast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ed media sharing in a network
JP4281437B2 (ja) 2003-07-10 2009-06-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WO2005006577A1 (ja) * 2003-07-14 2005-01-20 Sony Corporation 再生装置、情報設定方法および情報設定プログラム
US7313591B2 (en) * 2003-07-18 2007-12-2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computer readable mediums and systems for requesting, retrieving and delivering metadata pages
US8645471B2 (en) 2003-07-21 2014-02-04 Synchronoss Technologies, Inc. Device message management system
JP2005057359A (ja) * 2003-08-07 2005-03-03 Hitachi Ltd 携帯端末
US7546288B2 (en) * 2003-09-04 2009-06-09 Microsoft Corporation Matching media file metadata to standardized metadata
US11165999B1 (en) 2003-11-03 2021-11-02 Synergyze Technologies Llc Identifying and providing compositions and digital-works
US9053181B2 (en) 2003-11-03 2015-06-09 James W. Wieder Adaptive personalized playback or presentation using count
US8554681B1 (en) * 2003-11-03 2013-10-08 James W. Wieder Providing “identified” compositions and digital-works
US9098681B2 (en) 2003-11-03 2015-08-04 James W. Wieder Adaptive personalized playback or presentation using cumulative time
US9053299B2 (en) 2003-11-03 2015-06-09 James W. Wieder Adaptive personalized playback or presentation using rating
US8396800B1 (en) 2003-11-03 2013-03-12 James W. Wieder Adaptive personalized music and entertainment
JP2005174212A (ja) 2003-12-15 2005-06-3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443244B2 (ja) * 2004-01-26 2010-03-31 プロジェクト80株式会社 著作物利用実績報告書作成システム
US20050234858A1 (en) * 2004-03-30 2005-10-20 Yasuyuki Torii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reproduc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9542076B1 (en) 2004-05-12 2017-01-10 Synchronoss Technologies,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updating a personal profile
WO2005112586A2 (en) 2004-05-12 2005-12-01 Fusionone, Inc. Advanced contact identification system
JP4666198B2 (ja) * 2004-05-19 2011-04-0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プログラム
WO2005111866A1 (ja) * 2004-05-19 2005-11-24 Sony Corporation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666199B2 (ja) * 2004-05-19 2011-04-0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プログラム
JP2005339732A (ja) * 2004-05-28 2005-12-08 Sony Corp データ再生装置、情報配信サーバ及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JP2006048105A (ja) * 2004-07-30 2006-02-16 East Japan Railway Co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ネットワーク
JP4539219B2 (ja) * 2004-08-04 2010-09-08 株式会社デンソー 楽曲、映像コンテンツ、電子書籍、webコンテンツの各リスト交換システム、及びそれらに用いるサーバと端末装置
JP2006072539A (ja) * 2004-08-31 2006-03-16 Xing Inc 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システム、提供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167301B2 (en) * 2004-10-05 2015-10-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taking a secondary action responsive to receipt of an advertisement
US8806537B2 (en) * 2004-10-05 2014-08-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mplementing interactive control of radio and other media
US20060075427A1 (en) * 2004-10-05 2006-04-06 Robert Koch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recording media files
JP4481996B2 (ja) * 2004-10-21 2010-06-1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処理装置及び処理プログラム
JP2006195002A (ja) * 2005-01-11 2006-07-27 Xing Inc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4419879B2 (ja) 2005-03-17 2010-02-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
JP4622671B2 (ja) * 2005-04-18 2011-02-02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647128B2 (en) * 2005-04-22 2010-01-1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computer-readable media, and data structures for building an authoritative database of digital audio identifier elements and identifying media items
US20070150478A1 (en) * 2005-12-23 2007-06-28 Microsoft Corporation Downloading data packages from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attributes
JP2007323792A (ja) * 2006-06-05 2007-12-13 Kenwood Corp 車載用コンテンツファイル処理装置、車載用コンテンツファイル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881672A1 (en) * 2006-05-03 2008-01-23 Medinbiz Co., Ltd. Ultrasonic moving-picture real-time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embodied thereon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method
JP4341656B2 (ja) * 2006-09-26 2009-10-07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管理装置、ウェブサーバ、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コンテンツ管理方法、コンテンツ情報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757179B2 (ja) 2006-11-30 2011-08-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1939760A1 (fr) * 2006-12-20 2008-07-02 Gemplus Procédé et dispositif de gestion de données dans un environnement distribué
US8554265B1 (en) * 2007-01-17 2013-10-08 At&T Mobility Ii Llc Distribution of user-generated multimedia broadcasts to mobile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users
JP4799515B2 (ja) * 2007-03-30 2011-10-26 株式会社ドワンゴ コメント配信システム、コメント配信方法
TW200841738A (en) * 2007-04-03 2008-10-16 Awind Inc Display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network link
JP4946592B2 (ja) * 2007-04-20 2012-06-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ダウンロード装置および方法、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404130B2 (ja) 2007-10-22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424410B2 (ja) * 2007-11-07 2010-03-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US8181111B1 (en) 2007-12-31 2012-05-15 Synchronoss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context to digital activity
JP2009163595A (ja) * 2008-01-09 2009-07-23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326099B2 (en) 2008-02-11 2016-04-26 Popular Metr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udience characteristics of a music concert based on mobile phone tracking and mobile data transmissions
US9323836B2 (en) 2008-02-11 2016-04-26 Popular Metrics, Inc. Internet based method and system for ranking artists using a popularity profile
US9122749B2 (en) * 2009-02-04 2015-09-01 Popular Metrics, Inc. Internet based system and method for wagering on an artist
US8139451B2 (en) * 2008-04-21 2012-03-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US20100115623A1 (en) * 2008-10-30 2010-05-06 Control4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distribution of media content using verification
JP2010113593A (ja) * 2008-11-07 2010-05-2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064443B1 (ko) * 2008-12-19 2011-09-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 컨텐츠 분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4790821B2 (ja) * 2009-01-30 2011-10-12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電話
JP4994416B2 (ja) * 2009-04-13 2012-08-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060536B2 (ja) * 2009-09-30 2012-10-31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メディアプレーヤ、情報取得方法、データベースサーバ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2011076353A (ja) * 2009-09-30 2011-04-1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メディアプレーヤおよびコンテンツid決定方法
US8255006B1 (en) 2009-11-10 2012-08-28 Fusionone, Inc. Event dependent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8943428B2 (en) 2010-11-01 2015-01-27 Synchronoss Technologies,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field mapping
US20120239762A1 (en) * 2011-03-14 2012-09-20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mote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ppliances
JP5236782B2 (ja) * 2011-06-23 2013-07-17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通信端末
JP5813535B2 (ja) * 2012-03-01 2015-11-17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WO2013144092A1 (en) * 2012-03-27 2013-10-03 mr.QR10 GMBH & CO. KG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a data record, data record distribution system, and mobile device
RU2550527C2 (ru) * 2012-06-28 2015-05-10 Сейко Эпсон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данных, система pos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ой pos
US10157618B2 (en) 2013-05-02 2018-12-18 Xappmedia, Inc.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interactive advertising
WO2015176235A1 (zh) * 2014-05-20 2015-11-26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功能的运行方法及装置
US10721540B2 (en) * 2015-01-05 2020-07-21 Sony Corporation Utilizing multiple dimensions of commerce and streaming data to provide advanced user profiling and realtime commerce choices
US10694253B2 (en) 2015-01-05 2020-06-23 Sony Corporation Blu-ray pairing with video portal
US10901592B2 (en) 2015-01-05 2021-01-26 Sony Corporation Integrated multi-platform user interface/user experience
WO2016111872A1 (en) 2015-01-05 2016-07-14 Sony Corporation Personalized integrated video user experience
WO2016151791A1 (ja) * 2015-03-25 2016-09-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携帯端末、試聴方法、及び、試聴プログラム
US9978366B2 (en) * 2015-10-09 2018-05-22 Xappmedia, Inc. Event-based speech interactive media player
KR102464235B1 (ko) * 2016-03-31 2022-11-04 엘에스일렉트릭(주) 이중화 ems 서버의 db 관리 방법
JP2018005509A (ja) * 2016-06-30 2018-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148978A1 (ja) * 2019-01-15 2020-07-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169A (ko) * 1996-11-08 2000-08-25 모노리스 컴퍼니 리미티드 식별정보를 디지털 콘텐츠 내로 전사하고, 그 전사된 정보를판독하는 방법과 장치
JP2000285057A (ja) * 1999-03-31 2000-10-13 Sony Corp 伝送方法、伝送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23653A1 (de) 1975-05-28 1976-12-09 Licentia Gmbh Kabel
FR2602352B1 (fr) 1986-07-31 1991-08-16 Kempf Bertrand Banque de donnees audiovisuelle
DE4011134C2 (de) 1989-08-25 1995-08-24 Nsm Ag Wiedergabegerät für das Abspielen von Schallplatten bzw. Kompaktplatten
US5963916A (en) * 1990-09-13 1999-10-05 Intouch Group, Inc. Net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iew of music products and compilation of market data
FR2739715B1 (fr) 1995-10-06 1997-12-26 Vinot Eric Systeme permettant d'ecouter des disques en particulier audionumeriques a partir d'au moins une borne d'ecoute
US5991737A (en) * 1996-03-11 1999-11-23 Connexus Corporation Automated consumer response to publicly broadcast information
WO1998025269A1 (en) * 1996-12-02 1998-06-1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information stored on a medium
NL1006594C2 (nl) 1997-07-16 1999-01-19 Digitip B V I O Systeem voor het door een gebruiker doen waarnemen in hoorbare en/of zichtbare vorm van een op een registratiedrager opgetekend werk, weergeefeenheid, winkelinrichting, programmeereenheid, alsmede werkwijze.
DE19757129A1 (de) 1997-12-20 1999-06-24 Stefan Kneller Vorrichtung zum Bespielen eines Datenträgers mit Musikstücken oder Videoclips
US20020002039A1 (en) * 1998-06-12 2002-01-03 Safi Qureshey Network-enabled audio device
GB2335781A (en) 1998-03-24 1999-09-29 Soho Soundhouse Limited Method of selection of audio samples
EP0969469B1 (de) 1998-07-02 2002-06-05 SONOPRESS PRODUKTIONSGESELLSCHAFT FÜR TON- UND INFORMATIONSTRÄGER mbH Music Browser
JP4568933B2 (ja) * 1998-12-25 2010-10-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US6651053B1 (en) * 1999-02-01 2003-11-18 Barpoint.Com, Inc. Interactive system for investigating products on a network
WO2000054231A1 (en) 1999-03-10 2000-09-14 Advanced Communication Desig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ed recording of music on portable digital media at a retail premises
DE29914175U1 (de) * 1999-08-13 1999-12-09 Sonopress Prod Anlage zum Bereitstellen von akustischen und/oder optischen Informationen
US7209900B2 (en) * 1999-08-27 2007-04-24 Charles Eric Hunter Music distribution systems
WO2001016821A2 (en) * 1999-09-01 2001-03-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tribution system, semiconductor memory card, receiving apparatu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receiving method
KR100682290B1 (ko) * 1999-09-07 2007-02-1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콘텐츠 관리 시스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격납 매체
JP2001110171A (ja) * 1999-10-13 2001-04-20 Sony Corp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端末装置、送受信方法、ならびに、記憶媒体
US20010003212A1 (en) * 1999-10-29 2001-06-07 Jerilyn L. Marler Identifying ancillary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 audio/video program
JP2001148156A (ja) * 1999-11-22 2001-05-29 Ntt Data Corp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配布・利用方式及び方法
JP4803883B2 (ja) 2000-01-31 2011-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位置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1236394A (ja) * 2000-02-22 2001-08-31 Victor Co Of Japan Ltd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センター、中継端末およびユーザ携帯端末
JP2001236374A (ja) 2000-02-23 2001-08-31 Mitsubishi Electric Corp 金型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1265979A (ja) * 2000-03-15 2001-09-28 Pfu Ltd 電子媒体配信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1290895A (ja) * 2000-04-07 2001-10-19 Ntt Communications Kk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US7788211B2 (en) * 2000-06-16 2010-08-31 Nokia Networks Oy Robust and efficient compression of list of items
JP2001357052A (ja) * 2000-06-16 2001-12-26 Ntt Communications Kk 情報提供システム
US6891953B1 (en) * 2000-06-27 2005-05-1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binding enhanced software features to a persona
JP2002025184A (ja) 2000-07-10 2002-01-25 Nec Corp コンパクトディスク試聴販売システムおよびコンパクトディスク試聴販売方法
US20020065564A1 (en) * 2000-07-13 2002-05-30 Sheriff Amyn 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GB0017715D0 (en) * 2000-07-20 2000-09-06 Inc Technologies Holdings Limi Music listening system
JP2002041527A (ja) 2000-07-24 2002-02-08 Alpine Electronics Inc 音楽情報管理方法及び音楽情報管理装置
DE60141471D1 (de) * 2000-09-13 2010-04-15 Stratosaudio Inc System und verfahren zum bestellen und zur verfügung stellen von medieninhalten, mit verwendung von zusatzdaten die in einem rundfunksignal mitübertragen werden
JP4072988B2 (ja) * 2000-10-02 2008-04-09 株式会社ハドソン デジタルコンテンツデータ生成システム
JP2002123270A (ja) 2000-10-12 2002-04-26 Pioneer Electronic Corp 楽曲検索装置及び楽曲検索方法
JP3944350B2 (ja) 2000-10-18 2007-07-11 株式会社ケンウッド 録音再生装置、高速録音方法及び記録媒体
EP1209592A1 (en) * 2000-11-28 2002-05-29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electronic content
FR2902628A1 (fr) 2006-06-27 2007-12-28 Laurent Jean Louis Normand Dispositif destine a presenter avantageusement et a maintenir a temperature de degustation les vins et boissons en bouteilles.
JP2020004927A (ja) 2018-07-02 2020-01-09 ウシオ電機株式会社 蛍光光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169A (ko) * 1996-11-08 2000-08-25 모노리스 컴퍼니 리미티드 식별정보를 디지털 콘텐츠 내로 전사하고, 그 전사된 정보를판독하는 방법과 장치
JP2000285057A (ja) * 1999-03-31 2000-10-13 Sony Corp 伝送方法、伝送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51803A1 (en) 2020-05-14
KR20100082383A (ko) 2010-07-16
KR20100082382A (ko) 2010-07-16
JP2003323181A (ja) 2003-11-14
KR20100082381A (ko) 2010-07-16
US10572930B2 (en) 2020-02-25
WO2003096201A1 (en) 2003-11-20
US20190035001A1 (en) 2019-01-31
EP1505507A4 (en) 2007-11-14
US9317880B2 (en) 2016-04-19
US20050203992A1 (en) 2005-09-15
CN101593213A (zh) 2009-12-02
US20190026818A1 (en) 2019-01-24
US20140172635A1 (en) 2014-06-19
US20120110122A1 (en) 2012-05-03
US20170364993A1 (en) 2017-12-21
EP1918833A1 (en) 2008-05-07
CN1653432A (zh) 2005-08-10
KR101002420B1 (ko) 2010-12-21
KR20040104696A (ko) 2004-12-10
KR101011791B1 (ko) 2011-02-07
US20160180445A1 (en) 2016-06-23
US9792642B2 (en) 2017-10-17
US10991032B2 (en) 2021-04-27
US10115147B2 (en) 2018-10-30
CN100527101C (zh) 2009-08-12
US8255488B2 (en) 2012-08-28
CN101593213B (zh) 2012-06-13
US8700741B2 (en) 2014-04-15
JP4200686B2 (ja) 2008-12-24
US10535091B2 (en) 2020-01-14
KR101054803B1 (ko) 2011-08-05
EP1505507A1 (en) 2005-02-09
EP1918835A1 (en) 2008-05-07
EP1918834A1 (en)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793B1 (ko) 정보통신단말, 정보분배장치, 정보분배시스템, 콘텐츠 관리방법, 방송 수신방법, 정보분배방법, 프로그램, 기록매체
US6542870B1 (en) Recording apparatus
KR100830555B1 (ko)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통신장치 및 그 방법
US8515991B2 (en) Content presenting device, content presenting method, and content presenting program
US20010042111A1 (en) Contents distribution system, requesting device, providing device,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aggregate and media
CN1860525B (zh) 通信装置和通信方法
JP2007012271A (ja) 音楽再生システム及び音楽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