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021B1 - 커넥터 구조 - Google Patents

커넥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021B1
KR100990021B1 KR1020030028495A KR20030028495A KR100990021B1 KR 100990021 B1 KR100990021 B1 KR 100990021B1 KR 1020030028495 A KR1020030028495 A KR 1020030028495A KR 20030028495 A KR20030028495 A KR 20030028495A KR 100990021 B1 KR100990021 B1 KR 100990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using
connector
main body
doo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539A (ko
Inventor
다까다쇼이찌
기히라사또루
와시노기요시
후까미쯔요시
가또마사또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7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01R13/5829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the clamping part being flexibly or hingedly connected to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덮개 또는 문짝 부재 부착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의 접속이나 분리 등의 사용시에 분해되기 어려운 것이며, 이 덮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커넥터 주요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커넥터(10)의 케이블(20)을 도출하는 제2 개구(18)를 넓히는 힘의 방향이 하우징 본체(12)로부터 덮개(14)를 제거하는 방향과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거하는 방향은 이 덮개가 하우징 본체(12) 위를 슬라이드 하는 방향이면 된다. 또한, 이 개구(18)를 넓히는 힘의 방향이 하우징 본체(12)로부터 덮개(14)를 제거하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문짝 부재, 하우징 본체, 덮개, 간막이벽, 커넥터, 케이블

Description

커넥터 구조 {CONNECTOR STRUCTURE}
도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b는 도1a의 제1 실시예의 저면도.
도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b는 도2a의 제2 실시예의 저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과 제2 실시예의 개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개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개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8은 도7의 커넥터가 덮개로 덮음으로써 완성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9는 도8의 커넥터 완성체를 다른 각도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0은 도7의 커넥터의 하우징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덮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2는 덮개가 떨어져 있는 종래로부터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3은 종래로부터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50, 60, 900 : 커넥터
12, 52, 902 : 하우징 본체
14, 904 : 덮개
20, 912 : 케이블
16 : 접촉자
103 : 양극측의 컨택트
104 : 부극측의 컨택트
137 : 스톱퍼
151, 152 : 리드선
본 발명은 커넥터 또는 커넥터 주요 부품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 또는 커넥터 주요 부품의 구조이며, 문짝 부재 또는 하우징 부품이 하우징 본체의 개구를 덮는 커넥터 또는 커넥터 주요 부품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 신호 등을 전달하는 커넥터로서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커넥터(900)가 있다. 이 커넥터(900)는 하우징 본체(902)와 외부 단자에 접속되는 접촉자(910)와, 이 하우징 본체(902)를 덮어 커넥터(900)로 하는 덮개(904)와,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전달하는 동축 케이블(912)로 구성된다. 이 덮개(904)는 하우징 본체(902) 측면의 약간 내측에 붙여진 가이드(914)에 따라 위로부터 덮어씌우도록 하우징 본체(902)에 덮개를 덮도록 조립되어 커넥터(900)를 구성한다. 이 때, 케이블이 커넥터 내의 접속을 용이하게 언제라도 할 수 있도록, 통상 하우징 본체(902)와 덮개(904)는 가이드(914)와 덮개(904)의 끼워 맞춤에 의해 고정되고, 용접이나 접착 등은 행해지지 않는다. 동축 케이블(912)은 하우징 본체(902)의 반원형 개구(906a) 및 덮개(904)의 반원형 개구(906b)가 조합되어 생기는 개구(906)를 통해 커넥터(900) 내부로부터 도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하우징 구조를 갖는 커넥터에서는, 특히 커넥터(900)를 외부 단자로부터 빼낼 때나 케이블을 깔 때 케이블(912)이 인장되고, 그 인장되는 방향에 따라서는 덮개(904)에 하우징 본체(902)로부터 이탈시키는 힘이 걸리는 일이 있고, 이에 의해 커넥터(900)가 분해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즉, 케이블(912)을 도면 중 상방으로 인장하면 개구(906)의 덮개측(906b)에 상향의 힘이 작동하고, 이에 의해 하우징 본체(902)의 덮개(904)가 억지로 열려져 버리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려면, 하우징(902)의 로크력을 높이기 위해 로크(914)를 크게 하거나 로크의 걸림 양을 늘리는 것도 가능하지만, 조립의 작업성이 악화될 뿐 아니라, 커넥터 본체의 거대화라는 단점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한 번 닫힌 덮개는 파괴되지 않는 한 다시 열 수 없는 구조로 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와 같은 과제에 비추어, 커넥터의 접속이나 분리시에 커넥터가 분해되지 않는 커넥터이며, 또한 언제라도 이 덮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커넥터 주요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과제에 비추어, 커넥터 분해의 원인을 구명한 바, 개구(906)를 밀어서 여는(반원형 개구(906a) 및 반원형 개구(906b)를 상하로 밀어서 여는) 힘이 접속시 등에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이는 작업자가 커넥터(900)를 잡을 때 동시에 케이블(912)을 잡고, 혹은 하우징 본체와 덮개의 합체를 잡지 않고 케이블(912)만 잡아서 케이블(912)을 하우징 본체와 덮개의 합체에 대하여 상하 좌우로 움직이기 때문인 것을 발견하였다. 즉, 하우징 본체와 덮개의 합체의 개구(906)가 있는 면에 포함되는 방향의 힘이 개구(906)를 밀어서 열고 합체로부터 덮개를 제거해 버리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개구를 밀어서 여는 힘의 방향이 하우징 본체로부터 덮개를 제거하는 방향과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혹은, 이와 같은 개구를 밀어서 여는 힘의 방향이 하우징 본체로부터 덮개를 제거하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은 개구를 밀어서 여는 힘의 방향이 하우징 본체에 덮개를 끼우는 방향과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혹은, 이와 같은 개구를 밀어서 여는 힘의 방향이 하우징 본체에 덮개를 끼우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외부 단자에 접속을 하기 위한 제1 개구를 갖는 커넥터용으로 만들어지는 커넥터 주요 부품이며, 하우징 본체와, 이 하우징 본체를 덮어 커넥터로 하는 문짝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 본체는 접속되는 외부 단자의 크기·형상에 대응하여 개구되고, 그 외부 단자에 접촉하는 접촉자가 노출되는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접촉자에 접속되는 도선이 도출되는 제2 개구와, 상기 제2 개구에 연결되는 개구이며, 상기 문짝 부재에 의해 덮어지는 제3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3 개구를 덮어 상기 하우징 본체를 덮을 때의 상기 문짝 부재의 동작 방향이 상기 제2 개구에 있어서 도출되는 도선이 가요성을 갖고 움직이는 방향과는 다른 것인 커넥터 주요 부품.
(2) 상기 하우징 본체는 상기 문짝 부재에 설치된 제1 오목부를 슬라이드 하는 제1 볼록부 혹은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커넥터 주요 부품.
(3) 상기 하우징 본체는 상기 문짝 부재에 설치된 제2 볼록부 혹은 단부를 슬라이드 시키는 제2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커넥터 주요 부품.
(4) 상기 하우징 본체는 상기 제2 개구로부터 간막이벽을 격리시켜 상기 제3 개구에 연결되어 있는 제4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자에 접속되는 제2 도선이 상기 제4 개구로부터 도출되고, 상기 제2 도선이 가요성을 갖고 움직이는 방향은 상기 제2 개구로부터 도출되는 상기 도선이 가요성을 갖고 움직이는 방향과 합치하는 것이고, 상기 간막이벽은 상기 문짝 부재가 상기 하우징 본체를 덮을 때 상기 문짝 부재의 제3 볼록부 혹은 단부를 슬라이드시키는 제3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서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커넥터 주요 부품.
(5) 상기 제2 개구로부터 간막이벽을 격리시켜 상기 제3 개구에 연결되어 있는 제4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자에 접속되는 제2 도선이 상기 제4 개구로부터 도출되고, 상기 제2 도선이 가요성을 갖고 움직이는 방향은 상기 제2 개구로부터 도출되는 상기 도선이 가요성을 갖고 움직이는 방향과 일치하는 것이고, 상기 간막이벽은 상기 문짝 부재가 상기 하우징 본체를 덮을 때 상기 문짝 부재의 제4 오목부에 슬라이드 되는 제4 볼록부 혹은 단부를 갖는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서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커넥터 주요 부품.
(6) 상기 하우징 본체는 상기 문짝 부재가 상기 하우징 본체를 덮을 때 상기 문짝 부재를 걸림 지지시키는 걸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서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커넥터 주요 부품.
(7) 외부 단자에 접속을 하기 위한 커넥터의 제조용 커넥터 주요 부품이며, 하우징 본체와 이 하우징 본체를 덮어 커넥터로 하는 하우징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 본체는 케이블이 도출되는 제2 개구와 상기 제2 개구에 연결되는 제3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3 개구를 덮어 상기 하우징 본체를 덮을 때 상기 하우징 부품의 동작 방향이 상기 제2 개구를 밀어서 넓히는 방향에 대략 직각이 되도록 한 커넥터 주요 부품.
(8) 상기 하우징 본체는 상기 하우징 부품에 설치된 제5 오목부를 슬라이드 하는 제5 볼록부 혹은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에 기재된 커넥터 주요 부품.
(9) 상기 하우징 본체는 상기 하우징 부품에 설치된 제6 볼록부 혹은 단부를 슬라이드시키는 제6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 또는 (8)에 기재 된 커넥터 주요 부품.
(10) 상기 제2 개구로부터 간막이벽을 격리시켜 상기 제3 개구에 연결되어 있는 제4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자에 접속되는 제2 도선이 상기 제4 개구로부터 도출되고, 상기 제4 개구를 밀어서 넓히는 방향이 상기 제2 개구를 밀어서 넓히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이며, 상기 간막이벽은 상기 문짝 부재가 상기 하우징 본체를 덮을 때 상기 하우징 부품의 제7 볼록부 혹은 단부를 슬라이드 시키는 제7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에서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커넥터 주요 부품.
(11) 상기 제2 개구로부터 간막이벽을 격리시켜 상기 제3 개구에 연결되어 있는 제4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자에 접속되는 제2 도선이 상기 제4 개구로부터 도출되고, 상기 제4 개구를 밀어서 넓히는 방향이 상기 제2 개구를 밀어서 넓히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이며, 상기 간막이벽은 상기 문짝 부재가 상기 하우징 본체를 덮을 때 상기 하우징 부품의 제8 오목부에 슬라이드 되는 제8 볼록부 혹은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에서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커넥터 주요 부품.
(12) 상기 하우징 본체는 상기 하우징 부품이 상기 하우징 본체를 덮을 때 상기 하우징 부품을 걸림 지지시키는 걸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에서 (1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커넥터 주요 부품.
(13) 외부 단자를 받는 제1 개구를 갖는 커넥터 제조용의 커넥터 주요 부품이며, 하우징 본체와 이 하우징 본체를 덮어 커넥터로 하는 하우징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 본체는 접촉자와 접속하는 케이블이 도출되는 제2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본체를 덮을 때 상기 하우징 부품의 동작 방향이 상기 외부 단자에 접속되기 위한 상기 접촉자와 상기 케이블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의 분할면을 관통하는 방향이며, 상기 케이블과 상기 접촉자를 격리시켜 놓은 힘의 방향에 대략 직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주요 부품.
(14) 외부 단자를 받는 제1 개구를 갖는 커넥터 제조용의 커넥터 주요 부품이며, 하우징 본체와 이 하우징 본체를 덮어 커넥터로 하는 하우징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 본체는 접촉자와 접속하는 케이블이 도출되는 제2 개구와 상기 하우징 부품에 의해 덮어지는 제3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개구와 상기 제3 개구는 격리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부품이 상기 제3 개구를 덮어 상기 하우징 본체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주요 부품.
(15) 상기 하우징 본체가 상자형의 6면체이며, 그 제1 면에 상기 접촉자가 배치되고, 제2 면에 상기 제2 개구가 배치되고, 제3 면에 상기 제3 개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6) 또는 (1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커넥터 주요 부품.
(16) 상기 접촉자는 상기 외부 단자에 접속되었을 때, 상기 외부 단자에 의해 기계적으로 구속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가 상기 접촉자를 거쳐서 상기 외부 단자에 의해 기계적으로 구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6), (13) 또는 (1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커넥터 주요 부품을 이용한 커넥터.
(17) 외부 단자에 접속을 하기 위한 커넥터이며, 상기 외부 단자에 접속되는 접촉자와 하우징 본체와 이 하우징 본체를 덮어 커넥터로 하는 하우징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본체에 구비된 개구를 덮어 상기 하우징 본체를 덮을 때 상기 하우징 부품의 동작 방향이 상기 외부 단자로부터 그 커넥터를 빼내는 방향에 대략 직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여기서, 외부 단자라 함은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가 접속되는 단자를 말하고, 그 커넥터로부터 독립하여 존재하는 것이어도 좋고, 전원 단자, 콘센트, 잭, 플러그 등 어떠한 종류의 단자를 포함해도 좋다. 또한, 접속한다는 것은 단자의 목적에 적합한 접속이 행해지는 것이어도 좋고, 예를 들어 전력 공급이나 전기 신호 등 전달하기 위한 접속이면 된다. 커넥터 주요 부품이란 커넥터의 부품이며 커넥터를 형성하는 것에 상당하는 것이어도 좋고, 예를 들어 하우징, 케이싱, 프레임 등에 상당하는 것이면 된다. 따라서, 이 커넥터 주요 부품에 그 밖의 부품을 조립하여 커넥터가 만들어진다. 하우징 본체라 함은 하우징의 주된 부품이며, 케이싱이라고 불리우는 것이어도 좋고, 그 밖의 부품과 조합하여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하우징 본체를 덮는다는 것은 하우징 본체에 개구가 있고, 그 개구를 덮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면 된다. 따라서, 하우징 본체를 덮어 커넥터로 하는 것은 최종 단계 혹은 그에 가까운 단계에서 덮개를 덮음으로써 커넥터가 완성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해도 된다. 문짝 부재라 함은 하우징 본체를 덮는 부품이어도 좋고, 플레이트형의 형상 혹은 그에 준하는 형상을 하고 있으면 된다.
하우징 본체가 접속되는 외부 단자의 크기·형상에 대응하여 개구하고 있다 는 것은 하우징 본체에 개구하고 있는 부분이 있고, 그 개구하고 있는 부분의 크기가 접속되는 외부 단자의 크기·형상에 맞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된다. 개구라 함은 그 부분에 장해가 되는 것이 없고, 외부 단자가 하우징 본체 내부에 들어 갈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어도 좋다. 그 외부 단자에 접촉하는 접촉자라고 하는 것은 외부 단자에 커넥터가 본래 전달해야 하는 전기, 신호, 정보, 그 밖의 피전달 내용(물건이나, 힘이나 빛 등 에너지를 포함하면 된다)을 전달할 수 있는 접촉(기계적인 접촉을 포함하면 된다)을 이 접촉자가 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여도 좋고, 전기적인 접촉을 하고 있는 접촉자를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이 접촉자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접촉을 할 수 있는 단자이어도 좋고 전기 단자를 포함하는 것이면 된다. 이와 같은 접촉자의 예로서는 컨택트라고 불리우는 물건이나 터미널이라고 불리우는 물건이 포함되어도 좋다. 접촉자가 노출되어 있는 제1 개구라고 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접촉자가 외부 단자가 접속할 수 있도록 나타나 있으어도 좋고, 물리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나 어떤 커버가 걸려 있는 경우를 포함해도 좋다. 개구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제1 이라고 한 것은 다른 개구가 있어 그것과 구별하기 위함이다.
도선이 도출되어 있는 제2 개구라고 하는 것은 커넥터가 본래 접속에 의해 전달되는 전기 신호 등을 안내하는 선인 도선이 커넥터 내부로부터 나오는 개구이어도 좋고, 제2 라고 한 것은 상기 제1 개구와 구별하기 위함이다. 제2 개구에 연결되는 제3 개구를 덮어 하우징 본체를 덮게 한다는 것은 제2 개구와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 개구가 하우징 본체에 있고, 이 제3 개구를 문짝 부재가 덮어 덮개를 덮는 것이어도 좋다. 즉, 이 문짝 부재는 제2 개구와 접하는 또는 근접하도록 하우징 본체를 덮는 것이어도 좋다. 이 하우징 본체를 덮을 때의 문짝 부재의 동작 방향이라 함은, 하우징 본체를 덮개로 덮도록 제3 개구를 덮는 문짝 부재의 작동 방향이어도 좋고 장착 방향이어도 좋다. 도선이 가요성을 갖고 움직이는 방향이라 함은 도선이 제2 개구 면에 대략 평행한 방향이어도 좋고, 하우징 본체에 포함되는 이 제2 개구를 규정하는 주위 모서리부에 의해 규정되는 면 내에 대략 포함되는 방향이어도 좋다. 따라서, 방향은 면 내이면 어떠한 방향이더라도 좋다. 문짝 부재의 동작 방향이 이 가요성을 갖는 방향과는 다르다는 것은 문짝 부재가 하우징 본체를 덮는 작동 방향이 상술한 가요성을 갖는 작동 방향과는 동일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여도 좋다.
문짝 부재에 설치된 제1 오목부라 함은 예를 들어 문짝 부재에 있는 홈과 같은 형상의 오목부이어도 좋고, 이 오목부는 이하에 서술하는 볼록부 등을 그 오목부의 후퇴 부위에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 하우징 부재의 제1 볼록부 또는 단부가 제1 오목부를 슬라이드 한다는 것은 하우징 부재이고, 제3 개구 근방에 설치된 볼록부(다른 것에 비해 돌출된 부분) 또는 하우징 부재가 있는 부분의 단부 부분이 상술한 제1 오목부의 후퇴 부위에 끼워 넣어지고 이 오목부를 미끄러지도록 작동하면 된다. 이 때, 상술한 제1 오목부 또는 제1 볼록부 혹은 단부는 1 방향으로 연속하는 것이어도 좋고, 단속적으로 있는 것이어도 좋고(이 때는, 상기 제1 오목부 또는 제1 볼록부 혹은 단부가 복수 존재할 경우도 있다) 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하우징 본체에 설치된 제2 오목부는 예를 들어 하우징 본체에 있는 홈과 같은 형상의 오목부이어도 좋고, 이 오목부는 이하에 기재하는 볼록부 등을 그 오목부의 후퇴 부위에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 문짝 부재의 제2 볼록부 또는 단부가 제3 개구 근방에 설치된 상기 제2 오목부를 슬라이드 한다는 것은 문짝 부재의 볼록부(다른 것에 비해 돌출된 부분) 또는 문짝 부재의 단부의 부분이 상술한 제2 오목부의 후퇴 부위에 끼워 넣어지고, 이 오목부를 미끄러지도록 작동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때, 상술한 제2 오목부 또는 제2 볼록부 혹은 단부는 1 방향에 연속하는 것이어도 좋고, 단속적으로 있는 것이어도 좋고(이 때는 상기 제2 오목부 또는 제2 볼록부 혹은 단부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제2 개구가 간막이벽에 의해 제3 개구에 연결되어 있는 제2a 개구 및 제2b 개구로 나누어진다는 것은 제2 개구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로 간막이벽이 배치되고, 제2 개구를 포함하는 면 내에 이 벽이 연신(延伸)되고, 제2a 개구 및 제2b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어도 좋고, 이들 양 개구가 제3 개구에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3 개구를 거쳐서 이들 양 개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해도 좋다. 이 간막이벽은 상술한 제2 개구를 포함하는 면의 면 두께 방향으로 짧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혹은 길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 간막이벽은 하우징 본체의 부품 혹은 부분이어도 좋고 별도 부품이어도 좋다.
문짝 부재의 제3 볼록부 혹은 단부를 슬라이드시키는 제3 오목부를 상기 간막이벽이 가진다는 것은 상술한 문짝 부재와 하우징 본체의 관계와 마찬가지 의미 이어도 좋다. 즉, 간막이벽에 설치된 제3 오목부는 예를 들어 간막이벽에 있는 홈과 같은 형상의 오목부이어도 좋고, 이 오목부는 이하에 기재하는 볼록부 등을 그 오목부의 후퇴 부위에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 문짝 부재의 제3 볼록부 또는 단부가 제3 개구 근방에 설치된 상기 제3 오목부를 슬라이드 한다는 것은 문짝 부재의 볼록부(다른 것에 비해서 돌출된 부분) 또는 문짝 부재의 단부 부분이 상술한 제3 오목부의 후퇴 부위에 끼워 넣어지고, 이 오목부를 미끄러지도록 작동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때, 상술한 제3 오목부 또는 제3 볼록부 혹은 단부는 1 방향으로 연속하는 것이이어도 좋고, 단속적으로 있는 것이어도 좋고(이 때는 상기 제3 오목부 또는 제3 볼록부 혹은 단부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간막이벽의 제4 볼록부 혹은 단부를 슬라이드시키는 제4 오목부를 상기 문짝 부재가 가진다는 것은 상술한 하우징 본체와 문짝 부재의 관계와 마찬가지 의미이어도 좋다. 즉, 문짝 부재에 설치된 제4 오목부는 예를 들어 문짝 부재에 있는 홈과 같은 형상의 오목부이어도 좋고, 이 오목부는 이하에 기재하는 볼록부 등을 그 오목부의 후퇴 부위에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 간막이벽의 제4 볼록부 또는 단부가 상기 제4 오목부를 슬라이드 한다는 것은 하우징 본체의 부분 등인 간막이벽에 있어서, 제3 개구 근방에 설치된 볼록부(다른 것에 비해서 돌출된 부분) 또는 간막이벽인 부분의 단부의 부분이 상술한 제4 오목부의 후퇴 부위에 끼워 넣을 수 있고, 이 오목부를 미끄러지도록 작동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때, 상술한 제4의 오목부 또는 제4 볼록부 혹은 단부는 1 방향에 연속하는 것이어도 좋고, 단속적으 로 있는 것이어도 좋고(이 때는 상기 제4 오목부 또는 제4 볼록부 혹은 단부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문짝 부재가 하우징 본체를 덮을 때 이 문짝 부재를 걸림 지지시키는 걸림부라는 것은 문짝 부재의 장착에 수반하는 동작을 멈추는 부분이고, 예를 들어 융기부 등에 의해 문짝 부재의 진행을 방해하는 것 등이 해당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동작을 멈추는 기능을 가진다면 전부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본체와 이 하우징 본체를 덮어 커넥터로 하는 하우징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의 주요 부품은 커넥터의 부품이며 커넥터를 형성하는 것이 상당하여도 좋고, 예를 들어 하우징, 케이싱, 프라임 등이 상당하면 된다. 따라서, 이 커넥터 주요 부품에 그 밖의 부품을 조립하여 커넥터가 만들어진다. 하우징 본체는 하우징의 주된 부품이며, 케이싱이라고 불리우는 것이어도 좋고, 그 밖의 부품과 조합하여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하우징 본체를 덮는 것은 하우징 본체에 개구가 있고, 그 개구를 덮는 것을 의미하면 된다. 따라서, 하우징 본체를 덮어 커넥터로 하는 것은 최종 단계 혹은 그에 가까운 단계에서 덮개를 덮음으로써 커넥터가 완성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해도 된다. 하우징 부품은 하우징 본체를 덮는 부품이어도 좋고, 플레이트형의 형상, 구형, 상자형 등 모든 형상의 물건이 포함되면 된다. 하우징 부품은 그 본체에 의해 하우징 본체의 개구를 덮을 수 있으면 된다. 하우징 부품의 동작 방향(이하, 「동작 방향」이라고 한다)이란 하우징 본체를 덮도록 제3 개구를 덮는 하우징 부품의 작동 방향이어도 좋고, 장착 방향이어도 좋다. 또한, 하우징 부품을 제거하기 시작할 때 동작 방향이면 된다. 제2 개구를 밀어서 넓히는 방향(이하, 「압광 방향」이라 한다)이란 제2 개구의 면에 대략 평행한 방향이어도 좋고, 하우징 본체에 포함되는 이 제2 개구를 규정하는 주위 모서리부에 의해 규정되는 면 내에 대략 포함되는 방향이어도 좋다. 따라서, 방향은 면 내라면 어떠한 방향이어도 좋다. 동작 방향이 이 가요성을 갖는 작동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라는 것은 하우징 부품이 하우징 본체를 덮는 작동 방향이 상술한 밀어 넓히기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인 것을 의미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밀어 넓히기 방향의 힘이 하우징 부품을 하우징 본체로부터 이탈시키는 데 유효하게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우징 부품에 설치된 제5 오목부라 함은 예를 들어 하우징 부품에 있는 홈과 같은 형상의 오목부이어도 좋고, 이 오목부는 이하에 기재하는 볼록부 등을 그 오목부의 후퇴 부위에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 하우징 본체의 제5 볼록부 또는 단부가 상기 제5 오목부를 슬라이드 한다는 것은 하우징 본체이며, 제3 개구 근방에 설치된 볼록부(다른 것에 비해서 돌출된 부분) 또는 하우징 본체가 있는 부분의 단부의 부분이 상술한 제5 오목부의 후퇴 부위에 끼워 넣어지고, 이 오목부를 미끄러지도록 작동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때, 상술한 제5 오목부 또는 제5 볼록부 혹은 단부는 1 방향으로 연속하는 것이어도 좋고, 단속적으로 있는 것이어도 좋고(이 때는 상기 제5 오목부 또는 제5 볼록부 혹은 단부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하우징 본체에 설치된 제6 오목부라 함은 예를 들어 하우징 본체에 있는 홈 과 같은 형상의 오목부이어도 좋고, 이 오목부는 이하에 기재하는 볼록부 등을 그 오목부의 후퇴 부위에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 하우징 부품의 제6 볼록부 또는 단부가 제3 개구 근방에 설치된 상기 제6 오목부를 슬라이드 한다는 것은 하우징 부품의 볼록부(다른 것에 비해서 돌출된 부분) 또는 하우징 부품의 단부의 부분이 상술한 제6 오목부의 후퇴 부분에 끼워 넣어지고, 이 오목부를 미끄러지도록 작동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때, 상술한 제6 오목부 또는 제6 볼록부 혹은 단부는 1 방향에 연속하는 것이어도 좋고, 단속적으로 있는 것이어도 좋고(이 때는 상기 제6 오목부 또는 제6 볼록부 혹은 단부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하우징 부품의 제7 볼록부 혹은 단부를 슬라이드시키는 제7 오목부를 상기 간막이벽이 가진다는 것은 상술한 하우징 부품과 하우징 본체의 관계와 마찬가지 의미이면 된다. 즉, 간막이벽에 설치된 제7 오목부란 예를 들어 간막이벽에 있는 홈과 같은 형상의 오목부이어도 좋고, 이 오목부는 이하에 기재하는 볼록부 등을 그 오목부의 후퇴 부위에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 하우징 부품의 제7 볼록부 또는 단부가 제3 개구 근방에 설치된 상기 제7 오목부를 슬라이드 한다는 것은 하우징 부품의 볼록부(다른 것에 비해서 돌출된 부분) 또는 하우징 부품의 단부의 부분이 상술한 제7 오목부의 후퇴 부위에 끼워 넣어지고, 이 오목부를 미끄러지도록 작동하는 것이면 된다. 이 때, 상술한 제7 오목부 또는 제7 볼록부 혹은 단부는 1 방향에 연속하는 것이어도 좋고, 단속적으로 있는 것이어도 좋고(이 때는 상기 제7 오목부 또는 제7 볼록부 혹은 단부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또는 소정의 길 이를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간막이벽의 제8 볼록부 혹은 단부를 슬라이드시키는 제8 오목부를 상기 하우징 부품이 가진다는 것은 상술한 하우징 부품과 하우징 본체의 관계와 마찬가지 의미이어도 좋다. 즉, 간막이벽에 설치된 제8 오목부란 예를 들어 간막이벽에 있는 홈과 같은 형상의 오목부이어도 좋고, 이 오목부는 이하에 상술하는 볼록부 등을 그 오목부의 후퇴 부위에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 간막이벽의 제8 볼록부 또는 단부가 제8 오목부를 슬라이드 한다는 것은 하우징 본체의 부분 등에 있는 간막이에 있어서 제3 개구 근방에 설치된 볼록부(다른 것에 비해서 돌출된 부분) 또는 간막이벽인 부분의 단부 부분이 상술한 제8 오목부의 후퇴 부위에 끼워 넣어지고, 이 오목부를 미끄러지도록 작동하는 것이면 된다. 이 때, 상술한 제8 오목부 또는 제8 볼록부 혹은 단부는 1 방향에 연속하는 것이어도 좋고, 단속적으로 있는 것이어도 좋고(이 때는 상기 제8 오목부 또는 제8 볼록부 혹은 단부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하우징 부품이 하우징 본체를 덮을 때 이 하우징 부품을 걸림 지지시키는 걸림부라고 하는 것은 하우징 부품의 장착에 수반하는 동작을 멈추는 부분이며, 예를 들어 융기부 등에 의해 하우징 부품의 진행을 방해하는 것 등이 해당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동작을 멈추는 기능을 가진다면 전부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접촉자와 제2 개구로부터 도출되는 케이블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의 분할면에 따라서 하우징 본체를 덮는다는 것은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부품을 분할하는 관념적인 면이 이 접속자와 이 케이블 사이에 위치하고, 제3 개구를 덮어 하우징 본체를 덮을 때 하우징 부품의 동작 방향(이하, 「동작 방향」이라고 한다)이 이 관념적인 면에 따라서 있는 것을 의미하면 된다. 여기서, 관념적인 면은 평면 뿐만 아니라 만곡된 면이나, 직선적으로 굽은 면을 포함하면 된다. 따라서, 통상 동작 방향은 이 관념적인 면과 일정한 관계를 도시하게 된다. 케이블과 접촉자를 격리시켜 놓은 방향이란 통상 양자를 연결하는 직선 방향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케이블과 접촉자를 격리시켜 놓은 결과가 되는 힘의 방향은 여기서 말하는 격리시켜 놓는 방향에 포함되면 된다.
제2 개구로부터 격리된 제3 개구를 덮음으로써 하우징 부품이 하우징 본체를 덮는다는 것은 제3 개구가 제2 개구로부터 독립해 있고, 제2 개구에서 생기는 개구를 밀어서 넓히는 힘이 제3 개구에 미치는 일이 없고, 하우징 부품이 제3 개구를 덮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면 좋다.
하우징 본체가 상자형의 6면체이며, 그 제1 면에 접촉자가, 제2 면에 제2 개구가, 제3 면에 제3 개구가 배치되어 있다는 것은 하우징 본체 또는 하우징 자신(하우징 본체와 그 밖의 부품의 합체)이 상자 형상의 6면체를 하고 있으며, 6면 중 어느 것에는 면 재료에 의해 덮어져 있지 않은 개구가 있는 면이 있어도 좋지만, 이들 면 중 하나의 면에는 접촉자가 별도의 1개의 면에는 제2 개구가, 또 다른 1개의 면에는 제3 개구가 있는 것을 의미하면 된다. 이와 같이 3면을 사용함으로써, 커넥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외부 단자에 접속될 수 있지만, 외부 단자에 접속 되었을 때, 접속하는 접촉자가 이 외부 단자에 기계적으로 구속되고, 이 접촉자는 커넥터 혹은 하우징 본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접촉자를 거쳐서 커넥터 자신이 이 외부 단자에 기계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기계적인 구속은 커넥터의 자유도 중 적어도 하나를 어느 정도 제한하는 것을 말해도 좋고, 회전의 자유도를 남긴 채 하나의 상태로 멈추는 것을 포함해도 좋고, 또한, 완전히 고정하는 것까지를 포함해도 좋다. 접촉자가 커넥터 혹은 하우징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는 것은 나사나 끼워 넣음 등의 기계적인 고정을 포함해도 좋고, 어느 정도 자유도를 가지게 한 기계적인 구속이어도 좋다.
제3 개구를 덮어 상기 하우징 본체를 덮을 때 상기 하우징 부품의 동작 방향이 외부 단자로부터 커넥터를 격리시켜 놓는 방향(이하, 「이격 방향」이라고 한다)에 대략 직각으로 되어 있다는 것은 이격 방향에 대략 평행한 커넥터를 외부 단자로부터 제거하는 힘의 방향이 동작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며, 커넥터를 외부 단자로부터 제거하는 행위가, 하우징 부품의 제3 개구를 덮는 또는 제3 개구의 덮개를 여는 동작에 지나치게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는 것을 의미하여도 좋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실시예를 들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적당한 예로서 구체적인 형상이나 재료 등을 든 것이므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커넥터 주요 부품 및 커넥터(10)를 도시한다. 도1b는 도1a의 커넥터(10)의 저면도이다. 커넥터(10)는 하우징 본체(12) 및 그 위에 위치하는 하우징 부품(14)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주요 부품과, 접촉자(16)와, 케이블(도선을 포함한다)(20)과, 이 케이블(20)을 커넥터에 접속하고 고정하는 케이블 보유 지지부(22, 24, 26)로 구성된다. 케이블 보유 지지부는 케이블 본체를 집는 동시에 접지선을 커넥터와 접속하는 보유 지지 부재(22)와 신호선을 연결하는 신호 단자(24)와 이들 보유 지지 부재(22)나 신호 단자(24)를 커넥터에 고정하는 플랫폼(26)으로 구성된다. 케이블(20)은 커넥터(10)의 하우징 본체(12)의 반원형의 개구(18a)와 하우징 부품의 반원형의 개구(18b)로 구성되는 개구(18)(제2 개구)를 통해 커넥터(10)로부터 도출된다. 하우징 부품(14)은 하우징 본체(12)에 대하여 하우징 본체(12)의 상단부변(28)에 따라 혹은 상단부변(28)이 규정하는 평면(분할면)에 따라서 슬라이드 되고, 하우징 본체의 개구(29)(제3 개구)를 덮음으로써 커넥터를 완성시킨다. 하우징 부품(14)이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 위를 슬라이드 할 때는 나중에 상세히 기재하는 구조에 의해 하우징 부품은 하우징 본체로부터 떨어져 버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하우징 부품(14)은 도1a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만 슬라이드 할 수 없고, 위에 작동 하우징 본체(14)로부터 떨어질 수 없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 부품(14)이 우측으로 슬라이드 되는 경우가 개구(제3 개구)를 덮을(또는 닫힌다) 경우이며, 덮는 방향이다. 한 편, 좌측으로 슬라이드 하는 경우는 개구(제3 개구)를 여는 경우이고, 여는 방향이다. 이들 방향은 서로 평행하고, 동작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제3 개구인 상단부변(28)에 의해 규정된 개구는 공간적으로 하우징 본체(12)의 제2 개구(18a)와 연결되어 있고, 또한, 하우징 부품(14)의 개구(18b)와도 연결되어 있다. 개구(18a와 18b)로 이루어지는 개구(18)는 상술한 제2 개구의 일예이다. 제3 개구가 하우징 본체(12)와 하우징 부품(14)의 분할면에 상당하기 때문이다.
커넥터(10)는 하우징 부품(14)이 비어 있는 상태로 케이블(20)을 커넥터 내에서 케이블 보유 지지부에 고정하고, 마지막으로 하우징 부품(14)을 우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제3 개구를 덮음으로써 완성된다. 이 때, 완성 직전의 하우징 부품(14)의 동작 방향은 도면 중 수평에서 우측 방향이다. 완성된 커넥터(10)는 외부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촉자(16)를 거쳐서 접속된다. 여기서, 접촉자(16)는 둥근 개구(19)와 그 개구(19)의 중심에 내부 접촉자(17)를 갖고 있다. 통상 하우징과 커넥터 근방의 케이블(20)은 모두 손으로 보유 지지되어 외부 단자에 접촉자(16)가 접속되도록 전후 좌우 상하로 작동되면서 접속 동작이 행해진다. 따라서, 손으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케이블(20)이 하우징에 대하여(특히 개구(18)에 대하여) 작동하려고 하지만, 개구(18)에 의해 그 동작이 구속되기 때문에, 개구(18)을 밀어서 넓히는 방향으로 케이블(20)이 개구(18)의 주위 모서리에 힘이 미치게 된다. 또한, 케이블(20)을 커넥터(10)로부터 빼내는(또는 압입한다) 힘도 작용하지만 그 방향은 개구(18)를 밀어서 넓히는 힘은 대략 직각이 되기 때문에 개구(18)가 밀어서 넓히기에는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힘이 개구(18)에 작용한 경우, 개구(18)는 밀어서 넓혀지려고 하지만, 상술한 슬라이드 기구는 하우징 부품(14)이 하우징 본체(12)로부터 떨어지려고 하는 작동을 구속하기 때문에 개구(18)는 밀어서 넓혀지는 일이 없고 커넥터(10)로부터 하우징 부품(14)이 떨어져 버리는 일은 생기기 어렵다. 또한, 상술한 슬라이드 기구는 하우징 부품(14)이 좌우로 수평으로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이 방향은 개구(18)를 밀어서 넓히는 힘의 방향에 대략 직각이기 때문에, 이 밀어서 넓히는 힘은 하우징 부품(14)을 좌측(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유효한 힘이 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도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커넥터 주요 부품 및 커넥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2b는 도2a의 커넥터(30)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커넥터(30)는 하우징 본체(32)와 하우징 부품(34) 등으로 구성된다. 하우징 본체(32)에는 외부 단자에 접속되는 접촉자(16)가 하면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내부 접촉자(17)는 접촉자(16)의 모서리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19)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32)의 우측 단부변(38)은 개구(제3 개구)를 규정하고 있으며, 또한 하우징 본체(32)와 하우징 부품(34)의 분할면을 규정하고 있다. 제3 개구에는 단자(40, 40)가 있으며, 케이블(20)로부터 신호 등을 접촉자(16)와 접속하는 역할을 다하고 있다.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우징 부품(32)은 이 우측 단부변(38)에 따라 위로 슬라이드 되고, 제3 개구를 덮음으로써 커넥터(30)를 완성한다. 하우징 부품(34)은 위로 슬라이드 되고 있고, 하우징 본체(32)의 돌기부에 부딪침으로써 그 작동이 걸림 지지된다. 따라서, 이 돌기부가 걸림부로서 기능하고, 또한, 하우징 부품(34)의 상면의 덮개로서도 기능한다. 하우징 부품(34)에는 제2 개구(19)가 있으며 거기에서 케이블(20)이 도출된다.
커넥터(30)는 하우징 부품(34)이 비어 있는 상태에서 케이블(20)이 하우징 부품 내에서 케이블 보유 지지부(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고, 마지막으로 하우징 부품(34)을 위로 슬라이드 시켜 제3 개구를 덮음으로써 완성된다. 이 때, 완성 직전의 하우징 부품(34)의 동작 방향은 도면 중 수직으로 상향이다. 완성된 커넥터(30)는 외부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촉자(16)를 거쳐서 접속된다. 통상, 하우징과 커넥터 근방의 케이블(20)은 모두 손으로 보유 지지되어 외부 단자에 접속자(16)가 접속되도록 전후 좌우 상하로 작동되면서 접속 동작이 행해진다. 따라서, 손으로부터 받은 힘에 의해 케이블(20)이 하우징에 대하여(특히 개구(19)에 대하여) 작동하려고 하지만, 개구(19)에 의해 그 작동이 구속되기 때문에 개구(19)를 밀어서 넓히는 방향으로 케이블(20)이 개구(19)의 주위 모서리에 힘이 미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19)에는 이음매가 없고, 밀어서 넓히기가 극히 어렵다. 또한, 케이블(20)을 커넥터(30)로부터 빼내는(또는 압입하는) 힘도 작용하지만, 그 방향은 개구(19)를 밀어서 넓히는 힘은 대략 직각이 되기 때문에 개구(19)의 밀어서 넓히기에는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하우징 부품(34)은 분할면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 본체(32)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분할면에서의 분할이 우려되지만,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기구는 하우징 부품(34)이 하우징 본체(32)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제한하기 때문에 떨어지기 어렵고, 또한, 제3 개구를 덮는(또는 연다) 동작 방향은 이 케이블을 빼내는 힘의 방향(하우징 부품(34)과 하우징 본체(32)를 격리시켜 놓는 방향과 동일하다)과 대략 직각이기 때문에 이 힘은 하우징 부품(34)을 아래(또는 위)로 슬라이드시키는 유효한 힘이 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커넥터 주요 부품 및 커넥터(50)를 도시하고 있다. 커넥터(50)는 하우징 본체(52) 및 그 위에 위치하는 하우징 부품(54)으로 이루어지는 커네터 주요 부품과, 접촉자(16)와, 케이블(도선을 포함한다)(20)과, 이 케이블(20)을 커넥터에 접속하고, 고정하는 케이블 보유 지지부(22)로 구성된다. 케이블 보유 지지부는 케이블 본체를 집는 동시에 접지선을 커넥터와 접속하는 보유 지지 부재(22)와 신호를 연결하는 신호 단자와 이들 보유 지지 부재(22)나 신호 단자를 커넥터에 고정하는 플랫폼으로 구성된다. 케이블(20)은 커넥터(50)의 하우징 본체(52)의 원형의 개구(21)(제2 개구)를 통해 커넥터(50)로부터 도출된다. 하우징 부품(54)은 하우징 본체(52)에 대하여 하우징 본체(52)의 상단부변(28)에 따라 혹은 상단부변(28)이 규정하는 평면(분할면)에 따라서 슬라이드 되고 하우징 본체의 개구(제3 개구)를 덮음으로써 커넥터를 완성시킨다. 하우징 부품(54)이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 위를 슬라이드 할 때는 나중에 상세히 서술하는 구조에 의해 하우징 부품은 하우징 본체로부터 떨어져 버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하우징 부품(54)은 도3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만 슬라이드 할 수 없고 상기 작동 하우징 본체(52)로부터 떨어질 수 없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 부품(54)이 우측으로 슬라이드 되는 경우가 개구(제3 개구)를 덮을(또는 닫힌다) 경우이며, 덮는 방향이다. 한 편, 좌측으로 슬라이드 하는 경우는 개구(제3 개구)를 여는 경우이고, 여는 방향이다. 이들 방향은 서로 평행하며, 동작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제3 개구인 상단부변(28)에 의해 규정된 개구는 공간적으로 하우징 본체(12)의 제2 개구(21)와 연결되어 있지 않다.
커넥터(50)는 하우징 부품(54)이 비어 있는 상태에서 케이블(20)을 커넥터 내에서 케이블 보유 지지부에 고정하고, 마지막으로 하우징 부품(54)을 우측으로 슬라이드 시켜 제3 개구를 덮음으로써 완성된다. 이 때, 완성 직전의 하우징 부품(54)의 동작 방향은 도면 중 수평으로 우측 방향이다. 완성된 커넥터(50)는 외부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촉자(16)를 거쳐서 접속된다. 통상, 하우징과 커넥터 근방의 케이블(20)은 모두 손으로 보유 지지되어 외부 단자에 접속자(16)가 접속되도록 전후 좌우 상하로 움직이게 되면서 접속 동작이 행해진다. 따라서, 손으로부터 받은 힘에 의해 케이블(20)이 하우징에 대하여(특히 개구(21)에 대하여) 작동하려고 하지만, 개구(21)에 의해 그 작동이 구속되기 때문에 개구(21)를 밀어서 넓히는 방향으로 케이블(20)이 개구(21)의 주위 모서리에 힘이 미치게 된다. 그러나, 개구(21)에는 이음매가 없기 때문에, 억지로 여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도4에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60)의 개념을 도시한다. 커넥터(60)는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갖고, 하우징의 하면에는 외부 단자에 접속되는 접촉자(16)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의 우측 면에는 개구(제2 개구)(18)가 있으며, 거기에서 케이블(20)이 도출된다. 실시예의 개념을 도시하기 위해 하우징에는 분할 라인이 긴 점선(62), 일점 쇄선(64), 점선(66), 이점 쇄선(68)으로 도시되어 있다. 분할 라인은 상술한 분할면을 규정하는 하우징 외부로부터 보이는 라인인 것이다. 긴 점선의 분할 라인(62)은 도1a에 있었던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일점 쇄선의 분할 라인(64) 및 점선의 분할 라인(66)은 그를 응용한 실시예이다. 이들에서 공통되는 것은 분할 라인이 제2 개구(18)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라인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18)를 밀어 넓히는 힘은 분할면에서 하우징을 분할하는 힘으로 통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분할면을 가진 하우징에서는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부품의 부착 방향(또는 제거 방향)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특히, 완성된 커넥터로부터 하우징 부품을 제거하는 최초의 동작 방향이 중요하고, 이 방향이 제2 개구를 밀어 넓히는 힘의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어 넓히는 힘이 하우징 부품을 제거하기 위해 유효하게 작동하지 않도록 하기 때문이다. 또한, 케이블(20)을 인발하는 힘은 제2 개구(18)를 밀어 넓히도록 작용하기는 어렵고, 본 실시예에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한 편, 이점 쇄선의 분할 라인(68)에서는 제2 개구(18)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개구(18)를 밀어 넓히는 힘에 대하여 내성이 높은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케이블(20)을 인발하는 힘은 제2 개구(18)를 그대로 통과하여(본 실시예의 개구(18)는 케이블(20)을 끼워 붙여 고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접촉자(16)와 케이블(20)을 격리시켜내는 힘으로써 작동하게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때, 분할 라인(68)에 규정되는 분할면이 이 분리 방향에 대략 직각이면 분할면에서의 미끄럼을 유발하기 어렵고 하우징 부품과 하우징 본체의 분할은 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다만, 케이블(20)이 기계적으로 하우징 부품에 확실히 고정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도5는 또한 별도의 실시예의 개념을 도시한다. 커넥터(70)는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갖고, 하우징의 하면에는 외부 단자에 접속되는 접촉자(16)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의 우측면에는 개구(21)(제2 개구)가 있으며, 거기에서 케이블(20)이 도출된다. 실시예의 개념을 도시하기 위해 하우징에는 분할 라인이 일점 쇄선(72), 이점 쇄선(74)으로 도시되어 있다. 분할 라인은 상술한 분할면을 규정하는 하우징 외부로부터 보이는 라인이다. 일점 쇄선의 분할 라인(72) 및 이점 쇄선의 분할 라인(74)은 모두 제2 개구(21)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개구(21)를 밀어 넓히는 힘에 대하여 내성이 높은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분할 라인으로 규정되는 분할면은 케이블(20)과 접촉자(16) 사이에 위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케이블(20)을 인출하는 힘이 제2 개구(21)를 그대로 통과해도(본 실시예의 개구(18)는 케이블(20)을 집어서 고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분할면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도6은 또한 별도의 실시예의 개념을 도시한다. 커넥터(80)는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갖고, 하우징의 하면에는 외부 단자에 접속되는 접촉자(16)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의 우측면에는 개구(제2 개구)(21)가 있으며, 거기에서 케이블(20)이 도출된다. 실시예의 개념을 도시하기 위해 하우징에는 분할 라인이 일점 쇄선(82), 이점 쇄선(88)으로 도시되어 있다. 분할 라인은 상술한 분할면을 규정하는 하우징 외부로부터 보이는 라인인 것이다. 일점 쇄선의 분할 라인(82) 및 이점 쇄선의 분할 라인(88)은 모두 제2 개구(21)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개구(21)를 밀어 넓히는 힘에 대하여 내성이 높은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분할 라인으로 규정되는 분할면은 케이블(20)과 접촉자(16) 사이에 위치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케이블(20)을 인출하는 힘이 제2 개구(21)를 그대로 통과해도(본 실시예의 개구(18)는 케이블(20)을 끼워 붙여 고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분할면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분할 라인(82)은 바로 앞의 면의 중간 정도의 높이를 수평으로 가로 질러, 우측 단부 및 좌측 단부의 변을 위로 그 변에 따라 오르고, 도면 중 하우징의 상면의 우측 단부의 변 및 좌측 단부의 변에 따라 각각 연장되고, 도면 중 하우징의 맞은편 측의 면의 중간 정도의 높이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일점 쇄선에 연결되어 일주한다. 이 때문에, 분할면은 평면이 아니라, 커넥터의 하우징의 위의 절반을 덮는 각을 가지는 면이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커넥터(80)를 외부 단자로부터 제거하는 힘의 방향은 상향(화살표(86)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할면에 따라 분할되는 하우징 부품을 장착 또는 탈착하는 방향은 좌우 방향(화살표(84))이며, 서로 대략 직각이다. 그 때문에, 외부 단자로부터 인출되는 힘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부품과 하우징 본체를 분할하도록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
분할 라인(88)의 경우에는 분할면은 평면이지만, 외부 단자로부터 본 커넥터(80)를 제거하는 방향은 상향(화살표(92))이며, 하우징 부품(도면 중 좌측의 피스)을 장착 또는 탈착하는 방향은 좌우 방향(화살표(90))이며, 서로 대략 직각이다. 그를 위한 외부 단자로부터 인출하는 힘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부품과 하우징 본체를 분할하도록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도7 내지 도11에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제5 실시예)인 커넥터의 일종인 전원 잭을 도시한다. 도7은 하우징 본체(101)에 하우징 부품에 상당하는 커버(142)가 장착되려고 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 본체(101)에는 도면 중 우측 상면에 개구(117)(제3 개구에 상당)가 있으며, 이 개구(117)를 통하여 양극측과 부극측의 컨택트(103, 104)가 하우징 본체 내의 각각의 위치로 삽입된다. 양극측의 컨택트(103)는 리드선(151)에 압착에 의해 접속되고, 부극측의 컨택트(104)는 리드선(152)에 압착에 의해 접속된다. 하우징(101)의 구멍(127)의 주위 모서리로부터 단면 얕은 V자형의 박육부를 연장 돌출시킨 랜스(126)가 배치되어 있으며, 부극측의 컨택트(104)를 보유 지지한다. 개구(117)로부터 보이는 융기부(118)는 양극측의 컨택트(103)를 걸림 지지하는 걸림부이다. 양극측과 부극측의 컨택트(103, 104)는 도7의 하우징 본체(101)를 하면으로부터 본 경우 표면벽(101a)에 있는 개구(102)(제1 개구)로부터 볼 수 있다(도9). 제1 개구(102)는 플러그(외부 단자에 상당)를 삽입하는 삽입 구멍이다. 이 플러그 삽입 구멍(102)에 플러그(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면, 양극과 부극의 컨택트가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하우징(101)에는 제3 개구(117)의 양측 모서리에 따라 가이드 홈(136)(오목부에 상당)이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격벽(111)(간막이벽에 상당)의 상면에 돌출된 스톱퍼(137)(걸림부에 상당)에도 가이드 홈(136)(오목부에 상당)이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다(도10). 모퉁이부(138)는 다음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커버(142)가 이탈하는 동작 방향을 걸림 지지하는 걸림부로서 기능한다. 커버(142)는 하우징 본체(101)의 개구(117)를 폐색하는 커버로 그 양측 모서리에는 슬라이드 돌기(143)(볼록부에 상당)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돌기(143)는 커버(142)의 전방 단부에 설치된 슬릿(144)이 서로 대향하는 양면에도 형성되어 있다(도11). 슬릿(144)의 양 쪽에는 양극측과 부극측의 컨택트(103, 104)가 각각 리드선(151, 152)에 압착에 의해 접합되는 부분의 간섭 회피용 오목부(146, 14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142)의 후방 단부에도 슬릿(147)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슬릿(147)의 양 쪽에 걸림부(148)와 돌기(149)가 배치되어 있다. 걸림부(148)는 커버(142)가 개구(117)를 닫은 때 모퉁이부(138)에 의해 걸림 지지되고, 커버(142)의 개구(117)를 여는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커버(142)의 박육부(150)는 이들 걸림부(138, 148)의 래치 기구를 적절하게 작용시키도록 그 탄성력을 조정하도록 얇게 되어 있다.
커버(142)를 하우징 본체(101)에 장착할 경우에는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돌기(143)를 가이드 홈(136)에 걸림 결합시켜, 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커버(142)를 슬라이드시킨다. 커버(142)의 전방 단부가 스톱퍼(137)까지 도달하면 슬릿(144)의 슬라이드 돌기(143)가 스톱퍼(137)의 가이드 홈(136)에 걸림 결합한다(이와 같은 구조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이용될 수 있는 슬라이드 기구의 구조이다). 그 후, 걸림부(148)의 경사면(148a)이 모퉁이부(138)에 올라 타고, 그 수직면(148b)이 모퉁이부(138)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커버(142)의 역 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또한, 커버(142)의 전진은 스톱퍼(137)에 의해 걸림 지지된다. 따라서, 커버(142)는 하우징 본체(101)의 개구(117)를 덮은 상태에서 고정된다(도8).
커버(142)가 하우징 본체(101)에 결합한 상태에서(도8) 커버(142)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박육부(150)를 들어 올려 상술한 걸림 결합한 수직면(148b)과 모퉁이 부(138)를 분리하고, 적어도 경사면(148a)이 모퉁이부(138)에 들어 올리는 위치까지 커버(142)를 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된다. 박육부(150)의 두께나 폭을 슬릿(147)의 위치 등으로 조정함으로써, 적절한 박육부(150) 들어 올리는 힘을 가지게 됨으로써, 커버(142)의 이탈이 생기기 어렵지만 탈착이 언제라도 가능한 하우징 구조(또는 커넥터 주요 부품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버(142)의 탈착이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슬라이드라는 동작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커버를 위로 잡아 빼는 것이 매우 곤란해진다. 즉, 리드 선(151, 152)은 상하 좌우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개구(140, 141)와 2개에 분할된 상술한 제2 개구로부터 간극이 빈 상태로 도출되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들 리드선(151, 152)은 각각의 개구(140, 141)에 개구를 밀어 넓히는 방향으로 힘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142)의 슬라이드 장착 기구에 의해, 탈착 방향이 이 밀어 넓히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므로 커버를 제거하는 힘으로서 유효하게 작동하기 어렵고, 그와 같은 힘으로는 커버(142)는 떨어지는 일이 거의 없다. 또한, 본 실시예 있어서는 격벽(111)이 제2 개구를 2개의 개구(140, 141)로 나누고, 또한 그 격벽(111) 상부에 커버(142)의 슬라이드 돌기(143)를 걸림 결합시키는 가이드 홈(136)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개구를 밀어 넓히는 힘에 대하여 더욱 내성이 향상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및 커넥터 주요 부품은 커넥터를 사용할 때의 커넥터에 작용하는 힘의 종류를 분석하고, 그 방향을 해석한 결 과, 이들 방향에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커넥터 및 커넥터 주요 부품의 부품(예를 들어, 문짝 부재, 커버 등)을 장착하도록 했기 때문에, 커넥터 사용시에 커넥터가 분할 혹은 분해해 버리는 일이 생기지 않는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와 같이 사용시에 분해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언제라도 탈착 가능한 커넥터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수리나 리사이클의 관점에 있어서 우수하다. 또한, 부품의 장착에 있어서, 적절한 걸림부를 설치해 두면, 조립을 용이하게 확실히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에 갑자기 커넥터가 분해되는 일도 없다.

Claims (17)

  1. 외부 단자에 접속을 하기 위한 제1 개구를 갖는 커넥터용으로 만들어지는 커넥터 부품이며, 하우징 본체와, 이 하우징 본체를 상기 하우징 본체로부터 이격되지 않고 덮어 커넥터로 하는 문짝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 본체는,
    상기 외부 단자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갖고, 그 외부 단자에 접촉하는 제1 접촉자가 노출되는 제1 개구와,
    상기 제1 접촉자가 접속되는 제1 도선을 도출하고, 상기 제1 개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제2 개구와,
    상기 제2 개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개구에 대향하는 제3 개구와,
    상기 제2 개구와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부인 간막이벽에 의해 격리되고, 상기 제3 개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외부단자에 접촉하는 제2 접촉자가 접속되는 제2 도선을 도출시키고, 상기 제2 개구와 병렬로 개구되는 제4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3 개구는 대향하는 한 쌍의 단부로 규정되며, 이들 한 쌍의 단부는 당해 한 쌍의 단부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한 쌍의 제1 오목부를 갖고, 이들 제1 오목부는 상기 제2 개구로 도출되는 상기 제1 도선 및 상기 제4 개구로 도출되는 상기 제2 도선의 도출 방향과 병행하고 있고,
    상기 문짝 부재는 대향하는 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제1 볼록부가 상기 한 쌍의 제1 오목부에 대응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제3 개구의 상방을 슬라이드하여 당해 상기 제3 개구를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문짝 부재는 상기 간막이벽에 대향하는 위치에, 전단부로부터 슬릿이 형성되고, 당해 슬릿의 서로 대향하는 양면에 제2 볼록부를 갖고,
    상기 간막이벽은 상부에 상기 문짝 부재를 슬라이드시키는 한 쌍의 제2 오목부를 갖고, 상기 문짝 부재의 슬라이드 시에 있어서 상기 제2 볼록부와 결합하며,
    상기 제3 개구를 덮어 상기 하우징 본체를 덮을 때의 상기 문짝 부재의 슬라이드 동작 방향이 상기 제2 개구에 있어서 도출되는 제1 도선 및 상기 제4 개구에 있어서 도출되는 제2 도선이 가요성을 갖고 움직이는 방향과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는 상기 간막이 벽에 있어서 상기 문짝 부재가 상기 하우징 본체를 덮을 때 상기 문짝 부재를 걸림 지지시키는 걸림부를 갖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문짝 부재가 슬라이드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를 덮을 때에 상기 슬릿의 종단면이 닿아서 상기 문짝 부재를 정지시키는 제1 걸림부와,
    상기 문짝 부재가 상기 하우징 본체를 덮을 때에 상기 문짝 부재가 상기 제3 개구를 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품.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가 상자형의 6면체이며, 상기 6면체의 제1 면에 상기 제1 접촉자가 배치되고, 상기 6면체의 제2 면에 상기 제2 개구 및 제4 개구가 배치되고, 상기 6면체의 제3 면에 상기 제3 개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품.
  16. 상기 제1 접촉자는 상기 외부 단자에 접속되었을 때, 상기 외부 단자에 의해 기계적으로 구속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가 상기 제1 접촉자를 거쳐서 상기 외부 단자에 의해 기계적으로 구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기재된 커넥터 부품을 갖는 커넥터.
  17. 삭제
KR1020030028495A 2002-05-07 2003-05-06 커넥터 구조 KR100990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31630A JP4084079B2 (ja) 2002-05-07 2002-05-07 コネクタ構造
JPJP-P-2002-00131630 2002-05-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539A KR20030087539A (ko) 2003-11-14
KR100990021B1 true KR100990021B1 (ko) 2010-10-26

Family

ID=2924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495A KR100990021B1 (ko) 2002-05-07 2003-05-06 커넥터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21293B2 (ko)
EP (1) EP1361630B1 (ko)
JP (1) JP4084079B2 (ko)
KR (1) KR100990021B1 (ko)
CN (1) CN100377440C (ko)
DE (1) DE60306030T8 (ko)
TW (1) TWI2448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3776B2 (ja) * 2004-02-03 2008-03-1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ジャック
KR100597104B1 (ko) * 2004-06-01 2006-07-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US8405500B2 (en) * 2004-11-10 2013-03-26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power and data delivery on a machine
US20100207744A1 (en) * 2004-11-10 2010-08-19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Power And Data Delivery On A Machine
US20070141903A1 (en) * 2005-12-19 2007-06-21 Casperson Paul 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614919B2 (en) * 2007-05-09 2009-11-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Bussing connector
TW201041227A (en) * 2009-05-04 2010-11-16 Wistron Neweb Corp Quick assembly LNBF
JP5499848B2 (ja) * 2010-04-06 2014-05-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4425953A (zh) * 2013-08-29 2015-03-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连接器组合
US9356394B2 (en) * 2013-12-11 2016-05-31 JAE Oregon, Inc. Self-rejecting connector
CN106165201B (zh) * 2014-04-02 2020-05-12 莫列斯有限公司 线缆端接结构
CN105545710B (zh) * 2016-01-28 2018-11-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驱动器盒及家用电器
CN108346869B (zh) * 2017-01-24 2020-07-03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线缆连接器
JP7185998B2 (ja) * 2017-08-10 2022-12-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環状の嵌合部を有するシェルを備えた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コネクタ装置
US10855024B2 (en) * 2018-10-29 2020-12-0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es an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projections provided on hinged cov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2678A (ja) 1984-02-28 1985-09-18 松下電工株式会社 テレビタ−ミナル用プラグ
JPH05251132A (ja) * 1992-03-03 1993-09-28 Yazaki Corp 組立式多極コネクタ
EP0765007A2 (en) * 1995-09-20 1997-03-26 Thomas & Betts Corporatio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EP1009063A2 (en) * 1998-12-08 2000-06-1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3454A (en) * 1992-02-21 1994-06-21 The Whitaker Corporation Telephone junction enclosure and system for sealing a wire opening array
EP0734100B1 (en) * 1995-03-20 2003-05-07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US5697806A (en) * 1995-07-06 1997-12-16 The Whitaker Corporation Stackable electrical connector
JP3129955B2 (ja) 1995-12-14 2001-01-3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
JPH10106700A (ja) 1996-10-01 1998-04-24 Nippon Atsuchiyaku Tanshi Seizo Kk 嵌合型エラストマコネクタ
JP4183102B2 (ja) 1996-11-11 2008-11-19 ソニー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
US6224428B1 (en) * 1997-04-09 2001-05-0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connecting the same with circuit devices
US6250952B1 (en) * 1997-08-08 2001-06-26 The Whitaker Corporation Air bag connector
US6077101A (en) * 1997-11-18 2000-06-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nic connector with CPA device
US6276953B1 (en) * 1997-12-04 2001-08-21 Thoma & Betts International, Inc. Orientationless squib connector assembly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ies
JP3321404B2 (ja) 1998-01-16 2002-09-0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15536A (ja) 1998-06-26 2000-01-18 Toyota Motor Corp 工具等の送り装置
JP2000021525A (ja) 1998-06-29 2000-01-21 Jst Mfg Co Ltd コネクタシステム
JP4152019B2 (ja) 1998-09-30 2008-09-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多極同軸コネクタ
US6371794B1 (en) * 1998-10-13 2002-04-16 The Siemon Company Telecommunications plug and adapter
DE19851301C2 (de) * 1998-11-06 2001-05-17 Framatome Connectors In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für Zünder
JP2000260507A (ja) 1999-03-10 2000-09-22 Jst Mfg Co Ltd 基板対基板型コネクタシステム及びそれを使用した基板アセンブリ並びに基板アセンブリの嵌合解除方法
JP2000299167A (ja) 1999-04-13 2000-10-24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JP4159178B2 (ja) 1999-04-30 2008-10-0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2001015196A (ja) 1999-06-30 2001-01-19 Jst Mfg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とその取付構造
JP3532123B2 (ja) 1999-07-06 2004-05-3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集積回路内蔵カード
JP3390150B2 (ja) 1999-07-27 2003-03-2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積層fpcの防水コネクタ及びその装着方法
JP3831159B2 (ja) 1999-10-18 2006-10-1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付電子モジュール
JP3396193B2 (ja) 1999-11-10 2003-04-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
JP2001296708A (ja) 2000-04-13 2001-10-26 Jst Mfg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用コネクタ
JP3405961B2 (ja) 2000-05-24 2003-05-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リセプタクルタイプの中継用コネクタ
JP3383635B2 (ja) 2000-05-24 2003-03-0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アングルプラグコネクタ
JP3472559B2 (ja) 2001-02-22 2003-12-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2298993A (ja) 2001-03-30 2002-10-11 Jst Mfg Co Ltd 片方に樹脂ハンダを用いた一対の電気コネクタ
JP2002298995A (ja) 2001-03-30 2002-10-11 Jst Mfg Co Ltd 樹脂ハンダを用いた同軸ケーブルの結束部材及び同軸ケーブルの電気コネクタ並びに結束部材の同軸ケーブル又は電気コネクタへの接続方法
JP2002319441A (ja) 2001-04-20 2002-10-31 Jst Mfg Co Ltd プリント配線板間接続構造
JP2003092171A (ja) 2001-09-17 2003-03-28 Jst Mfg Co Ltd 伝送装置
JP2003100393A (ja) 2001-09-19 2003-04-04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03197312A (ja) 2001-12-27 2003-07-11 Jst Mfg Co Ltd ロック付き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2678A (ja) 1984-02-28 1985-09-18 松下電工株式会社 テレビタ−ミナル用プラグ
JPH05251132A (ja) * 1992-03-03 1993-09-28 Yazaki Corp 組立式多極コネクタ
EP0765007A2 (en) * 1995-09-20 1997-03-26 Thomas & Betts Corporatio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EP1009063A2 (en) * 1998-12-08 2000-06-1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61630B1 (en) 2006-06-14
TWI244808B (en) 2005-12-01
US6921293B2 (en) 2005-07-26
DE60306030D1 (de) 2006-07-27
KR20030087539A (ko) 2003-11-14
TW200308122A (en) 2003-12-16
CN100377440C (zh) 2008-03-26
JP2003323938A (ja) 2003-11-14
DE60306030T2 (de) 2007-01-11
EP1361630A1 (en) 2003-11-12
CN1457116A (zh) 2003-11-19
JP4084079B2 (ja) 2008-04-30
US20040127093A1 (en) 2004-07-01
DE60306030T8 (de) 200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021B1 (ko) 커넥터 구조
US9912111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6676444B2 (en) Connector for a flat cable and method of assembling it
JP4945596B2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100795104B1 (ko) 전기커넥터 및 소켓커넥터
US6146184A (en) Circuit board mounted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760449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latch
US6210230B1 (en) Cable connector
KR20070081111A (ko) 장착부품 및 이것이 장착된 커넥터 및 전자기기
KR20110103901A (ko)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JP2000113948A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US8430680B2 (en) Connector with a dustproof cover
JP2019079621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105762595A (zh) 电子转接卡以及电子设备
CN111641069B (zh) 线缆连接器组件
JP3555482B2 (ja) 小型コネクタ
JP2012146401A (ja) コネクタ装置
US7559792B2 (en) Connector with easily replacement of a slider
CN103081238A (zh) 用于平板状电缆的连接器
KR20120113523A (ko) 록킹 부재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CN203707388U (zh) 板对板连接器
CN114744444A (zh) 电连接器组合及电连接设备
JPH0229666Y2 (ko)
KR20220130929A (ko) 커넥터 및 커넥터조립체
CN110970758A (zh) 一种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