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235B1 - 필터백 및 이를 구비한 집진기 - Google Patents

필터백 및 이를 구비한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235B1
KR100981235B1 KR1020090032699A KR20090032699A KR100981235B1 KR 100981235 B1 KR100981235 B1 KR 100981235B1 KR 1020090032699 A KR1020090032699 A KR 1020090032699A KR 20090032699 A KR20090032699 A KR 20090032699A KR 100981235 B1 KR100981235 B1 KR 100981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rod
filter cloth
cap
fixing sleeve
oute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5182A (ko
Inventor
신정철
Original Assignee
신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철 filed Critical 신정철
Priority to KR1020090032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2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4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182A/ko
Priority to CN2010800161484A priority patent/CN102387848A/zh
Priority to PCT/KR2010/001488 priority patent/WO201012004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5/00Casings, housings or mounting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65/06Details of supporting structures for filtering material, e.g. co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백 및 이를 구비한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공기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해 유동홀을 갖고 설치홀에 일부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캡, 이 상부캡에 일정한 직경의 원형 궤적을 따라 다수 개 배열되고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는 외측탄성봉, 이 외측탄성봉의 원형 궤적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 궤적을 따라 상부캡에 다수 개 배열되고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는 내측탄성봉, 이 외측탄성봉과 내측탄성봉을 번갈아 외측면과 내측면에 접하여 주름진 형상을 하는 유연한 재질의 여과포, 및 이 외측탄성봉과 내측탄성봉의 하측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하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집진 및 탈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립 및 분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여과포의 내구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집진기, 필터백

Description

필터백 및 이를 구비한 집진기{FILTER-BAG AND DUST COLLECTOR THEREWITH}
본 발명은 집진기용 필터백에 관한 것으로,
여과포에 주름을 형성하고 주름의 산 및 골 부에 고탄성 환봉을 구성하여 주름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하여 기존 원통형 필터백보다 3배이상 여과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고압탈진공기로 탈진시 고탄성 환봉의 원활한 팽창 수축과 떨림에 의한 다수의 진동을 가하여 탈진 효율을 향상시키고, 여과포의 가공이 단순해지고 훼손된 여과포만 교체하여 사용하게 함으로서 고효율 저비용의 집진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백에 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처럼, 기존의 집진기용 필터백의 백 케이지(11)는 철재와이어(12)를 원통형으로 엮어 용접하여 외형틀을 형성하고, 이 철재와이어(12)는 둘레면에 비교적 두꺼우며 연질의 여과포(16)를 형성하여 집진 및 탈진 역할을 하도록 형성한다.
이 경우, 백 케이지(11)는 수개의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철재와이어(12)가 일 정 길이마다의 보강링(13)으로 지지된다. 아울러, 철재와이어(12)는 하단에 하부캡(14)을 구비하고, 상단에 상부캡(15)을 형성한다.
이러한 백 케이지(11)는 둘레면에 여과포(16)와의 빈 공간이 약간 형성되며, 여과포(16)는 분진 포집시 백케이지에 밀착되어 있다가 펄스에어에 의한 탈진시 여과포(16)의 최대원통만큼 팽창되며 포집 분진을 털어내 하부 호퍼로 낙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원통형 여과포(16)는 여과면적이 원통의 원주와 길이에 의해서 결정되어짐으로 집진기본체가 거대해 짐으로서 집진기 제작비용이 과대해지는 결과를 초래해 왔다. 또한, 백 케이지(11)와 여과포(16)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탈진효과도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도 3에서처럼,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또 다른 집진기용 필터백(21)은 상기의 형태와 반대적으로 얇으면서도 빳빳한 재질의 여과포를 주름지게 접어 원통형으로 여과포(22)를 구성한다.
이 여과포(22)는 내부에 원통으로 된 다이아몬드형 망(23)에 의해 지지되며, 펄스에어에 의한 탈진시 필터백(21)의 주름이 약간 벌어지며 팽창되어 포집 분진을 털어내 하부 호퍼로 낙하시키게 된다.
기존의 주름형 필터백은 여과면적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나, 여재의 주름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여재의 유연성을 없앤 경질의 PE재질로서 상부캡과 하부캡에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로 완전 고정시킨 형태로 많은 양의 분진이 유입시 또는 시멘트분진과 같이 대기 중에 약간의 수분만 있어도 점성이 높아지는 분진을 주름 사이에 탈진되지 않도록 적층시켜 필터가 아예 막히는 현상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집진 및 탈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필터백 및 이를 구비한 집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립 및 분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필터백 및 이를 구비한 집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여과포의 내구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필터백 및 이를 구비한 집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백은: 상부캡, 상기 상부캡에 일정한 직경의 원형 궤적을 따라 다수 개 배열되고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는 외측탄성봉, 상기 외측탄성봉의 원형 궤적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 궤적을 따라 상기 상부캡에 다수 개 배열되고,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는 내측탄성봉, 상기 외측탄성봉과 상기 내측탄성봉 을 번갈아 외측면과 내측면에 접하여 주름진 형상을 하는 유연한 재질의 여과포, 및 상기 외측탄성봉과 상기 내측탄성봉의 하측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하부캡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탄성봉 각각은 대응되는 상기 내측탄성봉과 엇갈리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캡은 상기 여과포의 상부 내측을 따라 접하며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부고정슬리브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부고정슬리브는 외측면에 접한 상기 여과포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고정틀부재에 접하여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상부고정틀부재는 상기 상부고정슬리브와 상기 여과포의 상측을 수용하며 상기 여과포를 상기 상부고정슬리브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상부고정슬리브의 형상 궤적과 동일한 상부수용홀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캡은 상기 여과포의 하부 내측을 따라 접하며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부고정슬리브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하부고정슬리브는 외측면에 접한 상기 여과포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고정틀부재에 접하여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부고정틀부재는 상기 하부고정슬리브와 상기 여과포의 상측을 수용하며 상기 여과포를 상기 하부고정슬리브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하부고정슬리브의 형상 궤적과 동일한 하부수용홀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외측탄성봉은 상기 상부캡 또는 하부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 고, 상기 내측탄성봉은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의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 단부를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히, 상기 외측탄성봉은 적어도 어느 일측에 나사산부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산부는 체결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캡 또는 상기 하부캡은 상기 내측탄성봉의 단부를 수용하여 위치 고정하기 위해 위치고정홈부를 함몰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설치홀을 통공한 설치플레이트, 및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설치홀에 연결되어 집진 및 탈진하는 필터백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백으로서, 공기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해 유동홀을 갖고 상기 설치홀에 거치되는 상부캡, 상기 상부캡에 일정한 직경의 원형 궤적을 따라 다수 개 배열되고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는 외측탄성봉, 상기 외측탄성봉의 원형 궤적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 궤적을 따라 상기 상부캡에 다수 개 배열되고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는 내측탄성봉, 상기 외측탄성봉과 상기 내측탄성봉을 번갈아 외측면과 내측면에 접하여 주름진 형상을 하는 유연한 재질의 여과포, 및 상기 외측탄성봉과 상기 내측탄성봉의 하측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하부캡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캡은 상기 유동홀의 하측 가장자리에 탈진유도벤츄리를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치플레이트는 상기 상부캡을 가압, 고정하기 위해 고정틀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백 및 이를 구비한 집진기는 종래 기술과 달리 필터백 자체를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여 부분적으로 유지, 보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도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필터백의 상부캡에 서로 다른 직경의 궤적을 따라 외측탄성봉과 내측탄성봉을 배열하여 여과포를 이 외측탄성봉과 내측탄성봉에 번갈아 권취함으로써 자연적으로 주름을 형성하여 별도의 성형시간이 필요치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포의 주름진 부분이 지지되는 탄성봉에 의해 곡률 처리함에 따라 여과포의 내부응력 저감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여과포의 주름진 피치의 간격을 탄성봉으로써 유지할 수 있어 집진 및 탈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탄성봉을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는 재질로 형성하여 여과포의 주름진 상태를 복원 유지할 수 있고, 에어에 의한 외력 작용시 탄성봉의 측방향 잔진동에 의해 탈진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여과포를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여 에어에 의한 외력 작용시 잘 털림에 따른 탈진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백 및 이를 구비한 집 진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의 내부도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필터백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필터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필터백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필터백의 탈진시 탄성적으로 팽창되는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는 하우징(10), 설치플레이트(20) 및 필터백(1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집진기의 외형을 형성한다. 특히, 하우징(10)은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분진 등을, 후술할, 필터백(100)으로 집진하고, 청정된 외부 공기를 배출구(14)로 배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하우징(10)은 분진을 작동타이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콤프레셔(16)와 이 콤프레셔(16)에 연결되는 분사노즐관(18)을 구비한다. 그래서, 분사노즐관(18)은 콤프레셔(16)에서 전달되는 에어를 필터백(100) 내부로 강제 분출 안내한다. 콤프레셔(16)의 에어는 필터백(100) 내부로 순간적으로 분출되어, 후술할, 여과포(115)의 내측을 타격함으로써 여과포(115) 외측면에 집진된 분진을 탈진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편의상, 분사노즐관(18)은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하우징(10)은 분사노즐관(18)의 하부에 해당되는 내측에 설치플레이트(20)를 형성한다. 이 설치플레이트(20)는 하우징(10)의 내측면을 따라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하우징(10)은 설치플레이트(20)에 의해 상?하 구획된다.
이때, 유입구(12)는 설치플레이트(20)의 하측에 해당되는 하우징(10)의 둘레면에 형성되고, 배출구(14)는 설치플레이트(20)의 상측에 해당되는 하우징(10)의 둘레면에 형성된다. 아울러, 설치플레이트(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설치플레이트(20)는 하나 이상의 설치홀(22)을 상?하 연통되게 통공한다. 이 설치홀(22)은 필터백(100)을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즉, 필터백(100)은 설치플레이트(20)의 설치홀(22)에 연결되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분진을 집진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외부 공기에 포함된 분진은 유입구(12)를 통해 하우징(10) 하부 내측으로 유입되고, 필터백(100)을 통과하며 필터백(100)의 외측 둘레면에 집진된다. 그리고, 분진을 제거하여 청정된 외부 공기는 설치플레이트(20)의 설치홀(22)을 통과하여 하우징(10)의 상부 내측으로 이동한 후 배출구(14)로 배출된다.
여기서, 하우징(10)의 상부와 하부는 설치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나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백(100)은 상부캡(111), 외측탄성봉(113), 내측탄성봉(114), 여과포(115), 하부캡(116), 탈진유도벤츄리(102), 고정틀(106), 상부고정슬리브(122), 상부고정틀부재(124), 하부고정슬리브(132) 및 하부고정틀부재(134)를 포함한다.
특히, 상부캡(111)은 필터백(100)을 설치플레이트(20)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부캡(111)은 설치플레이트(20)에 거치된다. 이에 따라, 상부캡(111)은 둘레면을 다단의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홀(22)에 일부 삽입되거나 또는 설치홀(2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물론, 상부캡(111)이 설치플레이트(20)에 볼팅 등의 방식에 의해 조립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부캡(111)은 필터백(100) 내부로 유입되는 청정된 외부 공기를 하우징(10)의 상부로 유동 안내하기 위해 상?하 연통된 유동홀(112)을 통공한다.
이때, 상부캡(111)은 유동홀(112)의 하측 가장자리에 탈진유도벤츄리(102)를 일체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탈진유도벤츄리(102)를 별도로 조립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함이다.
특히, 탈진유도벤츄리(102)는 분사노즐관(18)에서 강하게 분사되는 공기를 필터백(100) 내부로 유동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측에 확관부(104)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확관부(104)는 탈진유도벤츄리(102)의 상부에서 강제로 토출되는 공기를 퍼지게 하여 필터백(100) 내부 특히, 여과포(115) 내측면 전체에 걸쳐 공기를 강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확관부(104)는 여과포(115)의 측면에서 유입 되는 외부 공기를 설치플레이트(20) 상부로 최대한 유동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부캡(111)은 설치플레이트(20)에 견고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써, 설치플레이트(20)는 설치홀(22)에 인접된 상측에 고정틀(106)을 형성한다. 이 고정틀(106)은 상부캡(111)의 가장자리를 눌러 가압함으로써 상부캡(111)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고정틀(106)은 내측에 홈을 형성하여 상부캡(111)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고정틀(106)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틀(106)은 상부캡(111)의 설치홀(22) 삽입시 간섭을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플레이트(20)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탄성봉(113)은 상부캡(111)의 하측면에 일정한 원형 궤적을 따라 다수 개 배열 형성된다. 즉, 외측탄성봉(113)은 다수 개의 군(群)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외측탄성봉(113)은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쉽게 휘며, 탄성복원력에 의해 직선 상태로 복귀하는 피아노 줄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내측탄성봉(114)은 상부캡(111)의 하측면에 일정한 원형 궤적을 따라 다수 개 배열 형성된다. 즉, 내측탄성봉(114)은 다수 개의 군(群)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내측탄성봉(114)은 외측탄성봉(113)의 원형 궤적 직경보다 작은 원형 궤적을 따라 배열된다.
이와 동시에, 내측탄성봉(114) 각각은 방사상으로 외측탄성봉(113) 사이사이에 위치하도록 엇갈리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연성을 갖음에 따라 특별한 형상을 갖지 않는 여과포(115)에 주름을 부여하고, 여과포(115)의 주름진 상태를 지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여과포(115)는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걸러내어 집진하는 역할을 한다.
즉, 여과포(115)는 내측탄성봉(114)과 외측탄성봉(113)에 번갈아 권취되어 주름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외측 둘레면에 분진을 집진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외부 공기가 여과포(115)의 측방향을 통해 여과포(115)의 내부로 유입되면, 외부 공기에 포함된 공기는 여과포(115)의 외측 표면에 집진된다.
특히, 여과포(115)는 유연성을 갖는 PE, PP, GLASS WOOL, 노멕스, 테프론 중 어느 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여과포(115)는 유연성을 갖는 또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과포(115)가 유연성이 있어야 하는 이유는, 외측탄성봉(113)과 내측탄성봉(114)에 쉽게 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분사노즐관(18)으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의 강타시 흔들리면서 최대한 많은 표면의 분진을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여과포(115)는 주름진 형상을 가지기 위해 외측탄성봉(113)과 내측탄성봉(114)에 번갈아 외측면과 내측면을 접하게 형성된다. 즉, 여과포(115)는 외측탄성봉(113)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산과 내측탄성봉(114)에 의해 내측으로 돌출되는 산을 연속적으로 형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여과포(115)는 외측탄성봉(113)에 의해 산을 형성하고, 내측탄성봉(114)에 의해 골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여과포(115)는 외측탄성봉(113)과 내측탄성봉(114)에 지지되어 주름진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때, 외측탄성봉(113)과 내측탄성봉(114)은 단면상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여과포(115)는 외측탄성봉(113)에 지지되어 산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 산의 상측이 곡률지게 형성됨에 따라 이 부위의 내부응력 약화로 인해 여과포(115)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마찬가지로, 여과포(115)는 내측탄성봉(114)에 지지되어 골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 골의 상측이 곡률지게 형성됨에 따라 이 부위의 내부응력 약화로 인해 여과포(115)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여과포(115)는 서로 엇갈리게 위치한 외측탄성봉(113)과 내측탄성봉(114)에 의해 산과 골의 피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여과포(115)의 산과 골 사이 간격을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분진의 집진 면적 증가 및 분진의 탈진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여과포(115)의 산과 골 간격이 유지됨으로써 집진 및 탈진 효율이 향상된다.
더불어, 여과포(115)는 롤 형상으로 감긴 상태로 풀리면서 외측탄성봉(113)과 내측탄성봉(114)에 번갈아 감기게 되고, 완전히 감긴 후 롤에서 절단 후 양측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여과포(115)는 양측을 바느질이나, 접착 또는 열융착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연결된다.
물론, 여과포(115)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후 원통 형상을 한 상태로 외측탄성봉(113)과 내측탄성봉(114)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한편, 하부캡(116)은 외측탄성봉(113)과 내측탄성봉(114)의 하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하부캡(116)은 여과포(115)를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하부캡(116)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여과포(115)를 통과해 내부로 유입된 청정된 외부 공기가 하우징(10) 하측 내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특히, 여과포(115)는 외측탄성봉(113)과 내측탄성봉(114)에 의해 주름진 형상을 유지한 채 상부캡(111)의 하측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부캡(111)은 하측면에 상부고정슬리브(122)를 돌출 형성한다. 이 상부고정슬리브(122)는 여과포(115)의 주름진 궤적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된다. 그래서, 상부고정슬리브(122)는 여과포(115)의 상측 내부에 삽입된다. 즉, 여과포(115)의 상측은 상부고정슬리브(122)에 의해 형상을 유지한다. 아울러, 상부고정슬리브(122)는, 후술할, 상부고정틀부재(124)의 내측면과 밀착됨으로써 여과포(115)의 상측을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특히, 상부고정슬리브(122)는 상부캡(111)에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부고정슬리브(122)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여과포(115)는 자중에 의해 상부고정슬리브(122)로부터 이탈되어 낙하할 수 있다.
그래서, 상부고정슬리브(122)는 외측면에 접한 여과포(115)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고정틀부재(124)에 접하여 지지된다.
더욱 상세히, 상부고정틀부재(124)는 상부고정슬리브(122)와 동일한 형상의 상부수용홀부(126)를 상?하 연통되게 형성한다. 이 상부수용홀부(126)는 내측면을 따라 상부고정슬리브(122)를 삽입하여 밀착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부고정틀부재(124)에서 상부수용홀부(126)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부위가 상부고정슬리브(122)를 전체적으로 중심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때, 상부고정슬리브(122)와 상부고정틀부재(124) 사이에는 여과포(115)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여과포(115)는 상부고정슬리브(122)와 상부고정틀부재(124) 사이에서 가압되어 고정된다.
한편, 여과포(115)의 하측과 하부캡(116)은 연결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부캡(111)과 마찬가지로, 하부캡(116)은 상측면에 하부고정슬리브(132)를 돌출 형성한다. 이 하부고정슬리브(132)는 여과포(115)의 주름진 궤적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된다. 그래서, 하부고정슬리브(132)는 여과포(115)의 하측 내부에 삽입된다. 즉, 여과포(115)의 하측은 하부고정슬리브(132)에 의해 형상을 유지한다. 아울러, 하부고정슬리브(132)는, 후술할, 하부고정틀부재(134)의 내측면과 밀착됨으로써 여과포(115)의 하측을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특히, 하부고정슬리브(132)는 하부캡(116)에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부고정슬리브(132)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하부고정슬리브(132)는 외측면에 접한 여과포(115)의 하측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하부고정틀부재(134)에 밀착된다.
더욱 상세히, 하부고정틀부재(134)는 하부고정슬리브(132)와 동일한 형상의 하부수용홀부(136)를 상?하 연통되게 형성한다. 이 하부수용홀부(136)는 내측면을 따라 하부고정슬리브(132)를 삽입하여 밀착하는 역할을 한다.
즉, 하부고정틀부재(134)에서 하부수용홀부(136)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부위가 하부고정슬리브(132)를 전체적으로 중심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때, 하부고정슬리브(132)와 하부고정틀부재(134) 사이에는 여과포(115)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여과포(115)는 하부고정슬리브(132)와 하부고정틀부재(134) 사이에서 가압되어 고정된다.
특히, 도 8은 여과포(115)의 하측이 하부캡(116)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백(100)은 여과포(115)와 외측탄성봉(113)과 내측탄성봉(114)을 하부고정틀부재(134)와 하부고정슬리브(132)로 가압 고정한다.
도 9는 필터백(100)의 중앙부위를 횡방향으로 절단한 도면으로서, 외측탄성봉(113)과 내측탄성봉(114)에 의해 여과포(115)에 산과 골을 자연적으로 형성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특히, 외측탄성봉(113)은 상부캡(111) 또는 하부캡(11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외측탄성봉(113)이 상부캡(111)과 하부캡(116)에 동시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편의상, 상부캡(111)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캡(116)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더욱 상세히, 외측탄성봉(113)은 하측 둘레면에 나사산부(142)를 형성한다. 이 나사산부(142)를 형성한 외측탄성봉(113)의 하측은 하부캡(116)에 삽입된다.
하부캡(116)의 하측으로 돌출된 외측탄성봉(113)의 나사산부(142)는 체결부재(144)와 나사 결합된다.
즉, 체결부재(144)가 하부캡(116)에 접한 상태로 나사산부(142)와 체결되면, 외측탄성봉(113) 각각은 수직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여과포(115)와 하부캡(116)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체결부재(144)는 너트로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부캡(116)은 체결부재(144)의 풀림을 통해 쉽게 분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내측탄성봉(114)은 상부캡(111)과 하부캡(116)의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 단부를 지지하게 장착된다.
편의상, 내측탄성봉(114)은 하측을 하부캡(116)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상부캡(111)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하부캡(116)은 내측탄성봉(114) 각각에 대응되게 위치고정홈부(146)를 함몰 형성한다.
그래서, 하부캡(116)이 체결부재(144)와 외측탄성봉(113)의 나사산부(142)의 체결과 더불어 내측탄성봉(114)은 대응되는 하부캡(116)의 위치고정홈부(146)에 수용된다.
이는, 내측탄성봉(114)의 지지력을 이용하여 상부캡(111)과 하부캡(116)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내측탄성봉(114)이 위치고정홈부(146) 에 수용됨으로써, 나사산부(142)를 죄는 체결부재(144)의 죔 정도가 한정된다.
한편, 도 10에서처럼, 상부캡(111)의 유동홀(112)로부터 분사노즐관(18)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유입되면, 이 공기는 여과포(115)의 내측면을 강타하기 되고, 이로 인해, 여과포(115)는 팽창하게 된다.
여과포(115)가 팽창하면, 여과포(115)에 묻은 분진은 낙하하게 된다. 이때, 외측탄성봉(113)과 내측탄성봉(114)은 외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게 된다.
여과포(115)를 내부에서 외부방향으로 미는 힘이 제거되면, 여과포(115)는 외측탄성봉(113)과 내측탄성봉(11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초기 형상으로 자동 복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철강산업,화력발전소,소가설비 등 모든 분진배출시설에 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기존의 집진기용 필터백의 백 케이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기존의 집진기용 필터백의 여과포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기존의 집진기용 필터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의 내부도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필터백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필터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필터백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필터백의 탈진시 탄성적으로 팽창되는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20: 설치플레이트
22: 설치홀 100: 필터백
111: 상부캡 113: 외측탄성봉
114: 내측탄성봉 115: 여과포
116: 하부캡 122: 상부고정슬리브
124: 상부고정틀부재 126: 상부수용홀부
132: 하부고정슬리브 134: 하부고정틀부재
136: 하부수용홀부 142: 나사산부
144: 체결부재 146: 위치고정홈부

Claims (14)

  1. 상부캡;
    상기 상부캡에 일정한 직경의 원형 궤적을 따라 다수 개 배열되고,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는 외측탄성봉;
    상기 외측탄성봉의 원형 궤적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 궤적을 따라 상기 상부캡에 다수 개 배열되고,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는 내측탄성봉;
    상기 외측탄성봉과 상기 내측탄성봉을 번갈아 외측면과 내측면에 접하여 주름진 형상을 하는 유연한 재질의 여과포; 및
    상기 외측탄성봉과 상기 내측탄성봉의 하측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하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탄성봉 각각은 대응되는 상기 내측 탄성봉과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은 상기 여과포의 상부 내측을 따라 접하며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부고정슬리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슬리브는 외측면에 접한 상기 여과포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고정틀부재에 접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틀부재는 상기 상부고정슬리브와 상기 여과포의 상측을 수용하며 상기 여과포를 상기 상부고정슬리브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상부고정슬리브의 형상 궤적과 동일한 상부수용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은 상기 여과포의 하부 내측을 따라 접하며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부고정슬리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슬리브는 외측면에 접한 상기 여과포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고정틀부재에 접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틀부재는 상기 하부고정슬리브와 상기 여과포의 상측을 수용하며 상기 여과포를 상기 하부고정슬리브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하부고정슬리브의 형상 궤적과 동일한 하부수용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탄성봉은 상기 상부캡 또는 상기 하부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측탄성봉은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의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 단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탄성봉은 적어도 어느 일측에 나사산부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산부는 체결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 또는 상기 하부캡은 상기 내측탄성봉의 단부를 수용하여 위치 고정하기 위해 위치고정홈부를 함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12.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설치홀을 통공한 설치플레이트; 및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설치홀에 연결되어 집진 및 탈진하는 필터백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백은,
    공기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해 유동홀을 갖고, 상기 설치홀에 거치되는 상부캡;
    상기 상부캡에 일정한 직경의 원형 궤적을 따라 다수 개 배열되고,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는 외측탄성봉;
    상기 외측탄성봉의 원형 궤적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 궤적을 따라 상기 상부캡에 다수 개 배열되고,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는 내측탄성봉;
    상기 외측탄성봉과 상기 내측탄성봉을 번갈아 외측면과 내측면에 접하여 주름진 형상을 하는 유연한 재질의 여과포; 및
    상기 외측탄성봉과 상기 내측탄성봉의 하측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하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은 상기 유동홀의 하측 가장자리에 탈진유도벤츄리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플레이트는 상기 상부캡을 가압, 고정하기 위해 고정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KR1020090032699A 2009-04-15 2009-04-15 필터백 및 이를 구비한 집진기 KR100981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699A KR100981235B1 (ko) 2009-04-15 2009-04-15 필터백 및 이를 구비한 집진기
CN2010800161484A CN102387848A (zh) 2009-04-15 2010-03-10 过滤袋及具备该过滤袋的集尘器
PCT/KR2010/001488 WO2010120043A1 (ko) 2009-04-15 2010-03-10 필터백 및 이를 구비한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699A KR100981235B1 (ko) 2009-04-15 2009-04-15 필터백 및 이를 구비한 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182A KR20090045182A (ko) 2009-05-07
KR100981235B1 true KR100981235B1 (ko) 2010-09-10

Family

ID=4085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699A KR100981235B1 (ko) 2009-04-15 2009-04-15 필터백 및 이를 구비한 집진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81235B1 (ko)
CN (1) CN102387848A (ko)
WO (1) WO201012004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4559A (ko) * 2015-10-15 2017-04-25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
KR20170003208U (ko) * 2017-09-01 2017-09-13 삼중교역산업(주) 집진기용 이중 필터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7161B2 (en) * 2012-11-29 2015-06-30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cartridges; features and methods of assembly; air cleaner assemblies; and, filter cartridge combinations
KR200481911Y1 (ko) * 2014-09-19 2016-11-24 황영운 주름 여과지의 팽창을 억제할 수 있는 주름 필터
KR102474773B1 (ko) * 2015-10-15 2022-12-07 주식회사 위니아 가습공기 청정기
CN106512600B (zh) * 2017-01-17 2018-12-14 安徽工业大学 一种褶式滤筒除尘器及其滤筒框架和该框架的使用方法
CN107866115B (zh) * 2017-11-23 2024-03-12 福建欣隆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除尘器袋笼及滤袋
CN108211462A (zh) * 2017-12-18 2018-06-29 四会市华通金属筛网制品有限公司 寿命长的工业用筛网
CN108554025A (zh) * 2018-06-25 2018-09-21 中山尚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的过滤装置
CN109331558A (zh) * 2018-12-09 2019-02-15 江苏华泽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除尘布袋
CN109331559A (zh) * 2018-12-09 2019-02-15 江苏华泽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便携式除尘滤袋
CN112370907A (zh) * 2020-10-27 2021-02-19 青海佳通太阳能新材料有限公司 一种碳化硅生产用除尘回收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9410A (ja) 2004-05-10 2005-11-17 Ruiyu Industry Co Ltd フィルターバッグの構造
JP4228034B2 (ja) 2002-03-22 2009-02-25 オール・フィルトレイション・テクノロジーズ・(ホンコン)・リミテッド 支持かごを備えたフィルターバッ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409704U1 (de) * 1994-06-16 1994-10-27 Schumann, Gebhard, 79576 Weil am Rhein Sternförmige Filterelemente und deren sternförmige Stützkörper
DE4441608C2 (de) * 1994-11-23 1997-07-17 Mann & Hummel Filter Filteranordnung
WO1996033001A1 (en) * 1995-04-21 1996-10-24 Donaldson Company, Inc. Pleated filter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508934B2 (en) * 2000-12-15 2003-01-21 Bha Group Holdings, Inc. Filter cartridge with strap and method
US7097681B2 (en) * 2003-06-11 2006-08-29 Read Yes Enterprises Co., Ltd. Structure of filtering bag combination
CN200977442Y (zh) * 2006-11-16 2007-11-21 武汉凯迪蓝天科技有限公司 袋除尘器弹性骨架布袋装置
JP5158930B2 (ja) * 2007-04-16 2013-03-06 アマノ株式会社 パルスジェット式集塵機用フィル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8034B2 (ja) 2002-03-22 2009-02-25 オール・フィルトレイション・テクノロジーズ・(ホンコン)・リミテッド 支持かごを備えたフィルターバッグ
JP2005319410A (ja) 2004-05-10 2005-11-17 Ruiyu Industry Co Ltd フィルターバッグの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4559A (ko) * 2015-10-15 2017-04-25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
KR102429292B1 (ko) * 2015-10-15 2022-08-04 주식회사 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
KR20170003208U (ko) * 2017-09-01 2017-09-13 삼중교역산업(주) 집진기용 이중 필터백
KR200486694Y1 (ko) * 2017-09-01 2018-06-21 삼중교역산업(주) 집진기용 이중 필터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182A (ko) 2009-05-07
CN102387848A (zh) 2012-03-21
WO2010120043A1 (ko)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235B1 (ko) 필터백 및 이를 구비한 집진기
KR200445381Y1 (ko) 집진기용 필터
KR101823731B1 (ko) 하이브리드 주름필터백
CN103596659B (zh) 带有需要降低的能量需求的紧凑式除雾器的湿式洗涤器
US8580004B1 (en) Unitary filter cartridge with flow transition mouth
KR102262039B1 (ko) 촉매를 이용한 여과 집진기용 필터
EP0046352A1 (en) A bag-type filter apparatus having air diffuser tubes of helical construction
KR102019797B1 (ko) 카트리지 타입의 집진기용 필터 백 및 이의 제작 방법
CN110248719B (zh) 用于气态流体的集尘器及用于制造该集尘器的方法
KR100918505B1 (ko) 필터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집진기
KR20190056092A (ko) 집진기용 필터 백
KR20090089695A (ko) 집진기용 필터백 어셈블리
KR101622081B1 (ko) 카트리지 필터백
USRE37163E1 (en) Unitary filter cartridge
KR102037668B1 (ko)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
KR101423665B1 (ko) 여과재의 교체가 가능한 주름형 필터
KR200458972Y1 (ko)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
CN112797550B (zh) 空气净化器及其清洁方法
KR102387809B1 (ko) 결합력이 상승된 상부캡이 구비된 집진기용 카트리지필터
KR101252585B1 (ko) 집진기용 필터 카트리지
KR102019802B1 (ko) 필터 백 전체의 균등 탈리가 가능한 싸이백 집진 시스템
KR100304596B1 (ko) 가스터빈의 흡기 정화용 에어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406002Y1 (ko) 분진 제거가 용이한 필터
RU2312701C1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а
KR100507903B1 (ko) 하향식 여과 집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