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885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885B1
KR100927885B1 KR1020070108566A KR20070108566A KR100927885B1 KR 100927885 B1 KR100927885 B1 KR 100927885B1 KR 1020070108566 A KR1020070108566 A KR 1020070108566A KR 20070108566 A KR20070108566 A KR 20070108566A KR 100927885 B1 KR100927885 B1 KR 100927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mask
mask
protruding
connecto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7602A (ko
Inventor
마사키 미즈타니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7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래칭부들과 이에 결합되는 결합부들을 만족스럽게 유지하는 것이다.
프론트 마스크(60)를 장착 위치에 놓이게 하는 돌출벽들은, 커넥터 하우징(10)의 전면에 형성되고, 홈(31)에 대면하는 좌우측에 배열된다. 프론트 마스크(60)에는 장착 위치에서 홈(31)에 끼워지는 끼워 맞춤부(62)가 제공된다. 래칭부(35)들은 홈(31)에 대면하는 돌출 벽들의 내부 표면에 형성되며, 결합부(77)들은 돌출벽들의 내부 표면들과 대면하는 끼워 맞춤부(62)의 측부 표면들에 제공된다. 이 결합부(77)들과 래칭부(35)들은 탄성결합되고, 돌출 벽들은 탄성 변형되므로, 프론트 마스크(60)는 장착 위치에 유지된다. 결합부(77)들 및 래칭부(35)들의 결합 영역들은 상기 돌출벽들의 전단들과 대면하도록 설정된다.
프론트 마스크, 커넥터 하우징

Description

커넥터{A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 제 2006-244709 호는 프론트 마스크가 제공된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커넥터는 캐비티들에서 로킹부들을 형성하는 경우에 남겨지는 몰드 제거 공간들을 커버하도록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에 장착되어, 로킹부들을 보호하고 상대(mating) 단자 끼워 맞춤부들을 프론트 마스크를 통하여 매끄럽게 삽입할 수 있다.
프론트 마스크는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에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장착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커넥터 하우징에서 유지된다. 차양(eave) 형태의 좌우 돌출벽들의 쌍은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에 제공되며, 홈은 이 돌출벽들 사이에 형성된다. 프론트 마스크는 넓은 본체와 그 본체의 상부 에지에 제공되는 좁은 끼워 맞춤부를 포함한다. 본체의 상단 및 끼워 맞춤부의 대면측들에서의 쇼울더 파트들은 상기 돌출벽들과 접촉하며, 끼워 맞춤부는 홈에 끼워져서, 프론트 마스크가 장착 위치에 장착된다. 래치부들은 리세싱에 의해 본체의 대면하는 좌우 에지들에 형성되고, 결합부들은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과 대면하는 좌우 에지들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결합부들은 래치부들과 결합되는 반면에 본체와 대면하는 측면 에지들에서의 얇은 벽들은 탄성변형되므로, 프론트 마스크는 장착 위치에서 유지된다.
상기 경우에서, 프론트 마스크의 본체는,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캐비티 전체들의 개구부들 커버하기 위하여 얇은 벽들을 제외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의 전체 폭에 걸쳐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얇은 벽들은 약한 내구력을 가지는 경향이 있고, 래칭부들 및 결합부들은 약해진 복원력으로 인해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없다.
이와 반대로, 결합부들이 예를 들어 홈에 대면하는 돌출벽들의 내부 표면상에 형성되는 경우, 래치부들의 강성은, 돌출 벽들이 얇은 벽들보다 두껍기 때문에 증가될 수 있으므로, 프론트 마스크는 큰 강성을 가진 커넥터 하우징 상에 유지 될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돌출벽의 두께가 얇은 벽들의 두께보다 몇 배 더 크기 때문에 래칭부들의 강성은 과도하게 높아질 수 있고, 결합부들은 돌출벽들로부터의 압력으로 인해 고정되며, 프론트 마스크는 반복적으로 장착된다. 그 결과, 상기와 유사한 만족스런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개발되었고, 그 목적은 커넥터의 전체 동작성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독립항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종속항들에 포함된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에 프론트 마스크를 유지하는 경우에 커넥터 하우징의 래칭부들 및 프론트 마스크의 결합부들의 결합 상태를 만족스럽게 유지하여, 커넥터의 전체 동작성을 바람직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각 단자 피팅(fitting)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캐비티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전(前)면을 따라 실질적으로 이동된 이후에 장착 위치에 도달한 때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에 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 상에 유지되는 프론트 마스크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되며,
상기 장착 위치에서 상기 프론트 마스크가 놓이는 하나 이상의 돌출벽들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상에 또는 그 전면에는 제공되고, 홈의 하나의 이상의 측면들에 배열되며,
상기 프론트 마스크는 상기 돌출 벽들에 놓이도록 그 프론트 마스크의 부분들 사이에 끼워 맞춤부를 포함하며, 상기 끼워 맞춤부는 상기 장착 위치에서 상기 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래치부들은 상기 홈과 실질적으로 대면하는 상기 돌출벽(들)의 내부 표면(들)에 제공되며,
하나 이상의 결합부들은 상기 돌출벽(들)의 내부 표면(들)과 실질적으로 대면하도록 상기 끼워 맞춤부에 제공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부들과 각각의 하나 이상의 래치부들은, 탄성결합되고, 상기 돌출벽들은 탄성 변형되어, 상기 프론트 마스크(60)는 상기 장착 위치에 유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77)들과 상기 래치부(35)들의 결합 영역들은, 상기 돌출 벽(33)들의 전단들과 실질적으로 대면하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피팅들을 수용할 수 있는 캐비티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전(前)면에 따라 이동된 이후에 장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에 유지되는 (바람직하기로는 실질적으로 플레이트 형상)프론트 마스크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되며,
상기 프론트 마스크를 상기 장착 위치에 놓이게 하는 돌출벽들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상에 제공되고, 홈에 대면하는 좌우 측부에 배열되며,
상기 프론트 마스크는 상기 돌출 벽들에 놓이도록 그 프론트 마스크의 부분들 사이에 끼워 맞춤부를 포함하며, 상기 끼워 맞춤부는 상기 장착 위치에서 상기 홈에 끼워질 수 있으며,
래치부들은 상기 홈과 대면하는 상기 돌출벽(들)의 내부 표면들에 제공되며, 결합부들은 상기 돌출벽들의 내부 표면들과 대면하도록 상기 끼워 맞춤부의 측부 표면들에 제공되며,
결합부들과 래치부들은, 탄성결합되고, 상기 돌출벽들은 탄성 변형되어, 상 기 프론트 마스크(60)는 상기 장착 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결합부들과 상기 래칭부들의 결합 영역들은 돌출벽들의 전단들과 대면하도록 설정된다.
프론트 마스크가 장착 위치에 도달하기 위하여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을 따라 이동될 때에, 프론트 마스크의 부는 커넥터 하우징의 홈 내에 끼워 맞춰지고, 상기 끼워 맞춤부의 양측의 프론트 마스크 부분은 커넥터 하우징의 돌출벽 상에 안착되며 돌출벽의 내표면에 마련된 래칭부는 끼워 맞춤부의 측면에 마련된 결합부에 탄성 결합되고, 그 결과, 프론트 마스크가 장착 위치에 유지된다. 돌출벽은 프론트 마스크가 상부에 안착하기에 충분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돌출벽은 래칭부와 결합부의 결합 시에 탄성 변형되더라도 매우 약화되지 않는다. 한편, 래칭부와 결합부의 결합 영역은 돌출벽의 전단부와 대면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돌출벽이 보다 쉽게 탄성 변형될 수 있고, 그러한 결합 영역이 돌출벽의 내부 표면의 후방측에 설정되는 경우에 비해 돌출벽으로부터 결합부로 가해지는 압력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가능성이 없다. 이로 인해, 래칭부 또는 결합부(돌출측)가 내려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돌출벽의 탄성 변형부의 평활도가 보장될 수 있고 래칭부와 결합부가 결합 상태로 만족스럽게 유지될 수 있다.
프론트 마스크를 유지하는 구조는 프론트 마스크의 후면 및/또는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론트 마스크를 유지하는 구조가 래칭부와 결합부 외에 더 마련되기 때문에, 프론트 마스크는 커넥터 하우징 내에 증가된 힘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유지 구조는 프론트 마스크의 후면과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 상에 마련되기 때문에, 프론트 마스크의 전면에서 노출되지 않아 프론트 마스크가 부주의하게 잠금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론트 마스크에는 프론트 마스크가 실질적으로 장착 위치에 도달할 때에 커넥터 하우징의 결합 오목부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맞춰질 수 있도록 결합 리세스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측방 구속 벽이 결합 리세스의 폭방향 단부에서 기립되고, 상기 구속 벽은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구속벽 및/또는 0° 또는 180°가 아닌 각도로 실질적으로 소정 방향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구속벽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프론트 마스크의 폭방향으로의 느슨한 이동은 제1 구속벽을 결합 오목부의 대응하는 부분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맞춤으로써 실질적으로 제한되고, 프론트 마스크의 전후 방향으로의 느슨한 이동은 제2 구속벽을 결합 오목부의 대응하는 부분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맞춤으로써 실질적으로 제한된다.
하나 이상의 측방향 구속벽은 실질적으로 L자형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돌출 측벽에는 홈을 향해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 부재가 마련되고 하나 이상의 돌출 부재는 하나 이상의 래칭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하나 이상의 마스크 본체 측부 유지부들 및 하나 이상의 끼워 맞춤부 측부 유지부들은, 프론트 마스크의 후면에 마련되고, 하나 이상의 유지 부들은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로크 암은 하우징 본체에 마련되고, 하나 이상의 돌출벽들은 그 로크 암의 기부 단부(base end)(들)을 컷 오프함으로써 형성된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프론트 마스크는 장착 위치에 위치되는 프론트 마스크에 대하여 캐비티들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들에 하나 이상의 탭 삽입구멍들이 마련되며, 하나 이상의 경사진 탭 안내 에지들은 프론트 마스크의 전면에 상기 탭 삽입 구멍들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프론트 마스크의 전면에 상기 탭 삽입 구멍들 전체 주위에 실질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과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어나갈 때 더욱 명백하게 된다. 실시형태들이 개별적으로 기술되었지만, 이 실시형태들의 단일 특징들은 부가적인 실시형태들로 결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 1∼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의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 하우징(미도시)과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10)과, 이 커넥터 하우징(10)의 전(前)면에 대해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되는 프론트 마스크(60) 또는 플레이트 또는 요소를 갖고 있다. 상대 커넥터 하우징과 접속되는 커넥터 하우징(10)의 일 측을 전후 방향(FBD)에 관한 전방측이라고 한다.
도 4,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0)은 예컨대 합성 수지로 만들어지며 전체적으로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블럭형으로 되어 있고, 하우징 본체 (11) (바람직하게는, 폭방향 (WD) 으로 실질적으로 평평하다) 및 하우징 본체 (11) 의 측방(상부)표면의 폭방향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앙)에 제공된 로크 암 (12)을 포함한다. 하우징 본체 (11) 에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캐비티 (13) 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암형(female)인 단자 피팅 (미도시) 이 삽입측,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쪽에서 각 캐비티 (13)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캐비티 (13) 의 전방 또는 접속 표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어, 상대 수형(male) 단자 피팅의 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개구에 끼워지고 빠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캐비티 (13) 의 내측표면에 또는 그 부근에는 로킹부 (14) 가 탄성 변형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로킹부 (14) 를 위한 하나 이상의 변형 공간 (15) 이 하우징 본체 (11) 에 형성되어 있고, 로킹부 (14) 가 형성될 때 남겨지는 몰드 제거 공간 (16) 이, 상기 변형 공간 (15) 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고 로킹부 (14) 에 인접하여 또는 그 앞에 있는 캐비티 (13) 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 본체 (11) 의 전방 표면에 하나 이상의 개구가 만들어진다. 각각의 로킹부 (14) 는 암형 단자 피팅이 캐비티 (13) 안으로 삽입될 때 이 암형 단자 피팅의 간섭을 받아서 변형 공간 (15) 쪽으로 탄성 변형되거나 될 수 있으며, 암형 단자 피팅이 실질적으로 적절히 삽입되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어 암형 단자 피팅을 유지시키게 된다.
로크 암 (12) 은, 하우징 본체 (11) (바람직하게는 이의 전방 단부) 로부터 직립 또는 돌출된 기부 (17) 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기부 (17) 로부터 뒤쪽으로 연장해 있는 아암부 (18)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외팔보형임), 이 아암부 (18) 의 길이방향 중간 부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길이방향 중간 부분)의 외측 또는 상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로킹 돌출부 (19) 및, 약간 상승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더 돌출하면서) 아암부 (18) 의 자유단부에 또는 그 부근에 형성된 작동부 (21) 로 구성되어 있다. 로크 암 (12) 이 탄성변형되면 로킹 돌출부 (19) 는 상대 커넥터 하우징과 탄성적으로 결합하여, 두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에 잠금된다. 또한, 서로 접속된 두 커넥터 하우징을 분리시키면 작동부 (21) 가 가압되어 로크 암 (12) 을 잠금해제 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게 된다.
이 로크 암 (12) 은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크며, 그의 기부 (17) 는 캐비티 (13) 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며, 로크 암 (12) 의 높이는 작동부 (21) 가 포함되는 경우 커넥터의 전체 높이의 실질적으로 절반이 된다. 로크 암 (12) 의 기부 (17) 의 폭은 커넥터의 전체 폭의 절반과 같거나 이 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측방(좌측 및/또는 우측) 보호벽 (22) 이 하우징 본체 (11) 의 외측 또는 측방 또는 상부 표면에 형성되어 아암부 (18) 에 인접하여,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양 측에 직립하여 있다. 보호벽 (22) 은 기부 (17) 의 후방 끝면과 일체적으로 결합된 전방 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작동부 (21) 부근까지 이르고 있다. 또한, 게이트형 아치부 (24) 가 로크 암 (12) 의 작동부 (21) 를 둘러싸면서 하우징 본체 (11) 의 상부 표면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아치부 (24) 는 작동부 (21) 에 루프형 와이어와 같은 외부 물질이 걸리는 것을 방지해 주며 또한 작동부 (21) 에 대한 부주의한 잠금해제 조작을 막을 수 있다. 로크 암 (12) 의 기부 (17) 의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몰드 제거 공간 (16) 은 프론트 마스크 (60) 가 장착되기 전에 하우징 본체 (11) 의 전방 표면에 남겨지며, 로킹부 (14) 는 거기서 노출된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측방 (좌측 및/또는 우측) 안내벽 (25) 이 실질적으로 반대쪽과 몰드 제거 공간 (16) 을 분리시키면서, 하우징 본체 (11) 의 전방 표면의 측방 가장자리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반대쪽의) 에서 돌출해 있다. 하나 이상의 안내벽 (25) 에 인접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두 안내벽 (25) 사이에 있는 공간은 프론트 마스크 (60) 를 위한 장착 공간 (26) 으로서 역할을 하게 되며, 프론트 마스크 (60) 는 전후방향(FBD)과 교차하는 삽입방향(ID)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아랫쪽에서 상기 장착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장착 공간 (26)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프론트 마스크 (60) 의 폭방향 또는 측방향의 헐거운 운동 (또는 삽입방향(ID)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운동) 은 하나 이상의 안내벽 (25) 에 의해 제한되며, 프론트 마스크의 수직방향(높이 방향 또는 삽입방향(ID)을 따르는 방향) 운동이 안내된다. 약간 장착 공간 (26) 쪽으로 돌출한 하나 이상의 하우징 본체측 돌출벽 (27) 이 두 안내벽 (25) 의 말단부 또는 상단부에 또는 그 부근에 제공되어 있다. 이 하우징 본체측 돌출벽 (27) 은, 후술할 (바람직한 돌출벽으로서) 로크 암측 돌출벽 (33) 과 유사하게 프론트 마스크 (60) 가 돌출벽 (27) 에 안착 또는 접하도록 해주거나, 및/또는 프론트 마스크 (60) 의 하나 이상의 제 2 쇼울더부 (64)(후술함)와 접촉하여 길이방향 축선에 대한 프론트 마스크 (60) 의 흔들림 운동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측방(좌측 및/또는 우측) 하우징 본체측 유지부 (28)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차양 형태로 되어 있음) 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 폭방향 단부에서 실질적으로 캐비티의 횡방향 또는 바닥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하도록 하우징 본체 (11) 의 전방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마스크 (60) 의 바닥 단부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 리세스 (29) 가 하우징 본체 (11) 의 바닥 가장자리의 폭방향 중간 부분(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앙에 있음) 을 리세싱(recessing)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 리세스 (29) 와 하우징 본체측 유지부 (28) 는 프론트 마스크 (60) 가 장착된 후에 이 프론트 마스크 (60) 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덮히게 된다.
로크 암 (12)의 기부 (17) 의 전방 끝면은 하우징 본체 (11) 보다 더 전방에 위치해 있으며, 로크 암 (12) 의 기부 (17) 의 전방부(바람직하게는 전방 절반부) 밑에 있는 개방 공간이 장착 공간 (26) 으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홈 (31) 이 실질적으로 수직방향 (높이방향) 으로 기부 (17) 의 전방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절반부)의 폭방향 중간 부분(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증앙 부분) 을 통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 (31) 의 바닥 표면은 하우징 본체 (11) 의 전방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을 이루면서 연속해 있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측방(좌측 및/또는 우측) 로크 암측 유지부 (32) 가 실질적으로 하우징 본체 (11) 의 캐비티 (13) 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하여 홈 (31) 의 바닥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측 유지부 (28) 와 유사하게, 이 로크 암측 유지부(32)도 프론트 마스크(60)가 장착된 후에 이 프론트 마스크 (60) 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덮히게 되며, 그 돌출량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본체측 유지부 (28)의 돌출량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로크 암(12)의 기부(17)의 전방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반부)에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방향(좌측 및/또는 우측) 로크 암측 돌출 벽(33)이 홈(31)에 이웃하여,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홈(31)의 대향 측부에 마련된다. 프론트 마스크(60)가 삽입 방향(ID)으로 장착될 때, 프론트 마스크(60)의 제1 쇼울더 부(63)(이후 설명 참조)는 삽입 방향(ID)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아래로부터 로크 암측 돌출 벽(33)과 실질적으로 접촉한다. 로크 암측 돌출 벽(33)의 하부 가장자리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하우징 본체측 돌출 벽(27)과 동일한 높이에 및/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이 되도록 위치하며, 장착 공간(26)의 상부 가장자리를 구성한다. 로크 암측 돌출 벽(33)의 내측면은 홈 표면을 구성하고 홈(31)을 향하며,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방향(좌측 및/또는 우측) 돌출 부재(34)는 이들 내측면의 전방 단부에 또는 전방 단부 근처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서로를 향해 돌출된다. 돌출 부재(34) 중 기부 단부의 내측 이면은, 돌출 부재(34)의 기부 단부가 선단부보다 두껍게 되도록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 부재(34)의 선단부(돌출된 단부)는 로크 암측 돌출 벽의 전방 단부를 바라보는 위치에서 오목하게 들어가 있으므로, 노출되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래칭부(35)를 형성한다. 래칭부(35)는 실질적으로 접시 또는 구부러진 형상이고, 래칭부의 개구는 0 도 또는 180 도의 상이한 각도의 방향으로 향하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프론트 마스크(60)의 이동 방향[삽입 방향(ID)]에 수직하고, 프론트 마스크(60) 중 돌출된 형상인 하나 이상의 각 결합부(77)(후술함)와 결합된다. 돌출 부재(34)의 선단부의 하단부는 바람직하게는 기울어져 안내 에지부(36)를 형성하고, 프론트 마스크(60)의 결합부(77)는 프론트 마스크(60)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이들 안내 에지부(36)와 실질적으로 미끄러지듯이 접촉하면서 유지될 수 있다. 경사부(38)는, 장착 공간(26)을 바라보는 내측 가장자리 및 홈(31)을 제외한 로크 암측 돌출 벽(33) 및 하우징 본체측 돌출벽(27)에 적용되거나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다음으로, 프론트 마스크(60) 또는 플레이트 또는 요소를 설명한다. 프론트 마스크(60)는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작되고, 실질적으로 평판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삽입 방향(ID)으로(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아래로부터) 하우징 본체(11)의 장착 공간(2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가능하고, 삽입 방향(ID)을 따라, 또는 커넥터 하우징(10)의 전면[하우징 본체(11)의 전면 및 홈(31)의 하면]을 따라, 또는 전면에서 수직 방향(높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이동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마스크(60)는 넓은 마스크 본체(61)를 포함하며, 이 마스크 본체는 실질적으로 하우징 본체(11)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홈(31)에 끼워 맞출 수 있는 좁은 끼워 맞춤부(62)를 향하고, 끼워 맞춤부(62)는 마스크 본체(61)의 상부 가장자리[삽입 방향(ID)에서 볼 때 전방 가장자리]의 중간 부분(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 중간 부분)에서 돌출된다. 끼워 맞춤부(62)를 제외한 마스크 본체(61)의 상부 가장자리의 부재들은, 아래로부터 로크 암측 돌출 벽(33) 및 하우징 본체측 돌출 벽(27)과 접촉할 수 있는 쇼울더 부(63, 64)로서의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쇼울더 부(63, 64)는, 삽입 방향(ID)에 대해 마스크 본체(61)의 전방에 그리고 끼워 맞춤부(62)에 이웃하여 마련되고 하나 이상의 각 로크 암측 돌출 벽(33)과 접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쇼울더 부(63), 및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폭방향 단부(들)에 위치하고 제1 쇼울더 부(63)보다 낮은 위치에서[또는 삽입 방향(ID)에 대해 보다 상류측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방향 가장자리를 향해 아래로 경사진 하나 이상의 제2 쇼울더 부(64)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하나 이상의 제1 쇼울더 부(63)는 바람직하게는 삽입 방향(ID)에 대해 약 90 도로 배치되고,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2 쇼울더 부(64)는 삽입 방향(ID)에 대해 경사져 있다(또는 0 도, 90 도, 혹은 180 도의 상이한 각도로 배치됨).
하나 이상의 캐비티(13) 각각과 연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탭 삽입 구멍(65)이 마스크 본체(61)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가로 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된다. 마스크 본체(61)의 전방면에 있는 탭 삽입 구멍(65)에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이 탭 삽입 구멍의 전체 둘레에) 하나 이상의 경사진 탭 안내 에지(75')가 형성된다. 또한, 마스크 본체(61)에는 하나 이상의 지그 삽입 구멍(66)이 형성되는데, 이 지그 삽입 구멍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가로 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되는 동시에 탭 삽입 구멍(65) 각각에 대해 폭 방향(WD)으로 오프셋 되어 있다. 캐비티(1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암형 단자 피팅의 전기 접속 상태는, 프론트 마스크(60)가 적절한 장착 위치로부터 오프셋 되어 있거나 혹은 적절한 장착 위치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는 비장착 위치에 위치할 때, 전기 접속 테스트용 프로브 핀(도시 생략)을 지그 삽입 구멍(6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점검된다.
하우징 본체(11)의 각 캐비티(13)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격벽(39)에 접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직 리브(67)는, 마스크 본체(61)로부터 끼워 맞춤부(62)까지 연장 또는 전개되도록 [하우징 본체(11)와 마주하는] 프론트 마스크(60)의 후면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WD)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암형 단자 피팅의 전방 단부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WD)으로 위치하도록 수직 리브(67) 각각의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맞춰질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방 (상부 및/또는 하부) 수평 리브(68)[바람직하게는 수직 리브(67)의 상단부 및/또는 하단부에 연결됨]는, 마스크 본체(61)의 후면의 하부 에지 및/또는 끼워 맞춤부(62)의 후면의 상부 에지에 혹은 그 근방에 마련된다. 이러한 수평 리브(68) 중에서, 상부의 것은 바람직하게는 로크 암측 유지부(32)와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끼워 맞춤부측 유지부(69)의 역할을 하며, 끼워 맞춤부측 유지부(69)의 하부 에지와 로크 암측 유지부(32)의 상부 에지가 접촉함으로써, 프론트 마스크(60)는 실질적으로 삽입 방향(ID)의 반대 방향 또는 하방으로의 분리가 방지된다.
프론트 마스크(60)가 실질적으로 장착 위치에 도달할 때 하우징 본체(11)의 결합 리세스(29)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맞춰질 수 있는 결합 돌출부(71)가, 마스크 본체(61)의 후면의 하부 에지[삽입 방향(ID)에 대해 후방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하우징 본체(11)를 향하여] 돌출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실질적으로 L자형의 측방 (좌측 및/또는 우측) 구속 벽(72, 73)은 결합 돌출부(71)의 (바람직하게는 상부면의) 폭 방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단부(들) 상에 직립해 있다. 각각의 구속 벽(72, 73)은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커넥터 하우징(10)의 연결 및 분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구속 벽(72)과, 실질적으로 폭 방향(WD)[0°또는 180°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전후 방향(FBD)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을 따라 연장되는 제2 구속 벽(73)으로 이루어진다. 프론트 마스크(60)의 폭 방향으로의 느슨한 이동은, 제1 구속 벽(72)을 결합 리세스(29)의 대응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맞춤으로써 실질적으로 제한되고, 및/또는 프론트 마스크(60)의 전후 방향으로의 느슨한 이동은, 제2 구속 벽(73)을 결합 리세스(29)의 대응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맞춤으로써 실질적으로 제한된다.
각각의 하우징 본체측 유지부(28)와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마스크 본체측 유지부(74)는 마스크 본체(61)의 후면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부(들)에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마스크 본체측 유지부(74)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방(좌측 및/또는 우측) 클로(claw)(75)로 구성되며, 내측에 위치하는 클로(claw)(75)는 바람직하게는 대응 수직 리브(67)와 일체로 혹은 하나로 연결된다. 각각의 클로(75)를 대응하는 하우징 본체측 유지부(28)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폭 방향 측부로부터, 탄성적으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프론트 마스크(60)는 하방으로의 분리가 방지된다.
끼워 맞춤부(62)의 전방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방 반체)의 대향하는 폭 방향 단부는 수직 방향[높이 방향 혹은 삽입 방향(ID)]으로 절단되어, 하나 이상의 돌출 부재 진입 리세스(76)를 형성하는데, 이 리세스는 로크 암(12)의 돌출 부재(3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한다. 프론트 마스크(60)가 장착 위치에 도달할 때 로크 암(12)의 래치부(3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77)는, 끼워 맞춤부(62)의 돌출 부재 진입 리세스(들)(76)의 측면(들)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결합부(77)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단면을 갖고, 및/또는 돌출 부재 진입 리세스(76)의 실질적인 전후 방향(FBD)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되며, 및/또는 결합부의 상부 에지와 하부 에지는 선단(돌출 단부)을 향해 감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결합부(들)(77)의 상부 에지(들)의 기부 단부(들)는 끼워 맞춤부(62)의 상단부와 연결된다. 결합부(77)와 마스크 본체측 유지부(74)는 프론트 마스크(60)의 이동 방향[삽입 방향(ID)]에 있어서 겹쳐지지 않도록 오프셋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유의하라. 또한, 프론트 마스크(60)의 외측 에지는 경사 에지(79)를 형성하도록 비스듬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의 기능 및 효과가 기술되어 있다. 먼저, 프론트 마스크(60)가 삽입 방향 ID로(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밑에서부터) 커넥터 하우징(10)의 장착 공간(26) 내로 장착된다. 장착 공정에서, 마스크 본체(61)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마주보는) 폭방향측 에지(들)은, 프론트 마스크(60)의 장착 작업을 안내하기 위해서 하우징 본체(11)의 안내 벽(들)(25)의 각 내 표면(들)에 슬라이딩 접촉하게 된다. 장착 작업의 최종 단계에 도달할 때, 끼워 맞춤부(62)는 삽입 방향 ID로(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밑에서부터) 로크 암(12)의 홈(3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이 삽입을 시작할 때, 끼워 맞춤부(62)의 결합부(77)가 프론트 마스크(60)의 이동 방향(삽입 방향 ID)으로 록 암(12)의 돌출 부재(들)(34)의 안내 에지부(들)(36)과 실질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하게 되고, 이로써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돌출 부재(34)를 포함하는) 로크 암측 돌출 벽(33)이 프론트 마스크(60)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서로에게서) 떨어져서 탄성 변형된다. 프론트 마스크(60)가 이 단계에서 더 밀어올려지면, 결합부(77)가 안내 에지부(36)에 걸쳐서 또는 이를 넘어서 이동하고 로코 암측 돌출 벽(3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며, 이로써 결합부(77) 및 래치부(35)은 바람직하게는 노출된 상태로 로크 암측 돌출 벽(33)의 전단에서 로킹하기 위해 연결된다. 프론트 마스크(60)가 이러한 방식으로 장착 위치에 도달할 때,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론트 마스크(60)의 상향 이동이 제한되는 결과로, 마스크 본체(61)의 제1 쇼울더부(63)는 삽입 방향 ID로(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밑에서부터) 로크 암측 돌출 벽(33)에 실질적으로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되고, 마스크 본체(61)의 제2 쇼울더부(64)는 삽입 방향 ID로(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밑에서부터) 하우징 본체측 돌출 벽(27)에 실질적으로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된다.
이 장착 위치에서, 마스크 본체측 유지부(74)의 하나 이상의 각 클로(75)가 하나 이상의 하우징 본체측 유지부(28)에 대응하여 탄성적으로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끼워 맞춤부측 유지부(69)이 로크 암측 유지부(32)에 탄력 있게 연결되고, 및/또는 마스크 본체(61)의 결합 돌출부(71)가 삽입 방향 ID로(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밑에서부터) 하우징 본체(11)의 결합 리세스(29)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되며, 이로써 프론트 마스크(60)는 확실하게 붙어서 유지될 수 있다. 프론트 마스크(60)가 장착 위치에 있을 때, 끼워 맞춤부(62)의 상단 표면이 로크 암측 돌출 벽(33)의 표면 아래에 위치하고, 및/또는 프론트 마스크(60)의 전방 표면이 로크 암측 돌출 벽(33) 및 하우징 본체측 돌출 벽(27)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맞물리는 커넥터 하우징은, 로킹부(14)에 의해 탄력 있게 로킹되도록 하나 이상의 음극 단자 부품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에서부터 캐비티(13)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후에 앞에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된다. 그 후, 맞물리는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된 양극 단자 부품의 하나 이상의 탭은 프론트 마스크(60)의 탭 삽입 구멍(65)을 통과하여 하나 이상의 각 캐비티(13) 안으로 안내되고 캐비티(13) 내에 삽입된 각 음극 단자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탭이 적절한 위치에서 변위되면서(예컨대, 두 개의 커넥터 하우징 사이의 위치 에러에 기인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면, 그 변위는 프론트 마스크(60)의 하나 이상의 안내 에지에 의해 정정되거나 프론트 마스크(60)의 전방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탭은 부적절한 상태로 캐비티(13)에 들어가지 않게 된다. 두 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하게 연결될 때, 로크 암(12)이 맞물리는 커넥터 하우징에 탄력 있게 연결되고, 이로써 두 개의 커넥터 하우징이 연결된 상태(분리 방지 상태)로 로킹된다.
여기서, 장착 위치에 도달한 프론트 마스크(60)가 커넥터 하우징(10)에 유지되는 경우, 프론트 마스크(60)의 하나 이상의 결합부(77)와 커넥터 하우징(10)의 하나 이상의 래치부(35)는 로크 암측 돌출벽(33)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동안 잠금을 위해 결합된다. 그러므로, 로크 암측 돌출벽(33)이 반복되는 사용으로 약해질 가능성이 있고, 그에 의해 충분한 잠금 강도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프론트 마스크(60)가 그 위에 받쳐지도록 하는 상기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로크 암측 돌출벽(33)은 그렇게 많이 약해지지 않고, 충분하게 반복 사용을 견딜 수 있다. 결합부(77)와 래치부(35)의 결합 영역이 돌출벽의 내면의 배면(홈(31)의 홈 표면의 후면)에 설정되는 경우, 로크 암측 돌출벽(33)의 강성이 높기 때문에 결합부(77)는 로크 암측 돌출벽(33)에서의 압력으로 인해 안착된다. 그러나, 래치부(35)와 결합부(77)의 결합 영역이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암측 돌출벽(33)의 내면의 상단에 실질적으로 대면하도록 설정되므로, 탄성 변형되는 로크 암측 돌출벽(33)의 평이함(easiness)이 손상되지 않고 결합부(77)의 안착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로크 암측 돌출벽(33)의 탄성 변형의 평이함은 보장될 수 있고, 래치부(35)와 결합부(77)는 만족스럽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전반적인 작동성이 개선된다.
하나 이상의 로크 암측 돌출벽(33)이 홈(31)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 부재(34)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 부재(34)는 하나 이상의 래치부(35)를 포함하므로, 로크 암측 돌출벽(33)은 돌출 부재(34) 그 자체의 탄성 변형을 추가하는 것에 의해 더욱 평이하게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마스크 본체측 유지부(74)와 하나 이상의 끼워 맞춤부측 유지부(69)는 프론트 마스크(60)의 후면(하우징 본체(11)를 실질적으로 대면하는 표면)상에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하우징 본체측 유지부(28)와 로크 암측 유지부(32)가 커넥터 하우징(10)의 전면 상에 구비되므로, 래치부(35)와 결합부(77)에 의해 잠금 구조가 개선될 수 있고, 프론트 마스크(60)가 이 복수의 유지 구조에 의해 증가된 힘으로 커넥터 하우징(10)에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유지 구조가 프론트 마스크(60)의 후면 및/또는 커넥터 하우징(10)의 전면에 구비되므로, 그들은 프론트 마스크(60)의 전면에 노출되지 않고, 그리하여 프론트 마스크(60)가 부주의하게 잠기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로크 암측 돌출벽(33)이 기존 로크 암(12)의 기부(17)의 단부를 컷 오프함에 의해 형성되므로, 전체 커넥터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전방 및 후방 내의 커넥터 길이는 로크 암측 돌출벽(33)이 상이한 위치에 분리되어 구비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더 짧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래치부와 결합부를 충분히 유지하도록, 설치 위치에 프론트 마스크(60)를 안착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벽은, 커넥터 하우징(10)이 홈(31)의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맞은편의) 측면(좌 및/또는 우)에 배열되는 동안 커넥터 하우징(10)의 전면에 또는 전면 위에 형성된다. 프론트 마스크(60)는 설치 위치에 홈(31)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되거나 삽입되는 끼워 맞춤부(62)을 구비한다. 하나 이상의 래치부(35)는 홈(31)을 실질적으로 대면하는 돌출벽의 내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결합부(77)는 돌출벽의 내면을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고정 가능 부분의 측면에 구비된다. 하나 이상의 결합부(77) 및 하나 이상의 래치 부(35)는 돌출벽(들)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동안, 탄성적으로 결합되거나 결합가능하고, 그에 의해, 프론트 마스크(60)가 장착 위치에 유지된다. 결합부(들)(77) 및 래치부(들)(35)의 결합 영역(들)은 돌출벽의 전단을 실질적으로 대면하도록 설정된다.
<다른 실시형태들>
본 발명은 위에 설명되고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음 실시예 또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의해 포함된다.
(1)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벽과 홈은 로크 암이 아닌 커넥터 하우징의 부분(하우징 본체 등)에 형성될 수도 있다.
(2) 본 발명에 따르면, 로크 암은 커넥터 하우징상에 지지되는 전단 및 후단 모두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브리지와 같은 방식).
(3) 본 발명은 또한, 래칭부가 돌출벽의 내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와 끼워 맞춤부의 측면을 우묵하게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부들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4) 본 발명은 또한, 프론트 마스크가 커넥터 하우징의 일측면 가장자리에 구비된 돌출벽 상에 안착되도록 폭 방향(횡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도 적용가 능하다.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커넥터의 단면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3 은 커넥터의 단면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4 는 커넥터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커넥터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프론트 마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7 은 프론트 마스크의 후면도이다.

Claims (12)

  1. 하나 이상의 각 단자 피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캐비티(13)를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전(前)면을 따라 이동된 이후에 장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커넥터 하우징(10) 내에 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0) 상에 유지되는 프론트 마스크(60)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위치에서 상기 프론트 마스크(60)가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벽(33)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전면에 제공되고, 홈(31)의 하나 이상의 측방에 배열되며,
    상기 프론트 마스크(60)는 상기 돌출 벽(33)에 안착되도록 끼워 맞춤부(62)를 포함하며, 상기 끼워 맞춤부(62)는 상기 장착 위치에서 상기 홈(31)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래치부(35)는 상기 홈(31)과 대면하는 상기 돌출벽(33)의 내부 표면에 제공되며,
    하나 이상의 결합부(77)는 상기 돌출벽(33)의 내부 표면과 대면하도록 상기 끼워 맞춤부(62)에 제공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부(77)와 각각의 하나 이상의 래치부(35)는, 탄성결합되고, 상기 돌출벽(33)들은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프론트 마스크(60)는 상기 장착 위치에 유지되는 것인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77)와 상기 래치부(35)들의 결합 영역은, 상기 돌출 벽(33)의 전단과 대면하도록 설정되는 것인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마스크(60)의 후면 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전면에는, 상기 프론트 마스크(60)를 유지하는 유지부(69;74;28)가 제공되는 것인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마스크(60)가 상기 장착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결합 리세스(29)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결합 돌출부(71)가 상기 프론트 마스크(60)에 제공되는 것인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측방 구속 벽(72;73)은 상기 결합 돌출부(71)의 폭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구속벽(72;73)이 전후 방향(FBD)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구속 벽(72) 또는 전후 방향(FBD)과는 다른 각도의 방향(WD)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구속벽(73)을 포함함으로써, 프론트 마스크(60)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이 상기 제 1 구속 벽(72)을 상기 결합 리세스(29)의 대응 부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움으로써 제한되거나, 상기 프론트 마스크(6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상기 제 2 구속벽(73)을 상기 결합 리세스(29)의 대응하는 부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움으로써 제한되는 것인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측방 구속 벽(72;73)은 L 자 형상인 것인 커넥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 벽(33)에는 상기 홈(31)을 항하여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 부재(34)가 제공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 부재(34)는 하나 이상의 래치부(35)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마스크 본체측 유지부(74) 및 하나 이상의 끼워 맞춤부측 유지부(69)가 상기 프론트 마스크(60)의 후면에 제공되며, 하나 이상의 하우징 본체측 유지부(28) 또는 로크 암측 유지부(32)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의 전면에 제공되는 것인 커넥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11)에 로크 암(12)이 제공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벽(33)은 상기 로크 암(12)의 기부(17)의 단부를 컷 오프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마스크(60)에는, 상기 프론트 마스크(60)가 상기 장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13)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탭 삽입 구멍(65)이 제공되며,
    상기 프론트 마스크(60)의 전면의 상기 탭 삽입 구멍(65)에는, 하나 이상의 경사진 탭 안내 에지(75')가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전후 방향(FBD)에 수직인 것인 커넥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경사진 탭 안내 에지(75')는, 상기 프론트 마스크(60)의 전면의 상기 탭 삽입 구멍(65) 전체 주위에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KR1020070108566A 2006-10-26 2007-10-26 커넥터 KR100927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90665A JP4730282B2 (ja) 2006-10-26 2006-10-26 コネクタ
JPJP-P-2006-00290665 2006-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602A KR20080037602A (ko) 2008-04-30
KR100927885B1 true KR100927885B1 (ko) 2009-11-23

Family

ID=38973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566A KR100927885B1 (ko) 2006-10-26 2007-10-26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53197B2 (ko)
EP (1) EP1916746B1 (ko)
JP (1) JP4730282B2 (ko)
KR (1) KR100927885B1 (ko)
CN (1) CN101197476B (ko)
DE (1) DE60200700111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2603B2 (ja) * 2007-01-31 2009-04-0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1572400B1 (ko) 2011-10-28 2015-11-26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JP7480716B2 (ja) 2021-01-21 2024-05-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9747A (ja) 1997-04-14 1998-10-27 Sumitomo Wiring Syst Ltd 雌型コネクタ
JP2002305055A (ja) * 2001-04-03 2002-10-1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20020168895A1 (en) * 2001-05-11 2002-11-14 Yazaki Corporation Holder-attache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7979A (ja) * 1988-01-31 1989-08-09 Amp Inc タブルロックを有するコネクター
US4944688A (en) * 1989-09-25 1990-07-31 Amp Incorporated Programmable sealed connector
JP2695487B2 (ja) * 1989-09-29 1997-12-24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NL9000721A (nl) * 1990-03-27 1991-10-16 Du Pont Nederland Tweedelige opneemcontacteenheid voor een modulair klinksamenstel.
JP2772328B2 (ja) * 1992-06-15 1998-07-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5820417A (en) * 1993-03-08 1998-10-13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housing
JP2581476Y2 (ja) * 1993-04-13 1998-09-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610786B2 (ja) * 1994-10-05 1997-05-14 アン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ダブルロックを有するコネクタ
US5785558A (en) * 1995-11-21 1998-07-28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855493A (en) * 1996-03-11 1999-01-05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strain relief with shield ground for multiple cables
JP3211735B2 (ja) * 1997-07-29 2001-09-25 住友電装株式会社 雌型コネクタ
JP3983380B2 (ja) * 1998-06-08 2007-09-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HU224993B1 (en) * 1999-01-28 2006-05-29 Framatome Connectors Int Connector system and electrical connector
JP3710957B2 (ja) * 1999-04-28 2005-10-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4175774B2 (ja) * 2000-12-12 2008-11-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20020076995A1 (en) * 2000-12-20 2002-06-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JP3674774B2 (ja) * 2001-04-03 2005-07-2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783854B2 (ja) * 2002-02-19 2006-06-0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28316B2 (ja) * 2002-07-30 2007-12-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93148B2 (ja) * 2003-09-04 2008-06-0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244709A (ja) 2005-02-02 2006-09-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コネクタ検査装置およびコネクタ検査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9747A (ja) 1997-04-14 1998-10-27 Sumitomo Wiring Syst Ltd 雌型コネクタ
JP2002305055A (ja) * 2001-04-03 2002-10-1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20020168895A1 (en) * 2001-05-11 2002-11-14 Yazaki Corporation Holder-attache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602A (ko) 2008-04-30
EP1916746A3 (en) 2008-05-07
EP1916746A2 (en) 2008-04-30
US7553197B2 (en) 2009-06-30
EP1916746B1 (en) 2009-05-13
CN101197476B (zh) 2010-06-02
JP2008108588A (ja) 2008-05-08
US20080100306A1 (en) 2008-05-01
DE602007001118D1 (de) 2009-06-25
CN101197476A (zh) 2008-06-11
JP4730282B2 (ja)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484B1 (ko) 커넥터
US7470157B2 (en) Connector
US7722381B2 (en) Connector
KR101740064B1 (ko) 커넥터
JP4168906B2 (ja) 分割コネクタ
KR100927885B1 (ko) 커넥터
US6368164B1 (en) Connector with a retainer
US10903604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that restricts excessive deflection of the lock arm
KR101048462B1 (ko) 커넥터
JP3753019B2 (ja) コネクタ
JP3856768B2 (ja) コネクタ
KR101690801B1 (ko) 커넥터
US20200153145A1 (en) Connector
JP4661910B2 (ja) 分割コネクタ
JP3687537B2 (ja) 分割コネクタ
JP7480716B2 (ja) コネクタ
JP6943917B2 (ja) コネクタ
JP2005183340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7498437B2 (ja) コネクタ
WO2022190779A1 (ja) コネクタ
JPH0850948A (ja)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JPH1050383A (ja) コネクタ
JP2002270275A (ja) コネクタ
JP2000182705A (ja) コネクタ
CN115084915A (zh) 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