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299B1 -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로프의 텐션 풀리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로프의 텐션 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299B1
KR100874299B1 KR1020077006479A KR20077006479A KR100874299B1 KR 100874299 B1 KR100874299 B1 KR 100874299B1 KR 1020077006479 A KR1020077006479 A KR 1020077006479A KR 20077006479 A KR20077006479 A KR 20077006479A KR 100874299 B1 KR100874299 B1 KR 100874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pulley
governor rope
wedge
governo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5331A (ko
Inventor
미네오 오카다
다이키 후쿠이
다케시 니이카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5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로프의 텐션 풀리 장치는, 조속기 로프에 매달린 텐션 풀리와, 텐션 풀리의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 부재와, 텐션 풀리가 위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 부재가 회동되는 것에 의해 회동 부재와의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는 규제 부재와, 회동 부재와 규제 부재와의 사이에 삽입되는 쐐기와, 쐐기가 회동 부재와 규제 부재와의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쐐기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가지고 있다. 승강로 내에는, 지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회동 부재 및 규제 부재는, 지지 부재에 설치되어 있다. 쐐기에는, 회동 부재에 맞닿는 제 1 맞닿음 면과 제 1 맞닿음 면에 대해서 경사지고, 규제 부재에 맞닿는 제 2 맞닿음 면이 설치되어 있다. 회동 부재와 규제 부재와의 사이에 쐐기가 밀어 넣어지는 것에 의해, 텐션 풀리의 위쪽으로의 변위가 방지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로프의 텐션 풀리 장치{TENSION PULLEY DEVICE FOR ELEVATOR GOVERNOR ROP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과 함께 이동되는 조속기 로프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로프의 텐션 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조속기 로프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텐션 풀리 및 균형추가 조속기 로프에 매달려 있는 것이 있다. 조속기 로프는 텐션 풀리에 감겨지고, 균형추는 텐션 풀리에 장착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에는, 고정 부재가 레일 클립(clip)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고정 부재에는,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암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암 부재의 선단부에는, 텐션 풀리가 설치되어 있다.
암 부재의 샤프트에 가까운 기단부(基端部)에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부재에는, 암 부재에 형성된 톱니에 맞물리는 폴(pawl)가 설치되어 있다. 폴에는, 암 부재가 위쪽으로 회동될 때에만, 톱니가 맞물림 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암 부재의 아래쪽으로의 회동이 허용되어, 암 부재의 위쪽으로의 회동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텐션 풀리의 떠오름 방지를 도모하여, 조속기 로프에 부여되는 장력의 유지를 도모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특개2002-179361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톱니가 폴에 맞물리고 있을 때는, 암 부재의 위쪽으로의 회동을 저지할 수 있지만, 폴가 톱니와 톱니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폴에 톱니가 맞물릴 때까지, 암 부재가 위쪽으로 회동해 버려, 텐션 풀리가 떠올라 버린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안의 승객이 이리저리 돌아다니는 등의 행위를 했을 경우, 엘리베이터 칸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일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고 있을 때 텐션 풀리가 떠올라 있으면, 조속기 로프에 부여되는 장력이 작게 되어 있으므로, 조속기 로프에 가로 흔들림이 발생한다. 조속기 로프에 가로 흔들림이 발생하면, 조속기 로프가 감겨진 조속기 쉬브의 회전속도의 크기도 변동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고,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강제적으로 정지하기 위한 비상 멈춤 장치가 오동작해 버리게 된다. 또, 조속기 로프의 가로 흔들림에 의해, 승강로 내에 설치된 다른 기기에 조속기 로프가 걸릴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텐션 풀리의 떠오름을 저지하여, 조속기 로프에 부여되는 장력의 크기의 급격한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로프용 텐션 풀리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로프의 텐션 풀리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과 함께 이동되는 조속기 로프가 감겨지고, 조속기 로프에 매달린 텐션 풀리, 승강로 내에 설치된 지지 부재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또한 텐션 풀리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텐션 풀리의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지지 부재에 대해서 회동되는 회동 부재, 지지 부재에 설치되어, 텐션 풀리가 위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 부재가 회동되는 것에 의해 회동 부재와의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는 규제 부재, 회동 부재에 맞닿는 제 1 맞닿음 면과, 제 1 맞닿음 면에 대해서 경사져, 규제 부재에 맞닿는 제 2 맞닿음 면이 설치되고, 회동 부재와 규제 부재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회동 부재 및 규제 부재에 대해서 변위 가능한 쐐기, 및 쐐기가 상기 회동 부재와 규제 부재와의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쐐기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텐션 풀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 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텐션 풀리가 하부에 변위되었을 때의 텐션 풀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이 진폭 최하점으로 변위되었을 때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고 있는 엘리베이 터 칸이 진폭 최상점으로 변위되었을 때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 사이에는, 엘리베이터 칸(3)이 배치되어 있다. 또,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 사이에는, 균형추(4)가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5)이 설치되어 있다. 기계실(5)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4)를 승강로(1) 내에서 승강시키기 위한 권상기(卷上機)(구동 장치)(6)와, 권상기(6)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된 디플렉션 쉬브(7)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6)는, 모터 및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한 구동 장치 본체(8)와 구동 장치 본체(8)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9)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9) 및 디플렉션 쉬브(7)에는, 복수 개의 메인 로프(10)가 걸려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4)는, 각 메인 로프(10)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권상기(6)의 구동력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안내되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또, 균형추(4)는, 권상기(6)의 구동력에 의해,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면서 승강로(1) 내를 승강 한다.
기계실(5) 내에는 또,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조속기(調速機)(11)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11)는, 조속기 본체(12)와, 조속기 본체(1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조속기 쉬브(13)를 가지고 있다. 또, 조속기(11) 및 권상기(6)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14)는, 기계실(5) 내에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이동을 강제적으로 정지하기 위한 비상 멈춤 장치(15)가 탑재되어 있다. 또, 조속기 쉬브(13)에는, 조속기 로프(16)가 감겨져 있다. 비상 멈춤 장치(15)에는, 조속기 로프(16)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작동 레버(17)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로프(16)는 엘리베이터 칸(3)과 함께 이동되어, 조속기 쉬브(13)는 엘리베이터 칸(3)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된다.
조속기 본체(12)는, 조속기 쉬브(13)의 회전속도가 제 1 설정 과속도(過涑度)(정격(定格) 속도의 1.3배 정도)에 이르렀을 때에, 제어 장치(14)에 정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조속기 본체(12)는, 조속기 쉬브(13)의 회전속도가 제 1 설정 속도보다 큰 제 2 설정 과속도(정격 속도의 1.4 배 정도)에 이르렀을 때에, 조속기 로프(16)를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14)는, 조속기 본체(12)로부터의 정지 신호를 받는 것에 의해, 권상기(6)의 모터를 정지함과 동시에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비상 멈춤 장치(15)는, 조속기 본체(12)에 의해서 조속기 로프(16)가 파지되어, 작 동 레버(17)가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해서 변위되는 것에 의해,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의 이동은, 비상 멈춤 장치(15)의 동작에 의해,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승강로(1) 내의 하부에는, 조속기 로프(16)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조속기 로프의 텐션 풀리 장치(이하, 간단히 「텐션 풀리 장치」라고 함)(18)가 설치되어 있다. 텐션 풀리 장치(18)는,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장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텐션 풀리 장치(18)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는, 텐션 풀리 장치(18)를 지지하는 지지판(지지 부재)(19)이 레일 클립(20)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지지판(19)에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로운 암(회동 부재)(22)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21)에는, 암(22)의 기단부가 설치되어 있다. 암(22)의 선단부에는, 조속기 로프(16)가 감겨진 텐션 풀리(23)가 설치되어 있다. 텐션 풀리(23)는, 지지축(21)과 평행한 회전축(24)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암(22)은, 텐션 풀리(23)의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텐션 풀리(23)는, 조속기 로프(16)의 이동에 의해, 회전축(24)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24)에는, 스윙 부재(25)를 통하여 균형추(26)가 설치되어 있다. 텐션 풀리(23) 및 균형추(26)는, 조속기 로프(16)에 의해 매달려 있다.
지지판(19)에는, 지지판(19)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 핀(규제 부재)(27)이 고정되어 있다. 돌출 핀(27)은, 암(22)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돌출 핀(27)은, 수평 방향에 대해서, 지지축(21)의 위치보다 텐션 풀리(23) 측에 배치되어 있다.즉, 돌출 핀(27)과 암(22)과의 사이의 간격은, 텐션 풀리(23)가 위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암(22)이 회동되는 것에 의해, 작아진다.
암(22)의 돌출 핀(27) 측의 부분에는, 암(2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라이드면(28)이 설치되어 있다. 암(22)과 돌출 핀(27)과의 사이에는, 암(22) 및 돌출 핀(27)에 대해서 변위 가능한 쐐기(29)가 삽입되어 있다. 쐐기(29)에는, 슬라이드면(28)에 맞닿는 제 1 맞닿음 면(30)과, 돌출 핀(27)에 맞닿는 제 2 맞닿음 면(31)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맞닿음 면(31)은, 제 1 맞닿음 면(30)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쐐기(29)는, 제 1 맞닿음 면(30)이 슬라이드면(28)에 맞닿고, 또한 제 2 맞닿음 면(31)이 돌출 핀(27)에 맞닿은 상태로, 암(22)과 돌출 핀(27)과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쐐기(29)에는, 쐐기 측 스프링 걸림 핀(32)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판(19)에는, 지지판 측 스프링 걸림 핀(33)이 고정되어 있다. 쐐기 측 스프링 걸림 핀(32) 및 지지판 측 스프링 걸림 핀(33) 사이에는, 줄어드는 방향으로 가압된 당김 스프링(가압 부재)(34)이 걸려 있다. 쐐기(29)는, 암(22)과 돌출 핀(27)과의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당김 스프링(34)에 의해 가압 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암(22)은, 텐션 풀리(23)가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가압 된다. 또한, 제 1 맞닿음 면(30)과 슬라이드면(28)과의 사이, 및 제 2 맞닿음 면(31)과 돌출 핀(27)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하고 있다.
도 4는, 도 2의 텐션 풀리(23)가 아래쪽으로 변위되었을 때의 텐션 풀리 장치(18)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조속기 로프(16)가 신장(伸張)하는 등에 의해, 텐션 풀리(23)가 아래쪽으로 변위되면, 암(22)이 회동되어, 암(22)과 돌출 핀(27)과의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다. 쐐기(29)는, 당김 스프링(34)의 가압에 의해, 암(22) 및 돌출 핀(27)의 각각에 맞닿으면서, 암(22)과 돌출 핀(27)과의 사이에 밀어 넣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제 1 맞닿음 면(30)과 슬라이드면(28)과의 사이, 및 제 2 맞닿음 면(31)과 돌출 핀(27)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쐐기(29)가 눌려져 돌아오는 것이 방지되어, 텐션 풀리(23)의 위쪽으로의 변위가 방지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쐐기(29)는, 당김 스프링(34)의 가압에 의해, 암(22)과 돌출 핀(27)과의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상시 가압 되고 있다. 이 상태로, 조속기 로프(16)에 장력이 주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조속기 로프(16)가 신장하여, 텐션 풀리(23)가 아래쪽으로 변위되었을 때에는, 암(22)은 돌출 핀(27)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즉, 아래쪽으로) 회동된다. 이 때, 쐐기(29)는, 당김 스프링(34)의 가압에 의해, 돌출 핀(27) 및 암(22)의 각각에 맞닿으면서 변위되어, 돌출 핀(27)과 암(22)과의 사이에 밀어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텐션 풀리(23)의 위쪽으로의 변위가 방지된다.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로(1) 내를 이동하면, 엘리베이터 칸(3)과 함께 조속기 로프(16)도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쉬브(13) 및 텐션 풀리(23)가 회 전된다.
조속기 쉬브(13)의 회전속도가 제 1 설정 과속도에 이르면, 조속기 본체(12)로부터 제어 장치(14)로 정지 신호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6)의 브레이크 장치가 제어 장치(14)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어, 구동 쉬브(9)의 회전이 제동된다.
예를 들면 메인 로프(10)의 파단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증대하여, 조속기 쉬브(13)의 회전속도가 제 2 설정 과속도에 이르렀을 때에는, 조속기 로프(16)가 조속기 본체(12)에 의해 파지된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로프(16)의 이동이 정지되어, 비상 멈춤 장치(15)가 동작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이동이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칸(3)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했을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3)이 진폭 최하점으로 변위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3)이 진폭 최상점으로 변위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3) 내의 승객(35)이 돌아다니는 것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되고 있을 때는, 조속기 로프(16)는, 엘리베이터 칸(3)의 진동에 맞추어 상하 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된다. 이 때, 조속기 쉬브(13) 및 텐션 풀리(23)의 각각의 회전 방향도, 조속기 로프(16)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맞추어 반복 반전된다.
엘리베이터 칸(3)이 진폭 최하점을 향하여 변위될 때는, 메인 로프(10)의 엘리베이터 칸(3)과 구동 쉬브(9)와의 사이의 부분에 주어지는 장력의 크기는 커진다. 이 때, 작동 레버(17)가 엘리베이터 칸(3)과 함께 아래쪽으로 변위되므로, 조속기 로프(16)의 작동 레버(17)의 하부와 텐션 풀리(23)와의 사이의 부분에게 주어지는 장력이 작아진다. 그러나, 텐션 풀리(23)가 텐션 풀리 장치(18)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압 되고 있으므로, 조속기 로프(16)에 주어지는 장력의 크기가 급격하게 작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엘리베이터 칸(3)이 진폭 최상점을 향하여 변위될 때는, 메인 로프(10)의 엘리베이터 칸(3)과 구동 쉬브(9)와의 사이의 부분에 주어지는 장력의 크기는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메인 로프(10)에 가로 흔들림이 발생한다. 이 때, 작동 레버(17)가 엘리베이터 칸(3)과 함께 위쪽으로 변위되므로, 조속기 로프(16)의 작동 레버(17)의 상부와 조속기 쉬브(13)와의 사이의 부분에 주어지는 장력이 작아진다. 그러나, 쐐기(29)가 돌출 핀(27)과 암(22)과의 사이에 밀어 넣어지는 것에 의해, 텐션 풀리(23)의 위쪽으로의 변위가 저지되고 있으므로, 텐션 풀리(23)가 위쪽으로 떠오르지 않고, 조속기 로프(16)에 주어지는 장력의 크기가 급격하게 작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텐션 풀리 장치(18)에서는, 조속기 로프(16)에 매달린 텐션 풀리(23)의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지지판(19)에 대해서 회동되는 암(22)과, 지지판(19)에 설치되어 텐션 풀리(23)의 위쪽으로의 변위에 의해 암(22)과의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는 돌출 핀(27)과의 사이에 쐐기(29)가 삽입되고, 암(22)과 돌출 핀(27)과의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쐐기(29)가 당김 스프링(34)에 의해 가압 되고 있으므로, 텐션 풀리(23)를 아래쪽으로 상시 가압할 수 있다. 또, 암(22)과 돌출 핀(27)과의 사이에 쐐기(29)가 밀어 넣어지므로, 암(22)이 돌출 핀(27)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텐션 풀리(23)가 위쪽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조속기 로프(16)에 주어지는 장력의 크기의 급격한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3)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조속기 로프(16)의 가로 흔들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조속기 쉬브(13)의 회전속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속도를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비상 멈춤 장치(15)의 오동작이나 조속기 로프(16) 외의 기기에의 걸림 등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 돌출 핀(27)은, 암(22)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평 방향에 대해서, 지지축(21)과 텐션 풀리(23)와의 사이에 돌출 핀(27)을 배치할 수 있어, 암(22)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재료 코스트의 저감이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돌출 핀(27)이 암(22)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지만, 돌출 핀(27)을 암(22)의 아래쪽에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돌출 핀(27)은, 수평 방향에 대해서, 지지축(21)보다 텐션 풀리(23)로부터 떨어진 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도, 텐션 풀리(23)가 위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암(22)이 회동되었을 때에, 돌출 핀(27)과 암(22)과의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할 수 있어, 돌출 핀(27)과 암(22)과의 사이에 쐐기(29)를 밀어넣는 것에 의해, 텐션 풀리(23)의 위 쪽으로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쐐기(29) 및 당김 스프링(34)은, 돌출 핀(27)과 지지축(21)과의 사이의 수평 방향에 대한 간격이 큰 만큼, 쐐기(29)의 변위량이 커지므로, 대형화된다. 따라서,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돌출 핀(27)과 지지축(21)과의 사이의 수평 방향에 대한 간격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과 함께 이동되는 조속기 로프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로프의 텐션 풀리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2)

  1. 엘리베이터 칸과 함께 이동되는 조속기 로프가 감겨지고, 상기 조속기 로프에 매달린 텐션 풀리,
    승강로 내에 설치된 지지 부재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텐션 풀리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텐션 풀리의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서 회동되는 회동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텐션 풀리가 위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 부재가 회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동 부재와의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는 규제 부재,
    상기 회동 부재에 맞닿는 제 1 맞닿음 면과, 상기 제 1 맞닿음 면에 대해서 경사지고, 상기 규제 부재에 맞닿는 제 2 맞닿음 면이 설치되며, 상기 회동 부재와 상기 규제 부재와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회동 부재 및 상기 규제 부재에 대해서 변위 가능한 쐐기, 및
    상기 쐐기가 상기 회동 부재와 상기 규제 부재와의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상기 쐐기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로프의 텐션 풀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회동 부재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로프의 텐션 풀리 장치.
KR1020077006479A 2005-07-05 2005-07-05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로프의 텐션 풀리 장치 KR100874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12391 WO2007004293A1 (ja) 2005-07-05 2005-07-05 エレベータ用調速機ロープの張り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331A KR20070065331A (ko) 2007-06-22
KR100874299B1 true KR100874299B1 (ko) 2008-12-18

Family

ID=37604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479A KR100874299B1 (ko) 2005-07-05 2005-07-05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로프의 텐션 풀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00673A4 (ko)
JP (1) JPWO2007004293A1 (ko)
KR (1) KR100874299B1 (ko)
CN (1) CN101014523B (ko)
WO (1) WO20070042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788B1 (ko) 2015-11-23 2016-08-11 (주)미주하이텍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53571A1 (de) 2009-05-20 2010-11-24 Inventio AG Aufzugsspannvorrichtung und Aufzugsanlage mit einer solchen Aufzugsspannvorrichtung
EP2338822A1 (de) 2009-12-23 2011-06-29 Inventio AG Aufzuganlage mit Geschwindigkeitsbegrenzungseinrichtung
CN103189295B (zh) * 2010-11-05 2015-07-0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
EP2636628A1 (de) 2012-03-09 2013-09-11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Spannvorrichtung für ein Zugmittel einer Aufzuganlage
KR101920546B1 (ko) 2014-04-09 2018-11-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US10654685B2 (en) 2014-08-01 2020-05-19 Otis Elevator Company Car mounted governor for an elevator system
JP6197802B2 (ja) * 2015-02-02 2017-09-2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ロックダウン装置保持工具及び釣合車装置の位置調整方法
JP6510448B2 (ja) * 2016-03-10 2019-05-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6904507A (zh) * 2017-04-05 2017-06-30 宁波宏大电梯有限公司 一种张紧力恒定的弹簧式限速器张紧装置
CN109650212B (zh) * 2019-01-21 2021-06-08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安全保护装置、电梯安全控制方法及电梯
US11738971B2 (en) 2021-06-25 2023-08-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governor tension frame damp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9139A (ko) 1972-07-20 1975-02-28
JP2002179361A (ja) 2000-12-19 2002-06-2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ガバナテンショ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38759Y (zh) * 2001-12-26 2003-03-05 宁波欣达电梯配件厂 下置式限速器
CN2693725Y (zh) * 2004-04-14 2005-04-20 河北东方机械厂 双向动作限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9139A (ko) 1972-07-20 1975-02-28
JP2002179361A (ja) 2000-12-19 2002-06-2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ガバナテンショ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788B1 (ko) 2015-11-23 2016-08-11 (주)미주하이텍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00673A1 (en) 2008-03-19
KR20070065331A (ko) 2007-06-22
EP1900673A4 (en) 2013-07-24
CN101014523A (zh) 2007-08-08
CN101014523B (zh) 2010-05-05
JPWO2007004293A1 (ja) 2009-01-22
WO2007004293A1 (ja)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299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로프의 텐션 풀리 장치
JP663320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956527B1 (ko) 승강기용 안전장치
US10093515B2 (en) Elevator apparatus
JP5472311B2 (ja) エレベータ用非常止め装置
EP1741658A1 (en) Elevator apparatus
JP6465995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4955757B (zh) 电梯装置
JPWO2013190869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0089930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EP2022743A1 (en) Elevator device
JP5073483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EP1813565A1 (en) Emergency brake of elevator
KR20170132883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79681B1 (ko)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 장치
JPWO2006022015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5191825B2 (ja) 自走式エレベータ
CN110461750B (zh) 电梯装置
JP2006182483A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装置
KR101830837B1 (ko)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JPWO2005056456A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6043317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9062176A (ja) エレベータ
CN109803911B (zh) 电梯用调速机及电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