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313B1 - 스피닝 릴의 스풀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스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313B1
KR100829313B1 KR1020020027625A KR20020027625A KR100829313B1 KR 100829313 B1 KR100829313 B1 KR 100829313B1 KR 1020020027625 A KR1020020027625 A KR 1020020027625A KR 20020027625 A KR20020027625 A KR 20020027625A KR 100829313 B1 KR100829313 B1 KR 100829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drag
cover member
disk
spinn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9167A (ko
Inventor
후로모토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48818A external-priority patent/JP47729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48817A external-priority patent/JP46255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48816A external-priority patent/JP485165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20089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01K89/011221Frame details with line or water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28Continuously applied
    • A01K89/029Continuously applied between spool shaft and fra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Magnetic Head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뒷부분에 드래그 기구가 배치된 스풀에 있어서, 드래그 기구로 액체가 침입하여 드래그력이 변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스피닝 릴의 스풀은, 스풀 본체(7)와, 드래그 기구(8)와, 커버 부재(9)와, 제1 밀봉 부재(61)와, 제2 밀봉 부재(62)를 포함하고 있다. 스풀 본체(7)는, 통 형상의 줄 권취 몸통부(7a)와 줄 권취 몸통부의 전후에 각각 제공된 앞/뒤 플랜지부(7b, 7c)를 포함하고 있다. 드래그 기구는, 스풀 축의 선단에 나합하는 드래그 조작부(70) 및 뒤 플랜지부의 뒷면에 접촉 가능하고 스풀 축으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 상태로 배치된 제1 마찰부(71)를 포함하고 있다. 커버 부재는, 제1 마찰부를 후방으로부터 가리도록 스풀 본체에 제공되어 있다. 제1 밀봉 부재는, 커버 부재와 뒤 플랜지부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제2 밀봉 부재는, 스풀 축과 커버 부재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Figure R1020020027625
스풀, 스풀 축, 밀봉 부재, 스피닝 릴, 드래그 기구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스풀{Spool of Spinning R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좌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피닝 릴의 좌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피닝 릴의 스풀 부분의 단면 확대도.
도 4는 역전 방지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스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도 1에 상당하는 도면.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9는 제3 실시 형태의 도 13에 상당하는 도면.
도 10은 제4 실시 형태의 도 13에 상당하는 도면.
도 11은 제4 실시 형태의 도 15에 상당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릴 본체
3: 로터
4, 104, 204, 304: 스풀
7, 107, 207, 307: 스풀 본체
7a, 107: 줄 권취 몸통부
7b, 207b: 앞 플랜지부
7c, 107c, 207c: 뒤 플랜지부
7d, 107d, 207d, 307d: 스커트부
7e: 드래그 수납부
8, 108, 208, 308: 드래그 기구
9, 109, 209, 309: 커버 부재
25, 225: 제1 지지부
29, 229: 제2 지지부
30: 원통부
48: 제3 밀봉 부재
49: 제4 밀봉 부재
61, 161, 261: 제1 밀봉 부재
62, 262: 제2 밀봉 부재
65: 드래그 수납 공간
70: 드래그 조작부
71, 171, 271, 371: 제1 마찰부
72, 272: 제2 마찰부
73, 173a, 173b, 273, 373a, 373b: 제1 디스크
74, 174a, 174b, 274, 374a, 374b: 제2 디스크
77: 드래그 발음 기구
86a, 86b: 제3 디스크
87a, 87b: 제4 디스크
본 발명은, 스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스풀 축에 장착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 관한 것이다.
드래그 기구가 내장된 정면 드래그 형태의 스피닝 릴에서, 스풀은 드래그 기구를 거쳐 스풀 축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스풀은, 줄 권취 몸통부와, 줄 권취 몸통부의 양단에 큰 직경으로 형성된 앞/뒤 플랜지부와, 뒤 플랜지부와 일체로 형성된 통 형상의 스커트부를 포함하고 있다. 드래그 기구는, 드래그 조작부와, 줄 권취 몸통부의 내부에 형성된 드래그 수납 공간에 배치되고 드래그 조작부에 의해 압압되는 마찰부를 포함하고 있다. 마찰부는, 스풀 축에 대해 회전 불가능한 제1 디스크와, 스풀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한 제2 디스크를 포함하고 있다.
대형 스피닝 릴에 있어서는, 컴팩트한 스풀로 큰 호수(號數)의 굵은 낚싯줄의 권사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줄 권취 몸통부를 가늘게 형성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스피닝 릴에서는, 줄 권취 몸통부의 직경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굵은 낚싯줄에 대응하는 충분한 드래그력을 얻을 수 있는 드래그 수납 공간을 줄 권취 몸통부 내부에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줄 권취 몸통부가 아니라 스풀의 뒷부분(구체적으로는 스커트부의 내부)에 드래그 기구의 마찰부가 배치된 스풀이 일본실용신안공고 평6-16512호의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스피닝 릴의 스풀은, 뒤 플랜지부의 뒷면에 후방으로 돌출하는 통 형상의 드래그 수납부를 형성하고, 그 드래그 수납부 내부에 제1 및 제2 디스크를 가지는 마찰부를 수납하고 있다. 마찰부는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뒤 플랜지부의 뒷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스풀 축의 선단에는, 마찰부를 압압하기 위한 드래그 조작부가 나합(螺合)하고 있다. 드래그 수납부의 뒷면에는, 마찰부를 발지(拔止)하기 위한 발지 수단이 나사 고정되어 있다. 발지 수단은, 마찰부의 뒷부분를 가리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풀에서는, 발지 수단에 의해 마찰부가 발지되어 있으므로, 스풀을 스풀 축으로부터 이탈시키면, 마찰부도 그대로 스풀과 함께 스풀 축으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종래에는, 스풀 본체의 줄 권취 몸통부 및 뒤 플랜지부와 스커트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줄 권취 몸통부 및 뒤 플랜지부는 낚싯줄이 상시(常時) 접촉하기 때문에, 내식성이 높은 금속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알루미늄 합금이어도, 줄 권취 몸통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고려하여 비교적 고내식성을 가지는 것이나 내식성이 높은 표면 처리를 행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발지 수단에 의해 마찰부가 가려져 있으므로, 드래 그 디스크에 먼지나 모래 등의 이물이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그러나 스풀의 스커트부와 로터의 사이에 틈새가 열려 있기 때문에, 릴을 액체로 세정하거나 하면, 그 틈새로부터 액체가 침입하기 쉽다. 스커트부와 로터의 틈새로부터 액체가 침입하면, 발지 부재와 스풀 축의 틈새나 발지 부재와 드래그 수납부의 틈새로부터 액체가 드래그 기구 내부로 침입하여 마찰부 내부의 디스크가 젖어 드래그력이 변동할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줄 권취 몸통부 및 뒤 플랜지부에 내식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고내식성을 가지는 경량의 합금(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이나 내식성이 높은 표면 처리를 행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내식성이 높은 합금은, 통상 내식성이 낮은 것에 비해 흰색과 같이 생기 잃은 색조로 되어서, 내식성이 낮은 것에 비하여 고급감이 있는 금속 광택을 얻기가 어렵다. 또한, 내식성이 높아지도록 표면 처리를 가할 경우, 일반적으로, 색조가 제한되는 것 외에 표면도 생기 없는 느낌으로 되어, 역시 고급감이 있는 금속 광택을 얻기가 어렵다.
한편, 스커트부는, 낚싯줄이 로터에 감기지 않도록 원통부를 가리는 부재이다. 따라서, 스커트부는, 소금물이 묻은 낚싯줄이 상시 접촉하는 줄 권취 몸통부나 뒤 플랜지부에 비하여, 내식성 측면에서는 제한이 약간 느슨한 환경하에 있다. 그리고 스커트부는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재이고, 릴 전체로서 고급감이 있는 장식을 연출할 수 있는 부품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스커트부와 줄 권취 몸통부 및 뒤 플랜지부를 내식성이 높은 것 또는 내식성이 높은 표면 처리를 행한 것으로 일체로 형성되 어 있으므로, 낚싯줄 접촉 부분의 내식성은 유지할 수 있지만, 스커트부 역시 생기 없는 제한된 색조로 되어서, 스커트부의 장식성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스풀이 후퇴할 때에 로터의 원통부가 근접하는 스커트부의 내부에 드래그 기구의 마찰부가 배치되었으므로, 마찰부의 스풀 축방향의 치수가 제한된다. 이 때문에, 마찰부의 디스크의 매수가 제한되고 디스크 직경을 크게 해도, 충분한 드래그력을 얻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뒷부분에 드래그 기구가 배치된 스풀에 있어서, 드래그 기구로의 액체 침입에 의한 드래그력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뒷부분에 드래그 기구가 배치된 스풀에 있어서, 낚싯줄 접촉 부분의 내식성을 유지하고 스커트부의 장식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뒷부분에 드래그 기구를 가지는 스풀에 있어서, 충분한 드래그력을 얻기 쉽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스풀 축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스풀 본체와, 드래그 기구와, 커버 부재와, 제1 밀봉 수단과, 제2 밀봉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스풀 본체는, 스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통 형상의 줄 권취 몸통부와, 줄 권취 몸통부의 전후에 각각 제공되고 줄 권취 몸통부보다 직경이 큰 앞/뒤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있다. 드래그 기구는, 줄 권취 몸통부를 압압하도록 스풀 축의 선단에 나합하는 드래그 조작부 및 뒤 플랜지부의 뒷면에 접촉 가능하고 스풀 축에 후방으로의 이동 이 규제된 상태로 배치된 제1 마찰부를 포함하고 있다. 커버 부재는, 제1 마찰부를 후방으로부터 가리도록 스풀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제공된 부재이다. 제1 밀봉 수단은, 커버 부재와 스풀 본체의 사이에 장착되고 양자의 틈새를 밀봉하는 수단이다. 제2 밀봉 수단은, 스풀 축과 커버 부재의 사이에 장착되고 양자의 틈새를 밀봉하는 수단이다.
상기 스피닝 릴에서는, 드래그 조작부를 돌리면, 줄 권취 몸통부를 거쳐 제1 마찰부가 압압된다. 제1 마찰부는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줄 권취 몸통부가 압압되면 제1 마찰부와 줄 권취 몸통부의 압접력(壓接力)이 변화하고, 드래그력이 변동한다. 상기 제1 마찰부는 후방으로부터 커버 부재에 의해 가려져 있다. 또한, 커버 부재와 스풀 본체의 틈새는 제1 밀봉 수단에 의해 막히고, 커버 부재와 스풀 축의 틈새는 제2 밀봉 수단에 의해 막혀 있다. 여기에서는, 제1 마찰부를 후방으로부터 커버 부재로 가리는 것과 동시에, 커버 부재와 스풀 본체 및 스풀 축의 틈새를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하고 있으므로, 스풀과 로터의 틈새로부터 액체가 침입해도 드래그 기구로 액체가 침입하기는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제1 마찰부가 젖기 어려워지고, 드래그력의 변동을 억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상기 제1 형태의 스풀에 있어서, 스풀 본체는, 뒤 플랜지부의 외주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하는 통 형상의 스커트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상기 제2 형태의 스풀에 있어서, 스커트부와 커버 부재의 외주부와의 사이에 줄 권취 몸통부에 낚싯줄을 감는 로터의 원통부의 선단이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로터의 원통부의 선단이 스커트부와 커버 부재의 외주부와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스풀의 뒷부분에 드래그 기구를 배치해도 스풀이 후퇴단(後退端)으로 퇴입했을 때에 커버 부재가 로터의 원통부의 선단에 충돌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스풀의 전후 이동에 대해서 드래그 기구의 스풀 축 방향의 치수를 고려하지 않고, 컴팩트한 릴을 실현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상기 제1 형태 내지 제3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스풀에 있어서, 스풀 축에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베어링을 거쳐 줄 권취 몸통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제2 밀봉 수단은 지지부에 장착되고, 지지부와 커버 부재의 틈새를 밀봉한다. 이 경우에는, 스풀 축에 지지부를 제공하고, 지지부와 커버 부재의 틈새를 제2 밀봉 수단으로 밀봉하고 있으므로, 지지부와 커버 부재의 틈새가 작아져서, 제2 밀봉 수단으로 틈새를 밀봉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상기 제1 형태 내지 제3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스풀에 있어서, 제2 밀봉 수단은, 커버 부재에 접촉하는 선단이 날카로워진 립(lip)을 가지는 립 부착 밀봉 수단이다. 이 경우에는, 날카로워진 립의 접촉에 의해 밀봉하고 있으므로, 회전 저항이 작아진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상기 제1 형태 내지 제3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스풀에 있어서, 뒤 플랜지부의 뒷면에는, 제1 마찰부를 수납할 수 있고 후방으로 돌출하는 통 형상의 드래그 수납부가 형성되고, 커버 부재는, 드래그 수납부의 외주면에 나합하고, 제1 밀봉 수단은, 외주면과 커버 부재의 사이에 장착된 O링이다. 이 경우에는, 커버 부재를 통 형상의 드래그 수납부의 외주면에 나합시켜 고정하고 있으므로, 나사 구멍이나 볼트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져서, 커버 부재의 고정 구조가 간소하게 된다. 또한, O링으로 밀봉하고 있으므로, 밀봉 구조도 간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상기 제1 형태 내지 제3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스풀에 있어서, 스풀 본체의 전면(前面)에 줄 권취 몸통부와 스풀 축의 틈새를 밀봉하는 제3 밀봉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스풀의 전면(前面)으로부터의 액체의 침입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1 마찰부가 한층 더 젖기 어려워져서, 드래그력의 변동이 더욱 적어진다.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상기 제1 형태 내지 제3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스풀에 있어서, 커버 부재에 제공되고 드래그 기구의 작동시에 발음(發音)하는 발음 기구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얇은 두께의 것이 좋고 그래서 비교적 진동하기 쉬운 커버 부재에 발음 기구를 제공하였으므로, 드래그 작동시에 명료한 소리를 내기 쉽다.
본 발명의 제9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상기 제1 형태 내지 제3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스풀에 있어서, 제1 마찰부는, 스풀 축에 대해 회전 불가능한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제1 디스크와, 제1 디스크와 교호(交互)로 배치되고 스풀 본체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한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제2 디스크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교호로 배치된 제1 및 제2 디스크의 매수에 의해 용도에 맞는 드래그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상기 제7 형태의 스풀에 있어서, 줄 권취 몸통부의 내부에는 통 형상의 드래그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드래그 기구는 드래그 수납 공간에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수납되고 드래그 조작부에 의해 압압되는 제2 마찰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스풀의 뒷부분에 배치된 제1 마찰부에 더하여 줄 권취 몸통부 내부에도 제2 마찰부가 배치되므로, 더욱더 큰 드래그력을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11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상기 제10 형태의 스풀에 있어서, 제2 마찰부와 드래그 조작부의 사이에 스풀 축으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베어링을 거쳐 줄 권취 몸통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제2 마찰부를 사이에 둔 채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개의 지지부에서 줄 권취 몸통부를 지지하므로, 스풀의 지지 간격을 충분히 떨어 뜨려 놓는 것이 가능하고 스풀이 기울어지기 어려워지고, 드래그 작동시에 딸국질 소리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제12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상기 제11 형태의 스풀에 있어서, 제3 밀봉 수단은, 제2 지지부와 드래그 조작부의 사이에 장착되고 양자의 틈새를 밀봉하는 제3 밀봉 부재와, 제2 지지부와 줄 권취 몸통부의 사이에 장착되고 양자의 틈새를 밀봉하는 제4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제2 지지부에 의해 스풀을 지지해도 스풀 본체 내부로의 액체의 침입를 방지할 수 있고 드래그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상기 제2 형태 또는 제3 형태의 스풀에 있어서, 스커트부는, 커버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통 형상부를 적어도 일부에 포함한다.
이 스피닝 릴의 스풀에서는, 스커트부의 적어도 일부는, 커버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통 형상부이다. 이 커버 부재는, 제1 마찰부를 가리는 것이고, 낚싯줄이 접촉하는 빈도는 줄 권취 몸통부나 뒤 플랜지부에 비해 적기 때문에 내식성 측면에서는 제한이 약간 느슨한 환경하에 있다. 즉 내식성 측면에서의 제한이 느슨한 커버 부재와 스커트부의 통 형상부를 일체로 형성했으므로, 스커트부의 통 형상부의 재질을 내식성보다 장식성을 중시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커트부의 통 형상부를 제외하는 스풀 본체의 재질이나 표면 처리는, 내식성을 중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낚싯줄 접촉 부분의 내식성을 유지하고 스커트부의 장식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4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상기 제13 형태의 스풀에 있어서, 스커트부는, 뒤 플랜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뒤 플랜지부의 외주부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제1 부분과, 커버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1 부분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통 형상부로서의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커버 부재는, 제1 부분의 내주면에 나합하는 것에 의해 스풀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부분의 내주 부분에서 커버 부재가 나합해 스풀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커버 부재의 장착 직경을 크게 할 수가 있고, 커버 부재를 스풀 본체에 높은 조임 토크로 고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15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상기 제13 형태의 스풀에 있어서, 스풀 본체는, 고내식성 알루미늄 합금 또는 고내식성 표면 처리가 가해진 알루미늄 합금이다. 이 경우에는, 고내식성 알루미늄 합금 또는 고내식성 표면 처리를 가한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스풀 본체의 내식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6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상기 제10 형태의 스풀에 있어서, 제2 마찰부는, 스풀 축에 대해 회전 불가능한 복수 개의 제3 디스크 및 제3 디스크와 교호로 배치되고 스풀 본체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한 복수 개의 제4 디스크를 포함하며, 수납 공간에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수납되고 드래그 조작부에 의해 압압된다.
이 스피닝 릴의 스풀에서는, 스풀 본체의 뒤 플랜지의 뒷면에 접촉하고 복수 개의 제1 디스크 및 제2 디스크를 포함하는 제1 마찰부가 배치되고, 줄 권취 몸통부 내의 수납 공간에 복수 개의 제3 디스크 및 제4 디스크를 포함하는 제2 마찰부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두 개의 마찰부에 복수 개의 디스크를 각각 제공했으므로, 각 마찰부의 디스크 매수를 많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제1 마찰부의 디스크의 매수가 제한되어도 제2 마찰부에 의해 충분한 드래그력을 얻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17 형태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상기 제16 형태의 스풀에 있어서, 제1 디스크와 제2 디스크 및 제3 디스크와 제4 디스크와의 사이에 장착된 드래그 디스크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상대 회전하는 두 개의 디스크의 사이에 드래그 디스크가 개재(介在)되므로, 드래그 작동시에 순조롭게 스풀이 회전 하고, 드래그 딸국질 소리가 감소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포함하고 있다. 로터(3)는, 릴 본체(2)의 앞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낚싯줄을 외주면에 권취하는 것이고, 로터(3)의 앞 부분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릴 본체(2)는, 릴 몸체부(2a)와, 릴 몸체부(2a)로부터 비스듬히 상전방(上前方)으로 연장하는 장대 부착 다리부(2b)를 포함하고 있다. 릴 몸체부(2a)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있고, 그 공간내에는, 로터(3)를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켜 낚싯줄을 균일하게 권취하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6)가 제공되어 있다. 릴 몸체부(2a)의 앞 부분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통 형상부(2c)가 제공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핸들(1)이 연결된 핸들축(10)과 함께 회전하는 정면 기어(11)와, 이 정면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포함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앞 부분(12a)은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으며, 너트(13)에 의해서 로터(3)에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그 축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각각 베어링(14a, 14b)을 거쳐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의 앞 부분(12a)에는 소정 길이의 평행한 모따기부(12b)(도 4)가 형성되어 있다. 모따기부(12b)는, 로터(3) 및 단방향 클러치(후술)를 피니언 기어(12)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횡단 캠(traverse cam) 방식의 기구이고, 스풀(4)의 중심부에 드래그 기구(8)를 거쳐 연결된 스풀 축(1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그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 축(15)의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된 나축(21; 螺軸)과, 나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나축(21)의 선단에 고정된 중간 기어(23)를 포함하고 있다. 슬라이더(22)에는 스풀 축(15)의 후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중간 기어(23)는, 도시되지 않은 감속 기구를 거쳐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려 있다.
로터(3)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측방에 서로 대향되도록 제공된 제1 및 제2 로터 암(31, 32)을 포함하고 있다. 원통부(30)와 양로터 암(31, 32)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이고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원통부(30)의 앞 부분에는 전벽(33; 前壁)이 형성되어 있고, 전벽(33)의 중앙부에는 보스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33a)의 중심부에는 모따기부(12b)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는 타원 형상의 관통공(33b)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33b)을 피니언 기어의 앞 부분(12a) 및 스풀 축(15)이 관통하고 있다. 전벽(33) 의 앞 부분에 너트(13)가 배치되어 있고, 너트(13)의 내부에는 스풀 축(1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35)이 배치되어 있다. 이 베어링(35)에 의해 피니언 기어(12)와 스풀 축(15)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풀 축(15)이 휘어도 로터(3)의 회전에 영향을 주기 어려워지고, 로터(3)의 회전이 가벼워진다.
제1 로터 암(31)은, 원통부(30)로부터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하여 전방으로 연장하고 있고, 원통부(30)와의 접속부는 원통부(30)의 둘레 방향으로 퍼지도록 만곡하고 있다. 제1 로터 암(31)의 선단의 외주측에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는,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기 위한 라인 롤러(41)가 장착되어 있다.
제2 로터 암(32)은, 원통부(30)로부터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하여 전방으로 연장하고 있다. 제2 로터 암(32)은, 원통부(30)로부터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하여 전방으로 연장하고 있고, 원통부(30)와의 접속부는 원통부(30)의 둘레 방향으로 퍼지도록 만곡하고 있다. 제2 로터 암(32)의 선단 내주측에는, 제2 베일 지지 부재(42)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라인 롤러(41)와 제2 베일 지지 부재(42)의 사이에는 선재를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시킨 형상의 베일(43)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0, 42)와, 라인 롤러(41) 및 베일(43)에 의해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는 베일 암(44)이 구성된다. 베일 암(44)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줄 안내 자세와 줄 안내 자세로부터 반전한 줄 개방 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원통부(30)의 안쪽에 있어서, 릴 몸체부(2a)의 통 형상부(2c)의 내부에는 로 터(3)의 역전을 상시 금지하기 위한 역전 방지 기구(50)가 배치되어 있다. 역전 방지 기구(5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륜(52)이 유전(遊轉)하는 롤러 형태의 단방향 클러치(51)를 포함하고 있다. 단방향 클러치(51)는, 피니언 기어(12)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된 내륜(52)과, 내륜의 외주측에 틈새를 두고 동심으로 배치된 외륜(53)과, 내륜(52)와 외륜(53)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롤러(54)와 롤러(54)를 압박하여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58)와 스프링 부재(58)를 보지(保持)하는 스프링 보지 부재(55)를 포함하고 있다.
내륜(52)은, 피니언 기어(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내륜 본체(56)와, 내륜 본체(56)를 피니언 기어(12)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57)를 포함하고 있다. 내륜 본체(56)는, 대경부(56a)와 소경부(56b)를 가지는 계단식 통 형상 부재이다. 대경부(56a)에는, 연결 부재(57)를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係止)하기 위한 계지 요부(56c)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 요부(56c)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장방형 공간이다. 대경부(56a)의 외주면은 롤러(54)가 전동(轉動)하는 정밀 가공된 원형의 전동면(56d)이다. 소경부(56b)의 중심부에는, 원형의 장착공(56e)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공(56e)은, 피니언 기어(12)의 모따기부(12b)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장착되고 피니언 기어(12)에 센터링(centering)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연결 부재(57)는, 외주부가 대략 장방형인 부재이고, 중심에 피니언 기어(12)의 모따기부(12b)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는 타원 형상의 관통공(57a)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57)의 외주부는, 대략 장방형이고, 내륜 본체(56)의 계지 요부(56c)에 계합하여 내륜 본체(56)를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한다. 이것에 의해, 내륜 본체(56)는, 피니언 기어(12)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외륜(53)은, 릴 몸체부(2a)의 앞 부분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그 내주면에는, 롤러(54)에 대해서 쐐기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만곡한 캠면(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보지 부재(55)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롤러(54)를 보지하는 스프링 부재(58)를 보지하는 것이다. 스프링 부재(58)는, 롤러(54)를 역전 허용 방향으로 압박하여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로터(3)가 줄을 풀어 내는 방향으로 압박된 상태로부터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의 역전 허용 동작으로의 응답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있다.
단방향 클러치(51)의 전방에 있어서, 통 형상부(2c)에는, 릴 몸체부(2a) 내부로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립 부착 밀봉판(59)이 장착되어 있다. 밀봉판(59)은, 오각형 형상으로 절곡된 발지(拔止) 스프링(60)에 의해 발지되어 있다.
스풀(4)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4)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베어링(63, 64)에 의해 스풀 축(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 본체(7)와, 스풀 본체(7)를 스풀 축(15)의 선단에 장착하는 드래그 기구(8)와, 스풀 본체(7)의 뒷부분을 가리는 커버 부재(9)와, 제1 및 제2 밀봉 수 단으로서의 제1 및 제2 밀봉 부재(61, 62)를 포함하고 있다.
선단으로부터 로터(3)의 전방에 걸쳐 스풀 축(15)의 외주면에는, 드래그 기구(8)를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하기 위한 평행한 모따기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모따기부(15a)의 선단부에는, 드래그 기구(8)의 드래그력을 조정 조작하기 위한 드래그 조작부(70; 후술됨)가 나합하는 수나사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풀 축(15)의 로터(3)의 전방에는, 스풀(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제1 마찰부(71; 후술됨)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제1 지지부(25)가 장착되어 있다. 제1 지지부(25)는, 통 형상의 지지부 본체(26)와, 지지부 본체(26)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함과 동시에 지지부 본체(26)를 스풀 축(15)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게 하는 규제부(27)를 포함하고 있다. 지지부 본체(26)는, 베어링(63)이 장착된 소경의 통 형상의 베어링 장착부(26a)와, 드래그 기구(8)를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하기 위해서 오각 별 형상으로 형성된 대경의 계지부(26b)를 포함하고 있다. 베어링(63)의 외륜의 뒷면은, 도시되지 않는 발지 부재에 의해 발지되어 있다. 지지부 본체(26)는, 스풀 축(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스풀 축(15)에 직경 방향을 따라 나사 고정된 멈춤 나사(28)에 의해서 스풀 축(15)에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도록 저지되어 있다.
규제부(27)는, 지지부 본체(26)에 고정된 세 매의 규제 디스크(78, 79, 80)를 포함하고 있다. 규제 디스크(78)는, 제2 밀봉 부재(62)를 규제 디스크(79)에 협지한다. 규제 디스크(79)는, 규제 디스크(78)보다 직경이 작고, 제2 밀봉 부재(62)가 외주에 장착된다. 규제 디스크(79)는, 중심에 스풀 축(15)의 모따기부(15a)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는 타원 형상의 관통공(79a)을 포함하고 있다. 규제 디스크(80)는 규제 디스크(79)보다 직경이 크고, 중심에 스풀 축(15)의 모따기부(15a)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는 타원 형상의 관통공(80a)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규제 디스크(80)는, 스풀 축(15)의 모따기부(15a)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 축(15)의 모따기부(15a)와 원형 부분과의 단차에 의해 축방향 후방에 이동 불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부 본체(26) 및 제1 마찰부(71)의 스풀 축 방향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러한 세 매의 규제 디스크(78~80)는, 규제 디스크(80)의 후방으로부터 관통하여 지지부 본체(26)의 뒷면에 나사 고정된 다섯 개의 접시 볼트(81)에 의해 지지부 본체(26)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결과, 지지부 본체(26)는, 스풀 축(15)에 대해서 더욱더 강고하게 회전 불가능하게 된다.
스풀 축(15)의 스풀 본체(7)의 내부에는, 스풀(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부(29)가 장착되어 있다. 제2 지지부(29)는, 스풀 축(15)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대략 통 형상의 내측 부재(29a)와, 스풀 본체(7)의 내주부(內周部)에 고정된 대략 통 형상의 외측 부재(29b)를 가지고 있고, 내측 부재(29a)와 외측 부재(29b)의 사이에 베어링(64)이 장착되어 있다. 내측 부재(29a)는, 뒷면에 드래그 기구(8)를 압압하기 위한 플랜지부(29c)를 포함하고 있다.
외측 부재(29b)의 전면(前面) 중간부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통 형상의 밀봉재 받침부(29d)가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드래그 조작부(70)에 장착된 립 부착 제3 밀봉 부재(48)의 선단이 접촉하고 있다. 또한, 외측 부재(29b)와 스풀 본체(7)와의 사이에는 O링으로 구성되는 제4 밀봉 부재(49)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제3 밀봉 부재(48)와 제4 밀봉 부재(49)에 의해 스풀(4)의 전방으로부터 내부로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밀봉 수단이 구성된다. 여기서, 외측 부재(29b)를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밀봉재 받침부(29d)를 전면 중간부에 제공하는 것은, 스풀 본체(7)의 줄 권취 몸통부(7a; 후술됨)의 직경이 변동해도 외측 부재(29b)의 형상이나 유무(有無)에 의해 변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그 직경에 따라 드래그 조작부(70)와 드래그 수납 공간(65; 후술됨)의 틈새가 변동해도 밀봉 위치가 변동하지 않도록 하여 드래그 조작부(70)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줄 권취 몸통부(7a)의 직경이 작아질 경우에는, 밀봉재 받침부가 아니라 줄 권취 몸통부(7a)의 내주면에 동일한 크기의 제3 밀봉 부재(48)의 선단을 직접 접촉시킬 수가 있다.
스풀 본체(7)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을 단조 성형하여 얻어진 대소 2단의 원통형 부재이고,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통 형상의 줄 권취 몸통부(7a)와 줄 권취 몸통부(7a)의 전후에 제공된 대경의 앞/뒤 플랜지부(7b, 7c)와, 뒤 플랜지부(7c)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통 형상의 스커트부(7d)를 포함하고 있다.
줄 권취 몸통부(7a)의 앞 쪽 내부에는, 드래그 기구(8)의 제2 마찰부(72; 후술됨)를 수납하는 통 형상의 드래그 수납 공간(65)이 형성되어 있다. 드래그 수납 공간(65)에는, 드래그 기구(8)를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하는 한 쌍의 계지홈(65a)이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줄 권취 몸통부(7a)의 후측면에는, 환형의 두께 저감부(7f)가 형성되어 있다. 이 두께 저감부(7f)는 스풀(4)의 경량화를 꾀하기 위해 서 형성되어 있다.
앞 플랜지부(7b)는, 줄 권취 몸통부(7a)와 일체로 형성된 내측 플랜지부(66a)와, 내측 플랜지부(66a)의 외주부에 장착된, 경질 세라믹제의 외측 플랜지부(66b)를 포함하고 있다. 외측 플랜지부(66b)는, 스풀(4)로부터 방출되는 낚싯줄과의 접촉에 의한 흠집이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있다. 외측 플랜지부(66b)는, 줄 권취 몸통부(7a)의 앞쪽 내주부에 나사 고정된 플랜지 고정 부재(67)에 의해 내측 플랜지부(66a)에 고정되어 있다.
뒤 플랜지부(7c)는, 앞 플랜지부(7b)보다 직경이 약간 크며 줄 권취 몸통부(7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뒤 플랜지부(7c)의 뒷면에는 스커트부(7d)의 내주측에 간격을 두고 통 형상의 드래그 수납부(7e)가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드래그 수납부(7e)내에는, 드래그 기구(8)의 제1 마찰부(71; 후술됨)가 수납되어 있다. 드래그 수납부(7e)의 외주면에는, 커버 부재(9)를 나사 고정하기 위한 수나사부(6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주면에는, 제1 마찰부(71)를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하기 위한 한 쌍의 계지홈(69)이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계지홈(69)은 스풀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부(7d)는, 뒤 플랜지부(7c)와 일체로 형성되고 뒤 플랜지부(7c)의 외주부로부터 후방으로 통 형상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 연장된 선단은, 스풀(4)이 전진단(前進端)으로 이동했을 때에, 로터(3)의 원통부(30)의 선단과 약간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드래그 기구(8)는, 스풀 본체(7)와 스풀 축(15)의 사이에 장착되고, 스풀(4) 에 드래그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드래그 기구(8)는, 드래그력을 손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스풀 축(15)의 선단에 배치된 드래그 조작부(70)와, 드래그 조작부(70)에 의해 압압되는 제1 및 제2 마찰부(71, 72)를 포함하고 있다.
드래그 조작부(70)는, 드래그 조정시에 발음(發音)하는 드래그 조정 발음 기구(70a)와, 스풀 축(15)의 선단에 형성된 수나사부(15b)에 나합하는 너트(70b)와, 드래그력을 증감하는 코일 스프링(70c)을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 드래그 조작부(70)는, 스풀 축(15)에 대해서 회동하는 것에 의해 너트(70b)를 스풀 축(15)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시킨다. 이 너트(70b)의 이동에 의해, 코일 스프링(70c)을 신축시켜 제1 마찰부(71) 및 제2 마찰부(72)로의 압압력을 변화시켜 드래그력을 조정한다. 드래그 조작부(70)의 뒷부분 외주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밀봉 부재(48)가 장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스풀 본체(7) 내부로 액체가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3 밀봉 부재(48)는, 전방으로 경사한 립(lip)을 가지는 립 부착 환형 탄성체제의 밀봉 부재이고, 스냅 링(48a; snap ring)에 의해 발지되어 있다.
제1 마찰부(71)는, 스풀 축(15)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한 제1 디스크(73)와, 제1 디스크(73)에 대해 압압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풀 본체(7)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한 제2 디스크(74)와, 뒤 플랜지부(7c)의 뒷면에 접촉하여 배치된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의 보호 디스크(75)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1 마찰부(71)는 세 매의 조정 와셔(76)를 거쳐 규제부(27)에 의해 스풀 축방향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제1 마찰부(71)는, 커버 부재(9)에 의해 가려져 있고, 제1 및 제2 밀봉 부재(61, 62)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내부로 액체가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제1 디스크(73)는, 예를 들어 스텐레스 합금제의 부재이고, 제1 지지부(25)의 지지부 본체(26)에 형성된 계지부(26b)에 계지되는 오각 별형상의 계지공(73a)을 중심부에 포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디스크(73)는 스풀 축(15)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고, 스풀 축(15)은 릴 본체(2)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므로 릴 본체(2)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게 된다. 제1 디스크(73)는, 음출(音出) 디스크(82; 후술됨)를 거쳐 규제부(27)에 접촉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제2 디스크(74)는, 예를 들어 그래파이트제의 부재이고, 제1 디스크(73)와 상대 회전하여 드래그력을 발생하는 것이다. 제2 디스크(74)는 계지홈(69)에 계지되는 이부(74a; 耳部)를 외주부에 가지고, 내주부에 제1 지지부(25)가 관통하는 관통공(74b)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디스크(74)는 스풀 본체(7)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다.
보호 디스크(75)는, 비교적 연질인 알루미늄제의 뒤 플랜지부(7c)의 내주측에 경량화를 위해서 두께 저감부(7f)를 제공했을 때에, 드래그 면적을 저감시키지 않고 제2 디스크(74)에 압력이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제공된 부재이다. 보호 디스크(75)는, 드래그 수납부(7e)에 형성된 계지홈(69)에 계지되는 이부(75a)를 외주부에 가지고, 내주부에 제1 지지부(25)가 관통하는 관통공(75b)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보호 디스크(75)는, 스풀 본체(7)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다.
제1 디스크(73)의 뒷면에는, 드래그 작동시에 발음하는 드래그 발음 기구(77)가 배치되어 있다. 드래그 발음 기구(77)는, 제1 디스크(73)와 규제부(27) 의 사이에 배치된 음출 디스크(82)와, 커버 부재(9)에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 부재(83)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두 개의 음출 핀(84)과, 각 음출 핀(84)을 음출 디스크(82)측으로 압박하는 두 개의 코일 스프링(85)을 포함하고 있다. 음출 디스크(82)는, 제1 지지부(25)의 계지부(26b)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스풀 축(15)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다. 음출 디스크(82)의 음출 핀(84)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요부(82a)가 형성되어 있다. 음출 디스크(82)의 중심부에는, 계지부(26b)에 계지되는 오각 별형상의 계지공(82b)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83)는, 커버 부재(9)에 나사에 의해 고정된, 바닥을 가진 통 형상 부재이고, 이 내부에 음출 핀(84)이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드래그 발음 기구(77)에서는, 드래그가 작동하여 스풀(4)이 스풀 축(15)에 대해서 상대 회전하면, 음출 핀(84)이 요부(82a)에 대해서 진퇴를 반복하여 진동함으로써 발음한다.
제2 마찰부(72)는, 스풀 축(15)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한 두 매의 예를 들어 스텐레스 합금제의 제3 디스크(86a, 86b)와, 줄 권취 몸통부(7a)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한 두 매의 제4 디스크(87a, 87b)를 포함하고 있다. 제3 디스크(86a, 86b)와 제4 디스크(87a, 87b)는 교호로 배치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카본 그래파이트제의 세 매의 드래그 디스크(88a∼88c)가 장착되어 있다. 제3 디스크(86a)는, 제2 지지부(29)의 내측 부재(29a)에 형성된 플랜지부(29c)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스풀 축(15)에 형성된 모따기부(15a)에 계지되는 타원 형상의 관통공(86c)이 내주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3 디스크(86b)도 동일한 관통공(86c)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3 디스크(86a, 86b)는 스풀 축(15)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4 디스크(87a, 87b)의 외주부에는, 드래그 수납 공간(65)에 형성된 계지홈(65a)에 계합하는 이부(87c)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4 디스크(87a, 87b)는 스풀(4)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4 디스크(87a)는, 스텐레스 합금제이다. 제4 디스크(87b)는, 예를 들어 카본 그래파이트제이고, 드래그 수납 공간(65)의 벽부에 접촉 가능하고, 스풀 본체(7)를 후방으로 압압한다.
커버 부재(9)는, 드래그 조작부(70)를 스풀 축(15)로부터 이탈시켜 스풀(4)을 스풀 축(15)으로부터 떼어낼 때, 제1 마찰부(71)를 스풀 본체(7)와 함께 착탈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있다. 커버 부재(9)는, 드래그 수납부(7e)의 외주부에 배치되는 제1 원통부(9a)와, 제1 원통부(9a)로부터 안쪽으로 연장하고 제1 마찰부(71)의 후방에 배치되는 원판부(9b)와, 원판부(9b)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제2 원통부(9c)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원통부(9a)의 내주면에는, 드래그 수납부(7e)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68)에 나합하는 암나사부(9d)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9d)의 선단측에는, 드래그 수납부(7e)의 외주부의 사이에 제1 밀봉 부재(61)가 장착되어 있다. 원판부(9b)에는, 가이드 부재(83)가 장착되는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원통부(9c)에는, 규제 디스크(79)에 장착된 제2 밀봉 부재(62)의 선단이 접촉하고 있다. 커버 부재(9)의 외주면과 스커트부(7d)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고, 이 틈새에 로터(3)의 원통부(30)의 선단이 배치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스풀(4)이 후퇴했을 때에, 스풀(4)의 후퇴 위치를 릴 본체(2)측에 접근시킬 수 있고, 릴의 전후 길이를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1 밀봉 부재(61)는 O링으로 구성되어, 커버 부재(9)의 외주부와 드래그 수납부(7e)의 틈새를 밀봉하고, 커버 부재(9)의 외주부로부터 제1 마찰부(71)로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밀봉 부재(62)는, 선단에 후방을 향해 기울어진 립을 가지는 밀봉 부재이다. 제2 밀봉 부재(62)는, 커버 부재(9)의 내주부와 스풀 축(15)의 틈새를 밀봉하고, 커버 부재(9)의 내주부로부터 제1 마찰부(71)로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밀봉 부재(61, 62)에 의해 제1 마찰부(71)가 밀봉되어 있으므로, 제1 마찰부(71)나 제2 마찰부(71)로 액체가 침입하기 어려워지고, 물에 젖어서 드래그력이 변동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스풀의 앞부분도 제3 밀봉 부재(48)나 제4 밀봉 부재(49)에 의해 액체의 침입이 방지되어 있으므로, 스풀(4)의 앞 부분으로부터 제2 마찰부(72)나 제1 마찰부(71)로 액체가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릴의 조작 및 동작]
낚시를 하기 전에 물고기의 크기나 종류에 맞추어 드래그력을 조정한다. 드래그력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낚싯줄을 적당한 길이로 풀어 내고, 낚싯줄의 선단에 대상어에 맞는 추를 장착한다. 그리고 드래그 조작부(70)를 돌려 적당한 드래그력을 설정하여 핸들(1)을 돌리고, 드래그가 작동하는 것을 확인한다. 드래그 조작부(70)를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스풀 축(15)에 나합하는 너트(70b)에 의해 드래그 조작부(70)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코일 스프링(70c)을 거쳐 제2 지지부(29)의 내측 부재(29a)를 압압하며, 이 압압력이 제2 마찰부(72)로 전달되는 것과 동시에, 스풀 본체(7)를 거쳐서 제1 마찰부(71)까지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드래그력이 커진다. 이 때, 드래그 조정 발음 기구(70a)가 경쾌한 클릭음을 발생한다. 여기에서는, 스풀 본체(7)의 뒷부분의 비교적 큰 공간에 제1 마찰부(71)가 배치되었으므로, 줄 권취 몸통부(7a)의 직경을 작게 한 심구형(深溝型) 스풀(4)에 대해서도, 큰 드래그력을 얻을 수가 있다.
캐스팅시에는 베일 암(44)을 줄 개방 자세로 반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는 요동한다. 이 상태에서 낚싯대를 파지하는 손의 집게 손가락에 낚싯줄을 걸면서 낚싯대를 캐스팅한다. 그러면 낚싯줄은 채비의 무게에 의해 힘차게 방출된다. 채비가 착수(着水)한 후 핸들(1)을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터 구동 기구(5)에 의해 로터(3)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로터(3)가 회전하면, 베일 암(44)이 베일 반전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줄 권취 위치에 복귀하고 로터(3)의 역전이 금지되어 있으므로 낚싯줄의 방출이 중지된다.
낚싯줄을 권취할 때에는, 핸들(1)을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그 회전이 정면 기어(11)와 피니언 기어(12)를 거쳐 로터(3)로 전달되고 로터(3)가 회전한다. 로터(3)가 회전하면, 라인 롤러(41)로 안내된 낚싯줄이 스풀(4)에 감긴다. 이 때, 줄 권취 몸통부(7a)의 직경이 앞/뒤 플랜지부(7b, 7c)에 비해 소경인 심구형 스풀(4)에서는, 스풀 전체의 직경을 작게 유지하여 권사량을 많게 할 수가 있다.
채비에 물고기가 걸리면, 드래그 기구(8)가 작동하는 경우가 있다. 드래그 기구(8)가 작동하면, 제1 마찰부(71)의 제1 디스크(73)와 제2 디스크(74) 및 제2 마찰부(72)의 제3 디스크(86a, 86b)와 제4 디스크(87a, 87b)의 사이에 각각 미끄러짐이 생기고, 설정된 드래그력으로 낚싯줄이 계속 풀려 나간다.
낚시를 하고 있을 때나 릴을 세정하고 있을 때, 릴이 물 젖어서 스커트부(7d)와 로터(3)의 원통부(30)의 틈새로부터 액체가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커버 부재(9)의 외주부 및 내주부에 제1 및 제2 밀봉 부재(61, 62)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후방으로부터 액체가 침입하더라도 제1 마찰부(71)의 내부로 액체가 침입하는 경우는 없다.
스풀(4)을 스풀 축(15)으로부터 제거할려고 하는 경우에는, 드래그 조작부(7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드래그 조작부(70)가 스풀 축(15)으로부터 이탈되어, 스풀(4)을 스풀 축(15)으로부터 꺼낼 수가 있다. 이 때, 제1 마찰부(71)는, 뒤 플랜지부(7c)에 장착된 커버 부재(9)에 의해 가려져 있으므로, 베어링(63) 및 스풀 본체(7)와 함께 제1 지지부(25)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제2 마찰부(72)는, 앞 부분이 제2 지지부(29)에 의해 가려져 있으므로, 베어링(64) 및 제2 지지부(29)와 함께 스풀 축(15)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와 같이, 드래그 기구(8)는, 스풀 본체(7)와 함께 일체로 착탈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풀(4)의 구성 부품 중, 제1 지지부(25)와 조정 와셔(76)만이 스풀 축(15)에 남는다.
[제2 실시 형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부재(9)를 뒤 플랜지부(7c)의 외주부보다 내주측에 배치했지만,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풀(104)의 커버 부재(109)를 스커트부(107d)와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커버 부재(109)와 스커트부(107d)를 일체로 형성하면, 젖은 낚싯줄이 상시 접촉하고, 강도가 필요한 스풀 본체(7)에 내식성이 높은 표면 처리를 가한 강도 지향 재료를 이용하고, 강도적인 요청은 비교적 낮지만 낚싯줄이 감기지 않고 표면에 노출되는 스커트부(107d)에는 장식성이 있는 표면 처리나 광휘성(光輝性)이 있는 재료를 이용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내식성을 유지하여 장식성이 높은 고급감이 있는 스풀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스풀(4)의 뒤 플랜지부(107c), 스커트부(107d), 커버 부재(109) 및 드래그 기구(108)의 제1 마찰부(171) 등의 구성상의 특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스커트부(107d)는, 뒤 플랜지부(107c)와 일체로 형성되고 뒤 플랜지부(107c)의 외주부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제1 부분(107g)과, 커버 부재(109)로부터 제1 부분(107g)와 동일 면상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제2 부분(107h)을 포함하고 있다. 스커트부(107d)의 제1 부분(107g)의 내주부에는, 커버 부재(109)에 나합하는 암나사부(107i)가 형성되어 있다. 줄 권취 몸통부와 일체로 형성된 스커트부(107d)는, 예를 들어 강도 및 내식성을 고려하여 표면 처리된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제품이다.
커버 부재(109)는, 제1 부분(107g)의 암 나사부(107i)에 나합하는 수나사부(109a)가 형성된 제1 원통부(109b)와, 제1 원통부(109b)의 내주부에서 안쪽으로 연장하는 제1 원판부(109c)와, 제1 원판부(109c)의 내주부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제2 원통부(109d)와, 제2 원통부(109d)의 후단부에서 안쪽으로 연장하는 제2 원판부(109e)와, 제2 원판부(109e)의 내주부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제3 원통 부(109f)를 포함하고 있다. 커버 부재(109)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단조품이고, 경량이며 고장식성을 가진다. 제1 원통부(109b)는, 스커트부(107d)의 제1 부분(107g)에 연속하는 제2 부분(107h)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원통부(109b)는, 제2 부분(107h)에 대해서 제1 부분(107g)의 대략 두께만큼 소경으로 되어 있다. 제1 원통부(109b)의 전방에 있어서 스커트부(107d)의 내주면에는, 한 쌍의 제2 계지홈(169b)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계지홈(169b)에는, 제1 마찰부(171)의 제2 디스크(174b)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원판부(109c)는, 제1 원통부(109b)의 선단보다 약간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원판부(109c)의 전방에는, 뒤 플랜지부(107c)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원통부(109d)는, 로터(3)의 원통부(30)의 선단의 내주측에 배치 가능하다. 제2 원통부(109d)의 선단 내주부에는, 한 쌍의 제1 계지홈(169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계지홈(169a)에는, 제1 마찰부(171)의 제2 디스크(174a)가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어 있다. 제2 원판부(109e)에는, 드래그 발음 기구(77)가 장착되어 있다. 제3 원통부(109f)는 규제부(27)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마찰부(171)는, 두 매의 제1 디스크(173a, 173b)와, 제1 디스크(173a, 173b)와 교호로 배치된 두 매의 제2 디스크(174a, 174b)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디스크 중 제2 디스크(174b) 이외의 디스크는, 예를 들어 함께 스텐레스 합금제이다. 또한, 제2 디스크(174b)는, 예를 들어 카본 그래파이트제이다. 제1 디스크(173a, 173b)는, 제1 지지부(25)의 지지부 본체(26)에 형성된 계지부(26b)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어 있다. 제1 디스크(173b)는, 제1 디스크(173a)보다 직경이 크며 제1 원판부(109c)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디스크(173a)와 제2 디스크(174a)의 사이 및 제2 디스크(174a)와 제1 디스크(173b)의 사이에는, 각각 카본 그래파이트제의 드래그 디스크(190)가 개재되어 있다. 제2 디스크(174a, 174b)는, 각각 제1 및 제2 계지홈(169a, 169b)에 계지되는 이부(174c)를 가지고 있고, 커버 부재(109)와 스풀 본체(107)에 각각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어 있다.
O링으로 구성되는 제1 밀봉 부재(161)는, 스커트부(107d)의 제1 부분(107g)의 선단 내주부와 커버 부재(109)의 제1 원통부(109b)의 외주면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풀(104)에서도, 커버 부재(109)와 스풀 본체(107) 및 제1 지지부(25)와의 틈새를 밀봉할 수 있으므로, 스풀 후방으로부터 제1 마찰부(171)로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식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커버 부재(109)와 스커트부(107d)의 제2 부분(107h)을 일체로 형성했으므로, 스커트부(107d)의 제2 부분(107h)의 재질을 장식성을 중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스커트부(107d)의 제2 부분(107h) 이외의 스풀 본체(107)의 재질은, 강도 및 내식성을 중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풀(104)의 낚싯줄 접촉 부분의 내식성을 유지하여 스커트부(107d)의 장식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마찰부(171)와 제2 마찰부(172)를 각각 두 매의 제1 디스크 및 제2 디스크로 구성했지만, 어느 한쪽을 한 매의 제1 디스크 및 제2 디스크로 구성해도 좋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구성상의 특징만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스풀(204)은, 제1 및 제2 실시 형태보다 세경(細徑)의 줄 권취 몸통부(207a)를 가지는 스풀 본체(207)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제2 마찰부(1272)의 수납 공간은 좁아져 있다. 또한, 앞 플랜지부(207b)의 외측 플랜지부(266b)는, 안쪽 플랜지부(266a)에 비해 면적이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랜지 고정 부재(267)는, 직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이한 두 곳에서 외측 플랜지부(266b)를 압압하고 있다. 또한, 플랜지 고정 부재(267)는, 줄 권취 몸통부(207a)의 전단 외주면에 나합하고 있다.
제1 지지부(225)는, 스풀 축(15)에 멈춤 나사(28)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브림부(227; brim)를 가지는 통 형상의 지지부 본체(226)를 포함하고 있다. 브림부(227)에는, O링으로 구성되는 제2 밀봉 부재(262)가 장착되어 있다. 제2 지지부(229)는, 스풀 축(15)에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내측 부재(229a)만을 포함하고 있다. 베어링(64)은, 내륜이 내측 부재(229a)에 장착되고 외륜은 줄 권취 몸통부(207a)에 장착되어 있다.
드래그 조작부(270)에 장착된 제3 밀봉 부재(248)는, 줄 권취 몸통부(207a)의 내주면에 직접 접촉하고 있다. 이 드래그 조작부(270)는,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구조이어도 좋고, 드래그 조작부(270) 및 제3 밀봉 부재(248)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드래그 기구(208)의 제1 마찰부(271)는, 제1 디스크(273)와 제2 디스크(274) 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디스크(273)는, 제1 지지부(225)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디스크(274)는 스풀 본체(207)에 형성된 한 쌍의 계지홈(269)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어 있다.
제2 마찰부(272)는, 직경은 다르지만 구조적으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두 매의 제3 디스크와 제4 디스크를 포함하고 있다.
커버 부재(209)는, 스커트부(207d)의 제1 부분(207g)의 암나사부(207i)에 나합하는 수나사부(209a)가 형성된 제1 원통부(209b)와, 제1 원통부(209b)의 내주부에서 안쪽으로 연장하는 원판부(209c)와, 원판부(209c)의 내주부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제2 원통부(209d)를 포함하고 있다. 커버 부재(209)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팅 6종이고, 경량으로 고장식성을 가지는 알루미늄 합금이다. 이 소재 위에 AA15 정도의 양극 산화 처리를 가하여 내식 피막을 형성하고 있다. 제1 원통부(209b)는, 스커트부(207d)의 제1 부분(207g)에 이어지는 제2 부분(207h)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원통부(209b)는, 제2 부분(207h)에 대해서 제1 부분(207g)의 대략 두께만큼 소경으로 되어 있다. 제1 원통부(209b)의 전방에 있어서, 스커트부(207d)의 내주면에는, 한 쌍의 계지홈(269)이 형성되어 있다. 계지홈(269)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마찰부(271)의 제2 디스크(274)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원판부(209c)는, 제1 원통부(209b)의 선단보다 약간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원판부(209c)의 전방에는, 뒤 플랜지부(207c)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원통부(209d)는, 브림부(227)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원통부(209d) 와 브림부(227)의 사이에 제2 밀봉 부재(262)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풀(204)에서도, 내식성 측면에서의 제한이 약하고 강도도 그다지 필요하지 않는 커버 부재(209)와 스커트부(207d)의 제2 부분(207h)을 일체로 형성했으므로, 스커트부(207d)의 제2 부분(207h)의 재질을 내식성이 아니라 장식성을 중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스커트부(207d)의 제2 부분(207h) 이외의 스풀 본체(207)의 재질은, 내식성이나 강도를 중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풀(204)의 낚싯줄 접촉 부분의 내식성을 유지하여 스커트부(207d)의 장식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제4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마찰부(171)의 제1 디스크(173a, 173b) 및 제2 디스크(174a, 174b)를 직경이 다른 원판 부재로 했지만,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직경의 원판 부재로 해도 좋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구성상의 특징만 설명한다.
도 10 및 11에 있어서, 제1 마찰부(371)는, 스풀 축(15)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한 두 매의 제1 디스크(373a, 373b)와, 제1 디스크(373a, 373b)에 대해 압압 가능하게 교호로 배치되고 스풀 본체(7)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한 제2 디스크(374a, 374b)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1 마찰부(371)는, 세 매의 조정 와셔(76)를 거쳐 규제부(27)에 의해 스풀 축 방향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제1 디스크(373a)와 제2 디스크(374a)의 사이 및 제2 디스크(374a)와 제1 디스크(374b)의 사이에는, 예를 들어 카본 그래파이트제의 드래그 디스크(390)가 장착되어 있 다. 제1 마찰부(371)는, 커버 부재(309)에 의해 가려져 있고, 제1 및 제2 밀봉 부재(61, 62)에 의해 후방에서 내부로 액체가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제1 디스크(373a, 373b)는, 예를 들어 스텐레스 합금제의 부재이고, 제1 지지부(25)의 지지부 본체(26)에 형성된 계지부(26b)에 계지되는 오각 별형상의 계지공(373c)을 중심부에 포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디스크(373a, 373b)는 스풀 축(15)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고, 스풀 축(15)은 릴 본체(2)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기 때문에, 릴 본체(2)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게 된다. 제1 디스크(373a)는, 드래그 발음 기구(77)의 음출 디스크(82)를 거쳐 규제부(27)에 접촉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제2 디스크(374a)는, 예를 들어 스텐레스 합금제의 부재이고, 제2 디스크(374b)는, 예를 들어 카본 그래파이트제의 제2 디스크(374b)와 대략 직경이 동일한 원판 부재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 디스크(374a, 374)는, 제1 디스크(373a, 373b)와 상대 회전하여 드래그력을 발생하는 것이다. 제2 디스크(374a, 374b)는 계지홈(369)에 계지되는 이부(374c)를 외주부에 가지고, 내주부에 제1 지지부(25)가 관통하는 관통공(374d)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디스크(374a, 374b)는 스풀 본체(7)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다.
제2 마찰부(72)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두 매의 제3 디스크(86a, 86b)와 제4 디스크(87a, 87b)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두 개의 마찰부(371, 72)에 복수 개의 디스크(373a, 373b, 374a, 374b 및 86a, 86b, 87a, 87b)를 각각 제공했으므로, 각 마찰부(371, 72)의 디스크 매수를 많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제1 마찰부(371)의 디스크의 매수가 제한되어도 제2 마찰부(72)에 의해 충분한 드래그력을 얻기 쉬워진다.
[다른 실시 형태]
(a) 상기 네 개의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의 줄 권취 몸통부내에 제2 마찰부를 제공했지만, 제2 마찰부를 제공하지 않고 줄 권취 몸통부의 직경을 작게 해도 좋다. 이 경우, 드래그 조작부를 줄 권취 몸통부의 전단면에 접촉시키고 스풀 본체를 압압해도 좋고, 또한, 스풀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거쳐 스풀 본체를 압압해도 좋다.
(b)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밀봉 부재로서 O링을, 제2 밀봉 부재로서 립 부착 밀봉 부재를 예시했지만, 밀봉 부재의 종류는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고, 틈새를 밀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좋다. 예를 들어, 밀봉 부재로서는, 홈에서 구성된 래버린스(labyrinth) 밀봉이나 자성 유체 등을 이용한 유체 밀봉 등도 포함된다.
(c)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지지부를 제2 마찰부의 전방에 배치했지만, 후방에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 제3 밀봉 수단을 드래그 조작부에 장착하고 제2 마찰부의 전방을 가리도록 드래그 수납부의 내주면에 접촉시키면, 스풀 전방으로부터 제2 마찰부로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 상기 네 개의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 전체를 금속제로 했으나 스풀 본체를 내식성을 고려하여 합성 수지제로 하고, 커버 부재를 포함한 스커트부를 장식성을 고려해 스텐레스 합금제로 해도 좋다.
(e)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재질이나 표면 처리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스풀 본체는 내식성을 고려한 재질이나 표면 처리이면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스커트부도 장식성을 고려한 재질이나 표면 처리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마찰부를 후방으로부터 커버 부재로 가리는 것과 동시에, 커버 부재와 뒤 플랜지부 및 스풀 축과의 틈새를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하고 있으므로, 스풀과 로터와의 틈새로부터 액체가 침입해도 드래그 기구로 액체가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제1 마찰부가 젖기 어려워져서, 드래그력의 변동을 억제할 수가 있다.

Claims (17)

  1.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스풀 축에 장착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 있어서,
    상기 스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통 형상의 줄 권취 몸통부와, 상기 줄 권취 몸통부의 전후에 각각 제공되고 상기 줄 권취 몸통부보다 직경이 큰 앞 및 뒤 플랜지부를 가지는 스풀 본체와,
    상기 줄 권취 몸통부를 압압하도록 상기 스풀 축의 선단에 나합(螺合)하는 드래그 조작부 및 상기 뒤 플랜지부의 뒷면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스풀 축에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배치된 제1 마찰부를 가지는 드래그 기구와,
    상기 제1 마찰부를 후방으로부터 가리도록 상기 스풀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제공된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스풀 본체의 사이에 장착되고 양자의 틈새를 밀봉하는 제1 밀봉 수단과,
    상기 스풀 축과 상기 커버 부재의 사이에 장착되고 양자의 틈새를 밀봉하는 제2 밀봉 수단을 포함하는 스피닝 릴의 스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본체는, 상기 뒤 플랜지부의 외주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하는 통 형상의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스피닝 릴의 스풀.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와 상기 커버 부재의 외주부의 사이에 상기 줄 권취 몸통부에 낚싯줄을 감는 로터의 원통부의 선단이 배치 가능한, 스피닝 릴의 스풀.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축에 회전 불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며 베어링을 거쳐 상기 줄 권취 몸통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밀봉 수단은, 상기 제1 지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커버 부재와의 틈새를 밀봉하는, 스피닝 릴의 스풀.
  5.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 수단은, 상기 커버 부재에 접촉하는 선단이 날카로워진 립(lip)을 가지는 립 부착 밀봉 부재인, 스피닝 릴의 스풀.
  6.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뒤 플랜지부의 뒷면에는, 상기 제1 마찰부를 수납 가능하며 후방으로 돌출하는 통 형상의 드래그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드래그 수납부의 외주면에 나합하며,
    상기 제1 밀봉 수단은, 상기 외주면과 커버 부재와의 사이에 장착된 O 링인, 스피닝 릴의 스풀.
  7.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본체의 전면(前面)에서 상기 줄 권취 몸통부와 스풀 축의 틈새를 밀봉하는 제3 밀봉 수단을 더 포함하는, 스피닝 릴의 스풀.
  8.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드래그 기구의 작동시에 발음(發音)하는 발음 기구를 더 포함하는, 스피닝 릴의 스풀.
  9.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부는, 상기 스풀 축에 대해 회전 불가능한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제1 디스크와, 상기 제1 디스크와 교호로 배치되고,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한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제2 디스크를 포함하는, 스피닝 릴의 스풀.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줄 권취 몸통부의 내부에는 통 형상의 드래그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드래그 기구는, 상기 드래그 수납 공간에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수납되고 상기 드래그 조작부에 의해 압압되는 제2 마찰부를 포함하는, 스피닝 릴의 스풀.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찰부와 상기 드래그 조작부의 사이에 상기 스 풀 축으로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베어링을 거쳐 상기 줄 권취 몸통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스피닝 릴의 스풀.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밀봉 수단은, 상기 제2 지지부와 상기 드래그 조작부의 사이에 장착되고 양자의 틈새를 밀봉하는 제3 밀봉 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와 상기 줄 권취 몸통부와의 사이에 장착되고 양자의 틈새를 밀봉하는 제4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스피닝 릴의 스풀.
  13.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커버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통 형상부를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는, 스피닝 릴의 스풀.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뒤 플랜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뒤 플랜지부의 외주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커버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상기 통 형상부로서의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부분의 내주면에 나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스풀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본체는, 고내식성 알루미늄 합금 또는 고내식성 표면 처리가 가해진 알루미늄 합금인, 스피닝 릴의 스풀.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찰부는, 상기 스풀 축에 대해 회전 불가능한 복수 개의 제3 디스크 및 상기 제3 디스크와 교호로 배치되고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한 복수 개의 제4 디스크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 공간에 축방향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수납되고 상기 드래그 조작부에 의해 압압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크와 제2 디스크 및 상기 제3 디스크와 제4 디스크와의 사이에 장착된 드래그 디스크를 더 포함하는, 스피닝 릴의 스풀.
KR1020020027625A 2001-05-18 2002-05-18 스피닝 릴의 스풀 KR100829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48817 2001-05-18
JPJP-P-2001-00148816 2001-05-18
JP2001148818A JP4772982B2 (ja) 2001-05-18 2001-05-18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1148817A JP4625591B2 (ja) 2001-05-18 2001-05-18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1148816A JP4851658B2 (ja) 2001-05-18 2001-05-18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JP-P-2001-00148818 2001-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167A KR20020089167A (ko) 2002-11-29
KR100829313B1 true KR100829313B1 (ko) 2008-05-13

Family

ID=27346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625A KR100829313B1 (ko) 2001-05-18 2002-05-18 스피닝 릴의 스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98819B2 (ko)
EP (1) EP1269838B1 (ko)
KR (1) KR100829313B1 (ko)
CN (1) CN1221170C (ko)
AT (1) ATE383766T1 (ko)
DE (1) DE60224612T2 (ko)
MY (1) MY122889A (ko)
SG (1) SG102677A1 (ko)
TW (1) TW5347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1097A (ja) * 2002-08-27 2004-03-1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JP2004141103A (ja) * 2002-10-25 2004-05-20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JP3981325B2 (ja) * 2002-12-06 2007-09-2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TWI315185B (en) * 2003-05-15 2009-10-01 Shimano Kk Drag adjustment knob for a spinning reel
US6874718B1 (en) * 2003-09-16 2005-04-05 Liang-Jen Chang Fishing spinning reel
GB0409148D0 (en) * 2004-04-23 2004-05-26 Fox Int Group Ltd Fishing reel
US7232087B2 (en) * 2005-04-15 2007-06-19 Shimano Inc. Spinning reel drag mechanism
SG127795A1 (en) * 2005-05-31 2006-12-29 Shimano Kk Spinning reel
US20090032631A1 (en) * 2006-02-09 2009-02-05 Koelewyn Robert W Spinning Reel
US8534583B2 (en) * 2006-08-04 2013-09-17 Accurate Fishing Products Drag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US7344099B1 (en) * 2006-11-14 2008-03-18 Pure Fishing, Inc. Drag system for a spinning reel
US7401748B2 (en) * 2006-12-19 2008-07-22 Shimano Inc. Spool assembly for spinning reel
JP4863928B2 (ja) * 2007-05-21 2012-01-2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4884343B2 (ja) * 2007-09-14 2012-02-2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5205121B2 (ja) * 2008-04-30 2013-06-0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5746462B2 (ja) * 2009-08-20 2015-07-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連結構造
JP4886066B2 (ja) 2010-01-19 2012-02-2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5349348B2 (ja) * 2010-01-22 2013-11-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US8651409B2 (en) * 2012-07-11 2014-02-18 Shih-Yuan Yeh Brake-adjusting assembly for a fishing reel
JP6145606B2 (ja) * 2012-12-20 2017-06-14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本体、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CN107018965A (zh) * 2016-02-02 2017-08-08 慈溪市锐进渔具有限公司 一种一体式渔线轮弯座的生产方法
JP6979785B2 (ja) * 2017-04-26 2021-12-1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968685B2 (ja) * 2017-12-20 2021-11-17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及び魚釣用リール
JP7166095B2 (ja) 2018-07-19 2022-11-07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
WO2020257651A1 (en) 2019-06-21 2020-12-24 Biz Outdoors, Inc. Left handed fishing reel
KR102530555B1 (ko) * 2020-12-07 2023-05-23 주식회사 주호레포츠 유체 저항을 이용한 낚시릴의 드랙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266U (ja) * 1981-08-06 1983-02-09 リョービ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の防塵・防水装置
KR900007309Y1 (ko) * 1987-11-17 1990-08-13 김구성 전자오락기의 코인 계수기
JPH11196729A (ja) * 1998-01-07 1999-07-27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機構
JP2000166435A (ja) * 1998-12-04 2000-06-20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0253780A (ja) * 1999-03-10 2000-09-19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0279066A (ja) * 1999-03-31 2000-10-10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JP2001103879A (ja) * 1999-10-13 2001-04-17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1148973A (ja) * 1999-11-26 2001-06-05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7602A (en) * 1990-03-16 1991-04-16 Abu Garcia Produktion Ab Click mechanism in a fishing reel
JPH0430866U (ko) * 1990-07-04 1992-03-12
JP2570445Y2 (ja) * 1993-04-07 1998-05-0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装置
JP2604666Y2 (ja) * 1993-12-17 2000-05-2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5603465A (en) * 1995-07-27 1997-02-18 Abu Ab Fishing reel drag with adjusting knob behind the spool
US5988547A (en) * 1997-11-26 1999-11-23 Koelewyn; Robert W. Adjustable drag system for fishing spool with clutch members between spool-supporting bearing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266U (ja) * 1981-08-06 1983-02-09 リョービ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の防塵・防水装置
KR900007309Y1 (ko) * 1987-11-17 1990-08-13 김구성 전자오락기의 코인 계수기
JPH11196729A (ja) * 1998-01-07 1999-07-27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機構
JP2000166435A (ja) * 1998-12-04 2000-06-20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0253780A (ja) * 1999-03-10 2000-09-19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0279066A (ja) * 1999-03-31 2000-10-10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JP2001103879A (ja) * 1999-10-13 2001-04-17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1148973A (ja) * 1999-11-26 2001-06-05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02677A1 (en) 2004-03-26
TW534795B (en) 2003-06-01
ATE383766T1 (de) 2008-02-15
US20020170997A1 (en) 2002-11-21
EP1269838B1 (en) 2008-01-16
KR20020089167A (ko) 2002-11-29
DE60224612D1 (de) 2008-03-06
MY122889A (en) 2006-05-31
DE60224612T2 (de) 2009-01-08
CN1386411A (zh) 2002-12-25
EP1269838A2 (en) 2003-01-02
US6598819B2 (en) 2003-07-29
EP1269838A8 (en) 2003-04-02
EP1269838A3 (en) 2004-11-03
CN1221170C (zh)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313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TWI410212B (zh)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reel for fishing
KR100551691B1 (ko) 스피닝 릴용 마스터기어
US4742974A (en) Drag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KR101265999B1 (ko)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
KR100788101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KR20090066208A (ko)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및 핸들 조립체
US4196867A (en) Crank shaft device for fishing reel
JP3585373B2 (ja) 部品組立体
US5607114A (en) Line spool assembly consisting of two sleeve members and intended for an open-face fishing reel
US6045077A (en) Fishing reel with rear drag and interchangeable line reserve
JP2004275193A (ja) 部品組立体
JP200621784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JP462559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US4216921A (en) Fishing reel spool locking device
JP402248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477298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KR20040038681A (ko) 스피닝 릴의 로터
JP2553310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US4266739A (en) Clip for fishing reel
JP485165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3892708B2 (ja) 釣り用リールの発音装置
US4189108A (en) Bail retaining washer for fishing reel
JP442748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機構
KR101403927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