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466B1 - 틸트 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틸트 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466B1
KR100753466B1 KR1020060028189A KR20060028189A KR100753466B1 KR 100753466 B1 KR100753466 B1 KR 100753466B1 KR 1020060028189 A KR1020060028189 A KR 1020060028189A KR 20060028189 A KR20060028189 A KR 20060028189A KR 100753466 B1 KR100753466 B1 KR 100753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ody
guide
tilt
display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6731A (ko
Inventor
유즈루 스기우라
유키오 시미즈
테츠오 사노
쇼고 다나카
Original Assignee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99747A external-priority patent/JP42467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30750A external-priority patent/JP3909774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6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3/00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akes combining more than one of the types of groups F16D49/00 - F16D61/00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0Indicating arrangements; Warn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60R2011/0087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around two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9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vering after user, e.g. boxes, shutt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부를 안정적으로 틸트 동작시키는 것, 또는 가동부가 소기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틸트 장치, 이 틸트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틸트 장치(10)에 의하면, 제1 및 제2 틸트 동작은 기준 위치로부터 어느 한쪽 측부를 다른 쪽 측부에 대하여 각(角) 변위시키기 때문에, 제1 패널 홀더(21)가 장치 본체(14)에 대하여 제1 및 제2 틸트 동작을 제외한 나머지 동작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기존의 기술과 같이 제1 및 제2 틸트 동작시키는 경우, 제1 섀시(11)가 장치 본체(14)에 대하여, 예컨대 전방(X1)을 따라 변위하여 장치 본체(14)에 대하여 돌출하는 등의 원하지 않는 변위를 본 발명에서는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틸트 장치 및 전자기기{TIL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틸트 장치를 간략히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2는 틸트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섀시가 제2 틸트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제1 섀시가 제2 틸트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를 간략히 도시하는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를 간략히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6은 제1 섀시를 배면에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제1 섀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8은 제1 섀시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9는 제1 섀시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10은 제1 섀시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11은 제1 섀시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12는 제1 섀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제1 패널 홀더를 배면에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제1 패널 홀더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5는 제1 패널 홀더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16은 제1 패널 홀더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17은 제1 패널 홀더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18은 제1 패널 홀더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9는 제1 패널 홀더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20은 제2 패널 홀더를 배면에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제2 패널 홀더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2는 제2 패널 홀더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23은 제2 패널 홀더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24는 제2 패널 홀더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25는 제2 패널 홀더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6은 제2 패널 홀더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27은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8은 커버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9는 커버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30은 커버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31은 커버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32는 커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3은 제2 섀시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34는 제2 섀시 및 구동 기구체(20)를 간략히 도시하는 평면도.
도 35는 하부 케이스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6은 하부 케이스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37은 하부 케이스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38은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9는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0은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롤러 핀(44)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면도.
도 41은 구동 기구체를 간략히 도시하는 평면도.
도 42는 구동 기구체를 간략히 도시하는 정면도.
도 43은 유닛을 간략히 도시하는 평면도.
도 44는 유닛을 간략히 도시하는 정면도.
도 45는 서브 랙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6은 서브 랙을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47은 서브 랙을 구성하는 인입 레버(74)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8은 인입 레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9는 링크 가이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0은 링크 가이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51은 링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52는 링크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53은 랙 홀더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4는 랙 홀더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55는 섹터 기어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56은 섹터 기어를 도 55에 도시된 단면선 S55-S55를 따라 절단하여 본 단면도.
도 57은 푸시 레버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58은 푸시 레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9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0은 사이드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61은 기어 베이스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2는 기어 베이스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63은 커버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4는 커버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5는 틸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66은 틸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7은 틸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롤러 핀이 인입 레버에 접촉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8은 틸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롤러 핀이 조작 시작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9는 틸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슬라이더가 수축 위치에 배치되고, 푸시 레버가 돌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0은 틸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슬라이더가 수축 위치에 배치되고, 푸시 레버가 돌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71은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2는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의 패널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되는 조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3a 내지 도 73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를 간략히 도시하는 측면도.
도 74는 제2 종래 기술의 차량 탑재용 표시 마운트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75a 및 도 75b는 차량 탑재용 표시 마운트 장치의 표시부(1)가 틸트되어 있는 2가지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틸트 장치를 개략 도시하는 사시도.
도 77은 틸트 장치를 도 76에 도시된 단면선 A-A를 따라 절단하여 본 단면도.
도 78은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9는 디스플레이를 폭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80은 수납 케이스를 도 76에 도시된 단면선 A-A를 따라 절단하여 본 단면도.
도 81은 제1 슬라이드 부재를 두께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82는 제2 슬라이드 부재를 두께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83은 베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4는 가이드 홈부, 제1 피결합부, 제2 피결합부, 제3 피결합부 및 제4 피결합부와 가이드부가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85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와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영역(X2)을 확대하여 화살 부호(Y)의 반대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86은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와 인장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영역(X3)을 확대하여 화살 부호(Y)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87은 제1 피결합부와 제2 피결합부를 포함하는 영역(X1)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88a 및 도 88b는 디스플레이의 각 상태를 도 76에 도시된 단면선 B-B를 따라 절단하여 본 단면도.
도 88c 및 도 88d는 디스플레이의 각 상태를 도 76에 도시된 단면선 B-B를 따라 절단하여 본 단면도.
도 89a 및 도 89b는 디스플레이의 각 상태를 도 76에 도시된 단면선 B-B를 따라 절단하여 본 단면도.
도 89c 및 도 89d는 디스플레이의 각 상태를 도 76에 도시된 단면선 B-B를 따라 절단하여 본 단면도.
도 90은 제1 종래 기술의 전자기기 구동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본 발명은, 전자기기 본체에 설치되는 가동부, 예컨대 표시부 및 조작부 등을 틸트 동작시키는 틸트 장치 및 틸트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회전」은 360 °미만의 각(角) 변위와 360 °이상의 회전을 포함한다.
전자기기를 틸팅(Tilting)시키는 틸트 기구가 실용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도 90은 제1 종래 기술의 전자기기 구동 기구(301)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전자기기 구동 기구(301)는 틸트 기구로서, 한 쌍의 지지 부재(302)와 전자기기(303)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구동 장치(304)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302)를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전자기기(303)를 소정 위치로부터 한 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예컨대, 특개평10-51712호 공보(제4-6 페이지, 도 1)참조].
제1 종래 기술의 전자기기 구동 기구(301)는 전자기기(303)를 한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구성되고, 전자기기(303)를 틸팅함으로써, 전자기기(303)의 기능성을 향상시킨다. 전자기기 구동 기구(301)는 한 방향으로만 전자기기(303)를 틸팅시킬 수 있기 때문에, 틸팅 가능한 범위가 작다. 이 때문에, 전자기기(303)가 소기 기능을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전자기기 구동 기구(301)는 차량 탑재용 디스플레이의 틸트 기구에 적용된는 경우, 전자기기(303)인 디스플레이를 이용자의 시점(視點)에 대응시키기 위해, 전자기기 구동 기구(301)를 전방 상승 경사형으로 경사지게 하여 배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배치하면, 전자기기(303)에서 태양광의 반사와 하늘 등의 경치의 비침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자기기(303)를 틸팅시키더라도, 대부분의 경우, 반사광 및 비침 현상이 악화되어 전자기기(303)에 표시되는 화상의 시각적 인식성이 좋지 않다.
또한, 전자기기 구동 기구(301)에는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k: 약칭 CD) 및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 약칭: DVD) 등의 기록 매체를 재생 가능한 재생 장치가 탑재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재생 장치에 기록 매체를 출입시키는 경우, 전자기기(303)를 틸팅시켜 재생 장치의 기록 매체 삽입 배출구(도시 생략)를 노출시키고 기록 매체를 출입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기록 매체를 출입시키는 경우, 전자기기(303)가 한 방향으로만 틸팅하기 때문에, 이용자의 시점에 있어서는 전자기기(303)에 의해 시계(視界)가 차단되고, 삽입 배출구 등을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기록 매체의 출입이 어려워진다. 다시 말하면, 다른 전자기기의 조작성이 악화된다. 이와 같이 소정 위치로부터 한 방향으로만 틸팅 가능한 경우, 전자기기(303)의 소기 기능을 충족시킬 수 없다.
또한, 차량 탑재 단말 장치 등의 표시부를 원하는 각도로 틸트 동작시키는 기술이 다양하게 실용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도 74는 제2 종래 기술의 차량 탑재용 표시 마운트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2 종래 기술의 차량 탑재용 표시 마운트 장치는 섀시(2)와, 표시부(1)를 아래쪽에서부터 지지하는 지지판(3)과, 섀시(2)의 좌우 사이드 프레임(4)과, 표시부(1)를 사이드 프레임(4)에 소정의 각도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판(5)으로 이루어진다. 지지판(3)은 그 일단부가 섀시(2)에 대하여 각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이드 프레임(4)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워 맞춤 홈(9)이 형성된다.
유지판(5)은 사이드 프레임(4)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미끄럼 이동면을 갖고, 미끄럼 이동면의 상부에는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부착 구멍(8a)이 배치되며, 미끄럼 이동면의 하부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끼워 맞춤 홈(9)에 끼워 맞춰지는 제1 핀(7)과, 부착 구멍(8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끼워 맞춤 홈(9)에 끼워 맞춰지는 제2 핀(8)이 마련된다.
도 75a 및 도 75b는 차량 탑재용 표시 마운트 장치의 표시부(1)가 틸트되어 있는 2가지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부착 구멍(8a)에 부착하는 제2 핀(8)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제1 핀(7)이 끼워 맞춤 홈(9)으로 안내되고, 표시부(1)가 지지판(3)의 일단부 주위로 각 변위되어 틸트 동작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7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에 근접한 부착 구멍(8a)에 제2 핀(8)을 부착하면 표시부(1)를 상향으로 틸트 동작시킬 수 있고, 도 7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로부터 이격된 부착 구멍(8a)에 제2 핀(8)을 부착하면 표시부를 하향으로 틸트 동작시킬 수 있다(예컨대, 특허 공개 2002-154382호 공보 참조).
제3 종래 기술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기 본체에 대하여 틸트 가능하게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부에 틸트 동작시키기 위한 힌지부를 각각 마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향으로 틸트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를 하측 힌지부로부터 이탈시켜 상측 힌지부를 중심으로 각 변위시키며, 하향으로 틸트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를 상측 힌지부로부터 이탈시켜 하측 힌지부를 중심으로 각 변위시킨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 이 장치의 상향 및 하향 틸트 동작을 모두 실행할 수 있다(예컨대, 특허 공개 평7-168530호 공보 참조).
전술한 제2 종래 기술에서는 표시부를 틸트 동작시키는 경우, 틸트 동작시킬 때마다 제2 핀(8)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어 불편하다. 또한, 틸트 동작시키기 위해 제2 핀(8)을 부착 구멍(8a)으로부터 이탈시키면 표시부가 불안정해지고, 표시부가 원하지 않은 틸트 동작을 행할 우려가 있다.
제3 종래 기술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틸트 동작시키는 경우, 2개의 힌지부가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힌지부가 손상될 우려가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기 본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힌지부가 착탈 가능한 구성이면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기 본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성이 복잡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부를 안정적으로 틸트 동작시키는 것, 또는 가동부가 소기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틸트 장치, 이 틸트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의 일측을 변위시켜 상기 가동체를 경사지게 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가동체의 타측을 변위시켜 상기 가동체를 경사지게 하는 제2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구동부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가동체의 일측을 변위시켜 상기 가동체를 경사지게 할 수 있고, 또한 제2 구동부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가동체의 타측을 변위시켜 상기 가동체를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체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의 구동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동체를 각각의 구동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틸트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과 같이 한 방향으로만 상기 가동체를 틸팅 가능한 경우에 비해, 상기 가동체의 경사 가능 각도를 크게 할 수 있고, 희망 위치에 가동체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가동체의 배치 및 환경 등의 조건에 따라 보다 적절한 경사 각도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 가능한 경사 각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예컨대 종래 기술과 같이 상기 가동체에 태양광의 반사 또는 경치의 비침 현상이 발생하여 시각적 인식성이 악화되는 경우라도, 상기 가동체를 한 방향 및 다른 방향 중 어느 한 쪽으로 틸팅 구동함으로써 태양광의 반사 및 경치의 비침 현상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한 방향으로 상기 가동체를 틸팅 구동함으로써, 다른 가동체의 조작성이 일시적으로 악화되는 경우에는, 다른 방향으로 가동체를 틸팅 구동하여 시계를 확보하는 등, 상기 다른 가동체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체의 일측과 타측을 틸팅시킴으로써 상기 가동체의 소기의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동체의 일측의 양측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동체를 각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체 지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가동체 지지부의 일측을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가동체를 경사지게 하고,
상기 제2 가동부는 상기 가동체의 타측을 상기 가동체 지지부의 타측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가동체를 각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구동부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가동체 지지부의 일측을 변위시켜 상기 가동체를 경사지게 할 수 있고, 또한 제2 구동부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가동체의 타측을 상기 가동체 지지부의 타측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가동체를 각 변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체 지지부를 이용함으로써, 가동체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의 구동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각 변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동체를 각각의 구동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틸트 동작시키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구동부는 기준 위치로부터 가동체의 일측을 변위시키는 제1 틸트 동작을 행하는 제1 틸트 기구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기준 위치로부터 가동체의 타측을 변위시키는 제2 틸트 동작을 행하는 제2 틸트 기구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틸트 기구체에 의해 기준 위치로부터 가동체를 제1 틸트 동작시킬 수 있고, 제2 틸트 기구체에 의해 기준 위치로부터 가동체를 제2 틸트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틸트 동작과 제2 틸트 동작을 각 기구체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틸트 동작은 기준 위치로부터 변위시키기 때문에, 가동체가 제1 및 제2 틸트 동작을 제외한 나머지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기술과 같이 제1 및 제2 틸트 동작시키는 경우, 가동체가 전기기기 본체에 대하여, 예컨대 전자기기 본체에 대하여 돌출하는 등의 원하지 않은 변위를 본 발명에서는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동체를 조작자가 희망 위치에 간편히 배치할 수 있고, 또한 가동체가 희망 위치로부터 원하지 않게 변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동체는 복수의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결합부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결합부가 형성되는 지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체는 복수의 결합부를 구비한다. 지지체에는 상기 복수의 결합부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가동체를 상기 각각의 구동부에 의해 소정 위치로부터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틸팅 구동하는 경우, 상기 지지체의 상기 피결합부에 상기 복수의 결합부를 지지하였기 때문에 이들 결합부를 미끄럼 이동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결합부가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결합부가 상기 지지체를 미끄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체를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한 방향 및 다른 방향으로 상기 가동체를 상기 각각의 구동부에 의해 틸팅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소정 위치로부터 한 방향으로 틸팅 구동 가능하고, 또한 다른 방향으로 틸팅 구동 가능한 틸트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동체의 타측이 상기 가동체 지지부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 가동체의 타측과 가동체 지지부의 타측 사이를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동체의 타측이 상기 가동체 지지부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 가동체의 타측과 가동체 지지부의 타측 사이를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가동체와 가동체 지지부 사이에 먼지 및 이물 등이 원하지 않게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침입한 이물 등에 의해 틸트 장치 및 틸트 장치를 구비하는 전기기기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보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틸트 기구체는 상기 가동체의 일측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상기 가동체를 각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틸트 기구체는 상기 가동체의 일측을 지점으로 하여 상기 가동체를 각 변위시키기 때문에, 가동체가 제2 틸트 동작을 제외한 나머지 동작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체가 원하지 않게 변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틸트 기구체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동체가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제2 틸트 동작이 지시되면, 제1 틸트 기구체를 구동하여 상기 기준 위치에 복귀시킨 후, 상기 제2 틸트 기구체를 구동하여 상기 제2 틸트 동작을 행하고,
상기 제2 틸트 기구체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동체가 경사진 상태에서, 제1 틸트 동작이 지시되면, 제2 틸트 기구체를 구동하여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시킨 후, 상기 제1 틸트 기구체를 구동하여 상기 제1 틸트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틸트 기구체 중 어느 한 쪽 구동부에 의해 상기 가동체가 각 변위되어 있는 상태에서, 타측의 틸트 동작이 지시되면, 타측 틸트 기구체를 구동하여 상기 가동체를 기준 위치에 복귀시킨 후, 타측의 틸트 기구체가 구동된다. 따라서, 제1 틸트 동작 및 제2 틸트 동작은 항상 기준 위치를 동작 시작 위치로 하여 시작되기 때문에, 원하지 않게 가동체가 변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희망 위치에 가동체를 배치할 수 있고, 조작자는 가동체를 시각적으로 인식하고 조작하는 것이 용이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일측 틸트 동작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타측의 틸트 동작이 지시된 경우라도, 가동체의 기준 위치를 반환 위치로 하여, 제1 및 제2 틸트 동작을 연속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순조롭게 가동체를 동작시켜 희망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틸트 기구체와 제2 틸트 기구체를 구동하는 공통의 구동원과,
상기 가동체를 기준 위치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구동원이 접속되는 상기 기구체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틸트 기구체에 구동력을 구동하는 공통의 구동원을 구비하고, 전환부에 의해 가동체를 기준 위치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제1 및 제2 틸트 기구체와 상기 구동원과의 접속을 전환한다. 따라서, 가동체가 기준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부터, 제1 및 제2 틸트 기구체를 개별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결합부는 상기 가동체의 일측의 양측부에 마련된 한 쌍의 제1 결합부와, 상기 가동체의 타측의 양측부에 마련된 한 쌍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가동체의 경사 동작을 안내하는 안내 기구를 갖는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상기 피결합부를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2 결합부와 결합하는 상기 피결합부를 갖는 제2 부재를 구비하는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부가 구동되면, 상기 한 쌍의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지지 부재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안내 기구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며,
상기 제2 구동부가 구동되면,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안내 기구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결합부는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포함한다. 지지체에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안내 기구를 갖고, 제2 지지 부재는 피결합부를 갖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갖는다. 제1 부재는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피결합부를 갖고, 제2 부재는 제2 결합부와 결합하는 피결합부를 갖는다. 상기 제1 구동부가 구동되면,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지지 부재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안내 기구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부가 구동되면,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안내 기구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체가 틸팅 구동하더라도, 복수의 결합부에 의해 제2 지지 부재가 확실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복수의 결합부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상기 피결합부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가동체가 안내 기구에 의해 안내되고 이동하여 틸팅 구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의 일측의 양측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동체를 각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체 지지부와,
상기 가동체가 상기 가동체 지지부에 대하여 각 변위하는 경우, 상기 가동체의 타측과 이 가동체의 타측에 마주하는 가동체 지지부의 타측 사이를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틸트 장치는 가동체 지지부에 의해 가동체를 각 변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체를 틸트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체 지지부에 대하여 각 변위하는 경우, 가동체의 타측과 이 가동체의 타측에 마주하는 가동체 지지부의 타측 사이를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가동체와 가동체 지지부 사이에 먼지 및 이물 등이 원하지 않게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침입한 이물 등에 의해 틸트 장치 및 틸트 장치를 구비하는 전기기기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보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체의 일측을 변위시켜 가동체를 경사지게 하는 제1 틸트 동작과,
가동체의 타측을 변위시켜 가동체를 경사지게 하는 제2 틸트 동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틸트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체를 기준 위치로부터 제1 및 제2 틸트 동작시키기 때문에, 가동체가 제1 및 제2 틸트 동작을 제외한 나머지 동작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체가 원하지 않게 변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동체를 조작자가 원하는 위치에 간편히 배치할 수 있고, 또한 희망 위치로부터 원하지 않게 변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의 일측을 변위시켜 상기 가동체를 경사지게 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가동체의 타측을 변위시켜 상기 가동체를 경사지게 하는 2 구동부와,
상기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가 설치되는 전자기기 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기기는 가동체의 일측 또는 타측을 변위시켜 가동체를 경사지게 하는 제1 및 제2 구동부를 구비한다. 각각의 구동부는 전자기기 본체에 설치되기 때문에, 가동체를 적합하게 틸트 동작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복수의 형태에 관 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틸트 장치(10)에 관해서 도 1 내지 도 73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틸트 장치(10)를 간략히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틸트 장치(10)를 구성하는 제1 섀시(11)가 제2 틸트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제1 섀시(11)가 제2 틸트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틸트 장치(10)는 예컨대 전자기기인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12)에 설치되고,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12)에 설치되는 가동부를 틸트 동작시키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동부는 표시체에 의해 실현되고, 구체적으로는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12)의 일 표면부에 설치되는 패널 디스플레이(13) 및 패널 디스플레이(13)를 유지하는 제1 패널 홀더(21)가 적용된다.
틸트 장치(10)는,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12)의 장치 본체(14)의 미리 정해진 전방(X1)측 일 표면부에 설치되는 패널 디스플레이(13), 패널 디스플레이(13)를 유지하는 제1 패널 홀더(21) 및 제1 패널 홀더(21)를 지지하는 제2 패널 홀더(22)를 기계 구동에 의해 제1 틸트 동작 가능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패널 디스플레이(13) 및 패널 디스플레이(13)를 유지하는 제1 패널 홀더(21)를 기계 구동에 의해 제2 틸트 동작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제1 틸트 동작이란, 상기 일 표면부를 따르는 기준 위치로부터, 패널 디스플레이(13), 패널 디스플레이(13)를 유지하는 제1 패널 홀더(21) 및 제1 패널 홀더(21)를 지지하는 제2 패널 홀더(22)의 한 측부가 다른 측부보다 전방(X1)측에 배치되도록 각 변위시키는 동작과 같다. 다시 말하면, 제1 틸트 동작은 상기 패널 디스플레이(13)를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패널 디스플레이(13), 패널 디스플레이(13)를 유지하는 제1 패널 홀더(21) 및 제1 패널 홀더(21)를 지지하는 제2 패널 홀더(22)의 한쪽을 전방(X1)으로 변위시켜 상기 패널 디스플레이(13)를 경사지게 하는 동작이다. 상기 제2 틸트 동작이란, 패널 디스플레이(13) 및 패널 디스플레이(130)를 유지하는 제1 패널 홀더(21)를,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다른 측부가 한 측부보다 전방(X1)측에 배치되도록 각 변위시키는 동작과 같다. 다시 말하면, 제2 틸트 동작은 상기 패널 디스플레이(13)를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패널 디스플레이(13) 및 패널 디스플레이(13)를 유지하는 제1 패널 홀더(21)의 타측을 전방(X1)으로 변위시켜 상기 패널 디스플레이(13) 및 패널 디스플레이(13)를 유지하는 제1 패널 홀더(21)를 경사지게 하는 동작이다.
틸트 장치(10)는, 패널 디스플레이(13)를 지지하는 제1 섀시(11)와, 제1 섀시(11)와 협동하여 패널 디스플레이(13), 패널 디스플레이(13)를 유지하는 제1 패널 홀더(21) 및 제1 패널 홀더(21)를 지지하는 제2 패널 홀더(22)를 제1 틸트 동작시키는 동시에, 패널 디스플레이(13) 및 패널 디스플레이(13)를 유지하는 제1 패널 홀더(21)를 제2 틸트 동작시키는 제2 섀시(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섀시(15)를 구성하는 푸시 레버(16)가 미리 정해진 압박 방향(P1)으로 슬라이드 변위하여, 제1 섀시(11)를 구성하는 제1 패널 홀더(21)의 압박부(17)를 압박함으로써, 도 1에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기준 위치로부터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도 2 및 도 3도 더불어 참조) 제1 섀시(11)의 제1 패널 홀더(21)가 제2 틸트 동작하여, 제1 섀시(11)의 제1 패널 홀더(21)의 표면부가 전방(X1)에 대하여 하향이 되도록 각 변위한다. 또한, 제2 섀시(15)를 구성하는 슬라 이더(18)가 전방(X1)으로 슬라이드 변위하면, 제1 섀시(11)의 아래쪽 측부를 전방(X1)으로 슬라이드 변위시킴으로써, 도 1에서 도시하는 기준 위치로부터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틸트 동작하여, 제1 섀시(11)의 표면부가 전방(X1)에 대하여 상향이 되도록 각 변위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제1 섀시(11)는 제2 틸트 동작중 미리 정해진 배치 위치에서 동작을 중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예컨대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섀시(11)의 제1 패널 홀더(21) 중 아래쪽 단부의 회전 축선 주위의 회전 방향 한쪽에 15 °의 위치에 배치되며, 도 3b에서는 10 °, 도 3c에서는 5 °의 위치에 배치된다.
도 4a 내지 4d는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12)를 간략히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5d는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12)를 간략히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12)는 대략 직방체형으로 형성되는 장치 본체(14)가 차량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고, 제1 섀시(11)의 제1 패널 홀더(21)는 장치 본체(14)에 대하여 제1 틸트 동작하는 동시에 제1 섀시(11)는 장치 본체(14)에 대하여 제2 틸트 동작한다. 장치 본체(14)는 미리 정해진 장치 본체(14)의 기준 축선(이하, 단순히 「본체 축선」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방체형으로서, 본체 축선 방향 한쪽의 일 표면부에 틸트 장치(10)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섀시(11)가 설치된다. 제1 섀시(11)는 대략 판형으로서, 기준 위치에서는 그 두께 방향이 본체 축선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되고, 제1 섀시(11)의 두께 방향 한쪽의 표면부에는 패널 디스플레이(13)가 일체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1 섀시(11)는 패널 디스플레이(13)를 지지하고, 제1 섀시(11)가 동작하면 일체가 되어 패널 디스플레이(13)도 동작한다.
이하, 제1 섀시(11)에 관해서, 기준 위치에서의 제1 섀시(11)의 본체 축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두께 방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섀시(11)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중, 본체 축선에 수직한 투영면에 투영한 경우에 두께 방향 표면의 긴 변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섀시(11)의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에 대하여 모두 수직한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장치 본체(14)에 관해서, 본체 축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X)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전후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중, 본체 축선에 수직한 투영면에 투영한 경우에 본체 축선 표면의 긴 변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을 좌우 방향(Y)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섀시(11)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하여 모두 수직한 방향을 상하 방향(Z)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섀시(11)는 도 4b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14)의 전후 방향과 제1 섀시(11)의 두께 방향이 대략 평행한 위치인 기준 위치로부터 제1 틸트 동작하면, 도 4c 및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 한쪽 표면인 전면이 장치 본체(14)의 상하 방향 중 한쪽인 위쪽을 향하도록 각 변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섀시(11)의 두께 방향이 도 4d 및 도 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14)의 상하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될 때까지 각 변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제1 섀시(11)의 두께 방향이 상기 상하 방향과 대략 평행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장치 본체(14)의 전방(X1)측의 일 표면부가 바깥쪽을 향해 개방된다. 이 장치 본체(14)의 전방(X1)측의 일 표면부에는 각종 기록 미디어를 삽입 가능한 삽입부(14a)가 형성되고, 일 표면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조작자는 이 삽입부(14a)에 미디어를 삽입함으로써,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12)에 음악 정보 및 지도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부여하여, 조작자는 이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12)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1 섀시(11)는 도 4b 및 도 5b에 도시하는 기준 위치로부터 제2 틸트 동작하면, 도 4a 및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탑재 장치 본체(14)의 상하 방향의 다른 쪽인 아래쪽으로 전면이 향하도록 각 변위한다. 이와 같이 제2 틸트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1 섀시(11)에 설치되는 커버(19)(후술함)에 의해 장치 본체(14)와 제1 섀시(11) 사이가 덮이고, 먼지 등의 이물의 침입이 방지된다.
다음에 틸트 장치(10)의 각부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틸트 장치(10)는 상기 제1 섀시(11)와, 상기 제2 섀시(15)와, 제1 섀시 및 제2 섀시(15)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체(20)(도 34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제1 섀시(11)에 관해서 설명하고, 다음에 제2 섀시(15) 및 구동 기구체(20)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제1 섀시(11)를 배면에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섀시(11)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제1 섀시(11)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9는 제1 섀시(11)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0은 제1 섀시(11)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제1 섀시(11)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12는 제1 섀시(1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도 참조하면, 제1 섀시(11)는 패널 디 스플레이(13)를 유지하는 제1 패널 홀더(21)와, 제1 패널 홀더(21)의 일 측부를 각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패널 홀더(22)와, 제1 및 제2 패널 홀더(21, 22) 사이를 덮는 커버(19)와, 커버(19)에 설치된 커버 안내 핀(38)을 안내하는 커버 가이드(23)와, 제1 패널 홀더(21)에 스프링력을 부여하는 제2 틸트 복귀 스프링(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틸트 복귀 스프링(24)은 그 일단부가 제1 패널 홀더(2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패널 홀더(22)에 연결되며, 제2 패널 홀더(22)에 대하여 제1 패널 홀더(21)가 상대적으로 근접하는 제2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부여한다. 따라서, 제1 섀시(11)는 아무런 외력이 부여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는, 제2 틸트 복귀 스프링(24)의 스프링력에 의해, 제1 패널 홀더(21)가 제2 패널 홀더(22)를 따라 폐쇄 위치에 배치된다.
제1 패널 홀더(21)는 제2 패널 홀더(22)를 따라 배치되는 도 6에 도시하는 폐쇄 위치와, 제2 패널 홀더(22)로부터 이격되는 도 2에 도시하는 개방 위치에 걸쳐 각 변위 가능하다. 상기 폐쇄 위치는 제1 및 제2 패널 홀더(21, 22) 각각의 일 측부가 근접하는 동시에, 제1 및 제2 패널 홀더(21, 22) 각각의 다른 측부가 근접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 개방 위치는 제1 및 제2 패널 홀더(21, 22) 각각의 일 측부의 회전 축선 주위에서 제1 패널 홀더(21)의 다른 측부가 제2 패널 홀더(22)의 다른 측부에 대하여 이격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제1 패널 홀더(21)가 제2 패널 홀더에 대하여 각 변위한 상태이다.
커버(19)는 패널 디스플레이(13)의 다른 측부측인 폭방향 다른 쪽에서 제1 패널 홀더(21)와 제2 패널 홀더(22) 사이를 덮고, 구체적으로는 제1 패널 홀더(21)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제2 패널 홀더(22)의 일 표면부를 따라 배치되어 수납되고(도 6 참조), 제1 패널 홀더(21)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제1 패널 홀더(21)의 다른 측부에서 제1 패널 홀더(21)와 제2 패널 홀더(22) 사이를 덮도록 조출(繰出)된다. 커버(19)는 제1 패널 홀더(21)의 각 변위 동작에 연동하여 전술한 조출 및 수납 동작을 행한다(도 2 및 도 3 참조).
다음에 제1 패널 홀더(21)에 관해서 설명하고, 이어서 제2 패널 홀더(22)과, 커버(19)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제1 패널 홀더(21)를 배면에서부터 보고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1 패널 홀더(21)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제1 패널 홀더(21)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16은 제1 패널 홀더(21)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7은 제1 패널 홀더(21)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8은 제1 패널 홀더(2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제1 패널 홀더(21)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제1 패널 홀더(21)는 대략적으로 프레임형으로 형성되고, 그 두께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투영한 투영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제1 패널 홀더(21)는 제1 패널 저면부(25), 제1 패널 짧은 변 벽부(26) 및 제1 패널 긴 변 벽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패널 저면부(25)는 두께 방향에서 보아 짧은 변이 연장되는 방향인 짧은 변 방향과, 긴 변이 연장되는 긴 변 방향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과 대략 평행하게 마련된다. 제1 패널 짧은 변 벽부(26)는 제1 패널 저면부(25)의 긴 변 방향 양단부에 각각 일체로 연결되어 두께 방향 한쪽으로 연장된다. 제1 패널 긴 변 벽부(27)는 제1 패널 저면부(25)의 짧은 변 방향 양단부에 각각 일체로 연결되어 두께 방향 한쪽으로 연장된다.
제1 패널 홀더(21)는, 짧은 변 방향 일 측부측에 있어서 긴 변 방향의 양단부측에 설치된 제1 결합부(102)가 제2 패널 홀더(22)에 설치된 제1 결합 부재(103)와 결합함으로써, 제2 패널 홀더(22)에 대하여 제1 결합 부재(103)를 지점으로 하여 각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짧은 변 방향 다른 측부측에 있어서 긴 변 방향의 양단부측에 설치된 제2 결합부(101)와 커버 부재(19)가 제2 결합 부재(104)에 의해 결합한다. 따라서, 제1 패널 홀더(21)는 짧은 변 방향 일 측부측의 긴 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선 주위에서 각 변위 가능하고, 각 변위함으로써, 짧은 변 방향 다른 측부측이 제2 패널 홀더(22)에 대하여 근접 및 이격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 패널 홀더(21)의 짧은 변 방향의 중앙부 부근에 있어서, 제1 패널 짧은 변 벽부(26)의 긴 변 방향 외측부의 압박부 부착 구멍(100)에 압박부(17)가 부착된다. 이 압박부(17)는 제2 섀시(15)를 구성하는 푸시 레버(16)(도 1 참조)가 슬라이드 변위함으로써 압박된다. 압박부(17)는 두께 방향 다른 쪽으로 돌출하는 돌출 부분(17a) 및 제2 패널 홀더(22)를 안내하는 안내 부분(17b)을 갖는다(도 6 참조). 압박부(17)는 마찰 저항이 작은 재료로서 예컨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제2 틸트 동작하는 경우에 이음(異音)의 발생이 억제된다. 적어도 돌출 부분(17a) 및 안내 부분(17b)에 마찰 저항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코팅막, 고체성 윤활막 등을 피막하는 형태라도 좋다. 이 경우에도, 본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다음에, 제2 패널 홀더(22)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제2 패널 홀더(22) 를 배면에서부터 보고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2 패널 홀더(22)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2는 제2 패널 홀더(22)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23은 제2 패널 홀더(22)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24는 제2 패널 홀더(22)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5는 제2 패널 홀더(22)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제2 패널 홀더(22)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제2 패널 홀더(22)는 대략적으로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두께 방향에 수직한 가상 평면에 투영한 투영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에 평행한 가상 평면에 투영한 투영 형상이 대략 U 자형으로 형성된다.
제2 패널 홀더(22)는 제2 패널 저면부(28)와, 제2 패널 짧은 변 벽부(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패널 저면부(28)는 두께 방향에서 보아 짧은 변이 연장되는 방향인 짧은 변 방향과, 긴 변이 연장되는 긴 변 방향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에 대략 평행하게 마련된다. 제2 패널 짧은 변 벽부(29)는 제2 패널 저면부(28)의 긴 변 방향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두께 방향 한쪽으로 연장된다. 제2 패널 홀더(22)는 짧은 변 방향 일 측부측에 있어서, 긴 변 방향의 양단부측의 제3 결합부(105)에 제1 결합 부재(103)가 부착되고, 제1 결합 부재(103)가 제1 패널 홀더(21)의 제1 결합부(102)와 결합함으로써, 제1 패널 홀더(21)는 제2 패널 홀더(22)에 대하여 제1 결합 부재(103)를 지점으로 하여 각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제2 패널 홀더(22)는 짧은 변 방향 일 측부측의 긴 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선 주위에서 각 변위 가능하고, 각 변위함으로써, 짧은 변 방향 다른 측부측이 제1 패널 홀더(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근접 및 이격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2 패널 홀더(22)는 그 짧은 변 방향의 치수가 제1 패널 홀더(21)의 짧은 변 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2 패널 홀더(22)를 제1 패널 홀더(21)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제2 패널 홀더(22)의 짧은 변 방향 타단부측에 커버(19)를 수납 가능한 커버 수납 공간(30)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 패널 홀더(21)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커버(19)는 커버 수납 공간(30)에 제2 패널 홀더(22)의 주로 제2 패널 저면부(28)를 따라 수납된다.
제2 패널 짧은 변 벽부(29)에 있어서, 그 짧은 변 방향의 중앙부 부근에는 슬라이드 변위하는 푸시 레버(16)의 선단부가 삽입 관통 가능한 푸시 레버 구멍(31)이 형성된다. 제1 패널 홀더(21)에 설치되는 압박부(17)의 돌출 부분(17a)이, 이 푸시 레버 구멍(31)에 삽입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및 제2 패널 홀더(21, 22)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압박부(17)의 돌출 부분(17a)이 제2 패널 홀더(22)의 두께 방향 다른 쪽으로 돌출하도록 돌출 부분(17a)의 돌출 치수가 설정된다.
제2 패널 짧은 변 벽부(29)에는, 짧은 변 방향 다른 측부에 있어서 긴 변 방향의 양단부측에 긴 변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제1 섀시 안내 핀(32)이 부착되는 제1 부착부(106)가 마련된다. 제1 섀시 안내 핀(32)은 장치 본체(14)에 마련된 장치 본체(14)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섀시 안내 홈(33)에 삽입 관통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 제1 섀시 안내 홈(33)을 따라 슬라이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또한, 제2 패널 짧은 변 벽부(29)에는, 짧은 변 방향 일 측부에 있어서 긴 변 방향의 양단부측에 긴 변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슬라이더 안내 핀(34)이 부착되는 제2 부착부(107)가 마련된다. 슬라이더 안내 핀(34)은 제2 섀시(15)(도 1 참조)를 구성하는 슬라이더(18)의 선단부에 각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패널 짧은 변 벽부(29)에는, 짧은 변 방향 중앙부 부근에 있어서 긴 변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제1 패널 안내 핀(35)이 부착되는 제3 부착부(108)가 마련된다. 제1 패널 안내 핀(35)은 제2 패널 홀더(22)가 제1 패널 홀더(2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압박부(17)가 갖는 안내 부분(17b)에 끼워 맞춰지고, 이 안내 부분(17b)에 의해 제1 패널 홀더(21)를 개방 위치에서부터 폐쇄 위치에 걸쳐 안내한다.
제2 패널 짧은 변 벽부(29)에는, 짧은 변 방향 다른 측부에 있어서 긴 변 방향의 양단부측에 커버 가이드(23)가 부착되는 제4 부착부(109)가 마련된다. 제4 부착부(109)에는, 긴 변 방향으로 관통하고, 커버(19)에 설치된 커버 안내 핀(38)이 삽입 관통 가능한 홈(23b)이 마련된다. 커버 가이드(23)는, 제2 패널 홀더(22)를 따라 수납 위치로부터, 조출되어 있는 조출 위치에 걸쳐, 커버(19)에 설치된 커버 안내 핀(38)를 안내한다. 커버 가이드(23)는 마찰 저항이 작은 재료로서 예컨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제2 틸트 동작하는 경우에 이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적어도 커버 가이드(23)의 가이드 홈(23a)을 따라 마찰 저항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코팅막, 고체성 윤활막 등을 피막하는 형태라도 좋다. 이 경우에도, 본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제2 패널 짧은 변 벽부(29)의 짧은 변 방향 중앙부로부터 다른 측부 근처의 위치에 제2 틸트 복귀 스프링(24)의 타단부가 연결된다.
다음에, 커버(19)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7은 커버(19)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다. 도 28은 커버(19)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9는 커버(19)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30은 커버(19)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31은 커버(19)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32는 커버(19)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커버(19)는 대략적으로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두께 방향에 수직한 가상 평면에 투영한 투영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에 평행한 가상 평면에 투영한 투영 형상이 대략 U 자형으로 형성된다. 커버(19)는 두께 방향에서 보아 짧은 변이 연장되는 방향인 짧은 변 방향과, 긴 변이 연장되는 긴 변 방향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에 대략 평행한 커버 저면부(36) 및 커버 저면부(36)의 긴 변 방향 양단부에 연결되어 두께 방향 한쪽으로 연장되는 커버 짧은 변 벽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19)는, 짧은 변 방향 다른 측부에 있어서 긴 변 방향의 양단부측에 제1 패널 홀더(21)를 지지하는 제2 결합 부재(104)가 부착되는 제5 부착부(110)를 갖는다. 제2 결합 부재(104)는 커버(19)를 제1 패널 홀더(21)에 대하여 각 변위 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커버(19)는 제1 패널 홀더(21)에 대하여 짧은 변 방향 다른 측부의 긴 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선 주위에서 각 변위 가능하고, 각 변위함으로써, 수납 위치로부터 조출 위치에 걸쳐 배치된다.
커버 짧은 변 벽부(37)에는, 짧은 변 방향 일 측부에 있어서 긴 변 방향의 양단부측에 긴 변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커버 안내 핀(38)이 부착되는 제6 부착부(111)가 마련된다. 커버 안내 핀(38)은 그 장착 상태에서, 제2 패널 짧은 변 벽부(29)에 부착되는 커버 가이드(23)의 가이드 홈(23a) 및 제2 패널 짧은 변 벽부(29)에 마련된 홈(23b)에 삽입 관통 가능하게 구성되고, 커버 가이드(23)에 형성되 는 가이드 홈(23a)을 따라 안내된다. 또한, 커버(19)는 강성 강도가 높은 부재, 예컨대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제2 섀시(15) 및 구동 기구체(20)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3은 제2 섀시(15)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34는 제2 섀시(15) 및 구동 기구체(20)를 간략히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2 섀시(15)는 구동 기구체(20)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제1 패널 홀더(21)를 각 변위시키는 유닛(39), 구동 기구체(20)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제1 섀시(21)를 각 변위시키는 슬라이더(18), 각각의 부분이 수납되는 하부 케이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하부 케이스(40)에 관해서 설명하고, 이어서 구동 기구체(20) 및 유닛(39)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5는 하부 케이스(4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6은 하부 케이스(40)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37은 하부 케이스(40)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하부 케이스(40)는 대략적으로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두께 방향에 수직한 가상 평면에 투영한 투영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두께 방향 및 긴 변 방향에 평행한 가상 평면에 투영한 투영 형상이 대략 U 자형으로 형성된다. 하부 케이스(40)는 하부 케이스 저면부(41) 및 하부 케이스 벽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 케이스 저면부(41)는 두께 방향에서 보아 짧은 변이 연장되는 방향인 짧은 변 방향과, 긴 변이 연장되는 긴 변 방향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에 대략 평행하게 설치된다. 하부 케이스 벽부(42)는 하부 케이스 저면부(41)의 긴 변 방향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두께 방향 한쪽으로 연장된다.
하부 케이스 저면부(41)의 두께 방향 한쪽에 유닛(39), 구동 기구체(20) 및 슬라이더(18)가 장착된다. 하부 케이스 저면부(41)에는 그 긴 변 방향 일 측부 부근에, 두께 방향 일단부에 돌출하는 2 개의 슬라이더 핀(43)이 짧은 변 방향을 따라 약간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들 슬라이더 핀(43)은 슬라이더(18)에 결합하여 이 슬라이더(18)를 하부 케이스(40)의 짧은 변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이용된다.
다음에, 슬라이더(18)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8은 슬라이더(18)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9는 슬라이더(18)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0은 슬라이더(18)에 설치되는 롤러 핀(44)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슬라이더(18)는 대략적으로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두께 방향에 수직한 가상 평면에 투영한 투영 형상이 대략 U 자형으로 형성되며, 두께 방향 및 긴 변 방향에 평행한 가상 평면에 투영한 투영 형상이 대략 U 자형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더(18)는 두께 방향에서 보아 두께 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제1 슬라이드부(45)와, 제1 슬라이드부(45)의 폭 방향 양측부로부터 두께 방향 및 폭 방향에 수직한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2 슬라이드부(46) 및 제3 슬라이드부(47)를 갖는다. 제2 및 제3 슬라이드부(46, 47)에는 그 폭 방향 외측 단부에 연결되어 두께 방향 한쪽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2 슬라이드 벽부(48) 및 제3 슬라이드 벽부(49)가 설치된다.
제2 슬라이드부(46)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라이더 구멍(50)이 형성된다. 이 제2 슬라이드부(46)는, 하부 케이스 저면부(4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더 구멍(50)에 2 개의 슬라이더 핀(43)이 각각 삽입 관통한다. 따라서, 하부 케이스 저면부(41)에 슬라이더(18)가 장착된 상태에서, 이 슬라이더(18)는 이들 슬라이더 핀(43)에 의해 하부 케이스(40)에 대하 여 폭 방향의 변위가 규제되고,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슬라이드부(46)에는 그 폭 방향 일 측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랙인 슬라이드 랙(51)이 새겨져 마련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랙(51)은 하부 케이스 저면부(41)에 장착된 상태(단순히, 장착 상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에서는 구동 기구체(20)를 구성하는 피니언 기어(52)에 맞물린다. 제2 슬라이드부(46)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 있어서, 두께 방향 일단부에는 두께 방향 한쪽으로 돌출하는 슬라이드 돌출부(53)가 마련된다. 이 슬라이드 돌출부(53)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두께 방향 한쪽에서 보아 대략 C 자형으로 형성되며, 폭 방향 다른 쪽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드 돌출부(53)는 상기 유닛(39)을 구성하는 링크(66)에 결합 가능하고, 링크(66)에 결합한 상태에서 슬라이더(18)는 링(66)에 대한 길이 방향의 변위가 규제된다.
제1 슬라이드부(45)의 폭 방향 다른 측부에는 두께 방향 일단부에 돌출하는 롤러 핀(44)이 설치된다. 이 롤러 핀(44)은 슬라이더(18)가 길이 방향에 관해서 슬라이드 변위하면 유닛(39)에 결합한다. 롤러 핀(44)은 축선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유닛(39)과 원활하게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제2 슬라이드 벽부(48)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는 제2 슬라이드 벽부(48)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라이더 안내 구멍(54)이 형성되고, 슬라이더 안내 구멍(54)은 장착 상태에서는 전술한 제2 패널 짧은 변 벽부(29)에 설치되는 슬라이더 안내 핀(34)이 삽입 관통 가능하며, 슬라이더 안내 핀(34)이 제1 섀시(11)를 각 변위 가능하게 지지한다.
다음에, 구동 기구체(20)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1은 구동 기구체(20)를 간략히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2는 구동 기구체(20)를 간략히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2는 구동 기구체(20)를 구성하는 구동원인 모터(55)의 샤프트(55a)를 축선 방향 한쪽에서 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41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슬라이더(18)의 일부를 가상적으로 도시한다. 구동 기구체(20)는 모터(55), 기어열(56) 및 기구 제어부(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어열(56)은 웜 기어(58), 클러치(59), 중간 기어(60), 피니언 기어(52), 제1 센서 기어(61) 및 제2 센서 기어(62)를 포함한다. 모터(55)의 샤프트(55a)에는 웜 기어(58)가 고착되고, 웜 기어(58)는 클러치(59)에 맞물리며, 이어서 중간 기어(60), 피니언 기어(52), 제1 센서 기어(61), 제2 센서 기어(62)가 맞물려 모터(55)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동(傳動)된다.
피니언 기어(5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18)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랙(51)에 맞물림 가능하다. 따라서, 모터(55)의 구동력에 의해 슬라이더(18)가 그 길이 방향에 관해서 슬라이드 변위한다. 클러치(59)는 그 축선 방향의 진동을 억제하는 댐퍼 기구(59a)를 구비하고, 이에 따라 웜 기어(58)로부터의 구동력을 원활하게 중간 기어(60)에 전동한다.
기구 제어부(57)는 모터(55)에 전력을 공급하고, 모터(55)를 구동하며, 모터(55)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또한 제2 센서 기어(62)의 각 변위량을 검출하며, 제2 센서 기어(62)의 각 변위량에 기초하여, 모터(55)의 샤프트(55a)의 축선 주위에서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제어한다. 따라서, 기구 제어부(57)는, 피니언 기어 (52)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는 맞물림 대상물의 배치 상태를 제어하여, 제1 틸트 동작 및 제2 틸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유닛(39)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3은 유닛(39)를 간략히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4는 유닛(39)을 간략히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3 및 도 44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닛(39)을 구성하는 케이싱 부재를 가상적으로 도시한다. 유닛(39)은 슬라이더(18)의 롤러 핀(44)과 결합 가능한 서브 랙(63)과, 하부 케이스(40)에 고정되어 서브 랙(63)을 안내하는 랙 홀더(64)와, 서브 랙(63)에 스프링력을 부여하는 작동 해제 스프링(65)과, 랙 홀더(64)에 장착되어 슬라이더(18)의 변위를 규제하는 링크(66)와, 서브 랙(63)에 장착되어 링크(66)를 안내하는 링크 가이드(67)와, 서브 랙(63)에 맞물리는 아이들 기어(68)와, 아이들 기어(68)에 맞물리는 섹터 기어(69)와, 압박부(17)를 압박하는 푸시 레버(16)와, 푸시 레버(16)에 스프링력을 부여하는 푸시 레버 스프링(70)과, 섹터 기어(69) 및 푸시 레버(16)를 안내하는 기어 베이스(71)와, 기어 베이스(71)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72)와, 랙 홀더(64)에 고정되어 기어 베이스(71)를 덮는 사이드 플레이트(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닛(39)은 하부 케이스(40)의 긴 변 방향 일 측부에 장착되고, 구체적으로는 긴 변 방향 일 측부의 하부 케이스 벽부(42)에 접촉하며, 또한 하부 케이스 저면부(41)에 접촉하여 장착된다.
다음에, 서브 랙(63)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5는 서브 랙(63)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6은 서브 랙(63)을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47은 서브 랙(63)을 구성하는 인입 레버(74)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8은 인입 레버(74)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서브 랙(63)은 피니언 기어(52) 및 아이들 기어(68)에 맞물리는 서브 랙 본체(75)와, 서브 랙 본체(75)에 대하여 각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입 레버(74)와, 인입 레버(74)에 스프링력을 부여하는 걸림 스프링(76)과, 랙 홀더(64)에 결합하는 서브 랙 핀(7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브 랙 본체(75)는 대략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두께 방향에 수직한 가상 평면에 투영한 투영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서브 랙 본체(75)는 두께 방향에서 보아 짧은 변이 연장되는 방향인 짧은 변 방향의 한쪽 측부에, 피니언 기어(52)에 맞물리는 구동 입력 랙(78)이 형성되고, 짧은 변 방향 다른 쪽 측부에, 아이들 기어(68)에 맞물리는 구동 출력 랙(79)이 형성된다. 서브 랙 본체(75)는 장착 상태에서 그 긴 변 방향이 하부 케이스(40)의 짧은 변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된다.
서브 랙 본체(75)의 짧은 변 방향 및 두께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긴 변 방향의 한쪽 측부에 있어서, 짧은 변 방향 중앙부 부근에는 작동 해제 스프링(65)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작동 해제 스프링(65)의 타단부는 랙 홀더(64)에 연결된다. 서브 랙 본체(75)의 긴 변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짧은 변 방향 중앙부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며 걸림 스프링(76)이 배치되는 걸림 스프링 수납 공간(76a)이 형성된다. 걸림 스프링(76)은 걸림 스프링 수납 공간(76a)에 수납되고, 그 축선 방향 일단부가 서브 랙 본체(75)에 연결되며, 축선 방향 타단부가 인입 레버(74)에 연결된다.
서브 랙 본체(75)의 짧은 변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긴 변 방향 양단부에는 두께 방향 한쪽으로 돌출하는 서브 랙 핀(77)이 긴 변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2 개 설치된다. 각각의 서브 랙 핀(77)은 장착 상태에서는 랙 홀더(64)에 형성되는 서브 랙 안내 홈(85)에 삽입 관통되고, 랙 홀더(64)에 대하여 짧은 변 방향의 변위가 규제되며, 긴 변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7 및 도 48을 참조하면, 인입 레버(74)는, 장착 상태에서는, 롤러 핀(44)을 긴 변 방향 다른 쪽으로부터 걸리는 걸림 위치와, 롤러 핀(44)에 대하여 걸림 해제하는 걸림 해제 위치에 걸쳐, 걸림 해제 위치로부터 걸림 위치로 향하는 걸림 방향(74A) 및 걸림 위치로부터 걸림 해제 위치로 향하는 걸림 해제 방향(74B)의 양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인입 레버(74)는 랙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 일단부에 설치된 제4 결합부(113)가, 서브 랙 본체(75)의 짧은 변 방향 다른 쪽에 있어서, 긴 변 방향 중앙부 부근에 부착된 제4 결합 부재(112)에 의해 각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며, 길이 방향 타단부가 서브 랙 본체(75)의 긴 변 방향 다른 쪽으로 돌출되어 마련된다. 인입 레버(74)는 길이 방향 타단부가 각 변위함으로써, 걸림 방향(74A) 및 걸림 해제 방향(74B)으로 변위한다.
인입 레버(74)의 길이 방향 중앙부 부근에 폭 방향 한쪽으로 돌출하는 돌출 부분(74a)이 형성되고, 이 돌출 부분(74a)에 걸림 스프링(76)의 타단부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인입 레버(74)는, 스프링력이 부여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는 걸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인입 레버(74)의 길이 방향 일단부는 두께 방향에서 보아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구체적으로 길이 방 향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해 갈수록,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 한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 테이퍼 부분(74b)의 길이 방향 다른 쪽의 단부는 폭 방향 다른 쪽에 움푹 패인 인입 오목부(74c)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인입 레버(74)의 길이 방향 일단부가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더(18)에 설치되는 롤러 핀(44)이 서브 랙 본체(75)의 긴 변 방향을 따라 긴 변 방향 다른 쪽에서부터 긴 변 방향 한쪽으로 슬라이드 변위하면, 테이퍼 부분(74b)에 접촉하고 걸림 스프링(76)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인입 오목부(74c)까지 변위할 수 있고, 반대로 인입 오목부(74c)에 롤러 핀(44)이 배치된 상태에서 긴 변 방향 한쪽으로부터 긴 변 방향 다른 쪽으로 롤러 핀(44)을 변위시키면, 걸림 스프링(76)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슬라이드 변위할 수 있다. 슬라이드 변위하는 방향에 대한 인입 레버(74)의 경사 각도가 다르기 때문에, 걸림 위치로부터 걸림 해제시킬 수 있는 힘의 크기는 테이퍼 부분쪽이 인입 오목부(74c)보다 작다.
다음에, 링크 가이드(67)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9는 링크 가이드(67)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0은 링크 가이드(67)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링크 가이드(67)는 서브 랙(63)에 일체로 장착되고, 랙 홀더(64)에 장착되는 링크(66)를 안내한다. 링크 가이드(67)는 랙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 일단부가 서브 랙 본체(75)의 긴 변 방향 일단부에 서브 랙 본체(75)의 긴 변 방향 한쪽으로 돌출하여, 서브 랙 본체(75)의 긴 변 방향과, 링크 가이드(67)의 축선 방향이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연결된다. 링크 가이드(67)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크 가이드 홈(80)이 형성되 며, 장착 상태에서는 링크(66)를 구성하는 링크 핀(81)이 링크 가이드 홈(80)에 삽입 관통한다. 링크 가이드 홈(80)은 그 길이 방향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 제1, 제2, 제3 링크 가이드 홈부(80a, 80b, 8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링크 가이드 홈부(80a)는 링크 가이드(67)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링크 가이드 홈부(80b)는 제1 링크 가이드 홈부(80a)의 길이 방향 다른 쪽의 단부로부터 길이 방향 다른 쪽을 향해 갈수록 폭 방향 한쪽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다. 제3 링크 가이드 홈부(80c)는 제2 링크 가이드 홈부(80b)의 길이 방향 다른 쪽의 단부로부터, 재차 링크 가이드(67)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다음에, 링크(66)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1은 링크(66)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2는 링크(66)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링크(66)는 슬라이더(18)의 하부 케이스(40)에 대한 전후 방향(X)의 변위를 저지하는 잠금 위치와, 슬라이더(18)의 전후 방향(X)의 변위를 허용하는 잠금 해제 위치에 걸쳐 변위 가능하게 랙 홀더(64)에 설치된다.
링크(66)는 랙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판형으로 형성된다. 이 링크(66)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는, 폭 방향 한쪽에 있어서 두께 방향 다른 쪽으로 돌출하는 잠금 핀(82)이 설치되고, 폭 방향 다른 쪽에 있어서 두께 방향 다른 쪽으로 돌출하는 링크 핀(81)이 설치된다. 링크(66)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링크 지지 구멍(83)이 형성되고, 랙 홀더(64)에 설치되는 링크 지지 핀(84)이 링크 지지 구멍(83)에 삽입 관통되어, 링크 지지 핀(84)의 축선 주위에서 각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다.
잠금 핀(82)은 잠금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더(18)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돌출부(53)에 결합하고, 슬라이더(18)의 변위를 저지한다. 또한, 링크 핀(81)은 장착 상태에서는 링크 가이드(67)에 형성되는 링크 가이드 홈(80)에 삽입 관통하고, 링크 가이드(67)가 그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변위함으로써, 링크 핀(81)을 링크 지지 핀(84)의 축선 주위에서 각 변위시킨다.
다음에, 랙 홀더(64)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3은 랙 홀더(64)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4는 랙 홀더(64)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랙 홀더(64)는 장착 상태에서는 하부 케이스(40)에 고정되고, 서브 랙(63)을 슬라이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한다. 랙 홀더(64)는 대략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두께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투영한 투영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랙 홀더(64)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두께 방향에서 보아 짧은 변이 연장되는 방향인 짧은 변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긴 변이 연장되는 긴 변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서브 랙(77)을 안내하는 서브 랙 안내 홈(85)이 형성된다. 랙 홀더(64)는 그 긴 변 방향과, 하부 케이스(40)의 짧은 변 방향이 대략 평행하게 되는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40)에 고정된다.
랙 홀더(64)의 긴 변 방향 중앙부 부근에 있어서 짧은 변 방향 한쪽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부분으로서, 아이들 기어(68)가 배치 가능한 아이들 기어 배치 공간(68a)이 형성된다. 장착 상태에서는, 회전 축선이 두께 방향 한쪽에 배치되는 아이들 기어(68)와, 두께 방향 다른 쪽에 설치되는 서브 랙(63)의 구동 출력 랙(79)이 맞물림 가능해진다.
랙 홀더(64)의 긴 변 방향 일단부에는 작동 해제 스프링(65)의 타단부가 연결되고, 작동 해제 스프링(65)은 두께 방향 다른 쪽에 배치된다. 랙 홀더(64)의 긴 변 방향 타단부에는 두께 방향 한쪽으로 돌출하는 링크 지지 핀(84)이 설치된다. 장착 상태에서는, 링크 지지 핀(84)이 링크(66)의 링크 지지 구멍(83)을 삽입 관통하여, 링크(66)를 랙 홀더(64)에 대하여 각 변위 가능하게 지지한다.
랙 홀더(64)의 긴 변 방향 타단부측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링크 핀 삽입 관통 구멍(86)이 형성되고, 장착 상태에서는 링크 핀(81)이 링크 핀 삽입 관통 구멍(86)에 삽입 관통하며, 랙 홀더(64)의 두께 방향 다른 쪽으로 돌출하여 링크 가이드 홈(80)에 삽입 관통한다. 랙 홀더(64)의 긴 변 방향 타단부측에는 잠금 핀 삽입 관통 구멍(87)이 형성되고, 장착 상태에서는 잠금 핀(82)이 잠금 핀 삽입 관통 구멍(87)에 삽입 관통되어 랙 홀더(64)의 두께 방향 다른 쪽으로 돌출한다.
다음에, 섹터 기어(69)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5는 섹터 기어(69)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6은 섹터 기어(69)를 도 55에 도시된 단면선 S55-S55를 따라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섹터 기어(69)는 아이들 기어(68)에 맞물리고, 둘레 방향 중앙부에 두께 방향 한쪽으로 돌출하는 섹터 기어용 롤러 핀(88)이 설치된다. 섹터 기어용 롤러 핀(88)은 푸시 레버(16)에 접촉하고, 섹터 기어(69)가 축선 주위에서 회전 방향 한쪽으로 각 변위함으로써, 푸시 레버(16)를 압박 방향(P1)으로 압박 조작하며, 회전 방향 다른 쪽으로 각 변위함으로써, 푸시 레버(16)로의 압박력을 해제한다.
다음에, 푸시 레버(16)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7은 푸시 레버(16)를 도시 하는 정면도이다. 도 58은 푸시 레버(16)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푸시 레버(16)는 섹터 기어(69)의 각 변위에 따라서, 압박 방향(P1)으로 슬라이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다. 푸시 레버(16)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푸시 레버 안내 홈(89)이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2 개 형성된다. 푸시 레버 안내 홈(89)은 사이드 플레이트(73)에 설치되는 가이드 샤프트(90)가 삽입 관통 가능하게 형성된다. 푸시 레버(16)의 두께 방향 일단면부에는 푸시 레버 스프링(7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 연결부(114)가 형성된다. 푸시 레버 스프링(70)의 타단부는 사이드 플레이트(73)에 형성된 제2 연결부(115)에 연결되고, 푸시 레버(16)에 압박 방향(P1)의 반대 방향인 압박 해제 방향(P2)으로 향하는 스프링력을 부여한다.
푸시 레버(16)의 폭 방향 다른 쪽에는 폭 방향 안쪽으로 움푹 패인 푸시 레버 오목부(91)가 형성되고, 장착 상태에서는 섹터 기어용 롤러 핀(88)이 접촉하여 섹터 기어(69)가 회전 방향 한쪽으로 각 변위할 때에, 항상 푸시 레버 오목부(91)에 접촉하며, 푸시 레버 스프링(70)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압박 방향(P1)으로의 압박력을 부여한다.
다음에, 사이드 플레이트(73)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9는 사이드플 레이트(73)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0은 사이드 플레이트(73)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사이드 플레이트(73)는 기어 베이스(71)와 협동하여 푸시 레버(16)를 배치하는 배치 공간을 형성하고, 이 배치 공간에 푸시 레버(16)를 슬라이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한다. 사이드 플레이트(73)는 하부 케이스(40)에 대한 위치 결정 수단으 로서 이용되고, 장착 상태에서는 하부 케이스(4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다.
사이드 플레이트(73)는 대략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두께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투영한 투영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사이드 플레이트(73)는 긴 변 방향이 하부 케이스(40)의 짧은 변 방향과 대략 평행하고, 사이드 플레이트(73)의 짧은 변 방향이 하부 케이스(40)의 두께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장착된다. 사이드 플레이트(73)는 두께 방향 한쪽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샤프트(90)가, 짧은 변 방향으로 대략 같은 위치에서 긴 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2 개 설치되고, 장착 상태에서는 각 가이드 샤프트(90)가 각 푸시 레버 안내 홈(89)에 각각 삽입 관통한다. 이에 따라 푸시 레버(16)는 사이드 플레이트(73)에 대하여 긴 변 방향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짧은 변 방향 한쪽을 향하도록 경사진 방향으로 슬라이드 변위한다. 사이드 플레이트(73)의 두께 방향 일단면부에는 푸시 레버 스프링(70)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1 연결부(114)가 형성된다.
다음에, 기어 베이스(71)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1은 기어 베이스(71)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2는 기어 베이스(71)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기어 베이스(71)는 사이드 플레이트(73)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섹터 기어(69) 및 아이들 기어(68)를 각 변위 가능하게 지지한다.
기어 베이스(71)는 대략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두께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투영한 투영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기어 베이스(71)는 긴 변 방향 및 짧은 변 방향이 사이드 플레이트(73)의 긴 변 방향 및 짧은 변 방향에 각 각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사이드 플레이트(73)에 고정된다. 기어 베이스(71)는 두께 방향 한쪽으로 돌출하는 섹터 기어용 기어 샤프트(92)와, 아이들 기어용 기어 샤프트(93)가 설치된다. 장착 상태에서, 섹터 기어용 기어 샤프트(92)는 섹터 기어(69)에 삽입 관통하여 섹터 기어(69)를 회전 축선 주위에서 각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고, 아이들 기어용 기어 샤프트(93)는 아이들 기어(68)에 삽입 관통하여 아이들 기어(68)를 회전 축선 주위에서 각 변위 가능하게 지지한다.
기어 베이스(71)에는 섹터 기어용 롤러 핀(88)이 삽입 관통 가능한 기어 베이스 삽입 관통 구멍(94)이 형성되고, 섹터 기어용 롤러 핀(88)이 삽입 관통하여 섹터 기어(69)의 각 변위에 따라 섹터 기어용 롤러 핀(88)의 변위를 허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섹터 기어용 롤러 핀(88)은 기어 베이스 삽입 관통 구멍(94)에 삽입 관통한 상태에서, 푸시 레버(16)에 형성되는 푸시 레버 오목부(91)에 접촉하여 푸시 레버 오목부(91)를 압박 조작할 수 있다
다음에, 커버 플레이트(72)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3은 커버 플레이트(72)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4는 커버 플레이트(72)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커버 플레이트(72)는 사이드 플레이트(73) 및 기어 베이스(71)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기어 베이스(71)와 협동하여 섹터 기어(69) 및 아이들 기어(68)를 배치 가능한 배치 공간을 형성한다.
커버 플레이트(72)는 대략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두께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투영한 투영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사이드 플레이트(73)는 그 긴 변 방향 및 짧은 변 방향이 기어 베이스(71)의 긴 변 방향 및 짧은 변 방향에 각각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사이드 플레이트(73) 및 기어 베이스(71)에 고정된다. 커버 플레이트(72)는 섹터 기어(69) 및 아이들 기어(68)를 덮어 각각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부터 덮도록 설치된다.
다음에, 제1 및 제2 틸트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장치 본체(14)에 각 구성 요소가 장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동작에 대한 설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장치 본체(14)의 전후 방향(X), 상하 방향(Z) 및 좌우 방향(Y)을 이용하여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5는 틸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6은 틸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5 및 도 66은 제1 틸트 동작중인 도면이다. 우선, 각 구성 요소간의 배치 관계에 관해서 설명하고, 다음에 각 구성 요소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슬라이더(18)는, 슬라이더 핀(43)과 슬라이더 구멍(50)에 의해 전방(X1)의 슬라이더 핀(43)이 슬라이더 구멍(50)의 후단과 접촉하는 신장 위치와, 후방(X2)의 슬라이더 핀(43)이 슬라이더 구멍(50)의 전단과 접촉하는 수축 위치에 걸쳐서, 수축 위치로부터 신장 위치로 향하는 전방(X1) 및 그 반대 방향이 되는 신장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로 향하는 제2 방향인 후방(X2)으로 슬라이드 변위 가능하다(도 1 참조). 슬라이더(18)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랙(51)은, 신장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의 분기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 근처에 있는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52)에 대하여 맞물림 해제되고, 분기 위치보다 신장 위치 근처에 있는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52)에 맞물린다.
서브 랙(63)은, 전방(X1)의 서브 랙 핀(77)이 서브 랙 안내 홈(85)의 전단부에 접촉하는 비작동 위치와, 푸시 레버 안내 홈(89)의 후단부가 가이드 샤프트(90)에 접촉하는 최대 작동 위치에 걸쳐서, 최대 작동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를 향하는 전방(X1) 및 비작동 위치로부터 최대 작동 위치를 향하는 후방(X2)으로 슬라이드 변위 가능하다.
작동 해제 스프링(65) 및 걸림 스프링(76)은, 롤러 핀(44)이 걸림 위치에 있는 인입 레버(74)에 전방(X1)측으로부터 접촉하여 후방(X2)으로 변위하는 경우, 서브 랙(63)의 후방(X2)으로의 변위를 저지한 상태에서, 인입 레버(74)의 걸림 해제 방향(74B)으로의 변위를 허용하는 스프링력으로 각각 설정되어 있다.
서브 랙(63)에 형성되는 구동 입력 랙(78)은, 비작동 위치와 최대 작동 위치 사이의 구동 입력 시작 위치보다 비작동 위치 근처에 있는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52)에 대하여 맞물림 해제되고, 구동 입력 시작 위치로부터 최대 작동 위치 근처에 있는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52)에 맞물린다. 서브 랙(63)에 형성되는 구동 출력 랙(79)은, 구동 입력 시작 위치에 비해 최대 작동 위치에 가까운 구동 출력 시작 위치보다 비작동 위치 근처에 있는 상태에서는 아이들 기어(68)에 대하여 맞물림 해제되고, 구동 출력 시작 위치로부터 최대 작동 위치 근처에 있는 상태에서는 아이들 기어(68)에 맞물린다.
서브 랙(63)은 전방(X1)을 향하는 스프링력이 작동 해제 스프링(65)에 의해 부여되기 때문에, 롤러 핀(44)에 의한 압박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와, 각 랙이 각 기어에 맞물림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비작동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 태가 유지되어 비작동 위치로부터 원하지 않게 변위되는 것이 방지된다.
푸시 레버(16)는, 구동 기구체(20)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제1 패널 홀더(21)를 각 변위시키는 제2 틸트 작동부로서, 푸시 레버 안내 홈(89)과 가이드 샤프프(90)에 의해 압박부(17)를 전방(X1)으로 가장 강하게 압박하는 돌출 위치와, 압박부(17)의 전방(X1)으로의 압박이 해제되는 퇴피(退避) 위치에 걸쳐서, 퇴피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 향하는 압박 방향(P1) 및 돌출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향하는 압박 해제 방향(P2)으로 변위 가능하다. 돌출 위치에서는 가이드 샤프트(90)가 푸시 레버 안내 홈(89)의 후단부에 접촉되어 푸시 레버(16)의 압박 방향(P1)으로의 변위가 규제되고, 퇴피 위치에서는 가이드 샤프트(90)가 푸시 레버 안내 홈(89)의 전단부에 접촉하여 푸시 레버(16)의 압박 해제 방향(P2)으로의 변위가 규제된다. 푸시 레버(16)에는 푸시 레버 스프링(70)에 의해 압박 해제 방향(P2)으로의 스프링력이 주어진다.
다음에, 각 구성 요소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초기 상태에서는 슬라이더(18)가 신장 위치에 배치되고, 푸시 레버(16)는 퇴피 위치(도 65 참조)에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모터(55)로부터 구동력이 부여되고, 피니언 기어(52)가 회전 방향 한쪽으로 변위하며, 푸시 레버(16)가 돌출 위치에 배치 되기까지의 동작을 설명한다.
(1) 슬라이더(18)가 신장 위치에 있는 상태, 다시 말하면 제1 섀시(11)의 두께 방향과 상하 방향(Z)이 대략 평행인 상태(도 1 참조)에서 모터(55)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어 피니언(52)이 회전 방향 한쪽(R1)으로 회전하면, 슬라이더(18)는 신 장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랙(51)이 피니언 기어(52)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후방(X2)으로 슬라이드 변위한다(도 66 참조). 슬라이더(18)가 피니언 기어(52)에 의해 후방(X2)으로 슬라이드 변위하면, 제1 섀시 안내 핀(32)이 제1 섀시 안내 홈(33)에 의해 위쪽으로(Z1)으로 슬라이드 변위한다.
도 67은 틸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롤러 핀(44)이 인입 레버(74)에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2) 슬라이더(18)는 후방(X2)으로 더 변위하면, 걸림 위치에 있는 인입 레버(74)의 테이퍼 부분(74b)에 전방(X1)측으로부터 접촉한다.
도 68은 틸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롤러 핀(44)이 조작 시작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3) 또한, 슬라이더(18)는 후방(X2)으로 더 변위하면, 작동 해제 스프링(65) 및 걸림 스프링(76)은 서브 랙(63)의 후방(X2)으로의 변위를 저지한 상태에서, 인입 레버(74)의 걸림 해제 방향(74B)으로의 변위를 허용하는 스프링력으로 각각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인입 레버(74)만을 걸림 해제 방향(74B)으로 변위시켜, 롤러 핀(44)이 인입 오목부(74c)(조작 시작 위치)에 배치되고, 서브 랙 본체(75)에 전방(X1)측으로부터 접촉한다.
(4) 슬라이더(18)가 후방(X2)으로 더 변위하면, 슬라이더(18)의 후방(X2)의 변위에 따라 서브 랙 본체(75)를 후방(X2)으로 압박 조작한다. 이에 따라 서브 랙(63)은 롤러 핀(44)으로부터 부여되는 구동력에 의해 비작동 위치로부터 후방(X2)으로 슬라이드 변위한다.
(5) 서브 랙(63)은 슬라이드(18)의 변위를 수반하여 슬라이드 변위하고, 서 브 랙(63)이 구동 입력 시작 위치에 배치되며, 피니언 기어(52)가 구동 입력(78)과 맞물린다. 따라서, 피니언 기어(52)는 구동 입력 랙(78)과 슬라이드 랙(51) 양방에 맞물려 있다. 피니언 기어(52)에서 회전하면 서브 랙(63) 및 슬라이더(18)가 후방(X2)으로 변위하여, 슬라이더(18)가 소정 위치인 분기 위치에 배치된다. 슬라이더(18)가 분기 위치에 배치되면 슬라이드 랙(51)과 피니언 기어(52)가 맞물림 해제된다.
(6) 또한, 피니언 기어(52)가 회전 방향 한쪽(R1)으로 회전하면, 서브 랙(63) 만이 피니언 기어(52)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서브 랙(63)이 후방(X2)으로 슬라이드 변위한다. 롤러 핀(44)이 인입 레버(74)에 걸려있기 때문에, 서브 랙(63)의 후방(X2)으로의 변위에 수반하여 슬라이더(18)도 후방(X2)으로 변위하고, 슬라이더(18)가 수축 위치에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인입 레버(74)에 의해 슬라이더(18)는 분기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까지 인입된다.
슬라이더(18)가 수축 위치에 배치되면 제1 섀시 안내 핀(32)이 가장 위쪽(Z1) 근처의 위치에 배치되고, 제1 섀시(11)는 제1 섀시(11)의 두께 방향과 전후 방향(X)이 대략 평행하게 되는 기준 위치에 배치된다.
(7) 슬라이더(18)가 수축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부터 모터(55)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면, 슬라이더(18)는 수축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랙(51)이 피니언 기어(52)에 맞물림 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18)는 피니언 기어(52)의 회전에 의해 후방(X2)으로의 슬라이드 변위가 행해지지 않지만, 서브 랙(63)의 구동 입력 랙(78)은 피니언 기어(52)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서브 랙(63)이 후방(X2) 으로 슬라이드 변위한다. 또한, 피니언 기어(52)가 회전하면 서브 랙(63)이 후방(X2)으로 변위하고, 인입 레버(74)가 롤러 핀(44)에 대하여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걸림 해제 방향(74B)으로 변위한다.
(8) 또한, 서브 랙(63)이 후방(X2)으로 변위되어 구동 출력 시작 위치에 배치되면, 구동 출력 랙(79)이 아이들 기어(68)에 맞물린다. 여기서부터 제2 틸트 동작이 시작된다.
도 69는 틸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슬라이더(18)가 수축 위치에 배치되어 푸시 레버(16)가 돌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0은 틸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슬라이더(18)가 수축 위치에 배치되고, 푸시 레버(16)가 돌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9) 또한, 서브 랙(63)이 후방(X2)으로 변위되면 2가지 동작이 동시에 진행한다. 한 동작은 슬라이더(18)를 수축 위치에 잠금하는 잠금 동작이며, 다른 동작은 제2 틸트 동작이다.
잠금 동작에서는, 링크 가이드(67)에 형성되는 링크 가이드 홈(80)에 의해서 링크 핀(81)이 링크 지지 핀(84)의 축선 주위로 각 변위하고, 잠금 핀(82)이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에 배치된다. 잠금 핀(82)이 잠금 위치에 배치되면 잠금 핀(82)이 슬라이드 돌출부(53)에 결합하고, 슬라이더(18)의 전후 방향(X)으로의 변위를 규제한다.
다른 동작인 제2 틸트 동작에서는, 서브 랙(63)이 후방(X2)으로 변위되면 구동 출력 랙(79)에 의해 아이들 기어(68)가 회전하고, 아이들 기어(68)에 맞물리는 섹터 기어(69)가 회전한다. 섹터 기어(69)가 회전하면 섹터 기어용 롤러 핀(88)이 푸시 레버 스프링(70)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푸시 레버 오목부(91)를 압박 조작하고, 푸시 레버(16)를 퇴피 위치로부터 압박 방향(P1)으로 변위시켜 돌출 위치까지 변위시킨다. 푸시 레버(16)의 전단부는 압박부(17)를 압박하여 제2 틸트 동작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압박부(17)가 푸시 레버(16)에 의해 압박되면, 제2 틸트 복귀 스프링(24)의 후방(X2)으로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제1 패널 홀더(21)가 제2 패널 홀더(22)를 따라 폐쇄 위치로부터, 제1 및 제2 패널 홀더(21, 22)의 각각의 일 측부의 회전 축선 주위에서 제1 패널 홀더(21)의 타측부가 제2 패널 홀더(22)의 타측부에 대하여 이격되는 방향으로 각 변위한다. 또한, 압박부(17)가 푸시 레버(16)에 의해 압박되면 커버(19)는 제1 패널 홀더(21)의 각 변위 동작에 연동하여 조출 및 수납 동작을 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118)가 신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피니언 기어(52)가 회전 방향 한쪽으로 회전하고, 푸시 레버(16)가 돌출 위치에 배치되며, 제1 패널 홀더(21)가 개방 위치에 배치된다. 푸시 레버(16)가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피니언 기어(52)가 회전 방향 다른 쪽(R2)으로 변위하면, 역순으로 슬라이더(18)가 신장 위치에 배치된다.
특히, 롤러 핀(44)이 서브 랙 본체(75)를 후방(X2)으로 압박 조작 가능한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52)를 회전 방향 다른 쪽(R2)으로 회전시키면 롤러(44)는 인입 레버(74)가 걸림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X1)으로의 변위가 인입 레 버(74)에 의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18)를 전방(X1)으로 변위시키면 롤러 핀(44)은 인입 레버(74)를 전방(X1)으로 압박 조작하기 때문에, 서브 랙(63)이 비작동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슬라이더(18)를 전방(X1)으로 변위시키면 인입 레버(74)가 걸림 해제 방향(74B)으로 변위하며, 슬라이더(18)가 원활히 전방(X1)으로 변위되면서, 서브 랙(63)이 비작동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제2 틸트 동작에서부터 제1 틸트 동작으로 옮긴다.
이상,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틸트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1 틸트 기구체는 슬라이더(18), 제1 섀시 안내 핀(32) 및 제1 섀시 안내 홈(33)을 포함하여 실현되고, 제2 틸트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2 틸트 기구체는 제1 및 제2 패널 홀더(21, 22), 커버(19), 제2 틸트 복귀 스프링(24), 푸시 레버(16), 섹터 기어(69), 및 롤러 핀(44)을 포함하여 실현된다. 제1 틸트 기구체는 유닛(39)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에 의해 동작 가능하기 때문에, 유닛(39)의 착탈에 상관없이 구동 기구체(20)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제1 틸트 기구체에 전달하는 제1 구동 계통(系統)은 슬라이드 랙에 의해 실현되고,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제2 틸트 기구체에 전달하는 제2 구동 계통은 구동 입력 랙에 의해 실현된다.
서브 랙(63), 작동 해제 스프링(65), 인입 레버(74), 걸림 스프링(76) 및 링크(66)는, 구동 기구체(20)로부터의 구동력이 제1 틸트 기구체에 전달되는 제1 구동 상태와, 구동 기구체(20)로부터의 구동력이 제2 틸트 기구체에 전달되는 제2 구동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부로서 기능한다. 다시 말하면, 전환부는 패널 디스플레 이(13)를 기준 위치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제1 구동 계통과 제2 구동 계통의 구동원의 접속을 전환한다.
틸트 장치(10)는, 제1 및 제2 틸트 동작의 동시 실행이 불가능하다. 제2 틸트 동작이 실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1 틸트 동작은 그 실행이 불가능하고, 또한 제1 섀시가 기준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는, 피니언 기어(52)를 회전 방향 다른 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실행 가능하다. 제2 틸트 동작은 제1 틸트 동작이 실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푸시 레버(16)가 변위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실행 불가능하며, 또한 제1 섀시가 기준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는, 피니언 기어(52)를 회전 방향 한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실행 가능하다.
제2 틸트 동작중에 제1 틸트 동작이 지시되면 푸시 레버(116)를 후퇴 위치에 배치하고, 제1 패널 홀더(21)를 기준 위치에 복귀시킨 후, 그 동작에 연속하여 제1 틸트 동작을 실행하며, 제1 틸트 동작중에 제2 틸트 동작이 지시되면 제1 섀시를 기준 위치에 복귀시킨 후, 그 동작에 연속하여 제2 틸트 동작을 실행한다.
다음에,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12)의 전기적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1은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12)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2는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12)의 패널 디스플레이(13)에 의해 표시되는 조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틸트 장치(10)와, 패널 디스플레이(13)와, 주 제어부(95)와, 미디어를 읽는 드라이브(9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널 디스플레이(13)에는 스위치(97)와, 터치 패널(98)과, 액정 모니터(99)가 설치되고, 조작자가 스위치(97) 또는 터치 패널(98)을 조작함으 로써 주 제어부(95)에 조작 정보가 부여된다. 액정 모니터(99)는 주 제어부(95)로부터 부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드라이브(96)는 각종 미디어의 정보를 판독하고, 그 정보를 주 제어부(95)에 부여한다.
주 제어부(95)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처리 회로에 의해 실현되고, 각각의 부분을 제어한다. 주 제어부(95)는 터치 패널(98)이 조작되어 틸트 동작의 지령 정보가 부여되면 틸트 장치(10)에 제어 정보를 부여하고, 틸트 장치(10)를 제어한다. 주 제어부(95)는 틸트 장치(10)의 구동 기구체(20)가 구비하는 기구 제어부(57)로부터 부여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기구 제어부(57)에 지령을 부여하고, 피니언 기어(52)를 회전시켜 배치 상태를 제어한다. 따라서, 패널 디스플레이(13)를 원하는 각도에 배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틸트 장치(10)에 의하면 제1 틸트 동작과 제2 틸트 동작간의 동작 이행(移行) 시에는 패널 디스플레이(13)를 기준 위치에 배치시킨 후에 동작 이행 목적지로의 틸트 동작을 시작한다. 따라서, 제1 틸트 동작 및 제2 틸트 동작은 항상 기준 위치를 동작 시작 위치로 하여 각 동작이 시작되기 때문에, 원하지 않게 패널 디스플레이(13)가 변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희망 위치에 패널 디스플레이(13)를 배치할 수 있고, 조작자는 패널 디스플레이(13)를 시가적으로 인식하기 용이한 위치, 예컨대 일광이 반사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틸트 동작은 기준 위치로부터 어느 한쪽 측부를 다른 쪽 측부에 대하여 각 변위시키기 때문에, 패널 디스플레이(13)가 장치 본체(14)에 대하여 제1 및 제2 틸트 동작을 제외한 나머지 동작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기술과 같이 제1 및 제2 틸트 동작시키는 경우, 패널 디스플레이(13)가 장치 본체(14)에 대하여, 예컨대 전방(X1)을 따라서 변위하여 장치 본체(14)에 대하여 돌출하는 등의 원하지 않는 변위를 본 발명에서는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패널 디스플레이(13)에 대하여, 제1 및 제2 틸트 동작을 기계 구동에 의해 실행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기술과 같이 수동으로 틸트 동작시키는 것보다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패널 디스플레이(13)를 조작자가 희망 위치에 간편히 배치할 수 있고, 또한 희망 위치로부터 원하지 않게 변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틸트 동작의 동시 실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틸트 동작이 동시에 실행되어 패널 디스플레이(13)가 장치 본체(14)에 대하여 원하지 않게 변위되는 것을 막고,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틸트 동작은 기준 위치에 같이 있는 상태에서부터 실행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각 틸트 동작은 기준 위치에서부터 실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준 위치로부터 떨어져 있는 한쪽의 틸트 동작 중에 다른 쪽의 틸트 동작을 실행시키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제1 및 제2 틸트 동작을 동시에 실행 불가능한 틸트 장치(10)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한쪽 틸트 동작 중에 다른 쪽 틸트 동작이 지시된 경우라도, 패널 디스플레이(13)의 기준 위치를 반환 위치로서, 제1 및 제2 틸트 동 작을 연속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순조롭게 패널 디스플레이(13)를 동작시켜 희망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틸트 동작을 각각 실행하기 위한 제1 및 제2 틸트 기구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틸트 동작을 개별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2 틸트 기구체는 제1 틸트 동작하는 제1 틸트 기구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2 틸트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틸트 동작에 의해 제2 패널 홀더(22)를 각 변위시키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제2 틸트 동작을 행하지 않으면서, 제1 틸트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커버(19)를 구비함으로써, 제1 패널 홀더(21)와 제2 패널 홀더(22) 사이에 먼지 및 이물 등이 원하지 않게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침입한 이물 등에 의해서 틸트 장치(10) 및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12)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보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커버(19)는 강성의 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2 틸트 기구체의 강성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외력에 의해 틸트 장치(10)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2 틸트 동작중에 패널 디스플레이(13)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서 패널 디스플레이(13)가 원하지 않게 변위되는 것을 커버(19)에 의해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19)에 의해 이물 등의 침입 방지 효과 및 패널 디스플레이(13)의 변위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제2 틸트 기구체의 강성 강도를 높이기 위한 부재를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틸트 기구의 제작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제1 패널 홀더(21)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제1 패널 홀더(21)와 제2 패널 홀더(22) 사이를 커버(19)에 의해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패널 홀더(21)와 제2 패널 홀더(22) 사이에 간극이 생겨 이물이 침입할 우려가 있을 때에만, 커버(19)로 덮을 수 있고, 제1 패널 홀더(21)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커버(19)는 수납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틸트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커버(19)는 제1 패널 홀더(21)의 각 변위 동작에 연동하여 조출 및 수납 동작하기 때문에, 제1 틸트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1 패널 홀더(21)와 제2 패널 홀더(22)에 간극이 생긴 경우에만, 간극을 덮을 수 있다. 또한, 커버(19)를 동작시키기 위한 특별한 동작을 행하지 않고, 다시 말하면 커버(19)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키지 않고, 커버(19)를 제2 틸트 동작에 연동시켜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 틸트 장치(10)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커버 가이드(23)에 의해 안내되는 부분 및 커버 가이드(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마찰 저항이 작은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각각의 부분이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소음 및 충격을 가급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틸트 동작에 의한 소음에 의해 조작자 등에게 불쾌감을 부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원활히 제2 틸트 동작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 틸트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원의 정격 출력을 아주 작게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틸트 장치(10)의 소형화 및 제작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닛(39)의 착탈에 상관없이, 제1 틸트 기구체는 구동 기구체(20)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제1 틸트 기구체만으로 독립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틸트 동작이 실행 가능한 기구체에 상기 유닛(39)을 장착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틸트 동작이 실행 가능한 기구체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패널 홀더(21)를 전방(X1)으로 압박하는 푸시 레버(16)에 의해 제2 패널 홀더(22)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 각 변위시킬 수 있고, 푸시 레버(16)에 의한 압박력이 해제되면 제1 패널 홀더(21)에 후방(X2)으로의 스프링력을 부여하는 제2 틸트 복귀 스프링(24)에 의해서 제2 패널 홀더(22)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해 각 변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푸시 레버(16)와 제1 패널 홀더(21)를 별개의 부재로 설치함으로써, 제1 틸트 기구에 의한 제1 틸트 동작을 저해하지 않고, 제2 틸트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푸시 레버(16)를 단순히 전방(X1)으로 변위시키는 경우에 비해 푸시 레버(16)의 압박 방향(P1)으로의 변위량에 대한 제1 패널 홀더(21)의 각 변위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시 레버(16)의 변위량이 크더라도, 제1 패널 홀더(21)의 각 변위량은 작기 때문에, 푸시 레버(16)의 변위량을 고정밀도로 제어하지 않더라도, 제1 패널 홀더(21)를 용이하게 고정밀도로 정렬할 수 있고, 제1 패널 홀더(21)의 정렬의 재현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푸시 레버(16)의 변위량을 고정밀도로 제어하지 않고, 제1 패널 홀더(21)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패널 홀더(21)의 푸시 레버(16)가 접촉하는 부분 및 푸시 레버(16)의 제1 패널 홀더(21)에 접촉하는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마찰 저항이 작은 재료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각각의 부분이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충돌음 및 충격을 가급적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부분이 접촉할 때에 발생하는 충돌음에 의해 조작자 등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1 패널 홀더(21)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원활히 각 변위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패널 홀더(21)를 각 변위시키기 위한 구동원의 정격 출력을 아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틸트 장치(10)의 소형화 및 제작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력을 제1 틸트 기구체에 전달하는 제1 구동 상태와, 상기 구동력을 제2 틸트 기구체에 전달하는 제2 구동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하나의 구동 기구체(20)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제1 및 제2 틸트 동작을 실행할 수 있고, 또한 제1 및 제2 틸트 동작을 연속하여 실행할 수 있다. 구동 기구체(20)가 하나이어도 좋으며, 즉 구동 기구체(20)를 겸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각의 동작의 제어를 간단히 할 수 있고, 틸트 장치(10)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구동 기구체(20)를 겸용함으로써, 틸트 장치(10)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슬라이더(18)가 분기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 부근에서는 피니언 기어(52)와 맞물림 해제되기 때문에, 슬라이더(18)가 분기 위치 부근에서 불안정한 상태이지만, 인입 레버(74)가 서브 랙(63)의 후방(X2)으로의 변위에 따라, 롤러 핀(44)을 통해 슬라이더(18)를 분기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로 슬라이 드 변위시키기 때문에, 슬라이더(18)가 원하지 않게 변위하여 각 부재의 변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각각의 부분을 원활히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축 위치로 변위된 슬라이더(18)의 전후 방향(X)의 변위를 저지하는 잠금 핀(82)에 의해서, 슬라이더(18)가 수축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부터 원하지 않게 변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8)가 원하지 않게 변위되어 제1 및 제2 틸트 동작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유닛(39)은 각각의 구성 요소가 대략 판형으로 형성되고, 전방(X1)에서 보아 대략 L 자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장치 본체(14)의 간극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유닛(39)을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제1 틸트 동작만 실행 가능한 틸트 장치(10)의 구성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유닛(39)을 간극 스페이스에 배치함으로써, 제2 틸트 동작을 실행 가능한 틸트 장치(10)를 실현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가동부는 패널 디스플레이(13) 및 패널 디스플레이(13)를 유지하는 제1 패널 홀더(21)에 의해 실현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패널 디스플레이(13)에 의해서만, 조작부를 유지하는 제1 패널 홀더 및 조작부에 의해서만 실현하더라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12)에 의해 실현되어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차량 탑재에 한하지 않은 오디오 장치에 의해 실현하더라도 좋고, 텔레비전 장치 등의 표시 장치로서 실현하더라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일 표면부를 따라 기준 위치로부터 제1 및 제2 틸트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73a 내지 도 73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200)를 간략히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체인 패널 디스플레이(13) 및 패널 디스플레이(13)를 유지하는 제1 패널 홀더(21)의 양측부를 지지하고, 상기 패널 디스플레이(13) 및 패널 디스플레이(13)를 유지하는 제1 패널 홀더(21)를 각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패널 홀더(22)와, 제2 패널 홀더(22)의 한쪽을 전방으로 변위시키며, 상기 패널 디스플레이(13), 패널 디스플레이(13)를 유지하는 제1 패널 홀더(21) 및 제1 패널 홀더(21)를 지지하는 제2 패널 홀더(22)를 경사지게 하는 제1 틸트 동작을 행하는 제1 구동부(도시 생략)와, 패널 디스플레이(13) 및 패널 디스플레이(13)를 유지하는 제1 패널 홀더(21)의 다른 쪽을 상기 제2 패널 홀더(22)의 다른 쪽으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패널 디스플레이(13) 및 패널 디스플레이(13)를 유지하는 제1 패널 홀더(21)를 각 변위시키는 제2 틸트 동작을 행하는 제2 구동부(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예컨대, 도 7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구동부를 구동시켜, 패널 디스플레이(13), 제1 패널 홀더(21) 및 제2 패널 홀더(22)가 일 표면부를 따라 기준 위치로부터, 도 7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디스플레이(13), 제1 패널 홀더(21) 및 제2 패널 홀더(22)의 일 측부가 다른 측부보다 전방(X1)에 배치되고, 제2 구동부를 구동시켜 도 7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디스플레이(13) 및 제1 패널 홀더(21)의 다른 쪽을 제2 패널 홀더(22)의 다른 쪽에 대하여 전방에 배치하도록 변위 시키더라도 좋다.
또한, 예컨대 도 7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디스플레이(13), 제1 패널 홀더(21) 및 제2 패널 홀더(22)가 일 표면부를 따라 기준 위치로부터, 도 73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구동부를 구동시켜 패널 디스플레이(13) 및 제1 패널 홀더(21)의 다른 쪽을 제2 패널 홀더(22)의 다른 쪽보다 전방(X1)으로 배치하고, 도 73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구동부를 구동시켜 패널 디스플레이(13), 제1 패널 홀더(21) 및 제2 패널 홀더(22)의 일측부를 전방(X1)으로 변위시키더라도 좋다. 다시 말하면 패널 디스플레이(13) 및 제1 패널 홀더(21)의 일측부와 다른 측부를 개별적으로 변위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경우, 패널 디스플레이(13) 및 제1 패널 홀더(21)의 일측부와 다른 측부가 개별적으로 변위 구동되기 위해, 패널 디스플레이(13), 제1 패널 홀더(21) 및 제2 패널 홀더(22)의 제1 틸트 동작을 행하는 구동원 및 구동 장치, 패널 디스플레이(13) 및 제1 패널 홀더(21)의 제2 틸트 동작을 행하는 구동원 및 구동 장치 중 적어도 2 개의 구동원 및 구동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제2 틸트 동작을 행하는 구동원 및 구동 장치를 장치 본체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패널 디스플레이(13), 제1 패널 홀더(21) 및 제2 패널 홀더(22)에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패널 디스플레이(13)의 배치 위치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조작자가 추가로 원하는 각도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틸트 장치(310)에 관해서, 도 76 내지 도 8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6은 제2 실시예의 틸트 장치(310)를 개략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7은 틸트 장치(310)을 도 76에 도시된 단면선 A-A를 따라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311)를 틸팅 가능, 즉 틸트 가능하게 구성하는 틸트 장치(310)의 일례를 도시한다.
틸트 장치(310)는, 예컨대 전자기기인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에 설치되고, 차량 탑재 오디오 장치에 마련되는 가동부,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311)를 틸트 동작시키는 장치이다. 틸트 장치(310)에는 지지체(312)와 구동원(313)이 포함된다. 틸트 장치(310)는 이른바 틸트 기구이며, 디스플레이(311)를 틸팅 가능하게 구성된다. 틸트 장치(310)는 지지체(312)에 의해 디스플레이(311)를 지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틸트 장치(310)는 지지체(312)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311)를 구동원(313)에 의해 틸팅 구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틸트 장치(310)는 예컨대 차량에서의 폭 방향 중앙에 대하여 폭 방향 한 방향 및 다른 방향으로 대략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후, 틸트 장치(310)의 폭 방향의 한쪽 단면도를 도시하고, 폭 방향의 다른 쪽 단면도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78은 디스플레이(31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9는 디스플레이(311)를 폭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디스플레이(311)는 대략 직방체로 형성되고, 그 두께 방향에 수직한 가상 평면으로 절단하여 본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대략 직방체」는 직방체를 포함하고, 상기 「대략 직사각형 모양」은 직사각형 모양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311)에는 두께 방향에 수직한 일 표면부에 표시부(314)가 형성된다. 또한, 디스플레이(311) 중 상기 폭 방향에 수직한 제1 측면부(315) 및 제2 측면부(316)에 가이드부(317)가 형성된다. 회전 운동 축 및 결합부인 가이드부(317)는 대략 원주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대략 원주형」은 원주형을 포함한다.
제1 측면부(315)에 있어서, 가이드부(317a, 317b)가 디스플레이(311)의 높이 방향 일단부 근방 및 타단부 근방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들 가이드부(317a, 317 b)는 표시부(314)가 형성되는 표면부의 이면부 근처에 부설(付設)되는 동시에, 각각의 가이드부(317a, 317b)의 중심축이 디스플레이(311)의 폭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대략 평행」은 평행을 포함한다. 제2 측면부(316)에서, 가이드부(317c, 317d)가 디스플레이(311)의 높이 방향 일단부 및 타단부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들 가이드부(317c, 317d)도 상기 이면부 근처에 부설되는 동시에, 각각의 가이드부(317c, 317d)의 중심축이 디스플레이(311)의 폭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대략 평행」은 평행을 포함한다. 가이드부(317)가 결합부를 구성하고, 구체적으로 가이드부(317a, 317c)가 한 쌍의 제1 결합부를 구성하며, 가이드부(317b, 317d)가 한 쌍의 제2 결합부를 구성한다.
즉, 디스플레이(311)의 각 측면부(315, 316)에는 디스플레이(311)의 폭 방향 바깥쪽으로 소정 거리만큼 약간 돌출하도록 가이드부(317)가 형성된다. 가이드부(317)는 디스플레이(311)의 폭 방향 대략 중앙에 대하여 면 대칭이 되도록 제1 및 제2 측면부(315, 316)에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제1 측면부(315)의 높이 방향 일단부 근방에 형성되는 가이드부(317)를 제1 가이드부(317a)라고 부르고, 타단부 근방에 형성되는 가이드부(317)를 제2 가이드부(317b)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가이드부(317)는 제2 측면부(316)의 높이 방향 일단부 근방에 형성되는 가이드부 (317)를 제3 가이드부(317c)라고 부르고, 타단부 근방에 형성되는 가이드부(317)를 제3 가이드부(317d)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다만 가이드부(317)는 디스플레이(311)가 폭 방향에 수직한 표면부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311)의 높이 방향에 수직한 표면부에 설치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 가이드부(317)는 디스플레이(311)의 폭 방향 일단부 근방 및 타단부 근방에 있어서, 표시부가 형성되는 표면부의 이면부 근처에 가이드부(317)의 중심축이 디스플레이(311)의 높이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각 측면부에 설치된다.
가이드부(317)에는 가이드 축(318)과 축 스프링 부재(319)와 축 캡 부재(320)가 포함된다. 제1 내지 제4 가이드부(317a, 317b, 317c, 317d)는 동일 구조이기 때문에, 제2 측면부(316)의 높이 방향 일단부 근방에 형성되는 제3 가이드부(317c)에 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그 밖의 가이드부(317a, 317b, 317d)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가이드 축(318)은 대략 원주형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축(318)은 디스플레이(311)의 폭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제2 측면부(316)의 높이 방향 일단부에 있어서, 표시부(314)가 형성되는 표면부의 이면부 근처에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 축(318)은 중심축이 상기 폭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 축(318)에는 이 축 스프링 부재(319)가 외장된다. 이 축 스프링 부재(319)는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형성된다. 축 스프링 부재(319)는 스프링 높이가 가이드 축(318)의 축 방향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스프링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가이드 축(318)에는 축 스프링 부재(319) 및 가이드 축(318)을 끼워 맞추도록 축 캡 부재(320)가 설치된다. 축 캡 부재(320)는 대략적으로는 바닥이 있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축 캡 부재(320) 중 축 방향 일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된다. 축 캡 부재(320)는 가이드 축(318) 및 축 스프링 부재(319)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축 스프링 부재(319)에 의해 탄성 복귀력이 압박되고, 축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구성된다. 축 캡 부재(320)는 미끄럼 이동성이 좋은 재료, 예컨대 폴리아세탈에 의해 형성된다. 다만 이러한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가이드 축(318)에 축 스프링 부재(319) 및 축 캡 부재(320)를 끼워 맞춤으로써, 디스플레이(311)에 4 개의 가이드부(317)를 설치할 수 있다.
도 80은 수납 케이스(321)를 도 76에 도시된 단면선 A-A를 따라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81은 제1 슬라이드 부재(334a)를 두께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2는 제2 슬라이드 부재(334b)를 두께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3은 베이스(325)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6 및 도 7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4는 가이드 홈부(332), 제1 피결합부(336a), 제2 피결합부(336b), 제3 피결합부(336c) 및 제4 피결합부(336d)와 가이드부(317)가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5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34a, 334b)와 피니언 기어(346)를 포함하는 영역(L2)을 확대하여 화살 부호(M)와 반대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6은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34a, 334b)와 인장 스프링 부재(351)를 포함하는 영역(L3)을 확대하여 화살 부호(M)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7은 제1 피결합부(336a)와 제2 피결합부(336b)를 포함하는 영역(L1)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6 내지 8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311)는 4 개의 가이드부(317)가 지지체(312)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체(312)에는 수납 케이스(321)와, 후술하는 슬라이드 지지체(334) 및 베이스(335)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지지체(325)가 포함된다. 제1 지지 부재인 수납 케이스(321)는 디스플레이(311)를 지지하면서 수납 가능하게 구성된다. 수납 케이스(321)는 대략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이며, 깊이 방향에 수직한 가상 평면으로 절단하여 본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수납 케이스(321)에서 도 7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321)의 폭 방향을 M 축 방향으로서 화살 부호(M)로 도시하고, 수납 케이스의 깊이 방향을 L 축 방향으로서 화살 부호(L)로 도시하며, 수납 케이스의 높이 방향을 N 축 방향으로서 화살 부호 N으로 도시한다. 또한, 화살 부호(L)에 평행한 방향을 L 방향이라고 칭하고, 화살 부호(M)에 평행한 방향을 M 방향이라고 칭하며, 화살 부호(N)에 평행한 방향을 N 방향이라고 칭한다.
수납 케이스(321)는 안쪽에 L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납 구멍(326)이 형성되고, 디스플레이(311)가 끼워 맞춤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수납 케이스(321)는 상기 수납 구멍(326)에 의해 디스플레이(311)를 수납 가능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수납 케이스(321)에서 수납 구멍(326) 부분을 L 방향에 수직한 가상 평면으로 절단하여 본 단면이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디스플레이(311)의 폭 방향과 M 방향이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디스플레이(311)가 배치되어 수납 가능하게 형성된다. 다만 수납 케이스(321)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납 케이스(321)는 예컨대 L 방향으로 움푹 패인 상자형 케이스라도 좋고, 디스플레이(311)를 수납 가능하면 좋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311)의 폭 방향을 단순히 M 방향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수납 케이스(321)에는 안내 기구인 가이드 홈부(332)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부(332)는 수납 케이스(321) 중 수납 구멍(326)을 향하는 제1 내표면부(327) 및 제2 내표면부(328)에 각각 형성된다. 수납 케이스(321)는 상기 가이드 홈부(332)에 가이드부(317)를 결합시켜 디스플레이(311)를 지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 지지 부재의 피결합부인 가이드 홈부(332)는 가이드부(317)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또한 가이드부(317)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 홈부(332)는 M 방향으로 약간 움푹 패인 홈부이며, 제1 홈부(330)와 한 쌍의 제2 홈부(331)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홈부(330)는 N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홈부이며, 제1 및 제2 내표면부(327, 328)의 N 방향 길이의 대부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홈부(331)는 L 방향에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서로 평행한 홈부이다. 각 제2 홈부(331)의 L 방향 일단부는 L 방향 바깥쪽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제2 홈부(331) 중 한쪽의 제2 홈부(331)의 L 방향 타단부가 제1 홈부(330)의 N 방향 일단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다른 쪽 제2 홈부(331)의 L 방향 타단부가 제1 홈부(330)의 N 방향 타단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대략 コ 형의 홈인 가이드 홈부(332)가 형성된다. 가이드 홈부(332)는 일단 및 타단이 L 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가이드 홈부(332)에서 제1 홈부(330)와 제2 홈부(331)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외직경 부분에 한 쌍의 코너부(333)가 형성된다. 이 한 쌍의 코너부(333)는 둥글게 모따기되 어 있고, 한 쌍의 코너부(333)에 한 쌍의 가이드부(317)가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즉, 한 쌍의 코너부(333) 중 한쪽에 가이드부(317) 중 한쪽, 예컨대 제1 가이드부(317a)가 결합하는 경우, 다른 쪽 코너부(333)에 다른 쪽 가이드부(317), 예컨대 제2 가이드부(317b)가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코너부(333)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가 각 측면부에 마련된 가이드부(317)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제1 가이드부(317a)와 제2 가이드부(317b) 사이의 거리, 및 제3 가이드부(317c)와 제4 가이드부(317d)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317)는 가이드 홈부(332)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가이드 홈부(332)는 가이드부(317)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317)가 가이드 홈부(332)를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수납 케이스(321)는 디스플레이(311)를 수납 가능하게 구성되고, 가이드 홈부(332)에 가이드부(317)를 결합시켜 디스플레이(311)를 지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수납 케이스(321)는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수지(ABS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디스플레이(311)는 슬라이드 지지체(334)와 베이스(335)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지지체(325)의 슬라이드 지지체(334)에 의해 가이드부(317)가 결합되어 지지된다. 한 쌍의 디스플레이 지지체(325)는 제1 부재를 구성하는 한쪽 디스플레이 지지체(325a)의 일부인 슬라이드 지지체(334)가 디스플레이(311)의 높이 방향 일단부에 형성되는 2 개의 가이드부(317)인 제1 및 제3 가이드부(317a, 317c)를 결합 지지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한 쌍의 디스플레이 지지체(325)는 제2 부재를 구성하는 다른 쪽의 디스플레이 지지체(325b)의 일부인 슬라이드 지지체(334)가 디스플에이(311)의 높이 방향 타단부에 형성되는 2 개의 가이드부(317)인 제2 및 제4 가이드부(317b, 317d)를 결합 지지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지지체(325)는 한쪽 및 다른 쪽의 디스플레이 지지체(325a, 325b)가 서로 N 방향으로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한쪽 및 다른 쪽의 디스플레이 지지체(325a, 325b)는 동일한 구성이며,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지지체(325)로 칭하여 한쪽 및 다른 쪽의 디스플레이 지지체(325a, 325b)의 구성에 관한 설명으로 하고, 개개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부재인 디스플레이 지지체(325)에는 슬라이드 지지체(334)와 베이스(335)가 포함된다. 또한, 슬라이드 지지체(334)에는 제1 슬라이드 부재(334a)와 제2 슬라이드 부재(334b)와 제3 슬라이드 부재(334c)와 제4 슬라이드 부재(334d)가 포함된다. 슬라이드 지지체(334)는 제1 슬라이드 부재(334a)와 제2 슬라이드 부재(334b)가 M 방향으로 병설되고, 제3 슬라이드 부재(334c)와 제4 슬라이드 부재(334d)가 M 방향으로 병설되어 구성된다. 병설되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34a, 334b)와, 병설되는 제3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c, 334d)는 L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베이스(335)에 배치된다.
제1 슬라이드 부재(334a)는 L 방향으로 신장하는 대략 단책(短冊)형의 판 형체이다. 제1 슬라이드 부재(334a)는 그 두께 방향이 M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폭 방향이 L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가이드부(317)를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제1 슬라이드 부재(334a)의 두께 방향을 단순 히 「M 방향」, 그 폭 방향을 단순히「N 방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 슬라이드 부재(334a)에는 제1 슬라이드 부재 본체(335a)와 제1 피결합부(336a)와 제1 랙부(337a)가 포함된다. 제1 슬라이드 부재 본체(335a)는 L 방향으로 신장하는 대략 단책형의 판 형체로 형성된다. 제1 슬라이드 부재 본체(335a)에는 제1 대향 표면부(338a)의 N 방향 일단부 근방에 제1 안내 구멍부(339a)가 형성된다. 제1 대향 표면부(338a)란, M 방향에 수직한 일 표면부와 같다. 제1 안내 구멍부(339a)는 M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이 제1 슬라이드 부재 본체(335a)의 L 방향 일단 부근에서부터 타단 부근에 걸쳐 L 방향과 대략 평행한 직선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대략 평행은 평행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제1 안내 구멍부(339a)의 L 방향 일단 및 타단은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대향 표면부(338a)에는 M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스프링 걸림 축(340a)이 형성된다. 제1 스프링 걸림 축(340a)은 대략 원주형으로 형성되고, 인장 코일 스프링의 훅이 걸릴 수 있게 구성된다. 제1 스프링 걸림 축(340a)은 제1 슬라이드 부재 본체(335a)의 L 방향 타단과 L 방향 중앙 사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스프링 걸림 축(340a)은 L 방향 타단 및 L 방향 중앙으로부터 대략 등거리 위치에 형성된다. 다만 제1 스프링 걸림 축(340a)은 이러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슬라이드 부재 본체(335a)의 L 방향 일단부에는 제1 피결합부(336a)가 형성된다. 제1 피결합부(336a)는 제1 슬라이드 부재 본체(335a)의 일단부와 단차 없이 연속적이면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제1 피결합부(336)는 M 방향에 수직한 가상 평면으로 절단하여 본 단면이 제1 절결부(341a)를 포함하는 대략 반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제1 절결부(341a)는 가이드부(317)를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절결부(341a)는 제1 피결합부(336a)의 외주면부의 일부분을 제1 절결 방향으로 절결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 절결 방향이란, 제1 슬라이드 부재 본체(335a)의 N 방향 타단에서부터 일단을 향하는 방향과 같다. 제1 절결부(341a)는 제1 한쪽 경사면부(342a)와 제1 다른 쪽 경사면부(343a)와 제1 부분 구면부(344a)에 의해 대략 U 자형으로 형성된다. 제1 한쪽 경사면부(342a)는 M 축 주변에서 한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제1 다른 쪽 경사면부(343a)는 M 축 주변에서 다른 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제1 한쪽 경사면부(342a) 및 제1 다른 쪽 경사면부(343a)는 제1 절결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절결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한쪽 경사면부(342a) 및 제1 다른 쪽 경사면부(343a)의 일단부에는 제1 부분 구면부(344a)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1 부분 구면부(344a)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부가 제1 한쪽 경사면부(342a)에, 그 외의 단부가 제1 다른 쪽 경사면부(343a)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1 부분 구면부(344a)는 그 반지름이 가이드부(317)의 반지름과 대략 동일 또는 그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가이드부(317)를 결합 지지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절결부(341a)가 제1 부분 구면부(344a)에서부터 개구부를 향해 절결 폭이 확대되고, 가이드부(317)를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 피결합부(336a)는 이 제1 절결부(341a)에 의해 가이드부(317)를 결합 지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다만 제1 피결합부(341a)는 제1 부분 구면 부(344a)에서부터 개구부를 향하여 절결 폭이 확대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절취 폭이 일정하더라도 좋다.
또한, 제1 슬라이드 부재 본체(335a)의 제1 랙 형성 표면부(345a)에는, 제1 랙부(337a)가 N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제1 슬라이드 부재 본체(335a)에 연속적이면서 일체적으로 마련된다. 제1 랙 형성 표면부(345a)란, 제1 슬라이드 부재 본체(335a)의 N 방향에 수직한 표면부로서 타단측의 표면부이다. 제1 랙부(337a)는 이른바 랙 기어이며, 그 L 방향 일단부가 경사져 형성된다. 또한, 제1 랙부(337a)는 그 M 방향에 수직한 양 표면부가 제1 슬라이드 부재 본체(335a)의 M 방향 양 표면부와 면일(面一)상으로 형성되고, 그 L 방향 타단부가 제1 슬라이드 부재 본체(335a)의 타단부와 면일상으로 형성된다.
제1 랙부(337a)는,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랙 형성 표면부(345a)의 L 방향 타단부에서부터 중앙부 근방에 걸쳐 형성되고, 구동원에 포함되는 후술하는 피니언 기어(346)와 맞물림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334a)는 제1 피결합부에 의해 가이드부(317)를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1 랙부(337a)에 의해 피니언 기어(346)와 맞물림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 슬라이드 부재(334a)는 예컨대 프레스 가공 및 배럴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다만 제1 슬라이드 부재(334a)의 형성은 프레스 가공 및 배럴 가공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1 슬라이드 부재(334a)를 형성할 때, 예컨대 배럴 가공을 생략하더라도 좋고, 기계 가공 등의 방법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제2 슬라이드 부재(334b)는 L 방향으로 신장하는 대략 단책형의 판형체이며, L 방향의 길이가 제1 슬라이드 부재(334a)의 길이와 대략 동 일하게 형성된다. 제2 슬라이드 부재(334b)는 제1 슬라이드 부재(334a)에 두께 방향으로 병설된다. 제2 슬라이드 부재(334b)는 그 두께 방향이 M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폭 방향이 L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가이드부(317)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제2 슬라이드 부재(334b)의 두께 방향을 단순히 「M 방향」, 그 폭방향을 단순히「N 방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제2 슬라이드 부재(334b)의 L 방향 일단부에는 제2 절결부(341b)를 갖는 제2 피결합부(336b)가 형성된다. 제2 피결합부(336b)는 가이드부(317)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 슬라이드 부재(334b)의 상기 L 방향 일단부에서, 제2 슬라이드 부재(334b)의 N 방향 대략 중간부를 제2 절결 방향으로 절결 형성하여 제2 절결부(341b)가 형성되된다. 제2 절결 방향이란, 제2 슬라이드 부재(334b)의 L 방향 일단에서부터 타단을 향하는 방향이다. 제2 절결부(341b)는 제2 한쪽 경사면부(342b)와 제2 다른 쪽 경사면부(343b)와 제2 부분 구면부(344b)에 의해 M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U 자형으로 형성된다.
제2 한쪽 경사면부(342b)는 M 축 주변에서 한쪽으로 경사지도록, 다시 말하면 L 방향 일단에서부터 타단으로 향함에 따라 N 방향 한쪽으로 점차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다른 쪽 경사면부(343b)는 M 축 주변에서 다른 쪽으로 경사지도록, 다시 말하면 L 방향 일단에서부터 타단을 향함에 따라서 N 방향 다른 쪽으로 점차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제2 한쪽 경사면부(342b) 및 제2 다른 쪽 경사면부(343b)는 제2 절결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절결 폭이 축소하도록 형성된다. 제2 한쪽 경사면부(342b) 및 제2 다른 쪽 경사면부(343b)의 일단부에는 제2 부분 구면부(344b)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2 부분 구면부(344b)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부가 제2 한쪽 경사면부(342b)에, 그 타단부가 제2 다른 쪽 경사면부(343b)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2 부분 구면부(344b)는 그 반지름이 가이드부(317)의 반지름과 대략 동일 또는 그 이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다만 제2 피결합부(336b)는 제2 부분 구면부(344b)에서부터 개구부를 향해 절결 폭이 확대되게 절결 폭이 변화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절결 폭이 일정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2 피결합부(336b)는 제1 절결부(341a)에 지지되는 가이드부(317)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17)에 제2 피결합부(336b)가 결합하면 상기 가이드부(317)를 제2 절결부(341b)에 의해 덮어 이탈 저지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2 피결합부(336b)는 제1 피결합부(336a)와 함께 가이드부(317)가 미끄럼 이동하는 동시에 회전 운동 가능한 베어링부(347)를 구성한다. 상기 베어링부(347)는 가이드부(317)가 관통하여 끼워 맞추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부(317)가 이와 같이 베어링부(347)에 끼워 맞춰지기 때문에, 축 캡 부재(320)의 플랜지부는 베어링부(347)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베어링부(347)의 내직경보다 대직경으로 형성된다.
제2 슬라이드 부재(334b)에는 제2 비대향 표면부(348b)의 N 방향 일단부 근방에 제2 안내 구멍부(339b)가 형성된다. 제2 비대향 표면부(348b)란, 제1 대향 표면부(338a)에 대향하는 제2 대향 표면부(349b)와 M 방향의 반대쪽 표면부와 같다. 제2 안내 구멍부(339b)는 M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이 제2 슬라이드 부재(334b)의 L 방향 일단 부근에서부터 타단 부근에 걸쳐 L 방향으로 대략 평행한 직선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제2 안내 구멍부(339b) 중 L 방향 일단 및 타단은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이 제2 안내 구멍부(339b)는 제1 안내 구멍부(339a)와 병설되는 상태에서 대부분이 제1 안내 구멍부(339a)와 대략 면일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안내 구멍부(339b)는 그 N 방향에 수직한 표면부가 제1 안내 구멍부(339b)의 N 방향에 수직한 표면부와 면일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2 안내 구멍부(339b)는 제1 안내 구멍부(339a)보다 L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2 비대향 표면부(348b)의 N 방향 타단부에는 제2 스프링 걸림 축(340b)과 걸림 축 안내 구멍부(350)가 형성된다. 제2 스프링 걸림 축(340b)은 L 방향 타단부 근방에 M 방향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제2 스프링 걸림 축(340b)은 대략 원주형으로 형성되고, 인장 코일 스프링의 훅을 걸림 가능하게 구성된다. 걸림 축 안내 구멍부(350)는 그 구멍이 M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구멍이 제2 스프링 걸림 축(340b)의 근방에서부터 L 방향 일단을 향해 제2 안내 구멍부(339b)에 대략 평행하고, 또한 직선형으로 형성된다. 걸림 축 안내 구멍부(350)는 제1 스프링 걸림 축(340a)이 제2 비대향 표면부(348b)에서부터 M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삽입 관통하고, 이 상태에서 제1 스프링 걸림 축(340a)이 L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 제1 스프링 걸림 축(340a)에는 인장 스프링 부재(351)의 일단부가 걸린다. 인장 스프링 부재(351)의 타단부는 제2 스프링 걸림 축(340b)에 걸린다. 이 인장 스프링 부재(351)는 제2 결합부에 가이드부(317)가 비결합 상태로, 인장 스프링 부재(351)가 제1 슬라이드 부재(334a)에 화살 부호(L)와 반대 방향으로 탄성 회복력에 힘을 더하도록 구성된다. 인장 스프링 부재(351)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34a, 334b)의 L 방향 타단이 면일상으로 배치되는 상태로, 즉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34a, 334b)가 가이드부(317)에 함께 결합하는 상태로 탄성 변위가 없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슬라이드 부재(334)의 제2 랙 형성 표면부(345b)에는 제2 랙부(337b)가 형성된다. 제2 랙 형성 표면부(345b)란, 제2 슬라이드 부재(334b)의 N 방향에 수직한 N 방향 타단측의 표면부이다. 제2 랙부(337b)는 소위 랙 기어이며, 제1 랙부(337a)에 맞물림 가능한 피니언 기어(346)가 항상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즉 제2 랙부(337b)는 제1 랙부(337a)와 함께 피니언 기어(346)와 맞물림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제1 랙부가 피니언 기어(346)와 맞물리지 않는 상태라도, 상기 피니언 기어(346)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랙부(337b)는 제2 랙 형성 표면부(345b)의 L 방향 타단부에서부터 L 방향 약 3/5까지의 영역에서 형성된다. 적어도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34a, 334b)가 베어링부(347)를 구성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1 랙부(337a)는 피니언 기어(346)와 맞물리지 않는 상태로 있고, 제2 랙부(337b)는 피니언 기어(346)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제1 슬라이드 부재(334a)는 예컨대 프레스 가공 및 배럴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다만 제1 슬라이드 부재(334a)의 형성은 프레스 가공 및 배럴 가공으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1 슬라이드 부재(334a)를 형성할 때, 예컨대 배럴 가공을 생략하더라도 좋고, 기계 가공 등의 방법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제3 슬라이드 부재(334c)는 제1 슬라이드 부재(334b)의 구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제1 슬라이드 부재(334a)와 다른 점에 관해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의 명칭에 관해서는 「제1」의 명칭을「제3」으로 변경하고, 그 부호에 관해서는 「a」를 「c」로 변경하여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슬라이드 부재(334c)는 M 방향에 수직한 가상 평면에 대하여 제1 슬라이드 부재(334a)와 면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제4 슬라이드 부재(334d)는 제2 슬라이드 부재(334b)의 구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제2 슬라이드 부재(334b)와 다른 점에 관해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의 명칭에 관해서는 「제2」의 명칭을 「제4」로 변경하며, 그 부호에 관해서는 「b」를 「d」로 변경하여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슬라이드 부재(334d)는 M 방향에 수직한 가상 평면에 대하여 제2 슬라이드 부재(334b)와 면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제3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c, 334d)는 프레스 가공 및 배럴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제1 내지 제4 슬라이드 부재(334a, 334b, 334c, 334d)에 형성되는 제1 피결합부(336a), 제2 피결합부(336b), 제3 피결합부(336c) 및 제4 피결합부(336d)에 의해 제2 지지 부재의 피결합부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제1 내지 제4 슬라이드 부재(334a, 334b, 334c, 334d)는 베이스(335)에 배치된다. 베이스(335)에는 L 방향으로 신장하는 판형 부재(352)와 제1 안내판(353a)과 제2 안내판(353b)이 포함된다. 판형 부재(352)는 그 폭이 수납 케이스(321)의 폭과 대략 동일하며, 두께 방향에 수직한 가상 평면으로 절단하여 본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판형 부재(352)는 폭 방향이 M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고, 두께 방향이 N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판형 부재(352)의 폭 방향을 단순히 「M 방향」, 판형 부재(352)의 두께 방향을 단순히「N 방향」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판형 부재(352)의 M 방향 일단부에는 N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안내판(353a)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N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안내판(353b)이 설치된다. 제1 안내판(353a)은 L 방향으로 신장하는 단책형으로 형성되는 판 형체이다. 제1 안내판(353a)에는 제2 안내판(353b)에 대향하는 표면부에 그 두께 방향, 즉 M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드 안내 축(354a)이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슬라이드 안내 축(354a)은 대략 원주형으로 형성되어 한쪽 제1 안내판(353a)의 L 방향 일단부에 설치되고, 다른 쪽이 한쪽의 제1 슬라이드 안내 축(354a)에 대하여 L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한 쌍의 제1 슬라이드 안내 축(354a)은 제1 및 제2 안내 구멍부(339a, 339b)를 순차 삽입 관통하면서 상기 각 구멍부(339a, 339b)를 L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한 쌍의 제1 슬라이드 안내 축(354b)은 제1 및 제2 안내 구멍부(339a, 339b)를 삽입 관통하여 지지하고,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34a, 334b)가 L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1 슬라이드 안내 축(354a)은 제1 및 제2 안내 구멍부(339a, 339b)를 걸어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34a, 334b)의 슬라이드를 저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2 안내판(353b)은 L 방향으로 신장하는 단책형으로 형성되는 판 형체이다. 제2 안내판(353b)에는 제1 안내판에 대향하는 표면부에 그 두께 방향, 즉 M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제2 슬라이드 안내 축(354b)이 형성된다. 한 쌍의 제2 슬라이드 안내 축(354b)은 대략 원주형으로 형성되고, 한쪽이 제2 안내판(353b)의 L 방 향 일단부에 설치되며, 다른 쪽이 한쪽의 제2 슬라이드 안내 축(354b)에 대하여 L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한 쌍의 제2 슬라이드 안내 축(354b)은 제3 및 제4 안내 구멍부(339c, 339d)를 순차 삽입 관통하여 지지하면서, 상기 구멍부(339c, 339d)를 L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한 쌍의 제2 슬라이드 안내 축(354b)은 제3 및 제4 안내 구멍부(339c, 339d)를 삽입 관통하여 지지하고, 제3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34c, 334d)가 L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2 슬라이드 안내 축(354b)은 제3 및 제4 안내 구멍(339c, 339d)을 걸어 제3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c, 334d)의 슬라이드를 저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베이스(335)는 판형 부재(352)와 제1 및 제2 안내판(353a, 353b)이 휨 가공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L 방향에 수직한 가상 평면으로 절단하여 본 단면이 대략 コ 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베이스(335)는 제1 슬라이드 안내 축(354a)에 의해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34a, 334b)를 삽입 관통 지지하고, 제2 슬라이드 안내 축(354b)에 의해 제3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c, 334d)를 삽입 관통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구동원(313)에는 구동 장치(355)와 웜(356)과 웜 호일(357)과 평기어(358)와 연결 축(359)과 2 개의 피니언 기어(346)가 포함된다. 구동원(313)은 구동 장치(355)에 의해 웜(356) 및 웜 호일(357)을 통해 2 개의 피니언 기어(346)를 회전 운동 구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동 장치(355)는 웜(356)을 회전 운동 구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장치(355)는 직류 모터(약칭: DC 모터)에 의 해 구성되고, 그 출력축의 선단부에 웜(356)이 출력축 주위에 회전 운동 구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웜(356)에는 이에 항상 맞물리는 웜 호일(357)이 설치된다. 웜 호일(357)은 그 중심 축 주위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웜 호일(357)에는 이에 항상 맞물리는 평기어(358)가 설치된다. 평기어(358)에는 그 대략 중심축을 관통하도록, 연결 축(359)이 설치된다. 연결 축(359)은 M 방향으로 신장하는 대략 원주형의 축이며, 그 중심 축 주위에 평기어(395)와 일체적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결 축(359)에는 그 일단부 및 타단부에 하나씩 피니언 기어(346)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연결 축(359)에 의해 연결되는 2 개의 피니언 기어(346)는 연결 축(359)과 일체적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2 개의 피니언 기어(346)는 일체적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2 개의 피니언 기어(346)는 한쪽이 제1 및 제2 랙부(337a, 337b)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다른 쪽이 제3 및 제4 랙부(337c, 337d)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동원(313)은 구동 장치(355)에 의해 2 개의 피니언 기어(346)를 일체적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웜(356), 웜 호일(357), 평기어(358), 연결 축(359) 및 피니언 기어(346)는 제1 내지 제4 랙부(337a, 337b, 337c, 337d)와 함께 기어 기구(360)를 구성하고, 제1 내지 제4 슬라이드 부재(334a, 334b, 334c, 334d)를 L 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디스플레이(311)는 도 8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317)를 가이드 홈부(332)에 결합시켜 수납 케이스 안쪽에 배치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311)는 표시부(314)가 도 76에 도시하는 화살 부호(L)로 도시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다. 또한, 가이드부(317)는 각각 가이드 홈부(332)의 한 쌍의 코너부(333)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4 개의 가이드부(317)를 제1 내표면부(327) 및 제2 내표면부(328)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부(332)에 결합시켜 디스플레이(311)를 수납 케이스(321)에 의해 지지한다. 이하에서는 4 개의 가이드부(317)가 대응하는 가이드 홈부(332)의 코너부(333)에 결합하는 디스플레이(311)의 위치를 소정 위치라고 칭한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311)의 높이 방향이 N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는 디스플레이(311)의 위치를 소정 위치로 한다.
또한, 제1 가이드부(317a)에는 제1 슬라이드 부재(334a)가 결합된다. 제1 슬라이드 부재(334a)는 제1 절결부(341a)가 화살 부호(N)의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제1 피결합부(336a)를 제1 가이드부(317a)에 결합시켜 배치된다. 이 때 제1 절결부(341a)는 가이드 홈부(332)를 따라 화살 부호(N)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334a)를 배치하면 제1 가이드부(317a)는 제1 피결합부(336a)를 이탈 가능하며, 가이드 홈부(332)를 따라 화살 부호 N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제1 슬라이드 부재(334a)에는 제1 대향 표면부(338a)와 제2 대향 표면부(349b)가 서로 대향하도록 제2 슬라이드 부재(334b)가 병설된다. 제2 슬라이드 부재(334b)는 제1 스프링 걸림 축(340a)이 제2 비대향 표면부(348b)에서부터 M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걸림 축 안내 구멍부(350)에 삽입되고, 제1 및 제2 안내 구멍부(339a, 339b)의 대부분, 특히 N 방향에 수직한 표면부가 서로 면일상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2 슬라이드 부재(334b)를 배치하면 제2 피결합부(336b)가 L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2 슬라이드 부재(334b)에는 제2 랙부 (337b)에 항상 맞물리도록 피니언 기어(346)가 배치된다. 제2 랙부(337b)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346)를 이하에서는 「제1 피니언 기어(346a)」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1 피니언 기어(346a)는 제1 랙부(337a)와 맞물림 가능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311)가 소정 위치에 있는 경우에 적어도 제1 피니언 기어(346a)와 제1 랙부(337a)가 맞물리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제1 랙부(337a)에 제1 피니언 기어(346a)를 배치한다. 또한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34a, 334b)에는 도 8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스프링 걸림 축(340a) 및 제2 스프링 걸림 축(340b)에 인장 스프링 부재(351)가 걸려있다.
또한, 제3 가이드부(317c)에는 제3 슬라이드 부재(334c)가 결합된다. 제3 슬라이드 부재(334c)는 제3 절결부(341c)가 가이드 홈부(332)를 따라 화살 부호(N)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제3 피결합부(336c)를 제3 가이드부(317c)에 결합시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3 슬라이드 부재(334c)를 배치하면 제3 가이드부(317c)는 제3 피결합부(336c)를 이탈 가능하게 되고, 가이드 홈부(332)를 따라 화살 부호(N)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3 슬라이드 부재(334c)에는 제3 대향 표면부(338c)와 제4 대향 표면부(349d)가 상호 대향하도록 제4 슬라이드 부재(334d)가 병설된다. 제4 슬라이드 부재(334d)는 제3 스프링 걸림 축(340c)이 제4 비대향 표면부(348d)에서부터 M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걸림 축 안내 구멍부(350)에 삽입시켜 제3 및 제4 안내 구멍부(339c, 339d)의 대부분, 특히 N 방향에 수직한 표면부가 서로 면일상으로 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3 슬라이드 부재(334c)를 배치하면 제4 피결합부(336d)가 L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4 슬라이드 부재 (334d)에는 제4 랙부(337d)에 항상 맞물리도록 피니언 기어(346)가 배치된다. 제4 랙부(337d)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346)를 이하에서는 「제2 피니언 기어(346b)」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2 피니언 기어(346b)는 제3 랙부(337c)와 맞물림 가능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디스 플레이(311)가 소정 위치에 있는 경우, 도 8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제2 피니언 기어(346b)와 제3 랙부(337c)가 맞물리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제3 랙부(337c)에 제2 피니언 기어(346b)를 배치한다. 또한 제3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c, 334d)에는 제3 스프링 걸림 축(340c) 및 제4 스프링 걸림 축(340d)에 인장 스프링 부재(351)가 걸려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슬라이드 부재(334a, 334b, 334c, 334d)를 배치하면 제1 및 제3 슬라이드 부재(334a, 334c)가 M 방향으로 이격되는 동시에 서로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고, 제2 슬라이드 부재(334b)가 제1 슬라이드 부재(334a)에 병설되며, 제4 슬라이드 부재(334d)가 제3 슬라이드 부재(334c)에 병설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슬라이드 부재(334a, 334b, 334c, 334d)는 제1 및 제2 안내 구멍부(339a, 339b)에 제1 슬라이드 안내 축(354a)를 삽입하고, 제3 및 제4 안내 구멍부(339c, 339d)에 제2 슬라이드 안내 축(354b)을 삽입하여 베이스(335)에 설치된다. 제1 및 제2 슬라이드 안내 축(354a, 354b)은 제1 및 제3 절결부(341a, 341c)가 제1 홈부(330)를 따르는 상태보다 화살 부호(L)와 반대 방향으로 제1 및 제3 슬라이드 부재(334a, 334c)가 슬라이드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슬라이드 안내 축(354a)을 제1 안내 구멍부(339a)의 L 방향 일단부에 접촉시켜 화살 부호(L)와 반대 방향의 슬라이드를 저지하고, 제2 슬라이드 안내 축(354b)을 제3 안내 구멍부(339c)의 L 방향 일단부에 접촉시켜 화살 부호(L)와 반대 방향의 슬라이드를 저지하도록 제1 및 제2 슬라이드 안내 축(354a, 354b)을 배치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제1 홈부(330)를 미끄럼 이동하는 가이드부(317)가 제1 및 제3 피결합부(336a, 336c)에 결합 불능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335)는 장치의 케이스 또는 차량 등에 고착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335)에 제1 내지 제4 슬라이드 부재(334a, 334b, 334c, 334d)가 설치되고, 제1 및 제3 가이드부(317a, 317c)를 결합 지지 가능한 한쪽 디스플레이 지지체(325a)가 구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 피니언 기어(346a, 346b)는 평기어(358)가 설치되는 연결 축(359)으로 연결된다. 이 평기어(358)에 맞물리도록 웜 호일(357)이 설치되고, 또한 이 웜 호일(357)에 맞물리는 웜(356)을 구비하는 구동 장치(355)가 설치된다. 제1 및 제2 피니언 기어(346a, 346b), 평기어(358), 연결 축(359), 웜 호일(357) 및 구동 장치(355)에 의해 구동원(313)이 구성되고, 디스플레이 지지체(325a) 및 구동부(313a)에 의해 제1 구동부가 구성되는 구동 장치(355)를 구동시키면 제1 및 제2 피니언 기어(346a, 346b)가 회전 운동하고, 베이스(335)에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 슬라이드 부재(334a, 334b, 334c, 334d)가 L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2 슬라이드 부재(334b)를 제1 피니언 기어(346a)에 의해 화살 부호(L)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도 8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슬라이드 부재(334b)는 제1 슬라이드 부재(334a)와 함께 베어링부(347)를 구성한다. 또한 제4 슬라이드 부재(334d)를 제2 피니언 기어(346b)에 의해 화살 부호(L)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제4 슬라이드 부재(334d)는 제3 슬라이드 부재(334c)와 함께 베어링 부(347)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지지체(334A)는 제1 및 제3 가이드부(317a, 317c)를 베어링부(347)로부터 이탈 불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제2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b, 334d)는 제1 및 제2 피니언 기어(346a, 346b)에 의해 서로 연동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34a, 334b)와 제3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c, 334d)가 대략 동시에 베어링부(347)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략 동시」는 동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베어링부(347)에 지지되는 제1 및 제3 가이드부(317a, 317c)는 슬라이드 지지체(334A)를 슬라이드시키면 가이드 홈부(332)의 제2 홈부(331)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고, 가이드 홈부(332)의 개구부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1 및 제3 가이드부(317a, 317c)는 가이드 홈부(332)를 이탈한 후, 슬라이드 지지체(334A)와 함께 L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3 가이드부(317a, 317b)가 L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고, 디스플레이(311)가 틸팅 가능하게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제2 가이드부(317b)에 제3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c, 334d)를 결합시키고, 제4 가이드부(317d)에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34a, 334b)를 결합시키며, 제2 및 제4 가이드부(317b, 317d)를 결합 지지할 수 있는 다른 쪽의 디스플레이 지지체(325b)를 구성하고, 이 다른 쪽의 디스플레이 지지체(325b)에 피니언 기어(346)가 맞물리도록 제1 및 제2 피니언 기어(346a 346b), 평기어(358), 연결 축(359), 웜 호일(357) 및 구동 장치(355)를 포함하는 구동원(313)을 설치하다. 디스플레이 지지체(325b) 및 구동부(313)가 제1 구동부를 구성한다. 이하에 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제1 및 제3 가이드부(317a, 317c)와 결합하는 한쪽의 디스플레이 지지체(325a)를 단순히 「한쪽 디스플레이 지지체(325a)」라고 부르고, 제2 및 제4 가이드부(317b, 317d)와 결합하는 다른 쪽의 디스플레이 지지체(325b)를 단순히 「다른 쪽 디스플레이 지지체(325b)」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일측 디스플레이 지지체(325a)에 포함되는 슬라이드 지지체(334A)를 「한쪽 슬라이드 지지체(334A)」, 다른 쪽 디스플레이 지지체(325b)에 포함되는 슬라이드 지지체(334B)를 「다른 쪽 슬라이드 지지체(334B)」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한쪽 및 다른 쪽 디스플레이 지지체(325a, 325b)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N 방향에 수직한 가상 평면에 대하여 면 대칭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디스플레이(311)의 4 개의 가이드부(317)가 2 개의 가이드 홈부(332)에 결합되고, 한쪽 및 다른 쪽과 디스플레이 지지체(325a, 325b)에 상기 가이드부(317)를 결합함으로써 틸트 장치(31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88a 내지 도 88d는, 한쪽 슬라이드 지지체(334A)를 구동하여 디스플레이(311)를 틸팅시키는 경우의 디스플레이(311)의 각 상태를 도 76에 도시된 단면선 B-B를 따라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88a는 디스플레이(311)가 소정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 76에 도시된 단면선 B-B를 따라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88b는 제1 및 제3 가이드부(317a, 317c)가 베어링부(347)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도 76에 도시된 단면선 B-B를 따라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88c는 제1 및 제3 가이드부(317a, 317c)가 베어링부(347)에 의해 지지되어 가이드 홈부(332)를 미끄럼 이동하는 상태를 단면선 B-B를 따라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88d는 디스플레이 (311)가 틸팅하는 상태를 도 76에 도시된 단면선 B-B를 따라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한쪽 슬라이드 지지체(325a)만이 L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M 축 주위 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311)를 틸팅시키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1 슬라이드 부재(334a)」 등과 같이 단순히 슬라이드 지지체(334)의 각 구성부의 명칭을 칭하는 경우, 한쪽 슬라이드 지지체(334A)의 각 구성부를 도시한다.
틸트 장치(310)는 디스프레이(311)가 소정 위치에 있는 경우, 도 8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 및 다른 쪽 슬라이드 지지체(334A, 334B)의 제1 및 제3 슬라이드 부재(334a, 334e)가 대응하는 가이드부(317)에 결합된다. 또한 한쪽 및 다른 쪽 슬라이드 지지체(334A, 334B)의 제2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b, 334d)는 가이드부(317)와 비결합 상태로 피니언 기어(346)와 맞물림 결합된다. 이 때 제1 내지 제4 스프링 걸림 축(340a, 340b, 340c, 340d)에 걸리는 인장 스프링 부재(351)는 인장 상태에 있고, 화살 부호(L)와 반대쪽 방향의 탄성 회복력인 스프링력을 제1 및 제3 슬라이드 부재(317a, 317c)에 압박한다. 이에 따라 제1 피결합부(336a)는 가이드 홈부(332)와 함께 제1 가이드부(317a) 및 제4 가이드부(317d)를 사이에 끼우고, 제3 피결합부(336c)는 가이드 홈부(332)와 함께 제2 가이드부(317b) 및 제3 가이드부(317c)를 사이에 끼운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4 슬라이드 부재(334a, 334b, 334c, 334d)는 피니언 기어(346)에 맞물리지 않더라도 덜걱거림 없이 가이드부(317)를 결합 지지할 수 있다.
다음에 구동원(313)에 의해 한쪽 슬라이드 지지체(334A)의 제2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b, 334d)를 화살 부호(L)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와 같이 제 4 슬라이드 부재(334d)를 슬라이드시키면 도 8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슬라이드 부재(334c)와 함께 베어링부(347)를 구성하고, 제3 가이드부(317c)가 제3 피결합부(336c)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면서, 제3 가이드부(317c)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마찬가지로 제2 슬라이드 부재(334b)를 슬라이드시키면 제1 슬라이드 부재(334a)와 함께 베어링부(347)를 구성하고, 제1 가이드부(317a)가 제1 피결합부(336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면서, 제1 가이드부(317a)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에 따라 한쪽 슬라이드 지지체(334A)는 제1 및 제3 가이드부(317a, 317c)를 이탈 저지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쪽 슬라이드 지지체(334B)의 제1 및 제3 슬라이드 부재(334a, 334c)가 베어링부(347)를 구성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쪽 슬라이드 지지체(334B)로부터 제2 및 제4 가이드부(317b, 317d)를 이탈시킬 수 있다.
한쪽 슬라이드 지지체(334A)가 베어링부(347)를 구성하는 상태에서 구동원(313)이 한쪽 슬라이드 지지체(334A)의 제2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b, 334d)를 화살 부호(L) 방향으로 더 슬라이드시키면 제1 및 제3 가이드부(317a, 317c)는 화살 부호(L) 방향으로 눌려 움직이게 된다. 이 때 인장 스프링 부재(351)는 탄성 변형하지 않고, 제1 및 제3 슬라이드 부재(334a, 334c)에 탄성 회복력을 압박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눌려 움직이는 제1 및 제3 가이드부(317a, 317c)가 가이드 홈부(332)의 제2 홈부(331)를 따라 L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동시에, 제2 가이드부(317b), 제4 가이드부(317d)가 가이드 홈부(332)에 제1 홈부(330)를 따라 화살 부호(N)와 반대 방향(n) 이동을 시작하고, 도 8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 이(311)를 틸팅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드 부재(334a)가 제1 가이드부(317a)에 결합되고, 제3 슬라이드 부재(334c)가 제3 가이드부(317c)에 결합되기 때문에, 제1 및 제3 가이드부(317a, 317c)가 눌려 움직이는 동시에 제1 및 제3 슬라이드 부재(334a, 334c)가 눌려 움직여 L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제1 및 제3 슬라이드 부재(334a, 334c)가 L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제1 랙부(337a)가 제1 피니언 기어(346a)에 맞물리고, 제3 랙부(337c)에 제2 피니언 기어(346b)가 맞물린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34a, 334b)가 제1 피니언 기어(346a)에 맞물리고, 제3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c, 334d)가 제2 피니언 기어(346b)에 맞물린다. 이에 따라 구동 장치(313)에 의해 제1 및 제2 피니언 기어(346a, 346b)를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한쪽 슬라이드 지지체(334A)를 화살 부호(L) 방향으로 더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한쪽 슬라이드 지지체(334A)가 화살 부호(L)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제1 및 제3 가이드부(317a, 317c)는 베어링부(347)를 회전 운동시키는 동시에 화살 부호(L) 방향으로 더 슬라이드하고, 가이드 홈부(331)의 제2 홈부(331)로부터 이탈한다. 또한, 제2 및 제4 가이드부(317b, 317d)는 다른 쪽 슬라이드 지지체(334B)로부터 이탈하여 제1 홈부(330)를 화살 부호(N)와 반대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311)는 높이 방향 일단부가 L 방향으로 변위하여 타단부가 N 방향으로 변위하고, 도 88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 축 주위 한 방향으로 틸팅한다. 이와 같이 틸트 장치(310)는 구동원(313)에 의해 일측 슬라이드 지지체(334A)를 슬라이드시켜 디스플레이(311)를 M 축 주위 한 방향으로 틸팅 구동시킬 수 있 다.
또한, 틸트 장치(310)는 디스플레이(311)를 소정 위치에서부터 M 축 주위 한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동작을 가역적으로 할 수 있다. 즉 틸트 장치(310)는 디스플레이(311)가 M 축 주위 한 방향으로 틸팅하는 상태에서부터 소정 위치에 복귀시킬 수 있다. 이 때의 틸트 장치(310)의 동작은 디스플레이(311)를 소정 위치로부터 M 축 주위 한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경우와 반대이며, 이 동작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89a 내지 도 89d는 다른 쪽 슬라이드 지지체(334B)를 구동하여 디스플레이(311)를 틸팅시키는 경우의 디스플레이(311)의 각 상태를 도 76에 도시된 단면선 B-B를 따라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89a는 디스플레이(311)가 소정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 76에 도시된 단면선 B-B를 따라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89b는 제2 및 제4 가이드부(317b, 317d)가 베어링부(347)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도 76에 도시된 단면선 B-B를 따라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89c는 제2 및 제4 가이드부(317b, 317d)가 베어링부(347)에 의해 지지되어 가이드 홈부(332)를 미끄럼 이동하는 상태를 도 76에 도시된 단면선 B-B를 따라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89d는 디스플레이(311)가 틸팅하는 상태를 도 76에 도시된 단면선 B-B를 따라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다른 쪽 슬라이드 지지체(334B)만이 L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M 축 주위 다른 쪽 방향으로 디스플레이(311)를 틸팅시키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1 슬라이드 부재(334a)」등과 같이 단순히 슬라이드 지지체(334)의 각 구성부의 명칭을 칭하는 경우, 다른 쪽 슬라이드 지지체 (334B)의 각 구성부를 도시한다.
틸트 장치(310)는 디스플레이(311)가 소정 위치에 있는 경우, 도 8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 및 다른 쪽 슬라이드 지지체(334a, 334b)의 제1 및 제3 슬라이드 부재(334a, 334c)가 대응하는 가이드부(317)에 결합된다. 또한, 한쪽 및 다른 쪽 슬라이드 지지체(334A, 334B)의 제2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b, 334d)는 가이드부(317)에 비결합 상태로 피니언 기어(346)와 맞물려 걸린다. 이 때 제1 내지 제4 스프링 걸림 축(340a, 340b, 340c, 340d)에 걸리는 인장 스프링 부재(351)는 인장 상태에 있고, 화살 부호(L)와 반대측 방향의 탄성 회복력인 스프링력을 제1 및 제3 슬라이드 부재(334a, 334c)에 압박한다. 이에 따라, 제1 피결합부(336a)는 가이드 홈부(332)와 함께 제1 가이드부(317a) 및 제4 가이드부(317d)를 사이에 끼우고, 제3 피결합부(336c)는 가이드 홈부(332)와 함께 제2 가이드부(317b) 및 제3 가이드부(317c)를 사이에 끼운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3 슬라이드 부재(334a, 334c)는 피니언 기어(346)에 맞물리지 않더라도 덜걱거리지 않고 가이드부(317)를 결합 지지할 수 있다.
다음에 구동원(313)에 의해 다른 쪽 슬라이드 지지체(334B)의 제2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b, 334d)를 화살 부호(L)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와 같이 제2 슬라이드 부재(334b)를 슬라이드시키면 도 8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334a)와 함께 베어링부(347)를 구성하고, 제4 가이드부(317d)가 제1 피결합부(336a)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면서, 제4 가이드부(317d)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마찬가지로 제4 슬라이드 부재(334d) 를 슬라이드시키면 제3 슬라이드 부재(334c)와 함께 베어링부(347)를 구성하고, 제2 가이드부(317b)가 제3 피결합부(336c)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면서, 제2 가이드부(317b)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에 따라 다른 쪽 슬라이드 지지체(334B)는 제2 및 제4 가이드부(317b, 317d)를 이탈 저지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한쪽 슬라이드 지지체(334A)의 제1 및 제3 피결합부(336a, 336b)가 베어링부(347)를 구성하지 않기 때문에, 한쪽 슬라이드 지지체(334A)로부터 제1 및 제3 가이드부(317a, 317c)를 이탈시킬 수 있다.
다른 쪽 슬라이드 지지체(334B)가 베어링부(347)를 구성하는 상태에서, 구동원(313)이 다른 쪽 슬라이드 지지체(334B)의 제2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b, 334d)가 화살 부호(L) 방향으로 더 슬라이드하면 제2 및 제4 가이드부(317b, 317d)가 화살 부호(L) 방향으로 눌려 움직인다. 이에 따라 눌려 움직이는 제2 및 제4 가이드부(317b, 317d)가 가이드 홈부(332)의 제2 홈부(331)를 따라 L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동시에, 제1 가이드부(317a) 및 제3 가이드부(317c)가 가이드 홈부(332)의 제1 홈부(330)를 따라 화살 부호(N)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하고, 도 8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311)를 틸팅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드 부재(334a)가 제4 가이드부(317d)에 결합되고, 제3 슬라이드 부재(334c)가 제2 가이드부(317b)에 결합되기 때문에, 제2 및 제4 가이드부(317b, 317d)가 눌려 움직이는 동시에 제1 및 제3 슬라이드 부재(334a, 334c)가 눌려 움직여 L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제1 및 제3 슬라이드 부재(334a, 334c)가 L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제1 랙부(337a)와 제1 피니언 기어(346a)가 맞물리고, 제3 랙부(337c)와 제2 피니언 기어(346b)가 맞물린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34a, 334b)가 제1 피니언 기어(346a)에 맞물리고, 제3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c, 334d)가 제2 피니언 기어(346b)에 맞물린다. 이에 따라 구동 장치(313)에 의해 제1 및 제2 피니언 기어(346a, 346b)를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다른 쪽 슬라이드 지지체(334B)를 화살 부호(L)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다른 쪽 슬라이드 지지체(334B)가 화살 부호(L) 방향으로 더 슬라이드하면 제2 및 제4 가이드부(317b, 317d)는 베어링부(347)를 회전 운동시키는 동시에 화살 부호(L)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가이드 홈부(332)의 제2 홈부(331)로부터 이탈한다. 또한 제1 및 제3 가이드부(317a, 317c)는 한쪽 슬라이드 지지체(334A)로부터 이탈하여 제1 홈부(330)에서 화살 부호(N)로 미끄럼 이동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311)는 높이 방향 타단부가 L 방향으로 변위하여 일단부가 N 방향으로 변위하고, 도 89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 축 주위 다른 방향으로 틸팅한다. 이와 같이 틸트 장치(310)는 구동원(313)에 의해 다른 쪽 슬라이드 지지체(334B)를 슬라이드시키고, 디스플레이(311)를 M 축 주위 다른 방향으로 틸팅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틸트 장치(310)는 디스플레이(311)를 소정 위치로부터 M 축 주위 다른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동작을 가역적으로 할 수 있다. 즉, 틸트 장치(310)는 디스플레이(311)가 M 축 주위 다른 방향으로 틸팅하는 상태에서부터 소정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 때의 틸트 장치(310)의 동작은 디스플레이(311)를 소정 위치로부터 M 축 주위 다른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경우와 반대이며, 그 동작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틸트 장치(310)는 한쪽 및 다른 쪽 슬라이드 지지체(334A, 334B)를 대략 동시에 화살 부호(L)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311)를 경사지게 하지 않고 L 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틸트 장치(310)는 디스플레이(311)를 경사지게 할 뿐만 아니라 L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틸트 장치(310)에서는 디스플레이(311)를 소정 위치에 대하여 M 축 주위 한 방향 및 다른 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311)는 종래 기술의 틸트 장치(310)에 비해 틸팅하는 범위가 커지고, 선택 가능한 경사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동시에, 틸트 장치(310)가 설치된 전자기기의 부착 각도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이 때문에, 예컨대 디스플레이(311)에서 태양광의 반사 또는 경치의 비침 현상이 발생하고, 디스플레이(311)의 시각적 인식성이 악화되더라도, 디스플레이(311)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시각적 인식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쪽 및 다른 쪽 디스플레이 지지체(334a, 334b)를 수직 방향 대략 상하로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311)를 전방 상승 경사형 및 전방 하강 경사형으로 경사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태양광의 반사 또는 경치의 비침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311)를 전방 하강 경사형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태양광의 반사 또는 경치의 비침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311)의 표시부(314)에 표시되는 화상 등의 시각적 인식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 틸팅 구동 기기와 마찬가지로 전방 상승 경사형으로도 경사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311)를 전방 상승 경사형으로 경사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시각적 인식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틸트 장치(310)가 설치된 전자기기의 부착 각도의 자유도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311)는 차량에서 표시부(314)를 포함하는 가상 평면에 수직인 방향이 전방 및 후방뿐만 아니라, 옆쪽으로 상승 경사형 및 하강 경사형으로 경사지는 경우도 있을수 있다. 예컨대, 한쪽 및 다른 쪽 디스플레이 지지체(334a, 334b)를 수평 방향과 대략 수직이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옆쪽 상승 경사형 및 옆쪽 하강 경사형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314)에 표시되는 화상 등을 눈으로 확인하는 사람에 맞춰, 디스플레이(311)를 옆쪽으로 경사지게 하여 시각적 인식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에서, 운전석에서 디스플레이(311)를 눈으로 확인하는 경우, 디스플레이(311)를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시각적 인식성을 양호하게 하고, 조수석에서 디스플레이(311)를 눈으로 확인하는 경우, 디스플레이(311) 좌우 방향 중 다른 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시각적 인식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후측부 좌석에서도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시각적 인식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틸트 장치(310)가 설치된 전자기기에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 지지체(325) 사이에 전자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k: 약칭 CD) 및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gital Vrersatile Disc; 약칭: DVD) 등의 광 기록 매체를 재생할 수 있는 도시하지 않은 재생 장치가 설치된다. 재생 장치는 수납 구멍(326)을 향하도록 광 기록 매체의 삽입 가능한 삽입구에 배치된다. 이러한 재생 장치가 설치되는 틸트 장치(310)는 디스플레이(311)가 소정 위치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311)에 의해 삽입구가 사라진다. 이 때문에 디스플레이(311)를 틸팅시킴으로써 삽입구를 노출시킨 후, 삽입구에 광 기록 매체를 삽입한다. 이 때문 종래의 틸트 장치(310)와 같이 디스플레이(311)를 한 방향으로 밖에 틸팅할 수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311) 및 재생 장치의 배치에 의해 광 기록 매체의 삽입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고, 소기의 기능을 확보할 수 없다. 틸트 장치(310)에서는 한 방향에 추가로 다른 방향으로도 틸팅 구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311)를 틸팅시켜 광 기록 매체의 삽입이 어려운 경우, 다른 방향으로 디스플레이(311)를 틸팅시킴으로써 광 기록 매체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한 방향 및 다른 방향으로 디스플레이(311)를 틸팅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소기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틸트 장치(310)가 설치된 전자기기의 안쪽에 설치되는 전자 장치는 재생 장치로만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 장치라도 좋다. 또한 디스플레이(311)에 조작부가 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311)를 틸팅시켜 상기 조작부를 희망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소기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311)를 L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표시부(314)를 이용자에게 근접시킬 수 있고, 시각적 인식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틸트 장치(310)는 디스플레이(311)를 환경이나 상황에 맞춰 여러 방향으로 경사 및 슬라이드시켜 이용자의 시각적 인식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가이드 홈부(332)가 대략 コ 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이드부(317)가 가이드 홈부(332)에 결합하는 동시에 L 방향 및 N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홈부(332)가 그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부(317) 는 상기 가이드 홈부(332)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가이드 홈부(332)를 이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317)가 가이드 홈부(332)를 미끄럼 이동하여 이탈할 수 있기 때문에, 2 개의 한 쌍의 가이드부(317)가 디스플레이(311)에 형성되더라도, 디스플레이(311)를 한 방향 및 다른 방향으로 틸팅 및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317)에는 축 스프링 부재(319)를 포함되어 있고, 가이드부(317)가 M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317)는 가이드 홈부(332)의 형상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동시에 가이드 홈부(332)를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317)의 미끄럼 이동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축 캡 부재(320)와 가이드 홈부(332)는 상호 미끄럼 이동성이 좋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가이드부(317)의 미끄럼 이동성을 더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가이드부(317)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부(317) 및 가이드 홈부(332)는 높은 강성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즉 강성 강도를 높이지 않고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틸트 장치(310)의 생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1)가 소정 위치에 있는 경우, 가이드부(317)는 가이드 홈부(332) 및 슬라이드 지지체의 제1, 제3슬라이드 지지 부재(334a, 334c)에 의해 결합 지지되고, 디스플레이(311)가 틸팅하는 상태에서 가이드부(317)는 슬라이드 지지체(334) 및 가이드 홈부(332)에 의해 결합 지지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317)는 가이드 홈부(332) 및 슬라이드 지지체(334)에 의해 결합 지지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317)를 확실하게 결합 지지할 수 있으며, 즉 디스플레이(311)를 확실하게 지지하고, 틸트 장치(310)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슬라이드 지지체(334)는 슬라이드 지지체(334)를 슬라이드시킬 때, 제1 슬라이드 부재(334a)에 결합되는 제1 및 제4 가이드부(317a, 317d)를 이탈 저지하도록 제2 슬라이드 부재(334b)에 결합시켜 지지한다. 따라서, 제1 및 제4 가이드부(317a, 317d)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4 가이드부(317a, 317d)는 제2 슬라이드 부재(334b)에 비결합된 상태에서는 제1 슬라이드 부재(334a)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34a, 334b)의 2 개의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제1 및 제4 가이드부(317a, 317d)를 확실하게 지지되는 상태와 제1 및 제4 가이드부(317a, 317d)가 제1 슬라이드 부재(334a)로부터 이탈 가능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슬라이드 부재(334c)에 결합하는 제2 및 제3 가이드부(317b, 317c)를 이탈 저지하도록 제4 슬라이드 부재(334d)에 결합시켜 지지하고, 제4 슬라이드 부재(334d)가 비결합 상태에서는 제2 및 제3 가이드부(317b, 317c)가 제3 슬라이드 부재(334c)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3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c, 334d)의 2 개의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제2 및 제3 가이드부(317b, 317c)를 확실하게 지지 상태와 제2 및 제3 가이드부(317b, 317c)가 제3 슬라이드 부재(334c)로부터 이탈 가능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지지체(334)는 가이드부(317)를 확실하게 지지되는 상태와 가이드부(317)가 이탈 가능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간단한 구성으로 디스플레이(311)를 한 방향 및 다른 방향으로 틸팅 가능한 틸트 장치(310)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틸트 장치(310)의 생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제1 및 제3 피결합부(336a, 336c)는 절결부(341a, 341c)의 대부분이 제1 홈부(330)를 따라 N 방향으로 개구하도록 U 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홈부(332)의 코너부(333)에 있는 가이드부(317)는 제1 또는 제3 피결합부(336a, 336c)로부터 이탈하고, 제1 홈부(330)를 따라 N 방향 또는 N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317)가 N 방향 또는 N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311)의 소정 위치에서부터의 틸팅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317)가 제1 홈부(330)에 따라 N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더라도, 제1 및 제3 슬라이드 부재(334a, 334c)를 가이드부(317)와 함께 일체적으로 가동시킬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제1 및 제3 슬라이드 부재(334a, 334c)의 기구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제1 및 제3 슬라이드 부재(334a, 334c)를 가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피결합부(336a)는 제1 부분 구면부(344a)에서부터 개구부를 향해 그 절결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가이드 홈부(332)를 미끄럼 이동하는 제1 및 제4 가이드부(317a, 317d)의 결합 및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피결합부(336c)는 제3 부분 구면부(344c)에서부터 개구부를 향해 그 절결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가이드 홈부(332)를 미끄럼 이동하는 제2 및 제3 가이드부(317b, 317c)의 결합 및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슬라이드 안내 축(354a, 354b)에 의해 제1 및 제3 슬라이드 부재(334a, 334c)의 슬라이드를 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홈부(330)를 미끄럼 이동하는 가이드부(317)가 제1 및 제3 피결합부(336a, 336c)와 결합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311)의 틸팅 및 수납할 때의 가이드부(317)와 제1 및 제3 피결합부(336a, 336c)의 결합 및 이탈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311)의 원활한 틸팅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가이드부(317) 및 제1 및 제3 슬라이드 부재(334a, 334c)의 강성 강도를 높이지 않고 틸트 장치(310)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피결합부(336b)도 제2 부분 구면부(344b)에서부터 개구부를 향해 그 절결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가이드 홈부(332)를 미끄럼 이동하는 제1 및 제4 가이드부(317a, 317d)의 결합 및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피결합부(336d)는 제4 부분 구면부(344d)에서부터 개구부를 향해 그 절결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가이드 홈부(332)를 미끄럼 이동하는 제2 및 제3 가이드부(317b, 317c)의 결합 및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및 제4 피결합부(334b, 334d)와 가이드부(317)의 결합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가이드부(317)와의 이탈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311)의 원활한 틸팅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가이드부(317) 및 제2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b, 334d)의 강성 강도를 높이지 않고 틸트 장치(310)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슬라이드 부재(334a, 334b, 334c, 334d)의 강성 강도를 높이지 않고 틸트 장치(310)를 실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생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인장 스프링 부재(351)는 제1 및 제2 스프링 걸림 축(340a, 340b)에 걸리고, 제2 슬라이드 부재(334b)가 제1 및 제4 가이드부(317a, 317d)와 비결합 상태에서 탄성 회복력에 의해 제1 슬라이드 부재(334a)에 인장력을 부가한다. 이에 따라 제1 슬라이드 부재(334a)는 가이드 홈부(332)와 함께 결합되는 제1 및 제4 가이드부(317a, 317d)를 사이에 끼운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3 및 제4 스프링 걸림 축(340c, 340d)에 걸리는 인장 스프링 부재가 제3 슬라이드 부재(334c)에 인장력을 부가하고, 제3 슬라이드 부재(334c)와 가이드 홈부(332)에 의해 제2 및 제3 가이드부(317b, 317c)를 사이에 끼운다. 이와 같이 하여 가이드부(317)를 끼움으로써, 가이드 홈부(332)의 코너부(333)에 가이드부(317)를 위치 결정하고, 디스플레이(311)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314)에 표시되는 화상 등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고, 시각적 인식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확실하게 가이드부(317)를 위치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3 부분 구면부(344a, 344c)를 가이드부(317)의 형상에 맞춰 형성하지 않더라도 가이드부(317)의 형상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가이드부(317)를 끼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4 피결합부(336a, 336d)를 정밀하게 형성할 필요가 없고 그 형성이 용이하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3 슬라이드 부재(334a, 334c)의 강성 강도를 높이지 않고 틸트 장치(310)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스프링 걸림 축(340a, 340b)에 걸리는 인장 스프링 부재(351)는 디스플레이(311)를 틸팅시킬 때에,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34a, 334b)가 이격하고자 하면 인장력을 부가하여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34a, 334b)가 이격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피결합부(336a, 336b)에 의해 구성되는 베어링부(347)가 개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및 제4 스프링 걸림 축(340c, 340d)에 걸리는 인장 스프링 부재(351)는 디스플레이(311)를 틸팅시킬 때에, 제3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c, 334d)가 이격하고자 하면 인장력을 부가하여 제3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c, 334d)가 이격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에 따라 제3 및 제4 피결합부(336c, 336d)에 의해 구성되는 베어링부(347)가 개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베어링부(347)로부터 가이드부(317)가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여 가이드부(317)를 베어링부(347)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슬라이드 지지체(334)에 의해 가이드부(317)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인장력이 부가되어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34a, 334b)가 연동하기 때문에, 제1 슬라이드 부재(334a)가 제1 피니언 기어(346a)와 맞물리지 않는 상태더라도 확실하게 제1 및 제4 가이드부(317a, 317d)를 가이드 홈부(332)의 코너부(333)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c, 334d)가 연동하기 때문에, 제3 슬라이드 부재(334c)가 제2 피니언 기어(346b)와 맞물리지 않는 상태더라도 확실하게 제2 및 제3 가이드부(317b, 317c)를 가이드 홈부(332)의 코너부(333)에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311)를 수납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311)를 확실하게 소정 위치에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원(313)에 의해 용이하게 디스플레이(311)를 틸팅 구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장치(313)의 구동량을 조절함으로써, 슬라이드 지지체(334)의 슬라이드 하는 양을 조절하고, 디스플레이(311)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드 부재(334a)는 제2 슬라이드 부재(334b)와 함께, 맞물리지 않는 상태에서 제1 및 제4 가이드부(317a, 317d)가 이탈 불가능한 베어링부(347)를 구성하고, 맞물리는 상태에서 연동하여 베어링부(347)에 끼워 맞추는 제1 및 제4 가이드부(317a, 317d)를 이탈 불가능하게 지지하여 L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c, 334d)도 베어링부(347)를 구성하고, 제2 및 제3 가이드부(317b, 317c)를 끼워 맞춰 지지하여 L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317)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틸트 장치(310)는 M 축 주위 위치 방향 및 다른 방향으로 디스플레이(311)를 틸팅 및 수납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틸팅하는 디스플레이(311)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틸트 장치(310)에서는 가이드 홈부(332)가 대략 コ 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형상으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홈부(330)가 N 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N 방향 한쪽 및 다른 쪽으로 분단되더라도 좋다. 또는 제1 홈부(330)가 M 축 주위에 경사지더라도 좋고, 디스플레이(311)가 틸팅할 때의 가이드부(317)가 미끄럼 이동하는 궤도에 맞춰 형성하면 좋다. 또한, 제1 내지 제4 슬라이드 부재(334a, 334b, 334c, 334d)에 탄성 회복력을 부가하기 위해 인장 스프링 부재(351)를 이용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고무 또는 완충기만으로도 좋고, 탄성 회복력을 부가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또한, 본 실시예의 틸트 장치(310)에서는 디스플레이 지지체(325)마다 구동원(313)을 설치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구성으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구동 장치(355)를 하나로 하고, 구동 장치(355)에 웜(356)을 설치하며, 이 웜(356) 에 맞물리도록 웜 호일(357)을 설치한다. 각 디스플레이 지지체(325)에는 제1 및 제2 랙부(337a, 337b)에 제1 피니언 기어(346a)가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제3 및 제4 랙부(337c, 337d)에 제2 피니언 기어(346d)가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제1 및 제2 피니언 기어(346a, 346b)를 연결 축(359)으로 연결하고, 이 연결 축(359)에 평기어(358)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설치되는 2 개 평기어(358) 및 웜 호일(357)과 맞물림 가능하게 체인지 기어 기구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웜 호일(357)과 맞물리게 하는 평기어(358)를 전환할 수 있고, 하나의 구동 장치(355)라도, 2 개의 디스플레이 지지체(325)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틸트 장치(310)의 구성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고,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틸트 장치(310) 전체의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피니언 기어(346)마다 구동 장치(355)를 설치하고, 합계 4 개의 구동원(313)을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의 틸트 장치(310)에서는 구동원(313)은 구동 장치(355)와 기어 기구(358)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모터에 볼 나사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볼 나사 기구에 의해 슬라이드 지지체(334)를 구동시키더라도 좋다. 에어 실린더 또는 전동 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지지체(334)를 구동시키더라도 좋다.
본 실시예의 틸트 장치(310)에서는 디스플레이(311)를 틸팅시킬 때, 2 개의 가이드부(317)를 L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나머지 가이드부(317)를 N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고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동작에 의해 틸팅시키는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및 제3 가이드부(317a, 317c)를 지지하고, 이 가이드부(317a, 317c)를 축으로, 예컨대 제2 및 제4 가이드부(317b, 317d)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성하면서, 2 개의 가이드부(317b, 317d)를 지지하고, 이 가이드부(317b, 317d)를 축으로 가이드부(317a, 317c)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 때, 가이드 홈부(332)는 제1 및 제3 가이드부(317a, 317c)가 지지되면 이 가이드부(317a, 317c)를 축으로 제2 및 제4 가이드부(317b, 317d)가 회전 운동할 수 있고, 또한 제2 및 제4 가이드부(317b, 317d)가 지지되면 이 가이드부(317b, 317d)를 축으로 제1 및 제3 가이드부(317a, 317c)가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홈부(331)가 원호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홈부(332)의 제1 홈부(330)는 형성되지 않더라도 좋다.
본 실시의 틸트 장치(310)에서는 가이드부(317)가 슬라이드 지지체(33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34a, 334b)를 일체 형성하여 베어링부(347)를 구성한다. 이 베어링부(347)에 제1 및 제4 가이드부(317a, 317d)를 끼워 맞춘다. 마찬가지로 제3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c, 334d)를 일체 형성하여 베어링부(347)를 구성하고, 이 베어링부(347)에 제2 및 제3 가이드부(317b, 317d)를 끼워 맞춘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지지체(334)에 가이드부(317)를 끼워 맞춰 가이드부(317)가 제2 홈부(331)에서만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제1 홈부(330)를 미끄럼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311) 틸팅시키더라도 좋다. 따라서, 이 때에 가이드 홈부(332)의 제1 홈부(330)는 형성되지 않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 4 가이드부(317a, 317d)를 지점으로 하여 제2 및 제3 가이드부(317b, 317c)를 변위시키고, 또한 제2 및 제3 가이드부(317b 317c)를 지점으로 하여 제1 및 제4 가이드부(317a, 317d)를 변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M 축 주위 한 방향 및 다른 방향으로 디스플레이(311)를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틸트 장치(310)에서는 4 개의 가이드부(317)가 형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4 개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부(314)에 대하여 수직으로 가이드부(317)가 형성되는 측면부에 인접하는 각 측면부에도 각각 2 개의 가이드부(317)를 형성하고, 합계 8 개의 가이드부(317)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이들 가이드부(317)에 관해서도 디스플레이 지지체(325)를 설치함으로써, 또한 N 축 주위 한 방향 및 다른 방향으로도 디스플레이(311)를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러 방향으로 디스플레이(311)를 경사지게 할 수 있고, 종래의 틸트 장치(310)보다 더 환경 및 조건에 맞춰 디스플레이(311)의 경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좋다. 즉 틸트 장치의 범용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311) 및 수납 케이스(321)의 폭 방향을 M 축 방향으로 하고, 높이 방향을 N 방향이라고 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틸트 장치(310)가 지지하는 가동부는 디스플레이(311)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부(314)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라도 좋다. 예컨대, 틸트 장치(310)가 설치되는 전자기기의 안쪽에 설치되는 전자 장치인 재생 장치의 조작 패널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재생 장치를 최적의 경사 각도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삽입 및 이탈, 각종 조작 스위치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틸트 장치(310)에서는 제1 내지 제4 슬라이드 부재(334a, 334b, 334c, 334d)가 가이드부(317)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311)를 슬라이드시키고 있지만, 제1 및 제3 슬라이드 부재(334a, 334c)에 접촉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접촉 부재를 눌러 이동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제2 및 제4 슬라이드 부재(334b, 334d)가 접촉 부재를 L 방향으로 눌러 이동시킴으로써, 제1 및 제3 슬라이드 부재(334a, 334c)에 결합하는 가이드부(317)를 슬라이드시키고, 디스플레이(311)를 틸팅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317)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317)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가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전혀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Claims (12)

  1. 가동체(21)와,
    상기 가동체(21)의 일측의 양측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동체(21)를 각(角)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체 지지부(22)와,
    상기 가동체 지지부(22)의 일측을 변위시켜 상기 가동체(21) 및 상기 가동체 지지부(22)를 경사지게 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가동체(21)의 타측을 상기 가동체 지지부(22)의 타측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2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장치(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가동체 지지부(22)의 기준 위치로부터 가동체 지지부(22)의 일측을 변위시키는 제1 틸트 동작을 행하는 제1 틸트 기구체(18, 32, 33)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가동체(21)의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가동체(21)의 타측을 변위시키는 제2 틸트 동작을 행하는 제2 틸트 기구체(16, 19, 21, 22, 24, 44, 6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장치(10).
  3. 복수의 결합부(317a~317d)를 구비하는 가동체(311)와,
    상기 가동체(311)의 일측을 변위시켜, 상기 가동체(311)를 경사지게 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가동체(311)의 타측을 변위시켜, 상기 가동체(311)를 경사지게 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결합부(317a~317d)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결합부(336a~336d)가 형성되는 지지체(3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장치(31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21)의 타측이 상기 가동체 지지부(22)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 가동체(21)의 타측과 가동체 지지부(22)의 타측 사이를 덮는 커버 부재(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장치(10).
  5. 제2항에 있어서,
    제2 틸트 기구체(16, 19, 21, 22, 24, 44, 69)는 상기 가동체(21)의 일측을 지점으로 하여 상기 가동체(21)를 각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장치(10).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틸트 기구체(18, 32, 33)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동체(21) 및 상기 가동체 지지부(22)가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제2 틸트 동작이 지시되면 제1 틸트 기구체(18, 32, 33)를 구동하여 상기 가동체 지지부(22)를 기준 위치에 복귀시킨 후, 상기 제2 틸트 기구체(16, 19, 21, 22, 24, 44, 69)를 구동하여 상기 제2 틸트 동작을 행하고,
    상기 제2 틸트 기구체(16, 19, 21, 22, 24, 44, 69)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동체(21)의 타측이 상기 가동체 지지부(22)의 타측으로부터 이격한 상태로 상기 제1 틸트 동작이 지시되면 제2 틸트 기구체(16, 19, 21, 22, 24, 44, 69)를 구동하여 상기 가동체(21)를 기준 위치에 복귀시킨 후, 상기 제1 틸트 기구체(18, 32, 33)를 구동하여 상기 제1 틸트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장치(10).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틸트 기구체(18, 32, 33)와 제2 틸트 기구체(16, 19, 21, 22, 24, 44, 69)를 구동하는 공통의 구동원(55)과,
    상기 가동체 지지부(22)가 기준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원(55)이 접속되는 기구체를 전환하는 전환부(63, 65, 66, 74, 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장치(10).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부(317a~317d)는,
    상기 가동체(311)의 일측의 양측부에 마련된 한 쌍의 제1 결합부(317a, 317c)와, 상기 가동체(311)의 타측의 양측부에 마련된 한 쌍의 제2 결합부(317b, 317d)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312)는,
    상기 가동체의 경사 동작을 안내하는 안내 기구(332)가 마련된 제1 지지 부재(321)와,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부(317a, 317c)와 결합하는 상기 피결합부(336a, 336c)가 마련된 제1 부재(334a, 334c)와,
    상기 한 쌍의 제2 결합부(317b, 317d)와 결합하는 상기 피결합부(336b, 336d)가 마련된 제2 부재(334b, 334d)를 구비하는 제2 지지 부재(325)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부가 구동되면, 상기 한 쌍의 제2 결합부(317b, 317d)는 상기 제2 지지 부재(325)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안내 기구(332)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며,
    상기 제2 구동부가 구동되면,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부(317a, 317c)는 상기 제1 지지 부재(334a, 334c)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안내 기구(332)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장치(310).
  9. 가동체(21)의 일측의 양측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동체(21)를 각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체 지지부(22)의 일측을 변위시켜, 상기 가동체(21) 및 상기 가동 지지부(22)를 경사지게 하는 제1 틸트 동작과,
    상기 가동체(21)의 타측을 상기 가동체 지지부(22)의 타측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2 틸트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틸트 방법.
  10. 가동체(21)와,
    상기 가동체(21)의 일측의 양측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동체(21)를 각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체 지지부(22)와,
    상기 가동체 지지부(22)의 일측을 변위시켜 상기 가동체(21) 및 상기 가동 지지부(22)를 경사지게 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가동체(21)의 타측을 상기 가동체 지지부(22)의 타측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2 구동부와,
    상기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가 설치되는 전자기기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10).
  11. 복수의 결합부(317a~317d)를 구비하는 가동체(311)와,
    상기 가동체(311)의 일측을 변위시켜 상기 가동체(311)를 경사지게 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가동체(311)의 타측을 변위시켜 상기 가동체(311)를 경사지게 하는 제2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결합부(317a~317d)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결합부(336a~336d)가 형성되는 지지체(312)와,
    상기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가 설치되는 전자기기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310).
  12. 삭제
KR1020060028189A 2005-03-30 2006-03-29 틸트 장치 및 전자기기 KR100753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99747A JP4246712B2 (ja) 2005-03-30 2005-03-30 電子機器
JPJP-P-2005-00099747 2005-03-30
JPJP-P-2005-00132476 2005-04-28
JP2005132476 2005-04-28
JP2005330750A JP3909774B2 (ja) 2005-04-28 2005-11-15 チルト装置
JPJP-P-2005-00330750 2005-11-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132A Division KR100891633B1 (ko) 2005-03-30 2007-06-08 틸트 장치 및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731A KR20060106731A (ko) 2006-10-12
KR100753466B1 true KR100753466B1 (ko) 2007-08-31

Family

ID=369552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189A KR100753466B1 (ko) 2005-03-30 2006-03-29 틸트 장치 및 전자기기
KR1020070056132A KR100891633B1 (ko) 2005-03-30 2007-06-08 틸트 장치 및 전자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132A KR100891633B1 (ko) 2005-03-30 2007-06-08 틸트 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97290B2 (ko)
EP (1) EP1710657B1 (ko)
KR (2) KR100753466B1 (ko)
TW (1) TWI3023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5696B2 (ja) * 2006-03-16 2011-09-07 ソニー株式会社 車載機器
US8336927B2 (en) 2008-08-15 2012-12-25 Luke Liang Tilt latch with cantilevered angular extension
US8220846B2 (en) 2008-08-15 2012-07-17 Vision Industries Group, Inc. Latch for tiltable sash windows
JP4811447B2 (ja) * 2008-10-30 2011-11-09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パネル姿勢変更装置及びパネル姿勢変更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KR20100103278A (ko) * 2009-03-13 2010-09-27 주식회사 남성 카 오디오 장치
JP5728898B2 (ja) * 2010-11-19 2015-06-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パネル体の傾動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記録装置
DE102013106578A1 (de) * 2013-06-24 2014-12-24 Endress + Hauser Flowtec Ag Feldgerät
CN104470313B (zh) * 2013-09-13 2017-06-09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组装模块及电子装置
JP6499062B2 (ja) * 2015-11-16 2019-04-10 アルパイン株式会社 可動ディスプレイ装置
DE112017006737T5 (de) * 2017-01-05 2019-10-24 Olympus Corporation Biegebedienmechanismus eines Endoskops
US11443663B2 (en) * 2017-08-18 2022-09-13 Barco N.V. Adjustable support structure for display tile
CN110025156B (zh) * 2019-04-08 2024-05-24 麦格纳座椅研发(重庆)有限公司 座椅操作控制滑移倾斜机构
KR102566041B1 (ko) * 2019-11-05 2023-08-16 주식회사 프로웰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

Citation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4787A (ja) * 1987-12-26 1989-07-11 Soritsuku:Kk 自動開閉引戸の制御回路装置
JPH03116071A (ja) * 1989-09-29 1991-05-17 Canon Inc 現像装置
JPH0710982U (ja) * 1993-07-14 1995-02-14 株式会社ニフコ 格納式操作パネル装置
JPH0715447U (ja) * 1993-08-26 1995-03-14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機器の機器本体移動装置
JPH07168530A (ja) * 1993-12-15 1995-07-04 Canon Inc チルト可能なディスプレイ装置を有する機器
JPH07215137A (ja) * 1994-02-04 1995-08-15 Fujitsu Ten Ltd 車載用オーディオ付テレビ
JPH07291045A (ja) * 1994-04-28 1995-11-07 Fujitsu Ten Ltd 車載用オーディオ付テレビ
JPH08175279A (ja) * 1994-12-21 1996-07-09 Fujitsu Ten Ltd 車載用テレビの角度調整機構
JPH08175278A (ja) * 1994-12-21 1996-07-09 Fujitsu Ten Ltd 車載用テレビの画面調整機構
JPH08282391A (ja) * 1995-04-17 1996-10-29 Fujitsu Ten Ltd 電子機器のパネル回動装置
JPH08301020A (ja) * 1995-05-02 1996-11-19 Fujitsu Ten Ltd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H09205285A (ja) * 1996-01-24 1997-08-05 Fujitsu Ten Ltd 電子機器
JPH1051712A (ja) * 1996-07-29 1998-02-20 Fujitsu Ten Ltd ディスプレイ駆動機構
JPH10255452A (ja) * 1997-03-17 1998-09-25 Fujitsu Ten Ltd 車載機器のパネル移動装置
JPH1122725A (ja) * 1997-07-02 1999-01-26 Fujitsu Ten Ltd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0095034A (ja) * 1998-09-21 2000-04-04 Fujitsu Ten Ltd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2154382A (ja) * 2000-11-20 2002-05-28 Fujitsu General Ltd 車載用表示マウント装置
JP2002299827A (ja) * 2001-03-30 2002-10-11 Kyocera Corp 配線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57166A (ja) * 2002-02-26 2003-09-12 Lg Electronics Inc カーオーディオのフロントパネル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6449B2 (ja) 1988-05-31 1997-04-02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用電子機器
JPH0416496A (ja) 1990-05-10 1992-01-21 Kumagai Gumi Co Ltd 建造物に於ける揚重装置
JPH0537555A (ja) 1991-08-01 1993-02-12 Fujitsu Ltd パソコン連携式フアクシミリ・音声メールシステム
JPH05275482A (ja) 1992-03-30 1993-10-22 Kyocera Corp 半導体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
JPH0730631B2 (ja) 1992-07-15 1995-04-10 株式会社福田組 多層階建築物用全天候シェルターの仮設方法
US5321760A (en) 1992-11-16 1994-06-14 Davidson Textron Inc. Retractable speaker assembly
JPH06156153A (ja) 1992-11-20 1994-06-03 Toshiba Corp ディスプレイの収納装置およびその排出・収納方法
JP2750315B2 (ja) 1993-05-14 1998-05-1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識別子の指定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3220567B2 (ja) 1993-06-23 2001-10-22 三井化学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
JPH0744268A (ja) 1993-06-29 1995-02-14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
JPH07266942A (ja) 1994-03-31 1995-10-17 Ikeda Bussan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7285390A (ja) 1994-04-18 1995-10-31 Sumitomo Wiring Syst Ltd 車載用電子機器収納箱
JPH09104293A (ja) 1995-10-13 1997-04-22 Alpine Electron Inc 表示装置
JPH09180332A (ja) * 1995-12-28 1997-07-11 Sony Corp 電子機器
JPH106866A (ja) 1996-06-25 1998-01-13 Calsonic Corp 車載用モニタの固定装置
JP3336559B2 (ja) 1996-10-09 2002-10-21 株式会社ケンウッド 車載用収容型モニタ
US5941615A (en) * 1996-10-23 1999-08-24 Harness System Technologies Research, Ltd. Movable structure for a display
JPH10135669A (ja) 1996-10-31 1998-05-22 Fujitsu Ten Ltd 電子機器
JP2000299827A (ja) 1999-04-12 2000-10-24 Sony Corp パネル体の角度制御装置
JP2001063402A (ja) 1999-08-31 2001-03-13 Fujitsu Ten Ltd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4312900B2 (ja) 1999-10-19 2009-08-1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1134199A (ja) 1999-11-04 2001-05-18 Fujitsu Ten Ltd 可動パネル部を有する電子機器
JP3787054B2 (ja) 2000-04-20 2006-06-2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2023650A (ja) 2000-06-14 2002-01-2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携帯型コンピュータ装置
KR100345281B1 (ko) 2000-07-11 2002-07-2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용 에이브이 프런트 패널 각도 조절장치
JP2002238211A (ja) 2001-02-06 2002-08-23 Fujitsu Ten Ltd 駆動装置
JP3740022B2 (ja) * 2001-03-05 2006-01-2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電子機器
JP4362991B2 (ja) 2001-05-28 2009-11-1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載ディスプレイ防眩機構
JP3678176B2 (ja) 2001-07-16 2005-08-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3054322A (ja) 2001-08-10 2003-02-26 Fujitsu Ten Ltd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4045085B2 (ja) 2001-08-29 2008-02-13 株式会社ケンウッド 電子機器および駆動機構
JP2003069920A (ja) 2001-08-29 2003-03-07 Kenwood Corp パネル装置
US6816177B2 (en) 2002-01-28 2004-11-09 Tony Wang Display observation angle of which is multidirectionally adjustable
JP2003243842A (ja) 2002-02-14 2003-08-29 Fujitsu Ten Ltd ガイドローラ
KR100475095B1 (ko) 2002-04-08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KR20030082351A (ko) * 2002-04-15 2003-10-22 이해청 금속박판으로 제조한 휴대용재떨이
JP4180341B2 (ja) 2002-10-07 2008-11-1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の照明構造
WO2004089695A1 (en) 2003-04-09 2004-10-21 Kmc Co., Ltd. Apparatus for receiving monitor for vehicles
JP3830913B2 (ja) 2003-04-14 2006-10-1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等
JP4307224B2 (ja) 2003-07-15 2009-08-05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067240A (ja) 2003-08-26 2005-03-17 Fujitsu Ten Ltd 回動部材の支持構造
US7356954B2 (en) 2003-12-01 2008-04-15 Fujitsu Ten Limited In-vehicle display apparatus
JP4334457B2 (ja) 2004-10-29 2009-09-30 株式会社ケンウッド 電子機器の表示パネル駆動機構

Patent Citation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4787A (ja) * 1987-12-26 1989-07-11 Soritsuku:Kk 自動開閉引戸の制御回路装置
JPH03116071A (ja) * 1989-09-29 1991-05-17 Canon Inc 現像装置
JPH0710982U (ja) * 1993-07-14 1995-02-14 株式会社ニフコ 格納式操作パネル装置
JPH0715447U (ja) * 1993-08-26 1995-03-14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機器の機器本体移動装置
JPH07168530A (ja) * 1993-12-15 1995-07-04 Canon Inc チルト可能なディスプレイ装置を有する機器
JPH07215137A (ja) * 1994-02-04 1995-08-15 Fujitsu Ten Ltd 車載用オーディオ付テレビ
JPH07291045A (ja) * 1994-04-28 1995-11-07 Fujitsu Ten Ltd 車載用オーディオ付テレビ
JPH08175279A (ja) * 1994-12-21 1996-07-09 Fujitsu Ten Ltd 車載用テレビの角度調整機構
JPH08175278A (ja) * 1994-12-21 1996-07-09 Fujitsu Ten Ltd 車載用テレビの画面調整機構
JPH08282391A (ja) * 1995-04-17 1996-10-29 Fujitsu Ten Ltd 電子機器のパネル回動装置
JPH08301020A (ja) * 1995-05-02 1996-11-19 Fujitsu Ten Ltd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H09205285A (ja) * 1996-01-24 1997-08-05 Fujitsu Ten Ltd 電子機器
JPH1051712A (ja) * 1996-07-29 1998-02-20 Fujitsu Ten Ltd ディスプレイ駆動機構
JPH10255452A (ja) * 1997-03-17 1998-09-25 Fujitsu Ten Ltd 車載機器のパネル移動装置
JPH1122725A (ja) * 1997-07-02 1999-01-26 Fujitsu Ten Ltd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0095034A (ja) * 1998-09-21 2000-04-04 Fujitsu Ten Ltd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2154382A (ja) * 2000-11-20 2002-05-28 Fujitsu General Ltd 車載用表示マウント装置
JP2002299827A (ja) * 2001-03-30 2002-10-11 Kyocera Corp 配線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57166A (ja) * 2002-02-26 2003-09-12 Lg Electronics Inc カーオーディオのフロントパネル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1633B1 (ko) 2009-04-03
EP1710657A3 (en) 2008-01-23
KR20060106731A (ko) 2006-10-12
TWI302324B (en) 2008-10-21
EP1710657B1 (en) 2016-01-20
TW200703366A (en) 2007-01-16
US20060236329A1 (en) 2006-10-19
US7597290B2 (en) 2009-10-06
KR20070078407A (ko) 2007-07-31
EP1710657A2 (en)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466B1 (ko) 틸트 장치 및 전자기기
JP4246712B2 (ja) 電子機器
US20100154309A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nd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JP2007168765A (ja) Atセレクタカバー
JP2895372B2 (ja) 情報処理装置
JP4785424B2 (ja) 電子機器
JP3909774B2 (ja) チルト装置
JP2008174296A (ja) ヒンジ式蓋構造
KR100798329B1 (ko) 차량용 오디오 장치
US7640557B2 (en) Housing for on-vehicle electronic apparatus
JP2011025716A (ja) 車載用電子機器のパネル可倒機構
JP2006123751A (ja) 電子機器の表示パネル駆動機構
JP3935195B2 (ja) 電子機器
JP378595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195585B2 (ja) 車載用電子機器
JP2006076369A (ja) パネル開閉機構およびこのパネル開閉機構を用いた車載装置
JP2001134199A (ja) 可動パネル部を有する電子機器
JP2022053414A (ja) 表示パネル駆動機構、および、表示ユニット
JP4007753B2 (ja) 車載用電子機器
KR100446772B1 (ko) 카오디오의 프론트패널 구동장치
JP4091379B2 (ja) 車載用電子機器
JP5138198B2 (ja) カップホルダ装置
JP3031828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3597406B2 (ja) 電子機器
JP2018016210A (ja) 車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