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950B1 - 벼과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벼과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950B1
KR100723950B1 KR1020050135745A KR20050135745A KR100723950B1 KR 100723950 B1 KR100723950 B1 KR 100723950B1 KR 1020050135745 A KR1020050135745 A KR 1020050135745A KR 20050135745 A KR20050135745 A KR 20050135745A KR 100723950 B1 KR100723950 B1 KR 100723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chemic
wheat
soluble fraction
crud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5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0122A (ko
Inventor
이종원
황기철
한형수
임선하
이형규
이상혁
김규원
전형오
김현정
이인선
양재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폭시
학교법인 선목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폭시, 학교법인 선목학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폭시
Priority to KR1020050135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950B1/ko
Priority to PCT/KR2006/000027 priority patent/WO2006073265A1/en
Priority to JP2007549276A priority patent/JP2008526737A/ja
Priority to US11/813,285 priority patent/US20080113005A1/en
Publication of KR20060080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950B1/ko
Priority to US12/623,341 priority patent/US2010006831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Diabet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산소 조건에서 세포생존능 개선 활성을 갖는 벼과 (Gramineae)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벼과식물 추출물은 저산소 조건의 시험관 내 실험 및 허혈 동물모델에서 세포자살 (apoptosis)에 대한 강력한 억제활성을 나타내며, 퇴행성 뇌질환 동물모델에서 뇌손상을 방지하며 기억력 향상 효능을 나타내므로, 상기 조성물은 허혈성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벼과식물, 소맥, 세포자살, 허혈성 질환, 퇴행성 뇌질환, 약학조성물, 건강기능식품,

Description

벼과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Gramineae plan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schemic diseases and degenerative brain diseases}
도 1a는 저산소 조건에서 배양배지에 농도를 달리한 소맥 조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HepG2 세포의 생존율 개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b는 정상산소 조건에서 배양배지에 농도를 달리한 소맥 조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HepG2 세포의 생존율 개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c는 저산소 조건에서 배양배지에 농도를 달리한 벼과식물 (현미, 호밀, 맥아, 부소맥 및 소맥) 조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HepG2 세포의 생존율 개선을 나타낸 MTT 어세이 결과이고,
도 1d는 저산소 조건에서 배양배지에 농도를 달리한 벼과식물 (율무, 옥수수, 수수, 기장, 보리, 귀리, 조, 호밀 및 소맥) 조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HepG2 세포의 생존율 개선을 나타낸 MTT 어세이 결과이고,
도 2a는 저산소 조건에서 배양배지에 소맥 조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HepG2 세포의 생존율 개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b는 저산소 조건에서 HepG2 세포의 DNA 분절을 나타낸 도이고,
도 2c는 저산소 조건에서 배양배지에 소맥 조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HepG2 세포의 DNA 분절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3은 저산소 조건에서 배양배지에 농도를 달리한 소맥 부탄올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의 첨가에 따른 HepG2 세포의 생존 정도를 나타낸 MTT 어세이 결과이고,
도 4a는 심근경색 동물모델에 복강주사시 소맥 조추출물의 경색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4b는 심근경색 동물모델의 심근을 TTC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염색한 결과이며,
도 4c는 소맥 조추출물을 복강주사한 심근경색 동물모델의 심근을 TTC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염색한 결과이며,
도 5a는 심근경색 동물모델에 경구투여시 소맥 조추출물의 경색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b는 심근경색 동물모델의 심근조직 절편을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Hematoxylin & Eosin, H & E) 염색한 결과이며,
도 5c는 소맥 조추출물을 경구투여한 심근경색 동물모델의 심근조직 절편을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Hematoxylin & Eosin, H & E) 염색한 결과이며,
도 6a는 뇌경색 동물모델에 경구투여시 소맥 조추출물의 경색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6b는 뇌경색 동물모델의 뇌를 TTC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염색한 결과이며,
도 6c는 소맥 조추출물을 경구투여한 뇌경색 동물모델의 뇌를 TTC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염색한 결과이며,
도 7a는 혈중 크레아티닌 농도 검사에서 허혈성 급성신부전증 동물모델에 복강주사시 소맥 조추출물의 신장 손상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도 7b는 혈중 크레아티닌 농도 검사에서 허혈성 급성신부전증 동물모델에 복강주사시 소맥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의 신장 손상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도 8a는 물-미로검사에서 알츠하이머병 동물모델에 경구투여시 소맥 조추출물의 기억력 감퇴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도 8b는 물-미로검사에서 알츠하이머병 동물모델에 경구투여시 소맥 조추출물의 기억력 증진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벼과식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허혈성 질환인 뇌경색과 심근경색은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흡연 등에 의해 혈관이 좁아지는 동맥경화증에 빠진 상태에서 혈전 등에 의해 뇌에 혈액 을 공급하는 뇌동맥 또는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막혀 주위조직이 괴사함으로써 발생한다.
심혈관질환은 세계적으로 전체 사망 원인의 30 %를 차지하고 있어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의 75 %는 심근경색과 뇌경색과 같은 허혈성 질환이다. 심근경색과 뇌경색 각각은 암과 더불어 사망률 최고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심근경색과 뇌경색에 의한 사망률을 줄이는 방법에는 고혈압과 고지혈증을 치료하여 혈관의 폐색을 방지하는 방법과 혈관 폐색 시 주위조직의 괴사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 중, 괴사 부위를 감소시키는 최선의 방법은 빠른 시간 내에 막힌 혈관을 혈전용해제 등으로 뚫어 혈관을 재관류 시키는 것이나, 호흡에 의해 에너지를 얻는 심장과 뇌는 혈관이 막히는 폐색 3~ 6 시간 이내에 조직들이 괴사되어 이후에는 재관류 시키더라도 그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그러나, 치료효과를 높이는데 필요한 시간인 폐색 3~ 6 시간 이내에 병원에 도착하여 치료를 받아 재관류 시키는 것이 어려운 현실이며, 또한 심장과 뇌는 일단 손상을 입으면 재생이 잘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병원에서 재관류 시킬 때까지 허혈상태에서의 세포생존력을 개선할 수 있다면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조직괴사 원인 중 하나는 세포자살이며 (Crow MT et al., Circ . Res., 95(10), pp957-970, 2004; Friedlander RM, N. Engl. J. Med ., 348(14), pp1365-1375, 2003), 이를 억제함으로써 세포생존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신장이식 (Daemen MA et al., Transplantation, 73(11), pp1693-1700, 2002)이나 성형외과적인 수술 (Gastman BR et al., P; ast . Reconstr . Surg ., 111, pp1481-1496, 2003) 등에서 이식된 조직의 손상도 허혈-재관류에 따른 세포자살에 의해 발생한다.
또한, 심장을 정지시키고 시행하는 수술의 경우, 심폐기에 의해 공급되는 산소량보다 요구되는 산소량이 많게 되면 심근손상 또는 저혈압에 의한 뇌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상동맥 폐색 시에 실시하는 우회로이식 (bypass graft) 수술, 뇌동맥이나 대동맥에 발생한 동맥류 (aneurysm) 수술 등, 혈액을 일부 차단하는 수술 시에 허혈로 인한 심근손상 및 뇌손상으로 심부전 및 반신불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대동맥류의 수술적 또는 중재적 치료 시, 3-16 %의 환자에게서 심근허혈, 신부전, 하지마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난다. 따라서 허혈조건에서 세포자살을 억제하는 약물을 전처치에 이용한다면, 상기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신경세포자살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대뇌에 일시적인 뇌허혈이 유발되는 경우, 산소와 포도당의 공급이 차단되어 신경세포에서는 아데노신 삼인산 (ATP)이 감소하고 부종 (edema)이 발생되면서 신경세포자살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뇌허혈에 의한 신경세포자살 기전으로는 허혈에 의해서 세포 밖에 과도한 글루탐산 (glutamate)이 축적되게 되고 이 글루탐산이 세포내로 유입되어 결국 과도한 세포내 칼슘의 축적으로 신경세포자살이 유발된다는 흥분성 신경세포자살 기전 (Kang TC et al., J. Neurocytol ., 30(12), pp945-955, 2001)과 허혈-재관류 시에 갑작스러운 산소 공급으로 인한 생체 내 라디칼의 증가가 DNA 및 세포질에 손상을 입혀 신경세포사가 유발된다는 산화성 신경세포자살 기전 (Won MH et al., Brain Res., 836(1-2), pp70-78, 1999)이 있다. 이러한 기전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뇌허혈로 인한 신경세포자살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물질을 탐색하거나 물질에 대한 기전을 밝히는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신경세포자살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물질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허혈조건에서 세포자살을 억제하는 테트라사이클린 계열의 항생제인 미노사이클린의 경우, 뇌경색 (Yrjanheikki J et al., Proc . Natl . Acad . Sci . USA, 96(23), pp13496-13500, 1999), 심근경색 (Scarabelli TM et al., J. Am. Coll. Cardiol ., 43(5), pp865-874, 2004) 및 허혈성 급성신부전증 (Wang J et al., J. Biol . Chem ., 279(19), pp19948-19954, 2004) 등의 허혈성 질환뿐만 아니라 알츠하이머병 (Hunter CL, Eur . J. Neurosci ., 19(12), pp3305-3316, 2004), 파킨슨병 (Wu DC et al., J. Neurosci ., 22(5), pp1763-1771, 2002), 근위축성 측상 경화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Zhu S et al., Nature, 417(6884), pp74-78, 2002), 헌팅턴병(Chen M et al., Nat. Med ., 6(7), pp797-801, 2000) 및 척수손상 (Teng YD et al., Proc . Natl . Acad . Sci . USA, 101(9), pp3071-3076, 2004) 등의 신경세포자살에 의해 발생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테트라사이클린 계열의 항생제가 본 연구와 유사한 허혈조건에서 세포의 생존을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0404134호; 미국특허등록번호 6716822, 6818625호). 더군다나 미노사이클린 뿐만 아니라 아미노글리코사이드 계열, 퀴놀론 계열의 항생제들도 미노사이클 린과 마찬가지로 허혈조건에서 세포의 생존을 개선시켰으며, 이 중에서 특히 아미노글리코사이드 계열의 G418 (제네티신)은 심근경색 치료 효과가 관찰되었다 (미국특허등록번호 6716822). 이 후의 실험에서 G418은 허혈조건에서 세포자살을 억제하며 심근경색뿐만 아니라 뇌경색에도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로, 허혈조건에서 G418과 동일한 세포 생존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시료들이 궁극적으로 심근경색 등의 허혈성 질환의 치료에 효과를 나타내고 아울러 퇴행성 뇌질환 등 세포자살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도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어 왔으나, 벼과식물 추출물 및 그 분획이 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는 것에 대하여 개시된 바는 없다.
보리 (Horden vulgare var. hexastichon ASCH.)의 종자는 대맥이라 불리며, 주요성분은 전분과 단백질이다. 건조된 대맥립에는 전분 60~ 68 %, 펜토산 (pentosan) 8~ 12 %, 셀룰로스 (cellulose) 4~ 5 %, 리그닌 (lignin) 4 %, 질소함유물 7~ 14 %, 에테르 추출물 2~ 3 %, 회분 2~ 3 %가 함유되어 있다. 또 종자에는 포스파티딜 세린 (phosphatidyl serine), 포스파티딜 콜린 (phosphatidyl choline),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phosphatidyl ethanolamine), 포스파티딘 산과 스테롤류 및 에스테르, 글리코시드 (glycosid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 외에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주된 것은 팔미틴 (palmitin)산, 스테아린 (stearin)산, 올레인(olein)산, 리놀(linol)산이다. 또 알란토인 (alantoin)도 함유되어 있다 (정보섭 및 신민교저, 도해향약 대사전, 영림사, p218, 1998년).
맥아는 겉보리의 종자를 발아시켜 건조시켜 만든 것으로 소화 촉진작용과 혈 당 강하작용을 나타낸다 (안덕균 저, 원색한국본초도감, 5판, 교학사, p476, 2002).
귀리 (Avena sativa)의 아미노산 조성은 현미와 유사하며, 비타민 B군도 다량 함유되어 있다. 하제로서 작용하며 소염, 변비개선 및 항암작용이 알려져 있다.
현미 (玄米)는 수확한 벼 (Oryza sativa L.)를 탈곡한 후 왕겨를 벗긴 쌀로서, 현미의 표준적 화학조성은 수분 15.5 %, 단백질 7.4 %, 지질 3.0 %, 당질 71.8 %, 섬유 1.0 %, 회분 1.3 %, 비타민 B1은 100 g 중 0.54 ㎎으로 당질 (녹말)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단백질이나 지방은 많지 않다.
옥수수 (Zea mays L.) 종자는 전분 61.2 %, 단백질 4.75 %, 알칼로이드류 0.21 % 및 다수의 비타민들로 이루어져있다. 이 중에서 단백질은 5 %를 차지하는 제인 (zein)을 비롯하여 알부민 (albumin), 글로불린 (globulin) 및 글루테린 (glutelin) 등을 함유한다. 그리고, 옥수수유에는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리놀산 등의 불포화지방산이 들어 있다 (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 대사전, 영림사, p234, 1998).
수수 (Sorghum bicolor MOENCH)의 주성분은 전분 (76.5 %) 및 단백질 (8.5 %)이며, 위장장애로 인한 복통 및 토사곽란에 쓰인다 (안덕균 저, 원색한국본초도감, 5판, 교학사, p441, 2002).
율무 (Coix lacryma - jobi var. mayuen STAPF)에는 전분 67.7 %, 단백질 13.8 %, 지질 5.1 %, 섬유 0.7 %를 함유하며, 이뇨 및 배뇨 등에 효과를 나타낸다 (안덕균 저, 원색한국본초도감, 5판, 교학사, p405, 2002).
기장 (Panicum miliaceum L.)의 탈곡한 종자에는 무기성분 2.86 %, 전분 59.65 %가 함유되어 있다. 유분이 5.07 % 함유되어 있고 그 지방산 중에는 주로 팔미틴 (palmitin)산, 카르나우바 (carnauba)산, 마르가린 (margarin)산, 올레인 (olein)산, 리놀 (linol)산, 이소리놀 (isolinol)산 등이 있고 단백질에는 알부민 (albumin), 글로불린 (globulin), 글루테린 (gluterin), 프롤아민 (prolamin) 등의 종류가 있다 (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 대사전, 영림사, pp225-226, 1998).
조 (Setaria italica Beauv.)의 탈각된 종자 및 껍질이 붙은 종자의 건조품에는 각각 지방 1.41, 1.68 %, 총질소 2.48, 2.79 %, 단백질소 2.41, 2.72 %, 회분 3.15, 1.85 %, 전분 63.27, 77.58 %, 환원당 2.03, 1.98 %가 함유되어 있다. 또 종자에는 유분 3 %가 함유되었다. 단백질에는 글루테린 (glutelin), 프롤라민 (prolamin), 글로불린 (globulin) 등이 있으며, 종자의 단백질에는 글루타민 (glutamine), 프롤린 (proline), 알라닌 (alanine), 메티오닌 (methionine)이 함유되어 있다 (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 대사전, 영림사, p229, 1998). 비위, 허약, 소화불량 및 설사 등에 효과를 나타낸다 (안덕균 저, 원색한국본초도감, 5판, 교학사, p705, 2002).
호밀 (Secale cereale L.)은 주성분이 전분과 단백질로 전분이 약 70%, 단백질이 약 12 %, 지방질 약 2 %, 무기질이 약 1.7 %를 차지한다. 단백질 중 프롤라민 (prolamin)과 글루테린 (glutelin)이 각각 약 40 %씩의 함량을 차지한다.
소맥 (Triticum aestivum N.)은 밀의 한약재명으로 약 82 %의 배유, 16 %의 과피 및 2 %의 배아로 구성되어 있다. 각 구성부분의 성분을 살펴보면, 배유는 전 분질과 단백질, 과피 (외피)는 섬유질, 단백질 및 회분, 배아는 비타민 E, 리놀레산 등을 함유하고 있다. 단백질로는 글리아딘과 글루테닌이, 지방으로는 올레산, 리놀레산, 팔미트산 등이 많이 들어 있으며, 그 이외에도 카로티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한약재로써 해열, 정신안정, 종기와 각종 출혈증 등에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부소맥은 소맥이 완전하게 성숙하기 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후 물에 담궜을 때 뜨는 것만 모은 것이다 (안덕균 저, 원색한국본초도감, 5판, 교학사, p727, 2002).
소맥을 이용한 특허로는 다른 한약재와 함께 심열로 인한 흉통, 견갑통 및 심장질환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특허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00-0033287) 등이 있으나, 본 발명의 소맥 추출물을 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의 주성분으로 이용한 예는 상기 문헌 어디에도 교시되거나 기재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허혈성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소맥을 비롯한 벼과식물 추출물의 저산소 조건에서 세포생존력을 개선시키는 세포자살 억제제로서의 활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 동물모델에서의 개선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허혈 조건에서 세포자살 억제 및 조직 경색 억제활성을 가 지며, 퇴행성 뇌질환 동물모델에서 뇌손상 방지 및 기억력 향상 활성을 갖는 벼과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벼과식물 (Gramineae plant) 조추출물 또는 정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허혈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허혈성 질환은 심근경색, 뇌경색, 허혈성 급성신부전증, 허혈성 급성간부전증, 당뇨성 족부궤양, 당뇨성 신증, 외과수술 부작용에 기인한 허혈성 질환 또는 기관 조직 손상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외과수술 부작용에 기인한 허혈성 질환은 허혈성 심부전, 허혈성 신부전, 허혈성 간부전 또는 허혈성 뇌졸중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기관 조직 손상은 허혈 후 재관류를 동반하는 장기 수술 또는 이식, 외상성 절단사지 재접합으로 인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기는 신장, 간장, 췌장, 폐 또는 심장 등의 내부장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벼과식물 (Gramineae plant) 조추출물 또는 정제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형 치매, 뇌혈관성 치매, 파 킨슨병, 근위축성 측상경화증, 헌팅턴병, 피크(Pick)병, 크로이츠펠트-야콥 (Creutzfeldt-Jakob)병 또는 척수손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과 같은 C1 내지 C4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서 정의되는 정제 분획물은 상기한 벼과식물 조추출물에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과 같은 강염기를 가하여 pH 7 및 pH 12로 조정하는 제 1단계; 여기에 추출농축액과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등의 비극성 용매를 가하여 비극성 물질을 제거하고 수가용성 분획물을 회수하는 제 2단계; 상기 수가용성 분획물에 동량의 부탄올 등의 저급알콜로 추출 분획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4개의 정제 분획물, 즉, pH12에서 수득한 부탄올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이하, 각각 H12Bu 및 H12WA이라 함), pH7에서 수득한 부탄올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이하, 각각 H7Bu 및 H7WA이라 함), 바람직하게는 pH12의 벼과식물 조추출물에서 수득한 부탄올가용성 분획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벼과식물은 소맥 (Triticum aestivum N.), 부소맥, 호밀 (Secale cereale L.), 현미, 보리 (Horden vulgare var. hexastichon ASCH.), 맥아, 귀리 (Avena sativa), 옥수수 (Zea mays L.), 수수 (Sorghum bicolor MOENCH), 율무 (Coix lacryma - jobi var. mayuen STAPF), 기장 (Panicum miliaceum L.) 또는 조 (Setaria italica Beauv.)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벼과식물 조추출물 및 정제분획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벼과식물 조추출물은 건조 후, 잘게 부순 벼과식물, 바람직하게는 소맥, 부소맥, 호밀, 현미, 보리, 맥아, 귀리, 옥수수, 수수, 율무, 기장 또는 조 각각을 잘게 부순 후, 각 중량의 약 1 내지 15배의 부피,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0배 분량의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콜 또는 약 1: 0.1 내지 1: 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을 가하고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의 추출온도에서 약 0.5시간 내지 2일,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1일 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약탕기 추출 등이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약탕기 추출법으로 1회 내지 12회, 바람직하게는 3회 내지 4회 반복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여과한 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에서 감압농축한 후 추출된 잔사를 진공동결건조기로 건조하여 물,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가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농축 단계 직전의 벼과식물 조추출물을 1/5 내지 1/20 부피, 바람직하게는 1/10 부피까지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농축액에, 수산화나트륨을 적용하여 pH7 및 pH12로 조정한 각각의 벼과식물 추출농축액에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섞어 강하게 진탕한 후 수가용성 분획물을 회수한 후, 다시 상기 수가용성 분획물에 동량의 부탄올을 넣어 진탕한 후 부탄올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한다. pH12에서 수득한 부 탄올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은 pH7로 중화하고, pH7에서 수득한 부탄올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과 함께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하여 본 발명의 부탄올가용성 분획물과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된 본 발명의 벼과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벼과식물 조추출물을 처리한 인간간암세포주를 트립판 블루 색소 배제법 및 MTT 어세이에 적용한 결과 탁월한 세포생존능 개선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소맥 조추출물을 처리한 인간간암세포주를 DNA 분절 분석에 적용한 결과 탁월한 세포자살 억제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소맥 정제분획물을 처리한 인간간암세포주를 MTT 어세이에 적용한 결과 탁월한 세포생존능 개선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맥 조추출물 및 부탄올가용 분획물을 허혈성 질환을 유발한 동물 모델에 투여한 결과 탁월한 조직 손상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소맥 조추출물을 퇴행성 뇌질환을 유발한 동물 모델에 투여한 결과 뇌손상 방지 및 기억력 향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벼과식물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벼과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벼과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벼과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carboxymethyl cellulose)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 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macrogol),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벼과식물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1 내지 1000 mg/㎏의 양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벼과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허혈성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벼과식물 추출물을 0.01 내지 95 %, 바람직하 게는 1 내지 80 % 중량백분율로 포함한다.
또한, 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약학투여형태 또는 건강음료 등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 및 가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허혈성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벼과식물 조추출물의 제조
시중에서 구입한 소맥을 시료로 하여 깨끗이 수세하고, 재래식 약탕기추출법에 따라서 소맥 100g에 물 2 ℓ를 가하고 2시간 동안 전기 약탕기 (대웅약탕기 DWP-2000, 대웅)에서 2회 반복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하여 얻은 추출물 2 ℓ를 냉동건조하여 소맥 물추출물 22 g을 수득하였다 (이하 HY6228로 명명함). 한편, 호밀, 보리, 맥아, 부소맥, 현미, 귀리, 옥수수, 수수, 율무, 기장 및 조에 대해서도 상기 소맥 추출물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여 100 g 당 각각 8, 6, 11, 18, 20, 44, 9, 10, 14, 32 및 6 g을 각각 수득하였다 (이하 HY6228B, HY6228C, HY6113, HY6138, HY6228A, HY6228I, HY6228F, HY6228E, HY6228G, HY6228D, HY6228H로 명명함).
실시예 2. 소맥 정제분획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소맥 물추출물 2 ℓ를 감압농축기 (rotary evaporator)를 사용하여 1/10 부피까지 감압농축 하여 농축액 200 ㎖를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농축액 200 ㎖를 100 ㎖ 씩 2개로 나눈 다음 수산화나트륨 (NaOH)을 사용하여, 각각 pH12 및 pH7로 조정하였다. 각각의 농축액과 에틸아세테이트 (ethyl acetate)를 동량 (1: 1) 섞어 강하게 진탕한 후 방치하여 두 개의 층이 완전히 분리가 되었을 때 수층을 회수하였다. 상기 회수된 수층에 동량의 부탄올 (butanol)을 넣어 진탕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였으며, 같은 과정을 총 3회 반복 실시하여 상층액인 부탄올층을 각각 300 ㎖ 수득하였다. pH12에서 수득한 부탄올층은 pH7로 중화한 후 감압농축하여 소맥 부탄올가용성 분획물 (이하 H12Bu로 명명함) 0.4 g을 얻었다. 한편, pH7에서 수득한 부탄올층은 그대로 감압농축하여 소맥 부탄올가용성 분획물 (이하 H7Bu로 명명함) 0.1 g을 얻었다. 남은 수층도 부탄올층과 마찬가지로 중화한 후 동결건조하여 pH12에서 수득한 수가용성 분획물 (이하 H12WA로 명명함) 2 g과 pH7에서 수득한 수가용성 분획물 (이하 H7WA로 명명함) 2 g을 각각 얻었다.
참고예 1. 실험동물의 준비
실험동물은 체중 250-300 g의 스프라그-다우리 (Sprague-Dawley)계 수컷 랫트 (효창사이언스 사)를 사용하였고, 대구카톨릭의대 동물사육실에서 일정한 조건(온도: 21± 2 ℃, 명암: 12시간 명암주기)에서, 사료와 음수의 자유로운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실험시작 전까지 물과 먹이를 충분히 제공하며 실험시작 전에 실험동물을 10분 동안 사전취급 (handling) 하였다.
실험예 1. 벼과식물 조추출물의 세포생존능 개선 활성 측정 ( in vitro )
소맥 조추출물이 저산소 및 정상산소 조건에서 세포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세포에 상기 실시예에서 준비한 HY6228을 농도별로 적용한 배지를 첨가한 후, 저산소 조건 및 정상산소 조건에서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세포생존을 개선시키는 정도를 문헌 (Sambrook J and Russel DW, Molecular Cloning 3rd ed., Vol.3, A8.6-8.8,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New York, 2001)에 기재된 트립판 블루 염색 배제법 (trypan blue dye exclusion)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인간 간암세포주 (human hepatoma cell line)인 HepG2 (ATCC HB 8065, 미국)를 항생제로는 페니실린 지 (penicillin G sodium, 100 Units/ℓ, Invitrogen, USA) 및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 sulfate, 100 mg/L, Invitrogen, USA)과 혈청으로는 10 % 우태아혈청 (fetal bovine serum, Invitrogen. USA)이 첨가된 이글 최소 배지 (EMEM, Eagle's minimum essential midium; Invitrogen, 미국)를 사용하 여 12웰 플레이트 (12well-plate)에서 2×105 세포수/800 ㎕배지로 배양하였다. 세포들을 37 ℃ 및 5 % CO2-95% 대기상태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새로운 배양배지로 교체한 후, 상기 실시예 1의 HY6228을 50 % 에탄올에 용해시켜 100 ㎍/㎖, 1000 ㎍/㎖의 농도로 배양배지에 첨가한 실험군 및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음성대조군 (negative control)을 저산소 (산소농도 3 %) 및 정상산소 조건에서 각각 2일 동안 배양하면서 하기의 트립판 블루 색소 배제법을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염완충액 (phosphate buffered-saline, PBS)으로 한번 씻어준 다음 트립신 (trypsin) 처리를 하였다. 그리고 원심분리를 해서 세포를 모으고 새로운 배지를 첨가해 세포 현탁액을 만든 다음 0.4 % 트립판 블루 용액 (trypan blue solution, Invitrogen, 미국)과 세포 현탁액을 1: 1로 섞어서 5분이 지난 뒤에 푸른빛으로 염색된 세포를 죽은 세포로 염색되지 않은 세포는 살아있는 세포로 간주하고 세포계산기 (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도 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산소 조건에서는 배양 1일 후 음성대조군 (Control)인 경우 세포들이 거의 모두 죽는데 반해 (Ratio = 0), 본 발명의 HY6228 (HY6228)은 100-1000 ㎍/㎖ 농도 범위에서 세포의 생존을 개선시켰으며 (Ratio > 0),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산소 조건에서는 HY6228 1000 ㎍/㎖ 처리군도 대조군과 세포성장속도가 비슷하여 세포의 성장을 저해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HY6228이 저산소 조건에서 효과적으로 세포의 생존을 개선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정상산소 조건에서 세포성장을 저해하지 않음과 동시에 저 산소 조건에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100-1000 ㎍/㎖의 농도로 투여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HY6228 뿐만 아니라, HY6228A, HY6228B, HY6228C, HY6113, HY6138, HY6228I, HY6228F, HY6228E, HY6228G, HY6228H 및 HY6228D의 세포생존능 개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문헌에 기재된 MTT 어세이법 (Hoffman RM, In Cell Biology (Celis JE (Ed.), Vol. 1, pp369-370, Academic Press, New York, 1994)을 변형하여 HepG2 세포주에 각각 농도를 달리한 조추출물을 넣은 배지를 첨가한 후, 저산소 조건에서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세포생존을 개선시키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인간 간암세포주 (human hepatoma cell line)인 HepG2 (ATCC HB 8065, 미국)를 항생제로는 페니실린 지 (penicillin G sodium, 100 Units/ℓ, Invitrogen, USA) 및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 sulfate, 100 mg/L, Invitrogen, USA)과 혈청으로는 10 % 우태아혈청 (fetal bovine serum, Invitrogen. USA)이 첨가된 이글 최소 배지 (EMEM, Eagle's minimum essential midium; ATCC, 미국)를 사용하여 12웰 플레이트 (12well-plate)에서 2×105 세포수/800 ㎕배지를 적용하여 세포들을 37℃ 및 5 % CO2-95 % 대기상태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의 HY6228A, HY6228B, HY6113, HY6138 및 HY6228을 50% 에탄올에 용해시켜 1000 ㎍/㎖의 농도로 배양배지에 첨가한 실험군,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음성대조군 (negative control)과 이미 세포생존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확인된 G418 (Invitrogen, 미국) 10 ㎍/㎖를 첨가한 양성대조군 (positive control)을 저산소 조건하에서 각각 2일 동안 배양하면서, MTT 어세이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c에 나타내었다.
아울러 또 다른 벼과식물들의 조추출물인 HY6228C, HY6228D, HY6228E, HY6228F, HY6228G, HY6228H 및 HY6228I를 글리세롤 50 % 및 에탄올 50 % 용액에 용해시킨 다음 배양배지에서의 글리세롤과 에탄올의 최종농도를 각각 0.5 %로 하여 1000 ㎍/㎖의 농도로 배양배지에 첨가한 실험군,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음성대조군 (negative control), 0.5 % 글리세롤 및 0.5 % 에탄올 용액이 첨가된 겉보기 (sham control) 및 이미 세포생존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확인된 G418 (Invitrogen, 미국) 10 ㎍/㎖를 첨가한 양성대조군 (positive control)을 저산소 조건하에서 각각 2일 동안 배양하면서, MTT 어세이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d에 나타내었다.
도 1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현미 (HY6228A), 호밀 (HY6228B), 맥아 (HY6113) 및 부소맥 (HY6138)의 조추출물들은 모두 소맥 조추출물 (HY6228)만큼 저산소 조건하에서 세포생존능을 개선활성이 탁월하였다.
또한, 도 1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율무 (HY6228G), 옥수수 (HY6228F), 수수 (HY6228E), 기장 (HY6228D), 보리 (HY6228C), 귀리 (HY6228I) 및 조 (HY6228H)의 조추출물 모두 저산소 조건하에서 세포생존능을 개선활성이 탁월하였다.
본 발명의 벼과식물 조추출물 중 세포생존능 개선활성이 가장 뛰어난 것은 소맥 (HY6228) 및 호밀 (HY6228B)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는 벼과식물인 소맥의 조추출물을 동물실험에 적용하여 허혈성 질 환 및 퇴행성 뇌질환에서 예방 및 치료효과를 나타내면 동일 벼과식물인 호밀,현미, 맥아, 부소맥, 율무, 옥수수, 수수, 기장, 보리, 귀리 및 조의 조추출물도 동물실험에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리라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2. 저산소 조건에서 소맥 조추출물의 세포자살 억제효과 시험( in vitro )
저산소 조건에서 HY6228이 세포생존에 도움을 주는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서 문헌에 기재된 DNA 분절 분석방법 (DNA fragmentation assay; Yoshida A et al., In Apoptosis : A practical approach (Studzinski GP (Ed.)), pp47-48,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9)을 변형하여 수행하였다.
인간 간암세포주 (human hepatoma cell line)인 HepG2 (ATCC HB 8065, 미국)를 항생제로는 페니실린 지 (penicillin G sodium, 100 Units/ℓ, Invitrogen, USA) 및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 sulfate, 100 mg/L, Invitrogen, USA)과 혈청으로는 10 % 우태아혈청 (fetal bovine serum, Invitrogen. USA)이 첨가된 이글 최소 배지 (EMEM, Eagle's minimum essential midium; Invitrogen, 미국)를 사용하여 60 ㎜ dish에서 1×106 세포수 /4㎖배지로 배양하였다. 세포들을 37℃ 및 5% CO2-95% 대기상태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새로운 배양배지로 교체한 다음, 상기 실시예 1의 HY6228을 50% 에탄올에 용해시켜 400 ㎍/㎖의 농도로 배양배지에 첨가한 실험군 및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음성대조군 (negative control)을 저산소와 정상산소 조건에서 각각 2일 동안 배양하면서 DNA 분절 분석 (DNA fragmentation assay)을 실시하여 DNA 사다리가 나타나는 양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상기 실험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HY6228을 첨가한 실험군 (HY6228)이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 (Control)보다 세포생존을 개선시켰으며 (도 2a 참조), HY6228을 첨가한 실험군 (도 2c 참조)이 대조군 (도 2b 참조)보다 DNA 사다리 (ladder) 출현 시간이 지연되었다. 따라서 HY6228이 세포자살을 억제하여 세포의 생존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소맥 정제분획물의 세포생존능 개선 활성 측정 ( in vitro )
HY6228로부터 정제분리된 분획물의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문헌에 기재된 MTT 어세이법을 변형하여 인간 간암세포주 HepG2 세포주에 각각 농도를 달리한 분획물을 넣은 배지를 첨가한 후, 저산소조건에서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세포생존을 개선시키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인간 간암세포주 (human hepatoma cell line)인 HepG2 (ATCC HB 8065, 미국)를 항생제로는 페니실린 지 (penicillin G sodium, 100 Units/ℓ, Invitrogen, USA) 및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 sulfate, 100 mg/L, Invitrogen, USA)과 혈청으로는 10 % 우태아혈청 (fetal bovine serum, Invitrogen. USA)이 첨가된 이글 최소 배지 (EMEM, Eagle's minimum essential midium; Invitrogen, 미국)를 사용하여 12웰 플레이트 (12 well-plate)에서 2×105 세포수/800 ㎕배지로 배양하였다. 세포들을 37 ℃ 및 5 % CO2-95 % 대기상태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 실시예 2 의 소맥 정제분획물들을 디메틸술폭시화물 (DMSO; 부탄올가용성 분획물의 경우) 또는 50% 에탄올 (수가용성 분획물의 경우)에 용해시켜 100 ㎍/㎖ 및 1000 ㎍/㎖의 농도로 배양배지에 첨가한 실험군,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음성대조군 (negative control)과 이미 세포생존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확인된 G418 10 ㎍/㎖를 첨가한 양성대조군 (positive control)을 저산소와 정상산소 조건하에서 각각 2일 동안 배양하면서, MTT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2의 H7WA 및 H7Bu 모두 저산소조건 (Hypoxia)에서는 1000 ㎍/㎖ 농도에서 세포의 생존을 약하게 개선시켰다. 한편, H12Bu에서만 저산소조건에서 1000 ㎍/㎖ 농도에서 세포의 생존을 강하게 개선시켰을 뿐, H12WA에서는 1000 ㎍/㎖ 농도에서도 세포의 생존을 개선시키지 못하였다. 따라서 HY6228의 세포생존 관련 활성성분이 H12Bu에 선택적으로 농축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복강주사 시, 소맥 조추출물의 심근경색에 대한 효과 시험 ( in vivo )
HY6228의 심근경색에 대한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문헌 (Haisong J et al., Circulation, 97, pp892-899, 1998)에 기재된 실험을 변형하여 상기 참고예 1의 랫트로 하기와 같이 심근경색모델을 만들어 HY6228의 복강주사 시,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참고예 1의 랫트에 10 ㎎/㎏의 케타민 (ketamine, 유한, 대한민국)과 5 ㎎/㎏의 자이라진 (xylazine, Sigma, 미국)을 투여하여 마취를 유도하고 기도에 삽 관한 후 전신마취 시켰다. 그 후, 세 번째와 네 번째 늑골을 절제하여 흉부를 열고 심장을 늑간 내부로부터 도출시켰다. 좌관상동맥을 5-0 프로렌 (prolene) 봉합실로 묶은 다음 심장을 흉부 속으로 재배치하고 피하조직과 피부를 봉합하여 심근경색모델을 만들었다.
상기 실시예 1의 HY6228을 이 심근경색모델에 주입하여 괴사부위의 면적을 조사하였다. 이때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안전양 및 효과를 나타내는 용량인 적정 투여량 결정을 위하여, 상기 실험예 1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능한 최소량을 시작점으로 잡아 단계별로 상승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용량 증가는 2배수 증가법을 채택하였으며, 50 ㎎/㎏로 시작할 경우 100, 200 ㎎/㎏ 등으로 증가시켰다.
좌관상동맥을 묶어 허혈을 유발하기 1시간 전에 400 ㎎/㎏의 HY6228 1 ㎖를 복강에 주사하여 투여하고, 3일 동안 허혈상태로 방치한 후, 심근을 적출하여 TTC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Sigma, 미국) 용액에 넣어 염색하고 손상 정도를 영상분석시스템 (Qunatity One 4.2, Bio-rad, 미국)으로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방법으로 허혈지수 (ischemic index)를 계산하여 약물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허혈지수 (%) = A/B× 100
A: 심장의 손상 부위의 부피 (㎜3),
B: 심장의 전체 부피(㎜3).
상기 실험을 수행한 결과, HY6228을 주사하지 않은 랫트 (6마리, 대조군, Control)는 허혈지수가 4.9 %인데 비해 주사한 랫트 (7마리, 실험군, HY6228)는 1.8 %에 불과하였다. 이는 괴사부위의 부피가 63 %정도 (p<0.01)나 감소한 것으로써, HY6228이 심근경색모델에서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a 참조). 이러한 현상은 TTC 염색으로 대조군 (도 4b 참조)에 비해 실험군 (도 4c 참조)에서 조직손상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경구투여 시, 소맥 조추출물의 심근경색에 대한 효과 시험 ( in vivo )
HY6228의 심근경색에 대한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문헌 (Haisong J et al., Circulation, 97, pp892-899, 1998)에 기재된 실험을 변형하여 상기 실험예 4와 마찬가지로 심근경색모델을 만들어 HY6228의 경구투여시,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참고예 1의 랫트에게 3일 동안, 하루에 400 ㎎/㎏의 HY6228을 환의 형태로 사료에 섞어 먹인 후, 좌관상동맥을 묶어 허혈을 유발하고, 3일 동안 허혈상태로 방치한 후 심근을 적출하여 TTC 용액에 넣어 염색한 뒤 영상분석 시스템으로 측정하여 손상부분의 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수학식 1의 방법으로 허혈지수 (ischemic index)를 계산하여 약물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심근을 헤마톡실린과 에오신 (Hematoxylin & Eosin, H & E, Sigma, 미국)으로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세포 수준에서의 손상정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상기 실험을 수행한 결과, HY6228을 투여하지 않은 랫트 (4마리, 대조군, Control)는 허혈지수가 4.6 %인데 비해 투여한 랫트 (10마리, 실험군, HY6228)는 0.46 %에 불과하였다. 이는 괴사부위의 부피가 90 %정도 (p<0.001)나 감소한 것으로써, HY6228을 경구투여 했을 경우, 심근경색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a 참조). 또한,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으로 염색한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HY6228을 투여한 경우 (도 5c 참조)는 그렇지 않은 경우 (도 5b 참조)에 비해 세포손상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실험예 6. 경구투여 시, 소맥 조추출물의 뇌경색에 대한 효과 시험 ( in vivo )
HY6228의 뇌경색에 대한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문헌 (Han HS et al., J. Neurosci ., 22, pp3921-3928, 2002)에 기재된 실험을 변형하여 상기 참고예 1의 랫트로 뇌경색모델을 만들어 하기와 같이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참고예 1의 랫트를 엔플루란 (enflurane, 중외제약, 대한민국)으로 흡입 마취시킨 후 하지동맥에서 혈압측정 및 혈액 채취 경로를 확보하고 경부를 절개하여 경동맥을 노출시킨 후, 경동맥과 외경동맥을 결찰하고 내경동맥으로 3-0 나일론 봉합사를 넣어 중간대뇌동맥 (middle cerebral artery)을 막아서 뇌경색 모델을 만들었다. 중간대뇌동맥을 막아 허혈을 유발하기 7일 전부터 수술 전 24시간 전까 지 상기 실시예 1의 HY6228을 7일 동안 매일 400 ㎎/㎏ (0.5 ㎖)을 경구로 투여하였으며, 허혈 유발 후 2 시간동안 허혈 상태로 방치한 뒤 봉합사를 제거하고 동물을 회복시켰다. 22 시간 경과 후 실험동물을 안락사 시켜 뇌조직을 적출하여 TTC 용액에 넣어 염색한 후, 뇌반구에 대한 손상정도를 영상분석 시스템으로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2과 같은 방법으로 허혈지수 (ischemic index)를 계산하여 약물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허혈지수 (%) = A/B× 100
A: 뇌 반구(半球) 중 손상 부위의 부피(㎜3),
B: 뇌 반구의 전체 부피(㎜3).
상기 실험을 수행한 결과, HY6228을 투여하지 않은 랫트 (12마리, 대조군, Control)는 허혈지수가 93 %인데 비해, 투여한 랫트 (6마리, 실험군, HY6228)는 67 %로, 괴사부위의 부피가 28 %정도(p<0.0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HY6228이 뇌경색모델에서 상당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a 참조).
이러한 현상은 TTC 염색으로 대조군 (도 6b 참조)에 비해 실험군 (도 6c 참조)에서 조직손상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7. 복강주사 시, 소맥 조추출물 부탄올가용성 분획물의 허혈성급성신부전증에 대한 효과 시험 ( in vivo )
HY6228 및 H12Bu의 허혈성급성신부전증에 대한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문헌 (Wang J et al., J. Biol . Chem ., 279(19), pp19948-19954, 2004)에 기재된 실험을 변형하여 상기 참고예 1의 랫트로 허혈성급성신부전증모델을 만들어 하기와 같이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7-1. 소맥 조추출물의 허혈성급성신부전증에 대한 효과 시험
상기 참고예 1의 랫트를 수술 30분전에 50 ㎎/㎏의 케타민 (ketamine)과 20 ㎎/㎏의 자이라진 (xylazine)을 투여하여 마취를 시킨 후 복강을 절개하였다. 그리고 왼쪽 신장의 신동맥과 신정맥을 클램프로 집어 혈액의 흐름을 막은 후 오른쪽 신장은 적출하여 허혈성급성신부전증 모델을 만들었다.
왼쪽 신동맥을 집어 허혈을 유발하기 1시간 전에 0.9 % 생리식염수에 녹인 HY6228 400 mg/kg (1㎖)를 복강에 주사하여 투여하고, 허혈 유발 후 45분 동안 허혈상태로 방치한 후 클램프를 풀어 동물을 회복시켰다. 24시간 경과 후 실험동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 내의 크레아티닌 (creatinine) 농도 (㎎/㎗)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을 수행한 결과, HY6228을 주사하지 않은 랫트 (4마리, 대조군, Control)의 크레아티닌의 농도가 3.7 ㎎/㎗인데 반해 주사한 랫트 (7마리, 실험군, HY6228)의 농도는 2.2 ㎎/㎗로 크레아티닌 농도가 40 % 정도 (p<0.05) 감소한 것으 로 나타나 HY6228이 신장의 손상을 억제함으로써 신장을 통한 크레아틴의 방출을 원활하게 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아울러 HY6228이 허혈성 급성신부전증 모델에서 상당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a 참조).
7-2. 소맥의 부탄올가용성 분획물의 허혈성급성신부전증에 대한 효과 시험
상기 실험예 3에서 활성물질이 다량 함유된 것으로 확인된 소맥의 부탄올가용성 분획물 (H12Bu)을 상기 실험예 7-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만든 허혈성급성신부전증모델에 주입하여 혈중 크레아티닌 농도를 측정하였다.
왼쪽 신동맥을 집어 허혈을 유발하기 1시간 전에 0.9 % 생리식염수에 녹인 소맥 부탄올 분획 100 mg/kg (1 ㎖)를 복강에 주사하여 투여하고, 45분 동안 허혈상태로 방치한 후 클램프를 풀어 동물을 회복시켰다. 24시간 경과 후 실험동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 내의 크레아티닌 (creatinine) 농도 (㎎/㎗)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을 수행한 결과, H12Bu를 주사하지 않은 랫트 (6마리, 대조군, Control)의 크레아티닌의 농도가 3.6 ㎎/㎗인데 반해 주사한 랫트 (10마리, 실험군, H12Bu)의 농도는 1.7 ㎎/㎗로 크레아티닌 농도가 53 % 정도 (p<0.0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H12Bu가 신장의 손상을 억제함으로써 신장을 통한 크레아틴의 방출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고, 이러한 결과는 HY6228뿐만 아니라 H12Bu 또한 허혈성 급성신부전증 모델에서 상당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도 7b 참조).
실험예 8. 경구투여 시, 소맥 조추출물의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효과 시험 ( in vivo )
HY6228의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문헌 (Yamaguchi Y and Kawashima S, Eur . J. Pharmacol ., 412, pp265-272, 2001)에 기재된 실험을 변형하여 상기 참고예 1의 랫트로 알츠하이머병 모델을 만들어 하기와 같이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참고예 1의 랫트에 50 ㎎/㎏의 펜토바비탈 (pentobarbital, 한림제약, 대한민국)을 복강 주사하여 마취시켰다. 정위 (stereotaxic) 수술대에 고정시킨 다음 약물을 주입할 부위의 두피를 절개하고 현미경을 이용하여 시옷점 (lambda)과 정수리점 (bregma)을 찾아 측뇌실 (lateral ventricle)에 베타-아밀로이드 (β-amyloid, Sigma, USA)를 매일 5 ㎕ (15 nmol)씩 2 주 동안 주입하였다. 이 때, 베타 아밀로이드의 주입은 주사기펌프 (syringe pump)를 이용하여 1 ㎕/min의 유속으로 주입하였으며 주입 5분 후 주사기를 제거하였다. 겉보기 (Sham) 실험 (겉보기군, Sham)에서는 베타-아밀로이드 대신에 5 ㎕의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였다.
알츠하이머 유발 후, 1일~ 14일간 상기 실시예 1의 HY6228을 400 ㎎/㎏의 용량으로 경구투여하거나 (실험군) 또는 생리식염수 (대조군)를 투여한 다음 7일 동안 안정시켰다. 이 후 8일 동안 매일 한번씩 물-미로검사 (water-maze test)을 실시하였다. 물-미로검사는 플랫폼 (지름 10 cm, 높이 25 cm)이 설치된 원통의 물탱크 (지름 180 cm, 높이 50 cm)와 쥐의 움직임을 기록하는 비디오 추적장치 (video-tracking system; Ethovision, Noldus, Netherlands)를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이 때 물의 온도는 22-23 ℃, 물의 높이는 플랫폼 위 2 cm까지로 하였다. 실제 실험은 실험용 랫트가 플랫폼까지 찾아가서 플랫폼에서 30초 이상 머무르면 찾아갈 때까지 걸린 시간을 탈출 잠복기 (escape latency)로 하였으며, 이를 하루 3회 실시하여 나온 평균값을 평균 탈출 잠복기 (mean escape latency)로 하였다. 이때 평균 탈출 잠복기가 90 초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90 초로 동일한 값을 취하였다. 따라서 8일 조사기간 동안에 랫트 한 마리당 총 24회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랫트가 플랫폼을 정확하게 기억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쥐가 머무는 플랫폼 (platform)을 제거한 후 랫트가 이 곳을 찾아와 머무는 시간 (Time Staying on PF)도 2일마다 마지막회째 (2일, 6회째; 4일, 12회째; 6일, 18회째; 8일, 24회째)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을 수행한 결과, HY6228을 경구투여하지 않은 랫트 (5마리, 대조군, control)에 비해 HY6228을 경구투여한 랫트 (4마리, 실험군, HY6228)는 실험기간인 8일간 중 4, 5, 6, 8일 째에 각각 플랫폼을 찾아가는 시간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p<0.01) (도 8a 참조). 한편, 실험군은 손상을 주지 않은 랫트 (4마리, 겉보기군, Sham)와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HY6228이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기억력의 감소를 억제하여 기억력을 거의 정상수준으로까지 유지해 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플랫폼에 도달한 후 플랫폼의 위치에 머무는 시간을 보면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실험기간 8일간 중 4일 이후 (4일, 12번째; 6일, 18번째; 8일, 24번째 실험)에는 현저하게 오랫동안 플랫폼이 있는 위치에 머물렀음을 알 수 있다 (p<0.01) (도 8b 참조). 이러한 결과는 HY6228의 투여는 랫트가 플랫폼을 찾아가는 길을 기억하게 할 뿐만 아니라, 플랫폼 이 있는 위치도 확실하게 기억하도록 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두 가지 실험결과는 HY6228이 랫트의 뇌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실험예 9. 독성 실험
상기 실시예 1의 소맥 조추출물 HY6228을 320±20 g의 스프라그 다우리계 (Spague-Dawley) 수컷 랫트 5마리에 주입하여 변화를 관찰하였다.
500 mg/kg의 HY6228을 복강으로 주사하여 24시간 후 몸무게를 측정하였더니 유의할 정도의 무게변화는 없었다. 또한 별다른 행동양상의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고 배를 절개해봤을 때 복수도 차지 않았다.
또한, 5 g/㎏의 HY6228을 랫트 2마리에 경구투여 하여 24시간 후 몸무게를 측정했을 때에도 유의할 정도의 무게변화는 없었으며 별다른 행동양상의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고 배를 절개해봤을 때 복수도 차지 않았다.
본 발명의 소맥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HY6228 3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HY6228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HY6228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HY6228 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 (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HY6228 1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HY6228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제제예 6으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 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HY6228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벼과식물 추출물은, 허혈 동물모델에 투여하였을 때 세포자살을 억제하여 조직의 경색부위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알츠하이머 동물모델에 투여하 였을 때 뇌손상을 방지하며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장기간 복용해도 부작용이 없으므로 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를 위한 의약 및 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소맥 (Triticum aestivum N.), 부소맥, 호밀 (Secale cereale L.), 현미, 보리 (Horden vulgare var. hexastichon ASCH.), 맥아, 귀리 (Avena sativa), 옥수수 (Zea mays L.), 수수 (Sorghum bicolor MOENCH), 율무 (Coix lacryma-jobi var. mayuen STAPF), 기장 (Panicum miliaceum L.) 또는 조 (Setaria italica Beauv.)의 조추출물 또는 상기 조추출물을 pH12로 조정하고; 여기에 추출농축액과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클로로포름을 가하여 수가용성 분획물을 회수하고; 상기 수가용성 분획물에 동량의 부탄올을 가하여 수득된 소맥 조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허혈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혈성 질환은 심근경색, 뇌경색, 허혈성 급성신부전증, 허혈성 급성간부전증, 당뇨성 족부궤양, 당뇨성 신증, 외과수술 부작용에 기인한 허혈성 질환 또는 기관 조직 손상인 약학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과수술 부작용에 기인한 허혈성 질환은 허혈성 심부전, 허혈성 신부전, 허혈성 간부전 또는 허혈성 뇌졸중인 약학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 조직 손상은 허혈 후 재관류를 동반하는 장기 수술 또는 이식, 외상성 절단사지 재접합으로 인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기는 신장, 간장, 췌장, 폐 또는 심장인 약학조성물.
  6. 소맥 (Triticum aestivum N.), 부소맥, 호밀 (Secale cereale L.), 현미, 보리 (Horden vulgare var. hexastichon ASCH.), 맥아, 귀리 (Avena sativa), 옥수수 (Zea mays L.), 수수 (Sorghum bicolor MOENCH), 율무 (Coix lacryma-jobi var. mayuen STAPF), 기장 (Panicum miliaceum L.) 또는 조 (Setaria italica Beauv.)의 조추출물 또는 상기 조추출물을 pH12로 조정하고; 여기에 추출농축액과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클로로포름을 가하여 수가용성 분획물을 회수하고; 상기 수가용성 분획물에 동량의 부탄올을 가하여 수득된 소맥 조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형 치매, 뇌혈관성 치매, 파킨슨병, 근위축성 측상경화증, 헌팅턴병, 피크(Pick)병, 크로이츠펠트-야콥 (Creutzfeldt-Jakob)병 또는 척수손상인 약학조성물.
  8. 삭제
  9.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약학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의 소맥 (Triticum aestivum N.), 부소맥, 호밀 (Secale cereale L.), 현미, 보리 (Horden vulgare var. hexastichon ASCH.), 맥아, 귀리 (Avena sativa), 옥수수 (Zea mays L.), 수수 (Sorghum bicolor MOENCH), 율무 (Coix lacryma-jobi var. mayuen STAPF), 기장 (Panicum miliaceum L.) 또는 조 (Setaria italica Beauv.) 조추출물에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의 강염기를 가하여 pH 7 및 pH 12로 조정하는 제 1단계; 여기에 추출농축액과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클로로포름을 가하여 비극성 물질을 제거하고 수가용성 분획물을 회수하는 제 2단계; 상기 수가용성 분획물을 동량의 부탄올로 추출 분획하여 pH 12에서 수득한 부탄올가용성 분획물 또는 수가용성 분획물, pH7에서 수득한 부탄올가용성 분획물 또는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소맥 (Triticum aestivum N.), 부소맥, 호밀 (Secale cereale L.), 현미, 보리 (Horden vulgare var. hexastichon ASCH.), 맥아, 귀리 (Avena sativa), 옥수수 (Zea mays L.), 수수 (Sorghum bicolor MOENCH), 율무 (Coix lacryma-jobi var. mayuen STAPF), 기장 (Panicum miliaceum L.) 또는 조 (Setaria italica Beauv.)의 정제 분획물을 얻는 제조방법.
  13. 제 1항의 소맥 (Triticum aestivum N.), 부소맥, 호밀 (Secale cereale L.), 현미, 보리 (Horden vulgare var. hexastichon ASCH.), 맥아, 귀리 (Avena sativa), 옥수수 (Zea mays L.), 수수 (Sorghum bicolor MOENCH), 율무 (Coix lacryma-jobi var. mayuen STAPF), 기장 (Panicum miliaceum L.) 또는 조 (Setaria italica Beauv.)의 조추출물 또는 상기 조추출물을 pH12로 조정하고; 여기에 추출농축액과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클로로포름을 가하여 수가용성 분획물을 회수하고; 상기 수가용성 분획물에 동량의 부탄올을 가하여 수득된 소맥 조추출물의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질환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4. 삭제
KR1020050135745A 2005-01-04 2005-12-30 벼과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723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745A KR100723950B1 (ko) 2005-01-04 2005-12-30 벼과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PCT/KR2006/000027 WO2006073265A1 (en) 2005-01-04 2006-01-04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gramineae plan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schemic diseases and degenerative brain diseases and the use thereof
JP2007549276A JP2008526737A (ja) 2005-01-04 2006-01-04 虚血性疾患及び退行性脳疾患の予防と治療のためのイネ科植物抽出物を含む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US11/813,285 US20080113005A1 (en) 2005-01-04 2006-01-04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Gramineae Plan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schemic Diseases and Degenerative Brain Diseases and the Use Thereof
US12/623,341 US20100068315A1 (en) 2005-01-04 2009-11-20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Gramineae Plan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schemic Diseases and Degenerative Brain Diseases and the Us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330 2005-01-04
KR20050000330 2005-01-04
KR1020050135745A KR100723950B1 (ko) 2005-01-04 2005-12-30 벼과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122A KR20060080122A (ko) 2006-07-07
KR100723950B1 true KR100723950B1 (ko) 2007-05-31

Family

ID=36647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5745A KR100723950B1 (ko) 2005-01-04 2005-12-30 벼과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080113005A1 (ko)
JP (1) JP2008526737A (ko)
KR (1) KR100723950B1 (ko)
WO (1) WO200607326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751B1 (ko) * 2011-02-24 2013-09-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항혈전 활성을 지닌 수수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17997B1 (ko) * 2017-05-10 2018-01-15 연천군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KR20200144352A (ko) * 2019-06-18 2020-12-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단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
KR20210071302A (ko) * 2019-12-06 2021-06-1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누에, 감초 및 수수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543B1 (ko) 2007-07-04 2012-03-06 학교법인 선목학원 벼과식물로부터 수득되는 전분 또는 식이섬유를 포함하는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WO2009005329A2 (en) * 2007-07-04 2009-01-08 Hypoxi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starch or dietary fiber from gramineae plan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schemic diseases and degenerative brain diseases
JP2011057642A (ja) * 2009-09-14 2011-03-24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神経突起伸展促進剤
TWI411442B (zh) * 2010-01-28 2013-10-11 Mackay Memorial Hospital Application of Glutenin in Inhibiting Leukemia
KR101226881B1 (ko) * 2010-07-29 2013-01-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JP2013071911A (ja) * 2011-09-28 2013-04-22 Fancl Corp 脳保護剤
JP2014162776A (ja) * 2013-02-27 2014-09-08 Fancl Corp 脳保護剤
EP3007690A1 (en) * 2013-06-10 2016-04-20 Abbott Laboratorie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hancing cognitive performance
KR101733085B1 (ko) 2016-04-20 2017-05-0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귀리 추출물 아베난쓰라마이드 c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913940B1 (ko) * 2016-04-27 2018-10-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혈관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7145255A (ja) * 2017-05-18 2017-08-24 株式会社ファンケル 脳保護剤
KR101980809B1 (ko) * 2017-09-29 2019-05-21 대한민국 귀리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췌장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8310346A (zh) * 2018-04-18 2018-07-24 丹阳市上古本真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养生保健外敷中药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3360A (ja) * 1994-09-01 1996-03-19 Yoshihide Hagiwara 脳神経細胞障害抑制剤
US6391310B1 (en) 1996-03-13 2002-05-21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 Method of preparing and using isoflavones for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symptom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8430A (en) * 1987-01-21 1988-07-19 Robert Sabin Method of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using phytic acid
JPH0720988B2 (ja) * 1989-06-28 1995-03-08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麦芽由来の生理活性物質、その製造法、該生理活性物質を含有せしめた機能性飲食品及び医薬
US5852172A (en) * 1991-06-13 1998-12-22 University Of Waterloo Cold tolerances in plants
CU22723A1 (es) * 1997-04-02 2002-02-28 Dalmer Lab Sa Mezcla de ácidos grasos primarios de alto peso molecular obtenidos de la cera de cana de azúcar y sus usos farmacéuticos
JP4395623B2 (ja) * 1999-03-01 2010-01-13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抗菌剤
JP2001017181A (ja) * 1999-07-09 2001-01-23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鉄欠乏オオムギ根に出現する36kDaタンパク質の遺伝子
JP4743947B2 (ja) * 2000-10-05 2011-08-10 株式会社明治 脂質代謝改善組成物
US20040180104A1 (en) * 2003-03-11 2004-09-16 Lin Chih Hui Herb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conditions in associated with depress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3360A (ja) * 1994-09-01 1996-03-19 Yoshihide Hagiwara 脳神経細胞障害抑制剤
US6391310B1 (en) 1996-03-13 2002-05-21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 Method of preparing and using isoflavones for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symptoms
US6509381B2 (en) 1996-03-13 2003-01-21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 Method of preparing and using compositions extracted from vegetable matter for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condition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751B1 (ko) * 2011-02-24 2013-09-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항혈전 활성을 지닌 수수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17997B1 (ko) * 2017-05-10 2018-01-15 연천군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KR20200144352A (ko) * 2019-06-18 2020-12-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단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
KR102266793B1 (ko) 2019-06-18 2021-06-18 대한민국 단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
KR20210071302A (ko) * 2019-12-06 2021-06-1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누에, 감초 및 수수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
KR102312117B1 (ko) 2019-12-06 2021-10-13 대한민국 누에, 감초 및 수수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13005A1 (en) 2008-05-15
WO2006073265A1 (en) 2006-07-13
US20100068315A1 (en) 2010-03-18
JP2008526737A (ja) 2008-07-24
WO2006073265A9 (en) 2007-03-01
KR20060080122A (ko) 200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950B1 (ko) 벼과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089957B1 (ko) 아라비노자일란으로부터 수득되는 아라비노스를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ES2398371T3 (es) Composición que comprende los extractos de lindera obtusiloba para la prevención y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cardiovasculares
KR101445966B1 (ko) 백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0736702B1 (ko) 차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위한 조성물
KR100665503B1 (ko)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의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665504B1 (ko)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967813B1 (ko) 나복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01124B1 (ko) 모로헤이야, 대황, 황련 및 당귀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조성물
KR20150072660A (ko) 잔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2092729B1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679290B1 (ko)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69980B1 (ko) 청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의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20092444A (ko) 심혈관계 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41169B1 (ko) 두메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36701B1 (ko) 백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위한 조성물
KR20040064240A (ko) 뇌세포 사멸억제 활성을 갖는 석창포 및 천마를 함유하는생약조성물
KR102236685B1 (ko) 단삼 또는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864575B2 (en) Composition comprising low temperature water extract of hibiscus manihot for anti-obesity
KR102069125B1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56357B1 (ko) 양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혈관질환 예방 또는개선용 조성물
KR20110128068A (ko) 호페아 오도라타 추출물,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00002239A (ko) 생강나무 잎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0655A (ko) 당뇨병성 혈류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