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569B1 - 포장용 블록 - Google Patents

포장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569B1
KR100711569B1 KR1020057012709A KR20057012709A KR100711569B1 KR 100711569 B1 KR100711569 B1 KR 100711569B1 KR 1020057012709 A KR1020057012709 A KR 1020057012709A KR 20057012709 A KR20057012709 A KR 20057012709A KR 100711569 B1 KR100711569 B1 KR 100711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side wall
paving block
concav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1770A (ko
Inventor
쇼헤이 와다
다이조우 호리
Original Assignee
니혼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1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24Details of interlac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59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error diffus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48/00Television
    • Y10S348/91Flicker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평판형상을 이루는 블록 본체(11)로 이루어지고, 포장용 블록본체(10)의 한쪽의 측벽(12)에는 볼록조(12c)가, 다른쪽의 측벽(13)에는 오목조(13c)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볼록조(12c) 및 오목조(13c)는, 그 길이방향의 전장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볼록조(12c) 및 오목조(13c)는, 각각의 단면형상이 원호를 이루는 곡면으로 되어 있고, 각각 측벽(12,13)의 높이방향에 있어서의 중간위치(CE)보다 하방, 또한, 부설하였을 때에 볼록조(12c)와 오목조(13c)가 서로 끼워맞춘 상태에서 천장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동일 높이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포장용 블록{PAVING BLOCK}
본 발명은, 일반도로의 보도, 공원의 산책길, 역전광장 등의 공공공간 등에서 사용되는 포장용 블록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보도나 공공 공간 등 사람이 왕래하는 장소에 있어서, 모래 또는 모르타르 등의 하지(샌드 쿠션층) 상에, 인터로킹블록, 평판, 벽돌 블록, 포석(paving stone) 등의 콘크리트블록이 부설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블록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예컨대,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화52-57404호 공보에는, 인접 블록의 접촉면에 오목조나 볼록조를 형성하고, 이들을 끼워맞춤으로써, 이음매의 평면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단차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다른 접합 구조로서는, 예컨대,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4-12506호 공보에는, 좌우의 접합면에 각각 접합 피스 매립구멍을 형성하고, 이 접합 피스 매립구멍 내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신축 줄눈부재로 연결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시공중에 있어서의 이탈, 엇갈림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시공후의 블록의 팽창에 의한 상방으로의 엇갈림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문제로 되어 있던 단차나 결합 요철은, 시공 정밀도가 나쁠 경 우에는 그 발생이 여지없이 생긴다. 또한, 공용(供用)후에 있어서도 노반 및 샌드 쿠션층의 침하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이러한 단차나 결합 요철이 발생했을 경우, 보행이나, 휠체어 및 유모차 등의 주행에 위험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포장용 블록에는, 지반에의 추종성이 필요로 되고, 편중된 하중이 걸리더라도, 블록 표면을 파손시키거나 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대책에 당면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시공후 및 공용후의 포장용 블록간의 단차나 결합 요철을 억제하고, 보행시의 안전성 및 휠체어나 유모차 등의 쾌적 주행을 실현하고, 가령 포장용 블록에 예측하지 않은 하중이 걸리더라도, 블록 표면의 파손을 방지하고,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 포장용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은, 평판형상을 이루는 블록 본체를 구비하고, 그 블록 본체의 한쪽의 측벽에 그 길이방향의 전장에 걸쳐 신장되는 볼록조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측벽에 마주 대하는 다른쪽의 측벽에는, 상기 볼록조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볼록조와 끼워맞춤가능한 오목조가 상기 다른쪽의 측벽의 길이방향의 전장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조가 상승하는 양 상승 기점 사이의 거리로 되는 볼록조의 폭은, 상기 측벽 상단으로부터 그 측벽 상단측의 상기 볼록조의 상승 기점에 이르는 거리 및 상기 측벽 하단으로부터 그 측벽 하단측의 상기 볼록조의 상승 기점에 이르는 거리의 각각의 크기보다 작고, 또한, 상기 오목조의 한쪽의 끝 가장자리와 이 끝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또 한쪽의 끝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로 되는 오목조의 폭은, 상기 측벽 상단으로부터 그 측벽 상단측의 상기 오목조의 상부끝 가장자리에 이르는 거리 및 상기 측벽 하단으로부터 그 측벽 하단측의 상기 오목조의 하부끝 가장자리에 이르는 거리의 각각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포장용 블록으로서, 상기 볼록조의 폭은 상기 볼록조의 돌출높이보다 크고, 또한, 상기 오목조의 폭은 상기 오목조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조는 그 단면형상이 대략 원호를 이루는 곡면으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조가 형성되어 있는 측벽의 어느 한쪽 이상의 측벽에는 그 볼록조 또는 오목조의 상방부분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는, 상기 포장용 블록에 인접하여 배치된 포장용 블록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포장용 블록과 다른 포장용 블록 사이에, 소정의 줄눈 폭을 규정하는 것과 동시에, 포장용 블록의 슬라이딩에 따르는 포장용 블록의 측벽 상단부분에서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포장용 블록의 시공시에는, 예컨대 인접하는 포장용 블록끼리를 서로 약 1/2정도 어긋나게 하면서 시공할 경우에, 한쪽의 포장용 블록의 오목조에 다른쪽의 블록의 볼록조를 끼워맞춘 상태로 되고, 인접하는 포장용 블록 사이끼리가 서로 일체화되고, 각 포장용 블록의 천장면은 하나의 평면을 이루는 일체적인 구조체로 된다. 따라서, 포장용 블록 사이에 있어서의 단차나 결합 요철이 생기는 일이 없다.
또한, 끼워맞춤부의 폭이 다른 상하부와 비교해서 좁으므로, 파손하는 경우에는 외관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끼워맞춤부에서 파손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볼록조 및 오목조는, 각각 측벽의 높이방향에 있어서의 중간위치보다 하방 또한 동일 높이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 구성으로 하면, 시공시 및 공용후에 있어서 보도의 일부를 차가 횡단하는 보도 침범시에 과대한 하중이 작용한 경우, 가령 끼워맞춤부분이 파손되더라도 포장용 블록 표면까지의 파손에는 이르지 않는다.
또한, 본원발명의 다른 포장용 블록은, 평판형상을 이루는 블록 본체를 구비하고, 그 블록 본체의 한쪽의 측벽에 그 길이방향의 전장에 걸쳐 신장되는 볼록조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측벽에 마주 대하는 다른쪽의 측벽에는, 상기 볼록조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볼록조와 끼워맞춤가능한 오목조가 상기 다른쪽의 측벽의 길이방향의 전장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조가 상승하는 양 상승 기점 사이의 거리로 되는 볼록조의 폭은, 상기 볼록조의 돌출높이보다 크고, 또한, 상기 오목조의 한쪽의 끝 가장자리와 이 끝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또 한쪽의 끝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로 되는 오목조의 폭은 상기 오목조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포장용 블록으로서,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조는 그 단면형상이 대략 원호를 이루는 곡면으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조가 형성되어 있는 측벽의 어느 한쪽 이상의 측벽에는, 그 볼록조 또는 오목조의 상방부분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는, 상기 포장용 블록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포장용 블록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포장용 블록과 다른 포장용 블록 사이에, 소정의 줄눈폭을 규정하는 것과 동시에, 포장용 블록의 슬라이딩에 따르는 포장용 블록의 측벽 상단부분에서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측벽 상단으로부터 그 측벽 상단측의 상기 볼록조의 상승 기점에 이르는 거리 및 상기 측벽 상단으로부터 그 측벽 상단측의 상기 오목조의 상부끝 가장자리에 이르는 거리는 상기 볼록조의 폭의 2.2배이상으로 되고, 또한, 상기 측벽 하단으로부터 그 측벽 하단측의 상기 볼록조의 상승 기점에 이르는 거리 및 측벽 하단으로부터 그 측벽 하단측의 상기 오목조의 하부끝 가장자리에 이르는 거리는, 상기 볼록조의 폭의 1.2배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벽 상단으로부터 그 측벽 상단측의 상기 볼록조의 상승 기점에 이르는 거리 및 상기 측벽 상단으로부터 그 측벽 상단측의 상기 오목조의 상부끝 가장자리에 이르는 거리는 상기 볼록조의 폭의 2.75배, 상기 측벽 하단으로부터 그 측벽 하단측의 상기 볼록조의 상승 기점에 이르는 거리 및 측벽 하단으로부터 그 측벽 하단측의 상기 오목조의 하부끝 가장자리에 이르는 거리는, 상기 볼록조의 폭의 1.25배이다.
또한, 평판형상을 이루는 블록 본체를 구비하고, 그 블록 본체의 한쪽의 측벽에 그 길이방향의 전장에 걸쳐 신장되는 볼록조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측벽에 마주 대하는 다른쪽의 측벽에는, 상기 볼록조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볼록조와 끼워맞춤가능한 오목조가 상기 다른쪽의 측벽의 길이방향의 전장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조가 상승하는 양 상승 기점 사이의 거리로 되는 볼록조의 폭은, 상기 볼록조의 돌출높이보다 크고, 또한, 상기 오목조의 폭은 상기 오목조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조가 형성되어 있는 측벽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측벽에는, 그 볼록조 또는 오목조의 상방부분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는, 상기 포장용 블록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포장용 블록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포장용 블록과 다른 포장용 블록 사이에, 소정의 줄눈 폭을 규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볼록부가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되고, 각 볼록부는 상기 측벽의 높이방향에 서로 어긋난 위치에, 또한,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조에 평행하게 신장하여 형성되어 있고, 각 볼록부의 길이는, 상기 측벽의 길이방향의 전장에서 상기 볼록부의 길이를 뺀 길이의 1/2미만의 길이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볼록부의 길이는, 줄눈 폭을 규정하는 기능을 가지면서, 또한, 포장용 블록을 부설했을 때, 줄눈 모래가 들어가는 간극을 가지는 범위 내에서 작게 되어 있다. 이 줄눈 모래를 넣음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에 대한 완충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조는 그 단면형상이 대략 원호를 이루는 곡면으로 되어 있고, 인접해서 배치되는 포장용 블록의 볼록조 또는 오목조와, 상기 곡면에서 접촉함으로써, 상기 포장용 블록이 그 접촉면을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조는 경사면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이 구성에 있어서도, 인접해서 배치되는 포장용 블록의 볼록조 또는 오목조와, 상기 경사면에서 접촉함으로써, 상기 포장용 블록이 그 접촉면을 통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포장용 블록이 그 접촉면을 통해서 슬라이딩가능한 구성에 의해, 지반이 침하하거나, 혹은 큰 하중이 부가된 경우, 포장용 블록은 이 곡면 혹은 경사면을 통해서 슬라이딩하고, 지반에의 추종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동작에 의해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블록 표면에 이르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양 측벽의 측벽 하단 중 적어도 한쪽의 측벽 하단이, 길이방향의 전장에 걸쳐 경사지게 노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시공시에 있어서의 샌드 쿠션의 삽입에 의해 끼워맞춤이 불충분하게 되고, 그것에 따라 줄눈 폭이 넓어지거나, 단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지만, 상기 구성으로 하면, 이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측벽 중 1개이상의 측벽에는, 상기 포장용 블록과 상기 포장용 블록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포장용 블록 사이에 소정의 줄눈 폭을 규정하기 위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으로 하면, 볼록조 및 오목조의 끼워맞춤구조가 없는 측벽 사이에 있어서의 줄눈이 소정 폭으로 형성되고, 포장용 블록간의 줄눈이 균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 본체는, 내부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고, 투수성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으로 하면, 비 등이 블록 표면에 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용 블록의 천장면이 되는 표면은, 미끄럼을 억제하는 미세한 요철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 요철구조에 의해서, 블록 표면의 미끄러짐 저항을 크게 할 수 있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요철구조로서, 상기 포장용 블록의 천장면이 되는 표면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오목홈이 천장면이 마주 대하는 끝 가장자리에 이르도록 양 끝 가장자리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해도 된다. 이 구조는 제조가 용이하며,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음과 아울러, 빗물의 배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배수구의 연속성에 의한 배수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 복수의 오목홈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목홈을 제외한 천장면의 표면에 불투수성의 도포막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오목홈을 제외한 천장면의 표면에 의해 차수성을 가지게 함과 아울러, 오목홈에는 투수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극에 의한 오염의 부착 또는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도포막의 색조를 선택함으로써 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포장용 블록의 저면에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오목홈이 저면의 마주 대하는 끝 가장자리에 이르도록 양 끝 가장자리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상기 오목홈은, 그 오목홈의 개구를 향해서 좁은 폭으로 된 도브테일 홈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볼록 형상에 의해, 콘크리트 노반 혹은 아스팔트 노반의 경우, 모르타르 등의 하지와의 접촉면적이 커지고, 포장용 블록과 하지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에 의하면, 시공후 및 공용후의 포장용 블록간의 단차나 결합 요철을 해소할 수 있고, 보행시의 안전성 및 휠체어나 유모차 등의 쾌적주행을 실현된다. 또한, 가령 포장용 블록에 예측하지 않은 하중이 걸리더라도, 포장용 블록의 지반에의 추종성이 높고,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블록 표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포장용 블록이 부설된 상태에서는, 시공후 및 공용후에 있어서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아름다운 시설경관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의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X3방향으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X4방향으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X2방향으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X1방향으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의 실시형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의 실시형태의 이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을 부설한 상태를 상면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 며, 줄눈을 규정하는 볼록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의 천장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a)는 평면도, 도 9(b)는 측면도이다.
도 1O은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의 다른 천장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a)은 평면도, 도 10(b)은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의 다른 천장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a)은 평면도, 도 11(b)은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의 또 다른 천장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도 12(a)는 평면도, 도 12(b)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의 또 다른 천장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도 13(a)은 평면도, 도 13(b)은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의 또 다른 천장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a)는 평면도, 도 14(b)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은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의 끼워맞춤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b)은 이 끼워맞춤구조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줄눈 유지 높이(h)마다의 굴절각도와 단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의 하중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의 다른 실시형태의 끼워맞춤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의 다른 실시예의 끼워맞춤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a)는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을 부설한 상태를 상면으로부터 바라본 개략도이며, 도 22(b)는 도 22(a)에 있어서의 X-X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의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X3방향으로 바라본 정면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X4방향으로 바라본 평면도,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X2방향으로 바라본 측면도, 도 5은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X1방향으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포장용 블록(10)은, 평판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공극이 형성된 투수성을 갖는 블록 본체(11)로 이루어진다. 이 포장용 블록(10)의 한쪽의 측벽(12)에는, 그 길이방향의 전장에 걸쳐 볼록조(1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측벽(12)에 마주 대하는 다른쪽의 측벽(13)에는, 볼록조(12c)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볼록조와 끼워맞춤가능한 오목조(13c)가 이 측벽(13)의 길이방향의 전장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볼록조(12c) 및 오목조(13c)는, 각각 그 단면형상이 원호를 이루는 곡면으로 되어 있고, 각각의 측벽(12,13)의 높이방향에 있어서의 중간위치(CE)보다 하방, 또한, 부설했을 때에 서로의 볼록조와 오목조가 끼워맞춰진 상 태에서 천장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동일 높이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볼록조(12c) 및 오목조(13c)의 구조에 의해, 인접해서 배치되는 포장용 블록의 볼록조(12c) 또는 오목조(13c) 곡면에서 접촉함으로써, 포장용 블록(10)이 그 접촉면을 통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조의 폭(b12)은, 측벽 상단(121)으로부터 그 측벽 상단측의 볼록조 상승부(122)에 이르는 거리(a12) 및 측벽 하단(124)으로부터 그 측벽 하단측의 볼록조 상승부(123)에 이르는 거리(c12)의 각각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b12<a12, b12<c12). 또한, 오목조의 폭(b13)은, 측벽 상단(131)으로부터 그 측벽 상단측의 오목조의 상부끝 가장자리(132)에 이르는 거리(a13) 및 측벽 하단(134)으로부터 그 측벽 하단측의 오목조의 하부끝 가장자리(133)에 이르는 거리(c13)의 각각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b13<a13, b13<c13). 이들 거리의 바람직한 상대비는 (1)식과 같다.
a12:b12:c12=a13:b13:c13
=2.2이상:1:1.2이상 …(1)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상대비를 (2)식에 나타내는 값으로 되어 있고, 더욱 바람직한 값이다.
a12:b12:c12=a13:b13:c13
=2.75:1:1.25 …(2)
또한, 볼록조의 폭(b12)은, 볼록조의 돌출 길이(d12)보다 크고, 또한, 오목조의 폭(b13)은 오목조의 깊이(d13)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12)에는, 볼록조(12c)에 평행하게, 또한, 볼록조(12c)의 상방부분에 볼록부(12b)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측벽(13)에도 마찬가지로 오목조(13c)에 평행하게, 또한, 오목조의 상방부분에 볼록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볼록부(12b,13b)는, 측벽(12,13)의 높이방향에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용 블록을 부설한 상태에서는, 상하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각 볼록부(1b,2b)는 인접하는 포장용 블록의 측벽에 접촉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각 볼록부(12b,13b)의 길이(W1)는, 측벽(12,13)의 길이방향의 전장에서 볼록부(12b,13b)의 길이를 뺀 길이(W2)의 1/2미만의 길이(W1<W2/2)로 되어 있다. 이들 볼록부(12b,13b)는, 본 포장용 블록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다른 포장용 블록에 접촉됨으로써,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용 블록과 다른 포장용 블록의 간극에, 소정의 줄눈 폭(M)을 규정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용 블록(10A…10F) 사이에 규정된 간극에 줄눈 모래(SS)가 들어가 줄눈이 형성된다.
볼록조(12c)나 오목조(13c)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포장용 블록 측벽(14) 사이에 줄눈을 규정하는 구성으로 하여, 볼록조(12c), 또는 오목조(13c)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벽(14)에 볼록부(14b,14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볼록부(14b,14b)는, 본 포장용 블록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다른 포장용 블록 사이에 소정 폭의 줄눈 폭(M)을 규정한다(도 8 참조).
또한, 측벽(12,13)의 하단은, 길이방향의 전장에 걸쳐 경사지게 노치되어 있고, 노치부(12d,13d)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12d,13d)에 의해, 포장용 블록이 부설되었을 때, 이 노치 부분에 줄눈 모래가 들어가고, 종래에는, 시공시에 있어서의 샌드 쿠션의 삽입에 의해 끼워맞춤이 불충분하게 되고, 그것에 따라 줄눈 폭이 넓어지거나, 단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지만, 상기 구성으로 하면, 이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측벽(12,13)의 측벽 상단에는, 길이방향의 전장에 걸쳐 경사지게 노치되어 있고, 노치부(12a,1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12a,13a)에 의해, 포장용 블록간에 형성되는 줄눈 폭을 확보함과 아울러, 포장용 블록의 움직임에 따르는 포장용 블록의 측벽 상단부분에서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의 실시형태의 이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단면도인 도 7을 참조하면서, 포장용 블록의 저면구조를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용 블록(10A,10B)의 저면에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오목홈(1k,2k)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홈(1k,2k)은 포장용 블록 저면의 마주 대하는 양 끝 가장자리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볼록조(2c) 및 오목조(1c)가 신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홈(1k,2k)은, 오목홈(1k,2k)의 개구를 향해 좁은 폭으로 되는 도브테일 홈형상을 이룬다.
이렇게 저면구조를 도브테일 홈형상의 오목홈으로 함으로써, 노반(23) 상에 설치된 모르타르가 오목홈(1k,2k)에 들어가고, 포장용 블록(10A,10B)의 박리를 억제하므로, 포장용 블록(10A,10B)과 하지(21)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끼워맞춤형상은 시공 효율, 시공 정밀도를 올려서 단차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효 과적이다.
이상의 구성의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블록이 부설된 상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조(2c)는 오목조(1c)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볼록부(1b,2b)가 인접하는 포장용 블록의 측벽에 접촉하고, 줄눈 폭(M)을 규정한다.
도 8은 이상의 구성의 포장용 블록(10A…10F)이 부설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줄눈 폭(M)이 규정됨으로써, 줄눈 모래(SS)는 그 규정된 간극[줄눈 폭(M)]에 들어가 줄눈을 형성한다.
한편, 포장용 블록의 천장면은,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블록 표면이 비 등에 의해 젖어서 미끄럽지 않게 미끄러짐 저항을 크게 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러한 천장면 구조의 예를 도 9~도 14에 나타낸다. 각 도면의 (a)는 포장용 블록의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각 포장용 블록은, 천장면 치수가 200㎜×200㎜, 블록 높이가 60㎜로 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구조는, 포장용 블록(61)의 천장면에 격자상의 요철(61a)이 형성된 구성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구조는, 포장용 블록(62)의 천장면에 그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동심원이 등간격으로 새겨 넣어진 구성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구조는, 포장용 블록(63)의 천장면에, 1변에 대해서 45°의 경사를 가지는 홈(63a)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구성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구조는, 포장용 블록(64)의 천장면에 원기둥을 이루는 볼록부(64a)가 매트릭스로 배치된 구성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구조는, 포장용 블록(65)의 천장면에 균일한 파형상의 홈(65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65a)은 볼록조(651)가 신장되는 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고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구성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구조는, 포장용 블록(66)의 천장면에 균일한 파형상의 홈(66a)이 등간격으로, 볼록조(651)에 대해서 45°의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구성이다.
포장용 블록의 천장면의 다른 구조로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용 블록(52)의 표면의 마주 대하는 양 끝 가장자리에 걸쳐 복수의 오목홈(56)을 서로 평행 또한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포장용 블록(50)의 구성에서는, 복수의 오목홈(56)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배수가 좋은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포장용 블록(50)에는, 이 오목홈(56)을 제외한 포장용 블록(52)의 표면에 불투수성의 도포막(57)이 형성되어 있고, 포장용 블록(50)의 표면을 보호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공극에 의한 오염의 부착 또는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도포막의 색조를 선택함으로써 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구성의 포장용 블록의 끼워맞춤구조를 도 16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a)은 본포장용 블록의 끼워맞춤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b)은 이 끼워맞춤구조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포장용 블록(10A,10B)의 끼워맞춤부분[볼록조(2c),오목조(1c)]에 있어서는,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조(2c), 오목조(1c)가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는, 접점(S1,S2)에서 서로 접촉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b,2b)가 각각 인접하는 포장용 블록의 측벽에 접촉하여, 줄눈 폭(M)을 규정한다. 여기서,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측하지 않은 하중이 포장용 블록 표면에 가해진 경우에는, 단면형상이 대략 원호를 이루는 곡면으로 된 볼록조(2c), 오목조(1c)는, 이 곡면부분에서 접점을 어긋나게 한다. 즉, 포장용 블록(10A,10B)은, 이 곡면부분을 통해서 화살표 R로 나타내는 방향에서의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슬라이딩 동작에서는, 볼록부(1b)의 존재에 의해, 포장용 블록(10A,10B)의 측벽 상단은 접촉할 일이 없는 범위 내에서의 동작을 하는 것이므로, 포장용 블록 표면의 파손을 면할 수 있다. 또한, 포장용 블록(10A,10B)의 측벽 상단은, 측벽의 길이방향의 전장에 걸쳐 경사지게 홈(1a,2a)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포장용 블록(10A,10B)의 측벽 상단의 접촉을 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동작에 의해, 약간의 단차가 생기지만, 이 단차를 (회사)인터로킹블록 포장기술협회의 단차기준 2㎜을 넘는 않는 최소한으로 하도록, 볼록부(1b)의 줄눈 유지 높이(h)[끼워맞춤부분(볼록조2c,오목조1c)이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의 볼록부(1b)와 포장용 블록(10B)의 접점(볼록부(1b)의 꼭대기점)과 포장용 블록(10A)의 천장면의 거리]가 결정되어 있다. 이 줄눈 유지 높이(h)마다 생기는 단차(y)는, 굴절각도(θ), 즉 도 1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슬라이딩 동작에 의한 한쪽의 포장용 블록의 경사[포장용 블록(10A)의 천장면과 포장용 블록(10B)의 천장면이 이루는 각도]의 함수로서, 하기와 같이 표시된다.
(a) 줄눈 유지 높이(h)가 5㎜인 경우
y=0.0397x2-0.0537x+0.1565…(1)
(b) 줄눈 유지 높이(h)가 10m인 경우
y=0.0265x2-0.0151x+0.0865 …(2)
(c) 줄눈 유지 높이(h)가 15㎜인 경우
y=0.0172x2+0.0017x+0.0462 …(3)
또한, 이상의 함수식(1) 내지 (3)에 있어서의 x는 굴절각도(θ)이다.
이상의 함수식(1) 내지 (3)에 의해 얻어진 단차값을 하기의 표에 표시함과 아울러, 도 17에 나타낸다.
Figure 112005036724113-pct00001
이들 결과로부터, 굴절각도가 작게 됨에 따라, 단차(y)는 작게 되는 것은 명확하지만, 줄눈 유지 높이(h)가 클수록, 단차가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최적의 구체예로서, 천장면의 치수가 200㎜×200㎜, 블록 높이가 60㎜의 포장용 블록에 있어서, 줄눈 유지 높이(h)를 15㎜로 하는 구조를 예로 든다.
다음에, 도 1에 나타내는 구조의 포장용 블록(10)(a13=33㎜, b13=12㎜, c13=15㎜ 도 6 참조)을 이용하여, 하중시험을 행한 결과를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시험은, 금속제 주조 프레임(90)에 크러셔 런(Crusher run)을 깔아 크러셔 런층(92)으로 하고, 이 크러셔 런층(92) 상에 샌드 쿠션층(93)을 형성하고, 이 샌드 쿠션층(93) 상에 3개의 포장용 블록(10)을 상호 끼워맞춘 상태에서 세트한다. 크러셔 런층(92), 샌드 쿠션층(93)은 각각 100㎜,30㎜의 두께로 하였다. 이렇게 세트된 상태에서, 중앙부분의 포장용 블록(10)의 천장면에 직경 100㎜의 하물적재판(91)을 적재해서 하중을 가하고, 이 때에 생긴 파괴하중 및 파괴 상황을 확인했다. 하물적재판(91)은 적당하게 무게를 변화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 이 시험에서는, 하중 641㎏에서 오목부 하측(99)에서 파괴가 보여지고, 이 때 포장용 블록(10)의 천장면에 이르는 파괴는 보여지지 않았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끼워맞춤구조 및 측벽 구조에 의해, 가령 지반이 침하하거나, 또는 큰 하중이 예측없이 부가된 경우이더라도, 포장용 블록(10)은 지반에 대하여 추종한 움직임이 가능하므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포장용 블록 천장면에 이르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실증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끼워맞춤구조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도 19, 도 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도 19의 끼워맞춤구조는, 볼록조(21c), 오목조(20c)는 사각추 다이를 이루고, 그 폭(W5)(하측 바닥에 닿는)은 높이(W6)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0의 끼워맞춤구조는, 볼록조(31c), 오목조(30c)는 사각추 다이를 이루고, 그 측면이 이루는 경사각(θ)은, 0°보다 크고, 또한 45°이하의 각도로 된다. 포장용 블록이 어긋남으로써 발생하는 단차를 막기 위해서는, 이 경사각θ은 10°~1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끼워맞춤구조는, 경사면을 통해서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는, 접촉면의 면적이 보다 큰 점이 다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끼워맞춤부를 측벽의 높이방향에 있어서의 중간위치보다 하방으로 설치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일없이, 예컨대 도 21에 나타내는 포장용 블록(40)과 같이, 볼록조(43c), 오목조(42c)를 측벽의 높이방향에 있어서의 중간위치(CE)에 위치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10)을 부설하는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22(a)는 본 발명의 포장용 블록을 부설한 상태를 상면으로부터 바라본 개략도이며, 도 22(b)는 도 22(a)에 있어서의 X-X단면도이다.
이 부설 패턴은, 도 2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용 블록(10)을, 오목조(13c)의 중간위치까지 볼록조(12c)를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포장용 블록(10)은, 볼록조(12c) 및 오목조(13c)가 측벽의 길이방향의 전장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므로, 끼워맞춤상태 그대로 소정 위치에 어긋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포장용 블록(10…10)을 부설한 상태에서는, 각 천장면은 하나의 평면을 이루는 일체적인 구조체로 된다. 이렇게 인접하는 포장용 블록은 서로 일체화된 구조체, 즉, 마치 1장으로 형성된 포장면으로 할 수 있으므로, 포장용 블록간에 있어서의 단차나 결합 요철이 생길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블록은, 상기와 같은 포장면을 실현할 수 있고, 최근 주목되고 있는 대단히 공헌할 수 있는 뛰어난 기술로서 유용하다.

Claims (18)

  1. 평판형상을 이루는 블록 본체를 구비하고, 그 블록 본체의 한쪽의 측벽에 그 길이방향의 전장에 걸쳐 신장되는 볼록조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측벽에 마주 대하는 다른쪽의 측벽에는, 상기 볼록조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볼록조와 끼워맞춤가능한 오목조가 상기 다른쪽의 측벽의 길이방향의 전장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조가 상승하는 양 상승 기점 사이의 거리로 되는 볼록조의 폭은, 상기 측벽 상단으로부터 그 측벽 상단측의 상기 볼록조의 상승 기점에 이르는 거리 및 상기 측벽 하단으로부터 그 측벽 하단측의 상기 볼록조의 상승 기점에 이르는 거리의 각각의 크기보다 작고, 또한, 상기 오목조의 한쪽의 끝 가장자리와 이 끝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또 한쪽의 끝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로 되는 오목조의 폭은, 상기 측벽 상단으로부터 그 측벽 상단측의 상기 오목조의 상부끝 가장자리에 이르는 거리 및 상기 측벽 하단으로부터 그 측벽 하단측의 상기 오목조의 하부끝 가장자리에 이르는 거리의 각각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포장용 블록으로서,
    상기 볼록조의 폭은 상기 볼록조의 돌출높이보다 크고, 또한, 상기 오목조의 폭은 상기 오목조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조는 그 단면형상이 대략 원호를 이루는 곡면으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조가 형성되어 있는 측벽의 어느 한쪽 이상의 측벽에는 그 볼록조 또는 오목조의 상방부분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는, 상기 포장용 블록에 인접하여 배치된 포장용 블록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포장용 블록과 다른 포장용 블록 사이에, 소정의 줄눈 폭을 규정하는 것과 동시에, 포장용 블록의 슬라이딩에 따르는 포장용 블록의 측벽 상단부분에서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조 및 오목조는, 각각 측벽의 높이방향에 있어서의 중간위치보다 하방이고, 또한 부설했을 때에 서로의 볼록조와 오목조가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천장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동일 높이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블록.
  3. 삭제
  4. 평판형상을 이루는 블록 본체를 구비하고, 그 블록 본체의 한쪽의 측벽에 그 길이방향의 전장에 걸쳐 신장되는 볼록조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측벽에 마주 대하는 다른쪽의 측벽에는, 상기 볼록조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볼록조와 끼워맞춤가능한 오목조가 상기 다른쪽의 측벽의 길이방향의 전장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조가 상승하는 양 상승 기점 사이의 거리로 되는 볼록조의 폭은, 상기 볼록조의 돌출높이보다 크고, 또한, 상기 오목조의 한쪽의 끝 가장자리와 이 끝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또 한쪽의 끝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로 되는 오목조의 폭은 상기 오목조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포장용 블록으로서,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조는 그 단면형상이 대략 원호를 이루는 곡면으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조가 형성되어 있는 측벽의 어느 한쪽 이상의 측벽에는, 그 볼록조 또는 오목조의 상방부분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는, 상기 포장용 블록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포장용 블록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포장용 블록과 다른 포장용 블록 사이에, 소정의 줄눈폭을 규정하는 것과 동시에, 포장용 블록의 슬라이딩에 따르는 포장용 블록의 측벽 상단부분에서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블록.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상단으로부터 그 측벽 상단측의 상기 볼록조의 상승 기점에 이르는 거리 및 상기 측벽 상단으로부터 그 측벽 상단측의 상기 오목조의 상부끝 가장자리에 이르는 거리는 상기 볼록조의 폭의 2.2배이상으로 되고, 또한, 상기 측벽 하단으로부터 그 측벽 하단측의 상기 볼록조의 상승 기점에 이르는 거리 및 측벽 하단으로부터 그 측벽 하단측의 상기 오목조의 하부끝 가장자리에 이르는 거리는, 상기 볼록조의 폭의 1.2배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블록.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되고, 각 볼록부는 상기 측벽의 높이방향에 서로 어긋난 위치에, 또한,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조에 평행하게 신장하여 형성되어 있고, 각 볼록부의 길이는, 상기 측벽의 길이방향의 전장에서 상기 볼록부의 길이를 뺀 길이의 1/2미만의 길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블록.
  8. 삭제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벽의 측벽 하단 중 적어도 한쪽의 측벽 하단이, 길이방향의 전장에 걸쳐 경사지게 노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블록.
  11.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측벽 중 1개이상의 측벽에는, 상기 포장용 블록과 상기 포장용 블록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포장용 블록 사이에 소정의 줄눈 폭을 규정하기 위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블록.
  12.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는, 내부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고, 투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블록.
  13.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 블록의 천장면이 되는 표면은, 미끄럼을 억제하는 미세한 요철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블록.
  14.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 블록의 천장면이 되는 표면에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오목홈이 천장면의 마주 대하는 끝 가장자리에 이르도록 양 끝 가장자리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블록.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홈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블록.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을 제외한 천장면의 표면에 불투수성의 도포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블록.
  1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 블록의 저면에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오목홈이 저면의 마주 대하는 끝 가장자리에 이르도록 양 끝 가장자리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블록.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은, 상기 오목홈의 개구를 향해서 좁은 폭으로 된 도브테일 홈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블록.
KR1020057012709A 2003-02-12 2004-01-13 포장용 블록 KR100711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34039 2003-02-12
JP2003034039A JP3751284B2 (ja) 2003-02-12 2003-02-12 舗装用ブロ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770A KR20050091770A (ko) 2005-09-15
KR100711569B1 true KR100711569B1 (ko) 2007-04-27

Family

ID=32821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709A KR100711569B1 (ko) 2003-02-12 2004-01-13 포장용 블록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36055B2 (ko)
JP (1) JP3751284B2 (ko)
KR (1) KR100711569B1 (ko)
CN (1) CN100376749C (ko)
WO (1) WO200407238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571B1 (ko) 2008-03-25 2010-06-29 박정규 요철 결합구조를 갖는 도로포장용 프리캐스트 패널
WO2010120022A1 (ko) * 2009-04-16 2010-10-21 Yu Heung Sik 다층 블록 포장을 이용한 수자원 보존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20200035697A (ko) * 2018-09-27 2020-04-06 이정욱 조립식 보도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5327B2 (en) * 2003-10-22 2010-05-25 Medco Health Solutions, Inc.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healthcare risk indices using medication compliance information
WO2005111308A1 (en) * 2004-05-19 2005-11-24 Tripstop Pty Ltd A pavement joint
US8391630B2 (en) * 2005-12-22 2013-03-0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ower reduction when decompressing video streams for 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s
US20070285379A1 (en) * 2006-06-09 2007-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adjusting brightness for the same
KR100889252B1 (ko) * 2007-04-12 2009-03-19 유흥식 하중분산기능이 구비된 블록
JP4635104B1 (ja) * 2010-03-03 2011-02-23 日本興業株式会社 舗装用ブロック連結部材
KR20130059261A (ko) * 2011-11-28 2013-06-05 유니손 코포레이션 블록
KR20130059247A (ko) * 2011-11-28 2013-06-05 유니손 코포레이션 블록
US10067565B2 (en) * 2016-09-29 2018-09-04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potentially seizure-inducing virtual reality content
KR20190070638A (ko) 2017-12-13 2019-06-21 니혼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콘크리트 블록
JP7171366B2 (ja) * 2018-10-26 2022-11-15 日本興業株式会社 拘束用ブロック
CN111809472B (zh) * 2020-07-15 2022-06-17 孙亚 一种不同地势自适应快速安装道路
KR102388671B1 (ko) * 2021-09-08 2022-04-20 박종석 투수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4115A (en) * 1987-08-25 1989-03-01 Kawasaki Steel Co Burner
JPH1054115A (ja) * 1996-08-12 1998-02-24 Kiuchi Kensetsu Kk 板状体の敷き詰め方法
JP2002266304A (ja) * 2001-03-09 2002-09-18 Tsuda Peibuton Technic:Kk 透水性舗装用ブロック
JP2003027405A (ja) * 2001-07-16 2003-01-29 Tsuda Peibuton Technic:Kk 透水性舗装用ブロ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3976A (en) * 1974-05-13 1976-11-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Method and apparatus for pattern analysis
JPS58134407U (ja) * 1982-03-08 1983-09-09 元信 尭 透水性舗装板
JPH0248485Y2 (ko) * 1985-07-20 1990-12-19
US5267810A (en) * 1991-09-25 1993-12-07 Johnson Christopher M Paving block
CN2172779Y (zh) * 1993-10-23 1994-07-27 吴介源 人行健康步道铺块
JP2795214B2 (ja) 1994-10-12 1998-09-10 日本電気株式会社 Vdt障害緩和方法および画像周波数減衰装置およびvdtアダプタ
JP3045073U (ja) * 1997-07-04 1998-01-23 太陽セメント工業株式会社 舗装用ブロック
EP1069765B1 (en) 1999-07-14 2005-05-25 Hitachi, Ltd. Feature scene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ontaining processing program therefor
JP3551870B2 (ja) 1999-11-24 2004-08-11 日本電気株式会社 Vdt障害緩和装置/方法およびvdt障害危険性定量化装置/方法ならびに記録媒体
DE20115963U1 (de) * 2001-09-27 2001-12-06 Roth, Reiner, Dipl.-Ing. (Fh), 66564 Ottweiler Betonpflasterste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4115A (en) * 1987-08-25 1989-03-01 Kawasaki Steel Co Burner
JPH1054115A (ja) * 1996-08-12 1998-02-24 Kiuchi Kensetsu Kk 板状体の敷き詰め方法
JP2002266304A (ja) * 2001-03-09 2002-09-18 Tsuda Peibuton Technic:Kk 透水性舗装用ブロック
JP2003027405A (ja) * 2001-07-16 2003-01-29 Tsuda Peibuton Technic:Kk 透水性舗装用ブロック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26630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740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54115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571B1 (ko) 2008-03-25 2010-06-29 박정규 요철 결합구조를 갖는 도로포장용 프리캐스트 패널
WO2010120022A1 (ko) * 2009-04-16 2010-10-21 Yu Heung Sik 다층 블록 포장을 이용한 수자원 보존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20200035697A (ko) * 2018-09-27 2020-04-06 이정욱 조립식 보도블록
KR102191982B1 (ko) * 2018-09-27 2020-12-16 이정욱 조립식 보도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72380A1 (ja) 2004-08-26
KR20050091770A (ko) 2005-09-15
JP3751284B2 (ja) 2006-03-01
CN100376749C (zh) 2008-03-26
US7136055B2 (en) 2006-11-14
US20040155872A1 (en) 2004-08-12
JP2004263370A (ja) 2004-09-24
CN1697904A (zh)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569B1 (ko) 포장용 블록
JP3469203B2 (ja) 舗設用ブロック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CA2340768C (en) Paving stone
JP2007303215A (ja) 舗装用ブロック
JP2005508462A (ja) 舗装面を形成する石
JP3152221U (ja) 舗装用ブロック
JP2009221741A (ja) 舗装用ブロック
JP3045073U (ja) 舗装用ブロック
JP2011106208A (ja) 平板ブロック及び平板ブロック用枠体
JP2007016553A (ja) 緑化舗装用ブロックおよびその敷設構造
JPH0643005U (ja) 舗石タイル
JP3475906B2 (ja) 自由勾配型函渠側溝
JP2016142010A (ja) コンクリート縁石、縁石構造体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212558Y1 (ko)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
JP3831359B2 (ja) 舗設用ブロック及びその施工方法
JP3145860U (ja) 舗道用れんが組立品
KR200301571Y1 (ko) 삼각형 연접돌기 및 홈 부 보도블록
JP3138736U (ja) 敷設又は法面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405031Y1 (ko) 배수 공을 갖는 점토바닥벽돌
KR200320477Y1 (ko) 기능성 보도블록
JP2813973B2 (ja) 地表面のライニング構造
KR100589996B1 (ko) 기능성 보도블록
KR200274524Y1 (ko) 인조(고무)잔디를 구비한 조립식 포장블록
JP2004000596A (ja) 車椅子走行時の振動防止方法及び舗設用ブロック並びに舗設用ブロックの形成方法
KR200167359Y1 (ko) 보도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