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081B1 - 공기조화유닛 및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유닛 및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081B1
KR100639081B1 KR1020050003162A KR20050003162A KR100639081B1 KR 100639081 B1 KR100639081 B1 KR 100639081B1 KR 1020050003162 A KR1020050003162 A KR 1020050003162A KR 20050003162 A KR20050003162 A KR 20050003162A KR 100639081 B1 KR100639081 B1 KR 100639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unit
air conditioning
evaporat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5290A (ko
Inventor
가와하라다츠히데
후지타소이치로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0855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9987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0856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9987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39878A external-priority patent/JP3986501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5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85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inta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제상출구로부터 자동차 앞유리로 연장되는 제상덕트와 페이스출구로부터 전방 승객 좌석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페이스덕트를 급하게 굴곡시킬 필요가 없어, 이 덕트들의 덕트 저항이 감소되었다. 또한 승객의 충돌 안전성이 개선되었고, 차량의 내부 공간이 전방으로 확대되었다. 차량의 앞좌석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공기조화유닛에 있어서, 증발기는 송풍기의 하측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히터코어가 상기 송풍기의 하측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기조화유닛은 차량 충돌 시에, 증발기 뒤의 본체커버의 벽이 부서지거나, 본체커버 내에 수용된 구성품이 움직여서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도록 부서지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유닛 및 차량용 공기조화장치{AIR-CONDITIONING UNIT AND VEHICLE AIR-CONDITIONING APPARATUS}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유닛의 제 1 및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이 공기조화유닛 내의 덕트 및 댐퍼의 모양을 나타내는 일부측단면도이다.
도 2 는 공기조화유닛의 제 1 및 제 3 실시형태를 좌측위후방에서 본 전체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낸 공기조화유닛을 좌측밑전방에서 본 전체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낸 공기조화유닛의 좌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나타낸 공기조화유닛을 본체좌측커버가 벗겨진 상태로 좌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6 은 도 1 및 도 4 에 나타낸 공기조화유닛을 본체하측커버가 벗겨진 상태로 하측에서 본 도면으로서, 하측에서 본 증발기 및 냉각수 배관을 나타낸다.
도 7 은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 은 도 1 에 나타낸 공기조화유닛을 도 6 을 통해 차량에 탑재한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유닛을 페이스/푸트 모드에 설정하여 얻어 진, 공기혼합댐퍼개방도와, 페이스(face) 출구 및 푸트(feet) 출구에서 나온 공기의 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유닛을 페이스/푸트 모드에 설정하여 얻어진, 공기혼합댐퍼개방도와, 제상(defrost) 출구 및 푸트 출구에서 나온 공기의 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은 제 2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유닛을 좌측위후방에서 본 전체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노치(notch)의 형상의 평면도에서 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11 과 유사한 그림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유닛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그림으로, 이 공기조화유닛 내의 덕트 및 댐퍼의 모양을 나타내는 일부측단면도이다.
도 14 는 주요부품의 확대단면도인데, 댐퍼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 는 주요부품의 확대단면도인데, 댐퍼가 다른 방식으로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도 16 은 종래의 공기조화유닛의 특정예를 나타내는 그림이고, 이 공기조화유닛 내의 덕트 및 댐퍼의 모양을 나타내는 일부측단면도이다.
도 17 은 도 16 에 나타낸 공기조화유닛을 차량에 탑재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조화장치 2 : 공기조화유닛
3 : 냉매계 4 : 가열원계
5 : 제어부 10 : 본체커버
11 : 덕트 11a : 내벽면(송풍기의 외주벽)
11b : 내벽면(전방벽) 11c : 흐름경로(유로)
12 : 송풍기
13 : 증발기 14 : 히터코어
15 : 제상 출구 16 : 페이스 출구
17 : 푸트출구 18 : 공기혼합댐퍼
19 : 공기혼합댐퍼 20,21 : 보조열원
31 : 압축기 32 : 응축기
33 : 팽창밸브 41 : 엔진
42 : 라디에이터 G : 가이드 레일
100 : 공기조화유닛 101: 제상 출구
102 : 측페이스 출구 103 : 핸들
104 : 계기 클러스터 105 : 히터코어
106 : 푸트 출구 107 : 벽
108 : 증발기 114 : 후방푸트 출구
115 : 유로 116 : 벽
117 : 중앙페이스 출구
본 발명은 공기조화유닛 및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앞좌 석보다도 전방에 배치되는 공기조화유닛 및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4년 1월 15일에 제출한 일본 특허출원 제 2004-8559 호, 2004년 1월 15일에 제출한 일본 특허출원 제 2004-8561 호, 2004년 2월 17일에 제출한 일본 특허출원 제 2004-39878 호에 기초를 둔 것이고, 이 출원들의 내용은 여기서 참고로 관련되어 있다.
종래의 공기조화유닛으로서는, 차량의 전방상측에 송풍기, 전방하측에 증발기, 그리고 차량의 후방하측에 히터코어가 배치되어 있는 소위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가열, 통풍 및 공기조화) 모듈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3-34114 호 참조).
그러나, 도 1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3-34114 호에 기재되어 있는 공기조화유닛(1OO)에서는, 제상(defrost) 출구(101)가 공기조화유닛(100)의 상방중앙부에 형성되고, 측페이스 출구(102)가 공기조화유닛(100)의 상방후부측벽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상 덕트(1O1a) 및 페이스(face) 덕트(102a)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도록 급하게 구부러져야 하고, 그 결과 덕트(101a, 102a)의 덕트저항이 현저히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페이스 덕트(102a)를 도 17 과 같이 U-형으로 굴곡시키는 이유는, 운전석측에서는 핸들(103)의 전방에 위치하는 계기 클러스터(104)를 우회할 필요가 있고, 조수석측에서는 에어백과 계기판(도시 안됨) 등을 우회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도 17 에 있어서, 참조기호 WS 는 자동차 앞유리를 나타낸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3-34114 호에 기재되어 있는 공기조화유닛 (100)에서는, 히터코어(105)가 공기조화유닛(100)의 하방후부, 즉 앞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의 발(발가락) 부근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히터코어(105)나 이것에 접속된 열수배관(도시 안됨)에 균열 등이 일어나 열수가 새어나간다면, 이 새어나간 열수가 앞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의 발에 직접 접촉하게 될 수도 있다.
또한, 히터코어(105)가 공기조화유닛(100)의 후방(즉, 실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룸에 탑재된 라디에이터(도시 안됨)와 히터코어(105)와의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고, 열수배관의 길이가 증가하며, 앞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의 발을 우회하도록 열수배관의 길을 잡아야 하며, 또한 열수배관에 승객의 발이 닿더라도 화상을 입지 않도록 노출된 열수배관 주위에 단열재를 감아야 하는데, 이는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3-34114 호에 기재되어 있는 공기조화유닛(100)에서는, 푸트 출구(106)가 공기조화유닛(100)의 후방중앙측벽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푸트 출구(106)에 덕트(도시 안됨)의 일단을 접속함과 동시에, 덕트의 타단을 앞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의 발까지 연장하여야 하는데, 덕트의 길을 잡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덕트는 승객의 발목이나 정강이 근처까지밖에 연장할 수 없으며, 승객의 발을 충분히 따뜻하게 해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3-34114 호에 기재되어 있는 공기조화유닛(100)에서는, 페이스/푸트(face/feet) 모드(공기가 중앙페이스 출구(117), 측페이스 출구(102) 및 푸트 출구(106)에서 나오는 모드)를 선택할 때, 증발기(108)를 통과하는 찬 공기(C)가, 히트코어(105)를 통과하여 벽(107)의 내벽면(107a)을 따라 상부로 흐르는 따뜻한 공기(W)로 흐른다(따뜻한 공기와 혼합한다). 따라서,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는 푸트 출구(106)의 상류지역 근처에서 혼합되고, 대략 같은 온도의 공기가 페이스 출구(102) 및 푸트 출구(106)에서 나온다. 그러므로, 페이스 출구(102)에서 나오는 찬 공기 및 푸트 출구(106)에서 나오는 따뜻한 공기를 가지고 머리를 차게 하고 발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온도차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3-34114 호에 기재되어 있는 공기조화유닛(100)에서는, 증발기와 히터코어 같은 구성부품이 본체커버 내에 강하게 고정되어 수용되는데, 이는 공기조화유닛 전체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차량충돌시 충격력이 인가되어도 공기조화유닛은 쉽게 파괴되지 않고, 따라서 충돌시 안전성이 불충분하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3-34114 호에 기재되어 있는 공기조화유닛(100)에서는, 공기조화유닛(100)의 하방후면에 후방푸트 출구(114)가 형성되어 있고, 증발기(108) 및/또는 히터코어(105)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후방푸트 출구(114)로 이끌도록 유로(11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커버의 외면을 형성하는 벽(116)과, 이 벽(116)의 앞쪽에 형성되어 유로(115)를 형성하는 벽(107)이 공기조화유닛(100)의 후방에(즉, 중앙콘솔에 위치한 오디오 기기의 후방 페이스의 맞은편에) 형성되어 있다.
이런 방식으로, 오디오 기기의 전방에 이중벽(116, 107)이 형성되고, 이 부품의 강도가 증가하여, 차량충돌시 오디오 기기가 이 부품과 충돌하더라도 쉽게 파 괴되지 않는다. 충돌시 안전성을 고려한다면, 공기조화유닛(100)과 오디오 기기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하여, 충돌 직후에 오디오 기기와 앞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유닛(100)과 오디오 기기 사이의 간격을 낭비하여, 차량의 내부공간을 희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상 출구로부터 자동차 앞유리에 이르는 제상 덕트 및 페이스 출구로부터 양쪽의 앞좌석에 이르는 페이스 덕트의 급한 굴곡을 제거하여, 이들 덕트의 덕트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유닛 및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통사고 등이 일어난 경우에 앞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의 발이 히터코어의 배관 등에 닿을 가능성을 감소시켜, 승객의 안전성을 보다 높은 수준에서 유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유닛 및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앞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의 발에 열교환된 공기를 직접 보낼 수 있는 공기조화유닛 및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페이스 출구에서 찬 공기가 나오고, 푸트 출구에서 따뜻한 공기가 나와, 페이스/푸트 모드에서 머리를 차게 하고 발을 따뜻하게 할 수 있는 공기조화유닛 및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충돌시 충돌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유닛 및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앞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의 충돌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중앙콘솔에 위치한 오디오 기기와의 간격을 감소시키고, 차량의 내부공간을 전방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유닛 및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수단을 채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차량의 앞좌석보다도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공기조화유닛으로서, 이 공기조화유닛은, 외부공기 또는 내부공기를 끌어들이기 위한 공기입구; 제상출구, 페이스출구 및 푸트출구를 포함하는 공기출구; 상기 공기입구와 상기 공기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덕트; 상기 덕트 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이 공기를 상기 공기출구로부터 방출시키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에 의해 덕트 내에서 이동한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 및 상기 송풍기에 의해 덕트 내에서 이동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송풍기의 하측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히터코어는 상기 송풍기의 하측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공기조화유닛에 의하면, 예를 들어 열수가 열수배관을 통해 라디에이터로부터 재순환되는 히터코어가 차량의 전방, 즉 앞좌석에서 멀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룸에서 나오는 배관이 짧아, 교통사고가 일어난 경우, 앞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의 발이 히터코어의 배관부 등에 닿을 가능성이 감소된다. 이리하여, 승객의 안전이 향상된다.
상기한 제 1 실시 형태의 공기조화유닛에서, 제상 출구가 송풍기보다도 전방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유닛에 의하면, 제상 출구가 송풍기보다도 전방에, 즉 자동차 앞유리 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된 공기를 제상출구로부터 자동차 앞유리까지 안내하는 제상 덕트를 급하게 굴곡시킬 필요가 없어, 제상 덕트의 덕트저항이 감소된다.
상기한 제 1 실시 형태의 공기조화유닛에서, 페이스 출구는 송풍기보다도 전방에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유닛에 의하면, 페이스 출구가 송풍기보다도 전방에, 즉 자동차 앞유리 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된 공기를 페이스 출구로부터 앞좌석의 양측까지 안내하는 페이스 덕트를 급하게 굴곡시킬 필요가 없어, 페이스 덕트의 덕트저항이 감소된다.
상기한 제 1 실시 형태의 공기조화유닛에서, 제상 출구 및 페이스 출구는 송풍기보다도 전방에 형성될 수도 있고, 페이스 출구는 제상 출구와 송풍기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덕트에서, 푸트 출구로 이어지는 유로가 증발기보다도 전방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유닛에 의하면, 증발기를 통과한 찬 공기는 송풍기의 외주벽을 따라 페이스 출구로 안내되고, 증발기 및 히터코어를 통과한 따뜻한 공기는 송풍기의 외주벽과 대향하는 벽면을 따라 흐른 뒤 외주벽과 대향하는 벽의 뒷편(즉, 전방측)에 형성된 푸트 출구로 이어지는 덕트를 통해 푸트 출구로 안내된다.
결과적으로, 페이스 출구로부터 찬 공기가 나오고, 푸트 출구로부터 따뜻한 공기가 나온다.
또한, 푸트 출구로 이어지는 덕트가 증발기보다도 전방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푸트 출구가 앞좌석에서 멀리, 즉 앞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의 발(발가락)을 향해 배치될 수 있어, 푸트 출구로부터 나온 공기는 승객의 발 위로 뿜어진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차량의 앞좌석보다도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공기조화유닛으로서, 이 공기조화유닛은, 외부공기 또는 내부공기를 끌어들이기 위한 공기입구; 제상 출구, 페이스 출구 및 푸트 출구를 포함하는 공기출구; 공기입구와 공기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덕트; 이 덕트 내에 배치되어, 공기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이 공기를 공기출구로 방출시키는 송풍기; 이 송풍기에 의해 덕트 내에서 이동한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 및 상기 송풍기에 의해 덕트 내에서 이동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에서 푸트 출구로 이어지는 유로가 증발기보다도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공기조화유닛에 의하면, 푸트 출구로 이어지는 덕트가 증발기보다도 전방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푸트 출구가 앞좌석에서 멀리, 즉 앞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의 발(발가락)을 향해 배치될 수 있어, 푸트 출구로부터 나온 공기는 승객의 발 위로 뿜어진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는 차량의 앞좌석보다도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공기조화유닛으로서, 이 공기조화유닛은, 외부공기 또는 내부공기를 끌어들이기 위한 공기입구; 제상 출구, 페이스 출구 및 푸트 출구를 포함하는 공기출구; 공기입구와 공기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덕트; 이 덕트 내에 배치되어 공기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이 공기를 공기출구로 보내는 송풍기; 이 송풍기에 의해 덕트 내에서 이동한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 및 상기 송풍기에 의해 덕트 내에서 이동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내에서의 공기의 이동에 있어서 증발기의 하류에 제공되는 히터코어가 증발기보다도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공기조화유닛에 의하면, 열수배관을 통해 라디에이터로부터 열수가 재순환되는 히터코어가 차량의 전방, 즉 엔진룸에 보다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룸에 탑재된 라디에이터와 히터코어(14)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어, 열수배관(14a)을 짧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종래의 불필요한 우회를 안 해도 된다.
또한, 제 1 형태의 공기조화유닛은 공기입구, 공기출구 및 덕트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커버가 제공될 수도 있고, 증발기 뒤에 있는 본체커버의 벽은 잘 부서지는 구조를 가져, 충격 인가시 잘 파괴되고 충돌에너지를 잘 흡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유닛에 의하면, 차량충돌시 본체커버의 벽을 향해 날아가는(본체커버의 벽과 충돌하는) 오디오 기기가 관성에 의해 본체커버의 벽에 부딪혀, 본체커버의 벽은 쉽게 파괴되고, 충돌에너지가 흡수되며, 오디오 기기는 본체커버의 벽 안에 박힌다. 이 때, 오디오 기기와 승객 사이에는 충분한 거리가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승객은 오디오 기기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중앙콘솔에 위치한 오디오 기기와 공기조화유닛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 음과 동시에, 차량의 내부공간을 전방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본체커버의 벽이 잘 파괴되는 구조를 가진 공기조화유닛에 있어서, 본체커버의 벽은 단일층구조일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유닛에 의하면, 차량충돌시 관성에 의해 본체커버의 벽을 향해 날아가는(본체커버의 벽과 충돌하는) 오디오 기기가 본체커버의 벽에 부딪혀, 본체커버의 벽은 쉽게 파괴되고, 오디오 기기는 본체커버의 벽 안에 박힌다. 이 때, 오디오 기기와 승객 사이에는 충분한 거리가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승객은 오디오 기기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중앙콘솔에 위치한 오디오 기기와 공기조화유닛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차량의 내부공간을 전방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본체커버의 벽이 잘 파괴되는 구조를 가진 공기조화유닛에 있어서, 본체커버의 벽은 하나 이상의 노치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유닛에 의하면, 차량충돌시 본체커버의 벽의 파괴가 보다 쉽게 일어난다. 따라서, 중앙콘솔에 위치한 오디오 기기와 공기조화유닛 사이의 거리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차량의 내부공간을 전방으로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커버의 벽이 잘 파괴되는 구조를 가진 공기조화유닛에 있어서, 본체커버는 본체좌측커버, 본체우측커버, 및 이들 좌·우측커버보다 크기가 더 작은 본체바닥커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유닛에 의하면, 차량충돌시 본체커버의 벽을 향해 날아가는( 본체커버의 벽과 충돌하는) 오디오 기기가 관성에 의해 본체커버의 벽에 부딪혀, 본체커버의 벽은 쉽게 파괴되고, 본체커버는 세 구성부분으로 분해된다. 따라서, 오디오 기기는 분해된 본체커버의 부품들 사이에 깊게 박힌다. 결과적으로, 중앙콘솔에 위치한 오디오 기기와 공기조화유닛 사이의 거리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차량의 내부공간을 전방으로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는 차량의 앞좌석보다도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 공기조화유닛으로서, 외부공기 또는 내부공기를 끌어들이기 위한 공기입구; 제상 출구, 페이스 출구 및 푸트 출구를 포함하는 공기출구; 공기입구와 공기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덕트가 본체커버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조화유닛은, 공기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이 공기를 공기출구로부터 방출시키는 송풍기; 이 송풍기에 의해 덕트 내에서 이동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 및 상기 송풍기에 의해 덕트 내에서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와 이 증발기 뒤에 있는 본체커버의 벽 사이에 상기 송풍기로부터 증발기에 이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본체커버의 좌석측 벽은 본체커버에 인접한 장비가 송풍기로부터 증발기에 이르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부서지기 쉬운 면으로 되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잘 파괴되는 면은, 적어도 본체커버에 인접하는 기기에 하중이 걸린 경우에 우선적으로 그 벽이 파괴되도록 하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노치 등의 형상효과를 구비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유닛에 의하면, 차량충돌시 본체커버의 벽을 향해 날아가는(본체커버의 벽과 충돌하는) 오디오 기기 등이 관성 에 의해 그 벽을 파괴하여 형성된 유로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 이에 의해 충돌에너지를 흡수하여 승객을 향해 튀어 오르는 일이 없는 구조가 실현된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는 차량의 앞좌석보다도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 공기조화유닛으로서, 외부공기 또는 내부공기를 끌어들이기 위한 공기입구; 제상 출구, 페이스 출구 및 푸트 출구를 포함하는 공기출구; 공기입구와 공기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덕트가 본체커버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조화유닛은, 공기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이 공기를 공기출구로 방출시키는 송풍기; 이 송풍기에 의해 덕트 내에서 이동한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 및 상기 송풍기에 의해 덕트 내에서 이동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코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커버 내에 수용된 구성부품이 충격인가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공기조화유닛 전체가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는 잘 부서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공기조화유닛에 의하면, 차량충돌시 충격이 가해진 경우, 본체커버 내에 수용된 증발기 및 히터코어 등의 구성부품이 충격력에 의해 본체커버로부터 분리되어, 공기조화유닛 전체의 강성이 감소되고, 공기조화유닛은 특히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부서지고 파괴된다.
제 5 형태의 공기조화유닛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송풍기 하측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고, 히터코어는 송풍기 하측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유닛에 의하면, 차량충돌시 충격이 가해진 경우, 본체커버 내에 수용된 증발기 및 히터코어 등의 구성부품이 충격력에 의해 본체커버로부터 분리되어, 공기조화유닛 전체의 강성이 감소되고, 특히 차량의 세로방향으로 공기 조화유닛이 부서지고 파괴된다.
제 5 형태의 공기조화유닛에 있어서, 히터코어의 양 측면과 대향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가이드레일은 본체커버의 내벽면에 충격이 가해질 때에 히터코어를 증발기 쪽으로 안내한다.
이러한 공기조화유닛에 의하면, 히터코어가 가이드레일에 의해 증발기 쪽으로 확실하고도 원활하게 안내되어, 공기조화유닛이 충돌시 설계대로 파괴될 수 있다.
제 5 형태의 공기조화유닛은 본체커버 내에 수용된 댐퍼의 힌지부가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파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유닛에 의하면, 차량충돌시 충격이 가해진 경우, 본체커버 내에 수용된 댐퍼가 충격에 의해 본체커버로부터 분리되어, 공기조화유닛 전체의 강성이 감소된다.
제 5 형태의 공기조화유닛에서, 본체커버의 벽에 하나 이상의 노치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유닛에 의하면, 노치에 의해 본체커버의 벽에 균열이 가기 쉬워, 차량충돌시 충격이 가해진 경우, 본체커버의 벽은 쉽게 파괴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유닛에 대하여 차량 후방에 배치되어, 차량충돌시 관성에 의해 본체커버의 벽을 향해 날아가는(본체커버의 벽과 충돌하는) 오디오 기기 등의 충돌물이 본체커버 내의 덕트를 형성하는 공간에 들어가, 충돌에너지를 흡수하여, 오디오 기기 등의 충돌물이 승객을 향해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한다.
제 5 형태의 공기조화유닛에서, 본체커버는 본체좌측커버 및 본체우측커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유닛에 의하면, 충돌물(예를 들어, 오디오 기기)이 외부에서 본체커버의 접합면(본체좌측커버와 본체우측커버 사이의 접합면)에 충돌함으로써 본체커버가 쉽게 둘로 분리된다. 따라서, 공기조화유닛이 보다 쉽게 파괴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상기한 제 1 형태부터 제 3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의한 공기조화유닛; 가스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고압의 가스냉매와 외부공기 사이의 열을 교환하고 가스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에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고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전환시키는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냉매계; 엔진냉각수를 상기 히터코어에 도입하는 가열원계; 및 상기 공기조화유닛, 냉매계 및 가열원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의하면, 안전성이 향상된 공기조화유닛, 또는 제상 덕트 및/또는 페이스 덕트의 덕트저항이 감소된 공기조화유닛, 또는 푸트 출구로부터 앞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의 발 위로 공기가 직접 내뿜어질 수 있는 공기조화유닛, 또는 페이스/푸트 모드에 있어서 머리를 차게하고 발을 따뜻하게 할 수 있는 공기조화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본체커버의 벽이 잘 파괴되는 구조를 갖는 제 1 형태의 공기조화유닛 또는 제 4 형태에 의한 공기조화유닛; 가스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고압의 가스냉매와 외부공기 사이의 열을 교환하고 가스냉매 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에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고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전환시키는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냉매계, 엔진냉각수를 상기 히터코어에 도입하는 가열원계, 및 상기 공기조화유닛, 상기 냉매계 및 상기 가열원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의하면, 앞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에 대한 충돌안전성이 우수한 공기조화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제 5 형태에 의한 공기조화유닛; 가스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고압의 가스냉매와 외부공기 사이의 열을 교환하고 가스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에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고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전환시키는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냉매계; 엔진냉각수를 히터코어에 도입하는 가열원계; 및 상기 공기조화유닛, 냉매계 및 가열원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의하면, 앞좌석 또는 뒷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에 대한 충돌안전성이 우수한 공기조화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 형태 내지 제 3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제상 덕트 및 페이스 덕트의 급한 굴곡을 제거하여, 이들 덕트의 덕트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엔진룸으로부터의 배관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어, 교통사고가 일어난 경우에 앞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의 발이 히터코어에 닿을 가능성을 감소시켜, 승객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앞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의 발에 열교환된 공기를 직접 보낼 수 있다.
또한, 페이스 출구에서 찬 공기가 나오고, 푸트 출구에서 따뜻한 공기가 나와, 머리를 차갑게 유지하고 발을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체커버의 벽이 잘 파괴되는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공기조화유닛에 의하거나, 또는 제 4 형태의 공기조화유닛에 의하면, 앞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의 충돌안전성을 유지하면서, 중앙콘솔에 위치한 오디오 기기와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고, 차량의 내부공간을 전방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의 공기조화유닛에 의하면, 차량충돌시 충격이 가해진 경우, 본체커버 내에 수용된 증발기 및 히터코어 등의 구성부품이 충격력에 의해 본체커버로부터 분리되어, 공기조화유닛 전체의 강성이 감소된다. 따라서, 차량충돌시 공기조화유닛은 특히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부서지고 깨질 수 있어, 충돌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
도 7은 차량용 공기조화장치(l)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차량용공기조화장치(1)는, 크게는 냉난방과 같이 공기조화를 하는 공기조화유닛(2)과, 냉방운전시에 공기조화유닛(2)에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계(3)와, 난방운전시에 공기조화유닛(2)에 열원이 되는 엔진냉각수를 공급하는 가열원계(4)와, 장치 전체 의 작동제어를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2는 공기조화유닛(2)을 좌측위후방에서 본 전체사시도이고, 도 3은 공기조화유닛(2)을 좌측밑전방에서 본 전체사시도이며, 도 4는 공기조화유닛(2)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기조화유닛(2)에 대해 본체좌측커버를 떼어낸 상태로 나타낸 좌측에서 본 정면도이고, 그리고 도 1은 도 4와 같은 도면으로, 공기조화유닛(2)내의 덕트 및 댐퍼들의 모양 및 하기에서 설명될 HVAC 구조에 관해, 차량의 "전방" 및 "후방" 을 도시한 기준 방향을 도시한 부분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공기조화유닛(2)은, 본체커버(10), 송풍기(12), 증발기(13), 및 히터코어(14)를 주된 요소로서 포함하는 소위 HVAC(가열(heating), 통풍(ventilation), 공기조화(air-conditioning)) 모듈이다.
본체커버(10)는 본체좌측커버(10a), 본체우측커버(10b), 및 본체하측커버(10c)를 포함한다. 공기조화유닛(2)의 외관은 본체좌측커버(10a), 본체우측커버(10b), 및 본체하측커버(10c) 로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송풍기(12), 증발기(13), 히터코어(14), 및 후술하는 댐퍼 등을 내장한다.
본체좌측커버(10a)의 전방중앙부(즉, 엔진룸측)에는 히터코어(14)에 연결된 열수배관(14a)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10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좌측커버(10a)의 외측 상부중앙에는 후술하는 구동부(예를 들어, 전기모터) (12b)가 고정되어 있고, 구동부(12b)의 후방(즉, 객실측)에는 레지스터(구동부(12)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레지스터)(12c)가 고정되어 있다.
외부공기와 내부공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외부공기입구(공기입구) 및 내부공 기입구(공기입구)(10e)가 본체우측커버(10b)의 상방중앙부, 즉 본체좌측커버(10a)에 고정된 구동부(12b)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체하측커버(10c)의 전방중앙부에는, 증발기(13)에 연결된 냉매배관(13a)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10f)가 형성되고 있다. 본체좌측커버(10a)의 후방중앙부에는, 증발기(13)와 냉매배관(l3a)에 부착한 서리가 녹아서 된 배수를 케이스의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구멍(10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하측커버(10c)의 양측중앙부에는, 공기를 하방(즉, 앞좌석에 착석한 승객의 발쪽)으로 내뿜기 위한 푸트출구(17)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좌측커버(10a)와 본체우측커버(10b)의 결합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덕트(11)가 형성된다. 이 덕트(11)는, 상기 외부공기입구(공기입구) 및 내부공기입구(공기입구)(10e), 이 입구로부터 자동차 앞유리(WS)(도 8 참조)로 공기를 내뿜는 제상 출구(15), 승객의 얼굴, 손, 가슴에 공기를 내뿜는 페이스 출구(l6), 및 승객의 발밑을 향해 공기를 내뿜는 푸트 출구(17)(도 2 내지 도 5 참조) 사이로 통하는 것이다.
송풍기(12)는, 예를 들어 열풍 팬(sirocco fan)이고, 주로 팬(12a)과, 구동부(도 2 내지 도 5 참조)를 포함한다. 이 송풍기(12)의 팬(12a)은 구동부(12b)(도 1의 평면으로부터 안쪽에 위치)로부터 온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외부공기입구(공기입구) 및 내부공기입구(공기입구)(10e)로부터 받아들인 공기를 하나 이상의 제상 출구(15), 페이스 출구(16), 및 푸트 출구(17)를 통해 내뿜는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송풍기(12)가 증발기(13) 및 히터코어(14)(소 위, "수직형")의 상방에 배치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송풍기(12)가 증발기(13)의 측면에 배치되어(차폭방향으로), 덕트(소위 "수평형")등을 통하여 증발기(13)에 공기를 송풍할 수도 있다.
증발기(13)는, 전술한 팬(12a)에서 방출되는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것이고, 송풍기(12)의 후방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하측커버(10c)를 떼어낸 상태에서 증발기(13) 및 냉매배관(l3a)을 밑에서 본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발기(13)의 양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신장되는 2개의 냉매배관(13a)을 각각 구부려서 공기조화유닛(2)의 폭방향 중앙에서 함께 묶고, 이들은 구부려서 전방으로 신장되게 한다.
또한, 이 증발기(13)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히터코어(14)는 상기 팬(12a)에서 내뿜어진 공기를 가열하고, 송풍기(12)의 전방하측에 그리고 증발기(13)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히터코어(14)의 상류측(즉, 증발기(13)쪽)에는 조절가능한 개구부를 가진 공기혼합댐퍼(14b)가 구비되어 있다. 난방모드에서 이 공기혼합댐퍼(14b)를 도 1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완전히 열린 상태로 설정하면 송풍기(12)의 팬(12a)에서 내뿜어진 공기는 전부 히터코어(14)를 통과하게 되고, 냉방모드에서 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완전히 닫힌 상태로 설정하면 송풍기(12)의 팬(12a)에서 내뿜어진 공기는 전부 히터코어(14)를 우회하게 된다.
또한, 이 공기혼합댐퍼(14b)는 완전히 열린 위치와 완전히 닫힌 위치 사이의 중간위치에서도 사용가능하다. 즉, 이 공기혼합댐퍼(14b)의 개방을 조절함으로 써, 히터코어(14)를 우회하는 공기와 히터코어(14)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혼합비를 변화시켜 다양한 공기온도를 얻을 수 있다.
제상 출구(15)와 페이스 출구(16)의 입구(즉, 송풍기(12) 전방)에는, 이들 출구(15,16)에 공통인 댐퍼(18)가 구비되어 있고, 이 댐퍼(18)의 운동에 의해, 공기가 제상 출구(15) 및/또는 페이스 출구(16)로부터 방출된다.
한편, 제상 출구(15)와 푸트 출구(17)의 입구에는, 이들 출구(15, 17)에 공통인 댐퍼(19)가 구비되어 있고, 이 댐퍼(19)의 운동에 의해, 공기가 제상출구(15) 및/또는 푸트 출구(17)로부터 방출된다.
즉, 댐퍼(18)가 도 1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에는 공기가 페이스 출구(16)로부터만 방출되고, 2점쇄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에는 공기가 제상 출구(15) 및/또는 푸트 출구(17)로부터 방출된다.
다음엔 냉매계(3)의 구성을 도 7에 따라서 간단히 설명한다. 이 냉매계(3)는 증발기(13)에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를 공급하고, 압축기(31), 응축기(32), 및 팽창밸브(33)를 구비하고 있다.
압축기(31)는 증발기(13)로 객실 내의 열을 흡수하여 기화한 저온저압의 가스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가스냉매로서 응축기(32)에 보낸다.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경우, 압축기(31)는 보통 벨트 및 클러치를 통해 엔진(41)에 의해 구동된다.
응축기(32)는 엔진룸의 전방에 배치되고, 압축기(31)로부터 공급된 고온고압의 가스냉매를 외부공기로 냉각하여, 가스 냉매를 응축하여 액화시킨다. 이렇 게 액화된 냉매는 증기와 액체의 분리가 일어나는 리시버(도시되지 않음)로 보내지고, 이어서 고온고압의 액체냉매로서 팽창밸브(33)에 보내진다. 이 팽창밸브(33)에서 압력을 감소시키고 고온고압의 액체냉매를 팽창시키면 저온저압의 액체(안개상)냉매가 형성되고, 이는 증발기(13)에 공급된다.
다음은, 가열원계(4)의 구성을 도 7에 따라서 간단히 설명한다. 이 가열원계(4)는 히터코어(14)에 열원으로서 고온의 엔진냉각수를 공급하고, 엔진(41)과 라디에이터(42) 사이를 순환하는 엔진냉각계에서 물의 일부를 유량 제어를 위한 워터 밸브(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 히터코어(14)에 도입한다.
끝으로, 제어부(5)의 구성을 도 7에 따라서 간단히 설명한다. 이 제어부(5)는 공기조화장치(1)를 구성하고 있는 공기조화유닛(2), 냉매계(3), 및 가열원계(4)의 작동제어를 하는 것으로, 통상 승객이 각종의 설정을 하는 조작패널에 제어회로를 결합해 넣고, 계기패널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어부(5)에 의해, 상기 공기혼합댐퍼(14b, 18, 19)의 개폐조작에의한 각종운전모드(냉방, 난방, 제상, 벤트, 제상/푸트, 바이레벨(페이스/푸트이고, 이하 B/L 이라고 함)등의 모드)의 선택전환, 내부/외부공기전환댐퍼의 전환, 송풍기(12)의 풍량전환, 및 원하는 온도설정 등을 할 수 있다.
다음은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의 작동에 관해서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상/푸트 모드 및 B/L 모드에 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B/L 모드를 설명한다. 공기혼합댐퍼(14b)는 완전히 열린 위치(도 1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와 완전히 닫힌 위치(도 1에 있어서 2점쇄선으로 도시 된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놓여 있고, 작동자가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의 제어부(5)에 구비된 작동모드전환장치를 B/L 모드로 설정하면, 댐퍼(18)는 도 1의 실선위치와 2점쇄선위치 사이의 위치로 이동되고, 댐퍼(19)는 링크기구 또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와 같은 댐퍼조작수단에 의해 2점쇄선의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송풍기(12)의 팬(12a)이 회전함으로써 공기입구(10e)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팬(12a)을 통과하여 증발기(13)에 도달한다. 증발기(l3)에 도달한 공기는 증발기(13)를 통과하는 동안 냉각된다.
공기혼합댐퍼(14b)가 약 반쯤 열린 상태로 설정하면, 증발기(13)를 통과하는 찬 공기의 일부가 히터코어(14)에 도달하고, 히터코어(14)에 도달하는 공기는 이 히터코어(14)를 통과하는 동안 가열된다.
증발기(13)를 통과하는 찬 공기는 송풍기(12)의 외주벽을 형성하는 덕트(11)의 내벽면(11a)의 측면을 따라 흘러, 페이스 출구(16)를 통과하고, 승객의 얼굴, 손, 가슴을 향해 방출된다. 또한, 히터코어(14)를 통과하는 따뜻한 공기는 내벽면(11b)을 따라 상기 내벽면(11a)을 향하여 흐르고, 전방의 흐름경로(11c)를 지난 뒤, 푸트 출구(17)를 통과하고, 승객의 발(발가락)을 향하여 방출된다.
즉, B/L 모드에서는, 찬 공기가 페이스 출구(16)로부터 승객의 얼굴, 손, 가슴을 향하여 방출되고, 따뜻한 공기는 푸트 출구(17)로부터 승객의 발을 향하여 방출된다.
다음은 제상/푸트 모드에 관해서 설명한다. 공기혼합댐퍼(14b)는 완전히 열린 위치(도1의 실선 위치)와 완전히 닫힌 위치(도 1의 2점쇄선 위치)사이의 중간 위치로 설정되고, 작동자가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의 제어부(5)에 구비된 작동모드전환장치를 제상/푸트 모드로 설정하면, 댐퍼작동장치에 의해 댐퍼(18)는 도 1의 2점쇄선의 위치로 이동하고, 댐퍼(19)는 도 1의 실선위치와 2점쇄선위치의 중간위치로 이동한다.
그 다음, 송풍기(12)의 팬(12a)이 회전함으로써 공기입구(10e)로부터 유입된공기는 팬(12a)을 통과하여 증발기(13)에 도달한다. 증발기(13)에 도달하는 공기는 이 증발기(13)를 통과하는 동안에 냉각된다.
증발기(13)를 통과하는 찬 공기의 주류는 송풍기(12)의 외주벽을 형성하는 덕트(11)의 내벽면(11a)의 측면을 따라 흐르고, 댐퍼(18)의 근방에서 내벽면(11b)을 따라 흘러온 따뜻한 공기와 혼합된다. 혼합된 공기는 제상 출구(15)를 통과하고, 자동차 앞유리를 향하여 방출되며, 푸트 출구(17)를 통해 승객의 발을 향하여 방출된다.
즉, 제상/푸트 모드에서는, 제상 출구(15)로부터 자동차 앞유리를 향하고, 또한 푸트 출구(17)로부터 승객의 발을 향하여 대략 같은 온도의 공기가 방출된다.
이와 같이, 공기조화유닛(2)의 전방상면에 차량의 전방(즉, 자동차 앞유리(WS) 측)부터 제상 출구(15) 및 페이스 출구(16)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경우처럼 제상 덕트(15a) 와 페이스 덕트(16a)를 소정의 위치에 있도록 심하게 구부릴 필요가 없게 되고, 상기 덕트들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위치로 직접 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덕트(15a 및 16a)의 덕트 저항은 통상적인 경우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댐퍼(19)로부터 푸트 출구(17)로의 덕트(11)의 유로(11c)가 공기조화유닛(2)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고, 푸트 출구(17)가 증발기(13)보다도 전방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푸트 출구(17)로부터 방출되는 공기 앞좌석에 앉은 승객의 발에 직접 보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송풍기(12)에서부터 증발기(13)까지의 공기유로가 공기조화유닛(2)내부에서 증발기(l3)의 좌석측이 되는 차량의 후방에 형성되고, 증발기(13)를 통과하는 공기가 차량 전방에 위치한 히터코어(14)를 통과하는 공기와 혼합되는 영역이 송풍기(12)의 차량 전방 측에서 벽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제상 출구(15) 및 페이스 출구(16)가 공기조화유닛(2)의 차량 전방상부면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혼합되는 상기 영역으로부터의 유로가 공기조화유닛(2)의 차량 전방을 따라 아래쪽으로 되돌리는 간단한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발에 조화공기를 확실히 공급할 수 있도록 객실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벽을 따른 방향으로 열리는 푸트 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히터코어(14)가 공기조화유닛(2)의 전방(즉, 엔진실 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실에 장착된 라디에이터와 히터코어(14)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열수배관(14a)을 짧게 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은 낭비되는 우회로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히터코어(14)가 공기조화유닛(2)의 전방(즉, 앞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의 발로부터 떨어진 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교통사고가 일어난 경우에도, 앞 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의 발이 히터코어에 닿을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고, 승객의 안전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히터 코어(14) 또는 열수배관(14a)에 균열이 생기고 열수가 누설될 지라고, 누설된 열수가 앞좌석에 앉은 승객의 발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13)를 공기조화유닛(2)의 후방(즉, 객실쪽)에 배치하고, 냉매배관(13a)을 본체커버(10)내에 수용함으로써, 냉매배관(13a)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외관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냉매배관(13a)을 단열재로 덮을 필요가 없어지고, 제조공정 수를 감소시킬 수를 있다. 또한 제조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배수구멍(10g)이 본체좌측커버(10a)의 전방부 즉, 증발기(13)의 하류 아래쪽(저압측)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류측(고압측)에 제공된 경우에 발생되는 응축수의 배출음(거품 소리)등의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B/L 모드(댐퍼(18)가 중간위치에 있고, 댐퍼(19)는 도 1에 도시된 2점쇄선위치에 있는 즉, 페이스 출구(16) 및 푸트 출구(17)로부터 공기가 방출되는 모드)에서는, 증발기(13)를 통과하는 찬 공기가 송풍기(12)의 외주벽을 형성하는 덕트(11)의 내벽면(11a)을 따라 흐르고, 히터코어(14)를 통과하는 따뜻한 공기는 내벽면(11a)과 대향하는 내벽면(11b)을 따라 흘러, 전방 덕트(11)의 유로(11c)로 안내된다.
즉, 내벽면(11a)과 내벽면(11b)으로 형성되는 유로(11d) 내에서, 내벽면(11a) 측에는 찬 공기층이, 또한 내벽면(11b) 측에는 따뜻한 공기층이 형성된다. 이들 두 개의 층은 완전히 혼합되지 않고, 각각 페이스 출구(16) 및 푸트 출구(17)에 안내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 출구(16)로부터 승객의 얼굴, 손, 가슴을 향하여 찬 공기가 내뿜어질 수 있고, 푸트 출구(17)로부터 승객의 발을 향하여 따뜻한 공기가 내뿜어질 수 있어, 머리를 차게 하고 발을 따뜻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상/푸트 모드(공기혼합댐퍼(14b)가 중간위치에 있고, 댐퍼(18)가 도 1에서 2점쇄선의 위치에 있고, 댐퍼(19)는 중간위치, 즉, 제상출구(15) 및 푸트출구(17)로부터 공기가 내뿜어지는 모드)에서는, 증발기(13)를 통과하는 찬 공기가 송풍기(12)의 외주벽을 형성하는 덕트(11)의 내벽면(11a)을 따라 흐르고, 이어서 댐퍼(18) 아래의 벽면을 따라 흐르고, 제상출구(15) 및 푸트출구(17)에 안내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히터코어(14)를 통과하는 따뜻한 공기는 찬 공기를 향해 하방에서 흘러오고,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댐퍼(18)의 근처의 영역에서 서로 혼합된다. 상기 혼합된 공기가 제상출구(15)를 통해서 자동차 앞유리(WS)를 향해 불어나오고, 푸트출구(17)를 통해 승객의 발(발가락)을 향해 불어나온다.
즉, 유로(11d)에서부터 제상출구(15) 및 푸트출구(17)로 공기가 안내될 때, 댐퍼(18)의 근방영역에서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서로 충분히 혼합된 후에 제상출구(15) 및 푸트출구(17)로 공기가 안내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상출구(15)로부터 자동차 앞유리(WG)를 향하여, 또한 푸트출구(17)로부터 승객의 발을 향하여 같은 온도의 공기를 방출할 수 있다.
또한, 페이스 모드(공기혼합댐퍼(14b)가 중간위치에 있고, 댐퍼(18)가 도 1 의 실선위치 즉, 페이스출구(16)로부터만 공기가 방출되는 모드)에서는, 페이스출구(16)로의 유로(11e)가 송풍기(12)를 주위를 돌아 형성되어 있고, 유로(11e)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덕트(11)의 내벽면(11a)을 따라 흐르는 찬 공기와, 내벽면(11b)을 따라 흐르는 따뜻한 공기를 충분히 혼합할 수 있어, 페이스 출구(16)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온도불균일성을 없앨 수 있고, 균일한 온도의 공기를 실내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레지스터(l2c)가 후방(즉, 실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레지스터(12c)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본체커버(10)는 본체좌측커버(10a), 본체우측커버(10b), 및 본체하측커버(10c)를 포함하고, 공기조화유닛(2)의 뒤쪽(즉, 중앙콘솔에 내장되어 있는 오디오 기기의 후면측)에 있는 벽(10h)은 본체커버의 외부를 형성하는 유일한 벽이다(즉, 단일층구조). 따라서, 차량 충돌 발생 시, 관성에 의해 본체커버(10)의 벽(10h)을 향해 날아가는(충돌하는) 오디오 기기가 본체커버(10)의 벽(10h)에 부딪힐 때, 본체커버(10)의 벽(10h)은 쉽게 깨지고, 본체커버(10)는 세 구성요소(즉, 본체좌측커버(10a), 본체우측커버(10b), 및 본체하측커버(10c))로 분해된다. 그러므로, 오디오 기기는 본체커버의 분해된 구성요소(10a, 10b, 10c)사이에 깊게 묻히게 된다. 그 결과, 중앙콘솔에 내장된 오디오 기기와 공기조화유닛(2) 사이의 틈이 감소될 수 있고, 차량의 내부공간이 앞으로 확대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 예를 들어, 히터코어(14)의 하류 부근에, 및/또는 푸트출구(17)의 하류부근에 PTC(양온도계수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와 같은 보조열원(20 및 21)의 제공으로 더 큰 적합성이 보장된다.
보조열원(20 및 21)의 제공은 저온 영역에서의 사용을 가능케한다.
또한, 푸트출구(17)의 상류부근에 제공된 보조열원(21)은 본체하측커버(10c)의 내부와 결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배관(13a)이 함께 묶인 위치의 양측에의 배치에 의해 더 큰 적합성이 보장된다.
상기 위치에 보조열원(21)을 위치시킴으로써, 단순히 본체하측커버(10c)의 제거로 보조열원(21)이 정비될 수 있고, 작동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서, 다음을 제외하고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구성과 동일하고, 제 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그 구성의 설명과 작동 및 효과는 생략한다. 즉, 제 2 실시 형태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선형노치(또는 홈)(10j)(도 11에 7개가 도시됨)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평면도에서)노치(또는 홈)(10j)가 공기조화유닛(2)의 후방의 벽(10h)의 표면에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에서, 상기 구성에 의해, 차량 충돌시 오디오 기기와 부딪히면, 본체커버(10)는 노치(10j)가 없을 때보다 더 쉽게 깨진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유닛의 효과에 더하여, 이것은 공기조화유닛(100)과 오디오 기기 사이의 거리를 더 감소시킬 수 있고, 차량 내부 공간을 앞으로 더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제 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서, 다음을 제외하고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구성과 동일하고, 제 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그 구성의 설명과 작동 및 효과는 생략한다. 즉, 제 3 실시 형태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에서, 증발기(13)는 쉽게 부서지는(충돌시 쉽게 깨지는(또는 변형되는)) 재료로 본체커버(10)에 고정되어 있어서, 차량 충돌시 충격력이 가해질 때 차량 전방(즉, 도 13에서 가상선(2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을 향해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냉매배관(13a)은 더 얇은 벽 두께를 가진 종래의 재료, 또는 부서지기 쉬운 재료로 제조된다.
증발기(13)로서, 증발기(13)의 하류측에 위치한 히터코어(14)는 쉽게 부서지는(충돌시 쉽게 깨지는(또는 변형되는)) 재료로 본체커버(10)에 고정되어 있어서, 차량 충돌시 충격력이 가해질 때 차량 후방(즉, 도 13에서 가상선(2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을 향해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이 히터코어(14)의 양측과 대면하는 본체커버(10)의 내벽면에서, 가이드레일(G)이 구비되어 하기 설명된 공기혼합댐퍼(구성부분)(14b)가 열고 닫는 구멍을 통해 히터코어(14)를 증발기(13)방향으로 안내한다.
가이드 레일(G)은 요구되는 두께의 판상 부재이고, 본체커버(10)의 내벽면으로부터 히터코어(14)를 향해 돌출된다. 히터코어(14)가 움직일 때, 히터코어(14)의 양측 바닥면은 가이드레일(G)의 상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움직이고, 히터 코어(14)의 한쪽 단부(공기혼합댐퍼(14b)단부)는 공기혼합댐퍼(14b)가 열고 닫는 구멍으로부터 증발기(13)를 향해 돌출된다.
냉매배관(13a)의 경우와 같이, 열수배관(14a)은 더 얇은 벽 두께를 가진 종래의 재료, 또는 부서지기 쉬운 재료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댐퍼(18 및 19)와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된 공기혼합댐퍼(14b)의 힌지(즉, 이 댐퍼(14b, 18, 및 19)의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본체커버(10)의 내부벽에 고정된 부분)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하고 있다.
즉, 댐퍼(14b, 18, 및 19)는 본체커버(10)의 내벽면(10w)에서부터 댐퍼(14b, 18 및 19)를 향해 돌출된 볼록부(10k)와 이 볼록부(10k)에 마주하여 이 볼록부(10k)를 수용하도록 댐퍼(14b, 18 및 19)의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10m)에 의해서 본체커버(10)의 내벽면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볼록부(10k)는 원주형 부재이고, 오목부(10m)는 이 볼록부(10k)에 맞추어지도록 형성된 관상 구멍이다.
게다가, 도 15에 도시된 볼록부(10k)는 관상부재이고, 오목부(10m)는 이 볼록부(10k)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원형 홈(평면도에서)이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댐퍼(19)는 차량 충돌시의 충격력에 의해 차량의 후방(즉, 도 13의 가상선(2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을 향하여 댐퍼(18)가 열고 닫는 구멍을 통해 움직일 수 있다.
도 14 및 15에 도시된 볼록부(10k)의 기저부 근방의 벽에 있는 노치(또는 얇 은 부분)의 제공으로 더 큰 적합성이 보장된다. 따라서 댐퍼(14b, 18, 및 19)의 본체커버(10)의 제거가 더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차량 충돌시에 충격이 가해질 때, 본체커버(10)에 수용된 증발기(13), 히터코어(14) 및 댐퍼(14a, 18 및 19)와 같은 구성품들은 충격력에 의해 본체커버로부터 분리되어서, 전체 공기조화유닛(2)의 강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차량 충돌 시, 공기조화유닛(2)은 특히 차량의 길이방향(예를 들어, 원래 치수의 대략 3분의 2)으로 부서지고 깨지며, 차량의 충돌 안전성이 개선된다.
상기 설명된 바에 따라, 공기조화유닛(2)이 부서지고 깨질 수 있기 때문에, 에어백 등(예를 들면, 크로스빔, 기둥)을 보호하는 차량부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에어백이 팽창되는 방향이 적절한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고, 에어백은 정상적으로 팽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제 2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도 11에 도시된 다중선형노치(또는 홈)(10j)(도 11에 7개가 도시됨) 또는 도 12에 도시된 사각형(평면도에서)노치(또는 홈)(10j) 중 어느 하나가 공기조화유닛(2)의 후방의 벽(10h)의 표면에 구비되어 있다.
그 결과, 차량 충돌 시에 오디오 기기에 부딪힐 때, 본체커버(10)는 노치(10j)가 없을 때보다 더 쉽게 깨진다.
본 발명은 제상 출구로부터 자동차 앞유리에 이르는 제상 덕트 및 페이스 출구로부터 양쪽의 앞좌석에 이르는 페이스 덕트의 급한 외곡을 제거하여, 이들 덕트 의 덕트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유닛 및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사고 등이 일어난 경우에 앞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의 발이 히터코어의 배관 등에 닿을 가능성을 감소시켜, 승객의 안전성을 보다 높은 수준에서 유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유닛 및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의 발에 열교환된 공기를 직접 보낼 수 있는 공기조화유닛 및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페이스 출구에서 찬 공기가 나오고, 푸트 출구에서 따뜻한 공기가 나와, 페이스/푸트 모드에서 찬 머리와 따뜻한 발을 얻을 수 있는 공기조화유닛 및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충돌시 충돌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유닛 및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의 충돌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중앙콘솔에 위치한 오디오 기기에의 간격을 감소시키고, 차량의 내부공간을 전방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유닛 및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22)

  1. 차량의 앞좌석보다도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공기조화유닛(2)으로서,
    외부 또는 내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입구(10e),
    제상출구(15), 페이스출구(16), 및 푸트출구(17)를 포함하는 공기출구,
    상기 공기입구(10e)와 상기 공기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덕트(11),
    상기 덕트(11) 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입구(10e)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이 공기를 상기 공기출구로부터 방출시키는 송풍기(12),
    상기 송풍기에 의해 상기 덕트 내에서 이동한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13), 및
    상기 송풍기에 의해 상기 덕트 내에서 이동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코어(14)를 구비하는 공기조화유닛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13)는 상기 송풍기(12)의 하측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히터코어(14)가 상기 송풍기(12)의 하측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푸트출구로 향하는 공기가 공기조화유닛의 전방측을 따라 하방으로 되돌려지도록, 상기 푸트출구(17)에 연결된 유로(11c)가 상기 송풍기(12)의 외주벽(11a)에 면하는 전방벽(11b)의 전방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출구(15)는 상기 송풍기(12)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 출구(16)는 상기 송풍기(12)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11)에서 상기 푸트출구에 연결된 상기 유로(11c)는 상기 증발기(13)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출구(15)와 상기 페이스출구(16)는 상기 송풍기(12)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페이스출구는 상기 제상출구와 상기 송풍기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11) 내에서의 공기의 운동에 대해 상기 증발기(13)의 하류에 제공되는 상기 히터코어(14)가 상기 증발기(13)보다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입구(10e), 공기출구, 및 상기 덕트(11)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커버(10)를 구비하고, 상기 증발기(13) 뒤의 상기 본체커버의 벽(10h)은 충격이 가해질 때 부서져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커버의 상기 벽(10h)은 단일층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유닛.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커버의 상기 벽(10h)은 하나 이상의 노치(10j)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유닛.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커버(10)는 본체좌측커버(10a), 본체우측커버(10b), 및 이 좌측과 우측의 커버보다 크기가 작은 본체하측커버(10c)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유닛.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입구(10e), 공기출구, 및 상기 덕트(11)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커버(10)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기로부터 상기 증발기로의 유로가 상기 증발기(13)와 이 증발기 뒤의 상기 본체커버의 벽(10h)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본체커버의 좌석측의 벽은 상기 본체 커버에 인접한 장비가 상기 송풍기로부터 상기 증발기까지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부서지기 쉬운 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유닛.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입구(10e), 공기출구, 및 상기 덕트(11)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커버(10)를 구비하고,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본체커버(10) 내에 수용된 구성품들이 이동하고, 전체 공기조화유닛(2)은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도록 부서지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유닛.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G)이 상기 히터코어(14)의 양쪽에 마주하여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커버(10)의 내부벽면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히터코어(14)를 증발기(13)를 향해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유닛.
  15. 제 12 항에 있어서,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본체커버(10) 내에 수용된 댐퍼의 힌지부가 깨지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유닛.
  16. 삭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커버는 본체좌측커버(10a) 및 본체우측커버(1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유닛.
  18. 제 1 항에 따른 공기조화유닛(2),
    가스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1), 고압의 가스냉매와 외부공기 사이의 열을 교환하고 가스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32), 및 상기 증발기(13)에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고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전환시키는 팽창밸브(33)를 포함하는 냉매계(3),
    엔진냉각수를 상기 히터코어(14)에 도입하는 가열원계(4), 및
    상기 공기조화유닛(2), 상기 냉매계(3) 및 상기 가열원계(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5)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19. 제 4 항에 따른 공기조화유닛(2),
    가스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1), 고압의 가스냉매와 외부공기 사이의 열을 교환하고 가스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32), 및 상기 증발기(13)에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고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전환시키는 팽창밸브(33)를 포함하는 냉매계(3),
    엔진냉각수를 상기 히터코어(14)에 도입하는 가열원계(4), 및
    상기 공기조화유닛(2), 상기 냉매계(3) 및 상기 가열원계(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5)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20. 제 6 항에 따른 공기조화유닛(2),
    가스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1), 고압의 가스냉매와 외부공기 사이의 열을 교환하고 가스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32), 및 상기 증발기(13)에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고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전환시키는 팽창밸브(33)를 포함하는 냉매계(3),
    엔진냉각수를 상기 히터코어(14)에 도입하는 가열원계(4), 및
    상기 공기조화유닛(2), 상기 냉매계(3) 및 상기 가열원계(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5)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21. 제 11 항에 따른 공기조화유닛(2),
    가스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1), 고압의 가스냉매와 외부공기 사이의 열을 교환하고 가스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32), 및 상기 증발기(13)에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고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전환시키는 팽창밸브(33)를 포함하는 냉매계(3),
    엔진냉각수를 상기 히터코어(14)에 도입하는 가열원계(4), 및
    상기 공기조화유닛(2), 상기 냉매계(3) 및 상기 가열원계(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5)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22. 제 12 항에 따른 공기조화유닛(2),
    가스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1), 고압의 가스냉매와 외부공기 사이의 열을 교환하고 가스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32), 및 상기 증발기(13)에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를 공급하기 위해 고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전환시키는 팽창밸브(33)를 포함하는 냉매계(3),
    엔진냉각수를 상기 히터코어(14)에 도입하는 가열원계(4), 및
    상기 공기조화유닛(2), 상기 냉매계(3) 및 상기 가열원계(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5)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20050003162A 2004-01-15 2005-01-13 공기조화유닛 및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0639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08561 2004-01-15
JP2004008559A JP2005199871A (ja) 2004-01-15 2004-01-15 空気調和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JP-P-2004-00008559 2004-01-15
JP2004008561A JP2005199872A (ja) 2004-01-15 2004-01-15 空気調和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4039878A JP3986501B2 (ja) 2004-02-17 2004-02-17 空気調和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JP-P-2004-00039878 2004-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290A KR20050075290A (ko) 2005-07-20
KR100639081B1 true KR100639081B1 (ko) 2006-10-30

Family

ID=34623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162A KR100639081B1 (ko) 2004-01-15 2005-01-13 공기조화유닛 및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45391B2 (ko)
EP (2) EP1555150B1 (ko)
KR (1) KR100639081B1 (ko)
CN (1) CN100387451C (ko)
DE (2) DE60200500020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5391B2 (en) 2004-01-15 2010-12-07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Air-conditioning unit and vehicle air-conditioning apparatus
DE102004039442A1 (de) * 2004-08-13 2006-02-23 Behr Gmbh & Co. Kg Belüftungsvorrichtung und Herstellverfahren für eine Belüftungsvorrichtung
JP4656305B2 (ja) * 2005-04-28 2011-03-23 マツダ株式会社 空調装置を搭載した車両
JP4378358B2 (ja) * 2006-03-16 2009-12-0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空調構造
DE602006003874D1 (de) * 2006-05-16 2009-01-08 Denso Thermal Systems Spa Klimaanlage für Kraftfahrzeuge
JP4226039B2 (ja) * 2007-01-12 2009-02-18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293269B2 (ja) * 2007-08-14 2009-07-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冷媒を用いる冷却器
US9052131B2 (en) * 2009-08-18 2015-06-09 Carrier Corporation Damper apparatus for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and methods for same
CN101898498B (zh) * 2010-07-14 2011-12-07 西华大学 一种水蒸发式汽车驻车时通风及降温***
FR2984805B1 (fr) * 2011-12-23 2015-04-17 Valeo Systemes Thermiques Caisson d'unite de ventilation, chauffage et/ou climatisation pour 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12106619A1 (de) * 2012-07-20 2014-01-23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oration 95 Luftführendes Übergangselement eines Kraftfahrzeugklimagerätes
DE112016001027T5 (de) * 2015-03-03 2017-12-21 Denso Corporation Klimatisierungseinheit für ein Fahrzeug
JP6053851B2 (ja) 2015-03-23 2016-12-27 三菱重工オートモーティブ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CN108394251A (zh) * 2018-03-28 2018-08-14 艾泰斯热***研发(上海)有限公司 反向布置的空调***及控制方法
CN108638799A (zh) * 2018-05-11 2018-10-12 知豆电动汽车有限公司 车用hvac装置及空调模式转换方法
CN108839534A (zh) * 2018-05-11 2018-11-20 知豆电动汽车有限公司 车用hvac单元的进风装置
US20190351743A1 (en) * 2018-05-15 2019-11-21 Calsonic Kansei North America, Inc. Compact rear vehicle hvac structure
CN109109622B (zh) * 2018-09-19 2022-02-0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
JP2020082843A (ja) * 2018-11-19 2020-06-04 株式会社Soken 空気流発生装置
JP7077989B2 (ja) * 2019-02-20 2022-05-3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3325B2 (ja) * 1980-10-17 1984-10-22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エアコン制御装置
JPS57135411A (en) 1981-02-13 1982-08-21 Toshiba Corp Magnetic tape controller
JPS58133913A (ja) 1982-02-01 1983-08-09 Nippon Denso Co Ltd カ−エアコン制御装置
DE3242246C1 (de) * 1982-11-15 1984-04-19 Ford-Werke AG, 5000 Köln Heiz- und Belueftungsanlage fuer Kraftfahrzeuge
DE3707397A1 (de) * 1987-03-07 1988-09-15 Preh Elektro Feinmechanik Luftausstroemvorrichtung
JP2646493B2 (ja) 1988-07-30 1997-08-27 スズキ株式会社 オートエアコン
US5238453A (en) * 1991-03-12 1993-08-24 Greenheck Fan Corporation Integral pivot damper blade
JPH08132852A (ja) 1994-11-10 1996-05-28 Zexel Corp 車両用エアコンユニット
JP3700275B2 (ja) 1996-08-27 2005-09-2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樹脂成形品
JPH10100655A (ja) * 1996-09-26 1998-04-21 Denso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のクーリングユニット
JP3817332B2 (ja) 1997-04-25 2006-09-0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2958636B2 (ja) 1998-03-06 1999-10-06 富士重工業株式会社 空調ユニット
JPH11348531A (ja) 1998-06-08 1999-12-21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の空調ユニット
US5980381A (en) * 1998-09-08 1999-11-09 Mccormick; Sunny Air vent systems and methods
JP4207326B2 (ja) 1999-09-10 2009-01-1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輌用樹脂成形品
JP2001080339A (ja) 1999-09-14 2001-03-27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ユニット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1097025A (ja) 1999-09-29 2001-04-10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車両用空調装置のエアコンユニット
JP2001113930A (ja) 1999-10-18 2001-04-24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気調和ユニット
JP4024971B2 (ja) 1999-10-06 2007-12-19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ユニット
JP3929658B2 (ja) 1999-10-06 2007-06-13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ユニット
DE60024200T2 (de) 1999-10-06 2006-06-22 Calsonic Kansei Corp. Fahrzeugklimaanlage
JP3517779B2 (ja) * 2000-02-10 2004-04-12 豊和化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の操作機構
JP2002274148A (ja) 2001-03-16 2002-09-25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4551585B2 (ja) 2001-04-06 2010-09-29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2003034114A (ja) 2001-07-19 2003-02-04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3900925B2 (ja) 2001-12-26 2007-04-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4173694B2 (ja) 2002-06-18 2008-10-29 株式会社ケーヒン 車両用隔壁
US7845391B2 (en) 2004-01-15 2010-12-07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Air-conditioning unit and vehicle air-conditioning apparatu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3104001
109078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00206D1 (de) 2006-12-14
EP1555150A1 (en) 2005-07-20
DE602005000206T2 (de) 2007-09-06
US7845391B2 (en) 2010-12-07
DE602005005171T2 (de) 2009-03-12
CN100387451C (zh) 2008-05-14
DE602005005171D1 (de) 2008-04-17
EP1717076A1 (en) 2006-11-02
CN1640705A (zh) 2005-07-20
EP1717076B1 (en) 2008-03-05
EP1555150B1 (en) 2006-11-02
US20050189100A1 (en) 2005-09-01
KR20050075290A (ko) 200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9081B1 (ko) 공기조화유닛 및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JPH11235916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511229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8006894A (ja) 車両用空調装置
US10850652B2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seat
US6820925B2 (en) Partition for use in vehicles
JP6729606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9190471A (ja) 車両用空調装置
US6942564B1 (en) Passenger foot duct
JP2001171333A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16157775A1 (ja) 車両用空調装置
JP6634106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986501B2 (ja) 空気調和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5962499B2 (ja) 車載用空調装置
JP3820650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804998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20131778A (ja) 温調装置
JP2005199872A (ja) 空気調和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3494021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4397614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5199871A (ja) 空気調和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3583749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凝縮水排出構造
JP2010076620A (ja) 車両用空調装置
JP3736502B2 (ja) バス用空調装置の車両搭載構造
JP2010036737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