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502B1 - 포크식 팔레트를 이용한 주차설비 - Google Patents

포크식 팔레트를 이용한 주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502B1
KR100605502B1 KR1020040043499A KR20040043499A KR100605502B1 KR 100605502 B1 KR100605502 B1 KR 100605502B1 KR 1020040043499 A KR1020040043499 A KR 1020040043499A KR 20040043499 A KR20040043499 A KR 20040043499A KR 100605502 B1 KR100605502 B1 KR 100605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fork
pallet
platform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8387A (ko
Inventor
황성필
Original Assignee
황성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필 filed Critical 황성필
Priority to KR1020040043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502B1/ko
Publication of KR20050118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의 입고 및 출고가 안전하고 신속한 포크식 주차설비가 개시된다. 포크식 주차설비는 복수개의 플랫폼 층을 제공하는 구조체, 적재 지지프레임 및 적재 포크를 포함하는 플랫폼 지지대, 이동 포크를 이용하여 차량을 지지 및 이송하는 팔레트, 및 팔레트 이송장치를 포함한다. 팔레트는 중심 지지프레임, 중심 지지프레임 상의 양측에 형성된 스페이서, 스페이서 상에 형성된 이동 지지프레임, 및 이동 포크를 포함하여, 적재 포크를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통과 공간을 형성하고, 통과 공간을 통해 팔레트는 플랫폼 지지대와 용이하게 오버랩 될 수가 있다. 적재 포크 및 이동 포크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하중에 의한 처짐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다양한 구조를 통해 주변 주차 여건에 따른 최적의 주차구조를 제공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포크식 팔레트를 이용한 주차설비{PARKING FACILITY SYSTEM USING A PALLET HAVING FORK BARS}
도 1은 종래의 포크식 주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크식 주차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의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의 평면도이다.
도 5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에서 팔레트가 진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I에서 바라본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의 측면도이다.
도 6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에서 팔레트가 후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I에서 바라본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의 측면도이다.
도 7a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해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를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를 도시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제6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의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포크식 주차설비 110:구조체
120:플랫폼 지지대 122:플랫폼 지지프레임
124:적재 지지프레임 126:적재 포크
130:팔레트 132:중심 지지프레임
133:스페이서 134:이동 지지프레임
136:이동 포크 140:팔레트 이송장치
본 발명은 주차설비(parking facility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의 주차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주차된 차량을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할 수 있는 다층형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대중적으로 보편화 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자동차 이용률 및 자동차 보급률이 매년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자동차 보급률의 증가와 함께 자동차 관련 시설에 대한 필요성도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이용의 증가로 인해 가장 중요하게 거론되는 이슈(issue) 중 하나가 주차(parking)에 관한 것이다.
번화한 도시와 같이, 한 건물 또는 한 시설에 대한 자동차 이용 인구가 많은 반면에 제공될 수 있는 주차 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경우, 주차 공간의 확보는 자동차 이용자 간에 첨예한 중요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주차 관련 문제는 더 나아가 사회 전반의 문제로 발전될 수도 있다.
게다가, 자동차 보급이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2대 이상의 자동차를 보유하는 가정이 증가하면서 주차 공간 확보의 과제는 더욱 심각한 수준에 다다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차 공간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주차 설비(parking equipment)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주차 설비의 주목적은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 많은 주차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주목적에 못지 않게 중요하게 고려되는 부수적인 목적들로는 간단한 구조 및 시스템의 유지, 조작의 편의성, 차량의 신속한 입고(enter) 및 출고(exit), 저렴한 공사 비용 등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종래에 여러 종류의 포크식 주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포크식 주차장치는 빗 형상(comb-like)의 포크바를 이용하여 차량을 지지하고, 포크바를 상호 교차시킴으로써 차량의 위치를 전환하는 방식의 주차설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을 이송하는 팔레트 및 주차공간에 장착되어 차량을 지지하는 플랫폼 지지대에는 각각 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포크가 제공되며, 상기 포크는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도록 전후 좌우에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포크식 주차장치에서는 목적된 주차공간으로부터 플랫폼 지지대가 팔레트의 통로로 이동하여 노출되고,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의 포크가 상호 중첩되도록 팔레트를 통과시킴으로써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 간에 차량의 위치가 전환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각각의 플랫폼 지지대를 독립적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플랫폼 지지대 각각에 별도의 구동장치를 설치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비용적으로도 제조 비용을 현저하게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플랫폼 지지대를 고정시키고 팔레트를 이송하는 방식의 포크식 주차장치도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포크식 주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포크식 주차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의 주차장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97893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주차장치는 스태커크래인을 이용한 무팔레트 가대식 주차시스템으로서, 다수의 주차공간을 가지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랙(10)과, 랙(10)의 주차공간에 설치되어 차량(C)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적재바(20), 적재바(20)의 측면으로 접근 및 후퇴하면서 차량(C)을 적재바(20) 상에 적재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인출시키는 운반포크(30) 및 운반포크(30)를 전후 좌우 상하 방향의 3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스태커크래인으로 구성된다.
랙(10)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포스트(11)들 사이에서, 포스트(11)들에 인접하게 2열로 배치된다. 이웃하는 포스트(11)을 서로 직교하도록 수평보(12, 13)들이 배치되며, 수평보(12, 13)들은 포스트(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랙(10)에 다수의 주차 공간을 격자형으로 제공한다.
적재바(20)는 적정 두께 및 폭을 갖는 판상으로 구성되며, 랙(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수평보(13) 위에 직교하도록 폭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된다. 이러한 적재바(20)는 다수개가 구비되어 적어도 그 두께보다는 큰 간격을 두고 수평보(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적재바(20)의 단부는 운반포크(30)가 측면에서 중첩되어 진입할 수 있도록 수평보(13)로부터 외측으로 길게 돌출된 외팔보 형태를 취하며, 적재바(20)는 대략 포크(fork) 형태를 이룬다.
차량 및 운반포크(30)를 이송하기 위해 스태커크레인이 사용되며, 스태커크레인은 랙(10) 사이에 설치되어 바닥과 천장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 고, 스태커크레인의 캐리지에는 운반포크(30)가 구동수단에 의해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수단은 차량(C)의 신속한 적재와 인출을 위해 동시에 작동되는 2단 슬라이딩 구조를 취한다. 이를 위해 캐리지에 슬라이더를 장착하고, 랙-피니언 구조를 이용하여 운반포크(30)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이송할 수가 있다.
이때, 적재바(20)의 높이(a)와 운반포크(30)의 포크바의 높이(b)가 동일하며, 적재바(20)의 돌출탭 높이(c)와 포크바(32)의 돌출탭 높이(d) 역시 동일하다. 운반포크(30)가 차량(C)를 탑재하여 적재바(20)로 진입할 때, 포크바(32)의 상단이 적재바(20)의 상단보다 일정 여유(g1)만큼 높게 위치한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반대로, 운반포크(30)가 빠져 나올 때는, 포크바(32)의 상단이 적재바(20)의 상단보다 일정 여유(g2)만큼 낮게 위치한 상태로 후퇴하게 된다. 물론, 적재바(20)로부터 차량을 인출할 경우에는 상기 과정을 반대로 수행하면 된다.
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보(13)의 위치는 운반포크(30)의 완전한 진입을 위해 적재바(20)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포크바(32)의 길이와 고정보(31)의 폭 및 랙(10)의 수평보(13)의 폭을 합한 값의 1/2 이상 안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대체적으로 승용차의 폭이 약 1.8~2.0m인 점을 감안할 때, 수평보(13)로부터 돌출되는 적재바(20)의 단부까지는 약 1.0m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적재바(20)가 약 1미터 이상의 외팔보 형태로 지지되기 위해서는 단부에서는 약간의 처짐이 발생하며, 그 위에 약 1.5~2.0톤의 차량이 적재된다면, 그 처짐을 더욱 증가하게 된다. 처짐이 증가할수록 차량은 더욱 불안정하게 지지되며, 차량의 불안정한 지지에 의해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물론, 상기 처짐에 대한 위험은 적재바(20)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며, 차량을 운반하기 위한 포크바(3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차량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포크식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팔레트의 이동 경로 및 작동장치를 단순하게 유지함으로써 차량을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할 수 있는 포크식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팔레트를 이용하여 차량을 이송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팔레트에는 고하중의 무게가 부하되는데, 이러한 고하중에도 불구하고 차량 및 팔레트를 안전하고 정숙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포크식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크식 주차설비는 복수개의 플랫폼 층을 제공하는 구조체, 각 플랫폼 층에서 차량을 지지하는 플랫폼 지지대, 플랫폼 층 간에 차량을 이송하기 위한 팔레트 및 그 팔레트를 상하 좌우로 이송하기 위한 팔레트 이송장치를 포함한다. 본 주차 설비는 차량을 지지 및 이송하기 위해서 평판형 팔레트가 아닌 포크식 팔레트를 사용하며, 포크식 팔레트로부터 차량을 이송 받아 보관하는 플랫폼 지지대 역시 빗 형상(comb-like)의 포크를 포함한다.
다만, 종래의 포크식 주차설비에서는 포크바가 약 1.0~1.3미터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과도한 처짐이 발생하여 안전하지 않을 수가 있으며, 구조적 특성상 운반 포크가 적재 포크 내부로 깊이 진입하지 못하기 때문에, 차량이 밖으로 약간 치우쳐서 적재 포크 상에 적재될 수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포크식 주차장치는 기본적으로 플랫폼 지지대는 고정되고, 팔레트가 플랫폼 지지대까지 이동하여 차량을 전환하며, 포크바를 되도록 짧게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하중에 의한 포크바의 처짐을 최소화할 수 있고, 팔레트 내부에 적재 포크가 횡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차량을 플랫폼 지지대 상의 깊은 곳까지 무리 없이 이송하여 적재할 수가 있다.
이를 위해서, 플랫폼 지지대는 각 플랫폼 층에 장착된 적재 지지프레임 및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한 적재 포크를 포함하며, 팔레트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중심 지지프레임, 중심 지지프레임 상의 양측에 형성된 스페이서, 스페이서 상에 형성된 이동 지지프레임,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이동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이동 포크를 포함한다. 이동 포크는 적재 포크에 대응하여 빗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그 사이로 통과 공간을 형성하고, 그 통과 공간은 적재 포크가 통과할 수가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동 포크 상에 차량이 적재되어 있는 경우 팔레트는 이동 포크 및 중심 지 지프레임 사이에 적재 포크가 위치하도록 이동하고, 좌우로 이동하여 이동 포크가 적재 포크 상에 중복되도록 이동한다. 그 다음 팔레트의 이동 포크가 적재 포크를 통과하도록 아래로 이동하면서 이동 포크 상의 차량은 적재 포크로 전환되어 지지된다. 팔레트는 다시 통로로 이동함으로써 처음 통로로 복귀한다.
플랫폼 지지대에 적재되어 있는 차량을 출차하기 위해서, 상기 과정을 역으로 수행할 수가 있다. 즉, 차량이 적재되어 있는 플랫폼 지지대의 적재 포크 아래로 팔레트가 접근하고, 팔레트가 서서히 상승하면서 이동 포크를 통해 플랫폼 지지대로부터 차량을 이송 받는다. 그리고, 이동 포크 및 중심 지지프레임 사이로 적재 포크가 통과하도록 유지하면서, 팔레트는 차량을 플랫폼 지지대로부터 출차 시킬 수가 있다.
이동 지지프레임 및 이동 포크는 다양한 형태 및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대응하여 적재 지지프레임 및 적재 포크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폭방향 주차 또는 길이방향 주차에 따라 지지프레임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지지 프레임의 형상도 직선형 또는 굴절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적재 포크 및 이동 포크의 방향도 차량 바퀴와 나란하게 또는 수직하게 형성될 수가 있다.
팔레트 이송장치는 팔레트를 상하 및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팔레트의 통과 공간과 적재 포크를 같은 높이로 일치시키기 위한 정도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면 종래의 이송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차량을 이송하는 도중에 차량 및 팔레트의 흔들림이 생길 수 있으며, 방향 전환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 문에 흔들림을 최대한 억제하거나 전환 시점에 도달해서는 이동 속도를 줄이는 방법을 택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의 일환으로 구조체 상단에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을 형성하고, 팔레트 이송장치가 레일에 의해 지지되어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대체로 구조체 상단에서 레일을 따라 좌우로 팔레트 이송장치 이동하는 팔레트 몸체가 배치되고, 팔레트 몸체에 수평 이송부 및 수직 이송부가 설치되어 팔레트를 이송할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의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100)는 구조체(110), 플랫폼 지지대(120), 팔레트(130) 및 팔레트 이송장치(140)를 포함한다.
구조체(110)는 프레임 구조물 또는 건축물 등의 방식으로 제공되며, 복수개의 플랫폼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조체(110)는 철골 등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중앙에 상하로 형성된 팔레트 통로(112)를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다층형의 플랫폼들이 제공된다. 그리고 각각의 플랫폼 층에는 플랫폼 지지대(120)가 설치된다.
플랫폼 지지대(120)는 플랫폼 지지프레임(122), 적재 지지프레임(124) 및 적재 포크(126)를 포함한다. 하나의 플랫폼 지지대(120)는 한 대의 차량을 지지할 수 있으며, 각 플랫폼 층에 고정된 설치물로서 팔레트(130)로부터 차량을 이송 받고 팔레트(130)가 차량을 스위치 전환할 때까지 차량을 보관하게 된다. 구조체(110)의 벽면으로부터 팔레트 통로(112)를 향해 측면 지지프레임(114)이 돌출되며, 그 측면 지지프레임(114) 상으로 플랫폼 지지프레임(122)이 벽면과 평행하게 제공된다. 플랫폼 지지프레임(122)은 구조체(110)의 벽면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대략 플랫폼 지지대(120)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플랫폼 지지프레임(122) 상에는 2개의 적재 지지프레임(124)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된다. 적재 지지프레임(124)은 브라켓을 이용하거나 용접 등에 의해서 플랫폼 지지프레임(122) 상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대략 차량의 전후륜 거리보다 좁게 이격된다. 그리고, 적재 지지프레임(124) 상에는 차량의 바퀴에 대응하여 적재 포크(126)가 형성된다. 적재 포크(126)는 수cm의 두께를 갖는 철강판재로서 적재 지지프레임(124) 상에 세워진 형태로 고정되며, 다수개의 철강판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바퀴를 지지할 수가 있다. 이때 적재 포크(126)의 판재 간 거리는 판재의 두께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재 포크(126)는 각각의 적재 지지프레임(124)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전후로 대칭을 이룬다.
구조체(110)의 상단에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팔레트 이송장치(140)가 설치되며, 팔레트 이송장치(140)로부터 이어지는 와이어(158)를 통해 팔레트(130)가 지지된다. 팔레트(130)는 중심 지지프레임(132), 스페이서(133), 이동 지지프레임(134), 이동 포크(136) 및 와이어 지지프레임(138)을 포함한다. 팔레트(130)는 플랫폼 층-플랫폼 층 또는 플랫폼 층-주차 입구를 이동하면서 차량을 상하로 이동하며, 목적된 플랫폼 지지대(120)에 인접한 후에는 좌우로 이동하여 차량을 목적된 플랫폼 지지대(120)에 적재시키거나 목적된 차량을 인출할 수가 있다.
팔레트(130)의 중심에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중심 지지프레임(132)이 제공된다. 중심 지지프레임(132)는 팔레트(130)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와이어 지지프레임(138) 및 이동 지지프레임(134)을 일체로 연결한다. 2개의 스페이서(133)가 중심 지지프레임(132) 상에서 전후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대략 플랫폼 지지대(120)의 적재 포크(126)의 단부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고정된다. 또한, 스페이서(133)의 높이는 적재 지지프레임(124) 및 적재 포크(126)를 합한 높이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페이서(133) 상에 형성되는 이동 지지프레임(134) 및 이동 포크(136)는 중심 지지프레임(132)으로부터 스페이서(133)의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한다.
2개의 스페이서(133) 상에는 각각 이동 지지프레임(134)이 중심 지지프레임(132)에 수직하게 고정되고, 이동 지지프레임(134)의 내측으로 양단부에는 이동 포크(136)가 안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동 포크(136)는 적재 포크(126)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철강판재로 구성되며, 이동 지지프레임(134)에 일정한 간격을 주기로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서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이동 포크(136) 및 적 재 포크(126)는 동일한 두께의 철강판재를 사용하여 같은 간격을 주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차설비의 입구로부터 멀리 위치한 이동 프레임(134) 상에는 안전턱(135)이 형성된다. 대체로 차량은 주차설비에 진입하기 위해서 앞으로 전진하기 때문에 어디에서 정지해야 하는지 잘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차량의 출입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동 프레임(134) 상에 안전턱(13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전턱(135)이 이동 프레임(134) 중 하나 상에만 형성되어 있지만, 양측에 동일 또는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차량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안전턱을 넘는 가벼운 충격을 이용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간접적으로 차량의 진행 여부를 확인시켜 줄 수도 있다.
중심 지지프레임(132)의 전후단에 와이어 지지프레임(138)이 제공된다. 와이어 지지프레임(138)의 양단은 와이어(158)와 연결되며, 팔레트 이송장치(140)의 작동에 대응하여 팔레트(130)를 이동시킨다. 또한, 차량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와이어(158)와 연결되는 와이어 지지프레임(138) 상단은 이동 포크(136)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이 좋다.
팔레트 이송장치(140)는 이송몸체(142), 수평 이송부(160) 및 수직 이송부(150)를 포함한다. 이송몸체(142)에는 롤러(144)가 장착되며, 롤러(144)는 구조체(110)의 상단에 형성된 레일(146)을 따라 이동하면서 팔레트 이송장치(140)를 좌우로 이송한다.
수직 이송부(150)는 수직 구동장치(152), 구동축의 전후로 장착된 구동 풀리(154), 그 양측의 종동 풀리(156), 그리고 와이어(158)를 포함한다. 수직 구동장치(152)의 회전은 구동축을 통해 구동 풀리(154)를 회전시키며, 구동 풀리(154)의 회전은 와이어(158)로 전달되고, 종동 풀리(156)가 와이어(158)의 이동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팔레트(130)를 상하로 이송할 수가 있다.
수평 이송부(160)는 수평 구동장치(162)를 포함하며, 수평 구동장치(162)는 역시 롤러 축과 연결되어 롤러(144)를 회전시킬 수가 있다. 롤러(144)의 회전에 의해서 팔레트 이송장치(140)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팔레트 이송장치(140)의 좌우 이동에 의해서 팔레트(130)도 역시 좌우로 이송된다. 물론, 롤러 간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구동장치를 롤러에 각각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와이어 전달, 체인 전달, 벨트 전달 등을 통해 수평 이송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 이송장치(140)는 팔레트(130)를 항상 수직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와이어(158)에 가해지는 하중을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어 매우 안전하다.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주차장치에서는 차량이 팔레트 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기 때문에 편심이 발생할 수 있으며, 편심에 의해서 팔레트가 기울어지거나 수직으로 가해지는 하중 외에 과도한 측면 하중이 발생하여 오작동의 원인이 될 수가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이송장치(140)는 그 자체가 좌우로 이동하기 때문에 항상 수직으로 가해지는 하중만 있으며, 구조 또한 간단하여 오작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적다.
본 실시예 및 이하 실시예에서 이송몸체(142)는 구조체(110)의 상단에서 레일(146)을 따라 이동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몸체(142)는 구 조체(110)의 상하단을 잇는 이동 프레임을 이용하여 팔레트 통로 전체를 포함하는 긴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 프레임의 하단에 롤러가 장착되고, 롤러는 레일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 프레임 전체가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가 있다. 이때 레일은 구조체의 상단, 구조체의 하단 또는 구조체의 상하단 모두에 제공될 수가 있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5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에서 팔레트가 진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I에서 바라본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6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에서 팔레트가 후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I에서 바라본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의 측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팔레트(130) 상에는 차량(C)이 적재되어 있으며, 차량(C)은 전후 방향으로 배향되어 플랫폼 지지대(120) 상에 폭 방향으로 진입하여 주차된다. 차량(C)은 주차 입구로부터 팔레트(130) 상에 적재되어 팔레트 이송장치(140)에 의해서 목적된 플랫폼 층으로 이송되고, 차량(C)의 4개 바퀴는 각각 이동 포크(136) 상에 위치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팔레트(130)의 이동 포크(136) 및 중심 지지프레임(132) 사이의 통과 공간(P)이 제공되며, 통과 공간(P)은 서로 안쪽을 바 라보며 대칭을 이루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량을 적재한 팔레트(130)가 플랫폼 지지대(120) 쪽으로 이동하여 플랫폼 지지대(120)와 중첩되기 위해서, 이 통과 공간(P)이 적재 포크(12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적재 포크(126)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팔레트 이송장치(140)의 수직 이송부(150)에 의해서 팔레트(130)의 높이가 조정된 후, 수평 이송부(160)에 의해서 팔레트(130)가 플랫폼 지지대(120)를 향해 접근하게 되고, 적재 포크(126) 및 적재 지지프레임(124)이 통과 공간(P)에 부분적으로 수용됨으로써 팔레트(130) 및 플랫폼 지지대(120)가 오버랩(overlap)된다.
팔레트(130)는 중심 지지프레임(132)가 플랫폼 지지프레임(122)에 접촉할 때까지, 플랫폼 지지대(120)를 향해 진입할 수 있으며, 중심 지지프레임(132) 및 플랫폼 지지대(120)가 상호 밀착하는 지점에서 대략 이동 포크(136) 및 적재 포크(126)가 상하로 겹쳐진다.
팔레트 이송장치(140)의 수평 이송부(160)가 정지하고, 수직 이송부(150)가 작동하여 팔레트(130)를 아래로 이송한다. 이때 이동 포크(136)가 적재 포크(126)를 통과하면서, 이동 포크(136) 상에 적재된 차량이 적재 포크(126) 상으로 전환하게 되고, 적재 포크(126)의 밑으로 차량을 적재하지 않은 이동 포크(136)가 노출된다.
이동 포크(136)의 하단이 플랫폼 지지프레임(122)의 상단보다 낮아지기 전에 수직 이송부(150)가 정지하고, 다시 수평 이송부(160)가 작동을 시작하여 팔레트(130)가 팔레트 통로(112)를 향해 이동한다. 여기서, 이동 포크(136)는 적재 포크(126) 및 플랫폼 지지프레임(122) 사이를 통과하면서 이동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재 포크(126)가 적재 지지프레임(124)의 상단에 고정되어 적재 포크(126) 및 플랫폼 지지프레임(122) 사이에 적재 지지프레임(124)의 높이만큼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적재 포크가 적재 지지프레임(124)의 측면에 고정되는 경우와 같이 적재 포크 및 플랫폼 지지프레임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없는 경우,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적재 지지프레임 및 플랫폼 지지프레임 사이에 별도의 스페이서가 개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7a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해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를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이며, 도 7b는 도 7a의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를 도시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포크식 주차설비는 제1 실시예의 주차설비(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반복되는 내용을 생략하며 제1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팔레트(130)의 와이어 지지프레임(138)에는 내측으로 가이드 롤러(172)가 장착되며, 가이드 롤러(172)에 대응하여 플랫폼 지지대(120)의 양측으로는 상부 가이드(174) 및 하부 가이드(176)가 형성된다.
팔레트(130)의 이동 포크(136)가 적재 포크(126) 상부를 이동할 때, 가이드 롤러(172)는 상부 가이드(174)의 저면을 따라 이동하며, 이동 포크(136)가 적재 포크(126)의 하부를 이동할 때, 가이드 롤러(172)는 하부 가이드(176)의 상면을 따라 이동한다. 상부 가이드(174) 및 하부 가이드(176)가 가이드 롤러(172)와 접촉하기 때문에, 팔레트(13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으며, 가이드 롤러(172)를 통해 팔레트(13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때문에 팔레트(130)가 이송 도중에서 흔들리는 것을 예방할 수가 있다.
가이드 롤러(172)는 와이어 지지프레임(138) 또는 이동 지지프레임(134)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의 위치도 가이드 롤러(172)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가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174) 및 하부 가이드(176)의 안쪽을 측면 가이드(178)로 연결할 수 있다. 측면 가이드(178)는 가이드 롤러(172)가 더 이상 진입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팔레트(130)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적재 포크(126) 및 이동 포크(136)가 상호 적절하게 중복되도록 용이하게 위치를 조정할 수가 있다. 게다가, 이동 포크(136)가 적재 포크(126)를 통과하는 상하 이동 과정에서 팔레트(130)가 흔들리지 않도록 팔레트(130)의 이동을 안내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는 구조체, 플랫폼 지지대(220), 팔레트(230) 및 팔레트 이송장치를 포함한다. 플랫폼 지지대(220) 및 팔레트(23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이전 실시예에 설명된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설명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플랫폼 지지대(220)는 플랫폼 지지프레임(222), 적재 지지프레임(224) 및 적재 포크(226)를 포함한다. 하나의 플랫폼 지지대(220)는 한 대의 차량을 지지할 수 있으며, 각 플랫폼 층에 고정된 설치물로서 팔레트(230)로부터 차량을 이송 받고 팔레트(230)가 차량을 스위치 전환할 때까지 차량을 보관하게 된다. 2개의 플랫폼 지지프레임(222)는 구조체(110)의 벽면으로부터 팔레트의 통로(112)를 향해 배치된다. 플랫폼 지지프레임(222)은 전후로 배치되어 차량을 안전하게 지지하며, 플랫폼 지지프레임(222)과 구조체(110)의 연결부위에는 위 또는 아래로 보강판(229)이 용접 등에 의해서 부착되어 플랫폼 지지프레임(222)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플랫폼 지지프레임(222) 상에는 2개의 적재 지지프레임(224)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정된다. 적재 지지프레임(224)은 브라켓을 이용하거나 용접 등에 의해서 플랫폼 지지프레임(222) 상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대략 차량의 좌우 바퀴 폭보다 좁게 이격된다. 그리고, 적재 지지프레임(224)의 외측 전후로 차량의 바퀴에 대응하여 적재 포크(226)가 형성된다. 적재 포크(226)는 수cm의 두께를 갖는 철강판재로서 적재 지지프레임(224) 상에 세워진 형태로 고정되며, 다수개의 철강판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바퀴를 지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적재 포크(226)는 각각의 적재 지지프레임(224)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좌우로 대칭을 이룬다.
팔레트(230)는 중심 지지프레임(232), 스페이서(233), 이동 지지프레임(234), 이동 포크(236) 및 와이어 지지프레임(238)을 포함한다. 팔레트(230)는 플랫폼 층-플랫폼 층 또는 플랫폼 층-주차 입구를 이동하면서 차량을 상하로 이동하며, 목적된 플랫폼 지지대(220)에 인접한 후에는 좌우로 이동하여 차량을 목적된 플랫폼 지지대(220)에 적재시키거나 목적된 차량을 인출할 수가 있다.
팔레트(230)의 중심에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중심 지지프레임(232)이 제공된다. 중심 지지프레임(232)은 팔레트(230)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와이어 지지프레임(238) 및 이동 지지프레임(234)을 일체로 연결한다. 2개의 스페이서(233)가 중심 지지프레임(232)의 양단에 배치되며, 또한, 이동 지지프레임(234) 및 이동 포크(236)가 스페이서(233) 상에 형성되어, 이동 지지프레임(234) 및 이동 포크(236)는 중심 지지프레임(232)으로부터 스페이서(233)의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한다.
이동 지지프레임(234)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가 안쪽을 바라보도록 스페이서(233) 상에 장착된다. 그리고, 적재 포크(226)에 대응하여 이동 포크(236)가 이동 지지프레임(234)의 양단 돌출된 부분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동 포크(236)는 적재 포크(226)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철강판재로 구성되며, 이동 지지프레임(234)에 일정한 간격을 주기로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서 고정된다.
중심 지지프레임(232)의 전후단에 와이어 지지프레임(238)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지지프레임(234)이 중심 지지프레임(232)의 전후단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 지지프레임(238)은 이동 지지프레임(234)에 장착되거나 중심 지지프레임(232)에 장착될 수가 있다. 와이어 지지프레임(238)의 양단은 와이어와 연결되며, 팔레트 이송장치의 작동에 대응하여 팔레트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230) 상에는 차량이 적재되어 있는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팔레트(230)의 이동 포크(236) 및 중심 지지프레임(232) 사이의 통과 공간(P)이 제공되며, 통과 공간(P)은 서로 안쪽을 바라보며 대칭을 이루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량을 적재한 팔레트(230)가 플랫폼 지지대(220) 쪽으로 이동하여 플랫폼 지지대(220)와 중첩되기 위해서, 이 통과 공간(P)이 적재 포크(22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적재 포크(226)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팔레트 이송장치에 의해서 팔레트(230)의 높이가 조정된 후, 수평 이송부에 의해서 팔레트(230)가 플랫폼 지지대(220)를 향해 접근하게 되고, 적재 포크(226) 및 적재 지지프레임(224)이 통과 공간(P)에 부분적으로 수용됨으로써 팔레트(230) 및 플랫폼 지지대(220)가 오버랩(overlap)된다. 이때, 플랫폼 지지프레임(222)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안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스페이서(233)의 높이를 조절하여 방해 받지 않고 진행할 수가 있다.
이동 포크(236) 및 적재 포크(226)가 상하로 겹쳐지는 시점에서 팔레트 이송 장치의 수평 이송부가 정지하고, 수직 이송부가 작동하여 팔레트(230)를 아래로 이송한다. 이때 이동 포크(236)가 적재 포크(226)를 통과하면서, 이동 포크(236) 상에 적재된 차량이 적재 포크(226) 상으로 전환하게 된다. 이동 포크(236)가 적재 포크(226)를 통과한 후, 수평 이송부가 작동을 시작하여 팔레트(230)가 팔레트 통로를 향해 이동한다.
실시예 3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는 구조체, 플랫폼 지지대(320), 팔레트(330) 및 팔레트 이송장치를 포함한다. 플랫폼 지지대(320) 및 팔레트(33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이전 실시예에 설명된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설명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플랫폼 지지대(320)는 플랫폼 지지프레임(322), 적재 지지프레임(324) 및 적재 포크(326)를 포함한다. 하나의 플랫폼 지지대(320)는 한 대의 차량을 지지할 수 있으며, 각 플랫폼 층에 고정된 설치물로서 팔레트(330)로부터 차량을 이송 받고 팔레트(330)가 차량을 스위치 전환할 때까지 차량을 보관하게 된다. 2개의 플랫폼 지지프레임(322)은 플랫폼 지지대(320)의 전후단에서 구조체(110)의 벽면으로부터 팔레트의 통로(112)를 향해 배치된다. 플랫폼 지지프레임(322)은 전후로 배치되어 차량을 안전하게 지지하며, 플랫폼 지지프레임(322)과 구조체(110)의 연결부위에는 보강판이 용접 등에 의해서 부착되어 플랫폼 지지프레임(322)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각각의 플랫폼 지지프레임(322)에는 2개의 적재 지지프레임(324)이 좌우로 이격되어 고정된다. 적재 지지프레임(324)은 브라켓을 이용하거나 용접 등에 의해서 플랫폼 지지프레임(322) 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대략 차량의 바퀴 안쪽에 위치하여 안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적재 지지프레임(324)의 외측으로 차량의 바퀴에 대응하여 적재 포크(326)가 형성된다. 적재 포크(326)는 수cm의 두께를 갖는 철강판재로서 적재 지지프레임(324) 상에 세워진 형태로 고정되며, 다수개의 철강판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바퀴를 지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적재 포크(326)는 각각의 적재 지지프레임(324)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좌우로 대칭을 이룬다. 또한, 전후단에 고정된 플랫폼 지지프레임(322)은 그 중심을 잇는 보강 지지프레임에 의해서 지지되고, 각각의 플랫폼 지지프레임(322)은 기둥 프레임 등에 의해서 더욱 견고하게 지지된다.
팔레트(330)는 중심 지지프레임(332), 스페이서 프레임(333), 이동 지지프레임(334), 안전턱(335), 이동 포크(336) 및 와이어 지지프레임(338)을 포함한다. 팔레트(330)는 플랫폼 층-플랫폼 층 또는 플랫폼 층-주차 입구를 이동하면서 차량을 상하로 이동하며, 목적된 플랫폼 지지대(320)에 인접한 후에는 좌우로 이동하여 차량을 목적된 플랫폼 지지대(320)에 적재시키거나 목적된 차량을 인출할 수가 있다.
팔레트(330)의 중심에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중심 지지프레임(332)이 제공된다. 중심 지지프레임(332)은 팔레트(330)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와이어 지지프레임(338) 및 이동 지지프레임(334)을 일체로 연결한다. 2개의 스페이서 프레임(333)이 중심 지지프레임(332) 상에서 전후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스페이서 프레임(333)의 양단에는 이동 지지프레임(334)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장착된다. 스페이서 프레임(333)은 중심 지지프레임(332) 및 이동 포크(336)를 상하로 이격시키는 기능을 하며, 제작의 편의를 위해 프레임 형태로 중심 지지프레임(332) 상에 고정된다.
이동 지지프레임(334)은 대략 차량의 바퀴 간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되며, 차량 폭 또는 그 이상의 폭만큼 이격되어 스페이서 프레임(333) 상에 고정된다. 스페이서 프레임(333) 및 이동 지지프레임(334)은 대략 ㄷ-자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가 바깥쪽을 바라보도록 중심 지지프레임(332)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적재 포크(326)에 대응하여 이동 포크(336)가 이동 지지프레임(334)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동 포크(336)는 적재 포크(326)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철강판재로 구성되며, 이동 지지프레임(334)에 일정한 간격을 주기로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서 고정된다.
중심 지지프레임(332)의 전후단에 와이어 지지프레임(338)이 제공된다. 와이어 지지프레임(338)의 양단은 와이어와 연결되며, 팔레트 이송장치의 작동에 대응하여 팔레트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전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팔레트(330)에서는 중심 지지프레임(332) 및 이동 포크(336) 사이에 ㄷ-자 형상의 통과 공간이 형성된다. 차량을 적재한 팔레트(330)가 플랫폼 지지대(320) 쪽으로 이동하여 플랫폼 지지대(320)와 중첩되기 위해서, 이 통과 공간이 적재 포크(32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적재 포크(326)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통과 공간을 이용하여 팔레트(330)가 플랫폼 지지대(320)로 접근하여 상호 오버랩(overlap)될 수가 있다.
역시 마찬가지로, 이동 포크(336) 및 적재 포크(326)가 상하로 겹쳐지는 시점에서 이동 포크(336)가 적재 포크(326)를 통과할 수 있으며, 이때 이동 포크(336) 상에 적재된 차량이 적재 포크(326) 상으로 전환되거나, 적재 포크(326) 상에 적재된 차량을 이동 포크(336)로 전환할 수가 있다.
실시예 4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는 구조체, 플랫폼 지지대(420), 팔레트(430) 및 팔레트 이송장치를 포함한다. 플랫폼 지지대(420) 및 팔레트(43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이전 실시예에 설명된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설명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플랫폼 지지대(420)는 플랫폼 지지프레임(422), 적재 지지프레임(424) 및 적재 포크(426)를 포함한다. 하나의 플랫폼 지지대(420)는 한 대의 차량을 지지할 수 있으며, 각 플랫폼 층에 고정된 설치물로서 팔레트(430)로부터 차량을 이송 받고 팔레트(430)가 차량을 스위치 전환할 때까지 차량을 보관하게 된다. 2개의 플랫폼 지지프레임(422)은 플랫폼 지지대(420)의 전후단에서 구조체의 벽면으로부터 팔레트의 통로를 향해 배치된다. 플랫폼 지지프레임(422)은 전후로 배치되어 차량을 안전하게 지지하며, 플랫폼 지지프레임(422)과 구조체(110)의 연결부위에는 보강판이 용접 등에 의해서 부착되어 플랫폼 지지프레임(422)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적재 지지프레임(424)이 각각의 플랫폼 지지프레임(422)의 단부로부터 플랫폼 지지대(420)의 안쪽을 향해 장착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구조체에 인접하게 적재 지지프레임(424)을 장착하는 것 대신에, 구조체를 구성하는 프레임들 중 일부를 적재 지지프레임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적재 지지프레임(424)을 별도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적재 지지프레임(424)은 브라켓을 이용하거나 용접 등에 의해서 플랫폼 지지프레임(422) 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대략 차량의 바퀴 바깥쪽에 위치하여 플랫폼 지지대(420)의 안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적재 지지프레임(424)의 내측으로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한 적재 포크(426)가 형성된다. 적재 포크(426)는 수cm의 두께를 갖는 철강판재로서 적재 지지프레임(424)에 세워진 형태로 고정되며, 다수개의 철강판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바퀴를 지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적재 포크(426)는 각각의 적재 지지프레임(424)에서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좌우로 대칭을 이룬다. 또한, 전후단에 고정된 플랫폼 지지프레임(422)은 그 중심을 잇는 보강 지지프레임에 의해서 지지되고, 각각의 플랫폼 지지프레임(422)은 기둥 프레임 등에 의해서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팔레트(430)는 중심 지지프레임(432), 스페이서 프레임(433), 이동 지지프레 임(434), 이동 포크(436) 및 와이어 지지프레임(438)을 포함한다. 팔레트(430)는 플랫폼 층-플랫폼 층 또는 플랫폼 층-주차 입구를 이동하면서 차량을 상하로 이동하며, 목적된 플랫폼 지지대(420)에 인접한 후에는 좌우로 이동하여 차량을 목적된 플랫폼 지지대(420)에 적재시키거나 목적된 차량을 인출할 수가 있다.
팔레트(430)의 중심에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중심 지지프레임(432)이 제공된다. 중심 지지프레임(432)은 팔레트(430)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와이어 지지프레임(438) 및 이동 지지프레임(434)을 일체로 연결한다. 2개의 스페이서 프레임(433)이 중심 지지프레임(432) 상에서 전후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스페이서 프레임(433)의 양단에는 이동 지지프레임(434)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장착된다. 스페이서 프레임(433)은 중심 지지프레임(432) 및 이동 포크(436)를 상하로 이격시키는 기능을 하며, 제작의 편의를 위해 프레임 형태로 중심 지지프레임(432) 상에 고정된다.
이동 지지프레임(434)은 대략 차량의 바퀴 간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되며, 차량의 바퀴 폭보다 좁게 이격되어 스페이서 프레임(433) 상에 고정된다. 스페이서 프레임(433) 및 이동 지지프레임(434)은 대략 ㄷ-자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가 바깥쪽을 바라보도록 중심 지지프레임(432)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적재 포크(426)에 대응하여 이동 포크(436)가 이동 지지프레임(434)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동 포크(436)는 적재 포크(426)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철강판재로 구성되며, 이동 지지프레임(434)에 일정한 간격을 주기로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서 고정된다.
실시예 5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5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는 구조체, 플랫폼 지지대(520), 팔레트(530) 및 팔레트 이송장치를 포함한다. 본 포크식 주차설비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랫폼 지지대(520) 및 팔레트(53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이전 실시예에 설명된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설명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플랫폼 지지대(520)는 플랫폼 지지프레임(522), 적재 지지프레임(524) 및 적재 포크(526)를 포함한다. 하나의 플랫폼 지지대(520)는 한 대의 차량을 지지할 수 있으며, 각 플랫폼 층에 고정된 설치물로서 팔레트(530)로부터 차량을 이송 받고 팔레트(530)가 차량을 스위치 전환할 때까지 차량을 보관하게 된다. 2개의 플랫폼 지지프레임(522)는 구조체(110)의 벽면으로부터 팔레트의 통로(112)를 향해 배치되며, 플랫폼 지지프레임(522)에는 적재 지지프레임(524)이 고정된다. 플랫폼 지지프레임(522)은 차량을 안전하게 지지하며, 플랫폼 지지프레임(522)과 구조체의 연결부위에는 위 또는 아래로 보강판이 용접 등에 의해서 부착되어 플랫폼 지지프레임(522)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플랫폼 지지프레임(522) 상에는 2개의 적재 지지프레임(524)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정된다. 적재 지지프레임(524)은 차량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 며 브라켓을 이용하거나 용접 등에 의해서 플랫폼 지지프레임(522) 상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차량의 좌우 바퀴 폭보다 좁게 이격된다. 그리고, 적재 지지프레임(524)의 외측 전후로 차량의 바퀴에 대응하여 적재 포크(526)가 형성된다. 적재 포크(526)는 수cm의 두께를 갖는 철강판재로서 적재 지지프레임(524) 상에 세워진 형태로 고정되며, 다수개의 철강판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바퀴를 지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적재 포크(526)는 각각의 적재 지지프레임(524)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전후로 대칭을 이룬다.
팔레트(530)는 중심 지지프레임(532), 스페이서(533), 이동 지지프레임(534), 이동 포크(536) 및 와이어 지지프레임(538)을 포함한다. 팔레트(530)는 플랫폼 층-플랫폼 층 또는 플랫폼 층-주차 입구를 이동하면서 차량을 상하로 이동하며, 목적된 플랫폼 지지대(520)에 인접한 후에는 좌우로 이동하여 차량을 목적된 플랫폼 지지대(520)에 적재시키거나 목적된 차량을 인출할 수가 있다.
팔레트(530)의 중심에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중심 지지프레임(532)이 제공된다. 중심 지지프레임(532)은 팔레트(530)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와이어 지지프레임(538) 및 이동 지지프레임(534)을 일체로 연결한다. 2개의 스페이서(533)가 중심 지지프레임(532)의 양단에 배치되며, 또한, 이동 지지프레임(534) 및 이동 포크(536)가 스페이서(533) 상에서 좌우로 형성되어, 이동 지지프레임(534) 및 이동 포크(536)는 중심 지지프레임(532)으로부터 스페이서(533)의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한다.
실시예 6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13은 제6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의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의 평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6 실시예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600)는 구조체(610), 플랫폼 지지대(620), 팔레트(630) 및 팔레트 이송장치(640)를 포함한다.
구조체(610)는 T-자형의 정면을 갖는 가이드 구조체(612) 및 복수개의 플랫폼 층을 제공하는 플랫폼 구조체(614)를 포함한다. 가이드 구조체(612)의 상단 프레임을 따라 팔레트 이송장치(640)가 좌우로 이동하며, 상단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의 연결부위에는 보강판이 부착되어 구조적 강도를 보강한다. 플랫폼 구조체(614)의 각 플랫폼 층에는 플랫폼 지지대(620)가 배치된다.
플랫폼 지지대(620)는 플랫폼 지지프레임(622), 적재 지지프레임(624) 및 적재 포크(626)를 포함한다. 하나의 플랫폼 지지대(620)는 한 대의 차량을 지지할 수 있으며, 각 플랫폼 층에 고정된 설치물로서 팔레트(630)로부터 차량을 이송 받고 팔레트(630)가 차량을 스위치 전환할 때까지 차량을 보관하게 된다. 플랫폼 구조체(614)를 전후로 연결하는 플랫폼 지지프레임(622)이 각 층에 장착되고, 대략 플랫폼 지지대(620)의 중앙에 위치한다.
플랫폼 지지프레임(622) 상에는 2개의 적재 지지프레임(624)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된다. 적재 지지프레임(624)은 브라켓을 이용하거나 용접 등에 의 해서 플랫폼 지지프레임(622) 상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대략 차량의 전후륜 거리보다 좁게 이격된다. 그리고, 적재 지지프레임(624) 상에는 차량의 바퀴에 대응하여 적재 포크(626)가 형성된다.
구조체(610)의 상단에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팔레트 이송장치(640)가 설치되며, 팔레트 이송장치(640)로부터 이어지는 와이어(658)를 통해 팔레트(630)가 지지된다. 팔레트(630)는 중심 지지프레임(632), 스페이서(633), 이동 지지프레임(634), 이동 포크(636) 및 와이어 지지프레임(638)을 포함한다.
팔레트(630)의 중심에서 좌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중심 지지프레임(632)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공된다. 중심 지지프레임(632)이 일측으로 치우침으로써 팔레트(630)가 플랫폼 지지대(620)를 향해 더욱 깊게 접근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플랫폼 지지대(620) 상에 차량이 보다 안정된 위치에서 적재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기둥이 되는 프레임을 중심으로 T-자 또는 ┼-자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차량의 균형을 조정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진다.
중심 지지프레임(632)는 팔레트(630)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와이어 지지프레임(638) 및 이동 지지프레임(634)을 일체로 연결한다. 2개의 스페이서(633)가 중심 지지프레임(632) 상에서 전후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대략 플랫폼 지지대(620)의 적재 포크(626)의 단부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고정된다. 또한, 스페이서(633)의 높이는 적재 지지프레임(624) 및 적재 포크(626)를 합한 높이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페이서(633) 상에 형성되는 이동 지지프레임(634) 및 이동 포크(636)는 중심 지지프레임(632)으로부터 스페이서(633)의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한다.
2개의 스페이서(633) 상에는 각각 이동 지지프레임(634)이 중심 지지프레임(632)에 수직하게 고정되고, 이동 지지프레임(634)의 내측으로 양단부에는 이동 포크(636)가 안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동 포크(636)는 적재 포크(626)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철강판재로 구성되며, 이동 지지프레임(634)에 일정한 간격을 주기로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서 고정된다.
중심 지지프레임(632)의 전후단에 와이어 지지프레임(638)이 제공된다. 와이어 지지프레임(638)의 양단은 와이어(658)와 연결되며, 팔레트 이송장치(640)의 작동에 대응하여 팔레트(630)를 이동시킨다. 또한, 차량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와이어(658)와 연결되는 와이어 지지프레임(638) 상단은 이동 포크(636)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이 좋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팔레트 이송장치(640)는 이송몸체(642), 수평 이송부(660) 및 수직 이송부(650)를 포함한다. 이송몸체(642)에는 롤러(644)가 장착되며, 롤러(644)는 구조체(610)의 상단에 형성된 레일(646)을 따라 이동하면서 팔레트 이송장치(640)를 좌우로 이송한다. 수직 이송부(650)는 수직 구동장치(652), 구동 풀리(654), 종동 풀리(656), 그리고 와이어(658)를 포함하며, 수평 이송부(660)는 롤러(644)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수평 구동장치(662)를 포함한다. 팔레트 이송장치(640)는 그 자체가 좌우로 이동하기 때문에 항상 수직으로 가해지는 하중만 있으며, 구조 또한 간단하여 오작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적다.
본 실시예 및 이전 실시예들에서 주차입구에서 팔레트로 차량이 길이 방향으 로 진입하여, 팔레트에 의해서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주차방식을 중점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는 이동 지지프레임 및 적재 지지프레임의 크기 및 이격된 거리를 조정하여 플랫폼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주차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로 하여금 매우 자명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는 적재 포크 또는 이동 포크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외팔보의 처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정적으로 차량을 이송 및 적재할 수가 있다. 하지만, 포크의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해서 팔레트가 플랫폼 지지대과 되도록 많이 오버랩(overlap)되어야 하고, 주차설비의 제작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라도 팔레트의 이동 과정이 간단하고 단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포크식 주차설비에서는 이동 포크 및 중심 지지프레임을 상하로 이격시킴으로써 ㄷ-자 형상의 통과 공간을 만들고, 그 통과 공간을 이용하여 팔레트 및 플랫폼 지지대 간의 오버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렇게 팔레트의 이동 경로 및 작동장치를 단순하게 유지함으로써 차량을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할 수 있다.
또한, 팔레트를 이용하여 차량을 이송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팔레트에는 고하중의 무게가 부하되는데, 팔레트 이송장치를 팔레트와 함께 좌우로 이송시키기 때문에 고하중의 차량을 운반함에 있어서도 차량 및 팔레트를 안전하고 정숙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복수개의 플랫폼 층을 제공하는 구조체;
    상기 구조체의 각 층에 설치되며, 적재 지지프레임 및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적재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적재 포크를 포함하는 플랫폼 지지대;
    중심 지지프레임, 상기 중심 지지프레임 상의 양측에 형성된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 상에 형성된 이동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적재 포크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이동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이동 포크를 포함하는 팔레트;
    상기 구조체에 대해 상기 팔레트를 적어도 상하 및 좌우로 이송하기 위한 팔레트 이송장치; 를 구비하며,
    상기 중심 지지프레임,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이동 포크에 의해서 상기 팔레트에는 ㄷ-자 형상의 통과 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팔레트는 상기 통과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적재 포크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면서 상기 플랫폼 지지대와 오버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지지대는 상기 구조체로부터 상기 팔레트의 통로를 향해 배치되는 플랫폼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재 지지프레임은 상기 플랫폼 지지프레임 상에 수직하게 장착되고, 상기 적재 지지프레임의 외측 전후로는 상기 적재 포크가 형성되며,
    상기 팔레트에서 상기 중심 지지프레임은 상기 적재 지지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적재 포크를 통과시킬 수 있는 높이를 가지고 상기 적재 지지프레임의 길이보다 넓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 지지프레임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가 안쪽을 바라보도록 장착되고, 상기 적재 포크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포크가 상기 이동 지지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 포크는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적재 포크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지지대는 상기 플랫폼 지지대의 전후 단부에서 상기 구조체로부터 상기 팔레트의 통로를 향해 배치되는 플랫폼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재 지지프레임은 각각의 상기 플랫폼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플랫폼 지지대의 안쪽으로 향해 장착되고, 상기 적재 지지프레임의 외측으로 상기 적재 포크가 형성되며,
    상기 팔레트에서 상기 중심 지지프레임은 상기 적재 지지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적재 포크를 통과시킬 수 있는 높이를 가지고 상기 적재 지지프레임 간의 전후 간격보다 좁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 지지프레임은 상기 스페이서 상에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와 함께 ㄷ-자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 지지프레임 및 상기 스페이서의 내부가 바깥쪽을 바라보도록 장착되고, 상기 적재 포크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포크가 상기 이동 지지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 포크는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적재 포크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지지대는 상기 플랫폼 지지대의 전후 단부에서 상기 구조체로부터 상기 팔레트의 통로를 향해 배치되는 플랫폼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재 지지프레임은 각각의 상기 플랫폼 지지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상기 플랫폼 지지대의 안쪽으로 향해 장착되고, 상기 적재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구조체의 내측으로 상기 적재 포크가 형성되며,
    상기 팔레트에서 상기 중심 지지프레임은 상기 적재 지지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적재 포크를 통과시킬 수 있는 높이를 가지고 상기 적재 지지프레임 간의 전후 간격보다 좁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 지지프레임은 상기 스페이서 상에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와 함께 ㄷ-자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 지지프레임 및 상기 스페이서의 내부가 바깥쪽을 바라보도록 장착되고, 상기 적재 포크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포크가 상기 이동 지지프레임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 포크는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적재 포크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지지대는 상기 구조체의 벽면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플랫폼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적재 지지프레임은 상기 플랫폼 지지프레임 상에 수직하게 장착되고, 상기 적재 지지프레임의 상면에는 외측을 향하여 전후로 상기 적재 포크가 형성되며,
    상기 팔레트에서 상기 중심 지지프레임은 상기 플랫폼 지지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적재 포크를 통과시킬 수 있는 높이를 가지고 상기 적재 포크의 양단보다 넓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 지지프레임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가 안쪽을 바라보도록 장착되고, 상기 적재 포크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포크가 상기 이동 지지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 포크는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적재 포크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지프레임에는 안전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T-자형의 정면을 갖는 가이드 구조체 및 상기 가이드 구조체에 인접하게 복수개의 상기 플랫폼 층을 제공하는 플랫폼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 구조체에 상기 플랫폼 지지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 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의 상기 중심 지지프레임은 상기 플랫폼 구조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치우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 상단에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는 상기 레일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팔레트 몸체, 상기 팔레트 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를 좌우로 이송하기 위한 수평 이송부 및 상기 팔레트를 상하로 이송하기 위한 수직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 하단에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는 상기 구조체의 상하단을 잇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의 하단에 장착된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레일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이동 프레임 전체가 상기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팔레트 몸체; 상기 팔레트 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를 좌우로 이송하기 위한 수평 이송부; 및 상기 팔레트를 상하로 이송하기 위한 수직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의 전후 측에는 가이드 롤러가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에 대응하여 상기 플랫폼 지지대의 양측에는 상부 가이드 및 하부 가이드가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팔레트의 상기 이동 포크가 상기 적재 포크 상부를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상부 가이드의 저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이동 포크가 상기 적재 포크의 하부를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하부 가이드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및 상기 하부 가이드의 안쪽을 잇는 측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식 주차설비.
KR1020040043499A 2004-06-14 2004-06-14 포크식 팔레트를 이용한 주차설비 KR100605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499A KR100605502B1 (ko) 2004-06-14 2004-06-14 포크식 팔레트를 이용한 주차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499A KR100605502B1 (ko) 2004-06-14 2004-06-14 포크식 팔레트를 이용한 주차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387A KR20050118387A (ko) 2005-12-19
KR100605502B1 true KR100605502B1 (ko) 2006-08-01

Family

ID=3729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499A KR100605502B1 (ko) 2004-06-14 2004-06-14 포크식 팔레트를 이용한 주차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5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195B1 (ko) 2013-12-16 2014-04-18 주식회사 본실업 자재 보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408B1 (ko) * 2005-09-26 2006-10-16 황성필 주차설비
CN108590283B (zh) * 2018-04-27 2019-09-20 杭州师范大学钱江学院 梳齿式立体停车库
CN109914885B (zh) * 2019-04-18 2024-06-04 浙江工业大学 双车位节能汽车堆垛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656A (ko) * 1997-11-06 1999-06-05 이종수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 및 그 주차방법
KR100295876B1 (ko) 1997-11-06 2001-10-24 장병우 엘리베이터방식주차설비의턴테이블장치
KR20030076048A (ko) * 2002-03-22 2003-09-26 심근섭 포크 형태의 승강기식 주차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656A (ko) * 1997-11-06 1999-06-05 이종수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 및 그 주차방법
KR100295876B1 (ko) 1997-11-06 2001-10-24 장병우 엘리베이터방식주차설비의턴테이블장치
KR20030076048A (ko) * 2002-03-22 2003-09-26 심근섭 포크 형태의 승강기식 주차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195B1 (ko) 2013-12-16 2014-04-18 주식회사 본실업 자재 보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387A (ko) 2005-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2566B2 (ja) 非パレット方式の駐車システムの入出庫用積載台
US6702541B1 (en) Palletless rack-type parking system with stacker crane
KR100605502B1 (ko) 포크식 팔레트를 이용한 주차설비
JP4507014B2 (ja) 滑り荷台利用の搬送装置
JP4538819B2 (ja) 摩擦駆動搬送装置
KR100605503B1 (ko) 이동형 팔레트를 이용한 포크식 주차설비
JP2658834B2 (ja) マスト
KR100654160B1 (ko) 주차 설비에서의 차량 이송장치
JP2585575B2 (ja) クレ−ンの組み立て方法
JP3591073B2 (ja) 多段フォーク装置
CN219822527U (zh) 仓储***
JP3545539B2 (ja) 機械式立体駐車設備のパレット落下防止装置
JP2011190568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3448037B2 (ja) 平面往復式駐車装置
JP2001059357A (ja) 車両方向転換装置及び機械式駐車装置
JP3079432B2 (ja) 水平循環式駐車設備
JP3371944B2 (ja) 物品保管設備
JP2001065185A (ja) 機械式駐車装置
KR100333044B1 (ko) 차량이송로봇을구비한엘리베이터식주차설비
CN116461878A (zh) 仓储***
JP5333826B2 (ja) 物品搬送装置
JP2002145408A (ja) 立体自動倉庫の入出庫装置
KR930004019B1 (ko) 에레베이터식 입체 주차장치
JP3447889B2 (ja) 平面往復式駐車装置
JP5610225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