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408B1 - 주차설비 - Google Patents

주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408B1
KR100632408B1 KR1020050089480A KR20050089480A KR100632408B1 KR 100632408 B1 KR100632408 B1 KR 100632408B1 KR 1020050089480 A KR1020050089480 A KR 1020050089480A KR 20050089480 A KR20050089480 A KR 20050089480A KR 100632408 B1 KR100632408 B1 KR 100632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parking
elevating
fork
gu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필
Original Assignee
황성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필 filed Critical 황성필
Priority to KR1020050089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차량의 입고 및 출고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주차설비가 개시된다. 주차설비는 2층 이상의 위치에서 주차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 층, 지면과 플랫폼 층을 이동하는 차량 승강부재, 차량 승강부재로부터 차량을 인수하여 목적된 주차공간으로 차량을 이송하는 카트 부재 및 카트 부재와 주차공간을 이동하면서 차량을 이송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차량 승강부재는 승강용 포크를 이용하여 차량의 바퀴들을 지지하며, 목적된 플랫폼 층에서 인출한 지지 부재의 이송용 포크와 승강용 포크를 교차시켜 지지 부재로 차량을 전달할 수가 있다. 전달된 차량은 카트 부재에 의해서 목적된 주차공간으로 이송되며, 지지 부재는 카트 부재에서 주차공간으로 이동을 하여 차량을 보관할 수 있다.
주차, 포크

Description

주차설비{PARKING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 부재 및 지지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카트 부재 및 지지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에서의 차량 입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및 플랫폼 가이드 롤러들 간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가이드 롤러들 간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용 포크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 교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주차설비 110:주차 구조체
120:플랫폼 126: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
140:차량 승강부 150:승강용 포크부
170:카트 부재 180:지지 부재
190:이송용 포크부
본 발명은 주차설비(parking equipment)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의 연속된 입고 및 출고를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는 다층형 주차설비 및 주차설비의 주차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대중적으로 보편화 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자동차 이용률 및 자동차 보급률이 매년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자동차 보급률의 증가와 함께 자동차 관련 시설에 대한 필요성도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이용의 증가로 인해 가장 중요하게 거론되는 이슈(issue) 중 하나가 주차(parking)에 관한 것이다.
번화한 도시와 같이, 한 건물 또는 한 시설에 대한 자동차 이용 인구가 많은 반면에 제공될 수 있는 주차 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경우, 주차 공간의 확보는 자동차 이용자 간에 첨예한 중요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주차 관련 문 제는 더 나아가 사회 전반의 문제로 발전될 수도 있다.
게다가, 자동차 보급이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2대 이상의 자동차를 보유하는 가정이 증가하면서 주차 공간 확보의 과제는 더욱 심각한 수준에 다다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차 공간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주차 설비(parking equipment)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주차 설비의 주목적은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 많은 주차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주목적에 못지 않게 중용하게 고려되는 부수적인 목적들로는 간단한 구조 및 시스템의 유지, 조작의 편의성, 차량의 신속한 입고(enter) 및 출고(exit), 저렴한 공사 비용 등이 있다.
종래의 주차설비는 일반적으로 주차공간을 갖는 주차 구조물 및 차량 승강기를 포함한다. 차량 승강기의 팔레트가 1층에 위치한 후 차량이 진입하여 팔레트 상에 적재될 수 있으며, 차량 승강기 상에 차량이 적재됨에 따라 차량 승강기가 작동을 시작하여 목적된 플랫폼 층으로 차량을 이송한다. 플랫폼 층 및 차량 승강기 간의 상호 작동에 의해서 차량의 위치를 차량 승강기에서 플랫폼 층으로 전환시킬 수가 있으며, 차량 승강기는 다시 1층으로 복귀하여 다른 차량을 입고시키기 위한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주차설비를 사용함에 있어서, 차량을 입고시키는 과정 및 출고시키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은 상당하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약 1,000~2,000kg정도의 고중량이고, 고가이면서 외부 충격에 대해 민감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고속으로 이송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주차설비에서 차량 한 대를 입고 또는 출고하는 데에 십여 분에서 수십 분이 족히 걸리는 경우가 자주 있으며, 수 대의 차량이 한번에 입고 또는 출고되는 경우에는 주차순서의 밀림으로 인해 사용자가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 한 없이 길어질 수가 있다.
또한, 주차설비를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관리자가 있다면, 주차설비의 성능을 그나마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겠지만, 관리자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에 미숙한 사용자가 직접 조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입고 및 출고 시간이 더욱 연장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차량을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시켜 소요되는 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는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주차장 구조를 이용하면서, 주차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고, 되도록 저층에 유리한 구조를 제공하여 승강 모터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제조단가가 저렴한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 구조물 및 작동 구조물을 경량화 및 단순화할 수 있는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설비는 주차 구조체, 차량 승강부재, 카트 부재 및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차량 승강부재는 지면과 플랫폼 층을 이동하면서 차량을 상하로 이동하고, 카트 부재는 수평 이동을 하면서 주차 구조체의 플랫폼 층과 차량 승강부재 간에 차량을 전달할 수 있다. 플랫폼 층의 주차공간에 지지 부재가 구비되며, 지지 부 재가 카트 부재를 타고 이동하여 차량을 전달하거나 전달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차량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으며, 복잡한 설비나 구동장치 없이도 간단하게 차량을 입고 및 출고시킬 수가 있다.
주차 구조체는 2층 이상의 높이에서 설치되는 플랫폼 층을 포함한다. 1층인 지상은 종래의 주차장과 같이 별도의 설비 없이 사용하거나 다른 추가 설비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별도의 설비 없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상에 주차라인을 표시하여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주차 구조체는 2층 또는 3층 이상의 복수 층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 플랫폼 층에는 복수의 주차공간이 배치된다. 각 주차공간에는 지지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이 각각 장착되며, 지지 부재는 플랫폼 층 및 카트 부재를 이동하면서 차량을 입고 및 출고할 수가 있다.
카트 부재는 플랫폼 층의 측면을 따라 수평 이동하며, 주차공간에서 지지 부재를 안내하는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과 동일한 관계를 유지하는 하부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한다. 하부 가이드 프레임은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의 연장선 상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지지 부재가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입고 시에는 카트 부재가 지지 부재를 이송하여 차량을 전달 받은 후, 목적된 주차공간으로 지지 부재를 옮길 수가 있고, 출고 시에는 상기 카트 부재가 주차공간으로부터 차량과 지지 부재를 인출한 후, 차량 승강 부재로 차량만 전달할 수가 있다.
이에 대응하여 지지 부재는 슬라이드 몸체 및 이송용 포크부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몸체는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 및 하부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 이 동을 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가이드 롤러를 장착하고 슬라이드 몸체에 홈을 형성하여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할 수 있으며, 가이드 프레임에 레일을 형성하고 슬라이드 몸체에 롤러를 장착하여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할 수도 있다. 이송용 포크부는 슬라이드 몸체 상에 제공되며,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이송용 포크들을 포함한다. 특히, 이송용 포크들은 승강용 포크들과 교차하도록 마주보며 장착되어, 차량을 상호 교환할 수가 있다.
차량 승강부재는 승강용 포크부 및 승강 구동부를 포함한다. 승강 구동부는 승강용 포크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용 포크부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승강용 포크부는 상하로 이동하면서 지면과 플랫폼 층을 이동할 수 있다. 차량 승강부재는 승강용 포크부와 교차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지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턴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턴 테이블은 차량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차량은 어느 방향으로 진입하여도 승강용 포크부의 방향에 맞게 차량을 회전시킬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주차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참고로, 도면의 구조를 간략하게 표현하기 위해 차량 승강부재(140)는 도 3의 측면도에만 표시하고, 도 1 및 도 2에서는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주차설비(100)는 주차 구조체(110), 차량 승강부재(140), 카트 부재(170) 및 지지 부재(180)를 포함한다. 2개의 주차 구조체(110)가 서로 대칭을 이루며 마주보고 있으며, 각각 2층의 높이를 이루는 플랫폼(120)을 포함한다. 각각의 플랫폼(120)에는 복수의 주차공간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도 2와 같이, 앞뒤로 위치하는 주차공간이 서로 동일한 라인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 부재(180)는 카트 부재(170) 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주차공간을 선택하여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외에도 주차공간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지지 부재는 카트 부재가 정지하는 위치에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다.
카트 부재(170)는 2개의 플랫폼(120) 사이에 있으며, 플랫폼(120)을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을 하며, 차량 승강부재(140)가 이동하는 경로를 통과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량 승강부재(140)는 대략 주차 구조체(110)의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며, 차량을 지면에서 플랫폼(120)의 높이까지 이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차량 승강부재(140) 역시 포크 방식의 승강용 포크부(150)를 이용하여 차량을 지지할 수 있으며, 승강용 포크부(150) 및 이송용 포크부(190)의 상호 교차를 이용하여 차량을 서로 주고 받을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차량 승강부재(140)가 설치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2 이상의 차량 승강부재(140)를 설치하여 2 지역에서 승강을 할 수 있게 하면, 입고 전용 및 출고 전용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살피면, 주차 구조체(110)는 복수개의 주차공간을 포함하는 플랫폼(120) 및 각 주차공간에 배치된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126)을 포함한다. 플랫폼(120)을 포함하는 주차 구조체(110)는 지상을 포함하여 2층 또는 3층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강철 빔과 같은 기존의 구조재를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다.
2개의 플랫폼(120)에서 서로 마주보는 카트 가이드 프레임(122)의 내면에는 각각 카트 가이드 롤러(12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카트 가이드 롤러(124)는 카트 부재(170)를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트 부재(170)에 형성된 레일 홈을 일정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카트 부재(17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카트 가이드 롤러(124)는 플랫폼(120)의 안쪽 프레임을 따라 일렬로 장착되며, 하나 또는 복수개의 동력장치와 연결되어 회전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트 가이드 롤러(124)들은 체인이나 벨트 등의 동력전달장치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체인이나 벨트의 동력전달에 의해서 동시에 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가 있다.
각 플랫폼(120)에는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126)이 걸쳐서 배치된다.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126)은 지지 부재(18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주차공간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그 내면에는 플랫폼 가이드 롤러(128)가 장착되어 있다. 카트 가이드 롤러(124)와 마찬가지로, 플랫폼 가이드 롤러(128)도 체인이나 벨트 등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으며, 독립된 구동장치를 이용하거나 외부 구동장치로부터 힘을 전달 받아 함께 회전할 수가 있다.
차량 승강부재(140)는 승강용 포크부(150) 및 승강 구동부(142)를 포함한다. 승강 구동부(142)는 구동모터 또는 엔진을 포함하며, 승강 구동부(142)의 출력축은 구동모터 또는 엔진의 출력축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구동부(142)에 의해서 풀리가 회전할 수 있으며, 풀리에 감긴 와이어나 로프(144)가 권취 또는 이완되어 승강용 포크부(150)를 상하로 이송할 수가 있다. 승강용 포크부(150)는 차량 바퀴를 전/후륜에 각각 대응하는 승강용 포크(152)를 포함하며, 승강용 포크(152)는 승강용 포크부(150)의 외측 프레임에서 안쪽을 향하는 외팔보 형상으로 고정되며, 각 바퀴에 대응하여 수 개 또는 십여 개의 승강용 포크(152)들이 나란하게 고정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 부재 및 지지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카트 부재 및 지지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카트 부재(170)는 전후면에 형성된 카트 레일 홈(175)을 포함하며, 카트 레일 홈(175)은 카트 가이드 롤러(124)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며 카트 부재(170)의 이송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카트 레일 홈(175)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카트 가이드 롤러(124)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카트 부재(170)는 항상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카트 가이드 롤러(124)의 회전에 의하여 서로 마주보는 플랫폼(120) 사이를 좌우로 왕복할 수 있다.
카트 부재(170)는 지지 부재(18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하부 가이드 프레임(172) 및 하부 가이드 롤러(174)를 포함한다. 하부 가이드 프레임(172)은 카트 부재(170)의 상부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며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 한, 하부 가이드 프레임(172)은 주차공간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지지 부재(180)를 카트 부재(170)의 이송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안내할 수가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하부 가이드 프레임(172)의 내면으로는 하부 가이드 롤러(174)가 각각 일렬로 장착되며(도 6 참고), 지지 부재(180)에 형성된 슬라이드 몸체(182)의 레일 홈의 이동을 제한하여 지지 부재(18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 프레임(172)은 대략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126)과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연장된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부 가이드 롤러(174) 및 플랫폼 가이드 롤러(128)가 각 프레임의 마주보는 내면에 장착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롤러들이 프레임의 대향하는 외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지지 부재(180)는 가이드 롤러들의 안내를 받아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지지 부재(180)는 슬라이드 몸체(182) 및 이송용 포크부(190)를 포함하며, 슬라이드 몸체(182) 및 이송용 포크부(190) 사이에는 스페이서(184)가 개재되어 양 부품 간에 이격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슬라이드 몸체(182)에는 종방향으로 형성된 레일 홈이 있으며, 슬라이드 몸체(182)는 레일 홈을 이용하여 하부 가이드 롤러(174) 및 플랫폼 가이드 롤러(128)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 몸체(182)의 상부에는 이송용 포크부(190)가 제공된다. 이송용 포크부(190)는 차량 승강부재(140)의 승강용 포크부(15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이송용 포크부(190)도 각 바퀴를 지지하기 위한 이송용 포크(192)를 포함하지만, 승강용 포크부(150)와는 다르게, 수 개의 이송용 포크(192)가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하 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이송용 포크(192)는 승강용 포크(152)와 서로 마주보면서 교차할 수 있으며, 교차하는 동안 상호 간섭 없이 다른 포크를 통과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용 포크(192)들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고정되고, 승강용 포크(152)들이 안쪽을 향하도록 고정된다. 하지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용 포크부(190-1)의 이송용 포크(192-1)들이 안쪽을 향하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승강용 포크부(150-1)의 승강용 포크들(152-1)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고정될 수가 있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몸체(182) 및 이송용 포크부(190) 사이로 스페이서(184)가 제공된다. 스페이서(184)에 의해서 이송용 포크(192)와 슬라이드 몸체(182) 간에는 승강용 포크부(150)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을 이용하여 지지 부재(180)가 승강용 포크부(150)가 겹쳐지도록 접근할 수가 있다.
도 6 내지 도 1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설비에서의 차량 입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참고로, 도 6 내지 도 11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실제 주차 구조체(110)의 구조 중 일부만 도시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차량의 이동 상태를 도면의 우측 상단에 간략하게 표현된 구성도를 포함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랫폼(120)에는 주차공간이 다수 배치되어 있으며, 각 플랫폼(120)에는 카트 부재(170)가 플랫폼(120)의 카트 가이드 프레임(1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지상에는 승강용 포크부(150)가 대기하고 있으며, 차량이 진입하여 승강용 포크부(150) 상에 정지하여 플랫폼(120) 상으로 이송되는 준비를 할 수 있다.
차량은 승강용 포크부(150)에 바로 진입하여 입고를 위한 준비를 할 수 있으며, 어느 한 주차 구조체(110)의 밑을 통과하여 진입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주차 구조체(110)에서는 세로로 진입하는 것이 어려울 수가 있다. 이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용 포크부(150) 상에서 회전할 수 있는 턴 테이블(160)을 이용하여 차량의 방향을 바꿀 수 있으며, 턴 테이블(160)의 포크와 승강용 포크부(150)의 포크를 상호 교차시킨 상태에서 차량을 지지하여 들어 올릴 수가 있다. 차량이 턴 테이블(160)로 진입할 때에는 승강용 포크부(150)는 턴 테이블(160) 하부에 있으며, 차량이 턴 테이블(160)로 완전히 진입한 때에는, 턴 테이블(160)이 90도 회전하고 승강용 포크부(150)가 상승하여 차량을 지지 및 상승시킬 수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승강용 포크부(150)가 차량을 지지한 상태로 상승하며, 목적된 플랫폼(120)이 있는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정지한다. 또한, 주차공간으로부터 빈 상태의 지지 부재(180)가 카트 부재(170)로 이동하며, 이때 지지 부재(180)의 슬라이드 몸체(182)는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126) 및 하부 가이드 프레임(172)을 따라 이동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카트 부재(170) 및 지지 부재(180)가 승강용 포크부(150)를 향해 이동하며, 승강용 포크부(150)의 하부로 진입할 수 있다. 지지 부재(170)가 승강용 포크부(150)의 하부에 위치하면, 도 3의 승강 구동부(142)가 승강용 포크부(150)를 아래로 이동시킨다. 승강용 포크부(150)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승강용 포크(152)와 이송용 포크(192)가 서로 교차하게 되고, 승강용 포크(152)가 이송용 포크(192)보다 아래로 이동하면서 승강용 포크(152) 상에 적재된 차량은 더 이상 승강용 포크(152)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이송용 포크(192)에 의해 지지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이송용 포크(192)가 승강용 포크(152)의 상부에 위치하며, 승강용 포크(152)는 이송용 포크부(190)와 카트 부재(170)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이송용 포크부(190)와 슬라이드 몸체(182)가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이격된 높이는 승강용 포크부(150)가 충분히 이동할 수 있는 높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송용 포크부(190) 및 카트 부재(170)는 승강용 포크부(150)의 간섭 없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카트 부재 (170)는 차량을 적재한 상태에서 바로 목적된 주차공간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카트 부재(170) 및 지지 부재(180)가 처음의 주차공간으로 이동하며, 지지 부재(180)는 하부 가이드 프레임(172) 및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126)을 따라 주차공간으로 복귀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송용 포크부(190)와 카트 부재(170) 사이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카트 부재(170)가 이동하여도 승강용 포크부(150)는 차량 승강부재의 이동 경로 상에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카트 부재(170) 및 지지 부재(180)가 이동한 후에는 지면으로 내려가 다른 차량의 입고를 준비할 수 있다.
승강용 포크부(150)는 카트 부재(170)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카트 부재(170)가 지지 부재(180)와 함께 차량을 목적된 주차공간으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동안, 승강용 포크부(150)는 지상에서 다른 차량을 동시에 적재하 여 입고를 준비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대의 차량을 입고하는 과정에서 상기 주차설비(100)는 입고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가 있다.
카트 부재(170)를 이송하기 위해서, 카트 가이드 롤러(124)는 함께 회전을 하며, 카트 레일 홈(175)의 내면과 접하면서 카트 부재(170)를 옮길 수 있다. 카트 가이드 롤러(124)는 카트 가이드 프레임(122)의 내부에 체인이나 벨트 등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할 수가 있다.
도 6 내지 도 11에서 설명된 내용은 차량을 입고하는 과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을 출고하기 위해서는 도 11의 과정부터 역순으로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승강용 포크부(150)는 이송용 포크부(190) 및 카트 부재(170)사이로 진입할 수 있는 높이에서 대기하여야 하며, 승강용 포크부(150)와 이송용 포크부(190)가 교차 가능한 상태에 있을 때 승강용 포크부(150)가 상승하여 차량을 인수할 수 있다. 이는 도 9의 상태에서 도 8의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몸체(182)가 이동하기 위해서는 하부 가이드 롤러(174) 및 플랫폼 가이드 롤러(128)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여야 한다. 하부 가이드 롤러(174)는 카트 부재(170)에 장착되어 있으며, 플랫폼 가이드 롤러(128)는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126)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양 가이드 롤러를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양 가이드 롤러들이 각각 별도의 동력장치를 이용하여 회전을 하던지, 아니면 서로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동력장치를 이용하여 회전을 할 수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및 플랫폼 가이드 롤러들 간의 연 결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가이드 롤러들 간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하부 가이드 롤러(174)들은 하부 가이드 프레임(172)에 장착되어 있으며, 하부 가이드 롤러(174)들의 안쪽에는 스프로킷이 제공되고, 스프로킷들은 체인을 통해서 연결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양 단부에 있는 하부 가이드 롤러(174)는 다시 별도의 체인을 통해 하부에 위치한 전달 스프로킷과 연결되며, 전달 스프로킷은 다시 이동 마찰차(176)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동 마찰차(176)는 카트 부재(170)의 각각 양측에 형성되며, 같이 또는 별도로 작동하여 플랫폼(120)의 고정 마찰차(177)에 접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가이드 롤러(174) 및 플랫폼 가이드 롤러(128)의 회전 방향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 중간 마찰차(176-1)를 사용하지만, 당업자라면 중간 마찰차(176-1) 외에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하부 가이드 롤러(174)와 플랫폼 가이드 롤러(128)의 회전 방향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동 마찰차(176)를 고정 마찰차(177)로 접근시키기 위해서는 유/공압 실린더, 랙과 피니언, 볼 스크류 등의 종래의 이동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찰차를 이용한 동력전달장치가 카트 부재 및 플랫폼 층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지만, 다르게는 카트 부재 및 플랫폼 층의 상부 또는 측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 부재(170)에 장착된 동력장치(미도시)가 하부 가이드 롤러(174)들을 회전시키고, 상기 동력장치가 마찰차(176, 177)를 통해 플랫폼 가이드 롤러(128)까지 회전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 로서, 지지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종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 바를 장착하고, 그 가이드 바를 양쪽에서 면접하는 2개의 마찰 롤러에 물린 후, 마찰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이드 바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 부재를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의 측면에 직접 접촉하는 마찰 롤러를 이용하여 마찰 롤러의 회전을 직접 지지 부재로 전달할 수도 있다. 즉, 지지 부재를 이송하는 방법 및 구조는 종래의 다양한 이송 구조를 적용할 수고 있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이송용 포크(192) 중 차량의 전륜을 지지하는 포크들이 아래로 볼록한 곡선을 그리며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포크들의 중앙부가 아래로 처지도록 배치됨으로써, 차량 진입 시 안정된 위치를 운전자에게 간접적으로 알려줄 수 있으며, 차량을 이송하는 도중이라도 전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어 차량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는 전륜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후륜을 고정하기 위해 후륜 측 포크들을 곡선지게 고정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용 포크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승강용 포크부(151)에서 로프와 연결되는 로프 연결부(156)가 외부로 돌출되며, 로프 연결부(156)에 대응하여 주차 구조체(111)의 카트 가이드 프레임이 부분적으로 단절되어 있다. 카트 가이드 프레임의 틈을 통해서 로프 연결부(156)가 중앙 통로로부터 밖에 위치하며, 카트 부재(구)(17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카트 가이드 프레임을 부분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후면을 돌아서 연결하는 보조 연결 프레임(129)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조 연결 프레임과 유사한 방식으로 카트 가이드 롤러도 체인이나 벨트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주차설비는 1층의 공간을 종래의 주차장과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주차하는 경우, 1층 주차공간이 부족한 경우 또는 기타 2층 주차가 필요한 경우에 2, 3층의 주차공간을 사용할 수가 있어 주차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일단, 1층 주차공간을 평지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시설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2층 이상의 구조물을 간단하면서도 저렴하게 구성할 수가 있어 경제적이기도 하다.
또한, 차량 승강부재와 카트 부재가 분리되어 있어 상하 이동과 좌우 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입고 시간 및 출고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무엇보다도 승강모터를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단가도 매우 저렴하며, 주차설비를 관리하기 위한 유지비도 저렴하다.
또한, 고정 구조물 및 작동 구조물을 경량화 및 단순화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설치, 해체, 이동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여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며 복수의 주차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 층 및 각각의 주차공간에서 서로 마주보며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주차 구조체;
    주차 구조체에 인접한 위치에서 지면 및 상기 플랫폼 층 간을 이동하는 승강용 포크부 및 상기 승강용 포크부를 상하로 이송하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용 포크부는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승강용 포크들을 가지는 차량 승강부재;
    상기 승강용 포크부의 이동 경로를 통과하면서 상기 플랫폼 층의 측면을 따라 수평 이동하고, 상기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과 동일한 관계를 유지하며 상기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의 연장선 상에 배치 가능한 하부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카트 부재; 및
    상기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하부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상기 주차공간과 상기 카트 부재 간을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몸체 및 상기 슬라이드 몸체 상에 제공되며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이송용 포크들을 가지는 이송용 포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용 포크들은 상기 승강용 포크들과 교차하도록 마주보며 장착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주차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포크들은 외팔보 형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며 상기 승강용 포크부에 각각 나란하게 고정되며, 상기 이송용 포크들은 외팔보 형상으로 상기 승강용 포크들과 반대 방향을 향하며 상기 이송용 포크부에 나란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포크들 및 상기 슬라이드 몸체는 상기 승강용 포크를 횡으로 통과할 정도로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포크부 및 상기 이송용 포크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을 지지하는 포크들은 중앙부가 아래로 처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류 또는 후륜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 프레임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하부 가이드 롤러들이 상기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따라 배치되며,
    상기 하부 가이드 롤러들에 대응하여 상기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의 내면 또는 외면에도 플랫폼 가이드 롤러들이 상기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몸체는 상기 하부 가이드 프레임 또는 상기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 레일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레일 프레임은 상기 하부 가이드 롤러 및 상기 플랫폼 가이드 롤러를 수용하기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된 상부 레일 홈을 가지며, 상기 레일 홈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하부 가이드 롤러 또는 상기 플랫폼 가이드 롤러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 롤러들 및 상기 플랫폼 가이드 롤러들은 각각 벨트 또는 체인을 이용하여 함께 회전하며, 상기 슬라이드 몸체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 부재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 롤러와 연동하는 이동 마찰차가 장착되며, 상기 플랫폼 층에는 상기 플랫폼 가이드 롤러와 연동하는 고정 마찰차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 마찰차가 상기 고정 마찰차에 접근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8.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며 복수의 주차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 층 및 각각의 주차공간에서 서로 마주보며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며,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주차 구조체들;
    상기 주차 구조체들 사이에서 지면 및 상기 플랫폼 층 간을 이동하는 승강용 포크부 및 상기 승강용 포크부를 상하로 이송하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용 포크부는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승강용 포크들을 가지는 차량 승강부재; 및
    서로 마주보는 상기 플랫폼 층의 사이에서 상기 플랫폼 층을 따라 수평 이동하고, 상기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과 동일한 관계를 유지하며 상기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의 연장선 상에 배치 가능한 하부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카트 부재; 및
    상기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하부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몸체 및 상기 슬라이드 몸체 상에 제공되며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기 위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이송용 포크들을 가지는 이송용 포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용 포크들은 상기 승강용 포크들과 교차하도록 마주보며 장착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주차설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승강부재는 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 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턴 테이블은 상기 승강용 포크들과 교차하도록 마주보며 형성된 포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포크부는 외부로 돌출된 로프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프 연 결부는 상기 주차 구조체는 상기 로프 연결부의 이동을 위해 상하로 형성된 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포크들은 외팔보 형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며 상기 승강용 포크부에 각각 나란하게 고정되며, 상기 이송용 포크들은 외팔보 형상으로 상기 승강용 포크들과 반대 방향을 향하며 상기 이송용 포크부에 나란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포크들 및 상기 슬라이드 몸체는 상기 승강용 포크를 횡으로 통과할 정도로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포크부 및 상기 이송용 포크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을 지지하는 포크들은 중앙부가 아래로 처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류 또는 후륜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 프레임의 양 내면 또는 외면에는 하부 가이드 롤러들이 상 기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따라 배치되며,
    상기 하부 가이드 롤러들에 대응하여 상기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의 양 내면 또는 외면에도 플랫폼 가이드 롤러들이 상기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몸체는 상기 하부 가이드 프레임 또는 상기 플랫폼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 레일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레일 프레임은 상기 하부 가이드 롤러 및 상기 플랫폼 가이드 롤러를 수용하기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된 상부 레일 홈을 가지며, 상기 레일 홈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하부 가이드 롤러 또는 상기 플랫폼 가이드 롤러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 롤러들 및 상기 플랫폼 가이드 롤러들은 각각 벨트 또는 체인을 이용하여 함께 회전하며, 상기 슬라이드 몸체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 부재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 롤러와 연동하는 이동 마찰차가 장착되며, 상기 플랫폼 층에는 상기 플랫폼 가이드 롤러와 연동하는 고정 마찰차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 마찰차가 상기 고정 마찰차에 접근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KR1020050089480A 2005-09-26 2005-09-26 주차설비 KR100632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480A KR100632408B1 (ko) 2005-09-26 2005-09-26 주차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480A KR100632408B1 (ko) 2005-09-26 2005-09-26 주차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2408B1 true KR100632408B1 (ko) 2006-10-16

Family

ID=37626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480A KR100632408B1 (ko) 2005-09-26 2005-09-26 주차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408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7708A (zh) * 2012-03-13 2012-07-18 江苏启良停车设备有限公司 梳齿中置式横向平面移动车库
CN102635258A (zh) * 2012-05-07 2012-08-15 席善礼 多功能立体停车库
CN105239805A (zh) * 2015-10-14 2016-01-13 重庆捷掣高科技有限公司 侧移式斜停车架使用方法
CN106285099A (zh) * 2016-08-26 2017-01-04 贵州航天南海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主体横移式停车设备
CN106760764A (zh) * 2016-11-23 2017-05-31 北京康拓红外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平面移动式公交车立体车库
CN106836905A (zh) * 2017-04-05 2017-06-13 艾金山 一种车库双向存取装置
KR20170142039A (ko) * 2016-06-16 2017-12-27 주식회사 우영에스엔엘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주차용 와이어리스 장치
CN107905591A (zh) * 2017-11-02 2018-04-13 山东天辰智能停车股份有限公司 一种梳齿式横向存放智能停车设备
CN108060813A (zh) * 2017-12-25 2018-05-22 王洋 一种立体车库停车平台
CN108442776A (zh) * 2018-03-27 2018-08-24 山东大学 一种梳齿式立体车库搬运小车及方法
CN108868248A (zh) * 2018-07-19 2018-11-23 宁波大学 一种单边堆垛型直接存取式停车装置
CN109972883A (zh) * 2019-03-27 2019-07-05 东莞巢栖泊车科技有限公司 一种立体车库
CN112144934A (zh) * 2020-09-23 2020-12-29 东杰智能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智能立体车库的梳齿交换纵向横移存取车方法
CN112177403A (zh) * 2020-09-23 2021-01-05 东杰智能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在纵向移动台车与钢构架停车位之间实现摩擦存取车方法
KR102228692B1 (ko) * 2020-08-13 2021-03-15 권오철 리프팅장치
CN115352981A (zh) * 2022-09-07 2022-11-18 德森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可降低井道顶层高度的升降平台结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7035A (ja) * 1993-05-06 1994-11-15 Daifuku Co Ltd 立体駐車設備
KR19980025283A (ko) * 1998-04-10 1998-07-06 김기성 턴테이블 내장형 포크식 주차타워
KR20000003517A (ko) * 1998-06-29 2000-01-15 김성진 포크식 승강기 슬라이드식 주차장치
KR20040107191A (ko) * 2003-06-13 2004-12-20 황태홍 주차 장치
KR20050118387A (ko) * 2004-06-14 2005-12-19 황성필 포크식 팔레트를 이용한 주차설비
KR20060008653A (ko) * 2004-07-23 2006-01-27 황성필 이동형 팔레트를 이용한 포크식 주차설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7035A (ja) * 1993-05-06 1994-11-15 Daifuku Co Ltd 立体駐車設備
KR19980025283A (ko) * 1998-04-10 1998-07-06 김기성 턴테이블 내장형 포크식 주차타워
KR20000003517A (ko) * 1998-06-29 2000-01-15 김성진 포크식 승강기 슬라이드식 주차장치
KR20040107191A (ko) * 2003-06-13 2004-12-20 황태홍 주차 장치
KR20050118387A (ko) * 2004-06-14 2005-12-19 황성필 포크식 팔레트를 이용한 주차설비
KR20060008653A (ko) * 2004-07-23 2006-01-27 황성필 이동형 팔레트를 이용한 포크식 주차설비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7708A (zh) * 2012-03-13 2012-07-18 江苏启良停车设备有限公司 梳齿中置式横向平面移动车库
CN102635258A (zh) * 2012-05-07 2012-08-15 席善礼 多功能立体停车库
CN105239805A (zh) * 2015-10-14 2016-01-13 重庆捷掣高科技有限公司 侧移式斜停车架使用方法
KR20170142039A (ko) * 2016-06-16 2017-12-27 주식회사 우영에스엔엘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주차용 와이어리스 장치
KR101872685B1 (ko) * 2016-06-16 2018-06-29 주식회사 우영에스엔엘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주차용 와이어리스 장치
CN106285099A (zh) * 2016-08-26 2017-01-04 贵州航天南海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主体横移式停车设备
CN106760764A (zh) * 2016-11-23 2017-05-31 北京康拓红外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平面移动式公交车立体车库
CN106836905A (zh) * 2017-04-05 2017-06-13 艾金山 一种车库双向存取装置
CN107905591A (zh) * 2017-11-02 2018-04-13 山东天辰智能停车股份有限公司 一种梳齿式横向存放智能停车设备
CN107905591B (zh) * 2017-11-02 2023-10-20 山东天辰智能停车有限公司 一种梳齿式横向存放智能停车设备
CN108060813B (zh) * 2017-12-25 2023-09-22 王洋 一种立体车库停车平台
CN108060813A (zh) * 2017-12-25 2018-05-22 王洋 一种立体车库停车平台
CN108442776A (zh) * 2018-03-27 2018-08-24 山东大学 一种梳齿式立体车库搬运小车及方法
CN108442776B (zh) * 2018-03-27 2019-09-03 山东大学 一种梳齿式立体车库搬运小车及方法
CN108868248A (zh) * 2018-07-19 2018-11-23 宁波大学 一种单边堆垛型直接存取式停车装置
CN109972883A (zh) * 2019-03-27 2019-07-05 东莞巢栖泊车科技有限公司 一种立体车库
KR102228692B1 (ko) * 2020-08-13 2021-03-15 권오철 리프팅장치
CN112144934A (zh) * 2020-09-23 2020-12-29 东杰智能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智能立体车库的梳齿交换纵向横移存取车方法
CN112177403A (zh) * 2020-09-23 2021-01-05 东杰智能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在纵向移动台车与钢构架停车位之间实现摩擦存取车方法
CN112177403B (zh) * 2020-09-23 2021-10-22 东杰智能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在纵向移动台车与钢构架停车位之间实现摩擦存取车方法
CN115352981A (zh) * 2022-09-07 2022-11-18 德森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可降低井道顶层高度的升降平台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408B1 (ko) 주차설비
KR100864755B1 (ko) 파킹 장치
JP2009120317A (ja) 自動倉庫
KR100746595B1 (ko) 주차설비
KR101041846B1 (ko) 주차장치
KR100978840B1 (ko) 주차시스템의 차량이송장치
KR100702666B1 (ko) 다층형 주차설비
WO2024055504A1 (zh) 一种液压升降rgv小车及应用其的物料输送***
KR20130000935A (ko) 주차설비
KR20050021067A (ko) 다층형 주차타워 및 그 주차타워에서의 주차 방법
JP2009166934A (ja) 滑り荷台利用の搬送装置
KR100632407B1 (ko) 주차 설비 및 주차설비에서의 주차관리방법
KR20050110171A (ko) 다층형 주차타워 및 주차타워에서의 주차관리방법
KR20090091428A (ko) 포오크형 이동대차를 구비하는 주차설비
KR100632390B1 (ko) 이동형 주차장치
KR100605502B1 (ko) 포크식 팔레트를 이용한 주차설비
JP2007126855A (ja) 水平循環式駐車装置
JP6066107B2 (ja) 搬送台車昇降装置付き搬送装置
KR101095514B1 (ko) 포크타입 주차설비
KR102629607B1 (ko) 신속한 입출고 가능한 포크식 주차타워
KR100949764B1 (ko) 피견인차량용 주차시스템
KR20050122548A (ko) 다층형 주차설비
JP4346497B2 (ja) 水平循環式駐車装置
KR200332656Y1 (ko) 다층형 주차타워
KR20050041232A (ko) 주차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