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4078B1 - 자동원고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원고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078B1
KR100524078B1 KR10-2003-0081735A KR20030081735A KR100524078B1 KR 100524078 B1 KR100524078 B1 KR 100524078B1 KR 20030081735 A KR20030081735 A KR 20030081735A KR 100524078 B1 KR100524078 B1 KR 100524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racket
rotated
roller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7932A (ko
Inventor
김원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078B1/ko
Priority to US10/935,166 priority patent/US7296790B2/en
Publication of KR20050047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078B1/ko
Priority to US11/882,993 priority patent/US20080018044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84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on moving support, e.g. pivoting, for bringing the roller or like rotary separator into contact with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2Clutches, brakes, e.g. one-way clutch +F204
    • B65H2403/724Clutches, brakes, e.g. one-way clutch +F204 electromagnetic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자동원고이송장치는, 샤프트와, 샤프트로부터 제1방향으로 회전력만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급지대에 적재된 원고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샤프트에 설치되어 분리수단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원고를 한 장씩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샤프트로부터 제1방향으로의 회전력만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회전되는 ADF롤러와, 샤프트에 설치되어 구동수단과 샤프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해제시키는 동력절환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용이하게 원고 잼을 제거할 수 있으며, 단위시간당 원고이송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원고이송장치{Automatic document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원고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방향으로만 동력이 전달되도록 된 ADF롤러(automatic document feeding roller)를 구비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원고이송장치는, 급지대에 적재된 원고를 이 원고에 기록된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독취수단으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팩시밀리, 복사기, 스캐너, 및 복합기 등의 정보입력기능을 갖는 장치에 적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원고이송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보면, 자동원고이송장치는 그 일단에 결합된 기어(3)와 연결된 구동수단(9)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2)와, 이 샤프트(2)에 설치되는 ADF롤러(3)와, 원고(D)를 한 장씩 분리하기 위한 분리수단(4)을 구비한다. ADF롤러(3)의 선단부에는 원고(D)를 소정의 속도로 이송시키는 피드롤러(5)가 구비되는데, ADF롤러(3)의 이송속도는 피드롤러(5)의 이송속도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작다. 통상적으로는 ADF롤러(3)의 이송속도는 피드롤러(5)의 이송속도보다 약간 작다. 따라서, ADF롤러(3)에 의해 급지대로(1)부터 인출된 원고(D)가 피드롤러(5)에 의해 이송되기 시작하면 ADF롤러(3)와 피드롤러(5)와의 이송속도 차이에 의해 ADF롤러(3)와 피드롤러(5)와의 사이에서 원고(D)가 찢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원고이송장치는 클러치(미도시)를 구비한다. 클러치는 샤프트(2)가 원고(D)의 이송방향(제1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그 회전력을 ADF롤러(3)로 전달하며, 샤프트(2)가 원고(D)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제2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그 회전력이 ADF롤러(3)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원고(D)가 피드롤러(5)에 의해 이송되기 시작하면, ADF롤러(3)는 샤프트(2)보다 더 빨리 회전되게 된다. 그러면, 클러치의 작용에 의해 샤프트(2)와 ADF롤러(3)와의 연결이 해제되어 ADF롤러(3)가 피드롤러(5)의 이송 속도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회전된다.
원고(D)를 이송시키는 도중에 잼이 발생될 수 있다. 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원고(D)의 선단부를 A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클러치의 작용에 의해 ADF롤러(3)가 샤프트(2)와 자연스럽게 슬립되면서 원고 잼이 제거된다. 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원고(D)의 말단부를 B 방향으로 잡아당길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클러치가 역으로 작용되어 ADF롤러(3)가 샤프트(2)를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샤프트(2)는 구동수단(9)과 다수의 감속기어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ADF롤러(3)는 매우 큰 저항을 받으면서 회전된다. 따라서, 원고 잼을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경우에 따라서는 원고(D)가 찢어질 수도 있다.
자동원고이송장치는 급지대(1)로부터 원고(D)를 픽업하여 ADF롤러(3)로 공급하는 픽업롤러(7)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픽업롤러(7)는 원고(D)를 픽업하는 동안 만 원고(D)에 접촉되고 픽업이 완료되면 원고(D)로부터 이격된다. 이를 위해, 픽업롤러(7)는 샤프트(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브라켓(8)에 설치된다. 브라켓(8)을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구동수단(9)을 정/역회전시키는 동작이 필요하여, 이에 소요되는 시간 만큼 시간지연이 발생되어 자동원고이송장치의 단위시간당의 원고이송량이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원고 잼을 제거하기 위해 원고를 어느 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ADF롤러가 자유롭게 회전되어 원고 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개선된 자동원고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구동수단이 정/역회전에 따른 시간지연이 발생되지 않도록 개선된 자동원고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원고이송장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어 분리수단과이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원고를 한 장씩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샤프트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의 회전력만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회전되는 ADF롤러;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어 구동수단과 상기 샤프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해제시키는 동력절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원고이송장치는, 상기 샤프트로부터 제1방향으로 회전력만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급지대에 적재된 원고를 픽업하는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샤프트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1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그 회전력을 상기 브라켓에 전달하고, 상기 샤프트가 제2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그 회전력이 상기 브라켓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클러칭 수단;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2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칭 수단은, 상기 샤프트에 마련된 제1원통부와 상기 브라켓에 마련된 제2원통부에 제1압착력을 갖도록 끼워져서 상기 샤프트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1압착력에 의해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1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제1단부는 상기 브라켓에 마련된 제1삽입홈에 끼워지는 클러치 스프링; 상기 클러치 스프링의 외주를 에워싸는 원통형의 부재로서, 상기 클러치 스프링의 제2단부가 끼워지는 제2삽입홈과 돌출부가 구비된 클러치 커버; 상기 클러치 스프링이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돌출부에 접촉된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제1압착력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제1삽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 커버에는 상기 제1압착력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제2삽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브라켓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절환수단은 원고 잼이 발생된 경우에는 구동수단과 샤프트와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원고이송장치를 포함하는 화상입력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보면, 분리부재(105)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급지대(101)에 적재된 원고(D)를 한 장씩 분리하여 피드롤러(106)로 공급하는 ADF롤러(104)가 도시되어 있다. 분리수단(105)은 ADF롤러(104)에 압접되도록 탄성바이어스된 마찰부재가 사용된다. ADF롤러(104)와 원고(D), 원고(D)와 원고(D), 원고(D)와 분리수단(105)과의 마찰력의 차이에 의해 원고(D)는 한 장씩 분리되어 이송된다. 참조부호 107은 원고(D)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들이는 독취수단이다. 독취수단(107)으로서는 CIS(contact image sensor), CCD(charge coupled device)등이 사용될 수 있다. 참조부호 109A, 109B는 각각 원고(D)를 검출하는 제1, 제2검출센서이다. 제1검출센서(109A)는 급지대(101)로부터 원고(D)가 인출되었는지 여부와, 원고(D)의 선단을 피드롤러(106)에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과정 개시시기를 맞추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2검출센서(109B)는 피드롤러(106)에 의해 이송되는 원고(D)의 선단을 검출하여 독취수단(107)의 독취개시시기를 맞추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2검출센서(109B)는 원고(D)의 말단을 검출하여 원고(D)의 배출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참조부호 108은 배출롤러이며, 참조부호 102는 배출되는 원고(D)가 적재되는 트레이이다. 안정적인 급지를 위해, 급지대(101)에 적재된 원고(D)를 픽업하여 ADF롤러(104)와 분리부재(105)와의 사이로 공급하는 픽업롤러(10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특히, 급지대(101)가 거의 수평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픽업롤러(10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부호 100은 피드롤러(106), ADF롤러(104), 픽업롤러(103)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이다. 이하에서는 픽업롤러(103)가 구비된 자동원고이송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원고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3을 보면, 구동수단(100)으로부터 다수의 기어(41, 42)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샤프트(110)가 도시되어 있다. 샤프트(110)의 일단부에는 동력절환수단(120)이 설치된다. 샤프트(110)에는 ADF롤러(104)와 브라켓(130)이 설치된다. 브라켓(130)에는 픽업롤러(103)가 설치된다. 참조부호 140은 브라켓(130)이 제2방향(302)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이다.
동력절환수단(120)은 구동수단(100)과 샤프트(110)를 선택적으로 연결/해제시키는 것으로서, 전자클러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동력절환수단의 일 예로서 전자클러치를 적용한 경우에 샤프트(110)와 동력절환수단(120)과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보면, 전자클러치는 전자석(121)과, 이 전자석(121)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샤프트(110)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는 기어부(122)를 구비한다. 기어부(122)는 다수의 기어(41, 42)를 통하여 구동수단(100)과 연결되어 있다. 전자석(121)에 전류가 인가되면, 기어부(122)는 전자석(121)에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수단(100)이 회전되면, 전자석(121)은 기어부(122)와 함께 회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121)은 샤프트(110)의 D-컷부(112)에 설치되므로, 전자석(121)이 회전되면 샤프트(110)도 회전된다. 전자석(121)에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면, 기어부(122)는 전자석(121)으로부터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수단(100)이 동작되면, 기어부(122)만이 회전되고 전자석(121)과 샤프트(110)는 회전되지 않는다.
ADF롤러(104)는 샤프트(110)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다. 브라켓(130)에는 제2샤프트(150)가 회전될 수 있게 또는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제2샤프트(150)에는 퍽업롤러(103)가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다. ADF롤러(104)와 픽업롤러(103)는 샤프트(110)로부터 원고(D)의 이송방향(제1방향(301))으로만 동력을 전달받는다. 다시말하면, ADF롤러(104)와 픽업롤러(103)는 샤프트(110)가 제1방향(301)으로 회전될 때에만 제1방향(301)으로 회전되며, 샤프트(110)가 원고(D)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302)으로 회전될 때에는 회전되지 않는다.
도 5를 보면, ADF롤러(104)와 픽업롤러(103)가 샤프트(110)로부터 제1방향(301)으로만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샤프트(110)에는 제1부재(210)가 샤프트(1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제1부재(210)에는 기어부(211), 레버부(213), 및 핀결합부(212)가 구비된다. 샤프트(110)에는 핀홀(113)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핀홀(113)에는 샤프트(110)의 직경보다 긴 핀(118)이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핀(118)이 핀결합부(213)에 삽입되도록 제1부재(210)를 밀면, 제1부재(210)가 샤프트(110)에 결합된다. 제1부재(210)는 억지끼워맞춤방식에 의해 샤프트(110)에 압입될 수도 있다. 브라켓(130)에는 기어부(211)와 연결된 기어(51)가 설치된다. 제2샤프트(150)에는 기어(51)와 연결되는 기어부(221)와, 레버부(222)를 가진 제2부재(220)가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된다. 샤프트(110)와 제2샤프트(150)에는 각각 제3부재(230a,230b)가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된다. 제3부재(230a, 230b)는 각각 샤프트(110)와 제2샤프트(150)에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결합된다. 제3부재(230a, 230b)에는 대향부(232)와 경사부(233)를 가진 톱니형상의 제1동력연결부(231)와, 레버부(213, 2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상으로 몰입된 몰입부(232)가 마련된다. ADF롤러(104)와 픽업롤러(103)에는 제3부재(230a, 230b)의 제1동력연결부(231)와 상보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대향부(241)와 경사부(242)를 가진 톱니형상의 제2동력전달부(240)가 각각 마련된다.
샤프트(110)가 제1방향(301)으로 회전되면, 핀(118)에 의해 샤프트(110)에 결합된 제1부재(210)는 샤프트(110)와 함께 제1방향(301)으로 회전되며, 레버부(213)가 몰입부(232)의 일측 단부에 접촉되면서 제3부재(230a)도 제1방향(301)으로 회전된다. 샤프트(110)의 회전력은 기어부(211), 기어(51)를 거쳐 제2부재(220)의 기어부(221)로 전달된다. 제2부재(220)는 제1방향(301)으로 회전되며, 레버부(222)가 몰입부(232)의 일측 단부에 접촉되면서 제3부재(230b)도 제1방향(301)으로 회전된다. 이 때, 제1동력연결부(231)와 제2동력연결부(240)와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제3부재(230a, 230b)가 제1방향(301)으로 회전되면 제1동력연결부(231)의 대향면(233)은 제2동력연결부(240)의 대향면(241)을 밀게 된다. 따라서, ADF롤러(104)와 픽업롤러(103)는 제1방향(301)으로 회전된다.
다음으로 도 6을 보면서 샤프트(110)가 제2방향(302)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샤프트(110)가 제2방향(302)으로 회전되면, 제1부재(210), 제2부재(220), 제3부재(230a, 230b)는 모두 제2방향(302)으로 회전되고, 제1동력연결부(231)의 경사면(234)이 제2동력연결부(240)의 경사면(242)을 밀게 된다. 그러면, 제3부재(230a, 230b)가 화살표시(303) 방향으로 밀리면서 제1동력연결부(231)와 제2동력연결부(240)가 서로 이격된다. 따라서, ADF롤러(104)와 픽업롤러(103)는 회전되지 않는다.
다시 샤프트(110)가 제1방향(301)으로 회전되면, 제1부재(210)와 제2부재(220)의 레버부(213, 222)가 제3부재(230a, 230b)의 몰입부(232)를 밀어 제3부재(230a, 230b)가 도 6의 화살표시(304)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제1동력연결부(231)와 제2동력연결부(240)가 서로 결합된다. 그러면,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ADF롤러(104)와 픽업롤러(103)가 제1방향(301)으로 회전된다.
원고(D) 이송시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픽업롤러(103)는 급지대(101)로부터 원고(D)를 픽업할 때에만 원고(D)에 접촉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원고(D)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픽업롤러(103)는 브라켓(130)에 설치된다. 브라켓(130)은 샤프트(110)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브라켓(130)과 샤프트(110)와의 사이에는 샤프트(110)가 제1방향(301)으로 회전될 때 브라켓(130)이 제1방향(301)으로 회동되도록 그 회전력을 브라켓(130)에 전달하고, 샤프트(110)가 제2방향(302)으로 회전될 때에는 그 회전력이 브라켓(13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클러칭 수단(250)이 개재된다.
도 7은 클러칭수단(250)을 상세히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을 보면, 브라켓(130)의 일측벽(131)에는 샤프트(110)가 삽입되는 삽입부(132)가 마련되고, 이와 동심을 이루는 제1원통부(133)가 돌출형성된다. 측벽(131)에는 또한 클러치 스프링(270)의 제1단부(271)가 끼워지는 제1삽입홈(134)과 스토퍼(135)가 마련된다. 샤프트(110)에는 핀홀(118)이 관통형성된다. 샤프트(110)에는 제4부재(260)가 삽입된다. 제4부재(260)에는 제2원통부(261)와 핀결합부(262)가 마련된다. 제4부재(260)는 전술한 제1부재(210)와 동일한 방법으로 샤프트(110)에 결합된다. 제4부재(260)는 억지끼워맞춤방식에 의해 샤프트(110)에 압입될 수도 있다. 클러치 커버(280)는 클러치 스프링(270)을 에워싸는 중공형상의 부재이다. 클러치 커버(280)에는 클러치 스프링(270)의 제2단부(272)가 끼워지는 제2삽입홈(281)과, 그 외주로부터 돌출되어 스토퍼(135)와 접촉되는 돌출부(282)가 마련된다. 클러치 스프링(270)은 제1원통부(133)와 제2원통부(261)에 끼워진다. 클러치 스프링(270)의 내경은 제1원통부(133)와 제2원통부(261)의 외경보다 작으므로 약간 벌어지면서 끼워진다. 따라서, 클러치 스프링(270)은 제1원통부(133)와 제2원통부(261)를 제1압착력으로 압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샤프트(110)가 제1방향(301)으로 회전되면, 샤프트(110)의 회전력은 제2원통부(261)를 거쳐 클러치 스프링(270)의 제1압착력에 의해 제1원통부(133)로 전달된다. 클러치 스프링(270)의 제1단부(271)는 제1삽입홈(134)에 삽입되어 브라켓(130)을 제1방향(301)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브라켓(1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301)으로 회동되고 픽업롤러(103)는 원고(D)에 접촉된다. 픽업롤러(103)와 ADF롤러(104)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방향(301)으로 회전된다.
제1압착력은 샤프트(110)가 제1방향(301)으로 회전될 때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브라켓(130)을 제1방향(301)으로 회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크기여야 한다. 이와 같은 조건에 맞추어 제1압착력을 조절하기 위해 브라켓(130)에는 다수의 제1삽입홈(134)이 마련될 수 있다. 또, 클러치 커버(280)에도 다수의 제2삽입홈(281)이 마련될 수 있다. 클러치 스프링(270)의 제1단부(271)와 제2단부(272)를 각각 다수의 제1삽입홈(134)과 다수의 제2삽입홈(281)의 적절한 위치에 끼움으로써 제1압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픽업롤러(103)가 원고(D)에 접촉된 후에도 샤프트(110)가 제1방향(301)으로 계속하여 회전되면, 브라켓(130)은 제1방향(301)으로 더 회동하려는 경향을 가진다. 이 때에 클러치 스프링(270)의 제1단부(271)는 브라켓(130)으로부터 제2방향(302)으로 미는 반발력을 받는다. 그러면, 순간적으로 클러치 스프링(270)의 내경이 커지면서 제1압착력이 줄어들어 제1원통부(133)와 클러치 스프링(270)이 슬립된다. 따라서, 픽업롤러(103)가 원고에 접촉된 후에 샤프트(110)가 제1방향(301)으로 계속하여 회전되더라도, 픽업롤러(103)가 원고(D)에 과도한 압력을 가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접촉된 상태가 유지된다.
제1검출센서(109A)에 의하여 원고(D)의 선단이 검출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원고(D)는 피드롤러(106)에 의해 이송된다. 따라서, 그 후에는 샤프트(110)를 도이상 회전시킬 필요가 없다. 동력절환수단(120)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면, 구동수단(100)과 샤프트(110)와의 연결이 해제되어 샤프트(110)가 회전되지 않는다. 그러면,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브라켓(130)이 제2방향(302)으로 회동되어 픽업롤러(103)가 원고(D)로부터 이격된다. 이 때, 브라켓(130)이 제2방향(302)으로 회동되면서 클러치 스프링(270)의 제1단부(271)를 제2방향(302)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클러치 스프링(270)의 내경이 커지면서 제1압착력이 줄어들어 제1원통부(133)와 클러치 스프링(270)이 슬립된다. 따라서, 브라켓(130)은 부드럽게 제2방향(302)으로 회동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30)이 제2방향(302)으로 과도하게 회동되지 않도록 회동량을 규제하는 규제수단(16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구동수단(100)에 의해 샤프트(110)가 제1방향(301)으로 회전되면, 브라켓(130)이 제1방향(301)으로 회동되어 픽업롤러(103)가 원고(D)에 접촉된다. 픽업롤러(103)에 의해 픽업된 원고(D)는 ADF롤러(104)와 분리수단(105) 사이를 통과하면서 한 장만이 분리되어 이송된다. 원고(D)의 선단이 피드롤러(106)에 인입되면, 원고(D)는 피드롤러(106)에 의해 이송된다. 따라서, 브라켓(130)을 회동시키기 위하여 구동수단(100)을 정/역회전시킬 필요가 없어, 종래의 자동원고이송장치에서와 같은 시간지연이 발생되지 않는다.
피드롤러(106)의 회전선속도는 ADF롤러(104)의 회전선속도속도와 같거나 약간 빠르다. 일반적으로는 약간 빠르다. 이 속도 차이에 의해 원고(D)가 찢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ADF롤러(104)가 피드롤러(106)의 회전선속도에 맞추어 회전되어야 하므로 ADF롤러(104)와 샤프트(110)의 연결이 해제될 필요가 있다. 도 10을 보면, ADF롤러(104)가 피드롤러(106)의 회전선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제1방향(301)으로 회전되면, 제2동력연결부(240)의 경사부(242)가 제1동력연결부(231)의 경사부(234)를 밀게 되고 제3부재(230a)는 화살표시(303) 방향으로 밀린다. 따라서, 샤프트(110)와 ADF롤러(104)와의 동력연결이 해제되고, ADF롤러(104)는 피드롤러(106)의 회전선속도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회전된다.
원고(D)의 선단을 피드롤러(106)에 정렬시키기 위해 피드롤러(106)는 원고(D)의 선단이 도달될 때까지 회전되지 않거나 또는 원고(D)의 이송방향과 역방향인 제2방향(302)으로 회전될 수 있다. 피드롤러(106)가 정지된 상태 또는 제2방향(302)으로 회전되는 상태에서, 원고(D)의 선단이 제1검출센서(109A)에 의해 검출된 후에 원고(D)를 제1검출센서(109A)로부터 피드롤러(106)까지의 거리보다 약간 더 많이 이송시킨다. 그러면, 도 2의 점선(305)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원고(D)의 선단이 만곡되면서 피드롤러(106)에 가지런히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피드롤러(106)를 제1방향(301)으로 회전시키면 원고(D)가 사행(skew)없이 안정적으로 이송된다.
피드롤러(106)에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력절환수단(120)을 설치할 수 있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이 원고(D)의 선단을 피드롤러(106)에 정렬시키는 동안은 동력절환수단(120)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피드롤러(106)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정렬과정이 완료되면 동력절환수단(120)에 전류를 공급하여 피드롤러(106)를 회전시켜 원고를 이송시킬 수 있다.
정렬과정을 채용하지 않은 자동원고이송장치의 경우에는 ADF롤러(104)와 픽업롤러(103), 피드롤러(106)를 계속하여 제1방향(301)으로만 이송시키면 된다. 이 때, 원고(D)의 선단이 피드롤러(106)에 인입된 후에는 동력절환수단(120)은 구동수단(100)과 샤프트(110)와의 연결을 차단한다. 그러면, 브라켓(130)은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제2방향(302)으로 회동되어 픽업롤러(103)가 원고(D)로부터 이격되고, ADF롤러(104)는 피드롤러(106)의 이송속도에 맞추어 회전된다.
원고(D)를 이송시키는 도중에 원고 잼이 발생된 경우에는 이를 제거하여야 한다. 원고 잼은 제1검출센서(109A)와 제2검출센서(109B)를 체크함으로써 검출할 수 있다. ① ADF롤러(104)와 픽업롤러(103)가 회전되기 시작한 후에 일정 시간동안 제1검출센서(109A)에 의해 원고(D)의 선단이 검출되지 않으면 ADF롤러(104)와 피드롤러(106)와의 사이에서 원고 잼이 발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② 제1검출센서(109A)에 의해 원고(D)의 선단이 검출된 후에 일정 시간 동안에 제2검출센서(109B)에 의해 원고(D)의 선단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피드롤러(106)와 독취수단(107)과의 사이에서 원고 잼이 발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③ 제2검출센서(109B)에서 원고(D)의 선단이 검출된 후에 일정 시간 동안 제2검출센서(109B)에서 원고(D)의 말단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독취수단(107)과 배출롤러(108) 사이에서 원고 잼이 발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③의 경우에는 원고(D)의 선단이 배출롤러(108)를 지나서 트레이(102)까지 도달된 경우이므로 도 3의 A방향으로 원고(D)를 잡아 당겨서 원고 잼을 제거할 수 있다. ②의 경우에는 원고(D)의 선단이 피드롤러(106)와 독취수단(107) 사이에 있으므로 원고 잼을 제거하기 위해 원고(D)의 선단을 A방향을 잡아당기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급지대(101) 쪽으로부터 원고(D)의 말단을 B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원고 잼을 제거하여야 한다. 이는 ①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①과 ②의 경우에 원고 잼을 제거하기 위해 원고(D)의 말단을 B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ADF롤러(104)는 제2방향(302)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동력연결부(240)의 대향면(241)이 제1동력연결부(231)의 대향면(233)을 제2방향(302)으로 밀게 되고 제3부재(230)는 제2방향(302)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제1부재(210)와 샤프트(110)도 제2방향(302)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브라켓(130)과 샤프트(110)를 연결하는 클러칭수단(250)의 작용이 중요하다. 샤프트(110)가 제2방향(302)으로 회전되면 브라켓(130) 또한 제2방향(302)으로 회전되어야 하지만, 브라켓(130)은 규제수단(160)에 의해 더 이상 제2방향(302)으로는 회전될 수 없다. 이 경우에 클러치 스프링(270)은 제1단부(271)가 제1삽입홈(134)에 연결되어 있어 그 내경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비틀리게 되어 제1원통부(133)와 제2원통부(261)를 더욱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브라켓(130)이 제2방향(302)으로 회동되지 않는 한 샤프트(110), ADF롤러(104)는 제2방향(302)으로 회전될 수 없다. 원고(D)는 ADF롤러(104)와 분리부재(105)와의 사이에서 압력을 받으므로 ADF롤러(104)가 회전되지 않으면 원고(D)를 제거하기 매우 힘들다. 무리한 힘으로 원고(D)를 B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원고(D)가 찢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원고이송장치에 의하면, 이러한 염려가 없다. 샤프트(110)가 제2방향(302)으로 회전되면 클러치 스프링(270)의 제2단부(272)는 제2삽입홈(281)을 밀어 클러치 커버(280)를 제2방향(302)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클러치 커버(280)의 돌출부(282)는 스토퍼(135)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제2방향(302)으로 회전될 수가 없다. 이 상태에서 클러치 스프링(270)의 제2단부(272)가 클러치 커버(280)를 계속하여 제2방향(302)으로 밀면 클러치 스프링(270)의 내경이 벌어지게 된다. 제2원통부(261)와 클러치 스프링(270)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되어 샤프트(110)의 회전력은 브라켓(130)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고(D)를 B방향으로 잡아당기면 ADF롤러(104)와 샤프트(110)가 제2방향(302)으로 부드럽게 회전되면서 원고 잼이 쉽게 제거된다. 원고 잼이 발생되었을 때 동력절환수단(120)에 의해 구동수단(100)과 샤프트(110)와의 연결이 차단되면, 단지 ADF롤러(104)와 샤프트(110) 만이 회전되므로 더욱 쉽게 원고 잼을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원고이송장치에 의하면, 원고 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단위 시간당의 원고이송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자도원고이송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원고이송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원고이송장치를 포함하는 화상입력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원고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동력절환수단의 일 예로서 전자클러치를 적용한 경우의 샤프트와 동력절환수단과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5와 도 6은 샤프트, 픽업롤러, ADF롤러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클러칭 수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와 도 9는 클러칭 수단의 작용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10은 원고 잼을 제거할 때의 샤프트, 픽업롤러, ADF롤러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급지대 102......트레이
103......픽업롤러 104......ADF롤러
105......분리수단 106......피드롤러
107......독취수단 108......배출롤러
109A......제1검출센서 109B......제2검출센서
110......샤프트 120......동력절환수단
130......브라켓 140......탄성부재
150......제2샤프트 160......규제수단
213......레버부 231......제1동력연결부
232......몰입부 240......제2동력연결부
250......클러칭 수단 261......제2원통부
133......제1원통부 134......제1삽입홈
270......클러치 스프링 271......제1단부
272......제2단부 280......클러치 커버
281......제2삽입홈 282......돌출부
135......스토퍼 100......구동수단
301......제1방향 302......제2방향

Claims (7)

  1. 급지대에 적재된 원고를 인출하여 이송시키는 자동원고이송장치에 있어서,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어 분리수단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원고를 한 장씩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샤프트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의 회전력만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회전되는 ADF롤러;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어 구동수단과 상기 샤프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해제시키는 동력절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로부터 제1방향으로 회전력만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급지대에 적재된 원고를 픽업하는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샤프트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1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그 회전력을 상기 브라켓에 전달하고, 상기 샤프트가 제2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그 회전력이 상기 브라켓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클러칭 수단;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2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칭 수단은,
    상기 샤프트에 마련된 제1원통부와 상기 브라켓에 마련된 제2원통부에 제1압착력을 갖도록 끼워져서 상기 샤프트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1압착력에 의해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1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제1단부는 상기 브라켓에 마련된 제1삽입홈에 끼워지는 클러치 스프링;
    상기 클러치 스프링의 외주를 에워싸는 원통형의 부재로서, 상기 클러치 스프링의 제2단부가 끼워지는 제2삽입홈과 돌출부가 구비된 클러치 커버;
    상기 클러치 스프링이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돌출부에 접촉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제1압착력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제1삽입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커버에는 상기 제1압착력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제2삽입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브라켓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절환수단은 원고 잼이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샤프트와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원고이송장치.
KR10-2003-0081735A 2003-11-18 2003-11-18 자동원고이송장치 KR100524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735A KR100524078B1 (ko) 2003-11-18 2003-11-18 자동원고이송장치
US10/935,166 US7296790B2 (en) 2003-11-18 2004-09-08 Automatic document feeding apparatus
US11/882,993 US20080018044A1 (en) 2003-11-18 2007-08-08 Automatic document fee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735A KR100524078B1 (ko) 2003-11-18 2003-11-18 자동원고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932A KR20050047932A (ko) 2005-05-23
KR100524078B1 true KR100524078B1 (ko) 2005-10-26

Family

ID=3456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735A KR100524078B1 (ko) 2003-11-18 2003-11-18 자동원고이송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7296790B2 (ko)
KR (1) KR1005240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078B1 (ko) * 2003-11-18 200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원고이송장치
JP4025732B2 (ja) * 2004-01-30 2007-12-26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搬送装置
US20070052165A1 (en) * 2005-09-02 2007-03-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orque source
TWI280222B (en) * 2005-10-28 2007-05-01 Lite On Technology Corp Automatic document feeder
JP4289356B2 (ja) * 2006-02-02 2009-07-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TWI316472B (en) * 2006-07-06 2009-11-01 Teco Image Sys Co Ltd Paper separation mechanism
TWM308949U (en) * 2006-07-26 2007-04-01 Lite On Technology Corp Driving roller assembly for paper feeding apparatus
JP4822984B2 (ja) * 2006-08-23 201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媒体の搬送装置、搬送方法、および記録装置
WO2008064109A2 (en) * 2006-11-22 2008-05-29 S.O.I.Tec Silicon On Insulator Technologies Equipment for high volume manufacture of group iii-v semiconductor materials
KR101353334B1 (ko) 2006-11-22 2014-02-18 소이텍 갈륨 질화물 증착에서의 반응 가스 감소
EP2094406B1 (en) 2006-11-22 2015-10-14 Soitec Method, apparatus and gate valve assembly for forming monocrystalline group iii-v semiconductor material
KR101454656B1 (ko) * 2007-02-14 2014-10-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동력 단속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5153214B2 (ja) * 2007-06-08 2013-02-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駆動ジョイント機構
TWI371419B (en) * 2007-08-29 2012-09-01 Avision Inc Paper pick-up mechanism and feeder of using the same
US8087660B2 (en) * 2008-07-21 2012-01-03 Burroughs Payment Systems, Inc. Single motor document jogger/feeder
TWI349620B (en) * 2009-03-04 2011-10-01 Avision Inc Automatic sheet feeding apparatus with clutch
TWI412264B (zh) * 2010-03-19 2013-10-11 Cal Comp Electronics & Comm Co 傳動裝置
JP2012062186A (ja) * 2010-09-17 2012-03-29 Fuji Xerox Co Ltd 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21512B2 (ja) * 2010-11-02 2014-11-12 株式会社リコー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8348260B2 (en) 2011-02-28 2013-01-08 Burroughs, Inc.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ssembly and sub-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TW201318877A (zh) * 2011-11-11 2013-05-16 Primax Electronics Ltd 自動饋紙裝置
US20130221602A1 (en) * 2012-02-29 2013-08-29 Xerox Corporation Jammed sheet reverse using active retard feeder
KR101432927B1 (ko) * 2013-02-28 2014-09-23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픽업 장치,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JP5914423B2 (ja) * 2013-07-08 2016-05-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JP6291807B2 (ja) * 2013-11-25 2018-03-14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397329B2 (ja) * 2014-12-26 2018-09-26 株式会社沖データ ローラ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170009088A (ko) * 2015-07-15 2017-01-25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급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6583224B2 (ja) * 2016-11-22 2019-10-0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装置、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3357843B1 (en) * 2017-02-07 2024-04-24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7843A (ja) 1990-01-30 1991-10-08 Ricoh Co Ltd 給紙装置
JP3378327B2 (ja) * 1993-12-28 2003-02-17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分離装置
US5718313A (en) * 1995-06-09 1998-02-17 Ricoh Company, Ltd. Clutch mechanism
TW344781B (en) * 1996-02-09 1998-11-11 Murada Kikai Kk Drive transmission mechanism
JP3517558B2 (ja) * 1996-09-30 2004-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制御装置及び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349909B2 (ja) 1997-01-17 2002-11-25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給紙装置
JPH11100136A (ja) 1997-09-29 1999-04-13 Sharp Corp 給紙装置
US6578840B1 (en) * 1997-11-07 2003-06-17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conveying apparatus
JP3671336B2 (ja) 1999-06-23 2005-07-13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搬送装置
JP4051832B2 (ja) * 1999-08-27 2008-02-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
JP3635003B2 (ja) * 2000-05-17 2005-03-30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装置
KR100370793B1 (ko) * 2001-02-01 2003-02-05 주식회사 엘맥스텍 사무기기의 용지 픽업용 스프링 클러치
US6581924B2 (en) * 2001-06-13 2003-06-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Roller gear over engagement protection for document feeder
US6651971B2 (en) * 2002-01-11 2003-11-25 Umax Data Systems, Inc. Paper collecting device
KR100413694B1 (ko) * 2002-04-02 200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KR100453066B1 (ko) * 2002-12-24 2004-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원고 피딩 장치
KR100524078B1 (ko) * 2003-11-18 200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원고이송장치
US7275741B2 (en) * 2004-06-01 2007-10-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sheet media
KR100561432B1 (ko) * 2004-06-16 200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18044A1 (en) 2008-01-24
US7296790B2 (en) 2007-11-20
US20050104273A1 (en) 2005-05-19
KR20050047932A (ko) 2005-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4078B1 (ko) 자동원고이송장치
US7726650B2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having mechanism for releasing paper jam
JP4605563B2 (ja) 自動原稿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521303B2 (ja) 自動給紙装置
JP2766679B2 (ja) 原稿搬送読取装置
US6168147B1 (en) Transmission mechanism for pick-up roller
US7441763B2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JP3130032U (ja) 給紙装置用駆動ローラ組立体
KR19980083323A (ko) 복합기의 자동 급지장치
KR100524075B1 (ko) 화상형성장치의 자동급지장치
KR100465242B1 (ko) 사무기기의 구동장치 및 그 방법
US5678815A (en) Sheet feeder
US6024357A (en) Document sheet feeding mechanism
JP3867693B2 (ja) 給紙装置
KR101991933B1 (ko) 사무자동화기기의 급지장치
KR100271161B1 (ko) 원고의 선단 정렬 장치 및 방법
KR100385053B1 (ko) 용지 정렬 기능을 갖는 급지장치
KR100370211B1 (ko) 인쇄기의 급지장치
JP2002167067A (ja) シート重送防止装置
KR940007698Y1 (ko) 팩시밀리의 송신장치
KR100214809B1 (ko) 팩시밀리의 급지롤러 동력전달장치
JP3611959B2 (ja) 給紙装置
KR20040007841A (ko) 사무자동화 기기의 용지 급지장치
KR100571913B1 (ko) 스캐닝 장치
KR940005696Y1 (ko) 복사기기의 용지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