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432B1 - 용지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용지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432B1
KR100561432B1 KR1020040044513A KR20040044513A KR100561432B1 KR 100561432 B1 KR100561432 B1 KR 100561432B1 KR 1020040044513 A KR1020040044513 A KR 1020040044513A KR 20040044513 A KR20040044513 A KR 20040044513A KR 100561432 B1 KR100561432 B1 KR 100561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m
stopper
roller
clutch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9425A (ko
Inventor
안병화
유세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4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432B1/ko
Priority to US11/097,163 priority patent/US7448623B2/en
Publication of KR20050119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84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on moving support, e.g. pivoting, for bringing the roller or like rotary separator into contact with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65H5/064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the axes of the roller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급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용지급지장치는,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샤프트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제1 샤프트에 평행하게 이격된 제2 샤프트에 지지되고 상기 구동롤러를 가압하며 상기 구동롤러에 종동 회전하는 가압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샤프트를 밀어 상기 가압롤러를 구동롤러와 이격시키는 캠; 및, 상기 가압롤러와 구동롤러의 이격이 필요한 때에 상기 제1 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캠에 전달하여 캠을 회전시키는 클러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지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Paper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with}
도 1은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된 종래의 용지급지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지급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용지급지장치의 클러칭 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용지급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5는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가 가까이 위치한 상태를, 도 6은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가 멀리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상형성장치 110 ...현상장치
125 ...전사롤러 130 ...정착장치
145 ...광주사장치 150 ...용지급지장치
151 ...구동롤러 152 ...제1 샤프트
155 ...가압롤러 156 ...제2 샤프트
160 ...캠 170 ...클러치 스프링
175 ...클러치 슬리브 185 ...트리거(trigger)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급지되는 용지에 불필요한 외력이 작용하지 못하도록 적시에 이격되는 구동롤러와 가압롤러를 구비한 용지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란 일반적으로, 프린터, 복사기 등과 같이 용지에 소정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장치와, 상기 인쇄장치까지 화상을 급지하기 위한 용지급지장치를 구비한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된 종래의 용지급지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용지급지장치(1)는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미도시)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롤러 샤프트(3)와, 상기 구동롤러 샤프트(3)에 고정 체결되어 회전하는 구동롤러(2)와, 상기 구동롤러(2)에 밀착되어 구동롤러(2)의 회전에 종동 회전하는 가압롤러(5)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롤러(5)는 힌지 샤프트(7)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여 필요한 때에 구동롤러(2)와 이격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가압 스프링(8)에 의해 구동롤러(2)를 향해 탄성 바이어스된다.
한편, 상기 가압롤러(5)와 마찬가지로 힌지 샤프트(7)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 하게 상기 힌지 샤프트(7)에 결합된 레버(10)와, 가압롤러(5)가 회동하여 구동롤러(2)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레버(10)를 가압하는 캠(12)과, 상기 캠(12)을 필요에 따라 회전시키는 전자 클러치(14)를 구비한다.
상기 용지급지장치의 구동롤러(2)가 회전하면 이에 밀착된 가압롤러(5)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양 롤러(2, 5) 사이로 용지의 전단부가 물려 통과하면서, 상기 용지가 인쇄장치로 급지된다. 상기 용지는 그 전단부부터 인쇄장치를 통과하며 화상이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용지가 구동롤러(2)와 가압롤러(5)에 물려 이송되다가 그 후단부가 상기 롤러들(2, 5) 사이를 빠져나올때, 용지에 불필요한 외력이 작용하여 인쇄 화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므로, 상기 용지의 후단부가 상기 롤러들(2, 5) 사이를 빠져나올때, 캠(12)을 회전시켜 레버(10)를 가압함으로써 가압롤러(5)가 구동롤러(2)에서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용지급지장치(1)는 가압롤러(5)를 구동롤러(2)와 이격시키기 위해, 캠(12), 전자 클러치(14) 등의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며, 구동롤러 샤프트(3)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별도로, 캠(12)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제품의 소형화가 어렵고, 생산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급지의 신뢰성이 전자 클러치(14)의 신뢰성에 크게 의존하게 되는데, 신뢰성 있는 전자 클러치의 구현은, 매우 어렵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일이어서 실질적으로 급지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 비해 단순하 고 적은 점유공간을 차지하는 용지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별도의 구동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구동롤러와 가압롤러를 이격시킬 수 있는 용지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샤프트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제1 샤프트에 평행하게 이격된 제2 샤프트에 지지되고 상기 구동롤러를 가압하며 상기 구동롤러에 종동 회전하는 가압롤러를 구비하는 용지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샤프트를 밀어 상기 가압롤러를 구동롤러와 이격시키는 캠; 및, 상기 가압롤러와 구동롤러의 이격이 필요한 때에 상기 제1 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캠에 전달하여 캠을 회전시키는 클러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러칭 수단은, 상기 제1 샤프트에 고정 체결된 부시(bush)와 상기 캠에 끼워지며,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캠에 마련된 제1 삽입홈에 끼워지는 클러치 스프링; 상기 클러치 스프링을 에워싸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상기 클러치 스프링의 타측 단부가 끼워지는 제2 삽입홈을 구비하는 클러치 슬리브; 및, 상기 클러치 슬리브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록킹하고, 선택적으로 그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클러치 슬리브가 록킹이 해제되어 회전하면, 상기 클러치 스프링이 상 기 캠을 압착하며 상기 클러치 슬리브를 따라 회전하여 상기 캠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킹 수단은, 상기 클러치 슬리브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 상기 제2 샤프트에 꿰여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그 일측부가 상기 돌출부를 가로막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타측부를 가로막아 상기 스토퍼 및 이에 의해 가로막힌 클러치 슬리브의 회전을 막고, 선택적으로 상기 스토퍼의 타측부를 해제하여 상기 스토퍼 및 클러치 슬리브의 회전을 허용하는 트리거;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된 스토퍼가 회전 전의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된 스토퍼를 탄성 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감겨져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캠은 구동롤러를 사이에 두고 제1 샤프트의 양 단부에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지의 이송 경로상 구동롤러 및 가압롤러에 앞서서 용지 후단의 통과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장치와, 상기 인쇄장치로 용지를 급지하는 용지급지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급지장치는,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샤프트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구동롤러; 상기 제1 샤프트에 평행하게 이격된 제2 샤프트에 지지되고 상기 구동롤러를 가압하며 상기 구동롤러에 종동 회전하는 가압롤러; 상기 제2 샤프트를 밀어 상기 가압롤러를 구동롤러와 이격시키는 캠; 및, 상기 가압롤러와 구동롤러의 이격이 필요한 때에 상기 제1 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캠에 전달하여 캠을 회전시키는 클러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러칭 수단은, 상기 제1 샤프트에 고정 체결된 부시(bush)와 상기 캠에 끼워지며,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캠에 마련된 제1 삽입홈에 끼워지는 클러치 스프링; 상기 클러치 스프링을 에워싸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상기 클러치 스프링의 타측 단부가 끼워지는 제2 삽입홈을 구비하는 클러치 슬리브; 및, 상기 클러치 슬리브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록킹하고, 선택적으로 그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클러치 슬리브가 록킹이 해제되어 회전하면, 상기 클러치 스프링이 상기 캠을 압착하며 상기 클러치 슬리브를 따라 회전하여 상기 캠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록킹 수단은, 상기 클러치 슬리브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 상기 제2 샤프트에 꿰여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그 일측부가 상기 돌출부를 가로막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타측부를 가로막아 상기 스토퍼 및 이에 의해 가로막힌 클러치 슬리브의 회전을 막고, 선택적으로 상기 스토퍼의 타측부를 해제하여 상기 스토퍼 및 클러치 슬리브의 회전을 허용하는 트리거;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된 스토퍼가 회전 전의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된 스토퍼를 탄성 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감겨져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캠은 구동롤러를 사이에 두고 제1 샤프트의 양 단부에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지의 이송 경로상 구동롤러 및 가압롤러에 앞서서 용지 후단의 통과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지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지급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용지급지장치의 클러칭 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용지급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5는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가 가까이 위치한 상태를, 도 6은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가 멀리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에 광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소정 색상의 토너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화상을 인쇄하는, 소위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로서, 케이스(101)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장치(110)와, 전사롤러(125), 및 정착장치(130)를 구비한다. 또한, 인쇄될 용지(P)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135), 용지급지장치(150), 및 광(光)주사장치(145)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장치(110)는 하우징(111)과, 상기 하우징(111) 내부에 광(光)주사 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115)과, 상기 감광드럼(115)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롤러(117)와, 상기 감광드럼(115)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인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可視)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120)와, 상기 현상롤러(120)의 표면에 부착되는 토너의 두께를 규제하는 규제블레이드(121), 및 상기 현상롤러(120)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롤러(12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1) 내부에는 토너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현상제 수용공간에는 수용된 토너를 굳지 않도록 요동시켜 주는 교반기(agitator, 123)가 마련된다. 상기 현상장치(110)는 카트리지 형태로 되어 있어, 그 내부의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체된다.
상기 전사롤러(125)는 상기 감광드럼(115)에 대향되어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감광드럼(115)에 형성된 가시(可視) 화상이 전사롤러(125)와 감광드럼(115)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P)에 전사되도록 상기 용지(P)를 상기 감광드럼(115) 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정착장치(130)는, 히트롤러(131), 및 그와 대향되게 위치하는 가압롤러(132)를 구비하여, 상기 가시(可視) 화상이 전사된 용지(P)가 히트롤러(131)와 가압롤러(132) 사이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으로 상기 가시 화상을 용지(P)에 정착시킨다.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상기 정착장치(130)를 통과하여 소정의 화상이 인쇄된 용지(P)를 케이스(101) 외부의 배지대(102)로 배출하기 위한 배지장치(139)를 구비한다. 또한, 케이스(101) 하측부의 급지카세트(135)에 적재된 용지(P)를 한 장씩 픽업(pick-up)하는 픽업롤러(137)를 구비한다.
상기 용지급지장치(150)는 픽업된 용지(P)를 인쇄 정합(整閤)하여 현상장치(110)를 향해 이송한다. 상기 광주사장치(145)는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광빔(L)을 상기 감광드럼(115)의 외주면에 주사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감광드럼(115)은 상기 대전롤러(117)를 통해 소정 전위로 대전되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광주사장치(145)에서 주사된 광빔(L)에 감응하여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장치 하우징(111) 내부의 토너는 공급롤러(122) 및 현상롤러(120)를 통해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드럼(115)에 공급되어, 상기 감광드럼(115) 위에 가시(可視) 화상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급지카세트(135)의 가장 위에 적재되어 있던 용지(P)는 픽업롤러(137)에 의해 픽업되고, 용지급지장치(150)에 의해 급지되어 상기 감광드럼(115)과 전사롤러(125) 사이를 통과하며, 이 때 상기 용지(P)의 감광드럼(115) 대향면에 상기 감광드럼(115)에 형성되었던 가시 화상이 전사된다. 상기 용지(P)에 전사된 가시 화상은, 정착장치(130)를 통과하며 열과 압력에 의해 상기 용지(P) 위에 정착되며, 배지장치(139)에 의해 배지되어 배지대(102)에 적재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용지급지장치(150)는, 서로 밀착되는 구동롤러(151)와 가압롤러(155)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롤러(151)는 모터(미도시)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샤프트(152)에 체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가압롤러(155)는 상기 제1 샤프트(152)에 평행하게 이격된 제2 샤프트(156)에 지지되고 상기 구동롤 러(151)의 회전에 종동하여 회전한다. 상기 가압롤러(155)는 제2 샤프트(156)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상기 제2 샤프트(156)에 끼워져 상기 제2 샤프트(156)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용지(P)는 그 선단부(Pa)가 회전하는 구동롤러(151)와 가압롤러(155) 사이로 진입하여, 상기 구동롤러(151)와 가압롤러(155)에 물려 이송된다.
상기 제1 샤프트(152)와 제2 샤프트(156)는 한 쌍의 코일 스프링(157)에 의해 양 단부가 감겨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샤프트(156)가 제1 샤프트(15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압롤러(155)도 구동롤러(151)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상기 제1 샤프트(152)에는 상기 제2 샤프트(156)를 밀어 가압롤러(155)를 구동롤러(151)와 이격시키는 캠(160)이 구비된다. 상기 캠(160)은 구동롤러(151)를 사이에 두고 제1 샤프트(152)의 양 단부에 한 쌍 구비된다. 상기 캠(160)은 제1 샤프트(152)와 동축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지만, 클러칭(clutching) 수단을 매개로 상기 제1 샤프트(152)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롤러(155)가 구동롤러(151)와 이격될 필요가 있는 때에만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샤프트(15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클러칭 수단은, 상기 제1 샤프트(152)에 차례로 꿰여 조립된 클러치 스프링(170)과 클러치 슬리브(175)를 구비한다.
상기 클러치 스프링(170)은 상기 제1 샤프트(152)에 고정되게 꿰인 부시(bush, 165)와, 상기 제1 샤프트(152)에 회전 가능하게 꿰인 캠(160)에 끼워진 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시(165)와 캠(160)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부시 원통부(166)와 캠 원통부(16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스프링(170)은 코일 스프링으로, 코일의 직경이 상기 부시 원통부(166) 및 캠 원통부(161) 보다 약간 작게 설계되고, 상기 부시 원통부(166) 및 캠 원통부(161)에 억지끼움에 의해 끼워진다.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 스프링(170)은 상기 부시 원통부(166) 및 캠 원통부(161)에 대해 압착력을 갖는다.
한편, 상기 제1 샤프트(152)에 형성된 핀홀(153)로 상기 제1 샤프트(152)의 직경보다 좀더 긴 고정핀(154)을 삽입하고, 상기 고정핀(154)의 양 단부가 제1 샤프트(152) 외주면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고정핀(154)을 부시(165)에 형성된 핀홈(167)에 삽입함에 의해, 상기 부시(165)가 제1 샤프트(152)에 고정된다.
상기 캠(160)에는 복수 개의 제1 삽입홈(1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슬리브(175)는 상기 클러치 스프링(170)을 에워싸는 파이프형의 부재로서, 그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제2 삽입홈(176)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돌출부(17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스프링(170)의 일측 단부(170a)는 복수 개의 제1 삽입홈(162) 가운데 하나에 끼워지고, 그 타측 단부(170b)는 복수 개의 제2 삽입홈(176) 가운데 하나에 끼워진다. 어느 삽입홈에 끼워지는가에 따라 부시 원통부(166)와 캠 원통부(161)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슬리브(175)는 록킹수단에 의해 그 회전이 록킹되고, 필요한 때에 선택적으로 그 록킹이 해제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록킹수단은, 클러치 슬리브(175)에 형성된 상 기 돌출부(177)와, 상기 제2 샤프트(156)에 고정되게 꿰여 상기 제2 샤프트(156)와 함께 회전하는 제1 스토퍼(180)와, 상기 제1 스토퍼(180)의 회전을 막고, 필요한 때에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스토퍼(180)의 회전을 허용하는 트리거(185)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스토퍼(180)의 일측부(180a)는 상기 돌출부(177)를 가로막고, 상기 트리거(185)가 상기 제1 스토퍼(180)의 타측부(180b)를 가로막게 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18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189)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189)가 통전되면 자력이 발생하여 레버(186)를 당기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스토퍼(180)의 타측부(180b)를 가로막던 레버(186) 선단의 걸림턱(187)이 상기 타측부(180b)를 해제하여 제1 스토퍼(180)의 회전이 허용된다.
제1 스토퍼(180)가 마련된 제2 샤프트(156)의 일측 단부의 반대편 타측 단부에는 제2 스토퍼(182)가 마련된다. 상기 제2 스토퍼(182)의 일측부(182a)는 제1 스토퍼(180)의 일측부(180a)와 마찬가지로 클러치 슬리브(175)의 돌출부(177)를 가로막는다. 그러나, 제2 스토퍼(182)의 타측부(182b)에는 스프링(190)이 체결된다. 상기 제2 스토퍼(182)는 제1 스토퍼(180)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스프링(190)은 회전한 제2 스토퍼(182)가 회전 전의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스토퍼(182)를 탄성 바이어스한다. 상기 스프링(190)에 의해 제2 스토퍼(182)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제1 스토퍼(180)도 함께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용지급지장치(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P)의 이송 경로상 구동롤러(151) 및 가압롤러(155)에 앞서서 용지 후단(Pb, 도 3 참조)의 통 과를 감지하는 센서(190)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190)가 용지 후단(Pb)의 통과를 감지하면, 그때부터 용지의 이송속도, 및 상기 센서(190)에서 상기 롤러들(151, 155)까지의 거리를 기초로 하여 계산된 시간 경과후에 상기 트리거(185)가 작동되어 가압롤러(155)가 구동롤러(151)로부터 이격된다.
이하, 상기 용지급지장치(150)의 작동을 설명한다. 용지(P)가 그 선단부(Pa)부터 구동롤러(151)와 가압롤러(155) 사이를 통과하며 급지되는 동안에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토퍼(180)의 타측부(180b)가 트리거(185)의 걸림턱(187)에 가로막혀 있고, 클러치 슬리브(175)의 돌출부(177)는 상기 스토퍼(180)의 일측부(180a)에 가로막혀 있어, 제1 샤프트(152)가 회전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클러치 슬리브(175)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클러치 스프링(170)은, 그 코일의 직경이 확장되어 부시 원통부(166)를 가압하지 않게 되므로, 제1 샤프트(152)가 회전함에도 불구하고 클러치 스프링(170)은 회전하지 않으며, 캠(160)도 회전하지 않는다.
용지 후단부(Pb)가 센서(190)를 통과하면 센서(190)가 이를 감지하고, 상기 계산된 시간 경과후 트리거(185)의 솔레노이드(189)가 통전된다. 그리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189)의 자력(磁力)에 의해 레버(186)가 솔레노이드(189) 측으로 당겨지고 제1 스토퍼(180)는 걸림턱(187)에 의한 잠김에서 해방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 슬리브(175)의 돌출부(177)의 잠김도 해제되며, 상기 클러치 스프링(170)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그 코일의 직경이 축소되어 상기 부시 원통부(166)를 가압하게 되고, 제1 샤프트(152)에 종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 에 따라, 상기 클러치 슬리브(175)와 캠(160)도 연쇄적으로 회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샤프트(156)가 캠(160)에 의해 밀리고 가압롤러(155)는 구동롤러(151)로부터 이격되며, 이로 인해, 용지 후단부(Pb)가 상기 롤러들(151, 155) 사이를 빠져나오면서 불필요한 외력을 받지 않게 된다.
상기 캠(160)이 제1 샤프트(152)에 종동하여 계속 회전하면, 코일 스프링(15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구동롤러(151)와 가압롤러(155)가 다시 밀착된다. 한편, 클러치 슬리브(175)의 돌출부(177)에 밀려 회전된 제1 스토퍼(180)는, 제2 샤프트(156)에 고정 체결된 제2 스토퍼(182)가 스프링(19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 전의 원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마찬가지로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 시기에 맞춰 트리거(185)의 솔레노이드(189)를 단전(斷電)하면, 상기 레버(186)가 원위치로 복귀하여 걸림턱(187)이 다시 제1 스토퍼(180)의 타측부(180b)를 가로막게 되며, 제1 샤프트(152)에 종동 회전하던 클러치 슬리브(175)의 돌출부(177)도 다시 제1 스토퍼(180)의 일측부(180a)에 가로막히게 되고, 캠(160)도 더이상 회전하지 않고 원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이에 따라 용지급지장치(150)는 도 5의 상태로 복귀하여 후속 용지의 급지를 대기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용지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종래의 경우에 비해 구동롤러와 가압롤러를 이격시키는 구성이 단순하며 전자 클러치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용지급지장치의 구현에 필요한 공간도 작게 요구되어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고, 급지의 신뢰성도 향상된다.
둘째, 캠을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전력 소비도 줄일 수 있다.

Claims (14)

  1.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샤프트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제1 샤프트에 평행하게 이격된 제2 샤프트에 지지되고 상기 구동롤러를 가압하며 상기 구동롤러에 종동 회전하는 가압롤러를 구비하는 용지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샤프트를 밀어 상기 가압롤러를 구동롤러와 이격시키는 캠; 및, 상기 가압롤러와 구동롤러의 이격이 필요한 때에 상기 제1 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캠에 전달하여 캠을 회전시키는 클러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급지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칭 수단은,
    상기 제1 샤프트에 고정 체결된 부시(bush)와 상기 캠에 끼워지며,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캠에 마련된 제1 삽입홈에 끼워지는 클러치 스프링; 상기 클러치 스프링을 에워싸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상기 클러치 스프링의 타측 단부가 끼워지는 제2 삽입홈을 구비하는 클러치 슬리브; 및, 상기 클러치 슬리브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록킹하고, 선택적으로 그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클러치 슬리브가 록킹이 해제되어 회전하면, 상기 클러치 스프링이 상기 캠을 압착하며 상기 클러치 슬리브를 따라 회전하여 상기 캠이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급지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수단은,
    상기 클러치 슬리브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 상기 제2 샤프트에 꿰여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그 일측부가 상기 돌출부를 가로막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타측부를 가로막아 상기 스토퍼 및 이에 의해 가로막힌 클러치 슬리브의 회전을 막고, 선택적으로 상기 스토퍼의 타측부를 해제하여 상기 스토퍼 및 클러치 슬리브의 회전을 허용하는 트리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급지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회전된 스토퍼가 회전 전의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된 스토퍼를 탄성 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급지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감겨져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급지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구동롤러를 사이에 두고 제1 샤프트의 양 단부에 한 쌍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급지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용지의 이송 경로상 구동롤러 및 가압롤러에 앞서서 용지 후단의 통과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급지장치.
  8.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장치와, 상기 인쇄장치로 용지를 급지하는 용지급지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급지장치는,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샤프트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구동롤러; 상기 제1 샤프트에 평행하게 이격된 제2 샤프트에 지지되고 상기 구동롤러를 가압하며 상기 구동롤러에 종동 회전하는 가압롤러; 상기 제2 샤프트를 밀어 상기 가압롤러를 구동롤러와 이격시키는 캠; 및, 상기 가압롤러와 구동롤러의 이격이 필요한 때에 상기 제1 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캠에 전달하여 캠을 회전시키는 클러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칭 수단은,
    상기 제1 샤프트에 고정 체결된 부시(bush)와 상기 캠에 끼워지며,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캠에 마련된 제1 삽입홈에 끼워지는 클러치 스프링; 상기 클러치 스프링을 에워싸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상기 클러치 스프링의 타측 단부가 끼워지는 제2 삽입홈을 구비하는 클러치 슬리브; 및, 상기 클러치 슬리브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록킹하고, 선택적으로 그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클러치 슬리브가 록킹이 해제되어 회전하면, 상기 클러치 스프링이 상기 캠을 압착하며 상기 클러치 슬리브를 따라 회전하여 상기 캠이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수단은,
    상기 클러치 슬리브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 상기 제2 샤프트에 꿰여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그 일측부가 상기 돌출부를 가로막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타측부를 가로막아 상기 스토퍼 및 이에 의해 가로막힌 클러치 슬리브의 회전을 막고, 선택적으로 상기 스토퍼의 타측부를 해제하여 상기 스토퍼 및 클러치 슬리브의 회전을 허용하는 트리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회전된 스토퍼가 회전 전의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된 스토퍼를 탄성 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감겨져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구동롤러를 사이에 두고 제1 샤프트의 양 단부에 한 쌍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8 항에 있어서,
    용지의 이송 경로상 구동롤러 및 가압롤러에 앞서서 용지 후단의 통과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44513A 2004-06-16 2004-06-16 용지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561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513A KR100561432B1 (ko) 2004-06-16 2004-06-16 용지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11/097,163 US7448623B2 (en) 2004-06-16 2005-04-04 Paper feeding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513A KR100561432B1 (ko) 2004-06-16 2004-06-16 용지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425A KR20050119425A (ko) 2005-12-21
KR100561432B1 true KR100561432B1 (ko) 2006-03-17

Family

ID=35479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513A KR100561432B1 (ko) 2004-06-16 2004-06-16 용지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48623B2 (ko)
KR (1) KR1005614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368B1 (ko) * 2018-12-17 2019-07-11 (주)진코퍼레이션 자동 라벨 부착 장치의 피딩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078B1 (ko) * 2003-11-18 200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원고이송장치
US7455295B2 (en) * 2005-08-08 2008-1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ip pressure
JP4516542B2 (ja) * 2006-03-30 2010-08-04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用紙搬送装置
US7523933B2 (en) * 2006-08-17 2009-04-28 Xerox Corporation Adjustable force driving nip assemblies for sheet handling systems
TWI344442B (en) * 2007-07-20 2011-07-01 Avision Inc Document feeder using document ejecting mechanism
US7967289B2 (en) * 2009-08-26 2011-06-28 Xerox Corporation Drive roll/idler roll nip release mechanism
JP5625740B2 (ja) * 2010-10-26 2014-11-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媒体加圧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TW201402346A (zh) * 2012-07-06 2014-01-16 Hon Hai Prec Ind Co Ltd 印表機壓紙裝置
JP2015013719A (ja) * 2013-07-04 2015-01-22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材厚み検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965874B2 (ja) * 2013-08-30 2016-08-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搬送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06477918A (zh) * 2016-08-15 2017-03-08 湖南玉丰真空科学技术有限公司 真空玻璃动态辊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8195A (en) * 1989-08-25 1990-09-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using envelopes
EP0431808A3 (en) * 1989-12-08 1992-05-20 Tokyo Electric Co., Ltd. Tag printer
US5203553A (en) * 1992-03-19 1993-04-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utomatic document feeder
US5358230A (en) * 1992-04-24 1994-10-25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lying apparatus
JPH06340081A (ja) * 1993-04-19 1994-12-13 Xerox Corp 全幅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プリントヘッドメンテナンス装置
JP3126548B2 (ja) * 1993-05-19 2001-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媒体搬送装置
KR0132039B1 (ko) * 1993-05-24 1998-10-01 김광호 전자사진 현상방식 프린터의 잼 제거방법
JP3459695B2 (ja) 1994-12-20 2003-10-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該シート給送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930670A (ja) 1995-07-21 1997-02-04 Oki Data:Kk 印刷装置
JPH10250882A (ja) 1997-03-11 1998-09-22 Tokyo Koku Keiki Kk 枚葉印刷機の給紙装置
US6547239B2 (en) * 2000-03-23 2003-04-15 Fuji Photo Film Co., Ltd. Roller structure for sheet feeding apparatus
KR100421973B1 (ko) * 2001-12-29 200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의 드라이브롤러 해제장치
US6817611B2 (en) * 2002-05-22 2004-11-16 Agfa Corporation Nip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7090215B2 (en) * 2003-06-16 2006-08-15 Xerox Corporation Printer paper path plural nips releasing system
JP4218509B2 (ja) * 2003-11-26 2009-02-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材給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368B1 (ko) * 2018-12-17 2019-07-11 (주)진코퍼레이션 자동 라벨 부착 장치의 피딩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425A (ko) 2005-12-21
US7448623B2 (en) 2008-11-11
US20050280206A1 (en)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8623B2 (en) Paper feeding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9045298B2 (en) Paper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KR101521076B1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KR20120053580A (ko) 화상형성장치
JP5979922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523982B1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용지이송방법
US8989650B2 (en) Printing medium alignment device with rollers attache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200004180A1 (en) Rotatable cam gear to rotate an alignment member between an alignment position and transport-allowing position
CN101000475A (zh) 易于消除卡纸的进纸盒和具有其的成像设备
US84332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060284369A1 (en) Unit for and method of registering/feeding pa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8026765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768236B2 (en) Duplex image forming apparatus
JP5213540B2 (ja) 画像形成機器
US2008016616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o convey printing medium
US10543997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977102B2 (ja)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123214B2 (en) Printing medium suppl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20009743A1 (en) Paper feeding device for preventing paper slip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230416030A1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717039B1 (ko) 급지 정렬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와, 용지의급지 정렬 방법
KR100395521B1 (ko) 레이저 프린터의 인쇄용지 이송장치
US2021022994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driving pickup roller
KR100580211B1 (ko) 용지정렬(整列)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KR200144682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카세트 장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