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881B1 - 안경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 그 렌즈홀더 부착장치 및 렌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경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 그 렌즈홀더 부착장치 및 렌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881B1
KR100478881B1 KR10-2001-0066180A KR20010066180A KR100478881B1 KR 100478881 B1 KR100478881 B1 KR 100478881B1 KR 20010066180 A KR20010066180 A KR 20010066180A KR 100478881 B1 KR100478881 B1 KR 10047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aw
lens holder
holder
spec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3533A (ko
Inventor
아키야마히사노리
진보마사히로
타나카노리히사
사무카와마사히코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33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8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optical work, e.g. lenses, prisms
    • B24B9/146Accessories, e.g. lens m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17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32Combined cutting and grinding thereof
    • B29D11/00942Combined cutting and grinding thereof where the lens material is mounted in a support for mounting onto a cutting device, e.g. a lathe, and where the support is of machinable material, e.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51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진 다초점 렌즈 또는 다초점 렌즈에 렌즈홀더를 부착할 때, 가공 간섭이 없는 부착위치를 기능적으로 구하여 부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안경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렌즈홀더는, 화상처리장치에 의해 미가공 렌즈의 화상을 입력 및 처리하여 히든마크의 위치 또는 세그먼트의 에지위치를 구하고, 상기 구한 히든마크의 위치 또는 세그먼트의 에지위치, 미리 구해진 안경프레임의 데이터 및 렌즈홀더의 렌즈 지지면의 형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렌즈홀더를 미가공 렌즈에 부착하는 경우 가공 간섭의 범위 밖에 설정된 위치에 있는 미가공 렌즈에 부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안경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 그 렌즈홀더 부착장치 및 렌즈 제조방법{A METHOD FOR ATTACHING A LENS HOLDER TO A SPECTACLE LENS, AN APPARATUS THEREFO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LENS}
본 발명은 안경 렌즈용 미가공 렌즈에, 미리 미가공 렌즈(uncut lens)에 부착되어 가장자리 연삭 가공에서 미가공 렌즈의 회전 중심축으로서 사용된 지그인 렌즈홀더를 부착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미가공 안경렌즈(일반적으로는, 원형형상을 한 소위 둥근 렌즈이다)를 안경프레임의 형상에 적합한 형상으로 가공하여, 이 가공 렌즈를 안경프레임에 끼워 넣어 제작된다. 이 안경 제작을 위해서는, 레이아웃을 수행해야 한다.
우선, 안경 착용자의 눈에 관한 처방 데이터(도수(dioptric power), 난시도수(cylindrical dioptric power), 좌우 눈 사이의 거리 및 그 밖의 데이터 등)나 안경 착용자가 선택한 안경프레임의 형상에 관한 데이터 등에 의거한 광학 중심의 위치 등을 결정하는 단계에 의해 레이아웃을 실현한다. 이 레이아웃은, 기본적으로, 완성 후의 안경을 착용한 사람의 동공 중심 위치에서 안경렌즈의 광학 중심(단초점 렌즈의 경우) 또는 아이포인트(eye point)(다초점 렌즈의 경우)가 일치하도록 필수적으로 행해진다.
일반적으로, 착용자가 선택한 안경프레임을 착용한 경우, 안경프레임의 형상의 기하학적 중심이 착용자의 동공중심에 대응한 위치가 되는 것은 좀처럼 드물다. 이 때문에, 미가공 렌즈를 안경프레임의 형상에 맞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경우, 그 가공에 의해 형성된 형상(안경프레임의 형상)의 기하학 중심을 단순히 렌즈의 광학 중심의 위치에 일치시켜 가공하면, 이 가공된 렌즈를 안경프레임에 끼워 완성한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에, 동공중심이 렌즈의 광학 중심이나 아이포인트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생긴다. 이 때문에, 광학 중심 또는 아이포인트를 기하학 중심의 위치로부터 이동하거나 벗어나 광학 중심이 동공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가 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레이아웃이 결정되면, 이 레이아웃 조건이나 착용자의 처방을 만족함과 동시에 가공이 가능한 미가공 렌즈가 선정되어, 렌즈 가공이 행하여진다. 이 미가공 렌즈의 가공은, 미가공 렌즈의 광학면에 거의 직교하는 소정 축을 중심으로 하여 이 미가공 렌즈를 회전하면서 그 미가공 렌즈의 가장자리부를 연삭기 또는 커터로 깎아내는 렌즈 가공장치에 의해서 행해진다. 이 렌즈 가공장치에 의해서 미가공 렌즈를 가공하는 경우는, 미가공 렌즈의 회전축으로서 사용된 지그인 렌즈홀더를 미리 미가공 렌즈에 부착하는 것이 행해진다.
종래에, 렌즈홀더는 단초점 렌즈일 경우 광학 중심의 위치에 부착된다. 누진 다초점 렌즈 또는 다초점 렌즈(일반적으로, 이중 초점 렌즈)일 경우, 렌즈홀더는 렌즈의 아이포인트의 위치에 부착된다. 이 아이포인트 위치에 렌즈홀더를 부착하는 장치로서는, 일본국 특개평 11-216650 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개평 11-216650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를 사용할 경우, 미가공 렌즈를 스크린에 투영하여 히든(hidden) 마크 등의 상을 관찰하여, 이 히든마크의 위치로부터 아이포인트 위치를 구한다. 이 아이포인트 위치가 스크린 상에서 렌즈홀더 부착장치의 기준위치를 나타낸 십자 초점판(cross reticle)의 중심에 일치하도록 미가공 렌즈를 이동하여서 미가공 렌즈의 위치를 결정하여, 렌즈홀더를 그 결정된 위치에 부착한다.
그러나, 최근, 일정 형태의 형상을 갖는 안경프레임을 사용할 경우, 광학 중심 위치에 렌즈홀더를 부착하는 방법에 따라서 미가공 렌즈를 가공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즉, 착용자의 기호가 다양하므로, 종방향으로 매우 작은 사이즈를 갖는 형상의 안경프레임을 종종 사용한다. 안경프레임이 소정 값보다 작은 종방향 사이즈를 갖고 광학 중심에 렌즈홀더를 부착할 경우, 가공 간섭이 일어난다. 즉, 렌즈홀더의 외주부가 프레임 형상(가공하여 형성될 형상)으로부터 비어져 나온다. 따라서, 가공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배경에 주어진 것으로, 가공 간섭이 없는 부착위치를 능률적으로 구하여 부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안경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수치제어에 의한 안경 렌즈 가공 장치를 사용하여 안경프레임 형상 데이터를 포함한 가공 데이터에 의거하여 미가공 렌즈의 가장자리를 연삭 가공할 때, 미가공 렌즈에 부착되고 미가공 렌즈의 회전 중심축으로서 사용된 지그인 렌즈홀더를 안경 렌즈용 미가공 렌즈에 부착하는 안경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가공 렌즈는, 도수가 누진적으로 변화하는 누진 다초점 렌즈, 또는 주 렌즈에 전체적으로 세그먼트를 형성한 다초점 렌즈이고,
상기 누진 다초점 렌즈는, 안경 렌즈의 형상에서 미리 처방에 의거한 레이아웃 설계에 의해 결정되고 적어도 기하학 중심 위치 또는 광학 중심 위치인 기준 위치에 관하여 소정 위치에 미리 설치된 히든마크를 갖고,
상기 다초점 렌즈는, 주 렌즈와 세그먼트의 경계인 세그먼트의 가장자리 위치가, 안경 렌즈의 형상에서 미리 처방에 의거한 레이아웃 설계에 의해 결정되고 기하학 중심 위치 또는 광학 중심 위치이어도 되는 기준위치에 관하여 소정 위치에 설치되도록 주 렌즈에 배치된 세그먼트를 갖되,
화상 처리장치에 의해서 상기 미가공 렌즈의 화상을 형성하고, 그 형성된 화상을 처리하여 상기 미가공 렌즈의 히든마크 위치나 세그먼트 에지위치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구한 히든마크 위치나 세그먼트 에지위치의 데이터, 미리 구한 안경프레임 형상 데이터 및 렌즈홀더의 렌즈 지지면 형상 데이터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정보처리를 하여, 가공 간섭이 일어나는 범위, 즉 렌즈홀더의 렌즈 지지면 형상 부분이 안경프레임의 형상 이외에 있고 상기 미가공 렌즈가 가공될 수 없는 범위인 가공 간섭 범위 이외의 위치를 구하고, 상기 구한 위치를 상기 렌즈홀더를 미가공 렌즈에 부착하기 위한 위치로서 결정하고, 그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렌즈홀더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 안경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수치제어에 의한 안경 렌즈 가공 장치를 사용하여 안경프레임 형상 데이터를 포함한 가공 데이터에 의거하여 미가공 렌즈의 가장자리를 연삭 가공할 때, 미가공 렌즈에 부착되고 미가공 렌즈의 회전 중심축으로서 사용된 지그인 렌즈홀더를 안경 렌즈용 미가공 렌즈에 부착하는 안경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가공 렌즈는, 도수가 누진적으로 변화하는 누진 다초점 렌즈, 또는 주 렌즈에 전체적으로 세그먼트를 형성한 다초점 렌즈이고,
상기 누진 다초점 렌즈는, 안경 렌즈의 형상에서 미리 처방에 의거한 레이아웃 설계에 의해 결정되고 적어도 기하학 중심 위치 또는 광학 중심 위치인 기준 위치에 관하여 소정 위치에 미리 설치된 히든마크를 갖고,
상기 다초점 렌즈는, 주 렌즈와 세그먼트의 경계인 세그먼트의 가장자리 위치가, 안경 렌즈의 형상에서 미리 처방에 의거한 레이아웃 설계에 의해 결정되고 적어도 기하학 중심 위치 또는 광학 중심 위치인 기준위치에 관하여 소정 위치에 설치되도록 주 렌즈에 배치된 세그먼트를 갖되,
상기 미가공 렌즈를 고정 위치에 고정하고, 소정 제어정보에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미가공 렌즈의 위치를 계측하여 그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스테이지에 상기 미가공 렌즈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스테이지의 기준위치에 관하여 소정 위치에 설정된 기준위치를 갖는 화상처리장치에 의해 상기 미가공 렌즈의 화상을 형성하고, 그 형성된 화상을 처리하여 상기 미가공 렌즈의 히든마크 위치 또는 세그먼트 에지위치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구한 히든마크 위치나 세그먼트 에지위치의 데이터, 미리 구한 안경프레임 형상 데이터 및 렌즈홀더의 렌즈 지지면 형상 데이터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정보처리를 하여, 가공 간섭이 일어나는 범위, 즉 렌즈홀더의 렌즈 지지면 형상 부분이 안경프레임의 형상 이외에 있고 상기 미가공 렌즈가 가공될 수 없는 범위인 가공 간섭 범위 이외의 위치를 구하고, 상기 구한 위치를 상기 렌즈홀더를 미가공 렌즈에 부착하기 위한 위치로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렌즈홀더를 상기 결정된 미가공 렌즈의 위치에서 부착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스테이지에 의해, 이동스테이지의 기준 위치와 미가공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 위치가 렌즈홀더 부착장치의 소정 위치에서 소정 관계로 설정되는 렌즈홀더 부착장치의 소정 위치로 상기 미가공 렌즈를 이동하고, 상기 렌즈홀더 부착장치에 의해 미가공 렌즈에 렌즈홀더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 안경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국면은, 수치제어에 의한 안경 렌즈 가공 장치를 사용하여 안경프레임 형상 데이터를 포함한 가공 데이터에 의거하여 미가공 렌즈의 가장자리를 연삭 가공할 때, 미가공 렌즈에 부착되고 미가공 렌즈의 회전 중심축으로서 사용된 지그인 렌즈홀더를 안경 렌즈용 미가공 렌즈에 부착하는 안경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가공 렌즈는, 도수가 누진적으로 변화하는 누진 다초점 렌즈, 또는 주 렌즈에 전체적으로 세그먼트를 형성한 다초점 렌즈이고,
상기 누진 다초점 렌즈는, 안경 렌즈의 형상에서 미리 처방에 의거한 레이아웃 설계에 의해 결정되고 적어도 기하학 중심 위치 또는 광학 중심 위치인 기준 위치에 관하여 소정 위치에 미리 설치된 히든마크를 갖고,
상기 다초점 렌즈는, 주 렌즈와 세그먼트의 경계인 세그먼트의 가장자리 위치가, 안경 렌즈의 형상에서 미리 처방에 의거한 레이아웃 설계에 의해 결정되고 적어도 기하학 중심 위치 또는 광학 중심 위치인 기준위치에 관하여 소정 위치에 설치되도록 주 렌즈에 배치된 세그먼트를 갖되,
컴퓨터와,
상기 미가공 렌즈를 고정 위치에 고정하고, 상기 컴퓨터로부터의 소정 제어정보에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미가공 렌즈의 위치를 계측하여 그 위치 정보를 상기 컴퓨터에 출력하는 이동스테이지와,
상기 이동스테이지의 기준위치와 상기 미가공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위치가 소정 관계로 설정된 렌즈홀더 부착장치와,
상기 이동스테이지의 기준위치에 관하여 소정 위치에 설정된 기준위치를 갖고, 상기 미가공 렌즈의 화상을 형성하여 상기 컴퓨터의 명령 정보에 의거한 상기 형성된 화상을 처리하여 상기 미가공 렌즈의 히든마크 위치 또는 세그먼트 에지위치를 구하는 화상 처리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컴퓨터는,
상기 구한 히든마크 위치나 세그먼트 에지위치의 데이터, 미리 구한 안경프레임 형상 데이터 및 렌즈홀더의 렌즈 지지면 형상 데이터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정보처리를 하여, 가공 간섭이 일어나는 범위, 즉 렌즈홀더의 렌즈 지지면 형상 부분이 안경프레임의 형상 이외에 있고 상기 미가공 렌즈가 가공될 수 없는 범위인 가공 간섭 범위 이외의 위치를 구하고, 상기 구한 위치를 상기 렌즈홀더를 미가공 렌즈에 부착하기 위한 위치로서 결정하고,
상기 렌즈홀더를 상기 결정된 미가공 렌즈의 위치에서 부착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스테이지에 의해, 이동스테이지의 기준 위치와 미가공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 위치가 렌즈홀더 부착장치의 소정 위치에서 소정 관계로 설정되는 렌즈홀더 부착장치의 소정 위치로 상기 미가공 렌즈를 이동하고, 상기 렌즈홀더 부착장치에 의해 미가공 렌즈에 렌즈홀더를 부착하도록 구성된, 안경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국면에 의하면, 안경프레임이 종방향으로 현저하게 작은 크기를 갖는 형상을 갖더라도 확실히 가공간섭이 없는 위치에 렌즈홀더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국면에 의하면, 렌즈홀더를 가공 간섭이 없는 위치에 자동적으로 확실하고 신속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렌즈용 미가공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안경 렌즈용 미가공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은, 단계 S1 내지 S8로 구성된다. 이들 단계는, 기본적으로, 이동스테이지에 의한 미가공 렌즈의 이동, 미가공 렌즈의 위치 결정 및 미가공 렌즈의 위치 계측, 렌즈미터에 의한 측정, 화상 형성 및 화상 처리, 및 블록킹장치에 의한 블록킹 동작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들 장치와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 안경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장치를 먼저 설명하고, 그 후 안경 렌즈용 미가공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을 설명하겠다.
도 2에서, 블록킹장치(2), 이동스테이지(3) 및 렌즈미터(4)는, 컴퓨터(6)와 정보교환이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컴퓨터(6)에 의해 필요한 제어 및 정보처리를 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인 것은 후에 후술하는 것처럼, 미가공 렌즈(100)는, 컴퓨터(6)의 명령에 의해 이동스테이지(3)의 렌즈홀딩부(34)에 설치된 렌즈를 지지하는 흡착장치(34a)에 흡착 지지되고, 이 미가공 렌즈(100)의 소정 위치가 렌즈미터(4)의 측정 위치나 블록킹장치(2)의 부착위치에 정확히 일치하도록 이동되어 그 선택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 위치 정보를 컴퓨터(6)에 보낸다. 다음에 설명된 실시예는, 미가공 렌즈(100)를 상기 흡착장치(34a)에 흡착 지지한 채의 상태에서, 렌즈미터(4)에 의한 측정과 블록킹장치(2)로의 이동을 하여서, 동작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것처럼 동작을 언제나 그렇게 할 필요는 없다. 렌즈미터(4)에 의한 측정을 할 경우, 이동스테이지(3)에 의해 미가공 렌즈를 고정 위치에 일치시킨 후, 렌즈미터(4)에 설치된 적재대에 미가공 렌즈를 고정하여도 되고, 동시에 흡착에 의한 지지를 해제한다. 측정 후, 미가공 렌즈는 다시 흡착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된다.
렌즈미터(4)에 의해, 다초점 렌즈(HR) 및 이중 초점렌즈(HN)와 같은 미가공 렌즈(100)의 구면도수, 난시도수, 난시축도 및 프리즘 값이 측정되고, 미가공 렌즈(100)의 화상을 형성하고, 이 형성된 화상을 처리하여 히든마크 위치나 세그먼트 에지위치를 구한다. 컴퓨터(6)에 의해, 렌즈홀더 부착위치(블록킹 위치)는, 위치 데이터, 미리 구한 렌즈용 안경프레임의 형상 데이터, 처방 데이터(레이아웃의 데이터) 및 렌즈홀더의 형상 데이터를 소정 처리하여 구한다.
이후, 누진 다초점 렌즈(HR)(140) 및 이중 초점 렌즈(다초점 렌즈; HN)(150)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누진 다초점 렌즈 HR(140)는, 기하학 중심 O을 통과하는 수평 기준선(102) 상의 상기 기하학 중심 O으로부터 등간격(예; 17mm)으로 이격된 두 위치에 나타낸 소위 히든마크라 불리는 마크 103A 및 103B를 갖는다. 히든마크 103A 및 103B의 위치로부터 기하학 중심 O, 원용 도수 측정부(105)의 광학 중심, 근용 도수 측정부(106)의 광학 중심 및 아이포인트(107)의 위치를 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원용 도수 측정부(105)는 히든마크 103A 및 103B의 위치로부터 구해지고, 도수(원용 도수)가 측정된다.
히든마크 103A 및 103B는, 동일한 작은 원 또는 작은 원 및 문자로 나타낸다. 히든마크 아래에는 렌즈 HR의 가입도수(원용부의 외측 정점 굴절력(vertex power)과 근용부의 외측 정점 굴절력 사이의 차)와 렌즈의 종류를 나타낸 식별 마크(109)가 표시되어 있다. 가입도수를 나타내는 숫자(108)는, 안경 착용시에 귀측에 위치하는 히든마크 아래에 3자리 숫자(예, 300)로 표시된다. 따라서, 이 3자리숫자가 좌우 각각 어느 쪽의 히든마크 아래에 표시되어 있는지를 알아서, 왼쪽 눈용 렌즈인지 또는 오른쪽 눈용 렌즈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안경 렌즈는, 오른쪽 눈에 사용된 것이다. 좌측의 히든마크(103A)는 작은 원으로서 나타내고, 우측의 히든마크(103B)는 알파벳 "H"로서 나타낸다. 히든마크 103A 및 103B, 가입도수를 나타낸 숫자(108) 및 식별 마크(109)는, 렌즈가 몰딩으로 제조될 경우 렌즈 HR의 볼록면에 미소한 돌기(약 2 내지 4㎛)의 형으로 형성된다.
원용 도수 측정부(105), 근용 도수 측정부(106) 및 아이포인트(107)는, 기준위치가 렌즈 HR의 설계에 따라 다를지라도 소정 거리만큼 기하학 중심 O으로부터 이격된 기준위치에 설치된다고 정해져 있다. 예를 들면, 아이포인트(107)는 위쪽으로 소정 거리 d1(예, 2mm) 만큼 기하학 중심 O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놓이고, 원용 광학 중심(110)은 위쪽으로 소정 거리 d2(예, 4mm)만큼 아이포인트(107)의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놓인다. 따라서, 히든마크 103A, 103B의 화상을 형성하여 그 형성된 화상을 처리하여 위치의 좌표를 산출하여, 기하학 중심 O, 아이포인트(107) 및 원용 광학 중심(110)의 위치를 구할 수 있다. 이때, 그 부(111)는 먼 사물을 보는 부분(원용부)이고, 그 부(112)는 가까운 사물을 보는 부분(근용부)이고, 그 부(113)는 도수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부분(누진부)이다.
도 4에서, 다초점 렌즈(150)는, 주 렌즈(151)와 세그먼트(152)를 갖고, 세그먼트(152)의 상부 가장자리를 기준 마크(세그먼트의 가장자리)로서 사용하여 기하학 중심 O, 근용 도수 측정부의 광학 중심(118) 및 아이포인트(119)의 위치를 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세그먼트(152)의 상부 가장자리(117) 위치로부터 아이포인트(119)의 위치를 발견한 후 도수(원용 도수)를 측정한다.
렌즈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세그먼트(152)는 그 측면이 쐐기 형상을 나타내도록 주 렌즈(15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그먼트(152)의 상부 에지(117)는, 기하학 중심 O를 지나가는 수평 기준선(102)으로부터 소정 거리 d3(예, 5mm)만큼 아래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안경 렌즈가 오른쪽 눈에 사용될 경우, 세그먼트(152)는 근용 도수 측정부의 광학 중심(118)이 기하학 중심 O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소정 거리 d4(예, 5mm)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아이포인트(119)는, 수평 기준선(102) 상의 소정 거리(예, 2.5mm)만큼 기하학 중심 O으로부터 세그먼트(152)의 측면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기하학 중심 O과 아이포인트(119)의 위치는, 세그먼트(152)의 화상을 형성하고, 주 렌즈와 세그먼트의 경계인 세그먼트의 에지를 상부 에지(117)로 설정하고, 그 화상처리에 의해 세그먼트의 에지 중심 위치의 좌표를 산출하여 구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세그먼트(152)의 상부 에지(117)는, 상술한 누진 다초점 렌즈 HR일 경우의 히든마크 103A 및 103B에 대응한다. 세그먼트(152)의 위치가 기하학 중심의 좌측 또는 우측에 각각 있는 것을 아는 것으로부터 안경 렌즈가 오른쪽 눈 또는 왼쪽 눈에 사용되는 것인지를 알 수 있다. 또한, 그 부(120)는, 원용 도수 측정부이다. 도 4는 오른쪽 눈에 사용된 안경 렌즈를 나타낸 것이다.
렌즈미터(4)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렌즈미터(4)는, 마크를 검출하여 아이포인트의 위치를 산출하는데 사용된 화상 형성 처리장치(440), 원용 도수 측정장치(441) 및 오목면의 높이를 측정하는데 사용된 높이 측정장치(442)를 포함한다.
그 화상 형성 처리장치(440)는, 마크 E1을 검출하는 위치 보다 위에 설치된 누진 다초점 렌즈용 광원(450)과, 이 광원(450)과 렌즈 HR 또는 렌즈 HN 사이의 광 경로에 설치된 집광 렌즈(condensing lens)(451), 조리개(452) 및 하프 거울(half-mirror)(453)을 포함한다. 이때의 광원(450)은, 도 3에 도시된 누진 다초점 렌즈 HR의 마크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좁은 파장 폭을 갖는 적색광을 방출하는 LED가 사용되어 히든마크 103A 및 103B, 가입도수를 나타낸 숫자(108) 및 식별 마크(109)의 예리한 화상을 얻는다. 하프 거울(453)로서 투과율과 반사율의 비가 7 대 3인 거울을 사용한다.
또한, 화상 형성 처리장치(440)는, 렌즈 HR 또는 렌즈 HN의 볼록면 측에 배치된 전환수단(454), CCD와 같은 화상 입력장치(458), 화상 형성장치(459) 및 핀트 보정용 렌즈(460)와, 지지통(472)에 고정된 수속 렌즈(461, 462), 결상 렌즈(463), 반사형 스크린(464) 및 광원(465)을 구비한다.
그 전환수단(454)은, 셔터(455)와, 이 셔터(455)를 하프 거울(453)과 렌즈 홀딩장치(443) 사이의 광 경로에 선택적으로 삽입하기 위한 공기 실린더와 같은 구동장치(456)를 포함하고, 마크 검출시에 광 경로 외측에 셔터(455)를 대피시키고 렌즈의 도수 측정시에 광 경로에 그 셔터(455)를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이 수단은, 화상 형성 처리장치(440)로부터의 외측 광은, 도수 측정시에 하프 거울(453)을 통해 화상 입력장치(458)에 입사되지 않도록 사용된다.
핀트 보정용 렌즈(460)는, 렌즈 HR의 마크 검출시에 광 경로 외측에 대피시킨다. 렌즈 HN의 마크로서 세그먼트 에지(세그먼트(152)의 상부 에지(117))의 위치 검출시에, 핀트 보정용 렌즈(460)는 하프 거울(453)과 화상 입력장치(458) 사이의 광 경로에 삽입되고, 렌즈 HN의 볼록면 a에 화상 입력장치(458)를 초점을 맞추는데 사용된다.
도 5에서, 결상 렌즈(463)는, 볼록 렌즈를 포함한다. 렌즈 HR 또는 렌즈 HN의 볼록면의 화상 광선은, 수속 렌즈(461, 462)를 통해 수속하고, 그 결상 렌즈(463)를 통해 대략 동일 사이즈인 렌즈 HR 또는 렌즈 HN의 볼록면의 화상을 반사형 스크린(464) 위에 형성한다. 이때의 결상 렌즈(463)는, 안경 렌즈가 다초점 렌즈 HN일 경우 광 전송 렌즈로서 사용된다.
그 반사형 스크린(464) 위에, 반사율을 증가시키고 광 산란 작용을 높이는 입자로서 유리와 알루미늄과 같은 미세 분말로 도포된 기판을 갖는 반사 시트가 접착된다. 이 스크린은, 표면의 밝기 및 배경을 균일화시키기 위해서 모터(476)에 의해 고속(예, 3,400 rpm)으로 회전된다. 이 처리에 의해 히든마크의 부분과 히든마크 이외의 부분 사이의 콘트라스트가 명료해진다. 그 반사형 스크린(464)에 형성된 렌즈 HR 또는 렌즈 HN의 볼록면의 화상 광선은, 입사 광선과 같은 경로들을 통해 렌즈 HR 또는 렌즈 HN의 볼록면 a로 각각 되돌아오고, 상기 하프 거울(453)에 의해 반사된다. 이에 따라서, 입사된 화상은 화상 형성장치(459)로 들어가서 화상처리가 된다.
광원(465)은, 도 4에 도시된 다초점 렌즈 HN의 화상을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적색광을 갖는 LED는, 광원으로서 사용된다. 복수의 LED, 예를 들면 8개의 LED는, 결상 렌즈(463) 아래에 외주를 따라 외주방향으로 서로 간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광원(465)으로부터 방출된 광선은, 반사형 스크린(464)에 의해 반사되고, 결상 렌즈(463)와 수속 렌즈(461, 462)를 통과하여, 다초점 렌즈 HN의 오목면 b를 조사한다. 렌즈 HN의 볼록면의 화상 광선은, 하프 거울(453)에서 반사되고, 핀트 보정용 렌즈(460)를 통과하여 화상 입력장치(458)에 화상을 형성한다. 이때의 다초점 렌즈 HN은, 다초점 렌즈 HN이 볼록면 a에 조사된 경우와 비교하여 세그먼트(152)의 상부 에지(117), 즉 세그먼트 에지의 그림자가 더욱 명백하게 투영되므로, 상기 광원(465)으로부터의 광선에 의해, 오목면 b에 조사된다.
그 렌즈의 마크 검출을 할 때에, 흡착장치(34a)에 흡착 고정된 렌즈가 누진 다초점 렌즈 HR일 경우, 누진 다초점 렌즈의 광원(450)을 점등하고, 전환수단(454) 및 핀트 보정용 렌즈(460)를 화상 형성처리장치(440)의 광 경로 이외로 대피시킨 채의 상태에서 마크 검출을 한다. 이때, 광원(465)은 소등해둔다.
광원(450)을 점등하면, 광원(450)으로부터의 광선이 렌즈 HR을 조사하고, 히든마크(103A, 103B), 가입도수를 나타낸 숫자(108) 및 식별 마크(109)를 표시하는 볼록면의 화상 광선은 수속 렌즈(461, 462)를 통해 수속하고 결상 렌즈(463)를 통해 반사형 스크린(464) 위에 렌즈 HR의 볼록면의 화상을 형성한다. 반사형 스크린(464)에 형성된 렌즈 HR의 볼록면의 화상 광선은 반사되어 입사 광선과 같은 겨오를 통해 렌즈 HR의 볼록면 a로 되돌아가고, 하프 거울(453)에서 반사되어 화상 입력장치(458)의 광 수신면에 화상을 형성한다. 이 형성된 화상은, 화상 형성장치(459)로 입력되어 화상처리가 된다. 히든마크(103A, 103B), 가입도수를 나타낸 숫자(108) 및 식별 마크(109)가 검출되어, 그 히든마크(103A, 103B)의 위치가 산출된다.
또한, 가입도수를 나타낸 숫자(108)의 위치에 의해서 렌즈가 왼쪽 눈 또는 오른쪽 눈용인지를 식별하여, 식별 마크(109)에 의해 렌즈의 종류를 검출한다. 히든마크(103A, 103B)의 위치 정보에 의거한 산출에 의해 기하학 중심 O과 아이포인트(107)(도 3)의 위치를 구한다. 이 렌즈 정보, 안경프레임 형상의 데이터 및 안경 착용자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의거하여, 가공 중심 및 렌즈 HR에 대한 렌즈홀더(20)(후술함)의 축선 부착 각도를 결정한다.
렌즈가 다초점 렌즈 HN일 경우는, 다초점 렌즈용 광원(465)을 누진 다초점 렌즈용 광원(450) 대신에 사용한다. 또한, 핀트 보정용 렌즈(460)를 하프 거울(453)과 화상 입력장치(458) 사이의 광 경로에 삽입하고, 화상 입력장치(458)의 초점을 렌즈 HN의 볼록면 a에 맞추어진다. 광원(465)을 점등하면, 광선은 반사형 스크린(464)에 조사하여 반사된다. 이 반사된 광선은, 결상 렌즈(463)와 투영 렌즈(462, 461)를 통과하여 오목면 b에 조사한다. 볼록면 a에 형성된 세그먼트(152)의 상부 에지(117)의 화상 광선은, 하프 거울(453)에서 반사되어 화상 입력장치(458)로 간다. 이 화상 입력장치(458)에 입력된 화상은, 화상 형성장치(459)에 전송되어 화상 처리가 된다. 상부 에지(117)를 검출하여 그 상부 에지(117)의 위치를 산출한다.
상부 에지(117)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기하학 중심 O과 아이포인트(119)의 위치(도 4)를 산출한다. 상기 구한 렌즈 정보, 안경프레임 형상의 데이터 및 안경 착용자의 처방에 관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가공 중심 및 렌즈 HN에 대하여 렌즈홀더(20)의 축선 부착 각도를 결정한다.
상술한 것처럼, 누진 다초점 렌즈용 광원(450)과 화상 입력장치(458)를 렌즈 HR 또는 렌즈 HN의 볼록면 a측에 배치하고 렌즈 HR의 볼록면 화상을 형성할 경우, 렌즈 HR이 난시도수를 갖더라도 난시축(cylinder axis)으로 인한 화상의 왜곡이 생기지 않고, 오목면 b측에 배치된 반사형 스크린(464) 위에 렌즈 HR의 볼록면의 화상을 투영하고 그 반사형 스크린(464)에서 반사된 화상을 렌즈 HR의 볼록면 a측으로 되돌아가 화상 입력장치(458)로 유도하여서 우수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즉, 광선을 볼록면 a에 조사할 경우, 렌즈 HR를 투과할 때의 볼록면의 표면 화상은 난시축에 의해서 왜곡이 생기고 그 왜곡된 화상은 반사형 스크린(464)에 투영된다.
그러나, 이 왜곡된 화상은, 반사형 스크린(464)에서 화상이 반사된 후 렌즈 HR을 통해 볼록면 a측으로 되돌아가므로, 난시축에 의해 다시 화상이 왜곡된다. 반사형 스크린(464)으로의 경로에 형성된 화상의 왜곡은 반사된 후 경로에 형성된 왜곡으로 인해 제거된다. 따라서, 화상 입력장치(458)의 광 수신면에 왜곡되지 않은 화상을 형성하고 복잡한 보정 없이 용이하게 화상 형성장치(459)에 의해서 화상 처리를 한다.
렌즈가 다초점 렌즈 HN일 경우, 광은 오목면의 안경 렌즈를 조사하고, 볼록면의 세그먼트(152)의 상부 에지(117)의 화상이 화상 입력장치(458)에 직접 형성된다. 이 형성된 화상은, 난시축으로 인한 왜곡이 없어 우수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화상 처리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미가공 렌즈(100)의 렌즈 HR 또는 렌즈 HN의 마크의 검출을 완료한 경우, 미가공 렌즈(100)는, 흡착장치(34a)에 의해 지지된 채로 높이와 도수를 측정하는 위치E2로 이송되어, 오목면 b의 높이와 렌즈 HR 또는 렌즈 HN의 원용 도수가 측정된다.
도 5에서, 렌즈 HR 또는 렌즈 HN의 오목면 b의 높이 측정장치(442)는, 높이와 도수를 측정하는 위치 E2에 배치된다. 높이 측정장치(442)는, 높이 및 도수 측정 위치 E2보다 아래에 배치되어 오목면 b에서 렌즈 HR 또는 렌즈 HN을 조사하는 광원(500)과, 이 광원(500)으로부터 조사된 광선(483)을 평행 광선으로 배치하는 광 전송 렌즈(501)와, 광원의 화상을 렌즈 HN의 오목면 b에 형성하는 시준 렌즈(490)와, 그 시준 렌즈(490)와 광 전송 렌즈(501) 사이에 배치된 타겟(502)을 구비하여, 광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3개의 거울(503a, 503b 및 503c), 대물렌즈(504) 및 투과형 스크린(505)은, 렌즈 HR 또는 렌즈 HN의 볼록면 a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피검용 렌즈가 상술한 누진 다초점 렌즈 NR 또는 다초점 렌즈 HN이므로, 렌즈의 원용도수가 측정된다. 원용 도수 측정장치(441)에서 렌즈의 도수측정 범위는, 예를 들면 -20D 내지 +15D이다.
광원(500)은, 고휘도를 갖는 4개의 발광 다이오드(LED)(500a∼500d)로 구성된다. 이 발광 다이오드는, 계산이 용이하도록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정방형의 각 정점 위치에 배치된다. 타겟(502)으로서, 중심에 직경이 1mm인 핀 홀(510)을 갖는 핀 홀 판이 사용된다. 이 핀 홀(510)의 화상은, 타겟(502)의 패턴상으로서 시준 렌즈(490)와 대물 렌즈(504)의 작용에 의해 투과형 스크린(505) 상에 형성된다.
대물 렌즈(504)는, 거울 503a와 거울 503b 사이에 배치된다. 투과형 스크린(505)은, 유백색 또는 불투명 유리를 갖는 합성 수지판으로 이루어지고, 화상 형성 처리장치(440)의 투과형 스크린(505)과 화상 입력장치(458)는 그들 사이에 설치된 하프 거울(453)을 통해 서로 마주보고 있다.
렌즈 HR 또는 렌즈 HN의 원용 도수를 측정할 경우, 광 경로의 외측으로 핀트 보정용 렌즈(460)를 치우고, 그 광 경로에 전환수단(454)을 삽입한다. 광원(450, 465)을 소등한다. 광원(500)은, 피검용 렌즈를 높이 및 도수 측정 위치 E2에 놓지 않은 채로 점등(온으로 전환)한다. 이 광원(500)을 점등하면, 광 전송 렌즈(501)에 의해 방출 광선(483)이 평행한 광선으로 배치되고, 핀 홀 판(502)을 조사하여 시준 렌즈(490)에 도달한다. 시준 렌즈(490)를 통과한 후, 광선은 렌즈 HR 또는 렌즈 HN의 오목면 b의 위치에서 수속하여 광원의 화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광선은 다시 발산되고, 대물 렌즈(504)를 지나 투과형 스크린(505)을 조사한다.
투과형 스크린(505)에 핀 홀 판(502)의 핀 홀상(510)의 결상에서는 안경 렌즈의 도수의 작용이 없을 경우(0.00D), 핀 홀 판(502)의 핀 홀상(510)의 광선은 시준 렌즈(490)에 의해 평행한 광선으로 배치되고, 핀 홀 상(510)은 대물 렌즈(504)의 작용에 의해 투과형 스크린(505)에 형성된다. 즉, 렌즈 HR도 렌즈 HN도 높이 측정장치(442)에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LED(500a∼500d)를 순차로 각각 점등하면, 광(483)은, 순차적으로 광 전송 렌즈(501), 핀 홀 판(502)의 핀 홀(510), 시준 렌즈(490), 거울 503a, 대물 렌즈(504), 거울 503b 및 거울 503c를 통과하여, 투과형 스크린(505) 상에 핀 홀상이 형성된다. 이때, 핀 홀 판(502)은, 각 LED(500a∼500d)를 순차적으로 점등하여서 형성된 핀 홀상을 대략 동일 위치에 형성되도록 기준위치에서 지지된다.
투과형 스크린(505)에 투영된 핀 홀상의 광선은 투과형 스크린(505)과 하프 거울(453)을 통과하고, 화상 입력장치(458)내로 화상으로서 입력된다. 핀 홀의 화상을 형성하여 그 화상을 화상 처리장치(459)에 의해 화상처리함으로써, 핀 홀상의 위치를 산출하여 기준위치로서 기억된다. 피검용 렌즈를 광 통로에 설치할 경우, LED(500a∼500d)를 각각 순차적으로 점등하여서 형성된 핀 홀 판(502)의 핀 홀상은 투과형 스크린(505)의 대략 동일 위치에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렌즈미터는, 광축 방향으로 핀 홀판(502)을 이동하고 그 핀 홀판의 위치를 조정하여 그 화상이 종래의 렌즈미터와 유사하게 대략 동일 위치에 형성되는 기구를 갖는다.
피검용 렌즈의 원용 도수를 측정할 경우, 피검용 렌즈는 높이 측정장치(442)에 설치된다. 높이 측정장치(442)에 의한 측정에 의해 구한 오목면 b의 높이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Z 스테이지(33)(도 2)를 구동 제어하여, 피검용 렌즈의 오목면 b의 원용 도수 측정부가, 소정의 측정 기준 높이와 일치한다. 그 측정 기준 높이는, 시준 렌즈(490)의 초점 위치이다. 피검용 렌즈의 오목면 b의 원용 도수 측정부가 소정의 측정 기준 높이와 일치하면, 도수의 측정은 이 조건하에 수행된다. 도수 측정은, LED(500a∼500d)를 각각 순차적으로 점등하면서 수행한다.
LED(500a∼500d)로부터의 광(483)은, 피검용 렌즈를 통과하므로, 각 LED의 광에 의해 형성되고 투과형 스크린(505)에 투영된 핀 홀상의 위치는, 피검용 렌즈의 도수에 따라 프리즘 작용으로 인한 상술한 기준위치로부터 변위한다. 핀 홀상은, 화상 입력장치(458)에 입력되어 그 구한 화상이 화상 형성장치(459)에 의해 화상 처리된다. 핀 홀상의 변위량은, 각 LED(500a∼500d)에 대하여 계산된다. 즉, 핀홀상은, 대략 동일 위치에서 핀 홀 판(502)의 위치를 변위 및 조정하여서 투과형 스크린(505)에 형성된다. 핀 홀판(502)의 이동량은 화상 형성장치(459)에 기억되고, 렌즈 HR 도는 렌즈 HN의 도수는 핀 홀상의 변위량과 핀 홀판의 이동량을 도수로 변환하여서 계산된다. 기본적인 도수 산출방법은, 본 특허출원인에 의한 특개평 2-216428호 공보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이하, 블록킹장치(2)를 설명하겠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블록킹장치(2)는, 렌즈홀더(20)를 지지하고 그 렌즈홀더를 부착하기 위해 탄성실(20a)을 통해서 미가공 렌즈(100)의 표면까지 렌즈홀더(20)를 미는 종래의 장치이다. 미가공 렌즈(100)는, 이동스테이지(3)의 렌즈홀딩부(34)에 의해 지지되고, 렌즈홀더(20)의 중심축이 미가공 렌즈(100)의 부착위치에 정확히 설치되도록 고정된 위치의 렌즈 적재대(21)에 얹어 놓인다. 그래서, 렌즈홀더(20)가 미가공 렌즈에 부착된다.
컴퓨터(6)의 명령에 의해, 이동스테이지(3)는, 렌즈홀딩부(34)에 배치된 렌즈를 붙잡기 위한 흡착장치(34a)를 사용하여 흡착에 의해 미가공 렌즈(100)를 붙잡고, 미가공 렌즈를 이동하여 미가공 렌즈(100)의 소정 위치가 렌즈미터(4)의 측정 위치 또는 블록킹장치(2)의 부착 위치에 정확히 일치하도록 위치를 제어한다. 또한, X-Y 테이블은, 컴퓨터(6)에 위치 정보를 보내는 기능을 갖는다.
렌즈홀딩부(34)는 Z 스테이지(33)에 부착된다. 이 Z 스테이지(33)는, 수직 이동을 위한 종래의 기구(도 7과 도 8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Z 스테이지(33)에 의해 지지된 렌즈홀딩부(34)와 함께 수직방향(Z축 방향)으로 Z 스테이지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Z 스테이지(33)는 X 스테이지(31)에 부착된다. X 스테이지(31)는, X 스테이지가 Y 스테이지(32)상에 배치된 2개의 레일(31a)의 X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Y 스테이지(32) 상에 배치된다. X 스테이지의 이동은, 구동 펄스 모터(31c)에 의해 나사 샤프트(31b)를 회전시킴으로써 제어된다. 이 나사 샤프트(31b)는, X 스테이지(31)내에 나사 조립되어 그 나사 샤프트(31b)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Y 스테이지(32)에 부착된다.
Y 스테이지(32)는, Y스테이지가 기저 테이블(30)상에 배치된 2개의 레일(32a)의 Y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기저 테이블(30)에 배치된다. 이 Y스테이지의 이동은, 구동 펄스 모터(32c)에 의해 나사 샤프트(32b)를 회전시켜서 제어된다. 이 나사 샤프트(32b)는, Y 스테이지(32)내로 나사 조립되어 나사 샤프트(32b)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기저 테이블(30)에 부착된다. X 모터(31c)와 Y 모터(32c)는, 제어기(35)를 거쳐 컴퓨터(6)에 접속된다.
컴퓨터(6)는, 렌즈미터(4), 블록킹장치(2), 이동스테이지(3)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보내어 이들을 제어함과 동시에, 이들 장치로부터 보내진 화상 처리 데이터나 위치 데이터, 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지 않은) 안경프레임 형상을 측정하는 장치에 의한 측정 데이터 또는 입력 데이터로서 제공되는 안경프레임 형상 데이터, 렌즈홀더 형상 데이터, 처방 데이터 및 기타 정보를 처리하여, 렌즈홀더 부착위치를 결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각 장치에 필요한 제어를 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터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이후의 단계 S1 내지 S8을 수행하여서 장치를 제어한다.
(단계 S1 내지 S2)
먼저, 미가공 렌즈(도 1에 도시하지 않음)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미가공 렌즈(100)를 이동스테이지(3)의 렌즈홀딩부(34)의 흡착장치(34a)에 의해 지지한다(단계 S1). 렌즈미터(3)의 측정부까지 렌즈를 이동하여, 렌즈미터(4)의 기준위치가 미가공 렌즈(100)의 초기위치에 위치하도록 위치결정을 한다(단계 S2). 초기위치로서, 미가공 렌즈(둥근 렌즈)의 거의 중심 위치가 선택되므로, 미가공 렌즈 공급장치(도 1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송된 미가공 렌즈를 이동스테이지(3)의 렌즈홀딩부(34)의 흡착장치(34a)로 붙잡을 경우, 상기 위치는 용이하게 나타낼 수 있고 홀딩 위치로서 제어될 수 있다.
(단계 S3)
미가공 렌즈가 누진 다초점 렌즈(HR)인지 또는 다초점 렌즈(HN)인지에 따라서 렌즈미터의 측정 모드를 전환한다(단계 S3).
(단계 S4)
미가공 렌즈의 화상이 렌즈미터(4)에 입력된다. 상기 구한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하여 히든마크의 위치 또는 세그먼트의 에지위치를 구한다. 정보처리는, 상기 화상처리를 하여 구한 데이터, 안경프레임 형상 측정장치(도 1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얻어지거나 입력 데이터로서 공급된 안경프레임 형상 데이터, 렌즈홀더 형상 데이터, 처방 데이터(레이아웃) 및 기타 정보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상술한 초기 위치는, 안경프레임 형상의 광학적 또는 기하학적 기준위치에 관련하여 특정된다. 이 단계에서는, 렌즈미터(4)에 의해 두께 및 도수를 측정한다.
(단계 S5)
상기 초기위치에서 렌즈홀더를 렌즈에 블록킹한 경우에, 가공 간섭이 일어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즉, 안경프레임의 형상 데이터, 처방 데이터 및 렌즈홀더의 형상(직경)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초기위치에서 렌즈홀더를 렌즈에 블록킹한다고 가정한 경우, 가공 간섭이 일어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단계 S6∼S8)
상기 단계 S5에서 가공 간섭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초기 위치를 블록킹 위치로서 결정한다(단계 S6). 단계 S5에서 가공 간섭이 일어났다고 판단된 경우, 블록킹 위치는 변경한다(단계 S7). 그래서, 블록킹장치로 미가공 렌즈를 이동하여 블록킹을 수행한다(단계 S8). 블록킹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초기 위치가 거의 미가공 렌즈(둥근 렌즈)의 중심(광학 중심)에 있을 경우, 블록킹 위치를 거의 기하학 중심 위치로 또는 가공 간섭이 일어나지 않고 가공 중심으로서 필요한 조건을 만족하는 원하는 위치로 변경한다.
상술한 안경 렌즈용 미가공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실시예에 의하면, 렌즈홀더는, 안경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현저하게 작은 크기의 형상을 갖더라도 확실히 가공 간섭 없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렌즈미터에 의한 결상 및 도수 측정과 블록킹장치에 의한 블록킹 조작을 수행하고 미가공 렌즈를 이동스테이지의 흡착장치로 지지하므로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에 의해 미가공 렌즈의 화상을 형성 및 처리하여 히든마크의 위치 또는 세그먼트의 에지위치를 구하고, 상기 구한 히든마크의 위치 또는 세그먼트의 에지위치, 미리 구해진 안경프레임의 데이터 및 렌즈홀더의 렌즈 지지면의 형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미가공 렌즈에 렌즈홀더를 부착할 경우, 가공 간섭의 범위 밖에 설정된 위치에 미가공 렌즈를 렌즈홀더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안경 렌즈용 미가공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안경 렌즈용 미가공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누진 다초점 렌즈(HR)의 설명도,
도 4는 다초점 렌즈(이중 초점 렌즈; HN)의 설명도,
도 5는 렌즈미터의 설명도,
도 6은 렌즈미터를 사용하여 미가공 렌즈의 화상 입력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7은 렌즈 블록킹장치를 사용하여 미가공 렌즈의 렌즈홀더의 부착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렌즈홀더를 미가공 렌즈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블록킹장치 3 : 이동스테이지
4 : 렌즈미터 6 : 컴퓨터
100 : 미가공 렌즈

Claims (5)

  1. 안경프레임 형상 데이터를 포함한 가공 데이터에 의거하여 수치제어에 의한 안경렌즈 가공 장치를 사용하여 미가공 렌즈의 가장자리를 연삭처리 중에서 안경렌즈용 미가공 렌즈에 렌즈홀더를 부착하는 안경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에 있어서,
    미가공 렌즈에 적합하게 부착된 지그를 포함하고, 미가공 렌즈의 회전 중심 축을 정의하는 렌즈홀더를 제공하는 단계와,
    첫번째 기준위치가 규정데이터에 대응하는 레이아웃의 디자인에 의해 미리 결정되고 상기 미가공 렌즈의 첫번째 기준위치에 상대적인 소정위치에 놓여진 히든마크의 위치와, 상기 첫번째 기준위치가 상기 형성된 화상을 처리함에 의해 규정데이터에 대응하는 레이아웃의 디자인에 의해 미리 결정되고 상기 미가공 렌즈의 상기 첫번째 기준위치에 상대적인 소정위치에 놓여진 세그먼트 에지위치중 하나 또는 양쪽을 얻고, 화상처리장치에 의해 상기 미가공 렌즈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와,
    컴퓨터를 사용하여 상기 히든마크의 위치 또는 상기 세그먼트 에지위치에 대한 데이터, 상기 첫번째 기준위치, 안경프레임 형상데이터 및 렌즈홀더-렌즈 조립 면적 형성데이터의 정보처리에 의하여 간섭을 처리하는 영역의 외부위치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미가공 렌즈에 상기 렌즈홀더를 부착하는 위치로서 상기 구한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구한 위치에 상기 렌즈홀더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을 처리하는 영역은, 렌즈홀더의 부분이 상기 미가공 렌즈의 처리를 방해하기 위하여 상기 안경프레임의 형상을 넘어 확장하는 영역이고,
    상기 미가공 렌즈는, 도수가 누진적으로 변화하는 누진 다초점 렌즈, 또는 상기 미가공 렌즈의 주렌즈에 전체적으로 세그먼트를 형성한 다초점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
  2. 소정의 안경프레임 형상 데이터를 포함한 가공 데이터에 의거하여 수치제어에 의한 안경렌즈 가공 장치를 사용하여 미가공 렌즈의 가장자리를 연삭처리 중에서 안경렌즈용 미가공 렌즈에 렌즈홀더를 부착하는 안경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에 있어서,
    미가공 렌즈에 적합하게 부착된 지그를 포함하고, 미가공 렌즈의 회전 중심 축을 정의하는 렌즈홀더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미가공 렌즈를 고정위치에 유지하고 소정 제어정보에 따라 바람직한 위치로 이동하고, 현재 이동스테이지 위치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위치에 관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스테이지에 상기 미가공 렌즈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스테이지의 기준위치에 상대적인 소정위치에 설정된 기준위치를 갖는 화상처리장치에 의한 상기 미가공 렌즈의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와,
    첫번째 기준위치가 규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이아웃의 디자인에 의해 미리결정되고, 상기 미가공 렌즈의 첫번째 기준위치에 상대적인 소정위치에 놓여진 히든마크의 위치, 또는 상기 첫번째 기준위치가 상기 형성된 화상을 처리함에 의해 규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레이아웃의 상기 디자인에 의해 미리 결정되고, 상기 미가공 렌즈의 상기 첫번째 기준위치에 상대적인 소정위치에 놓여진 세그먼트의 에지위치를 구하는 단계와,
    컴퓨터를 사용하여 상기 히든마크의 위치 또는 상기 세그먼트의 에지위치에 대한 데이터, 상기 첫번째 기준위치, 안경프레임 형상데이터 및 렌즈홀더-렌즈 조립 면적 형성데이터의 정보처리에 의하여 간섭을 처리하는 영역의 외부위치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렌즈홀더를 상기 미가공 렌즈에 부착하는 새로운 위치로서의 상기 구한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스테이지에 의해 렌즈홀더를 부착하여 상기 렌즈홀더가 상기 미가공 렌즈의 상기 지정된 새로운 위치에 부착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이동스테이지의 상기 기준위치 및 상기 렌즈홀더를 상기 미가공 렌즈에 부착하는 일반적인 위치가 상기 렌즈홀더 부착장치의 소정위치에 결정하고, 상기 미가공 렌즈를 장치의 소정위치로 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렌즈홀더 부착장치에 의해 상기 렌즈홀더를 상기 미가공 렌즈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가공 렌즈는, 도수가 누진적으로 변화하는 누진 다초점 렌즈, 또는 상기 미가공 렌즈의 주렌즈에 전체적으로 세그먼트를 형성한 다초점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단계들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진 다초점 렌즈 제조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단계들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렌즈 제조방법.
  5. 안경프레임 형상 데이터를 포함한 가공 데이터에 의거하여 수치제어에 의한 안경렌즈 가공 장치를 사용하여 미가공 렌즈의 가장자리를 연삭처리 중에서 안경렌즈용 미가공 렌즈에 렌즈홀더를 부착하는 안경렌즈의 렌즈홀더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가공 렌즈는, 도수가 누진적으로 변화하는 누진 다초점 렌즈, 또는 주렌즈에 전체적으로 세그먼트를 형성한 다초점 렌즈이고,
    미가공 렌즈에 적합하게 부착되고, 상기 미가공 렌즈의 회전 중심축으로 사용되는 지그를 포함하는 렌즈홀더와,
    컴퓨터와,
    상기 미가공 렌즈를 고정위치에 유지하고, 상기 컴퓨터로부터의 소정 제어 정보에 따라 바람직한 위치에 이동하고, 현재 이동스테이지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컴퓨터에 상기 이동스테이지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스테이지와,
    상기 이동스테이지의 기준위치와 상기 미가공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위치가 소정 관계로 설정된 렌즈홀더 부착장치와,
    상기 이동스테이지의 기준위치에 관하여 소정 위치에 설정된 기준위치를 갖고, 상기 미가공 렌즈의 화상을 형성하여 상기 컴퓨터의 명령 정보에 의거한 상기 형성된 화상을 처리하여 상기 미가공 렌즈의 히든 마크 위치 또는 세그먼트 에지 위치를 구하는 화상처리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컴퓨터는,
    상기 구한 히든 마크 위치나 세그먼트 에지 위치의 데이터, 미리 구한 안경프레임 형상 데이터 및 렌즈홀더의 렌즈 지지면 형상 데이터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정보처리를 하여, 가공 간섭이 일어나는 범위, 즉 렌즈홀더의 렌즈 지지면 형상 부분이 안경프레임의 형상 이외에 있고 상기 미가공 렌즈가 가공될 수 없는 범위인 가공 간섭 범위 이외의 위치를 구하고, 상기 구한 위치를 상기 렌즈홀더를 미가공 렌즈에 부착하기 위한 위치로서 결정하고,
    상기 렌즈홀더를 상기 결정된 미가공 렌즈의 위치에서 부착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스테이지에 의해, 이동스테이지의 기준 위치와 미가공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 위치가 렌즈홀더 부착장치의 소정 위치에서 소정 관계로 설정되는 렌즈홀더 부착장치의 소정 위치로 상기 미가공 렌즈를 이동하고,
    상기 렌즈홀더 부착장치에 의해 미가공 렌즈에 렌즈홀더를 부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렌즈홀더 부착장치.
KR10-2001-0066180A 2000-10-31 2001-10-26 안경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 그 렌즈홀더 부착장치 및 렌즈 제조방법 KR100478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32680 2000-10-31
JP2000332680A JP2002139713A (ja) 2000-10-31 2000-10-31 眼鏡レンズのレンズホルダ取付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533A KR20020033533A (ko) 2002-05-07
KR100478881B1 true KR100478881B1 (ko) 2005-03-25

Family

ID=18808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180A KR100478881B1 (ko) 2000-10-31 2001-10-26 안경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 그 렌즈홀더 부착장치 및 렌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22944B2 (ko)
EP (1) EP1201360B1 (ko)
JP (1) JP2002139713A (ko)
KR (1) KR100478881B1 (ko)
CN (1) CN1190684C (ko)
AT (1) ATE417701T1 (ko)
DE (1) DE60137011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668B1 (ko) * 2007-02-15 2008-05-19 (주)에이피텍 카메라 모듈의 렌즈홀더 탑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2264B1 (fr) * 2003-03-14 2006-02-03 Briot Int Procede d'estimation de decalage angulaire, procede d'etalonnage d'une meuleuse de verres optalmiques,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un tel procede d'etalonnage
JP4541017B2 (ja) * 2004-03-31 2010-09-08 株式会社トプコン レンズ吸着治具装着装置
US7715023B2 (en) 2004-03-31 2010-05-11 Kabushiki Kaisha Topcon Jig mounting apparatus
JP4632826B2 (ja) * 2004-03-31 2011-02-16 株式会社トプコン 眼鏡レンズへの自動装着装置
JP4494844B2 (ja) * 2004-03-31 2010-06-30 株式会社トプコン 眼鏡レンズ用自動治具装着装置及び眼鏡レンズ用吸着治具自動装着方法
JP4823065B2 (ja) * 2004-06-30 2011-11-24 Hoya株式会社 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FR2878975B1 (fr) * 2004-12-03 2007-02-16 Essilor Int Procede et dispositif de preparation au montage d'un job de deux lentilles ophtalmiques d'une meme paire de lunettes
FR2889319B1 (fr) * 2005-07-26 2007-08-24 Essilor Int Procede de detourage d'une lentille ophtalmique avec reacquisition d'un referentiel de centrage initial
JP4812522B2 (ja) 2006-06-02 2011-11-09 Hoya株式会社 レンズホルダ取付精度確認システム、レンズ取付台及びレンズ加工システム
FR2902033B1 (fr) * 2006-06-08 2009-02-27 Essilor Int Dispositif et procede de detourage d'une lentille comportant la verification de l'adequation d'un adaptateur de blocage de ladite lentille avec une caracteristique de cette lentille ou son contour souhaite
JP4993999B2 (ja) * 2006-10-31 2012-08-08 Hoya株式会社 累進屈折力眼鏡レンズ用セミフィニッシュレンズ及び累進屈折力眼鏡レンズ
FR2935918B1 (fr) * 2008-09-18 2010-10-29 Briot Int Procede d'usinage d'une ebauche de verre ophtalmique, systeme et adaptateur d'usinage correspondants.
FR2974529B1 (fr) * 2011-04-26 2013-06-14 Essilor Int Dispositif de glantage d'une lentille ophtalmique
BR112015015640B1 (pt) * 2012-12-31 2020-11-24 Essilor International método implementado por computador para determinar a posição de uma lente óptica e método para fabricar uma superfície óptica de uma lente óptica
ES2632108B1 (es) * 2017-03-30 2018-06-18 Merindades Vision S.L. Procedimiento de diseño de un par de lentes oftálmicas y dispositivo para medidas óptica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76874A2 (en) * 1997-05-06 1998-11-11 INDO Internacional, S.A. Apparatus for centering and blocking an ophthalmic lens disc
JPH11216650A (ja) * 1998-01-30 1999-08-10 Nidek Co Ltd 軸出装置
JPH11287972A (ja) * 1998-03-31 1999-10-19 Nidek Co Ltd 軸出装置
JP2000079545A (ja) * 1998-08-31 2000-03-21 Nidek Co Ltd カップ取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5684A (en) * 1987-01-12 1990-08-07 Hoya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eripheral edge of lens for spectacles
JPH0820334B2 (ja) 1988-03-05 1996-03-04 ホーヤ株式会社 自動レンズメータ
JP2801620B2 (ja) 1988-10-05 1998-09-21 株式会社トプコン レンズメータ
JPH10132707A (ja) * 1996-09-05 1998-05-22 Topcon Corp 隠しマーク観察装置とレンズメータ
JP3667483B2 (ja) * 1997-02-10 2005-07-06 株式会社ニデック レンズ研削加工装置
US6012965A (en) * 1997-10-07 2000-01-11 Micro Optics Design Corp. Manufacturing ophthalmic lenses using lens structure cognition and spatial positioning system
ES2230750T5 (es) * 1998-01-30 2012-05-21 Nidek Co., Ltd. Aparato para la sujeción de ventosas para lentes
DE19804489C2 (de) * 1998-02-05 2000-06-15 Wernicke & Co Gmbh Brillenglasbearbeitungsmaschine
JP3730406B2 (ja) * 1998-04-30 2006-01-05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装置
JP3730409B2 (ja) * 1998-05-29 2006-01-05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装置
JP4068229B2 (ja) * 1998-08-03 2008-03-26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レイアウト装置
JP3778707B2 (ja) * 1998-09-29 2006-05-24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装置
JP3842953B2 (ja) * 2000-04-28 2006-11-08 株式会社ニデック カップ取付け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76874A2 (en) * 1997-05-06 1998-11-11 INDO Internacional, S.A. Apparatus for centering and blocking an ophthalmic lens disc
JPH11216650A (ja) * 1998-01-30 1999-08-10 Nidek Co Ltd 軸出装置
JPH11287972A (ja) * 1998-03-31 1999-10-19 Nidek Co Ltd 軸出装置
JP2000079545A (ja) * 1998-08-31 2000-03-21 Nidek Co Ltd カップ取付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668B1 (ko) * 2007-02-15 2008-05-19 (주)에이피텍 카메라 모듈의 렌즈홀더 탑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39713A (ja) 2002-05-17
CN1190684C (zh) 2005-02-23
DE60137011D1 (de) 2009-01-29
ATE417701T1 (de) 2009-01-15
US6722944B2 (en) 2004-04-20
US20020052167A1 (en) 2002-05-02
EP1201360A2 (en) 2002-05-02
KR20020033533A (ko) 2002-05-07
EP1201360B1 (en) 2008-12-17
CN1352405A (zh) 2002-06-05
EP1201360A3 (en) 200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881B1 (ko) 안경 렌즈의 렌즈홀더 부착방법, 그 렌즈홀더 부착장치 및 렌즈 제조방법
CN100566933C (zh) 眼镜片的制造方法
CN1921981B (zh) 镜片定中心和锁定设备、相关联的手动定中心方法和自动检测方法
EP1997585B1 (en) Cup attaching apparatus
JP4614136B2 (ja) 非球面ミラー,投射型画像表示装置及び投射型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6888626B2 (en) Device for automatically detecting characteristics of an ophthalmic lens and an automatic device for fitting a centering and drive peg incorporating it
AU779768B2 (en) Spectacle lens image sensing processing apparatus and spectacle lens positioning method
JPWO2005001552A1 (ja) 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マーキング装置、マーキングシステム、眼鏡レンズ
KR101126303B1 (ko) 안경렌즈를 수동으로 중심조정하는 방법, 안경렌즈의 중심조정 및 블로킹 방법, 및 중심조정 및 블로킹 장치
JP4637824B2 (ja) 眼用レンズ上の光学マーキングの視覚化のためのシステム、仕上げ装置、およびそのようなシステムを使用するレンズのオリエンテーション方法
US55238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ienting a lens' refractive characteristics and lay-out properties
JP2002022599A (ja) 眼鏡レンズ用画像撮像処理装置
KR102235908B1 (ko) 안경 프레임에 적응되는 데몬스트레이션 렌즈의 기하학적 데이터를 획득 및 측정하기 위한 방법
JP4963977B2 (ja) 眼鏡レンズの製造システム及びマーク検出装置
JP4761289B2 (ja) マーキング装置及びマーキング方法
JP2001356007A (ja) 画像認識方法、画像認識装置及び位置決め装置
JP7225644B2 (ja) レンズ測定装置
KR100834727B1 (ko) 한 개의 광원과 한 개의 영상센서를 이용한 자동 블로커
JPH08297262A (ja) 眼鏡レンズの位置合わせ方法及びその装置
CN116194249A (zh) 定心设备和方法
JP2002024803A (ja) マーク検出方法、画像処理方法、マーク検出装置及び位置決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