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159B1 - 전기컨넥터,하우징과컨택트 - Google Patents

전기컨넥터,하우징과컨택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159B1
KR100327159B1 KR1019960704027A KR19960704027A KR100327159B1 KR 100327159 B1 KR100327159 B1 KR 100327159B1 KR 1019960704027 A KR1019960704027 A KR 1019960704027A KR 19960704027 A KR19960704027 A KR 19960704027A KR 100327159 B1 KR100327159 B1 KR 100327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hield
housing
connec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4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0948A (ko
Inventor
소에스 루카스
마리누스 야코부스 덴. 오터 요한스
레지날드 마리아 스미츠 윌렘
헨드릭 아테 위에캠프 얀
Original Assignee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9401336A external-priority patent/GB9401336D0/en
Priority claimed from GB9402981A external-priority patent/GB9402981D0/en
Priority claimed from GB9402907A external-priority patent/GB9402907D0/en
Priority claimed from GB9411276A external-priority patent/GB9411276D0/en
Priority claimed from GB9416239A external-priority patent/GB9416239D0/en
Application filed by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70700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0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1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6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for separating multiple connecto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차폐 전기 컨넥터는 하우징과 커버를 가지며 각각은 각각의 외부 차폐부내에서 절연부를 인몰딩함으로써 형성된다. 터미널은 하우징내에 장착되며 하우징과 커버는 함께 결합된다. 차폐 특징은 적층 컨넥터내에서 인접 컨넥터의 차폐부와 연결되는 캐리어 스트립에 의하여 개선된다. 좀더 개선된 차폐는 외부 기준 터미널에 결합을 위하여 컨택트 면을 외부 차폐에 결합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컨넥터는 부유 컨택트부를 가지는 터미널과 짝 터미널과의 스터빙으로 인한 터미널에의 손상을 방지하는 지지특징을 가진다. 상기 컨넥터는 케이블에 조화되는 임피던스를 가진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하우징과 콘택트
고주파수 분야의 산업계의 경향은 커넥터의 총 비용을 줄이면서 전기접속(electrical connection)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서 현저하게 커넥터의 크기를 줄이고 동시에 하우징 및 콘택트(contact)의 크기도 줄일 수 있는데, 이는 전기 전도 특성과 구조적 짜임새(structural integrity)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또한, 고주파수 분야는 통상적으로 전도체(conductive member)로, 고주파수 케이블의 전도 차폐체(conductive shielding)에 상호 접속되는, 커넥터의 구조를 차폐하는 것을 포함한다. 고주파수 분야에서는, 커넥터 구조의 임피던스(impedence)가 그 내부의 케이블 임피던스와 정확히 동일한 것이 최선이다. 이는 커넥터 구조로 하여금 본질적으로 케이블에 대하여 안보이게 하고, 그럼으로서 특정 커넥터/케이블 조합에 대하여 최고의 데이터 전송 능력을 제공한다.
임피던스는 밀도가 증가할 때, 커패시티에 대한 인덕턴스의 비의 제곱근에 개략적으로 의존하므로 차폐부와 전도체사이의 작은 거리 때문에 특정 커넥터 구조의 커패시턴스는 점점 크게 된다. 이것은 케이블의 끝에서 낮은 임피던스의 커넥터 구조를 초래한다. 고밀도와 연관된 작은 치수가, 커넥터의 임피던스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콘택트와 차폐부 사이의 차폐정도와 공간을 효과적으로 제한하는 고밀도 분야에서 커넥터의 임피던스와 케이블의 임피던스를 동등하게 하는데서 어려움이 발생한다. 커넥터의 임피던스를 케이블과 조화시킬 수 있는 전기 콘택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밀도 분야에서, 콘택트와 터미널의 일부가 최적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상호 접속이 이루어지면서 핀 또는 탭의 콘택트 표면을 밀어대는(wipe)편향 범(deflectable beam)과 같은 것을 가지는, 정합 커넥터(mating connector)의 콘택트와 전기접속하는 많은 터미널이 이 기술분야에서 알려져 있다.
오정렬(misalignment)을 수용 하기 위한 노력에서, 터미널과 콘택트 사이에부유(float)가 몇몇 전기 접속기구에 제공되어 왔다. 이러한 부유는 오정렬의 범위를 넘어 터미널과 콘택트가 올바로 안착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정합 콘택트와 전기 접속하는 부분이 커넥터의 잔여 부분에 상대적으로 부유하는 전기 콘택트를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하지만, 좀더 작을 경우, 즉 터미널도 또한 작아야하는 고밀도 분야에서는 편향 빔의 두께도 작아지고 따라서 터미널의 구조적 짜임새를 제한한다. 이 분야에서, 터미널 부분은 스터빙(stubbing)에 의하여 초래되는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스터빙은 정합 탭 또는 핀이 편향 빔에 대하여 미끄러지지 못하고 달라붙을 때 발생한다. 스터빙의 원인은 상호 접속시의 부적절한 정렬이나 버어(burr)와 같은 생산공정상의 결함에서 찾을 수 있다. 편향 빔에 대하여 활강하지 못하는 콘택트의 결과로, 연속된 삽입은 빔이 굴절(buckle)되어 실패된다. 불행하게도, 부유가 제공된다 하여도, 커넥터가 초기에 같이 짝 지워질 때 콘택트와 터미널의 스터빙이 발생할 수 있다. 스터빙으로부터의 손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콘택트에 서포트(support)를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한데, 그러므로서 스터빙의 결과로 터미널에 전달되는 과부하에 의한 굴절 또는 궁극적 실패를 예방할 수 있다.
고밀도 커넥터를 생산하는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절연 치환 콘택트기술(insualtion displacement contact technology; IDC)을 콘택트에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보통, 고주파수 케이블은 도전체에 관하여 테프론(TEFLON) 절연체를 결합시키므로, 테프론 절연에 넣어진 종단 도전체(terminating conductor)에 특별히 유용한 콘택트 IDC 구조에 결합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많은 분야에 있어서, 특히 데이터 통신 산업 분야에 있어서, 전기접속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커넥터는 반드시 차폐되어서 허위 전기 신호와 노이즈가 네트워크상의 신호에 영향을 미치치 못하도록 하여야 한다. 커넥터 외부의 역간섭으로부터 커넥터 내부에서 수행되는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전기 커넥터 주위에 전도성의 차폐부를 제공하는 것이 본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 보통, 전도성 차폐부는 전기 커넥터의 터미널 블록을 감싸는 금속 셀(shell)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타입의 커넥터의 구조와 구성요소는 미국 특허 제5,009,61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커넥터는 케이블에 연결되는 전기 콘택트를 포함하는 터미널블록(terminal block)을 가진다. 전도성 백 셀(conductive back shell)은 터미널 블록과 케이블 주위에 맞추어진다. 이러한 전도성 백 셀은 터미널 블록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별개의 것으로서 기계적 체결구(fastener)에 의하여 고정되어 진다. 기능상 적절하여도, 터미널 블록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별개의 것으로서의 차폐부는 커넥터의 생산비용을 증가시킨다. 차폐부 커넥터와 커넥터 자체의 소형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므로 이 비용의 발생은 중요하다. 경제적 방법으로 차폐부를 전기 커넥터에 합체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선행 기술에 적용된 기존의 차폐부는 의도된 분야에서 적절하였지만, 차폐부를 개선시킬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인데, 특히 다수의 커넥터를 일 커넥터 스택으로 결합하는 것이 희망되는 고밀도 분야에서는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특히, 고 주파수 케이블(high frequence cable) 분야에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밀도로 적용되는 개선된 차폐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폐 전기 커넥터를 생산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합 콘택트와의 정렬을 위하여 단에 접속되는 도전체에 대하여 부유하는 콘택트 단부를 가지는 전기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미널의 인덕턴스 및/또는 차폐부에 대한 커패시턴스가 맞추어져 커넥터의 전 임피던스에 영향을 미치는 전기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 콘택트와 정합하여 결합되는 동안에 터미널의 콘택트부분에 서포트를 제공하여, 보조 콘택트가 터미널에 대해서 스터빙이 발생하여도 연속된 삽입이 터미널을 망가뜨리지 않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밀도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개선된 차폐부와 접지구조(grounding structure)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층식(stackable) 고밀도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커넥터에 대한 추가의 참고 경로(reference path)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별히 테프론 구조를 가지는, 절연 와이어로의 접속을 위한 개선된 절연 치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도 전기 차폐부와 터미널 블록의 상응하는 부분이 단일체계(single unit)로서 결합되는 저 비용의 차폐부 데이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컴팩트하고 경제적인 개선된 차폐부특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터빙의 결과로 인한 전기 터미널의 콘텍트 아암(contact arm)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목적들과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터미널을 가진 절연 터미널 블록과 상기 절연 터미널 블록과 내부의 터미널 주위의 외부 절연 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터미널 블록은 상기 셀상에 직접 인몰드 되어 일체의 구조를 형성하는, 차폐전기 커넥터를 창조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폐부와 절연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폐부는 그 위에 절연체부의 직접 몰딩을 위한 팔레트(palette)로서 기능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 차폐부를 도전성 스트랩(conductive strap)에 상호연결하여 개선된 위치설정과 접지설정을 제공하므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폐 전기 커넥터의 외부 차폐부를 따른 접지 콘택트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 티미널이 결합되어질 때 콘택트가 휘는 스터브에 대항하는, 터미널이 놓여지는 하우징의 벽을 따른 지지 특징으로서, 보조 콘택트의 더 이상의 삽입은 굴절되지 않는 지지 형상부(support feature)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맞추어진 인덕턴스 및/또는 커패시턴스를 가지는 임피던스보상부에 의하여 도전체 결합부와 상호연결되는 콘택트부를 가지는 터미널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터미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보인 터미널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보인 터미널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개선된 터미널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커넥터 하우징의 반(first halve)내의 도 4의 개선된 터미널의 부분단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커넥터의 반의 전체의 터미널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와 도 6에서 부분적으로 보인 커넥터 하우징의 생산에 이용되는 캐리어 스트립상의 전기 차폐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차폐부내의 인몰드 하우징을 보이는 커넥터 하우징의 하우징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9-9선을 따라 절개한 하우징부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차폐부내의 인몰드 커버부를 보이는 커넥터 하우징의 커버부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11-11선을 따라 절개한 커버부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전 전기 커넥터의 조립공정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커넥터 세트(set)를 형성하기 위해서 다른 유사 전기 커넥터와 함께적층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전기 커넥터에 의하여 결합되는 핀 헤더(pin header)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캐리어 스트립과 결합하는 도 8의 커넥터 세트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커넥터 세트의 조립된 사시도이고,
도 17은 다른 캐리어 스트립의 부분으로서 콘택트와 결합하는 도 8의 커넥터세트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커넥터 세트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4의 핀 헤더내에서 수용되는 도 18의 커넥터 세트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20은 정합 콘택트에 의한 스터빙의 결과로 인한 콘택트 아암의 손상을 방지하는 개선된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21은 터미널을 스터빙하는 정합 콘택트를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터미널은 도면 번호 2로 표시된다. 전기 터미널(2)은 베이스부(4)를 포함하는데, 베이스부(4)는, 상방으로선 플랩부(flap portionl 4c)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는 개개의 요소(4a, 4b)로 이루어진다. 콘택트부(6)은 일체로서 베이스부(4a)에 연결되어 있으며, 도면 번호 10에서 돌려져서 평면(12)가 90도를 거쳐 놓여져 있고 정합 핀 또는 탭 콘택트와 접속을 위하여 콘택트(14)에서 평행한 면을 제공하고 있는 콘택트 아암(contact arm; 8)을 포함한다(도 14 및 도 21). 나아가서, 베이스부(4b)는 단차부(stepped portion; 18)를 거쳐 후방으로 확장되어 도면 번호 20에서, 일반적으로 보이는 절연 치환 콘택트를 위한 베이스부(16)를 제공한다. 단부(18)은 선택적으로서, 아래에서 상술될 커넥터 실시예에서는 오프 셋(off set)을 필요로 하는 터미널은 전 커넥터의 차폐부와 접촉을 이룬다.
터미널(2)의 절연 치환 콘택트(20)는 전방에서 상승되고 마주 보는 벽(22)과, 후방에서 상승되고 마주보는 벽(24)에 의하여 정의되어 정합 도전체가 수용되는 U형상의 부분을 형성한다.
벽(22, 24)은 인체형 플레이트(26, 28)를 각각 가진다. 한쌍의 플레이트(26, 28)는 각각 마주보고 있으며, 베이스부(16)에서 그들의 각각의 벽(22, 24)으로부터 수렴하는 형태로 안쪽으로 접어져, 와이어 수용 슬롯(wire receiving slot; 30, 32)을 갈매기 형상으로 정의한다. 중요하게 인식되어야 할것은, 개개의 플레이트(26, 28)는, 그 사이에 삽입되는 절연 도전체의 절연을 통한 커팅을 위한 선단면(cutting surface)이 형성되어 있는 코너(36, 38)를 가지며, 그러므로서 코너(36, 38)는 슬롯(30, 32)로 횡 방향으로 힘을 받는 전기 도전체와 접촉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플레이트(26, 28)의 수렴 정합은 서로에게 수렴되는 방향으로 향하여 있어서, 도전체가 변위될 때 도전체의 밀거나 땡김은 자기 조임 방식(self-tightening manner)으로 한 세트의 플레이트(26, 28)를 잡는다. 나아가서, 플레이트(26, 28)의 수렴부는 서로가 수렴되도록 향하여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인 절연의커팅(cutting)을 가능하게 하여 전술한 구조는 특히 테프론 절연을 통한 커팅에 효과적이다. 한 쌍의 수렴플레이트(26, 28)는 협력하여, 그 사이의 절연부를 포위하므로서 절연의 효과적 커팅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절연 도전체를 잡는다.
콘택트부(6)은 베이스부(4)의 구성의 결과로 절연 치환부(20)에 대해 부유할것이다. 베이스부(4)가, 상 방향으로 겹쳐진 플레이트(4c)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는 개개의 요소(4a, 4b)로 이루어지므로, 콘택트부(6)는 위 아래로 그리고 옆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방으로 접혀진 플레이트(4c)는 콘택트부(6)과 절연치환부(20) 사이에서 스프링 요소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이 부유는 정렬을 가능하게 하고 보조 콘택트와의 정합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이제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면 번호 102로 나타난다. 편의를 위하여, 본 설명에서는 대응 참조 번호는 관계된 특징에 대하여 일률적으로 100 단위가 수반될 것이다. 위에서 기술된 전기 터미널(2)에 대하여, 대안은 도면번호 102이며, 콘택트부(106)를 포함하는데, 도면 번호 106은 한쌍의 마주보는 콘택트 아암(108)을 포함하며 이는 도면 번호 110에서 90도만큼 돌려져서 있어 콘택트 아암(108)의 너비(width)로서 시작되어 나온 것은 그 높이이며 따라서 큰 평면(112)이 콘택트(114)에서 정합 핀 또는 탭 터미널과의 상호 접속을 위하여 제공되어 있다(도 14 및 도 21). 콘택트 아암(108)은 기존의 외팔보구조(cantilevered construction)로서 서로를 향하여 콘택트(114)에서 수렴하며 그후 발산하여 마우스(mouth, 115)를 형성하여 정합 핀 터미널을 수용한다.
콘택트부(106)의 반대편에는 도전체 접속부(116)가 절연 치환 콘택트(120)로 서 본 실시예에서 보이고 있다. 절연 치환 콘택트(120)는 직립벽부(122, 124)로 정의된다. 벽부(122, 124)는 여기서 콘택트(102)와 일체이다. 각각의 벽부(122, 124)는 일체의 각각의 플레이트(126, 128)를 포함한다. 이들 플레이트(126, 128)는 서로를 향하여 수렴하고 각각 와이어 수용 슬롯(130, 132)을 정의한다. 각각의 플레이트(126, 128)는 절연을 통하여 커팅하는 선단면을 형성하는 코너(136, 138)를 포함하여 도전체(130, 132)의 수용 슬롯에 가해졌을 때 전기 커넥터와 그 안에서 접촉을 이룬다. 선단(136, 138)의 사이에는 중앙부(140)가 위치하여 일부의 절연이 두 세트의 플레이트(126, 128)의 사이에 갇힌다.
콘택트부(106)와 도전체 접속부(116)는 베이스부(10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부(104)는 후방플레이트(142)와 전방 플레이트(144)를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도전체 접속부(116)와 콘택트부(106)에 연결되어 있다. 두 플레이트(142, 144)사이에 위치한 것은 중간부(146)이다.
중간부(146)는 두가지 기능을 한다. 첫 번째 기능은 위치설정 스프링(positional spring)으로서 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 유사하다. 위치설정 스프링으로서 중간부(146)는 콘택트부(106)를 위 아래로 그리고 양 옆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정합 핀 또는 탭 터미널을 그 안에서 받아들일 수 있게 한다. 두 번째 기능은 증가된 인덕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임피던스는 커패시턴스에 대한 인덕턴스의 비의 제곱근에 의존하므로 임피던스는 콘택트 구조의 인덕턴스의 증가 또는 커패시턴스의 감소에 따라서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중간부의 특정 설계는 실제 커넥터의 구성과 커넥터가 부착되는 케이블의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커넥터가 소형화됨에 따라 커넥터 내부의 무공기 공간(free-air space)은 하우징의 유전체가 차폐된 부재사이에서 형성된 공간의 많은 부분을 채울수록 줄어든다. 이상적으로는, 커넥터의 임피던스를 정확히 케이블의 임피던스와 맞추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러므로서 커넥터를 통과 신호에 대하여 안보이게 할 수있다. 차폐부내의 공간이 활용 될 수 없으므로, 도 4에서 보여진 사형(蛇形: serpentine)의 구성은 콘택트의 유효길이를 증가시키고 큰 인덕턴스를 생산한다.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중간부(146)는 사실상 사형이고 커넥터하우징(152)의 포스트(post; 150)를 수용하는 노치(notch; 148)를 정의하여 터미널(102)을 그 안에 위치시키고 유지시킨다(도 5). 노치(148)의 후방에는, 중간부의 후방플레이트(142)를 거쳐 확장된 개구(opening; 154)가 있다. 개구(154)는 콘택트(102)와 차폐부(156)(도 5와 도 6) 사이의 커패시턴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인데, 그러므로서 도전체 구조의 전체 임피던스를 증가시킨다. 도면 번호 146의 사형부와 개구(154)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므로서, 커넥터의 임피던스를 부착되는 케이블의 임피던스에 맞출 수 있다.
이제 도 5와 도 6을 참고로, 전기 콘택트(102)가 전도성 외부 셀(shell; 156a)로 둘러싸인 절연 하우징(152)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의 반안에 위치한 것이 보인다. 두 쌍의 외부 터미널(102)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콘택트로서 구성되고 케이블안의 차등 도전체(differential conductor)의 두 쌍의 도전체에 연결된다. 내부 콘택트는 접지 콘택트(grounding contactor)로서 도 3의 도면 번호 18에서 보인 것과 유사하게 후방플레이트(142)의 전방에서 굴곡부(118)를 가질 수 있다. 본 굴곡부는, 콘택트 아암(106)과 중간부(146)는 하우징(152)의 절연 물질에 의하여 지지되는 반면에, 도전체 접속 단부(116)가 차폐부재와 직접 접촉을 하게한다. 본 미소한 차이만으로, 매우 근접한 중심선(centerline)에서 고밀도의 상호 접속과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서 굴곡부(18, 118)는 콘택트부(16, 116)을 차폐부(156)와 직접 접촉하게 되는 데, 이때 터미널(2, 102)는 신호 콘택트(도 4)로 또는 접지 콘택트(ground contact)로 사용될 수 있다(도 1 내지 도 3).
간략한 개괄로서 도 12를 참고로,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예는 한쌍의 동일한 차폐부(156a, 156b)를 사용하여 하우징(212)과 커버(214)를 만들어 내는데, 도 8과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은 그 위에 직접 주조된 인몰드(inmould) 절연부(152, 214)를 가진다. 이제 도 7을 참고로, 차폐부(156a)는 평평한 내부 바닥면(220a)과 이로부터 바깥으로 확대되어 플랜지(224)까지 상방으로 확장된 마주보는 측벽(222)을 가진다. 측벽(222)은 그 측선을 따라 포트(ports; 226)를 가져 아래에서 상술되듯이 인몰드 절연부(152, 214)를 보유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아래에서 도 12를 참고로 상술되는 것과 같이, 플랜지(224)는 보조 포트(228)를 가져오버 몰드(overmould)된 하우징(229)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차폐부(156a)의 일단에는 스트레인 릴리프(strain relief)가 설치되어 있고 이는 한 쌍의 홈통부(trough; 232)를 가져, 앞으로 제12도에서 보이듯, 케이블(234)의 일부를 수용한다. 경제적 관점에서는 하우징(12)과 커버(14)에 대하여 동일한 차폐부(156)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지만, 다르게 구성된 부분(section)이 요구에 맞추어 사용될 수 있다. 차폐부(156)가 동일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좀더 강조하기 위하여, 하우징(212)과 결합된 차폐부(156)의 특징을 언급할 때는 도면 번호 "a"가 포함될 것이고, 커버(214)와 결합된 특징을 언급할때는 도면 번호 "b"가 포함될 것이다. 차폐 부재(10)는 기존의 스탬핑 기술로서 금속코일 스트립으로부터 생산되고 캐리어 스트립(carrier srip; 236a, 236b)가 부착된상태로 놓여진다. 차폐물(156a, 156b)를 캐리어 스트립(236a, 236b)가 부착된 상태로 놓아둠으로써, 자동 생산 기술은 도 1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생산공정에 쉽게 결합되어진다.
도 8과 도 9를 참고로, 하우징(212)은 차폐부(156a)가 캐리어 스트립(136a)에 놓여 있는 동안에 하우징 인몰드(152)를 직접 차폐부(156a)에 주조함으로써 형성되어졌다. 하우징 인몰드(152)는 다수의 채널(238)을 가져 그 안에 신호 형식의 터미널(102) 또는 도 1 내지 도 3의 것들을 단차부(18) 없이 위치시킨다.
채널(238a)는 위치설정부(location; 239)에서 차폐부(l56a)에 노출되어 접지 스타일 터미널(2 또는 102)는 그 안에 위치한 단부(118)와 함께,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와이어 연결부를 따라서 차폐부(156a)에 연결되어서 중앙 접지 콘택트를 형성한다. 동축 또는 이 축(twin axial) 케이블의 차폐부 또는 드레인 와이어(drain wire)가 거기에 부착되어진다.
채널(238, 238a)은 포스트(150)를 포함하여 아래에서 기술되는 것과 같이 터미널(2 또는 102)를 그 안에서 유지시킨다. 하우징 인몰드(152)는 차폐부(156a)의 내부 바닥면(220a)의 위에서 바로 주조되어진다. 이 과정은 차폐부(156a) 자체를 몰딩 구조의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게하고 그러므로서 생산비용을 줄이고 바람직한낮은 윤곽의 차폐부 하우징 조합을 만들어낸다. 주조 과정 동안에 바닥면이 구부러지므로 세공 구멍(tooling hole; 231)이 포함된다.
차폐부(156a)내에서 인몰드 하우징(152)이 적절한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하기위하여, 도 9에서 보이듯이, 주조과정은 차폐부(156a)의 측벽(222a)의 포트(226a)로부터 확장된 하우징 러그(lug; 244a)를 생산한다. 이들 러그(244a)는 인몰드(152)를 형성하는 재료를 포트(226a)를 통하여 바깥으로 흐르게하여 형성된다. 몰딩 구조(moulding structure)에는 캐비티(cavity)가 포함되는데(미도시), 여기서 차폐부(156a)는 이들 러그(244a)에 대응하는 주조과정에서 안착된다. 이들 러그(244a)는 각각 마주보게 배치된 측벽(222)의 외부를 따라서 포트(226a)보다 큰 형상의 것으로 형성되고, 또한 포트(226a)보다 큰 측벽(222a)의 냅 주조 하우징 부분(152)는 차폐부(156a)에서 유인(captivated)된다. 향후 과정과 커넥터 조립체를위하여 차폐부(156a)의 캐리어 스트립(236a) 상의 새로이 형성된 하우징(212)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이들 과정은 차폐부(156a)와 절연 하우징 인몰드(152)로 구성된 일체형 하우징(212)을 형성한다.
도 10과 도 11을 참고로, 커버(214)는, 차폐부(156b)는 각각의 캐리어 스트립(236b)상에 남아 있으면서, 커버 인몰드(218)을 직접 차폐부(156b)에 주조함으로써 형성된다. 커버 인몰드(218)은 차폐부(156b)의 앞쪽 반에서만 형성되는데, 그러므로서 차폐부(156b)의 중앙 플레이트(220)의 부분(223)을 노출된 채로 남겨두고, 사용되는 유전체의 양을 최소화 한다. 커버 인몰드(218)은 전방 열(column)의 상방 러그(lug; 225)와 후방 열의 상방 러그(227)을 포함하여, 하우징(212)과 커버(214)가 조립될 때, 콘택트(2 또는 102)가 그들의 채널(238)에서 적절하게 안착되어 남아있을 수 있게 한다.
하우징(212)을 참고로 전술된 것과 같이, 커버 인몰드(218)는 차폐부(156b)내에서 인몰드(218)와 일체이고 차폐부(156b)의 포트(226b)를 통하여 흘러나간 커버 러그(246)에 의하여 유지된다. 도 9와 도 11을 비교함으로써 명백해지듯이, 커버 러그(246)과 하우징 러그(244)는 유사하게 제안될 필요는 없다. 하우징 인몰드(152)와 커버 인몰드(218)를 그들 각각의 차폐부(156a, 156b)에 대하여 유지시키는 것 이외에도, 하우징 러그(244)와 커버 러그(246)는 분극화 또는 핵심 기능을 제공하도록 형상화 될 수 있다. 이러한 특수 실시예에서, 커버 러그(246)는, 플랜지(224a)를 따라서 확장되는 하우징 러그(244)보다, 플랜지(224b)를 따라서 더욱 바깥쪽으로 확장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러그는 도 13 내지 도 19에서 보인것과 같이 레일을 형성하기 위하여 결합될 수 있다. 러그(244, 246)를 커넥터의 주변부(perimeter)를 정의하기 위하여 형성할 수 있고 그러므로서 커넥터는 정합소켓(receptacle)이나 하우징내에서 밀접하게 수용되어지며, 또는 이들을 결합하는 것과 반대되게, 가능한 복잡한 특징을, 차폐부(156a, 156b)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템핑 과정으로 주조하는 방식으로하는 것이 바람직한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에 의하여 달성되는 다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로, 잔여 조립체의 작동은 본 도면에 제시되어 있다. 하우징(212)은 보이듯이 그 안에 장착된 터미널(2, 2a)와 함께 그들의 각각의 캐리어 스트립(236a)에 부착되어 있다. 조립체 개관에서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전진하면, 다음 스텝은 하우징(212)에 삽입된 이축 케이블(234)의 부분을 보인다. 케이블의 외부는 스트레인 릴리프(30)의 통과부(232)에 위치한다. 이러한 타입의 케이블에 공통된 전도 포일(foil)은 그들간의 전기 접속을 위하여 통과부(232)에 노출될 수 있고, 그러므로서 케이블의 본 부분은 또한 차폐부(156a, 156b)에 공통으로할 수 있다. 케이블(234)의 도전체는, 절연 도전체를 터미널(40)의 절연 치환부분이 되게 프레스함으로써 그들 각각의 터미널(2)에서 종단된다. 전술된 바와같이, 이러한 타입의 케이블의 드레인 와이어는 또한, 만일 필요하다면, 접지 콘택트에서 종단될 수 있다. 도전체를 절연 치환보다 터미널(2)로 연결시키는 다른 구성이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하우징(212)과 커버(214)는, 그들이 함께 데려와 지면서 그들 각각의 캐리어 스트립(236a, 236b)로부터 분리되어진 것으로 다음에서 보인다. 다음 스텝에서, 커버(214)와 하우징(212)을 기계적 특징, 저항(resistance), 레이저, 또는 점 용접 또는 다른 기술에 의하여 결합되어 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그들은 러그(244, 246)사이의 플랜지(224a, 224b)를 따라서 그리고 통과부(232a, 232b)사이의 스트레인 릴리프(230a, 230b)를 따라서 결합되어 있다. 만일 원한다면, 최종 스텝에서, 오버 몰드 하우징(229)는 스트레인릴리프(230a, 230b)와 차폐부(156a, 156b)의 플랜지(224a, 224b)의 후단에 대하여 주조되어진다. 본 오버 몰드에서 사용되는 재료는 보조포트(228)을 통하여 흘러 커넥터(290)에 걸린 일체의 단위체(integral unit)를 형성한다. 본 하우징(229)는 케이블을 위한 추가의 스트레인 릴리프를 제공하며 커넥터(201)를 용이하게 다룰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이점은 최소의 두께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201)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이점은 커넥터(201)를 적층할 수 있게하여 고밀도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좀더 개선될 수 있다. 도 12에 보이듯, 커버(214)와 오버 몰드 하우징(229)는 그 안의 구멍(294; 제7도)를 통하여 차폐부(136b)를 넘어 확장되는 스터드(stud; 29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폐부(156a, 156b)는 동일하므로, 커버(214)의주조 동안에 형성된 이들 스터드(292)는 하우징(212)의 차폐부(156a)의 상응되는 구멍에 수용될 수 있어 하우징(212)의 인몰드(152)에 형성된 시트(seat) (미도시)내에 위치된다.
이제 도 13을 참고로, 적층 커넥터(connector stack)는 도면 번호 300으로 표시된다. 적층 커넥터(100)는 선택적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302) 한 쌍을 상술된 것중 하나에 결합시킨다. 두 전기 커넥터(302)의 적층 커넥터(300)가 포함된 형태로만 도시되었지만, 앞으로 서술되듯이 추가의 전기 커넥터(302)가 적층 커넥터(300)에 효과적으로 결합되어 질수 있다.
개개의 전기 커넥터(302)는 기본적으로 상술된 구조의 하우징(312)와 커버(310)를 가지며, 여기서 차폐부(311a, 311b)는 각각 인몰드 절연부분(116, 118)을 가진다. 차폐부(311a, 311b)는 플랫 베이스(320)와 상방 측벽(322a, 322b)와 함께 상술된 것에 대하여 유사하게 U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된 차폐부(156a, 156b)의 플랜지(224a, 224b)는 측벽(322a, 322b)를 따라서 멀리 확장되지는 않고, 대신 짧아져서 과 주조 스트레인 릴리프 하우징(329)에 완전히 싸이며, 그러므로서 측벽(322a, 322b)는 연결되지않은 방식으로 전방으로 확장한다. 베이스(320a, 320b)의 평면내의 차폐부(311a, 311b)의 전방 에지(front edge, 325)에서, 탭(tab; 327a, 327b)는 그들 각각의 측벽(322a, 322b)를 넘어서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탭(327)은 좀더 상세히 아래에서 기술될 것이다.
인몰드 절연부(316, 318)은 그들 각각의 차폐부(311a, 311b) 내에 전술한 것과 같이 유지된다. 하지만, 각각의 푸트(226)로부터 확장되는 복수의 러그(244,246)를 형성하는 대신에, 단일 레일(single rail; 344a, 344b)가 각각의 측벽(322a, 322b)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레일(144a, 144b)는 개별적으로 커넥터(302)를 정합시킬 때에 위치시키거나 분극시키거나 보조하기 위하여 사용되거나, 또는 정합 헤더(mating header; 350) 내의 적층 커넥터(300)의 일부분으로서 사용된다(제14도).
일단 커넥터(302)가 조립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커넥터(302)는 중앙 접지 포트(central grounding port; 233)에 의하여 분리되는 두쌍의 신호포트(231)를 포함한다. 이들 포트(231, 233)는 열려있어 커넥터(302) 내의 터미널(2, 102)(여기서는 미도시이나 전술된)은 도 14와 도 19에서 보이듯이 정합헤더(mating header; 350)에서 핀 터미널(358)을 결합시킨다.
헤더(350)는, 베이스(356)로부터 확장되며 이를 통하여 복수의 핀 터미널(358)이 확장되는 한 쌍의 벽(354)를 가지는 U형상의 플라스틱 하우징(352)를 포함한다. 핀 터미널(358)은 상기 터미널(2, 102)에서 기술된 것과 유사한 구조로 된, 터미널에 의한 결합을 위한 핀 단부(pin end; 360)를 포함한다. 핀 단부(360)와 마주보고 있는 것은 도전체 결합 단부(362)로서, 이 경우에는, 인쇄 회로 기판(print circuit board)과 같은 기판에 결합된 회로 궤적(circuit trace)과 구멍을 통한 플레이트 관통홀 결합(plated through-hole engagement)을 위하여 채택되었다. 벽(354)의 내부면(366)은 러그(244, 246) 또는 핀(358)에 대하여 위치시키거나 분극시키기 위한 전술된 커넥터(201, 302 또는 300)의 레일(344a, 344b)를 수용하기위한 그루브(groove; 368, 370)를 포함한다.
헤더(350)는 7개의 핀 터미널(358)의 네 개의 열(column)을 포함하지만, 필요하다면 추가의 열 또는 핀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서, 고밀도 핀 터미널(358)을 결합하기 위하여, 중심간격을 2밀리미터로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에서, 외부 터미널(358a)과 중심터미널(358b)은 기판(364; 도 19)를 통하여 기준면에 접속된다.
상술된 외부 차폐부(311a, 311b)와 중앙 포트(133)내의 접지 터미널에 의하여 제공되고 커넥터가 부착된 케이블의 트레인 와이어(drain wire)가 연결된 차폐는 다양한 적용에서 적절하지만, 개선된 차폐가 때때로 요망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선행의 기술은 전도 하우징내의 전 커넥터-헤더 인터페이스를 감싸거나 또는 전도 포일(conductive foil)로 케이블의 외부를 감싸기도 하였다. 이는 매우 비쌀뿐만 아니라 상호 접속에 적지않은 구조를 추가시켰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도 13의 적층 커넥터(300)는 그를 따라서 배치된 한쌍의 캐리어 스트립(380)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이 캐리어 스트립(380)은 전도 부재이며 커넥터(302)의 차폐부(311a, 311b)에 레이져 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어 전기적 상호접속이 보장된다. 각 캐리어 스트립(380)은 차폐부(311a, 311b)로 부터 연장된 탭(327a, 327b) 간에 끼워지기 위하여 스트립(384)로 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플레이트(382)를 포함한다. 스트립부(386)은 플레이트(382)의 어느 일측으로 부터 연장된다. 단일 커넥터가 사용되어질 때, 캐리어 스트립(380)은 차폐부(311a, 311b)를 함께 결합하기 위하여 그들간에 전기적 상호접속을 제공하는 형태로 사용되며 커넥터의 선단부를 함께 지지한다.
도 15 및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다수의 커넥터(302)가 적층 커넥터(300)의 형태로 형성되어지는 경우, 캐리어 스트립(380)은 적층 커넥터(300)와 개별 커넥터(302)에 대하여 기계적 기능 및 전기적 기능을 수행한다. 기계적으로, 캐리어 스트립(380)은 각 커넥터(302)의 선단에서 차폐부(311a, 311b)를 함께 지지하며 커넥터(302)에 대하여 발생할수 있는 간극 증가에 기인한 어떠한 부정확성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적층 커넥터(300) 내에서의 커넥터(302)의 정확한 피치 위치를 보장한다. 개구(388)는 캐리어 스트립(380)의 각 플레이트(382) 사이에 형성되며 적층된 커넥터(302)의 인접한 탭(327a, 327b)를 수용하는 크기이다. 더 나아가, 예를들어 공구고정대 내에 위치할 때, 포트(331, 333)이 헤더(350)의 핀 터미널(358)과 조화롭게 위치하는 것과 같이, 커넥터(302)가 적절하게 위치할 때, 캐리어 스트립(380)을 고정하는 것은 요구되는 위치가 유지될 것을 보장하며, 그러므로서 다수의 커넥터(302)를 가지는 적층 커넥터(300)를 현실화시킬 수 있다. 캐리어 스트립(380)이 전도성이므로, 전기적으로 캐리어 스트립(380)은 동일 커넥터(302)의 차폐부(311a, 311b)를 상호 연결 시킬 뿐만 아니라 적층 커넥터(300) 내의 모든 커넥터(302)의 차폐부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시킨다. 캐리어 스트립(380)을 통한 전기적 상호연결은 적층의 양측을 가로질러 전도 스트립을 제공하고, 그러므로서 적층 커넥터(300)의 저 주파수 작동을 개선시킨다. 작동 이익은, 예를 들어 커넥터의 크기와 그리고 레일(344)의 사용과 같은 커넥터 패키지(package)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을 떨어뜨리지 않고 제공되어진다.
도 17과 도 18을 참고로, 다른 캐리어 스트립(390)이 도시되어 있다. 이 대안의 캐리어 스트립(390)은 사닥다리 타입의 형태를 가지며, 도 15와 도 16의 캐리여 스트립(380)과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선단바(front bar; 392)를 가진다. 후단 바(rear bar; 394)는 선단 바(392)와 평행하며 또한 이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선단 바(392)는 레일(344a, 344b)의 전단에 놓이며 반면에 후단 바(394)는 레일(344a, 344b)의 후단에 놓인다. 접촉 단(contact rung; 392)이 커넥터(302)의 차폐부(310)에 부착될 때, 레일(144a, 144b)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접촉단(396)은 차폐부(311a, 311b)의 측벽(322a, 322b)로부터 휨부(399)를 이격시키기 위하여 휘어 있어, 휨부(399)는, 도 14에서 잘 보이듯이, 헤더(350)의 접촉 핀(358)을 접속시키는 접촉면으로서 작용을 한다.
이러한 형상은, 외부 터미널(358a)와 기준 또는 접지 터미널인 중앙터미널(358b)와 함께 다수의 7개 핀 터미널을 사용하는 일반 구성과 결합되는 헤더(350)에 특히 유용하다. 이러한 적용에 있어서, 도 19에서 잘 도시되어 있듯이, 중앙터미널(358b)는 중앙 포트(333)내에서 수용되어 그 안에서 콘택트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접촉단(396)의 휨부(399)는 각각의 외부 터미널(358a)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본 형상은 개개의 커넥터(302)의 외부 경계를 따라서 두개의 추가 된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커넥터(302)의 기준 또는 그라은딩을 개선하며, 그러므로 서 EMI/RFI 임계인 고주파수 적용에 대하여 특별히 효과적인, 커넥터(102)의 차폐특징을 개선시킨다.
특별히 유리한 것은 개선된 차폐 특징은 적층 커넥터(100)의 기본 크기와 형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캐리어 스트립(180, 190)에 의하여 달성 가능하여 비용을최소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별히 캐리어 스트립(390)의 경우는, 추가의 접촉 휨부(399)는 레일(144a, 144b) 또는 그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적층 커넥터(300)에 결합되어 질 수 있다.
도 20을 참고하면, 신호 터미널(2) 또는 접지 터미널(2a)와 같은 터미널들은, 도 5 내지 도 12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부(156)가 채널(238)내에 장착된다. 터미널(2, 2a)는, 도 5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내의 노치(148)와 대응하는 포스트(150)에 의하여 적어도 한 부분이 채널(238)내에서 유지된다. 결합 터미널과의 스터빙(stubbing)으로 부터 콘택트 아암(8)에 대한 충격을 방지하는 서포트 부재(460)는 또한 콘택트아암(8)의 일반적인 내측으로의 수렴과 외측으로의 발산과 대응하는 한 위치에서 채널(452)의 전방 단을 따라 결합되며, 이것은 반원으로서 도 21에서 도면 번호 44로 나타난다.
도 21을 참고로 하여, 도 14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정합 커넥터의 탭 또는 핀 콘택트(450)은 콘택트 아암(8)의 하나에 대항한 한 "스터브(stub)"를 할 정도로까지 오정렬된(misaligned) 하우징에 들어갈 수 있다. 본 스터빙은 콘택트(50)이 콘택트 아암(8)의 하나와 콘택트(450)이 활강하지 못할 정도로 접촉하여 휨(deflection)이 발생하고 콘택트 아암(8)이 밀음 상호 접속(wiping interconnection)을 이룰 때 발생한다. 스터빙을 극복하기 위하여 터미널은 핀 또는 탭 콘택트(450)이 티미널의 굴절(buckl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됨에 따라, 콘택트(50)과 터미널이 상호 연결되면서 콘택트 아암(8)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며 스터빙의 조건이 극복되게 하면서, 콘택트 아암(8)을 따라서 지지될 필요가 있다.
서포트 부재(460)는 채널(452) 내에 위치하여 지역(region; 44)를, 굴절을 막기 위하여 콘택트 아암(8)의 발산 안내 부(diverging lead-in portion)를 충분히 지지하는 방식으로, 콘택트 아암(8)의 등쪽에서 지지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서포트 부재(460)은 채널(452)의 벽과 일체로서 보이며, 일반적으로 굴곡단(radiused peak)을 가지는 삼각 단면의 형상을 하고 있다. 서포트 부재(460)는, 부하를 콘택트 아암(8)을 따르고 전 커넥터 구조의 다른 부에서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터미널로 보다는 하우징(54)으로 옮김으로서, 원하는 방식으로 콘택트 아암(8)과 상호 작용하는 다른 형상을 할 수 있다.
터미널이 포트(250)의 결합에 의하여 채널(452)내에서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므로 콘택트(50)의 계속적인 삽입은 콘택트 레그(leg; 8)이 채널(52)를 따라 위치한 지지부재(460)와 접촉할 때까지 콘택트의 선단부(6)를 휘어지게 한다.안내 부(lead-in portion; 46)이 지지되어지므로 정합(mating)과 관계된 삽입력이 터미널을 가지는 하우징으로 옮겨져서 스터빙은 극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축변이 터미널과 관련되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과 커넥터는 이것이 제한이 될 수 없다. 본 개념은 다른 구조에 쉽게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남 없이 본 명세서내에서 설명되고 묘사된 기술과 구조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수 있다. 즉, 여기서 묘사되고 설명된 기술과 구조는 단지 도식적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지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Claims (33)

  1. 도전성 외부 차폐부 상에 직접 몰드되며 유사한 방향의 전기 터미널들이 위치하는 개방된 종단 채널을 포함하는 내부 절연 하우징을 둘러싸는 도전성 외부 차폐부를 포함하는 차폐 케이블용 차폐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부와 커버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하우징부와 커버부는 도전성 차폐부 부분과 내부 하우징의 인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케이블용 차폐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도전성 외부 차폐부는 관통하는 포트를 포함하고, 개별적으로 인몰드된 절연성 하우징 부분은 포트를 통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포트를 통해 연장하는 절연성 하우징 부분은 상기 포트보다 큰 러그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러그 사이의 도전성 외부 셀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를 통해 연장하는 절연성 하우징 부분은 레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를 통해 연장하는 부분은 정합하는 동안 차폐 전기 커넥터를 정렬시키기 위한 안내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를 통해 연장하는 부분은 정합 커넥터에 대해 적절한 배향을 확보하는 키이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차폐부를 통해 연장하는 내부 하우징 부분은 하우징부의 내부 하우징 부분과는 다른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8. 제2항에 있어서, 다중 차폐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 스택을 형성하도록 정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차폐 커넥터들은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차폐 커넥터는 차폐부를 따라 연장하는 캐리어 스트립에 의해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스트립은 사다리 형태로 형성되고 정합 터미널의 결합을 위해 차폐 커넥터의 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접촉 스트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각 커넥터의 상기 차폐부는 측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연장하는 이격 분리된 탭들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스트립은 상기 탭들 사이에 위치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터미널은 상기 정합 터미널과 정렬하기 위한 채널 내에 부유하는 콘택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부는 임피던스 보상부에 의해 후단 도전체 접촉부에 상호 접속되고, 인덕턴스 및/또는 캐패시턴스는 커넥터가 차폐 케이블에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보상부는 상기 콘택트부가 상기 후단 도전체 결합 단부를 상대적으로 부유시킬 수 있도록 위치설정 스프링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16. 제13항에 있어서, 내부 하우징의 채널을 따라 형성된 지지 형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부가 보상 콘택트와 정합의 결과로서 편향될 때, 상기 콘택트부가 상기 지지 형상부와 지지 결합하여 콘택트에 대한 손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17. 하우징 차폐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하우징 인몰드를 상기 차폐부 상에 인몰딩하는 단계와,
    커버 차폐부를 제공하는 단계와,
    커버를 형성하도록 상기 커버 차폐부 상에 커버 인몰드를 인몰딩하는 단계와,
    터미널을 하나의 인몰드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터미널들을 고착시키도록 상기 하우징과 커버를 결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몰드는 상기 차폐부가 캐리어 스트립 상에 존재하는 동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제조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인몰딩동안, 하우징 인몰드 재료의 일부는 인몰드를 차폐부에 지지하도록 개별적인 차폐부 내의 포트를 통해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제조방법.
  20. 하우징 차폐부와 커버 차폐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 차폐부 상에 절연 하우징부를 직접 인몰딩하고 상기 커버 차폐부 상에 절연 커버부를 직접 인몰딩하여 상기 절연 하우징부와 절연 커버부가 터미널을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 내에 터미널을 배치하고, 상기 차폐부 내에 터미널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하우징부와 커버부를 결합함으로써 다수의 차폐 전기 커넥터를 제작하는 단계와,
    보상 커넥터와 정합하기 위한 다수의 차폐 전기 커넥터를 정렬시키는 단계와,
    각각에 대하여 차폐 전기 커넥터를 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스택을 제조하는 방법.
  21. 내부를 관통하는 채널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채널 내에 장착되고 상기 콘택트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콘택트부를 갖는 터미널을 포함하여 정합 장치의 콘택트와 전기 접속을 이루기 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을 따라 포함되는 지지 형성부와,
    상기 터미널의 지지 형성부에 대응하는 하우징의 채널을 따라 배치되고 터미널 상에 부여되는 하중을 제한하도록 콘택트와 접속하는 동안 상기 지지 형성부를 지지식으로 결합하도록 형상화된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형상부는 터미널의 콘택트부를 따르는 오목형 리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채널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채널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의 콘택트부는 상기 채널 내에 부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부는 콘택트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편향 빔 콘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7. 제25항에 있어서, 콘택트와 접속에 기인하는 콘택트부의 편향 시에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형성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8. 외부 차폐부와 상기 차폐부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절연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신호 터미널이 배치된 적어도 두개의 신호 터미널 수용 채널과 접지 터미널이 배치된 상기 두개의 신호 터미널 사이의 접지 터미널 수용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 터미널 수용 채널은 상기 접지 콘택트와 결합하기 위해 차폐부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를 포함하고,
    각각의 접지 및 신호 콘택트는 신호 콘택트 상에서 케이블의 신호 도전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정합 콘택트와 접지 콘택트 상에서 케이블의 드레인 와이어를 결합시키기 위한 도체 결합 단부를 결합하기 위해 유사하게 배치된 콘택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전기 상호 접속이 형성되도록 노출된 차폐부를 갖는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홈통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서 커넥터는 신호 터미널과 접지 터미널 주위의 외부 외부 차폐부의 형태로 차폐를 제공하고, 상기 접지 터미널과 케이블의 차폐는 차폐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29. 중간부에서 상호 접속되는 선단 콘택트부와 후단 도전체 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부는 상기 선단 콘택트부와 후단부 사이에 컴플라이언스를 제공하도록 작용하는 전기 콘택트.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증가된 인덕턴스를 부가적으로 제공하도록구부러진 경로를 갖는 편평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전기 콘택트.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공통 평면에 놓이고 제1평면에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플레이트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두개의 이격 분리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기 콘택트.
  32. 제29항에 있어서, 상호접속 플레이트는 이격 분리된 평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전기 콘택트.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관통하여 연장하는 캐패시턴스 맞춤 형상부를 포함하는 전기 콘택트.
KR1019960704027A 1994-01-25 1995-01-18 전기컨넥터,하우징과컨택트 KR100327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401336.4 1994-01-25
GB9401336A GB9401336D0 (en) 1994-01-25 1994-01-25 High frequency signal contact
GB9402907.1 1994-02-15
GB9402981A GB9402981D0 (en) 1994-02-16 1994-02-16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GB9402907A GB9402907D0 (en) 1994-02-16 1994-02-16 Electrical connector with supportable terminals
GB9402981.6 1994-02-16
GB9411276A GB9411276D0 (en) 1994-06-06 1994-06-06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GB9411276.0 1994-06-06
GB9416239A GB9416239D0 (en) 1994-08-11 1994-08-11 High frequency cable contact
GB9416239.3 1994-08-11
PCT/IB1995/000035 WO1995020252A2 (en) 1994-01-25 1995-01-18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nd conta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0948A KR970700948A (ko) 1997-02-12
KR100327159B1 true KR100327159B1 (ko) 2002-08-27

Family

ID=2751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4027A KR100327159B1 (ko) 1994-01-25 1995-01-18 전기컨넥터,하우징과컨택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88096A (ko)
EP (2) EP0848455B1 (ko)
JP (1) JP3414402B2 (ko)
KR (1) KR100327159B1 (ko)
CN (1) CN1057877C (ko)
DE (2) DE69504474T2 (ko)
MY (1) MY113339A (ko)
WO (1) WO1995020252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539B1 (ko) 2009-11-04 2011-04-01 주식회사 신화콘텍 커넥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US9876289B2 (en) 2015-10-20 2018-01-23 Dai-Ichi Seiko Co., Ltd. Terminal metal fitting and connector u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35822A1 (de) * 1995-09-26 1997-03-27 Amp Holland Anordnung zum Verbinden von einem elektrischen Stecker mit einem komplementären Stecker
JPH11135175A (ja) * 1997-10-31 1999-05-21 Dai Ichi Denshi Kogyo Kk ソケットコンタ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6175080B1 (en) * 1999-04-28 2001-01-16 Tektronix, Inc. Strain relief, pull-strength termination with controlled impedance for an electrical cable
US6220896B1 (en) * 1999-05-13 2001-04-24 Berg Technology, Inc. Shielded header
US6524135B1 (en) * 1999-09-20 2003-02-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trolled impedance cable connector
CN2419700Y (zh) * 2000-03-29 2001-02-14 杨泰和 具有与电磁波隔离壳体隔离结构的导电连接接口装置、
JP2002124351A (ja) * 2000-10-16 2002-04-26 Yazaki Corp 電気コネクタ及び端子
US6383033B1 (en) * 2000-12-07 2002-05-07 Delphi Technologies, Inc. Side load electrical connector
US6979202B2 (en) * 2001-01-12 2005-12-27 Litton Systems, Inc. High-speed electrical connector
US6843657B2 (en) * 2001-01-12 2005-01-18 Litton Systems Inc. High speed, high density interconnect system for differential and single-ended transmission applications
JP2002367714A (ja) * 2001-06-04 2002-12-20 Yazaki Corp ワイヤーハーネス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4198342B2 (ja) 2001-08-24 2008-12-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シールドケーブルの電気コネクタ、そのコネクタ本体及びこの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04200110A (ja) * 2002-12-20 2004-07-15 Honda Tsushin Kogyo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04273154A (ja) * 2003-03-05 2004-09-30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端子
DE10317276A1 (de) * 2003-04-11 2004-10-21 E.G.O. Elektrogerätebau GmbH Anordnung von Schalteinrichtungen
FR2861505B1 (fr) * 2003-10-27 2010-09-03 Ixfin Magneti Marelli Systemes Systeme de connexion sans soudure pour cartes a circuits imprimes
US6910914B1 (en) * 2004-08-11 2005-06-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hielded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DE102009026816B4 (de) * 2009-06-08 2021-09-30 Robert Bosch Gmbh Anschlusselement und zugehörige Fluidbaugruppe
JP5461165B2 (ja) * 2009-07-07 2014-04-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ユニット
JP2011150807A (ja) * 2010-01-19 2011-08-04 Bosch Corp コネクタ
CN101853998B (zh) * 2010-05-14 2012-12-12 深圳市尖端科技有限公司 连接器结构及其制作方法
US8430689B2 (en) * 2011-07-22 2013-04-3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JP5830394B2 (ja) * 2012-01-26 2015-12-09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ンタクトのインピーダンス調整方法、コンタクト及びこれを備えたコネクタ
CN202772282U (zh) * 2012-08-02 2013-03-0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线圈组件的连接件以及线圈组件
DE202012008969U1 (de) 2012-09-18 2012-11-0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ung
US8721376B1 (en) 2012-11-01 2014-05-13 Avx Corporation Single element wire to board connector
US20140120786A1 (en) 2012-11-01 2014-05-01 Avx Corporation Single element wire to board connector
JP5820858B2 (ja) * 2013-09-17 2015-11-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中継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103560376B (zh) * 2013-11-08 2015-06-24 维尔斯电子(昆山)有限公司 一种免组装的端子架组
JP5747102B1 (ja) * 2014-04-18 2015-07-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雌型コンタクト及び電源用コネクタ
JP6041107B2 (ja) * 2014-09-16 2016-12-07 Smk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同軸コネクタ
US9391386B2 (en) 2014-10-06 2016-07-12 Avx Corporation Caged poke home contact
CN105428860B (zh) * 2015-12-22 2019-02-12 欧品电子(昆山)有限公司 高速率插座连接器
DE102016112759B4 (de) * 2016-07-12 2023-10-05 Lisa Dräxlmaier GmbH Kontaktierungs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zumindest zwei komponenten und verbindungsanordnung
US10320096B2 (en) 2017-06-01 2019-06-11 Avx Corporation Flexing poke home contact
DE102018202939B4 (de) * 2018-02-27 2019-12-05 Robert Bosch Gmbh Stecker zur Aufnahme von elektrischen Leitungen
DE102018207524A1 (de) * 2018-05-15 2019-11-21 Zf Friedrichshafen Ag Verbinder
KR20210099264A (ko) 2020-02-04 2021-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품 적층 실장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296464B2 (en) 2020-02-14 2022-04-05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Impedance control connector
US11183788B2 (en) 2020-04-01 2021-11-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a controller
DE102022102656A1 (de) 2022-02-04 2023-08-10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e Leiterplatten-Steckkonakt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1441A (en) * 1967-09-27 1970-01-27 United Carr Inc Method of making a sealed electrical connector component
US4193660A (en) * 1978-02-06 1980-03-18 Harvey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contact assembly
CA1198789A (en) * 1982-11-17 1985-12-31 Joseph L. Lockard Electrical plug connector
US4605276A (en) * 1983-03-30 1986-08-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wo row coaxial cable connector
US4506940A (en) * 1983-06-17 1985-03-26 Amp Incorporated Input/output intercard connector
US4778404A (en) * 1983-12-27 1988-10-18 Amp Incorporated Spring terminal
US4585292A (en) * 1984-05-04 1986-04-29 Amp Incorporated Overmolded shielded connector
US4602830A (en) * 1984-09-20 1986-07-29 Amp Incorporated Double row electrical connector
US4744769A (en) * 1984-12-20 1988-05-17 Amp Incorporated Closed loop connector
US4773881A (en) * 1987-05-21 1988-09-27 Amp Incorporated Keying system for connector assemblies
US4867707A (en) * 1987-10-19 1989-09-19 W. L. Gore & Associates, Inc. Coaxial shield integrated contact connector assembly
JPH0338769Y2 (ko) * 1989-08-01 1991-08-15
ATE112105T1 (de) * 1989-08-10 1994-10-15 Siemens Ag Vorrichtung zur elektrischen verbindung von abschirmungen mehrpoliger stecker mit der erdpotentialschicht einer verdrahtungsplatte.
US4984992A (en) * 1989-11-01 1991-01-15 Amp Incorporated Cable connector with a low inductance path
US5009616A (en) * 1989-12-14 1991-04-23 Amp Incorporated Connector assembly with back shell having vanes
GB9003241D0 (en) * 1990-02-13 1990-04-11 Gore W L & Ass Uk Shielded connector
US5090920A (en) * 1990-04-17 1992-02-25 Amp Incorporated Module retention/ejection system
US5009614A (en) * 1990-05-31 1991-04-23 Amp Incorporated Shielded cable assembly with floating ground
US5041020A (en) * 1990-07-10 1991-08-20 Amp Incorporated F series coaxial cable adapter
GB9016529D0 (en) * 1990-07-27 1990-09-12 Amp Gmbh Electrical terminal with means to insure that a positive electrical connection is effected
US5085596A (en) * 1990-09-24 1992-02-04 Molex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5108317A (en) * 1991-03-21 1992-04-28 Amp Incorporated Sealed metal shell connector and method of molding a plastic insert within a metal shell
US5312276A (en) * 1993-03-19 1994-05-17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polarizing structure
NL9300641A (nl) * 1993-04-15 1994-11-01 Framatome Connectors Belgium Connector voor coaxiale en/of twinaxiale kabels.
FR2719163A1 (fr) * 1994-04-22 1995-10-27 Amp France Borne anti-corrosion par usure, destinée à recevoir une borne complémentai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539B1 (ko) 2009-11-04 2011-04-01 주식회사 신화콘텍 커넥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US9876289B2 (en) 2015-10-20 2018-01-23 Dai-Ichi Seiko Co., Ltd. Terminal metal fitting and connector using same
KR101853489B1 (ko) * 2015-10-20 2018-05-02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단자 금속 피팅 및 그것을 이용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88096A (en) 1999-03-30
CN1057877C (zh) 2000-10-25
WO1995020252A3 (en) 1995-08-17
EP0848455A3 (en) 1999-02-10
JP3414402B2 (ja) 2003-06-09
DE69522015T2 (de) 2002-03-21
DE69504474D1 (de) 1998-10-08
EP0848455A2 (en) 1998-06-17
EP0848455B1 (en) 2001-08-01
JPH10500245A (ja) 1998-01-06
EP0741921A1 (en) 1996-11-13
WO1995020252A2 (en) 1995-07-27
DE69504474T2 (de) 1999-02-25
DE69522015D1 (de) 2001-09-06
MY113339A (en) 2002-01-31
CN1165590A (zh) 1997-11-19
EP0741921B1 (en) 1998-09-02
KR970700948A (ko) 1997-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7159B1 (ko) 전기컨넥터,하우징과컨택트
JP4198342B2 (ja) シールドケーブルの電気コネクタ、そのコネクタ本体及びこの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6409543B1 (en) Connector molding method and shielded waferized connector made therefrom
US5902136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in miniaturized, high density, and high pin count applica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255009A (en) Two row electrical connector
KR100192624B1 (ko) 전기 커넥터 단자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EP0846350B1 (en) Method for making surface mountable connectors
JPH0154824B2 (ko)
WO2001057964A1 (en) Differential signal electrical connector
WO2022171008A1 (zh) 一种高速连接器
US4869676A (en) Connector assembly for use between mother and daughter circuit boards
EP0996993B1 (en) Latched an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s
CN115428275A (zh) 高速连接器
JP2538821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法
CN115516716A (zh) 高速、高密度连接器
JPH0758634B2 (ja) 同軸リボン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S6331494Y2 (ko)
US20230283006A1 (en)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12517546U (zh) 缆线连接器结构
WO2004004072A2 (en) Board connecting connect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P0935828B1 (en) Receptacle contact position compliance feature
WO1998000885A1 (en) Electrical connector
JPH03155069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