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774B1 - 줌 렌즈 시스템 - Google Patents

줌 렌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774B1
KR100258774B1 KR1019920011909A KR920011909A KR100258774B1 KR 100258774 B1 KR100258774 B1 KR 100258774B1 KR 1019920011909 A KR1019920011909 A KR 1019920011909A KR 920011909 A KR920011909 A KR 920011909A KR 100258774 B1 KR100258774 B1 KR 100258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group
focal length
zoom
zoom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2872A (ko
Inventor
이도다까유끼
마쯔시따사찌오
Original Assignee
마츠모토 도루
아사히 고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모토 도루, 아사히 고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모토 도루
Publication of KR930002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7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wo group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wo groups only
    • G02B15/1421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wo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줌렌즈시스템은 대략 2의 줌비율을 가지며, 소형카메라에 사용된다.
망원단에서의 시스템의 전체 렌즈 길이는 망원단에서의 2촛점거리보다 짧으며, 줌동작시 적은 수차의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줌렌즈시스템은 대상물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정렌즈군과 제2부렌즈군을 구비하며 그들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배율을 조절한다.
이 렌즈시스템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
여기서, fw는 광각단에서의 전체시스템의 촛점거리이고, f1은 제1렌즈군의 촛점거리, f2는 제2렌즈군의 촛점거리(f2〈0)를 각각 나타낸다.

Description

줌(ZOOM)렌즈 시스템
제1도는 광각단(wide-angle end)에서 실시예 1의 줌렌즈시스템을 간단하게 도시한 횡단면도.
제2도는 광각단에서 실시예 1의 줌렌즈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제3도는 중간각단(middle-angle end)에서 실시예 1의 줌렌즈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제4도는 망원단(telephoto end)에서 실시예 1의 줌렌즈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제5도는 광각단에서 실시예 2의 줌렌즈시스템을 간단하게 도시한 횡단면도.
제6도는 광각단에서 실시예 2의 줌렌즈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제7도는 중간각단에서 실시예 2의 줌렌즈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제8도는 망원단에서 실시예 2의 줌렌즈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제9도는 광각단에서 실시예 3의 줌렌즈시스템을 간단하게 도시한 횡단면도.
제10도는 광각단에서 실시예 3의 줌렌즈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제11도는 중간각단에서 실시예 3의 줌렌즈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제12도는 망원단에서 실시예 3의 줌렌즈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제13도는 광각단에서 실시예 4의 줌렌즈시스템을 간단하게 도시한 횡단면도.
제14도는 광각단에서 실시예 4의 줌렌즈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제15도는 중간각단에서 실시예 4의 줌렌즈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제16도는 망원단에서 실시예 4의 줌렌즈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제17도는 광각단에서 실시예 5의 줌렌즈시스템을 간단하게 도시한 횡단면도.
제18도는 광각단에서 실시예 5의 줌렌즈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제19도는 중간각단에서 실시예 5의 줌렌즈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제20도는 망원단에서 실시예 5의 줌렌즈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일련의 그래프.
본 발명은 기계적으로 간단한 망원형의 두개군의 렌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안(single-lens)리플렉스 카메라의 줌렌즈시스템의 것보다 더 짧은 배면 촛점거리를 가지며, 소형카메라에 사용되는 줌렌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형카메라에 사용되었던 종래의 두개군의 줌렌즈시스템은 약 2의 줌비율을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줌렌즈시스템은 망원단에서의 촛점거리보다 더 긴 망원단 또는 협각단(narrow-angle end)에서의 전체 렌즈길이(즉, 대상물에 가장 가까운 렌즈면과 영상면 사이의 거리)를 갖는다.
그러나 그 촛점거리보다 더 큰 전체렌즈 길이를 갖는 줌렌즈시스템이 카메라내에 조립된다고해도 전체의 장치크기는 충분히 소형화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줌렌즈시스템의 전체크기가 줄어들 경우에 렌즈군의 각각은 더큰 배율로 제공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각 렌즈군의 배율이 증가되면, 줌동작시에 더 큰 수차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줌동작시에 약간의 수차변화만을 경험하며, 망원단에서의 시스템의 전체렌즈길이가 망원단에서의 촛점거리보다 짧은 소형카메라에 사용되며, 대략 2의 줌비율을 갖는 줌렌즈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망원단에서 전체렌즈길이가 그 촛점거리보다 작은 소형의 줌렌즈시스템을 제공한다. 이것의 잇점은 그 배율들이 특정한 범위내에 있도록 제1 및 제2렌즈군을 설계하므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은 렌즈배열을 변경하거나 비구면(aspheric surface)을 사용함으로써, 이렇게 하지 않는다면 줌렌즈시스템이 소형으로 만들어질 경우 구면 수차에서 부터 왜곡 수차까지의 다양한 수차범위에서 일어날수있는 수차변화가 대단히 작은 수준까지 감소될 수 있다는 점에서 또다른 잇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줌렌즈시스템은 대상물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정(positive)렌즈군 및 제2부(negative)렌즈군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렌즈군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므로써 배율을 조절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설명된 바와같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뒤에 기술되는 12개의 조건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만족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료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얻을수 있는 본 발명의 줌렌즈시스템은 대상물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정렌즈군과 제2부렌즈군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렌즈군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배율을 조절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
여기서, fw는 광각단에서의 전체시스템의 촛점거리이고,
f1은 제1렌즈군의 촛점거리이며,
f2는 제2렌즈군의 촛점거리(f2〈0)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여러개의 실시예가 다음에 기술된다. 실시예의 렌즈시스템의 각각은 대상물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정렌즈군 및 제2부렌즈군을 구비하며 상술한 조건(1) 및 (2)를 만족한다.
조건(1) 및 (2)는 제1 및 제2렌즈군의 배율에 관한 것이다. 각 렌즈군의 배율을 전체시스템의 배율보다 훨씬 더 크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줌렌즈시스템은 광각단에서 촛점거리보다 작은 전체 렌즈길이를 갖는 소형카메라에 사용될 수 있다.
각 조건의 상한선이 초과된다면, 각 렌즈군의 배율이 지나치게 커지고, 줌동작시에 수차가 실질적으로 변화하여 전체의 줌동작범위에 걸쳐서 수차를 효과적으로 보정하기가 어렵게 될 것이다.
어느한 조건의 하한선에 못미친다면, 전체시스템의 크기가 증가하며 더이상 소형화 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렌즈시스템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여기서, △L은 줌동작시 제1 및 제2렌즈군 사이의 거리변화량을 나타내며, ft는 망원단에서의 전체시스템의 촛점거리를 나타낸다.
조건(3)은 전체시스템의 촛점거리가 1mm 정도 변화할때 제1 및 제2렌즈군 사이의 거리 변화량을 나타낸다.
조건(3)의 상한선이 초과된다면, 각 렌즈군의 배율이 감소하고, 그것에 의해 줌동작에 필요한 렌즈 이동량이 증가된다. 이 증가된 이동량에 의해 소형의 전체시스템을 얻기가 불가능해진다. 조건(3)의 하한선에 못미친다면, 각 렌즈군의 배율이 지나치게 커져서 줌동작시 수차변화가 증가하게 된다.
양호하게는, 제1렌즈군은 대상물측으로 부터 차례로, 대상물쪽으로 행해있는 작은 곡률반경의 볼록수렴면을 갖는 정요철렌즈부재와 영상면쪽으로 향해있는 작은 곡률반경의 볼록수렴면을 갖는 정렌즈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제1군은 정 및 부렌즈부재를 포함하는 정접합렌즈를 포함하며, 정 및 부렌즈부재의 각각은 대상물쪽으로 향해있는 작은 곡률반경을 갖는 오목발산면에 접합되어 있다.
제1렌즈군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여기서, ri는 대상물측으로부터 세어볼때 i번째 면의 곡률반경을 나타내며, rc는 두개의 렌즈부재가 서로 접합되었을때의 곡률반경을 나타낸다. 제1렌즈군이 큰배율로 조립되는 경우, 큰 배율의 정 및 부면을 갖는 렌즈부재들은 볼록, 오목, 볼록 및 오목의 순서대로 번갈아 위치되어있다.
조건(4)-(7)은 제1렌즈군내에 더 강한 배율을 갖는 렌즈면의 곡률반경을 표시한다. 조건(4)의 상한선이 초과되거나, 조건(5)의 하한선에 못미치거나, 조건(6)의 상한선이 초과되거나 또는 조건(7)의 하한선에 못미친다면, 연합한 렌즈면의 뱅율은 따라서 보다높은 등급의 수차가 일어나게ㅐ되고 기하학적인 관점에서 렌즈를 제조하기가 어렵게 될 것이다. 반대의 경우에는 (즉, 조건(4)의 하한선에 못미치거나, 조건(5)의 상한선이 초과되거나, 조건(6)의 하한선에 못미치거나 또는 조건(7)의 상한선이 초과되는 경우), 제1렌즈부재가 강한 배율을 갖도록 조절되었을때 제1렌즈군내의 수차들 사이에서 균형을 얻기가 어렵다.
전체 시스템의 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제2렌즈군의 배율이 그만큼 더 높아진다.
그러므로 제1렌즈군내에서 일어나는 수차, 특히 구면수차를 방지하지 못한다면, 줌동작시 구면수차내에서 더큰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구면수차의 효과적인 보정을 위해서는 근축곡률반경(paraxial curvature radius)에 대하여 발산하는 비구면이 제1렌즈군내에 제공되는 것이 양호하다.
특히, 실시예 1, 2, 4 및 5에 따른 렌즈시스템의 각각은 제1군내에서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비구면렌즈부재를 포함한다 :
여기서, △I1은 광각단에서의 전체 촛점거리가 일체로서 산정되는 경우에 대하여 제1렌즈군의 비구면에 기인한 구면수차계수의 변화량이다. 조건(8)은 비구면렌즈부재의 작용을 기술한다. 조건(8)의 상한선이 초과된다면 비구면의 효과가 감소할 것이다.
조건(8)의 하한선에 못미친다면 구면수차가 과보정되고 더 높은 등급의 수차가 일어날 것이다. 제2렌즈군은 대상물측으로부터 차례로, 영상면쪽으로 향해있는 볼록면을 갖는 정요철렌즈부재 및 대상물쪽으로 향해있는 오목면을 갖는 두개의 부요철렌즈부재를 구비한다. 제2렌즈군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여기서 r2i는 대상물측으로 부터 세어볼때 제2렌즈군내의 i번째면의 곡률반경이다.
조건(9)-(10)의 상한선이 초과된다면 연합한 렌즈면의 곡률반경은 과대해지고 더높은 등급의 수차가 일어날 것이다. 반대로, 이들 조건의 하한선에 못미친다면, 제2렌즈군이 큰 배율을 갖도록 조절되었을 때 각 렌즈면에 의해 일어나는 수차들 사이에서 균형을 얻기가 어렵게 될 것이다.
전체시스템이 소형화되면 될수록 특히 카메라가 광각단에 있을 때 정 왜곡수차가 일어날 기회가 그만큼 더 많아질 것이다. 그러나, 이 왜곡수차는 제2렌즈군내에 비구면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효과적으로 보정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대상물에 가장 가까운 제1렌즈부재의 대상물쪽으로 향해있는 오목면은 비구면이되도록 설계된다. 이 비구면배치는 렌즈의 제조를 용이하게하며 제조의 실수가 일어나는 경우라도 적은 수차변화만을 허용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실시예 2, 3, 4 및 5에 따른 렌즈시스템의 각각은 대상물쪽으로 향해있는, 제2렌즈군내의 정요철렌즈부재의 오목면이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비구면이 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V2는 광각단에서의 전체 촛점거리가 일체로서 산정되는 경우에 대하여 제2렌즈군내의 비구면에 기인한 왜곡수차 계수의 변화량이다.
조건(12)는 제2렌즈군내의 비구면의 작용을 기술한다. 이 조건의 상한선이 초과된다면 비점수차(非點收差)가 과보정되고 그 변화들 사이의 균형이 혼란스럽게 될 것이다. 조건(12)의 하한선에 ㅁ홋미친다면 비구면의 효과가 적게되고 왜곡수차를 효과적으로 보정하기가 어렵게 된다.
제2렌즈군내의 정요철렌즈부재는 비교적 적은 배율을 갖도록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나 습도의 변화에 의해 나쁜영향을 미치지 않게 플라스틱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플라스틱렌즈를 사용하는 잇점은 비용이 저렴하고 가공에 의해 비구면을 쉽게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후에 비구면으로 인한 제3차 수차의 계수의 변화량을 기술한다.
비구면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방정식(1)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x는 비구면상의 점과 비구면의 정점에 대해 접하는 면과의 거리이며, y는 광축과 비구면상의 점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며, c는 비구면의 정점의 곡률(1/r)을 나타내며, k는 원추곡선 상수를 정의하며, α4, α6, α8, α10은 각각 제4, 제6, 제8, 제10차 변수의 비구면 계수이다.
f=1.0으로 촛점거리를 산정하는 것에 의해, 즉 방정식(1)에서 X=x/f Y=y/f, C=fc, A4=f3α4, A6=f5α6, A8=f7α8 및 A10=f9α10으로 대체하는 것에 의해 다음 방정식(2)가 얻어진다.
방정식(2)의 제2 및 다음항들은 비구면량을 규정한다. 제2항의 계수 A4와 제3차 비구면계수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N은 비구면 앞에있는 매개물의 굴절율을 나타내며, N'는 비구면뒤에있는 매개물의 굴절율을 정의한다. 비구면계수는 다음과 같은 제3차 수차계수의 변화량을 제공한다.
여기서,Ⅰ는 구면수차계수를 나타내며, Ⅱ는 코마(coma)계수를 나타내며, Ⅲ는 비점수차계수를 나타내며, Ⅳ는 구흠계(球欠界)곡률계수를 나타내며, Ⅴ는 왜곡수차계수를 나타내며, h는 각 렌즈면을 통과하는 근축광선(paraxial on-axis rays)의 높이를 나타내며 h'는 광선이 각 렌즈면을 통과할때 동공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원축광선(paraxial off-axis rays)의 높이를 나타낸다.
비구면의 형내는 원추곡선 상수나 홀수차항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y가 근축곡률반경보다 작다면 짝수차 항만으로 만족할만한 근사치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줌렌즈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시스템에 대한 상세한 수치자료가 표1 및 표2에 주어져 있다. 제2도, 제3도 및 제4도는 광각단, 중간각단 및 망원단에서 각각 이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그래프이다. 표1 및 표2에서 r은 각 렌즈면의 곡률반경이며, d는 렌즈면들 사이의 공적(air space)이며, v는 아베수(Abbe number)이며, f는 촛점길이, fb는 배면촛점, FNo는 구경(口經)률 이며, w는 반시야각(half view angle)이다.
렌즈시스템내의 제2면은 비구면이다. 비구면은 방정식(2)로 표현되고 원추곡선상수 k와 비구면계수 A4, A6, A8 및 A10은 표 3에 열거되어 있다.
표 1에 나타난 바와같이 비구면의 곡률반경은 비구면의 정점의 것이다.
[표 1]
[표 2]
[표 3]
[실시예 2]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줌렌즈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시스템에 대한 상세한 수치자료가 표 4 및 표 5에 주어져 있다. 제6도, 제7도 및 제8도는 광각단, 중간각단 및 망원단에서 각각 이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그래프이다.
실시예 2에서 제 2 및 제10면은 비구면이며 그 비구면계수들이 표 6에 열거되어 있다.
[표 4]
[표 5]
[표 6]
[실시예 3]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줌렌즈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시스템에 대한 상세한 수치자료가 표 7 및 표 8에 주어져있다.
[표 7]
[표 8]
제10도, 제11도 및 제12도는 광각단, 중간각단 및 망원단에서 각각 이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그래프이다.
실시예 3에서 제10면은 비구면이고 그 비구면계수가 표 9에 열거되어 있다.
[표 9]
[실시예 4]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줌렌지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시스템에 대한 상세한 수치자료가 표 10 및 11에 주어졌다.
제14도, 제15도 및 제16도는 광각단, 중간각단, 망원단에서 각각 이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그래프이다.
실시예 4에서 제4 및 제10면은 비구면이고 그 비구면 계수들이 표 12에 열거되어 있다.
[표 10]
[표 11]
[표 12]
[실시예 5]
제1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줌렌즈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시스템에 대한 상세한 수치자료가 표 13 및 14에 주어져있다.
제18도, 제19도 및 제20도는 광각단, 중간각단 및 망원단에서 각각 이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수차곡선을 표시한 그래프이다.
실시예 5에서 제5 및 제10면은 비구면이고 그 비구면계수들이 표 15에 열거되어 있다.
[표 13]
[표 14]
[표 15]
표 16은 조건(1)-(f2)들이 실시예1-5에 어떻게 만족되는가를 도시한다.
[표 16]

Claims (8)

  1. 줌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대상물측으로 부터 차례로, 제1정 렌즈군과 제2부렌즈군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렌즈군은 그들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줌렌즈 시스템의 배율을 조절하며, 상기 제1렌즈군은 대상물측으로 부터 차례로, 대상물쪽으로 향해있는 볼록면을 갖는 제1정 요철렌즈 부재와, 대상물쪽으로 향해있는 오목면을 갖는 제1 부 요철렌즈, 영상면으로 향해있는 볼록면을 갖는 제2정 렌즈 부재, 제3정렌즈부재와 제2렌즈 부재를 포함하는 정접합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제3정 렌즈 부재는 대상물쪽으로 향해있는 상기 제2부 렌즈 부재의 오목면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제1, 제2 렌즈군은
    인 조건을 만족하며, 여기서, fw는 광각단에서의 전체 줌렌즈 시스템의 촛점길이를 나타내고, f1은 상기 제1 렌즈군의 촛점길이를 나타내며, f2는 상기 제2 렌즈군의 촛점길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은
    인 조건을 만족하며, 여기서, Ri는 대상물측으로 부터 세어볼 때 i번째 렌즈면의 곡률반경을 나타내며, rc는 상기 제3 정 렌즈 부재에 접합되어 있는 상기 제2 부 렌즈 부재의 오목면의 곡률반경을 나타내고, i는 정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은
    인 조건을 만족시키는 렌즈 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Ⅰ1는 광각단에서의 상기 줌렌즈 시스템의 전체 촛점길이가 일체가 되는 경우에 제1 렌즈군내의 비구면으로 인한 구면수차계수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군은, 대상물측으로 부터 차례로, 영상면쪽으로 향해있는 볼록면과, 각기 대상물쪽으로 향해있는 오목면을 갖는 제1, 제2 부 요철렌즈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렌즈군은
    인 조건을 만족하며, 여기서, r2i는 대상물측으로 부터 세어볼 때 제2 렌즈군에서의 i번째 렌즈면의 굴곡반경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렌즈군에 있는 상기 제1 정 요철렌즈 부재는 플라스틱 렌즈 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렌즈군은인 조건을 만족하며, 여기서, △L은 줌 작동하는 동안의 제1, 제2 렌즈군 사이의 거리의 변화량을 나타내며, ft는 망원단에서의 전체 줌렌즈 시스템의 촛점 길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7. 줌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대상물측으로 부터 차례로, 제1 정렌즈군과 제2 부 렌즈군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렌즈군은 그들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줌렌즈 시스템의 배율을 조절하고, 상기 제1 렌즈군은 대상물측으로 부터 차례로, 대상물쪽으로 향해있는 볼록면을 갖는 제1 정 요철렌즈 부재와, 대상물쪽으로 향해있는 오목면을 갖는 제1 부 렌즈 부재와, 영상면쪽으로 향해있고 공기 틈에 의해 상기 제1 부 렌즈부재로 부터 분리된 볼록면과, 제3 정 렌즈 부재와 제2 부 렌즈 부재를 포함하는 정 접합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제3 정 렌즈 부재는 대상물쪽으로 향해있는 상기 제2 부 렌즈 부재의 오목면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제1, 제2 렌즈군은
    인 조건을 만족하며, 여기서, fw는 광각단에서의 전체 줌렌즈 시스템의 촛점길이를 나타내고, f1은 상기 제1 렌즈군의 촛점길이를 나타내며, f2는 상기 제2 렌즈군의 촛점길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8. 줌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대상물측으로 부터 차례로, 제1 정렌즈군과 제2 부 렌즈군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렌즈군은 그들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줌렌즈 시스템의 배율을 조절하며, 상기 제1 및 제2 렌즈군은
    인 조건을 만족하며, 여기서, fw는 광각단에서의 전체 줌렌즈 시스템의 촛점길이를 나타내고, f1은 상기 제1 렌즈군의 촛점길이를 나타내며, f2는 상기 제2 렌즈군의 촛점길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상기 제2 렌즈군은 대상물측으로 부터 차례로, 영상면쪽으로 향해있는 볼록면을 갖는 제1 정 요철렌즈 부재와, 각기 대상물쪽으로 향해있는 오목면을 가지는 제1 및 제2 부 요철렌즈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렌즈군은
    인 조건을 만족하며, 여기서, r2i는 대상물측으로 부터 세어볼 때 제2 렌즈군에서의 i번째 렌즈면의 곡률반경을 나타내며, i는 정수이고, 대상물쪽으로 향해있는 오목면을 갖는 상기 제1 정 요철렌즈 부재는
    0〈△V2〈0.2
    인 조건을 만족하는 비구면이며, 여기서, △V2는 광각단에서의 줌렌즈 시스템의 전체 촛점 길이가 일체가 되는 경우에 제2 렌즈군에서의 비구면으로 인한 왜곡수차계수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시스템.
KR1019920011909A 1991-07-04 1992-07-04 줌 렌즈 시스템 KR100258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148391A JP3181638B2 (ja) 1991-07-04 1991-07-04 ズームレンズ
JP91-261483 1991-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872A KR930002872A (ko) 1993-02-23
KR100258774B1 true KR100258774B1 (ko) 2000-06-15

Family

ID=1736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1909A KR100258774B1 (ko) 1991-07-04 1992-07-04 줌 렌즈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53162A (ko)
JP (1) JP3181638B2 (ko)
KR (1) KR100258774B1 (ko)
DE (1) DE4221814A1 (ko)
GB (1) GB22580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1065A (en) * 1992-09-04 1994-04-0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ct zoom lens system
JP3245469B2 (ja) * 1993-01-26 2002-01-15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2群ズームレンズ
US5570235A (en) * 1993-09-02 1996-10-29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Compact zoom lens
JP3087550B2 (ja) * 1993-11-25 2000-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小型のズームレンズ
JPH08227038A (ja) * 1994-12-22 1996-09-03 Asahi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系
JP3404172B2 (ja) * 1995-03-20 2003-05-06 株式会社リコー 小型のズームレンズ
US5687028A (en) * 1995-07-24 1997-11-11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Zoom lens system
KR100256205B1 (ko) * 1995-12-11 2000-05-15 유무성 소형 줌렌즈
KR100189064B1 (ko) * 1996-08-30 1999-06-01 이해규 소형 광각 줌렌즈
JP3300671B2 (ja) * 1998-09-18 2002-07-08 旭光学工業株式会社 接眼レンズ系
JP3495618B2 (ja) * 1998-11-04 2004-02-09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系
JP3495622B2 (ja) * 1998-12-22 2004-02-09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系
JP3435364B2 (ja) * 1998-12-24 2003-08-11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系
US6538852B1 (en) 1998-12-25 2003-03-25 Nidec Corporation Bearing device with damping mechanism
JP3505099B2 (ja) 1999-02-04 2004-03-0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中望遠レンズ
KR100846449B1 (ko) * 2003-03-27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복합장치의 웹 카메라 모드 설정방법
TWI699574B (zh) 2018-10-24 2020-07-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透鏡系統、取像裝置及電子裝置
CN110967813B (zh) * 2019-12-13 2022-01-07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4019A (ja) * 1985-11-28 1987-11-17 Asahi Optical Co Ltd コンパクトカメラ用ズ−ムレンズ
JPS6457222A (en) * 1987-08-28 1989-03-03 Asahi Optical Co Ltd Zoom lens for compact camera
US4911539A (en) * 1987-12-24 1990-03-27 Nikon Corporation Micro zoom lens
US5071235A (en) * 1988-04-15 1991-12-10 Konica Corporation Small type variable focal length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221814A1 (de) 1993-01-28
GB2258056A (en) 1993-01-27
JPH0511186A (ja) 1993-01-19
GB2258056B (en) 1994-12-14
GB9214320D0 (en) 1992-08-19
US5353162A (en) 1994-10-04
JP3181638B2 (ja) 2001-07-03
KR930002872A (ko) 199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8774B1 (ko) 줌 렌즈 시스템
US7075734B2 (en) Zoom lens system
US6064531A (en) Zoom lens system
US5434710A (en) Zoom lens system comprising three lens units
US7239456B2 (en) Super wide-angle lens system and image-capturing device using the same
US5982560A (en) Compact zoom lens system
US4540249A (en) Wide angle zoom lens
US8000035B2 (en) Wide-angle lens, opt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focusing
JPH05173071A (ja) 広角ズームレンズ
JPH04267212A (ja) 超広角レンズ
US5175652A (en) Imaging optical system
KR20020062779A (ko) 줌 렌즈 시스템
US5963379A (en) Compact zoom lens
JP2001021806A (ja) ズームレンズ
JP2876097B2 (ja) 非球面を使用した広角2焦点レンズ
KR100272336B1 (ko) 고배율 줌렌즈
US6710933B2 (en) Zoom lens and video camera comprising the same
US6392818B1 (en) Compact zoom lens
JPH1096858A (ja) ズームレンズ
JPH0820593B2 (ja) バツクフオ−カスの長い広角レンズ
JP3448403B2 (ja) ズームレンズ
JP4657431B2 (ja) 3群ズームレンズ
US6597514B2 (en) Wide-angle zoom lens
GB2253921A (en) Albada type zoom view finder
JPH09133860A (ja) 写真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