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526B1 - 필름 카트리지 캐리어 - Google Patents

필름 카트리지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526B1
KR0169526B1 KR1019950007961A KR19950007961A KR0169526B1 KR 0169526 B1 KR0169526 B1 KR 0169526B1 KR 1019950007961 A KR1019950007961 A KR 1019950007961A KR 19950007961 A KR19950007961 A KR 19950007961A KR 0169526 B1 KR0169526 B1 KR 0169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arm
transport vehicle
film
carri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7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654A (ko
Inventor
도루 요시카와
요시유키 야마지
Original Assignee
니시모토 간이치
노리츠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모토 간이치, 노리츠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모토 간이치
Publication of KR950033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5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62Holders for the original
    • G03B27/6271Holders for the original in enlargers
    • G03B27/6285Handling strip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3/00Processing apparatu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covered by groups G11B3/00 - G11B11/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 Projection-Type Copiers In General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필름을 제각기 포함한 카트리지를 측방향으로부터 수납하고 이를 직선으로 사진인화기계에 신뢰가능하고, 효율적이며 연속적으로 송출하며 아암의 위치에 지탱시킬 수 있는 캐리어장치가 개시된다. 카트리지는 캐리어장치의 측부에 위치된 반송차 수납장치로부터 캐리어장치에 하나씩 공급된다. 카트리지 세트는 반송차에서 아암에 의해 위치에 유지되며 가이드 경로를 따라 구동유닛의 모터를 갖는 반송차를 구동함으로써 인화장치로 전송된다. 반송차는 카트리지 유지기구 및 아암로크기구를 갖는다.

Description

필름 카트리지 캐리어
제1도는 본 실시예의 전체 캐리어장치의 투시도.
제2도는 동실시예의 평면도.
제3도는 제1실시예의 반송차의 투시도.
제4도는 동실시예의 평면도.
제5도는 동실시예의 부분단면도.
제6도∼8도는 동실시예의 기본동작을 상이한 상태에서 예시하는 도면.
제9도는 카트리지의 이동순서를 도시하는 도면.
제10도는 제9도와 유사한 도면.
제11도는 제2실시예의 반송차의 투시도.
제12도는 동실시예의 평면도.
제13도는 동실시예의 단면도.
제14도 및 제15도는 반송차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카트리지 수납장치 B : 캐리어 장치
C : 사진인화장치 10 : 반송차
14 : 아암 17 : 카트리지 유지기구
18 : 아암로크기구 40 : 가이드
50 : 구동유닛
본 발명은 필름을 카트리지에 수납한채 사진인화장치로 반송하는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사진인화장치에서는 사진감광재료에 필름의 화상을 인화하기 위해서, 필름을 그 카트리지 (또는 페이트런)으로부터 첫째로 취출하고, 직선상의 캐리어장치로 이송하고, 경로상에 제공되어 있는 스캐너 유닛으로 화상데이타를 판독한다. 그후 필름은 화상데이타에 입각하여 인화/노광수단의 노광상태를 조정한 후 인화된다.
복수의 필름 대부분이 연속적으로 인화되어야 한다면, 필름이 하나씩 수동으로 이송되는 경우에 작업효율이 저하될 것이다. 따라서, 복수의 필름은 카트리지로부터 취출되어 이들을 단일의 웨브로 스플라이스(splice)된후 인화/노광수단으로 이송된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복수의 필름을 스플라이스하기 위해 비교적 오랜시간이 요구되므로 효율은 충분히 크지 않다.
또, 복수의 필름이 단일 웨브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화상데이터를 스캐너로 판독하는 단계와 인화/노광수단으로 인화하는 단계는 필름상의 화상을 상호 영향을 받게 된다.
다시말해, 데이터는 인화가 종료된 후에만이 판독될 수 있는 반면, 데이터가 판독되는 동안 인화가 불연속된다.
소정의 제안된 구성에 있어서, 루프가이드는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가능하도록 인화/노광수단 및 스캐너 사이에 제공된다.
이런 구성으로, 화상데이터를 판독한 후 루프가이드를 갖는 루프에 필름의 웨브를 일시적으로 기억하여 이들 필름을 인화/노광수단으로 연속으로 인화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필름이 카트리지로부터 취출됨이 없이 처리되는 경우에는 적용될 수 없다. 필름이 카트리지로부터 취출됨이 없이 처리되는 경우에는 다음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회전 테이블 방식의 사진인화/처리장치가 제안되었다.복수의 필름이 스플라이스되는 구성에 있어서, 필름은 그들의 페이트런으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인화 처리후, 제각기 이송하는 수개의 프레임마다 적절한 길이의 스트립으로 절단하여 고객에게 되돌려지기 전에 각각의 스트립을 분리된 필름 홀더에 두어야 한다.
이런 작업은 매우 조잡하고 시간 낭비적이다.
따라서, 스캐너와 인화/노광수단 사이에 제공된 회전테이블을 가진 사진인화/처리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복수의 카트리지는 스캐너가 소정필름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다른 필름이 인화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필름을 카트리지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인화/노광수단에 의해서 회전테이블로 가져올 수 있다.
이 회전테이블 방식의 사진인화/처리장치와는 별개로, 본 출원에는 또 연속 인화용 필름을 포함한 복수의 카트리지를 공급하는 카트리지 수납부를 갖는 방식의 사진인화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 장치에서 카트리지 수납부는 그 카트리지로부터 인화장치로 필름을 직접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회전테이블 방식의 사진인화장치로 필름을 공급하는 카트리지 수납부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구성은 카트리지 수납부로부터 회전테이블 방식의 인화장치로 카트리지를 공급하는 캐리어장치를 요구한다. 상기한 캐리어장치는 사진인화장치의 테이블에 대하여 카트리지 수납부로부터 방출되는 카트리지를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측방향으로부터 공급되는 필름-내장형 카트리지를 수납하여 사진인화 장치로 연속하여 반송하고 필름이 인화되어 각각의 카트리지로 감겨진 후 카트리지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캐리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기본적으로 기계동작하는 캐리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을 수납하는 카트리지를 유지하여 사진인화장치로 운송하기 위한 반송차와, 반송차를 안내하기 위해 경로를 따라 제공된 가이드 유닛과, 경로를 따라 반송차를 왕복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가이드 유닛은 카트리지를 반송차에 공급하는 카트리지 공급부를 가지고, 반송차는 카트리지가 반송차의 위치에 지탱되는 폐쇄 위치와 카트리지가 반송차로부터 탈착가능한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아암을 가진 사진인화장치와 함께 사용하는 캐리어장치가 제공된다.
반송차는 카트리지를 유지하는 지지판과 아암을 구비하는 카트리지 유지기구와, 카트리지 유지기구를 통하여 아암을 페쇄된 위치에 이동 및 로크하는 아암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 공급부는 카트리지가 경로에 수동으로 삽입될 수 있는 카트리지 삽입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을 수납한 카트리지가 측방향으로부터 공급될 때 이것은 아암에 의해 카트리지로 유지되며, 경로를 따라 사진인화장치에 공급된다. 카트리지는 카트리지로부터 필름이 취출될 필요가 없으므로 필름 내부의 손상 가능성이 없이 인화기계에 신뢰될 수 있고, 안전하게 공급될 수 있다. 필름이 인화되고 다시 카트리지로 감겨진 후, 카트리지는 동일한 경로를 따라 카트리지 수납장치로 다시 반송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송차는 카트리지 유지기구 및 아암 로크 기구를 갖는다.
카트리지는 아암을 로크함으로써 아암에 의한 위치에 지탱된다. 아암을 언로크함으로써, 카트리지는 반송차와 탈착가능하다. 카트리지는 반송차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인화장치에 이송된다. 반송차는 전부 기계적 부품으로 구성된다. 전기수단은 반송차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만이 사용된다. 그러므로, 전체 구조는 아주 단순하며 자동화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상적 카트리지 공급 프로세스를 중단시키는 동안 카트리지 삽입부를 통해서 반송차로 소정의 초과 카트리지를 수동으로 이송하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을 첨부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술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캐리어장치(B)는 내부에 수납부된 복수의 카트리지를 사진인화용 회전테이블에 연속으로 공급하는 카트리지 수납장치(A)로부터 공급되는 필름 수용 카트리지를 반송하는데 사용된다. 그런 까닭에 이 장치(B)는 사진인화장치(C) 바로 앞에서 제공된다.
도시된 카트리지 수납장치(A)는 카트리지 수납부 케이스(101)와 수납부 케이스(101)에 장착된 한쌍의 스프로킷(102)을 갖는다. 스프로킷(102)의 둘레에는 무단벨트(103)가 놓여진다. 이 무단벨트(103)에는 그 외주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구비되어 내부에 카트리지(X)를 수납하므로 카트리지가 케이스(101)내에서 순환될 수 있다. 스프로킷(102)중 하나는 그 양단부가 카트리지 수납부 케이스(101)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회전축(104)에 장착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04)은 공통 베이스(105)에 장착된 모터(106)의 출력축에 연결된다. 이런 까닭에 스프로킷(102) 및 벨트(103)는 모터(106)에 의해 구동된다.
복수의 카트리지 (X)는 카트리지 수납장치(A)가 공통베이스(105(A))에서 멀리 있는(케이스의 일측을 개구함으로써) 케이스(101)에 수동으로 삽입한다. 그후 장치(A)는 회전축(104) 상에 스프로킷중 하나를 갖는 공통베이스에 설치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베이스는 가로홈(108)에 형성되며 그 홈(108)을 따라 미끄럼가능한 레버(107)를 구비한다. 장치(A) 내에서 카트리지(X) 중 하나를 레버(107)로 지탱하고 캐리어장치(B)로 향하게 푸시함으로써, 카트리지는 장치(B)에 순서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캐리어장치(B)는 캐리어 수납장치(A)에 평행하게 제공된다. 즉, 카트리지(X)는 캐리어장치내로 그의 측부로부터 이송한다. 캐리어장치(B)는 이후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사진인화장치(C)는 이하에 간략히 기술되는 상술된 일본특허출원 제5-178133호에 개시된 바와같이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기계장치이다. 사진인화장치(C)는 카트리지가 캐리어 장치(B)로 이송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공통베이스(105C))에 장착된다. 이것은 회전테이블(200), 스캐너 어셈블리(210) 및 사진인화/노광유닛(220)을 포함한다.
회전테이블(200)은 공통베이스(105(C))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므로 그 상부면은 공통 베이스의 상부면과 동일평면을 이룬다. 테이블(200)은 90도의 등각 간격으로 제공되는 4개의 카트리지 리셉터클(201)을 운반하며 각각은 일 카트리지를 지지할 수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 리셉터클(201)은 그 단부에서 카트리지를 리셉터클에 지탱하는 카트리지 고정부재(201a)를 갖는다. 또한, 구동유닛(202)은 카트리지의 필름입구/출구에서 덮개를 개방/폐쇄하도록 각 리셉터클(201)의 일측부에 제공되어 필름을 카트리지로부터 이송하거나 또는 그것을 삽입한다(상세한 기계장치는 도시되지 않음).
또한, 본 실시예의 회전테이블(200)은 지지아암(20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지지축(204)을 갖는다. 무단벨트(205)는 지지축(204)과 모터(207)의 풀리(206) 둘레에 놓여진다. 그래서 회전테이블(200)은 모터(207)에 의해 회전된다.
택일적으로, 모터(207)의 구동력은 테이블 아래에 제공된 기어트레인을 통해 회전테이블(200)에 전달될 수 있다.
스캐너 어셈블리(210) 및 인화/노광수단(200)은 공통베이스(105(C))상에 그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장착된다. 스캐너 어셈블리(210)의 스캐너 개구(211) 하방에는 광원(도시안됨)이 있다. 스캐너 유닛은 스캐너 개구(211) 상방에 제공되고 각각의 프레임이 스캐너 개구에 정지되었을 경우 필름을 조사함으로써 필름의 각 프레임에 대한 화상데이터를 판독한다.
각각의 카트리지 리셉터클(201)로부터 굴러나오는 필름은 이송롤러(212)에 의해 이송되고 필름감개(213)로 감겨진다. 감개(213)를 향해 이송되면서 스캐너 어셈블리(210)에 의해 화상데이터가 판독되고, 바코드 검출기(214), 자기헤드(215) 및 구멍검출기(216)에 의해 다른 데이터가 판독된다. 이들 3부재에 의해 어떤 필름에 대해 필요한 모든 데이터가 판독될 때, 이것은 카트리지(X)로 되감기되며 이 카트리지는 회전테이블(200)을 회전시킴으로써 다음 단계로 이동한다.
또다른 광원은 스캐너 어셈블리(210)로부터 교차 제공되는 인화/노광수단(220)의 노광구멍(221) 하방에 제공된다. 각 필름상의 화상은 사진감광 재료(도시안됨)에 인화되며, 사진감광 재료가 빛을 광원으로부터 향하게 함으로써 구멍(221)을 거쳐 이송된다.
각 카트리지 리셉터클(201)로부터 굴러나오는 필름은 이송롤러(222)에 의해 이송되고 필름감개(223)에 감기된다. 이송되는 동안 필름상의 화상은 인화/노광수단(220)에 의해 노광 및 인화된다. 이송경로를 따라서 구멍검출기(224) 및 자기헤드(225)가 제공된다.
또 제3도 및 다음 도면을 참조하면, 카트리지 수납장치(A)로부터 사진인화장치(C)에 대하여 카트리지(X)를 공급하는 캐리어장치(B)가 더욱 상세히 기술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장치(B)는 반송차(10), 반송차(10)를 안내하는 가이드(40) 및 반송차(10)를 구동하는 구동유닛(50)을 구비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40)는 공통 베이스(105)(B)에 제공되고 반송차(10)를 가이드 하도록 반송차(10)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립측판(41)를 구비한다. 각각의 측판(41)은 상부 에지 근처에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가이드구멍(42)을 갖는다. 반송차(10)는 가이드 롤러(11)가 각각의 가이드구멍(42)에 맞물린 측판을 따라 미끄럼 가능하다. 반송차(10)는 또한 가이드구멍(42)에 삽입된 위치검출레버(12)를 갖는다. 광전센서(PH1) 및 (PH2)는 가이드판을 따라서 레버(12)의 위치 및 반송차(10)를 검출하도록 제공된다. 위치검출레버(12)는 이후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가이드판(41)은 거의 길이방향 중심에 구멍(43)을 갖는다(제1도). 이는 카트리지의 경로를 허용할 정도로 큰 경로가 된다. 제1도는 일측면에서만 구멍(43)을 도시한다. 부호 44는 카트리지 삽입부재를 표시한다. 이는 여분의 카트리지를 캐리어장치(B)에 수동으로 삽입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처리후, 카트리지는 레버(107)에 의해 부재(44)로부터 푸시된다.
제3도는 도시된 바와같이, 반송차(10)는 C-형 단면을 가진 케이스(13)를 포함한다. 가이드 롤러(11)는 상부 근처에서 케이스(13)의 양측에 소정간격으로 제공된다.
상술된 바와같이, 이들은 측판(41)에 형성된 가이드구멍(42)에 맞물림된다.
반송차(10)에서 카트리지(X)를 지지하는 아암(14)이 장착된다. 아암(14)에 고정된 수평지지핀(15)은 측판(41)에 형성된 홈(16)에 끼워진다. 이런식으로 아암(14)은 개방 및 폐쇄된 위치 사이에 수평 핀(15)에 대하여 선회가능하다.
카트리지를 정위치에 지탱하는 카트리지 유지기구(17)는 아암(14)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수평 지지판(19) 아래에는 카트리지 유지기구(17)를 통해 아암을 그들의 페쇄 위치에 로크하기 위해 아암로크 기구(18)가 제공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9)은 대체로 T형상이며(아암의 단부위치에서) T의 레그의 양측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로브부재(20)에 제공된다. 로브부재(20)는 벤딩레버(22)의 후방단부를 차례로 지지하는 수평 핀(21)을 지지한다. 레버(22)는 핀(24)이 연장하는 전방단부에 신장된 구멍(23)을 갖는다. 이렇게하여, 레버(22)는 핀(24)을 통해 아암(14)에 연결된다. 벤딩레버(22)는 또 중앙부에 L-형의 긴구멍(25)을 갖는다. 지지핀(26)은 구멍(25)을 통해 연장한다.
지지핀(26)은 케이스(13)의 측판에 끼워진다. 따라서 벤딩레버(22)는 지지핀(26) 상에서 지지되는 동안 핀(21)에 대하여 전후방 및/ 또는 선회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아암(14)은 핀이 맞물리는 스프링(27)에 의해 항상 당겨진다. 제3도∼제5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벤딩레버(22)는 스프링(27)의 인장력에 대항하여 지지핀(26)에 의한 수평위치에 관리된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9) 아래에 제공된 아암로크기구는 케이스(13)의 하부판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베이스판(29)에 대해 화살표 방향으로 미끄럼될 수 있는 수평이동가능한 지지판(28)에 장착된다. 아암로크기구(18)는 베이스(29)와 케이스(13)의 하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수용되는 너트를 조임으로써 지지된다 (제5도).
이것은 수평이동가능한 지지판(28)에 형성된 긴구멍(30)으로 삽입되는 수직핀(31)과 지지판(28)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또다른 수직핀(32)과 핀(32)의 길이내에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스프링(33)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핀(3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스프링(34)에 의해 힘을 받는 후크(35)를 포함한다.
언로크부재(35a)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보여지는 후크(35)의 벤딩부 내벽에 제공된다. 이것은 핀(31) (제4도는 로크된 상태를 도시한다)에 로크핀 후크(35)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로크부재(35a)는 상부로부터 보여지는 것처럼 내부로 비스듬히 돌출하는 부분을 갖는다.
또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로크부재의 단부는 비스듬히 상승된다.
수평 이동가능 지지판(28)은 L-형 전방단부(28a)를 갖는다. 스프링(36)은 L-형 전방단부(28a) 및 베이스판(29)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장착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단부(28a)는 카트리지(X)의 원활한 삽입을 허용하도록 상부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측방향 외측으로 약간 벤딩된다.
반송차(10)는 무단벨트(51)를 통해서 제1도 및 제5도에 도시된 구동유닛(50)에 의해 구동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51)는 모터(35)의 풀리(52), 중간 장력 조정롤러(53) 및 타단부의 롤러(54) 둘레에 놓여진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51)는 위치검출레버(12)의 베이스에 결합되며, 벨트를 교차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반송차(10)의 케이스(13)의 상부를 통해 연장한다.
따라서, 반송차(10)는 벨트(51)를 이동시킴으로써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우선 제4도∼제8도를 참조하여 기술하겠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상태에서와 같이, 카트리지 수납장치(A)로부터 공급된 카트리지(X)는 수평이동 가능한 지지판(28)의 전방단부(28a) 및 아암(14) 사이에서 지탱된다. 제6a도는 카트리지(4)가 사진인화장치(C)의 회전테이블(200)에서 반송차 리셉터클(201) 중 하나로 전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카트리지(X)를 반송차에 보다 신뢰성 있게 지탱하게 하기 위해 아암(14) 및 수평이동 가능한 지지판(28)은 제5도에 도시된 카트리지(X)가 아암(14) 및 지지판(28)의 전방단부(28a) 사이에서 전방단부(28a)를 후방으로 약간 밀지않고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제6a도는 카트리지(X)가 카트리지 리셉터클(201)에 인접한 순간을 도시한다.
그후, 반송차(10)는 벨트(51)에 전달된 구동력에 따라 이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더욱 푸시된다. 이 상태에서,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로크기구(18)의 후크(35)는 아암(14)을 폐쇄된 위치에 로크한 채로 유지하면서 핀(31)에 맞물려 있게 된다.
반송차(10)가 제6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좌측방향으로 푸시될 때, 아암(14)은 좌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카트리지(X)는 카트리지 리셉터클(201)에 부착되므로 수평이동가능한 판(28)의 전방단부(28a)는 카트리지(X)에 인접하여 반송차의 잔여부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단부(28a) 및 베이스판(29)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36)은 압축된다. 이것은 케이스(13) 및 베이스판(29)이 일체화되고 수평이동가능한 지지판(28)이 케이스(13)에서 이동가능하기 때문이다.
케이스(13)가 수평이동 가능한 지지판(28)에 대하여 이동가능할 때, 아암 로크기구(18)의 핀(31)은 후크(35)에 대하여 이동하므로 제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로크부재(35a)를 통해 비스듬히 후크(35)로 상승한다. 스프링(34)의 힘은 후크(35)에 대해 작용하므로, 언로크부재(35a)는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31)의 상단부에 있게 된다.
로크(35)는 거의 언로크된다.
이 상태에서, 벤딩 레버(22)는 지지핀(26)에 의하여 아암(14)과 정렬하게 된다.
벨트(51)가 우측으로 이동될 때, 아암(14)은 카트리지(X)로 다시 인접할 것이며, 수평이동 가능한 지지판(28)의 전방단부가 카트리지(X)에 인접하게 된다. 베이스판(29)은 케이스(13)와 함께 우측으로 이동되므로 스프링(36)은 신장된다.
베이스판(29)은 우측으로 이동하고 스프링(36)이 신장하므로, 핀(31)은 후크(35)로부터 완전히 해제하는 직선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그와 동시에, 지지핀(26)은 벤딩레버(22)의 긴 벤딩구멍(25)의 벤딩 점을 이동하여 통과하므로, 지지핀(24)과 아암의 후방 단부를 스프링(27)에 의해 하방향으로 당겨진다. 핀(24)이 벤딩레버(22)의 전방단부에 형성된 긴구멍(23)으로 맞물림되므로, 벤딩레버(22)의 전방단부도 또한 하방향으로 당겨진다. 레버(22) 및 아암(14)은 제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된다. 따라서, 아암(14)은 카트리지(X)와 분리된다.
이제 제9도 및 제10도를 참조하여 반송차(10)와 함께 연속으로 복수의 카트리지(X)가 이송되는 방법을 설명하겠다. 제9a도는 카트리지(X1)가 그 카트리지의 적재 위치에서 카트리지 수납장치(A)로부터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카트리지(X1)는 페쇄된 반송차(10)의 아암(14)으로 수용되어 있다. 그러나, 아암(14)은 카트리지의 적재시 폐쇄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이들은 카트리지의 적재시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바, 왜냐하면 카트리지가 개방된(벤딩된) 아암으로 적재된다면, 카트리지가 2회 이송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이후에 설명된다). 이것은 효율을 감소시키게 된다. 아암(14)는 수평이동가능한 지지판(28)의 전방단부(28a)를 밀어냄으로써 장치를 초기에 간단히 세팅하는 때 개방 및 폐쇄위치에서 자유로이 세트될 수 있다.
제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X1)의 적재후, 밸트(51)는 반송차(10) 및 카트리지(X1)를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제9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X1)가 회전테이블(200)의 카트리지 리셉터클(201)에 인접할 때, 지지판(28)만이 이동을 정지하고, 스프링(36)을 압축하는 동안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아암로크기구(18)를 해제한다. 제9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차(10)는 아암로크기구(18)가 해체된 후 역방향으로 이동될 때, 아암(14)는 카트리지(X1)로부터 개방 및 분리된다. 제9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는 카트리지(X1)를 카트리지 리셉터클(201)에 남겨둔 채 후방향으로 이동한다.
그후 제10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차(10)는 아암(14)이 개방된 상태로 적재위치에서 또다른 카트리지(X2)를 수납한다. 이러한 동작이 자동적으로 실행되어지기 때문에, 아암(14)을 폐쇄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카트리지(X2)는 카트리지 리셉터클(201)로 이동되며, 수평이동 가능한 지지판(28)의 전방단부(28a)에 의해 푸시된다. 제10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X2)가 카트리지 리셉터클(201)과 인접할 때, 스프링(36)은 지지판(28)의 전방단부(28a)에 의해 푸시되어 압축됨으로써, 아암로크기구(18)는 또다시 로크된다. 동시에, 아암(14)은 자신의 수평위치로 복귀되며, 카트리지(X2)와 또다시 맞물려진다.
따라서, 반송차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놓은 후 또다시 전방 즉 제10c도에서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후의 동작은 제1카트리지(X1)에 대한 동작과 정확히 동일하다. 제2카트리지(X2)는 따라서 카트리지 리셉터클(201)로 이송 되어진다.
예시된 동작 예에서, 카트리지(X2)는 제10b도 및 제10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이동되어진다. 그러나 카트리지는 적재위치로 되돌려 이동되어질 필요가 없지만 단지 제10b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약간 우측으로 즉 아암이 페쇄된 위치로부터 이동되어질 수 있으며 그후 카트리지는 아암을 개방시키기 위해 카트리지 리셉터클(201)과의 인접부로 되돌려 이동될 수 있다.
제10a도 및 제10b 도에 도시된 동작이 시작될 때까지, 회전테이블(200)은 소정각도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제1카트리지(X1)는 다음 위치로 이동되어진다는 것은 자명하다.
즉, 제10도에 도시된 리셉터클(201)은 제9도에 도시된 리셉터클(201)에 인접한 리셉터클(201)이다.
제2리셉터클내에 제2카트리지(X2)를 세팅한 후, 제3 및 제4카트리지는 제2카트리지(X2)와 전혀 동일한 방법으로 제3 및 제4 리셉터클로 공급된다. 본 실시예의 회전테이블은 단지 4개의 카트리지만을 운반한다. 따라서, 제5카트리지(X5)가 회전테이블로 공급되기 전에, 제1카트리지(X1)는 회전테이블(200)로부터 제거되어져야 한다.
제4카트리지(X4)가 테이블로 공급된 후, 반송차(10)는 아암(14)이 개방상태로 적재위치로 되돌려 이동된다. 그후, 반송차는 제5카트리지(X5)를 적재하지 않고 아암(14)이 개방된 상태로 또다시 전방으로 이동된다. 바로 이전에, 제1카트리지(X1)이 반송차의 경로의 단부가 되도록 테이블이 회전된다.
반송차(10)가 카트리지(X1)와 인접할 때, 아암(14)은 카트리지(X1)를 유지하기 위해 폐쇄된다. 그후 반송차는 본래의 위치로 되돌려지며, 여기서 카트리지(X1)는 반송차로부터 방출되어 카트리지 수납장치(A)로 되돌려 이동된다. 그후, 카트리지 수납부장치(A)로부터 공급된 제5카트리지(X5)가 반송차로 적재된다. 반송차(10)는 그후 리셉터클(201)에 카트리지(X5)를 세트시키기 위해 이동된다.
제6 및 그 다음 순서의 카트리지(X6,...)는 제5카트리지(X5)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리셉터클로 공급되어진다.
제11도 및 그 다음의 도면들은 제2실시예의 캐리어장치(B')를 도시한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캐리어징차(B')는 반송차(10'), 가이드유닛(40') 및 구동유닛(50)으로 이루어진다. 구동유닛(50)은 제1실시예의 구동유닛과 동일하다. 반송차(10') 및 가이드유닛(40')은 제1실시예의 반송차 및 가이드 유닛과는 약간 상이하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이드유닛(40')은 가이드판(41')(제12도를 보라; 도면을 간략히 하기 위해 제11도엔 도시되지 않았음), 과 가이드 지지부(46)에 의해 지지되고 가이드판(41')과 평행하게 주행하는 가이드로드(45)를 가진다. 부호 47는 반송차(10')를 기계적으로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나타낸다.
제1실시예와는 다르게, 반송차(10')는 가이드롤러(11)를 가지지 않는다. 대신에, 케이스(13)는 케이스의 가이드로드(45)상에서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는 측면판에 형성된 절단부의 양단부에 제공되며 외부방향 벤딩부(13a)를 갖는다. 구동판(12')은 반송차의 이동방향(제11도에서 화살표방향)에 대해 반송차(10')의 좌측상에서 벤딩부(13a) 사이에서 케이스(13)의 하부판(19') 상에서 고정되어 장착된다. 스프링(13b)은 전방 및 후방 벤딩부(13a)과 구동판(12') 사이에서 구동판(12')을 관통하여 신장하는 가이드로드(45) 상에서 장착된다.
스프링(13b)은 벨트(51')에 의해 구동되는 반송차(10') 혹은 그 위의 카트리지(X)가 스토퍼(47) 혹은 운반경로의 전방 및 후방단부에서 리셉터클(201)과 부딪칠 때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제공된다. 벨트(51')는 고정판(12b') 및 스쿠루(12C')에 의해 구동판(12')의 상부단부에서 확실히 고정된다.
아암(14')은 수평 지지핀(15)을 관통하여 아암의 전방단부 가까이에서 케이스(13)상에 선회식으로 장착된다. 카트리지 유지기구(17')는 핀(24)을 관통하여 아암(14')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장치는 아암로크기구를 가지지 않는다.
케이스(13)는 후방단부 근처에 솔레노이드 구동유닛(20')(이후엔 간단히솔레노이드라 함)을 운송한다. 솔레노이드의 구동로드(20a')는 핀(21)을 관통하여 카트리지 유지기구(17')에 연결된다. 카트리지 유지기구(17')는 레버(22), 레버(22)를 경사지게 하기 위해 레버(22)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신장된 구멍(25)으로 삽입된 지지핀(26)과, 핀(26)과 맞물리는 스프링(22a)으로 이루어진다.
카트리지 유지기구(17')는 전방단부가 핀(24)을 관통하여 아암(14')의 베이스에 접속된다. 스프링(27)은 언제나 아래방향으로 아암(14)의 베이스를 잡아 당기기 위해 핀(24)에 연결된다. 전방단부 판(28a)은 케이스(13)의 하부의 전방단부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캐리어장치(B')의 동작은 기본적으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제13도는 카트리지 적재 위치에 카트리지(X)가 적재된 반송차(10')를 도시한다.
카트리지(X)는 카트리지(X)를 적재하기 바로 전에 아암을 개방함으로써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X)가 적재된 후 아암을 폐쇄시킴으로써 아암(14)과 전방단부판(28a) 사이에서 세트되어 유지된다.
아암(14)은 솔레노이드(20')의 구동로드(20a')를 이동시킴으로써 개방되고 페쇄될 수 있다. 제13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구동로드(20a')는 완전히 수축되어졌으며, 따라서 아암(14) 및 레버(22)는 수평으로 유지되어 있다.
반송차(10')는 카트리지(X)를 회전테이블(200) 상의 카트리지 리셉터클(201)로 운반하기 위해 아암(14)과 전방단부 판(28a) 사이에 카트리지(X)를 유지하면서 벨트(51')를 통하여 구동유닛(50)에 의해 전방으로 구동된다.
카트리지(X)가 카트리지 리셉터클(201)과 접할 때, 반송차(10')는 접하는 곳에서 정지된다.
그러나 벨트(51')는 그 순간에도 여전히 구동되어지므로, 벨트는 스프링(13b)의 바이어스 힘을 극복하여 약간 앞쪽으로 구동판(12')을 푸시하며 잠시 후에 멈춘다.
이것은 예시되지 않은 광전센서(PH2)가 반송차(10')를 검출하여 모터(50)를 정지시키는 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이 상태는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다.
반송차(10')가 정지되었을 때,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20')는 구동로드(20a')를 푸시하도록 활성화되며 아암(14)이 해제되도록 활성화된다. 더욱 상세히는, 구동로드(20a')가 푸시될 때, 핀(21)과 경사진 레버(22)는 푸시되며, 핀(26)을 긴구멍(26)의 후방단부에 남겨둔다. 결과적으로는, 레버(22)의 전방단부는 강하되며, 따라서 아암(14)은 스프링(27)에 의해 그 후방단부에서 하방향으로 당겨진다. 아암(14)은 따라서 핀(15) 주위에서 개방위치로 선회된다.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X)는 아암(14)에 의해 더 이상 바운드되지 않는다. 따라서, 반송차(10')를 받침으로써, 카트리지(X)는 회전테이블(200) 상에 놓여진다. 반송차(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본래의 카트리지 적재 위치로 되돌려지며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47)와 인접함으로써 정지된다. 광전센서(PH1)는 그 적재위치에서 반송차(10')를 검출하여 모터(50)를 비활성화 하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제공된다. 카트리지(X)는 아암(14)이 개방된 상태로 반송차상에 적재된다. 그후, 아암(14)은 폐쇄된다. 이 상태는 제13도에 도시된다. 그후, 제2 및 제3카트리지가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공된다.
본 실시예는 반송차(10)를 구동하는 구동유닛이 아닌 별개의 솔레노이드(20')에 의해 아암(14)이 개방되고 폐쇄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 보다 구성면에서 훨씬 단순하며, 동작면에서 더욱 신뢰성 있고, 단순하며 효율적이다.

Claims (3)

  1. 필름을 수납하는 카트리지를 유지하여 사진인화장치로 운송하기 위한 반송차와, 상기 반송차를 안내하기 위하여 경로를 따라 제공된 가이드 유닛과, 상기 경로를 따라 상기 반송차를 왕복운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반송차에 공급하는 카트리지 공급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반송차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반송차에서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는 폐쇄위치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반송차로부터 탈착가능한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아암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인화장치와 함께 사용하는 캐리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차는 지지판과 상기 카트리지를 유지하기 위한 상기 아암으로 구성된 카트리지 유지기구와, 상기 카트리지 유지기구를 통하여 상기 아암을 상기 폐쇄된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폐쇄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아암 로크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공급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경로에 수동으로 삽입될 수 있는 카트리지 삽입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장치.
KR1019950007961A 1994-04-07 1995-04-06 필름 카트리지 캐리어 KR0169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69658 1994-04-07
JP6965894 1994-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654A KR950033654A (ko) 1995-12-26
KR0169526B1 true KR0169526B1 (ko) 1999-01-15

Family

ID=13409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7961A KR0169526B1 (ko) 1994-04-07 1995-04-06 필름 카트리지 캐리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12765A (ko)
EP (1) EP0676664B1 (ko)
KR (1) KR0169526B1 (ko)
CN (1) CN1073716C (ko)
CA (1) CA2146385C (ko)
DE (1) DE6951784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0113B2 (ja) * 1993-10-06 1999-09-20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写真焼付処理装置
JPH0915740A (ja) * 1995-06-29 1997-01-17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ンタコントロール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キャリア
JP3201249B2 (ja) * 1996-02-21 2001-08-20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入りフィルム供給方法及び装置
JPH103126A (ja) * 1996-06-17 1998-01-06 Noritsu Koki Co Ltd 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の搬送方法及び装置
JPH10186619A (ja) * 1996-12-25 1998-07-14 Noritsu Koki Co Ltd カートリッジ入りフィルム搬送供給方法及び装置
DE19927275A1 (de) * 1998-06-15 1999-12-16 Fuji Photo Film Co Ltd Filmträger
JP5097241B2 (ja) * 2010-04-15 2012-12-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12731754B (zh) * 2020-12-25 2023-01-17 中国核工业第五建设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控制的射线胶片暗盒更换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30034A (de) * 1970-10-02 1972-10-31 Gretag Ag Vorrichtung zur Beschickung von automatischen Filmverarbeitungsmaschinen
US3776405A (en) * 1972-01-24 1973-12-04 Eastman Kodak Co Apparatus for unloading cartridges from trays
US3880294A (en) * 1973-11-30 1975-04-29 Ibm Article exchanging grapples
US4253788A (en) * 1978-08-08 1981-03-03 Cx Corporation Film unloading and handling mechanism
DE3437046A1 (de) * 1984-10-09 1986-04-10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Vorrichtung zur entnahme des films aus einer filmpatrone
US4731628A (en) * 1984-12-26 1988-03-15 Fuji Photo Film Co., Ltd. Film feeding apparatus for a developing machine
JP2719015B2 (ja) * 1989-12-05 1998-02-2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フイルム取扱い及びプリント方法並びに収納容器
US5181824A (en) * 1990-11-21 1993-01-26 Eureka Acquisition Corp. Variable width and length holding and size sensing device for a dual axis translation mechanism
JP3109777B2 (ja) * 1993-03-11 2000-11-2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フイルムパトローネ胴板の集積装置
JP3158792B2 (ja) * 1993-07-19 2001-04-23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写真焼付方法及び装置
JP2950113B2 (ja) * 1993-10-06 1999-09-20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写真焼付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325A (zh) 1996-08-21
US5612765A (en) 1997-03-18
CN1073716C (zh) 2001-10-24
EP0676664B1 (en) 2000-07-12
KR950033654A (ko) 1995-12-26
DE69517846D1 (de) 2000-08-17
CA2146385C (en) 1999-03-09
CA2146385A1 (en) 1995-10-08
EP0676664A1 (en) 1995-10-11
DE69517846T2 (de) 200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7698A (en) Film feeding apparatus
KR0169526B1 (ko) 필름 카트리지 캐리어
EP0677771B1 (en) Photographic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US5715035A (en) Integrated photofinishing apparatus
JP3437287B2 (ja) フィルムキャリア
JP3158792B2 (ja) 写真焼付方法及び装置
KR0169520B1 (ko) 사진 처리기에서 필름으로부터 리더를 분리하는 방법 및 수단
JP3201211B2 (ja) 写真焼付処理装置用搬送装置
WO1995010068A1 (fr) Appareil de reproduction photographique
US6177981B1 (en) Loading arrangement and film platform for APS film
JPH09236900A (ja) 感光材料処理装置
JPH03265853A (ja) 写真処理装置
JP2914553B2 (ja) フィルム自動現像装置
JPH09101609A (ja) フィルム自動現像装置
JPH08286280A (ja) 写真焼付処理方法及び装置
JP2739401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H04346346A (ja) パトローネ収納容器
JP2001088974A (ja) シート材用ベルト搬送装置
JP2000338611A (ja) 写真処理装置
JPH0915738A (ja) 画像読取装置
JPH11106119A (ja) 写真焼付処理装置
JP2000162717A (ja) 写真処理装置におけるピースネガ送り出し部構造
JPH1138583A (ja) フィルム供給装置
JP2005194022A (ja) プリント搬送装置
JPH01259341A (ja) フィルム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