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637B1 - 경사식 스티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경사식 스티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637B1
KR0161637B1 KR1019960001649A KR19960001649A KR0161637B1 KR 0161637 B1 KR0161637 B1 KR 0161637B1 KR 1019960001649 A KR1019960001649 A KR 1019960001649A KR 19960001649 A KR19960001649 A KR 19960001649A KR 0161637 B1 KR0161637 B1 KR 0161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pair
coupling
steer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255A (ko
Inventor
기요하루 히가시노
Original Assignee
세키야 테쯔오
닛폰 세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야 테쯔오, 닛폰 세코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키야 테쯔오
Publication of KR960031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6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2Hand levers
    • B62D1/14Tillers, i.e. hand levers operating on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적은 스티어링 칼럼(2)의 지지강성을 높히고 높이 조정기구의 높이치수를 작게 하며, 운전자의 무릎과의 간섭을 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스티어링 휠의 높이위치를 고정할 때에는 경사레버(11)에 의해 경사볼트(19)를 견고하게 체결한다. 그결과 선단면(34)과 억제 브라켓트 (16)를 구성하는 제1억제 아암부(25)의 선단부 내측면(35)과의 간격은 좁아진다. 그리고 고정 브라켓트(3a)를 구성하는 고정판부(5)의 내측면은 상기 스티어링 칼럼(2)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가압부착된다. 높이 조절시에는 상기 경사볼트(19)를 이완시키고, 제1, 제2의 결합핀(17,20)을 긴구멍(6)을 따라 이동시킨다.

Description

경사식 스티어링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중요부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중요부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제3도와 동일한 형태의 도면.
제5도는 제4도의 구조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제3도와 동일한 형태의 도면.
제7a도는 억제 브라켓트를 도시하는 제6도와 동일한 방향에서 본 도면.
제7b도는 억제 브라켓트를 도시하는 제6도와 동일한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
제8도는 절결부를 제6도의 우측에서 본 도면.
제9도는 제6도의 좌측에서 본 도면.
제10도는 고정 브라켓트만을 취출하여 도시한 제9도의 Y-Y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제3도와 동일한 형태의 도면.
제12도는 제11도의 구조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는 제3도와 동일한 형태의 도면.
제14도는 종래 구조의 일예를 도시하는 중요부 측면도.
제15도는 종래 구조의 일예를 도시하는 중요부 평면도.
제16도는 제14도의 Z-Z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티어링 축 11 : 경사레버
12 : 스티어링 컬럼 14 : 결합구멍
3a : 고정 브라켓트 16 : 억제 브라켓트
5 : 고정판부 17 : 결합핀
6 : 긴구멍 18 : 나사구멍
10 : 경사너트 19 : 경사볼트
[산업상의 이용 분야]
본 발명에 관계된 경사식 스티어링 장치는 자동차를 조타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의 높이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
운전자의 체격이나 운전 자세 등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형태에서, 경사식 스티어링 장치로 불리우는 스티어링 휠의 높이 조절 장치는 예를들면 실개평 5-22253호 공보에 기재된 형태로서 종래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제14도 내지 제16도는 기본 구조의 일부가 상기 공보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것이며, 또한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경사식 스티어링 장치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스티어링 축(1)은 후단부(제14도의 우단부)에 고정된 스티어링 휠(도시하지 않음)의 조작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스티어링 축(1)은 원통 형상의 스티어링 컬럼(2)에 삽입되고, 상기 스티어링 컬럼(2)의 내측에 회전만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티어링 컬럼(2)의 후단부(제14도 내지 제15도의 좌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횡축에 의해 차체에 대해 요동가능하게 지지 되어있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컬럼(2)의 중간부 상단으로 기운부분을 차체에서 상하 위치 조절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를 위한 상하위치 조절기구는 대시보드(dash board)의 하측등에서 차체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트(3)와, 상기 스티어링 컬럼(2)의 하면에 용접 고정된 승강 브라켓트(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 중의 고정 브라켓트(3)는 각각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좌우 한쌍으로 고정 판부(5)를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2개의 고정 판구(5)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칼럼(2)의 중간부 상단으로 치우친 부분을 폭 방향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워진 상태에서, 차체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판부(5)의 하단 테두리 끼리는 연결 판부(1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각 고정판부(5)에는 상기 횡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의 긴구멍(6)을 상하방향으로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승강 브라켓트(4)는 충분한 강성을 가진 금속판을 대략 C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며, 상기 스티어링 컬럼(2)의 중간부 상단으로 치우친 부분의 하면에서, 상기 한쌍의 고정 판부(5)에 끼워진 부분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승강 브라켓트(4)에는 좌우 한쌍의 원형구멍(7)을 서로 동심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2개의 원형 구멍(7)과 상기 긴구멍(6)에 한 개의 경사 볼트를 삽입관통하고 있다. 상기 경사 볼트(8)의 일단부(제16도의 우단부)에 형성된 헤드부(9)는 상기 한쌍의 긴구멍(6)중의 한쪽(제16도의 우측)의 긴구멍(6)에서, 상기 긴구멍(6)의 길이방향(제16도의 상하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회전은 불가능하게)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경사 볼트(8)의 선단부에서, 다른쪽(제16도의 좌측)의 긴구멍(6)을 통하여 고정판부(5)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서는 경사 볼트(8)를 나사결합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 볼트(10)에는 경사 레버(11)의 기단부를 고정나사(12)에 의해 결합고정하고, 상기 경사 레버(11)의 조작에 의해 경사 너트(10)를 회전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경사너트(10)의 내부단면과 상기 헤드부(9)의 내측면과의 간극은 상기 경사너트(10)의 회전을 기초로 하여 조절가능하게 되어있다. 그리고, 이러한 내부 단면과 내부 단면과의 간극을 좁히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 너트(10)와 헤드부(9)는 상기 고정 브라켓트(3)를 구성하는 한쌍의 고정판부(5)의 내측면을 상기 승강 브라켓트(4)의 내측면에 압입 부착된다.
상술한 형태로 구성된 본 발명의 경사식 스티어링 장치에 의해, 운전자 체격등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높이위치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 레버(11)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경사 너트(10)를 이완하고, 경사너트(10)와 상기 헤드부(9)의 간극을 넓힌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고정 판부(5)의 내측면과 상기 승강 브라켓트(4)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이 작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트(3)의 긴구멍(6)을 따라 경사 볼트(8)를 이동시키고, 상기 스티어링 컬럼(2)의 후단부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휠을 소망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와같은 형태로 하여 스티어링 휠의 높이 위치를 소망의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경사레버(11)에 의해 상기 경사너트(10)를 체결시킨다. 상기 체결의 결과, 상기 헤드부(9)와 경사너트(10)의 간극은 좁아지게 되고, 상기로 한쌍의 고정 판부(5)의 내측면은 상기 승강 브라켓트(4)의 외측면에 압입부착 되고, 이러한 양쪽면 사이에 발생된 마찰력은 크게 된다. 그결과, 상기 스티어링 컬럼(2)의 상부는 조절후의 위치에 고정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술된 형태로 구성되고 작용되는 종래의 스티어링 장치는 다음과 같이 ①, ②와 같은 점을 개량할 것이 요망되고 있다.
① 고정 브라켓트(3)에 대한 스티어링 컬럼(2)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킨다.
② 상하 위치 조절기구의 높이치수(H)를 작게 한다.
①은 주행시에 스티어링 컬럼(2)이 진동 하는 것을 방지하고, 스티어링 휠에 수평방향으로 큰 하중을 가하는 경우에, 상기 스티어링 휠이 변위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스티어링 휠의 지지 강성감을 향상시킨다)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②는 대시보드 하면으로부터의 상하위치 조절기구의 돌출량을 작게 하고, 운전자의 무릎등이 상기 위치 조절기구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다.
상기 ①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스티어링 휠의 높이위치를 시킬 때에 스티어링 컬럼(2)의 하면에 고정된 승강 브라켓트(4)를 억제시키지 않고, 상기 스티어링 컬럼(2)의 측면을 양측으로부터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하여 스티어링 컬럼(2)을 억제하는 실용적인 구조는 종래에 공지되지 않았다. 실개소 55-121771호 공보에는 각각이 압축나사와 볼트와 밀봉부를 구비하는 링크 기구를 스티어링 컬럼을 좌우 양측에 설치하고, 상기 링크기구에 의해 스티어링 컬럼의 좌우양측을 지지하는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보에 기재된 구조는 매우 특수한 것이고, 또한 스티어링 휠의 높이위치를 고정시킬 때에도 스티어링 칼럼을 확실하게 억제하는 구조는 없다. 따라서 상기 공보에 기재된 구조에서는 실용적인 구조이고 지지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할지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는 없다.
또한, 상기 ②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고정 브라켓트(3)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고정 브라켓트(3)를 구성하는 좌우 한쌍의 고정판부(5)의 하단 테두리 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판부(13)를 생략하는 것이 고려되고, 일부는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 다소는 상하 위치조절 기구의 높이 치수(H)를 작게 할 수가 있지만, 필요하고도 충분한 효과는 얻어지지 않는다. 스티어링 칼럼(2)의 하면에 고정된 승강 브라켓트(4)의 존재를 기초로 하여, 상기 높이치수(H)의 단축에는 한도가 있다. 즉 상기 고정판부(5)는 스티어링 휠을 최대로 하강시킨 상태에서도, 상기 승강 브라켓트(4)를 양측으로부터 협지시킬 수 있어야만 한다. 이를 위하여, 이러한 고정판부(5)를 매우 낮게 해야만 한다. 또한 상기 하단 위치는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높게 하기 쉽고, 상기 승강 브라켓트(4)를 상승시킬 경우에도 그 상태로 되고, 큰 체격의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높게 하여 운전하는 경우에도 상기 하단위치가 상승하는 일이 없다. 이를 위하여 큰 체격의 운전자가 운전할 때에 무릎이 상기 상하 조절기구를 덮는 커버(도시않음)에 간섭하게 쉽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판부(13)를 생략하는 것에 의한 지지강성의 저하도 경우에 따라서는 무시할 수 없다.
본 발명의 경사식 스티어링 장치는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생한 것으로써, 실용적인 구조이면서 상기 ①②의 요구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 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경사식 스티어링 장치는 스티어링 칼럼과, 피봇부와, 좌우 한쌍의 결합 구멍과, 고정 브라켓트와, 긴구멍 형상부와, 억제 브라켓트와, 제1결합핀과, 나사구멍과, 경사볼트와, 제2결합핀과, 경사 레버를 구비한다.
이중에서도, 우선 상기 스티어링 칼럼은 후단부에서 스티어링 휠을 고정하는 스티어링 축을 회전 가능하게 삽입관통된다.
또한 상기 피봇부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전단부를 횡축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피봇시킨다.
또한 상기 좌우 한쌍의 결합구멍은 각각 스티어링 칼럼의 중간부 양측에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트 각각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좌우 한쌍의 고정판부를 가지고, 이러한 2개의 고정판부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중간부를 폭방향 좌우 양측으로부터 좁혀진 상태에서 차체에 고정된다.
또한 긴구멍 형상부는 상기 한쌍의 고정판부의 일부에서 상기 결합구멍에 정합하는 부분에 형성된 것으로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길다.
또한 상기 억제 브라켓트 각각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제1, 제2 억제 아암부와, 이러한 억제 아암부의 하단부 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아암부에 의해 상방으로 개방된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 핀은 상기 제1억제 아암부의 상단부 내측면에 돌출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긴구멍 형상부중의 한쪽의 긴구멍 형성부를 관통하고, 상기 한쌍의 결합구멍 중의 한쪽의 결합구멍 그 선단부를 삽입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나사구멍은 상기 제2의 억제 아암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상단부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경사볼트는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의 결합핀은 상기 경사볼트의 내부단면 중앙부에 돌출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긴구멍 형상부중의 다른 쪽의 긴구멍 형상부를 관통하고, 상기 한쌍의 결합구멍중의 다른 쪽의 결합구멍에 그 선단부를 삽입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경사레버는 상기 경사볼트의 외단부에 그 기단부를 고정하고 있다.
[작용]
상술된 형태로 구성된 본 발명의 경사식 스티어링 장치에 의해, 운전자의 체격등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높이를 조정할 때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운전자의 체격등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높이 위치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경사레버를 소정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경사볼트를 이완하고, 상기 경사볼트의 선단면과 제1억제 아암부의 선단부 내측면과의 간극을 넓힌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고정판부의 내측면과 스티어링 칼럼의 중간부 양측면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이 작아진다.
그래서 이 상태에서 각 고정판부에 형성된 긴구멍 형상부를 따라 제1, 제2결합핀을 이동시키고,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후단부를 승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휠을 소망의 높이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와같은 형태로 하여 스티어링 휠의 높이를 소망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경사레버를 역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경사볼트의 선단면과 제1억제 아암부의 선단부 내측면과의 간극을 좁힌다. 그 결과, 상기 한쌍의 고정판부의 내측면은 스티어링 칼럼의 중간부 양쪽 측면에 견고히 가압부착되고, 이러한 양쪽면에 발생되는 마찰력은 크게 된다. 그결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상부 및 스티어링 볼트는 조절후의 위치에 고정된다.
[실시예]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경사식 스티어링 장치는 스티어링 칼럼(2)과, 도시하지 않은 피봇부와, 좌우 한쌍의 결합구멍(14)와, 고정 브라켓트(3a)와, 긴구멍 형상부인 긴구멍(6)과, 억제 브라켓트(16)와, 제1결합핀(17)과, 나사구멍(18)과, 경사볼트(19)와, 제2결합핀(20)과, 경사레버(11)를 구비한다.
금속제이고 원통형상으로 제조된 스티어링 칼럼(2)의 내측에는 스티어링 축(1)을 회전만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스티어링 장치의 조립시에, 상기 스티어링 축(1)의 후단부(제1도의 우단부)에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2)의 후단 개구로부터 돌출된 부분에는 스티어링 휠(도시하지 않음)을 고정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1)을 회전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칼럼(2)의 후단부(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부분보다도 좌로 치우친 부분의 단부)와 차체와의 사이에는 피봇부를 설치하고 상기 전단부를 도시하지 않은 횡축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피봇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칼럼(2)의 중간부 좌우양측에는 서로 평행한 한쌍의 평탄부(21)를 상기 스티어링 칼럼(2)을 구성하는 금속판을 소성변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양쪽 평탄부(21)의 일부에 서로 동심인 한쌍의 좌우 한쌍의 결합구멍(14)을 각각 상기 스티어링 칼럼(2)의 폭방향으로 서로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양쪽 결합핀(14)은 원형구멍이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트(3a)는 좌우 한쌍의 고정편(22)과, 이러한 양쪽 고정편(22)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편(2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편(23)는 제3도에만 도시되고, 제1도 및 제2도에서는 생략된다. 상기 각 고정편(22)은 동판 등의 충분한 강성을 가진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전체를 L자 형상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한 고정판부(5)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취부 판부(24)를 가진다. 이러한 양쪽 고정편(22)은 고정 판부(5)끼리를 간극을 가지고 대향시킨 상태에서 배치하고, 상기 연결편(23)의 양쪽 단부를 상기 각 취부 판부(24)의 상면에 용접하여 제3도에 도시된 형태로 조합시켜서, 상기 고정 브라켓트(3a)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형태의 고정 브라켓트(3a)는 상기 양쪽 고정판부(5)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칼럼(2)의 중간부에서 상기 평탄부(21)를 형성하는 부분을 폭방향 좌우 양측으로 좁혀진 상태에서 차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한쌍의 고정판부(5)의 일부에는 상기 피봇부를 구성하는 횡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이고, 또한 상하방향으로 긴구멍(6)을 형성하고 있다. 스티어링 조립시에는 이러한 양쪽 긴구멍(6)은 상기 각 결합구멍(14)에 정합된다.
또한, 상기 억제 브라켓트(16)는 충분한 강성을 가진 금속판에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전체형상은 상방이 개방된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억제 브라켓트(16)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제1, 제2의 억제 아암부(25)와, 이러한 양쪽 억제 아암부(25)의 하단부 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아암부(27)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중의 제1억제 아암부(25)의 상단부 내측면에 제1결합핀(17)을 돌출 설치하고 있다. 원형의 방패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결합핀(17)은 상기 한쌍의 긴구멍(6)중의 한쪽(제3의 우측 방향)의 긴구멍(6)을 통과하고, 상기 한쌍의 결합구멍(14)중의 한쪽의 결합구멍(14)에 그 선단부를 삽입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상기 제1결합핀(17)은 상기 제1억제 아암부(25)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구멍(32)에 나사(33)를, 상기 제1억제 아암부(25)의 외측면측(제3도의 우측)으로부터 나사결합하여 견고히 체결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나사(33)의 선단부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 단순히 원형의 방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억제아암부(26)의 상단부에는 통과구멍(15)를 형성하고, 상기 통과 구멍(15)의 내측에 결합된 너트(28)를 제2억제 아암부(26)에 대하여 용접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28)에 의해 상기 나사 구멍(18)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나사구멍(18)은 상기 제1결합핀(17)과 동심이고, 상기 제2억제 아암부(26)의 상단부를 횡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상기 형태의 나사구멍(18)에는 상기 경사볼트(19)를 나사결합하고 있다. 상기 경사볼트(19)의 내단면(제3도의 우단면) 중앙부에는 상기 제2결합핀(20)을 돌출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2결합핀(20)을 상기 한쌍의 긴구멍(6)중의 다른쪽 방향(제3도의 좌측)의 긴구멍(6)을 통과하고, 상기 한쌍의 결합구멍(14)중의 다른쪽의 결합구멍(14)에 그 선단부를 삽입하고 있다.
또한, 상기 경사볼트(19)의 외단부(제3도의 좌단부)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 부(29)에는 상기 경사 레버(11)의 기단부에 형성된 테이퍼 관부(30)를 외부에서 삽입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볼트(19)의 외단부에 나사부착된 고정나사(12)에 의해 상기 경사레버(11)의 기단부를 경사볼트(19)의 외단부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경사볼트(19)에 대하여 상기 경사볼트(11)의 취부각도는 조정가능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2억제 아암부(26)는 대향하는 고정판부(5)의 하단부 외측면에서, 제2억제아암부(26)를 전후(제1도의 좌측)로부터 끼워지지하는 위치에서 한쌍의 결합돌기(31)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각 결합돌기(31)는 상기 고정판부(5)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일부에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고, 후술하는 제10도의 형태에서, 고정판부(5)의 외측면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결합돌기(31)는 상기 제2억제 아암부(26)의 전후 양측 테두리와 결합하고, 상기 제2의 억제 아암부(26)의 승강은 허용되지만, 상기 경사볼트(19)에 가해진 회전력에 구속되지 않으며, 상기 제2억제 아암부(26)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된 형태로 구성된 본 발명의 경사식 스티어링 장치에 의해, 운전자의 체격등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높이위치를 조절할 때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운전자의 체격등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높이 위치를 조정할 경우에는 상기 경사레버(11)를 소정방향(예를들면 제1도의 시계방향. 단 이경우에는 나사구멍(18) 및 경사볼트(19)외주면의 숫나사는 역 나사로 한다.)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경사볼트를 이완하고, 상기 경사볼트(19)의 선단면(34)과 제1억제 아암부(25)의 선단부 내측면(35)과의 간격을 넓힌다. 상기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고정판부(5)의 내측면과 스티어링 칼럼(2)의 중간부에 형성된 평탄부(21)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발생된 마찰력은 작게 된다.
그래서, 상기 형태로 경사볼트(19)를 이완시킨 상태 그대로 상기 스티어링 칼럼(2)의 후단부를 승강시키면, 상기 각 고정판부(5)에 형성된 긴구멍(6)을 따라 제1, 제2의 결합핀(17)이 이동된다. 예를 들면, 상기 스티어링 칼럼(2)의 후단부를 상승시키면, 상기 제1, 제2결합핀(17)은 상기 각 긴구멍(6)의 상단부를 향하여 이동되고, 하강시키면 하단부를 향하여 이동된다. 상기 형태로 하여 상기 스티어링 칼럼(2)의 후단부를 승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축(1)의 후단부에 고정된 스티어링 휠을 소망의 높이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여 스티어링 휠의 높이를 소망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경사레버(11)를 역방향(예를들면 제1도의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경사볼트(19)의 선단면(34)과 제1억제 아암부(25)의 선단부 내측면(35)과의 간극을 좁힌다. 상기 결과, 상기 한쌍의 고정판부(5)의 내측면은 상기 평탄부(21)의 외측면에 견고히 가압 부착되게, 이러한 양측면 사이에 발생된 마찰력은 크게 된다. 상기 결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2)의 상부와 스티어링 휠은 조절후의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형태로 하여 스티어링 칼럼(2)을 고정 브라켓트(3a)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판부(5)가 스티어링 칼럼(2)의 중간부에 형성된 평탄부(21)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직접 부착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티어링 칼럼(2)의 지지강성이 향상되고, 나쁜 도로주행시등에 상기 스티어링 칼럼(2)이 진동하거나 혹은 스티어링 휠에 횡방향으로 강한 힘이 부가되는 경우에 상기 스티어링 휠이 과도하게 변위하는 일은 없게 되고, 운전자에게 불쾌감이나 위화감을 부가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고정 브라켓트(3a)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함으로써, 높이 조절기구의 높이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운전자의 무릎과의 간섭방지를 도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억제 브라켓트(16)의 하단부는 고정 브라켓트(3a)보다도 하방으로 돌출하지만, 상기 억제 브라켓트(16)는 스티어링 휠의 높이조절에 따라 승강하기 때문에, 상기 높이 조절기구의 커버의 형상 혹은 구조를 고려하는(억제 브라켓트(16)에 대응하는 부분을 생략하기도하고, 혹은 억제 브라켓트(16)과 동시에 승강하는)것이므로, 상기 커버와 운전자의 무릎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억제 브라켓트(16)가 하강하는 것은 체격이 작은 운전자가 운전하는 등의 스티어링 휠의 높이 위치를 하강시키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억제 브라켓트(16)의 하단위치가 낮아져도 상기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에 반하여, 큰 체격의 운전자의 경우에는 스티어링 휠을 상승시키고 상기 억제 브라켓트(16)의 하단위치가 상승하므로 상기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4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실시예도,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은 상술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 혹은 간단하게 되며, 다음은 상기 제1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을 한다.
스티어링 칼럼(2)의 중간부 외주면에는 제1실시예와 같은 형태의 평탄부(12)는 형성되지 않고, 그대신에 좌우 한쌍의 결합편(36)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이러한 각 결합편(36)에는 서로 동심의 결합편(14a)을 설치하고, 제1, 제2결합편(17,20)의 선단부를 삽입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경사 볼트(19a)의 외주면에는 결합원통부(37)를 형성하고 있다.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결합원통부(37)의 외주면에는 세레이션 홈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경사레버(11)의 기단부에는 상기 결합원통부(37)의 외주면과 결합가능한 세레이션 구멍(38)을 형성하고 있다. 경사식 스티어링을 조립할 때에는 고정 브라켓트(3a)에 스티어링 칼럼(2a)을 고정한 상태에서 경사레버(11; 제1도에 도시된 형태)가 적정위치로 된 상태로 되어, 상기 결합원통부(37)와 세레이션 구멍(38)을 결합시킨 후, 제4도에 도시된 형태로 상기 결합원통부(37)의 선단부를 잡아 넓히고, 상기 경사볼트(11)의 이탈방지를 도모한다.
다음으로, 제6도 내지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도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은 전술된 제1실시예 혹은 상술된 제2실시예와 동일한 형태이므로,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 혹은 간단하게 하며, 다음은 상기 제1실시예 및 상기 제2실시예와의 상이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스티어링 칼럼(2)의 중간부에 강철판제의 슬리브(43)를 용접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43)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평탄부(21a)에 각각 삽입구멍(14)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억제 브라켓트(16a)와, 제1결합핀(17)과, 나사구멍(18)을 금속주조(다이캐스트를 포함)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나사구멍(18) 내주면의 나사산은 주조후에 탬핑가공에 의해 형상되어 있다. 억제 브라켓트(16a)와 제1결합핀(17)을 일체로 함에 따라, 긴구멍 형성으로 되고 제1실시예 내지 제2실시예의 긴구멍(6; 제1, 제3, 제4, 제5도)을 대신하여 절결부(39)를 각 고정판부(5)의 하반부에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각 절결부(39)는 제8도에 도시된 형태로서 상기 고정판부(5)의 하단 테두리에서 개방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긴구멍 형상부(39)로 함으로써, 상기 억제 브라켓트(16a)와 제1결합핀(17)을 일체로 하고, 고정 브라켓트(3a)에 억제 브라켓트(16a)를 조립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긴구멍 형상부를 절결부(39)로 함에따라, 경사볼트(19a)를 이완할 때에 상기 브라켓트(16a)는 스티어링 칼럼(2)의 상부와 하방으로 낙하하는 가능성이 발생한다. 그래서,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억제 아암부(26)의 상단부 측방으로 스톱퍼(40; 제9도 참고, 제7도에서는 생략)를 돌출설치하고, 상기 스톱퍼(40)와 고정판부(5)에 형성된 결합돌기(31)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낙하를 방지한다. 상기 형태의 스톱퍼(40)를 형성한 억제 브라켓트(16a)의 조립부착시에는 제9도의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우선 스톱퍼(40)를 한쌍의 결합돌기(31)의 사이에 통과시킨 후에 억제 브라켓트(16a)전체를 상기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제11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도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이므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혹은 간략하게 하고, 다음은 제1실시예 내지 제2실시예와의 상이부분을 중심으로 설명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억제 브라켓트(16)를 스티어링 칼럼(2)의 중간부에 용접고정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억제 브라켓트(16)를 구성하는 연결판부(27)로부터 상방으로 직립된 판부(41)를 형성하고, 상기 직립된 판부(41)의 상단 테두리와 상기 스티어링 칼럼(2)의 중간부 하면을 용접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핀(17)을 구성하는 플러그(45)는 미리 통과구멍(44)에 삽입되고, 다시 제1억제 아암부(25)의 상단부에 용접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플러그(45)를 제1억제 아암부(25)에 미리 고정시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경우도 긴구멍 형상부로서 절결부(39)를 채용하고, 고정 브라켓트(3a)에 억제 브라켓트(16a)를 조립부착 가능하게 되어있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칼럼(2)의 상면에 용접고정된 돌출방지편(46)은 일시 충돌시에 상기 스티어링 칼럼(2)이 후방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밀어올림방지편(46)에 대해서는 종래에 공지되어있고 본 발명의 요지도 아니므로, 상세히 도시하고 설명하는 것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스티어링 칼럼(2a)를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등을 다이캐스트 성형하는 것에 의해 주조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한쌍의 고정판부(5)의 내측면과 접하는 평탄부(21) 형성부분을 두껍게 하고, 다이캐스트 성형시에 상기 평탄부(21)를 형성하는 형태로 하고 있다. 다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2a)에 콤비네이션 스위치를 지지하기위한 부착판(42; 제1, 제14도)을 일체로 주조하는 일이 가능하다. 그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된 제3실시예와 동일한 형태이므로, 동일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경사식 스티어링 장치는 이상으로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되고 작용하여 다음의 ①,②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① 고정 브라켓트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의 중간부를 직접 좌우 양측으로부터 억제하므로, 고정 브라켓트에 대하여 스티어링 칼럼의 지지 강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운저자 등의 승차 인원에게 불쾌감이나 위화감을 부여하는 일이 없게 된다.
② 상하 위치조절 기구의 높이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무릎이 상기 상하 위치조절기구에 간섭하지 않고 운전자에게 위화감을 부여하지 않게 된다.

Claims (1)

  1. 후단부에 스티어링 휠을 고정하는 스티어링 축을 회전가능하게 삽입통과하는 스티어링 칼럼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전단부를 횡축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가능하게 피봇하는 피봇부와,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중간부 양측면에서 각각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폭 방향으로 설치된 좌우 한쌍의 결합핀과, 각각이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좌우 한쌍의 고정판부를 가지고, 상기 2개의 고정판부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중간부를 폭방향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운 상태에서 차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트와, 상기 한쌍의 고정판부의 일부에서 상기 각 결합핀에 정합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각각이 상하방향으로 길게된 긴구멍 형상부와, 각각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제1, 제2억제 아암부와 상기 2개의 억제 아암부의 하단부 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아암부에 의해 상방이 개방된자 형상으로 형성된 억제 브라켓트와, 상기 제1억제 아암부의 상단부 내측면에 돌출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긴구멍 형상부중의 한쪽의 긴구멍 형상부를 관통하며, 상기 한쌍의 결합구멍중의 한쪽의 결합구멍에 그 선단부를 삽입하는 제1결합핀과, 상기 제2억제 아암부의 상단부에서 그 상단부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태에 설치된 나사구멍과, 상기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는 경사볼트와, 상기 경사볼트의 내측면 중앙부에 돌출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긴구멍 형상부중의 다른 방향의 긴구멍 형상부를 관통하고, 상기 한쌍의 결합구멍중의 다른쪽의 결합구멍에 그 선단부를 삽입시키는 제2결합핀과, 상기 경사볼트의 외단부에서 그 기단부를 고정하는 경사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식 스티어링 장치.
KR1019960001649A 1995-02-27 1996-01-26 경사식 스티어링 장치 KR0161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8631 1995-02-27
JP03863195A JP3440605B2 (ja) 1995-02-27 1995-02-27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255A KR960031255A (ko) 1996-09-17
KR0161637B1 true KR0161637B1 (ko) 1998-12-01

Family

ID=1253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649A KR0161637B1 (ko) 1995-02-27 1996-01-26 경사식 스티어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05351A (ko)
JP (1) JP3440605B2 (ko)
KR (1) KR0161637B1 (ko)
GB (1) GB229826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885B1 (ko) * 2008-09-03 2010-07-23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컬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9497A (en) * 1997-09-24 1999-05-04 Douglas Autotech Corp. Tilt-adjus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JP3488387B2 (ja) * 1998-10-30 2004-01-19 富士機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保持構造
DE29907181U1 (de) * 1999-04-22 1999-07-01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 Co.KG, 63743 Aschaffenburg Lenkrad mit Klemm-Narbe
JP3886766B2 (ja) 2001-01-11 2007-02-28 富士機工株式会社 チルト・テレスコピック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20030014439A (ko) * 2001-08-11 2003-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향장치의 틸팅힌지
DE10142766A1 (de) * 2001-08-31 2003-03-20 Opel Adam Ag Lagerung für ein längs- und/oder höhenverstellbares Mantelrohr einer Fahrzeuglenksäule
JP4147579B2 (ja) * 2002-01-17 2008-09-10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AU2003227417A1 (en) * 2002-05-10 2003-11-11 Nsk Ltd. Steering device
JP4179049B2 (ja) * 2002-07-16 2008-11-12 日本精工株式会社 位置調整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04067034A (ja) * 2002-08-09 2004-03-04 Fuji Kiko Co Ltd ステアリングコラム
US20060156854A1 (en) * 2002-09-04 2006-07-20 Nsk Ltd Vehicle position adjustment type steering column device
DE60328806D1 (de) * 2002-10-04 2009-09-24 Nsk Ltd Lenkstulenvorrichtung
US7125048B2 (en) * 2002-11-06 2006-10-24 Lear Corporation Dampener
JP4308040B2 (ja) * 2003-06-05 2009-08-05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CN100418828C (zh) * 2003-07-16 2008-09-17 日本精工株式会社 转向装置
JP4683456B2 (ja) * 2003-07-16 2011-05-18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JP4390134B2 (ja) 2003-11-05 2009-12-24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US20060169089A1 (en) * 2005-02-03 2006-08-03 Delphi Technologies, Inc. Rake and telescope mechanism
US20060185462A1 (en) * 2005-02-22 2006-08-24 Berg David L Tilt head rattle pivot pin noise reduction device for steering column assembly
US20060207378A1 (en) * 2005-03-17 2006-09-21 Delphi Technologies, Inc. Mounting structure for steering column
US7503234B2 (en) * 2005-05-26 2009-03-17 Delphi Technologies, Inc. One lever tilt and telescope mechanism
US7556293B2 (en) * 2005-06-27 2009-07-07 Delphi Technologies, Inc. Telescoping steering column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ssembly
US7838250B1 (en) * 2006-04-04 2010-11-23 Singulex, Inc. Highly sensitive system and methods for analysis of troponin
JP4760589B2 (ja) * 2006-07-24 2011-08-3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897262B1 (ko) * 2006-12-07 2009-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KR100848500B1 (ko) * 2007-01-31 2008-07-28 주식회사 만도 틸트 및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US7836790B2 (en) 2007-09-27 2010-11-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Tilt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a vehicle
US7874588B2 (en) * 2008-02-13 2011-01-25 Nexteer (Beijing) Technology Co., Ltd. Telescopically adjus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JP5521321B2 (ja) * 2008-12-10 2014-06-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保持装置
KR101268274B1 (ko) * 2009-06-30 2013-05-31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 컬럼
DE102010044495B4 (de) * 2009-09-07 2014-07-03 Mando Corporation Lenksäule für ein Fahrzeug
JP5871110B2 (ja) * 2013-11-20 2016-03-01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JP6353748B2 (ja) * 2014-08-30 2018-07-04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ステアリング装置
US10611396B2 (en) 2017-04-24 2020-04-07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Motion control assembly for adjustable steering column
CN111003055A (zh) * 2019-12-26 2020-04-14 四川绵阳三力股份有限公司 一种无间隙调节的电动调节转向柱
CN112660232A (zh) * 2020-12-29 2021-04-16 宜宾凯翼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转向管柱结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1771A (en) * 1979-03-14 1980-09-19 Hitachi Ltd Line lockout detection/display system
GB2113164B (en) * 1982-01-15 1985-07-17 Ford Motor Co Mounting for an adjustable steering column
JPH03270A (ja) * 1989-05-26 1991-01-07 Brother Ind Ltd 印字装置
DE3920783C2 (de) * 1989-06-24 1995-06-0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orrichtung zum Längs- und Höhenverstellen der Lenksäule eines Kraftfahrzeugs
US5117707A (en) * 1990-02-23 1992-06-02 Fuji Kiko Company, Limited Tilting steering column
JPH0522253A (ja) * 1991-07-11 1993-01-29 Clarion Co Ltd スペクトラム拡散受信機
US5301567A (en) * 1992-09-23 1994-04-12 Chrysler Corporation Low pivot tilt steering column clamping mechanism
US5338064A (en) * 1992-11-25 1994-08-16 Nsk Ltd. Tilting type steering apparatus
GB2295445A (en) * 1994-11-24 1996-05-29 Torrington Co Adjustable steering colum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885B1 (ko) * 2008-09-03 2010-07-23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컬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600298D0 (en) 1996-03-13
JPH08230689A (ja) 1996-09-10
US5605351A (en) 1997-02-25
JP3440605B2 (ja) 2003-08-25
GB2298261A (en) 1996-08-28
GB2298261B (en) 1998-06-10
KR960031255A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1637B1 (ko) 경사식 스티어링 장치
US5531317A (en) Tilt-type steering column device
US6964432B2 (en) Automotive steering system
EP1762462B1 (en) Steering apparatus
EP1223096A1 (en)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a vehicle
JP2926721B2 (ja) スタビライザ取付構造
US10654513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JP3567623B2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513633Y2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05014681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H08276852A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H0531015Y2 (ko)
JPH0450218Y2 (ko)
JP3855634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4258274B2 (ja) 車両用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H0710998Y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H0441018Y2 (ko)
JP2001315649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装置
JP3791197B2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H09221043A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H0443420Y2 (ko)
JP2004196299A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3304728B2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
JP3950684B2 (ja) 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4161276A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