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883B1 - 한글문자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한글문자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883B1
KR960016883B1 KR1019910025079A KR910025079A KR960016883B1 KR 960016883 B1 KR960016883 B1 KR 960016883B1 KR 1019910025079 A KR1019910025079 A KR 1019910025079A KR 910025079 A KR910025079 A KR 910025079A KR 960016883 B1 KR960016883 B1 KR 960016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alphabet
key
hangul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5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230A (ko
Inventor
진 스가노
Original Assignee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자와 다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자와 다다시 filed Critical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15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한글문자 입력장치
제1도는 한글문자 입력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한글문자 입력장치의 키보드(1)의 키배열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 키보드(1)의 초음자모 입력키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
제4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키보드(1)의 중음자모 입력키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
제5도는 제1도에 나타낸 한글모자 입력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자모코드 출력수단(4)의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6도는 한글문자 입력장치에 의한 자모입력의 구체예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종래의 한글문자 입력장치의 키배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키입력되는 한글자모의 조합함으로써 한글문자를 형성하는 한글문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글문자(이하 한글이라 약기함)는 한국어의 음질을 나타낸 문자이고 하나의 한글(문자)로 하나의 음질을 나타낸다.
한글은 복수의 한글자모(이하 자모라고 약기함)를 조합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조합에 의해서 크게 2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① 초음(자음)+중음(모음)
② 초음(자음)+중음(모음)+종음(자음)
한글을 구성하는 초음, 중음, 종음자모를 표 1에 나타냈다.
[표 1]
이와같이 초음자모는 19종류, 중음자모는 21종류, 중음자모는 27종류가 있다. 이들중 초음 및 중음은 자음을 나타낸 것이나 초음과 종음의 양쪽에 사용되는 자모가 16종류, 초음만으로 사용되는 자모가 3종류, 종음만으로 사용되는 자모가 11종류있으므로 합쳐서 30종류의 자음을 나타내는 자모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①의 구성에서는 399가지의 자모의 조합(초음자모 19×중음자모 21)을 생략할 수 있고 사이 ②의 구성에서는, 10,733가지의 자모의 조합)(초음자모 19×중음자모 21×종음자모 27)을 생각할 수 있으나, 통상 사용되는 한글은 약 2,300문자이다.
그런데 한글을 키입력하여 문서처리등을 행하는 정보처리장치에서는 키보드에서의 키배열 및 입력방식이 문제로 된다. 물론 키배열이 기억하기 쉽고 또한 입력속도가 빠른 키배열 및 입력방식의 실현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자음이 이 자모가 30종류, 모음(종음)의 자모가 21종류이고, 합계 51종류의 자모를 입력하기 위하여 51개의 키로 배열하는 것은 키가 너무 많아서 비현실적이다.
그리하여 더 효율좋게 키입력할 수 있게 하는 한글입력용 키보드 및 입력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그 일예로서 제안된 것은, 실용화되어 가장 잘 사용되고 있는 한글입력용 키보드를 제7도에 나타냈다.
제7도의 키보드(9)에는 초음 및 중음을 입력하기 위한 자음자모키(91)가 14개와 중음을 입력하기 위한 모음자모키(92)가 12개 합계 26개의 키가 배열되어 있다. 도면중 자모키 이외에도 도시하지 않았으나 쉬프트키가 설비되어 있고 하나의 키에 두가지 자모가 새겨져 있는 경우에는 자모키와 동시에 쉬프트키를 눌음으로써 키위에 새겨져 있는 자모가 입력되게 되어 있다.
이 배열을 보면 좌측에는 자음자모키(91)가 배열되어 있고 우측에는 모음자모키(92)가 배열되어 있다. 즉 왼손가락으로 키를 쳐 초음자모 및 종음자모를 입력하도록 하고 오른손가락으로 중음자모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원칙적으로 좌우교호로 키를 치게 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7도의 키보드(9)에서 발생하는 키코드에 의해서 입력처리 프로그램이 자모를 격납하는 테이블에 의해서 자모의 코드를 검색하고 또 이 코드를 복수조합하여 한글조절사전을 억세스하여 대응하는 한글을 출력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또 많은 경우에 형성된 한글은 차례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만 이것은 초음자모가 입력된 단계에서는 초음자모만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중음자모, 종음자모가 입력되는데 수반되어 차례로 한글을 조립하여 앞의 자모를 갱신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제7도에 나타낸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불편한 점이 두가지 있다. 첫째로 이 키보드(9)에는 모드 자모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므로 키배열이 되어 있지 않는 자모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복수회키를 치지 않으면 안된다.
마련되어 있지 않는 자모는 중음자모의 B15로부터 B21과 종음자모의 C17로부터 C27이다(각각의 영자수자는 표 1에서 각 한글자모와 대응하여 기재한 것과 같다 이하 동).
이들 중에서 중음자모에 대해서는 초음자모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마련되어 있지 않는 것이고 다시말하면 자음자모키(91) 초음자모의 것밖에 마련되어 있지 않게 된다.
B15 이후의 중음자모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B14 이전의 모음자모키(92)를 2회 쳐서 조립하지 않으면 안된다. 예를 들면 B15의 중음자모는 B05의 자모키와 B01의 자모키를 침으로써 조립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C17 이후의 종음자모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C09 이전의 자음자모키(91)를 2회 침으로써 조립하지 않으면 안된다. 예를 들면 C17의 종음자모는 C01의 자음키와 C07의 자음키를 침으로써 조립되는 것이다.
이때문에 하나의 한글(하나의 음질)을 입력하려면 초음 1회, 중음 2회, 종음 2회, 합계 5회 키를 지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있다.
둘째로, 초음자모의 종음자모는 동일 자음자모키를 사용하여 키를 쳐 입력되므로 자음자모키(91)를 쳤을때에는 입력처리 프로그램에서 바로 발생된 코드가 초음자모인지 또는 종음자모인지를 판단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초음자모와 중음자모가 입력된 후에 자음자모키(91)를 친 경우에 이것이 종음자모이고 앞서 입력된 자모와 합쳐 하나의 한글을 형성하는 것인지 이것이 초음자모이고 다음 음질의 입력이 행해져 있는 것인지를 입력처리 프로그램이 판단하려면 다음에 치는 키가 자음인지 모음 즉 중음인지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자모가 입력될 때마다 디스플레이의 표시내용이 갱신될 경우에는 중음자모가 입력된 후에 자음자모키(91)를 치면 일단 그것이 종음자모라고 간주하여 한글이 표시되게 된다. 그런데, 그 직후에 중음자모를 친 경우에는 앞의 자음자모는 실제로는 초음자모이므로 앞서 입력이 종료된 한글에서 종음자모를 제거할 필요가 생긴다.
이때문에 초음자모를 입력한 때에는 조작자가 의도하고 있지 않는 한글(종음자모를 더하여 조립한 한글)이 표시되고 그후에 중음자모를 입력한 후에 앞의 한글의 표시를 변경(종음자모를 제거)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가 보기 흉하고 또 이 처리를 위한 처리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과제에 비추어 행해진 것이며 입력속도가 빠르고, 한글의 확정이 빨라지고 사용성이 향상된 한글문자 입력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제1발명은, 한글문자를 구성하는 자모를 복수회 키입력하여 한글문자를 입력하는 한글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키보드(1)에는 초음자모와 중음자모를 공통으로 배치한 복스의 초음, 중음 자모입력키(11)를 설비하는 동시에 초음자모 입력모드와 중음자모 입력모드를 설비하여 상기 초음, 중음자모 입력키(11)를 칠때마다 상기 초음자모 입력모드와 중음자모 입력모드를 절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 입력장치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제2발명은, 키보드(1)에 의한 키입력에 의해서 한글문자를 구성하는 자모의 코드를 작동하고 이 복수개의 자모코드에 준하여 한글사전(5)을 억세스하여 대응하는 한글문자의 코드를 출력하는 한글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키보드(1)에는 초음자모와 중음자모를 공통으로 배치한 복수의 초음, 중음자모 입력키(11)를 설비하고, 자모코드를 작성하는 수단(2,3)은 초음자모 입력모드인지 또는 중음자모 입력모드인자를 나타내는 자모입력 플래그(7)를 설비하여 상기 초음, 중음자모 입력키(11)를 쳐서 키코드를 받았을 때에는 이 키코드 및 이 모드플래그(7)가 나타내는 값과의 양쪽에 준하여 자모코드를 작성하여 그후에 상기 모드플래그(7)의 값을 반전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 입력장치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제3발명은, 한글문자를 구성하는 자모를 복수의 키를 쳐서 입력함으로써 한글문자를 입력하는 한글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키보드(1)에서는 초음자모 입력키와 중음자모 입력키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 입력장치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제4발명은, 키보드(1)에 의해 키입력에 의해서 한글문자를 구성하는 자모의 코드를 작성하고 이 자모코드를 자모코드버퍼(4)의 기입하고 이 자모코드버퍼(4)중에 격납된 복수개의 자모코드에 의해 한글사전(5)을 억세스하여 대응하는 한글문자의 코드를 출력하는 한글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키보드(1)는 초음자모 입력과 종음자모 입력키를 나누어 배치하여 자모코드를 작성하는 수단(2,3)은 초음자모 입력키를 쳐서 키코드를 받았을 때에는 상기 자모코드버퍼(4)를 클리어하고 나서 이 키코드에 의해서 작성된 자모코드를 상기 자모코드버퍼(4)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 입력장치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제5발명은, 한글문자를 구성하는 자모를 복수회 키입력하여 한글문자를 입력하는 한글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는 초음자모 또는 종음자모를 입력하는 키에 대해서는 1개의 키에 동일자음 계열인 평음의 자모와 격음의 자모와 농음의 자모를 배치하는 동시에 제1 및 제2쉬프트키(13,14)를 설비하고, 상기 자모입력키에 배치된 자모중 평음의 자모는 당해 키만을 쳐서 입력하고, 격음의 자모를 입력할 때에는 배치된 자모입력키와 상기 제1쉬프트(13)를 동시에 쳐서 입력하고, 농음의 자모를 입력할 때에는 배치된 자모키와 상기 제2쉬프트키(14)를 동시에 쳐서 입력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 입력장치이다.
제1 및 제2발명에서는 입력키의 수를 적게 하기 위하여 초음자모의 입력키와 중음자모 입력키를 동일키에 배치하게 하였다. 즉 초음자모를 입력하고 나서 중음자모를 입력한다는 순서는 일정하므로 초기상태는 초음자모 입력모드이고 1회 키를 칠때마다 입력모드를 절환하여 구성하였으므로 최초로 키를 친것으로는 초음자모가 입력되고 다음에 키를 친것으로 중음자모가 입력된다.
제3 및 제4발명에서는 초음자모와 종음자모의 입력키를 중복되지 않게 배치하여 초음자모의 입력에 의해서 자모코드버퍼가 클리어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때문에 중음자모의 입력후에 초음자모가 입력되면 이 초음자모는 앞의 중음자모에 의해서 조립된 한글인 다음 한글인 것이 명백하다.
이때문에 특히 상기와 같이 자모가 입력될 때마다 디스플레이의 표시내용이 갱신되는 경우에는 종음자모의 입력으로 간주하여 한글을 조립해버려 다음의 중음자모의 입력에 의해서 앞서 입력이 종료된 한글로부터 종음자모를 제거한다는 처리는 필요치 않게 된다. 따라서 표시가 흉한 느낌도 없어지고 또 이를 위한 처리 프로그램이 불필요하게 된다.
제5발명에서는 초음자모 또는 종음자모를 평음, 격음, 농음의 3종류로 분류하고 평음은 자모입력키만을 쳐서 입력하고, 격음은 자모입력키와 제1쉬프트키를 동시에 쳐서 입력하고 농음은 자모입력키와 제2쉬프트키를 동시에 쳐서 입력한다.
이에 의해서 자모입력키를 삭감할 수 있다. 또 동일키에는 동일자음계열의 평음, 격음, 농음을 배치함으로써 간단히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들 상기 각 발명을 적의 조합함으로써 자모입력키의 수가 적고 또한 하나의 한글의 입력에 필요한 키를 치는 회수가 적은 사용하기 좋은 한글문자 입력장치를 실현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에 의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우선 제1도의 한글문자 입력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겠다.
제1도중 1은 키보드이고, 키를 배열은 제2도에 나타냈다.
2는 자모코드 테이블이고, 한글자모마다에 할당되는 코드가 격납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초음자모를 입력하는 경우와 중음자모를 입력할 때에는 동일키를 쳐서 동일키코드가 입력되므로 모드플래그(7)의 값과 함께 테이블을 억세스하는 어드레스가 작성되고 작성되고 자모고유의 자모코드가 독출된다. 또 종음자모 중 초음자모와 공통인 것은 동일 자모코드를 할당해도 좋고 별개의 자모코드를 하당하든지 종음자모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도록 하여도 좋다. 후자와 같이 하면 잘못하여 초기상태에서 종음자모가 입력된 경우의 이상처리시에 편리하다.
3은 키보드(1)에서 보내지는 키코드에 의해서 자모코드 테이블(2)을 억세스하고 자모코들 독출하여 출력하는 자모코드 출력수단이다. 또 본 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는 모드플래그(7)가 설비되어 있다.
이 자모코드 출력수단(3)은 키보드(1)로부터의 키코드와(키보드(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쉬프트키(13, 14)가 있으므로 복수의 키코드가 보내질때도 있다)이 모드플래그(7)의 값에 준하여 자모코드 테이블(2)을 억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작성하고 자모코드를 독출하는 것이다.
4는 이 자모코드 출력수단(3)이 출력하는 복수의 자모코드가 격납되는 자모코드버퍼이다.
5는 한글에 대응하는 코드가 격납되어 있는 한글사전이다. 이 사전에는 실제로 사용되는 약 2,300종류의 한글의 각각에 대응하는 코드가 격납되어 있다.
6은 자모코드버퍼(4)에 격납되어 있는 복수의 자모코드를 독출하여 이 정보에 준하여 한글사전(5)을 억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작성하고 한글코드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한글 검색수단이다.
8은 표시수단이고 디스플레이(80)와 도시하지 않은 화면코드버퍼, 캐릭터 제네레이터등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고 한글사전 검색수단(6)의 출력을 화면표시하는 것이다.
또 한글검색수단(6)의 출력은 디스플레이(80)에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수단(8)에 공급되는 동시에 한글·한자변환처리를 행하는 수단으로도 공급되지만 이것은 종래의 처리장치와 같으므로 도시를 생략했다.
또 제1도의 구성에 있어서 키보드(1)로부터 한글사전 검색수단(6)까지를 동일케이스(키보드)로 일체화하고 한글코드를 처리장치로 출력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제1도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2도는 본 실시예의 키보드(1)의 키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같은 배치를 채용한 이유를 설명하겠다.
우선 초음자모 및 중음자모를 입력하기 위한 키배열을 설명하겠다.
초음자모는 19개 있으나, 이들을 음운상으로 표 2와 같이 3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표 2]
중음자모는 21개 있으나 이들을 음운상으로 다음 표 3과 같이 3개의 그룹으로 나눈다.
표 3중 그룹 Y는 O의 각 모음의 앞에 y가 붙은 모음의 그룹이고 그룹 W는 그룹 O의 각 모음앞에 W가 붙은 모음그룹이다.
우선 초음자모를 입력하는 키의 배치를 제3도를 사용하여 설명하겠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음자모 입력키는 키보드의 중간단에만 배치되어 있다. 또 제3도는 설명도이고 실제의 키보드의 각 키에 이와같이 새겨져 있는 것을 아니다(실제의 키보드는 제2도에 나타내 있다).
제3도에 있어서 각 키에 하단에 표기된 자모는 표 1에 있어서의 평음이고, 이것을 키를 단독으로 쳐서 입력한다. 또 각키의 좌측상단부에 표기된 자모는 격음을 나타내고 있고, 이것은 좌측 쉬프키(13)와 동시에 키를 쳐서 입력한다. 각키의 우측상부에 표기된 자모(농음)는 우측 쉬프트키와 동일한 키를 쳐서 입력한다. 또 동일키에 배치되는 평음, 격음, 농음은 표 1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일자음계열의 것이다.
다음에 중음자모를 입력하는 키의 배치를 제4도에 나타냈다. 제4도도 제3도와 같이 설명도이고 실제의 키의 표기와는 다른 것이다.
이와같이 중음자모의 입력키도 키보드의 중간단에만 배치되어 있다. 제4도에서 각 키의 하단에 표기된 자모는 표 5에서의 그룹 O의 자모이고 이것은 키를 단독으로 쳐서 입력한다.
또 각 키의 좌측상부에 표기된 자모는 동일키의 하단의 자모에 y가 붙은 마모이고 이것은 좌측쉬프트키(13)과 동시에 키를 쳐서 입력한다.
각 키의 우측상부에 표기된 자모는 동일키의 하단의 자모에 w가 붙은 자모이고 이것은 우측 쉬프트키와 동시에 키를 쳐서 입력한다. 즉 동일키에 관련되는 자모가 배치되게 된다.
이와같이 초음자모의 입력키와 중음자모의 입력키는 키보드의 중간단에 공용되는 키로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제2도의 초음중음 입력키(11)로서 나타나 있다. 그러나 제2도는 실제의 키의 자모의 색임을 나타낸 것이고 초음자모의 격음과 농음 및 중음자모의 표 3에 있어서의 그룹 Y와 그룹 W에 해당되는 자모는 새겨져 있지 않다. 각 키의 좌측에는 초음자모가, 우측에는 중음자모가 새겨져 있다.
이와같이 자모의 색임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은 상기와 같이 동일키에는 각각 관련된 자모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한글을 사용하는 사람이면 상기와 같은 각 쉬프트키와 표 2, 표 3에 표기된 각 그룹의 대응관계만 기억하면 평음의 초음자모 또는 그룹 O의 중음자모의 색임을 보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연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같은 중간단키(11)에 초음자모와 중음자모의 쌍방이 배치되어 있으나 제1도의 자모코드 출력수단(3)은 자모코드를 독출하기 위해서는 현재 친 키가 초음자모인지 중음자모인지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자모코드 출력수단(3)에 모드플래그(7)를 설비함으로써 현재친 키의 입력모드를 구별할 수 있도록 했다.
여기서 모드플래그(7)가 OFF일때는 초음입력모드로 하고 모드플래그(7)가 ON일때는 중음입력모드로 한다. 플래그의 초기값은 OFF이다.
자모코드 출력수단(3)은 초음중음 입력키(11)를 쳤다는 것을 나타내는 키코드를 받았을 때에는 이 키코드와 쉬프트키(13,14)를 친 것을 나타내는 키코드가 모드플래그(7)의 값에 의해서 자모코드 테이블(2)을 억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작성하여 자모코드를 독출한다. 독출한 후에 플래그의 값을 반전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 조작자는 상기 방법으로 초음자모와 중음자모를 입력하면 되고 초음자모와 중음자모의 입력의 순서를 틀리지 않으면 자모코드 출력수단(3)은 현재 친 키가 초음자모의 입력인지, 중음자모의 입력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 종음자모를 포함하는 한글의 입력방식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종음자모는 27개 이지만 이들을 우선 초음에도 사용하는 자모(표 1에서는 CO1으로부터 C16)와 종음만으로 사용하는 자모(표 1에서는 C17으로부터 C27)로 분류된다.
이들중 초음에도 사용하는 자모에 대해서는 키보드의 상단에 배열되고 조작자가 기억하기 쉽도록 중간단의 키(11)에 있어서의 초음자모의 배열과 일치시키고 있다. 그리고 평음, 격음, 농음의 입력규칙에 대해서도 초음자모의 입력방법과 같다. 그러나 초음자모중, 종음자모로는 사용하지 않는 자모가 3개 있으므로 이들은 상단키(12)에서 삭제되어 있다.
종음에만 사용되는 자모에 대해서는 키보드의 하단의 키에 배치되어 있다. 또 키의 배치에는 중음자모의 키의 배치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채용하고 있는 L로 발음하는 종음자모에 대해서는 키의 좌측상부에 자모를 새겨 나타내고 쉬프트키(13)과 동시에 켜서 입력한다. 또 P로 발음하는 종음자모에 대해서는 키의 우측상부에 자모를 새기는 이것을 쉬프트키(14)와 동시에 쳐서 입력한다. 키의 하부에 자모가 새겨있는 종음자모에 대해서는 자모키를 단독으로 쳐서 입력한다.
종음자모는 초음자모와 중음자모에 이어서 세번째로 키를 쳐서 입력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의 한글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의 자모코드 출력수단(3)의 처리동작을 제1도와 제2도에 더하여 제5도와 제6도를 사용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제5도의 본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 의해서 입력동작을 설명하겠다.
① 입력대기상태(스텝 101)에는 키를 치면 자모코드 출력수단(3)은 키보드(1)가 발생하는 키코드가 한글자모의 입력키를 쳐서 발생한 것인지의 여부(예를 들면 숫자입력키나 장치의 기능키를 쳐서 발생한 것인지)를 인식하여 (스텝 102) 한글자모의 입력이 아니면 입력키에 의한 처리(숫자입력이나 각종 기능의 실행)를 행한 후에(스텝 108) 모드플래그(7)를 OFF로하고 또 자모코드버퍼(4)를 클래어한다(스텝 109). 이것은 다음 자모키입력이 초음자모의 입력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② 한글자모의 입력이면 이 키입력이 초음자모의 입력인지 중음자모 또는 종음자모의 입력인지를 판단한다(스텝 103).
이것은 키코드에 의해서 종음자모의 입력인 것은 인식할 수 있고 또 초음중음자자모 입력키(11)를 쳐서 발생한 키코드이면 모드플래그(7)의 값을 참조하여 플래그가 OFF이면 입력되는 자모는 초음자모가 된다. 그리고 초음자모의 입력이면 자모코드버퍼(4)를 클리어한다(스텝104).
③ 이어서 자모코드 출력수단(3)은 키코드 및 모드플래그(7)의 값에 의해서 자모코드 테이블(2)에 자모코드를 독출하고 자모코드버퍼(4)에 기입한다(스텝 105). 그후에 친 키가 초음중음자모 입력키(11)인 경우에는 모드플래그(7)의 값을 반전한다.(스텝 106, 스텝 107).
④ 그후에 입력대기(스텝 101) 상태로 되돌아 간다. 또 제6도에 의해서 한글의 구체적인 입력예를 설명하겠다.
좌측의 블록은 친 키를 나타내고 중간의 블록은 좌측블록의 키를 쳤을때에 행해지는 자모코드 출력수단(3)에 의해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또 우측의 블록은 디스플레이(80)의 표시를 나타낸 것이다. 이것은 중간의 블록에 나타낸 자모코드 출력수단(3)에 의해서 격납된 자모코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자모코드를 자모코드버퍼(4)에서 한글사전 검색수단이 독출하여 대응하는 한글코드를 출력하지만 이 출력에 대응하는 화면표시를 나타내고 있다. 덧붙이면 제6도의 한글은 "우산"이다. 또 자모는 표 1에 나타낸 영자숫자의 기호를 사용하고 있다.
가) 우선 키(11A)를 치면(스텝 201), 초기 상태에서는 모드플래그는 OFF, 즉 초음자모 입력모드이므로 초음자모(A08)에 대응하는 자모코드가 자모코드버퍼(4)에 기입되고 그후에 모드플래그(7)를 ON한다(스텝202). 그리고 디스플레이(80)에는 이 초음자모(A08)가 표시된다(스텝 202).
나) 키(11B)를 치면(스텝 211), 모드플래그(7)가 ON, 즉 중음자모 입력모드이므로 중음자모(B07)에 대응하는 자모코드가 자모코드버퍼(4)에 기입되고 그후에 모드플래그(7)가 OFF로 된다(스텝 212). 디스플레이에는 앞서 입력한 초음자모(A08)와 중음자모(B07)의 조합에 의해서 한글이 표시된다(스텝 213).
다) 키(11C)를 치면(스텝 221), 모드플래그(7)가 OFF이므로 초음자모 입력모드이고 자모코드버퍼(4)를 클리어하고 나서 초음자모(A07)에 대응하는 자모코드가 자모코드버퍼(4)에 기입되고 그후에 모드플래그가 ON된다(스텝 222). 디스플레이(80)에는 이 초음자모(A07)가 앞의 가), 나)로 입력된 한글에 이어서 표시된다(스텝 223).
라) 키(11D)를 치면(스텝 231), 모드플래그(7)가 ON이므로 중음자모 입력모드이고 중음자모(B01)에 대응하는 자모코드가 자모코드버퍼(4)에 기입되고 그후에 모드플래그(7)가 OFF된다(스텝 232). 디스플레이에는 다)에서 입력된 초음자모(A07)와 이 중음자모(B01)와의 조합에 의해 한글이 표시된다(스텝 233).
마) 또 키(12A)를 치면(스텝 241), 종음자모(C02)에 대응하는 자모코드가 자모코드버퍼(4)에 기입된다. 또 종음자모 입력키를 쳤으므로 모드플래그(7)는 OFF의 초음자모 입력모드 그대로이다(스텝 242). 또 자모코드버퍼(4)는 클리어되지 않으므로 다),라)에서 입력된 자모에 더하여 종음자모(C02)를 조합한 한글이 디스플레이(80)에 표시된다(스텝 243).
상기의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 종래의 장치에서는 스텝 221에서 초음자모(A07)를 입력할 예정이었더라도 그것이 종음자모(C07)와 공통이기 때문에 이 종음자모(C07)를 조합하여 한글을 만들어 버리고 있었다.
그리고 종음자모(B01)의 키에 의한 입력이 행해짐으로써 앞의 한글에서 종음자모(C07)를 취하고 그리고 초음자모(A07)와 중음자모(B01)를 조합하여 새로운 한글을 작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와같이 처리는 불필요하므로 보기쉬운점이나 처리프로그램의 경감이란 점에서도 효과가 큰 것이다.
또 종음자모가 없는 한글에서는 2개의 키를 쳐서 또 종음자모를 갖는 한글에서는 3개의 키를 쳐서 입력할 수 있으므로 입력속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매우 사용하기 좋은 한글문자 입력장치를 실현시킬 수 있다.
특히 초음자모와 중음자모를 동일키로 입력할 수 있는 제1 및 제2발명과 초음자모또는 종음자모를 자음의 종류마다 쉬프트키를 동시에 쳐서 입력하는 제5발명에 의해서 입력장치의 키의 수를 삭감할 수 있어 입력이 용이해진다.
또 초음자모와 중음자모를 별개의 키를 입력하는 제3 및 제4발명에서 의해서 하나의 한글의 입력에는 최고 3회 키를 치면 되고 또한 일단 확정된 한글을 다음의 자모입력에 의해서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표시의 흉함은 없어지고 그를 위한 처리프로그램도 필요치 않다.

Claims (3)

  1. 한글문자를 구성하는 한글자모를 복수회 키를 쳐서 한글문자를 입력하는 한글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초음자모와 중음자모를 공통으로 배치한 복수의 초음중음자모 입력키(11)로구성하는 키보드(1)와, 상기 키보드(1)에 의해 입력된 키입력이 초음자모 입력모드인지 중음자모 입력모드인지를 나타내는 자모입력 모드플래그(7)와, 상기 초음중음자모 입력키(11)를 친 경우에 상기 자모입력 모드플래그(7)가 초음자모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키를 친 초음중음 입력키에 배치된 초음자모의 자모코드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자모입력 모드플래그(7)를 중음자모 입력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자모입력모드 플래그(7)가 중음자모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키를친 초음중음 입력키에 배치된 중음자모코드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자모입력 모드플래그(7)를 초음자모 입력모드에 설정하는 자모코드 출력수단(3)과, 상기 자모코드 출력수단(3)으로부터 출력된 자모코드를 격납하는 자모코드버퍼(4)와, 상기 자모코드버퍼(4)에 격납되어 있는 자모코드의 조합에 기초한 한글문자를 출력하는 한글문자 출력수단(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 입력장치.
  2. 한글문자를 구성하는 한글자모를 복수회 키를 쳐서 한글문자를 입력하는 한글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초음자모와 중음자모를 공통으로 배치한 복수의 초음중음자모 입력키와 종음자모를 배치한 복수의 종음자모입력키로 구성되는 키보드(1)와, 상기 키보드(1)에 의해 입력된 키입력이 초음자모 입력모드인지 중음자모 입력모드인지를 나타내는 자모입력모드플래그(7)와, 상기 초음중음자모 입력키를 친 경우에 상기 자모입력 모드플래그(7)가 초음자모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키를친 초음중음 입력키에 배치된 초음자모의 자모코드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자모입력 모드플래그(7)를 중음자모 입력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자모입력 모드플래그(7)가 중음자모 입력모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키를친 초음중음 입력키에 배치된 중음자모코드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자모입력 모드플래그(7)를 초음자모 입력모드에 설정하고, 상기 초음자모 입력키를 친 경우에는 종음자모 입력키에 배치된 종음자모드코드를 출력하는 자모코드 출력수단(3)과, 상기 자모코드 출력수단(3)으로부터 출력된 자모코드를 격납하는 자모코드버퍼(4)와, 상기 자모코드버퍼(4)에 격납되어 있는 자모모드의 조합에 기초한 한글문자를 출력하는 한글문자 출력수단(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인 한글문자 입력장치.
  3. 한글문자를 구성하는 한글자모를 복수회 키를 쳐서 한글문자를 입력하는 한글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평음자모와, 격음자모와, 농음자모를 배치한 복수의 자모입력키(11)와, 격음쉬프트키(13)와, 농음쉬프트키(14)로 구성되는 키보드(1)와, 자모입력키(1)가 단독으로 쳐진 경우에는 쳐진 자모입력키에 배치된 평음자모의 자모코드를 출력하고, 자모입력키와 격음쉬프트키(13)가 동시에 쳐진 경우에는 자모입력키에 배치된 격음자모의 자모코드를 출력하고, 자모입력키와 농음쉬프트키(14)가 동시에 쳐진 경우에는 자모입력키에 배치된 농음자모의 자모코드를 출력하는 자모코드 출력수단(3)과, 상기 자모코드 출력수단(3)으로부터 출력된 자모코드를 격납하는 자모코드버퍼(4)와, 상기 자모코드버퍼(4)에 격납되어 있는 자모코드의 조합에 기초한 한글문자를 출력하는 한글문자 출력수단(8)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한글문자 입력장치.
KR1019910025079A 1991-01-30 1991-12-30 한글문자 입력장치 KR960016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09419A JP2697317B2 (ja) 1991-01-30 1991-01-30 ハングル文字入力装置
JP91-009419 1991-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230A KR920015230A (ko) 1992-08-26
KR960016883B1 true KR960016883B1 (ko) 1996-12-26

Family

ID=1171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5079A KR960016883B1 (ko) 1991-01-30 1991-12-30 한글문자 입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697317B2 (ko)
KR (1) KR9600168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108B1 (ko) * 1996-03-27 2000-02-01 박해동 한글문자 표준2벌식 자판을 이용한 동타 처리방법
KR101169849B1 (ko) * 2009-12-30 2012-07-30 김성림 문자표시방법
WO2013008309A1 (ja) * 2011-07-11 2013-01-17 富士通株式会社 ハングル文字入力装置、ハングル文字入力プログラム、ハングル文字入力方法およ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4421A (en) * 1976-12-29 1978-07-25 Fujitsu Ltd Input unit for hangul character
JPS56121132A (en) * 1980-02-26 1981-09-22 Canon Inc Character processor
JPH0619768B2 (ja) * 1986-03-19 1994-03-16 日本電気株式会社 日本語入力装置
JPS6368921A (ja) * 1986-09-10 1988-03-28 Ricoh Co Ltd かな入力方法
JPH02105963A (ja) * 1988-10-15 1990-04-18 Kazuo Ishikawa 日本語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253264A (ja) 1992-09-09
KR920015230A (ko) 1992-08-26
JP2697317B2 (ja) 1998-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8817B2 (ja)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文字入力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3904946B2 (ja) 特殊文字を用いて情報を携帯装置に入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960016883B1 (ko) 한글문자 입력장치
KR10041806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KR19980013987A (ko) 텐키를 이용한 한글신호입력방법
JP3088476B2 (ja) ミャンマー語入力装置
KR100450587B1 (ko)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KR20010108653A (ko) 정음 한글/알파벳 입력장치
JPS5819936A (ja) 漢字入力装置
JP3042284B2 (ja) 日本語入力装置
KR20030000229A (ko) 한자입력방법
JPS63128468A (ja) キヤラクタ入力装置
JPH0115906B2 (ko)
JP3183686B2 (ja) 言語入力装置
JP3466313B2 (ja) キー入力装置
KR20020028078A (ko) 휴대폰의 문자판및 문자입력시스템
JPS5875234A (ja) 文字入力装置
KR20020086449A (ko) 한자 입력 방법
CN118068966A (zh) 基于88键大键盘的形码全拼输入法
JPS5814248A (ja) 漢字入力装置
JPH01271870A (ja) 漢字処理装置
JPS6263366A (ja) ワ−ドプロセツサにおける無記入部サ−チ方式
JPH0628075A (ja) 日本語入力用キーボード入力装置
JPH0666065B2 (ja) 振仮名付加機能付き文書処理装置
JPH06214691A (ja) パソコン用日本語混合文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