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105B1 - 지엽류(紙葉類)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紙葉類)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105B1
KR960000105B1 KR1019920003341A KR920003341A KR960000105B1 KR 960000105 B1 KR960000105 B1 KR 960000105B1 KR 1019920003341 A KR1019920003341 A KR 1019920003341A KR 920003341 A KR920003341 A KR 920003341A KR 960000105 B1 KR960000105 B1 KR 960000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paper sheet
paper
hold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3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노루 오노자와
시게미 고바야시
오사무 이토
마사히코 니시무라
마사토 오노
Original Assignee
글로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오노에 히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1088377U external-priority patent/JP256806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755691U external-priority patent/JP2550417Y2/ja
Application filed by 글로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오노에 히사오 filed Critical 글로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08Bundling paper sheets, envelopes, bags, newspapers, or other thin flat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엽류(紙葉類) 결속장치
제1(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결속장치의 기본적 구조에 대한 실시예의 외부개략도,
제1(b)도는 동일한 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서 뚜껑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제3도는 지엽류호울딩수단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제4도는 작동하기 전 상태의 평면도.
제5도는 지엽류가 제1 및 제2호울딩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상태의 평면도.
제6도는 지엽류가 제1 및 제2, 제3호울딩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상태의 평면도.
제7도는 테이프권취수단의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기구를 개폐시키는 아암의 사시도.
제9도는 지엽류압착기구의 상세 사시도.
제10도는 테이프가이드의 두껑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사시도.
제11도는 테이프가 통과하는 경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제12도는 테이프가 절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13도는 주장치 유니트의 지엽류삽입개구부에 대한 차단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제14도는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결속동작을 시작하기전에 각 부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정면도.
제15도는 상기 테이프권취수단의 아암이 대기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정면도.
제16도는 지엽류가 삽입되어 제1 및 제2호울딩기구에 의해 붙잡혀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정면도.
제17도는 상기 아암이 회전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정면도.
제18도는 상기 아암이 지엽류에 대해 소정위치를 도달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정면도.
제19도는 지엽류가 제3호울딩기구에 의해 붙잡혀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정면도.
제20도는 테이프에 장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정면도.
제21도는 테이프를 절단하여 열접착시키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정면도.
제22도는 지엽류의 위치결정수단과 정열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개략사시도.
제23도는 지엽류의 위치결정수단과 정열수단을 나타낸 측면도.
제24도는 제어블록다이어그램.
제25도는 다른 실시예를 제15도와 동일한 상태로 도시한 개략정면도.
제26도는 다른 실시예의 제18도의 동일 상태도.
제27도는 다른 실시예의 제19도의 동일 상태도.
제28도는 다른 실시예의 제20도의 동일 상태도.
제29도는 다른 실시예의 제21도의 동일 상태도.
제30도는 다른 실시예의 제21도의 동일 상태도.
제31도는 다른 실시예의 제14도의 동일 상태도.
제3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제33도는 제32도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장치유니트 1A : 전면커버
1a : 전면 1b : 윗면
2 : 지엽류삽입개구부 3 : 안내선단
3a : 편편한 안내면 3b : 정렬면
4 : 지엽류호울딩기구 5 : 제1호울딩부재
5a : 베이스부 6 : 제2호울딩부재
7 : 제3호울딩기구 8,9 : 호울딩면
11,12 : 호울딩면 13 : 레버
14 : 축 15 : 아암
16 : 장공 17 : 수직핀
18 : 롤러 19 : 캠부재
20 : 캠면 21 : 안내부재
22,23 : 축 24,25 : 링크
26,27 : 핀 28 : 롤러
29 : 캠면 30 : 스프링
31 : 축구멍 32 : 호울딩면
33 : 스프링 34 : 롤러
35 : 연결기구 36 : 장공
37 : 핀 38 : 판부재
39 : 장공 40 : 판부재
40a : 구동부 41 : 피봇축
42 : 스프링 50 : 테이프권취기구
51 : 아암 52 : 고정아암
53 : 가동아암 54 : 프레임
55 : 안내봉 56 : 프레임
57 : 축 58 : 회전아암
59 : 기어 60 : 기어
61 : 벨트 62 : 감지판
63 : 고정부재 64 : 압축스프링
65 : 풀리 66 : 축
67 : 요동레버 68 : 센서
69 : 가동기구 70 : 축
71 : 레버 72 : 축
73 : 레버 74,75 : 캠팔로우어
77 : 축 78 : 스프링
79 : 캠팔로우어 80 : 솔레노이드
81 : 이동부재 82 : 캠
83 : 핀 84 : 안내부재
90 : 테이프공급수단 91 : 베이스플레이트
92 : 테이프견인플레이트 93 : 테이프설치플레이트
94 : 원통형부 95 : 구동롤러
96 : 가이드롤러 97 : 테이프유도통로
98,99 : 테이프가이더 100 : 테이프공급수단
101 : 테이프통로 102,103 : 롤러
104,105 : 감지센서
본 발명은 지엽류(紙葉類)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형태로 된 지엽류다발에 테이프를 감은 다음 테이프의 선단을 컷터로 잘라 열융착헤드로 컷팅선단을 융착시키도록 된 지엽류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러장의 지폐나 동일크기와 동일형태로 된 다음 지엽류를 쌓아 테이프로 묶어주도록 된 결속장치가 예컨대, 일본국 특허 공개 제58312/1985로 제안된 것이 있는 바, 이 공개특허공보에 게재된 결속장치는 주장치유니트의 전면으로 개구된 지엽류 삽입구를 갖추고 있고, 원통형의 회전휘일에 의해 상기 지엽류가 받아 들여진 다음, 상기 개구부를 통해 지엽류의 결속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이 제위치에 배치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휘일에는 결속시키고자 하는 지엽류를 테이프로 감아주는 권취부재(예컨대, 로울러)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휘일이 회전하면서 지엽류의 주변에다 결속테이프를 감아주고 또한 이 테이프에 장력을 가하여 절단장치로 절단한 후 이절단된 테이프의 선단을 부착헤드로써 부착시키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는 바, 그 첫번째 문제로서 결속위치에 회전휘일이 구비되어 지엽류의 결속위치에다 테이프를 감아주도록 되어 있으므로 지엽류를 회전휘일의 축방향을 따라서, 즉 장치의 앞쪽에서부터 삽입시켜 줄 수가 없기 때문에, 장치의 사용이 불편하고 또 가동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두번째 문제로서는, 지엽류를 결속위치에 삽입시킬 때 그 결속위치를 정확하게 맞출 필요가 없고, 또 테이프를 감는 동안에 지엽류를 이동시키면, 테이프를 정확하게 감아줄 수가 없기 때문에 결속하는 동안에도 지엽류를 결속위치에 위치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엽류는 결속시키기 전에 특별한 호울딩기구로써 붙잡아 지지시켜 줄 수가 있지만 상기 결속기구의 작동에 방해를 받게되고, 또 이러한 전체장치의 기구가 복잡해지며 그 설치공간이 증대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소시켜, 결속시키고자 하는 지엽류를 결속장치의 전면 또는 윗면에서 삽입시킬 수 있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증진시키고 장치자체를 더욱 콤팩트하게 한 지엽류 결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여러장이 쌓여진 지엽류 주위에다 테이프를 감고 감겨진 테이프에 컷터와 열융착헤드를 사용하여 잘려진 테이프선단을 지엽류에 열융착시키도록 된 지엽류결속장치에 있어서, 주장치유니트의 전면부에서부터 윗쪽으로 개방된 형태로 되어 결속하고자하는 지엽류를 상기 주장치유니트의 전면 또는 윗면으로 수직으로 삽입시킬 수 있게 한 지엽류삽입개구부와, 상기 주장치유니트에 형성된 삽입개구부 윗쪽 또는 앞쪽방향에서부터 수직으로 삽입된 지엽류의 하단을 정위치 및 정열시켜주는 지엽류정열수단, 상기 지엽류의 주변에다 감아주기 위한 테이프를 공급해주고 감겨진 테이프에다 장력을 가하여 지엽류의 주변에다 테이프를 긴밀하게 감아주는 테이프공급수단, 이 테이프공급수단에서부터 이송되어온 테이프의 한쪽 선단을 붙잡아 정위치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지엽류주변에다 감아 주도록 된 테이프권취수단 및, 상기 지엽류주면에다 테이프를 긴밀하게 감아주고 지엽류에 감겨진 테이프의 폭방향을 따른 양측부 부근에서 지엽류의 지면을 붙잡아주는 지엽류 호울딩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지엽류가 주장치유니트의 삽입개구부에 대해 윗쪽 또는 앞쪽으로 삽입하던지에 관계없이 정렬수단에 의해 지엽류가 정렬되게 되고, 그 다음 소정시간에, 특히 제2실시예에서 결속위치에 위치된 지엽류의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테이프권취수단이 대기위치에서부터 회전하여 지엽류주변에 테이프를 감아주고, 호울딩수단이 소정시간에 지엽류의 지면부분을 호울딩하여 테이프장력수단으로 테이프를 긴밀하게 조여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설명의 작동 뿐만 아니라 지엽류삽입감지수단의 감지조건에 따라 지엽류를 호울딩하는 호울딩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a)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지엽류결속장치의 기본적 구조에 대한 제1실시예의 외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 실시예의 결속장치는 상자형의 주장치유니트(1)를 갖추고 있고, 전면의 상부가 축선회하도록 되어 개방시킬 수 있는 전면커버(1A)를 이루도록 되어 있으며, 이 전면커버(1A)의 앞면(1a)에서부터 윗면(1b)에 이르기까지 슬릿형의 지엽류삽입개구부(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역 L자형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써, 쌓여진 여러장의 지엽류를 이 개방부(2)로부터 P%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장치 유니트(1)의 전면에서부터 직각수평방향으로 또는 P%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장치유니트(1)의 수직방향으로 삽입시킬 수가 있다.
상기 지엽류삽입개구부(2)의 양쪽 측면선단에는 지엽류(P)가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바깥쪽으로 확대되어 펼쳐진 안내선단(3,3)이 형성되고, 이 안내선단(3,3)에 연속하여 편편한 안내면(3a,3a)이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지엽류(P)를 안내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되는 지엽류의 하단을 삽입개구부(2)의 하단을 이루는 정열면(3b)에 의해 일정하게 정렬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1B도에는 주장치유니트(1)에 있는 전면커버(1A)의 앞면(1a)으로부터 앞쪽으로 뻗어나와 지엽류의 하부선단을 훨씬 더 가지런하게 해주도록 된 정렬면(1b)과, 지엽류(P)과, 지엽류(P)를 결속위치로 배치시켜주는 정렬수단의 일부가 구비되어 있는 주장치유니트(1)의 지엽류삽입통로 및 지엽류가 결속위치에 배치되었는가를 검출하는 지엽류삽입 검출수단이 나타내어지도록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지엽류삽입개구부(2)의 양쪽측면으로부터 각 측면 윗쪽의 양면에는 디스플레이부(2,2)가 구비되어 다음과 같은 작동상태를 나타내는바, 정지점등 녹색램프 : 대기상태를 나타내며, 지엽류의 삽입이 가능하고 결속이 가능한 상태, 느린점멸 녹색램프 : 결속기구의 작동중임을 나타냄, 빠른 점멸 녹색램프 : 결속의 완료와 내부에 지엽류가 들어 있음을 나타냄, 그리고 결속된 지엽류가 제거되었을 때 램프의 점멸속도는 빠른속도에서 느린속도로 바뀌고, 결속기구는 다시 셋팅위치로 돌아가며, 결속기구가 셋팅위치로 돌아간 다음에는 램프가 정지점등 녹색램프상태로 바뀌게 된다.
정지점등 적색램프 : 에러(error) 또는 작동이 잘못된 것임을 나타냄, 적색 및 녹색램프의 교차점멸 : 종이 테이프의 잔류량이 거의 없다는 것을 나타냄.
상기 지엽류삽입개구부(2)로부터 삽입되는 지엽류(P)의 삽입통로 양쪽 측면에는 지엽류호울딩기구(4)가 배치되어, 상기 삽입개구부(2)로부터 삽입된 지엽류(P)의 왼쪽 및 오른쪽 양측면을 셋딩위치에서 붙잡아 주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제1실시예가 제2도에서부터 제6도에까지 도시되어져 있다.
특히, 제3도의 분해사시도와 제4도 내지 제6도의 작동상태 평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결속위치로 삽입되는 지엽류의 한쪽 측면에는 제1호울딩부재(5)가 배치되고, 다른 쪽 측면에는 제2호울딩부재(6) 및 제3호울딩부재(7)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호울딩부재(5)는 결속위치로 삽입되어진 지엽류(P)의 길이가 짧은 쪽 방향의 폭을 덮을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고, 이 호울딩부재(5)의 양쪽 호울딩면(8,9)이 지엽류(P)의 폭보다 약간넓게 되어 삽입된 지엽류(P)가 호울딩면(8,9) 사이의 간격을 통해 테이프(P)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 호울딩부재(5)를 지지하고 있는 베이스부(5a)는 가이드레일(10,10)을 따라 안내되면서 지엽류(P)의 지면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2호울딩부재(6)는 상기 제1호울딩부재(5)의 전면쪽에 있는 호울딩면 (8)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고, 지엽류(P)의 짧은 길이방향의 폭보다 큰 길이의 호울딩면(11)과, 높이가 낮으면서 상기 제1호울딩부재(5)의 내면에 있는 호울딩면(9)의 아랫쪽부분과 부합하는 호울딩면(12)을 갖추고 있다. 또 제3호울딩부재(7)는 레버 (13)의 한쪽 끝이 돌출되어 올라오게 형성되어 제2호울딩부재(6)의 호울딩면 (12)보다 높은 곳에 있는 지엽류를 호울딩높이의 위치로 배치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지엽류(P)가 상기 제1 및 제2호울딩부재(5,6)에 의해 붙잡혀질때 그 전체길이에 걸쳐 붙잡혀 지지되게 되므로, 테이프를 감는 과정중에서 테이프를 긴밀하게 조일때 지엽류의 선단이 구부려지지 않게 된다.
제3도에는 각 호울딩부재의 작동기구가 링크기구를 사용하는 경우로 도시되어져 있는바, 특히 상기 제1호울딩부재(5)는 주장치유니트(1)의 내면에 있는 축(14)에 의해 수평판에서 안쪽으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는 아암(15)의 한쪽 선단에 장공(16)이 형성되고, 이 장공(16)에 수직핀(17)이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부 (5a)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아암(15)의 한쪽 선단바닥에 축선회 설치된 롤러(18)가 주장치유니트(1)의 전후방향(제3도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으로 이동하는 캠부재(19)의 오른쪽 측면에 구비된 캠면(20)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롤러(18)는 캠면(20)과 동일한 형상으로 된 안내부재(21)에 의해 안내되면서 캠면(2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2호울딩부재(6)는 핀(26,27)에 의해 2개의 평행한 링크(24,25)의 자유단에 연결되고, 이 링크(24,25)는 주장치유니트(1)의 측면에 있는 축(22, 23)에 의해 수평면을 따라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면서, 이 링크(24,25)중의 한쪽 링크(24)의 윗면에 스프링(30)이 걸려져 탄력복원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24)의 다른 쪽 끝의 바닥면에 롤러(28)가 설치되어 상기 캠부재(19)의 윗쪽면이 이루는 캠면(29)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24)의 축(22)은 제3호울딩부재 (7)의 레버(13) 중간부분에 있는 축구멍(31)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상기 레버(13)가 이 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제3호울딩부재(7)의 호울딩면(32)이 제1호울딩부재의 안쪽에 있는 호울딩면(9)의 윗쪽반과 함께 지엽류(P)를 지지하게 된다. 또 상기 레버(13)에 걸려져 있는 스프링(33)은 이 레버(13)를 복원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버(13)의 아랫면 한쪽선단에는 롤러(34)가 축선회설치되고, 이 롤러 (34)는 나중에 자세히 설명된 연결기구(35)의 장공(39)에 연결되어 있는 바, 상기 연결기구(35)는 화살표방향으로 요동하는 구동부(40a)를 갖추고, 한쪽 끝에는 장공(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공(36)을 통해 핀(37)을 매개하여 캠부재(19)의 아랫면 중간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한편, 다른쪽 끝에는 측면에서 보아 역 C자형을 이루고 평면으로 보아 L자형을 이루는 판부재(38)가 연결되어 있고, 이 판부재(38)의 한쪽끝에 크랭크핸들 형상으로 된 상기 장공(3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판부재(38)의 다른쪽 끝에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요동하는 구동부(40a)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결기구(35)의 중간부분은 측면에서 보아 역 C자형을 이루도록 절곡된 판부재(40)로 되어 있고, 이와 같이 C자형으로 된 판부재(30,40)는 짧은 피봇축 (4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서 주장치유니트(1)쪽에 축선회지지되어 있고, 상기 레버 (13)의 룰러(34)는 크랭크핸들 형상으로 된 장공(39)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요동기구(도시안됨)가 구동부(40a)를 가동시켜 판부재(40)가 피봇축(41)을 중심으로 하여 제3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인장스프링(42)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판부재(38)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판부재(38)에 핀(37)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캠부재(19)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장공(39)이 크랭크핸들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13)가 축(22)을 중심으로 하여 롤러(34)에 의해 제3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3호울딩부재(7)은 제1호울딩부재(5) 및 제2호울딩부재(6)에 의해 연동되어져 지엽류호울딩위치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호울딩부재(5)와 제2호울딩부재(6)가 두께가 얇은 지엽류를 호울딩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캠부재(19)의 후퇴동작이 중간에서 정지히게 되고, 상기 판부재(38)와 구동부(40a)를 연결시키는 인장스프링(42)이 늘어나게 되며, 또 상기 구동부(40a)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계속하여 회전하게 되면 제3호울딩부재(7)가 레버(13)를 매개하여 지엽류결속위치로 전진하게 된다(제6도 참조).
상기 캠부재(19)의 오른쪽 및 왼쪽 캠면(20,29)은 지엽류삽입측면에 폭이 넓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이 캠부재(19)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 링크(24)와 롤러(28)와 아암(15)의 롤러(18)가 왼쪽 및 오른쪽 방향으로 압착되어지면서 상기 제1호울딩부재(5)와 제2호울딩부재(6)가 서로 접근하게 된다. 그 다음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테이프권취기구(50)가 아암(51)의 개폐기구를 작동시켜 주는바, 이 아암(51)은 가동아암(53)과 고정아암(52)로 이루어지면서 이들 가동아암(53)과 고정아암(52)이 테이프(T)의 앞쪽선단 부근을 잡아 결속위치에서 지엽류(P)의 주면을 제7도의 참조부호 A와 같은 순환경로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고정아암(52)은 회전아암(58)의 자유단에 축(57)의 축심과 평행하게 고정부착되고, 상기 회전아암(58)은 프레임(56)을 관통하여 지지된 축(57)에 그 한쪽 선단이 축심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그 중심부가 프레임(54)의 안내봉(55,55)을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한편, 상기 프레임(56)을 관통하는 부분의 축(57)에는 잇빨크기가 작은 기어(59)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기어(59)는 상기 프레임(54)에 축심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면서 잇빨 길이가 긴 기어(60)와 맞물려 있고, 이기어(60)는 모우터(도시안됨)로부터 벨트(61)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되어 있다.
지엽류(P)가 셋팅위치에 삽입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지엽류삽입감지수단의 1부품으로서 축(57)의 전면선단부에 감지판(62)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축(57)의 내측선단과 프레임(54)의 측면에 있는 고정부재(63) 사이에는 상기 축(57)을 앞쪽 바깥으로 밀어주도록 된 압축스프링(6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축(57)의 내측 선단 가까이에는 풀리(65)가 고정되고, 이 풀리(65)의 홈은 축(66)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요동레버의 한쪽 선단과 연결되며, 상기 록킹레버의 다른쪽 선단은 센서(68)와 연결되어 요동레버(67)가 요동하면서 내측면을 압착시키면 상기 센서(68)에 의해 지엽류의 선단감지신호가 발생되게 된다.
상기 가동프레임(56)의 가동기구(69)는 L자형으로 구부려져 이가동프레임 (56)에 연결됨과 더불어 기계프레임의 측면위에서 축(70)에 의해 축선회지지되어 있는 레버(71)와, 이 레버(71)의 한쪽 선단에 연결된 굴곡부를 갖추고서 주장치유니트 (1)의 측면에 있는 축(72)에 의해 축선회지지되어 있는 레버(73) 및, 이 레버(73)를 요동시키도록 이 레버(73)에 축선회연결되어 레버(71)를 밀고 당겨주도록 된 캠팔로우어(74,75)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아암(53)은 회전아암(58)에 대해 축(77)에 의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음과 더불어 베이스선단 근처와 회전아암(58) 사이에 있는 스르핑(78)에 의해 폐쇄위치쪽으로 당겨져 있는 고정아암에 대해서 가위가 같이 열려지고 닫혀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상기 가동아암(53)이 고정아암(52)으로부터 떨어져 벌어지게 하는 동작은 제8동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80)가 후퇴작동하면서 이동부재(81)의 측면에 있는 캠(82)이 캠팔로우어(79)를 침으로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이동부재 (81)는 그 아랫면에 핀(83)이 고정되고, 이 핀(83)은 안내부재(84)의 평면에서 보아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길다란 안내 구멍속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솔레노이드(80)가 자화되어 이동부재(81)가 당겨지면 캠(82)이 뒷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솔레노이드(80)의 자화가 소실되면 스프링(86)에 의해 캠(82)의 앞쪽으로 당겨져 캠팔로우어(72)쪽으로 전진하게 된다.
한편,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장치유니트(1)의 지엽류호울딩수단(4)은 베이스프레이트(91)위에 설치되고 이 베이스플레이트(91) 아래쪽에는 테이프견인플레이트(92) 위쪽에 있는 테이프설치플레이트(93)에 테이프릴(Ta)이 설치된 테이프공급수단(9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프설치플레이트(93)의 중심에서 원통형부 (94)과 그 중심구멍이 걸려지도록 된 테이프릴(Ta)에서 견인되어 나온 테이프(T)는 구동롤러(95)와 가이드롤러(96), 테이프유도통로(97) 및 테이프가이더(98,99)를 매개하여 테이프공급수단(100)으로 유도된다.
이 테이프공급수단(100)은 또한 테이프인장수단이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고, 테이프(T)를 안내하는 편편한 테이프통로(101)를 갖추고 있으며, 테이프(T)를 상기 테이프통로(10)의 선단부로 이송시켜주는 상부 및 바닥롤러(102,10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롤러(102)중의 하나는 제2도와 제4도에 도시된 펄스모우터(M1)에 의해 구동되면서 테이프(T)를 필요한 량만큼 이송시키고, 소정시각에서는 역회전하여 테이프(T)에 장력을 주어 타이트하게 조여준다.
상기 테이프통로(101)의 롤러(102,103) 위치 앞과 테이프통로(101)의 출구근처에는 감지센서(104,105)가 구비되어 상기 펄스모우터(M1)의 회전을 조절함으로서 롤러의 회전방향을 정·역회전으로 조절해주게 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권취수단(50)의 아암(51)이 있는 대기위치(제15도에 위치 B)에서 이 아암(51)의 근처에는 테이프정렬플레이트(106)가 구비되어 있는바, 이 테이프정렬플레이트(106)느 그 선단부가 L자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고, 그 코너부는 축(107)에 피봇할 수 있게 지지되며, 이 축(107)은 장치 유니트(1)의 측면에서 마련되어 있는 축받이(108)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는 한편, 이 축받이(108)와 상기 테이프정렬플레이트(106) 사이에는 복귀스프링(109)이 설치되어져 이 테이프 정렬플레이트 (106)가 셋팅위치로 배치되게 한다.
이러한 테이프 정렬플레이트(106)의 셋팅위치는, 지엽류(P)의 삽입통로로부터 약간 떨어져 테이프 정렬플레이트(106)의 한쪽 측방에 있는 정열 아암(110)이 결속위치(제2도 참조)에 있는 지엽류를 방해하지 않고, 또 상기 아암(51)에 의해 잡혀져 있는 테이프(T)는 자유단이 정열아암(110)에 의해 정열되어져 지엽류(P)의 삽입통로속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는 위치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아암(51)이 회전하면 정열아암(110)이 이 아암(51)에 부딪쳐서 압착시키고, 상기 테이프 정렬플레이트(106)가 스프링(109)의 힘을 이기고 회전하여 아암(51)이 통과할 수 있게 하며, 이렇게 아암(51)이 통과한 다음에는 복귀스프링이 작용하여 셋팅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상기 테이프정렬플레이트(106)가 구비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약간 안쪽의 내측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압착기구(111)가 구비되어, 지엽류(P)의 내부삽입선단쪽이 미끌어지지 않게 해주도록 되어 있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엽류압착기구(111)는 상기 테이프권취수단 (50)의 아암(51)이 회전하는 회전경로(A)속으로 들어가는 자유단부(112a)를 갖추고, 그 중간부분은 주장치유니트(1)의 측방에 축(113)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작동레버 (112)에 의해 작동되게 되어 있으며, 축(115)에 의해 상기 주장치유니트(1)의 측면에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있음과 더불어, 자유단의 압착부(114)가 결속위치에 있는 지엽류 (P)의 내부선단근처에서 상단부와 접촉하도록 된 지엽류압착레버(116)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112)의 뒷쪽선단부에 있는 결합부(117)는 압착레버 (116)으 축방으로 돌출되어 나온 돌출부(118)와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압착레버 (116)와 주장치유니트(1) 사이에 걸쳐져 있는 스프링(119)에 의해 잡아당겨져, 상기 돌출부(118)가 항상 결합부(117)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자유단부(112a)가 아암(51)에 의해 위쪽으로 올라왔을 때 압착레버(116)의 압착부(114)가 지엽류(P)의 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오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테이프공급부(90)에서부터 공급되어져 온 테이프(T)를 테이프공급수단(100)으로 안내해 주는 테이프가이드(98)에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 C자형 단면으로 된 테이프경로부재(120)와, 상기 테이프경로부재(120)의 아랫쪽부분에 돌출형성된 양쪽 측벽(121,121)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축(122)에 의해 축선회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테이프통로부재(120)의 개방면을 막아주도록 자유로이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두껑부재(123)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뚜껑부재(123)의 자유단에는 이 두껑(123)의 양쪽 측면 바깥쪽에 수직지지판(124,124)이 구비되어 있다.
이 수직지지판(124,124)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25,125)속에 자유로이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는 핀(126)이 두껑부재(123)이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 핀(126)은 스프링(127,127)에 의해 뚜껑부재(123)의 자유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경로부재(120)의 측면에는 훅크형의 체결부(128,128)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체결부는 핀(126)의 자유단과 체결되게 되어 있고, 상기 핀(126)을 체결부(128,128)에 체결시킴으로써 두껑부재(123)가 닫혀진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테이프경로부재(120)의 아랫쪽끝에는 유연한 재질로 된 컷터부재 (130)의 하단부가 스크류(131,131)등에 의해 테이프경로부재(120)의 테이프이송수단으로부터 테이프(T)의 전진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서 고정부재(129)에 부착되어 있고, 이 컷터부재(130)의 자유단은 이 컷터부재(130)와 테이프통로부재(120)의 이송면(131)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함과 더불어 테이프(T)의 이송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테이프통로부재(120)속으로 삽입되어 들어가 있다.
상기 두껑부재(123)의 아랫쪽 선단에는 컷터부재(130)의 뒷쪽 측면과 접촉하도록 된 캡부분(132)이 구비되어 있고,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껑부재(123)의 피봇축(122)에 대해 이 캡부분(132)은 직경이 큰 캠면(134)과 직경이 작은 캠면(133)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작은 직경의 캠면(133)은 두껑부재(123)가 닫혀졌을 때 컷터부재(130)를 따라 가도록 배치되는 한편, 두껑부재(123)가 개방되었을때는 큰 직경의 캠면(134)이 컷터부재(130)와 접촉하면서 점진적으로 상기 이송면 (131)의 측면쪽으로 컷터부재(130)를 눌러주며 최종적으로는 이 컷터부재(130)의 자유단에 있는 칼날부(130a)가 이송면(131)위에 있는 테이프(T)와 접촉하도록 눌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두껑부재(123)가 개방되면, 테이프이송부재(120)위에서부터 나온 테이프(T)를 당겨 인장시키면서 컷터부재(130)의 자유단에 있는 칼날부(130a)가 테이프(T)를 절단하여 테이프의 선단을 절단해 주게 되며, 테이프의 물림(jamming)이 즉각적으로 해소되게 된다.
그리고 윗면(1b)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주장치유니트(1)의 지엽류삽입개방부 (2)의 부근에는 결속작업이 완료되면 열렸다 닫혀지는 셧터기구(135)가 구비되어 있는바, 제13도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엽류삽입개방부(2)의 내측에 있는 셧터기구 (135)는 이 삽입개방부(2)의 개방구폭보다 약간 폭이 넓고 측면에서 보아 L자형상으로 된 셧터플레이트(136)와 이 셧터플레이트(136)의 바닥부쪽에 구비되어 있으면서 상기 주장치유니트(1)의 지엽류삽입개방부에서부터 한쪽 측면으로 뻗어나와 있는 축(138)에 자유로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축지지부(137) 및, 이 축지지부(137)에서 뒷쪽으로 돌출되어 있는축(139)에 설치되어 상기 축(138)을 지지하는 프레임(141)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안내구멍(142)에 결합되는 롤러(140)를 구비하고 있는 한편, 상기 셧터플레이트(136)는 상기 롤러(140)와 축(138)에 의해 형성된 2개의 지지대에 의해 수평방향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롤러(140)가 지지되는 축(139)의 선단부는 레버(143)의 한쪽 선단과 연결되고, 이 레버(143)의 다른쪽 선단은 회전솔레노이드(144)의 아암(145)에 연결되어 이 회전솔레노이드가 회전되면 레버(143)를 매개하여 상기 셧터플레이트(136)를 제13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닫힌위치 또는 점선으로 표시한 개방위치로 이동시켜 주게된다.
또한 제22도와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장치유니트(1)의 지엽류삽입개구부(2)의 정열된(3b) 안쪽에 상기 지엽류(P)가 지엽류삽입개구부(2)의 윗쪽방향에서 삽입되던지 또는 앞쪽방향에서 삽입되던지에 상관없이 지엽류(P)의 하단에 의해 눌려지도록 축(151)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자동아암(150)과, 상기 지엽류(P)의 하단이 눌려졌을 때 그 선단을 정열면(3b) 위쪽으로 배치시켜 줌으로써 정열면(3b)과 거의 동일한 평면인 수평상태로 되어 센서(152)가 작동되게 하는 스프링(도시안됨)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된 지엽류삽입감지수단은 지엽류하단 감지센서로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개구부(2) 안쪽에는 주장치유니트(1)의 앞면(1a)과 마주하는 반대쪽 선단 즉, 지엽류(P)가 윗쪽 또는 앞쪽에서부터 삽입되던지 간에 삽입방향에 있어서 안쪽측면이 되는 하부코너의 위치를 정렬시켜 주기 위한 정열수단중의 하나인 위치결정플레이트(153)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위치결정플레이트(153)는 측면에서 보아 L자형상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올라온 수직부(153)를 갖추고서 지엽류(P)의 아랫쪽 코너부 양쪽을 정렬해 줌과 더불어 지엽류(P)과 여기에 닿으면 이 지엽류(P)에 의해 감지판(62)이 눌려져 센서(68)를 작동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엽류삽입개구부(2)의 전면(1a)쪽의 안내면(3a,3b)에는 지엽류삽입감지수단이 배치되어 있는바 이 지엽류삽입감지수단은 지엽류(P)의 상단을 감지하는 광학요소로 구성된 센서(154a,154b)를 갖추고 있고, 이렇게 광학요소로 구성된 상기 센서(154a,154b)가 지엽류(P)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지엽류에 의해 상기 센서가 방해를 받지 않으면 이 센서(154a,154b)가 지엽류의 윗쪽선단을 감지하게 된다.
제2도에서 참조부호 155는 접착헤드를 나타내는 바, 이 접착헤드(155)는 이동대(159)의 한쪽선단에 아암(160)을 통해 지지되고, 상기 이동대(159)는 주장치유니트(1)에 부착되어 있는 안내레일부156)와 마주하는 수평방향으로부터 아이크(arc)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장공(157)속에 설치되어 롤러(158,158)에 결합되어 자유로이 이동할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155)가 지엽류(P) 주위에 감아주기 위한 테이프(T)와 함께 위쪽으로 올라가서 테이프(T)의 절단선을 아랫쪽으로부터 상단까지 문질러 열접착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접착헤드(155)는 공지된 일반적인 가열기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상기 테이프(T)를 절단하는 컷터(161)가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아암(162)의 자유단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이아암(162)은 축(16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테이프(T)를 소정위치에 절단해주게 된다.
다음은 상기 실시예의 작동을 제14도 내지 제21도 및 제2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한 테이프공급수단(90)의 테이프견인플레이트(92)가 테이프설치플레이트(93)위에 설치된 테이프릴(Ta)에서부터 끌어내는데, 이렇게 끌려져 나온 테이프(T)는 구동롤러(95)와 가이드롤러(96) 사이를 통해 빠져 나와 상기 테이프견인플레이트(92)를 누르게 된다.
이러한 누름동작이 센서(도시안됨)에 의해 감지되면 롤러(102)가 구동하면서 테이프(T)를 넘겨받아 이송시켜 주고, 상기 감지센서(105)가 테이프(T)를 감지한 후에는 테이프(T)가 테이프통로의 자유단에서부터 돌출되어지도록 소정시간동안 만큼 테이프를 이송시켜준다.
이때, 테이프권취기구(50)의 고정아암(52)과 가동아암(53)이 테이프통로 (101)의 자유단쪽 위치에서 이동부재(81)의 캠(82)이 작동함으로써 가위 모양과 같이 벌어져, 이들 아암(52,53) 사이를 통해 테이프가 끌려나가게 된다(제 14도).
그 다음 테이프권취기구(50)의 솔레노이드(80)가 자화되어 이동부재(81)가 당겨지면, 상기 가동아암(53)이 스프링(78)의 탄발력에 의해 밀어부쳐져 닫혀지도록 캠(82)이 빠져나가 상기 고정아암(52)과 가동아암(53)에 의해 테이프(T)가 붙잡혀지게 되고, 그 다음 상기 기어(60)가 구동하면서 이 기어(60)와 맞물려 있는 기어(59)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회전아암(58)이 회전하면서 아암(51)을 제15도의 3와 같이 대기위치로 이동시키는 한편 테이프(T)는 호울딩하고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롤러(102)에 의해 삽입된 상태에 있는 지엽류에 테이프(T)를 이송시킨다.
상기 대기시작에서 테이프(T)의 선단부(Tb)는 테이프정렬플레이트(106)의 정열아암(110)에 의해 아랫쪽을 향하도록 함과 더불어 지엽류(P)의 삽입을 차단시키지 않는 위치에 있도록 정열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기구(35)와 캠부재(19)가 제4도에서 도시한 바의 위치에 있게 되고, 랭크(24)의 롤러(18,28)와 아암(15)은 캠면(20,29)의 아랫쪽 위치에 있게 되며, 상기 제1호울딩부재(5)와 제2호울딩부재(6) 및 제3호울딩부재(7)는 모두 재정렬된 위치에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엽류삽입개구부(2)를 막아주는 셧터기구(135)의 셧터플레이트 (136)은 준비단계동안 닫혀진 상태로 있게 되지만 위치결정플레이트(153)는 대기위치로 있게 되고, 상기 대기위치에서 지엽류(P)를 다시 받아들일 수 있게 접수 준비가 완료되는 시각이 되면, 상기 셧터플레이트(136)가 개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아암(51)이 대기위치에 있을 때, 이 아암(51)이 작동레버(112)의 자유단(112a)를 윗쪽으로 누르고 상기 지엽류압착레버(110)가 제15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삽입개방부(2)에서부터 재정렬되는 위치에 있도록 걸려지게 된다. 여기서 소정맷수로 쌓여진 지엽류가 주장치유니트(1)의 지엽류삽입개방부(2)로 앞쪽방향(P1방향) 또는 윗쪽방향(P2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그 선단이 지엽류감시플레이트(62)에 의해 눌려져 축(57)이 요동레버(67)를 요동시키도록 재배치되어 센서(68)를 작동시키게 된다.
또, 상기 지엽류(P)의 하단은 작동아암(150)을 작동시키고 그 결과적으로 센서(152)를 작동시키게 되며, 그 다음 지엽류(P)의 상단이 센서 (154a,154b) (센서(154a)는 접수상태의 점등이고, 센서(154b)는 차단상태의 점등임)에 의해 감지되게 되고, 이들 센서(68,152,154a,154b)의 절환상태는 지엽류(P1)가 결속위치에 삽입되었음을 감지하여 이들 감지신호에 의해 자동적으로 결속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상기 결속동작의 자동적 시작명령은 셧터기구(135)의 셧터플레이트(136)를 폐쇄시키고, 또 요동기구(도시안됨)고 연결기구(3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부재(19)가 링크(24)의 롤러(18,28)안쪽으로 이동하게 됨과 더불어 아암(15)은 왼쪽 및 오른쪽 캠면(20,28)에 의해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캠부재(19)가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호울딩부재(5)와 제2호울딩부재(6)가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동작에 의해 상기 호울딩면(8,9,11,12)이 지엽류(P)의 양쪽 측면을 붙잡게 된다(제5도 및 제6도).
이 결과, 상기 테이프권취기구(50)의 아암(51)이 다시 회전하여 테이프 정열플레이트(106)의 정렬아암(110)을 바깥쪽으로 누르면서,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엽류압착기구(111)의 작동레버(112) 아래에서 지엽류의 반대쪽으로 지나가서, 지엽류(P)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 지엽류의 표면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작동레버(112)의 호울딩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엽류압착레버(116)가 스프링(119)의 작용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아암(51)이 통과함에 따라 해제되게 되며, 압착부(114)가 지엽류(P)의 상단을 눌러 이들 지엽류(P)의 상단높이 차이를 정열시켜 주게 된다.
그 다음 레버(13)의 롤러(34)가 연결기구(35)의 구동부(40a)에 형성된 길다란 크랭크핸들형태의 구멍(39)에 의해 레버(13)을 회전시켜, 상기 제3호울딩부재(7)가 지엽류(P)와 접촉하게 되고(제6도), 이에 의해 상기 제1호울딩부재(5)와 제2호울딩부재(6) 및 제3호울딩부재(7)의 각 호울딩면(8,9,11,12,32)이 지엽류(P)의 양쪽 측면을 붙잡게 된다.
그 다음 상기 테이프공급수단(100)의 롤러(10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테이프(T)에 장력을 가하고(제20도), 헤드(155)가 테이프(T)를 눌러 동시에 열접착을 시작한다. 그리고 컷터(161)가 아랫쪽으로 내려가 테이프(T)를 절단하고, 상기 헤드(155)가 앞으로 좀더 전진하여 테이프(T)의 절단된 선단을 윗쪽으로 문지르면서 열접착시킨다(제21도).
이러한 동작 후에는, 상기 컷터(161)와 헤드(155)가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고, 상기 가동기구(69)와 아암(51)에 테이프접착위치에서 지엽류(P)의 표면을 따라 뒷쪽방향으로 물러나와 지엽류의 결속을 완료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이동프레임(56)이 재배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아암(51)은 제21에 도시한 바의 위치인 뒷쪽으로 물러난 상태에서 정지하게 되고, 상기 캠레버(19) 역시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며, 제1호울딩부재(5)와 제2호울딩부재(6) 및 제3호울딩부재(7) 각각은 본래의 위치대로 개방되어 지엽류(P)를 붙잡고 있는 상태가 해제되는 한편, 셧터플레이트(136)가 개방되어 결속한 지엽류를 빼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묶여진 지엽류(P)가 빼내지고 나면, 상기 셧터플레이트(136)가 다시 닫히고 아암(51)이 제21도에 도시한 위치에서부터 소정각도만큼 회전하여 제14도에 도시한 테이프 접수위치로 되돌아가게 되고, 상기 아암(51)은 재배치위치에서부터 앞쪽방향을 복귀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테이프공급수단(100)의 롤러(102)가 일단 한번 역회전하여 테이프(T)를 이송시킨 다음에는 앞쪽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아암(51)에 의해 붙잡혀져 제15도에 도시한 대기상태로 들어가기 위해 대기위치로 된다.
제24도에 도시한 절환스위치(165)는 센서(68,152,154a,154b)에 의해 지엽류 (P)의 삽입을 자동적으로 감지하는 자동감지모우드와 상기 센서 (68,152,154a,154b)에 의해 일단 감지조건신호가 발생되면 시작버튼(166)의 작동에 의해 시작하게 되는 시작버튼 모우드사이를 절환시켜주는 것이다
제24도에 있어서, 결속기구구동부(167)는 상기 호울딩부재(5,6,32)뿐만 아니라 지엽류압착레버 (116)와 아암(51), 상기 아암(51)을 개폐시켜주기 위한 솔레노이드(80), 상기 헤드(115)와 컷터(161)를 작동시켜 주기 위한 모우터 및 가동솔레노이드등이 갖추어져 있다.
또한, 결속작동시작감지부(168)는 전체결속장치의 작동시각을 감지하여 감지조건에 따라 하나의 결속작동 사이클을 이행하게 하여, 또 예컨대 상기 아암(51)의 회전각도 감지센서(테이프 접수위치와 대기위치(13)를 감지하는 센)를 갖추고 있으며 제어수단(169)은 각 센서(68,152,154a,154b,104,105)의 입력신호와, 감지부(168), 시작버튼(166), 절환스위치(165), 구동솔레노이드(144), 디스플레이부(L,L), 모우터 (M%1r) 및 결속기구 구동부(167)의 압력신호를 접수받아 제어한다.
다음에 결속작동제어과정을 설명한다.
제25도 내지 제3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 해당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이들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실시예와 구조적인 차이는 호울딩면(9)이 호울딩면(8)과 함께 이동하고 경사져 있으면서 고정아암(52)과 가동아암(53)의 회전운동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또 이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의 호울딩면(12)이 없고 아암(52,53)이 지엽류(P)에 테이프(T)를 감는 상태일때 지엽류(P)가 먼저 붙잡혀 지지되며, 제3호울딩부재(7)가 지엽류면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제27도).
기타 다른 부분의 구조와 기능은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며, 그 진행 경과에 있어서, 제25도는 제15도에 부합하고, 제26도는 제18도에, 제27도는 제19도에, 제28도는 제20도에, 제29도 및 제30도는 제21도에, 제31도는 제14도에 각각 부합한다.
제32도와 제33도는 각각 주장치유니트(1)의 외부와 지엽류삽입개구부(2)이 형태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특히 제32도는 주장치 유니트(1)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고, 제33도는 제32도에 도시한 삽입개구부(2)의 중앙부에 대한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b)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다른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장치유니트(1)를 덮도록 된 전면카버(1A)의 형태는 이 카버(1A)이 곡면과 연속을 이루도록 뒷쪽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을 갖추고 있는바, 그 이유는 제1(b)도에 도시한 바의 경우에 있어서와 같이 주장치유니트(1)의 앞면(1a)과 윗면(1b)의 분명한 구분이 없는 경우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이 주장치유니트 앞쪽 부분은 제33도에서 원호의 중심점 0에서 보아 약 45° 각도로 경사져 주장치유니트(1)의 상부보다 약간 더 높게 되어 있고, 또 이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개구부(2)는 원호형형상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 바, 특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한 지엽류결속장치는 그 작동설명을 위해 일본국화폐(예컨대 ¥10,000, ¥5,000, ¥1,000)를 묶는 장치로 하였고, 이들 화폐는 각각 그 폭이 동일하기 때문에(화폐의 길이방향에 대한 짧은 길이방향의 칫수), 상기 센서(154a,154b)는 윗쪽 및 바닥쪽 위치에만 구비시켜야 할 필요가 있지만, 만약 다른 나라의 화폐와 폭이 다른 화폐를 결속시키고자 하면, 이들 폭의 칫수가 다른 것을 감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센서의 윗쪽 및 바닥쪽위치로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를 구비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여러개의 칫수가 다른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개의 센서(154a,154b)를 구비시켜 줄 수가 있는 바, 본 발명은 화폐에 적용시키는 경우에만 국한되지 않고 예컨대 약속어음, 수표, 복권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지엽류도 결속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장치가 주유니트카버와 개폐시킬 수 있는 전면카버로 이루어진 주유니트프레임에 의해 형태의 윤곽이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카버에 삽입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삽입개구부를 반드시 전면카버에 형성시킬 필요가 없으면, 상기 삽입개구부를 주유니트프레임에 일부분으로 형성시킬 수가 있고, 또한 상기 지엽류정열수단과 지엽류삽입감지수단도 이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길이(지엽류의 긴쪽방향길이)와 폭(지엽류의 짧은쪽 길이)에 따라 결속위치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지엽류의 형태에 따라 지엽류정열수단과 지엽류삽입감지수단의 위치를 조절해 주는 것이 바람직한 바, 예컨대, 제23도에서 지엽류감지판(62)과 위치결정플레이트(153)를 좌·우측으로 조절해 이동시켜 줄 수가 있고, 센서(154a,146b)도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가 있으며, 테이프 이송량도 롤러(102,103)로 조절해 줄 수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것 뿐만 아니라 결속위치도 고정위치로 제한시킬 필요가 없다.
또 호울딩수단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제1호울딩그룹은 호울딩면(8)에 마주하는 호울딩면(11)과 호울딩(12)에 마주하는 호울딩면(9)의 아랫쪽 반쪽부분과 동일하고, 제2호울딩그룹은 호울딩면(32)에 마주되는 호울딩면(9)의 윗쪽반쪽부분과 동일하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만 국한되지 않고, 상기 제2호울딩면 그룹의 기능을 가지도록 호울딩수단(8,11)의 윗쪽 및 바닥쪽 구역에 별도의 부재를 설치해 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 중에서  지엽류삽입감지수단의 감지조건 의 개념과  지엽류삽입감지수단에 의한 지엽류의 감지에 기초하여 라는 개념은 지엽류삽입감지수단의 감지출력에 의한 작동과 이 감지출력 및 시작버튼의 출력에 의한 작동을 양자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다르면, 쌓여져 있는 여러장의 지엽류주위에다 테이프를 감는 지엽류결속장치에 있어서, 컷터를 사용하여 감겨진 테이프의 선단을 끊고 열융착헤드를 사용하여 잘려진 테이프의 선단을 결속된 지엽류에다 융착시키며, 결속시키고자 하는 지엽류를 결속장치의 앞쪽 또는 윗쪽에서 삽입시킬 수가 있으므로 편리하고 이렇게 양쪽중의 어느쪽 방향으로 삽입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정열수단에 의해 동일한 위치가 감지되게 되므로 결속동작에 방해를 받지 않게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삽입된 지엽류가 셋팅위치에 위치된 경우에만 결속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테이프를 감는 셋팅위칭 대해 테이프를 감는 위치가 어긋나지 않게 되고, 결속지엽류를 균일하게 정열해줄 수가 있으며 확실하게 묶어줄 수가 있고, 또한, 지엽류를 삽입한 다음, 이 지엽류를 호울딩하고 있는 호울딩수단이 테이프를 인장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써, 전체기구가 복잡하게 되지 않고 공간이 절감되며 장치가 콤팩트하게 된다.

Claims (4)

  1. 여러장이 쌓여진 지엽류주위에다 테이프(T)를 감고 감겨진 테이프에 컷터에 열융착헤드를 사용하여 잘려진 테이프선단을 지엽류에 열융착시키도록 된 지엽류결속장치에 있어서, 주장치유니트(1)의 전면부에서부터 윗쪽으로 개방된 형태로 되어 결속하고자 하는 지엽류(P)를 상기 주장치유니트(1)의 전면 또는 윗면으로 수직으로 삽입시킬 수 있게 한 지엽류삽입개구부(8)와, 상기 주장치유니트(1)에 형성된 삽입개구부(2) 윗쪽 또는 앞쪽방향에서부터 수직으로 삽입된 지엽류(P)의 하단을 정위치 및 정열시켜주는 지엽류정열수단(3a,3b,153), 상기 지엽류(P)의 주변에다 감아주기 위한 테이프(T)를 공급해 주고 감겨진 테이프(T)에다 장력을 가하여 지엽류(P)의 주변에다 테이프(T)를 긴빌하게 감아주는 테이프공급수단(100), 이 테이프공급수단(100)에서부터 이송되어온 테이프의 한쪽 선단을 붙잡아 정지위치에서부터 회전하면서 상기 지엽류(P)주변에다 감아 주도록 된 테이프권취수단(50) 및, 상기 지엽류주면에다 테이프(T)를 긴밀하게 감아주고 지엽류에 감겨진 테이프의 폭방향을 따른 양측부 부근에서 지엽류의 지면을 붙잡아 주는 지엽류호울딩기구(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결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권취기구(50)는 테이프공급수단(100)에서부터 이송되어온 테이프의 한쪽 선단을 붙잡아 회전하면서 테이프공급수단의 설정위치에 마주하는 윗쪽방향위치가 정지위치에 있을 때 지엽류삽입감지장치의 감지조건에 따라 상기 정지위치에서부터 회전하여 지엽류(9) 주위에다 테이프(T)를 감아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결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호울딩기구(4)가 감겨진 테이프(T)의 폭방향 양측부 근처에서 호울딩하는 복수개의 호울딩부재(6,7)를 갖추고, 이 호울딩부재(6,7)의 최소한 일부분이 상기 지업류삽입감지판(62)에 의해 지엽류의 삽입을 갑지한 것에 근거하여 지엽류(P)를 붙잡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결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호울딩기구(4)가 지엽류삽입감지판(62)에 의해 지엽류의 삽입을 감지한 것에 근거하여 지엽류를 붙잡도록 된 제1호울딩면그룹과, 테이프가 상기 테이프권취기구(50)에 의해 감겨졌을 때 지엽류표면에 접촉한 다음 이 지엽류를 붙잡도록 된 제2호울딩면그룹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결속장치.
KR1019920003341A 1991-10-28 1992-02-29 지엽류(紙葉類) 결속장치 KR960000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1088377U JP2568065Y2 (ja) 1991-10-28 1991-10-28 紙葉類結束装置
JP91-88377 1991-10-28
JP10755691U JP2550417Y2 (ja) 1991-12-26 1991-12-26 紙葉類結束装置
JP91-107556 1991-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105B1 true KR960000105B1 (ko) 1996-01-03

Family

ID=2642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3341A KR960000105B1 (ko) 1991-10-28 1992-02-29 지엽류(紙葉類) 결속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33816A (ko)
EP (1) EP0540134B1 (ko)
KR (1) KR960000105B1 (ko)
CA (1) CA2062020C (ko)
DE (1) DE69215488T2 (ko)
ES (1) ES2096713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4566A1 (en) * 2010-12-01 2012-06-07 Moreau Darrell A Clip for attaching articles togeth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07736D0 (en) 1999-04-01 1999-05-26 Rue De Int Ltd Banding apparatus and method
JP4939759B2 (ja) * 2004-03-19 2012-05-30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US8567156B2 (en) * 2009-06-15 2013-10-29 Kabushiki Kaisha Toshiba Paper sheet processing system
CN103274071B (zh) * 2013-05-28 2015-05-13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扎把介质夹持机构以及含有该机构的纸币扎把机
JP6162524B2 (ja) * 2013-07-31 2017-07-12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結束装置
CN106494661B (zh) * 2016-12-09 2023-03-03 重庆锦沙沣包装有限公司 包装袋整理装置
CN110033691A (zh) * 2019-04-23 2019-07-19 长沙宁湖机械设备有限公司 用于展示凸轮滑槽组合的教具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9886A (en) * 1971-05-17 1973-05-01 Leroy E Olsen And Sy Patrickus Method and apparatus for banding articles
JPS526298A (en) * 1975-07-03 1977-01-18 Toshiba Seiki Kk Automatic string hanger for twofold rolled and one-fold rolled binding
JPS5644991A (en) * 1979-09-21 1981-04-24 Tokyo Shibaura Electric Co Document handling machine
JPS5813407B2 (ja) * 1980-06-18 1983-03-14 武蔵株式会社 紙葉類整列帯封装置
JPS58171315A (ja) * 1982-03-31 1983-10-08 株式会社東芝 結束装置
JPS58203809A (ja) * 1982-05-13 1983-11-28 株式会社東芝 結束装置
NL8500050A (nl) * 1985-01-09 1986-08-01 Nicolaas Van Rosendal Inrichting voor het aanbrengen van een sluitstrip, en een cassette daarvoor.
DE69004652T2 (de) * 1989-09-29 1994-05-11 Glory Kogyo Kk Vorrichtung zum Bündeln von Papierblätter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4566A1 (en) * 2010-12-01 2012-06-07 Moreau Darrell A Clip for attaching articles toget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15488T2 (de) 1997-04-30
CA2062020A1 (en) 1993-04-29
CA2062020C (en) 1998-04-28
DE69215488D1 (de) 1997-01-09
EP0540134A3 (en) 1993-10-27
ES2096713T3 (es) 1997-03-16
US5233816A (en) 1993-08-10
EP0540134A2 (en) 1993-05-05
EP0540134B1 (en) 1996-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6002A (en) Leaf paper bundling apparatus
US4406728A (en) Apparatus for binding articles with tape
KR960000105B1 (ko) 지엽류(紙葉類) 결속장치
JPH0136434B2 (ko)
EP0047964B1 (en) Printing machine
GB2087832A (en) Binding aricle with crossed bands
US4030726A (en) Document feeding mechanism
JP2597751Y2 (ja) 紙葉類結束装置におけるテープガイド機構
JP2568066Y2 (ja) 紙葉類結束装置
JP2550417Y2 (ja) 紙葉類結束装置
JP2545067Y2 (ja) 紙葉類結束装置
JP2545068Y2 (ja) 紙葉類結束装置
JP2567499Y2 (ja) 紙葉類結束装置におけるテープガイド装置
JP2558489Y2 (ja) 紙葉類結束装置における結束用テープセット装置
JP2553270Y2 (ja) 紙葉類結束装置
CA2026456C (en) Leaf paper bundling apparatus
JP2568065Y2 (ja) 紙葉類結束装置
JPH088966Y2 (ja) 紙葉類結束装置
JP3207964B2 (ja) 紙葉類大束結束機
JP2551769Y2 (ja) 紙葉類結束装置
JPH0310499Y2 (ko)
JP2538373Y2 (ja) 紙葉類結束装置
JP2553945Y2 (ja) 紙葉類結束装置
JP3054329B2 (ja) 紙葉類結束装置
JP3060028B2 (ja) 封筒自動封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