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339B1 -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339B1
KR930009339B1 KR1019890002580A KR890002580A KR930009339B1 KR 930009339 B1 KR930009339 B1 KR 930009339B1 KR 1019890002580 A KR1019890002580 A KR 1019890002580A KR 890002580 A KR890002580 A KR 890002580A KR 930009339 B1 KR930009339 B1 KR 930009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ase
call
elevato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2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358A (ko
Inventor
소시로 구주누끼
유조 모리다
겐지 요네다
다가아끼 우에시마
도시미쭈 도비다
아쭈야 후지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쓰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쓰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90014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방법 및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케이즈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군관리제어장치의 하드웨어 종합 구성을 표시하는 개략적인 블럭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M1)의 구성을 표시하는 개략적인 블럭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M2)의 구성을 표시하는 개략적인 블럭도.
제 4 도는 입,출력장치(EIO1)와 작동제어 프로세서(E1)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럭도.
제 5 도는 각각 제 2 도의 제 3 도에서 표시된 프로세서(M1)과 프로세서(M2)에 의해 실행되는 작동 또는 종합 처리함수를 표시하는 함수 블럭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종합함수 블럭도의 개체화부분에 포함된 다중목표설정(블럭 1C)의 함수의 상세한 구성을 표시하는 함수 블럭도.
제 7 도는 제어항목의 메뉴의 보기를 표시한 제 6 도의 함수 블럭(1C)의 작동설명도.
제 8 도는 제 5 도에서 표시된 개성화 지원부분의 처리작동을 위해 사용되고 프로세서(M1)의 적당한 기억에 제공되는 기억테이블의 보기표시도.
제 9 도는 6제어항목의 세팅목표의 보기가 표시된 레이더 챠트(radar chart).
제 10 도는 제 6 도의 함수블럭(1C)에서 사용되는 각종 개성화 함수의 보기를 표시하는 테이블.
제 11a 도∼제 11c 도까지는 각종 조건에 따라 제공되는 개성화함수의 변화의 보기표시도.
제 12 도는 감성목표의 제어목표로의 변환원칙을 설명하는 도면.
제 13 도는 제 5 도의 종합함수블럭도의 개성화 지원부분에 포함된 제어방법과 파라미터의 결정(블럭 1D)의 함수의 상세구성을 표시하는 함수블럭도.
제 14 도는 복수 엘리베이터 케이즈의 등시간 간격작동의 설명도.
제 15a 도∼제 15c 도까지는 복수케이즈의 위치에 따라 등시간간격 우선 죤(zone)의 설명도.
제 16 도는 등시간간격 우선 죤(zone)을 설치하기 위한 처리 작동의 플로우챠트.
제 17a 도와 제 17b 도는 제 5 도에서 표시된 개성화 지원부분에서 처리작동을 위해 사용되고 프로세서(M1)의 적당한 기억에 제공되는 기억테이블의 보기의 표시도.
제 18a 도∼제 18c 도까지는 등시간격 우선 죤을 설치하는 방향 미결정케이즈의 더미(dummy)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의 설명도.
제 19 도는 제 16 도의 플로우챠트에 포함되는 등시간간격 우선죤의 계산처리 스텝의 상세를 표시하는 플로우챠트.
제 20 도는 발명자의 시뮤레이션(simulation)에 따라 제어 파라미터(kp)에 관해 케이즈의 통과율과 대기시간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 21 도는 케이즈의 부하인자(load-factor)제어목표를 위해 매 층상에 케이즈내 승객수를 판단하는 방법의 설명도.
제 22 도는 설치와 선착케이즈 우선죤의 개념설명도.
제 23 도는 3종류의 데이터가 6제어항목에 관해 동시에 표시된 레이더챠트.
제 24a 도∼제 24c 도까지는 데이터 베이스의 보기를 표시하고 그리고 그것은 제 5 도에서 표시된 개성화 지원부분에서 처리작동을 위해 사용되고 프로세서(M1)의 기억에 제공되는 적당한 에어리어(area)에 기억되는 것을 표시하는 설명도.
제 25 도 제 5 도의 종합함수 블럭도의 개성화 지원부분에 포함되는 시뮤레이션(블럭 1E)의 함수의 상세한 구성을 표시하는 함수블럭도.
제 26 도는 제 5 도의 종합함수 블럭도의 개성화 지원부분에 포함되는 평가(블럭 1F)함수의 상세한 구성을 표시하는 함수블럭도.
제 27도는 제 5 도의 종합함수 블럭도의 군제어부분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등록(블럭 2A)함수의 상세한 구성을 표시하는 함수블럭도.
제 28 도는 실제 데이터의 보기를 표시하고 그것은 교통 수요 패턴의 형상에서 프로세서(M2)의 적당한 기억에 기억되는 함수블럭도.
제 29 도는 제 5 도의 종합함수 블럭도의 군제어부분에 포함되는 군제어(블럭 2C)함수의 상세한 구성을 표시하는 함수블럭도.
제 30 도는 각종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처리작동을 표시하는 플로우챠트.
제 31 도는 제어파라미터의 결정을 위해 제 30 도에서 표시된 것과 같이 처리작동에서 사용되는 감응계수(influence coefficient)의 보기의 표시도.
제 32a 도와 제 32b 도는 테이블이고 그안에 제어 파라미터의 결정을 위해 제 30 도에서 표시한 것과 같이 처리작동에서 사용되는 우선순위의 보기 표시도.
본 발명은 복수 엘리베이터 케이즈(elevator cage)의 엘리베이터군(群) 제어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저(user)를 위해 개량된 써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건물의 복수층상에 사용할 수 있는 복수 엘리베이터 케이즈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종래 군제어에 있어서는 유저를 위한 써비스를 개량하고 그리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전 효율향상의 목적을 위해 홀(hall)호출의 발생을 온라인기준으로 감시하고 일정한 층상에서 발생되는 홀호출이 적응케이즈에 할당되는 그러한 제어방법이 사용되었고 그것은 일정한 층상을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케이즈로서 평가되고 홀호출방생에 전써비스조건을 고려하여 층상의 엘리베이터 홀에서 이용할 수 있는 케이즈의 도착을 기다리는 사람들의 대기시간에 의해 평균적으로 짧게 할 수가 있다.
그것에 따라 홀호출이 일정항 층상에서 발생될때 복수 케이즈 중의 하나가 발생된 홀호출을 가장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평가되고 홀호출의 써비스는 가장 적당한 것으로서 평가된 케이즈에 할당된다.
상기 평가는 예정된 평가함수에 따라 발생된 홀호출에 관한 군제어케이즈의 평가치를 계산함으로서 실행된다.
가장 요망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계산된 평가치의 최대 최소를 가지는 케이즈는 홀호출에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것으로서 선택된다.
상기 평가함수는 고려되는 구성요소로서 약간의 제어항목의 평가인덱스(index)를 포함한다.
그러한 평가인덱스는 가변파라미터의 평가함수에서 통합되고 엘리베이터시스템의 교통수요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일정한 교통수요하에서 제어항목의 요망되는 목표를 만족시킬 수 있는 그 파라미터의 값은 일상 써비스 작동동안 학습에 의하거나 또는 오프라인(off line) 기준에서 실행되는 시뮤레이션에 의해 사전에 모든 교통수요를 위해서 공급된다.
일상의 써비스작동에 있어서 파라미터의 값은 처음에는 그때의 교통수요에 따라 선택된다.
예를들면 교통수요가 하루에 있어 각종 패턴의 모든 시간죤(zone)으로서 제공됨에 따라서 파라미터가 변화될 수가 있다.
실제 써비스 작동동안 발생된 홀호출의 할당에 따라 상기 평가는 파라미터의 선택된 값의 평가함수에 일치하여 실행된다. 발생된 홀호출은 평가결과에 따라 적합한 케이즈에 할당된다. 예를들면 일본공개특허출원 JP-A-58/52162(1983) 또는 58/63668(1983)에 이종류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가 개시되어있다.
이것에 따르면 평가함수는 대기시간과 그것과 동시에 정지호출의 평가인덱스를 포함한다. 정지호출은 복수케이즈중 어느 하나에 이미 할당된 홀호출 또는 케이즈에서 발생된 호출을 뜻한다.
그러므로 모든 케이즈에서 어떤 케이즈도 정지호출에 일치하는 층상에 확실하게 정지한다.
즉 홀호출이 발생된 층상 또는 행선층상으로서 케이즈 호출에 의해 표시된 층상을 말한다.
상기 선행 기술의 평가함수로서 발생된 홀호출은 정지 호출을 가지는 케이즈에 할당되기가 쉽게 된다.
따라서 케이즈의 시각과 정지의 횟수는 그것이 매우 케이즈의 시작과 정지에 의존하므로 에너지 소비가 많이 개선되는 것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감소될 수가 있다.
정지호출의 평가인덱스는 중량 계수로서 기능을 하는 가변 파라미터의 평가함수에서 통합된다.
그러므로 만약 정지호출의 가변파라미터가 조정되면 평가 함수상의 정지호출과 대기시간의 평가인덱스의 영향도는 각각 변화한다.
이것은 유저를 위한 써비스와 절약되는 에너지는 정지호출의 가변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서 적당히 제어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그것이 시간간격인가 또는 거리 간격인가를 엘리베이터 케이즈 사이의 작동 간격의 관점을 거의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같은 이동방향에서 케이즈가 동기적으로 이동하는 작동조건이 발생하기 쉽다(이 작동조건은 일련의 케이즈 작동이라한다).
선행기술은 평균적으로 대기시간을 더욱 개량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복수케이즈의 엘리베이터를 위한 군제어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고 그리고 대기시간과 동시에 다른 각종 제어항목과 하나의 제어항목으로서 작동간격을 고려하여 케이즈의 써비스 작동을 적합하게 제어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엘리베이터의 군제어방법에 있으며 홀호출이 발생할때 발생된 홀호출에 관하여 군제어 케이즈의 모든 평가치는 미리 결정된 평가함수에 의해 계산되고 그것은 죤(zone)범위내에서 발생한 홀호출이 케이즈에 우선적으로 할당되어지는 케이즈의 위치에 따라 케이즈를 위해서 설치된 그러한 첫째 층상죤과 대기시간의 적어도 2제어항목의 평가인덱스를 포함한다.
더욱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군제어 장치에 있으며 그것은 군제어방법에서 사용되는 각종 제어 파라미터와 군제어방법을 결정하는 처리작동을 실행하기 위해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종되는 입력장치에 의해서 제공된 첫째 프로세서(processer) 그리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해 설치된 건물의 사용방법에 가장 적합하고 호출할당의 처리 작동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첫째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거기에 발생된 홀호출에 관한 군제어케이즈의 모든 평가치는 상기 첫째 프로세서에 의해 결정되는 제어파라미터와 군제어방법에 의해 정의된 평가함수에 따라 계산되고 그리고 발생된 홀호출은 적합한 케이즈에 할당되고 그것은 계산된 평가치 중에서 가장 요망된 것을 가지는 둘째 프로세서 ; 그리고 상기 둘째 프로세서에 의해 호출할당처리 결과에 따라 각 엘리베이터의 써비스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둘째 프로세서에 모두가 연결되고 그리고 모든 엘리베이터 케이즈에 제공된 셋째 프로세서로서 제공되고 거기의 평가함수는 각 제어항목을 위해 중량계수로서 각 제어파라미터의 정지호출과 선탁케이즈율, 케이즈하중요소, 승차시간, 그리고 케이즈의 등간격 작동을 고려하는 대기시간의 제어항목을 위한 평가인덱스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첫째 프로세서는 입력장치를 통하여 그들의 값과 제어파라미터를 선택함으로써 평가함수의 가장 적당한 형상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죤범위내에서 발생된 홀호출이 케이즈에 우선적으로 할당되는 케이즈의 첫째 층상죤의 개념을 받아들여 케이즈의 등간격작동이 고려됨으로서 일련의 케이즈작동은 평균대기시간과 긴대기시간의 율이 전체로서 개량되어 예방될 수 있다.
실시예의 특징에 따라 각종 제어항목의 평가인덱스가 중량 계수로 되는 각 제어 파라미터의 평가함수에서 통합되도록 제어항목을 선택하고 그리고 그 선택된 제어항목의 값을 설정하는 것은 쉽게 실행될 수가 있다.
이것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군제어에서 다중목표제어는 실현될 수가 있고 그러므로서 군제어방법과 제어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엘리베이터시스템으로 설치된 건물의 사용방법에 가장 적합하다.
실시예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항목의 목표는 인간 감성의 견지에서 설정된다.
따라서 제어파라미터와 군제어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작업은 오퍼레이터에게도 쉽고 오퍼레이터가 군제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관리에 익숙하지는 않다.
실시예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항목의 설치목표는 시뮤레이트되며 설정목표와 시뮤레이션 결과는 그 설정목표와 그 시뮤레이션결과 사이의 비교가 쉽게되고 그래서 설정 목표의 적당한 평가도 손쉽게 된다.
즉 목표설정과 제어항목 선택의 작업은 상호작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케이즈의 엘리베이터의 군제어장치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1. 하드웨어 구성부분의 종합구성
첫째로 제 1 도에서 제 4 도까지를 인용하여 하드웨어 구성이 설명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에의 종합하드웨어구성을 표시한다. 도표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군제어장치는 주요구성요소로서 프로세서(M1), (M2)를 가지고 그리고 그것은 통신라인(CMc)를 통하여 각 프로세서에 제공되는 직렬데이터 어댑터(SDAc)에 의해 서로가 연결되어 있다. 프로세서(M1)는 군제어 방법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그리고 그것은 개개의 건물(군제어방법의 개성화)의 사용방법에 특유한 것이다.
입력장치(ID)는 키보드(keyboard), 만약 필요하면 마우스(mouse)로 구성되고 군제어방법의 개성화의 필요한 데이터와 명령이 프로세서(M1)에 제공됨으로서 라인(Pm)을 통하여 거기에 제공된 주변 인터페이스 어댑터(PIA)에 의해 프로세서(M1)에 연결된다.
CRT표시장치(DD)도 프로세서(M1)의 처리작동의 결과와 처리를 관찰하는 동안 오퍼레이터가 군제어방법의 개성화를 성취함으로서 프로세서(M1)에 역시 연결된다. 프로세서(M2)는 엘리베이터 케이즈에서나 또는 건물의 각 층상의 엘리베이터 홀에서 발생되는 호출에 의한 프로세서(M1)에 의하여 결정된 군제어방법에 따라 복수의 엘리베이터 케이즈의 작동을 실제로 관리한다.
이 목적을 위해 프로세서(M2)에 홀호출장치가 연결되고 그리고 그것은 참조번호(HC)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시되고 그러나 주변인터페이스 어댑터(PIA)에 의해 엘리베이터홀에 설치된 홀단추스위치(HB)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서(M2)는 대응하는 통신라인(CM1)에서 통신라인(CM8)까지(거기의 첨자 N은 군제어 엘리베이터 케이즈의 총수를 표시한다)를 통하여 각 프로세서에서 제공된 직렬 데이터 어댑터(SDA1)에서 직렬 데이터 어댑터(SDA8)까지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케이즈의 써비스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프로세서(E1)에서 프로세서(E8)까지에 연결된다.
더욱 케이즈에서 발생된 호출은 이러한 프로세서(E1)에서 프로세서(E8)까지를 통하여 프로세서(M2)에 전송된다.
작동제어프로세서(E1)에서 프로세서(E8)까지는 대응하는 통신라인(SIO1∼SION)을 통하여 각 프로세서(E1∼EN)에 제공된 주변 인터페이스어댑터에 의해 대응하는 입/출력장치(EIO1∼EION)로서 차례로 연결된다.
비록 상세한 것이 후에 설명되더라도 각 입/출력장치(EIO1∼EION)는 제어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공급하는 다른 장치, 램프, 계전기, 안전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된다.
다음의 제 2 도에서 제 4 도까지를 인용하여 각 프로세서(M1)(M2)(E1∼EN)의 더욱 상세한 구성이 설명된다.
그러나 제 4 도는 전형적으로 프로세서(E1)만의 구성을 포함한다.
그러한 도면에서 표시된 것과 같이 각 프로세서는 제어 데이터와 작업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dom access memory)(RAM)와 엘리베이터의 사양, 그리고 필요제어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리드오운리 메모리(ROM)와 중앙처리장치(CPU)로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특히 프로세서(M1)(M2)의 RAM들에 있어서 특별한 영역이 제공되고 그리고 거기에 프로세서(M1)(M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작동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베이스의 다른 종류와 각종 테이블이 기억된다.
비록 그러한 테이블과 데이터베이스의 포메트(format)가 제 8 도, 제 17a 도와 제 17b 도, 제 24 도 (a)에서 (c)까지 그리고 제 28 도에 표시되어도 거기의 상세한 것은 각 처리작동의 설명에서 후에 설명한다.
각 프로세서에 주변 인터페이스어댑터(PIA)와 직렬 데이터어댑터(SDA)가 더 제공된다.
각 프로세서에서의 직렬데이터어댑터(SDA)의 수는 프로세서에 의해 연결되는 프로세서의 수에 의존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는 버스라인(BUS)을 통하여 서로가 모두 연결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프로세서(M1)(M2)의 CPU는 그것이 매우 복잡한 작동을 실행해야되기 때문에 히다찌 HD680000, Intel 18086 또는 Zeilog Z-8000과 같이 16비트프로세서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반면에 작동제어프로세서(E1∼EN)에서의 CPU는 그것이 개성 엘리베이터케이즈의 써비스작동을 위한 처리만을 처리하고 그러한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의 양이 각각 작기때문에 히다찌 HD46800D, Intel 18085 또는 Zeilog Z-80과 같이 8비트 프로세서장치가 되기에 충분하다.
더욱 제 4 도는 입/출력장치(EIO1)의 구성을 역시 표시하고 그리고 그것은 한 케이즈에 설치된다.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입/출력장치(EIO1)는 케이즈 호출노름단추스위치(CB), 안전리미트스위치(SW1) 그리고 케이즈하중센서(Sp)로 구성된다.
그러한 구성요소의 출력신호는 주변 인터페이스 어댑터(PIA)를 통하여 프로세서(E1)에 공급된다.
프로세서(E1)의 처리결과는 필요계전기(Ry)에 그리고 거기에 지시램프에 공급되고 예를들면 케이즈문의 작동 개시용 문제어계전기, 주변인터페이스어댑터(PIA)에 의해 공급된다.
잔여 프로세서(E2∼EN)와 입/출력장치(EIO2∼EION)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입/출력장치(EION)와 프로세서(E1)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2. 함수와 작동의 일반적인 설명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든 프로세서중에서 프로세서(E1∼EN)는 문개폐제어, 예를들면 운행속도제어, 랜딩(landing)제어, 기타 엘리베이터작동 제어로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제어작동을 실행하고 그러므로 공지의 작동제어 장치가 사용될 수가 있다.
이하 프로세서(M1)(M2)의 함수와 작동이 서로 설명된다.
제 5 도는 프로세서(M1)(M2)에 의해 실행되는 작동과 함수를 표시하는 함수블럭약도이다.
도면에서 표시된 일반적인 작동은 예를들면 프로세서(M1)에 의해 실행되는 개성화 지원부분과 프로세서(M2)에 의해 실행되는 군제어부분의 두부분으로 개략적으로 분리된다.
개성화지원부분은 건물(주택건물, 사무실건물, 백화점 건물 등등)의 사용방법, 또는 관리인의 요구에 따라 호출할당방법을 포함한 엘리베이터 군 제어방법을 선택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작업을 지원하는 함수를 가진다.
군제어방법의 이러한 결정은 결정방법이 시뮤레이트 되고 그리고 그 시뮤레이션결과가 표시장치(DD)상에 표시되므로서 오퍼레이터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실행될 수가 있다.
만약 오퍼레이터가 표시된 시뮤레이션결과를 관찰하고 그리고 입력장치(ID)를 통하여 개성화 지원부분에 의해 결정된 군제어방법을 인정하면 프로세서(M2)에 의해 실행되는 군제어부분에서 통합되어 전송된다.
홀호출이 일정한 층상에서 홀호출장치(HC)에 의해 발생될때 군제어부분은 홀호출에 따라 거기에서 통합된 군제어방법에 일치하여 필요한 처리를 실행한다.
그결과 일정한 층상을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엘리베이터 케이즈가 복수케이즈중에서 선택되고 그리고 발생된 홀호출은 프로세서(E1∼EN)중의 하나에 할당되고 그리고 선택된 케이즈를 제어한다.
앞에서 비록 각 프로세서(M1)(M2)(E1∼EN)의 함수와 작동, 그리고 그들사이의 관계를 간단하게 설명했지만 각 부분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군제어부분과 개성화 지원부분을 구성하는 기능적인 소자를 일반적으로 설명한다.
2.1. 개성화 지원부분
제 5 도에서 명백한 것과 같이 이 부분은 함수블럭(1C, 1D, 1E, 1F)으로 구성되고 그것은 다중제어 항목의 목표설정, 제어방법과 파라미터의 결정시뮤레이션 그리고 평가와 제어실행을 각각 실행한다.
함수블럭(1C)은 예를들면 대기시간, 긴대기율, 케이즈 하중인자 등등 그리고 군제어부분에서 라인(r)을 통하여 공급되는 실제데이터(교통수요패턴)와 입력장치(ID)에서 라인을 통하여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공된 각종 정보(제어항목, 그들의 목표치, 빌딩과 엘리베이터의 사양)에 따라 선택된 제어항목을 위한 목표치의 설정과 같은 제어되는 복수항목의 선택을 실행한다.
제어항목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선택된 제어항목을 위한 목표치는 연속하는 처리에 적합한 형상에서 제어목표치로 변환된다.
블럭(1C)에 설정된 복수제어목표치는 라인(b)을 통하여 함수블럭(1D)에 연결되고 블럭은 소위 산출 룰(rule)의 식에서 제공된 과거 데이터와 구성된 지식을 사용하는 추론에 의해 군제어등에 필요한 각종 제어파라미터, 엘리베이터 케이즈작동을 군제어하기 위한 적합한 방법을 결정한다. 산출룰의 보기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추론결과 즉 블럭(1D)의 결정된 제어파라미터와 군제어방법은 라인(c)을 통하여 함수블럭(1E)에 연결되며 또한 라인(b)을 통하여 블럭(1C)에 의해 주어진 정보와 라인(r)을 통하여 군제어부분에 의해 공급된 실제 데이터에 따른 군제어시뮤레이션에 따라 좌우된다.
그 결과 블럭(1E)은 라인(d)을 통하여 예측시뮤레이션 결과를 산출한다.
평가를 위한 함수블럭(1F)은 블럭(1E)에서 시뮤레이션, 블럭(1C)에서 정보 그리고 군 제어부분에서 실제 데이터를 받고 표시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해 그들을 결합하고 그리고 라인(e)을 통하여 표시장치(DD)에 출력되고 그리고 그곳에 표시된다.
이것으로서 오퍼레이터는 동시에 3가지 종류의 정보를 관찰할 수 있고 그러므로 블럭(1D)에서 결정된 파라미터와 군제어방법이 빌딩에 가장 적합한가 아닌가를 그가 쉽게 평가할 수 있는 결과와 계획된 목표치와 블럭(1D)에서 얻은 결과를 비교하는 것은 쉽게 된다.
만약 오퍼레이터가 디스플레이의 데이터를 관찰하고 그리고 입력장치(ID)에서 거기에 승인신호를 제공하면 신호는 라인(a)을 통하여 블럭(1F)에 전송된다. 승인신호가 적용될때 블럭(1F)은 군제어부분에 신호를 전송한다.
군제어부분이 신호를 받으면 라인(c)을 통하여 블럭(1D)에서 결정된 제어파라미터와 군제어방법을 거기에서 통합한다.
만약 오퍼레이터가 블럭(1D)에서 결정된 결과를 만족하지 않으면 그는 비승인 신호를 제공하고 그리고 블럭(1C)에 제공되고 그리고 제어항목의 목표치의 설정은 또 다시 반복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라 필요제어항목의 목표치의 결정은 소위 상호 작용적 프로그래밍방법에 의해 실행된다.
2.2. 군제어부분
제 5 도에서 표시된 것과 같이 이 부분은 블럭(2A, 2B, 2C)을 포함하고 각각 프로그램등록과 실제 데이터의 기억, 군제어로서의 함수이다. 블럭(2A)은 승인신호가 블럭(1F)에서 거기에 인가될때 블럭(1D)에서 결정되고 라인(C)을 통하여 공급된 호출 할당방법을 포함하는 제어방법을 등록한다.
블럭(2B)은 교통수요패턴을 기억하고 그것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매일 써비스 작동의 실제데이터를 처리함으로서 획득된다. 교통수요패턴은 예를들면 엘리베이터 써비스작동의 매시간죤을 위해 제공된다. 블럭(2C)은 이부분의 주요기능을 착수한다.
즉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홀호출이 일정한 층상에서 발생될때 블럭(2C)은 층상을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케이즈가 선택되고 발생된 호출이 선택된 케이즈를 위한 작동제어프로세서에 할당되는 것에 의하여 블럭(2A)에서 등록된 군제어방법에 따라 필요한 처리를 실행한다.
3. 각 부분의 상세한 설명
3.1. 개성화 지원부분
이부분의 상세한 설명전에 다음 설명에서 종종 사용되는 호출, 층상과 케이즈에 관한 약간의 용어는 다음과 같이 규정된다.
층상의 엘리베이터홀에서 발생되는 호출은 앞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홀호출"이라 부른다. 홀호출이 발생된 층상은 "홀호출층상"이라 불린다. 유사한 방법으로 엘리베이터 케이즈에서 발생된 호출은 "케이즈호출"이라 불리고 케이즈호출에 의해 표시된 행선층상은 "케이즈호출층상"이라 불린다.
더욱이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케이즈에 이미 할당된 홀호출과 케이즈호출은 그러한 정지호출을 가지는 케이즈가 홀호출층상 또는 케이즈호출층상에 정지해야 하기 때문에 "정지호출"이라 불린다.
홀호출이 케이즈에 할당될때 그 케이즈는 그 케이즈가 홀호출을 사용하기 위해 예약되었기 때문에 "예약 케이즈"라고 불린다.
그러나 상황에 따르면 비록 예약케이즈가 이미 결정되어 있어도 또다른 케이즈가 예약된 케이즈보다 더 일찍 홀호출층상에 도착할 수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또다른 케이즈는 "선도착케이즈(first-arriving cage)"라 불린다.
케이즈가 층상에 예약된 케이즈보다 더 일찍이 층상에 도착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한 케이즈가 홀호출층상을 통과하는 그러한 경우도 역시 있다.
그 케이즈는 "통과중인케이즈(passing-by cage)"라 불린다.
3.1.1. 다중목표의 설정(IC)
본 실시예에 있어 제어항목의 목표치는 인간의 감성으로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주어진다.
즉 케이즈하중인자를 위해 60%, 대기시간을 위해 25초와 같은 그러한 물리적인 양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아니고 심리학적인 양이고 각 제어항목을 위해 오퍼레이터의 감성의 몇몇 스텝(본 실시예에서는 5스텝)의 값에 의해 표시된다.
그러한 심리적 양은 이후 감성목표 또는 감성목표치라 불리운다.
반면에 감성목표에 상응하는 물리적 양은 제어목표 또는 제어목표치라 불리운다.
비록 감성목표가 대응 제어항목의 제어목표를 정상화함으로서 규정되더라도 양자사이의 관계의 상세한 설명은 후에 명백하게 된다.
감성목표는 엘리베이터작동과 여러가지 질적 개념이 된다고 볼 수 있으며 그것은 오퍼레이터의 감성, 취미, 흥미, 가치의 감각에 의해 유래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필요제어 항목의 목표치는 감성치로서 설정된다.
따라서 조종이 더욱 쉬워진다.
더욱 만일 감성목표의 설정이 예를들면 대기시간의 목표 또는 케이즈하중인자가 "일찍이 사용하는것 같이" 또는 "빈케이즈를 사용하는 것같은" 그러한 평이한 언어에 의해 입력될 수 있는 그러한 방법으로 변경되면 이 종류의 작동이 잘 익숙되지 않은 오퍼레이터가 더 좋은 결과를 얻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제 6 도에는 다중목표설정(IC)의 상세한 함수블럭도가 표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명백한 것과 같이 이 함수 블럭(1C)은 종속함수블럭, 즉 감성목표 설정(1Ca), 건물과 엘리베이터의 사양의 설정(1Cb), 실제 데이터(교통수요패턴)의 입력(1Cc), 개성화함수의 추론(1Cd), 개성화 함수를 위한 지식의 데이터-베이스(1Ce), 그리고 감성목표의 제어목표로의 변환(1Cf)을 포함한다.
다음은 각 종속함수블럭을 상세히 설명한다.
(1) 감성목표의 설정(1Ca)
처음에 이 블럭(1Ca)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그 선택을 위한 제어항목의 메뉴(MENU)를 표시장치(DD)상에 표시한다.
제어항목의 보기는 제 7 도에 기재되어 있다.
다음에서 제 7 도에 목록으로 표시된 제어항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대기시간(S1) : 일정한 층상에서 기다리는 사람에 의한 홀호출의 등록에서부터 그 층상에서의 케이즈의 도착까지의 시간
-긴 대기시간 비율(S2) : 긴 대기는 예를들면 1분을 초과하는 시간의 기다림을 뜻한다.
이 비율은 미리 결정된 시간간격, 예를들면 한시간 동안 발생된 홀호출의 총수에 긴대기홀호출의 수의 비율로서 표시된다.
-승차시간(S3) : 케이즈내 승객에 대한 케이즈호출의 등록에서부터 케이즈호출층상에서 케이즈의 도착까지의 시간.
-케이즈하중인자(S4) : 그것의 용량에의 한 케이즈안 승객수의 비율.
케이즈의 혼잡도는 이 인자에 의해 표시될 수가 있다.
-예약케이즈의 변화율(S5) : 한 케이즈에서 또다른 케이즈로 변화되는 예약(할당), 홀호출의 비율.
이것은 예를들면 한시간, 미리 결정된 시간간격 동안 발생된 호출의 총수에 그 호출수의 비율로서 표시된다.
-예약된 케이즈의 통지시간(S6) : 엘리베이터홀에서 기다리는 사람에 의한 홀호출의 등록에서부터 기다리는 사람이 홀에서 인디케이터(indicator)에 의해 예약된 케이즈를 알고 있을 때까지의 시간.
-수송용량(S7) : 미리 정한 시간동안 수송가능한 사람의 수, 군제어 엘리베이터시스템에서와 같이 복수케이즈가 작동되는 경우에 있어 이것은 일정한 층상 또 층상들에 써비스할 수 있는 케이즈의 수로서 표시된다.
-선도착케이즈의 비율(S8) :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에서 발생되는 홀호출의 총수에 예약된 케이즈보다 다른 케이즈에 의해 사용되는 홀호출의 비율.
-통과중인 케이즈의 수(S9) : 예약된 케이즈이외의 케이즈가 홀호출층계상을 통과하는 횟도수.
-일반정보의 량(S10) : 빌딩에서 일어나는 사건, 일기예보, 시간등 같은 그러한 정보량, 그리고 그것이 엘리베이터홀에서 기다리는 사람들을 위해 발송된다.
이 양을 위해서는 장치가 없고 그리고그것은 넓게 사용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있어서 이것은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의 방송횟수의 정보종류수의 곱으로 표시된다.
-소비전력절약의 비율(S11) : 소비전력은 케이즈의 출발과 정지 횟수에 크게 의존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케이즈의 출발과 정지의 횟수의 축소비율에 의해 표시된다. 비록 11제어항목이 제 7 도의 테이블에 목록으로 올려져 있으나 고려될 제어항목은 그러한 항목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들의 약간을 생략하고 그리고 약간의 다른 것을 가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더욱 상기 제어항목에 첨부된 참조기호(S1∼S11)는 각 제어항목의 감성목표를 표시하는 변수를 표시한다.
제어항목의 메뉴가 표시장치(DD)상에 표시될때 오퍼레이터는 빌딩의 엘리베이터시스템에 적합한 군제어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그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약간의 제어항목을 선택한다.
이 선택은 필요항목이 강조되거나 또는 표시될때 입력장치(ID)의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조종하고 그리고 커서(cursor)로 그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필요한 제어항목을 강조함으로서 실행된다.
제 7 도는 보기를 표시하고, 그곳에 6제어항목이 선택되고 즉 대기시간, 케이즈하중인자, 예약된 케이즈의 변화율, 예약된 케이즈의 통지시간, 그리고 선도착케이즈의 비율등이다.
도면에서 선택된 제어항목은 그들의 동그라미를 친 수에 의해 표시된다. 제어항목의 선택과 동시에 오퍼레이터는 입력장치(ID)에 의해 선택된 각 제어항목을 위한 감성 목표를 입력한다.
이리하여 입력된 감성목표는 제 8 도에 표시된 것같이 테이블에서 연속되는 처리를 위해 기억되고 프로세서(M1)의 RAM에서 정의가 내려진다. 테이블은 감성목표(S), 제어목표(X) 그리고 개성화 함수(f(x))를 위한 복수의 컬럼(column)으로 분할된다.
각 컬럼은 S1∼S11, X1∼X11, 그리고 f1(x1)∼f11(x11)에 의해 표시되는 것과 같이 각 제어항목을 위해 작은 영역을 가지고 있다.
후자 두개의 영역, 즉 제어목표(X)그리고 개성화 함수 (f(x))는 후에 언급된다. 프래그(flag)의 영역은 테이블에 있다. 바이너리 코드(binary code) "1"이 오퍼레이터에 의해 선택된 제어항목에 동일한 프래그영역에 설정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 코드 "1"은 선택된 제어항목을 위해 프래그영역에서 설정되고 선택된 제어항목을 위해 오퍼레이터에 의해 설정된 감성목표는 선택된 감성목표에 동일한 영역에서 기억되고 즉 영역(S1, S3, S4, S5, S6, S8)이다.
일단 감성목표의 설정이 완성되면 제 9 도에서 표시된 것과 같은 레이더챠트가 표시장치(DD)상에 표시된다.
도면에서 명백한 것과 같이 표시된 레이더챠트의 패턴은 빌딩의 사용방법에 따라 다르게 된다.
만약 빌딩이 단일 사업시설에 의해서만 사용되는 것과 같은 그러한 사적 사용빌딩이면 입력된 감성 목표의 레이더챠트는 만일 빌딩이 호텔로 사용되면 파선에 의해 표시된 것과 같이되는 반면에 고정선에 의해 표시된 것 같이 된다.
그러나 군제어방법은 제 9 도에서 보여지고 제어중량이 대기시간(S1), 승차시간(S3) 그리고 예약케이즈의 통지시간(Sb)과 같은 제어항목상에 있는 그러한 군제어방법은 사적 사용 빌딩에서 요구된다.
이에 반하여 호텔건물에서는 제어중량이 케이즈하중인자(S4), 예약케이즈변화율(S5), 그리고 호텔빌딩에서 선도착케이즈의 비율(S8)과 같은 제어항목에 놓이게 되고 그것은 전자의 빌딩에서는 중요한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2) 빌딩과 엘리베이터시스템의 사양의 설정(1Cb)이 종속 함수블럭(1Cb)은 빌딩의 사용방법, 설치된 엘리베이터 케이즈의 수, 그 정격운행속도, 사용되는 층상의 수 등과 같은 빌딩과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사양의 설정을 실행한다.
그 설정 작업은 입력장치(ID)를 오퍼레이터의 조정에 의해 실행되고 그러므로 상기 관련 데이터가 라인(b)을 통하여 공급된다.
상기 함수블럭(1Ca)에 마찬가지로 역시 이 함수 블럭(1Cb)의 결과가 예를들면 오퍼레이터가 상호 작용의 엘리베이터시스템과 빌딩의 사양을 쉽게 설정할 수 있는 것에 의한 레이더챠트의 형태로 표시장치(DD)상에 표시될 수가 있다.
사양의 설정작업은 만약 그것이 다음과 같은 질문과 대답에서 실행될 수가 있으면 신속히 실행된다.
예로서, 당신의 빌딩은 무슨 종류입니까? 번호를 선택하시오.
1. 사적 사용빌딩
2. 호텔빌딩
3. 혼합-거주빌딩
4. 백화점빌딩
(3) 개성화함수의 추론(1Cd)과 그 지식의 데이터 베이스(1Ce) 첫째로 개성화 함수의 추론지식의 데이터베이스의 설명을 한다.
제 10 도는 각 제어항목을 위한 개성화함수의 보기를 표시하고 그리고 그것은 데이터베이스로서 제공된다.
도면에서 각 함수의 번호(#)는 제 7 도에서 표시된 제어항목에 첨부된 번호와 동일하다.
제 10 도에서 이해되는 것과 같이 퍼지이론(fuzzy theory)에서의 구성원 함수와 유사한 각 개선화 함수는 후에 설명되는 것과 같이 감성목표(S1∼S11)를 제어목표(X1∼X11)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더욱 비록 단 하나의 함수가 제 10 도의 한 제어 항목을 위해 표시되어도 한제어항목을 위해 복수함수가 제공되고 그리고 제어를 위한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이것이 제 11a 도에서 제 11c 도를 인용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이러한 도면에서 케이즈하중인자와 승차시간, 그리고 대기시간의 제어항목을 위해 개성화 함수(f1(x1)), (f3(x3)), (f4(x4))의 보기가 표시된다.
예를들면 빌딩에서 발생한 사건, 일기예보, 시간의 정보와 같은 그러한 일반적인 정보가 엘리베이터 홀에서 대기하는 사람들에게 제공되었을 경우에는 비록 케이즈의 도착이 어떻게 하여 늦어도 그들의 초초감이 그렇게 강하게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제 11a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기다리는 사람들에 대한 정보가 있는 함수(f1a(x1))는 기다리는 사람들에게 그와 같은 종류의 어떠한 정보도 없는 함수(f1b(x1))와 비교하여 오른쪽, 즉 더욱 오래 기다리는 시간측으로 이송된다.
승차시간의 제어항목은 제 11b 도에서 표시된 것과 같이 짧은 범위작동(5층상)의 함수(f3b(x3))와 긴범위작동(이 경우에는 10층상)을 위한 함수(f3a(x3))의 것을 선택하는 파라미터로서 사용되는 층상범위(층상사이의 차이)가 사용된다.
긴 승차시간은 케이즈정지의 횟수가 평균하여 작다는 것을 뜻하고 이에 반하여 짧은 승차시간은 케이즈가 매우 자주 정지하는 것을 뜻한다.
만약 짧은 승차시간이 설정되면 케이즈는 짧은 범위작동을 위해 발생된 호출에 응답할 수가 있고 그리고 케이즈의 정지횟수는 케이즈안의 승객들이 초조해지는 결과로서 증가된다.
그러므로 짧은 범위 작동을 위한 함수(f3b(x3))는 긴범위 작동을 위한 함수(f3a(x3))보다 오히려 짧은 승차시간쪽이 전이된다. 같은 이유로서 케이즈-하중인자의 제어항목을 위한 두함수((f4a(x4))(f4b(x4))가 제공되고 그리고 제 11c 도에서 표시한 것과 같이 빌딩 사용방법에 따라 선택된다.
더욱 제 8 도 또는 제 10 도에서 표시된 보기에서 감성목표(S1∼S11)의 하나가 제어목표(X1∼X11)의 하나에 대응된다.
그러나 감성목표(S1∼S11)의 하나에 대응한 제어 목표(X1∼X11)의 둘 또는 그 이상을 만들 가능성도 역시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개성화함수는 개성화 함수를 위한 지식의 데이터베이스(1Ce)로서 제공된다. 함수블럭(1Cd)에서는 적합한 함수가 함수블럭(1Cc)에서의 실제 데이터뿐만 아니라 함수블럭(1Cb)에서의 엘리베이터와 빌딩의 사양이 데이터와 함수블럭(1Ca)에서의 감성목표의 기초에서 미리 결정된 추정룰에 따라 선택된다.
다음은 보기로서 제 11a 도∼제 11c 도에서 표시된 것과 같은 케이스를 가지고 상기 추정룰을 설명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룰들은 다음과 같이 생산룰의 식으로 제공된다.
-룰 C-1 : 만약 "일반 정보의 방송이 실행"되면 f1a(x1), 아니면 f1b(x1)이고,
-룰 C-2 : 만약 "사용된 범위의 층상의 수가 5층상에서 10층상"이면 f3a(x3)이고,
-룰 C-3 : 만약 "사용될 범위의 층상의 수는 5층상 이하"이면 f3b(x3)이고,
-룰 C-4 : 만약 "한 빌딩이 사적사용빌딩"이면 f4a(x4)이고,
-룰 C-5 : 만약 "한빌딩이 호텔빌딩"이면 f4b(x4)이다. 함수블럭(1Ca)에 관해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선택된 개성화 함수는 연속되는 처리에서 사용되는 제 8 도의 테이블의 같은 영역 f1(x1), f3(x3), f4(x4), f5(x5), f6(x6) 그리고 f8(x8)에 기억된다.
(4) 감성목표의 제어목표로의 변환(1Cf)
함수블럭(1Cd)에서 추정의 방법에 의해 결정된 개성화함수는 이 함수블럭(1Cf)에 전송되고 그리고 감성목표를 물리적 값을 가지는 제어목표로 변환하기 위해 거기서 사용된다.
제 12 도를 인용하여 함수블럭(1Cf)에서 실행된 변환작동은 설명된다.
도면에서 대기시간(S1), 승차시간(S3), 케이즈 하중인자(S4), 예약된 케이즈의 정보시간(S6)의 4제어항목의 감성목표의 변환작동이 보기로서 표시된다.
레이더챠트에서 표시된 것과 같은 심리적 감성의 5스텝의 형태에서 설정된 감성목표는 각 개성화 함수의 종좌표에 100%로 표시되고 심리적감성의 한 스텝은 20%에 상당한다. 제어목표는 각 개성화함수의 가로좌표에 각 물리적 단위로서 표시되었다.
그러므로 감성목표(S1)(S3)(S4)(S6)은 다음과 같이 각 개성화함수 f1(x1), f3(x3), f4(x4), f6(x6)를 사용함으로서 일치하는 제어목표(X1)(X3)(X4)(X6)로 변환된다.
Figure kpo00001
변환된 제어목표는 함수블럭(1D), 즉 다음 절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군제어방법과 파라미터의 결정에 전송된다.
실제로는 변환된 제어목표는 제 8 도 테이블의 일치하는 영역(X1), (X3), (X4)(X5), (X6), (X8)에서 일단 기억되고 그들은 함수블럭(1D)에서 처리하는 그곳에서 판독된다.
더욱 오퍼레이터에 의해 요구된 복수제어항목의 목표는 동시에 만족되기가 어렵다는 경우가 종종있다.
따라서 각 제어항목에 우선순위 또는 다른 중량을 두는 것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경우에서 중량 또는 우선순위는 소위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cf. T.L.SAATY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McGraw Hill(1980))의 방법을 사용하여 그리고 각 제어항목 중의 관련테이블에 관하여 결정될 수가 있다.
더욱 본 실시예에서는 감성목표는 필요제어항목도를 설정하기 위해 입력된다. 감성치에 의한 제어항목의 목표설정은 본 발명에 필요불가결한 것이다.
만약 오퍼레이터가 군제어엘리베이터시스템의 관리에 잘 익숙하면 필요제어항목의 목표는 이절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물리적 값을 가지는 제어목표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3.1.2. 제어방법과 파라미터의 결정(1D)
제 13 도를 인용하여 함수블럭(1D), 즉 제어방법과 파라미터의 결정의 설명을 한다. 도면에서 표시된 것과 같이 이 함수블럭(1D)은 군제어를 위한 데이터의 기억(1De)과 파라미터 그리고 제어방법의 추론을 위한 지식의 데이터베이스(1Dd), 제어방법과 파라미터의 추론(1Dc), 실제데이터의 입력(1Db), 그리고 제어목표의 입력(1Da)의 종속함수블럭을 포함한다.
이 함수블럭(1D)의 주요함수는 복수엘리베이터 케이즈를 군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추정이고 이것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설정된 제어항목의 목표를 만족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군제어방법의 추정은 블럭(1Dd)에 제공된 데이터 베이스에 따라 함수블럭(1Dc)에 의해 실행된다.
데이터베이스의 설명전에 오퍼레이터에 의해 요구된 제어 항목의 목표를 취득하기 위해 다음에 언급될 여러가지의 기본 알고리즘(algorithms)이 있다.
(1) 개별알고리즘의 상세한 설명
(A) 대기시간제어의 알고리즘
근래 홀호출이 발생될때 모든 홀호출의 관점에서 미리 결정된 평가함수에 따라 모든 군제어케이즈의 평가치가 계산되는 호출할당을 위한 알고리즘이 주로 사용되고 그리고 이것은 이미 케이즈에 할당되었다.
발생하는 홀호출은 계산된 평가치의 최소의 것을 가지는 케이즈에 할당된다.
예로서 일본특허공고 JP-B-57/40068(1982). 상기 평가함수는 대기시간의 평가인덱스를 포함한다.
비록 대기시간의 평가인덱스를 결정하는 방법의 여러가지 계획이 이미 알려졌지만 다음의 4계획이 본 실시예에서 비치된다.
a. 최소대기시간계획 : 대기시간은 모든 홀호출에 관해 추정 또는 예측되고 홀호출이 발생할때의 그 시간에 케이즈에 이미 할당되었다.
예측된 대기시간중의 가장 작은 것이 케이즈를 위한 대기시간의 평가인덱스로서 만들어진다.
b. 최대대기시간계획 : 상기 계획(a)과 유사하게 예측된 대기시간 가운데서 최대의 것이 그 케이즈를 위한 대기시간의 평가 인덱스로서 만들어진다.
c. 최소편차계획 : 상기 계획(a)과 유사하게 예측된 대기시간중에서 미리 결정된 값에서 최소편차를 가지는 대기시간은 케이즈를 위한 대기시간의 평가인덱스로서 만들어진다.
d. 심리적초조계획 : 대기시간은 발생된 홀호출과 이미 할당된 홀호출에 관해서 예측되고 케이즈의 운행방향에서 발생된 홀호출 뒤에 존재한다. 예측된 대기시간의 제곱합계가 케이즈를 위한 평가인덱스로서 만들어진다.
상기 계획은 데이터 베이스(1Dd)로서 제공되고 그들중 하나가 후에 언급되는 것과 같은 생산룰에 따라 선택된다. 더욱 상기 계획에서 언급된 예측된 대기시간(Tw)은 다음공식에 따라 계산된다.
tw=홀호출의 등록에서 현재시간까지의 경과시간)+(현재시간에서 홀호출 층상에서 케이즈의 도착까지의 시간) (1)
예측된 대기시간의 평가인덱스가 WT에 의해 표시된 것으로 추정할 때 케이즈(n)를 위한 평가치(
Figure kpo00002
)를 획득하기 위한 평가함수는 다음식에 의해 표시된다.
Figure kpo00003
=WTn
n=1,2,…, N (2)
그중 N은 군제어 엘리베이터 케이즈의 총수를 표시한다. 홀호출은 상기 식(2)에 따라 계산된 평가치(
Figure kpo00004
)중의 최소치를 가지는 케이즈에 할당된다. 이 알고리즘은 제 7 도의 테이블에서 표시된 것과 같은 약간의 제어항목의 개량에 크게 기여하며 특히 그것이 예측된 대기시간의 방법에 의해 개별 홀호출의 대기시간을 관리할 수 있으므로 긴 대기율과 평균 대기시간의 축소에 기여한다. 그러나 그것이 엘리베이터의 작동의 전체균형을 반드시 고려하지 않으므로 일련의 케이즈작동이 쉽게 된다. 그러므로 케이즈의 전체 작동조건을 평가하는 인덱스는 대기시간의 평가인덱스(WT)에 더하여 식(2)에 의해 표시되는 평가함수의 요소로서 고려된다.
"엘리베이터의 예측제어시스템-CIP/IC시스템의 개발" 타케오유미나카 외(Takeo Yuminaka et al.) "히다찌효론(Hyoron)" Vol. 54(1972), No. 12, pp67∼73의 논문에서 언급된 것과 같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이상적인 작동조건이 그와같은 것이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작동시간 간격은 등간격이 되도록 제어되고 그리고 제 14 도는 그의 보기를 표시한다. 제 14 도에서는 3개의 엘리베이터 케이즈(A. B. C.)의 경우에서 보기를 표시하고 그것은 군제어된다.
도면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3개의 케이즈의 가고오는 운행은 가장 낮은 층상과 가장 높은 층상사이의 인접된 운행통로를 형성할 때 주목된다. 그러한 운행통로에서 윗쪽으로 운행하는 케이즈는 왼손편의 파선에서 조정되고 아래쪽으로 운행하는 케이즈는 오른편의 파선에서 조정된다. 표시된 작동상태에서 케이즈(A)는 중간 층상주위의 윗쪽으로 운행하고 케이즈(B)는 가장 윗쪽층상부근 아랫쪽으로 운행하고 그리고 케이즈(C)는 가장 낮은 층상부근 가까이의 아랫쪽으로 운행한다.
케이즈(A)와 (B), 케이즈(B)와 (C), 그리고 케이즈(C)와 (A) 사이의 간격을 각각 tA, tB, tC라고 가정할 때
Figure kpo00005
의 관계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이상적인 작동상태에서 달성되고 거기의
Figure kpo00006
는 표준작동시간 간격을 표시하고 그리고 그것은 운행통로 주위를 순환하는 하나의 엘리베이터 케이즈를 위해 요구되는 운행시간(Tt)을 군제어 엘리베이터 케이즈의 총수(N)으로 나누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부수적으로 다음 것은 주목되어야 한다. 즉 운행시간(Tt)은 예를들면 호출의 발생상태에 따라 변화하고 그러므로 항상 일정하지 않다. 더욱 역시 군제어 엘리베이터 케이즈의 총수(N)는 고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교통수요에 따라 변화한다. 결과로서 표준 작동시간 간격(
Figure kpo00007
)은 변화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제 14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은 작동상태는 거의 아니다. 그러므로서 위에서 인용된 점에서 언급된 선행기술에서 점프신호가 생성되고 그것은 케이즈의 실제위치에 관한 미리 결정된 룰에 따라 엘리베이터 케이즈의 가상의 위치를 표시하고 써비스죤이 점프신호에 설정된다. 써비스죤에서 발생된 홀호출은 엘리베이터 케이즈에 우선적으로 할당되고 그것에 의해 등시간간격작동이 창조된다. 써비스죤은 등시간간격우선죤이라 불리고 그것은 참조기호(Zp)로 표시된다.
제 15a 도에서 제 15c 도까지를 인용하여 등시간간격우선죤(Zp)의 3개의 대표적인 보기를 설명하고 그들은 3개 케이즈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 도면에서 명백한 것과 같이 3개 엘리베이터 케이즈의 운행통로는 표준 작동시간 간격(
Figure kpo00008
)과 각 케이즈의 위치와 운행방향에 따라 5개죤(Z1∼Z5)으로 나누어진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엘리베이터 케이즈의 N호기에 의해 사용되는 운행통로는 (2N-1)개의 죤으로 나누어진다. 제 15a 도에서 표시된 것과 같이 케이즈(A,B,C)의 위치와 운행방향의 경우에 있어서 예를들면 죤(Z1)은 케이즈가 위치한 층상 사이에 정의되고 죤(Z2)은 케이즈(B)의 층상으로부터 케이즈(A)의 층상에서 표준 작동시간 간격(
Figure kpo00009
)만큼 떨어진 층상까지이며 죤(Z3)은 죤(Z2)의 끝부분으로 부터 죤(Z2)의 표준 작동시간 간격(
Figure kpo00010
)만큼 떨어진 죤(Z2)의 끝부분에서 떨어진 층상까지이고 죤(Z4)은 죤(Z3)의 끝부분에서 케이즈(C)의 층상까지이며 죤(Z4), 그리고 케이즈(C,A)의 충상 사이에 죤(Z5)이 있다. 엘리베이터 케이즈(A,B,C)의 등시간간격 우선순위죤이 각각 ZPA, ZPB, ZPC에 의해 표시된다고 추정할 때 그들은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가 있다.
Figure kpo00011
이 경우에 있어 죤(ZPA, ZPB, ZPC)에서 발생된 홀호출은 각각 케이즈(A,B,C)에 우선적으로 할당된다. 죤(Z2)에서 발생한 홀호출은 케이즈(B)에게 할당되지 않고 케이즈(A)에 할당된다. 그 이유는 죤(Z2)이 케이즈(A)를 위한 우선순위죤((ZPA)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다음은 제 15 도에서 표시된 것과 같이 3개 케이즈가 위치하고 그리고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은 각 방향으로 운행하는 경우에 있어 죤(Z1∼Z5)은 도면에 표시한 것과 같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3개 케이즈를 위한 우선순위죤(ZPA, ZPB, ZPC)은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kpo00012
더욱 제 15c 도에 표시된 것과 같이 케이즈가 위치되고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이 각 방향으로 운행하는 경우에 있어 죤(Z1∼Z5)은 도면에서 표시된 것과 같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우선순위죤(ZPA, ZPB, ZPC)은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kpo00013
제 15a 도에서 제 15c 도까지 그리고 상기 설명에서 이해하게 되는 것과 같이 등시간간격 우선순위죤(ZP)은 표준 작동시간 간격(
Figure kpo00014
)과 엘리베이터 케이즈의 위치에 따라 매분 변화한다. 케이즈의 전체 작동조건을 평가하는 인데스를 고려하는 호출할당의 평가인덱스의 설명에 돌아가자. 만약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등시간간격 우선순위죤의 평가인덱스가 케이즈의 전체 작동조건을 평가하는 인덱스로서 취해지면 식(2)은 다음과 같이 정정된다.
Figure kpo00015
n=1,2,…, N (6)
상기 식(6)에서 Zp는 등시간간격 우선순위죤에 관한 평가인덱스이고 홀호출이 일치하는 우선순위죤에서 발생될 때 1.0의 값을 추정하고 우선순위죤에서 홀호출이 발생하지 않으면 0의 값을 추정한다. 더욱 kp는 제어파라미터중의 하나이고 차원을 변환하는 함수를 가진다. 제어파라미터(kp)도 역시 평가인덱스(Zp)의 고려도를 표시하는 중량계수로서의 함수이다.
그러므로 예를들면 만약 파라미터가 크게 만들어지면 평가치(
Figure kpo00016
)상 우선순위죤의 평가인덱스(Zp)의 작용이 증가되고 결과적으로 거기의 대기시간의 평가인덱스(WT)의 작용이 비교적 작게된다. 이에 반하여 만약 파라미터(KP)가 작게 만들어지면 평가인덱스(Zp)의 작용이 축소하고 평가인덱스(WT)의 그것은 비교적 크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호출할당에서 제어항목의 고려도는 제어파라미터의 값의 선택에 의해 쉽게 조정될 수가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등시간간격 우선순위죤이 고려의 대상으로 취해지면 엘리베이터 케이즈의 작동상태는 비록 제 15c 도에서 표시된 것과 같이 일련의 케이즈가 발생하여도 비교적 이른 시간에 개량될 수가 있다. 그러므로 평균대기시간 또는 긴 대기시간의 비율이 더욱 개량된다.
다음은 제 16 도를 인용하여, 등시간-간격 우선순위죤의 형성이 설명된다. 도표에서, 등시간-간격 우선순위죤의 형성을 위한 처리의 플로우챠트를 표시한다. 이 처리에서 있어, 제 17a 도에서 표시된 것과 같이, 테이블이 사용되고, 그리고 프로세서(M1)의 RAM에 제공된다. 테이블에서는,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간격 변수를 위한 복수영역이 마련된다. 그러나, 영역중에 군제어케이즈(N)의 수를 위한 영역과 표준 작동 시간 간격(
Figure kpo00017
)만이 제 16 도의 플로우챠트의 설명에서 인용된다. 잔여영역은 후에 제 19 도의 플로우챠트의 설명에 관하여 인용된다.
우선, 군제어에 따르는 케이즈의 수(N)는 스텝(100)에서 계산된다. 빌딩에서 설치된 약간의 복수 엘리베이터 케이즈가 일정한 특수목적을 위해 전용으로 별도의 기준으로 작동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엘리베이터 케이즈는 군제어에서 제외되어지기 때문에, 군제어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즈의 수는 이 스텝에서 계산에 의해 얻어진다. 계산된 것(N)은 계속적인 처리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 17a 도에 표시한 테이블의 적절한 영역에 기억된다.
그리고나서, 스텝(200)에서, 그 시간에서 교통수요에 따라 표준 작동 시간-간격(
Figure kpo00018
)은 스텝(100)에서 얻은 군제어 엘리베이터 케이즈의 수(N)에 의해 현재 운행시간(Tt)을 나누므로서 계산된다. 역시 이리하여 획득한
Figure kpo00019
는 계속적인 처리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제 17a 도의 테이블의 적절한 영역에서 기억된다. 제 15a 도에서 제 15c 도까지와 상기 설명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이, 모든 케이즈의 운행방향은 각 케이즈를 위한 등시간간격 우선순위죤을 설정하기 위하여 알려져야 한다.
만약 엘리베이터 케이즈가 있고, 그리고 그것이 호출에 사용하고 그리고 지금 대기중(그것이 제 15 도의 플로우챠트에서 방향 미결정 케이즈로서 표시된다)이면, 그 케이즈의 출발방향은 잠정적으로 결정될 필요가 있고, 그리고 그 방향은 더미(dummy) 운행방향이라 불린다. 방향 미결정 케이즈의 더미방향의 결정은, 만일 그러한 방향 미결정 케이즈가 발생하면, 스텝(300)에서 실행된다. 방향 미결정 케이즈의 더미방향을 결정하는 알고리즘은 제 18a 도에서 제 18c 도까지를 인용하여 설명된다. 이 도면에서, 케이즈(C)는 방향 미결정 케이즈인 것을 추정한다. 다음 3개의 계획은 본 실시예에서 가장한 방향의 결정을 위해 제공된다.
a. 방향균형 계획 : 이 계획의 원칙은 제 18a 도에 표시된다. 도면에 표시한 것과 같이, 이 계획에서는, 윗쪽으로 운행하는 케이즈의 대수(NUP)와 아래쪽으로 운행하는 케이즈의 그것(NDN)은 우선 계산된다. 방향 미결정 케이즈의 더미방향은 더 작은 수의 운행방향에서 결정된다. 표시된 보기에는, NUP가 2대(케이즈 A와 B)이고 NDN이 제로이면, 케이즈(C)의 더미방향은 아래쪽 방향으로 결정되고, NDN에 의해 1이 만들어지고 그리고 윗쪽으로 운행하는 케이즈의 수와 아랫쪽으로 운행하는 케이즈는 균형에 접근한다.
b. 시간간격균형 계획 : 이 계획의 원칙은 제 18b 도에 표시된다. 이 계획에서는, 케이즈(C)의 더미(dummy)방향은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윗쪽과 아랫쪽 방향 둘다로 실험적으로 결정된다. 그후, 접근하는 케이즈 사이의 시간-간격(또는 거리 간격)은 계산되고 그리고 케이즈(C)의 더미방향은 마침내 상기 계산결과가 더 좋은 균형이 되는 것에 의한 방향으로 결정된다. 18b 도에 있어, 케이즈(C)의 더미방향이 아랫쪽 방향으로 결정될 때, 케이즈 C와 A 사이 그리고 케이즈 B와 C 사이의 시간-간격은 각각 TD1과 TD2이고, 그리고 케이즈 C의 더미방향이 윗쪽방향으로 결정될 때, 케이즈 A와 C 사이 그리고 케이즈 C와 B 사이의 시간간격은 각각 TU1과 TU2이다. 더미방향의 결정은 다음 계산의 결과에 따라 실행된다.
Figure kpo00020
여기의 기호 "min{ }"은 괄호내 계산결과의 가장 작은 것이 위식의 계산결과로서 취한다. 이것은 후에 나타나는 모든식에 적용된다. 이와 반하여, 비록 기호 "max{ }"이 후에 한 식으로 나타나도 괄호내 구성요소 중 가장 큰 것을 뜻한다. 이 계획에 따라, 비록 알고리즘이 어떻게 하여 복합하게 되어도, 더미방향은 가장 윗쪽 또는 가장 낮은쪽 층상 가까이 위치하는 케이즈라도, 좋은 균형으로 결정될 수가 있다.
c. 양방향지정 계획 : 이것에 따라 위쪽과 아래쪽방향 둘다는 제 18c 도에서 표시된 것과 같이 케이즈(C)에 지정된다. 이 계획이 실행될 때, 우선순위죤이 케이즈 A와 B만에 의해 형성되어야 하고, 그의 운행방향은 이미 결정된다. 제 16 도의 플로우챠트에 되돌아가, 첫출발 엘리베이터 케이즈는 스텝(400)에서 결정된다.
제 15a 도에서 제 15c 도의 사실로서 이해하는 것과 같이, 등시간-간격 우선순위죤은 참조로서 만들어진 케이즈(A)의 위치로서 항상 고려되고 그것은 케이즈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고, 그리고 그것은 우선순위죤을 계산하는 목적을 위해 참고로서 만들어진다. 그러한 참조케이즈는 첫째 출발케이즈이다. 첫째 출발케이즈의 결정을 위한 알고리즘의 다음 3가지 계획을 제공한다.
a. 일정한 케이즈출발 계획 : 이 계획에서는, 일정한 케이즈는 항상 첫째로 출발된다. 이 계획은 가장 단순한 알고리즘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것에 따라, 등시간-간격 우선순위죤의 효과는 그때에 그들의 운행방향을 포함하여 케이즈의 위치에 매우 의존한다. 더욱, 제 15a 도에서 제 15c 도까지에서 표시된 보기는 이 계획, 즉 케이즈(A)는 항상 첫째 출발된다는 것을 사용한다.
b. 가장 높은/가장 낮은 케이즈출발 계획 : 이것에 의하면, 이때에 가장 높고 또는 가장 낮은 층상에 있는 케이즈는 첫째 출발된다. 이것은 역시 가장 단순한 알고리즘의 하나이고, 그래서 상기 계획 a에 유사한, 등시간-간격 우선순위죤의 효과는 그 시간에 케이즈의 위치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
c. 가장 가까와지는 케이즈출발 계획 : 이 계획에 있어, 첫째로 접급한 케이즈 사이의 시간-간격이 계산되고, 그리고 그 중에서 가장 작은 시간-간격을 가지는 케이즈는 첫째 출발한다. 즉, 접근한 케이즈 A와 B, B와 C, 그리고 C와 A 사이의 시간-간격이 각각 TAB, TBC그리고 TCA이라고 추정하면, 다음 관계를 만족하는 케이즈는 첫째 출발된다.
min{TAB, TBC, TCA} (8)
이 계획은 얼마쯤 복잡한 알고리즘이고, 그러나 이것에 따라, 등시간-간격 우선순위죤의 효과가 최대로 만들어질 수가 있다.
첫째-출발케이즈가 위에서 언급된 것과 같이 알고리즘중 어느 하나에 따라 결정될 때, 첫째-출발케이즈가 위치하는 층상의 수는 계속적인 처리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 17a 도의 테이블의 적절한 영역에서 변수(flS)로서 기억된다.
다음은, 제16도의 플로우챠트의 스텝(500)에서, 각 케이즈를 위한 등시간-간격 우선순위죤이 계산된다. 이 스텝의 상세는 제 19 도의 플로우챠트 그리고 제 17a 도와 제 17b 도의 테이블에 관해 설명된다. 이 프로챠트의 처리의 개시후 스텝(501)에서 제 17a 도테이블의 적절한 영역에 판독되는 표준 작동 시간-간격(t)은 같은 테이블의 작업 테이블(
Figure kpo00021
)에 설정된다. 스텝(502)에서는, 제 17a 도 테이블의 적절한 영역에서 판독되는 층상의 번호(flS)는 이 처리의 흐름에서 루프(loop)변수로서 함수인 층상수(i)을 위한 영역에 설정된다. 스텝(503)에서는, 층상번호(i)가 그것에 의해 가산되고, 그것에 의해 새로운 층상번호(i)가 테이블의 영역(i)에 설정된다.
새로운 층상번호(i)의 설정후, 처리작동은 스텝(504)으로 가고, 거기서 그것은 새로이 설정된 층상수(i)가 flS에 또다시 같게 되었는가 아닌가를 구별한다. 이 구별은 다음에서 귀착한다.
이미 설명된 것과 같이, 엘리베이터 케이즈의 운행통로는 닫힌 루프로서 고려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만일 그 층상수(i)가 하나씩 증가되면, 그것은 끝층상의 번호에 도착하고 그후 만약 층상수(i)이 더욱 증가되면 그것은 다른 끝층계의 번호에 도착한다. 만약 층상수(i)가 더욱 증가하면, 그것은 또다시 층상수에 도달하고, 거기에서 이 처리는 시작한다. 비록 스텝(503)이 플로우챠트를 단순화하는 목적을 위해서 (i+1)만에 의해 표시되더라도, 스텝(503, 504)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그것이 그 층상수(i)가 또다시 flS로 되는 스텝(504)에서 구별되면, 이 플로우챠트의 처리 작동은 종료된다. 그렇치않고 처리작동이 스텝(505)에 가고, 그리고 층상(flS)과 i의 사이를 운행하는 케이즈에 요구되는 작동시간(T(flS,i))은 제 17a 도 테이블의 적절한 영역에서 계산되고 기억된다. 다음은 스텝(506)에서, 표준작동 시간-간격(
Figure kpo00022
)과 작동시간(T(flS,i) 사이의 차이점(Δt)은 테이블의 적절한 영역에서 계산되고 기억된다. 더욱, 스텝(507)에서는, 선행하는 케이즈가 있는지 또는 없는지가 검색되고, 그리고 그것은 층상(i)에 정지한다. 만약 그러한 케이즈가 있으면, 층상(i)은 기억되고 그리고 바이너리 코드 "1"은 테이블의 프래그영역 FLG에 설정된다. 스텝(508)에서는, 차이점(Δt)이 부(negative)이고 프래그(FLG)가 설정되었는가 또는 아닌가가 구별된다. 부인 차이(Δt)는 작동시간(T(flS,i)), 즉 현재 시간에 케이즈의 출발에서 경과된 시간이 이미 표준작동 시간-간격(
Figure kpo00023
)를 초과한 것을 의미하고, 그리고 프래그(FLG)는 선행하는 케이즈가 층상(i)에서 정지하는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만약 조건 둘다가 스텝(508)의 구별에서 만족한다면, 케이즈를 위한 동시간-간격 우선순위 죤(ZP)은 케이즈가 층상(i)으로 출발하는 층상에서의 그 범위내에 설정된다. 이것이 스텝(509)에서 실행된다.
설치된 우선순위 죤(ZP)은 제 17b 도 테이블의 적절한 영역에 기억된다. 이에 반하여, 만일 그 조건이 스텝(508)에서 만족되지 않으면, 처리작동은 스텝(503)에 되돌아오고, 거기에서 층상수(i)은 더욱 그것에 의해 가산된다. 이것은 우선순위 죤이 더욱 한 층상에 의해 늘어나는 것을 뜻한다. 이후,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처리가 그 구별조건이 스텝(508)에서 만족될때까지 반복된다. 우선순위 죤(ZP)이 스텝(509)에 설치된 후, 작업테이블(
Figure kpo00024
)에 기억된 표준작동 시간-간격(
Figure kpo00025
)은 스텝(510)에서 그것에 차이(Δt)를 가산함으로서 정정되고, 그리고 그 정정된 시간-간격은 작업테이블(
Figure kpo00026
)에 또다시 기억된다. 이후, 스텝(511)에서, 층상을 얻게되고 거기에 다음 출발한 케이즈가 위치한다. 그다음 출발 케이즈의 층상이 획득된 후에 그 처리되는 스텝(503)에 돌아오고 그리고 앞에 언급한 같은 처리작동이 반복되고, 그것에 의해 다음 출발케이즈를 위한 등시간-간격 우선순위 죤이 계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각 케이즈의 우선순위 죤이 설치된다. 만일 그 처리작동은 먼저 케이즈의 우선순위 죤이 스텝(509)에서 설치된 후에 스텝(504)에 간다면, 이 구별스텝의 답은 YES, 즉 층상의 수(i)가 또다시 flS에 같게 되게 변화하고, 그리고 등시간-간격 우선순위 죤(제 16 도의 플로우챠트에서 스텝500)의 계산의 전 처리작동이 종료한다. 더욱, 앞에 말한것에서, 각 케이즈를 위한 등시간-간격 우선순위 죤의 계산은 언급되었다. 그러나, 등거리간격 우선순위 죤은 제 19 도의 플로우챠트를 얼마간 수정함으로서 획득할 수가 있다. 즉, 그러한 수정은 각각 스텝(501, 505)에서 시간 차이(T(flS,i))와 표준작동 시간-간격(
Figure kpo00027
)을 위한 거리차와 표준작동 거리-간격을 대신함으로서 쉽게 실현될 수가 있다. 역시 잔여 스텝에서 적당한 교체가 상기 대체에 따라 가해져야 한다. 그러나, 그것은 기술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매우 쉽다.
상기 언급한 우선순위 죤의 설치로서, 우선순위 죤에서 발생된 홀 호출은 우선순위 죤을 가지고 있는 케이즈에 우선적으로 할당된다. 더욱, 상기 언급된 실시예에 있어, 비록 일정한 우선순위 죤에서 발생된 홀 호출은 같은 우선순위 죤을 가지는 케이즈에 할당되고, 다음 대안이 만들어질 수 있다. 즉, 비록 그들이 같은 우선권의 우선순위 죤을 가지는 케이즈에 할당되고, 다음 대안이 만들어질 수 있다. 즉, 비록 그들이 같은 우선순위 죤에서 발생하더라도 홀 호출이 다른 우선권을 만드는 것은 가능하고 ; 예를들면, 케이즈 가까이의 층상에서 발생되는 홀 호출은 케이즈에서 멀리 떨어진 층상에서 발생한 그러한 것과 비교하여 더 높거나 또는 더 낮은 우선권을 가지게 만들어진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기시간의 평가인덱스(WT)가 중량계수로서의 함수인 제어파라미터(KP)의 평가인덱스(ZP)에 의해 결합되어서, 일련의 케이즈의 작동은 평균대기 시간과 긴 대기시간의 비율이 많이 개량된 결과로, 적당한 값에서 제어 파라미터(KP)를 선택함으로서 제거될수가 있다. 더욱,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 파라미터(KP)가 크게 될때는, 호출배당의 우선순위 죤의 평가인덱스(ZP)의 영향은 대기시간의 평가인덱스(WT)의 그것과 비교하여, 비교적 크게된다. 결과적으로, 우선순위 죤의 효과는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그것에 의해 홀 호출 층상을 통과하는 케이즈의 수가 축소된다. 발명자의 시뮬레이션에 따라, 제어 파라미터(KP)에 관한 통과케이즈의 비율과 대기시간의 관계는 제 20 도에서 표시된 것과 같았고, 그리고 그것은 통과케이즈의 비율은 제어 파라미터(KP)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긴 대시간의 비율을 제어하는 알고리즘, 긴 대기시간의 비율은 대기시간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에 크게 의존한다.
만약 평균 대기시간이 더 짧아지면, 거기에 의존하는 긴 대기시간의 비율은 역시 더욱 작아지기가 쉽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 알려진 알고리즘은, 예를들면, 공개 일본특허출원 JP-A-52-11554(1977)에 의해 사용된다. 즉, 이 알고리즘은 다음 산출룰의 식으로 표시된다.
만약 "(이미 할당된 홀 호출의 대기시간)≥TH1", 이면 그러면 "홀 호출의 할당을 선착 케이즈에 변경한다" (9)
위식에서, TH1은 긴 대기시간에서의 대기시간을 위한 한계치이고, 그리고 그것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긴 대기시간의 비율을 위한 제어목표(X2)가 오퍼레이터에 의해 감성목표(S2)의 기준에서 개성함수(f2(X2))에 따라 결정된다. 더욱, 제어목표(X2)에 관한 한계치(TH1)의 일정한 특성 커브는 같은 사용방법의 빌딩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써비스 작동의 과거 경험기준에 앞서 제공된다. 그러나 그 특성 커브는 학습함수의 방법에 의한 같은 빌딩의 사용방법에 적합하도록 점차적으로 개량되고, 그리고 그것은 후에 설명된다. 그러므로서 한계치(TH1)는 긴 대기시간의 비율을 위한 감성목표(S2)의 오퍼레이터의 설정에 의해 결정될수가 있다. 이 알고리즘에 따라, 식(9)의 1F-Clause의 조건이 만족될때, 이미 할당된 홀 호출의 그 할당은 선착 케이즈로 변경된다. 이 경우에 있어, 홀 호출의 재할당은 또다시 식(6)의 알고리즘에 따라 실행된다. 별도로, 한계치(TH1)와 예약 케이즈를 변경하는 비율 사이의 다음 관계가 있는 것에 유의하고, 그리고 그것은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즉, 전자는 더 작게 만들어지고, 후자는 필연적으로 크게 된다.
(C) 승차시간제어의 알고리즘.
승차시간(tC)는 다음식에 의해 표시된다.
tC=(케이즈 호출의 등록에서 현재시간 까지의 경과시간)+(현재시간에서 케이즈 호출 층상까지의 시간) (10)
복수 케이즈 호출은 동시에 존재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승차시간을 위한 평가인덱스(TC)는 다음식에 의해 접근된다.
TC=max{Tcm}
m=1, 2, …, M (11)
상기 식에서는, M은 케이즈 호출의 총수를 표시하고, 그리고 그것은 그 시간에 존재한다. 그러므로 tC1, tC2, …, tCM은 그때에 존재하는 케이즈 호출 c1, c2, …, cM에 관한 계산된 승차시간을 표시한다. 더욱 상기 식(11)에 의해 얻은 값대신, 평가인덱스(TC)로서 그 제곱의 총계 또는 tC1, tC2, …, tCM의 평균치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만약 평가인덱스(TC)는 케이즈의 전체 작동조건을 평가하는 인덱스 중의 하나로서 취해지면 식(6)은 다음과 같이 더욱 수정된다.
Figure kpo00028
=(WT-KPZP+KCTC)n
n=1, 2, …, N (12)
여기의 KC는 제어 파라미터이고, 그리고 승차시간의 평가인덱스를 위한 중량계수로서의 함수이다. 이미 언급한 식의 경우와 유사하게, 홀 호출은 상기 식(12)에 따라 계산된 평가치(
Figure kpo00029
)의 최소치를 가지는 케이즈에 할당된다. 식(12)에서 표시된 것과 같이, 이 제어항목에 관련하는 구성요소 프러스사인의 평가함수에서 통합된다. 따라서, 만일 평가인덱스(TC)가 크면, 식(12)에 의해 계산된 평가치도 역시 커지고, 그러므로 홀 호출은 그러한 큰 평가인덱스(TC)를 가지는 케이즈에 할당되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러나, 큰 평가인덱스(TC)를 가지는 케이즈가 그 안에 승객이 있고 그리고 그들이 오랜 범위의 운행을 원함으로, 짧은 범위의 운행의 영역내에서 발생되는 홀 호출에 응답이 아니고 그러한 곤란한 케이즈에 호출할당을 하는 것은 오히려 편리하다.
(D) 케이즈 하중인자 제어의 알고리즘
케이즈 하중인자 제어의 목적을 위하여, 케이즈안 승객의 현재수와 엘리베이터 홀에서 기다리는 사람의 수를 사용하여 모든 층상에서 케이즈의 승객의 수를 추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들면, 이미 알려진 영상처리 기술에 의해 텔리비젼 카메라가 엘리베이터 홀안에서 기다리는 사람의 영상을 잡는것에 따라, 그 잡힌 영상이 처리되므로 기다리는 사람의 수는 학습할수가 있다. 기다리는 사람의 수는 처리된 영상의 기준에서 대충 추상될수가 있다. 승객의 현재수는 하중 센서에 의해 검출될수가 있고, 그리고 그것은 엘리베이터에 일반적으로 설치된다. 승객수의 추정을 위해, 예를들면, 공개 일본특허 출원 JP-A-52/47249(1977)에서 설명된 방법은 본 실시예에서도 역시 채택될수가 있다. 상기 예측방법은 제 21 도를 인용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케이즈(A)는 5명의 승객을 태우고 윗쪽으로 운행하고 그리고 케이즈(B)는 10명의 승객을 태우고 아래쪽으로 운행한다. 검정환(black circle)은 케이즈(A)에서 발생되는 케이즈 호출을 뜻하고, 그러므로 검정환에 의해 표시되는 층상에서 내리기를 원하는 케이즈(A)내에 승객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검정 삼각형은 홀 호출을 뜻하고, 그리고 그것은 이미 각각 케이즈(A) 또는 (B)에게 할당되었다. 케이즈(A)에 할당된 홀 호출은 케이즈(A)의 인접한 운행루프에 작동된다. 같은 것이 케이즈(B)에 할당된 홀 호출에도 적용된다. 역시 검은 삼각형은 운행방향을 표시한다.
백색 삼각형은 홀 호출을 뜻하고, 그리고 그것은 바로 발생되고 아직 어떤 케이즈에도 할당되지 않는다. 각 호출을 수반하는 숫자는 대응하는 케이즈에 타고 내리는 사람들의 수를 표시한다. 프러스사인의 숫자는 케이즈를 타는 사람의 수를 표시하고 마이너스사인의 숫자는 케이즈를 내리는 사람의 수를 표시한다. 더욱, 괄호안 숫자는 각 층상에서 케이즈안의 현승객수를 표시한다. 그러므로, 모든 층상에서 케이즈의 승객수는 위에서 언급한것 같이 수치의 기준에서 계산함으로서 학습할수가 있다. 모든 층상에서 모든 승객수의 예측 또는 계산은 제 21 도의 평가 범위로서 표시된 것처럼, 홀 호출 층상에서 끝층상까지 층상 범위에 관하여 실행된다. 모든 층상에서 승객의 그러한 추정수의 기준에서 케이즈-하중인자의 평가인덱스는 다음 계획에 의해 얻게된다.
a. 최소케이즈-하중인자 계획 : 케이즈의 승객수는 평가범위의 모든 층상에서 추정된다. 승객의 추정수중의 최소의 것이 선택되고, 그리고 그 선택된 승객수는 평가인덱스를 얻는데 사용된다.
b. 최고케이즈-하중인자 계획 : 케이즈의 승객수는 평가범위의 모든 층상에서 추정된다. 추정된 승객수 중의 최대것이 선택되고, 그리고 그 선택된 승객수는 평가인덱스를 얻는데 사용된다.
c. 최소편차 계획 : 추정 승객수와 미리 결정된 값 사이의 차이는 평가범위내 모든 층상에서 얻게 된다. 이리하여 얻은 차이중의 최소의 것이 선택되고 그리고 그 선택된 승객수는 평가인덱스를 얻는데 사용된다.
d. 심리적 초조감 계획 : 평가범위내 층상을 위해 추정된 승객수의 제곱합계를 얻게되고, 그리고 그것은 평가인덱스를 얻는데 사용된다. 케이즈-하중인자의 평가인덱스는 케이즈의 용량에 어떤 상기 계획에 따라 얻은 값의 비율로서 결정된다. 이 인덱스가 LL로서 표시되면, 식(12)는 더욱 다음과 같이 수정된다 :
Figure kpo00030
=(WT-KPZP+KCTC+KLLL)n
n=1, 2, …, N (13)
거기의 KL은 제어 파라미터이고, 그리고 그것은 케이즈-하중인자의 평가인덱스의 중량계수로서의 함수이다. 앞의 것과 유사하게 홀 호출은 상기 식(13)에 따라 계산된 평가치(
Figure kpo00031
)중의 최소것을 가지는 케이즈에 할당된다. 위에서 언급한 방법으로 케이즈-하중인자의 평가치인덱스(LL)가 본 실시예의 평가함수에서 통합되므로, 케이즈의 하중 평균으로 요망치에서 유지되도록 제어될수 있다. 따라서, 케이즈가 종종 가득차는 조건을 피할수가 있고, 그러므로 만원케이즈에 기인한 홀 호출 층상을 통하여 통과해야 하는 케이즈의 수를 크게 줄일수 있다.
E. 예약 케이즈의 변경율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일정한 케이즈에 이미 할당된 홀 호출이 그 일정한 케이즈에서 긴 대기시간 또는 만원 케이즈의 발생때문에 또다른 케이즈에 할당이 변경될때, 예약 케이즈(예약변경)가 발생한다. 긴 대기시간 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에 유사하게 이 알고리즘이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만약 "(케이즈의 용량에 대한 예약 케이즈의 승객수의 비율이)≥TH2"이면, 그러면 "그 케이즈의 홀 호출은 할당을 또다른 케이즈에 변경하고, 그리고 그것은 승객의 더 작은 예측수를 가진다." (14)
상기 식에서, TH2는 한계치이고, 그리고 그것은 케이즈-하중인자에 따라 변하고, 그리고 그것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공된 감성목표(S5)의 기준에서 제10도에 표시된 개성화함수(f5(x5))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설명에서 명백한것과 같이, 예약 케이즈 변경비율은 한계치(TH2)만을 조정함으로서 쉽게 제어될수가 있다. 더욱, 호출의 재할당은 공식(6), (12) 또는 (13)을 사용함으로서 실행될수가 있다.
(F) 예약 케이즈의 정보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 이 알로리즘에 따라, 홀 호출의 등록에서 홀 호출을 위한 예약 케이즈의 방송까지의 시간은 가변한계치(TH3)에 의해 제어될수가 있다. 더욱 이 시간동안까지도 홀 호출의 할당은 적당한 간격, 예를 들면, 1에서 5초에서 관찰된다. 홀 호출의 할당의 재조사는 식(6), (12) 또는 (13)에 의해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평가함수에 따라 실행된다. 홀 호출이 시점(t0)에서 일정한 층상에 발생되면 이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만약 "(tg-t0)≤TH3"이면, 그러면 "시점 tg에서 평가된 적합한 케이즈에 홀 호출을 할당" 이외 "시점 tg-1에서 평가에 기준한 예약 케이즈의 층상에서 기다리는 사람에 통보" 상기 식에서 tg는 간격을 재검토하는 한 할당에 의한 tg를 선행하는 시점 tg-1과 현 시점을 표시하고 따라서 홀 호출의 발생시에는 tg=t0가 된다.
한계치(TH3)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공된 감성목표(S6)의 기준에서 제 10 도에 표시된 개성화 함수(f6(xb))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설명으로 명백한 것과 같이 예약케이즈의 정보시간 한계치(TH3)를 조정함으로서 쉽게 변경될 수가 있다. 물론 식(15)의 알고리즘에서 홀호출의 할당은 식(6), (12) 또는 (13)에 의해 표시된 평가함수를 사용함으로서 성취된다.
(G) 수송용량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 비록 수송용량을 제어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고려되어도 이용할 수 있는 케이즈의 수를 제어하는 방법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된다. 예를들면 만약 일정한 층상의 엘리베이터홀이 매우 붐비면 즉 그 일정한 층상에 큰 교통수요가 있다면 그 일정한 층상을 사용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케이즈수는 증가된다. 그래서 이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만약 "(붐비는 층상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케이즈의 수는)≤TH4"이면, "층상을 사용이 가능한 케이즈의 수는 증가한다." (16)
상기 식에서 TH4는 한계치고 그것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공된 감성목표(S7)의 기준에서 제 10 도에서 표시된 개성화함수(f7(x7))에 의해 제공된다. 그래서 만약 상기 식의 판정조건이 만족될 때 복잡하게 붐비는 층상에서 발생한 홀호출은 역시 다른 케이즈에 할당되고 한 케이즈에 추가적으로 거기에 층상에서 발생된 홀호출이 통상 조건하에 할당되어진다.
이 방법에서 수송용량은 한계치(TH4)를 변경함으로서 쉽게 조정될 수가 있다. 더욱 다른 케이즈에 홀호출의 부가적인 할당은 상기 식(6), (12) 또는 (13)에 의해 표시된 평가함수에 따라 실행될 수가 있다.
(H) 선착케이즈의 비율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이미 언급한 바와같이 선착케이즈의 비율은 케이즈의 비율을 뜻하고 그것은 예약케이즈 보다 일찍 홀호출층상에 도착할 수 있다. 제 22 도에서는 예를들면 다섯째(5) 층상에서 발생된 홀호출이 케이즈(B)에 이미 할당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케이즈(B)보다 더 일찍이 다섯째 층상에 케이즈(A)가 도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다섯째 층상에서 발생한 홀호출에 관하여 케이즈(A)는 선착 케이즈이고 그리고 케이즈(B)는 예약 케이즈이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케이즈(A)의 선착은 거기에서 발생된 케이즈호출이기 때문에 발생한다. 선착케이즈 발생의 가능성은 다섯째 층상에 운행하기 위해 각 케이즈(A,B)의 필요한 계산횟수(TA, TB)에 의해 학습할 수 있고 감시시간이 더 길다. 횟수(TA, TB)의 계산과 비교는 적당한 간격에서 실행된다. 만일 TA가 TB보다 작으면 이것은 선착케이즈 발생의 가능성을 암시한다. 이리하여 선착케이즈 우선순위 죤의 개념이 소개된다.
즉 선착케이즈 우선순위 죤은 다음 산출룰에 따라 설치된다. 만약 "케이즈의 케이즈 호출층상이 또다른 케이즈의 홀호출 층상에 동의하고 그 케이즈가 선착케이즈라고 예측하면", "케이즈의 현재위치와 케이즈 홀호출층상사이의 케이즈를 위한 선착케이즈 우선순위 죤을 설치한다." 이리하여 설치된 우선순위죤은 평가함수에서 고려하게 된다. 만일 선착우선순위죤의 평가인덱스가 ZZ에 의해 표시되고 우선순위죤 그리고 다른 것, 0의 값의 홀호출을 위해 1, 0의 값을 추정하고 평가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가 있다.
Figure kpo00032
=(WT-kPZP+kCTC+kLLL-kZZZ)n
n=1, 2, …, N (18)
여기의 kz는 제어파라미터이고 그것은 선착우선순위죤의 평가인덱스의 중량계수로서의 함수이다.
식(6), (12) 그리고 (13)의 경우와 유사하게 홀호출은 상기 식(18)에 따라 계산된 평가치(
Figure kpo00033
)의 최소의 것을 가지는 케이즈에 할당된다. 이 알고리즘으로 예측된 선착케이즈의 도착시간을 늦게할 수 있고 선착케이즈의 발생을 막게 된다. 그러므로 선착케이즈의 비율이 축소될 수가 있다.
식(18)에서 구성요소(kzZz)는 마이너스사인의 평가함수에서 통합되고 그것을 홀호출이 선착케이즈에 할당되게 촉진하기 위해 전체로서 괄호안의 값은 감소한다. 그와 반대로 다음은 역시 가능하다. 즉 케이즈 호출을 발생하는 케이즈보다 다른 케이즈를 위한 특별존은 각 다른 케이즈의 현재 위치와 케이즈호출층상사이에 설치되고 식(18)은 프러스사인의 구성요소(kzZz)을 통합하도록 수정된다.
이 경우에서 특수죤에서 발생하는 홀호출은 다른 케이즈에 할당되기 어렵게하고 그리고 결과적으로 선착케이즈에 할당되기 쉽게 한다. 이런뜻으로 특수죤은 패널티(penalty)죤이라 불리울 수 있다.
(I) 통과케이즈의 수를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 이것은 예약케이즈에 의해 통과하지 않는 다른 케이즈의 작동을 제어하고 홀호출은 예약케이즈가 홀호출을 사용하기전 할당된다. 이 제어는 대기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설명에서 이미 인용된 제어파라미터(kp)를 제어함으로서 얻을 수가 있다. 만약 파라미터((kp)의 값이 크게 만들어지면 등시간격작동제어의 효과는 통과케이즈의 수가 축소되기 위해 향상된다. 그러므로 대기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역시 제어된 제어파라미터(kp)의 이 알고리즘을 위해 이용할 수가 있다. 제어파라미터(kp)와 통과케이즈의 비율관계는 제 20 도에 표시한 것과 같다.
도면에서 명백한 것과 같이 통과케이즈의 비율은 제어파라미터(kp)가 크게 만들어질 때 작게된다. 그러나 이에 반하여 대기시간은 제어파라미터(kp)로 크게 된다. 그래서 제어파리미터(kp)는 빌딩사용법의 견지에서 적당치에서 선택되어야 한다.
(J) 일반정보량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 이 알고리즘은 빌딩, 일기예보, 시간, 뉴스, 기타 호출할당상태에 부가하여 자리잡는 사건에 관한 정보와 같은 그러한 방송해야할 일반 정보량을 제어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정보량은 방송의 횟수와 방송된 정보의 종류수의 곱에 의해 표시된다. 정보는 다음레벨로 구분될 수가 있다.
예를들면, 레벨 1 (감성목표에서 20에 대응) : 케이즈의 현재위치, 대기시간, 케이즈의 혼잡도와 같은 그러한 정보는 엘리베이터홀에서 청각적으로나 또는 시각적으로 방송된다. X10=3의 제어목표는 이 레벨에 할당된다.
레벨 2 (감성목표에서 40에 대응) : 현재기간 그리고 일기예보와 같은 그러한 정보는 레벨 1의 정보에 첨가하여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방송된다. 이 레벨에 할당되는 예를들면 X10=5의 제어목표.
레벨 3 (감성목표에서 60에 대응) : 오늘의 큰 뉴스는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레벨 2의 정보에 첨가하여 방송한다. 예를들면, X10=6의 제어목표는 이 레벨에 할당된다.
레벨 4 (감성목표에서 80에 대응) : 빌딩에서 얻은 사전의 정보는 레벨 3의 정보에 첨가하여 청각 또는 시각적으로 방송된다. 예로서, X10=7의 제어목표는 이 레벨에 할당된다.
레벨 5 (감성목표에서 100에 대응) : 빌딩식당에서 오늘 점심메뉴, 증권시장정보 그리고 기차, 지하철, 기타시간표와 같은 그러한 정보는 레벨 4의 정보에 첨가하여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방송한다. 예를들면, X10=9의 제어목표는 이 레벨에 할당된다.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보기에 있어서와 같은 일반정보의 방송레벨은 정보의 큰 양은 정보의 고수준의 엘리베이터홀에 기다리는 사람에 제공한다. 이 수준으로 방송될 정보 양은 쉽게 제어될 수가 있다. 더욱 정보의 같은 내용이 반복적으로 방송될 때 방송 반복도수는 정보수준이 높을 때 크게하도록 변경된다. 어찌하였든 방송될 정보분류의 자체방법은 완전히 임의적으로 그리고 방송될 정보종류 그리고 그의 분류는 빌딩 사용방법 또는 약간의 기타이유에 응답에서 결정될 수가 있다.
이 알고리즘 제 11a 도에 관한 설명으로서 개성화 함수(f1(x1))의 변화와 선택으로 링크(link)될 수가 있다.
(K) 소비전력절약의 비율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 엘리베이터 케이즈의 출발과 정지의 횟수에 크게 의존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은 잘 알려져 있다. 소비전력 절약비율을 제어하는 목적을 위해 다음 방법이 이전에 실행되었다. 예를들면, a. 써비스를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케이즈 수의 제어 ; 그리고 b. 홀호출의 이웃에서 정지호출의 평가와 정지호출을 가지는 케이즈에 홀호출의 할당, 그리고 케이즈의 출발 또는 정지의 횟수를 총체적으로 감소
본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언급된 방법(b)이 사용된다. 만약 정지신호를 평가하는 인덱스가 Zs에 의해 표시되고 그리고 그것이 1.0의 값으로 추정하고 만일 정지호출의 층상이 홀호출층상에 일치하거나 그렇지 않고 0의 값이면 그 평가함수는 더욱 수정되고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34
=(WT-kPZP+kCTC+kLLL-kZZZ-kSZS)n
n=1, 2, …, N (19)
여기서 ks는 제어파라미터이고 그리고 그것은 전력소비를 절약하는 제어의 중량계수로서의 함수이다. 더욱 파라미터(ks)가 계속치를 추정할 수 있어 그 구성요소(ksZs)는 계속 변수로서의 평가함수에서 통합될 수 있다. 이것은 역시 소비전력절약 비율이 계속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2) 함스블럭(1D)의 작동과 함수 그리고 상기 설명에서 각 제어항목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설명했다.
요약하면 긴대기시간의 비율의 제어항목을 위한 제어 알고리즘, 예약케이즈 변경을 예약케이즈의 정보시간 그리고 수송용량은 식(9), (14), (15) 그리고 (16)의 산출룰의 형태에서 각각 설명되었다. 등간격작동을 고려한 대기시간의 제어항목을 위한 제어 알고리즘, 승차시간, 케이즈하중인자, 선착케이즈 비율 그리고 소비전력절약비율은 식(19)에 의해 표시된 평가함수에 포함된다.
더욱 비록 식(19)이 위에서 인용되어도 식(6), (12), (13) 그리고 (18)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식(19) 대신에 역시 사용될 수가 있다. 그러나 그러한 식의 사용은 식(19)에서의 제어파라미터(kC, kL,kZ, kS)는 선택적으로 제로에 설정된 사실과 같다.
즉 만약 식(19)이 채택되면 평가함수의 형태는 그러한 제어파라미터의 선택치에 의해만 임의적으로 변경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다음에는 그 경우의 설명을 하고 거기의 식(19)이 사용된다. 역시 식(9), (14), (15) 그리고 (16)의 한계치(TH1)에서 (TH4)까지는 제어파라미터의 한 종류로서 고려될 수 있으므로 상기 모든 식에 포함된 파라미터는 다음형식에서 일반적으로 표시된다.
P={TH1, TH2, TH3, TH4, KP, KC, KL, K2, KS} (20)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각 파라미터(TH1, TH2, TH3, TH4, KP, KC, KL, K2, KS)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공급된 감성목표에 응답하는 약간의 요망되는 값을 추정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제어파라미터(P)는 일반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고 다음과 같다.
Pj={P1j, P2j, ... PUj} (21)
거기의 P1, P2, ... PU는 한계치(TH1∼TH4) 그리고 제어파라미터(kP, kC등등)와 같은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제어파라미터의 여러가지 종류를 의미하고 그리고 j는 1, 2, ..., J를 추정하고 J는 제어파라미터의 변화수를 표시한다.
더욱 대기시간과 케이즈하중인자를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에서 각 알고리즘을 위한 계획의 약간의 종류를 준비하였다. 즉 대기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에서는 대기시간을 평가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계획(a∼d)의 4종류를 준비되어 있다. 같은 알고리즘에는 등시간간격 우선순위죤의 설치를 위해 첫출발 케이즈를 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계획(a∼c)의 역시 3종류와 그리고 더미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계획(a∼d)의 4가지 종류가 제공된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그러한 경우에서는 준비된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이 일반적으로 표시될 수가 있다.
Pj={A1j, A2j, ..., AMj} (22)
여기서 A1, A2, ... 또는 AM은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은 식에 의해 표시된 것과 같은 알고리즘의 다른 종류를 뜻하고 지식의 경우와 유사하게 J는 1, 2, ... j를 추정하고, 그리고 J는 한 알고리즘의 변수를 표시한다.
제 13 도를 다시 인용하여, 상기 Pj와 Aj는 함수블록(1Dd)에서 유지된다.
즉, 그들은 제 24a 도와 제 24b 도에서 표시된 것과 같은 형식의 파라미터와 제어방법의 추론을 위한 지식의 데이터-베이스로서 프로세서의 RAM에서 정의된 특수영역에 기억된다. 함스블록(1Dc)은 Pj와 Aj 중에서 적합한 것을 선택하기 위해 추정을 실행한다. 이 추정은 다음 산출룰에서 실행되고, 그리고 그것은 역시 테이터-베이스로서 블록(1Dd)에 기억된다.
룰 D-1 : 만약 "X1, X2, ... X11)1그리고 실제 데이터 u1"이면 그러면 (P1, A1).
룰 D-2 : 만약 "(X1, X2, ... X11)2그리고 실제 데이터 u2"이면 그러면 (P2, A2).
룰 D-J : 만약 "(X1, X2, ... X11)J그리고 실제 데이터 uJ"이면 그러면 (PJ, AJ).
이러한 룰은 데이터베이스로서 함수블럭(1Dd)에 의해 기억되고 그리고 오프라인기준에서 시뮤레이션을 실행함으로 사전에 준비될 수가 있다. 비록 이 시뮤레이션이 제어목표와 실제 데이터의 각종 변수하에서 실행되더라도 시뮤레이션을 위해 사용된 제어목표(X1, X2, ... X11)에서 (X1, X2, ... X11)J까지의 변수도 역시 제 24c 도에서 표시된 것과 같은 형식으로 데이터베이스로서 함수블럭(1Dd)에 의해 기억된다. 더욱 비록 실제 데이터가 교통수요패턴의 형식으로 이 시뮤레이션을 위해 제공되더라도 그들은 후에 상세히 설명된다. 함수블럭(1Dc)은 함수블럭(1Da)에서 제어목표(X1∼X11) 그리고 함수블럭(1Db)에서 실제데이터(u1∼uJ)로 공급되고 그리고 위에서 언급된 것과 같은 산출룰에 따라 추정을 실행한다. 즉 함수블럭(1Dc)은 조건을 가지는 식을 정정하고 그것은 공급된 제어목표(X1∼X1)1실제데이터(u1∼uJ)에 일치하고 거기에 대응하는 알고리즘(Aj)과 파라미터(Pj)를 생성한다.
결과로서 적합한 파라미터와 알고리즘은 상기 Pj와 Aj중에서 선택된다. 함수블럭(1De)은 임시적으로 이렇게 선택된 Pj와 Aj를 유지한다. 이리하여 그들은 라인(c)을 통하여 함수블럭(1d)의 출력으로서 생성된다.
3.1.3. 시뮤레이션(1E)
제 25 도를 인용하여 함수블럭(1E), 즉 시뮤레이션의 설명을 한다. 이 시뮤레이션은 현교통수요의 조건하에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설정되고 선택된 제어항목의 목표를 수단으로 어느 정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가를 학습하기 위해 실행된다. 이 함수블럭(1E)은 공보일본특허출원 JP-A-58/63663(1983)에서 개지될 때 예를들면 다음 종속함수블럭으로 구성한다.
즉, 3개의 입력함수블럭, 즉 군제어를 위한 데이터의 입력(1Ea)이 제공되고 그것은 실제데이터의 입력(1Eb) 라인(c)을 통하여 Pj와 Aj의 선택된 것의 형식으로 함수블럭(1D)(제 13 도)에서 공급되고 그것은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빌딩의 사양의 입력(1Ec) 그리고 라인(r)을 통하여 군제어부분에 제공되고 그리고 그것은 라인(b)을 통하여 함수블럭(1C)(제 6 도)에 의해 공급된다. 더욱 군제어시뮤레이션(1Ed)이 제공되고 그것은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3개의 입력을 수신하고 함수블럭(1Ec)에서 공급되는 엘리베이터와 빌딩의 사양 그리고 함수블럭(1Eb)에서 공급된 교통수요의 실제데이터의 기준에서 함수블럭(1Ea)에서 공급된 알고리즘과 제어 파라미터의 시뮤레이션을 실행한다. 이 시뮤레이션의 결과는 함수블럭(1Ee)에 전송되고 시뮤레이션 결과는 이미 결정된 통계적인 처리에 따른다. 통계적으로 처리된 시뮤레이션 결과는 함수블럭(1Ef)에 연결되고 시뮤레이션 결과는 감성의 견지에서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 변환은 개성화함수를 사용함으로서 실행될 수가 있고 그리고 그것은 라인(b)을 통하여 함수블럭(1Cd)에서 공급된다.
즉 시뮤레이션 결과는 제 12 도에서 표시된 것과 같이 변환의 역전을 실행함으로서 감성의 형식으로 데이터로 변환될 수가 있다. 더욱 개성화 지원부분의 구성을 단순화하기 위해 시뮤레이션을 위한 함수(1E)는 생략될 수가 있다. 그 경우에 실제데이터에 의거한 알고리즘(Aj)과 파라미터(Pj)의 예측된 결과만을 얻을 수가 있고 그리고 그것은 과거 써비스작동동안 얻었었다.
3.1.4. 평가와 제어실행(1F)
이 함수블럭(1F)의 구성은 제 26 도에 표시된다. 이 블럭(1F)은 3개의 입력함수로 구성되고 즉 라인(b)을 통하여 함수블럭(1Ca)에서 감성목표데이터의 입력(1Fa)과 같고 그리고 그것은 오퍼레이터, 라인(d)을 통한 함수블럭(1Ef)에의 시뮤레이션결과에서 변환된 감성데이터의 입력(1Fb), 그리고 감성데이터로 변환 그리고 실제데이터의 입력(1Fc)에 의해 설정된다. 더욱 함수블럭(1Ef)의 유사한 방법에서 거기에 취해진 실제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하여 라인(b)을 통하여 함수블럭(1Cd)에서 개성화함수를 블럭(1Fc)에서 취해지고 그리고 그것은 라인(r)을 통하여 군제어부분에서 공급되고 그리고 감성의 견지에서 데이터로 물리적인 양의 견지에서도 표시된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3개의 입력데이터는 함수블럭(1Fb)에 연결되고 그들은 표시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해 구성되고 그것은 표시장치(DD)에 출력된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예가 제 23 도에 표시된다. 표시된 경우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각 함수블럭(1Fa, 1Fb, 1Fc)을 통하여 공급되는 3가지 종류의 데이터는 단일레이더챠트상에 동시에 표시되고 그로서 3개 데이터가 오퍼레이터에 의해 설정된 감성목표의 적절판단을 촉진하기 위해 쉽게 비교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의 3종류는 분리된 레이더챠트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 함수블럭(1F)은 더욱 종속블럭(1Fe), 즉 제어실행지시의 발생을 포함한다. 오퍼레이터가 입력장치(1D)에 의해 이 블럭(1Fe)에 승인신호가 제공되고 표시장치(DD)상에서 표시된 데이터를 관찰할때 이 블럭(1Fe)은 라인(f)을 통해 군제어부분에 제어실행지시를 생성한다.
3.2. 군제어부분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이 부분은 홀호출장치(HC)에 의해 발생된 홀호출과 각 케이즈에서 발생된 케이즈호출의 기준에서 상기 개성화 지지부분에서 결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복수 엘리베이터 케이즈의 군제를 실행한다. 제 5 도에서 표시된 것과 같이 이 부분은 다음의 함수블럭 즉 프로그램등록(2A), 실제데이터의 기억(2B)와 군제어(2C)를 구성한다. 다음에는 각 함수블럭을 상세히 설명한다.
3.2.1. 프로그램등록(2A)
제 27 도를 인용하여 프로그램등록의 함수블럭(2A)의 구성이 표시된다. 도면에 표시한 것과 같이 이 블럭(2A)은 다음 종속함수블럭, 즉 군제어를 위한 데이터의 입력(2Aa), 제어실행지시의 입력(2Ab), 교통수요에 따른 군제어를 위한 데이터의 기억(2Ac), 그리고 군제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2Ad)로 구성된다. 함수블럭(1De)에서 공급된 군제어를 위한 데이터(Pj, Aj)는 이 함수블럭(2A)에 함수블럭(2Aa)을 통하여 제공된다. 역시 함수블럭(1Fe)에 의해 발행된 제어실행지령은 함수블럭(2Ab)를 통하여 이 함수블럭(2A)에서 취해진다. 제어실행지령이 함수블럭(2A)에서 취해지면 함수블럭(2Aa)를 통하여 제공된 군제어를 위한 데이터(Pj, Aj)는 임시적으로 함수블럭(2Ac)에 기억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모든 교통수요패턴 도는 모든 시간죤을 위해 기억될 수 있다. 데이터(Pj, Aj)는 군제어를 위한 데이터 베이스로서 함수블럭(2Ad)에서 유지되고 전송된다.
3.2.2. 실제 데이터의 기억(2B)
이 함수는 예를들면 요시오 사까이(Yoshio Sakai)의 "Development of Elevator Supervisory Group Control System with Artificial Intelligence"의 히다찌효롱(Hitachi Hyoron(Review)), Vol 65.6(1983), pp. 43∼48)에서 제거된 것과 같은 알려진 함수에 의해 성취될 수가 있다. 여기에 따라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일상의 써비스 작동동안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는 사람의 수는 등록된 홀호출과 케이즈호출의 상태, 케이즈하중의 변화의 기준에서 모든 운행방향에서 그리고 모든 층상에서 추정되고 그리고 그것은 후에 설명되는 함수블럭(2C)에서 공급되고 실제교통흐름의 데이터가 수집된다. 교통흐름의 수집데이터의 기준에서 교통수요패턴은 매시간죤을 위해 형성된다. 교통수요패턴의 보기는 제 28 도에 표시되고 교통 수요패턴(M1, M2, M3, M4)은 아랫쪽 교통수요(가로좌표)와 윗쪽 교통수요(세로좌표)에 따라 정의된다. 이리하여 형성된 교통수요패턴은 이 함수블럭(2B)에 의해 기억된다. 교통수요패턴은 일상의 써비스작동 동안 수집된 새로운 실제데이터의 기준에서 갱신할 수 있고 그리고 함수블럭(2C), 즉 군제어에 의해 공급된다. 이 함수로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군제어는 소위 학습 효과에 의해 공급된다.
3.2.3. 군제어(2C)
이 블럭(2C)의 구성은 제 29 도에 표시된다. 블럭(2C)은 다음의 종속함수블럭, 즉 군제어를 위한 데이터의 입력(2Ca), 홀호출데이터의 입력(2Cb), 호출의 할당(2Cc) 그리고 군제어를 위한 데이터 테이블(2Cd)을 구성한다. 홀호출이 홀호출장치(HC)에 의해 발생될 때 함수블럭(2Cb)에 의해 함수블럭(2Cc)에 입력된다. 더욱 함수블럭(2Cc)은 군제어를 위한 데이터(Pj, Aj)와 라인(g)을 통하여 함수블럭(2B)에서 교통수요패턴의 데이터를 거기에 취하고 즉 함수블럭(2Cd)에 의해 공급된 홀호출의 기준에서 알고리즘(Aj)과 공급된 파라미터(Pj)에 따라 실행되고 따라서 홀호출은 적절한 케이즈에 할당된다. 함수블럭(2Cc)에 의한 할당결과는 군제어를 위한 데이터의 테이블(2Cd)에 기억된다. 데이터는 각 케이즈의 써비스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E1∼EN)중의 하나에 설정되고 그리고 그것은 라인(t)을 통하여 이 테이블(2Cb)에서 상기 적합한 케이즈에 대응한다. 할당홀호출에 응답으로 한 프로세서는 대응케이즈의 써비스작동을 제어한다.
3.2.4. 기타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군제어부분은 더욱 시뮤레이션 함수에 의해 부여될 수 있고 그것으로 제어파라미터(Pj)는 실제데이터의 기준에서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그러한 함수는 패러그래프 3.1.3에서 언급한 시뮤레이션 함수와 같은 것에 의해 성취된다. 이것으로 제어파라미터(Pj)의 미세동조(fine tuning)는 가능하게 된다.
4. 수정과 편차
다음에는 상기 실시예의 수정과 편차의 설명을 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같이 제어방법과 제어파라미터의 추정을 위한 지식의 데이터베이스(1Dd)에서 실제 데이터와 제어목표(X1, X2, …X11)데이터의 매우 큰 양은 기억되어야 하고 그래서 산출룰의 수도 함수블럭(1Dd)은 복수제어목표(X1, X2, …X11)와 실제 데이터(uj)를 받고 그리고 미리 결정된 룰에 따라 제어알고리즘(Aj)와 제어파라미터(Pj)를 결정한다. 그러나 작동하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즈의 동작은 매우 복잡하고 그래서 뚜렷한 수학적 식 또는 공식으로 기술되는 모델에 의해 표시될 수가 없고 그러한 이유로 미리 결정한 룰을 공식화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래서 통상적으로 룰은 결과의 통계적 처리의 수단에 의해 이루어졌고 그리고 그것은 엘리베이터 케이즈의 실제 써비스 작동을 시뮤레이팅함으로서 얻었다. 그러나 만일 고려된 제어항목수가 증가하면 그들의 약간은 그 복잡한 방법에서 서로에 관련되며 룰을 얻는 것이 더욱 어려워진다. 다음은 그러한 데이터의 기준에서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하기 쉬운 방법과 함수블럭(1Dd)에서 필요데이터 양축소 방법을 설명한다. 이해를 돕기위해 단 3개의 제어목표, 즉 등시간-간격 우선순위 죤(Zp)을 참작한 대기시간(X1), 케이즈 하중인자 선착케이즈(X8)의 비율이 고려된다. 실제적으로 설정된 제어목표치는 각각
Figure kpo00035
,
Figure kpo00036
그리고
Figure kpo00037
에 의해 표시된다.
그러한 경우에는 평가함수는 다음식에 의해 표시된다.
Figure kpo00038
=(WT-kPZP+kLLL-kZLZ)n
n=1, 2, …, N (23)
이미 언급한 것과 같은 방법에서 홀호출이 발생할 때 평가치(
Figure kpo00039
)는 군제어케이즈의 모두에 관하여 계산되고 그리고 홀호출은 한 케이즈에 할당되고 그리고 그것은
Figure kpo00040
의 가장 작은 값을 가진다. 더욱 이 경우에는 식(21)(22)에서 표시된 알고리즘 (Aj)과 제어파라미터(Pj)의 편차가 없다는 것이 추정된다. 그러므로 식(21)에서 제어파라미터(KP, KL, KZ)의 오로지 한 세트만이 결정되는 것이 족하다. 거기의 플로우챠트를 표시하는 제 30 도를 인용하여 제어파라미터(KP, KL, KZ)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방법이 설명된다. 이 플로우챠트의 처리작동시작후 제어파라미터의 디폴트(default)는 스텝(600)에서 첫째로 설정된다. 그리고 나서 스텝(700)에서 유도계수와 우선순위가 계산된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영향계수는 대응 제어목표상의 제어파라미터의 영향도의 계수표시이고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우선권은 제어파라미터의 결정의 명령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제 31 도에서는 다음식에 따라 얻은 각 제어목표(X1, X4, X8)상의 제어파라미터(KP, KL, KZ)의 영향계수의 보기가 표시된다.
Figure kpo00041
거기의 ΔX는 ΔK는 비록 그들이 일반형식에서 표시되지만 제어파라미터(KP, KP, KZ)와 제어목표(X1, X4, X8)의 증대 또는 감소를 표시한다. 이리하여 얻은 영향계수는 제 31 도 테이블에 기록된다. 영향계수는 사인을 가진다. 프로스사인은 증가를 뜻하고 마이너스사인은 감소를 뜻한다. 만약 그의 절대치가 크면 제어목표(X1, X4, X8)상의 제어파라미터(KP, KL, KZ)의 영향도는 크다. 더욱 제 32a 도와 제 32b 도는 제어파라미터 결정명령을 결정하기 위한 우선순위의 보기를 표시하고 그것은 감성목표에 응답으로 결정된 제어목표의 중요성(gW)의 기준에서 얻게 된다. 도면에서 총우선순위(K1)는 다음식에 의해 표시된다.
Figure kpo00042
거기의 u=P, L, Z 그리고 w=1, 4, 8
제 32a 도는 중요성(g1, g4, g5)이 각각 0.6, 0.3 그리고 0.1에 설정되는 경우를 표시한다. 그 케이스(1)에서는 대기시간의 제어항목은 매우 중요하다는 것에 주시된다. 제 32b 도는 중요성(g1, g4, g5)이 각각 0.3, 0.6 그리고 0.1에 설정되고 케이즈하중인자는 중요한 제어 항목으로서 주시된다. 제 32a 도의 케이스(1)에서는 제어파라미터의 총 우선순위(KP, KL, KZ)는 각각 33, 21 그리고 8이다. 그러므로 제어파라미터의 결정은 명령(KP, KL, KZ)에서 실행된다. 반면에 제 32b 도의 케이스(2)에서는 제어파라미터의 총우선순위(KP, KL, KZ)는 각각 13, 22 그리고 4이다. 그래서 제어파라미터의 결정명령은 KL, KP그리고 KZ의 명령이 된다. 이 방법으로 제어파라미터는 우선순위의 명령에서 결정된다. 그러므로 제어파라미터는 시뮤레이션의 각 작은 횟수에 의해 결정될 수가 있다. 제 30 도의 플로우챠트에 되돌아가 스텝(800)에서 제어파라미터로 결정된 명령에서 결정된다. 더욱 제어파라미터중의 하나의 결정이 실행될 때 잔여 제어파라미터는 거기의 각 값에서 유지된다. 제어파라미터중의 하나가 결정된 후 스텝(900)에서는 시뮤레이션이 결정된 제어파라미터로 실행되고 그리고 종합적인 만족도(S(%))는 시뮤레이션 결과에서 계산된다. 종합적 만족도(S)는 다음식에 의해 표시된다.
Figure kpo00043
거기의 XW는 제어목표의 세트치를 표시하고
Figure kpo00044
는 시뮤레이션데이터의 통계적 처리의 결과로서 얻는 값을 표시한다. 식(26)에 따라 100포인트는 종합적인 만족도의 만점이다. 스텝(100)에서는 계산된 종합적인 만족도(S)가 미리 정한값에 초과하는가 또는 않는가를 결정한다. 계산된 종합적인 만족도(S)가 미리 정한 값보다 작을 때에는 처리작동을 접근 루프구성하기 위해 스텝(700)에 되돌아간다. 그러나 스텝(1000)에서 스텝(700)까지의 복귀통로에 스텝(1100)이 제공되고 상기 설명된 루프작동의 반복횟수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는가 또는 않는가를 결정한다. 만약 루프작동의 반복회수가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처리작동은 스텝(700)에 되돌아가고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작동이 반복된다. 그렇지 않으면 처리작동은 종료한다. 만약 미리 결정된 종합적 만족도가 달성된 것이 스텝(1000)에 판별되면 스텝(800)에서 결정된 값은 스텝(1200)에서 출력되고 한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처리작동은 종료한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작동은 제어파라미터가 최종적으로 결정될 때까지 반복된다. 만약 제어 파라미터가 필요할때마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시뮤레이션에 의해 얻으면, 처리는 많은 시간 소비를 한다. 그러므로, 한번 얻은 제어파라미터는 지식테이블에 기억되고, 그리고 지식테이블은 필요도에 따라 검색될수가 있다. 만약 필요한 것이 발견되면, 출력되고, 만약 않으면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처리 작동을 획득하는 제어 파라미터는 실행된다.
이것에 따라, 지식테이블의 필요보륨을 축소하고 처리는 더 속도를 내게 하는것이 가능해진다.
5.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의 이점.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군-제어장치는 그의 함수에서 두부분으로 개략적으로 나누어지고, 즉 그것은 개성화 지원부분과 군제어부분이다. 오퍼레이터는 개성화지원부분의 도움에의 상호 작용기준에서 빌딩의 사용방법을 위해 가장 적합한 각종 제어 파라미터와 군제어방법을 결정할수가 있다.
더욱, 적합한 군-제어방법과 제어 파라미터의 검색과 결정은 개성화 지원부분에 맡겨져 있고, 그리고 다만 개성화지원부분에서 처리하는 결과는 군제어부분에 전송된다. 따라서, 군-제어부분에 맡겨진 프로세서의 부담은 개성화지원 부분을 위한 프로세서의 그것과 비교하여 매우작게 만들수가 있고, 그러므로 비교적 저가의 프로세서가 군-제어부분을 위해 사용될 수가 있다.
군-제어부분에 프로그램등록함수가 제공되면, 개성화 지원부분은 군-제어부분에서 처리될수가 있고, 개성화지원부분에 의해 결정된 제어파라미터와 군제어방법이 군제어부분에 전송되고 거기에 기억된다.
그러므로, 만약 그 장치가 휴대용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정기통신라인을 통하여 각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군-제어장치와 연결되면, 복수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적합한 군-제어방법과 제어파라미터는 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 단일장치로서 개성화 될 수가 있다.
더욱, 개성화함수, 제어방법의 각종 알고리즘, 제어 파라미터 그리고 그들을 선택또는 결정하기 위한 룰이 지식데이터-베이스로서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거기의 정정과 추가를 쉽게 만들 수 있다.

Claims (17)

  1. 홀호출이 발생할때, 상기 발생된 홀호출에 관하여 모든 군-제어케이즈의 평가치가 소정의 평가함수에 의해 계산되고 그리고 상기 발생된 홀호출이 어느 적합한 케이즈에 할당되어 있되 상기 적합한 케이즈는 계산된 평가치에서 가장 바람직한 값을 가지는 복수의 층을 지원하는 복수 엘리베이터 케이즈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군관리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즈를 위한 제 1 층의 죤이 케이즈의 위치에 따라 설치되어 상기 죤내에서 발생된 홀호출이 상기 케이즈에 우선적으로 할당되어지고, 그리고 상기 평가함수는 대기시간과 상기 제 1 층의 죤 가운데서 그중 적어도 두개의 제어항목의 평가 인덱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함수는 승차시간, 케이즈-하중인자 그리고 정지호출 중에서 선택된 항목 또는 제어항목의 인덱스 또는 평가 인덱스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만약 케이즈에 미리 할당된 홀호출의 대기시간이 제 1 한계치를 초과하면, 그러면 홀호출에 관함 모든 잔여 케이즈의 평가치는 평가함수에 의해 다시 계산되고, 그리고 홀호출은 잔여 케이즈 중에서 적합한 케이즈에 할당되게 변경되고, 그리고 그것은 계산된 평가치의 가장 바람직한 것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만약 케이즈의 용량에 대한 예약케이즈의 예측 승객수의 비율이 제 2 한계치를 초과하면, 홀호출에 관한 모든 잔여케이즈의 평가치는 평가함수에 의해 다시 계산되고, 그리고 홀호출은 잔여케이즈 가운데의 한케이즈에 할당되게 변경되고, 그리고 그것은 더 작은 예측된 승객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일정한 층상에서 발생된 홀호출이 케이즈에 일단 할당된 후에, 홀호출에 관한 모든 케이즈의 평가치는 미리 결정된 간격에서 평가함수에 의해 재검토되고, 그리고 만일 홀호출의 등록에서 현재까지의 경과시간이 제 3 한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홀호출은 현재 일정한 층상을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된 케이즈에 할당되고, 그렇지 않으면 현재전의 시점에서 일정한 층상을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는 케이즈가 그 일정한 층상에서 대기하는 사람들에 예약된 케이즈로서 발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만약 혼잡한 층상에 써비스를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케이즈수가 제 4 한계치 이하이면, 그때에는 그것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만약 한 케이즈의 케이즈 호출 층상이 또 다른 케이즈의 홀호출 층상에 일치하고 그리고 그 케이즈가 선착케이즈가 되게 예측되면, 제 2 층상죤이 케이즈의 현층상과 케이즈 호출층상 사이의 그 케이즈나 또는 다른 케이즈를 위해 설정되고, 그리고 평가함수는 더욱 제 2 층상죤의 평가인덱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방법.
  8. 입력장치와 표시장치가 제공되어 있되, 군제어방법을 결정하는 처리작동 그리고 군제어방법에서 사용되는 각종 제어파라미터를 실행하며,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 설치된 빌딩의 사용방법에 가장 적합한 제 1 프로세서와, 상기 제 1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있되, 상기 복수 케이즈의 군제어를 위한 처리작동을 실행하고, 발생된 홀호출에 관한 군제어 케이즈의 모든 평가치는 군제어방법에 의해 정의된 평가함수에 따라 계산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프로세서에 의해 결정되 제어파라미터와 발생된 홀호출은 적합한 케이즈에 할당되고, 그리고 계산된 평가치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을 가지고 있는 제 2 프로세서와, 모든 엘리베이터 케이즈를 위해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프로세서에 모두 연결되어 있되, 상기 제 2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하는 군제어의 결과에 따라 각 엘리베이터 케이즈의 써비스작동을 제어하는 제 3 프로세서를 구비한 복수층을 지원하는 복수 엘리베이터 케이즈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군관리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평가함수는 등간격작동을 참작하는 대기시간의 제어항목을 위한 평가인덱스, 승차시간, 케이즈하중인자, 선착케이즈의 비율 그리고 각 제어항목을 위한 중량 계수로서의 함수인 제어파라미터로 정지호출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프로세서는 입력장치를 통하여 제공되는 제어파라미터 및 값들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평가함수의 가장 적합한 형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세서는 빌딩의 사용방법을 위해 가장 적합한 군제어방법을 개성화하기 위한 작업을 지원하는 처리작동을 실행하기 위해 프로그램되어 있되, 상기 그 처리작동은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다중제어 항목의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와, 사전결정룰에 따라 제어파라미터와 가장 적합한 군제어 방법을 결정하여 상기 다중제어 항목의 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작동은 더욱 사전에 제공된 교통수요패턴을 사용함으로서 제어파라미터와 결정된 군-제어방법의 시뮤레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 그리고 평가결과가 승인될때 제어실행지시를 생성하고 그리고 표시장치에서의 평가결과를 표시하기 위해 시뮤레이션을 평가하는 단계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제어항목의 목표가 인간의 감성의 견지에서의 값에 의해 설정되고, 그리고 제공된 감성목표는 설정작동에 의해 대응한 물리적인 양을 표시하는 제어목표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은 모든제어항목에 관한 제어목표와 감성 목표의 관계를 표시하는 개성화함수를 사용함으로서 실행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프로세서의 적당한 기억에서 데이터 베이스로서 사전에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 제어파라미터와 군제어방법의 상기 결정작동은, 실제 데이터와 제어목표에 제어파라미터와 군제어방법의 관계를 사전에 제공하여 기억하되, 교통수요 패턴의 형태로 제공되어 있는 지식의 데이터 베이스와, 그리고 군제어방법과 제어파라미터를 추정하고 다중 제어항목의 설정목표가 지식의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함으로서 달성될 수가 있는 작동함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어목표에 대한 제어파라미터의 관계는 각 제어 파라미터의 총 우선순위의 견지에서 결정된 명령에 제공되고 그것은 대응하는 감성목표에 관한 결정된 제어목표의 중요성과 대응하는 제어목표상 제어파라미터 영향 계수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어파라미터는 미리 정해진 값보다 더 큰 종합적 만족도(S)를 만들도록 결정되고 종합적 만족도(S)는
    Figure kpo00045
    으로 정의되고 XW는 제어목표의 설치값을 표시하고,
    Figure kpo00046
    는 시뮤레이션의 결과로서 얻은 값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설정제어목표, 시뮤레이션의 결과 그리고 실제 써비스 작동동안 얻은 데이터는 동시에 표시장치에서 표시되고 그리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등록함수를 가지고 그것으로 상기 제 1 프로세서에 의해 결정된 군제어 방법이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장치.
KR1019890002580A 1988-03-02 1989-03-02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방법 및 장치 KR930009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47471A JP2607597B2 (ja) 1988-03-02 1988-03-02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63-47471 1988-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358A KR890014358A (ko) 1989-10-23
KR930009339B1 true KR930009339B1 (ko) 1993-09-28

Family

ID=12776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2580A KR930009339B1 (ko) 1988-03-02 1989-03-02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47965A (ko)
JP (1) JP2607597B2 (ko)
KR (1) KR930009339B1 (ko)
CN (1) CN1018069B (ko)
GB (1) GB22162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7903A (en) * 1988-01-29 1994-05-03 Hitachi, Ltd.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elevators and method and apparatus of inputting requests to the control system
GB2240641B (en) * 1988-01-29 1992-07-22 Hitachi Ltd An elevator control system
JPH0699099B2 (ja) * 1988-09-20 1994-12-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情報案内制御システム
US5249258A (en) * 1988-09-30 1993-09-28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Reasoning computer system
JP2653156B2 (ja) * 1989-02-28 1997-09-10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ラの群制御システム
JPH07110748B2 (ja) * 1989-06-14 1995-1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2664782B2 (ja) * 1989-10-09 1997-10-22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FI91238C (fi) * 1989-11-15 1994-06-10 Kone Oy Hissiryhmän ohjausmenetelmä
US5276767A (en) * 1989-12-01 1994-01-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uzzy computer
JP2573715B2 (ja) * 1990-03-28 1997-01-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644906B2 (ja) * 1990-04-18 1997-08-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群管理エレベーター
KR940009984B1 (ko) * 1990-05-29 1994-10-1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JP2608970B2 (ja) * 1990-06-15 1997-05-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US5529147A (en) * 1990-06-19 1996-06-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vator cars based on car delay
JP2846102B2 (ja) * 1990-11-05 1999-01-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群管理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H04317968A (ja) * 1991-02-21 1992-11-09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における乗り込み乗客の到着時刻算出方法
US5146053A (en) * 1991-02-28 1992-09-0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ispatching based on remaining response time
US5271484A (en) * 1991-04-10 1993-12-21 Otis Elevator Company Selectable notification time indicating elevator car arrival
AU645882B2 (en) * 1991-04-29 1994-01-27 Otis Elevator Company Using fuzzy logic to determine the number of passengers in an elevator car
US5260526A (en) * 1991-04-29 1993-11-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assignment conditioned on minimum criteria
US5260527A (en) * 1991-04-29 1993-11-09 Otis Elevator Company Using fuzzy logic to determine the number of passengers in an elevator car
US5248860A (en) * 1991-04-29 1993-09-28 Otis Elevator Company Using fuzzy logic to determine elevator car assignment utility
US5252789A (en) * 1991-04-29 1993-10-12 Otis Elevator Company Using fuzzy logic to determine the traffic mode of an elevator system
US5243155A (en) * 1991-04-29 1993-09-07 Otis Elevator Company Estimating number of people waiting for an elevator car based on crop and fuzzy values
US5219042A (en) * 1991-12-17 1993-06-15 Otis Elevator Company Using fuzzy logic to determine the number of passengers entering and exiting an elevator car
US5168136A (en) * 1991-10-15 1992-12-01 Otis Elevator Company Learning methodology for improving traffic prediction accuracy of elevator syste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5168133A (en) * 1991-10-17 1992-12-01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ed selection of high traffic intensity algorithms for up-peak period
JPH05238653A (ja) * 1992-02-27 1993-09-17 Hitachi Ltd 群管理エレベータ装置
FI98720C (fi) * 1992-05-07 1997-08-11 Kone Oy Menetelmä hissiryhmän ohjaamiseksi
JP3454899B2 (ja) * 1993-04-07 2003-10-06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負荷重量側路しきい値の自動選択装置及び方法
AU672487B2 (en) * 1993-05-05 1996-10-0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ispatching with multiple term objective function and instantaneous elevator assignment
DE69405907T2 (de) * 1993-05-05 1998-03-19 Otis Elevator Co Ansammlungsmessung und -verminderung in einem Aufzugsverteiler mit mehrfachen Termen bei der Objektivitätsfunktion
US5388668A (en) * 1993-08-16 1995-02-1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ispatching with multiple term objective function and instantaneous elevator assignment
US5373909A (en) * 1993-10-26 1994-12-20 Byron Enterprises, Inc. Tracked vehicles and power drive apparatus for motivating tracked vehicles
TW428145B (en) * 1994-06-23 2001-04-01 Otis Elevator Co Elevator dispatching employing hall call assignments based on fuzzy response time logic
US5563386A (en) * 1994-06-23 1996-10-0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ispatching employing reevaluation of hall call assignments, including fuzzy response time logic
US5767460A (en) * 1995-11-30 1998-06-1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ntroller having an adaptive constraint generator
US5808247A (en) * 1995-11-30 1998-09-15 Otis Elevator Company Schedule windows for an elevator dispatcher
US5786551A (en) * 1995-11-30 1998-07-28 Otis Elevator Company Closed loop fuzzy logic controller for elevator dispatching
US5786550A (en) * 1995-11-30 1998-07-28 Otis Elevator Company Dynamic scheduling elevator dispatcher for single source traffic conditions
US5750946A (en) * 1995-11-30 1998-05-12 Otis Elevator Company Estimation of lobby traffic and traffic rate using fuzzy logic to control elevator dispatching for single source traffic
US5767462A (en) * 1995-11-30 1998-06-16 Otis Elevator Company Open loop fuzzy logic controller for elevator dispatching
US5714725A (en) * 1995-11-30 1998-02-03 Otis Elevator Company Closed loop adaptive fuzzy logic controller for elevator dispatching
US5841084A (en) * 1995-11-30 1998-11-24 Otis Elevator Company Open loop adaptive fuzzy logic controller for elevator dispatching
JP4434483B2 (ja) * 1997-10-10 2010-03-17 コネ コーポレイション 仮想乗客トラヒックを生成するエレベータ群制御方法
EP0997423B1 (en) * 1998-03-30 2003-06-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controller
SG97809A1 (en) * 1998-09-17 2003-08-20 Inventio Ag Remote control of lift installations
JP4870863B2 (ja) * 2000-04-28 2012-02-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群最適管理方法、及び最適管理システム
FI20011898A0 (fi) * 2001-09-27 2001-09-27 Kone Corp Hissikorin täyttösuhteen huomioiva hissi
KR100399737B1 (ko) * 2001-11-13 2003-09-29 김정국 신호 파형의 분할 및 분할된 구간의 특성화 방법
EP1754678B1 (en) * 2004-06-07 2013-08-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Group controller of elevators
JP2006096481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4139819B2 (ja) * 2005-03-23 2008-08-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4573741B2 (ja) * 2005-09-27 2010-11-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TW200722359A (en) 2005-09-27 2007-06-16 Hitachi Ltd Elevator group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8063017A (ja) * 2006-09-04 2008-03-2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US7882934B2 (en) * 2006-12-22 2011-02-08 Inventio Ag Elevator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floor
WO2009024853A1 (en) 2007-08-21 2009-02-26 De Groot Pieter J Intelligent destination elevator control system
CA2696940C (en) * 2007-08-28 2013-05-28 Thyssen Elevator Capital Corp. Saturation control for destination dispatch systems
EP2221266B1 (en) * 2007-12-20 2016-09-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group management system
JP5347492B2 (ja) * 2008-12-25 2013-11-20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及び装置
JP5397467B2 (ja) * 2009-05-22 2014-01-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監視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エレベータの監視制御装置
JP2011051694A (ja) * 2009-08-31 2011-03-1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5535836B2 (ja) * 2010-09-06 2014-07-0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5849021B2 (ja) * 2012-06-18 2016-0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群管理エレベータシステム
EP3201115A4 (en) * 2014-10-01 2018-06-13 KONE Corporation Elevator arrangemen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5951737B2 (ja) * 2014-11-28 2016-07-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6276711B2 (ja) * 2015-01-05 2018-02-07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専用運転装置及び予約システム
JP6652398B2 (ja) * 2016-02-05 2020-02-19 株式会社チノー パラメータ選定方法、パラメータ選定プログラム及びパラメータ選定装置
EP3500512A4 (en) * 2016-08-09 2020-08-26 Kone Corporation MANAGEMENT OF THE NUMBER OF ACTIVE ELEVATOR CABS IN A LIFT SHAFT WITH MULTIPLE CABINS
JP6655519B2 (ja) * 2016-09-29 2020-0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旅客移動状況出力装置および方法
US10723585B2 (en) 2017-08-30 2020-07-28 Otis Elevator Company Adaptive split group elevator operation
JP6784272B2 (ja) * 2018-03-29 2020-11-11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割当装置
JP6984722B1 (ja) * 2020-12-18 2021-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7031770B1 (ja) * 2021-03-18 2022-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群管理装置
CN115924663B (zh) * 2023-03-09 2023-05-12 常熟理工学院 基于物联网的智能电梯设备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8911B1 (ko) * 1970-07-03 1976-08-21
GB1433941A (en) * 1972-04-19 1976-04-28 Hitachi Ltd Elevator control systems
JPS5179449A (ko) * 1975-01-06 1976-07-10 Hitachi Ltd
IT1108621B (it) * 1978-07-07 1985-12-09 Pianfei Ipa Sas Di F Fulcheri Elemento autoportante di rivestimento per padiglioni di autoveicoli particolarmente autovetture
JPS5811479A (ja) * 1981-07-15 1983-0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群管理制御装置
JPS5852162A (ja) * 1981-09-18 1983-03-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群管理制御装置
JPH0613390B2 (ja) * 1981-10-07 1994-02-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装置
JPS59223672A (ja) * 1983-06-02 1984-1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S61136883A (ja) * 1984-12-05 1986-06-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群管理装置
JPS6279179A (ja) * 1985-09-30 1987-04-11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S638030A (ja) * 1986-06-28 1988-01-13 Fuji Heavy Ind Ltd 車両用自動クラツチの制御装置
JPH0712891B2 (ja) * 1988-02-17 1995-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US4790412A (en) * 1988-03-16 1988-12-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Anti-bunching method for dispatching elevator ca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607597B2 (ja) 1997-05-07
KR890014358A (ko) 1989-10-23
CN1018069B (zh) 1992-09-02
GB2216299A (en) 1989-10-04
CN1037121A (zh) 1989-11-15
GB2216299B (en) 1992-06-03
GB8904695D0 (en) 1989-04-12
JPH01226676A (ja) 1989-09-11
US4947965A (en) 1990-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9339B1 (ko) 복수케이즈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방법 및 장치
US5307903A (en)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elevators and method and apparatus of inputting requests to the control system
JP2860261B2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方法
CN109693980B (zh) 电梯调度方法、装置及***
US7562746B2 (en) Method, system, and display for elevator allocation using multi-dimensional coordinates
KR960008701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방법과 장치
JP4870863B2 (ja) エレベータ群最適管理方法、及び最適管理システム
KR950007372B1 (ko) 엘리베이터의 그룹관리 제어장치
WO2019176196A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CN113682908A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智能调度方法
GB2276470A (en) Group supervisory control device for elevators
JP2000501058A (ja) シングルソーストラフィック条件のための動的スケジューリングエレベータ配送装置
JPH05132250A (ja) エレベータ派遣方法及び装置
JP3499146B2 (ja)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
KR20000069292A (ko) 엘리베이터의 운행관리 제어장치
JP2574855B2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JPH01261176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2507511B2 (ja)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2728396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H09255245A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KR960002418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및 장치
JPH072436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KR102136022B1 (ko) 강화학습 기반의 승강기 운행 제어 장치
JP2574854B2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GB2240641A (en) Elevator group control responding to subjective feelings of 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8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