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1084B1 - 엘리베이터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1084B1
KR920011084B1 KR1019890010668A KR890010668A KR920011084B1 KR 920011084 B1 KR920011084 B1 KR 920011084B1 KR 1019890010668 A KR1019890010668 A KR 1019890010668A KR 890010668 A KR890010668 A KR 890010668A KR 920011084 B1 KR920011084 B1 KR 920011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information
group management
cal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051A (ko
Inventor
겡이찌 우에다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19520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48376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1826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5699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00003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1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37Performance analyser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험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시스팀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
제2도, 제3도, 제4도는 군관리제어장치(9)내의 CPU(91)의 통상적인 한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즉 제2도는 승강장기기(10)에서 발생한 승강장호출에 대해 할당(임무부여)될 엘리베이터카(elevator car)를 선택처리하는 전체적 순서(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스텝 S4에 있어서, 할당평가치산출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4도는 상기 제3도의 스텝 S13에 있어서 할당층까지의 도착예상시간의 산출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5도-제1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제5도는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시스템의 구성도.
제6도는 상기 제5도의 보수(保守)장치(20)내의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시험의 실행명령제어를 행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7도는 상기 보수장치(20)내의 프로그램에 호응한 제1도의 CPU(91)내의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도.
제8도는 상기 CPU(91)내의 프로그램으로 실행되는 모의 시험타스크(tack)의 한 예에 대해, 전층승강장호출 응답시험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9도는 제어정보의 보지 및 보지된 제어정보에 대응한 실측개시령을 주는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10도는 보지된 군관리제어정보에 대응한 정보의 실측을 행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11도는 상기 제9도 및 제10도의 순서에서 얻어진 제어정보와 이 제어정보에 대응한 실측정보를 비교하여 이상의 유무판정, 상태기록 및 정도진단을 행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12도-제18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제12도는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시스팀의 구성도.
제13도는 상기 제12도의 시스팀을 실현시키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14도는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 장치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15도는 보지된 군관리예측정보에 대응한 정보의 실측을 행할 경우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16도는 상기 제14도 및 제15도의 순서에 의해 얻어지는 군관리예측정보치와, 이에 대응한 실측치를 비교하여, 그 차이에서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고, 그때의 상태를 기록하는 예측정도진단(豫測精度診斷)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17도는 자기진단결과출력의 명령제어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18도는 상기 제17도의 자기진단결과 출력제어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용 CPU측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19도는 상기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3도의 처리를 변경하여 적용하는 경우의 플로차트.
제20도는 상기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1도의 처리를 변경하여 적용하는 경우의 플로차트도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동작시험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엘리베이터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시스팀은 복수의 엘리베이터카를 효율적으로 운행시키기 위하여, 각 엘리베이터카 제어용의 엘리베이터제어장치의 군관리제어장치를 갖추고 있다.
또, 엘리베이터카는 마이크로컴퓨터로된 제어장치를 갖추고 있으며, ROM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은, 생산성향상을 위해 표준화되어 있고, 기본적인 동작시험은 공장에서 모든것이 행해지고 검사까지도 완료된다.
그리하여, 이 기본동작을 행하는 표준프로그램에 대해서, 빌딩마다 다른 엘리베이터 동작사양이 공장출하 때에 선정되고, 각 동작사양에 따라 여러가지로 준비된 동작이 선택된다.
이에따라 각 엘리베이터카의 속도나 정지수(停止數)등이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적으로 설정되고, 각 빌딩별의 엘리베이터동작은 표준프로그램 및 동작사양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다.
제1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시스팀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카, 2는 엘리베이터카(1)에 대향배치된 균형추, 3은 엘리베이터카(1)은 승강동작시키기 위한 권양전동기이다.
4는 복수의 엘리베이터카(1)에 대응해서 설치된 엘리베이터제어반이고, 각각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 엘리베이트제어장치(5)와, 엘리베이터제어장치(5)로부터의 지령에 의해서 권양전동기(3)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제어회로(6)을 갖추고 있다. 엘리베이터제어장치(5)는, 중앙처리장치로서 작용하는 CPU(51)과, ROM(EPROM) 및 RAM으로 구성된 기억장치(52)와, 인텔품인 8525등의 소자로된 직렬의 전송장치(53) 및 (54)와, 구동제어회로(6)에 대한 지령을 전압변환등으로 인터페이스하는 변환장치(55)와, 모든구성요소(51)-(55)를 접속하는 내부버스(bus)(56)을 갖추고 있다.
기억장치(52)내의 일부인 RAM은 전지로써 정전시에 대비하여 백업되고 있다. 7은 엘리베이터카(1)에 설치된 마이크로컴퓨터로 된 제어장치이고, 전송장치(54)를 거쳐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5)와 접속되어 있고, 카호출등을 포함하고 있다.
8은 각 엘리베이터제어장치(5)에 접속된 군관리반이고, 마이크로컴퓨터로된 군관리 제어장치(9)를 갖추고 있다.
군관리제어장치(9)는 엘리베이터제어장치(5)와 같이 CPU(91), 기억장치(92), 전송관리(93)(94), 변환장치(95) 및 내부버스(96)을 갖추고 있다. 전송장치(93)은 각 엘리베이터제어장치(5)내의 전송장치(53)에 접속되어 있다. 또, 군관리제어장치(9)는 엘리베이터제어장치(5)내에 조합시켜 장치할 수 있고 따라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5)가 군관리기능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10은 군관리제어장치(9)내의 변환장치(95)에 접속된 승강장호출등을 위한 승강장기기이다. 11은 승강장기기(10)에 설치된 마이크로검퓨터로된 제어장치이고, 전송장치(94)를 거쳐서 군관리제어장치(9)에 선택정보를 줌과 동시에 군관리제어장치(9)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승강장 기기장치(10)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12는 엘리베이터제어장치(5)의 변화장치(55)에 접속된 승강장조명장치등의 승강장 기기이다.
13 및 14는 각 전송장치(94) 및 (54)에 각각 접속된 보수장치이고, 엘리베이터장치의 설치공사시와 조정 또는 보수작업시의 점검에 사용되고, LED등의 표시소자 및 조작스위치, 또는 랩톱형 퍼스널퍼컴퓨터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제2-제4도의 플로차트도를 참조하면서 군관리제어장치(9) 내의 CPU(91)의 통상동작의 한예에 관해 설명한다.
제2도는 승강장기기(1)에서 발생한 승강장호출에 대해서 할당엘리베이터카를 선택처리하는 전체적순서를 나타내고 있으며 군관리기능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다. 우선, 승강장호출이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 만일 등록되어 있으며 등록된 승강장호출중에서 미할당 승강장호출이 있는지를 판단하고(스텝 S2), 만일 미할당승강호출이 있으면, 미할당승강장호출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할당엘리베이터카를 선택하기 위한 승강장호출 l로 한다(스텝 S3).
그리고, 선택된 미할당승강장호출 l에 대해, 임시로 할당되었다고 가정하고 모든 엘리베이터카의 호기(號機)의 할당평가치를 구하고(스텝 S4), 산출된 할당평가치가 최소(평가가 가장좋은)의 호기 n을 선택하여(스텝 S5), 이것을 실제의 할당호기로 한다(스텝 S6).
최후에, 호기 n의 엘리베이더카를 승강장호출 l에 대한 할당호기로서 등록하고, 호기 n에 대해서 승강장호출 l에의 할당지령을 송신하고(스텝 DS7), 호기 n을 승강장호출 l에 응답시킨다. 제3도는 스텝 4에 있어서의 할당평가치산출루틴(routine)을 나하내고 있으며 이 루틴은 모든 호기에 대해서 동일 순서이므로, 한대만에 대해서 호기번호를 n라하여 설명한다.
우선 등록되어 있는 승강장호출중에서, 이미 할당완료로 되어있는 승강장호출에 대해 등록된 다음 현재까지의 계속대기시간을 전부 끌어내고(스텝 S11), 호기 n이외의 가할당 안된 호기에 대해, 이미 할당되어 있는 승강장호출에 응답하기까지(할당층까지)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현재의 시간(도착예상시간)을 산출한다(스텝 S12).
또, 계속대기시간은 타이머인터럽트 등의 타스크(task)에 의해 별도시간 가산된다. 다음에, 호기 n에 대해서 승강장호출 l을 가할당하였다하고, 호기 n가 이미 할당되어 있는 승강장호출(가(假)할당시의 할당층)에 의한 도착예상시간을 산출하고(스텝 13), 계속하여 가할당 승강장호출 l의 층까지의 호기 n의 도착예상시간을 산출한다(스텝 S14).
다음에, 호기 n이외의 가할당안된 호기에 대해, 이미 할당되어 있는 승강장호출(할당층)에 응답한 경우에 예상되는 엘리베이터카 내의 부하량(예상카의 부하)을 산출한다(스텝 S15).
또, 호기 n에 대해서, 승강장호출 l을 가할당했다하고, 호기 n가 이미 할당되어 있는 승강장호출(가할당시의 할당층)에 응답한 경우의 예상카부하를 산출하고(스텝 S16) 계속하여 가할당승강장호출 l에 응답한 경우의 호기 n의 예상카부하를 산출한다(스텝 S17).
최후로, 호기 n을 승강장호출 l에 가할당한 경우의 할당평가치를, 상기 스텝으로 구한 계속대기시간, 도착예상시간 및 예상카부하에 따라 소정의 계산식을 사용 산출한다(스텝 S18).
이 계산식은, 할당평가함수등으로 불리워지고, 예를들어 호기 n의 할당평가치를 Hn라하면
Hn=Tl+f(Ll)+Σi[(Wi+Ti)+f(Li)]
로 설명된다.
단, Tl은 호기 n의 가할당승강장호출 l로의 도착예정시간(스텝 S14 참조), Wi는 할당완료승강장호출 i의 계속대기시간(스텝 S11 참조), Ti는 할당완료승강장호출 i의 할당호기의 도착예상시간(스텝 S12 및 S13 참조), Ll은 호기 n의 가할당승강장호출 l에 대한, 응답시의 예상카부하(스텝 S17 참조), Ll은 할당완료승강장호출 l의 할당호기가 응답한 경우의 예상카부하(스텝 S15 및 S16 참조), f(Ll) 및 f(Li)는 승강장호출 l 및 i의 망원통과 패널리이고, Ll 및 Li의 값에서 도출된다.
또, (Wi+Ti)는 계속대기시간과 할당호기의 도착예정시간을 가산한 값이고, 예상 대기시간등으로 불리워진다.
여기서는, 예상대기시간과 마원통과의 가능성을 모든 승강장호출에 대해 평가하고 하나의 승강장호출을 할당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으나, 다른 평가요소도 있으며, 또 평가함 수도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4도는 스텝 S13에 있어서의 할당층까지의 도착예상시간의 산출루틴을 나타내고, 가할당되는 호기 및 가할당되지 아니한 호기에 대해서의 산출순서는 같고, 또 가할당 승강장호출일 경우에도 같다.
여기서는, 호기 n의 승강장호출 j로서의 도착예상시간을 산출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각층의 통과시간을 순차계산하여 누적, 가산하기 위한 누적시간 메모리의 초기치를 0로 크리어시키고(스텝 S21), 주사(走査)를 개시하는 층을 현재 엘리베이커가 위치하고 있는 층에 설정하고(스텝 S22), 위쪽으로 주사하는가 또는 아래쪽으로 주사하는 가를 나타내는 주사방향을 현재 엘리베이터카가 서비스하고 있는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초기설정한다(스텝 S23).
다음에, 주사층을 하나 갱신하고(스텝 S24), 갱신된 층이 최상층 또는 최하층의 종단층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25), 종단층이 아니면 스텝 S27로 나아가고, 종단층인 경우에는 주사방향을 반전시킨다(스텝 S26). 그리하여, 누적시간메모리에 갱신전의 층에서의 정지시간을 예측하여 가산한다(스뎁(S27).
또, 정지시간이란, 엘리베이터카가 정지중인 층에 대해서는 출발까지의 잔여시간이고, 카호출 또는 할당호출에 있어서는 기본시간(10초)에다 카홀출이 있으면 1초, 할당호출이 있으면 3초를 추가시킨 시간이 되고, 그외에 대해서는, 장래의 할당호출 및 현재의 할당호출에 의한 카호출과, 장래의 할당호출에 의한 카호출을 통계치등에서 예측하여 정지하는 기대치에 따른 카호출과, 할당호출에 의한 정지시간이 된다.
다음에, 층간 거리테이블과 엘리베이터카의 예측주행패턴에서, 갱신전의 층에서 갱신층에 엘리베이터카가 도착하기까지에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하여 누적시간메모리에 가산한다(스텝 S28).
다음에는, 갱신층이 승강장호출 j와 동일한가(스텝 S29), 또는 주사방향이 승강장호출 j와 동일한가를 판정(스텝 S30)하고, 갱신된 층 및 주사방향이 승강장호출 j와 일치한 경우에는 층의 주사를 종료시킴과 아울러, 누적시간 메모리의 값을 승강장호출 j로의 호기 n의 도착예상시간으로서 테이블에 기억시켜 선정한다(스텝 S31).
한편, 스텝 S29 및 S30에 의해 주사가 승강장호출 j에 도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24로 되돌아가고, 층을 바꿔서 동일한 순서를 반복한다. 상기 순서는, 빌딩의 사양에 마라 표준화된 프로그램으로서 실행되나, 이와같이 표준화된 엘리베이터시스팀에 있어서도, 설치현장이나 보수점검의 경우에는, 정황확인이가든가 고장검출, 나아가서는 기기의 접속착오의 검사를 위한 시험이 실시되고 있으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예를들면, 도착예상시간이 부정확하게 되는 원인으로서는, 표준화 프로그램이 공장에서 충분히 시험된것으로 치더라도 다음과 같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1) 사양정보의 착오
(2) 외부정보의 착오 또는 고장
(3) 엘리베이터카등, 군관리제어장치 이외의 제어장치의 착오
(4) 표준화 프로그램에 잔존하는 착오
또, 다른 군관리제어정보에 대해서도 같고, 생성되는 제어정보는 (1)-(4)의 원인에 의해 부정확한 것이 되기 쉽다.
이때문에, 종래부터 예를들어 일본국 특개소 55-11418호 공보에 발표된 것과 같은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한 엘리베이터제어장치에 외부에서 지령을 주어 시험운전 신호를 자동적으로 발생시키는 엘리베이터시험장치, 또는 일본국 특개소 58-172177호 공보에 발표된 바와같은 엘리베이터승객을 모의적존재로하여 발생시킨 승강장호출 이라든가 행선지호출의 등록등의 엘리베이터상태를 데이터로서 기록하고, 이 기록데이터를 해석하는 엘리베이터시험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시험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제어장치에 실행시킨 동작시험을 진단평가할 경우, 엘리베이터시스팀이외의 장치를 이용하여 별도로 해석 (解析)시킬필요가 있고, 정도높이 진단평가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품이 많이들뿐만아니라, 또 정보부족도 있어 기록된 한정적인 적은 데이터로부터 충분한 진단 평가를 행하기 곤란하다.
예를들면, 일본국특개소 55-11418호 공보에 의하면, 프로그램중의 가상적인 운전지령의 발생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명확한 이상 발생을 검출하는데는 확실히 효과가 있다.
그러나, 작은 동작불량등을 주의깊이 관찰하고 있지 않으면 발견할 수 없다. 또, 일본국특개소 58-177172호 공보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상태를 데이터로서 기록할뿐이며, 이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품이 많이 걸릴뿐만아니라 데이터의 타이밍적인 정보부족이 문제된다.
즉, 다수의 시험을 실시하면 이상을 발견할 수 있으나, 소수의 시험밖에 실행할 수 없는 설치현장이나 보수점검시에 있어서는 충분한 분석진단이 될 수 없다.
특히, 군관리성능상의 이상상태로서는, 엘리베이터카 호출에 응답치않는 등의 즉시 판명되는 사상과, 예측정도(精度)가 어긋나는등의 인적으로는 판정키 곤란한 사상이 있으며, 군관리성능이 약간 저하하는 등의 이상은 발견되지 못하는 일이 많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시험장치는, 이상과 같이 엘리베이터시스팀이외의 장치를 사용하여 분석하고 있으므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충분한 분석진단 및 평가가 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길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것으로, 사람의 손을 거치지않고 분석진단평가를 행하고, 모의시험동작중의 엘리베이터카의 제어정보률에서 예측정도의 어긋남등의 군관리성능의 이상까지도 발견할 수 있는 고정도이고 고신뢰성의 엘리베이터시험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의 실시예는 보수장치로부터의 동작지령정보에 따라 모의시험지령을 생성하는 모의시험검지수단과, 모의시험지령에 의하여 엘리베이터카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의시험실행수단과, 모의시험동작중의 엘리베이터카의 제어정보를 보존하는 제어정보보존수단과, 선택정보에 따라 제어정보에 대응한 실측정보를 구하는 제어정보 실측수단과, 제어정보와 실측정보를 비교하여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정도진단수단을 갖춘것이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의시험실행수단이 엘리베이터카를 동작시킬경우에 특정한 제어정보와, 실제로 엘리베이터카의 동작에 의하여 얻는 제어정보에 대응한 실측정보를 비교하고, 사람의 힘을 빌리지 않고 분석진단을 하고, 신뢰성높은 모의시험의 평가 및 이상의 발견을 행한다.
이하, 제1의 실시예를 도면과 같이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시스팀의 구성은 제1도에 나타낸바와같고, 보수장치(13),(14), 엘리베이터제어장치(5) 또는 군관리제어장치(9) 내의 프로그램이 변경되어 있으면 된다.
그리고 앨리베이터시험기능은 각 제어장치내의 CPU(51),(91), 또는 보수장치(13),(14)로 처리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되고, 이 프로그램은 기억장치(52),(92)내에 기억되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제5도는 기능블록도이고, 군관리제어장치(9)에 관해 시험을 하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으며, 엘리베이터 동작시험프로그램은 군관리제어장치(9)내의 CPU(91)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 있어서, 10은 전술하는 보수장치(13)에 해당하고, 예로서 랩톱형퍼스널 컴퓨터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1은 전송장치(94)에 해당하는 입출력장치이다.
22는 입출력장치(21)을 거쳐 보수장치(20)와 교신하면서 보수장치(20)로부터의 동작지령정보에 기준하여 모의시험지령을 발생시키는 모의 시험검지수단, 23은 모의시험지령에 의해 엘리베이터동작용의 시험타스크를 가동시키는 모의시험실행 수단이다.
24는 군관리제어장치(9)에 포함되는 군관리제어수단이고, 모의시험실행수단(23)으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엘리베이터제어수단(25)에 지령을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25는 엘리베이터제어장치(5)에 포함되는 엘리베이터제어수단이고, 군관리제어수단(24) 및 모의시험실행수단(23)으로부터의 각 지령에 따라 소정의 엘리베이터카(1)를 구동하도록 되어있다.
26은 엘리베이터제어수단(25)에 접속된 입력장치이고, 전송장치(54) 및 변환장치(55)에 해당한다. 27은 입출력장치(26)에 접속된 외부기기이고, 구동제어회로(6), 제어장치(1) 및 승강장기기(12)에 해당한다. 28은 군관리제어수단(24)에 접속된 외부신호출력수단, 29는 외부신호출력수단(28)에 접속된 출력장치이고, 전송장치(94) 및 변환장치(95)에 해당한다. 30은 출력장치(29)에 접속된 외부기기이고, 승강장기기(10) 및 제어장치(11)에 해당한다. 외부기기(30)은 접속된 입력장치, 32는 입력장치(31) 및 군관리제어수단(24)에 접속된 외부신호입력수단이고, 전송장치(94) 및 변환장치(95)에 해당한다. 33은 군관리제어수단(24) 및 외부신호입력수단(32)에 접속된 제어정보보존수단이고, 모의시험동작중의 엘리베이터카의 제어정보중에서 특정한 상황의 제어정보(여기서 군관리제어정보)를 판정하여 보존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특정한 상황이란 군관리제어수단(24)이 항상 생성, 소멸 및 갱신하는 제어정보치를 끌어내는 타이밍을 맞추기위한 것이고, 반드시 특정한 상황을 검출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특정한 상황을 검출치 않고 제어정보치를 보존할 수도 있으며, 제어정보실측수단(34)에서 실측을 개시하는 시점이 맞으면, 제어정도를 진단판정할 경우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없다.
34는 외부신호입력수단(32) 및 제어정보보존수단(33)에 접속된 제어정보실측수단이고, 외부기기(30)로부터의 선택정보 A에 따라, 제어정보보존수단(33)에 보존된 제어정보 B에 대응한 실측정보 C를 구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어정보보존수단(33)이 제어정보를 타이밍에 맞추어서, 보존한 제어정보를 실측하여 구하나, 이때 보존한 제어정보에 대응하는 값이 얻어질때까지 실측을 행한다.
35는 제어정보보존수단(33) 및 제어정보실측수단(34)에 접속된 정도진단수단이고, 제어정보 B와 실측정보 C를 비교하여 이상 유무를 판정함과 아울러, 그때의 상태를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36은 정도진단수단(35) 및 입출력장치(21)에 접속된 정도진단출력수단이고, 입출력장치(21)을 거쳐서 보수장치(20)과 교신하면서, 정도진단수단(35)으로부터의 이상유무판정결과 및 상태를 보수장치(20)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제6도-제11도의 플로차트 및 제1도를 참조하면서, 제5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6도는 랩톱형 퍼스널컴퓨터로 이루어진 보수장치(20)내의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시험의 실행명령제어를 행할 경우의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직렬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진 입출력장치(21)을 거쳐서 교신개시지령을 CPU(91) 즉 군관리제어수단(24)로 송신하고(스텝 S41), 응답신호의 수신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42), 응답신호가 얻어진 시점에서 보수장치(20)의 CRT에 “OK”라는 교신가능표시를 나타낸다(스텝 S43).
다음에는, 시험개시지령된 입력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44), 보수장치(20)위의 키보드에선 시험개시지령(동작지령정보) 및 시험항목번호 K를 입력시킨 시점에서, 항목 K의 시험개시지령을 입출력장치(21)을 거쳐서 CPU(91)로 송신한다(스텝 S45). 또 시험항목은 복수있으나, CPU(91)내의 프로그램은 지정된 항목K에 관해 동작시험을 실행한다.
다음에, CPU(91)의 항목 K의 시험종료신호의 수신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46), 수신한 시점에서 CRT에 항목 K의 종료표시를 행하며(스텝 S47), 계속하여, 시험결과의 표시지시를 입력시켰는가를 판정하고(스텝 S48), 키보드로 표시지령을 입력시킨 시점에서 항목 K의 시험결과 송신지령을 송신한다(스텝 S49). 여기서, 표시지령을 입력시키기 않으면, 스텝 S48에서 스텝 S52로 진행한다.
계속하여, 시험결과의 수신완료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50), 완료한 시점에서 항목 K의 시험결과 표시루틴을 호출하고(스텝 S51), 보수장치(20)의 CRT에 표시하는 절차를 항목 K에 대응하여 호출한다.
최후에, 항목갱신에 입력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52), 더나아가 새로운 항목을 시험하고자할 경우는, 키보드를 사용하여 항목갱신을 입력함으로써 스텝 S45로 되돌아와 같은 순서를 반복한다.
또, 항목갱신을 입력치 않을 경우에는, 시험종료의 입력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53), 시험종료지령을 입력시킨 시점에서, 시험종료지령이 CPU(91)로 송신된다(스템 S54). 한편, 시험종료지령을 입력치 않을 경우에는 스템 S53에서 스템 S48로 되돌아간다. 제7도는 제6도의 보수장치(20)내의 프로그램에 호응하여 처리되는 CPU(91)내의 프로그램의 전체적순서를 나타낸다.
우선, 교신개시 지령을 수신했느냐(스텝 S61), 또 시험개시지령을 수신했는지를 판정하고(스텝 S62), 각 지령을 수신한 점에서, 입력항목 K에 대응하는 시험마스크를 기동시키고(스텝 S63), 모의시험실행타스크에서 실행종료신호의 수신을 기다린다.
이 시험타스크는, 엘리베이터동작의 잘되고 잘못됨을 판정하는 것이고, CPU(91)에 의해 프로그램과 병렬로 실행된다.
다음에는, 항목 K의 시험타스크의 실행이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하고(스텝 S64), 종료한 시점에서 시험종료신호를 송신하고(스텝 S65), 다시 새로운 항목을 수신했는가를 판정하고(스탭 S66), 수신했으면(스텝 S63)으로 되돌아가서 시험타스크의 실행을 반복한다.
또, 새로운 항목을 수신안했으면 시험결과지령을 수신했는가를 판정하고(스텝 S67), 수신했으면 항목 K의 시험타스크에서 받은 시험결과데이터(판정기록테이블)를 보수장치(20)로 송신하고, 수신안했으면 S69로 진행한다.
최후에는, 시험송료지령의 수신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69), 수신한 시점에서 모의 시험을 종료하고, 수신안했으면 스텝 S66으로 되돌아간다.
제8도는 CPU(91)내의 프로그램으로 실행되는 모의시험타스크의 한예이고, 전층승강장호출응답시험의 동작순서를 나타낸다.
우선, 전층 승강장호출응답시험판정타스크를 가동시키고(스텝 S71), 전층의 상행 또는 하행의 승강장호출을 방향별로 군관리제어장치(9)에서 강제적으로 자동등록한다(스텝 S72).
또, 동작시험판정타스크가 기동된 다음에는, 타스크가 폐지될때까지 0.1초정도의 간격으로 반복하여 호출된다.
다음에는, 군관리제어장치(9)는 등록된 승강장호출에 대해 할당을 행하나, 할당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장호출에 응답한 경우의 엘리베이터가 행하는 모의동작을 지령하기 위하여, 이하의 승강장호출응답시 카동작지령타스크를 기동한다(스텝 S73).
이와같이하여, 통상적인 운전의 경우에는 동작하게 될 할당루틴이 기동되고, 전층각 방향별로 자동등록된 승강장호출에 대해, 각 엘리베이터카에 승강장호출이 할당되고, 엘리베이터의 동작이 행해진다.
또 할당된 승강장호출에 엘리베이터카가 응답한 경우에는, 승강장호출응답시에 카의 동작지령처리에 의해 소정의 층에 카호출을 등록시키는등의 지령이 출력되고, 엘리베이터카는 등록된 카호출에도 응답한다.
즉, 호기 n이 할당호출에 의해 정지했는지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74), 승강장호출에 응답한 경우의 모의동작을 지령하기 위한 타이밍을 검출한다. 만일, 승강장호출에 응답하여 할당호출에 의해 정지한 경우에는, 승강장호출마다에 설정한 소정의 층에 대해 카호출을 등록할 지령을 호기 n로 전송하고(스텝 S75), 정지가 이루어지지않은 경우에는 스텝 S77로 진행한다.
계속하여, 승강장호출에 응답한 경우, 승객의 승차에 의해 증가한 카의 부하량과 이 카의 부하량을 카의 내부하에 보태는 카부하증가지령을 호기 n로 전송한다(스텝 S76).
다음에는, 호기 n이 카호출에 의해 정지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77), 카호출에 응답한 경우의 모의 동작을 지령하기 위한 타이밍을 검출한다. 만일, 카호출에 의해 정지한 경우에는, 카호출에 응답한 경우, 승객이 카에서 내림으로써 감소하는 카의 부하량과, 이 카부하량을 카부하량을 카내부하에서 감하는 카부하감소지령을 호기 n로 전송한다(스텝 S78).
이상으로 카동작지령타스크는 종료되고, 계속하여 전층승강장호출응답시험의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전호기가 호출도 없이 대기중인지 여부에 의해 판정한다(스텝 S79).
그리하여, 전층승강장호출응답시험 판정타스크와 승강장호출응답시 카동작지령타스크를 폐지하고(스텝 S80), 전층승강장호출응답시험을 완료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하여, 동작시험을 판정하는 타스크에 의해 기동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군관리제어수단(24)가 생성하는 제어정보(여기서는 군관리제어를 위한 엘리베이터카의 예측정보)를 취득하여 실측하고, 제어정보의 정도를 측정하여 동작시험의 좋고 나쁨을 판정한다.
제9도는 제어정보의 보지 및 보지된 제어정보에 대응한 실측개시지령을 주는 루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루틴은 도착예상시간 및 예상카부하에 대해 행해지며, CPU(91)내의 프로그램에 의해 0.1초정도의 간격으로 반복하여 호출되는 타스크중에서 처리되는 것이고, 각층 각방향의 승강장호출마다에, 등록된 엘리베이터카가 할당되었을때에, 그 승강장호출에 대해 실제 할당된 호기의 도착예상 시간 및 예상카부하를 군관리제어정보로서 끌어내고, 할당된 승강장호출에 대응하는 테이블에 설정기억보지함과 동시에 보지한 제어정보에 대응하는 값의 실측개시를 지령하는 동작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모든 승강장호출에 대해, 제어정보보존테이블에 설정할것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주사를 개시하는 층을 최하층으로 하고(스텝 S81), 주사하는 승강장호출의 방향을 나타내는 주사방향을 상행으로 설정한다(스텝 S82).
주사층 및 주사방향을 갱신하여 주사하는 승강장호출을 하나 갱신한다(스텝 S83). 다음에는, 주사중의 승강장호출을 j로하고, 주사승강장호출 j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84),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승강장호출 j가 할당완료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85).
이렇게 하여, 주사중의 승강장호출 j에 대해, 등록되고 또 할당완료된 경우에 한해서, 제어정보를 제어정보보존테이블에 설정한다.
만일, 스텝 S84 및 S85에 있어서, 승강장호출 j의 등록 또는 할당완료여부가 판정되지 않고, 군관리제어정보가 얻어지지않을 경우에는, 스텝 S94로 진행하고, 제어정보보존테이블에의 설정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스텝 S85에 있어서 할당완료로 판정된 경우에는, 실측지령의 유무에 따라 제어정보보존테이블에 승강장호출 j의 도착예상시간이 보존완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86). 그리하여, 도착예상시간이 보존완료되지 않았다고 판정될 경우는, 승강장호출 j의 할당호기명을 끌어내고(스텝 S87), 또, 할당호기 n의 승강장호출 j로서의 도착예상시간을 끌어내고(스텝 S86), 승강장호출 j에 대응한 제어정보보존테이블의 번지에 기억설정한다.
동시에 승강장호출 j에의 도착예상시간의 실측지령도 설정한다(스텝 S89). 실측지령을 설정하면, 다른 실측루틴에 의해 실측이 개시되고, 실측이 종료되면 실측지령이 실측루틴에 의해 해제된다.
또, 실측지령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보존완료로 판정된다. 또, 스텝 S86에 있어서, 도착예상시간이 보존완료로 판정되면 스텝 S90으로 진행한다.
다음에, 실측지령의 유무에 따라 승강장호출 j의 예상카부하가 제어정보보존테이블에 설정완료되었는지를 판정하고(스텝 S90), 보존완료되지 않었을 경우는, 승강장호출 j의 할당호기명을 끌어내고(스텝 S91) 또는 할당호기 n와 30자가 승강장호출 j에 대해 응답할 경우의 예상카부하를 끌어내고(스텝 S92), 승강장호출 j에 대응한 제어정보 보존테이블의 번지에 기억설정한다.
동시에, 승강장호출 j에 대해 응답한 경우의 예상카부하의 실측지령도 기억한다(스텝 S93). 실측지령을 설정하면, 다른 실측루틴에 따라 실측이 개시되고, 실측이 종료되면 실측지령이 실측루틴에 의해 해제된다.
또, 실측지령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보존완료로 판정된다. 또, 스텝 S90에 있어서, 예상카부하가 보존완료로 판정되면 스텝 S94로 진행한다. 최후에, 모든 승강장호출을 주사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94), 주사하는 승강장호출이 있으면 스텝 S83으로 되돌아가고, 주사하는 승강장호출이 없어졌을때 종료로 한다.
또, 여기서 보존하는 도착예상시간은, 승강장호출이 등록되고 즉시 판독한 시간이므로 승강장호출의 예상대기시간과 같다.
이 예상대기시간을 실측하여 비교하는 것도 효과적인 진단방법이다. 여기서, 전술한 할당평가함수(割當評價函數)로 참조한 바와같이 예상대기시간은 보존할 경우의 도착예상시간 및 계속대기시간을 보탠것이므로, 제9도의 순서중에, 도착예상시간, 및 계속대기시간을 가산하여 예상대기시간으로서 설정하는 스텝을 프로그램에 짜넣음으로써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제10도는 보지된 군관리제어정보에 대응한 정보의 실측을 행하는 루틴예를 나타낸다. 이 루틴은, 도착예상시간에 대해 행해지고, CPU(91)내의 프로그램에 의해, 0.1초정도의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호출되는 타스크중에서 처리되는 것으로, 각 층 각 방향의 승강장호출마다, 실측지령이 주어진것에 대해, 실측지령이 주어지고 할당된 호기가 도착할때까지의 시간을 실측하고, 또 실측정보 및 관련정보를 판정용테이블에 기억시키고, 실측지령을 해제하여 다음의 실측에 대비하는 동작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모든 승강장호출에 대해 기억테이블에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제9도의 스텝 S81-S83과 같이, 주사를 개시하는 층을 최하층으로하고(스텝 S1(1)승강장호출의 주사방향을 상행으로 설정하고(스텝 S102), 주사층 및 주사방향을 갱신한다(스텝 S103).
다음에는, 주사중의 승강장호출 j에 대해 도착예상시간 실측지령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04), 설정되어 있을때만 실측을 행한다. 실측지령이 설정되어 있을경우, 승강장호출 j가 시간계측중인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05), 계측중이 아닌경우, 즉 실측을 개시한 경우에는, 승강장호출 j에 대한 시간계측메모리를 클리어시키고 계측시간을 0에 초기설정하고(스텝 S106), 계측중이라는 프래그(flag)를 설정하고 승강장호출 j를 계측중으로 하고(스텝 S107), 스텝 S114로 진행한다.
또, 스텝 S105에 있어서, 시간계측중으로 판정될 경우에는, 전번의 이 루틴이 처리된 다음의 경과시간을, 승강장호출 j에 대응하는 시간계측메모리에 가산한다(스텝 S108). 그리하여, 승강장호출 j의 할당호기 n을 끌어내고(스텝 S109), 계속하여, 승강장호출 j의 할당호기 n이 승강장호출 j에 응답했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10), 응답한 시점에서, 계측시간, 도착예상시간, 할당호기번호를 판정용테이블에 설정하고, 판정개시지령을 설정한다(스텝 S111).
이와 같이 하여, 승강장호출 j로의 실측을 완료하여, 실측결과를 도착예상시간 판정용테이블의 승강장호출 j의 난(欄)에 다음같이 설정기억시킨다.
(ⅰ) 그때까지의 승강장호출 j에 대응하는 시간계측메모리의 값을 실측치란에 설정한다.
(ⅱ) 제어정보보존테이블에서 승강장호출 j에 대응하는 도착예상시간을 끌어내서, 예측치란에 설정한다.
(ⅲ) 제어정보보존테이블의 승강장호출 j의 할당호기번호를 할당호기란에 설정한다.
(ⅳ) 승강강호출 j의 판정개시지령을 설정한다.
다음에는, 제어정보보존테이블중의 승강장호출 j의 도착예상시간 실측지령을 해제하고(스텝 S112), 또 계측중의 프래그를 해제하고 승강장호출 j를 계측중이 아닌 것으로 하고(스텝 S113), 다음의 진단에 대비한다. 최후에는, 모든 승강장호출을 주사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14), 주사하는 승강장호출이 있으면 스텝 S103으로 되돌아가고, 주사하는 승강장호출이 없어진 경우에 종료한다.
제11도는 제9도 및 제10도의 순서에서 얻어지는 제어정보와 이 제어정보에 대응한 실측정보를 비교하여 이상의 유무판정, 상태기록 및 정도진단을 행하는 루틴의 예를 나타낸다. 이 루틴은, 도착예상시간에 대해 행해지고, CPU(91)내지 프로그램에 의해 0.1초 정도의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호출되는 타스크중에서 처리되는 것으로, 각층 각 방향의 승강장호출마다, 판정용테이블에 설정된 도착예상시간과 실측시간을 비교하고, 그 차의 절대치의 크기에 따라 이상의 정도를 판정함과 동시에, 그 결과를 판정결과테이블에 설정기억하는 동작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모든 승강장호출에 대해 진단할 것인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제9도의 스텝 S81-S83과 같이, 주사개시층을 최하층으로 하고(스텝 S121), 주사방향을 상행으로 하고(스텝 S122), 주사층 및 주사방향을 갱신한다(스텝 S123).
다음에는, 주사중의 승강장호출 j에 대해, 판정개시지령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24), 판정개시지령이 있는 것에 대해서만 진단을 행한다. 판정개시지령이 없는 경우는, 스텝 S135로 진행한다.
스텝 S124에 있어서 판정개시지령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느, 주사중의 승강장호출 j에 대해, 판정용테이블에서 실측시간(계측시간) 및 도착예상시간을 끌어내고(스텝 S125), 그 차의 절대치를 실측치로 나눗셈하여(차의 절대치/실측치)에서 차이의 율을 구한다.(스텝 S126). 그리하여, 산출된 차이의 율의 값이 제1의 소정치(예:0.01)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27), 제1의 소정치이하이면, 정도가 대단히 높다고 판정하고, “고정도”를 판정결과테이블에 설정한다(스텝 S128). 또, 산출치가 제1의 소정치보다 클 경우는, 제2의 소정치(예:0.1)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29), 제2소정치이하이면, 정도에는 특별히 이상이 없다고 하고, “정상”을 판정결과테이블에 설정한다(스텝 S130).
또, 산출치가 제2의 소정치보다 클 경우는, 제3의 소정치(예:0.5)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31), 제3의 소정치 이하이면, 정도가 나쁘다고 판정하고, “주의”를 판정결과 테이블에 설정하고, 동시에 원인구명의 참고로서 할당호기번호도 설정한다(스텝 S132).
또, 산출치가 제3의 소정치보다 클 경우에는, 정도가 대단히 나쁘다고 하고 “이상”을 판정결과 테이블에 설정하고, 동시에 원인구명의 참고로서 할당호기번호도 설정한다(스텝 S133).
다음에는, 판정개시지령을 해제하고(스텝 S134), 다음의 진단에 대비함과 동시에, 모든 승강장호출을 주사했느냐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35), 주사하는 승강장호출이 있으면 스텝 S123으로 되돌아가고, 주사하는 승강장호출이 없어졌을때 종료한다. 이리하여, 제어정보로서 군관리제어정보, 특히 군관리예측정보를 취득하고, 이 제어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실측정보에서 제어정도를 판정하여 동작시험이 행해지나, 엘리베이터시스팀의 동작의 양부판정은, 동시에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행해지고 있음은 말할 필요가 없다.
또, 이와 같은 군관리예측정보를 취득하여 동작시험판정을 행하는 엘리베이터시험장치는 엘리베이터카의 도착예상시간이라든가 예상부하량의 정보를 진단판정하는 것이므로, 군관리 제어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도착예상시간이나 예상부하량의 기본이 되는 것이므로, 군관리 제어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도착예상시간이나 예상부하량의 기본이 되는 각 엘리베이터카의 제어프로그램 및 주행동작과 저울장치 등의 광범위한 검사에 적용할 수 있다.
또, 운행패턴을 실행할 경우의 운행패턴제어 정보에 대해서, 예를들면 엘리베이터카의 배차대수지령정보에 대해 실제로 승차한 승객수의 과부족을 판정하는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군관리제어장치(9)에 보수장치(20)을 접속하여 동작시험을 행할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각 엘리베이터카의 엘리베이터제어장치(5)에 접속시켜 동작시험을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예를들면 엘리베이터제어장치(5)에서 얻어지는 가속도패턴 등을 제어정보로서 취득하고, 이 제어정보와, 엘리베이터카(1)이 실제로 동작한 경우에 입력정보에서 실측되는 주행곡선을 비교함으로써, 가속도패턴데로 엘리베이터카(19)이 주행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르면, 보수장치에서의 동작지령정보에 따라 모의시험 지령을 생성하는 모의시험검지수단과, 모의시험지령에 의해 엘리베이터카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의시험실행수단과, 모의시험동작중의 엘리베이터카의 제어정보를 보존하는 제어정보수단과, 선택정보에 따라 제어정보에 대응한 실측정보를 구하는 제어정보실측수단과, 제어정보와 실측정보를 비교하여 이상의 유무를 진단하는 정도 진단수단을 갖추고, 모의시험실행수단이 엘리베이터카를 동작시키는 경우의 특정한 제어정보와, 실제로 엘리베이터카가 동작함으로 인하여 얻어지는 제어정보에 대응한 실측정보를 비교하도록 하였으므로, 사람의 힘을 빌리지 않고 분석진단이 가능하게 되고, 이상 발견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신뢰성 높은 엘리베이터시험장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는, 제2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내부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실측하여 얻어지는 실제의 정보를 비교하여 군관리성능을 자동적으로 진단하도록 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서 생성되는 예측정보를 잡아내서 보존하는 수단과, 보존한 예측정보에 대응한 값을 외부입력산호로 실측하는 수단과, 보존한 예측정보치와 실측치를 비교하며 이상의 유무를 진단하는 수단이 갖춰져 이루어졌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에서 생성되는 군관리성능을 좌우하는 기본적인 예측정보를 잡아내서, 이 예측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실측에 의해 얻은 정보치를 비교하여 진단을 행함으로써, 복잡한 처리과정에서 얻어지는 예측정보의 정도의 진단을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정상과 이상의 판별이 되지 않는 것과 같은 군관리성능의 저하에 관해서도 이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하에, 이 제2의 실시예를 제12도-제18도와 같이 설명한다.
제12도는 이 실시예의 기능블록도이고, 제5도의 대응부분은 같은 부호를 사용하였다. 엘리베이터제어장치 또는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장치는, 보통, 승강장호출이나 카호출뿐만 아니라, 모터, 도어, 감시실기기 등의 외부장치 및 외부기기로부터의 신호입력을 받아들여, 이에 따른 제어처리를 행한다음 재차 제어신호를 외부장치 및 외부기기로 출력 또는 송신한다.
도면에 있어서, 24는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반 또는 엘리베이터제어반내의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장치에 설치된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수단, 25는 엘리베이터제어반 내의 엘리베이터제어장치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제어수단, 31은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장치에 설치되고, 변환기 등의 신호입력기기 및 전송기기를 포함한 입력장치, 32는 입력장치(31)로부터 들어온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장치에 대한 외부입력신호를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수단(24)에 부여하고,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를 하기위한 외부신호입력수단이고, 이 외부신호입력수단으로부터의 외부입력신호는 후술하는 군관리정보실측수단 및 군관리예측정보보존수단에도 주어진다.
29는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장치에 설치되고, 변환기 등의 신호출력기기 및 전송기기를 포함하고 있는 출력장치, 28은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수단(24)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외부기기로 출력 또는 송신하는 외부신호출력수단, 30은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장치 이외의 장소에 위치하는 승강장호출버튼 등의 엘리베이터기기 또는 엘리베이터의 주변장치에 상당한 외부기기로 입력장치(31)에 접속되어 있다.
26은 엘리베이터제어수단(25)와 외부기기(27) 사이에서 신호의 입출력 및 신호의 송수신을 하기 변환기등의 신호입출력기기 및 전송기기를 포함한 입출력장치이고, 상기 외부기기(27)은 엘리테이터제어장치 이외의 장소에 위치한 행선층(行先層) 버튼 등의 엘리베이터기기 또는 엘리베이터의 주변장치에 해당한다. 21은 후술하는 보수기기와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전송기기를 포함한 입출력장치, 20은 엘리베이터를 설치할때와 조정 또는 보수할 때의 점검에 사용되는 보수기기이고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장치에 LED 등의 표시소자 또는 조작스위치로 구성된 것이라든가 전송소자를 거쳐서 랩톱형 퍼스널컴퓨터를 사용하는것 등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랩톱형 퍼스널컴퓨터를 사용한 경우를 나다내고 있다.
23은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수단으로 생성되고 군관리제어정보로서 사용되는 군관리예측정보를, 특정한 상황을 판정하고 특정한 시점까지 보존하는 군관리예측정보 보존수단이며, 여기서 군관리예측정보를 보존하는 특정한 상황이란,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수단이 항상 생성, 소멸, 갱신하는 예측정보치를 끌어내는 타이밍을 맞추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것은, 반드시 특정한 상황을 검출하는 것이 아니고 군관리예측정보를 보존하는 것도 가능하고, 군관리정보실측수단으로 실측을 개시하는 시점이 맞으면, 예측정도를 진단할 경우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없다. 군관리예측정보를 보존하는 특정시점으로서는, 보존된 예측정보치에 대응하는 실측치가 얻어진 시점을 의미하는 것이다.
24는 군관리예측정보보존수단(23)에서 보존한 군관리예측정보에 대응하는 값을 실측하는 군관리정보실측수단이고, 이 군관리예측정보보존수단으로 군관리예측정보를 보존한 타이밍에 맞추어서 보존한 예측정보에 대응하는 값을 실측한다. 이때, 보존한 예측정보에 대응한 값이 얻어질 때까지, 즉 군관리예측정보보존수단(23)에서 설명한 특정시점까지의 실측을 행한다.
25는 군관리예측정보보존수단(23)으로 보존한 군관리예측정보치와 군관리정보실측수단(24)로 실측한 실측치의 차이에서, 이상의 유무판정과 이것을 기록하는 예측정도진단수단이다. 36은 입출력장치(21)을 거쳐서 보수기기와 갱신을 행하고, 예측정도진단수단으로 기록된 이상유무의 판정과 상태를 출력하는 진단결과출력수단이고 보수기기가 랩톱형 퍼스널컴퓨터 등의 기기이면, 진단결과의 표시 또는 플로피디스크에 의한 기록 등의 수단은 보수기기측에서 갖게되고, 보수기기가 LED 등의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장치에 갖추어진 보수기기라면, 진단결과출력수단(36)이 표시의 제어 또는 조작스위치로 부터의 입력신호의 처리를 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자기진단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반 또는 엘리베이터제어반 내의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장치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수단(24)는, 입력장치(31)로부터의 승강장호출등의 외부기기정보와 엘리베이터제어수단(25)으로부터의 각 카정보로부터, 군관리제어정보로서 다용되는 군관리예측정보를 생성하고, 등록된 승강장호출에 대한 최적한 카할당 등의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를 행한다. 군관리제어를 위한 제어지령 등은, 외부신호출력수단(28)에서 출력장치(29)를 거쳐서 외부기기(30)으로, 또 엘리베이터제어수단(25)로 출력된다. 엘리베이터제어반 내의 엘리베이터제어수단(25)는,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수단(24)로 부터의 제어정보에 따라, 입출력장치(26)을 거쳐서 외부기기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를 등록된 행선호출 및 할당된 승강장호출에 응답시킨다.
군관리예측정보보존수단(23)은,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수단(24)에서 생성되는 군관리예측정보를, 특정한 상황을 판정하여 장래의 특정시점까지 보존하고, 군관리정보실측수단(24)는, 군관리예측정보보존수단(23)에서 보존된 군관리예측정보에 대응하는 값을 실측한다. 예측정도진단수단(25)는 보존된 군관리예측정보와 실측된 값으로 군관리예측정보의 정도를 진단하고, 이상유무를 판단한다. 판단결과는, 진단결과 출력수단(36)에서 입출력장치(21)을 거쳐서, 퍼스널컴퓨터 등의 보수기기(20)으로 출력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상과 같이, 엘리베이터자체가 군관리예측정보를 보존하고, 이 보존한 군관리예측정보에 대응한 정보를 실측으로부터 얻음으로써, 이 실측치와 예측정보치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서 예측정도의 어긋남 등으로서만 결과가 나타나는 사상(事象)에 대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유무를 자기진단할 수 있다. 또, 자기진단의 결과는, 보수기기(29)을 거쳐서 알 수 있다.
제13도는, 상기 제12도에서 나타낸 원리시스템을 실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같은 도면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카, 2는 평형추, 3권양전동기, 4는 복수의 엘리베이터카(1)에 대응하여 설치된 엘리베이터제어반이고, 각각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제어장치(5)와 전동기의 구동제어회로(6)을 갖춘 권양전동기(3)을 제어하여 엘리베이터카 및 평형추를 승강제어한다.
상기 엘리베이터제어장치(5)는, 장치전체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CPU)(51), 판독만 가능한 ROM(EPROM)과 판독, 기록이 가능한 RAM으로 구성된 기억장치(일부의 ROM은 전지로써 정전시에 대비 백업되어 있다)(52), 군관리장치(9)와 접속하기 위한 인텔사 제품인 8251 등의 소자로 구성된 직렬전송장치(53), 카싱의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 제어장치(제어장치(5)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7)과 접속하기 위한 직렬전소장치(54), 구동제어회로(6)과 접속되어 외부정보를 입력하고, 또 권양전동기(3)을 제어하기 위한 지령을 출력하는 것을 전압변환 등에 의하여 인터페이스하는 변환장치(55)를 갖추고, 이 변환장치(55)는 승강장기기(제12도의 외부기기(27)에 해당하고, 승강장조명장치 등으로 구성됨)(12)와도 접속되어 있다.
56은 내부버스이다. 4는 상기 엘리베이터제어반(4)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8은 엘리베이터군고나리반, 9는 엘리베이터군관리반(8)속에 조합되 설치된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 군관리제어장치로서, 전체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PU)(91), ROM(EPROM)과 RAM으로 구성된 기억장치(92), 제어장치(4)(5)와 접속시키기 위한 직렬전송장치(93), 동작시험지령 등을 부여하는 보수장치(제1도의 보수장치(20)에 해당)(13) 및 승강장 제어장치(11)과 접속시키기 위한 직렬전송장치(94), 승강장호출 등의 승강장기기(제12도의 외부기기(30)에 해당)(10)과 접속시켜 외부정보를 입력하고, 또 승강장기기(10)을 제어하기 위한 지령을 출력하는 것을 전압변환 등에 의해 인터페이스하는 변환장치(95)를 갖추고 있다. 96은 내부버스이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제14도 내지 제18도의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4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장치의 처리수단을 나타내는 것이고, 군관리예측정보를 끌어내서, 그것을 보지함과 아울러, 보지한 정보에 대응해서 실측의 개시를 지령하는 루틴을 예로서, 도착예상시간과 예상카부하에 대해 행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각 층 각 방향의 승강장호출마다 승강장호출이 등록되고, 카가 할당되었을 경우에 그 승강장호출에 실제로 할당된 호기의 도착예상시간과 예상카부하를 산출해 내고, 할당된 승강장호출에 대응하는 테이블에 설정, 기억시킴과 동시에, 설정한 정보에 대응한 값을 실측하는 지령을 설정한다. 또, 이 루틴을 0.1초 정도의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호출되는 타스크중에서 처리되는 것이다.
제14도에 있어서, 스텝 S140에서는, 모든 승강장호출에 대해, 예측정보보존테이블에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주사를 개시하는 층을 최하층으로 하고, 다음의 스텝 S141에서, 주사하는 승강장호출의 방향을 지시하는 주사방향을 상행으로 한다.
다음의 스텝 S142에서는, 주사층을 갱신하여 주사하는 승강장호출을 하나 갱신한다. 최상층에 도달한 경우는 주사방향을 하행으로 한다. 주사중 승강장호출을 j로 한다.
다음의 스텝 S143에서는, 주사승강장호출 j가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또 스텝 S144에서 승강장호출 j가 할당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에따라 주사중인 승강강호출 j에 대해 등록되고 또 할당완료된 경우에 대해서만 예측정보보존테이블에 설정시킨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군관리예측정보가 얻어질 수 없으므로, 예측정보보존테이블에 설정치 않는다.
다음의 스텝 S145에서는, 도착예상시간에 대해서, 실측지령의 유무에 다라 미보존(예측정보보존테이블에 미설정)인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고, 미보존인 경우에는, 스텝 S146으로 이행하여, 승강장호출 j의 할당호기 번호를 끌어내서 승강장호출 j에 대응한 예측정보보존테이블의 번지에 기억시키고, 또 다음의 스텝 S147에 있어서의 할당호기 n의 도착예상시간을 끌어내서 승강장호출 j에 대응한 예측정보보존테이블의 번지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다음 스텝 S148에서 승강장호출 j로의 도착예상시간의 실측지령도 설정한다. 실측지령이 설정되면, 다른 실측루틴으로 실측을 개시하고, 실측이 종료되면 실측지령이 실측루틴으로 해제된다(실측지령이 설정되어 있을때, 보존완료로 판정한다).
다음의 스텝 S149에서는, 예상카부하에 대해, 실측지령의 유무에 의해 미보존(예측정보보존테이블에 미설정)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미보존인 경우에는 스텝 S150으로 이행하여, 승강장호출 j의 할당호기번호를 끌어내서 승강장호출 j에 대응한 예측정보보존테이블의 번지로 기억시키고, 또, 다음 스텝 S151에 있어서 할당호기의 예상카부하를 끌어내 승강장호출 j에 대응한 얘측정보보존테이블의 번지에 설정한다.
그리하여, 다음의 스텝 S115에 있어서, 승강장호출 j에 대한 응답시의 예상카부하의 실측지령도 설정한다. 실측지령이 설정되면, 다른 실측루틴에서 실측을 개시하고 실측이 종료되면 실측지령이 실측루틴으로 해제된다(실측지령이 설정되어 있을때, 보존완료라 판정한다).
스텝 S153에서는, 모든 승강장호출을 주사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주사할 승강장호출이 없어진 경우에 종료한다. 또, 이 경우에 보존하는 도착예상시간은, 승강장호출이 등록된 다음 즉시 판독한 값이기 때문에, 승강장호출의 예측대기시간과 같아지는 것이다. 예측대기시간을 실측하여 비교하는 것도 유효한 진단이 된다. 이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예측대기시간은, 보존할 경우의 도착예상시간과 그때까지의 계속대기시간을 가산하여 그것을 예측대기시간으로 하여 설정한 순서를 짜넣으므로써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제15도는 보지된 군관리예측정보에 대응한 정보의 실측을 행하는 루틴의 예로서, 도착예상시간에 대해 행하는 플로차트이다.
여기서는, 각 층 각 방향의 승강장호출마다, 실측지령이 발신된 것에 대해, 실측지령이 발신된 다음 할당된 호기가 도착하기까지의 시간을 실측한다. 또, 실측치와 관련정보를 판정용테이블에 기억시킨다.
또, 이 루틴은 0.1초 정도의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호출되는 타스크중에서 처리되는 것이다.
제15도에 있어서, 스텝 S160에서는, 모든 승강장호출에 대해, 판정용테이블에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주사를 개시하는 층을 최하층으로 하고, 다음의 스텝 S161에서, 주사하는 승강장호출의 방향을 지시하는 주사방향을 상행으로 한다.
다음의 스텝 S162에서는 주사층을 갱신하여 주사하는 승강장호출을 하나 갱신한다. 최상층에 도달한 경우는 주사방향을 하행으로 한다. 주사중 승강장호출을 j라 한다.
다음의 스텝 S163에서는 주사중의 승강장호출 j에 대해, 도착예상시간실측지령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실측지령이 설정된 경우에는, 스텝 S154로 진행하고, 승강장호출 j는 시간을 계측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계측중인 경우에는 스텝 S167로 진행하고, 계측중이 아닌 경우, 즉 실측을 개시한 경우에는 스텝 S165로 진행하고, 승강장호출 j에 대한 시간계측메모리를 크리어시키고(0에 초기설정), 다음의 스텝 S166에서 승강장호출 j를 계측중인 프래그를 설정한다. 스텝 S167에서는, 전번의 루틴이 처리된 다음의 경과시간을 승강장호출 j에 대응한 시각계측메모리에 가산한다.
그리하여, 다음의 스텝 S168에 있어서, 승강장호출 j의 할당호기 n을 끌어내고, 다음의 스텝 S169에서 할당호기 n은 승강장호출 j에 대해 응답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할당호기 n이 승강장호출 j에 응답한 시점에서 승강장호출 j에 대한 실측을 완료하고, 그 실측결과를 도착예상시간 판정용테이블의 승강장호출 j의 난에 다음과 같이 설정 기억시킨다. 즉, 스텝 S170에 있어서, (1) 그때까지의 승강장호출 j에 대응한 시간계측메모리의 값을 실측치란에 설정, (2) 예측정보보존테이블에서 승강장호출 j에 대응한 도착예상시간을 끌어내 예측치란에 설정, (3) 예측정보보존테이블의 승강장호출 j의 할당호기번호를 할당호기란에 설정, (4) 승강장호출 j의 판정개시지령을 설정, 스텝 S170에서의 설정처리가 종료되면, 스텝 S171로 진행하고, 예측정보보존테이블중의 승강장호출 j의 도착예상시간실측지령을 해제하고, 다음의 진단에 대비한다.
또, 다음의 스텝 S172에서, 계측중의 프래그를 해제하고, 다음의 진단에 대비한다. 그리고, 스텝 S173에서 모든 승강장호출을 주사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주사하는 승강장호출이 없어진 때에 종료한다.
제16도는, 제14도 및 제15도의 순서에 의해 얻어진 군관리예측정보치와, 이에 대응한 실측치를 비교하여, 그 차이에서 이상유무와 판정과 그때의 상태를 기록하는 예측정도진단루틴의 예로서, 도착예상시간에 대해 행하는 플로차트이다.
여기서는, 각 층 각 방향의 승강장호출이 있을때마다, 판정용테이블에 설정된 도착예상시간과 실측치를 비교하고, 차의 절대치의 크기에 따라, 이상의 정도(程度)를 판정함과 아울러, 그 결과를 진단결과 테이블에 설정, 기억시킨다
또, 이 루틴은 0.1초 정도의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호출되는 타스크중에서 처리되는 것이다.
제16도에 있어서, 스텝 S180에서는, 모든 승강장호출에 대해 진단할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주사를 개시하는 층을 우선 최하층으로 하고, 다음의 스텝 S181에서 주사하는 승강장호출의 방향을 표시하는 주사방향을 상행으로 한다.
다음의 스텝 S182에서는, 주사층을 갱신하여 주사하는 승강장호출을 하나 갱시한다. 최상층에 도달한 경우에는 주사방향을 하행으로 한다. 주사중 승강장호출을 j라 한다.
다음의 스텝 S183에서는, 주사중의 승강장호출 j에 대해, 판정개시지령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개시지령이 있을때는, 스텝 S184로 진행하여, 주사중의 승강장호출 j에 대해 판정용테이블에서 실측치와 도착예상시간을 끌어내고, 다음의 스텝 S185에서 차의 절대치÷실측치에서의 차이의 율을 구한다. 이 차이의 율이 제1의 소정치(예:0.01)이하인 것이 스텝 S186에서 판정되면, 스텝 S187로 진행하고, 정도(程度)가 대단히 높다고 하여 ‘고정도’를 진단결과 테이블에 설정한다. 또, 스텝 S186에 있어서 제1의 소정치 이상이라고 판정된때는, 스텝 S188로 진행하여, 제2의 소정치(예:0.1)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차이의 율이 제1의 소정치를 초과하고, 제2의 소정치(예:0.1)이하이면, 스텝 S189에서 정도에 특별한 이상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고 ‘정상’을 진단결과 테이블에 설정한다. 또, 다음의 스텝 S190에서는, 차이의 율이 소정치를 초과하고, 제3의 소정치(예:0.5)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YES”이면 스텝 S191, 진행하고 정도가 나쁘다고 하여 ‘주의’를 진단결과 테이블에 설정한다.
또, 보수원의 조사참고자료로서 할당기호번호도 설정한다. 스텝 S190에서의 판정이 제3의 소정치 이상으로 된 경우는, 스텝 S192로 진행하고 정도가 대단히 나쁘다고 하여 ‘이상’을 진단결과테이블에 설정하고, 조사참고자료로서 할당호기번호를 설정한다.
다음의 스텝 S193에서는, 판정개시지령을 해제하고, 다음의 진단에 대비한다. 또, 스텝 S194에서는, 모든 승강장호출을 주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주사하는 승강장호출이 없어진때에 종료한다.
상기한 것은, 승강장호출이 등록될 때마다, 도착예상시간과 실측치를 비교하여 예측정도진단을 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복수의 진단결과테이블에 순차적으로 그 차이와 그때의 할당호기번호를 기록하여 두고, 예를들면, 매일 진단결과테이블을 각 층 각 방향의 승강장호출마다 주사하고, 하루의 차이의 평균치에서 이상의 정도를 진단하면 진단에 오차가 포함될 가능성이 적어지고, 진단결과의 신뢰도가 높아진다.
또, 이 하루의 차이의 평균치와 같이, 승강장호출마다 대응하는 할당호기의 누계를 취하고, 그것을 주사하여 하루의 차이의 평균치가 이상을 나타내는 호기번호가 특정한 호기에 편재해 있으면 특정호기의 이상임이 진단된다.
제17도는 립톱형 퍼스널컴퓨터에서 자기진단결과 출력의 명령제어를 행할 경우의 프로그램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여기에 있어서, 직렬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 CPU에 자기진단결과 출력명령을 전송하고, 자기진단결과를 수신하며,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자기진단결과의 표시내용은 일반적인 취급을 위한 형태로 하기 위해, 항목번호 n로 처리하고 있다. 예를들면, 항목번호에는 도착예상시간, 예상카내 부부하 등의 단위로 대응하고 있다.
제17도에 있어서, 보수장치(13)의 랩톱형 퍼스널컴퓨터를 조작함으로써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장치(9)와의 교신개시를 행하기 위하여 명령을 송신한다(스텝 S200). 이에 의하여 각 엘리베이터제어장치(5),(7)로부터 오는 응답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201), 응답신호를 수신하였음을 판정하면, 직렬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장치(9)와의 전송을 개시한다. 그리하여, 다음의 스텝(S202)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의 CRT에 교신개시 OK를 표시한다.
다음 스텝 S203에서는, 키보드에서 결과표시지령과 표시항목번호를 입력시켰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표시항목번호(n로 대표한다)를 입력시켰음이 판정되면, 스텝 S204로 진행하고,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 CPU에 항목 n의 판정결과데이터 송신명령(커만드)을 송신한다.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장치(9)에서 판정결과데이터를 수신완료하면, 판정결과를 랩톱형 퍼스널컴퓨터에 표시하는 수속을 항목번호 n에 대응하여 호출한다(스텝 S205,S06).
다음의 스텝 S207에서는, 키보드의 입력에서 판정결과표시항목을 갱신할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또 다음 스텝 S208에서 표시요구의 종료여부를 판정한다.
다음의 스텝 S209에서는, 교신종료령령을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장치로 전송하여 교신을 종료한다.
제18도에는, 제17도의 자기진단결과출력처리에 대응한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용 CPU측의 프로그램이고, 제17도의 랩톱형 퍼스널컴퓨터의 프로그램순서에 따라, 그 출력명령에 합당한 자기진단결과의 표시내용을 송신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직렬인터페이스를 거쳐서, 랩톱형 퍼스널컴퓨터에 자기진단결과출력명령으로 지정된 항목번호에 대응하는 자기진단결과의 표시내용을 송신하는 것이다.
제18도에 있어서, 우선, 스텝 S210에서, 퍼스널컴퓨터에서 교신개시명령을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교신개시를 수신하면 처리를 개시한다. 그리하여, 다음의 스텝 S211에서 판정결과 송신개시를 수신하며, 스텝 S212로 진행하여, 판정결과 표시항목번호 n에 대응하는 판정결과테이블 내용을 송신한다.
다음의 스텝 S213,S214에서는, 퍼스널컴퓨터에 판정결과테이블의 내용을 송신한 다음, 다음이 지시를 기다리고 그 지시에 따라 다음의 처리를 행한다. 즉, 새로운 표시항목을 수신하면 재차 수신한 항목번호의 판정결과테이블의 내용을 송신한다. 교신종료명령을 수신하면 처리를 종료시킨다.
제19도 및 제20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2도 및 제14도-제18도는 그대로 사용한다.
제19도는 제3도에 대응하고, 제20도는 제11도에 대응하는 플로차트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군관리제어를 행하기 위한 군관리예측정보가 엘리베이터제어장치의 CPU로 실행되는 엘리베이터제어수단으로부터 산출되고, 이것을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수단에 전송하여 군관리제어처리를 행하는 시스팀의 구성인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다. 제19도는 엘리베이터제어수단에서 오는 예측정보를 사용하기 위해, 제3도에 대응하는 처리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는, 각 호기의 엘리베이터제어수단으로 산출된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수단에 전송된 예측정보에 따라 할당평가치를 산출하는 순서로 한 것으로, 가할당호기(假割當號機)n에 대해서는 수신한 예측정보 중에 선택승가장호출 l을 할당했다고 할 경우의 예측정보를, 가할당호기 n이외의 호기에 대해서도 수신한 예측정보 중 가할당하지 않은 경우의 예측정보를 사용하고 있다.
제19도에 있어서, 스텝 S220에서는, 등록되 있는 승강장호출 중에, 이미 할당완료되 있는 승강장호출이 등록된 다음 현재까지의 계속대기시간을 끌어낸다.(계속대기시간은 타이머인터럽트 등의 타스크에서 별도로시간이 가산되고 있다).
스텝 S221에서는, 호기 n 이외의 가할당하지 않은 호기에 대해서, 각 호기에서 수신한 할당되 있는 승강장호출에 응답하기까지의 도착예상시간을 끌어낸다.
스텝 S222에서는, 호기n에 대해 가할당승강장호출 l을 임시로 할당했다하고, 호기 n로부터 수신한 이미 할당되어 있는 승강장호출 및 가할당승강장호출 l로의 도착예상시간을 끌어낸다.
스텝 S223에서는, 호기 n이외의 가할당하지 않은 호기에 대해, 각 호기에서 수신한 할당되 있는 승강장호출에 응답한 경우의, 예측카부하를 끌어낸다.
스텝 S224에서는, 호기 n에 대해 가할당승강장호출 l을 할당했다하고, 호기 n이 이미 할당되어 있는 승강장호출 및 가할당승강장호출 l에 응답한 경우의 예측카부하를 끌어낸다.
스텝 S225에서는 호기 n을 승강장호출 l에 가할당한 경우의 할당평가치를 소정의 계산식에 따라 산출한다.
제20도에 관해서는, 제11도에 대응한 처리가 엘리베이터제어수단으로 실행되도록 변경시킨 것이다. 호기 n로서 일반적으로 행하지 않는 순서라면 그대로 처리되는 것이다.
제20도에 있어서, 스텝 S230에서는, 각 층마다의 통과시간을 순차적으로 계산하여, 그것을 누적가산시켜 가기 위한 기억용 메모리의 초기치를 0으로 크리어시킨다. 또 다음의 스텝 S231에 있어서, 주사를 개시하는 층을 현재 카가 있는 층으로 설정하고, 다음 스텝 S232에서 상행으로 주사할 것인지 하행으로 주사할것인지를 지시하는 주사방향을, 현재 카가 서비스하고 있는 방향과 같이 초기 설정한다.
다음의 스텝 S223에서는, 주사층을 하나 갱신하고, 이하의 스텝에서 앞층에서 갱신층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하여 구하고, 그것을 누적시간 메모리에 가산시킨다. 즉, 스텝 S234에 있어서, 갱신된 층이 최상층인지 또는 최하층의 종단층인지를 판정하고, 종단층인 경우에는, 스텝 S235로 진행하고, 다음에 주사하기 위한 주사방향을 반전한다. 그리하여, 다음의 스텝 S236에서는, 갱신전의 층에서의 정지시간을 제11도의 경우와 같이 예측하고 누적시간메모리에 가산시킨다.
다음의, 스텝 S237에서는 층간거리테이블과 위의 예측주행패턴으로부터 갱신전의 층에서 갱신층으로 카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하여 누적시간메모리에 가산한다.
다음의 스텝 S238에서는, 갱신된 층이 승강장호출 j의 층인지를 판정하고 “YES”인 경우, 스텝 S239로 진행하여, 갱신된 층과 주사방향이 승강장호출 j와 동일한진 여부를 판정한다. 동일한 경우에는, 스텝 S240으로 진행하고, 층에 대한 주사를 완료시킴과 동시에 누적시간메모리의 값을 호기 n의 승강장호출 j로의 도착예측시간으로서 송신한다. 또, 스텝 S238에 있어서 주사가 승강장호출 j에 도달치 못했을 경우는, 스텝 S233으로 되돌아가고, 층을 갱신하여 스텝 S235 이후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현한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도, 군관리예측정보의 정도를 진단함으로써, 고장 등을 자기진단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와 같은 경우에는, 예측정보가 생성되는 발생장소의 이상(異常)이 명확해진다.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착예상시간과 예상카부하를 군관리예측정보로 하여 보존할 것을 나타낸 것이나, 다른 군관리예측정보, 예로써 예측대기시간, 각 층의 예측승강장호출등록을, 각 층의 예측승강량 등 통계로 얻어지는 예측정보의 정도진단도 포함하여, 예측정보라면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자기진단결과를 출력하는 장치를 보수장치라 하였으나, 출력하는 장치는, 빌딩의 관리인에게 통보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감시장치일지라도 좋고, 또 보수회사 등의 전화회선 등을 거쳐서 접속되는 집중감시장치이어도 좋다. 엘리베이터의 감시장치 또는 보수회사 등의 집중감시장치에 출력하면 조속히 복구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의하면, 생성된 군관리 예측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실측으로 얻어진 정보치를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의 자기진단을 행하는 것이므로, 사양선택의 잘못이나, 기기의 수배의 잘못, 또 빌딩교통의 변화라든가 기기의 고장때문에 예측정도의 어긋남 정도로만 결과가 나타나는 사상에 대해서도 정도 좋게 진단할 수 있다.

Claims (2)

  1.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기 인한 승강장호출버튼과 행선지버튼으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연산된 예측정보치를 포함하는 제어정보에 기준하여 복수의 엘리베이터카로부터 응답카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엘리베이터카를 목적층으로 주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카의 군관리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가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된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수단, 상기 군관리제어수단에 사용하기 위한 군관리예측정보를 보존하는 군관리예측정보보존수단, 상기 군관리예측정보보존수단으로 보존되는 예측치에 대응하는 값을 외부입력신호로부터 실측하는 군관리정보실측수단, 상기 예측치와 상기 실측치를 비교하여, 이상의 유무를 진단하는 예측정도진단수단을 갖춘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장치.
  2. 엘리베이터를 제어 또는 군관리제어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제어장치 또는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장치, 상기 엘리베이터제어장치 또는 엘리베이터군관리제어장치, 접속된 조작장치에서 동작지령정보가 입력되면 시험동작을 실행하는 엘리베이터의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작지령정보에 따라 모의시험지령을 부여하는 모의시험검지수단, 상기 모의시험검지수단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동작시키는 동작시험실행수단, 상기 동작시험실행수단에 의해 모의시험동작주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정보를 보존하는 제어정보보존수단, 상기 제어정보보존수단에 의해 보존되는 제어정보에 대응한 정보를 외부입력신호로부터 실측하여 구하는 제어정보실측수단, 상기 제어정보와 상기 실측정보를 비교하여, 이상의 유무를 진단하는 정도진단수단을 갖춘 엘리베이터 시험장치.
KR1019890010668A 1988-08-04 1989-07-27 엘리베이터 시험장치 KR9200110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95201A JPH0248376A (ja) 1988-08-04 1988-08-04 エレベータの自己診断装置
JP195201 1988-08-04
JP88-195201 1988-08-04
JP63218264A JPH0825699B2 (ja) 1988-09-02 1988-09-02 エレベータ試験装置
JP218264 1988-09-02
JP88-218264 1988-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051A KR900003051A (ko) 1990-03-23
KR920011084B1 true KR920011084B1 (ko) 1992-12-26

Family

ID=26508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0668A KR920011084B1 (ko) 1988-08-04 1989-07-27 엘리베이터 시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27299A (ko)
KR (1) KR920011084B1 (ko)
CN (1) CN1020577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3746A1 (en) * 2013-10-08 2015-04-1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ntrol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938B1 (ko) * 1992-11-21 1996-04-18 엘지산전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운전 진단 시스템
JP3202396B2 (ja) * 1993-03-26 2001-08-27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異常解析データ収集装置
FI102884B (fi) * 1995-12-08 1999-03-15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n toimintojen analysoimiseksi
ES2209699T3 (es) * 1999-03-03 2004-07-01 Inventio Ag Dispositivo para comprobar el control para casos de incendio de una instalacion de ascensores.
EP1050503B1 (de) * 1999-05-03 2004-06-16 Inventio Ag Hilfesystem für Aufzüge
US6484125B1 (en) * 2000-05-09 2002-11-19 Otis Elevator Company Service information derived from elevator operational parameters
US6325179B1 (en) * 2000-07-19 2001-12-04 Otis Elevator Company Determining elevator brake, traction and related performance parameters
FI117432B (fi) * 2002-02-05 2006-10-13 Kone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y hissin kaukovalvontaan
US7004289B2 (en) * 2003-09-30 2006-02-28 Shrum Iii William M Elevator performance measuring device and method
PL2238067T5 (pl) * 2008-01-17 2019-02-28 Inventio Ag Instalacja dźwigowa, sposób obsługi takiej instalacji dźwigowej oraz sposób doposażenia istniejącej instalacji dźwigowej do takiej instalacji dźwigowej
WO2010031426A1 (de) * 2008-09-16 2010-03-25 Inventio Ag Verfahren zur modernisierung einer aufzugsanlage
BRPI1013008A2 (pt) * 2009-05-20 2018-01-16 Inventio Ag "ativação de uma unidade de comando"
US10112801B2 (en) 2014-08-05 2018-10-30 Richard Laszlo Madarasz Elevator inspection apparatus with separate computing device and sensors
WO2017042858A1 (ja) * 2015-09-07 2017-03-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信号送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信号送信方法
US10981750B2 (en) * 2016-09-23 2021-04-20 Otis Elevator Company Prognostic analysis of elevator performance using sensors and internet of things
EP3315450B1 (en) 2016-10-31 2019-10-30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ic test of deterrent device
CN109969888B (zh) * 2017-12-28 2021-12-31 奥的斯电梯公司 电梯***的无线信标的测试以及电梯***的现场配置
US11597629B2 (en) 2018-12-27 2023-03-0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operation adjustment based on component monitoring
CN113998552B (zh) * 2021-11-16 2023-05-05 王优亮 一种特种电梯安全性能综合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883A (en) * 1977-07-04 1979-02-01 Hitachi Ltd Abnormalness detector of automatic controller
US4249238A (en) * 1978-05-24 1981-02-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Apparatus for sensor failure detection and correction in a gas turbine engine control system
JPS5511418A (en) * 1978-07-07 1980-01-26 Hitachi Ltd Test operating apparatus of elevator
JPS58105373A (ja) * 1980-01-12 1983-06-23 メゾガツダサジ・エス・エレルミスゼリパリ・スゼルヴエゾ・ヴアララ−ト 電子装置
JPS58172177A (ja) * 1982-04-02 1983-10-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性能評価装置
JPS5939668A (ja) * 1982-08-27 1984-03-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制御状態捕捉装置
JPS5974872A (ja) * 1982-10-19 1984-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交通の統計装置
JPS59149280A (ja) * 1983-02-15 1984-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管理装置
US4604718A (en) * 1983-04-25 1986-08-05 Simulated Designs, Ltd. Computer simulation system
JPS602578A (ja) * 1983-06-17 1985-01-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管理装置
JPS6048874A (ja) * 1983-08-23 1985-03-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管理装置
JPH0789283B2 (ja) * 1984-11-02 1995-09-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数式処理制御システム
JPH0610069B2 (ja) * 1984-12-05 1994-02-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JPH0734162B2 (ja) * 1985-02-06 1995-04-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類推制御方法
JPS61257879A (ja) * 1985-05-09 1986-11-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群管理装置
US4716517A (en) * 1985-09-11 1987-12-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vator
US4663703A (en) * 1985-10-02 1987-05-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Predictive model reference adaptive controller
JPS62126086A (ja) * 1985-11-22 1987-06-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群管理装置
JPH0694341B2 (ja) * 1986-02-25 1994-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待時間予測装置
DE3772812D1 (de) * 1986-04-11 1991-10-17 Mitsubishi Electric Corp Selbsteinstellender regler.
US4838384A (en) * 1988-06-21 1989-06-13 Otis Elevator Company Queue based elevator dispatching system using peak period traffic predi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3746A1 (en) * 2013-10-08 2015-04-1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ntrol system
US10308476B2 (en) 2013-10-08 2019-06-0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ntrol system having controller in communication with power provi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27299A (en) 1991-06-25
KR900003051A (ko) 1990-03-23
CN1040179A (zh) 1990-03-07
CN1020577C (zh) 199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1084B1 (ko) 엘리베이터 시험장치
US686316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elemonitoring an elevator to determine its need for maintenance
US70508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ircraft components for maintenance purposes
CN110498310A (zh) 轿厢位置确定装置以及轿厢位置确定方法
CN108569604B (zh) 电梯及其轿厢内异常检测装置的诊断***和诊断方法
EP3640178B1 (en) Determining elevator car location using vibrations
EP3363758A1 (en) Mechanism for monitoring operation of passenger transport device
JPH09237103A (ja) 保守支援システム
JPH1192049A (ja) エレベータの異常診断装置
CN112390105B (zh) 电梯运行检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H10226470A (ja) エレベータの振動解析装置
CN112173908B (zh) 一种电梯处于运行状态的监测***及电梯
JP2502766B2 (ja) エレベ―タの故障診断装置
JP2001341956A (ja) エレベータの遠隔保守方法及び遠隔保守システム
CN109484936B (zh) 电梯维护作业管理***以及电梯维护作业管理方法
JPH0270683A (ja) エレベータ試験装置
JPH01122885A (ja) 昇降機の点検整備管理装置
CN112660957B (zh) 一种电梯运行风险的预警方法及预警***
JP2871927B2 (ja) エレベーターの診断運転装置
JPH0248376A (ja) エレベータの自己診断装置
KR100368774B1 (ko) 엘리베이터용 포터블 안전진단장치 및 그 방법
JPH0546891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KR102651107B1 (ko) 엘리베이터 이상 검출 시스템 및 방법
WO1995022089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diagnostics d'incidents
JPH072438A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