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044B1 - 실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실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044B1
KR910008044B1 KR1019880002707A KR880002707A KR910008044B1 KR 910008044 B1 KR910008044 B1 KR 910008044B1 KR 1019880002707 A KR1019880002707 A KR 1019880002707A KR 880002707 A KR880002707 A KR 880002707A KR 910008044 B1 KR910008044 B1 KR 910008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guide
insert
guide tub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2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385A (ko
Inventor
타츠오 다케하나
후미오 마츠다
Original Assignee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0622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5610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12336A external-priority patent/JP2524766B2/ja
Application filed by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filed Critical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1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실안내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실안내장치의 전체적인 평면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에 있어 동작시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서 인서어트의 앞끝단 부분의 일부 절결 사시도.
제6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의 실안내장치의 일부 절결 단면도.
제9도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의 동작 설명도.
제12도 내지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의 동작 설명도.
제14도 및 제1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단면도.
제16도 내지 제1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단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단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안내장치 2 : 실
3 : 안내부재 4 : 안내관
5 : 걸어맞춤부재 6 : 노즐
7 : 붙잡음부재 8 : 급사체
9 : 클램퍼 10 : 얀가이드
11 : 커터 12 : 구동용 실린더
13 : 센서 14 : 지지홈
15 : 테이퍼 구멍 16 : 인서어트
17 : 스톱퍼 18 : 스프링 받이
19 : 스프링 20 : 테일(tail)스톱퍼
21 : 단턱부 22 : 배관
23 : 개폐밸브 24 : 압력 공기원
25 : 테이퍼면 26 : 슬리트(slit)
27 : 끼워맞춤부 28 : 니이들
29 : 포트 30 : 배관
31 : 개폐밸브 32 : 지지돌기
33 : 지점핀 34 : 뒤끝단편
35 : 코일스프링 36 : 긴구멍
37 : 캠 38 : 홈
39 : 실린더 40, 41, 42 : 영구자석
43 : 테이퍼 구멍 끝단면 44 : 캠
45 : 실린더 46 : 슬라이더
47 : 긴구멍 48 : 끝단면
49 : 호울더 50 : 브라켓트
51 : 보조 인서어트 52 : 지지홈
53 : 유연한 커플링 54 : 연결롯드
55 : 에어실린더 56 : 피스톤롯드
57 : 안내부재 58 : 코일 스프링
59 : 헬드
본 발명은, 섬유기계 특히 직기에서 대기위치의 실을 이송하고, 안내관의 내부로 끌어당겨 통하여 설정된 위치에 인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 본 발명의 선행 기술로서, 일본국 특개소 61-47849호(미국특허 제4,658,866호, EPO 제 85109 853.3호 참조) 「위사안내방법」을 들 수가 있다.
그 발명은, 실 끊어짐시에, 새로운 급사체의 실을 측장 저류장치까지 안내하기 위하여, 새로운 급사체에서의 실의 끝단부를 흡인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안내관의 내부에 인도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 방법에 의하면, 안내관에로의 실끝단의 흡입에 불확실함이 발생하는 것과, 안내관이 새로운 급사체의 실의 끝단부를 흡인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내부로 끌어들이고,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급사체의 바깥둘레로부터 실이 인출될 때에, 그 인출(감김)저항이 안내관 내부의 흡인 공기의 흐름에 의한 공기 마찰적인 붙잡는 힘보다도 크게 되면, 실의 끝단부가 안내관의 내부에서 빠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인 공기의 흐름을 강하게 하고, 안내관의 내부에서의 공기와 마찰하는 실에 인장 강도를 높히면, 방적실에서는 안내관의 내부에 끌어들인 실의 끝단부가 잡아 되돌려지는 현상을 일으키고, 그 결과, 실끊어짐이 발생하고, 상기의 현상과 마찬가지로 안내관의 내부에서 실의 끝단부가 빠지는 등의 현상을 발생하여, 안정된 실안내 동작을 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끝단을 안내관으로 보냄과, 인출 저항이 큰 최초의 급사체로부터의 실인출을 확실하게 행하여서, 실끼우기 등 실안내의 안정된 자동화를 도모하는 것에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실 끝단을 안내관에 끌어들일 때에는 실끝단부분을 외부에서 밀폐한다거나, 또는 기계적으로 실끝단부분을 안내관 방향으로 밀어내고, 또한 급사체에서의 최초의 실인출은, 대기 위치쪽에서 실의 끝단부를 안내부재 및 안내관중에서 가동쪽의 것에 설치된 한쌍의 붙잡음부재로서 붙잡으며, 그 붙잡음부재를 그 상태대로 안내관쪽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실끝단의 안내관에로의 끌어들이는 과정에서 그 이송기류(흡인기류)가 강하게 되거나, 이송기류에 드러나는 실길이가 길게 되기 때문에, 실끝단은 용이하게 안내관으로 끌어들이게 된다.
또한, 급사체에서의 실인출 과정에서는, 실끝단은 기계적으로 붙잡아져서 인출 방향으로 끌어들이게 되므로, 그 인출 저항이 커지더라도 실은 확실하게 인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송기류(흡인기류)를 강하게 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실의 끝단부를 끌어들일때에는 실끊어짐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급사체로부터 실을 인출할 때에, 안내관의 내부에서 실의 끝단부가 빠지는 등의 현상도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일련의 실의 안내동작이 확실하게 된다.
다음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제1도 내지 제5도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실안내장치(1)를 나타내고 잇다.
이 실안내장치(1)는, 안내되는 실(2)의 대기위치에 형성된 안내부재(3)와, 안내부재(3)에서 설정된 위치를 두고서 형성되어 있고, 이송된 실(2)을 내부에 끌어당겨 통하여 설정된 위치로 인도하는 안내관(4)으로 되어 있다.
안내부재(3)는, 실(2)과 교차하는 상태에서, 고정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편, 안내관(4)은, 안내부재(3)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전진 후퇴가 자유롭게 형성되고, 그의 입구쪽에서, 걸어맞춤부재(5)를 지지하고 있다.
걸어맞춤부재(5)는, 그의 내부에서 공기분사용의 노즐(6)을 구비하고, 또한 외측부분에서 한쌍의 붙잡음부재(7)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 상기 실(2)은, 위사이고, 2개의 급사체(8)에 의하여 공급되며, 그들의 감기는 처음 끝단과 감기는 마지막 끝단의 부분에서 서로 매듭지어, 소위 트랜스퍼 테일(Transfer tail)의 상태로 되어 있고, 2개의 클램퍼(9)에 끼워진 상태이며, 이들의 클램퍼(9)사이의 안내부재(3)의 앞끝단부분에 마주대하고 있다.
한쪽의 급사체(8)에서의 실(2)은, 얀가이드(10)의 큰 구멍을 통하고, 걸어맞춤부재(5)를 지나서, 안내관(4)의 내부로 도입되고, 최종적으로 설정된 위치 즉 도시하지 아니한 측장저류(測長貯留)장치에 도달되어 있다.
또한, 이 실(2)은, 안내부재(3)의 양쪽위치에서, 커터(11) 및 그들의 구동용 실린더(12)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서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이 실(2)의 존재 즉 실이 끊어지지 않은 상태는, 예를 들면 얀가이드(10)에서 걸어맞춤부재(5)에 도달하는 사이에서, 광전식의 센서(13)에 의하여 검출된다.
상기 안내부재(3)는, 제2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로서 원통형상이고, 앞끝단이 V자 형상의 지지홈(14)의 부분에서 앞이 넓어진 테이퍼 구멍(15)을 형성하며, 또한 통형상의 인서어트(16)에 대하여, 전진 후퇴가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고, 인서어트(16)쪽의 스톱퍼(17)의 바깥둘레면을 미끄러지면서, 스톱퍼(17)과 스프링 받이(18)와의 사이의 스프링(19)에 의하여, 전진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있다.
이 때에 안내부재(3)의 전진범위는, 스톱퍼(17)와 테일 스톱퍼(20)와의 맞닿는 관계에 의하여 규제되고 있고, 또한 그의 후퇴 범위는, 스톱퍼(17)와 안내부재(3)의 단턱부(21)와의 맞닿는 관계에 의하여 규제되고 있다.
또한, 이 인서어트(16)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부분이 가늘게 형성되어 있고, 테이퍼면(25)의 부분에서 모선 방향의 슬리트(26)를 형성하고 있다.
이 슬리트(26)의 바닥부분은, 앞이 가는 부분의 테이퍼면(25)과 대략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서어트(16)의 뒤끝단부분은, 직기의 프레임 등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배관(22) 및 전자식의 개폐밸브(23)를 개재하여 압력 공기원(24)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걸어맞춤부재(5)는, 안내부재(3)와 마찬가지로 전체가 통형상이고, 한쪽끝단의 끼워맞춤부(27)의 부분에서 안내관(4)의 앞끝단부분에 눌러 넣은 등의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그 내부에서 안내부재(3)의 방향에서 안내관(4)의 방향을 향하여서 가늘게 되는 내경의 통형상의 니이들(28) 및 이 니이들(28)의 앞끝단부분에서, 이것과 동일 중심적으로 조합된 노즐(6)을 구비하고 있다.
이 노즐(6)은, 니이들(28)의 앞끝단 개구부분에 대하여 간극을 형성하고, 걸어맞춤부재(5)의 포트(29), 배관(30) 및 전자식의 개폐밸브(31)를 개재하여 압력 공기원(24)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붙잡음부재(7)는, 각각 지점핀(33)에 의하여 걸어맞춤부재(5)에 대하여 회전 동작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뒤끝단편(34)의 부분에서 코일 스프링(35)에 의하여 앞끝단부분에서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앞끝단의 지지돌기(32)의 부분과, 걸어맞춤부재(5)의 앞끝단부에 형성된 긴구멍(36)부분에서 걸어맞춤부재(5)의 내부로 들어가고, 중심위치에서 서로 접합하고 있다. 또한 이 한쌍의 붙잡음부재(7)의 뒤끝단편(34)은, 걸어맞춤부재(5)의 후퇴위치에서, 직기의 프레임 등에 고정된 쐐기 형상의 캠(37)과 대응하고 있다.
실(2)이 제1도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급사체(8)에서 인출되고, 안내관(4)의 내부를 통과하고, 측장저류장치에서 측장(測長)되며, 위입노즐 등에 의하여 경사 개구중으로 위입된다.
이 사이에, 실 끊어짐이 없으면, 센서(13)는, 실(2)의 존재를 확인하여, 정지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급사체(8)와 얀가이드(10)의 사이에서, 실(2)이 끊어지면, 센서(13)는, 실이 끊어진 상태를 검출하여, 직기를 자동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하여, 신호를 발생한다. 이것에 의하여 직기는,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직기의 정지 후에, 측장저류장치 및 위입장치 쪽에서, 예를 들면, 미국 특허출원 제903,816호나 EPC 특허출원 제86112239.8호로서 출원중인 장치에 의하여 남은 실처리가 행하여진 후에, 본 발명의 실안내장치(1)는, 새로운 다른쪽의 급사체(8)로부터,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실(2)을 인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순차적인 동작을 개시한다.
먼저, 안내관(4)은, 에어실린더 또는 벨트나 체인 등의 감아걸림체에 의한 송출장치에 의하여, 후퇴 위치에서 제1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걸어맞춤부재(5)를 얀가이드(10)의 큰 중심구멍속을 통과하여, 안내부재(3)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이동의 도중에서, 한쌍의 붙잡음부재(7)가 캠(37)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35)에 힘을 가하여 닫혀진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걸어맞춤부재(5)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부재(3)의 테이퍼 구멍(15)의 내부로 들어가고, 그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지만, 안내관(4)은 탄력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걸어맞춤부재(5)는 테이퍼 내면에 완전하게 걸어맞추는 위치까지 안내부재의 속으로 들어간다.
이 걸어맞춤에 의하여 안내부재(3)와 걸어맞춤부재(5)와의 축중심이 일치하고, 또한 한쌍의 붙잡음부재(7)와 안내부재(3)와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걸어맞춤 후에도, 걸어맞춤부재(5)는 더욱더 스프링(19)에 대향하여, 안내부재(3)를 후퇴시키면서 전진한다. 안내부재(3)가 후퇴하는 과정에서, 한쌍의 붙잡음부재(7)는, 전진하여 인서어트(16)의 테이퍼면(25)에 맞닿아서, 개방상태로 된다. 또한, 안내부재(3)가 후퇴할 때에, 지지홈(14)의 내부의 실(2)은, 인서어트(16)의 슬리트(26)부분에 들어가고, 니이들(28)의 개구쪽의 근방으로 안내된다.
인서어트(16)의 슬리트(26)의 일부분은 붙잡음부재(7)의 지지돌기(32)로서, 커버되지만,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트(26)는 그의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리트까지 지지돌기(32)로서 커버될 수는 없다. 그래서, 인서어트(16)에 의하여 지지돌기(32)사이에 삽입된 실(2)은 지지돌기(32)로서 구속되지 않고, 자유로운 상태로 있다.
이 상태에서, 개폐밸브(23)(31)가 개방상태로 되기 때문에, 인서어트(16)의 내부에서 니이들(28)의 구멍을 향하여서 실안내 방향의 공기의 흐름이 발생함과, 동시에 노즐(6)에 의하여서도 안내관(4)의 내부에 실안내 방향의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 실이 끊어진 쪽의 급사체의 커터(11)가 동작하여, 안내부재(3)와 클램퍼(9)와의 사이에서 실(2)이 절단된다. 그리고, 실(2)의 앞끝단은, 공기의 흐름에 편승하여, 니이들(28)의 내부에서 노즐(6)의 내부를 거쳐, 공기의 흐름과 함께, 안내관(4)의 내부로 끌려 들어간다. 이 때에, 안내부재(3)와 걸어맞춤부재(5)가 결합상태로 있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이 흩어짐이 없고, 따라서 안내부재(3)에서 안내관(4)에로의 실(2)의 받아넘김이 확실하게 행하여진다. 다음에,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관(4)은, 걸어맞춤부재(5)와 함께 송출장치에 의하여 후퇴하여 간다.
걸어맞춤부재(5)가 후퇴하는 과정에서, 한쌍의 붙잡음부재(7)는, 인서어트(16)의 테이퍼면(25)에서 떨어지고, 코일 스프링(35)에 힘을 가하여서 서로 접근하며, 한쌍의 지지돌기(32)의 사이에 안내관(4)에서 안내관(4)으로 연결하는 실(2)을 기계적으로 붙잡는다.
그 후에, 개폐밸브(23),(31)가 닫히기 때문에, 노즐(6) 및 인서어트(16)로부터의 공기의 흐름이 없어진다. 또한, 이 개폐밸브의 닫힘은 걸어맞춤부재가 후퇴하기 직전에서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안내관(4) 및 걸어맞춤부재(5)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래의 대기 위치까지 복귀한다. 이 때에, 한쌍의 붙잡음부재(7)의 뒤끝단면(34)이 다시 캠(37)에 맞닿아서, 개방상태로 되기 때문에, 실(2)은, 한쌍의 붙잡음부재(7)에 의한 구속에서 해방되고, 다음에 안내관(4)에 의한 실(2)의 끌어당김 통과가 행하여진다.
즉, 이 상태에서, 포트(29)로부터 노즐(6)에 다시 압력 공기가 공급되면, 실(2)은 그 상태대로, 그 공기의 흐름과 함께, 안내관(4)의 내부를 통하여, 측장저류장치 쪽의 회전 얀가이드의 내부에 자동적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일련의 동작이 완료하고, 직기는 측장저류장치에 대하여서의 예비 감김이나, 위입 노즐에 대한 실끼우기 후에, 기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일련의 동작은, 시이퀀스에 의하여, 각각의 스텝의 동작 완료를 확인하면서,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이것은, 다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인서어트(16)내의 공기의 흐름은, 노즐(6)과 마찬가지로 가압 공기에 의한 2차 기류를 이용하여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노즐(6)은, 안내관(4)부분이 아니고, 안내부재(3)부분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안내부재(3)와 안내관(4)의 걸어맞춤부재(5)가 연이어 접속된 상태일 때에, 실(2)이 측장저류장치까지 도달하는데 충분한 시간에, 노즐(6)로부터 공기의 흐름이 안내관(4)의 내부를 향하여서 보내주게 된다.
[실시예 2]
먼저, 제6도 내지 제8도는, 인서어트(16)의 앞끝단을 앞이 가는 상태로 하지 않으므로, 앞끝단부분에, V자 홈(38)을 형성함과 동시에, 한쌍의 붙잡음부재(7)의 개폐를 실린더(39)에 의하여 제어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V자 홈(38)은, 안내부재(3)의 작은 지지홈(14)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실(2)은, 초기의 단계에서, 지지홈(14)의 내부에 마주 대하고 있다. 또한, 실린더(39)는, 걸어맞춤부재(5)의 측면에 붙임 고정되어 있고, 그것과 함께 이동하여, 한쌍의 붙잡음부재(7)를 전진 위치에서 개방상태로 하고, 또한 후퇴할 때에 붙잡음부재(7)를 닫는 것에 의하여, 그들의 사이에서 실(2)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후퇴 위치에 있어서는, 붙잡음부재(7)를 개방함과 동시에 안내관(4)의 내부로 실(2)이 끌어당겨 통하여서, 설정된 위치까지 인도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인서어트(16)의 쪽으로부터 공기의 흐름이 방생하지 않기 때문에, 실(2)의 끌어들임은, 걸어맞춤부재(5)쪽의 노즐(6)이 발생하는 2차 기류만으로서 행하여진다.
[실시예 3]
다음에, 제9도 내지 제11도의 실시예는, 영구자석(40),(41),(42)을 이용하여, 한쌍의 붙잡음부재(7)를 개폐하는 예이다. 걸어맞춤부재(5)가 안내부재(3)의 근방까지 왔을 때에, 안내부재(3)쪽의 영구자석(40)은, 한쌍의 붙잡음부재(7)의 앞끝단부분을 흡인하여, 그들을 개방상태로 한다. 또한, 걸어맞춤부재(5)가 후퇴할 때에, 한쌍의 붙잡음부재(7)의 지지돌기(32)의 대향면에 형성된 영구자석(41)은, 서로 흡인하고 합쳐져서, 붙잡음부재(7)를 닫음과 동시에, 그 부분에서 실(2)을 붙잡는 것이 된다. 물론, 한쌍의 지지돌기(32)의 실(2)에 대한 붙잡는 힘은, 붙잡는 면에 마찰계수가 큰 고무 등을 개재시키는 것에 의하여 크게 할 수가 있다. 또한, 한쌍의 붙잡음부재(7)는, 안내관(4)이 대기 위치에 복귀하였을 때에, 캠(37)의 영구자석(42)에 의하여 개방상태로 된다. 그래서, 실은 그 상태대로 걸어맞춤부재(5)쪽의 흡인 노즐에 의하여 니이들(28)을 통하여 끌려 들어간다.
[실시예 4]
또한, 제12도 및 제13도의 실시예는, 이상의 실시예와는 반대로, 안내부재(3)를 가동쪽으로 하고, 안내관(4)을 고정쪽으로 한 예이다.
이 결과, 한쌍의 붙잡음부재(7)는, 가동쪽의 안내부재(3)쪽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캠(37)은, 안내부재(3)의 후퇴 범위에 가깝게 형성되며, 거기에서 한쌍의 붙잡음부재(7)의 뒤끝단면(34)에 맞닿아서, 그것을 개방상태로 하고 있다. 또한 안내부재(3)가 전진하여, 걸어맞춤부재(5)의 테이퍼 구멍 끝단면(43)에 맞닿았을 때에, 한쌍의 붙잡음부재(7)는, 뒤끝단부분에서 다른 한쌍의 캠(44)의 경사면에 맞닿아서, 개방상태로 되고, 거기에서 실(2)을 해방상태로 한다.
[실시예 5]
제14도 및 제15도의 실시예도 마찬가지로, 안내관(4)을 고정쪽으로 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0도와 제15도와의 비교로서 이해되도록 걸어맞춤부재(5)는, 생략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부재(3)는, 실린더(45)를 형성하고 있고, 그의 내부에는, 인서어트(16)에 붙임 고정된 슬라이드(46)가 수용되어 있다. 슬라이더(46)는, 스프링(19)에 의하여 실린더(45)의 바닥부에서 후퇴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있고, 그의 후퇴 범위는, 테일 스톱퍼(20)에 의하여 규제되고 있다.
안내부재(3)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붙잡음부재(7)의 2개의 지점핀(33)은, 각각 한쪽을 안내부재(3)에 형성된 긴구멍(47)을 통하여 슬라이더(46)에 고정되어 있다. 한쌍의 붙잡음부재(7)는,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기 위치에서는, 캠(37)에 의하여, 지지홈(14)에 규제되어 있는 실(2)을 건너뛴 상태에서 개방하고 있다.
안내부재(3)가 전진하면, 한쌍의 붙잡음부재(7)는, 캠(37)에서 떨어지고, 그 상태대로 실(2)를 붙잡는다. 안내부재(3)가 더욱더 전진하여 안내부재(3)의 끝단면(48)이 안내관(4)의 끝단면에 맞닿으면, 슬라이더(46)가 인서어트(16)의 전진에 함께 하지 않는 스프링(19)의 가하는 힘에 저항하여 안내부재(3)의 실린더(45)내를 이동하므로, 동시에 붙잡음부재(7)는, 안내관(4)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 때에, 붙잡음부재(7)는, 캠(44)에 의하여 실을 개방상태로 하기 때문에, 실(2)은, 노즐(6)의 흡인력에 의하여 안내관(4)의 내부에 끌려 들어간다.
이 실시예에서는, 안내부재(3)와 걸어맞춤부재(5)가 완전히 결합하여 실(2)을 밀폐하므로 실(2)이 붙잡음부재(7)에서 해방되는 것이어서, 실(2)의 안내관(4)에서 흡인이 실시예 4 보다 용이하게 행하여지는 이점을 가진다. 이들의 실시예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안내부재(3) 및 안내관(4)은, 상대적으로 받아 넘기기가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할 수가 있으면 좋고, 따라서, 어느쪽인가 한쪽만이 이동하는 것만이 아니고, 양쪽모두 이동하는 것이어도 좋다.
[실시예 6]
제16도에서 제18도까지의 실시예는, 인서어트(16)내에서 기류를 이용하지 않고, 실(2)을 보조 인서어트(51)의 전진 후퇴에 의하여 적극적으로 걸어맞춤부재(5)쪽에 송출하는 예이다. 즉, 인서어트(16)는, 뒤끝단부분에서 통형상의 호울더(49)의 앞끝단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호울더(49)는, 뒤끝단부분에서, 브라켓트(50)에 고정되어 있고, 통형상의 안내부재(3)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서어트(16) 및 호울더(49)는, 내부에서 보조 인서어트(51)를 전진 후퇴가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되고 있다.
이 보조 인서어트(51)의 앞끝단부분은, 지지홈(52)으로 되어 있고, 또한 뒤끝단부분은, 코일 스프링 등의 유연한 커플링(53) 및 연결로드(54)에 의하여, 에어 실린더(55)의 피스톤 롯드(56)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에어 실린더(55)는, 연결롯드(54)에 대한 안내부재(57)에 의하여 브라켓트(50)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걸어맞춤부재(5)는, 실시예 1의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안내관(4)이 전진 범위까지 이동한 시점에서, 포트(29)에 압축 공기가 공급되고, 이것과 동시에 에어 실린더(55)가 그의 피스톤 롯드(56)를 전진시키므로서, 보조 인서어트(51)의 앞끝단부와 니이들(28)의 테이퍼부의 목부분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인서어트(16)의 슬릿트(26)에서 걸어멈춤어져서, 위치결정 상태로 있다.
실(2)은, 제17도와 같이, 확실하게 보조 인서어트(51)의 지지홈(52)에 걸어멈추어지고, 슬릿트(26)에서 해방되어, 니이들(28)의 흡인구쪽으로부터 들어가서, 테이퍼부의 목부분에 도달한다.
공기의 거두어 들임용 포트(29)에 압축 공기가 공급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관(4)의 내부로 끌어당겨 통하는 방향의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고 있고, 동시에 니이들(28)의 내부에도 목부분의 부압(負壓)현상에 의하여, 끌어당겨 통하는 방향의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목부에서의 흡인 기류의 유속은 흡인구쪽보다 큰 것과, 실(2)이 흡인 기류중에 드러내는 길이가 크기 때문에, 실(2)은 이 고속기류를 타고서, 보조 인서어트(51)의 지지홈(52)으로부터 떨어지고, 니이들(28)의 내부를 통과하여, 용이하게 안내관(4)의 내부에 도달한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6은, 인서어트(16)를 호울더(49)에 의하여 브라켓트(50)에 대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보조 인서어트(14)를 에어 실린더(55)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보조 인서어트(51)의 진출 운동은, 안내관(4)의 전진 후퇴운동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할 수도 있다. 즉, 제19도의 실시예는, 보조인서어트(51)를 브라켓트(50)에 대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인서어트(16)를 호울더(49)와 일체화하고, 이들을 미끄러짐 안내 겸용의 테일 스톱퍼(20)에 의하여 보조 인서어트(51)에 대하여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게 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걸어맞춤부재(5)가 안내부재(3)에 맞닿은 후에, 스프링(19)에 저항하여 안내부재(3)를 후퇴시킨다.
그 후에, 단턱부(21)가 스톱퍼(17)에 맞닿은 후에, 코일 스프링(58)에 저항하여, 더욱더 전진하기 때문에, 고정적인 보조 인서어트(51)은, 인서어트(1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진출 방향으로 이동하여, 실(2)을 니이들(28)의 내부로 안내하여 간다.
[실시예 8]
또한, 이 실안내장치(1)는, 급사체(8)로부터 위사의 측장저류장치 사이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용도에만 한정하지 않고, 헬드(heald)나 바디 등에 대한 실끼우기 등에도 응용할 수가 있다. 제20도는, 헬드(59)를 사이에 두고 잡아서 인서어트(16)와 안내관(4)을 대향시키고, 안내관(4)이 헬드(59)로 향하여서 가장 전진하였을 때에, 보조 인서어트(51)가 헬드(59)의 구멍을 관통하여 실(2)을 노즐(6)의 목부분에로 안내함과 동시에, 공기의 거두어 들임용의 포트(29)에 압축 공기가 공급되어, 끌어당겨 통하는 방향의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실끼우기를 행하는 예이다.

Claims (11)

  1. 안내되는 실(2)을 대기 위치에서 위치 결정하면서 지지하는 안내부재(3)와, 실(2)을 내부로 끌어당겨 통하여 소정의 위치로 인도하는 안내관(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부재(3)는 내부에 위치결정 상태의 실(2)을 그의 안내부재(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안내관(4) 방향으로 송출하는 인서어트(16)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재(3)와 안내관(4)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전진 후퇴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안내부재(3) 및 안내관(4)중 하나의 내부에 실(2)을 이송하는 기류가 발생되는 노즐(6)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실(2)의 끌어당겨 통하는 방향의 공기의 흐름을 발생하는 노즐(6)이, 중공체의 인서어트(16)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안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서어트(16)는, 앞의 가는 앞끝단부분에서 실(2)을 지지하기 위한 슬라트(26)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안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인서어트(16)는, 중공체로서 구성되어 있고, 내부에 실(2)의 송출방향으로 전진 후퇴가 가능한 보조 인서어트(51)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안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보조 인서어트(51)는, 뒤끝단부분에서 전진 후퇴 구동원(55)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안내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인서어트(16)는, 고정된 보조 인서어트(51)에 대하여 코일 스프링(58)에 의하여 진출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안내장치.
  7. 안내되는 실(2)을 대기 위치에서 위치 결정하면서 지지하는 안내부재(3)와, 상기 안내부재(3) 방향으로 전진 후퇴 이동이 가능하고, 실(2)을 내부로 끌어당겨 통하여 설정된 위치로 인도하는 안내관(4)과, 상기 안내부재(3)에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고, 상기 위치 결정된 실(2)을 그 안내부재(3)에서 상대적으로 안내관(4) 방향으로 송출하는 인서어트(16)와, 안내부재(3) 및 안내관(4)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인서어트에 의하여 송출된 실(2)을 안내관(4)의 내부로 이송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노즐(6), (16)과, 안내관(4)의 입구부에, 안내관(4)의 내부로 이송된 실(2)을 기계적으로 끼워 넣고, 안내관이 실의 끌어당겨 통하게 하는 위치로 복귀하였을 때에 그것을 해방시키는 한쌍의 붙잡음부재(7)와,
    Figure kpo00001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안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한쌍의 붙잡음부재(7)는, 실(2)을 끼워 넣는 방향으로 스프링(35)에 의하여 힘을 가하게 되어 있고, 받아 넘기는 위치에서 캠(37)에 맞닿아서, 개방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안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한쌍의 붙잡음부재(7)는, 이에 연결된 플랜저(39)에 의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안내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한쌍의 붙잡음부재(7)는, 닫혀진 상태에서 영구자석(41)에 의하여 흡착상태로 지지되고, 또한 받아 넘기는 위치에서 상기 영구자석(41)보다도 강한 개방용의 영구자석(42)에 의하여 개방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안내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안내부재(3)의 안내관(4)과 대치하는 부분의 실을 끌어당겨 통하는 방향으로 축중심을 갖는 원통으로 이루어지고, 그의 끝단부에 실(2)을 지지하는 지지홈(1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안내장치.
KR1019880002707A 1987-03-16 1988-03-15 실안내 장치 KR9100080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62290 1987-03-16
JP062290 1987-03-16
JP62062290A JP2561085B2 (ja) 1987-03-16 1987-03-16 糸案内装置
JP212336 1987-08-26
JP62-212336 1987-08-26
JP62212336A JP2524766B2 (ja) 1987-08-26 1987-08-26 糸案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385A KR880011385A (ko) 1988-10-28
KR910008044B1 true KR910008044B1 (ko) 1991-10-07

Family

ID=26403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2707A KR910008044B1 (ko) 1987-03-16 1988-03-15 실안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56691A (ko)
EP (1) EP0282986B1 (ko)
KR (1) KR910008044B1 (ko)
DE (1) DE388108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4800B1 (fr) * 1989-03-22 1991-05-31 Saurer Diederichs Sa Dispositif d'alimentation en fil de trame pour machine a tisser avec insertion pneumatique de la trame
FR2648831A1 (fr) * 1989-06-26 1990-12-28 Saurer Diederichs Sa Dispositif d'alimentation en fil de trame pour machine a tisser avec insertion pneumatique
KR910008198A (ko) * 1989-10-04 1991-05-30 고시바 헤이지 위사 급사체의 트랜스퍼테일 형성장치
EP0448914A1 (de) * 1990-03-29 1991-10-02 Sulzer RàœTi Ag Vorrichtung für Webmaschinen, die Schussfadenspeicher, Fadenvorrat und Fadenübergabeorgan umfasst
IT1251323B (it) * 1991-09-18 1995-05-08 Filteco Spa Ugello e metodo di trattamento di filato
DE9307835U1 (de) * 1993-05-25 1993-07-22 FAG Kugelfischer Georg Schäfer KGaA, 8720 Schweinfurt Garnverwirbelungsvorrichtung
GB2283762B (en) * 1993-11-11 1997-03-26 Fabio Botturi Yarn feeding device for a loom
US20080271807A1 (en) * 2006-09-07 2008-11-06 Sultex Ag Method and a stretching device for the holding of a weft thread
CN115573090A (zh) * 2022-11-23 2023-01-06 浙江亨戈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电脑织袜机的压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2910A (en) * 1967-07-17 1969-07-01 Leesona Corp Yarn handling apparatus
CH512599A (fr) * 1968-12-24 1971-09-15 Electrospin Corp Dispositif d'insertion d'un fil dans une pince à serrage radial
FR2127629A5 (ko) * 1971-03-30 1972-10-13 Schubert & Salzer Maschinen
US3813900A (en) * 1971-09-10 1974-06-04 Scott & Williams Inc Pneumatic yarn feeder device for knitting machines
DE2339603C3 (de) * 1973-08-04 1978-10-05 Hoechs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m Anfahren von Injektordüse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IT992918B (it) * 1973-08-10 1975-09-30 Marzoli E C Spa Flli Dispositivo di ripresa del filo in macchine tessili
US4168605A (en) * 1977-12-28 1979-09-25 Officine Savio, S.P.A. Spindle for double twisting with pneumatic threading
DE2830265C2 (de) * 1978-07-10 1983-01-13 Palitex Project-Company Gmbh, 4150 Krefeld Doppeldraht-Zwirnspindel
US4355500A (en) * 1979-07-23 1982-10-26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Pneumatic yarn guiding apparatus for double twisting machine
US4658866A (en) * 1984-08-06 1987-04-21 Tsudakoma Corp.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moving and replacing a broken weft yarn
DE3446567C1 (de) * 1984-12-20 1986-05-07 Lindauer Dornier Gmbh, 8990 Lindau Schussfadenbremse mit stufenweise steuerbarer Bremswirk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81086T2 (de) 1993-09-02
EP0282986B1 (en) 1993-05-19
EP0282986A3 (en) 1990-05-30
DE3881086D1 (de) 1993-06-24
EP0282986A2 (en) 1988-09-21
US4856691A (en) 1989-08-15
KR880011385A (ko) 1988-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044B1 (ko) 실안내 장치
EP0171057B1 (en) Apparatus of and method for mending weft yarn in weft yarn inserter
JPS60224842A (ja) 糸通し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6163004A (en) Method of welding projection nut and apparatus therefor
CN112517945B (zh) 一种内胀式送纱管加工自动装夹装置
KR101757983B1 (ko) 너트 인서트장치
TWI508800B (zh) Material supply device and processing system
EP04914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and tightening fastener parts
EP0567045A1 (en) Electropneumatic device for the automatic threading of apparatuses for feeding weft to textile machines and a weft feeding apparatus including said device
JP2007167947A (ja) 軸状部品の供給装置
JP2561085B2 (ja) 糸案内装置
CZ20031342A3 (cs) Podávací zařízení
US3816990A (en) Device for exchanging bobbins on an open-end spinning machine
CN202864578U (zh) 落纱装置、以及具备该落纱装置的纤维机械
US5737814A (en) Junction type warp passing and drawing-in method and apparatus
KR940007173B1 (ko) 축 형상부품의 공급방법 및 장치
JP2791806B2 (ja) よこ糸通し装置
JP2524766B2 (ja) 糸案内装置
EP0170972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iederanspinnen einer Offenend-Friktionsspinnvorrichtung
JPS6147849A (ja) よこ糸案内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0112317Y1 (ko) 봉재 자동공급기의 밀대장치
GB15925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fast the end of a thread in the winding of a thread on a bobbin
CN112323229B (zh) 穿经梭夹,穿经机以及穿引经纱的方法
CZ2007178A3 (cs) Zpusob a zarízení k zavádení konce príze do sprádací trysky tryskového doprádacího stroje
CS265081B1 (en) Device for the yarn end introducing into the draw of tube of spinning unit of the spindless spinn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8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