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709B1 - 자동차용 창유리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창유리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709B1
KR910004709B1 KR1019870001228A KR870001228A KR910004709B1 KR 910004709 B1 KR910004709 B1 KR 910004709B1 KR 1019870001228 A KR1019870001228 A KR 1019870001228A KR 870001228 A KR870001228 A KR 870001228A KR 910004709 B1 KR910004709 B1 KR 910004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lass
window
base plate
open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095A (ko
Inventor
유끼하루 도꾸에
시게루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닛산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구메 유다까
가부시기가이샤 오오이세이샤구쇼
가지야마 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구메 유다까, 가부시기가이샤 오오이세이샤구쇼, 가지야마 이찌로오 filed Critical 닛산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8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rack bars and toothed wheels or other push-pull mechanisms
    • E05F11/42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rack bars and toothed wheels or other push-pull mechanism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26Flexible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5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combined with means for producing an additional movement, e.g. a horizontal or a rotary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5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combined with means for producing an additional movement, e.g. a horizontal or a rotary movement
    • E05F11/525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combined with means for producing an additional movement, e.g. a horizontal or a rotary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2Stabilizers, e.g. anti-rattle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20Adjustable with specific transmission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2Telescopic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or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창유리의 개폐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위한 자동차도어의 일부절결 평면도.
제 2 도는 창유리가 약간 열린위치에 있을 경우 안쪽으로 향하는 위치는 실선으로 나타내고, 바깥쪽으로 향하는 위치는 쇄신으로 나타내는 제 1 도의 Ⅱ-Ⅱ선 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창유리를 상하방햐으로 이동시킬 경우 완전히 닫힌 위치는 실선으로 나타내고, 완전히 열린위치는 쇄선으로 나타내는 도면.
제 4 도는 창유리 재폐기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평면도.
제 5 도는 창유리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제 1 도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와 유사한 도면으로, 창유리가 바깥쪽으로 향하여 약간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제 7 도는, 제 5 도와 유사한 도면으로, 창유리가 안쪽으로 향하여 약간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제 8 도는, 제 5 도와 유사한 도면으로, 창유리가 안쪽으로 향하여 약간 열린 제 7 도의 위치로부터 약간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제 9 도는 제 4 도의 Ⅸ-Ⅸ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 10 도는 제 5 도의 Ⅹ-Ⅹ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 11 도는 제 10 도의 XI-X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4 : 창유리
5 : 장방형슬롯 10 : 베이스플레이트
15 : 가이드부재 17 : 부시
21 : 베벨기어 22 : 풀리
24 : 나사봉 25 : 취부관
본 발명은 자동차용 창유리 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창유리의 상하 방향이동을 조절하는 창유리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히 자동차분야에 있어서는 각종 창유리 개폐기가 제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이들 중에는 차량의 도어에 고정된 가이드레일과,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미끄럼운동하면서 창유리를 승강시키는 창유리 캐리어를 구비한 타입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 57-33685호 및 소56-81785호에는 이러한 종래의 창유리 개폐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한편, 자동차의 주행시 공기저항을 적게하고, 또 외관을 좋게하기 위해서는, 창유리구성에 있어, 창유리를 완전히 닫을 경우 그것이 도어의 외측패널 및 차제의 외측패널과 거의 동일면상에 위치하도록 이른바 "플러시서어피스본체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도어내부에 도어 열림기구, 도어잠금기구등의 기타도어제어기를 설치하는 것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상술한 플러시서어피스구성은 종래의 창유리 개폐기에 있어서 아직 만족할만한 것이 못되었다. 즉, 상기 도어제어기등을 구비하게되면 플러시서어피스 구성을 달성하기위한 기구를 장착할만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도어내의 기타도어제어기의 장착여부에 관계없이 창유리의 플러시서어피스구성을 달성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창유리의 상하이동을 부드럽고 신뢰성있게 행할 수 있는 개량된 창유리 개폐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 및 조절이 용이한 개량된 창유리 개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구조체내에 수용되어서 완전히 닫힌 최상측위치와 완전히 열린 최하측위치간을 승강하는 창유리의 개폐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a) 창유리를 완전히 닫힌 최상측위치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여 약간 열린위치로 하강시켜서 약간 열린 창유리가 중공구조체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향하도록하고, (b) 창유리를 바깥쪽으로 향하여 약간 열린위치로부터 안쪽으로 향하여 약간 열린위치로 향하여 약간 열린위치로부터 완전히 열린 최하측위치로 하강시키고, (d) 창유리를 완전히 열린 최하측위치로부터 안쪽으로 향하여 약간 열린위치로 상승시키고, (e) 창유리를 안쪽으로 향하여 약간 열린위치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여 약간 열린위치로 이동시키고, (f) 창유리를 바깥쪽으로 향하여 약간 열린위치로부터 완전히 닫힌 최상측위치로 상승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창유리가 완전히 닫힌 최상측위치와 완전히 열린 최하측위치간을 승강할 수 있도록 내장된 중공구조체를 가진 차량용 창유리 개폐기가 제공된다. 이 창유리 개폐기는 중공구조체내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와,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당해 베이스폴레이트에 취부된 캐리어장치와, 중공구조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장치를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와, 중공구조체내에서 외측 및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창유리를 고정하여 캐리어장치에 설치된 창유리 취부판과, 창유리가 완전히 닫힌 최상측위치보다 약간 아래에서 열린위치에 있을 때 창유리 취부판을 외측 및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캐리어장치에 부착된 이동장치로 구성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에는 본 발명을 실제로 적용한 새시리스도어(1)가 도시되어있다. 이 도어(1)는 공지의 방식으로 조립되어 중공의 도어구조체를 형성하는 외측패널(2) 및 내측패널(3)로 구성된다.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1)는 외측패널(2)의 상단 및 내측패널(3)의 상단사이에, 창유리가 후술하는 바와같이 승강하는 동안 통과하게되는 장방향스롯(5)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창유리(4)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략사다리꼴 형상이며,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쪽으로 약간 만곡되어 있다.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롯(5)은 창유리(4)가 도어(1)의 주표면에 대하여 대략수직한 방향으로 필요한만큼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있다. 즉, 장방형슬롯(5)의 횡방향길이(두께)는 창유리(4)의 두께보다 몃배크다. 외측패널(2) 및 내측패널(3)의 상단에는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웨더스트립(6)(7)이 고정되어있다. 각각의 웨더스트립(6)(7)은 장방형슬롯(5)내에서의 창유리(4)의 소요되는 변위에 대처 할 수 있는 크기 및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1 도는 내지 제 3 도에 있어서 도면번호(9)는 차체(도시하지않음)에 형성된 도어오프닝(문틀)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시일링부재이며, 창유리(4)의 완전히 닫힐 경우 당해 창유리(4)의 상단주변부는 상기 시일링부재와 접하여 방수시일링한다.
제 2 도 내지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창유리(4)는, 그 상단주변부가 차체에 고정된 시일리부재(9)에 접하고 그 하단부가 외측패널(2)에 근접하는 완전히 닫힌 위치(X)와, 당해 창유리(4)가 완전히 닫힌위치(X)보다 약간 아래로 하강하고 그 하단부가 외측패널(2)에 근접하는 바깥쪽으로 약간 열린위치(Y)와, 창유리(4)가 완전히 닫힌위치(X)보다 약간 아래로 하강하고 그 하단부가 내측패널(2)에 근접하는 안쪽으로 약간 열린위치(Y')와, 창유리(4)전체가 도어(1)내에 완전히 수용됨과 동시에 내측패널(3)에 근접하는 완전히 열린위치(Z)의 4개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도어(1)내에는 사각형 베이스플레이트(10)가 보래킷(11)을 통하여 내측패널(3)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이른바 가이드레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제 1 도 및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각형 베이스플레이트(10)는 서로 평행한 전방직선끝단 및 후방직선끝단(도면번호없음)으로 구성되며, 그 중앙부에는 상기 직선단부들과 평행하게 연장된 장방형슬롯(12)을 가진다.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장방형슬롯(12)은 그 상부에 확대된 원형부(12a)를 가지며, 이 확대된 원형부에 후술하는 가이드부재(15)가 삽입되어 장방형슬롯(12)과 미끄럼접촉한다.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는 그 우측상부에 내측패널(3)쪽으로 오목한 사각형홈(13)을 가진다. 사각형홈(13)은 장방형슬롯(12)과 평행하게 연장되어있다.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는 장방형슬롯(12)과 사각형홈(13)사이의 상부에 사각형 결합개구(14)를 가진다.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풀리모양의 가이드부재(15)는 방방형슬롯(12)과 미끄럼접촉한다.
이 가이드부재(15)는 장방형슬롯(12)내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수용된 하나의 작은직경을 가진 축부(15a)와 이 작은직경을 가진 축부(15a)의 양단에 형성되어서 그 사이에 장방형슬롯(12)의 선단 및 후단사이에 놓이는 2개의 큰 직경을 가진 플랜지부(15b)(15b)로 구성된다.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풀리모양의 가이드부재(15)에는 중앙개구(도면번호없음)가 형성되고, 이 중앙개구에는 암나사슬리이브(16)가 부시(17)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내측패널(3)과 대향하는 슬리이브(16)의 내측단부에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부시(17)의 내측 플랜지단부에 접하는 플랜지(16a)가 형성되어 있다.
제 4 도 및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경방향으로 뻗은 아암(18)은 슬라이브(16)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서 부시(17)의 외측플랜지 단부와 미끄럼접촉한다.
슬리이드(16)의 중앙부에 스냅링(19)을 고정시켜서 부시(17) 및 아암(18)을 슬리이브(16)상에 고정시킨다. 이와같이 고정함으로써, 슬라이브(16)가 가이드부재(15)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리이브(16)의 바깥쪽으로 향하는 단부에 다른 스냅링(20)을 고정시킨다. 2개의 스냅링(19)(20)사이이 슬리이브(16)에는 베벨기어(21) 및 폴리(22)가 동축으로 조립되어서 키이(23)에 의해 당해 슬리이브(16)에 고정된다.
슬리이브(16)에는 솟나사봉(24)이 나사결합되어있기 때문에, 슬리이브(16)가 회전하면 솟나사봉(24)은 당해 슬리이브(16)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5 도 및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솟나사봉(24)의 외측으로 향하는 단부는 창유리 취부판(25) 및 피봇핀(27)에 고정된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있는 2개의 돌출부(25)(26)를 가지는 피봇장치에 의해서 창유리 취부판(25)의 하측부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된다. 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피봇핀(27)은 도어에 대하여 전후방향의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도 및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창유리 취부판(25)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장방형판의 형상으로 되어있다. 창유리 취부판(25)의 외면에는 창유리(4)의 하측부가 보울트 및 너트(28)에 의해 고정된다(제 1 도참조). 창유리 취부판(25)의 하측에는 하향돌출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사각형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방 및 후방직선단부상에는 다른 가이드부재(29)(29)가 각각 배치되는데, 이들 베이스부재는, 상술한 가이드부재(15)와 마찬가지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선단 및 후단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의 작은 지름을 가진축부(29a)와 이 소직경축부(29a)의 양단형성되어서 그 사이의 일부에 상기 베이스의 선단 및 후단을 놓게하는 큰지름을 가진 2개의 플랜지부(29b)(29b)로 구성된다.
후술하는 구성에 의하면, 이들 가이드부재(29)(29)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단부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가이드부재(1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암나사슬리이브(30)는 부시(31)를 통하여 각각의 가이드부재(29)(29)상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제 5 도 참조). 또, 가이드부재(15)와 마찬가지로, 슬리이브(30)에는, 부시(17) 및 아암(18) 대신에 스페이서(32), 스냅링(19) 대신에 스냅링(33), 베벨기어(21) 대신에 스페이서(34), 풀리(22) 대신에 풀리(35), 스냅링(20) 대신에 스냅링(36)이 순서대로 조립된다. 요컨데, 각 가이드부재(29)의 구성은 가이드부재(15)의 아암(18) 및 베벨기어(31) 대신에 스페이서(32) 및 (34)가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가이드부재(15)의 구성과 대략 동일하다.
각각의 풀리(35)는 키이(도시하지않음)에 의해 슬리이브(30)에 고정된다.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립시 가이드부재(29)(29)는 가이드부재(15)의 약간 상부에 배치된다. 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각 가이드부재(29)의 풀리(35)의 외경은 가이드부재(15)의 풀리(22)의 외경보다 크다.
상술한 가이드부재(1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숫나사봉(37)은 각각의 슬리이브(30)(30)에 나사결합되고, 숫나사봉의 외측단부는 창유리 취부판(25)에 고정된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는 2개의 돌출부(38)(38) 및 피봇핀(39)으로 구성된 피봇장치에 의해서 창유리 취부판(25)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된다. 가이드부재(1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부 가이드부재(29)(29)의 피봇된(39)(39)은 도어에 대하여 전후방향의 수평으로 뻗어있다.
상부 가이브부재(29)(29)의 풀리(35)(35)와 중심가이드부재(15) 풀리(22)에는 타이밍벨트(40)가 권취된다. 아암(18)의 선단에는 장력풀리(42)가 샤프트(41)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접속되어서 타이밍벨트(40)를 가압하므로써 당해 타이밍벨트(40)에 적절한 장력을 인가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장력풀리(42)는 전방풀리(35)와 중앙풀리(22)상이에서 타이밍벨트(40)을 가압한다. 제 4 도에 있어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아암(18)을 시계방향으로 부세하는 바이어스 스프링도 부착되어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중심가이드부재(15)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장방형슬롯(12)을 따라 이동하고, 또 전후방의 가이드부재(29)(29)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선단 및 후단을 따라 이동하면, 창유리 취부판(25)이 승강하고, 그에따라 창유리(4)가 승강한다.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벨기어(2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타이밍벨트(40)는 그 회전력을 풀리(22)935)(35) 및 암나사슬리이브(16)(30)(30)에 전달한다. 그리하여, 숫나사봉(24)(37)(37)은 그것이 결합된 슬리이브(16)(30)(30)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므로써 창유리 취부판(25)을 바깥쪽으로, 즉 외측패널(2)쪽으로 이동시킨다. 요컨데,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벨기어(2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창유리 취부판(25)이 외측으로 이동한다.
전방풀리(35) 및 후방풀리(35)의 직경이 중앙풀리(22)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풀리(35)(35)의 회전속도는 풀리(22)의 회전속도보다 느리다. 그러므로, 숫나사봉(24)의 단위시간당 돌출거리는 전후의 숫나사봉(37)(37)의 단위시간당 돌출거리보다 크다.
그러므로, 외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창유리 취부판(25) 및 창유리(4)는 도어(1)는 내측패널(3)쪽으로 점차 기울어지게된다. 풀리(22)(35)(35)의 크기를 적절하게 설정하면, 창유리(4)의 상단이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창유리(4)는 상부에 피봇중심이 있는것과 같이 작동한다.
한편,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벨기어(2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폴리(22)(35)(35) 및 슬리이브(16)(30)(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되므로, 창유리 취바판(25) 및 창유리(4)는 내측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창유리(4)는 이와같은 시계방향회전시 그 상단을 피봇중심으로하여 내측으로 선회동한다.
제 1 도 및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각형 베이스플레이트(10)는 그 상면에 클립(45)(46)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0)에 고정된 가이드튜브(44)의 상향연장부(44a)를 가진다. 이 상향연장부(44a)는 장방형슬롯(12)과 평행하게 연장되었으며, 베벨기어(21)의 톱니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하고 있는 종방향연장슬롯(43)을 가진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이드튜브(44)는 상술한 상향연장부(44a)와, 이 상향연장부(44a)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연장부(44b)와, 이 전방연장부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하향연장부(44c)와 , 이 하향연장부(44c)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짧은 전방연장부(44d)와, 상향연장부(44a)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긴 전방연장부(44e)로 구성된다. 짧은 전방연장부(44d) 및 긴 전방연장부(44e)의 전방부는 서로 근접배치되어서 리테이너(47)(47)에 의해 내측패널(3)에 고정된다.
가이드튜브(44)내에서는 기어케이블(48)의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 1 도에서 도면번호(49)는 감속기어(51)를 통하여 역회전가능한 전기모우터(50)에 접속된 피니온이다. 이들 부품은 가이드튜브(44)의 하향연장부(44c)부근에서 내측패널(3)에 고정되는 하나의 유닛을 구성한다. 가이드튜브(44)의 하향연장부(44c)에는 슬롯(43)이 형성되고, 피니온(49)의 톱니는 이 슬롯(43)내로 돌출하여 기어케이블(48)과 맞물린다. 그리하여, 전기모우터(50)가 기동하면, 피니온(49)이 회전하고, 그결과 기어케이블(48)을 가이드튜브(44)내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끄럼운동시킨다.
다시 제 4 도를 참조하면, 베벨기어(21)의 톱니는 가이드튜브(44)의 슬롯(43)내로 돌출되어서 기어케이블(48)과 맞물린다. 따라서, 베벨기어(21)의 상하이동이 억제되고, 또 가이드튜브(44)의 상향연장부(44a)의 기어케이블(48)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베벨기어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기어케이블(48)이 하방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베벨기어(2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가이드튜브(44)의 상향연장부(44a)에 수용된 기어케이블(48)의 적절한 부분에는 가이드튜브(44)의 슬롯(43)을 통하여 전방으로 동출한 상부작동편(52)이 연결된다. 상부작동편(52)의 상부에는 외향돌출부(52a)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데이퍼단부(52b)가 형성된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어케이블(48)은 상부작동편(52)의 아랫부분에 가이드튜브(44)의 슬롯(43)을 통하여 전방으로 돌출하는 하부작동편(53)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작동편(53)의 상단에는 짧게 전방으로 연장된 돌출부(53a)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길게 전방으로 연장된 돌출부(53b)가 형성된다.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창유리 취부판(25)은 내측으로 돌출하는 지지봉(54)을 구비하고 있다. 결합레버(55)의 중앙부는 피봇핀(56)을 통하여 지지봉(54)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접속된다. 결합레버(55)의 상측아암부에는 상부작동편(52)의 돌출부(52a)와 결합하는 오목부(55a)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오목부(55a)는 그 내부에 돌출부(52a)를 느슨하게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있다. 결합레버(55)의 하측아암부는 축(58)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접속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의 외면상에서 회전하는 로울러(57)를 가진다. 도면번호(55b)로 표시한 것은 후술하는 목적으로 결합레버(55)의 하측아암부에 고정된 스톱퍼핀이다.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축(56)에는 코일스프링(59)이 조립되며, 이 코일스프링은 결합레버(55)를 축(56)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부세하여 로울러(57)를 베이스플레이트(10)의 외면상에 누르고 있게된다.
창유리(4)가 완전히 닫힌위치(X)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여 약간 열린위치(Y)로 약간하강하면, 결합레버(55)의 하단 및 이것에 연결된 로울러(57)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개구(14)에 접하고, 그결과 창유리(4)는 더 이상 하강하지못하게 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기어케이블(48)의 상부작동편(52)이 일정위치로 하강하면, 결합레버(55)의 하단은 상부작동편(52)의 데이퍼단(52b)에 의해서 개구(14)로부터 밀려나옴과 동시에 결합레버(55)의 오목부(55a)는 상부작동편(52) 돌출부(52a)와 결합된다. 그리하여, 상부연장부(44a)내의 기어케이블(43)이 하강함에 따라 창유리(4)는 완전히 열린위치(Z)로 이동하고, 로울러(57)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외면상에서 활주한다.
창유리(4)가 완전히 열린위치(Z)에 있고, 상향연장부(44a)내의 기어케이블(48)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결합레버(55)의 오목부(55a)와 상부작동편(52)의 돌출부(52a)가 결합하므로써 창유리(4)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창유리(4)가 완전히 닫힌위치(X)보다 약간 아래의 안쪽으로 향하여 약간 열린위치(Y')로 이동하면, 결합레버(55)의 하단 및 그것에 연결된 로울러(57)는 다시 베이스플레이트(10)의 개구(14)에 결합됨과 동시에, 결합레버(55)의 오목부(55)는 상부작동편(52)의 동출부(52a)로부터 이탈된다.
그후, 창유리(4)는 상부작동편(52)이 기어케이블(48)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더라도 한동안 안쪽으로 향하여 약간 열린위치(Y')를 유지한다. 물론, 창유리(4)의 하향이동은 결합레버(55)와 개구(14)간의 결합으로 인하여 억제된다.
결합레버(55)에는 스톱퍼핀(55b)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당해 결합레버(55)의 하단부와 그것에 연결된 로울러(57)는 개구(14)에 깊숙히 결합되지는 않는다.
제 10 도 및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창유리 취부판(25)의 하향돌출부(25a)의 내면에는 베이스플레이트 (10)쪽으로 돌출된 제1가이드프레임(60) 및 제2가이드프레임(61)이 고정되었다.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가이드프레임(60)은 채널부재이고, 제2가이드프레임(61)은 대략 c형 단면을 가진다. 슬라이드유닛(62)은 제1가이드프레임(60) 및 제2가이드프레임(61)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슬라이드유닛(62)은 제1가이드프레임(60)내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미끄럼부(62b)와, 제2가이드프레임(61)내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미끄럼부(62c)와, 상기 제1미끄럼부(62b)와 제2미끄럼부(62c)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62a)로 구성된다.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드유닛(62)의 전체평면형상 대략 h형으로 되어있다.
제2가이드프레임(61)내에는 슬라이드유닛(62)을 안쪽으로, 즉 베이스플레이트(10)쪽으로 부세하는 압축스프링(63)이 배치된다.
제2미끄럼부(62c)의 내측단부에는 로울러(64)가 축(65)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이 로울러(64)는 창유리(4)가 바깥쪽으로 약간 열린위치(Y)로부터 약간 상승할때가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외면상에서 할주한다. 그러나, 창유리(4)가 상기의 약간 상승된 위치와 완전히 닫힌위치(X)사이에 있을 경우에는, 로울러(64)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흠내에 놓여진다.
제1미끄럼부(62b)의 내측단부에는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계단상절결부(66)가 형성된다. 로울러(64)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외면상에서 활주운동하는 동안에는, 하부작동편(53)의 짧은 돌출부(53a)는 계단 상절결부(66)를 통과하게 되지만, 그것의 긴 돌출부(53b)는 제1미끄럼부(62b)의 내측단부가 결합한다.
로울러(64)가 흠(13)내에 있고, 슬라이딩유닛(62)전체가 압축스프링(63)의 부세력에 의해 제1가이드프레임(60) 및 제2가이드프레임(61)으로부터 밀려나왔을 경우에는, 슬라이드유닛(62)의 계단설정결부(66)는 안쪽으로 이동하여 하부작동편(53)의 짧은 돌출부(53a)의 이동경로에서 멀어지고,그결과 제1미끄럼부(62b)의 일부는 하부작동편(53)의 짧은 돌출부(53a) 및 긴 돌출부(53b)에 의해 유지된다. 이 상태는 제 10 도 및 제 11 도에 실선으로 도시한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슬라이딩유닛(62) 및 하부작동편(53)은 창유리(4)를 바깥쪽으로 향하여 약간 열린위치(Y)로부터 완전히 닫힌위치(X)로 상승시키거나 그것을 완전히 닫힌위치(X)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여 약간 열린위치(Y)로 하강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3개의 가이드부재(15)(29)(29)는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베이스플레이트(10)에 장착되는 하나의 캐리어(A)를 구성한다. 한편, 모우터(50), 감속기어(51), 피니온(49), 기어케이블(48), 가이드튜브(44), 상부작동편(52), 하부작동편(53), 결합레버(55) 및 슬라이드유닛(62)은, 도어(1)내부에 장착되어서 베이스플레이트(10)를 따라 상술한 캐리어(A)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B)를 구성한다.
또, 모우터(50), 감속기어(51), 피니온(49), 기어케이블(48), 가이트튜브(44), 피니온(41), 풀리(22)(35), 타이밍벨트(40), 암나사슬리이브(16)(30)(30) 및 나사봉(24)(37)(37)은 창유리 취부판(25)을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C)를 구성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우터(50), 감속기(51), 피니온(49) 및 기어케이블(48)이 승강장치(B)와 이동장치(C)에 대하여 병용되는 구동수단을 구성한다.
다음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창유리 개폐기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해를 돕기위하여, 작동의 설명은 제 5 도에 실시한 창유리(4)의 완전히 닫힌위치(X)에서부터 시작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로울러(64)는 홈(13)내에 있고, 슬라이드유닛(62)은 압축스프링(63)의 부세력에 의해 안쪽으로 밀리고, 그것의 제1미끄럼부(62b)의 일부는 하부작동편(53)의 짧은 돌출부(53a) 및 긴 돌출부(53b)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하여, 창유리(4)와 창유리 취부판(25)의 중량은 하부작동편(53)의 긴 돌출부(53b)에 의해 지지된다. 또, 이 상태에서 나사봉(24)(37)(37)은 그들이 결합된 슬리이브(16)(30)(30)으로부터 최대로 돌출되고, 그결과 창유리(4)는 도어(1)의 외측패널(2)의 근처에 위치하게된다.
또한, 이러한 조간하에서 결합레버(55)에 의해 지지된 로울러(57)는 스프링(59)의 부세력에 의해 개구(14)의 바로 위에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외면상에 눌려있게 된다.
전기모우터(50)가 기동하여 피니온(49)을 제 1 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되면, 가이드튜브(44)의 상향연장부(44a)내의 기어케이블(48)이 하강하고, 이로 인하여 기어케이블에 고정된 하부작동편(53)도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서 하부작동편(53)의 짧을 돌출부(53a)는 제1미끄럼부(62b)와 결합하여 창유리(4)를 하강시킨다.
그후, 로울러(64)는 홈(13)으로부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외면으로 나오고, 그에따라 슬라이드유닛(62)이 압축스프링(63)의 부세력을 극복하고 바깥쪽으로 밀린다. 이때, 슬라이드유닛(62)의 계단상절결부(66)가 돌출부(53a)의 바로아래위치로 올때에, 결합레버(55)의 하측단부 및 결합레버에 의해 지지된 로울러(57)는 개구(14)와 결합하므로써 잠시동안 창유리(4)의 하강을 억제하고, 이결가 창유리(4)는 바깥쪽으로 향하여 약간 열린위치(Y)에 있고 그 주변부는 차체의 문틀의 상단부에 부착된 시일링부재(9)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게 된다.
이어서, 가이드튜브(44)의 상향연장부(44a)내의 기러케이블(48)이 더욱하강하면, 하부작동편(53)은 하방으로 이동하고, 그것의 짧은 돌출부(53a)는 슬라이드유닛(62)의 계단상절결부(66)를 통과한다. 이동안에는 기어케이블(48)과 베벨기어(21)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벨기어(2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창유리(4)가 기러케이블(48)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베벨기어(21)는 회전을 하지않고 상승한다. 즉, 창유리(4)와 기어케이블(48)이 상이한 운동을 할 때에만 베벨기어(21)가 회전한다.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벨기어(2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때에는, 암나사슬라이브(16)(30)(30)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따라 숫나사봉(24)(37)(37)은 상술한 바와같이 가이드부재(15)(29)(29)로 들어간다.
숫나사봉(24)의 축방향 이동거리는 다른 나사봉(37)(37)의 그것보다 크기 때문에 창유리(4)는 안쪽으로 선회운동하고, 그 하측단부는 내측패널(3)쪽으로 이동한다. 즉, 창유리(4)는 그 상단을 중심으로 하여 제 2 도의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한다.
나사봉(24)(37)(37)의 이동거리가 최대로 되면, 창유리(4)는 안쪽방향으로 약간 열린위치(Y')에 있게된다. 이때 상부작동편(52)은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계합레버(55)의 바로위까지 하강하여 당해 결합레버(55)의 하측단부를 그 테이퍼부(52b)와 함께 개구(14)에서 밀어내고, 이와동시에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결합레버(55)의 오목부(55a)는 상부작동편(52)의 돌출부(52a)에 결합하는 한편 로울러(57)는 개구(14)의 바로아래에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외면과 접촉한다. 그후, 창유리(4)는 기어케이블과 함께 평행하게 하방으로 이동하고, 로울러(57)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외면에서 활주운동한다. 이와같은 과정을 거쳐서 창유리(4)는 완전히 열린위치(Z)로 온다.
창유리(4)가 완전히 열린위치(Z)에 도달하면, 공지의 센서(도시하지않음)가 이것을 검출하여 모우터(5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에따라 기어케이블(48)의 이동을 정지하고, 창유리(4)는 완전히 열린위치(Z)에서 정지한다.
창유리(4)를 완전히 열린위치(Z)로부터 상승시키고자할때에는 제 1 도에 도시된 피니온(49)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우터(50)를 작동시킨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각 부품의 역회전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행한다.
즉, 상향연장부(4a)내의 기어케이블(48)이 상방으로 이동할때에는 창유리(4)는 상부작동편(52)의 동출부(52a)와 계합레버(55)의 오목부(55a)간의 결합을 유지하면서 상승한다.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유리(4)가 안쪽방향으로 약간 열린위치(Y')에 오면 결합레버(55)의 하측단부 및 그것에 지지된 로울러(57)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개구(14)에 결합되고, 결합레버(55)의 오목부(55a)는 상부작동편(52)의 돌출부(52a)로부터 이탈하게되므로 창유리(4)의 상향이동은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그후, 상향연장부(44a)내의 기어케이블(48)이 더욱 상승하면, 베벨기어(21) 및 슬리이브(16)(30)(30)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결과 나사봉 (24)(37)(37)은 그것이 결합된 가이드부재(15)(29)(29)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나사봉(24)의 축방향이동거리가 나사봉(37)(37)의 이동거리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창유리(4)는 바깥쪽으로 선회하고, 그 하단은 도어의 외측패널(2)쪽으로 이동한다. 즉, 창유리(4)는 그 상단을 중심으로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계방향으로 약간 선회한다. 이러한 운동은 창유리(4)의 상측주변부가 차체의 문틀에 고정된 시일부재(9)를 과도하게 가압하는 일없이 행하여진다.
창유리(4)가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바깥쪽으로 향하여 약간 열린위치(Y)에 오면, 하부작동편(53)의 긴 돌출부(53b)는 슬라이드유닛(620의 제1미끄럼부(62b)의 하면에 접촉하고, 이어서 하부작동편(53)은 창유리(4)를 완전히 닫힌위치(X)로 밀어올린다.
창유리(4)가 상승하는 동안, 로울러(64)는 흠(13)에 수용되고, 슬라이드유닛(62)은 압축스프링(63)의 부세력으로 인하여 안쪽으로 돌출해서 짧은 돌출부(53a) 및 긴 돌출부(53b)와 함께 제1미끄럼부(62b)를 지지한다.
창유리(4)가 완전히 닫힌위치(X)에 오면, 공지의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그것을 검출하여 모우터(5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에따라, 기어케이블(48)의 이동을 정지하고, 창유리(4)도 완전히 닫힌위치(X)에서 정지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음과 같은 변경을 가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풀리(22)(35)(35)의 외경을 다르게하여 나사봉(24)(37)(37)의 축장향 이동거리간에 차이가 생기도록 하였으나, 나사봉(24)(37)(37)의 피치를 변경해서 이동거리의 차이를 발생시켜도 된다. 이경우에는 풀리(22)(35)(25) 대신에 동일한 풀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풀리(22)(35)(35)의 직경을 동일하게하고, 나사봉(24)(37)(37)이 피치를 동일하게 해도 된다. 이경우에 있어서, 창유리(4)전체는 피봇운동을 하는일없이 2개의 약간 열린위치(Y)(Y')사이에서 평행하게 이동한다.
이상에서는 차량의 도어에 장착된 창유리 개폐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차체에 장착된 창유리 개폐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에 필수적으로 장착해야 하는 다른 도어제어자치(예를들면, 도어열림장치, 도어장금장치등)의 존재여부에 관계없이 창유리를 부드럽고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창유리를 완전히 닫을 경우 창유리의 외면이 도어의 외면 및 차체의 외면과 대략 일치하게되므로, 차량의 주행시의 발생하는 공기저항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차량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13)

  1. 중공구조체(1)내에 완전히 닫힌 최상측위치(X)와 완전히 열린 최하측위치(Z)간을 승강하는 창유리(4)를 수용하여 구성된 창유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공구조체내에 고정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10)와, 이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당해 베이스플레이트에 취부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된 활주로를 따라서 움직이는 제1, 제2, 제3의 슬라이딩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1슬라이딩유닛은 다른 2개의 슬라이딩유닛사이 및 그아래에 위치하도록한 캐리어장치(15)(29)(29)와, 상기 중공구조체내에 설치되어서 상기 캐리어장치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44)(48)(49)(50)와, 상기 중공구조체내에서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캐리어장치에 설치된 창유리 취부판(25)과, 상기 창유리가 완전히 닫힌 최상측위치보다 약간 아래에서 열린위치에 있을 때 상기 창유리 최부판을 외측 및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캐리어장치에 부착된 이동장치(16)(24)(21)(40)(48)(37)(30)(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유닛은 상기 이동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암나사슬리이브(16)(30)(30)와, 상기 암나사슬리이브에 고정되어 그것과 함께 회전하는 풀리(22)(35)(35)와, 상기 암나사슬리이브에 동적으로 결합되어서 상기 암나사슬리이브와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서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당해 암나사슬리이브에 동적으로 결합된 숫나사봉(24)(37)(37)과, 상기 숫나사봉의 일단을 상기 창유리 취부판에 선회가능하게 연결하는 수단(26)(27)(38)(39)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3개의 슬라이딩유닛의 풀리상에 동적으로 권취되어서 각 풀리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타이밍벨트(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개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유닛은 암나사슬리이브에 고정되어 암나사슬리이브에 함께 회전하는 기어(2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개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개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베벨기어와 맞물려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기어케이블(48)과, 상기 기어케이블에 부착되어 기어케이블과 함께 이동하는 상부작동편(52)과, 이 상부작동편의 아래위치에서 상기 기어케이블의 부착된 하부작동편(53)과, 상기 창유리 취부판사에 부착되어서 상기 상하부작동편중 하나를 택일적으로 캐치하여 상기 기어케이블의 운동을 상기 창유리 취부판에 전달하는 캐치장치(55)(57)(61)(64)와, 상기 기어케이블을 구동하는 구동수단(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개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장치는, 상기 창유리 취부판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창유리 취부판이 중공구조체의 내측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상부작동편과 결합하여 상기 기어케이블의 하강운동을 창유리 취부판에 전달하는 아암을 가진 결합레버(55)와, 상기 결합레버의 하부위치에서 상기 창유리 취부판에 연결되며, 상기 창유리 취부판이 중공구조체의 외측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부작동편과 결합하여 상기 기어케이블의 상승운동을 창유리 취부판에 전달하는 스프링에 부세된 슬라이딩유닛(6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개폐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레버(55)는, 베이스플레이트의 표면상에서 활주운동하는 로울러(57)가 장착된 하부아암을 가지며, 상기 로울러는 상기 기어케이블의 축방향 운동에 관계없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개구(14)에 결합되어서 상기 창유리 취부판의 승강운동을 정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의 개폐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에 부세된 슬라이딩유닛62)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표면상에서 활주운동하는 로울러(64)를 가지며, 상기 로울러는 상기 창유리가 상기 완전히 닫힌 최상측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홈(13)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의 개폐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작동편(52)은, 상기 결합레버의 상부아암에 형성된 오목부(55a)에 결합되는 돌출부(52a)와, 상기 결합레버의 하부암에 접촉하여 상기 창유리 취부판이 중공구조체내의 내측위치로부터 하강할 때 하부아암의 로울러를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밀어내는 데이터단부(52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개폐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작동편(53)은, 짧은 상향돌부처(53a)와 긴 하향돌부처(53b)가 상기 창유리가 중공구조체의 외측위치로부터 최상측전폐위치로 이동할때에 스프리에 부세된 슬라이딩유닛(62)의 일부를 그들 사이에 협지하여 상기 기어케이블과 견고하여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의 개폐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슬라이딩유닛(15)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장방형슬롯과 미끄럼 결합하도록 이루어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의 개폐장치.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잉벨트는 장력풀리(42)에 의해서 장력을 인가받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의 개폐장치.
KR1019870001228A 1986-02-14 1987-02-14 자동차용 창유리의 개폐장치 KR910004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915 1981-02-27
JP86-28915 1986-02-14
JP61028915A JPH0613808B2 (ja) 1986-02-14 1986-02-14 自動車用窓ガラス開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095A KR870008095A (ko) 1987-09-24
KR910004709B1 true KR910004709B1 (ko) 1991-07-10

Family

ID=1226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228A KR910004709B1 (ko) 1986-02-14 1987-02-14 자동차용 창유리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85582A (ko)
JP (1) JPH0613808B2 (ko)
KR (1) KR910004709B1 (ko)
DE (1) DE3704395A1 (ko)
GB (1) GB21866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9377A (en) * 1988-06-22 1989-04-11 Dura Automotive Hardware Division Of Wickes Manufacturing Company Flush window regulator
FR2633570B1 (fr) * 1988-06-29 1991-04-12 Hutchinson Lecheur de bas de glace mobile de vehicule automobile
US4829711A (en) * 1988-09-23 1989-05-16 Ford Motor Company Lateral movement actuator for lowerable automobile window
US5099611A (en) * 1988-11-17 1992-03-31 Excel Industries, Inc. Window regulator mechanism with kick-out feature
US5081792A (en) * 1990-02-22 1992-01-21 Wickes Manufacturing Company Window regulator with orthogonal pushout for flush window
US5016392A (en) * 1990-02-23 1991-05-21 Wickes Manufacturing Company Regular for flush window
US5054238A (en) * 1990-05-21 1991-10-08 Ford Motor Company Window panel position regulating assembly
US5159781A (en) * 1990-10-04 1992-11-03 Ford Motor Company Window panel position regulating assembly
US5924245A (en) * 1997-03-18 1999-07-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door hardware
US6119401A (en) * 1998-07-31 2000-09-19 Hi-Lex Corporation Dual-slider window regulator with three flexible, inextensible drive members
US6061963A (en) * 1999-05-05 2000-05-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Window regulator mechanism
DE19961354B4 (de) * 1999-12-17 2005-10-13 Webasto Ag Führungsvorrichtung für eine Scheibe
KR100372693B1 (ko) * 2000-03-20 2003-02-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 장치
US6283534B1 (en) * 2000-07-24 2001-09-04 The Budd Company Active door upper
US6561567B2 (en) * 2000-07-24 2003-05-13 Joseph E. Mrozowski Active door upper
DE20111019U1 (de) 2001-07-03 2001-10-0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96450 Coburg Befestigungsclip, Trägerplatte und Vorrichtung zur Befestigung in einem Kraftfahrzeug
US6796085B2 (en) * 2003-01-24 2004-09-28 Peter J. Smith Window regulator
FR2864985B1 (fr) * 2004-01-09 2006-06-23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Systeme et procede de commande d'ouvrant de vehicule
ES2255393B1 (es) * 2004-06-23 2007-03-16 Melchor Daumal Castellon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de las ventanillas laterales posteriores de vehiculos descapotables.
DE102004031804B3 (de) * 2004-07-01 2005-06-23 Daimlerchrysler Ag Fensterhebeeinrichtung
EP1726763B1 (en) * 2005-05-27 2008-07-23 CRF Societa'Consortile per Azioni Vehicle door with short-stroke window mechanism.
US20100011668A1 (en) * 2007-01-17 2010-01-21 Broadhead Douglas G Mounting bracket for frameless door
EP2093085B1 (en) * 2008-02-21 2012-05-02 Fiat Group Automobiles S.p.A. Glass supporting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door with an unframed upper edge
KR101439054B1 (ko) * 2013-09-23 2014-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글라스 세정장치
EP3241697B1 (de) * 2016-05-02 2018-08-01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Fensterheber
US10500930B2 (en) * 2018-01-08 2019-12-1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 door glass damping and vehicles including vehicle door glass damping systems
US11851926B1 (en) * 2021-09-23 2023-12-26 Apple Inc. Panel with pivoting and translational motion
CN115538878B (zh) * 2022-11-30 2023-03-10 宁波天安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车窗导轨总成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53169A (en) * 1930-05-31 1931-07-23 Beckett Laycock & Watkins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indows, more particularly for use in vehicles
DE729327C (de) * 1938-01-29 1942-12-14 Kiekert Soehne Arn Fahrzeugschiebefenster
GB983444A (en) * 1962-12-17 1965-02-17 Wilmot Breeden Ltd Vehicle window regulating mechanisms
US3591982A (en) * 1970-03-24 1971-07-13 Gen Motors Corp Window regulator
GB1305694A (ko) * 1971-01-19 1973-02-07
JPS5817044B2 (ja) * 1977-06-08 1983-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ガラス装置
US4241542A (en) * 1978-10-12 1980-12-30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door window assembly
JPS5681785A (en) * 1979-12-05 1981-07-04 Aisin Seiki Improvement of window regulator guide
JPS5733685A (en) * 1980-08-01 1982-02-23 Nissan Motor Lift for door window glass of automobile
JPS57143073A (en) * 1981-02-26 1982-09-04 Nissan Motor Apparatus for lifting and falling window glass of automobile
US4420906A (en) * 1981-10-26 1983-12-20 Ferro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ow regulator
JPS5873872U (ja) * 1981-11-13 1983-05-19 ダイキヨ−・ベバスト株式会社 窓板の昇降式開閉装置
DE3243123C2 (de) * 1982-11-22 1986-10-1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8630 Coburg Fensterheber,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3324767A1 (de) * 1983-07-08 1985-01-17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aktivierung von substraten fuer die stromlose metallisie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86631A (en) 1987-08-19
GB2186631B (en) 1989-04-12
US4785582A (en) 1988-11-22
DE3704395A1 (de) 1987-08-20
KR870008095A (ko) 1987-09-24
JPH0613808B2 (ja) 1994-02-23
GB8703076D0 (en) 1987-03-18
JPS62189281A (ja) 1987-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4709B1 (ko) 자동차용 창유리의 개폐장치
US4699421A (en) Sliding and lifting roof
EP0040631B1 (en) Sliding door actuating mechanism
KR100309022B1 (ko) 차량용파워윈도우레귤레이터
US5782038A (en) Window regulator
JPH0343087B2 (ko)
JPS5855313B2 (ja) 自動車の窓昇降装置
JP3174076B2 (ja) サンルーフ装置
JP3778059B2 (ja) 挟み込み防止機構付き昇降窓
JPH0357536Y2 (ko)
GB2308399A (en) Tracked canopy door with motor drive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US6679186B2 (en) Motorized door-locking device of reduced size
JP2575744Y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3174077B2 (ja) サンルーフ装置
JPH02186087A (ja) 窓と窓上昇アームとの間の連結装置
KR200153382Y1 (ko) 차량용 윈도우 글래스 레귤레이터의 스톱퍼 장착구조
SU157288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крывани крышек люков полувагонов
JPS5938126A (ja) 自動車のスライドル−フ開閉装置
JPS62211483A (ja) 自動車用窓ガラス開閉装置
KR0120295Y1 (ko)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승강장치
JPS62194381A (ja) 自動車用窓ガラス開閉装置
JPS62206181A (ja) 自動車用窓ガラス開閉装置
JPS5923616Y2 (ja) 自動車のサンル−フ
KR200142281Y1 (ko)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장치
JP2604924Y2 (ja)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