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2514A -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2514A
KR20240062514A KR1020220144122A KR20220144122A KR20240062514A KR 20240062514 A KR20240062514 A KR 20240062514A KR 1020220144122 A KR1020220144122 A KR 1020220144122A KR 20220144122 A KR20220144122 A KR 20220144122A KR 20240062514 A KR20240062514 A KR 20240062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flow
dust
area
dust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1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육세진
최은서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44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2514A/en
Publication of KR20240062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2514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04C5/185Dust col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24Multiple arrangement thereof

Landscapes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차량용 집진 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집진 장치는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며, 주행풍으로 인한 기류가 통과하는 기류 통과 유로가 형성된 기류 통과부; 상기 차량의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주행풍으로 발생하는 후류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와 내부로 유입된 후류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집진 바디; 및 상기 집진 바디 내에 제공되며, 상기 집진 바디를 통과하는 후류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집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토출구는 상기 기류 통과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A dust collection device for vehicles is disclosed. The vehicle dust collection device is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and includes an airflow passing portion formed with an air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flow caused by the driving wind passes; a dust collecting body mounted on the rear of the vehicle an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wake generated by the driving wind flows in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wake flowing insid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dust collecting member provided in the dust collecting body and removing fine dust contained in a wake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ng body, wherein the discharge port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flow passage.

Description

차량용 집진 장치{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ehicl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집진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풍에서 발생하는 후류를 극대화시켜 후류에 포함된 미세 입자를 집진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vehicl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vehicles that maximizes the wake generated from driving wind and collects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wake.

산업의 발달 및 도시화로 인하여 대기 오염이 증가되어 실내 및 실외 공기의 심각한 오염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기에는 차량의 분진, 유해가스, 각종 먼지, 꽃가루, 중금속 등이 포함되는데, 만약, 이러한 유해 물질들의 별도의 여과 또는 정화 과정이 없이 인체로 바로 흡입되게 될 경우에는 각종 호흡기 질병은 물론이고 기타 질병들도 유발시킬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air pollution is increasing, causing serious pollution of indoor and outdoor air. Accordingly, the air contains vehicle dust, harmful gases, various dusts, pollen, heavy metals, etc. If these harmful substances are directly inhaled into the human body without a separate filtration or purification process, they can cause various respiratory diseases as well as There is a risk that it may cause other diseases.

특히, 산업의 발달로 인해 차량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도 많은 대기 오염물질이 발생된다. 차량에서는 유해물질이 포함된 배기가스, 각종 분진, 먼지 및 타이어에서 떨어져 나온 타이어가루 등 다양한 물질들이 발생된다. 그러나, 차량에서 대기를 오염시키는 이물질들이 많이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차량에는 배기가스, 분진, 타이어 가루 등의 이물질을 집진하거나 별도로 여과할 수 있는 여과장치가 기본적으로 설치되지 않는다. 때문에, 차량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 먼지, 분진, 타이어가루 등의 이물질은 대기 중으로 바로 방출되고, 방출된 이물질 들은 대기 중에 포함되어 차량의 탑승자는 물론 다른 사람들에게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number of vehicles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Accordingly, many air pollutants are also generated from vehicles. Vehicles produce various substances, such as exhaust gas containing hazardous substances, various dusts, dust, and tire powder fallen from tires.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many foreign substances polluting the air are generated from vehicles, vehicles are not basically equipped with a filtration device that can collect or separately filter foreign substances such as exhaust gas, dust, and tire powde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foreign substances such as exhaust gas, dust, dust, and tire powder generated from vehicles are directly emitted into the atmosphere, and the emitted foreign substances are included in the atmosphere and have a harmful effect not only on the vehicle's occupants but also on other people.

본 발명은 승합차, 버스, 트럭 등의 차량에 장착가능한 차량용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vehicles that can be mounted on vehicles such as vans, buses, and trucks.

또한, 본 발명은 주행풍에서 발생하는 후류로부터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는 차량용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effectively collect fine dust from the wake generated from driving wind.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동안 안정적으로 차량에 장착될 수 있는 차량용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be stably mounted on a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또한, 본 발명은 차량 타이어와 지면의 마찰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집진할 수 있는 차량용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collect fine dust generated by friction between vehicle tires and the groun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집진 장치는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며, 주행풍으로 인한 기류가 통과하는 기류 통과 유로가 형성된 기류 통과부; 상기 차량의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주행풍으로 발생하는 후류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와 내부로 유입된 후류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집진 바디; 및 상기 집진 바디 내에 제공되며, 상기 집진 바디를 통과하는 후류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집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토출구는 상기 기류 통과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A dust collec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roof of a vehicle, and includes an airflow passage portion formed with an air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flow caused by the driving wind passes; a dust collecting body mounted on the rear of the vehicle an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wake generated by the driving wind flows in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wake flowing insid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dust collecting member provided in the dust collecting body and removing fine dust contained in a wake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ng body, wherein the discharge port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flow passage.

또한, 상기 기류 통과 유로는 상기 기류의 속도가 증가하고 압력이 낮아지는 유로 변경 영역을 가지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유로 변경 영역과 연통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ir flow passage has a flow path change area where the speed of the air flow increases and the pressure decreases, and the discharge port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flow path change area.

또한, 상기 유로 변경 영역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유로 폭이 점차 감소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의 후방에 위치하며, 후방으로 갈수록 유로 폭이 점차 증가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2영역과 연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 path change area includes: a first area in which the flow path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front to back; and a second region located behind the first region, wherein the passage width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rear, wherein the discharge port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region.

또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경계 영역에 인접 위치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ischarge port may be located adjacent to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또한, 상기 기류 통과부는 상기 유로 변경 영역을 형성하는 기류 흐름 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 흐름 변경부는, 상기 제1 영역을 형성하는 제1 저면; 상기 제2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저면; 및 상기 제1 저면과 상기 제2 저면을 연결하는 상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저면, 상기 제2 저면, 그리고 상기 상면은 서로 조합하여 유선형의 폐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flow passing part includes an airflow changing part forming the flow path changing area, and the airflow changing part includes a first bottom forming the first area; a second bottom forming the second area; and an upper surface connecting the first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wherein the first bottom surface, the second bottom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can be combined to form a closed, streamlined surface.

또한, 상기 상면은 후단이 선단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front end.

또한, 상기 제1 저면과 상기 제2 저면이 이루는 길이는 상기 상면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Additionally, the length formed by the first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top surface.

또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차량의 후면에 인접하여 상기 집진 바다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ischarge port may be formed at the top of the dust collection sea adjacent to the rear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유입구는 복수 개 제공되며, 상기 집진 부재는 상기 유입구들 내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후류로부터 싸이클론 방식으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inlets are provided, and the dust collection member is provided within each of the inlets, and may include a cyclone dust collector that removes fine dust in a cyclonic manner from the wake flowing through the inlet.

또한, 상기 차량의 후면 하단에 장착되며, 상기 차량의 타이어와 지면의 마찰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하부 집진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rear of the vehicle and may further include a lower dust collection module that collects fine dust generated by friction between the tires of the vehicle and the ground.

또한, 상기 하부 집진기는 상기 차량의 하부에서 주행풍으로 인한 기류가 유입되는 하부 유입구와, 상기 하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기류가 외부로 토출되는 하부 토출구, 그리고 상기 하부 유입구와 상기 하부 토출구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 유로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연결 유로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 연결 유로를 따라 흐르는 기류의 흐름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가이드 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dust collector includes a lower inlet through which airflow due to driving wind flows from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a lower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airflow flowing in through the lower inle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connecting the lower inlet and the lower discharge port. a lower housing in which a lower connection passage is formed; and a guide vane that protrudes from the lower connection passage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disposed opposite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flow flowing along the lower connection passage.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집진 장치는 승합차, 버스, 트럭 등과 같이 루프와 후면을 갖는 차량에 장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dust collection device can be mounted on a vehicle having a roof and a rear, such as a van, bus, or truck.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류 통과 유로에 형성된 기류가 유로 변경 영역을 지나면서 이젝트(eject) 원리에 의해 속도가 빨라지고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집진 바디의 토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 흐름이 원활해지고, 집진 바디 내부에서 후류의 흐름이 극대화되어 미세먼지의 집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airflow formed in the airflow passage passes through the passage change area, the speed increases and the pressure decreases due to the eject principle, so that the airflow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dust collection body becomes smooth and dust collection occurs. The wake flow can be maximized inside the body, improving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류 흐름 변경부의 형상은 차량 주행 시 상부 압력이 하부 압력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하므로, 기류 흐름 변경부에 아래로 누르는 힘이 작용하여 차량의 주행 중에도 기류 통과부가 안정적으로 차량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airflow changer is such that the upper pressure is formed higher than the lower pressure when the vehicle is driven, so a downward force is applied to the airflow changer, so that the airflow passage part is stably connected to the vehicle even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It can be fix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집진기가 차량의 후면 하단에 장착되고, 차량의 하부에서 발생하는 주행풍이 하부 집진기에 유입되므로, 차량의 타이어와 지면의 마찰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dust collector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wind gener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flows into the lower dust collector, so that fine dust generated from friction between the vehicle's tires and the ground can be coll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집진 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집진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차량용 집진 장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하부 집진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집진 바디와 기류 통과부에서 발생하는 기류와 압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하부 집진기에서 발생하는 기류와 압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류 통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차량용 집진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기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류 통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집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vehicle dus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vehicle dust collection device of FIG. 1.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vehicle dust collection device of FIG. 2.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ower dust collector of Figure 1.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airflow and pressure generated in the dust collection body and the airflow passage part.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irflow and pressure generated in the lower dust collector.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airflow passage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irflow that occurs while a vehicle equipped with the vehicle dust collection device of FIG. 7 is running.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n airflow passage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 lower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or that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m. Additionally,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Additionally,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ir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wha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Each embodiment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s its complementary embodiment. 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and/or' is used to mea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listed before and after.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In the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r componen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ex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connection” is used to include both in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directly connecting them.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is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집진 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집진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차량용 집진 장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하부 집진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vehicle dus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vehicle dust collection device of FIG. 1,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vehicle dust collection device of FIG. 2.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ower dust collector of FIG. 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집진 장치(100)는 차량(10)의 루프(11)와 후면(12)에 장착된다. 후면(11)은 차량(10)의 주행 방향으로 차량(10)의 후방을 향해 배치된다. 차량(10)은 버스, 트럭, 승합차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차량용 집진 장치(100)가 버스(10)의 루프(11)와 후면(12)에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차량(10)의 주행 시 주행풍(20)이 발생하며, 주행풍(20)은 차량(10)의 후방에서 차량(10)의 후면(12)측으로 흐르는 후류(21)를 형성한다. 차량용 집진 장치(100)는 이러한 후류(21)를 유입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집진한다.1 to 4, the vehicle dust collection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roof 11 and the rear 12 of the vehicle 10. The rear 11 is disposed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10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0. Vehicles 10 include buses, trucks, vans, etc. In this embodiment, the vehicle dust collector 100 is mounted on the roof 11 and the rear 12 of the bus 10 as an example. When the vehicle 10 is running, the driving wind 20 is generated, and the driving wind 20 forms a wake 21 that flows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10 toward the rear 12 of the vehicle 10. The vehicle dust collection device 100 collects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by introducing the wake 21.

차량용 집진 장치(100)는 집진 바디(200), 기류 통과부(300), 집진 부재(400), 그리고 하부 집진기(500)를 포함한다.The vehicle dust collection device 100 includes a dust collection body 200, an airflow passage part 300, a dust collection member 400, and a lower dust collector 500.

집진 바디(200)는 소정 형상을 가지며, 차량(10)의 후면(12)에 장착된다. 집진 바디(20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집진 바디(200)의 폭은 차량(10)의 폭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집진 바디(200)는 차량(10)의 후면(12)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집진 바디(200)는 차량(10)의 후방을 향하는 후면(201)과 차량(10)의 상부를 향하는 상면(202)을 가진다. 후면(201)에는 후류(21)가 유입되는 유입구(210)가 형성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유입구(210)는 복수 개 형성되며, 기 설정된 열과 행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유입구(210)는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집진 바디(200)의 내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차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dust collection body 200 has a predetermined shape and is mounted on the rear 12 of the vehicle 10. The dust collection body 20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The width of the dust collecting body 200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vehicle 10. The dust collection body 200 may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rear 12 of the vehicle 10. The dust collecting body 200 has a rear surface 201 facing the rear of the vehicle 10 and an upper surface 202 facing the top of the vehicle 10. An inlet 210 through which the wake 21 flows is formed at the rear 20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plurality of inlets 210 are formed and may be arranged in predetermined columns and rows. Each inlet 21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may have a shape whose width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200.

집진 바디(200)의 상면에는 토출구(220)가 형성된다. 토출구(220)는 집진 바디(200)의 내부로 유입된 후류(21)가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A discharge port 2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body 200. The discharge port 220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ake 21 flowing into the dust collecting body 2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집진 바디(200)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230)이 형성된다. 내부 공간(230)은 유입구(210) 및 토출구(220) 각각과 연통된다.An internal space 230 is form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body 200. The internal space 230 communicates with each of the inlet 210 and the outlet 220.

기류 통과부(300)는 차량(10)의 루프(11)에 장착된다. 기류 통과부(300)의 폭은 집진 바디(200)의 폭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진다. 기류 통과부(300)는 차량(10)의 후면(12)에 인접 위치할 수 있다. 기류 통과부(300)는 차량(10) 주행 시 발생하는 주행풍(20)이 통과하는 기류 통과 유로(310)를 형성한다. 기류 통과 유로(310)는 기류가 유입되는 기류 유입구(311)와 기류가 외부로 배출되는 기류 토출구(312)가 형성된다. 기류 유입구(311)는 차량(10)의 전방을 향해 배치되고, 기류 토출구(312)는 차량(10)의 후방을 향해 배치된다. The airflow passage part 300 is mounted on the roof 11 of the vehicle 10. The width of the airflow passage portion 300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dust collection body 200. The airflow passage portion 300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rear 12 of the vehicle 10. The airflow passage portion 300 forms an airflow passage 310 through which the driving wind 20 generated when the vehicle 10 is driven passes. The airflow passage 310 is formed with an airflow inlet 311 through which airflow flows in and an airflow outlet 312 through which airflow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airflow inlet 311 is dis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10, and the airflow outlet 312 is disposed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10.

기류 통과부(300)는 기류 흐름 변경부(320)를 포함한다. 기류 흐름 변경부(320)는 기류 통과 유로(310)의 유로 크기가 변경되는 유로 변경 영역(313)을 형성한다. 기류가 유로 변경 영역(313)을 통과하는 동안 속도가 증가하고 압력이 감소한다. 기류 흐름 변경부(320)는 대체로 유선형 형상으로 제공되며, 제1저면(321), 제2저면(322), 그리고 상면(323)을 갖는다.The airflow passage part 300 includes an airflow change part 320. The air flow change section 320 forms a flow path change area 313 in which the flow path size of the air flow path 310 is changed. While the airflow passes through the flow path change area 313, the speed increases and the pressure decreases. The airflow changer 320 is provided in a generally streamlined shape and has a first bottom surface 321, a second bottom surface 322, and an upper surface 323.

제1저면(321)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고, 제2저면(322)은 제1저면(32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높아진다. 상면(323)은 제1저면(321)의 선단과 제2저면(322)의 후단을 연결한다. 상면(323)은 후단이 선단보다 높게 위치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상면(323)은 상부로 볼록한 곡면으로 제공된다. 상술한 제1저면(321), 제2저면(322), 그리고 상면(323)은 서로 조합되어 유선형의 폐곡면을 형성한다. The first bottom surface 321 gradually decreases in height from the front to the back,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322 extends from the first bottom surface 321 to the rear, and gradually increases in height from the front to the back. The upper surface 323 connects the front end of the first bottom surface 321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322.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323 is located higher than the front e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323 is provided as a curved surface that is convex upward. The above-described first bottom surface 321, second bottom surface 322, and top surface 323 are combined to form a closed, streamlined surface.

상술한 기류 흐름 변경부(320)에 의하여, 유로 변경 영역(313)은 제1저면(321)과 제2저면(322)의 경계 영역을 기점으로 유로 크기가 변한다. 유로 변경 영역(313)은 제1영역(314)과 제2영역(315)을 포함한다. 제1영역(314)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유로 폭이 점차 감소하고, 제2영역(315)은 후방으로 갈수록 유로 폭이 점차 증가한다. 제2영역(315)은 제1영역(314)의 후방에 위치한다. By the above-described airflow changer 320, the flow path change area 313 changes the size of the flow path starting from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bottom surface 321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322. The flow path change area 313 includes a first area 314 and a second area 315. The passage width of the first area 314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the passage width of the second area 315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e second area 315 is located behind the first area 314.

집진 바디(200)에 형성된 토출구(220)는 기류 통과 유로(310)와 연통된다. 토출구(220)는 유로 변경 영역(310)의 제2영역(315)과 연통되며, 제1영역(314)과 제2영역(315)의 경계 영역에 인접 위치한다.The discharge port 220 formed in the dust collection body 200 communicates with the airflow passage 310. The discharge port 220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area 315 of the flow path change area 310 and is located adjacent to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area 314 and the second area 315.

집진 부재(400)는 집진 바디(200)의 내부에 제공되며, 유입구(210)를 따라 흐르는 후류(21)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집진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집진 부재(400)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포함한다.The dust collecting member 400 is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body 200 and collects fine dust contained in the wake 21 flowing along the inlet 2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ust collecting member 400 includes a cyclone dust collector.

싸이클론 집진기(400)는 유입구(210)의 내부에 각각 제공되며, 싸이클론 방식으로 후류(21)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집진한다. 싸이클론 집진기(400)는 후류(21)가 유입되는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날개(410)를 포함한다. 싸이클론 집진기(400)는 후류(21)의 흐름에 의해 그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싸이클론 집진기(400)의 회전으로 싸이클론 흐름이 형성되고, 이 과정에서 미세먼지들이 유입구(210) 내에 포집될 수 있다. 미세먼지가 제거된 후류(21)는 내부 공간(230)으로 유입된다.Cyclone dust collectors 400 are provided inside each of the inlets 210 and collect fine dust contained in the wake 21 in a cyclonic manner. The cyclone dust collector 400 includes a plurality of wings 410 dispos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ke 21 flows. The cyclone dust collector 400 can rotate about its central axis by the flow of the wake 21. A cyclone flow is formed as the cyclone dust collector 400 rotates, and fine dust can be collected in the inlet 210 in this process. The wake 21 from which fine dust has been removed flows into the internal space 230.

하부 집진기(500)는 차량(10)의 후면(12) 하단에 장착된다. 하부 집진기(500)는 차량(10)의 주행 시 차량(10)의 하부에서 발생되는 주행풍(30)이 유입되며, 주행풍(30)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집진한다. 하부 집진기(500)는 차량(10)의 타이어와 지면의 마찰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The lower dust collector 500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rear 12 of the vehicle 10. The lower dust collector 500 receives driving wind 30 gener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10 when the vehicle 10 is driven, and collects fine dust contained in the driving wind 30. The lower dust collector 500 can collect fine dust generated from friction between the tires of the vehicle 10 and the ground.

하부 집진기(500)는 하부 하우징(510)과 집진 부재(520)를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510)은 차량(10)의 후면(12) 하단에 장착된다. 하부 하우징(510)에는 하부 유입구(511)와 하부 토출구(512) 그리고 내부 공간(513)이 형성된다. 하부 유입구(511)는 차량(10)의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형성되고, 하부 토출구(512)는 차량(10)의 후방을 향해 형성된다. 내부 공간(513)은 하부 유입구(511)와 하부 유출구(512)와 연통된다. The lower dust collector 500 includes a lower housing 510 and a dust collecting member 520. The lower housing 510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rear 12 of the vehicle 10. The lower housing 510 is formed with a lower inlet 511, a lower discharge port 512, and an internal space 513. The lower inlet 511 is formed from the bottom of the vehicle 10 toward the front, and the lower discharge port 512 is formed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10. The internal space 513 communicates with the lower inlet 511 and the lower outlet 512.

집진 부재(520)는 하부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513)에 제공되며, 하부 하우징(510)을 통과하는 주행풍(30)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집진한다. 집진 부재(510)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포함한다. 싸이클론 집진기(510)는 내부 공간(513)에서 서로 구획된 복수 개의 유로 상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싸이클론 집진기(510)는 복수 개가 상하방향으로 병렬 배치될 수 있다.The dust collection member 520 is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513 of the lower housing 510 and collects fine dust contained in the traveling wind 30 passing through the lower housing 510. The dust collection member 510 includes a cyclone dust collector. The cyclone dust collector 510 may be provided on a plurality of passages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internal space 5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cyclone dust collectors 51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하, 상술한 차량용 집진 장치를 이용하여 대기 중의 미세먼지들을 집진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collecting fine dust in the air using the above-described vehicle dust collec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도 5는 집진 바디와 기류 통과부에서 발생하는 기류와 압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집진 바디와 기류 통과부에서 발생하는 기류를 나타내고, (B)는 각 영역의 압력을 나타낸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irflow and pressure generated in the dust collection body and the airflow passage part. (A) represents the airflow occurring in the dust collection body and the airflow passage part, and (B) represents the pressure in each area.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차량(10)의 주행으로 주행풍(20)이 발생하며, 주행풍(20)은 기류 통과부(300)의 기류 유입구(311)로 유입되어 기류 통과 유로(310) 내에서 기류를 형성한다. 그리고 주행풍(20)은 차량(10)의 후방에서 차량(10)의 후면(12) 측으로 흐르는 후류(21)를 형성한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5, the driving wind 20 is generated as the vehicle 10 travels, and the driving wind 20 flows into the airflow inlet 311 of the airflow passing part 300 and flows through the airflow passage ( 310) forms an air current within. And the running wind 20 forms a wake 21 that flows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10 to the rear 12 of the vehicle 10.

후류(21)는 집진 바디(200)의 유입구(210)를 거쳐 내부 공간(230)으로 흐른다. 후류(21)가 유입구(210) 내의 집진부재(4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후류(21)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제거된다. 미세먼지가 제거된 후류(21)는 내부 공간(230)을 거쳐 토출구(220)로 유입된다.The wake 21 flows into the internal space 230 through the inlet 210 of the dust collection body 200. As the wake 21 passes through the dust collection member 400 in the inlet 210, fine dust contained in the wake 21 is removed. The wake 21 from which fine dust has been removed flows into the discharge port 220 through the internal space 230.

기류 통과 유로(310)에 형성된 기류는 유로 변경 영역(313)을 지나면서 이젝트(eject) 원리에 의해 속도가 빨라지고 압력이 낮아진다. 이러한 기류의 속도 및 압력 변화로 토출구(220)에서 배출되는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되어 집진 바디(200)의 내부 공간(230)은 외부 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아진다. 이러한 압력 분포는 집진 바디(200)의 내부에서 후류(21)의 흐릉을 극대화하여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the airflow formed in the airflow passage 310 passes through the passage change area 313, the speed increases and the pressure decreases according to the eject principle. Due to these changes in the speed and pressure of the air flow, the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220 becomes smooth, so that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230 of the dust collecting body 200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external space. This pressure distribution can improve dust collection efficiency by maximizing the rumbling of the wake 21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dy 200.

한편, 기류 흐름 변경부(320)는 유선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면(323)의 후단이 선단보다 높게 위치하고, 제1저면(321) 및 제2저면(322)의 길이가 상면(323)의 길이 보다 길게 제공됨에 따라 주행 시 기류 흐름 변경부(320)의 상부 압력이 하부 압력보다 높아진다. 이러한 압력 차이로, 기류 흐름 변경부(320)에는 아래로 누르는 힘이 작용하여 차량(10)의 주행 중에도 기류 통과부(300)가 안정적으로 차량(10)에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air flow changer 320 has a streamlined cross-section,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323 is located higher than the front end, and the length of the first bottom surface 321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322 is that of the upper surface 323. As it is provided longer than the length, the upper pressure of the air flow changer 320 becomes higher than the lower pressure during driving. Due to this pressure difference, a downward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airflow flow changing part 320, so that the airflow passing part 300 can be stably fixed to the vehicle 10 even while the vehicle 10 is running.

도 6은 하부 집진기에서 발생하는 기류와 압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하부 집진기에서 발생하는 기류를 나타내고, (B)는 각 영역의 압력을 나타낸다.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irflow and pressure generated in the lower dust collector. (A) represents the airflow generated from the lower dust collector, and (B) represents the pressure in each area.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차량(10)의 하부에서 발생하는 주행풍(30)은 하부 하우징(510)의 하부 유입구(511)로 유입되고, 내부 공간(513)을 거쳐 하부 토출구(512)를 통해 차량(10) 후방으로 배출된다. 하부 유입구(511)로 유입되는 주행풍(30)에는 차량 타이어와 지면의 마찰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포함되며, 이러한 미세먼지는 집진 부재(520)에 의해 집진된다. 때문에, 차량(10)의 후방으로 미세먼지가 제거된 주행풍이 배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6 , the driving wind 30 gener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10 flows into the lower inlet 511 of the lower housing 510 and flows through the internal space 513 to the lower discharge port 512. ) is discharg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10). The driving wind 30 flowing into the lower inlet 511 includes fine dust generated by friction between vehicle tires and the ground, and this fine dust is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on member 520. Therefore, the driving wind from which fine dust has been removed may be discharg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1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류 통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차량용 집진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기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irflow passage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irflow occurring while driving a vehicle equipped with the vehicle dust collection device of FIG. 7 .

도 7을 참조하면, 기류 흐름 변경부(330)는 도 2에서 설명한 기류 흐름 변경부(320)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으며, 선단(331)이 둥근 에어포일(airfoil) 형상을 갖는다. 기류 흐름 변경부(330)의 상면(332)은 저면(332)보다 상대적으로 평평하게 제공되며, 저면(332)는 아래로 볼록한 곡면으로 제공된다. 기류 흐름 변경부(330)는 상면의 길이가 저면의 길이보다 짧게 제공된다. 기류 흐름 변경부(330)의 상면은 후단이 선단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airflow changer 330 is relatively thinner than the airflow changer 320 described in FIG. 2, and has an airfoil shape with a round tip 331. The upper surface 332 of the air flow changer 330 is relatively flatter than the bottom surface 332, and the bottom surface 332 is provided as a curved surface that is convex downward. The air flow changer 330 has an upper surface shorter than the bottom length.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irflow changer 330 is located relatively higher than the front end.

이러한 기류 흐름 변경부(330)의 형상은, 차량 주행 시 기류 흐름 변경부(330)의 상부 압력이 하부 압력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압력 분포는 집진 바디 내부로부터 후류의 토출을 원활하게 하고, 기류 흐름 변경부(330)를 아래로 누르는 힘을 발생시켜 차량(10)의 주행 중에도 기류 통과부(300)가 안정적으로 차량(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shape of the airflow changer 330 allows the upper pressure of the airflow changer 330 to be higher than the lower pressure when the vehicle is driven. This pressure distribution smoothes the discharge of the wake from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on body and generates a force that pushes down on the airflow flow changing part 330, so that the airflow passing part 300 is stably maintained even while the vehicle 10 is running. ) so that it can be fixed.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류 통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n airflow passage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기류 흐름 변경부(340)에 의해, 기류 통과 유로(310)는 제1영역(314), 제2영역(315), 그리고 제3영역(316)을 포함한다. 제1영역(314)은 기류 통과 유로(310) 중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유로 폭이 점차 감소하는 영역이고, 제2영역(315)은 후방으로 갈수록 유로 폭이 점차 증가하는 영역이다. 제3영역(316)은 제1영역(314)과 제2영역(315)을 연결하는 영역으로 일정한 유로 폭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9, due to the airflow changer 340, the airflow passage 310 includes a first area 314, a second area 315, and a third area 316. The first area 314 is an area of the airflow passage 310 where the passage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the second area 315 is an area where the passage width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e third area 316 is an area connecting the first area 314 and the second area 315 and has a constant flow path width.

주행풍(20)이 기류 통과 유로(310)를 통과하는 동안, 제3영역(316)을 지날 때 속도가 빨라지고 압력이 낮아진다. 이러한 기류의 속도 및 압력 변화는 집진 바디(200) 내부에서 후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While the traveling wind 20 passes through the airflow passage 310, its speed increases and its pressure decreases when it passes the third region 316. These changes in the speed and pressure of the air flow facilitate the flow of the wake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dy 200.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집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부 집진기(500)는 하부 하우징(510)과 가이드 베인(530)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510)은 도 4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가이드 베인(530)은 하부 하우징(510)의 내부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다. 가이드 베인(530)은 복수 개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마주 배치될 수 있다.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 lower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the lower dust collector 500 includes a lower housing 510 and a guide vane 530. The lower housing 51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described in FIG. 4 . The guide vane 530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lower housing 510 at a predetermined height. A plurality of guide vanes 530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t preset intervals.

주행풍이 하부 하우징(510)의 내부를 통과하는 동안, 주행풍에 포함된 미세먼지는 가이드 베인(530)과의 충돌로 가이드 베인(530)의 사이 공간에 포집될 수 있다.While the traveling wind pass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lower housing 510, fine dust included in the traveling wind may collide with the guide vanes 530 and be collected in the space between the guide vanes 530.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appended claims. Additionall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차량
100: 차량용 집진 장치
200: 집진 바디
300: 기류 통과부
400: 집진 부재
500: 하부 집진기
10: vehicle
100: Vehicle dust collection device
200: Dust collection body
300: airflow passage part
400: Absence of dust collection
500: Lower dust collector

Claims (11)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며, 주행풍으로 인한 기류가 통과하는 기류 통과 유로가 형성된 기류 통과부;
상기 차량의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주행풍으로 발생하는 후류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와 내부로 유입된 후류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집진 바디; 및
상기 집진 바디 내에 제공되며, 상기 집진 바디를 통과하는 후류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집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토출구는 상기 기류 통과 유로와 연통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
an airflow passage part that is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and has an air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flow caused by the driving wind passes;
a dust collecting body mounted on the rear of the vehicle an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wake generated by the driving wind flows into the interior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wake flowing insid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It is provided within the dust collection body and includes a dust collection member that removes fine dust contained in the wake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on body,
The discharge por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flow pass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통과 유로는 상기 기류의 속도가 증가하고 압력이 낮아지는 유로 변경 영역을 가지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유로 변경 영역과 연통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flow passage has a flow path change area where the speed of the air flow increases and the pressure decreases,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the discharge port communicates with the flow path change are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변경 영역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유로 폭이 점차 감소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의 후방에 위치하며, 후방으로 갈수록 유로 폭이 점차 증가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2영역과 연통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low path change area is,
A first region where the passage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front to the back; and
It is located behind the first area and includes a second area where the passage width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rear,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the discharge port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are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경계 영역에 인접 위치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discharge port is located adjacent to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통과부는 상기 유로 변경 영역을 형성하는 기류 흐름 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 흐름 변경부는,
상기 제1 영역을 형성하는 제1 저면;
상기 제2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저면; 및
상기 제1 저면과 상기 제2 저면을 연결하는 상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저면, 상기 제2 저면, 그리고 상기 상면은 서로 조합하여 유선형의 폐곡면을 형성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airflow passing portion includes an airflow flow changing portion forming the flow path changing area,
The air flow change unit,
a first bottom forming the first area;
a second bottom forming the second area; and
It includes an upper surface connecting the first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The dust collector for a vehicle wherein the first bottom surface, the second bottom surface, and the top surface are combined to form a closed, streamlined surfa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은 후단이 선단보다 높게 위치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upper surface is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ehicle in which the rear end is located higher than the front en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면과 상기 제2 저면이 이루는 길이는 상기 상면의 길이보다 긴 차량용 집진 장치.
According to claim 5,
A dust collector for a vehicle in which the length formed by the first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top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차량의 후면에 인접하여 상기 집진 바다의 상단에 형성된 차량용 집진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discharge port is adjacent to the rear of the vehicle and is formed at the top of the dust collection s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복수 개 제공되며,
상기 집진 부재는
상기 유입구들 내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후류로부터 싸이클론 방식으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inlets are provided,
The dust collection member is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cyclone dust collector provided in each of the inlets and removing fine dust in a cyclonic manner from the wake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후면 하단에 장착되며, 상기 차량의 타이어와 지면의 마찰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하부 집진 모듈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ust collection device for a vehicle that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rear of the vehicle and further includes a lower dust collection module that collects fine dust generated by friction between the tires of the vehicle and the groun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집진기는
상기 차량의 하부에서 주행풍으로 인한 기류가 유입되는 하부 유입구와, 상기 하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기류가 외부로 토출되는 하부 토출구, 그리고 상기 하부 유입구와 상기 하부 토출구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 유로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연결 유로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 연결 유로를 따라 흐르는 기류의 흐름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가이드 베인을 포함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lower dust collector is
A lower part having a lower inlet through which airflow due to driving wind flows in from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a lower outlet through which airflow flowing in through the lower inle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lower connection passage connecting the lower inlet and the lower outlet. housing;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guide vane that protrudes from the lower connection passage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disposed opposite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flow flowing along the lower connection passage.
KR1020220144122A 2022-11-02 2022-11-02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2400625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122A KR20240062514A (en) 2022-11-02 2022-11-02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122A KR20240062514A (en) 2022-11-02 2022-11-02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2514A true KR20240062514A (en) 2024-05-09

Family

ID=91075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122A KR20240062514A (en) 2022-11-02 2022-11-02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251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906B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particulate in air using vehicle
US11634011B2 (en) Road vehicle having an ambient air purification device, ambient air purification device and filter element
CN101028788A (en) A dust collector for vehicles
CN102042088A (en) Moisture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20190045437A (en) Dust collector installed at wheel of vehicle
US7070637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a fluid
KR102206093B1 (en) Air purifier
CN108067067A (en) A kind of roof air cleaning unit
KR101826021B1 (en) Number plate apparatus for vehicle with dust collecting function
KR20240062514A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ehicle
CN211302504U (en) Multi-air-duct comprehensive dust removal system
KR102279161B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mounted within body frames of vehicle
CN205360840U (en) Novel defroster
CN204799028U (en) A complete sets that is used for oil mist pollution of quick -witted processing vehicle to purify
KR102289066B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mounted on a roof of vehicle
KR102280310B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117355B1 (en) Dust collector
CN2511378Y (en) Gas purifier
CN205800733U (en) A kind of air purifier
KR102037998B1 (en) Wind deflector type air cleaning apparatus
CN113731094A (en) Comprehensive oil-gas separation device
CN106765377A (en) A kind of No clean range hood
CN206198935U (en) A kind of roof air cleaning unit
RU2299818C1 (en) Inertial filter
CN104971568A (en) Complete plant used for machining workshop oil mist pollutant pur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