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161B1 - Dust collecting apparatus mounted within body frames of vehicle - Google Patents

Dust collecting apparatus mounted within body frames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161B1
KR102279161B1 KR1020190128191A KR20190128191A KR102279161B1 KR 102279161 B1 KR102279161 B1 KR 102279161B1 KR 1020190128191 A KR1020190128191 A KR 1020190128191A KR 20190128191 A KR20190128191 A KR 20190128191A KR 102279161 B1 KR102279161 B1 KR 102279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vehicle
dust collector
inlet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1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45008A (en
Inventor
육세진
임준형
노승윤
조영권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8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161B1/en
Publication of KR20210045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0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1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6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auto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ultra-fine filter sheets or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4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cleaning of environmental air, e.g. by filters installed on vehicles or on str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차량용 집진 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집진 장치는 차량의 차체 프레임 내에 장착되며, 상기 차체 프레임의 외장 패널에 형성된 유입구를 개폐하는 전방 개폐 부재; 상기 차체 프레임 내에 제공되는 집진 부재; 및 상기 외장 패널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하는 후방 개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주행 시 발생하는 주행풍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집진 부재를 통과하며 미세먼지가 제거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 dust collector for a vehicle is disclosed. A dust collector for a vehicle includes: a front opening/closing member mounted in a vehicle body frame and opening and closing an inlet formed in an exterior panel of the vehicle body frame; a dust collecting member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frame; and a rear opening/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formed in the exterior panel, wherein the driving wind generated when the vehicle is driven flows into the inlet, passe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member, and removes fine dust, and exits through the outlet can be emitted.

Description

차량의 차체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Dust collecting apparatus mounted within body frames of vehicle}Dust collecting apparatus mounted within body frame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집진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차체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o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or for a vehicle mounted in a body frame of a vehicle.

산업의 발달 및 도시화로 인하여 대기 오염이 증가되어 실내 및 실외 공기의 심각한 오염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기에는 차량의 분진, 유해가스, 각종 먼지, 꽃가루, 중금속 등이 포함되는데, 만약, 이러한 유해 물질들의 별도의 여과 또는 정화 과정이 없이 인체로 바로 흡입되게 될 경우에는 각종 호흡기 질병은 물론이고 기타 질병들도 유발시킬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air pollution is increasing, causing serious pollution of indoor and outdoor air. Accordingly, the atmosphere includes vehicle dust, harmful gases, various dusts, pollen, heavy metals, etc. If these harmful substances are directly inhaled into the human body without a separate filtration or purification process, various respiratory diseases as well as and may cause other diseases as well.

특히, 산업의 발달로 인해 차량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도 많은 대기 오염물질이 발생된다. 차량에서는 유해물질이 포함된 배기가스, 각종 분진, 먼지 및 타이어에서 떨어져 나온 타이어가루 등 다양한 물질들이 발생된다. 그러나, 차량에서 대기를 오염시키는 이물질들이 많이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차량에는 배기가스, 분진, 타이어 가루 등의 이물질을 집진하거나 별도로 여과할 수 있는 여과장치가 기본적으로 설치되지 않는다. 때문에, 차량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 먼지, 분진, 타이어가루 등의 이물질은 대기 중으로 바로 방출되고, 방출된 이물질 들은 대기 중에 포함되어 차량의 탑승자는 물론 다른 사람들에게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number of vehicles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ccordingly, many air pollutants are also generated in vehicles. Various substances such as exhaust gas containing harmful substances, various kinds of dust, dust, and tire powder from tires are generated from vehicles. However, although a lot of foreign substances polluting the air are generated in the vehicle, a filtering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or separately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exhaust gas, dust, and tire powder is not basically installed in the vehicl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foreign substances such as exhaust gas, dust, dust, tire powder, etc. generated from the vehicle are directly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and the released foreign substances are included in the atmosphere and adversely affect not only the occupants of the vehicle but also other people.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 프레임 내부에 장착할 수 있는 차량용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or for a vehicle that can be mounted inside a body frame of a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연비를 저감시키지 않으면서 미세 먼지를 집진할 수 있는 차량용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or for a vehicle capable of collecting fine dust without reducing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집진 장치는 차량의 차체 프레임 내에 장착되며, 상기 차체 프레임의 외장 패널에 형성된 유입구를 개폐하는 전방 개폐 부재; 상기 차체 프레임 내에 제공되는 집진 부재; 및 상기 외장 패널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하는 후방 개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주행 시 발생하는 주행풍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집진 부재를 통과하며 미세먼지가 제거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 dust collect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opening/closing member mounted in a vehicle body frame and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n inlet formed in an exterior panel of the vehicle body frame; a dust collecting member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frame; and a rear opening/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formed in the exterior panel, wherein the driving wind generated when the vehicle is driven flows into the inlet, passe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member, and removes fine dust, and exits through the outlet can be emitted.

또한, 상기 전방 개폐 부재는, 상기 주행풍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전방 가이드 베인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 가이드 베인은, 개구가 형성된 전면과, 상기 전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되는 후면을 가지며, 상기 후면의 후단에 제공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In addition, 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includes a front guide vane for guiding the traveling wind to flow into the inlet, wherein the front guide vane has a front surface having an opening and a rear surfac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It is rotatable about a rotation shaft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rear surface.

또한, 상기 전방 개폐 부재는, 상기 주행풍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전방 가이드 베인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 가이드 베인은, 개구가 형성된 전면과, 상기 전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되는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전면의 선단에 제공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In addition, 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includes a front guide vane for guiding the traveling wind to flow into the inlet, wherein the front guide vane has a front surface having an opening and a rear surfac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It is rotatable about a rotation shaft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ront surface.

또한, 상기 전방 개폐 부재는, 상기 전방 가이드 베인의 전면과 상기 외장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판상의 전방 도어; 및 상기 전방 도어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전방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방 개폐 부재가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경우, 상기 전방 도어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전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opening and closing member, a plate-shaped front door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of the front guide vane and the exterior panel; and a front driving unit that slides the front door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When 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blocks the inlet, the front doo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inlet and the front side.

또한, 상기 전방 개폐 부재는 상기 외장 패널의 내측에 위치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판상의 전방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opening and closing member may include a plate-shaped front door that is located inside the exterior panel and opens and closes the inlet in a sliding manner.

또한, 상기 후방 개폐 부재는, 전면과, 상기 전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되며 개구가 형성된 후면을 가지고, 상기 전면의 선단에 제공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후방 가이드 베인; 및 상기 후방 가이드 베인을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후방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opening/closing member may include a front surface, a rear guide van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a rear guide vane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nd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provided at the front end; and a rear driving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rear guide vane around the rotation shaft.

또한,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행 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전방 개폐 부재와 상기 후방 개폐 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driving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controls 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and the rear opening/closing member to adjus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inlet and the outlet according to the driving speed information.

또한, 상기 집진 부재는 상기 차체 프레임 내에 유입된 주행풍으로부터 싸이클론 방식으로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복수 개의 싸이클론 집진기; 및 상기 싸이클론 집진부에서 배출된 주행풍으로부터 미세입자을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cyclonic dust collectors for removing fine particles from the traveling wind introduced into the vehicle body frame in a cyclonic manner; and a filter for removing fine particles from the running wind discharged from the cyclone dust collecting unit.

또한, 상기 집진 부재는 상기 차체 프레임 내에 유입된 주행풍이 유입되는 집진 공간들이 형성된 집진체; 상기 집진 공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주행풍이 유입되는 방향을 향해 일 면이 배치되는 임펙터; 및 상기 집진체에서 배출된 주행품으로부터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member may include: a dust collecting body having dust collecting spaces through which traveling wind introduced into the vehicle body frame is introduced; an impactor positioned in the dust collection space and having one surface disposed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veling wind flows; and a filter for removing fine particles from the traveling article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or.

또한, 상기 집진 부재는, 상기 차체 프레임 내에 유입된 주행풍의 흐름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주행풍의 흐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그리고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루버들; 상기 루버들 중 가장 높게 위치하는 루버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주행풍을 따라 유입되는 미세 입자를 집진하는 집진통; 및 상기 루버들을 통과한 주행풍으로부터 미세입자을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uvers dispos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flow direction of the driving wind introduced into the vehicle body fram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driving wind and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a dust collector which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louver located highest among the louvers, and collects fine particles introduced along the traveling wind; And it may include a filter for removing fine particles from the traveling win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louvers.

또한, 상기 집진 부재는, 전기장을 생성하여 주행풍으로부터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전기 집진기; 및 상기 전기 집진기를 통과한 주행풍으로부터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member may include: an electric dust collector for generating an electric field to collect fine particles from the traveling wind; And it may include a filter for removing fine particles from the traveling win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lectric dust collector.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집진 장치는 차량의 차체 프레임 내에 장착되고, 유입구의 개폐조절에 따른 주행풍의 유입으로, 주행풍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or for a vehicle is mounted in a frame of a vehicle body, and can collect fine dust contained in the driving wind by inflow of the driving wind according to the opening/closing control of the inle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유입구의 개폐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차량에 가해지는 공기역학적 부하를 최소화하고 연비 감소를 크게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erodynamic load applied to the vehicle and greatly reduce the reduction in fuel efficiency by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let according to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 프레임 내에 장착된 차량용 집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차량용 집진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차량용 집진 장치를 나타내는 XY평면상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차량용 집진 상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XY평면상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집진기를 나타내는 YZ평면상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집진기를 나타내는 YZ 평면상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집진기의 유입구의 크기에 따른 미세 입자 집진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집진기를 나타내는 YZ 평면상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집진기를 나타내는 YZ 평면상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집진기를 나타내는 XY평면상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집진기를 나타내는 XY평면상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방 개폐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전방 개폐 부재를 나타내는 XY평면 상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방 개폐 부재를 나타내는 XY평면 상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전방 개폐 부재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방 개폐 부재를 나타내는 XY평면 상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전방 개폐 부재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방 개폐 부재를 나타내는 XY평면 상의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dust collector for a vehicle mounted in a body fram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ust collect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XY plane showing the dust collector for a vehicle of FIG. 2 .
4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XY plane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dust collecting state for a vehicle of FIG. 3 .
5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YZ plane showing the first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YZ plane showing the first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showing the fine particle dust colle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let of the first dust collector.
8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YZ plane showing the first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YZ plane showing the first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XY plane showing the first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XY plane showing the first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ront opening/clos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XY plane showing 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of FIG. 12 .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XY plane showing 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of FIG. 14 .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n an XY plane showing a front opening/clos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of FIG. 16 .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XY plane showing 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icknesses of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wha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Each embodiment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s a complementary embodiment thereof.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or' is used to mea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elements listed before and after.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In the specifica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elem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configura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ex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connection” is used to include both in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 프레임 내에 장착된 차량용 집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차량용 집진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차량용 집진 장치를 나타내는 XY평면상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차량용 집진 상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XY평면상의 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dust collector for a vehicle mounted in a body fram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ust collect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the dust collector for a vehicle of FIG. 2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XY plane show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XY plane which shows the operation state of the dust collecting state for vehicles of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집진 장치(100)는 차량(10)의 차체 프레임(11) 내에 장착되며,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차량용 집진 장치(100)는 차량(10)의 측면 프레임(11)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차량(10)의 측면 프레임(11)은 도어 프레임(11)을 포함한다. 차량용 집진 장치(100)는 양측 도어 프레임(11) 각각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집진 장치(100)는 차량(10)의 루프 프레임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차량용 집진 장치(100)가 도어 프레임(11) 내에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10)의 폭 방향을 X축 방향이라 하고, 차량의 주행 방향을 Y축 방향이라 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Z축 방향이라 한다.1 to 4 , the dust collector 100 for a vehicle is mounted in the body frame 11 of the vehicle 10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dust collector 100 for a vehicle may be mounted in the side frame 11 of the vehicle 10 . The side frame 11 of the vehicle 10 includes a door frame 11 . The dust collector 100 for a vehicle may be mounted on each of the door frames 11 on both sides. Also, the dust collector 100 for a vehicle may be mounted in a roof frame of the vehicle 10 . In this embodiment, the dust collector 100 for a vehicle is mounted in the door frame 11 as an exampl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10 is referred to as an X-axis direction,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s referred to as a Y-axis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s referred to as a Z-axis direction.

차량(10)의 차체 프레임(11)은 외부에 제공되는 외장 패널(12)과 내측에 제공되는 내장 패널(미도시), 그리고 외장 패널과 내장 패널을 지지하는 필러(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용 집진 장치(100)는 내장 패널과 외장 패널(12)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외장 패널(12)에는 유입구(14)와 배출구(15)가 형성된다. 차량(10)의 주행 시 발생하는 주행풍(W)은 유입구(14)로 유입된 후 차량(10)의 차체 프레임(11) 내부를 거쳐 배출구(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body frame 11 of the vehicle 10 may include an exterior panel 12 provided outside, an interior panel (not shown) provided inside, and a pillar (not shown) supporting the exterior panel and the interior panel. In addition, the vehicle dust collector 100 may be mounted between the interior panel and the exterior panel 12 . The exterior panel 12 is formed with an inlet 14 and an outlet 15 . The driving wind W generated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10 flows into the inlet 14 ,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body frame 11 of the vehicle 10 ,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5 .

차량용 집진 장치(100)는 바디(110), 전방 개폐 부재(120), 후방 개폐 부재(130), 빗물 유입 방지부(140), 집진 부재(150),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The dust collector 100 for a vehicle includes a body 110 , a front opening/closing member 120 , a rear opening/closing member 130 , a rainwater inflow prevention unit 140 , a dust collecting member 150 , and a controller (not shown).

바디(110)는 소정 부피로 제공되며, 일측면이 개방된다. 바디(110)는 차량(10)의 차체 프레임(11) 내에 위치하며, 개방된 일 측면이 외장 패널(12)과 결합한다. 바디(110)는 유입구(14)의 선단 영역에서부터 배출구(15)의 후단 영역으로 제공되며, 유입구(14)를 통해 유입된 주행풍(W)이 배출구(15)를 통해 배출되기까지 유동 공간을 제공한다.The body 110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volume, and one side is open. The body 110 is positioned in the vehicle body frame 11 of the vehicle 10 , and an open side surface is coupled to the exterior panel 12 . The body 110 is provided from the front end area of the inlet 14 to the rear end area of the outlet 15, and the flow space until the traveling wind W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4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5. to provide.

전방 개폐 부재(120)는 바디(110) 내에 장착되며, 유입구(14)를 개폐한다. 전방 개폐 부재(120)는 전방 가이드 베인(121)과 전방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120 is mounted in the body 110 and opens and closes the inlet 14 . 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120 includes a front guide vane 121 and a front driving unit (not shown).

전방 가이드 베인(121)은 주행풍(W)이 바디(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거나 유입구(14)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전방 가이드 베인(121)은 개구(122a)가 형성된 전면(122)과 전면(122)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되는 후면(123)을 가진다. 후면(123)의 후단에는 회전축(124)이 제공된다. 전방 가이드 베인(121)은 회전축(12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The front guide vane 121 serves to guide the traveling wind W to flow into the body 110 or block the inlet 14 . The front guide vane 121 has a front surface 122 in which an opening 122a is formed and a rear surface 123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122 . A rotation shaft 124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rear surface 123 . The front guide vane 121 is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shaft 124 .

전방 구동부는 전방 가이드 베인(121)을 상기 회전축(124)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유입구(14)의 개폐를 제어한다. 전방 구동부는 유입구(14)의 개방 시, 전방 가이드 베인(121)의 전면(122)과 후면(123)이 외장 패널(1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전방 가이드 베인(121)을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전방에서 불어오는 주행 풍(W)이 전방 가이드 베인(121)의 전면으로 유입되고 후면(123)과 충돌하여 바디(11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전방 구동부는 유입구(14)의 폐쇄 시, 전방 가이드 베인(121)의 후면(123)이 외장 패널(12)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전방 가이드 베인(121)을 회전시킨다.The front driving uni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let 14 by rotating the front guide vane 121 about the rotation shaft 124 . When the inlet 14 is opened, the front driving unit rotates the front guide vane 121 so that the front 122 and the rear 123 of the front guide vane 121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exterior panel 12 . Accordingly, the driving wind (W) blowing from the front may be introduced in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guide vane 121 and collide with the rear surface 123 to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110 . When the inlet 14 is closed, the front driving unit rotates the front guide vane 121 so that the rear surface 123 of the front guide vane 121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exterior panel 12 .

후방 개폐 부재(130)는 바디(110) 내에 장착되며, 배출구(15)를 개폐한다. 후방 개폐 부재(130)는 후방 가이드 베인(131)과 후방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The rear opening/closing member 130 is mounted in the body 110 and opens and closes the outlet 15 . The rear opening/closing member 130 includes a rear guide vane 131 and a rear driving unit (not shown).

후방 가이드 베인(131)은 배출구(15)를 차단하거나, 바디(110) 내로 유입된 주행풍(W)이 배출구(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후방 가이드 베인(131)은 전면(132)과, 상기 전면(132)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되며 개구(133a)가 형성된 후면(133)을 가진다. 전면(132)의 전단에는 회전축(134)이 제공된다. 후방 가이드 베인(131)은 회전축(13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The rear guide vane 131 blocks the outlet 15 or serves to guide the traveling wind W introduced into the body 11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5 . The rear guide vane 131 has a front surface 132 and a rear surface 133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132 and having an opening 133a formed therein. A rotation shaft 134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ront surface 132 . The rear guide vane 131 is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shaft 134 .

후방 구동부는 후방 가이드 베인(131)을 상기 회전축(13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배출구(15)의 개폐를 제어한다. 후방 구동부는 배출구(15)의 개방 시, 후방 가이드 베인(131)의 전면과 후면이 외장 패널(1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후방 가이드 베인(131)을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바디(110) 내의 주행 풍이 후방 가이드 베인(131)의 후면(1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후방 구동부는 배출구(15)의 폐쇄 시, 후방 가이드 베인(131)의 전면(132)이 외장 패널(12)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후방 가이드 베인(131)을 회전시킨다.The rear driving uni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utlet 15 by rotating the rear guide vane 131 about the rotation shaft 134 . When the exhaust port 15 is opened, the rear driving unit rotates the rear guide vane 131 so tha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rear guide vane 131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exterior panel 12 . Accordingly, the traveling wind in the body 1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ar surface 133 of the rear guide vane 131 . When the exhaust port 15 is closed, the rear driving unit rotates the rear guide vane 131 so that the front surface 132 of the rear guide vane 131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exterior panel 12 .

빗물 유입 방지부(140)는 바디(110) 내에 위치한다. 빗물 유입 방지부(140)는 우천 시 주행풍(W)과 함께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한다. 빗물 유입 방지부(140)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141)가 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빗물은 블레이드(141)들과 충돌하여 유입이 차단되고, 주행풍(W)은 블레이드(141)들 사이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rainwater inflow prevention unit 140 is located in the body 110 . The rainwater inflow prevention unit 140 blocks the rainwater that is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driving wind W when it rains. In the rainwater inflow prevention unit 140 , a plurality of blades 141 may b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Rainwater collides with the blades 141 to block the inflow, and the traveling wind W may flow into the space between the blades 141 .

집진 부재(150)는 바디(110) 내에 위치하며, 빗물 유입 방지부(140)를 통과한 주행풍(W)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집진한다. 집진 부재(150)는 제1집진기(160)와 제2집진기(170)를 포함한다. 제1집진기(160)는 싸이클론 집진기, 루버 집진기, 관성 임팩터 집진기, 전기 집진기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제1집진기(1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dust collecting member 150 is located in the body 110 and collects fine dust contained in the traveling wind W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ainwater inflow prevention unit 140 . The dust collecting member 150 includes a first dust collector 160 and a second dust collector 170 . The first dust collector 160 may be any one of a cyclone dust collector, a louver dust collector, an inertial impactor dust collector, and an electric dust collect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rst dust collector 1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

제2집진기(170)는 제1집진기(160)의 후방에 위치하며, 제1집진기(160)에서 배출되는 주행풍(W)에 포함된 미세 입자를 걸러주는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The second dust collector 17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first dust collector 160 , and a filter for filtering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traveling wind W discharged from the first dust collector 160 may be used.

제어부는 차량(10)으로부터 주행 속도 정보를 수신하고, 주행 속도 정보에 따라 유입구(14)와 배출구(15)의 개방 정도를 조절한다. 제어부는 차량(10)의 속도 센서로부터 현재의 주행 속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신된 주행 속도 정보에 따라 전방 구동부와 후방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유입구(14)와 배출(15)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는 현재의 차량 주행 속도가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유입구(14)와 배출구(15)가 일부 개방되도록 전방 구동부와 후방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현재의 차량 주행 속도 정보가 기준 속도 미만인 경우, 유입구(14)와 배출구(15)가 완전 개방되도록 전방 구동부와 후방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정속 주행 구간과 감속 주행 구간에서는 유입구(14)와 배출구(15)가 완전 개방되고, 가속 주행 구간에서는 유입구(14)와 배출구(15)를 일부 개방되도록 전방 구동부와 후방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driving speed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10 and adjusts the opening degree of the inlet 14 and the outlet 15 according to the driving speed information. The controller may receive current driving speed information from the speed sensor of the vehicle 10 in real tim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front driving unit and the rear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received driving speed information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inlet 14 and the outlet 15 . When the current vehicle driving speed exceeds the reference spee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front driving unit and the rear driving unit to partially open the inlet 14 and the outlet 15 . Also, when the current vehicle driving speed information is less than the reference spee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front driving unit and the rear driving unit so that the inlet 14 and the outlet 15 are fully open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ront driving unit and the rear driving unit so that the inlet 14 and the outlet 15 are fully opened in the constant speed driving section and the deceleration driving section, and the inlet 14 and the outlet 15 are partially opened in the accelerated driving section. can do.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집진기를 나타내는 YZ평면상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YZ plane showing the first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1집진기(160)는 싸이클론 집진기가 사용될 수 있다. 싸이클론 집진기(160)는 싸이클론 방식으로 주행풍(W)로부터 미세입자를 제거한다. 싸이클론 집진기(160)는 복수 개 제공되며, 바디(110) 내에서 Z축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된다. 싸이클론 집진기(160) 각각은 주행풍(W)이 유입되는 유입구(211)와 주행풍이 배출되는 배출구(212), 그리고 유입구(211)와 배출구(212)를 연결하며 미세 입자를 포집하는 집진 공간(213)을 포함한다. 유입구(211)들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집진 공간(213)에는 싸이클론 흐름을 형성하는 싸이클론 형성부(215)가 위치한다. 싸이클론 형성부(215)는 주행풍(W)이 유입되는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날개를 포함한다. 싸이클론 형성부(215)는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유입구(211)로 유입된 주행풍(W)은 싸이클론 형성부(215)에 의해 싸이클론 흐름을 형성하고, 이 과정에서 미세 입자들이 집진 공간(213)에 포집된다. 미세 입자가 제거된 주행풍(W)은 배출구(2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Referring to FIG. 5 , the first dust collector 160 may be a cyclone dust collector. The cyclone dust collector 160 removes fine particles from the traveling wind W in a cyclonic manner. A plurality of cyclone dust collectors 160 are provided, and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body 110 . Each of the cyclone dust collectors 160 connects the inlet 211 through which the running wind W is introduced, the outlet 212 through which the running wind is discharged, and the inlet 211 and the outlet 212, and a dust collecting space for collecting fine particles. (213). The inlets 211 may have the same diameter. A cyclone forming part 215 for forming a cyclone flow is located in the dust collecting space 213 . The cyclone forming unit 215 includes a plurality of blades dispos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veling wind W is introduced. The cyclone forming unit 215 may rotate about its central axis. The traveling wind W introduced into the inlet 211 forms a cyclone flow by the cyclone forming unit 215 , and in this process, fine particles are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space 213 . The traveling wind W from which the fine particles are remov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212 .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집진기를 나타내는 YZ 평면상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제1집진기의 유입구의 크기에 따른 미세 입자 집진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YZ plane showing the first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fine particle dust colle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let of the first dust collector.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싸이클론 집진기(210a, 210b)들의 유입구(211a, 211b)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싸이클론 집진기(210a)들 중 일부는 제1직경(d1)의 제1유입구(211a)를 가지고, 나머지(210b)는 제2직경(d2)의 제2유입구(211b)를 가질 수 있다. 제1직경(d1)은 제2직경(d2)보다 클 수 있다. 제1유입구(211a)를 갖는 제1싸이클론 집진기(210a)와 제2유입구(211b)를 갖는 제2싸이클론 집진기(210b)는 Z축 방향으로 교대로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6 , the inlets 211a and 211b of the cyclone dust collectors 210a and 210b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Some of the cyclone dust collectors 210a may have a first inlet 211a having a first diameter d1, and the remaining 210b may have a second inlet 211b having a second diameter d2. The first diameter d1 may be larger than the second diameter d2. The first cyclone dust collector 210a having the first inlet 211a and the second cyclone dust collector 210b having the second inlet 211b may be alternately disposed in the Z-axis direction.

도 7을 참조하면, 싸이클론 집진기(210a, 210b)들은 유입구(211a, 211b)의 사이즈에 따라 상이한 집진 효율을 나타낸다. 유입구(211a)의 직경이 클수록 비교적 큰 사이즈의 미세 입자 포집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직경이 상이한 유입구(211a, 211b)를 갖는 싸이클론 집진기(210a, 210b)를 함께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미세 입자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cyclone dust collectors 210a and 210b exhibit different dust collection efficiencies according to the sizes of the inlets 211a and 211b. It can be seen that the larger the diameter of the inlet 211a is, the more effective it is to collect relatively large-sized fine particles.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collect fine particles of various sizes by arranging the cyclone dust collectors 210a and 210b having inlets 211a and 211b having different diameters together.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집진기를 나타내는 YZ 평면상의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YZ plane showing the first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제1싸이클론 집진기(210a)의 제1유입구(211a)와 제2싸이클론 집진기(210b)의 제2유입구(211b)는 서로 상이한 깊이(S1, S2)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유입구(211b)는 제1유입구(211a)보다 깊은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유입구(211a)와 제2유입구(211b)는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유입구(211a)와 제2유입구(211b)는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후류(11)는 제1유입구(211a)에 1차 유입되고, 순차적으로 제2유입구(211b)에 2차 유입될 수 있다. 입자 사이즈가 큰 미세 입자는 주로 제1유입구(211a)를 통해 유입되고, 입자 사이즈가 작은 미세 입자는 주로 제2유입구(211b)롤 통해 유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first inlet 211a of the first cyclone dust collector 210a and the second inlet 211b of the second cyclone dust collector 210b may be located at different depths S1 and S2. have. The second inlet 211b may be located at a point deeper than the first inlet 211a. The first inlet 211a and the second inlet 211b may have the same diameter. Alternatively, the first inlet 211a and the second inlet 211b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The wake 11 may be first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211a, and may be sequentially introduced secondarily into the second inlet 211b. Fine particles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may be mainly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let 211a, and fine particles having a small particle size may be mainly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inlet 211b roll.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집진기를 나타내는 YZ 평면상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YZ plane showing the first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제1집진기(160)는 집진체(210)와 임펙터(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 the first dust collector 160 includes a dust collector 210 and an impactor 230 .

집진체(210)는 바디(110) 내에 위치한다. 집진체(210)에는 주행풍(W)이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는 유로가 Z축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각각의 유로는 유입구(211), 집진 공간(213), 그리고 배출구(212)를 갖는다. 유입구(211)는 주행풍(W)이 유입되는 유로로, 제1영역(211a)과 제2영역(211b)을 포함한다. 제1영역(211a)은 Y축 방향으로 제2영역(211b)에 가까워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진다. 제2영역(211b)은 제1영역(211a)의 후단에서 제1영역(211a)과 연결되며, 일정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입구(211)는 깔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깔때기 형상의 유입구(211)는 주행풍(W)의 유입을 원활하게 한다.The dust collector 210 is located in the body 110 . A plurality of flow paths through which the traveling wind W can be introduced and discharged are formed in the dust collector 210 in the Z-axis direction. Each flow path has an inlet 211 , a dust collecting space 213 , and an outlet 212 . The inlet 211 is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traveling wind W flows, and includes a first area 211a and a second area 211b. The diameter of the first region 211a gradually decreases as it approaches the second region 211b in the Y-axis direction. The second region 211b is connected to the first region 211a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region 211a and may have a constant diameter. Accordingly, the inlet 211 may have a funnel shape. The funnel-shaped inlet 211 facilitates the inflow of the traveling wind W.

집진 공간(213)은 제2영역(211b)보다 큰 내경을 갖는 공간으로, 미세 입자를 포집한다. 집진 공간(213)은 유입구(211)에 인접한 영역이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고, 배출구(212)에 가까워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한다.The dust collecting space 213 is a space having an inner diameter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region 211b, and collects fine particles. The dust collecting space 213 has a relatively large inner diameter in a region adjacent to the inlet 211 , and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as it approaches the outlet 212 .

임펙터(230)는 집진 공간(213) 내에 배치된다. 임펙터(23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으로, 일 면이 유입구(211)를 향해 배치된다. 임펙터(230)의 일 면은 유입구(211)의 제2영역(211b)보다 큰 면적을 갖는다. 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주행풍(W)은 임펙터(230)와 충돌한 후, 임펙터(230)를 돌아 배출구(212)로 유입된다. 주행풍(W)이 임펙터(230)와 충돌하는 과정에서 주행풍(W)에 포함된 미세 입자는 임펙터(230)와 관성 충돌 후 집진 공간(213)의 바닥에 포집된다.The impactor 230 is disposed in the dust collecting space 213 . The impactor 230 is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one surface is disposed toward the inlet 211 . One surface of the impactor 230 has a larger area than the second region 211b of the inlet 211 . The traveling wind W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11 collides with the impactor 230 , and then flows around the impactor 230 into the outlet 212 . In a process in which the traveling wind W collides with the impactor 230 , the fine particles included in the traveling wind W are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on space 213 after the inertial collision with the impactor 230 .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집진기를 나타내는 XY평면상의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XY plane showing the first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제1집진기(160)는 루버(212)와 집진통(215)을 포함한다. 루버(212)는 복수 개 제공되며, Y축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루버(212)는 Y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X 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Referring to FIG. 10 , the first dust collector 160 includes a louver 212 and a dust collector 215 . A plurality of louvers 212 are provided and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Y-axis direction. The louvers 212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Y-axis direction, and are sequentially positioned in the X-axis direction.

집진통(215)은 Y축 방향으로 최후단 루버(212)의 후방에 위치하며, 미세 입자를 포집한다. 주행풍(W)에 포함된 미세 입자들은 루버(212)들과 충돌하면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한 후 집진통(215)에 포집된다.The dust collector 215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last louver 212 in the Y-axis direction, and collects fine particles. The fine particles included in the traveling wind W move in the X-axis direction while colliding with the louvers 212 and are then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215 .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집진기를 나타내는 XY평면상의 단면도이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XY plane showing the first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제1집진기(160)는 전기 집진기가 제공될 수 있다. 전기 집진기는 복수의 전도성 판(212)이 서로 마주 배치되며, 전기의 인가로 전도성 판(212) 주변에 전기장이 생성된다. 전기장은 주행풍(W)에 포함된 미세 입자를 포집한다.Referring to FIG. 11 , the first dust collector 160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ic dust collector.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 plurality of conductive plates 212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n electric field is generated around the conductive plates 212 by application of electricity. The electric field collects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traveling wind W.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방 개폐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전방 개폐 부재를 나타내는 XY평면 상의 단면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XY plane showing 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of FIG. 12 .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전방 개폐 부재(120)는 전방 가이드 베인(121)과 전방 구동부를 포함한다.12 and 13 , 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120 includes a front guide vane 121 and a front driving unit.

전방 가이드 베인(121)은 개구(122a)가 형성된 전면(122)과, 상기 전면(122)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되는 후면(123)을 갖는다. 전면(122)의 선단에는 회전축(124)이 제공된다. 전방 가이드 베인(121)은 회전축(12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The front guide vane 121 has a front surface 122 in which an opening 122a is formed, and a rear surface 123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122 . A rotation shaft 124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ront surface 122 . The front guide vane 121 is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shaft 124 .

전방 구동부는 전방 가이드 베인(121)을 상기 회전축(12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유입구(14)의 개폐를 제어한다.The front driving uni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let 14 by rotating the front guide vane 121 about the rotation shaft 124 .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방 개폐 부재를 나타내는 XY평면 상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전방 개폐 부재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XY plane showing 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of FIG. 14 .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전방 개폐 부재(120)는 전방 도어(121)와 도어 구동부를 포함한다. 전방 도어(121)는 유입구(14)에 상응하거나 그보다 큰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외장 패널(12)의 내측에 위치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방 도어(121)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가이드 레일이 제공된다. 전방 도어(121)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14 and 15 , 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120 includes a front door 121 and a door driving unit. The front door 121 is a plate shape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or larger than the inlet 14 , and is located inside the exterior panel 12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guide rails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front door 121 , respectively. The front door 121 may slid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guide rail.

도어 구동부는 전방 도어(121)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유입구(14)의 개폐를 조절한다. 도어 구동부는 구동 모터와 랙-피니언 기어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door driving uni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let 14 by sliding the front door 121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door drive unit may be provided as a combination of a drive motor and a rack-and-pinion gear.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방 개폐 부재를 나타내는 XY평면 상의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전방 개폐 부재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6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XY plane showing 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of FIG. 16 .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전방 개폐 부재(120)는 전방 가이드 베인(121), 탄성 클립(125), 전방 도어(126), 그리고 도어 구동부를 포함한다.16 and 17 , 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120 includes a front guide vane 121 , an elastic clip 125 , a front door 126 , and a door driving unit.

전방 가이드 베인(121)은 바디(110)의 내측에 위치하며,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게 제공된다.The front guide vane 121 is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body 110 and is provid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탄성 클립(124)은 전방 가이드 베인(121)의 회전축(124)에 결합하며, 탄성력으로 전방 가이드 베인(121)을 회전시킨다.The elastic clip 124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24 of the front guide vane 121, and rotates the front guide vane 121 with an elastic force.

전방 도어(126)는 외장 패널(12)과 전방 가이드 베인(121)의 사이 공간에 위치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방 도어(126)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가이드 레일이 제공된다. 전방 도어(126)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The front door 126 is positioned in a space between the exterior panel 12 and the front guide vane 121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guide rails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front door 126 , respectively. The front door 126 may slid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guide rail.

도어 구동부는 전방 도어(126)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The door driving unit slides the front door 126 in the front-rear direction.

도 16과 같이, 전방 도어(126)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전방 가이드 베인(121)과 유입구(14)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전방 가이드 베인(121)은 전방 도어(126)에 밀려 바디(110) 내측으로 이동한다. 전방 가이드 베인(121)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성 클립(124)에는 탄성력이 생성된다.16, when the front door 126 slides forward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guide vane 121 and the inlet 14, the front guide vane 121 is pushed against the front door 126 to the body ( 110) move inward. An elas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elastic clip 124 while the front guide vane 121 rotates.

도 17과 같이, 전방 도어(126)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탄성 클립(124)의 탄성력이 전방 가이드 베인(121)의 회전축에 전달되며, 전방 가이드 베인(121)이 회전축(124)을 중심을 회전하여 유입구(14)의 외측으로 돌출된다.17 , when the front door 126 slides backwar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clip 124 is transmit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front guide vane 121 , and the front guide vane 121 rotates the rotation shaft 124 . It rotates around the center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inlet 14 .

다시 전방 도어(126)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 전방 도어(126)의 선단이 전방 가이드 베인(121)의 일면을 따라 이동하고 전방 가이드 베인(121)이 밀려 바디(1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front door 126 slides forward again, the front end of the front door 126 moves along one surface of the front guide vane 121 and the front guide vane 121 is pushed and positioned inside the body 110 . will do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방 개폐 부재를 나타내는 XY평면 상의 단면도이다.18 is a cross-sectional view on the XY plane showing 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전방 가이드 베인(121)은 도 12 및 도 13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게 제공된다. 이 경우, 전방 가이드 베인(121)이 바디(110)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 개구(122a)가 외부에 노출된다. 이를 위해, 전방 도어(126)가 전방 가이드 베인(121)과 외장 패널(12)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구(122a)의 전방에 위치한다. 전방 도어(126)는 개구(122a)에 상응하거나 그보다 큰 면적을 가지므로, 개구(122a)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Referring to FIG. 18 , the front guide vane 121 is provid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 In this case, when the front guide vane 121 is located inside the body 110, the opening 122a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this end, the front door 126 slides between the front guide vane 121 and the exterior panel 12, and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opening 122a. Since the front door 126 has an area corresponding to or larger than the opening 122a, the opening 122a is block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차량용 집진 장치
110: 바디
120: 전방 개폐 부재
121: 전방 가이드 베인
130: 후방 개폐 부재
131: 후방 가이드 베인
140: 빗물 유입 방지부
150: 집진 부재
160: 제1집진기
170: 제2집진기
100: vehicle dust collector
110: body
120: front opening and closing member
121: front guide vane
130: rear opening and closing member
131: rear guide vane
140: rainwater inflow prevention unit
150: dust collection member
160: first dust collector
170: second dust collector

Claims (11)

차량의 차체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의 외장 패널에 형성된 유입구를 개폐하는 전방 개폐 부재;
상기 차체 프레임 내에 제공되는 집진 부재; 및
상기 외장 패널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하는 후방 개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주행 시 발생하는 주행풍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집진 부재를 통과하며 미세먼지가 제거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전방 개폐 부재는,
상기 주행풍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전방 가이드 베인;
상기 전방 가이드 베인의 전면과 상기 외장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판상의 전방 도어; 및
상기 전방 도어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전방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개폐 부재가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경우, 상기 전방 도어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전면 사이에 위치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A dust collector for a vehicle mounted in a body frame of a vehicle, comprising:
a front opening/closing member opening and closing an inlet formed in an exterior panel of the vehicle body frame;
a dust collecting member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frame; and
and a rear opening/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formed in the exterior panel,
The driving wind generated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passe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member, fine dust is removed,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The front opening and closing member,
a front guide vane for guiding the traveling wind to be introduced into the inlet;
a plate-shaped front door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of the front guide vane and the exterior panel; and
and a front driving unit for sliding the front door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When the front opening and closing member blocks the inlet, the front door is positioned between the inlet and the front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가이드 베인은,
개구가 형성된 전면과, 상기 전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되는 후면을 가지며, 상기 후면의 후단에 제공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차량용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guide vane,
A dust collector for a vehicle, which has a front surface having an opening and a rear surfac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and is rotatable about a rotation shaft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rear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가이드 베인은,
개구가 형성된 전면과, 상기 전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되는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전면의 선단에 제공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차량용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guide vane,
A dust collector for a vehicle, which has a front surface having an opening and a rear surfac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and is rotatable about a rotation shaft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ront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개폐 부재는,
전면과, 상기 전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치되며 개구가 형성된 후면을 가지고, 상기 전면의 선단에 제공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후방 가이드 베인; 및
상기 후방 가이드 베인을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후방 구동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ar opening and closing member,
a rear guide van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the rear guide vane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nd being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provided at the front end thereof; and
and a rear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rear guide vane around the rotation shaf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행 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전방 개폐 부재와 상기 후방 개폐 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ntrol unit receiving the driving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controlling the front opening/closing member and the rear opening/closing member to adjust opening degrees of the inlet and the outlet according to the driving speed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부재는
상기 차체 프레임 내에 유입된 주행풍으로부터 싸이클론 방식으로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복수 개의 싸이클론 집진기; 및
상기 싸이클론 집진기에서 배출된 주행풍으로부터 미세입자을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collecting member is
a plurality of cyclone dust collectors for removing fine particles in a cyclonic manner from the driving wind introduced into the body frame; and
and a filter for removing fine particles from the running wind discharged from the cyclone dust coll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부재는
상기 차체 프레임 내에 유입된 주행풍이 유입되는 집진 공간들이 형성된 집진체;
상기 집진 공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주행풍이 유입되는 방향을 향해 일 면이 배치되는 임펙터; 및
상기 집진체에서 배출된 주행품으로부터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collecting member is
a dust collector having dust collecting spaces through which the traveling wind introduced into the vehicle body frame is introduced;
an impactor positioned in the dust collection space and having one surface disposed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veling wind flows; and
and a filter for removing fine particles from the traveling article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부재는,
상기 차체 프레임 내에 유입된 주행풍의 흐름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주행풍의 흐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그리고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루버들;
상기 루버들 중 가장 높게 위치하는 루버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주행풍을 따라 유입되는 미세 입자를 집진하는 집진통; 및
상기 루버들을 통과한 주행풍으로부터 미세입자을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collecting member,
a plurality of louvers arrang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driving wind introduced into the vehicle body frame, sequentially positioned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driving wind and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a dust collector which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louver located highest among the louvers, and collects fine particles introduced along the traveling wind; and
A dust collector for a vehicle including a filter for removing fine particles from the driving win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louv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부재는,
전기장을 생성하여 주행풍으로부터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전기 집진기; 및
상기 전기 집진기를 통과한 주행풍으로부터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collecting member,
an electric dust collector that generates an electric field and collects fine particles from the traveling wind; and
and a filter for removing fine particles from running win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lectric dust collector.
KR1020190128191A 2019-10-16 2019-10-16 Dust collecting apparatus mounted within body frames of vehicle KR1022791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191A KR102279161B1 (en) 2019-10-16 2019-10-16 Dust collecting apparatus mounted within body frames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191A KR102279161B1 (en) 2019-10-16 2019-10-16 Dust collecting apparatus mounted within body frames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008A KR20210045008A (en) 2021-04-26
KR102279161B1 true KR102279161B1 (en) 2021-07-19

Family

ID=7573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191A KR102279161B1 (en) 2019-10-16 2019-10-16 Dust collecting apparatus mounted within body frames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1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0727B (en) * 2022-08-15 2024-01-23 宁波大学 Device for capturing abrasion particles of tires of small coach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825B1 (en) * 2018-06-19 2018-12-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ir purification system by automobil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906B1 (en) * 2013-06-20 2015-05-06 손동욱 Apparatus for collecting particulate in air using vehicle
KR101801748B1 (en) * 2016-03-31 2017-11-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Complex type dust coll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825B1 (en) * 2018-06-19 2018-12-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ir purification system by automobi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008A (en) 202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170B1 (en) Air purifier
KR101801748B1 (en) Complex type dust collector
KR101517906B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particulate in air using vehicle
KR101965067B1 (en) Tunnel exit-standing tunnel dust collecting apparatus to control dust concentration.
KR101031907B1 (en) Dust separator for vehicle
CN101028788A (en) A dust collector for vehicles
KR101843544B1 (en) Apparatus For filtering Air Pollution
KR20170035481A (en) Air purification system for vehicle
KR102279161B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mounted within body frames of vehicle
WO2006092702A2 (en) Cleaner for air polluted by fine dusts and relative purifying process
KR101826021B1 (en) Number plate apparatus for vehicle with dust collecting function
KR20190045437A (en) Dust collector installed at wheel of vehicle
CN205026804U (en) Air purifier and possess air conditioner of air purification function
KR102206093B1 (en) Air purifier
KR102242696B1 (en)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using moving vehicles
CN107009852A (en) A kind of vehicle-mounted air purification device
CN110773318A (en) Putty powder workshop electrostatic precipitator equipment
KR20190022284A (en) Apparatus For filtering Air Pollution
KR102132067B1 (en) Vehicle fine dustreduction device
KR101117355B1 (en) Dust collector
KR102280310B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2301320B1 (en) Bi-directional Nonpowered Dust Collection System For Railway Vehicle
KR102289066B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mounted on a roof of vehicle
KR20240062514A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850916B1 (en) Air cleaner car using an nonpowered cyclone dust col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