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355B1 - Dust collector - Google Patents

Dust coll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355B1
KR101117355B1 KR1020090095564A KR20090095564A KR101117355B1 KR 101117355 B1 KR101117355 B1 KR 101117355B1 KR 1020090095564 A KR1020090095564 A KR 1020090095564A KR 20090095564 A KR20090095564 A KR 20090095564A KR 101117355 B1 KR101117355 B1 KR 101117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vehicle
diffuse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5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38322A (en
Inventor
육세진
권태훈
로진션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95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355B1/en
Publication of KR20110038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3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3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66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use in transportation mean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운송수단의 외부에 구비되어 운송수단의 주행시 운송수단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외부 공기가 집진될 수 있고, 디퓨져가 흡입구에 구비되어 고속의 외부 공기가 감속될 수 있다. 그리고, 노즐부들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 분포에 따라 노즐부들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포집부들로 균일한 유속의 공기가 토출될 수 있으며, 포집부들이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포집부들의 청소 및 교체 작업이 간편하게 실시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dust collecting device, the external air flowing along the surface of the vehicle is collect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running, the diffuser is provided in the inlet to reduce the high-speed external air Can be. The nozzles may have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nozzles, so that air having a uniform flow rate may be discharged to the collecting parts, and the collecting parts may be detachably disposed on the case to clean and clean the collecting parts. Replacement can be done easily.

집진 장치, 케이스, 디퓨져, 관성 임팩터, 노즐부, 포집부 Dust Collector, Case, Diffuser, Inertial Impactor, Nozzle, Collector

Description

집진 장치{DUST COLLECTOR}Dust collector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송수단의 주행 동력을 이용하여 운송수단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or capable of collecting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flowing along the surface of the vehicle using the driving power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집진 장치는 기체 또는 액체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particulate matter)을 분리하여 포집하는 장치이다. 상기 입자성 물질은 매우 미세한 알맹이로써, 특히 부유성 미세 먼지와 같이 대기 환경의 주요한 오염물질이다. Generally, a dust collecting device is a device that separates and collects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a gas or a liquid. The particulate material is very fine grains and is a major contaminant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especially floating fine dust.

최근에는 대기 오염의 심화 및 건강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인하여 상기 집진 장치의 사용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상기 집진 장치는 공장과 같이 매연이 많이 발생되는 장소 또는 환기가 어려운 밀폐된 실내에 설치될 수 있다.Recently, the use of the dust collector is increasing due to the deepening of air pollution and the change of the perception of health. For example, the dust collector may be installed in a place where a lot of smoke is generated, such as a factory or in a closed room difficult to ventilate.

한편, 운송수단이 주행되는 장소도 미세 먼지와 같은 입자성 물질이 많이 부유하고 있지만, 상기 운송수단이 주행되는 장소는 주변의 개방되어 있어 집진 장치를 설치하고 있지 않다. 또한, 기존의 집진 장치는 모터와 같은 동력원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으며, 그 동력원의 동력을 이용하여 입자성 물질을 포집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 lot of particulate matter such as fine dust is also floating in the place where the vehicle is driven, but the place where the vehicle is driven is open to the surroundings, and thus no dust collector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existing dust collector has a power source such as a motor separately, and collects particulate matter using the power of the power sour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운송수단의 주행시 운송수단의 표면을 따라 유동되는 외부 공기 내의 입자성 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dust collecting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particulate matter in the outside air flowing along the surface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drive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운송수단의 주행 동력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ng apparatus that can collect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by using the driving power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입자성 물질의 포집 구조를 단순하게 형성할 수 있고, 포집된 입자성 물질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ng apparatus that can simply form a collecting structure of particulate matter, and that can easily clean the collected particulate matt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운송수단에 구비되고 운송수단의 주행시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내부의 처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흡입구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키는 디퓨져, 및 상기 디퓨져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동 경로 상에 구비되고 상기 디퓨져에 의해 유속이 감소된 공기와 충돌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기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particulate matter)을 집진하는 관성 임팩터(inertial impactor)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provided in the vehicle and formed with an intake port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s sucked when the vehicle is driven an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processed air is discharged, the inlet of the case is sucked into the intake port. A diffuser for reducing the flow rate of air, and a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air in the process of colliding with the air having a reduced flow rate by the diffuser provided on an air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diffuser and the outlet; Provided is a dust collecting device including an inertial impactor for collecting dust.

즉, 상기 집진 장치는 상기 운송수단의 주행시 상기 운송수단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외부 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외부 공기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을 포집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집진 장치는 상기 운송수단의 주행 동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동력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집진 장치는 상기 운송수단의 주행시 상기 운송수단의 주행 장소에 존재하는 입자성 물질을 포집하기 때문에, 지하철과 차량 등이 운행되는 개방된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가 있다.That is, the dust collector is a structure that collects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by receiving the external air flowing along the surface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running. Therefore, since the dust collector uses the driving power of the vehicl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power source. In addition, since the dust collecting device collects particulate matter present at the driving place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driven, it can be used in an open space in which subways and vehicles are operated.

상기 케이스는 상기 운송수단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는 상기 운송수단의 외부 표면에 장착될 수 있다. The case may be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In other words, the case may be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또는 상기와 다르게, 상기 케이스는 상기 운송수단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에는 상기 운송수단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 통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관성 임팩터에 의해 집진된 공기를 상기 운송수단의 외부로 유출하는 공기 유출 통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운송수단의 외부를 따라 흐르는 공기는 상기 공기 유입 통로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흡입구로 유동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처리된 공기는 상기 공기 유출 통로를 통해 상기 운송수단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진 장치는 외부로 보이지 않는 구조로 상기 운송수단에 배치되므로, 상기 집진 장치의 설치로 인한 미관의 저하 및 외형 크기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ase may be arranged inside the vehicle. The inlet may include an air inlet passage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of the vehicle is introduced, and the outlet port may include an air outlet passage through which air collected by the inertial impacto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have. That is, the air flowing along the outside of the vehicle can be flowed to the inlet of the case through the air inlet passage, the air treated inside the case flows out of the vehicle through the air outlet passage Can be. Therefore, since the dust collector is disposed on the vehicle with a structure that is not visible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aesthetics and an increase in external size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dust collector.

상기 디퓨져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상기 외부 공기의 유동 단면적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상기 흡입구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디퓨져는 상기 운송수단의 고속 주행시 상기 관성 임팩터로 주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속이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진 장치는 상기 디퓨져에 의해 성능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The diffuser may be formed in the inlet in a shape in which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side air is extende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That is, the diffuser may reduce the flow rate of the air sucked into the case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external air injected into the inertial impactor does not increase above a set value when the vehicle travels at a high speed. Therefore, the dust collector can stabilize the performance by the diffuser.

상기 관성 임팩터는, 상기 디퓨져에 의해 유속이 감소된 공기를 가속시키도 록 상기 공기의 유동 단면적이 유동 방향을 따라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노즐부, 및 상기 노즐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충돌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공기와의 충돌시 상기 공기에 함유된 입자성 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ertial impactor is configured to collide with the nozzle portion formed to have a shape in which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is reduced along the flow direction so as to accelerate the air whose flow rate is reduced by the diffuser,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nozzle portion. And a collecting unit collecting the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air when colliding with the air.

상기 노즐부와 상기 포집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부들은 상기 포집부들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이 동일하도록 상기 노즐부들에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 분포에 따라 서로 다른 가속 성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집진 장치는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케이스 내의 공기의 유속 분포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즐부의 가속 성능을 상기 케이스 내의 공기의 유속 분포에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포집부들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을 일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The nozzle unit and the collecting unit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inside the case. The nozzle units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acceleration performances according to the flow rate distribution of the air flowing into the nozzle units such that the flow rates of the air flowing to the collecting units are the same. That is, since the dust collecting device may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the flow rate distribution of air in the case may be variously formed. Therefore, by forming the acceleration performance of the nozzle uni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flow rate distribution of the air in the case, it is possible to set a constant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to the collecting portions.

예를 들면, 상기 노즐부들은 상기 노즐부들에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빠를수록 상기 공기가 통과되는 통로의 유동 단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노즐부의 유동 단면적이 작아지면, 상기 노즐부를 공기가 통과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 노즐부에 의한 공기의 유속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노즐부의 유동 단면적이 커지면, 상기 노즐부를 공기가 통과하는 것이 쉽기 때문에 상기 노즐부에 의한 공기의 유속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For example, the nozzles may have a smaller flow cross-sectional area of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as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into the nozzles increases. That is, when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nozzle portion is small, it is difficult for air to pass through the nozzle portion, so that the rate of increase in the flow rate of air by the nozzle portion may be relatively small. On the other hand, when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nozzle portion is large, it is easy for air to pass through the nozzle portion, so that the rate of increase in the flow rate of air by the nozzle portion may be relatively large.

상기 포집부들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집부들은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집부들은 상기 케이스에서 탈거된 후 입자성 물질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부들이 일체로 형성되면, 상기 포집부들을 상기 케이스에 착탈시키는 작업을 한번의 동작만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 collecting portions may be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the collecting units may be detachably disposed on the case. Therefore, the collecting parts can be easily cleaned of the particulate matter after being removed from the case. In addition, when the collecting units are integrally formed, the operation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collecting units to the case may be performed by only one operation.

상기 포집부들에는 상기 노즐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충돌되는 충돌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돌면은 평면, 요철면, 또는 오목면 중 적어도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관성 임팩터는 상기 충돌면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The collecting parts may be provided with a collision surface colliding with air discharged from the nozzle part. The collision surface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a plane, an uneven surface, and a concave surface. That is, the inertial impactor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llision surfac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운송수단에 구비되고 운송수단의 주행시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내부의 처리된 공기(A4)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흡입구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키는 디퓨져, 및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디퓨져에 의해 유속이 감소된 공기를 선회시켜 상기 공기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을 집진하는 사이클론 기구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provided in the case and the inlet formed in the inlet and the outlet for discharging the processed air (A4) is provided in the vehicle and the outside air is sucked in the running of the vehicle, And a diffus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se, and a cyclone mechanism for collecting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air by pivoting air having a reduced flow rate by the diffuser. Provide a dust collector.

상기 케이스와 상기 사이클론 기구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사이클론 기구의 내주면에 접선 방향으로 상기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사이클론 기구의 하부 중앙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사이클론 기구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선회되면서 하측으로 하강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사이클론 기구의 하부로 하강된 공기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에 포함된 입자성 물 질은 관성과 원심력의 영향으로 상기 공기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사이클론 기구의 내측면에 포집될 수 있다.The case and the cyclone mechanism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suction port may be formed at a side of the case such that the outside air is sucked in a tangential direction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and the cyclone mechanism. The outlet may be formed in the case so that air is discharged from the lower center of the cyclone mechanism to the upper side of the case. Therefore, the outsid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can be lowered downward while turning in a spiral shap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ase and the cyclone mechanism. Then, the air lower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yclone mechanism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through the outlet. At this time, the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air may be separated from the air under the influence of inertia and centrifugal force and then collec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and the cyclone mechanism.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운송수단의 외부에 상기 케이스가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운송수단의 내부에 상기 케이스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가 상기 운송수단의 내부에 배치될 경우, 상기 흡입구에는 상기 운송수단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 통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사이클론 기구에 의해 집진된 공기를 상기 운송수단의 외부로 유출하는 공기 유출 통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퓨져는 상기 공기 유입 통로의 단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디퓨져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상기 외부 공기의 유동 단면적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상기 흡입구에 형성될 수 있다. Lik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in the case outside the vehicle or the case is disposed inside the vehicle. In addition, when the case is disposed inside the vehicle, the inlet may be provided with an air inlet passage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of the vehicle is introduced, and the outlet port transports the air collected by the cyclone mechanism. An air outlet passage that exits the means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diffuser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air inlet passage. In addition, the diffuser may be formed in the inlet in a shape in which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side air is extende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상기 사이클론 기구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클론 기구는 상기 케이스에서 탈거되므로, 상기 사이클론 기구의 내측면에 포집된 입자성 물질의 청소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사이클론 기구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The cyclone mechanism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Therefore, since the cyclone mechanism is removed from the case, not only can the particulate matter collected on the inner side of the cyclone mechanism be easily cleaned, but also the cyclone mechanism can be easily replaced.

또한, 상기 사이클론 기구의 하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이클론 기구의 하부는 하측을 향해 뾰족하게 형성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이클론 기구의 하부의 내측면은 경사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가 나선 형상으로 선회되면서 상기 사이클론 기구의 하부로 유동되면, 상기 사이클론 기구의 하부 형상으 로 인하여 상기 공기의 선회 반경은 감소된다. 하지만, 상기 공기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은 관성에 의해 초기의 선회 반경을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상기 입자성 물질은 상기 사이클론 기구의 경사면에 포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클론 기구의 하부는 단순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cyclone mechanism may be formed in a shape of decreasing radius toward the lower side. For example, the lower portion of the cyclone mechanism may be formed in a conical shape that is pointed downward.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yclone mechanism may be formed in an inclined surface shape. Thus, when the air is swirled in a spiral shape and flow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yclone mechanism, the turning radius of the air is reduced due to the lower shape of the cyclone mechanism. However, since the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air tries to maintain the initial turning radius by inertia, the particulate matter may be collect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yclone mechanism.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cyclone mechanism may be formed in a simple cylindrical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는, 운송수단의 주행시 운송수단의 표면을 따라 유동되는 외부 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외부 공기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을 포집하므로, 운송수단의 주행 동력을 이용하여 입자성 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진 장치는 작동을 위한 별도의 동력원이 불필요하므로, 전체적인 크기 및 제작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체적인 구조도 매우 단순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external air flowing along the surface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driven, and collects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thereby using the driving power of the vehicle. May capture sex material. Therefore, since the dust collector does not need a separate power source for operation, the overall size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overall structure can be formed very simp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는, 운송수단에 구비되어 운송수단이 주행하는 다양한 장소에서 입자성 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따라서, 운송수단이 주행하는 개방된 공간에서도 입자성 물질의 포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국 또는 전세계의 운송수단에 의해 대기 오염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vehicle can collect the particulate matter at various places that the vehicle is running. Therefore, not only the collection of particulate matter is possible in the open space in which the vehicle travels, but also the air pollution can be effectively improved by means of transportation nationwide or around the worl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는, 운송수단의 외부 또는 내부에 간단한 구조로 배치되므로, 운송수단의 설계 변경이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집진장치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집진 장치가 상기 운송수단의 내부에 배치되면, 상기 집진 장치로 인한 운송수단의 미관 저하 및 외형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simple structure outside or inside the vehicle, there is little change in the design of the vehicle, and the dust collector can be easily installed. In particular, when the dust collector is disposed inside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ppearance of the vehicle and increase in appearance due to the dust collect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는, 케이스의 흡입구에 디퓨져가 구비되므로, 운송수단의 고속 주행시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디퓨져가 감속시켜 공기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의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ffuser is provided in the inlet of the case, the diffuser slows down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inlet during high-speed driving of the vehicle to improve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air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는,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의 유속 분포에 따라 관성 임팩터의 노즐부들의 성능을 조정하여 포집부들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을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집부들의 포집 효율이 모두 일정하므로, 상기 관성 임팩터의 성능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performance of the nozzle portion of the inertial impactor according to the flow rate distribution of the air sucked into the inlet can make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to the collecting portion the same. Therefore, since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all the collection parts is constant, the performance of the inertial impactor can be stabiliz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는, 포집부들이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므로, 포집부들의 착탈 작업을 한 번의 동작만으로 구현할 수 있고, 포집부들을 간편하게 청소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성 임팩터를 장시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관성 임팩터의 사후 관리도 매우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llecting parts are integrally formed and detachably disposed on the case, the detaching operation of the collecting parts can be realized in one operation, and the collecting parts can be easily cleaned and reused. can do. Therefore, the inertial impactor can be used for a long time, and post-management of the inertial impactor can be very eas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는, 공기의 사이클론 현상을 이용하여 공기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을 포집하므로, 운송수단의 주행시 유입되는 대량의 공기를 집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클론 기구가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므로, 사이클론 기구 내에 포집된 입자성 물질을 청소하여 사이클론 기구의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으며, 사이클론 기구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클론 기구를 장시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사이클론 기구의 사후 관리도 매우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air by using the cyclone phenomenon of the air, it is possible to collect a large amount of air flowing in when the vehicle travels. In addition, since the cyclone mechanism is detachably disposed in the case, the cyclone mechanism may be reused by cleaning the particulate matter collected in the cyclone mechanism, and the cyclone mechanism may be easily replaced. Therefore, not only the cyclone mechanism can be used for a long time, but also post-management of the cyclone mechanism can be very easy.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B’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집부의 다른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집진 장치로부터 분리된 포집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집진 장치를 지하철의 외부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집진 장치에서 지하철의 운행 속도별 포집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집진 장치의 정속 구간에서 설치 개수에 따른 포집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B'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nother example of the collecting unit shown in FIG. The figure show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collecting part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device shown in FIG. 1 is disposed outside the subway. In addition,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collection efficiency for each running speed of the subway in the dust collector shown in Figure 5, Figure 7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ollec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stallation in the constant speed section of the dust collector shown in FIG.

도 1과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100)는 운송수단의 주행시 운송수단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외부 공기(A1) 내의 입자성 물질(P)을 집진 처리하는 장치이다. 운송수단은 차량, 자전거, 지하철의 전동차, 기차, 및 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자성 물질(P)은 외부 공기(A1)에 함유된 미립자로서 미세 먼지, 분진, 매연, 황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입자성 물질(P) 중에서 공기역학적 직경(aerodynamic diameter)이 30 마이크로미터보다 큰 것은 코나 구강을 통해 흡입되는 량은 적으나, 공기역학적 직경이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작은 입자들은 호흡성 입자(respirable particulate)로서 호흡시 폐 깊숙히 흡입되어 폐포나 기관지 등에 침착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폐암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1, 2 and 5,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iculate material (P) in the outside air (A1) flowing along the surface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running. It is a device for collecting dust. The vehicle may include a vehicle, a bicycle, an electric car of a subway, a train, a helicopter, and the like. The particulate matter P is a fine particle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A1 and may include fine dust, dust, soot, yellow sand,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aerodynamic diameter of the particulate matter (P) is greater than 30 micrometers is less inhaled through the nose or mouth, but the small particles with aerodynamic diameter of less than 10 micrometers are respirable particles ( As a respirable particulate, it can inhale deeply into the lungs and deposit in the alveoli or bronchus, causing lung cancer.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집진 장치(100)가 지하철의 전동차(102)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한다. 특히, 국내의 지하철 구간은 대부분이 지하에 위치되어 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지하철 구간 내의 입자성 물질(P)의 농도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 이와 같은 집진 장치(100)는 전동차(102)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집진 장치(100)는 전동차(102)의 양측면,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집진 장치(100)가 전동차(102)의 양측면에 복수개가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as being provided in the electric train 102 of the subway. In particular, since most of the domestic subway section is located in the basement is not easy to ventilate,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P) in the subway section is also very high. Such a dust collecting device 10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electric vehicle 102. That is,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may be mounted on at least one of both sides,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electric vehicle 102.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plurality of dust collectors 100 are dispos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electric vehicle 102.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집진 장치(100)는 케이스(110), 디퓨져(120), 및 관성 임팩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5,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case 110, a diffuser 120, and an inertial impactor 130.

상기 케이스(1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내부는 관성 임팩터(130)를 배치할 수 있도록 중동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110)는 전동차(102)의 양측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110)는 볼트 체결이나 용접 등으로 전동차(102)의 양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케이스(110)는 전동차(102)의 양측면에 분리와 결합이 용이한 구조로 장착될 수도 있다.The case 110 may b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side of the case 110 may be formed in a middle eastern structure so that the inertial impactor 130 may be disposed. Such a case 110 may b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ic vehicle 102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case 110 may b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ic vehicle 102 by bolting or welding. Alternatively, the case 110 may be mounted to both sides of the electric vehicle 102 in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coupled.

그리고,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전동차(102)의 운행 방향을 향해 개구된 형상으로 흡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전동차(102)의 운행시 전동차(102)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외부 공기(A1)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케이 스(110)의 타측에는 전동차(102)의 운행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해 개구된 형상으로 배출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14)는 관성 임팩터(130)에 의해 입자성 물질(P)이 포집된 공기(A4)를 배출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10)의 전면부에 흡입구(112)가 형성되고, 케이스(110)의 후면부에 배출구(114)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suction port 112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e 110 in a shape opened toward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2. The inlet 112 may suck outside air A1 flowing along the surface of the electric vehicle 102 when the electric vehicle 102 is driven. 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114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110 in a shape that is open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2. The outlet 114 may discharge the air A4 in which the particulate matter P is collected by the inertial impactor 130. Hereinafter, in this embodiment, the suction port 112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case 110, the discharge port 114 is form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case 110 will be described.

상기 디퓨져(120)는 흡입구(112)로 흡입되는 공기(A1)의 유속을 감소시키는 장치이다. 즉, 전동차(102)는 고속으로 주행되므로, 흡입구(112)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 공기(A1)의 유속이 매우 높다. 따라서, 디퓨져(120)는 관성 임팩터(130)의 효율을 최대로 높일 수 있는 유속으로 외부 공기(A1)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diffuser 120 is a device for reducing the flow rate of air A1 sucked into the inlet 112. That is, since the electric vehicle 102 travels at a high speed,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A1 sucked through the inlet 112 is very high. Therefore, the diffuser 120 may reduce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A1 at a flow rate that can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inertial impactor 130.

그리고, 디퓨져(120)는 흡입구(112)에 구비될 수 있다. 디퓨져(120)는 케이스(110)의 내부를 향해 외부 공기(A1)가 유동되는 단면적(D1)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디퓨져(120)의 후방부는, 흡입구(112)와 동일 유사한 단면적으로 형성되고, 흡입구(112)에 연결될 수 있다. 디퓨져(120)의 전방부는, 흡입구(112)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고, 흡입구(11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디퓨져(120)의 양측부는 전방부에서 후방부로 갈수록 외부 공기(A1)가 유동되는 단면적(D1)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경사, 곡선, 또는 계단 중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디퓨져(120)의 양측부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벌어지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diffuser 120 may be provided at the suction port 112. The diffuser 12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D1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A1 flows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110 is expanded. That is, the rear portion of the diffuser 120 may be formed in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s that of the inlet 112 and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112. The front portion of the diffuser 120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inlet 112, it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inlet (112). Both sides of the diffuser 120 may be formed in one of inclined, curved, or staircase shapes in order to increase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area D1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A1 flows from the front part to the rear part. Hereinafter, in this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that both side portions of the diffuser 120 are formed in an inclined shape that is opened to each other from the front to the rear.

또한, 디퓨져(120)는 흡입구(112)에 다양한 연결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디퓨져(120)가 흡입구(112)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 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집진 장치(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ffuser 120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112 in various connection structures. Hereinafter, although the diffuser 120 is described as being integrally formed in the inlet 112,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ssembl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the dust collector 100.

상기 관성 임팩터(130)는 공기역학적 운동직경에 근거하여 입자성 물질(P)을 크기별로 분리 및 샘플링(sampling)하는 장치로써, 디퓨져(120)에 의해 유속이 감소된 공기(A2)와 충돌되는 과정에서 공기(A2)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P)을 집진할 수 있다. 이러한 관성 임팩터(130)는 디퓨져(120)와 배출구(114)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동 경로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관성 임팩터(130)가 케이스(110)의 배출구(114)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ertial impactor 130 is a device for separating and sampling the particulate matter (P) by size based on the aerodynamic motion diameter, and collides with the air (A2) in which the flow rate is reduced by the diffuser 120 In the process, the particulate matter P included in the air A2 may be collected. The inertial impactor 130 may be provided on an air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diffuser 120 and the outlet 114. Hereinafter, although the inertial impactor 130 is described as being disposed at the outlet 114 of the case 11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situation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관성 임팩터(130)는 노즐부(132) 및 포집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132)와 포집부(134)는 케이스(110)의 배출구(114)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노즐부(132)들과 포집부(134)들은 케이스(110)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관성 임팩터(13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slit) 형상이다.1 and 2, the inertial impactor 130 may include a nozzle unit 132 and a collecting unit 134. The nozzle unit 132 and the collecting unit 134 may be disposed at a plurality of outlets 114 of the case 110. The nozzle parts 132 and the collecting parts 134 may b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like the case 110. That is, the inertial impactor 130 has a slit shap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노즐부(132)들은 디퓨져(120)에 의해 유속이 감소된 공기(A2)를 가속시키는 부재이다. 노즐부(132)들은 공기(A3)의 유동 방향을 따라 공기(A3)가 유동되는 단면적(D2)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노즐부(132)들의 단면적(D2)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부(132)들의 유입구(132a)로 유입된 공기(A3)는 노즐부(132)들의 유출구(132b)를 향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유속이 증가된다.The nozzle units 132 are members for accelerating the air A2 whose flow velocity is reduced by the diffuser 120. The nozzle units 132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D2 through which the air A3 flows is reduced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A3. That is, the cross-sectional area D2 of the nozzle units 132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decreas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Accordingly, the flow rate of air A3 introduced into the inlet 132a of the nozzle units 132 increases toward the outlet 132b of the nozzle units 132.

그리고, 노즐부(132)들의 양측부는 유입구(132a)에서 유출구(132b)로 갈수록 공기(A3)가 유동되는 단면적(D2)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경사, 곡선, 또는 계단 중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부(132)들의 양측부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벌어지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And, both sides of the nozzle portion 132 is formed in any shape of inclined, curved, or stair to reduce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area (D2) through which the air (A3) flows from the inlet (132a) to the outlet (132b). Can be. Hereinafter, in this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that both side portions of the nozzle portions 132 are formed in an inclined shape that opens toward each other from the front to the rear.

상기와 같은 노즐부(132)들은 삼각 형상이나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관 또는 봉을 배출구(114)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하는 방법으로 간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 또는 봉은 전방을 향해 뾰족한 부위를 위치시키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The nozzle unit 132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veniently formed by arranging a tube or a rod having a triangular or trapezoidal cross sec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114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is time, the tube or rod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positioning the pointed portion toward the front.

또한, 노즐부(132)들은 포집부(134)들로 유출되는 공기(A3)의 유속이 동일하도록 노즐부(132)들로 흡입되는 공기(A2)의 유속 분포에 따라 서로 다른 가속 성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케이스(1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A1)는 전동차(102)의 운행 속도와 운행 방향, 흡입구(112)와 디퓨져(120)의 형상, 케이스(110)의 내부 형상 등에 따라 유속의 분포가 달라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nozzle parts 132 may have different acceleration performances according to the flow rate distribution of the air A2 sucked into the nozzle parts 132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air A3 flowing out to the collecting parts 134 is the same. Can be formed. That is, the air A1 sucked into the case 110 may have a flow velocity depending on the traveling speed and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2, the shapes of the inlet 112 and the diffuser 120, the internal shape of the case 110, and the like. The distribution can vary.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10)의 흡입구(112)에 디퓨져(120)를 배치하여 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A1)의 유속 차이를 일정 수준 감소시킬 수 있지만, 케이스(1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A2)의 유속 분포가 완전히 균일화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케이스(110)의 내부 벽면과 공기(A2)의 접촉으로 인하여 케이스(110)의 내부 벽면과 가까운 위치에서의 공기 유속이 케이스(110)의 내부 중앙보다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10)의 내 부 중앙에 배치된 노즐부(132)들의 가속 성능보다 케이스(110)의 내부 벽면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노즐부(132)들의 가속 성능을 더 높게 형성하여 노즐부(132)들을 통과한 공기(A3)의 유속을 동일하게 조정할 수 있다. 물론, 케이스(110)의 내부 유속의 분포가 다양한 이유로 변경되면, 케이스(110) 내의 공기 유속 분포에 대응하여 노즐부(132)들의 가속 성능도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diffuser 120 may be disposed at the inlet 112 of the case 110 to reduce a difference in flow velocity of air A1 introduced into the case 110 by a predetermined level. The flow rate distribution of air A2 flowing through the interior of 110 is not completely uniform. This is because the air flow rate at a position close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se 110 may be lower than the inner center of the case 110 due to the contact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se 110 with the air A2.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acceleration performance of the nozzle parts 132 dispos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inner wall of the case 110 is higher than the acceleration performance of the nozzle parts 132 dispos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case 110. The flow rate of the air A3 passing through the nozzle units 132 may be equally adjusted. Of course, if the distribution of the internal flow velocity of the case 110 is changed for various reasons, the acceleration performance of the nozzle unit 132 may also be appropriately changed in response to the distribution of the air velocity in the case 110.

구체적으로, 노즐부(132)들은 케이스(110)의 내부 중앙에서 케이스(110)의 좌측과 우측으로 갈수록 공기(A3)의 유동 단면적(D2)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10)의 내부 중앙과 대응되는 노즐부(132)의 유출구(132b)는 케이스(110)의 내부 양측과 대응되는 노즐부(132)의 유출구(132b)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부(132)들의 유동 단면적(D2)이 작아지면, 노즐부(132)들을 공기가 통과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노즐부(132)들에 의한 공기(A3)의 유속 증가율은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다. 반면에, 노즐부(132)들의 유동 단면적(D2)이 커지면, 노즐부(132)들을 공기가 통과하는 것이 쉽기 때문에 노즐부(132)들에 의한 공기(A3)의 유속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큰 편이다.Specifically, the nozzle units 132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D2 of the air A3 gradually expands from the inner center of the case 110 towar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se 110. Therefore, the outlet 132b of the nozzle 132 corresponding to the inner center of the case 110 may be narrower than the outlet 132b of the nozzle 132 corresponding to both inner sides of the case 110. As such, when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D2 of the nozzle units 132 is small, it is difficult for air to pass through the nozzle units 132, so that the rate of increase of the flow rate of air A3 by the nozzle units 132 is relatively small. On the side. On the other hand, when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D2 of the nozzle portions 132 is large, the rate of increase in the flow rate of air A3 by the nozzle portions 132 is relatively large because it is easy for air to pass through the nozzle portions 132. to be.

상기 포집부(134)는 노즐부(132)에서 토출된 공기(A3)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P)을 포집하는 부재이다. 포집부(134)는 노즐부(132)들의 유출구(132b)의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포집부(134)들은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포집부(134)들의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따라 공기(A4)가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관성 임팩터(130)가 배출구(114)에 배치되어 포집부(134)들의 사이에 형성된 통로가 배출구(114)인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 만, 관성 임팩터(130)가 배출구(114)의 전방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포집부(134)들의 사이에 형성된 통로로 배출된 공기가 케이스(110)의 내부를 따라 유동된 후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collecting unit 134 collects the particulate matter P contained in the air A3 discharged from the nozzle unit 132. The collecting part 134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outlets 132b of the nozzle parts 132,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llecting parts 13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air A4 may be discharged backward along the passage formed between the collecting parts 134. Hereinafter, in this embodiment, the inertial impactor 130 is disposed in the outlet 114, so that the passage formed between the collecting parts 134 is described as the outlet 114. However, the inertial impactor 13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outlet 114, in which cas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passage formed between the collecting portions 134 flows along the inside of the case 110. It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4.

그리고, 포집부(134)들의 전방부에는 노즐부(132)의 유출구(132b)에서 유출된 공기(A3)와 충돌되는 충돌면(F)이 구비될 수 있다. 충돌면(F)에 충돌된 공기(A3)의 대부분은 좌측과 우측으로 유동 경로가 전환된 후 배출구(114)로 배출되나, 공기(A3)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P)은 관성으로 인해 충돌면(F)에 충돌되는 과정에서 포집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impingement surface F that collides with the air A3 leaked from the outlet 132b of the nozzle unit 132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collecting units 134. Most of the air (A3) impinged on the impact surface (F) is discharged to the outlet 114 after the flow path is switched to the left and right, but the particulate matter (P) contained in the air (A3) due to inertia It may be collected in the process of colliding with the collision surface (F).

또한, 포집부(134)들은 각각 별도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뿐만 아니라, 포집부(134)들은 케이스(110)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포집부(134)들은 한 번의 작업으로 착탈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포집부(134)들의 청소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collecting portions 134 may be formed separately,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being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FIG. 4. In addition, the collecting parts 134 may be detachably disposed on the case 110. Therefore, the collecting parts 134 may be detached in one operation, thereby simplifying the cleaning of the collecting parts 134.

예를 들면, 포집부(134)는 포집부 본체(136) 및 충돌패널(138)로 구성될 수 있다. 포집부 본체(136)는 배출구(114)에 고정될 수 있다. 충돌패널(138)은 노즐부(132)에서 유출된 공기(A3)와 충돌되는 충돌면(F)을 형성하도록 포집부 본체(136)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포집부(134)들은 충돌패널(138)만 탈거하여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시 충돌패널(138)을 새 것으로 교체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collecting unit 134 may be composed of the collecting unit body 136 and the collision panel 138. The collector body 136 may be fixed to the outlet 114. The collision panel 138 may be detachably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llector body 136 to form a collision surface F that collides with the air A3 leaked from the nozzle unit 132. Accordingly, the collecting units 134 may remove only the collision panel 138 to perform a cleaning operation, and may replace the collision panel 138 with a new one if necessary.

상기와 같은 포집부(134)들의 충돌면(F)은 평면, 요철면, 또는 오목면 중 적 어도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과 도 2 및 도 4에는 평면 형상의 충돌면(F)을 갖는 포집부(134)가 도시되어 있고, 도 3(a)에는 오목면 형상의 충돌면(F′)을 갖는 포집부(134)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b)에는 요철면 형상의 충돌면(F″)을 갖는 포집부(134)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또는 도 3(b)와 같이 충돌면(F′)(F″)이 요철면 또는 오목면으로 형성되면, 충돌면(F)이 평면으로 형성된 포집부(134)보다 포집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포집부(134)는 집진 장치(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충돌패널(138)을 교체하여 충돌면(F)의 형상을 바꿔줄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포집부(134)의 충돌면(F)이 평면 형상인 것으로 설명한다.The impingement surface F of the collecting portions 134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a plane, an uneven surface, or a concave surface. 1, 2 and 4 show a collecting portion 134 having a planar collision surface F, and FIG. 3 (a) shows a collecting portion having a concave-shaped collision surface F ′ (FIG. 134 is shown, and FIG. 3 (b) shows a collecting portion 134 having an impingement surface shape F ″. When the collision surface F '(F ″) is formed as an uneven surface or a concave surface as shown in Fig. 3 (a) or 3 (b), the collection surface than the collection portion 134 having the collision surface F is planar collection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Therefore, the collecting unit 134 may change the shape of the collision surface F by replacing the collision panel 138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the dust collector 100. 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collision surface F of the collecting portion 134 is plana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지하철의 전동차(102)가 주행되면, 전동차(102)의 표면을 따라 외부 공기(A1)가 유동한다. 따라서, 외부 공기(A1)는 전동차(102)의 양측면에 구비된 집진 장치(100)의 흡입구(112)로 흡입된다.First, when the electric vehicle 102 of the subway runs, the outside air A1 flows along the surface of the electric vehicle 102. Therefore, the outside air A1 is sucked into the inlet 112 of the dust collector 10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ic vehicle 102.

이때, 디퓨져(120)는 집진 장치(100)의 흡입구(112)로 흡입된 외부 공기(A1)의 유속을 감소시킨다. 디퓨져(120)에 의해 유속이 감소된 공기(A2)는 케이스(110)의 내부를 따라 유동한 후 관성 임팩터(130)의 노즐부(132)의 유입구(132a)로 진입한다. At this time, the diffuser 120 reduces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A1)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112 of the dust collector (100). The air A2 whose flow rate is reduced by the diffuser 120 flows along the inside of the case 110 and then enters the inlet 132a of the nozzle unit 132 of the inertial impactor 130.

이와 같이 노즐부(132)들의 유입구(132a)로 진입된 공기(A3)는 노즐부(132)들의 내부 통로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유속이 증가된 상태로 노즐부(132)들의 유출구(132b)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노즐부(132)들은 케이스(110)의 내부를 유동되는 공기(A2)의 유속에 따라 가속 비율이 상이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포집부(134)로 유동되는 공기(A3)의 유속을 균일하게 조정할 수 있다.As such, the air A3 entering the inlet 132a of the nozzle units 132 is moved along the inner passage of the nozzle units 132 and the outlets 132b of the nozzle units 132 are increased in the flow rate. Is discharged through. Here, the nozzles 132 ar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acceleration ratio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the air A2 flowing through the case 110, and thus uniformly adjusts the flow rate of the air A3 flowing to the collecting unit 134. Can be adjusted.

노즐부(132)들에서 유출된 공기(A3)는, 포집부(134)들의 충돌면(F)에 충돌된 후 좌우 방향으로 유동 방향이 전환되고, 포집부(134)들의 사이에 형성된 배출구(1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공기(A3)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P)은 관성에 의해 충돌면(F)에 충돌된 후 충돌면(F)에 포집될 수 있다.The air A3 flowing out of the nozzle parts 132 collides with the collision surface F of the collecting parts 134, and then the flow direction is ch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discharge hole formed between the collecting parts 134 ( Through 114). In this case, the particulate matter P included in the air A3 may be collected on the collision surface F after impacting the collision surface F by inertia.

상기와 같은 집진 장치(100)의 포집 과정은 전동차(102)의 주행시 연속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집진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은 불필요하다. 만약, 집진 장치(100)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집진 장치(100)의 내부에 입자성 물질(P)이 너무 많이 포집되었거나, 또는 집진 장치(100)의 사용시 포집부(134)의 충돌면(F)이 파손된 경우, 포집부(134)의 충돌패널(138)을 탈거하여 청소 작업 또는 교체 작업을 수행한다. The collection process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when the electric vehicle 102 is driven, and no separate power for driving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is necessary. If too much particulate matter P is collect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due to prolonged use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or the collision surface F of the collecting unit 134 is used whe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is used. ) Is broken, the collision panel 138 of the collecting unit 134 is removed to perform a cleaning operation or a replacement operation.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전동차(102)의 속도를 정속 구간에서 20 m/s(72 km/s)로 가정하고, 가감속 구간에서 5 m/s(18 km/s)와 10 m/s(36 km/s) 및 15 m/s(54 km/s)로 가정할 경우, 속도에 따른 포집 효율 및 설치 개수에 따른 포집량을 나타낸다.6 and 7 assume that the speed of the electric vehicle 102 is 20 m / s (72 km / s) in the constant speed section, and 5 m / s (18 km / s) and 10 m / s in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section. Assuming s (36 km / s) and 15 m / s (54 km / s), the colle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speed and the collection amou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stallations are shown.

도 6을 참조하면, 전동차(102)의 속도가 5 m/s(18 km/s)일 때에는 공기역학적 직경이 4.6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입자성 물질(P)을 대부분 포집할 수 있고, 전동차(102)의 속도가 10 m/s(36 km/s)일 때에는 공기역학적 직경이 3.5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입자성 물질(P)을 대부분 포집할 수 있으며, 전동차(102)의 속도가 15 m/s(54 km/s)일 때에는 공기역학적 직경이 2.5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입자성 물질(P)을 대부분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전동차(102)의 속도가 20 m/s(72 km/s)일 때에는 그래프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2.5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입자성 물질(P)을 대부분 포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when the speed of the electric vehicle 102 is 5 m / s (18 km / s), most of the particulate matter P having an aerodynamic diameter of 4.6 micrometers or more may be collected. At 10 m / s (36 km / s), most of the particulate matter (P) with an aerodynamic diameter of 3.5 micrometers or more can be collected, and the speed of the electric vehicle 102 is 15 m / s (54 km). / s) can capture most particulate matter (P) with aerodynamic diameters greater than 2.5 micrometers. In addition, when the speed of the electric vehicle 102 is 20 m / s (72 km / s), although not shown in the graph, it is possible to collect most of the particulate matter (P) of 2.5 micrometers or more.

즉, 전동차(102)의 정속 구간에서는 집진 장치(100)가 2.5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입자성 물질(P)을 포집할 수 있고, 전동차(102)의 가감속 구간에서는 대략 5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입자성 물질(P)을 포집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차(102)의 전체 속도 구간에서 입자성 물질(P)의 포집이 실시될 수 있다.That is, in the constant speed s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2, the dust collector 100 may collect particulate matter P of 2.5 micrometers or more, and the particulate matter (approximately 5 micrometers or more in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s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2 ( P) can be captured. Therefore, the particulate matter P may be collected in the entire speed s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2.

도 7을 참조하면, 전동차(102)에 설치된 집진 장치(100)의 설치 개수에 대하여 2.5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입자성 물질(P)의 포집량은 비례 관계에 있다. 즉, 집진 장치(100)의 설치 개수가 증가하면, 입자성 물질(P)의 포집량도 거의 동일 유사한 비율로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지하철 내부의 대기 오염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전동차(102)에 더 많은 집진 장치(1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7, the collection amount of the particulate matter P of 2.5 micrometers or more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installed dust collectors 100 installed in the electric vehicle 102. That is, when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is increased, the amount of collecting particulate matter P may also be increased in about the same ratio. Therefore, it would be desirable to install more dust collectors 100 in the electric vehicle 102 in order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air pollution inside the subway.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8에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집진 장치(10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8,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shown in Figs. 1 to 5 denote the same members. Hereinafter,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spect to points different from the dust collector 100 illustrated in FIGS. 1 to 5.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200)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집진 장치(100)와 상이한 점은, 전동차(102)의 내부에 케이스(210)가 구비되고, 케이스(210)의 흡입구(212)로 외부 공기(A1)를 안내하는 공기 유입 통로(220) 및 케이스(210)의 배출구(214)에서 배출되는 공기(A4)를 안내하는 공기 유출 통로(230)가 형성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Referring to FIG. 8,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illustrated in FIGS. 1 to 5, and the case 210 may be formed inside the electric vehicle 102. Is provided, the air inlet passage 220 for guiding the outside air (A1) to the inlet 212 of the case 210 and the air A4 discharged from the outlet 214 of the case 210 It is different that 230 is formed.

즉, 전동차(102)의 내부에 케이스(210)가 구비되면, 집진 장치(200)로 인한 전동차(102)의 미관 저하 및 외형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집진 장치(200)에 의한 공기 저항의 증가로 인한 전동차(102)의 동력 손실도 줄일 수 있다. That is, when the case 210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electric vehicle 10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ppearance of the electric vehicle 102 from deteriorating and increase in appearance due to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0. Power loss of the electric vehicle 102 due to the increase can also be reduced.

또한, 공기 유입 통로(220)와 공기 유출 통로(230)는 덕트나 파이프와 같이 내부가 중공된 관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 통로(220)는 전동차(102)의 외부 및 흡입구(212)에 구비된 디퓨져(120)에 양단이 연결될 수 있다. 공기 유출 통로(230)는 전동차(102)의 외부 및 배출구(214)에 양단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전동차(102)의 외부에 배치된 공기 유입 통로(220)의 단부는, 전동차(102)의 운행시 외부 공기(A1)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전방을 향해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inlet passage 220 and the air outlet passage 230 may be formed of a tubular member hollow inside such as a duct or a pipe. Both ends of the air inflow passage 220 may be connected to the diffuser 120 provided at the outside of the electric vehicle 102 and the suction port 212. The air outlet passage 230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electric vehicle 102 and the outlet 214. Here, an end portion of the air inflow passage 220 disposed outside the electric vehicle 102 may have an inlet toward the front to smoothly inflow of the outside air A1 when the electric vehicle 102 runs.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C-C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또는 도 10에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집진 장치(10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 로 서술하도록 한다.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according to C-C shown in FIG. In Fig. 9 or Fig. 10,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shown in Figs. 1 to 5 denote the same members. Hereinafter, the points different from the dust collector 100 illustrated in FIGS. 1 to 5 will be described.

도 9 또는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300)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집진 장치(100)와 상이한 점은, 관성 임팩터(130) 대신에 사이클론 기구(340)를 사용한다는 점이 상이하다. 9 or 10,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illustrated in FIGS. 1 to 5 in that the cyclone instead of the inertial impactor 130 is used. The difference is that the instrument 340 is used.

상기 사이클론 기구(340)는 디퓨져(120)에 의해 유속이 감소된 공기(A2)를 선회시켜 상기 공기(A2)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P)을 집진하는 장치이다. 사이클론 기구(340)는 케이스(3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클론 기구(340)의 내측면에 포집된 입자성 물질(P)의 청소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이클론 기구(340)의 교체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 cyclone mechanism 340 is a device for collecting the particulate matter (P) contained in the air (A2) by turning the air (A2) is reduced by the diffuser 120. The cyclone mechanism 340 may be detachably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ase 310. Therefore, not only the particulate matter P collect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yclone mechanism 340 can be easily cleaned, but also the cyclone mechanism 340 can be replaced easily.

또한, 케이스(310)와 사이클론 기구(340)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312)는 케이스(310)와 사이클론 기구(340)의 내주면에 공기(A2)가 접선 방향으로 흡입되도록 케이스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314)는 사이클론 기구(340)의 하부 중앙에서 케이스(310)의 상측으로 공기(A4)가 배출되도록 케이스(31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3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A3)는 케이스(310)와 사이클론 기구(34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선회되면서 사이클론 기구(340)의 하부로 하강될 수 있다. 이때, 공기(A3)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P)은 관성과 원심력의 영향으로 인하여 공기(A3)로부터 분리된 후 케이스(310) 및 사이클론 기구(340)의 내측면에 포집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클론 기구(340)의 하부로 하강된 공기(A4)는 배출구(314)를 통해 케이스(3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se 310 and the cyclone mechanism 34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ollow inside. The suction port 312 may be formed at the side of the case such that the air A2 is suction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ase 310 and the cyclone mechanism 340. The outlet 314 may be formed in the case 310 such that air A4 is discharged from the lower center of the cyclone mechanism 340 to the upper side of the case 310. Therefore, the air A3 sucked into the case 310 may be lower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yclone mechanism 340 while turning in a spiral shap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310 and the cyclone mechanism 340. At this time, the particulate matter P included in the air A3 may be separated from the air A3 due to the influence of inertia and centrifugal force, and then collect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case 310 and the cyclone mechanism 340. In addition, the air A4 lower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yclone mechanism 34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310 through the discharge port 314.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집진 장치(100)와 같이 운송수단의 외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도 8에 도시된 집진 장치(200)와 같이 운송수단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집진 장치(300)는 운송수단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운송수단 중 지하철의 전동차(102)의 내부에 집진 장치(300)가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devic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shown in Figure 1 is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or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0 shown in FIG. It may also be arranged inside the vehicle as well. In addition,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apparatuses 300 may be disposed in a vehicle. 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300 is described as being disposed inside the electric vehicle 102 of the subway among the transportation mea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흡입구(312)에는 전동차(102)의 외부 공기(A1)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 통로(320)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구(314)에는 사이클론 기구(340)에 의해 집진된 공기(A4)를 전동차(102)의 외부로 유출하는 공기 유출 통로(33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공기 유입 통로(320)는 전동차(102)의 주행시 외부 공기(A1)를 케이스(310)의 내부로 안내할 수 있고, 공기 유출 통로(330)는 전동차(102)의 주행시 사이클론 기구(340)에 의해 집진된 공기(A4)를 사이클론 기구(340)의 내부에서 전동차(102)의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The inlet 312 may be provided with an air inflow passage 320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A1 of the electric vehicle 102 is introduced. The outlet 314 may be provided with an air outlet passage 330 for outflowing the air A4 collected by the cyclone mechanism 340 to the outside of the electric vehicle 102. That is, the air inflow passage 320 may guide the outside air A1 to the inside of the case 310 when the electric vehicle 102 is traveling, and the air outlet passage 330 is the cyclone mechanism 340 when the electric vehicle 102 is running. Air (A4) collected by) may be guid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ic vehicle 102 from the inside of the cyclone mechanism 340.

또한, 디퓨져(120)는 케이스(3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A1)의 유속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외부 공기(A1)가 흡입되는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디퓨져(120)가 공기 유입 통로(320)의 단부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공기 유입 통로(320)의 중간 부위 또는 흡입구(312)와 공기 유입 통로(320)의 연결 부위에 디퓨져(12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디퓨져(120)는 도 1에 도시된 디퓨져(120)와 동일 유사하게 케이스(310)의 내부를 향해 외부 공기(A2)의 유동 단면적(D1)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흡입 구(312)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ffuser 120 may be disposed on a path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A1 is sucked in order to reduce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A1 introduced into the case 310. 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ffuser 120 is described as being provided at the end of the air inlet passage 3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air inlet passage 320 or the inlet 312 and the air inlet passage 320 may be described. Diffuser 120 may be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he diffuser 120 is similar to the diffuser 120 shown in FIG. 1 in the inlet 312 in a shape in which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D1 of the outside air A2 is extende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310. Can be formed.

한편, 사이클론 기구(340)의 하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이클론 기구(340)의 하부는 하측을 향해 뾰족하게 형성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클론 기구(340)의 하부의 내측면은 경사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사이클론 기구(340)는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하측으로 볼록한 돔 형상이나 하측으로 뾰족한 다각뿔 형상 또는 단순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yclone mechanism 340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the radius is reduced toward the lower side. For example, the lower portion of the cyclone mechanism 340 may be formed in a conical shape pointed downward. Therefore,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yclone mechanism 340 may be formed in an inclined surface shape. However, the cyclone mechanism 340 may be formed in a convex downward shape, a polygonal pyramid shape downward or a simple cylindrical shape 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상기와 같은 사이클론 기구(340)의 하부 내측에서 공기가 나선 형상으로 선회되면서 사이클론 기구(340)의 하부로 유동되면, 사이클론 기구(340)의 단면적이 작아짐에 따라 공기(A3)의 선회 반경도 감소된다. 하지만, 공기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P)은 관성에 의해 초기의 선회 반경을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입자성 물질(P)은 케이스(310)의 내측면 및 사이클론 기구(340)의 경사면에 포집될 수 있다.When air flow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yclone mechanism 340 as described above and flow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yclone mechanism 340 while turning in a spiral shape, the turning radius of the air A3 decreases 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yclone mechanism 340 becomes smaller. do. However, since the particulate matter P contained in the air tries to maintain the initial turning radius by inertia, the particulate matter P is collec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310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yclone mechanism 340. Can b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B’을 확대한 도면이다.FIG. 2 is an enlarged view of 'B' shown in FIG. 1.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집부의 다른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other examples of the collecting unit illustrated in FIG. 2.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집진 장치로부터 분리된 포집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collecting part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device illustrated in FIG. 1.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집진 장치를 지하철의 외부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or shown in FIG. 1 is disposed outside the subway.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집진 장치에서 지하철의 운행 속도별 포집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6 is a graph showing collection efficiency for each operating speed of a subway in the dust collecting device illustrated in FIG. 5.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집진 장치의 정속 구간에서 설치 개수에 따른 포집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7 is a graph showing the collection amou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stallations in the constant speed section of the dust collector shown in FIG. 5.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C-C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shown in FIG. 9.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00, 200, 300: 집진 장치 110, 310: 케이스100, 200, 300: dust collector 110, 310: case

120: 디퓨져 130: 관성 임팩터120: diffuser 130: inertia impact

132: 노즐부 134: 포집부132: nozzle portion 134: collecting portion

340: 사이클론 기구 P: 입자성 물질340: cyclone mechanism P: particulate matter

Claims (15)

운송수단에 구비되고, 운송수단의 주행시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내부의 처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A case provided in the vehicle and formed with an intake port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s sucked an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processed air is discharged when the vehicle is driven; 상기 케이스의 흡입구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키는 디퓨져; 및A diffuser provided at an inlet of the case and reducing a flow rate of air sucked into the inlet; And 상기 디퓨져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동 경로 상에 구비되고, 상기 디퓨져에 의해 유속이 감소된 공기와 충돌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기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을 집진하는 관성 임팩터;를 포함하고, And an inertial impactor provided on an air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diffuser and the discharge port and collecting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air in a process of colliding with air having a reduced flow rate by the diffuser. 상기 관성 임팩터는, 상기 디퓨져에 의해 유속이 감소된 공기를 가속시키도록 상기 공기의 유동 단면적이 유동 방향을 따라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노즐부; 및 상기 공기와의 충돌시 상기 공기에 함유된 입자성 물질을 포집하도록 상기 노즐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충돌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포집부;를 구비하며,The inertial impact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zzle portion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is reduced along a flow direction to accelerate air having a reduced flow rate by the diffuser; And a plurality of collecting parts disposed to collide wit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nozzle part so as to collect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air when colliding with the air. 상기 노즐부들은 상기 포집부들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이 동일하도록 상기 노즐부들에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 분포에 따라 상기 공기가 통과되는 통로의 유동 단면적이 다르게 형성된 집진 장치.And the nozzles have different flow cross-sectional areas of passages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depending on a flow rate distribution of air flowing into the nozzle parts such that the flow rates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collecting parts are the sam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는 상기 운송수단의 외부에 배치되는 집진 장치.The case dust collector is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는 상기 운송수단의 내부에 배치되며, The case is disposed inside the vehicle, 상기 흡입구에는 상기 운송수단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 통로가 구비되고, The inlet is provided with an air inlet passage for introducing the outside air of the vehicle,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관성 임팩터에 의해 집진된 공기를 상기 운송수단의 외부로 유출하는 공기 유출 통로가 구비된 집진 장치.The exhaust port is a dust collector provided with an air outlet passage for outflowing the air collected by the inertial impactor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디퓨져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상기 외부 공기의 유동 단면적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상기 흡입구에 형성된 집진 장치.The diffuser is formed in the suction port in the shape that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side air is extende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노즐부들의 유동 단면적은, 상기 노즐부들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높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들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낮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집진 장치.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nozzle portions is formed relatively small as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nozzle portion is increased, and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formed relatively large as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nozzle portion is lowere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노즐부들의 유동 단면적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중앙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벽면으로 가까워질수록 크게 형성된 집진 장치.A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nozzle portion is formed to be closer to the inner wall of the case from the inner center of the cas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포집부들은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집진 장치.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integrally formed to be detachable to the cas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포집부들은, The collection unit,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포집부 본체; 및 A collecting unit body detachably formed on the case; And 상기 노즐부들에서 유출된 공기와 충돌되는 충돌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포집부 본체의 표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충돌 패널;A collision panel detachably disposed on a surface of the collector body so as to form a collision surface colliding with air discharged from the nozzle portions; 를 구비한 집진 장치.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포집부들에는 상기 노즐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충돌되는 충돌면이 형성되고, The collecting parts are formed with a collision surface colliding wit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nozzle, 상기 충돌면은 평면, 요철면, 또는 오목면 중 적어도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된 집진 장치.The impingement surface is a dust collecting device formed in at least one shape of a flat surface, uneven surface, or concave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95564A 2009-10-08 2009-10-08 Dust collector KR1011173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564A KR101117355B1 (en) 2009-10-08 2009-10-08 Dust coll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564A KR101117355B1 (en) 2009-10-08 2009-10-08 Dust coll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322A KR20110038322A (en) 2011-04-14
KR101117355B1 true KR101117355B1 (en) 2012-03-07

Family

ID=4404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564A KR101117355B1 (en) 2009-10-08 2009-10-08 Dust coll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35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366B1 (en) * 2017-12-15 2019-07-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cleaning air
KR102280310B1 (en) * 2019-10-08 2021-07-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2289066B1 (en) * 2019-10-24 2021-08-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Dust collecting apparatus mounted on a roof of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923B1 (en) * 2007-08-03 2009-01-15 양우봉 Wet air cleann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923B1 (en) * 2007-08-03 2009-01-15 양우봉 Wet air clean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322A (en)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71050C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10258912B2 (en) Low pressure loss dust collectors
JP6317782B2 (en) Non-powered dust collector
JP5077370B2 (en) Cyclone separation device and vacuum cleaner
JP2009530096A (en) Particle separator
US7070637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a fluid
KR101387998B1 (en) Fine particle reduction equipment for subway tunnel
KR101117355B1 (en) Dust collector
AU2010293115B2 (en) Particle trap and filter device comprising a particle trap
KR101275755B1 (en) Multifunctional Back-Flowing Type Strong Suction Blower
KR20200095865A (en) Air purifier
KR102638412B1 (en) Separation system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including separation system
CN1620980B (en) Device for separation of waste in a vacuum cleaner
KR102318368B1 (en) Subway two-way ultrafine dust removal module
RU2299818C1 (en) Inertial filter
WO2020226164A1 (en) Separator for removal of fine particles
JP2013226495A (en) Dust collecting device
CN220344330U (en) Separating device for cleaning machine and cleaning machine
CN210993351U (en) Cyclone dust filter
KR102289066B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mounted on a roof of vehicle
RU2321464C1 (en) Ash collector
CN107701336B (en) Air inlet structure of air filter
KR20240062514A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ehicle
JP5472359B2 (en) Cyclone separation device and vacuum cleaner
KR20150047882A (en) Inertial air filter and gas turbine system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