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906B1 - Apparatus for collecting particulate in air using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llecting particulate in air using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906B1
KR101517906B1 KR1020130071053A KR20130071063A KR101517906B1 KR 101517906 B1 KR101517906 B1 KR 101517906B1 KR 1020130071053 A KR1020130071053 A KR 1020130071053A KR 20130071063 A KR20130071063 A KR 20130071063A KR 101517906 B1 KR101517906 B1 KR 101517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oving means
air
disposed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0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동욱
Original Assignee
손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동욱 filed Critical 손동욱
Priority to KR1020130128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2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9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6Transport systems for filtering devices
    • B01D2201/265Transport systems for filtering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4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cleaning of environmental air, e.g. by filters installed on vehicles or on str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 동력 없이 이동 수단의 주행에 의한 공기 흐름만으로, 대기 중에 부유 중인 미세먼지를 집진 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동 수단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에서 연장되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연장되며, 상기 이동 수단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단에 형성된 공기 유출구를 구비하는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수단의 주행에 의한 공기 흐름으로, 상기 공기가 상기 유입부, 필터부 및 유출구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를 개시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a moving means capable of collecting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only by an air flow caused by running of a moving means without external power.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an inflow portion including an air inlet formed at a front end of a traveling direction of a moving means; a filt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flow portion and having at least one filter therein; And an outflow section having an air outlet formed at a rear end thereof with respect to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ans, wherein the air passes through the inlet section, the filter section and the outlet through the air flow caused by the travel of the moving means And a moving means for moving th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Description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PARTICULATE IN AIR USING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moving means,

본 발명은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a moving means.

산업이 발달하고 기술이 진보되면서 오염물질이 방출되어 대기가 심각하게 오염되고 있다.As the industry develops and technology advances, pollutants are released and the atmosphere is seriously polluted.

배출된 오염물질은 대기 중에서 이송, 확산되는데, 이 중 대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오염 미세먼지는 코나 기관지 등에서 걸러지지 않고 호흡기관 깊숙이 침투해 천식, 기관지염, 알레르기성 비염, 폐 질환 같은 호흡기질환을 일으키거나 눈에 붙어 결막염, 안구건조증 같은 안질환을 유발한다. 또한, 미세먼지는 피부 유해성분이 섞여 있을 경우 알레르기성 피부염이 발생하기도 한다. The pollutants that are discharged are transported and diffused in the atmosphere. The polluted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penetrates deeply into the respiratory tract without being caught in the nose or bronchus and causes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asthma, bronchitis, allergic rhinitis, It causes eye diseases such as conjunctivitis and dry eye syndrome. In addition, micro dusts may cause allergic dermatitis when mixed with skin harmful substances.

이러한 미세먼지는 1mm정도에서 0.1㎛ 이하까지 미세하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도 이동 가능하여 공해 분진이나 오염물질을 힘들게 분리 하더라도 미세한 분진이 다시 정화된 공기와 섞여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Since the fine dust is fine from 1 mm to 0.1 μm or less, it can be moved by the flow of air, and even if the pollution dust or pollutants are severely separated, the fine dust is mixed with the purified air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037340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373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 동력 없이 이동 수단의 주행에 의한 공기 흐름만으로, 대기 중에 부유 중인 미세먼지를 집진 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a moving means capable of collecting fine dust floating in the air only by an air flow caused by running of a moving means without external pow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는 이동 수단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에서 연장되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연장되며, 상기 이동 수단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단에 형성된 공기 유출구를 구비하는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수단의 주행에 의한 공기 흐름으로, 상기 공기가 상기 유입부, 필터부 및 유출구를 통과한다.The apparatus for collecting atmospheric fine dust using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including an air inlet formed at a front end of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ans, And an outflow portion extending to the filter portion and having an air outlet formed at a rear end thereof with respect to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ans, wherein the air flows by the traveling of the moving means, Passes through the inlet, the filter, and the outlet.

상기 필터부는 미디엄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미디엄 필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리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미디엄 필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케미컬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미디엄 필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헤파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미디엄 필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그리스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수단의 상면, 전면, 하면 혹은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는 상기 이동 수단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유출부는 상기 이동 수단의 후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동 수단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수단의 그릴 내부에 배치 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상기 공기 유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루버 댐퍼일 수 있다. 상기 유입부는 내부에 배치된 제 1차압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부는 내부에 배치된 제 2차압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는 내부에 배치된 무동력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는 하부에 배치된 드래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출부는 내부에 배치된 동력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측벽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출부는 상기 공기 유출구의 상측에 설치되는 방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may include a medium filter. The filt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pre-filter disposed in front of the medium filter. The filt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chemical filter disposed behind the medium filter. The filt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HEPA filter disposed behind the medium filter. The filt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grease filter disposed in front of the medium filter. And may be attached to at least one or more of the upper surface, the front surface, the low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moving means. The inlet portion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means, and the filter portion and the outlet portion may be attached to the moving means so as to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ving means. And can be disposed inside the grill of the moving means. At least one of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may be provided with a damper. The damper may be a louver damper. The inlet may include a first differential pressure meter disposed therein, and the outlet may include a second differential pressure meter disposed therein. The inlet may include a non-powered fan disposed therein. The inlet may comprise a drain disposed at the bottom. The outlet may include a power fan disposed therein. The filt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side wall cover. The outflow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vention plat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air outl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는 외부 동력 없이 이동 수단의 주행에 의한 공기 흐름만으로, 대기 중에 부유 중인 미세먼지를 집진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apparatus for collecting atmospheric fine dust using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 fine dust that is floating in the air only by the air flow caused by traveling of the moving means without external power.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가 부착된 이동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c는 도 1b의 A-A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가 부착된 이동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가 부착된 이동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c는 도 2a 또는 2b의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가 부착된 이동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가 부착된 이동 수단을 도시한 후면도이고, 도 3c는 도 3a 및 3b의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의 필터부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가 부착된 이동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의 단면도이다.
FIG. 1A is a side view of a moving means equipped with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a mov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side view showing an air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mov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B.
FIG. 2A is a side view showing a moving means having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a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side view showing an air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C is a sectional view of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the moving means of FIG. 2A or 2B. FIG.
FIG. 3A is a side view showing a moving means having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ter unit of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the moving means of FIGS. 3A and 3B.
FIG. 4A is a side view showing a moving means with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sectional view of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the moving means of FIG. 4A .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단계, 동작, 부재, 요소, 수치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단계, 동작, 부재, 요소, 수치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Furthermore, " comprise "and / or" comprising "as used herein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numerical values and / Bu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numerical values and / or groups.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가 부착된 이동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c는 도 1b의 A-A 단면도이다.FIG. 1A is a side view of a moving means equipped with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a mov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side view showing an air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mov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B.

도 1a 내지 도 1c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100)는 이동 수단(v)의 외측 상면에 부착된다.1A to 1C,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or 100 using mov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moving means v.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100)는 유입부(110), 필터부(120) 및 유출부(130)를 포함한다.The apparatus for collecting atmospheric fine dust using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110, a filter 120, and an outlet 130.

상기 유입부(110)는 공기 유입구(111), 댐퍼(D), 무동력 팩(114), 제 1차압계(115) 및 드래인(116)을 포함한다.The inlet 110 includes an air inlet 111, a damper D, a non-powered pack 114, a first differential pressure gauge 115, and a drain 116.

상기 공기 유입구(111)는 상기 이동 수단(v)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우징(h) 전단이 개방되어 형성됨으로서, 상기 이동 수단(v)의 주행에 의하여 발생한 공기 흐름이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유입구(111)는 공기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개방 폭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inlet 111 is formed by opening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h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ans v so that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traveling of the moving means v flow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inlet 111 is formed to have a wide opening width so that air can be easily introduced.

상기 댐퍼(D)는 상기 공기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거나,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 유입구(111)에 형성된 댐퍼 날개(112)와 이를 제어하는 날개 제어 유닛(113)을 포함한다.The damper D i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air inlet 111 or blocking the inflow of rainwater. The damper D includes a damper blade 112 formed at the air inlet 111, (113).

여기서, 상기 댐퍼(D)는 다수의 댐퍼 날개(112)를 갖는 루버 댐퍼(louver damp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댐퍼(D)가 다수의 댐퍼 날개(112)를 가짐으로써, 댐퍼 날개(112)의 폭이 소형화될 뿐 아니라 공기 유입구(111)의 신속한 개폐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댐퍼 날개(112) 각각은 공기 유입구(111)로 종이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Here, the damper D is preferably a louver damper having a plurality of damper blades 112. This is because the damper D has a plurality of damper blades 112 so that the width of the damper blade 112 is reduced and the air inlet 111 can be quickly opened and closed. Each of the plurality of damper blades 112 also serve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paper from flowing into the air inlet 111.

하지만, 여기서 상기 댐퍼(D)는 공기 유입구(111)의 중심에 형성된 회전축을 가진 1매의 날개를 쓰는 버터플라이 댐퍼(butterfly damper)일 수 도 있으며, 풍량 조절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댐퍼로 구성될 수 있다.However, the damper D may be a butterfly damper using a single wing having a rotation ax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air inlet 111, and may include various kinds of damper .

상기 날개 제어 유닛(113)은 상기 댐퍼 날개(112)를 제어할 뿐 아니라, 후술할 공기 유출구(133)의 댐퍼 날개(134)를 함께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날개 제어 유닛(113)은 이동 수단의 운전자에 의하여,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제어될 수 도 있으며, 비가 오는 것을 센싱하여 자동으로 동작할 수 도 있다.The wing control unit 113 can control the damper wing 112 as well as the damper wing 134 of the air outlet 133 to be described later. Here, the wing control unit 113 may be controlled by a driver of the moving means, either wired or wirelessly, or may automatically operate by sensing the rain.

상기 무동력 팬(114)은 공기 유입에 의하여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무동력 팬(114)은 댐퍼 날개(112)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댐퍼 날개(133)를 통과한 벌레나 크기가 큰 이물질이 상기 무동력 팬(114)에 부딛혀 바닥으로 떨어지게 한다.The non-powered fan 114 rotates by the inflow of air. Here, the non-powered fan 114 is disposed behind the damper blade 112 to dispers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11. Further, worms or large foreign mat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damper blade 133 may be struck by the non-dynamic fan 114 to fall to the floor.

상기 제 1차압계(115)는 상기 공기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제1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상기 필터부(120)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는 후술할 유출부(130)의 제 2차압계(131)와 함께 설명한다.The first differential pressure gauge 115 measures a first pressure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11 and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lter unit 120. This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second differential pressure gauge 131 of the outflow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드래인(116)은 하우징(h)의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댐퍼 날개(113)를 통과한 빗물이 배수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h)의 바닥에 떨어진 벌레 등은 상기 드래인(116)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drain 116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h to drain the rainwater passing through the damper blade 113. Here, the insulator or the like that has fallen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h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116.

상기 필터부(120)는 상기 유입부(1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한다.The filter unit 120 extends rearward from the inlet 110 and includes at least one filter there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장 바람직한 구성으로는 상기 필터부(120)가 상기 이동 수단(v)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그리스 필터(121), 프리 필터(122), 미디엄 필터(123), 케미컬 필터(124) 및 헤파 필터(12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유입부(110)로 유입된 공기는 그리스 필터(121), 프리 필터(122), 미디엄 필터(123), 케미컬 필터(124) 및 헤파 필터(12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정화된다.The filter unit 120 may include a grease filter 121, a prefilter 122, a medium filter 123, and an air filter 123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ving unit v, A chemical filter 124 and a HEPA filter 125. That i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110 passes through the grease filter 121, the pre-filter 122, the medium filter 123, the chemical filter 124, and the HEPA filter 125 in order.

상기 그리스 필터(grease filter)(121)는 금속 메시에 점성의 그리스가 도포된 필터로 상기 무동력 팬(114)에 걸리지 않고 통과한 이물질을 1차로 거르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그리스 필터(121)에 걸러지는 이물질의 크기는 대략 수백㎛ 이상이다.The grease filter 121 is a filter coated with a viscous grease on the metal mesh and serves to primarily filter foreign mat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etal mesh without being caught by the non-powered fan 114. The size of the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grease filter 121 is approximately several hundreds of micrometers or more.

상기 프리 필터(pre filter)(122)는 상기 그리스 필터(121)의 후방에 배치되며, 미세먼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다수의 격자를 갖는 망체에 난연성 부직포(Polyester)가 개재되어 형성되며,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입자들을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프리 필터(122)에 걸러지는 이물질의 크기는 대략 수십㎛ 이상이다.The prefilter 122 is disposed behind the grease filter 121. The prefilter 122 has a plurality of lattice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ine dust, Remove particles visible to the naked eye. Here, the size of the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pre-filter 122 is approximately several tens of micrometers or more.

상기 미디엄 필터(medium filter)(123)는 상기 프리 필터(122) 후방에 배치되며, 프리 필터(122)에서 걸러주지 못하는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중급 필터로 미세 유리섬유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미디엄 필터(123)에 걸러지는 이물질의 크기는 대략 1㎛ 이상이다.The medium filter 123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pre-filter 122 and is an intermediate filter for removing fine dust that can not be filtered by the pre-filter 122. The medium filter 123 is formed of fine glass fibers. Here, the size of the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medium filter 123 is approximately 1 μm or more.

상기 케미컬 필터(chemical filter)(124)는 상기 미디엄 필터(123) 후방에 배치되며, 여과, 흡착, 촉매 등의 화학적 반응을 통해 대기 중의 자동차 배기 가스 등의 특정 가스 성분을 걸러준다.The chemical filter 124 is disposed behind the medium filter 123 and filters a specific gas component such as automobile exhaust gas from the atmosphere through a chemical reaction such as filtration, adsorption, or catalyst.

상기 헤파 필터(HEPA filter)(125)는 상기 케미컬 필터(124) 후방에 배치되며, 미디엄 필터(123) 및 케미컬 필터(124)에서 걸러주지 못하는 초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고성능 필터로 초 미세 유리섬유로 고밀도 고집적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헤파 필터(125)에 걸러지는 이물질의 크기는 대략 0.3㎛ 이다.The HEPA filter 125 is a high performance filter disposed behind the chemical filter 124 to remove ultrafine dust that can not be filtered by the medium filter 123 and the chemical filter 124, And has a high-density and highly integrated structure. Here, the size of the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HEPA filter 125 is approximately 0.3 mu m.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110)로 유입된 공기는 그리스 필터(121), 프리 필터(122), 미디엄 필터(123), 케미컬 필터(124) 및 헤파 필터(12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크기가 큰 미세 먼지부터 제거되며, 최종적으로 헤파 필터(125)를 거쳐 청정 공기가 되어 상기 유출부(130)로 유출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110 passes through the grease filter 121, the pre-filter 122, the medium filter 123, the chemical filter 124, and the HEPA filter 125 in sequence And is finally removed from clean air through the HEPA filter 125 to the outflow portion 13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100)의 필터부(120)는 측면에 형성된 측면 커버(126) 및 이를 연결하는 측면 경첩(127)을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측면 커버(126)를 열어 필터부(120)의 필터들을 용이하게 교체하거나 세척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120 of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using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 cover 126 formed on a side surface and a side hinge 127 connecting the side cover. Thereby, the user can open or close the side cover 126 to easily replace or clean the filters of the filter unit 120. [

상기 유출부(130)는 상기 필터부(12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제 2차압계(131), 동력 팬(132), 공기 유출구(133), 댐퍼 날개(134) 및 방지판(135)을 포함한다.The outflow portion 130 extends rearward from the filter portion 120 and includes a second differential pressure gauge 131, a power fan 132, an air outlet 133, a damper blade 134, .

상기 제 2차압계(131)는 상기 필터부(120)를 통과한 공기의 제2압력을 측정한다. 즉, 상기 제 1차압계(115)와 제 2차압계(131)를 이용하여, 필터링 되기 전의 공기와 필터링 된 후의 공기의 압력 차이를 계산 할 수 있다. The second differential pressure gauge 131 measures a second pressure of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120. That is, by using the first differential pressure gauge 115 and the second differential pressure gauge 131,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ir before being filtered and the air after being filtered.

여기서, 상기 제 1차압계(115)와 제 2차압계(131)에서 계산 된 공기의 차압을 이용해, 상기 필터부(120)의 필터들의 교체 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차압계(115)와 제 2차압계(131)에서의 공기 차압이 높을수록 공기가 상기 필터부(120)의 필터들을 통과하기 어려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다시 말하면, 상기 필터부(120)의 필터들이 많은 양의 미세먼지를 집진 하였음을 의미하므로 필터들의 교체 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Here, th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s of the filter unit 120 can be confirmed by us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air calculated in the first and second differential pressure gauges 115 and 131. That 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air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fferential pressure gauges 115 and 131, the more difficult it is for air to pass through the filters of the filter unit 120.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filters of the filter unit 120 collect a large amount of fine dust, so that th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s can be confirmed.

상기 동력 팬(13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100)의 부가적인 구성이다.The power fan 132 is an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using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차압계(115)와 제 2차압계(131)에서 계산 된 공기의 차압이 큰 경우, 상기 필터부(120)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방해를 받는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는 원할한 공기 흐름을 위하여 상기 공기 유출구(133) 근처에 배치되는 상기 동력 팬(132)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공기 흐름을 조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 팬(132)은 이동 수단(v)의 전원에 연결되어 동작 할 수도 있으며,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100)에 별도로 구비된 외부 전원(미도시)에 연결되어 동작할 수 도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air calculated by the first and second differential pressure gauges 115 and 131 is large,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120 is interrupted. Thus, in this case, the airflow can be forcibly made using the power fan 132 disposed near the air outlet 133 for the desired air flow. Here, the power fan 132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of the moving means v and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provided separately to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using the moving means, You may.

상기 공기 유출구(133)는 상기 이동 수단(v)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우징(h) 후단이 개방되어 형성됨으로서, 상기 필터부(120)을 통과한 청정 공기가 대기로 유출된다.The air outlet 133 is formed by opening the rear end of the housing h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ans v so that the clean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120 flows out to the atmosphere.

여기서, 상기 공기 유출구(133)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유입구(111)에 형성된 댐퍼 날개(112)와 동일한 구성의 댐퍼 날개(134)가 형성된다. 즉, 상기 댐퍼 날개(134)는 댐퍼 날개(112)와 동일한 구성으로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air outlet 133 is formed with a damper blade 134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damper blade 112 formed in the air inlet 111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damper blade 134 has a similar structure to that of the damper blade 112,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방지판(135)은 상기 공기 유출구(133)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 수단(v)의 주행에서 발생되는 와류로 인하여 상기 공기 유출구(133) 측으로 외부 공기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prevention plate 135 is installed above the air outlet 133 and prevents foreign air or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air outlet 133 due to vortex generated in the traveling of the moving means v .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200) 및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using the moving means and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using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가 부착된 이동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가 부착된 이동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c는 도 2a 또는 2b의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의 단면도이다.FIG. 2A is a side view showing a moving means having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a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side view showing an air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C is a sectional view of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the moving means of FIG. 2A or 2B. FI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2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수단(v)의 전면에 배치된다.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using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ving means v as shown in FIG.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2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수단(v)의 그릴(g) 내부에 배치된다.Further,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using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side the grill g of the moving means v as shown in FIG. 2A.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200)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200')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200) 만을 설명한다.Here,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using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using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same configuration Only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using the moving means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200)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210), 필터부(220) 및 유출부(230)를 포함한다.The atmospheric dust collector 200 using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210, a filter 220 and an outlet 230,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200)는 도 1c에 도시된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100)에 비하여, 유입부(210)의 공기 유입구(211) 및 유출부(230)의 공기 유출구(233)가 높이 방향으로 더욱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필터부(220)의 프리 필터(222), 미디엄 필터(223), 케미컬 필터(224) 및 헤파 필터(225)의 길이 역시 늘어나므로 필터부(220)의 집진 영역을 넓게 가질 수 있다.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atmospheric fine dust 200 using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atmospheric fine dust using the moving means shown in FIG. 211 and the air outlet 233 of the outlet 230 are formed longer in the height direction. Therefore, the length of the pre-filter 222, the medium filter 223, the chemical filter 224, and the HEPA filter 225 of the filter unit 220 is also increased, so that the dust collection area of the filter unit 220 can be widened.

상기 유입부(210)의 공기 유입구(211) 및 유출부(230)의 공기 유출구(233)에는 댐퍼 날개(212) 및 댐퍼 날개(334)가 각각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댐퍼 날개(212) 및 댐퍼 날개(334)는 도 1c에 도시된 댐퍼 날개(112) 및 댐퍼 날개(134) 동일한 구성으로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 damper blade 212 and a damper blade 334 are formed in the air inlet 211 and the air outlet 233 of the outlet 230 to control the flow of air. Here, the damper wing 212 and the damper wing 334 perform similar functions with respect to the damper wing 112 and the damper wing 134 shown in FIG. 1C, respectively,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필터부(220)의 프리 필터(222), 미디엄 필터(223), 케미컬 필터(224) 및 헤파 필터(225)는 도 1c에 도시된 필터부(120)와 동일한 구성으로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refilter 222, the medium filter 223, the chemical filter 224 and the HEPA filter 225 of the filter unit 220 have a similar structure to the filter unit 120 shown in FIG.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20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수단(v)의 그릴(g)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동 수단(v)의 그릴(g)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으며, 이동 수단(v)의 외측에서 관찰되지 않으므로 이동 수단(v)의 미관을 유지할 수 있다.Here,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200 'using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side the grill g of the moving means v as shown in FIG. 2B. Therefor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grill g of the moving means v can be filtered, and the aesthetic appearance of the moving means v can be maintained since it is not observed outside the moving means v.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30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300 using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가 부착된 이동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가 부착된 이동 수단을 도시한 후면도이고, 도 3c는 도 3a 및 3b의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의 필터부의 단면도이다.FIG. 3A is a side view showing a moving means having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ter unit of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the moving means of FIGS. 3A and 3B.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30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310)는 상기 이동 수단(v)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부(320) 및 상기 유출부(330)는 상기 이동 수단의 후면에 배치된다.The atmospheric dust collector 300 using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let 31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means v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filter unit 320 and the outflow unit 330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ving unit.

이로써, 공기의 흐름을 중력 방향으로 유도하므로, 필터부(320)에서의 집진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us, the airflow is guid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so that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in the filter unit 320 can be increased.

여기서, 도 3c에 도시된 필터부(320)의 프리 필터(322), 미디엄 필터(323), 케미컬 필터(324) 및 헤파 필터(325)는 도 2c에 도시된 필터부(220)와 동일한 구성으로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refilter 322, the medium filter 323, the chemical filter 324 and the HEPA filter 325 of the filter unit 320 shown in FIG. 3C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lter unit 220 shown in FIG. 2C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40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400 using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가 부착된 이동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의 단면도이다.FIG. 4A is a side view showing a moving means with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sectional view of an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the moving means of FIG. 4A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40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승용차로 구성되는 이동 수단(v')에 적용된다.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400 using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oving means v 'composed of a general passenger car as shown in Figs. 4A and 4B.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400)는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과 같이 이동 수단(v')의 그릴(g) 내부에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400)는 소형화 유닛으로 형성 되어 일반적인 승용차 내부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or 400 using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side the grill g of the moving means v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B. That is, the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400 using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as a compact unit and mounted inside a general passenger car.

여기서, 도 4b에 도시된 필터부(420)의 프리 필터(422), 미디엄 필터(423), 케미컬 필터(424) 및 헤파 필터(425)는 도 2c에 도시된 필터부(220)와 동일한 구성으로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prefilter 422, the medium filter 423, the chemical filter 424 and the HEPA filter 425 of the filter unit 420 shown in FIG. 4B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lter unit 220 shown in FIG. 2C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100;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110; 유입부 120; 필터부
130; 유출부
100;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using moving means
110; An inlet 120; The filter unit
130; Outlet

Claims (17)

이동 수단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에서 연장되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연장되며, 상기 이동 수단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단에 형성된 공기 유출구를 구비하는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수단의 주행에 의한 공기 흐름으로, 상기 공기가 상기 유입부, 필터부 및 유출구를 통과하고,
상기 유입부는 내부에 배치된 무동력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An inflow portion including an air inlet formed at the front end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ans;
A filt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let portion and having at least one filter therein; And
And an outlet portion extending to the filter portion and having an air outlet formed at a rear end thereof with respect to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ans,
Wherein the air flows through the inflow portion, the filter portion and the outflow port,
Wherein the inlet includes a non-powered fan disposed there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미디엄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unit includes a medium filt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미디엄 필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리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lter unit further comprises a pre-filter disposed in front of the medium filt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미디엄 필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케미컬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lter unit further comprises a chemical filter disposed behind the medium filt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미디엄 필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헤파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lter unit further comprises a HEPA filter disposed behind the medium filter. ≪ RTI ID = 0.0 > 21. < / RTI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미디엄 필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그리스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lter unit further comprises a grease filter disposed in front of the medium filter.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 필터부 및 유출부는 상기 이동 수단의 상면, 전면, 하면 혹은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6,
Wherein the inlet portion, the filter portion, and the outlet portion are attached to at least one or more of the upper surface, the front surface, the low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moving means.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이동 수단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유출부는 상기 이동 수단의 후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동 수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6,
Wherein the inlet portion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oving means, and the filter portion and the outlet portion are attached to the moving means so as to b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moving means.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 필터부 및 유출부는 상기 이동 수단의 그릴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6,
Wherein the inlet portion, the filter portion, and the outlet portion are disposed inside the grill of the moving mea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상기 공기 유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댐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is provided with a damper.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루버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amper is a louver damp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내부에 배치된 제 1차압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부는 내부에 배치된 제 2차압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let includes a first differential pressure meter disposed therein and the outlet comprises a second differential pressure meter disposed therein. ≪ RTI ID = 0.0 > 31. < / RTI >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하부에 배치된 드래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low portion includes a drain dispos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는 내부에 배치된 동력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let comprises a power fan disposed therein. ≪ RTI ID = 0.0 > 21. < / RTI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측벽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unit further includes a side wall co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는 상기 공기 유출구의 상측에 설치되는 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let further comprises a prevention plat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air outlet.
KR1020130071053A 2013-06-20 2013-06-20 Apparatus for collecting particulate in air using vehicle KR1015179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085A KR101469224B1 (en) 2013-06-20 2013-10-25 Apparatus for measuring length of sp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053A KR20140147553A (en) 2013-06-20 2013-06-20 Apparatus for collecting particulate in air using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906B1 true KR101517906B1 (en) 2015-05-06

Family

ID=526763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053A KR101517906B1 (en) 2013-06-20 2013-06-20 Apparatus for collecting particulate in air using vehicle
KR20130071053A KR20140147553A (en) 2013-06-20 2013-06-20 Apparatus for collecting particulate in air using vehicl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1053A KR20140147553A (en) 2013-06-20 2013-06-20 Apparatus for collecting particulate in air using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517906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791B1 (en) 2016-04-07 2016-10-26 강석관 Apparatus for Producing Artificial Rain and Reducing Fine Particles
KR101925825B1 (en) 2018-06-19 2018-12-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ir purification system by automobiles
KR20190119740A (en) 2018-04-13 2019-10-23 김형진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system
KR102054253B1 (en) 2019-04-16 2019-12-10 주식회사 넥스트이엔씨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KR102060892B1 (en) * 2018-04-11 2019-12-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Manned and unmanned moving object mounted type fine dust complex filtering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control Thereof
WO2020032317A1 (en) * 2018-08-07 2020-02-13 (주)아이준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using moving means
KR20210012714A (en) * 2019-07-26 2021-02-0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articulate matter monitoring system and capturing device of air using vehicle
KR20210014895A (en) * 2019-07-31 2021-02-10 이주형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using moving vehicles
WO2021234186A1 (en) * 2020-05-20 2021-11-25 Agm Human Consulting, S.L. Device for air purification, incorporated into a vehicle
KR20220025427A (en) * 2020-08-24 2022-03-03 사단법인 한국패시브건축협회 Filtering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7653B (en) 2017-01-18 2021-12-07 曼·胡默尔有限公司 Road vehicle with an ambient air cleaning device, ambient air cleaning device and filter element
KR102132067B1 (en) * 2018-02-21 2020-07-08 (주)에스에프코리아 Vehicle fine dustreduction device
KR102137629B1 (en) 2018-12-18 2020-07-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Collecting apparatus for fine dust scattered by the electric rail
KR102515933B1 (en) * 2019-08-05 2023-03-3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obile-mounted dust collecting device for increasing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bag filter by forming vacuum using ratio of a driving fan and a driven fan
KR102279161B1 (en) * 2019-10-16 2021-07-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Dust collecting apparatus mounted within body frames of vehicle
KR102286531B1 (en) * 2019-10-23 2021-08-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A device and method for fine dust collector of water filter type using car license pla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9333A (en) * 1999-11-08 2001-05-15 Toshio Kondo Atmosphere cleaning mechanism for running object
KR100807813B1 (en) * 2007-02-07 2008-02-27 최대식 Air cleaning device for vehicle
KR100874991B1 (en) * 2008-04-03 2008-12-19 주식회사 한성기건 Movable type air purge apparatus for underground institu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9333A (en) * 1999-11-08 2001-05-15 Toshio Kondo Atmosphere cleaning mechanism for running object
KR100807813B1 (en) * 2007-02-07 2008-02-27 최대식 Air cleaning device for vehicle
KR100874991B1 (en) * 2008-04-03 2008-12-19 주식회사 한성기건 Movable type air purge apparatus for underground institution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791B1 (en) 2016-04-07 2016-10-26 강석관 Apparatus for Producing Artificial Rain and Reducing Fine Particles
KR102060892B1 (en) * 2018-04-11 2019-12-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Manned and unmanned moving object mounted type fine dust complex filtering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control Thereof
KR20190119740A (en) 2018-04-13 2019-10-23 김형진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system
KR102041095B1 (en) * 2018-04-13 2019-11-06 김형진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device,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tmospheric fine dust collecting system
KR101925825B1 (en) 2018-06-19 2018-12-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ir purification system by automobiles
KR102123416B1 (en) * 2018-08-07 2020-06-16 (주)아이준 Apparatus for cleaning particulate in air using vehicle
WO2020032317A1 (en) * 2018-08-07 2020-02-13 (주)아이준 Fine dust purification device using moving means
KR20200016442A (en) * 2018-08-07 2020-02-17 (주)아이준 Apparatus for cleaning particulate in air using vehicle
KR102054253B1 (en) 2019-04-16 2019-12-10 주식회사 넥스트이엔씨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KR20210012714A (en) * 2019-07-26 2021-02-0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articulate matter monitoring system and capturing device of air using vehicle
WO2021020644A1 (en) * 2019-07-26 2021-02-04 김동현 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monitoring system and collection device using vehicle
KR102253762B1 (en) * 2019-07-26 2021-05-2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articulate matter monitoring system and capturing device of air using vehicle
KR20210014895A (en) * 2019-07-31 2021-02-10 이주형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using moving vehicles
KR102242696B1 (en) * 2019-07-31 2021-04-21 박상현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using moving vehicles
WO2021234186A1 (en) * 2020-05-20 2021-11-25 Agm Human Consulting, S.L. Device for air purification, incorporated into a vehicle
KR20220025427A (en) * 2020-08-24 2022-03-03 사단법인 한국패시브건축협회 Filtering devices
KR102440767B1 (en) * 2020-08-24 2022-09-13 사단법인 한국패시브건축협회 Filter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553A (en)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906B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particulate in air using vehicle
KR101511663B1 (en) Dust collector for tire of vehicle
EP1654499B1 (en) Separation apparatus
JP2016500138A (en) Working bypass hood and method for gas turbine inlet systems
JP2012163096A (en) Moisture diversion apparatus for air inlet system and method
TW201016302A (en) A method and system for cleaning atmospheric pollution
KR20190026135A (en) Air purifier of Wall mounting type
US201503211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airborne pollutants
KR101826021B1 (en) Number plate apparatus for vehicle with dust collecting function
JP4036639B2 (en) Airborne particulate matter collector
KR20180051244A (en) Air cleaning filter and air cleaner provided with same
CN203757881U (en) Air purifier
KR20190068819A (en) Air cleaner filter for fans
JP2012026692A (en) Air cleaner
EP3306218A1 (en) Air purifier
US20120103195A1 (en) Machine tool mounted mist collector
JP6754936B2 (en) Air purifier with pollutant collection means
KR102095479B1 (en) Air cleaning filter and air cleaner provided with same
CN211364218U (en) Automobile air conditioner filtering system and automobile
CN106362501A (en) Air purifier and demister thereof
CN207438756U (en) Weld fume purifier and weldering cigarette cleaning equipment
US20220016560A1 (en) Air purifier
KR20140087354A (en) Apparatus for cleaning air
KR20200000213U (en) Air purifying filter unit and air purifying device having the same
JP2010201329A (en) Dust coll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