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2514A - 차량용 집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집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2514A
KR20240062514A KR1020220144122A KR20220144122A KR20240062514A KR 20240062514 A KR20240062514 A KR 20240062514A KR 1020220144122 A KR1020220144122 A KR 1020220144122A KR 20220144122 A KR20220144122 A KR 20220144122A KR 20240062514 A KR20240062514 A KR 20240062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flow
dust
area
dust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세진
최은서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44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2514A/ko
Publication of KR20240062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251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04C5/185Dust col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24Multiple arrangement thereof

Landscapes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차량용 집진 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집진 장치는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며, 주행풍으로 인한 기류가 통과하는 기류 통과 유로가 형성된 기류 통과부; 상기 차량의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주행풍으로 발생하는 후류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와 내부로 유입된 후류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집진 바디; 및 상기 집진 바디 내에 제공되며, 상기 집진 바디를 통과하는 후류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집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토출구는 상기 기류 통과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집진 장치{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집진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풍에서 발생하는 후류를 극대화시켜 후류에 포함된 미세 입자를 집진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 및 도시화로 인하여 대기 오염이 증가되어 실내 및 실외 공기의 심각한 오염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기에는 차량의 분진, 유해가스, 각종 먼지, 꽃가루, 중금속 등이 포함되는데, 만약, 이러한 유해 물질들의 별도의 여과 또는 정화 과정이 없이 인체로 바로 흡입되게 될 경우에는 각종 호흡기 질병은 물론이고 기타 질병들도 유발시킬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특히, 산업의 발달로 인해 차량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도 많은 대기 오염물질이 발생된다. 차량에서는 유해물질이 포함된 배기가스, 각종 분진, 먼지 및 타이어에서 떨어져 나온 타이어가루 등 다양한 물질들이 발생된다. 그러나, 차량에서 대기를 오염시키는 이물질들이 많이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차량에는 배기가스, 분진, 타이어 가루 등의 이물질을 집진하거나 별도로 여과할 수 있는 여과장치가 기본적으로 설치되지 않는다. 때문에, 차량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 먼지, 분진, 타이어가루 등의 이물질은 대기 중으로 바로 방출되고, 방출된 이물질 들은 대기 중에 포함되어 차량의 탑승자는 물론 다른 사람들에게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승합차, 버스, 트럭 등의 차량에 장착가능한 차량용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풍에서 발생하는 후류로부터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는 차량용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동안 안정적으로 차량에 장착될 수 있는 차량용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타이어와 지면의 마찰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집진할 수 있는 차량용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집진 장치는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며, 주행풍으로 인한 기류가 통과하는 기류 통과 유로가 형성된 기류 통과부; 상기 차량의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주행풍으로 발생하는 후류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와 내부로 유입된 후류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집진 바디; 및 상기 집진 바디 내에 제공되며, 상기 집진 바디를 통과하는 후류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집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토출구는 상기 기류 통과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류 통과 유로는 상기 기류의 속도가 증가하고 압력이 낮아지는 유로 변경 영역을 가지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유로 변경 영역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 변경 영역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유로 폭이 점차 감소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의 후방에 위치하며, 후방으로 갈수록 유로 폭이 점차 증가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2영역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경계 영역에 인접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류 통과부는 상기 유로 변경 영역을 형성하는 기류 흐름 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 흐름 변경부는, 상기 제1 영역을 형성하는 제1 저면; 상기 제2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저면; 및 상기 제1 저면과 상기 제2 저면을 연결하는 상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저면, 상기 제2 저면, 그리고 상기 상면은 서로 조합하여 유선형의 폐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은 후단이 선단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저면과 상기 제2 저면이 이루는 길이는 상기 상면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차량의 후면에 인접하여 상기 집진 바다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는 복수 개 제공되며, 상기 집진 부재는 상기 유입구들 내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후류로부터 싸이클론 방식으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후면 하단에 장착되며, 상기 차량의 타이어와 지면의 마찰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하부 집진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집진기는 상기 차량의 하부에서 주행풍으로 인한 기류가 유입되는 하부 유입구와, 상기 하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기류가 외부로 토출되는 하부 토출구, 그리고 상기 하부 유입구와 상기 하부 토출구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 유로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연결 유로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 연결 유로를 따라 흐르는 기류의 흐름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가이드 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집진 장치는 승합차, 버스, 트럭 등과 같이 루프와 후면을 갖는 차량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류 통과 유로에 형성된 기류가 유로 변경 영역을 지나면서 이젝트(eject) 원리에 의해 속도가 빨라지고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집진 바디의 토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 흐름이 원활해지고, 집진 바디 내부에서 후류의 흐름이 극대화되어 미세먼지의 집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류 흐름 변경부의 형상은 차량 주행 시 상부 압력이 하부 압력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하므로, 기류 흐름 변경부에 아래로 누르는 힘이 작용하여 차량의 주행 중에도 기류 통과부가 안정적으로 차량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집진기가 차량의 후면 하단에 장착되고, 차량의 하부에서 발생하는 주행풍이 하부 집진기에 유입되므로, 차량의 타이어와 지면의 마찰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집진 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집진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차량용 집진 장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하부 집진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집진 바디와 기류 통과부에서 발생하는 기류와 압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하부 집진기에서 발생하는 기류와 압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류 통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차량용 집진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기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류 통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집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집진 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집진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차량용 집진 장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하부 집진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집진 장치(100)는 차량(10)의 루프(11)와 후면(12)에 장착된다. 후면(11)은 차량(10)의 주행 방향으로 차량(10)의 후방을 향해 배치된다. 차량(10)은 버스, 트럭, 승합차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차량용 집진 장치(100)가 버스(10)의 루프(11)와 후면(12)에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차량(10)의 주행 시 주행풍(20)이 발생하며, 주행풍(20)은 차량(10)의 후방에서 차량(10)의 후면(12)측으로 흐르는 후류(21)를 형성한다. 차량용 집진 장치(100)는 이러한 후류(21)를 유입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집진한다.
차량용 집진 장치(100)는 집진 바디(200), 기류 통과부(300), 집진 부재(400), 그리고 하부 집진기(500)를 포함한다.
집진 바디(200)는 소정 형상을 가지며, 차량(10)의 후면(12)에 장착된다. 집진 바디(20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집진 바디(200)의 폭은 차량(10)의 폭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집진 바디(200)는 차량(10)의 후면(12)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집진 바디(200)는 차량(10)의 후방을 향하는 후면(201)과 차량(10)의 상부를 향하는 상면(202)을 가진다. 후면(201)에는 후류(21)가 유입되는 유입구(210)가 형성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유입구(210)는 복수 개 형성되며, 기 설정된 열과 행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유입구(210)는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집진 바디(200)의 내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차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집진 바디(200)의 상면에는 토출구(220)가 형성된다. 토출구(220)는 집진 바디(200)의 내부로 유입된 후류(21)가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집진 바디(200)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230)이 형성된다. 내부 공간(230)은 유입구(210) 및 토출구(220) 각각과 연통된다.
기류 통과부(300)는 차량(10)의 루프(11)에 장착된다. 기류 통과부(300)의 폭은 집진 바디(200)의 폭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진다. 기류 통과부(300)는 차량(10)의 후면(12)에 인접 위치할 수 있다. 기류 통과부(300)는 차량(10) 주행 시 발생하는 주행풍(20)이 통과하는 기류 통과 유로(310)를 형성한다. 기류 통과 유로(310)는 기류가 유입되는 기류 유입구(311)와 기류가 외부로 배출되는 기류 토출구(312)가 형성된다. 기류 유입구(311)는 차량(10)의 전방을 향해 배치되고, 기류 토출구(312)는 차량(10)의 후방을 향해 배치된다.
기류 통과부(300)는 기류 흐름 변경부(320)를 포함한다. 기류 흐름 변경부(320)는 기류 통과 유로(310)의 유로 크기가 변경되는 유로 변경 영역(313)을 형성한다. 기류가 유로 변경 영역(313)을 통과하는 동안 속도가 증가하고 압력이 감소한다. 기류 흐름 변경부(320)는 대체로 유선형 형상으로 제공되며, 제1저면(321), 제2저면(322), 그리고 상면(323)을 갖는다.
제1저면(321)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고, 제2저면(322)은 제1저면(32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높아진다. 상면(323)은 제1저면(321)의 선단과 제2저면(322)의 후단을 연결한다. 상면(323)은 후단이 선단보다 높게 위치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상면(323)은 상부로 볼록한 곡면으로 제공된다. 상술한 제1저면(321), 제2저면(322), 그리고 상면(323)은 서로 조합되어 유선형의 폐곡면을 형성한다.
상술한 기류 흐름 변경부(320)에 의하여, 유로 변경 영역(313)은 제1저면(321)과 제2저면(322)의 경계 영역을 기점으로 유로 크기가 변한다. 유로 변경 영역(313)은 제1영역(314)과 제2영역(315)을 포함한다. 제1영역(314)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유로 폭이 점차 감소하고, 제2영역(315)은 후방으로 갈수록 유로 폭이 점차 증가한다. 제2영역(315)은 제1영역(314)의 후방에 위치한다.
집진 바디(200)에 형성된 토출구(220)는 기류 통과 유로(310)와 연통된다. 토출구(220)는 유로 변경 영역(310)의 제2영역(315)과 연통되며, 제1영역(314)과 제2영역(315)의 경계 영역에 인접 위치한다.
집진 부재(400)는 집진 바디(200)의 내부에 제공되며, 유입구(210)를 따라 흐르는 후류(21)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집진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집진 부재(400)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포함한다.
싸이클론 집진기(400)는 유입구(210)의 내부에 각각 제공되며, 싸이클론 방식으로 후류(21)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집진한다. 싸이클론 집진기(400)는 후류(21)가 유입되는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날개(410)를 포함한다. 싸이클론 집진기(400)는 후류(21)의 흐름에 의해 그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싸이클론 집진기(400)의 회전으로 싸이클론 흐름이 형성되고, 이 과정에서 미세먼지들이 유입구(210) 내에 포집될 수 있다. 미세먼지가 제거된 후류(21)는 내부 공간(230)으로 유입된다.
하부 집진기(500)는 차량(10)의 후면(12) 하단에 장착된다. 하부 집진기(500)는 차량(10)의 주행 시 차량(10)의 하부에서 발생되는 주행풍(30)이 유입되며, 주행풍(30)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집진한다. 하부 집진기(500)는 차량(10)의 타이어와 지면의 마찰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
하부 집진기(500)는 하부 하우징(510)과 집진 부재(520)를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510)은 차량(10)의 후면(12) 하단에 장착된다. 하부 하우징(510)에는 하부 유입구(511)와 하부 토출구(512) 그리고 내부 공간(513)이 형성된다. 하부 유입구(511)는 차량(10)의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형성되고, 하부 토출구(512)는 차량(10)의 후방을 향해 형성된다. 내부 공간(513)은 하부 유입구(511)와 하부 유출구(512)와 연통된다.
집진 부재(520)는 하부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513)에 제공되며, 하부 하우징(510)을 통과하는 주행풍(30)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집진한다. 집진 부재(510)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포함한다. 싸이클론 집진기(510)는 내부 공간(513)에서 서로 구획된 복수 개의 유로 상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싸이클론 집진기(510)는 복수 개가 상하방향으로 병렬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차량용 집진 장치를 이용하여 대기 중의 미세먼지들을 집진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집진 바디와 기류 통과부에서 발생하는 기류와 압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집진 바디와 기류 통과부에서 발생하는 기류를 나타내고, (B)는 각 영역의 압력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차량(10)의 주행으로 주행풍(20)이 발생하며, 주행풍(20)은 기류 통과부(300)의 기류 유입구(311)로 유입되어 기류 통과 유로(310) 내에서 기류를 형성한다. 그리고 주행풍(20)은 차량(10)의 후방에서 차량(10)의 후면(12) 측으로 흐르는 후류(21)를 형성한다.
후류(21)는 집진 바디(200)의 유입구(210)를 거쳐 내부 공간(230)으로 흐른다. 후류(21)가 유입구(210) 내의 집진부재(4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후류(21)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제거된다. 미세먼지가 제거된 후류(21)는 내부 공간(230)을 거쳐 토출구(220)로 유입된다.
기류 통과 유로(310)에 형성된 기류는 유로 변경 영역(313)을 지나면서 이젝트(eject) 원리에 의해 속도가 빨라지고 압력이 낮아진다. 이러한 기류의 속도 및 압력 변화로 토출구(220)에서 배출되는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되어 집진 바디(200)의 내부 공간(230)은 외부 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아진다. 이러한 압력 분포는 집진 바디(200)의 내부에서 후류(21)의 흐릉을 극대화하여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기류 흐름 변경부(320)는 유선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면(323)의 후단이 선단보다 높게 위치하고, 제1저면(321) 및 제2저면(322)의 길이가 상면(323)의 길이 보다 길게 제공됨에 따라 주행 시 기류 흐름 변경부(320)의 상부 압력이 하부 압력보다 높아진다. 이러한 압력 차이로, 기류 흐름 변경부(320)에는 아래로 누르는 힘이 작용하여 차량(10)의 주행 중에도 기류 통과부(300)가 안정적으로 차량(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하부 집진기에서 발생하는 기류와 압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하부 집진기에서 발생하는 기류를 나타내고, (B)는 각 영역의 압력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차량(10)의 하부에서 발생하는 주행풍(30)은 하부 하우징(510)의 하부 유입구(511)로 유입되고, 내부 공간(513)을 거쳐 하부 토출구(512)를 통해 차량(10) 후방으로 배출된다. 하부 유입구(511)로 유입되는 주행풍(30)에는 차량 타이어와 지면의 마찰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포함되며, 이러한 미세먼지는 집진 부재(520)에 의해 집진된다. 때문에, 차량(10)의 후방으로 미세먼지가 제거된 주행풍이 배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류 통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차량용 집진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기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류 흐름 변경부(330)는 도 2에서 설명한 기류 흐름 변경부(320)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으며, 선단(331)이 둥근 에어포일(airfoil) 형상을 갖는다. 기류 흐름 변경부(330)의 상면(332)은 저면(332)보다 상대적으로 평평하게 제공되며, 저면(332)는 아래로 볼록한 곡면으로 제공된다. 기류 흐름 변경부(330)는 상면의 길이가 저면의 길이보다 짧게 제공된다. 기류 흐름 변경부(330)의 상면은 후단이 선단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한다.
이러한 기류 흐름 변경부(330)의 형상은, 차량 주행 시 기류 흐름 변경부(330)의 상부 압력이 하부 압력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압력 분포는 집진 바디 내부로부터 후류의 토출을 원활하게 하고, 기류 흐름 변경부(330)를 아래로 누르는 힘을 발생시켜 차량(10)의 주행 중에도 기류 통과부(300)가 안정적으로 차량(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류 통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류 흐름 변경부(340)에 의해, 기류 통과 유로(310)는 제1영역(314), 제2영역(315), 그리고 제3영역(316)을 포함한다. 제1영역(314)은 기류 통과 유로(310) 중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유로 폭이 점차 감소하는 영역이고, 제2영역(315)은 후방으로 갈수록 유로 폭이 점차 증가하는 영역이다. 제3영역(316)은 제1영역(314)과 제2영역(315)을 연결하는 영역으로 일정한 유로 폭을 갖는다.
주행풍(20)이 기류 통과 유로(310)를 통과하는 동안, 제3영역(316)을 지날 때 속도가 빨라지고 압력이 낮아진다. 이러한 기류의 속도 및 압력 변화는 집진 바디(200) 내부에서 후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집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부 집진기(500)는 하부 하우징(510)과 가이드 베인(530)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510)은 도 4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가이드 베인(530)은 하부 하우징(510)의 내부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다. 가이드 베인(530)은 복수 개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마주 배치될 수 있다.
주행풍이 하부 하우징(510)의 내부를 통과하는 동안, 주행풍에 포함된 미세먼지는 가이드 베인(530)과의 충돌로 가이드 베인(530)의 사이 공간에 포집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차량
100: 차량용 집진 장치
200: 집진 바디
300: 기류 통과부
400: 집진 부재
500: 하부 집진기

Claims (11)

  1.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며, 주행풍으로 인한 기류가 통과하는 기류 통과 유로가 형성된 기류 통과부;
    상기 차량의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주행풍으로 발생하는 후류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와 내부로 유입된 후류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집진 바디; 및
    상기 집진 바디 내에 제공되며, 상기 집진 바디를 통과하는 후류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집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토출구는 상기 기류 통과 유로와 연통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통과 유로는 상기 기류의 속도가 증가하고 압력이 낮아지는 유로 변경 영역을 가지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유로 변경 영역과 연통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변경 영역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유로 폭이 점차 감소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의 후방에 위치하며, 후방으로 갈수록 유로 폭이 점차 증가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2영역과 연통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경계 영역에 인접 위치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통과부는 상기 유로 변경 영역을 형성하는 기류 흐름 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 흐름 변경부는,
    상기 제1 영역을 형성하는 제1 저면;
    상기 제2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저면; 및
    상기 제1 저면과 상기 제2 저면을 연결하는 상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저면, 상기 제2 저면, 그리고 상기 상면은 서로 조합하여 유선형의 폐곡면을 형성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은 후단이 선단보다 높게 위치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면과 상기 제2 저면이 이루는 길이는 상기 상면의 길이보다 긴 차량용 집진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차량의 후면에 인접하여 상기 집진 바다의 상단에 형성된 차량용 집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복수 개 제공되며,
    상기 집진 부재는
    상기 유입구들 내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후류로부터 싸이클론 방식으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후면 하단에 장착되며, 상기 차량의 타이어와 지면의 마찰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하부 집진 모듈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집진기는
    상기 차량의 하부에서 주행풍으로 인한 기류가 유입되는 하부 유입구와, 상기 하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기류가 외부로 토출되는 하부 토출구, 그리고 상기 하부 유입구와 상기 하부 토출구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 유로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연결 유로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 연결 유로를 따라 흐르는 기류의 흐름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가이드 베인을 포함하는 차량용 집진 장치.
KR1020220144122A 2022-11-02 2022-11-02 차량용 집진 장치 KR20240062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122A KR20240062514A (ko) 2022-11-02 2022-11-02 차량용 집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122A KR20240062514A (ko) 2022-11-02 2022-11-02 차량용 집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2514A true KR20240062514A (ko) 2024-05-09

Family

ID=91075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122A KR20240062514A (ko) 2022-11-02 2022-11-02 차량용 집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25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906B1 (ko)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US11065942B2 (en) Environmental air cleaning device, road vehicle having environmental air cleaning device, and filter element
CN101028788A (zh) 车辆用集尘装置
CN102042088A (zh) 湿气分离***和组装该***的方法
KR20190045437A (ko) 차량 바퀴에 설치되는 집진 장치
US7070637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a fluid
KR102206093B1 (ko) 공기 정화 장치
CN108067067A (zh) 一种车顶空气净化装置
KR101826021B1 (ko) 집진 기능을 구비하는 차량용 번호판 장치
CN205360840U (zh) 新型除雾器
KR20240062514A (ko) 차량용 집진 장치
KR102279161B1 (ko) 차량의 차체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
CN204799028U (zh) 一种用于机加工车间油雾污染净化的成套设备
KR102289066B1 (ko)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는 차량용 집진 장치
KR102280310B1 (ko) 차량용 집진 장치
KR101117355B1 (ko) 집진 장치
CN2511378Y (zh) 气体净化器
CN104971568A (zh) 一种用于机加工车间油雾污染净化的成套设备
CN205800733U (zh) 一种空气净化器
KR102037998B1 (ko) 윈드 디플렉터 타입 공기정화 장치
CN212508590U (zh) 一种多单元空气滤清装置
CN113731094A (zh) 综合式油气分离装置
CN106765377A (zh) 一种免清洗吸油烟机
CN206198935U (zh) 一种车顶空气净化装置
RU2299818C1 (ru) Инерционный фильт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