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805A - 플랙서블 슬라이드 코어를 포함하는 금형 장치 - Google Patents

플랙서블 슬라이드 코어를 포함하는 금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805A
KR20230040805A KR1020210124353A KR20210124353A KR20230040805A KR 20230040805 A KR20230040805 A KR 20230040805A KR 1020210124353 A KR1020210124353 A KR 1020210124353A KR 20210124353 A KR20210124353 A KR 20210124353A KR 20230040805 A KR20230040805 A KR 20230040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lide core
core
axial direction
injection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모
유연훈
차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4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0805A/ko
Publication of KR20230040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8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29C45/2606Guiding or cent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21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expansible or collapsible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29C2045/2604Latching means for successive opening or closing of mould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2045/338Mould parts with combined axial and transversal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는, 제1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위치 조정 유닛 및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축 방향에 수직한 제2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로킹 블록(locking block)을 포함하는 위치 조정 부재, 사출품에 대해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탄성 소재로 형성된 슬라이드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정 부재는,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사출품에 대해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에 각각 밀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랙서블 슬라이드 코어를 포함하는 금형 장치{MOLD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SLIDE CORE}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플랙서블 슬라이드 코어를 포함하는 금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형 장치를 통해 다양한 사출품을 제조할 수 있다. 금형 장치를 이용하여 사출품을 제조할 경우, 용융 수지의 사출 압력에 의해 금형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에 변형이 발생하여 사출품에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단차는 성형면을 이루는 금형 부품 사이가 매끄럽게 연결되지 못하여 사출품의 표면에 원하지 않는 계단 형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사출품에 발생하는 단차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금형 장치는 이동 금형과 고정 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금형 장치는 이동 금형과 고정 금형이 결합한 닫힌 상태와 이동 금형과 고정 금형이 서로 이격된 열린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금형 장치는 고정 금형에 대해 이동 금형이 이동하여 금형이 닫힌 상태에서 사출품의 형태와 대응되는 성형부를 구성할 수 있다. 사출금형이 닫힌 상태에서 용융 수지가 성형부에 주입되면 성형부의 형태와 대응되는 사출품이 제조될 수 있다.
금형 장치 내부에는 언터컷(undercut)이 있는 사출품을 성형할 때 사용되는 슬라이드 코어(slide core)가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는 금형의 개폐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금형이 닫히는 경우, 슬라이드 코어는 금형 안쪽으로 이동하여 성형부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코어는 사출품의 최외각 면을 이루는 틀을 구성할 수 있다. 금형이 닫히고, 용융 수지가 성형부에 주입되는 경우, 슬라이드 코어와 같이 금형을 이루는 구성이 사출 압력 및 열팽창에 의해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출품에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출품에 단차가 발생할 경우, 슬라이드 코어의 위치를 조정하여 사출품에 발생하는 단차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는, 제1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위치 조정 유닛 및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축 방향에 수직한 제2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로킹 블록(locking block)을 포함하는 위치 조정 부재, 사출품에 대해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탄성 소재로 형성된 슬라이드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정 부재는,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사출품에 대해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에 각각 밀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는, 제1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위치 조정 유닛 및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축 방향에 수직한 제2 축 방향 또는 상기 제2 축 방향에 수직한 제3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로킹 블록을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조정 부재, 사출품에 대해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사출품에 대해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위치 조정 부재 중 두 개의 위치 조정 부재가 각각 밀착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탄성 소재로 형성된 제1 슬라이드 코어, 상기 사출품에 대해 상기 제3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사출품에 대해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위치 조정 부재 중 하나와 밀착되는 제2 슬라이드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제2 슬라이드 코어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사출품에 대해 전진한 상태에서 상호 접촉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코어와 결합되는 로킹 블록의 위치를 조정하여 슬라이드 코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출품에 발생하는 단차를 개선할 수 있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의 제1 금형과 제2 금형이 닫힌 상태의 도면이다.
도 2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금형의 분해도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금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의 금형 장치가 열린 상태에서 제2 금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금형 장치를 도 1의 금형 장치를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로킹 블록(locking block)에 위치 조정 유닛이 결합된 위치 조정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슬라이드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5c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슬라이드 코어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에 위치 조정 부재가 각각 배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d는, 도 5c에 도시된 B-B 선을 따라 절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100)의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이 닫힌 상태의 도면이다. 도 2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금형(110)의 분해도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금형(1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100)의 금형 장치(100)가 열린 상태에서 제2 금형(120)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금형 장치(100)를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금형 장치(100)는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은 서로에 대해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 중 적어도 하나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고정된 금형에 대해 상대 이동을 할 수 있는 금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금형(110)은 위치가 고정된 고정형 금형이고, 제2 금형(120)은 제1 금형(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이동형 금형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금형(110)은 이동형 금형이고, 제2 금형(120)은 고정형 금형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금형(110)은 위치가 고정된 고정형 금형이고, 제2 금형(120)은 제1 금형(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이동형 금형임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금형 장치(100)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제1 금형(110)에 대해 제2 금형(120)이 이동함에 따라 닫힌 상태(closed state) 또는 열린 상태(open state)가 될 수 있다. 금형 장치(100)의 닫힌 상태란 제1 금형(110)에 대해 제2 금형(120)이 도 1을 기준으로 + Z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이 결합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금형 장치(100)의 열린 상태란 제1 금형(110)에 대해 제2 금형(120)이 도 1을 기준으로 - Z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이 이격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금형 장치(100)는 닫힌 상태에서 용융 수지가 금형 장치(100) 내부에 삽입되어 사출품(P)이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금형(110)은 제1 클램핑(clamping) 플레이트, 제1 몰드 베이스(mold base)(112) 및 제1 코어(core)(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금형(110)은 제1 클램핑 플레이트(111) - 제1 몰드 베이스(112) - 제1 코어(113) 순으로 적층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제1 코어(113)는 제1 몰드 베이스(112)의 배면(예: 도 2a를 기준으로 - Z 방향을 향하는 면)에 형성된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클램핑 플레이트(111)와 제1 몰드 베이스(112)는 볼트와 같은 고정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클램핑 플레이트(111)와 제1 몰드 베이스(112)에는 고정 부재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의 내벽에는 고정 부재의 고정을 위한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가 제1 클램핑 플레이트(111)와 제1 몰드 베이스(112)에 형성된 고정홀에 체결됨에 따라 제1 클램핑 플레이트(111)와 제1 몰드 베이스(112)는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몰드 베이스(112)와 제1 코어(113)는 볼트와 같은 고정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몰드 베이스(112)와 제1 코어(113)에는 고정 부재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의 내벽에는 고정 부재의 고정을 위한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가 제1 몰드 베이스(112)와 제1 코어(113)에 형성된 제2 고정홀에 체결됨에 따라 제1 몰드 베이스(112)와 제1 코어(113)는 결합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금형 장치(100)의 제1 금형(110)에는 스프루 부쉬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클램핑 플레이트(111), 제1 몰드 베이스(112) 및 제1 코어(113)에는 용융 수지가 통과하는 스프루 부쉬의 일부가 통과하는 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 클램핑 플레이트(111), 제1 몰드 베이스(112) 및 제1 코어(113) 관통하는 홀(114)에 용융된 수지가 직접 삽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에에 따르면, 금형 장치(100)는 스프루 부시(sprue bush)(20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루 부시(201)는 금형 장치(100)의 제1 금형(110)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프루 부시(201)는 사출기에서 용융된 수지가 사출기의 노즐(nozzle)을 통해 금형 장치(100)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루 부시(201)는 용융된 수지를 제1 코어(113)에 형성된 러너(runner)에 전달하는 통로일 수 있다. 제1 클램핑 플레이트(111)는 스프루 부시(201)의 입구와 사출기의 노즐이 밀착되도록 금형 장치(100)에 고정될 수 있다. 스프루 부시(201)는 용융된 수지가 제1 코어(113)에 형성된 캐비티(cavity)에 전달될 수 있도록 스프루 부시(201)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관통하는 홀(20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출기에서 용융된 수지는 스프루 부시(201)를 통과하고 후술할 러너(runner) - 게이트(gate)를 경유하여 제1 코어(113)에 형성된 캐비티에 충진될 수 있다. 여기서 캐비티란 사출품(P)의 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제1 코어(311)에 형성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클램핑 플레이트(111)의 전면에는 로케이트 링(202)이 배치되는 홈(111-1)이 형성될 수 있다. 로케이트 링(202)은 금형 장치(100)에 제1 금형(110)을 고정할 때, 제1금형의 고정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케이트 링(202)은 금형 장치(100)의 사출기 노즐이 제1 클램핑 플레이트(111)에 배치된 스프루 부시(201)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사출기 노즐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클램핑 플레이트(111) 하단에는 제1 몰드 베이스(112)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몰드 베이스(112)는 제1 몰드 베이스(112)를 관통하는 복수의 가이드 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홀(115)은 제1 몰드 베이스(112)의 전면(예: 도 2a를 기준으로 + Z 방향을 향하는 면)과 배면(예: 도 2a를 기준으로 - Z 방향을 향하는 면)을 연결하는 홀일 수 있다. 가이드 홀(115)에는 제2 금형(120)의 제2 몰드 베이스(122)에 결합된 가이드 핀(13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홀(115)은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이 결합시, 제2 금형(120)의 제2 몰드 베이스(122)에 결합된 가이드 핀(130)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이드 홀(115)에는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이 결합 또는 해체시, 가이드 핀(130)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윤활재가 도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금형(110)은 제1 코어(113)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 코어(113)는 제1 몰드 베이스(11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코어(113)는 제1 몰드 베이스(112)의 배면에 제1 코어(113)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어(113)는 제1 몰드 베이스(112)의 전면과 배면을 연결하는 홀(114)과 대응되는 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어(113)에 형성된 홀(114)에는 스프루 부시(201)의 타단부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코어(113)는 러너와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러너는 제1 코어(113)의 배면(예: 도 2a를 기준으로 - Z 방향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스프루 부시(201)의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러너는 용융된 수지를 게이트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는 사출기에서 용융된 수지를 제1 코어(113)의 배면에 형성된 캐비티로 전달하는 최종 통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코어(113)는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는 제1 코어(113)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캐비티는 사출품(P)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써, 제1 코어(113)의 배면에 음각 또는 양각 형태로 형성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이 결합하는 경우, 제1 금형(110)에 배치된 제1 코어(113)는 제2 금형(120)에 배치된 제2 코어(121)와 마주할 수 있다.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이 결합하여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가 되는 경우, 제1 코어(113)와 제2 코어(121)는 사출품(P)의 형상이 만들어지는 성형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 코어(113)의 캐비티가 음각으로 형성된 경우, 제2 코어(121)는 양각으로 형성되어 제1 코어(113)와 성형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코어(113)의 캐비티가 양각으로 형성된 경우, 제2 코어(121)는 음각으로 형성되어 제1 코어(113)와 성형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금형(120)은 제2 코어(121), 제2 몰드 베이스(122), 제1 이젝터 플레이트(123), 제2 이젝터 플레이트(124), 스페이스 블록(125) 및 제2 클램핑 플레이트(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금형(120)은 제2 코어(121) - 제2 몰드 베이스(122) - 제1 이젝터 플레이트(123) - 제2 이젝터 플레이트(124) - 스페이스 블록(125) - 제2 클램핑 플레이트(126) 순으로 적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몰드 베이스(122)는 제1 금형(110)의 제1 몰드 베이스(112)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몰드 베이스(122)에는 제1 몰드 베이스(112)의 가이드 홀(115)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13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제2 금형(120)이 제1 금형(110)에 대해 이동할 경우, 가이드 핀(130)은 제1 몰드 베이스(112)에 형성된 가이드 홀(115)에 삽입되어 제2 금형(120)이 제1 금형(11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금형(120)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몰드 베이스(122)의 전면(예: 도 2b를 기준으로 + Z 방향을 향하는 면)에는 제2 코어(121)가 안착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어(121)는 제1 몰드 베이스(112)의 배면에 배치된 제1 코어(113)와 대향하도록 제2 몰드 베이스(122)에 형성된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2 코어(121)는 제2 몰드 베이스(1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코어(121)의 전면(예: 도 2b를 기준으로 + Z 방향을 향하는 면)에는 제1 몰드 베이스(112)에 배치된 제1 코어(113)의 캐비티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어(113)의 캐비티가 음각으로 형성된 경우, 제2 코어(121)는 양각으로 형성되어 제1 코어(113)와 성형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코어(113)의 캐비티가 양각으로 형성된 경우, 제2 코어(121)는 음각으로 형성되어 제1 코어(113)와 성형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이 결합하여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가 되는 경우, 제1 코어(113)와 제2 코어(121)가 사출품(P)의 형상이 만들어지는 성형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금형 장치(100)에는 성형부(210)와 인접한 부분에 냉각 유로(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4를 참조하면, 냉각 유로(220)는 제1 금형(110)의 제1 코어(113), 제2 금형(120)의 제2 코어(121) 및 후술할 슬라이드 코어(311, 312)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냉각 벨브(221)를 통해 냉각 유로(220)를 개폐하여 성형부(210)에 충진된 사출품(P)을 냉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몰드 베이스(122)의 하단(예: 도 2b를 기준으로 - Z방향)에는 제1 이젝터 플레이트(12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젝터 플레이트(123)에는 이젝터 핀(ejector pin)(140)과 리턴핀(return pin)(15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젝터 플레이트(123)에는 이젝터 핀(140)과 리턴핀(150)이 통과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젝터 핀(140)과 리턴핀(150)은 제1 이젝터 플레이트(123)에서 제2 몰드 베이스(122)를 향하도록 제1 이젝터 플레이트(123)에 배치될 수 있다. 이젝터 핀(140)과 리턴핀(150)의 일단부는 제1 이젝터 플레이트(123)의 배면(예: 도 2b를 기준으로 - Z 방향을 향하는 면)에 형성된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이젝터 핀(140)과 리턴핀(150)의 타단부는 제1 이젝터 플레이트(123)에서 제2 몰드 베이스(122)를 향하도록 제1 이젝터 플레이트(123)에 형성된 홀을 통과할 수 있다. 이젝터 핀(140)은 완성된 사출품(P)을 금형 장치(100)에서 이탈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출품(P)이 완성된 경우, 금형 장치(100)는 사출품(P)을 추출하기 위해 열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이젝터 플레이트(123)는 금형 장치(100)의 가압 필러(pillar)에 의해 도 2b를 기준으로 + Z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가압 필러는 제2 클램핑 플레이트(126)와 연결된 금형 이동 장치(18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젝터 핀(140)은 제2 코어(121)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코어(121)에는 이젝터 핀(140)이 통과하는 이젝터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젝터 핀(140)은 도 2b를 기준으로 + Z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코어(121)에 형성된 이젝터 홀을 통과하고 제2 코어(121)에 배치된 사출품(P)을 밀어낼 수 있다. 리턴핀(150)은 제2 몰드 베이스(122)에 형성된 리턴홀을 통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 필러는 사출품(P)이 완성된 경우, 이젝터 핀(140)이 완성된 사출품(P)을 금형 장치(100)에서 이탈시키도록 제1 이젝터 플레이트(123)를 도 2b를 기준으로 + Z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리턴핀(150)은 제2 몰드 베이스(122)에 형성된 리턴홀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리턴핀(150)에는 스프링과 같은 제1 탄성 부재(15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51)는 가압 필러가 제1 이젝터 플레이트(123)를 + Z 방향으로 가압하는 과정에서 제1 이젝터 플레이트(123)와 제2 몰드 베이스(122)에 접촉되어 압축될 수 있다. 이젝터 핀(140)은 제2 코어(121)에 배치된 사출품(P)을 밀어낸 후 제1 탄성 부재(151)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이젝터 플레이트(123)의 하단(예: 도 2b를 기준으로 -Z 방향에는 제2 이젝터 플레이트(124)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이젝터 플레이트(124)는 제1 이젝터 플레이트(123)와 볼트와 같은 연결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이젝터 플레이트(124)는 제1 이젝터 플레이트(123)에 배치된 이젝터 핀(140)과 리턴핀(15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젝터 플레이트(123)의 배면에 배치된 이젝터 핀(140)과 리턴핀(150)의 일단부를 제2 이젝터 플레이트(124)가 덮음에 따라 이젝터 핀(140)과 리턴핀(150)은 제1 이젝터 플레이트(123)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금형(120)은 제2 클램핑 플레이트(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클램핑 플레이트(126)는 제2 이젝터 플레이트(124)의 하단(예: 도 2b를 기준으로 - Z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클램핑 플레이트(126)에는 가압 필러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 필러는 제2 클램핑 플레이트(126)를 통과하여 제2 이젝터 플레이트(124)와 접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금형(120)은 서포트 필러(support pillar)(170)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필러(170)는 제2 클램핑 플레이트(126)에 배치되어 제2 이젝터 플레이트(124)와 제1 이젝터 플레이트(123)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여 제2 몰드 베이스(122)와 접촉될 수 있다. 서포트 필러(170)는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용융 수지가 성형부(210)에 사출되는 경우, 사출 압력으로부터 제2 몰드 베이스(122)를 + Z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클램핑 플레이트(126)와 제2 몰드 베이스(122) 사이에는 스페이스 블록(125)이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스 블록(125)은 볼트와 같은 연결 부재를 통해 제2 클램핑 플레이트(126)와 제2 몰드 베이스(122)에 결합될 수 있다. 스페이스 블록(125)은 제2 몰드 베이스(122)와 제2 클램핑 플레이트(126)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몰드 베이스(122)와 제2 클램핑 플레이트(126) 사이에 제1 이젝터 플레이트(123)와 제2 이젝터 플레이트(124)의 결합체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스페이스 블록(125)은 필러는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용융 수지가 성형부(210)에 사출되는 경우, 사출 압력에 의해 제2 몰드 베이스(122)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금형 장치(100)는 복수의 슬라이드 코어(311, 312)(slide core)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제2 금형(12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제2 금형(120)의 제2 몰드 베이스(122)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성형부(210)에서 형성되는 사출품(P)에 대해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도록 제2 몰드 베이스(122)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언더컷(undercut)이 존재하는 사출품(P)을 성형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언더컷'이란 금형 장치(100)의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이 열린 상태에서 이젝터 핀(140)으로 사출품(P)을 밀어내는 것 만으로는 사출품(P)을 꺼내기 어려운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출품(P)에 형성되는 돌출 구조 또는 함볼 구조(홀, 홈)를 의미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제2 금형(12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슬라이드 코어(311)는 성형부(210)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제2 금형(12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슬라이드 코어(312)는 성형부(210)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제2 금형(120)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사출품(P)에 대해 전진하여 사출품(P)에 형성되는 언더컷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성형이 완료된 후, 금형 장치(100)가 열리면,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사출품(P)에 대해 후퇴하고, 이젝터 핀(140)이 사출품(P)을 제2 코어(121)에서 밀어내어 금형 장치(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제1 금형(110)의 제1 코어(113)와 제2 금형(120)의 제2 코어(121)가 결합하여 형성한 성형부(210)의 4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 사이에서 성형부(210)의 일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사출품(P)의 측면과 접촉하는 부분일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사출품(P)의 측면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제2 금형(12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돌출부(313)를 통해 사출품(P)의 일측면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도 3을 기준으로 X 축 방향에 배치된 제1 슬라이드 코어(311)와 도 3을 기준으로 Y 축 방향에 배치된 제2 슬라이드 코어(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코어(311)는 사출품(P)에 대해 X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슬라이드 코어(311)는 사출품(P)에 대해 X 축을 따라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코어(312)는 사출품(P)에 대해 Y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슬라이드 코어(312)는 사출품(P)에 대해 Y 축을 따라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코어(311)와 제2 슬라이드 코어(312)는 서로에 대해 수직하게 제2 금형(1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코어(311)와 제2 슬라이드 코어(312)는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사출품(P)에 대해 전진하여 사출품(P)의 일면에서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사출품(P)의 모서리 4면에서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1 경사홀(315)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311, 312)의 제1 경사홀(315)에는 제1 금형(110)에 결합되어 제2 금형(120)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진 복수의 경사핀(400)이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제2 금형(120)에는 금형 장치(100) 닫힌 상태에서 경사핀(400)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311, 312)에 형성된 제1 경사홀(315)과 제1 금형(110)에 결합된 경사핀(400)은 경사핀(400)이 제1 경사홀(315)에 삽입 시 슬라이드 코어(311, 312)가 사출품(P)에 대해 전진할 수 있도록 경사질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제2 금형(120)이 제1 금형(110)에 대해 도 4를 기준으로 + Z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슬라이드 코어(311, 312)의 제1 경사홀(315)에 경사핀(400)이 삽입되어 사출품(P)에 대해 전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성형부(210)의 일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반대로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금형 장치(100)가 열린 상태가 되도록 제2 금형(120)이 제1 금형(110)에 대해 도 4를 기준으로 - Z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슬라이드 코어(311, 312)의 제1 경사홀(315)에서 경사핀(400)이 이탈되어 사출품(P)에 대해 후퇴할 수 있다. 이후, 이젝터 핀(140)이 사출품(P)을 제2 코어(121)에서 밀어내어, 사출품(P)을 금형 장치(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복수의 가이드 부재(330)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330)는 슬라이드 코어(311, 312)와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금형(120)의 제2 몰드 베이스(122)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330)는 제2 금형(120)이 제1 금형(110)에 대해 이동하여 제1 금형(110)에 결합된 경사핀(400)이 슬라이드 코어(311, 312)에 형성된 제1 경사홀(315)에 삽입 또는 탈거됨에 따라 슬라이드 코어(311, 312)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330)는 제1 슬라이드 코어(311)와 결합되어, 금형 장치(100)의 개폐 시, 도 3을 기준으로 X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 슬라이드 코어(311)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330)는 제2 슬라이드 코어(312)와 결합되어, 금형 장치(100)의 개폐 시, 도 3을 기준으로 Y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 슬라이드 코어(312)를 가이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금형(120)에는 슬라이드 코어(311, 312)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지지 부재(34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340)는 제2 금형(120)의 제2 몰드 베이스(122)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340)는 슬라이드 코어(311, 312)가 일정 거리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코어(311, 312)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어서 지지 부재(340)는 제1 슬라이드 코어(311)의 X 축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으며, 제2 슬라이드 코어(312)의 Y 축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코어(예를 들어, 지지 부재(340)는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성형부(210)에 용융 수지가 삽입 시, 사출 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311, 312)가 사출품(P)에 대해 후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금형(110)의 제1 몰드 베이스(112)에는 복수의 로킹 블록(510)이 배치될 수 있다. 로킹 블록(510)은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슬라이드 코어(311, 312)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로킹 블록(510)에 의해 사출품(P)에 대한 상대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로킹 블록(510)은 슬라이드 코어(311, 312)에 대향하도록 제1 몰드 베이스(112)에 배치될 수 있다.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제2 금형(120)이 제1 금형(110)에 대해 도 4를 기준으로 + Z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로킹 블록(510)은 슬라이드 코어(311, 312)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로킹 블록(510)은 슬라이드 코어(311, 312)와 접촉되어 슬라이드 코어(311, 312)의 제1 경사홀(315)에 삽입되는 경사핀(400)과 함께 슬라이드 코어(311, 312)를 사출품(P)에 대해 전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킹 블록(510)이 슬라이드 코어(311, 312)와 접촉되는 면은 금형 장치(100)가 닫힐 때, 슬라이드 코어(311, 312)가 사출품(P)에 대해 전진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면일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로킹 블록(510)과 접촉되는 면이 로킹 블록(510)과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면일 수 있다. 로킹 블록(510)은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성형부(210)에 용융 수지가 삽입 시, 사출 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311, 312)가 사출품(P)에 대해 후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코어(311, 312)에는 스프링과 같은 제2 탄성 부재(350)가 배치되는 안착부(316)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도 5d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는 슬라이드 코어(311, 312)의 안착부(316)에 배치되어 일단이 제2 금형(120)의 제2 코어(121) 접촉하고 타단이 슬라이드 코어(311, 312)와 접촉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제2 금형(120)의 제2 코어(121)와 슬라이드 코어(311, 312)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금형 장치(100)가 열리는 경우 슬라이드 코어(311, 312)를 사출품(P)에 대해 후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금형 장치(100)가 닫히기 전의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출품(P)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제2 금형(120)의 제2 몰드 베이스(122)에는 복수의 슬라이드 코어(311, 312)가 사출품(P)가 형성되는 성형부(2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슬라이드 코어(311)와 제2 슬라이드 코어(312)는 서로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어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사출품(P)의 일면에서 접촉될 수 있다.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성형부(210)에 용융 수지가 삽입되는 경우, 사출 압력에 의해 성형부(210)를 형성하는 부품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성형부(210)의 일측면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사출 압력에 의해 성형부에 대해 후퇴하는 등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사출 압력에 의해 제1 슬라이드 코어(311)와 제2 슬라이드 코어(312)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제1 슬라이드 코어(311)와 제2 슬라이드 코어(312)가 접촉하는 부분인 사출품(P)의 일면에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차를 줄이기 위해 슬라이드 코어(311, 312)를 사출품(P)에 대해 이동시켜야 한다. 슬라이드 코어(311, 312)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로킹 블록(510)의 위치를 조정해야 한다. 종래에는 로킹 블록(510)의 위치를 개별적으로 조정해야함에 따라 사출품(P)의 4면에 발생하는 단차를 동시에 만족할 수 없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서, 로킹 블록(51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슬라이드 코어(311, 312)를 사출품(P)에 대해 이동시켜 단차를 조정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한다.
도 5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로킹 블록(510)(locking block)에 위치 조정 유닛(520)이 결합된 위치 조정 부재(5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슬라이드 코어(311)의 사시도이다. 도 5c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슬라이드 코어(311)의 제1 부분(311a)과 제2 부분(311b)에 위치 조정 부재(500)가 각각 배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d는, 도 5c에 도시된 B-B 선을 따라 절개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금형 장치(100)는 슬라이드 코어(311, 312)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조정 부재(500)는 로킹 블록(510) 및 위치 조정 유닛(520)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조정 부재(500)는 금형 장치(100)에 복수 개 마련되어 금형 장치(100)가 닫혀 슬라이드 코어(311, 312)가 사출품(P)에 대해 전진한 상태에서 제1 슬라이드 코어(311) 및 제2 슬라이드 코어(312)에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조정 부재(500)는 후술할 제1 슬라이드 코어(311)의 제1 부분(311a)과 제2 부분(311b)에 각각 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 조정 부재(500)가 제1 슬라이드 코어(311)의 제1 부분(311a)과 제2 부분(311b)에 각각 밀착되고 제2 슬라이드 코어(312)에 밀착되는 구성은 로킹 블록(51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 조정 부재(500)는 제1 금형(110)의 제1 몰드 베이스(112)에 배치될 수 있다. 위치 조정 부재(500)는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제2 금형(120)에 배치된 제1 슬라이드 코어(311)의 제1 부분(311a)과 제2 부분(311b) 및 제2 슬라이드 코어(312)에 밀착되도록 제1 슬라이드 코어(311) 및 제2 슬라이드 코어(312)에 각각 대향하도록 제1 금형(110)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치 조정 부재(500)의 위치 조정 유닛(520)은 보조 블록(521) 및 보조 블록(521)과 결합되는 고정 유닛(522)을 포함할 수 있다. 로킹 블록(510)은 위치 조정 유닛(520)이 도 5a를 기준으로 Z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블록(521)은 로킹 블록(510)에 형성된 가이드부(511)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유닛(522)은 보조 블록(521)에 대해 도 5a를 기준으로 - Z 방향에 배치되어 보조 블록(521)과 결합될 수 있다. 로킹 블록(510)에는 보조 블록(521)에 대해 - Z 방향에 배치되는 고정 유닛(522)의 일부가 배치되는 홈(521-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유닛(522)의 일단부(522a)는 보조 블록(521)에 형성된 홈(521-1)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킹 블록(510)에는 고정 유닛(522)이 도 5a에 도시된 Z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나사선을 포함할 수 있다. 로킹 블록(510)에 형성된 나사선은 로킹 블록(510)에 형성된 가이드부(511)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고정 유닛(522)의 타단부(522b)를 조작함에 따라 고정 유닛(522)은 나사선을 통해 도 5a에 도시된 Z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조 블록(521)은 고정 유닛(522)의 Z 축 방향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Z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유닛(522)이 도 5a를 기준으로 + Z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보조 블록(521)은 고정 유닛(522)의 일단부(522a)에 의해 지지되어 도 5a를 기준으로 +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블록(521)은 적어도 일부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면(5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조 블록(521)의 제1 경사면(530)은 도 4에 도시된 Z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θ)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위치 조정 부재(500)가 안착되는 제1 몰드 베이스(112)에는 보조 블록(521)의 제1 경사면(530)과 대응되게 형성된 제2 경사면(531)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블록(521)은 보조 블록(521)의 제1 경사면(530)이 제1 몰드 베이스(112)에 형성된 제2 경사면(531)에 접촉되도록 제1 몰드 베이스(112)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블록(521)은 고정 유닛(522)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조정 유닛(520)의 보조 블록(521)은 고정 유닛(522)이 도 4를 기준으로 Z 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고정 유닛(522)과 함께 Z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고정 유닛(522)의 타단부(522b)를 조작함에 따라 고정 유닛(522)이 도 4를 기준으로 + Z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보조 블록(521)은 고정 유닛(522)의 일단부(522a)에 의해 지지되어 도 4를 기준으로 +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조 블록(521)은 보조 블록(521)의 제1 경사면(530)과 접촉되는 제1 몰드 베이스(112)에 형성된 제2 경사면(531)을 따라 제1 몰드 베이스(112)에 대해 +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조 블록(521)이 제2 경사면(531)을 따라서 이동함에 따라 보조 블록(521)과 연결된 로킹 블록(510)은 사출품(P)에 대해 미세하게 전진할 수 있다. 로킹 블록(510)이 사출품(P)에 대해 전진함에 따라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로킹 블록(510)과 밀착되는 제1 슬라이드 코어(311)는 로킹 블록(510)의 이동에 미세하게 사출품(P)에 대해 전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고정 유닛(522)의 타단부(522b)를 조작함에 따라 고정 유닛(522)이 도 4를 기준으로 - Z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보조 블록(521)은 고정 유닛(522)의 일단부(522a)와 접촉되어 -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조 블록(521)은 보조 블록(521)의 제1 경사면(530)과 접촉되는 제1 몰드 베이스(112)에 형성된 제2 경사면(531)을 따라 -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조 블록(521)이 제2 경사면을 따라서 이동함에 따라 보조 블록(521)과 연결된 로킹 블록(510)은 사출품(P)에 대해 미세하게 후퇴할 수 있다. 로킹 블록(510)이 사출품(P)에 대해 후퇴함에 따라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로킹 블록(510)과 밀착되는 제1 슬라이드 코어(311)는 로킹 블록(510)의 이동에 대응하여 사출품(P)에 대해 후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위치 조정 부재(500)을 이용한 제1 슬라이드 코어(311)의 위치 조정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제2 슬라이드 코어(312)도 제1 슬라이드 코어(311)의 위치 조정 방법과 같은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코어(312)는 상술한 위치 조정 부재(500)의 위치 조정 유닛(520)에 포함된 고정 유닛(552)의 타단부(522b)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로킹 블록(510)을 미세하게 도 3을 기준으로 Y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슬라이드 코어(312)는 미세하게 Y 축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단부(522b)를 조작함에 따라 고정 유닛(522)이 도 4를 기준으로 + Z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보조 블록(521)은 고정 유닛(522)의 일단부(522a)에 의해 지지되어 도 4를 기준으로 +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조 블록(521)은 보조 블록(521)의 제1 경사면(530)과 접촉되는 제1 몰드 베이스(112)에 형성된 제2 경사면(531)을 따라 제1 몰드 베이스(112)에 대해 +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조 블록(521)이 제2 경사면(531)을 따라서 이동함에 따라 보조 블록(521)과 연결된 로킹 블록(510)은 사출품(P)에 대해 미세하게 전진할 수 있다. 로킹 블록(510)이 사출품(P)에 대해 전진함에 따라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로킹 블록(510)과 밀착되는 제2 슬라이드 코어(312)는 로킹 블록(510)의 이동에 대응하여 미세하게 사출품(P)에 대해 전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타단부(522b)를 조작함에 따라 고정 유닛(522)이 도 4를 기준으로 - Z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보조 블록(521)은 고정 유닛(522)의 일단부(522a)에 의해 지지되어 도 4를 기준으로 -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조 블록(521)은 보조 블록(521)의 제1 경사면(530)과 접촉되는 제1 몰드 베이스(112)에 형성된 제2 경사면(531)을 따라 제1 몰드 베이스(112)에 대해 -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조 블록(521)이 제2 경사면(531)을 따라서 이동함에 따라 보조 블록(521)과 연결된 로킹 블록(510)은 사출품(P)에 대해 미세하게 후퇴할 수 있다. 로킹 블록(510)이 사출품(P)에 대해 후퇴함에 따라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로킹 블록(510)과 밀착되는 제2 슬라이드 코어(312)는 로킹 블록(510)의 이동에 대응하여 사출품(P)에 대해 미세하게 후퇴할 수 있다.
위치 조정 부재(500)의 고정 유닛(522)은 보조 블록(521)에 대해 도 4를 기준으로 - Z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유닛(522)은 보조 블록(521)에 대해 X 축 방향 또는 Y 축 방향에 배치되는 경우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 Z 방향에 배치되는 경우 구조적으로 안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성형부(210)에 용융된 수지가 충진되는 경우, 사출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위치 조정 부재(500)는 사출 압력에 의해 금형 장치(100)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수직 응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위치 조정 부재(500)에는 사출 압력에 의한 수직 응력이 도 4를 기준으로 X 축 방향과 Y 축 방향으로 인가될 수 있다. 한편, 고정 유닛(522)과 연결된 보조 블록(521)은 일면에 소정 각도(θ)로 경사진 제1 경사면(530)이 존재하고 제1 경사면(530)은 제1 몰드 베이스(112)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사출 압력에 의한 수직 응력은 제1 경사면(530)을 따라 전단 응력으로 분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출 압력의 일부에 해당하는 전단 응력이 고정 유닛(522)에 인가될 수 있다. 반면, 고정 유닛(522)이 보조 블록(521)에 대해 도 4를 기준으로 X 축 방향 또는 Y 축 방향에 배치되는 경우, 고정 유닛(522)에는 사출 압력에 해당하는 수직 응력이 그대로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유닛(522)은 보조 블록(521)에 대해 도 4를 기준으로 +X 방향 또는 - X 방향에 배치되는 경우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 Z 방향에 배치되는 경우, 구조적으로 안정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조정 부재(500)에 보조 블록(521)이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위치 조정 부재(500)의 로킹 블록(51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유닛(522)이 보조 블록(521)이 아닌 도 4를 기준으로 X 축 방향으로 로킹 블록(510)에 결합되는 경우, 로킹 블록(510)은 고정 유닛(522)이 X 축 방향으로 이동한만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유닛(522)를 이용하여 로킹 블록(51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면, 본 발명과 같이, 고정 유닛(522)이 보조 블록(511)에 대해 - Z 방향에 위치하여 보조 블록(521)에 결합되는 경우, 보조 블록(521)은 고정 유닛(522)의 Z 축 방향으로 이동에 대응하여 제1 몰드 베이스(112)에 형성된 제2 경사면(531)을 따라 Z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블록(511)과 연결된 로킹 블록(510)은 제2 경사면(531)의 경사 각도에 의해 미세하게 사출품(P)에 대해 전진하거나 후퇴할 수 있다. 따라서,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가 될 경우, 제1 슬라이드 코어(311)는 미세하게 X 축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으며, 제2 슬라이드 코어(312)는 미세하게 Y 축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조정 부재(500)는 제1 금형(1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a를 참조하면, 위치 조정 부재(500)의 로킹 블록(510)은 볼트와 같은 고정 부재를 통해 제1 금형(110)의 제1 몰드 베이스(112)에 결합될 수 있다. 로킹 블록(510)에는 고정 부재가 통과하는 고정홀(513)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513)은 로킹 블록(510)이 보조 블록(521)의 Z 축 방향의 이동에 대응하여 사출품(P)에 대해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도록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슬라이드 코어(311)는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위치 조정 부재(500)가 각각 밀착되는 제1 부분(311a)과 제2 부분(3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코어(311)는 제1 부분(311a)과 제2 부분(311b) 사이에 개구(opening)(3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코어(311)는 개구(314)에 의해 제1 부분(311a)과 제2 부분(311b)이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슬라이드 코어(311)는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슬라이드 코어(311)는 금형용 합금강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코어(311)의 제1 부분(311a)과 제2 부분(311b)은 탄성 소재의 특성상 사출품(P)에 대해 개별적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c를 참조하면, 제1 슬라이드 코어(311)의 제1 부분(311a)은 위치 조정 부재(500)의 위치 조정 유닛(520)이 도 4를 기준으로 Z 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로킹 블록(510)이 도 5c를 기준으로 X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부분(311a)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드 코어(311)의 제2 부분(311b)은 위치 조정 부재(500)의 위치 조정 유닛(520)이 도 4를 기준으로 Z 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로킹 블록(510)이 도 5c를 기준으로 X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부분(311b)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4,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면, 위치 조정 부재(500)의 로킹 블록(510)은 제1 금형(110)에 결합된 경사핀(400)이 통과하는 제2 경사홀(512)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조정 부재(500)는 로킹 블록(510)에 형성된 제2 경사홀(512)이 제1 금형(110)에 결합된 경사핀(400)을 통과하도록 제1 금형(110)의 제1 몰드 베이스(112)에 결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가 되는 경우, 제1 금형(110)에 결합된 경사핀(400)은 제2 금형(120)의 제2 몰드 베이스(122)에 배치된 슬라이드 코어(311, 312)의 제1 경사홀(315)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슬라이드 코어(311, 312)는 사출품(P)에 대해 전진할 수 있다. 또한, 로킹 블록(510)은 경사진 면을 통해 슬라이드 코어(311, 312)와 접촉됨에 따라 슬라이드 코어(311, 312)가 사출품(P)에 대해 전진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코어(311, 312)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슬라이드 코어(311)는 제1 슬라이드 코어(311)에 형성된 개구(314)를 기준으로 제1 부분(311a)과 제2 부분(311b)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코어(311)는 탄성 소재로 형성됨에 따라 제1 부분(311a)과 제2 부분(311b)이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코어(311)는 제1 슬라이드 코어(311)의 제1 부분(311a)과 제2 부분(311b)에 각각 배치된 위치 조정 부재(500)를 통해 사출품(P)에 대한 상대 위치가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조정 부재(500)의 고정 유닛(522)은 보조 블록(521)과 연결되어 보조 블록(521)을 도 4를 기준으로 Z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블록(521)과 연결된 로킹 블록(510)은 사출품(P)에 대해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다. 금형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제1 슬라이드 코어(311)의 제1 부분(311a)과 제2 부분(311b)에 각각 밀착되는 로킹 블록(510)의 위치가 각각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형 장치(100)이 닫힌 상태에서, 복수의 로킹 블록(510)과 각각 밀착되는 제1 슬라이드 코어(311)의 제1 부분(311a)와 제2 부분(311b)의 사출품(P)에 대한 상대 위치는 각각 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슬라이드 코어(311)의 재1 부분은 제2 부분(311b)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출품(P)에 근접하도록 위치 조정 부재(500)에 의해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슬라이드 코어(311)의 제2 부분(311b)은 제1 부분(311a)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출품(P)에 근접하도록 위치 조정 부재(500)에 의해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코어(312)의 사출품(P)에 대한 상대 위치도 같은 방식으로 위치 조정 부재(500)를 통해 조정될 수 있다.
사출 압력에 의해 제1 슬라이드 코어(311)와 제2 슬라이드 코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변경되어 사출품(P)의 일면에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위치 조정 부재(500)를 통해 제1 슬라이드 코어(311)와 제2 슬라이드 코어(312)의 사출품(P)에 대한 상대 위치 개별적으로 조정하여 사출품(P)에 발생하는 단차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출품(P)에 단차가 발생한 경우, 위치 조정 부재(500)의 고정 유닛(522)을 조정하여 제1 슬라이드 코어(311) 또는 제2 슬라이드 코어(31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반복 시험을 통해 단차가 발생하지 않는 슬라이드 코어(311, 312)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드 코어(311)의 제1 부분(311a)과 제2 슬라이드 코어(312)가 접촉되는 사출품(P) 일면에 발생하는 단차와 제1 슬라이드 코어(311)의 제2 부분(311b)과 제2 슬라이드 코어(312)가 접촉되는 사출품(P) 일면에 발생하는 단차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슬라이드 코어(311)는 탄성 부재로 형성됨에 따라 제1 슬라이드 코어(311)의 제1 부분(311a)과 제2 부분(311b)은 위치 조정 부재(500)를 통해 개별적으로 사출품(P)에 대한 상대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출품(P)에 발생하는 단차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금형 장치(100)는 사출금형 장치(100)임을 전제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사출금형은 금형 내에 형성된 성형부(210)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성형부(210)에 대응하는 형태의 사출품(P)을 제조하는 장치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금형 장치(100)가 사출금형에 한정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금형 장치(100)는 사출 금형 이외에도 다이캐스팅(die casting) 장치 등 슬라이드 코어(311, 312)가 사용되는 다양한 금형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100)는, 제1 축 방향(예: 도 3을 기준으로 Z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위치 조정 유닛(520) 및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부(511)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축 방향에 수직한 제2 축 방향(예: 도 3을 기준으로 X 축 방향 또는 Y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로킹 블록(locking block)(510)을 포함하는 위치 조정 부재(500), 사출품(P)에 대해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탄성 소재로 형성된 슬라이드 코어(311)(예: 도 3의 제1 슬라이드 코어(311))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정 부재는,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사출품에 대해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제1 부분(311a)과 제2 부분(311b)에 각각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정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사출품의 일면과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된 제1 코어(113)를 포함하는 제1 금형(110) 및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배치되고, 상기 사출품의 타면과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된 제2 코어(121)를 포함하는 제2 금형(1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의 제1 코어와 상기 제2 금형의 제2 코어는,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하여 상기 사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성형부(21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사출품에 홈을 형성하는 돌출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정 부재의 위치 조정 유닛은, 상기 위치 조정 부재의 로킹 블록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보조 블록(521) 및 상기 보조 블록에 대해 상기 제1 축과 평행한 제1 방향(예: 도 4를 기준으로 - Z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 블록과 결합되는 고정 유닛(5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정 부재의 로킹 블록은, 상기 보조 블록과 결합된 고정 유닛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나사선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블록은, 상기 고정 유닛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로킹 블록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블록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축에 대해 소정 각도(θ)로 경사진 제1 경사면(5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보조 블록의 제1 경사면과 대응되는 제2 경사면(531)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블록의 제1 경사면과 상기 제1 금형의 제2 경사면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제1 부분은,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제1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위치 조정 부재의 위치 조정 유닛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로킹 블록이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사출품에 대한 위치가 조정되고,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제2 부분은,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제2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위치 조정 부재의 위치 조정 유닛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로킹 블록이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사출품에 대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에 각각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홀(315)(예: 도 5a의 제1 경사홀(31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에 각각 형성된 상기 경사홀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경사핀(400)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경사핀이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상기 경사홀에 각각 삽입 시, 상기 사출품에 대해 전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형성된 개구(opening)(3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코어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금형 장치(100)는, 제1 축 방향(예: 도 3을 기준으로 Z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위치 조정 유닛(520) 및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부(511)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축 방향에 수직한 제2 축 방향(예: 도 3을 기준으로 X 축 방향) 또는 상기 제2 축 방향에 수직한 제3 축 방향(예: 도 3을 기준으로 Y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로킹 블록(510)을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조정 부재(500), 사출품(P)에 대해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사출품에 대해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위치 조정 부재 중 두 개의 위치 조정 부재가 각각 밀착되는 제1 부분(311a) 및 제2 부분(311b)을 포함하고, 탄성 소재로 형성된 제1 슬라이드 코어(311), 상기 사출품에 대해 상기 제3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사출품에 대해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위치 조정 부재 중 하나와 밀착되는 제2 슬라이드 코어(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제2 슬라이드 코어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사출품에 대해 전진한 상태에서 상호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정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사출품의 일면과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된 제1 코어(113)를 포함하는 제1 금형(110), 상기 제1 슬라이드 코어 및 상기 제2 슬라이드 코어가 배치되고, 상기 사출품의 타면과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된 제2 코어(121)를 포함하는 제2 금형(1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의 제1 코어와 상기 제2 금형의 제2 코어는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하여 상기 사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성형부(21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슬라이드 코어 및 제2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사출품에 홈을 형성하는 돌출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정 부재의 위치 조정 유닛(520)은, 상기 위치 조정 부재의 로킹 블록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보조 블록(521) 및 상기 보조 블록에 대해 상기 제1 축과 평행한 제1 방향(예: 도 4를 기준으로 - Z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 블록과 결합되는 고정 유닛(5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정 부재의 로킹 블록은, 상기 보조 블록과 결합된 고정 유닛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나사선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블록은, 상기 고정 유닛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로킹 블록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블록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축에 대해 소정 각도(θ)로 경사진 제1 경사면(5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보조 블록의 제1 경사면과 대응되는 제2 경사면(531)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블록의 제1 경사면과 상기 제1 금형의 제2 경사면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제1 슬라이드 코어에 위치하는 상기 위치 조정 부재의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로킹 블록이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사출품에 대한 위치가 조정되고, 상기 제2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제2 슬라이드 코어에 위치하는 상기 위치 조정 부재의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로킹 블록이 상기 제3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사출품에 대한 위치가 조정되고, 상기 제1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제2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위치 조정 부재를 통해 상기 사출품에 대한 위치가 조정됨에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제2 슬라이드 코어가 접촉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사출품의 단차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에 형성된 개구(3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슬라이드 코어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부재(예: 도 5c의 가이드 부재(330)), 상기 제2 슬라이드 코어와 결합되고, 상기 제2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제3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2 가이드 부재(예: 도 5c의 가이드 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금형 장치 110 : 제1 금형
120 : 제2 금형 210 : 성형부
311: 제1 슬라이드 코어 312 : 제2 슬라이드 코어
400 : 경사핀 500 : 위치 조정 부재
510 : 로킹 블록 520 : 위치 조정 유닛

Claims (20)

  1. 금형 장치에 있어서,
    제1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위치 조정 유닛 및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축 방향에 수직한 제2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로킹 블록(locking block)을 포함하는 위치 조정 부재; 및
    사출품에 대해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탄성 소재로 형성된 슬라이드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정 부재는,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사출품에 대해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에 각각 밀착되는 금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사출품의 일면과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된 제1 코어를 포함하는 제1 금형; 및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배치되고, 상기 사출품의 타면과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된 제2 코어를 포함하는 제2 금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의 제1 코어와 상기 제2 금형의 제2 코어는,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하여 상기 사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성형부를 구성하는 금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사출품에 홈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금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 부재의 위치 조정 유닛은,
    상기 위치 조정 부재의 로킹 블록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보조 블록 및 상기 보조 블록에 대해 상기 제1 축과 평행한 제1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 블록과 결합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금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 부재의 로킹 블록은,
    상기 보조 블록과 결합된 고정 유닛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나사선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블록은,
    상기 고정 유닛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로킹 블록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금형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블록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1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보조 블록의 제1 경사면과 대응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블록의 제1 경사면과 상기 제1 금형의 제2 경사면은 접촉하는 금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제1 부분은,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제1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위치 조정 부재의 위치 조정 유닛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로킹 블록이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사출품에 대한 위치가 조정되고,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제2 부분은,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제2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위치 조정 부재의 위치 조정 유닛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로킹 블록이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사출품에 대한 위치가 조정되는 금형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에 각각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홀을 포함하는 금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에 각각 형성된 상기 경사홀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경사핀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경사핀이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상기 경사홀에 각각 삽입 시, 상기 사출품에 대해 전진하는 금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형성된 개구(opening)를 포함하는 금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금형 장치.
  12. 금형 장치에 있어서,
    제1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위치 조정 유닛 및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축 방향에 수직한 제2 축 방향 또는 상기 제2 축 방향에 수직한 제3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로킹 블록을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조정 부재;
    사출품에 대해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사출품에 대해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위치 조정 부재 중 두 개의 위치 조정 부재가 각각 밀착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탄성 소재로 형성된 제1 슬라이드 코어; 및
    상기 사출품에 대해 상기 제3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사출품에 대해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위치 조정 부재 중 하나와 밀착되는 제2 슬라이드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제2 슬라이드 코어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사출품에 대해 전진한 상태에서 상호 접촉되는 금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사출품의 일면과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된 제1 코어를 포함하는 제1 금형; 및
    상기 제1 슬라이드 코어 및 상기 제2 슬라이드 코어가 배치되고, 상기 사출품의 타면과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된 제2 코어를 포함하는 제2 금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의 제1 코어와 상기 제2 금형의 제2 코어는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하여 상기 사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성형부를 구성하는 금형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코어 및 상기 제2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사출품에 홈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금형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 부재의 위치 조정 유닛은,
    상기 위치 조정 부재의 로킹 블록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에 배치되는 보조 블록 및 상기 보조 블록에 대해 상기 제1 축과 평행한 제1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 블록과 결합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금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 부재의 로킹 블록은,
    상기 보조 블록과 결합된 고정 유닛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나사선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블록은,
    상기 고정 유닛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로킹 블록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금형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블록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축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1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보조 블록의 제1 경사면과 대응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블록의 제1 경사면과 상기 제1 금형의 제2 경사면은 접촉하는 금형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제1 슬라이드 코어에 위치하는 상기 위치 조정 부재의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로킹 블록이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사출품에 대한 위치가 조정되고,
    상기 제2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제2 슬라이드 코어에 위치하는 상기 위치 조정 부재의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로킹 블록이 상기 제3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사출품에 대한 위치가 조정되고,
    상기 제1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제2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위치 조정 부재를 통해 상기 사출품에 대한 위치가 조정됨에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제2 슬라이드 코어가 접촉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사출품의 단차가 줄어드는 금형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에 형성된 개구(opening)를 포함하는 금형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코어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슬라이드 코어와 결합되고, 상기 제2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제3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2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금형 장치.
KR1020210124353A 2021-09-16 2021-09-16 플랙서블 슬라이드 코어를 포함하는 금형 장치 KR202300408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353A KR20230040805A (ko) 2021-09-16 2021-09-16 플랙서블 슬라이드 코어를 포함하는 금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353A KR20230040805A (ko) 2021-09-16 2021-09-16 플랙서블 슬라이드 코어를 포함하는 금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805A true KR20230040805A (ko) 2023-03-23

Family

ID=85799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353A KR20230040805A (ko) 2021-09-16 2021-09-16 플랙서블 슬라이드 코어를 포함하는 금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08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29147A1 (en) Convertible injection mold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CN110774534A (zh) 底切处理机构以及成型用模具
JP4273401B2 (ja) 射出成形用金型
JP4659286B2 (ja) 円筒成形品の射出成形型および射出成形方法
JPH10264217A (ja) 樹脂成形用金型装置
KR20230040805A (ko) 플랙서블 슬라이드 코어를 포함하는 금형 장치
JP3225897U (ja) 樹脂成形品の射出成形用金型
JP2006027229A (ja) 成形装置
KR20050017224A (ko) 플라스틱 사출 금형 장치의 제품 취출 구조
JP2003053794A (ja) 射出成形金型のロック機構
JP2003245955A (ja) 射出成形金型
JP2000210989A (ja) レンズ用成形金型
KR20190044035A (ko) 성형품의 변형 방지를 위한 상측 이젝팅 구조를 갖는 다이캐스팅 금형
JP2998529B2 (ja) 樹脂成形装置
JP3208758B2 (ja) 射出圧縮成形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用いる射出圧縮成形用金型装置
JP6077154B1 (ja) 樹脂成型品、成形装置、成形方法及び金型
JP2003053784A (ja) 射出成形方法および射出成形用金型装置
JP2002052569A (ja) 微細な長孔を有する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JPH09193198A (ja) 射出成形金型装置
JP3215949B2 (ja) 微細な長孔を有する射出成形品の製造装置
KR20190111246A (ko) 발포 사출 성형장치 및 방법
JP7260931B2 (ja)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及び成形用金型
JP2002178371A (ja) 射出成形金型
JPH0671702A (ja) 樹脂成形用金型のエジェクト装置
JP2003181811A (ja) 金型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