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1527A - 주편, 더미바 및 주조 방법 - Google Patents

주편, 더미바 및 주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527A
KR20230031527A KR1020210113864A KR20210113864A KR20230031527A KR 20230031527 A KR20230031527 A KR 20230031527A KR 1020210113864 A KR1020210113864 A KR 1020210113864A KR 20210113864 A KR20210113864 A KR 20210113864A KR 20230031527 A KR20230031527 A KR 20230031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 steel
initial
width direction
mold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일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10113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1527A/ko
Publication of KR20230031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43Curved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09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of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I-beams, U-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into moulds having adjustab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1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a single casting wheel, e.g. for casting amorphous metal strips or wires
    • B22D11/0617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a single casting wheel, e.g. for casting amorphous metal strips or wires the casting wheel having its axis vertical and a casting strip formed in a peripheral groove of th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48Casting surfaces
    • B22D11/0651Casting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 및 두께가 오차범위 내에서 일정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폭방향의 길이가 두께방향의 길이보다 큰 정상주편부와, 정상주편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초기주편부를 포함하고, 초기주편부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주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두께방향으로 굽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바디부와, 폭방향의 길이가 두께방향의 길이보다 큰 상부면을 구비하고, 바디부에 연결되는 헤드부와, 헤드부의 상부면의 폭방향의 양측에 경사 혹은 복수개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도록, 헤드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헤드부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더미바,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으로서, 주조 초기에 초기주편부의 벤딩 시, 장치에 가해지는 부하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주편, 더미바 및 주조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주편, 더미바 및 주조 방법{SLAB, DUMMY BAR AND CASTING METHOD}
본 발명은 주편, 더미바 및 주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조 초기에 장치에 가해지는 부하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주편, 더미바 및 주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조 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주편을 주조하는 설비이다. 주조 장치는 정련된 용강을 공급받아서 주편 형상으로 응고시키며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주형과, 주형으로부터 배출되는 주편을 주조방향으로 인발하면서 냉각 및 압하하는 냉각대와, 용강보다 먼저 주형에 삽입되어 주형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주형으로 용강이 주입되어 초기주편부가 형성되면 초기주편부를 주조방향으로 당기며 초기주편부와 정상주편부의 인발을 안내하는 더미바를 포함한다.
한편, 초기주편부가 주형의 내부에서 적절하게 응고되지 않으면, 초기주편부를 더미바로 당길 때 초기주편부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로부터 초기주편부와 더미바의 결합이 해제되어 서로 분리될 수 있고, 주조가 중단될 수 있다.
따라서, 더미바로 초기주편부를 당기기 전에, 주형의 내부에서 초기주편부를 적절하게 응고시켜야 한다. 하지만 초기주편부를 적절하게 응고시키도록 주조 조건을 제어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초기주편부와 더미바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초기주편부를 적절하게 응고시키는 중에, 초기주편부가 과도하게 응고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주형의 내부에서 초기주편부가 과도하게 응고되면 냉각대의 굽힘구간에서 초기주편부가 원활하게 구부러지지 않는다. 즉, 초기주편부가 원활하게 굽힘 변형되지 않는다. 이때, 초기주편부의 굽힘 변형이 힘들거나 지연되는 동안 오히려 굽힘구간의 롤러가 영구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초기주편부가 원활하게 굽힘 변형되지 않으면 주편이 인발되는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이로부터 주형 내의 용강 탕면이 넘치는 등의 조업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하기의 특허문헌에 게재되어 있다.
KR 10-2020-0143915 A KR 10-2018-0087360 A
본 발명은 주조 초기에 장치에 가해지는 부하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주편, 더미바 및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주편은, 주형에 주입되는 용융물을 더미바로 인발하여 주조되는 주편으로서, 폭 및 두께가 오차범위 내에서 일정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폭방향의 길이가 두께방향의 길이보다 큰 정상주편부; 상기 정상주편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초기주편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주편부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한다.
상기 초기주편부는 폭방향 양측면, 두께방향 양측면, 상기 폭방향 양측면과 상기 두께방향 양측면을 연결하는 전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면은 상기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면은 폭방향의 중심영역과 상기 중심영역의 양측의 가장자리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가장자리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더미바는, 주형으로부터 주편을 인발하는 더미바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두께방향으로 굽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바디부; 폭방향의 길이가 두께방향의 길이보다 큰 상부면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의 폭방향의 양측에 경사 혹은 복수개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헤드부의 양측 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각각이 장착된 헤드부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단계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각각이 장착된 헤드부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폭방향의 길이가 오차범위 내에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각각이 장착된 헤드부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방향의 길이가 작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각각이 장착된 헤드부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방향의 길이가 클 수 있다.
상기 패드는 폭방향의 길이가 20mm 내지 80mm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복수개의 패드를 폭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양측 측면에 상기 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설치홈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패드 각각은, 상기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 및 상기 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설치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방법은, 폭방향의 길이가 두께방향의 길이보다 큰 주편을 주조하는 주조 방법으로서, 상부와 하부가 주조방향으로 개방된 주형의 하부에 바닥면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주형의 내부에 용융물을 주입하여 상기 주편으로 응고시키는 과정; 상기 바닥면을 주조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주편을 인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주편으로 응고시키는 과정은, 주조방향으로 상기 주편의 초기주편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주편의 하면의 일부 영역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주편의 하면의 일부 영역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바닥면의 형상을 이용하여, 폭방향으로 상기 주편의 하면의 양측의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경사면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편을 인발하는 과정은, 상기 초기주편부와 상기 초기주편부를 제외한 정상주편부를 상기 주편의 인발경로의 수직구간, 변곡구간 및 만곡구간 순서로 통과시키며 복수개의 롤러와 접촉시켜 두께방향으로 굽힘 변형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이 주조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변곡구간에 배치된 복수개의 롤러가 주조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롤러와 접촉시켜 두께방향으로 굽힘 변형시키는 과정은, 상기 초기주편부와 접촉하는 롤러에 제공되는 압하력을 상기 초기주편부의 단부에 집중시켜 압력을 증가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폭이 두께보다 큰 주편을 주조할 때, 주조방향의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초기주편부를 주조할 수 있다. 이로부터 초기주편부와 접촉하는 롤러의 강도 및 해당 롤러로부터 초기주편부로 가해지는 압하력을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초기주편부를 주조방향으로 인발하면서 두께방향으로 원활하게 구부릴 수 있다.
이에, 초기주편부의 굽힘 변형이 원활히 수행되므로, 굽힘 변형의 어려움에 따라 야기되는 주조 속도 저하, 롤러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초기주편부 및 후속하는 정상주편부를 주조방향으로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초기주편부가 쉽게 굽힘 변형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주편 정체 및 롤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부터 주편 정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주형 내 용강 탕면 불안정을 방지할 수 있고, 롤러 손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정상주편부의 표면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편의 초기주편부 및 정상주편부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장치 및 더미바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더미바로 주형의 바닥면을 형성한 후 주형 내에서 초기주편부를 주조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미바를 이동시키며 주편을 인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미바의 일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미바가 주형에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더미바가 주형에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편, 더미바 및 주조 방법은 주조 초기에 주편의 초기주편부를 굽힘 변형시킬 때 초기주편부에 의하여 주조 장치에 가해지는 부하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편, 더미바 및 주조 방법은 정련된 용강으로부터 주편을 연속하여 주조하는 주조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편은 제철소의 주조 장치에서 주조된 주편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미바 및 주조 방법은 각종 처리물을 더미바로 인발하는 장치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편의 초기주편부 및 정상주편부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편(10)을 설명한다.
먼저, 용융물을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주편(10)은 용융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용융물은 용강을 포함할 수 있다. 용융물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주형(300)에 주입되어 주편(10)으로 응고될 수 있다. 또한, 주편(10)은 주형(30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속적으로 배출되어 인발경로를 따라 인발되면서 압하 및 냉각될 수 있다. 이때, 주편(10)은 인발경로(R)를 따라 인발되는 중에, 주형(30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곡률이 증가하는 변곡구간(R2)을 통과하며 소정의 곡률로 굽힘 변형될 수 있고, 곡률이 일정한 만곡구간(R3)을 통과하며 곡률을 유지하다가, 이어서, 주형(30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곡률이 감소하는 교정구간을 통과하며 교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인발경로(R)의 상술한 구간들은 이하에서 다시 설명한다(도 4 참조).
한편, 오차범위는 주편(10)의 압하에 의한 폭 및 두께의 변화를 반영한 소정의 오차범위일 수 있다.
초기주편부(11)는 주형의 내부에서 가장 먼저 주조되는 주편(10)의 일부분일 수 있다(도 3 참조). 정상주편부(12)는 초기주편부(11)가 주형을 빠져나간 이후에 주형의 내부에서 주조되는 주편(10)의 나머지 부분일 수 있다(도 4 참조).
초기주편부(11)는 정상주편부(12)에 비하여 온도가 낮을 수 있고, 강도가 클 수 있다. 따라서, 초기주편부(11)는 정상주편부(12)에 비해 굽힘 변형시키기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주형 내에서 주편(11)을 냉각시킬 때, 정상주편부(12)가 주형에 의해 냉각되는 것에 비하여, 초기주편부(11)는 더미바에 의해서도 냉각되기 때문에, 초기주편부(11)의 냉각효율이 달라질 수 있고, 초기주편부(11)는 정상주편부(12)에 비하여 냉각을 제어하기가 어렵다. 이에, 주형 내에서 초기주편부(11)가 원하는 온도보다 과냉각되는 경우도 있다. 이로부터 초기주편부(11)의 강도가 더 커질 수도 있다. 따라서, 초기주편부(11)는 정상주편부(12)에 비하여 굽힘 변형시키기 더욱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초기주편부(11)를 원활하게 굽힘 변형시킬 수 있도록, 초기주편부(11)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초기주편부(11)의 형상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주편(10)은 주형에 주입되는 용융물을 더미바로 인발하여 주조되는 것으로서, 폭 및 두께가 오차범위 내에서 일정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폭방향의 길이가 두께방향의 길이보다 큰 정상주편부(12), 정상주편부(12)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초기주편부(11)를 포함한다. 이때, 초기주편부(11)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한다. 여기서, 길이방향, 폭방향 및 두께방향은 이하에서 주조 장치를 설명하면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한다.
초기주편부(11)는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두께방향으로 대향하는 폭방향 양측면(11a)과,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고,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두께방향 양측면(11b)과, 폭방향 양측면(11a) 및 두께방향 양측면(11b)을 연결하는 전방면(1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방면(11c)과 대향하는 초기주편부(11)의 후방에는 정상주편부(12)가 위치할 수 있다.
초기주편부(11)는 후방으로부터 전방면(11c)으로 갈수록 폭방향의 길이가 작아질 수 있도록, 전방면(11c) 중의 소정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면(11c-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경사면(11c-2)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 경사면(11c-2)은 전방면(11c)의 일측 가장자리 영역 혹은 타측 가장자리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11c-2)의 개수가 두 개이면, 경사면(11c-2)은 전방면(11c)의 일측 가장자리 영역 및 타측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기주편부(11)의 전방면(11c)은 폭방향의 중심영역과 중심영역의 양측의 가장자리영역으로 구분되고, 경사면(11c-2)은 가장자리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중심영역에는 평면(11c-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초기주편부(11)는 전방면(11c)이 경사면(11c-2)을 구비함에 의하여, 후방으로부터 전방면(11c)을 향하여 갈수록 폭방향 양측면(11a)의 폭방향의 길이가 작아질 수 있다.
주편(10)이 인발경로(R)의 변곡구간(R2)을 통과할 때, 초기주편부(11)의 폭방향 양측면(11a)이 각각 두 개의 롤러와 접촉될 수 있도록, 경사면(11c-2)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H)는 변곡구간의 롤러 피치(P) 이상, 변곡구간의 롤러 피치(P)의 두배 미만일 수 있다. 여기서, 변곡구간의 롤러 피치(P)는 변곡구간에 배치된 롤러들이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일 수 있다(도 4 참조).
평면(11c-1)에 대한 경사면(11c-2)의 경사 각도(θ)는 예컨대 45°일 수 있다. 물론, 경사면(11c-2)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H)와 평면(11c-1)의 폭방향의 길이에 따라, 경사 각도(θ)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평면(11c-1)이 폭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주형 내에서 더미바가 주편(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는 소정의 길이일 수 있다.
초기주편부(11)의 경사면(11c)이 위치하는 부분을 전방 단부라고 한다. 초기주편부(11)는 변곡구간(R2)을 통과하는 동안, 폭방향 양측면(11a) 각각의 전방 단부 부분이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롤러와 폭방향으로 접촉되면서 굽힘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초기주편부(11)의 전방 단부의 전방면(11c) 측의 끝단이 롤러와 좁은 폭으로 접촉하고, 또한, 초기주편부(11)의 전방 단부의 후방측의 끝단이 롤러와 넓은 폭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하는 폭의 차이에 의해, 초기주편부(11)의 전방 단부의 전방면(11c) 측의 끝단이 두께방향으로 강하게 압하될 수 있다.
이로부터 초기주편부(11)가 두께방향으로 원활하게 굽힘 변형될 수 있고, 초기주편부(11)가 변곡구간을 통과한 직후부터 연속하여 변곡구간을 통과하는 정상주편부(12)를 원활하게 굽힘 변형시킬 수 있다.
한편,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롤러가 초기주편부(11)를 굽힘 변형시킬 때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롤러 간에 폭방향으로의 초기주편부(11)와의 접촉 면적의 차이가 커야 굽힘 변형이 원활할 수 있다. 이에, 경사면(11c-2)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H)가 변곡구간의 롤러 피치의 두배 이상이 되면, 경사면(11c-2)이 위치하는 초기주편부(11)의 전방 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세 개의 롤러와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롤러가 초기주편부(11)의 전방 단부와 접촉할 때, 이웃하는 롤러들 간에 폭방향으로의 초기주편부(11)와의 접촉 면적의 차이가 작아지게 되어 초기주편부(11)를 원활하게 굽힘 변형시키기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롤러의 관점에서 보면, 초기주편부(11)의 전방 단부는 폭이 점차 넓어지는 형상이므로, 초기주편부(11)가 접촉되는 롤러 각각은 초기주편부(11)와 폭방향으로 좁은 면적으로 접촉하다가 그 접촉 면적을 점차 넓히게 된다.
이에, 초기주편부(11)로부터 롤러로 가해지는 하중이 한번에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것이 아니고, 초기주편부(11)의 좁은 폭에 의한 작은 하중에서부터 초기주편부(11)의 넓은 폭에 의한 큰 하중까지 하중이 단계적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에, 초기주편부(11)의 통과 시에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의 피크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초기주편부(11)에 의한 롤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피크값은 선택된 하나의 롤러에 대하여, 시간에 따라 주편으로부터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의 값을 기록하였을 때 기록되는 값의 크기가 가장 큰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피크값은 하중의 최대값일 수 있다. 한편, 롤러의 관점에서, 롤러가 주편과 처음 접촉하는 순간의 하중값이 최대값 즉, 피크값일 수 있다.
한편, 초기주편부(11)는 돌출부(11d)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1d)는 주형 내에서 초기주편부(11)가 형성될 때, 더미바(500)의 주편 연결용 홈(524)으로 유입된 용융물이 응고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돌출부(11d)는 예컨대 고리 형상일 수 있고, 초기주편부(11)의 전방면(11c)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장치 및 더미바의 개략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더미바로 주형의 바닥면을 형성한 후 주형 내에서 초기주편부를 주조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미바를 이동시키며 주편을 인발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미바의 일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장치는, 상부와 하부가 길이방향으로 개방되는 주형(300), 주형(300)으로부터 주편(10)을 인발하며 압하 및 냉각시킬 수 있도록 주형(300)의 하측에 설치되는 냉각대(400), 주형(300)의 하부에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주형(3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냉각대(40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바닥면의 일부를 폭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도록 조절부를 구비하는 더미바(5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장치는, 주형(300)의 상측에 배치되며 주형(300)으로 용융물 예컨대 용강을 주입할 수 있는 턴디쉬(200), 턴디쉬(200)의 상측에 배치되며 턴디쉬(200)로 용강을 공급해주는 래들(1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장치를 이용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편(10)을 주조할 수 있다.
길이방향은 주편(10)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주형(300)의 위치에서 주편(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므로 길이방향은 상하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하지만 주형(30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주편(10)은 소정의 곡률로 굽힘 변형되면서 만곡하게 연장되었다가 다시 소정의 곡률로 교정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주편(10)이 굽힘 변형되는 위치부터 교정되는 위치까지 길이방향은 주편(10)을 따라서 소정의 곡률로 휘어진 방향을 의미하고, 그 이후부터 길이방향은 수평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길이방향을 주편(10)의 진행방향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이를 더욱 간단하게 주조방향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길이방향을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설명해야 하는 경우에 상하방향, 소정의 곡률로 휘어진 방향, 수평방향으로 각기 구분하여 표현한다. 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길이방향으로 통칭하여 표현한다.
한편, 폭방향 및 두께방향도 주편(10)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주편(10)은 장방형의 주편(10)일 수 있다. 이때, 폭방향은 주편(10)의 장변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두께방향은 주편(10)의 단변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주편(10)은 두께방향으로 굽힘 변형 및 교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래들(100) 및 턴디쉬(200)는 구성이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주형(300)은 턴디쉬(200)로부터 용강을 주입받아서 주편(10)으로 응고시키는 역할을 한다. 주형(300)은 주편(10)을 연속하여 응고시킬 수 있도록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즉, 주형(300)은 바닥면을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조를 시작하기 전에 용강을 주형(300)의 내부에 소정 시간 수용하여 주편(10)으로 응고시킬 수 있도록 더미바(500)를 주형(300)의 하부에 삽입하여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주형(300)은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두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복수개의 장변판(310),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고,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복수개의 장변판(31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을 연결시키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변판(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주형(300)은 폭방향의 길이가 두께방향의 길이보다 큰 장방형의 주형(300)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냉각대(400)는 주형(300)의 하측에서 주형(300)으로부터 연속하여 배출되는 주편(10)을 주조방향으로 인발하면서, 냉각 및 압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냉각대(400)는 주형(300)의 하측에 배치되며, 주편(10)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통로를 구비하는 벤더(410), 벤더(410)의 하측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주편(10)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통로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의 세그먼트(420), 폭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길이방향 및 두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주편(10)과 접촉할 수 있도록 벤더(410)의 통로 내측과 복수개의 세그먼트(420)의 통로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롤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대(400)는 주형(300)의 하측에 소정 길이의 인발경로(R)를 형성할 수 있다. 인발경로(R)는 주형(300)의 직하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구간(R1), 수직구간(R1)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수직구간(R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곡률이 증가하는 변곡구간(R2), 변곡구간(R2)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곡률이 일정한 만곡구간(R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발경로(R)는 만곡구간(R3)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만곡구간(R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곡률이 감소하는 교정구간, 교정구간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더미바(500)는, 주형(300)으로부터 주편(10)을 인발하는 더미바(500)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두께방향으로 굽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바디부(510), 폭방향의 길이가 두께방향의 길이보다 큰 상부면(521)을 구비하고, 바디부에 연결되는 헤드부(520), 헤드부(520)의 상부면(521)의 폭방향의 양측에 경사 혹은 복수개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도록, 헤드부(520)의 양측에 배치되고, 헤드부(52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조절부(530)를 포함한다.
더미바(500)는 주형(300)의 하부에 삽입되어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더미바(500)는 주조 초기에 용융물이 주형(300)의 내부에서 초기주편부(11)로 응고되는 소정의 시간동안, 용융물이 주형(3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주형(300)의 바닥면을 형성해주는 역할을 한다.
바디부(510)는 주형(300)의 하부에 삽입된 헤드부(520)를 인발경로(R)를 따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바디부(510)는 복수개의 링크 및 복수개의 연결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링크는 길이방향으로 나열될 수 있고, 각각의 단부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링크는 각각의 단부에 연결축이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복수개의 링크는 각각의 연결축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링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디부(510)는 인발경로(R)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두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물론, 바디부(510)는 헤드부(52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역할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그 구조가 다양할 수 있다.
헤드부(520)는 바디부(510)에 연결되고, 주형(300)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바디부(510)에 의해 인발경로(R)를 따라 이동하며 주편(10)을 인발할 수 있다. 헤드부(520)는 복수의 면을 갖는 블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520)는 바디부(51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헤드부(520)와 바디부(510)는 두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헤드부(520)는 주형(300)의 하부에 삽입되어 있을 때를 기준으로, 주형(300)의 상부를 향하는 면을 상부면(521)이라 하고, 주형(300)의 단변판(320)을 향하는 면을 측면(522)이라 한다. 이때, 헤드부(520)의 상부면(521)은 폭방향 및 두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헤드부(520)의 측면(522)은 두께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헤드부(520)는 주형(300)의 하부에 삽입되었을 때, 주형(300)의 단변판(320)과는 이격될 수 있고, 장변판(310)과는 접촉될 수 있도록, 상부면(521)의 폭방향의 길이와 두께방향의 길이가 각각 소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헤드부(520)의 상부면(521)과 주형(300)의 단변판(320) 사이에 조절부(53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헤드부(520)의 상부면(521)에는 주편 연결용 홈(524)이 형성될 수 있다. 주편 연결용 홈은 주편(11)의 돌출부(11d)와 연결될 수 있다.
조절부(530)는 헤드부(520)의 상부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주형(300)의 바닥면의 면적을 폭방향으로 확장시켜주고, 주형(300)의 바닥면의 폭방향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을 폭방향으로 경사지게 상승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조절부(530)는 헤드부(520)의 양측 측면(52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패드(5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패드(531)가 헤드부(520)에 장착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패드(531)는 헤드부(520)에 볼팅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절부(530)는 복수개의 패드(531)를 폭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5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520)는 양측 측면(522)에 볼트(532)가 결합될 수 있는 설치홈(5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패드(531) 각각은 볼트(532)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533) 및 볼트(532)가 결합될 수 있는 설치홀(534)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홀(533) 및 설치홀(534)은 각각이 형성된 패드(531)에서 상하로 이격될 수 있으며, 이때, 삽입홀(533)이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고, 설치홀(534)이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패드(531)는 각각 사각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각각의 폭방향의 길이는 헤드부(520)의 양측 측면(522)과 각각을 마주보는 주형(300)의 단변판(320)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패드(531)는 각각의 두께방향의 길이가 헤드부(520)의 두께방향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혹은, 작을 수 있다.
헤드부(520)의 상부면(521)과 복수개의 패드(531)의 상면에 의해 주형(300)의 내부에 용융물을 임시 수용할 수 있는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잇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미바가 주형에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패드(531)는 헤드부(520)를 중심으로 폭방향으로 대칭하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폭방향의 양측 중 일측 예컨대 우측을 기준으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물론,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의 내용은 폭방향의 타측 예컨대 좌측에 위치하는 패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복수개의 패드(531)는 각각이 장착된 헤드부(520)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헤드부(520)의 상부면(521)으로부터 단계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복수개의 패드(531)의 상단은 헤드부(520)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패드(531) 중 헤드부(520)의 측면과 접촉하는 내측 패드는 상단의 높이가 헤드부(520)의 상부면(521)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고, 내측 패드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상단의 높이가 헤드부(520)의 상부면(521)에 대하여 점차 높아질 수 있다. 주형(300)의 단변판과 접촉하는 외측 패드의 상단과, 상술한 내측 패드의 상단 사이의 높이 차이는 주편(10)의 초기주편부(11)의 경사면(11c-2)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H)와 동일할 수 있다(도 1 및 도 6 참조).
한편, 복수개의 패드(531)는 폭방향의 길이가 오차범위 내에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오차범위는 공차 및 측정오차에 의한 오차범위일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패드(531)는 헤드부(520)의 측면(52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방향의 길이가 작을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패드(531)는 헤드부(520)의 측면(52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방향의 길이가 클 수 있다. 이처럼, 복수개의 패드(531)는 폭방향의 길이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고, 이로부터 주편(10)의 경사면의 경사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시키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패드(531)의 폭방향의 길이는 20mm 내지 80mm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패드(531)의 폭방향의 길이가 20mm 보다 작으면, 패드(531)가 강도가 작아지게 되어, 패드(531)가 주형(300) 내에서 초기주편부를 원활하게 지지해주기 어려울 수 있다. 예컨대 패드(531)의 폭방향의 길이가 80mm 보다 크면, 헤드부(520)의 상부면(521)의 폭방향의 길이가 작아지게 되어, 헤드부(520)가 주형(300) 내에서 초기주편부(11)를 원활하게 지지해주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헤드부(520)의 일측 측면(522)과 주형(300)의 일측 단변판(320) 사이에 네 개의 패드(531)가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개수가 변형되는 것에 대응하여 패드(531)의 폭방향의 길이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더미바가 주형에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패드(531)는 각각이 장착된 헤드부(520)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헤드부(520)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패드(531)는 각각의 상단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경사진 상단이 연결되어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방법은, 폭방향의 길이가 두께방향의 길이보다 큰 주편을 주조하는 주조 방법으로서, 상부와 하부가 주조방향으로 개방된 주형(300)의 하부에 바닥면을 형성하는 과정, 주형(300)의 내부에 용융물 예컨대 용강을 주입하여 주편(10)으로 응고시키는 과정, 바닥면을 주조방향 예컨대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주편(10)을 인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때, 주편(10)으로 응고시키는 과정은, 주조방향으로 주편(10)의 초기주편부(11)의 폭이 좁아지도록 즉, 주형(300)의 상부로부터 주형(300)의 하부로 갈수록 주편(10)의 초기주편부(11)의 폭이 좁아지도록 주편(10)의 하면의 일부 영역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우선, 상부와 하부가 주조방향으로 개방된 주형(300)의 하부에 바닥면을 형성한다. 즉, 더미바(500)의 바디부(510)에서 헤드부(520)의 순서로 주형(3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통과시키고, 주형(300)의 하부에 더미바(500)의 헤드부(520)를 위치시킨다. 이때, 헤드부(520)의 폭방향의 양측에는 조절부(530)가 장착될 수 있고, 조절부(530)는 헤드부(520)로부터 멀어질수록 헤드부(520)의 상부면(521)으로부터 돌출되어 단차 혹은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헤드부(520)의 상부면과 조절부(530)의 상단으로 바닥면을 형성하여 주형(300)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때, 바닥면과 주형(300)의 내부면의 틈새에 와이어, 칩 및 코일 등의 실링부재를 투입하여 틈새를 실링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주형의 내부에 용융물 예컨대 용강을 주입하여 상기 주편으로 응고시킨다. 즉, 주형(300)의 하부에 바닥면이 형성된 상태에서, 주형(300)의 내부에 용강 예컨대 초기 용강을 주입한다. 주형(300)으로 주입되는 초기 용강에 의해 초기주편부(11)가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때, 주편으로 응고시키는 과정은, 바닥면으로 갈수록 주편(10)의 초기주편부(11)의 폭이 좁아지도록 바닥면의 형상을 이용하여 주편(10)의 하면의 일부 영역에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부(530)를 이용하여 폭방향으로 주편(10)의 하면의 양측의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도 1 참조).
이후, 더미바(500)에 의해 형성된 주형(300) 내에 배치된 바닥면을 주조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주편(10)을 인발한다. 이때, 주형(300)으로 용강 예컨대 후속 용강을 계속하여 주입할 수 있고, 후속 용강으로 주형(300)의 내부에서 정상주편부(12)를 계속하여 응고시킬 수 있다. 정상주편부(12)는 초기주편부(11)를 따라 인발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 과정에서, 초기주편부(11)와 정상주편부(12)를 주편(10)의 인발경로(R)의 수직구간(R1), 변곡구간(R2) 및 만곡구간(R3)의 순서로 통과시키며 복수개의 롤러와 접촉시켜 두께방향으로 굽힘 변형시킬 수 있다.
이때, 초기주편부(11)의 경사면(1c)이 주조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H)는 변곡구간에 배치된 복수개의 롤러가 주조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변곡구간에서 초기주편부(11)를 복수개의 롤러와 접촉시켜 두께방향으로 굽힙 변형시킬 때, 초기주편부(11)의 전방 단부의 전방면(1c)측의 끝단과, 후방측의 끝단에 각각 롤러를 접촉시킬 수 있고, 초기주편부(11)와 접촉하는 롤러에 제공되는 압하력을 초기주편부(11)의 전방 단부의 전방면(1c)측의 끝단의 좁은 폭에 집중시켜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초기주편부(11)의 전방 단부의 후방측의 끝단을 롤러와 넓은 폭으로 접촉시켜 지지해줌으로써, 초기주편부(11)를 원활하게 굽힘 변형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정상주편부(12)를 원활하게 굽힘 변형시킬 수 있다.
이후, 만곡구간(R3)을 통과한 초기주편부(11)와 정상주편부(12)를 교정구간에 통과시켜 주편을 수평방향으로 교정하고, 교정된 주편을 수평구간에 통과시켜 주조 장치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에 개시된 구성과 방식은 서로 결합하거나 교차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합 및 변형될 것이고, 이에 의한 변형 예들도 본 발명의 범주로 볼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주편 11: 초기주편부
11c: 경사면 12: 정상주편부
100: 래들 200: 턴디쉬
300: 주형 400: 냉각대
500: 더미바 510: 바디부
520: 헤드부 530: 조절부

Claims (16)

  1. 주형에 주입되는 용융물을 더미바로 인발하여 주조되는 주편으로서,
    폭 및 두께가 오차범위 내에서 일정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폭방향의 길이가 두께방향의 길이보다 큰 정상주편부;
    상기 정상주편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초기주편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주편부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주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기주편부는 폭방향 양측면, 두께방향 양측면, 상기 폭방향 양측면과 상기 두께방향 양측면을 연결하는 전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면은 상기 경사면을 포함하는 주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은 폭방향의 중심영역과 상기 중심영역의 양측의 가장자리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가장자리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주편.
  4. 주형으로부터 주편을 인발하는 더미바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두께방향으로 굽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바디부;
    폭방향의 길이가 두께방향의 길이보다 큰 상부면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의 폭방향의 양측에 경사 혹은 복수개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더미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헤드부의 양측 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패드를 포함하는 더미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각각이 장착된 헤드부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단계적으로 돌출되는 더미바.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각각이 장착된 헤드부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돌출되는 더미바.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폭방향의 길이가 오차범위 내에서 동일한 더미바.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각각이 장착된 헤드부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방향의 길이가 작은 더미바.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드는 각각이 장착된 헤드부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방향의 길이가 큰 더미바.
  11.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폭방향의 길이가 20mm 내지 80mm의 범위로 형성되는 더미바.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복수개의 패드를 폭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양측 측면에 상기 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설치홈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패드 각각은, 상기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 및 상기 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설치홀을 구비하는 더미바.
  13. 폭방향의 길이가 두께방향의 길이보다 큰 주편을 주조하는 주조 방법으로서,
    상부와 하부가 주조방향으로 개방된 주형의 하부에 바닥면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주형의 내부에 용융물을 주입하여 상기 주편으로 응고시키는 과정;
    상기 바닥면을 주조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주편을 인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주편으로 응고시키는 과정은,
    주조방향으로 상기 주편의 초기주편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주편의 하면의 일부 영역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주편의 하면의 일부 영역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바닥면의 형상을 이용하여, 폭방향으로 상기 주편의 하면의 양측의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경사면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주편을 인발하는 과정은,
    상기 초기주편부와 상기 초기주편부를 제외한 정상주편부를 상기 주편의 인발경로의 수직구간, 변곡구간 및 만곡구간 순서로 통과시키며 복수개의 롤러와 접촉시켜 두께방향으로 굽힘 변형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이 주조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변곡구간에 배치된 복수개의 롤러가 주조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거리보다 큰 주조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롤러와 접촉시켜 두께방향으로 굽힘 변형시키는 과정은,
    상기 초기주편부와 접촉하는 롤러에 제공되는 압하력을 상기 초기주편부의 단부에 집중시켜 압력을 증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 방법.
KR1020210113864A 2021-08-27 2021-08-27 주편, 더미바 및 주조 방법 KR20230031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864A KR20230031527A (ko) 2021-08-27 2021-08-27 주편, 더미바 및 주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864A KR20230031527A (ko) 2021-08-27 2021-08-27 주편, 더미바 및 주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527A true KR20230031527A (ko) 2023-03-07

Family

ID=8551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864A KR20230031527A (ko) 2021-08-27 2021-08-27 주편, 더미바 및 주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152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360A (ko) 2016-01-29 2018-08-01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연속 주조 주편의 이차 냉각 방법 및 이차 냉각 장치
KR20200143915A (ko) 2019-06-17 2020-12-28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 주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360A (ko) 2016-01-29 2018-08-01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연속 주조 주편의 이차 냉각 방법 및 이차 냉각 장치
KR20200143915A (ko) 2019-06-17 2020-12-28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 주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342B1 (ko) 두꺼운 슬래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연속 주조 플랜트
CN202015821U (zh) 用于制造厚板坯的方法和连铸设备
CA2093327C (en) Liquid-cooled mould for continuous casting of steel billets in slab form
JP3018078B2 (ja) 鋼の連続鋳造装置
KR20070086457A (ko) 강을 수평으로 연속 주조하는 장치
KR20230031527A (ko) 주편, 더미바 및 주조 방법
US20120132390A1 (en) Device and method for horizontal casting of a metal band
US3766962A (en) Method of continuously casting a slab
CN112846116A (zh) 一种减少钢板边部黑线的结晶器及使用方法
US110008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US4582114A (en)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cast sheets
JP2011147985A (ja) 連続鋳造方法及び装置
KR102321302B1 (ko)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장치
US20090178777A1 (en) Casting machine for production of casting bars in the shape of billets or blocks
JP4232867B2 (ja) 鋼帯の連続鋳造方法
JP3314036B2 (ja) 連続鋳造方法および連続鋳造装置
JP4645296B2 (ja) 連続鋳造方法
RU2800555C1 (ru) Кристаллизатор непрерывной отливки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изделия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отливки
RU2732455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я
JPS6240956A (ja) 薄板鋳造装置
JPH03169457A (ja) 薄鋳片連続鋳造機の短辺鋳型
JP7072388B2 (ja) 連続鋳造用鋳型
JPH0550200A (ja) 連続鋳造装置
JPH10328711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KR20200034462A (ko) 연속주조장치 및 연속주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