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249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249A
KR20230026249A KR1020220078729A KR20220078729A KR20230026249A KR 20230026249 A KR20230026249 A KR 20230026249A KR 1020220078729 A KR1020220078729 A KR 1020220078729A KR 20220078729 A KR20220078729 A KR 20220078729A KR 20230026249 A KR20230026249 A KR 20230026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otor
battery
bonnet
work vehicle
out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로 츠나시마
류타로 마스다
유스케 바바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32620A external-priority patent/JP736558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32621A external-priority patent/JP73655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6794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3058146A/ja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26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2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with means for discharging mown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6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A01D34/78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06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 A01D43/063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in or into a container carried by the mower; Contain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101/00Lawn-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1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ne motor mounted on a propulsion axle for rotating right and left wheels of this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3Ridable lawn m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과제] 작업 차량의 전후 방향의 중량 밸런스의 악화를 억제해서 조종성을 향상시킨 작업 차량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주행 차체(1)의 전방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보닛(5)을 설치하고, 보닛(5)의 후방측에 조종자가 탑승하는 조종부(6)를 설치하고, 후륜(3)을 구동하는 제 1 전동기(30)와 작업기(4)를 구동하는 제 2 전동기(40)를 조종부(6)의 조종석(60)의 하방 후방측에 설치하고, 제 1 전동기(30)와 제 2 전동기(40)에 공급하는 전력을 축전하는 배터리(50)를 보닛(5)이 형성하는 공간 내에 설치했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공원 등을 주행해서 잔디 등의 예초를 행하는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작업 차량은 보닛부에 엔진을 탑재하고, 엔진의 출력 회전을 후륜이나 작업 차량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시킨 모어 데크 등의 작업기에 전동해서 구동하는 수단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작업 차량은 작업 차량의 후방부에 배터리를 탑재하고, 배터리의 전력을 전동기에 공급하여, 전동기의 출력 회전을 후륜이나 작업 차량의 전방부에 승강가능하게 지지시킨 모어 데크 등의 작업기에 전동해서 구동하는 수단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3-15890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20-15634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수단에서는 엔진의 출력 회전을 후륜이나 작업기에 전동하는 전동 기기의 구성이 복잡하고 부품점수도 많기 때문에 작업 차량의 중량이 무거워질 우려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수단에서는 작업 차량의 후방부에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 차량의 전후 방향의 중량 밸런스가 악화해서 조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작업 차량의 중량을 경량화하고, 작업 차량의 전후 방향의 중량 밸런스를 양호하게 해서 조종성을 향상시킨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주행 차체(1)의 전방부에 좌우 한쌍의 전륜(2)을 설치하고, 상기 주행 차체(1)의 후방부에 좌우 한쌍의 후륜(3)을 설치하고, 상기 주행 차체(1)의 하면에 작업기(4)를 설치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1)의 전방부에 보닛(5)을 설치하고, 상기 보닛(5)의 후방측에 조종자가 탑승하는 조종부(6)를 설치하고,
상기 후륜(3)을 구동하는 제 1 전동기(30)와, 상기 작업기(4)를 구동하는 제 2 전동기(40)를 상기 조종부(6)의 조종석(60)의 하방 후방측에 설치하고,
상기 제 1 전동기(30)와 제 2 전동기(40)에 공급하는 전력을 축전하는 배터리(50)를 상기 보닛(5)이 형성하는 공간 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1 전동기(30)의 제 1 출력축(30A)을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하고, 상기 제 2 전동기(40)의 제 2 출력축(40A)을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한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 차량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1 전동기(30)의 일측에 상기 제 1 출력축(30A)의 출력 회전을 하방의 드라이브 샤프트(33)에 전동하는 기어 박스(31)를 설치하고,
상기 후륜(3)과 상기 기어 박스(31)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드라이브 샤프트(33)로 연결하고, 상기 제 2 전동기(40)를 상기 제 1 전동기(30)보다 하측에 설치하고,
상기 제 2 출력축(40A)을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33)보다 상측에 설치한 청구항 2에 기재된 작업 차량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2 전동기(40)는 상기 제 1 전동기(30)의 하방에 설치하고,
상기 제 2 출력축(40A)을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33)의 상방에 평면으로 볼 때에 교차해서 설치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작업 차량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조종부(6)의 후방측에 작업기(4)에 의해 예초된 잡초를 저장하는 집초 용기(7)를 설치하고, 상기 작업기(4)의 반출구와 집초 용기(7)의 반입구를 슈트(46)로 연통하고,
상기 제 1 전동기(30)와 제 2 전동기(40)를 좌우 방향의 일측에 편이해서 설치하고,
상기 슈트(46)를 제 1 전동기(30)와 제 2 전동기(40)의 타측에 설치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작업 차량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 차체(1)의 상면에 있어서의 전방측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보닛(5)을 설치하고, 상기 보닛(5)의 후방측에 조종자가 탑승하는 조종부(6)를 설치하고, 후륜(3)을 구동하는 제 1 전동기(30)와, 작업기(4)를 구동하는 제 2 전동기(40)를 조종부(6)의 조종석(60)의 하방 후방측에 설치하고, 제 1 전동기(30)와 제 2 전동기(40)에 공급하는 전력을 축전하는 배터리(50)를 보닛(5)에 설치했으므로, 주행 차체(1)의 중량 밸런스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보닛(5)에 형성된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 1 전동기(30)의 제 1 출력축(30A)을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하고, 제 2 전동기(40)의 제 2 출력축(40A)을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했으므로, 제 1 전동기(30) 및 후륜(3) 사이의 전동 기구와 제 2 전동기(40) 및 작업기(4)의 전동 기구의 부품점수를 억제해서 주행 차체(1)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다 경감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 1 전동기(30)의 일측에 제 1 출력축(30A)의 출력 회전의 감속과 회전 방향의 스위칭을 행하는 기어 박스(31)를 설치하고, 후륜(3)과 기어 박스(31)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드라이브 샤프트(33)로 연결하고, 제 1 전동기(30)를 제 2 전동기(40)보다 상측에 설치하고, 제 2 출력축(40A)을 드라이브 샤프트(33)보다 상측에 설치했으므로, 제 1 전동기(30)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 2 전동기(40)는 제 1 전동기(30)의 하방에 설치하고, 상기 제 2 출력축(40A)을 드라이브 샤프트(33)의 상방에 평면으로 볼 때에 교차해서 설치했으므로, 제 1 전동기(30)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 1 전동기(30)와 제 2 전동기(40)를 좌우 방향의 일측에 편이해서 설치하고, 슈트(46)를 제 1 전동기(30)와 제 2 전동기(40)의 타측에 설치했으므로, 제 1 전동기(30)와 제 2 전동기(40)의 반대측에 큰 슈트(46)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작업 차량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보닛 커버를 개방 자세로 한 작업 차량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작업 차량의 일부를 파단한 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작업 차량의 배면도이다.
도 5는 후륜과 작업기의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후륜과 작업기의 요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후륜용의 전동기와 작업기용의 전동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주행 차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스티어링 포스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배터리와 배터리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배터리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전륜과, 배터리와, 배터리 브래킷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배터리의 전방측에 설치한 충전기와 충전용 케이블을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충전기와 수납 케이스를 장착하는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배터리와 충전기의 요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17은 충전용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배터리의 전방측에 설치한 충전기와 충전용 케이블을 록킹하는 훅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배터리의 보호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보호 프레임과 안전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보호 공간의 설명도이다.
도 21은 작업 차량의 일부를 파단한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용 잔디깎기 기계 등의 작업 차량은 주행 차체(1)와, 주행 차체(1)의 전방부에 좌우 한쌍의 전륜(2)이 설치되고, 주행 차체(1)의 후방부에 좌우 한쌍의 후륜(3)이 설치되고, 주행 차체(1)의 하측에 있어서의 전륜(2)과 후륜(3) 사이에 잔디 등을 예취하는 작업기(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행 차체(1)의 상측의 전방부에 보닛(5)이 설치되고, 보닛(5)의 후방측에는 조종자가 탑승하는 조종부(6)가 설치되고, 조종부(6)의 후방측에는 조종자를 보호하는 안전 프레임(로프스)(8)이 설치되고, 안전 프레임(8)의 하부에는 작업기(4)에 의해 예취된 잔디 등을 저류하는 집초 용기(7)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5)에는 후륜(3)을 구동하는 제 1 전동기(30) 등에 공급하는 전력을 축전하는 배터리(50)가 설치되고, 배터리(50)는 보닛 커버(51)로 덮여져 있다. 또한, 보닛 커버(51)는 주행 차체(1)의 전방부에 설치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축(도시 생략)에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닛(5)에 형성되는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고, 또한 작업 차량의 전후 방향의 중량 밸런스의 상위점을 억제할 수 있다.
조종부(6)의 조종석(60)의 하측에는 전장 부품(61)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종석(60)의 하측에 형성되는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안전 프레임(8)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지주부(8L)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 지주부(8R)와, 좌측 지주부(8L)와 우측 지주부(8R)의 상부를 연결하는 역 U자 형상의 연결부(8A)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도 4∼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장 부품(61)의 하측에는 후륜(3)을 구동하는 3상 교류 전압 파형으로 조작되는 동기 전동기나 유도 전동기 등의 제 1 전동기(30)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전동기(3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해서 형성된 제 1 출력축(30A)은 제 1 출력축(30A)으로부터 전동되는 출력 회전을 감속해서 출력 토크를 크게 하거나 회전 방향을 반대로 하는 기어 박스(31)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전동기(30)는 좌우 방향의 중앙보다 좌측으로 편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기어 박스(31)에 의해 증감속된 출력 회전은 기어 박스(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동 기어 등에 의해 형성된 디퍼렌셜 기어(32)를 통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드라이브 샤프트(33)에 전동된다. 드라이브 샤프트(33)에 전동된 출력 회전은 드라이브 샤프트(33)의 양단부에 지지된 후륜(3)에 전동된다.
제 1 전동기(30)의 하측에는 작업기(4)를 구동하는 3상 교류 전압 파형으로 조작되는 동기 전동기나 유도 전동기 등의 제 2 전동기(40)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전동기(4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해서 형성된 제 2 출력축(40A)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자재 이음(41)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2 출력축(40A)은 드라이브 샤프트(33)의 상측에 드라이브 샤프트(33)와 직교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전동기(30)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전동기(40)와 작업기(4) 사이의 전동 경로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제 2 전동기(40)의 출력 회전을 작업기(4)에 효율적으로 전동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전동기(40)는 좌우 방향의 중앙보다 좌측에 편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자재 이음(41)의 전방부는 자재 이음(41)으로부터 전동되는 출력 회전을 감속해서 출력 토크를 크게 하는 기어 박스(42)에 연결되어 있다. 기어 박스(42)에 전동된 출력 회전은 기어 박스(42)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출력축을 통해서 작업기(4)의 좌측 배출 통로(45L)에 설치된 좌측 예취날(도시 생략)에 전동된다.
기어 박스(42)의 우측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43)가 연결되고, 연결 부재(43)의 우측부는 기어 박스(44)에 연결되어 있다. 기어 박스(44)에 전동된 출력 회전은 기어 박스(44)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출력축을 통해서 작업기(4)의 우측 배출 통로(45R)에 설치된 우측 예취날(도시 생략)에 전동된다. 또한, 기어 박스(42)의 출력축과 기어 박스(44)의 출력축의 출력 회전의 회전 속도는 동일 속도이며, 회전 방향은 역방향, 즉 평면으로 볼 때에 기어 박스(42) 출력축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기어 박스(44)의 출력축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좌측 배출 통로(45L)와 우측 배출 통로(45R)의 반출구는 예취된 잔디 등을 집초 용기(7)로 반송하는 슈트(46)의 반입구에 연결되어 있다. 슈트(46)의 반출구는 집초 용기(7)의 반입구에 연결되어 있다.
평면으로 볼 때에, 슈트(46)의 전방부는 자재 이음(41)의 우측에 설치되고, 슈트(46)의 후방부는 기어 박스(31)의 우측에 설치되고, 배면으로 볼 때에 슈트(46)와 집초 용기(7)는 기어 박스(31)와 우측의 후륜(3)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자재 이음(41)과 기어 박스(31)의 우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큰 슈트(46)를 설치할 수 있고, 작업기(4)로 예취된 잔디 등을 효율적으로 집초 용기(7)에 반송할 수 있다.
측면으로 볼 때에, 슈트(46)의 상벽은 후방으로부터 경사로 형성되고, 슈트(46)의 후방부는 전장 부품(61)의 하측을 하방을 향해 연장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슈트(46)의 후방부를 크게 해서 슈트(46)의 내부에서의 잔디 등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차체(1)는 전륜(2)과 후륜(3)을 지지하는 주행 차체 본체(10)와, 스티어링 샤프트(63)를 지지하는 스티어링 포스트(11)로 형성되어 있다.
주행 차체 본체(10)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전후방 프레임(10L)과 우측 전후방 프레임(10R)이 형성되고, 스티어링 포스트(11)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좌측 연결부(11L)와 우측 연결부(11R)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전후방 프레임(10L)에 좌측 연결부(11L)가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우측 전후방 프레임(10R)에 우측 연결부(11R)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서 일체가 되어 주행 차체(1)를 형성하고 있다.
좌측 전후방 프레임(10L)의 전방부에는 좌측 지지 부재(12L)가 설치되고, 좌측 지지 부재(12L)의 연결부는 좌측 오름 경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 전후방 프레임(10R)의 전방부에는 우측 지지 부재(12R)가 설치되고, 우측 지지 부재(12R)의 연결부는 우측 오름 경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 지지 부재(12L)와 우측 지지 부재(12R)는 채널 강재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 연결부(11L)의 전방부에는 좌측 지지 부재(13L)가 설치되고, 좌측 지지 부재(13L)의 연결부는 좌측 오름 경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 연결부(11R)의 전방부에는 우측 지지 부재(13R)가 설치되고, 우측 지지 부재(12R)의 연결부는 우측 오름 경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 지지 부재(13L)와 우측 지지 부재(13R)는 채널 강재로 형성되어 있다.
스티어링 포스트(11)의 하부에는 좌우 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전방측으로 돌출하면 돌출부(14)가 형성되고, 돌출부(14)의 선단에는 고무 부재 등으로 형성된 완충 부재(15)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 프레임(10L)의 후방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측 상하 프레임(20L)이 설치되고, 우측 전후방 프레임(10R)의 후방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우측 상하 프레임(20R)이 설치되고, 좌측 상하 프레임(20L)과 우측 상하 프레임(20R)의 상부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프레임(21)에 연결되어 있다.
좌우 프레임(21)의 좌측부에는 안전 프레임(8)의 좌측 지주부(8L)의 하부가 연결되는 좌측 연결부(22L)가 설치되고, 좌우 프레임(21)의 우측부에는 안전 프레임(8)의 우측 지주부(8R)의 하부가 연결되는 우측 연결부(22R)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5) 내에 설치되는 배터리(50)의 하부는 배터리 브래킷(52)의 내주부에 내감되어 있다. 배터리(50)는 복수의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 이온 배터리를 직렬과 병렬로 접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닛(5)에 형성된 공간을 유활용할 수 있다. 또한, 리튬 이온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으므로, 1회의 풀 충전에 의해 작업 차량을 장거리 주행시킬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 브래킷(5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전후방 프레임(52L) 및 우측 전후방 프레임(52R)과, 좌측 전후방 프레임(52L)과 우측 전후방 프레임(52R)의 전방부를 연결하는 전방 좌우 프레임(52A)과, 좌측 전후방 프레임(52L)과 우측 전후방 프레임(52R)의 후방부를 연결하는 후방 좌우 프레임(52B)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 전후방 프레임(52L) 및 우측 전후방 프레임(52R)은 앵글 강재로 형성되고, 전방 좌우 프레임(52A)과 후방 좌우 프레임(52B)은 채널 강재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 전후방 프레임(52L)의 연결부는 좌측 오름 경사로 형성되고, 우측 전후방 프레임(52R)의 연결부는 우측 오름 경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면으로 볼 때에, 좌측 지지 부재(13L)의 연결부, 좌측 지지 부재(12L)의 연결부, 및 좌측 전후방 프레임(52L)의 연결부의 좌측 오름 경사는 동일 경사 각도로 형성되고, 우측 지지 부재(12R)의 연결부, 우측 지지 부재(12R)의 연결부, 및 우측 전후방 프레임(52R)의 연결부의 좌측 오름 경사는 동일 경사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 전후방 프레임(52L)의 연결부의 하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둥근형의 좌측 방진 부재(53L)가 설치되고, 우측 전후방 프레임(52R)의 연결부의 하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둥근형의 우측 방진 부재(53R)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 전후방 프레임(52L)은 좌측 방진 부재(53L)를 통해서 좌측 전후방 프레임(10L)의 좌측 지지 부재(12L)와 좌측 연결부(11L)의 좌측 지지 부재(13L)에 연결되고, 우측 전후방 프레임(52R)은 우측 방진 부재(53R)를 통해서 우측 전후방 프레임(10R)의 우측 지지 부재(12R)와 우측 연결부(11R)의 우측 지지 부재(13R)에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작업 차량의 주행 시에 발생하는 주행 차체 본체(10)의 진동이 배터리(50)에 전해지는 것을 억제하여 배터리(50)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전후방 프레임(52L)의 연결부는 좌측 방진 부재(53L)의 중심과 좌측의 좌측 전륜(2L)의 중심을 연결하는 좌측 가상선(55L)에 대하여 직교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우측 전후방 프레임(52R)의 연결부는 우측 방진 부재(53R)의 중심과 우측의 우측 전륜(2R)의 중심을 연결하는 우측 가상선(55R)에 대하여 직교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륜(2)과 후륜(3)을 통해서 주행면의 요철에 기인하는 큰 진동을 억제하고, 배터리(50)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호 57은 좌우의 전륜(2)을 지지하는 전륜 지지 프레임을 나타내고, 부호 56은 전륜 지지 프레임과 주행 차체 본체(10)의 연결부이며, 전륜 지지 프레임의 회전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배터리 브래킷(52)의 후방 좌우 프레임(52B)의 후면에는 스티어링 포스트(11)의 완충 부재(15)의 선단부가 압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 차량의 발진 시에 배터리(5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억제하여 배터리(50)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50)의 전방측에는 배터리(50)의 충전기(75)와, 충전용 케이블(78)을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76)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배터리(50)의 충전량이 소정 이하로 된 경우에는 작업 차량을 충전 스테이션으로 이동하지 않고, 작업 차량을 근처의 창고 등으로 이동하고, 창고 등에 구비된 가정용 콘센트와 충전기(75)를 충전용 케이블(78)로 접속해서 배터리(50)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75)의 입력 전압은 교류 전압 100∼240V에 대응해서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기(75)는 배터리 브래킷(52)의 전방 좌우 프레임(52A)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직사각 형상의 지지 부재(77)의 전방면의 하부에 설치되고, 수납 케이스(76)는 지지 부재(77)의 전방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닛 커버(51)를 개방한 후, 가정용 콘센트에 일단을 접속한 충전용 케이블(78)을 주행 차체 본체(10)와 충전기(75)로 구획되는 공간을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삽통시켜서, 충전용 케이블(78)의 타단을 충전기(75)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가정용 콘센트의 근방으로 작업 차량을 이동하지 않고 충전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충전기(75)에 있어서의 좌측 전방부에는 팬(75A)이 형성되고, 외주부에는 복수의 핀(75B)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충전기(75)의 충전 시에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출하고, 충전 시의 충전기(75)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5,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기(75)의 후면은 지지 부재(77)의 전방면의 하부에 형성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77A)를 통해서 지지 부재(77)에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충전기(75)와 지지 부재(77)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충전기(75)의 충전 시에 발생하는 열을 외부에 의해 효율적으로 방출하고, 충전 시의 충전기(75)의 온도 상승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77)는 펀칭 메탈 등의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용 케이블(78)의 일단에는 가정용 콘센트에 접속하는 플러그(78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충전기(75)의 접속 단자에 접속하는 플러그(78B)가 형성되어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용 케이블(78)을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76)로 바꾸고, 지지 부재(77)의 상부에 충전용 케이블(78)을 록킹하는 훅(79)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 부재(77)에 있어서의 훅(79)과 충전기(75) 사이에 큰 개구부(77B)를 형성하고, 배터리(50)의 전방부를 향해서 공기를 송풍하여, 충전 시와 방전 시의 배터리(5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75)의 후면을 지지 부재(77)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77A)를 통해서 지지 부재(77)에 장착함과 아울러, 충전기(75)의 상측에 넓은 공간을 형성하고, 보닛 커버(51)의 개방 시에 외부의 공기가 충전기(75)를 향해서 효율적으로 송풍되어서 충전 시의 충전기(75)의 온도 상승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훅(79)은 지지 부재(77)의 전방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후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측 둥근 막대부(79L)와, 지지 부재(77)의 전방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후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우측 둥근 막대부(79R)와, 좌측 둥근 막대부(79L)와 우측 둥근 막대부(79R)의 상부를 연결하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둥근 막대부(79A)로 형성되어 있다.
도 19,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50)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는 배터리(50)의 외주부를 따라 연장되는 보호 프레임(58)을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 차량의 전도 시에 배터리(50)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보호 프레임(58)은 좌측 전후방 프레임(10L)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측 지주부(58L)와, 우측 전후방 프레임(10R)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우측 지주부(58R)와, 좌측 지주부(58L)와 우측 지주부(58R)의 상부를 연결하는 역 U자 형상의 연결부(「제 2 연결부」)(58A)로 형성되어 있다.
측면으로 볼 때에, 보호 프레임(58)의 연결부(58A)의 베이스부와 안전 프레임(8)의 연결부(「제 1 연결부」)(8A)의 최상부를 연결하는 가상선(「제 3 가상선」)(59)이 스티어링휠(62)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상선(59)의 하측에 큰 보호 공간을 형성하여, 작업 차량의 주행 시에 조종자가 외부의 나무가지 등에 충돌하는 것을 억제해서 작업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종부(6)의 조종석(60)의 전방측에는 스티어링휠(62)이 설치되고, 스티어링휠(6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티어링 샤프트(63)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조종석(60)의 좌측의 좌측 펜더(64L)에는 슈트(46)의 내부에 잔존한 예초를 후방측의 집초 용기(7)로 반송 등을 조작하는 클리너 레버(65)가 설치되고, 조종석(60)의 우측의 펜더(64R)에는 작업기(4)의 승강을 조작하는 조작 레버(6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종 시에 조종자가 발을 얹는 플로어(67)의 좌측 전방부에는 브레이크 페달(68)이 설치되고, 우측 전방부에는 전진용 악셀 페달(70)과 후진용 악셀 페달(71)이 병설되어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기(4)의 슈트(46)와 조종석(6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된 전장 부품(61)은 배터리(5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해서 제 1 전동기(30) 등을 조작하는 3상 교류 전압 파형을 생성하는 인버터 장치(80)와, 배터리(50)의 온도, 충전 상태, 전압 보호, 각 셀 단락 상태를 감시하는 배터리 감시 장치(81)와, 조종석(60)의 전방측에 설치된 주행 속도 등을 표시하는 미터 패널(도시 생략)에 공급하는 전지를 축전하는 연축전지 등의 보조 배터리(82)와, 배터리(5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압을 클리너 레버(65) 등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에 공급하는 직류 전압으로 변경하는 컨버터 장치(83)로 형성되어 있다.
1: 주행 차체 2: 전륜
2L: 좌측 전륜 2R: 우측 전륜
3: 후륜 4: 작업기
5: 보닛 6: 조종부
7: 집초 용기 10: 주행 차체 본체
11: 스티어링 포스트 12L: 좌측 지지 부재
12R: 우측 지지 부재 13L: 좌측 지지 부재
13R: 우측 지지 부재 15: 완충 부재
30: 제 1 전동기 30A: 제 1 출력축
31: 기어 박스 33: 드라이브 샤프트
40: 제 2 전동기 40A: 제 2 출력축
46: 슈트 50: 배터리
60: 조종석 80: 인버터 장치
80A: 제 1 하우징 81: 배터리 감시 장치
81A: 제 2 하우징 86: 제 1 방진 부재
87: 제 2 방진 부재 52: 배터리 브래킷
53L: 좌측 방진 부재 53R: 우측 방진 부재
55L: 좌측 가상선 55R: 우측 가상선

Claims (5)

  1. 주행 차체(1)의 전방부에 좌우 한쌍의 전륜(2)을 설치하고, 상기 주행 차체(1)의 후방부에 좌우 한쌍의 후륜(3)을 설치하고, 상기 주행 차체(1)의 하면에 작업기(4)를 설치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1)의 전방부에 보닛(5)을 설치하고, 상기 보닛(5)의 후방측에 조종자가 탑승하는 조종부(6)를 설치하고,
    상기 후륜(3)을 구동하는 제 1 전동기(30)와, 상기 작업기(4)를 구동하는 제 2 전동기(40)를 상기 조종부(6)의 조종석(60)의 하방 후방측에 설치하고,
    상기 제 1 전동기(30)와 제 2 전동기(40)에 공급하는 전력을 축전하는 배터리(50)를 상기 보닛(5)이 형성하는 공간 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동기(30)의 제 1 출력축(30A)을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하고, 상기 제 2 전동기(40)의 제 2 출력축(40A)을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한 작업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동기(30)의 일측에, 상기 제 1 출력축(30A)의 출력 회전을 하방의 드라이브 샤프트(33)에 전동하는 기어 박스(31)를 설치하고,
    상기 후륜(3)과 기어 박스(31)를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33)로 연결하고, 상기 제 2 전동기(40)를 상기 제 1 전동기(30)보다 하측에 설치하고,
    상기 제 2 출력축(40A)을 드라이브 샤프트(33)보다 상측에 설치한 작업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동기(40)는 상기 제 1 전동기(30)의 하방에 설치하고,
    상기 제 2 출력축(40A)을 드라이브 샤프트(33)의 상방에 평면으로 볼 때에 교차해서 설치하는 작업 차량.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6)의 후방측에 작업기(4)에 의해 예취된 잡초를 저류하는 집초용기(7)를 설치하고, 상기 작업기(4)의 반출구와 집초 용기(7)의 반입구를 슈트(46)로 연통하고,
    상기 제 1 전동기(30)와 제 2 전동기(40)를 좌우 방향의 일측에 편이해서 설치하고,
    상기 슈트(46)를 제 1 전동기(30)와 제 2 전동기(40)의 타측에 설치한 작업 차량.
KR1020220078729A 2021-08-17 2022-06-28 작업 차량 KR202300262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32620A JP7365584B2 (ja) 2021-08-17 2021-08-17 作業車両
JP2021132621A JP7365585B2 (ja) 2021-08-17 2021-08-17 作業車両
JPJP-P-2021-132621 2021-08-17
JPJP-P-2021-132620 2021-08-17
JP2021167944A JP2023058146A (ja) 2021-10-13 2021-10-13 作業車両
JPJP-P-2021-167944 2021-10-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249A true KR20230026249A (ko) 2023-02-24

Family

ID=8260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729A KR20230026249A (ko) 2021-08-17 2022-06-28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55171A1 (ko)
EP (1) EP4136959A1 (ko)
KR (1) KR20230026249A (ko)
CN (1) CN115703367A (ko)
TW (1) TW20231896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8907A (ja) 2001-11-26 2003-06-03 Iseki & Co Ltd 乗用芝刈装置
JP2020156340A (ja) 2019-03-25 2020-10-01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芝刈り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85487B1 (en) * 2007-04-24 2018-08-08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Riding lawn mower
US9288942B2 (en) * 2010-03-01 2016-03-22 Yanmar Co., Ltd. Electric riding mower having air-cooled chassis and pivotable protective cowling
JP5531211B2 (ja) * 2010-04-08 2014-06-25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電動式作業車両
EP3375669B1 (en) * 2017-03-15 2019-11-06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JP7199960B2 (ja) * 2018-12-26 2023-01-06 株式会社クボタ 電動草刈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8907A (ja) 2001-11-26 2003-06-03 Iseki & Co Ltd 乗用芝刈装置
JP2020156340A (ja) 2019-03-25 2020-10-01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芝刈り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03367A (zh) 2023-02-17
US20230055171A1 (en) 2023-02-23
TW202318965A (zh) 2023-05-16
EP4136959A1 (en) 2023-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8037B2 (en) Saddle-ride-type electrically operated vehicle
JP7195066B2 (ja) 電動作業車
EP3078526B1 (en) Electric work vehicle
US20230180657A1 (en) Electric stand-on mower with counter rotating blades
KR20230026249A (ko) 작업 차량
JP7365584B2 (ja) 作業車両
JP7365585B2 (ja) 作業車両
JP2024032722A (ja) 作業車両
JP2023058146A (ja) 作業車両
EP4260679A1 (en) Riding lawn mower
JP2023156640A (ja) 作業車両
JP3069808B2 (ja) 電動二輪車
JP2023156641A (ja) 作業車両
JP2023085648A (ja) 作業車両
JP2023089541A (ja) 作業車両
JP2024088366A (ja) 作業車両
CN218634775U (zh) 割草拖拉机
JP2024018596A (ja) 作業車両
CN218680092U (zh) 割草拖拉机
JP2024088359A (ja) 作業車両
JP2014003937A (ja) 乗用化ユニット
CN220586900U (zh) 载人式割草机
CN218892647U (zh) 骑乘式车辆
WO2023082770A1 (zh) 骑乘式割草设备
CN220594621U (zh) 载人式割草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