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548A -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548A
KR20230016548A KR1020210098446A KR20210098446A KR20230016548A KR 20230016548 A KR20230016548 A KR 20230016548A KR 1020210098446 A KR1020210098446 A KR 1020210098446A KR 20210098446 A KR20210098446 A KR 20210098446A KR 20230016548 A KR20230016548 A KR 20230016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tient
seat rotation
sea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온
서은비
김순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우쓰리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우쓰리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우쓰리디
Priority to KR1020210098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6548A/ko
Publication of KR20230016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toilet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lam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에 있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휠체어로 용이하게 옮길 수 있음은 물론이고 휠체어에 않아서 대소변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각 모서리부 하방에 바퀴수단이 구비된 사각형태의 저부프레임과; 상기 저부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수직으로 일정 높이 설치되는 두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을 따라 상하로 일정 거리 승강되고, 회전관부가 양측에 형성되어지며, 손잡이부가 상단에 연결되어진 수직승강프레임과; 상기 수직승강프레임의 회전관부에 좌우로 일정각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두 개로 양분되어진 두 의자가 회전관부를 중심으로 좌우로 벌어졌다 결합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두 의자에는 환자의 엉덩이에 용이하게 끼움결합됨과 동시에 용변을 볼 수 있게 용변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의자의 상방으로 상호 착탈 가능하게 손잡이부가 절곡 형성되어진 한쌍의 좌석회전프레임과; 상기 저부프레임의 전방 중앙에 고정 설치되면서 내부의 모터 및 기어부에 의해 상부로 승강되는 승강샤프트가 수직승강프레임에 연결되어 승강샤프트의 승강에 따라 수직승강프레임 및 좌석회전프레임이 승강되게 하는 승강컨트롤박스와; 상기 승강컨트롤박스와 연결되어 승강샤프트를 승강시키는 승강노브;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이송장치{the functional wheelchair for the patient transfer}
본 발명은 환자를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휠체어 일종인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병인 한사람이 침대에 있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이송장치로 용이하게 옮길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 이송장치에 앉아서 간편하게 대소변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몸이 약한 노약자들이나 불의의 사고로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에게는 침대에 누워서 신체를 치료하는 시간이 하루 일과에서 대부분을 차지 하고 있으며, 특히, 신체를 제대로 가누지 못하는 중환자들의 경우에는 대, 소변을 가리는 일이 매우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를 지닌다.
이들 중환자들의 경우에는 신체를 제대로 가누지 못하는 관계로 간병인들이 신체를 일으킨 상태로 부축하여서 걸어가거나 휠체어와 같은 이송장치에 태운 상태로 화장실로 이동하여 몸을 세운 후에 변기에 앉혀서 대,소변을 가리게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하여 환자들의 신체는 더욱 피로해지며,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얻게 되므로 환자에게는 매일 반복되는 고통으로 인식되어질 수 있다.
그래서, 근자에는 간병인이 침대에 있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이송할 수 있도록 휠체어와 같은 이송장치들이 개발되어 왔다.
즉, 현재 상용화된 이송장치의 경우, 환자의 이송에 관한 기능적인 부분이 많이 미흡하였고 전동휠체어의 경우 편리함을 극대화 하지만 전동식의 특성상 고가의 장비라서 보급형으로는 사용이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송장치는 의자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으며, 침대와 휠체어 간에 높이차이로 인해 이송장치에 오르고 내리기 불편하며, 심지어 중환자의 경우는 다수의 인원이 동원되며, 때로는 환자의 신체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환자를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기술이 다음과 같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이송장치는 현재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지만, 환자이송 리프트의 경우 장비가 고가이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고 병원에서도 장비는 있지만 사용을 거의 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리프트 같은 특수한 장비의 경우에는 병원이나 시설 같은 곳에서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일반 가정집에서는 가격이 부담되고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일반 기능성 이송장치 또한 대부분이 등받이의 기울기만 조절이 가능하여 침대에서 환자를 이송할 때 간병인 2명이 환자를 들어서 휠체어에 태우는 실정 이여서 환자 이송을 돕는 장치로는 부적합하다.
도 2의 이송장치는 전동식으로 의자의 높이를 조절하여 바닥에서 환자가 휠체어에 앉기 편리하게 제조된 것이다. 이 이송장치의 경우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바닥에 앉은 상태에서 환자의 탑승이 편리하지만, 전동식의 고가의 제품으로 일반적인 가정집에서 사용하기 부담스러운 부분이 있고, 바닥에 있는 환자의 이송에는 가장 이상적인 모델이지만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의 이송에는 부적합하다.
도 3의 이송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한 쌍의 앞바퀴(151)와 한 쌍의 뒷바퀴(153)가 장착되고, 베이스 프레임(100)의 중간 받침 파이프(120)에 가동 프레임(200)의 하부 수평틀(210)이 힌지(160)에 의해 장착되고, 베이스 프레임(100)의 사이드 프레임(110)에 공압 실린더(300)의 실린더바디(310)가 장착되고, 가동 프레임(200)의 수직틀(220)에 공압 실린더(300)의 커넥팅 로드(320)가 연결되고, 수직틀(220)에 장착된 레버(330)에 의해 공압 실린더(300)의 작동이 제어됨으로써, 사용자가 레버(330)를 누른 상태에서 수동으로 가동 프레임(200)의 수평틀(220)을 뒤로 틸팅되는 정도를 조절하게 되며, 가동 프레임(200)의 하부 수평틀(210)에 받침 플레이트(400)가 장착되고, 받침 플레이트(400)의 상부에 의자(500)가 배치되고, 의자(500)의 시트(510)와 받침 플레이트(400) 사이에 접철 링크장치(600)가 배치되고, 의자(500)의 등받이(520)에 액추에이터(700)가 장착되고, 액추에이터(700)의 로드(710) 하단이 받침 플레이트(400)에 장착되어, 접철 링크장치(600)와 액추에이터(700)에 의해 의자(500)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그리고, 액추에이터(700)의 로드(710)가 인출되면, 액추에이터(700)에 의해 의자(500)가 받침 플레이트(4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되고, 액추에이터(700)의 로드(710)가 인입되면, 액추에이터(700)에 의해 의자(500)가 받침 플레이트(4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됨으로써, 의자(500)의 배치높이가 조절된다. 이때, 접철 링크장치(600)가 액추에이터(700)에 의한 의자(500)높낮이 조절에 대응하여 접혀지거나 펴짐으로써, 접철 링크장치(600)가 높이 조절된 의자(500)를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휠체어는 침대에 있는 환자를 이송장치의 의자(500)로 옮겨야 하므로 하반신을 거의 사용하지 못하는 환자인 경우에는 간병인 혼자서 이를 수행하기가 매우 어려움은 물론이고, 환자를 의자(500)에 착석시켰다 하더라도 의자(500)와 그 후방의 등받이(520)에는 환자를 안정되게 잡아주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이송시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환자가 낙상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6-011569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침대에 앉아있는 환자를 간병인 혼자서 간편하게 이송장치로 옮길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송장치에 착석한 환자를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소망하는 장소로 이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가 화장실의 좌변기를 사용하지 못할 경우에는 의자 밑 착탈 가능한 변기로서 해소할 수 있도록 한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이송장치를 재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 모서리부 하방에 바퀴수단이 구비된 사각형태의 저부프레임과; 상기 저부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수직으로 일정 높이 설치되는 두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을 따라 상하로 일정 거리 승강되고, 회전관부가 양측에 형성되어지며, 손잡이부가 상단에 연결되어진 수직승강프레임과; 상기 수직승강프레임의 회전관부에 좌우로 일정각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두 개로 양분되어진 두 의자가 회전관부를 중심으로 좌우로 벌어졌다 결합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두 의자에는 환자의 엉덩이에 용이하게 끼움결합됨과 동시에 용변을 볼 수 있게 용변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의자의 상방으로 상호 착탈 가능하게 손잡이부가 절곡 형성되어진 한쌍의 좌석회전프레임과; 상기 저부프레임의 전방 중앙에 고정 설치되면서 내부의 모터 및 기어부에 의해 상부로 승강되는 승강샤프트가 수직승강프레임에 연결되어 승강샤프트의 승강에 따라 수직승강프레임 및 좌석회전프레임이 승강되게 하는 승강컨트롤박스와; 상기 승강컨트롤박스와 연결되어 승강샤프트를 승강시키는 승강노브;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의자의 저부면 양측에 가이드부가 대향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변기가 착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좌석회전프레임의 양측에 힌지축에 의해 일정각 회동 가능하게 보강대가 설치되어 저부프레임과 좌석회전프레임 사이로 침대가 진입하였을 때 수평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저부프레임의 양측에 보강대의 하단부를 안정되게 고정하여 환자가 착석하였을 때 좌석회전프레임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좌석회전프레임의 양측에 수평으로 회전한 보강대를 결착할 수 있게 자석을 구비한 좌석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도 보강대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게 자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좌석회전프레임 후방의 두 손잡이부에 일측 힌지에 의해 두 좌석회전프레임을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결착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환자가 침대 가장자리에 걸터 앉았을 시 이송장치의 좌석회전프레임을 좌우로 최대한 벌린 다음, 이송장치의 저부프레임과 좌석회전프레임 사이로 침대를 깊이 삽입한 후 벌어진 두 좌석회전프레임을 그 후방의 결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고, 승강노브를 조작하여 승강컨트롤박스의 승강샤프트를 승강시켜 좌석회전프레임을 승강시킨 후 침대로부터 이송장치를 분리시킴으로써 간병인 혼자서도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의자의 저부면에 변기를 부착하여 화장실의 변기를 사용할 수 없는 환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 좌석회전프레임의 양측에 상하로 회전이 가능하게 보강대를 설치하여 환자가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좌석회전프레임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송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송장치 측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배면도,
도 7은 도 6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변기가 설치되어진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승강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변기가 설치되어진 배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측면도이다.
먼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귿자 형상의 저부프레임(100)은 전방의 단변프레임(120)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저부프레임(100)의 전후방 양측 단부에는 바퀴수단(111)이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바퀴수단(11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브레이크수단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저부프레임(100)의 전방 양측에는 봉형상의 두 고정축(110a)가 수직으로 일정 높이 예컨대, 300mm 정도의 높이로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축(110a)과 저부프레임(100)은 보강브라켓(110)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두 접합부에 응력이 집중되더라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두 고정축(110a)과 대응되는 두 수직승강프레임(130)은 상기 고정축(110a)의 외주연을 따라 상하로 일정 거리 승강되는데, 상기 수직승강프레임(130)의 상단부는 손잡이부(133)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부(133)의 직하부에는 보강대(132)가 연결되며, 상기 수직승강프레임(130)의 양측 중앙부분에는 회전관부(131)가 설치된다.
상기 수직승강프레임(130)과 결합되는 한쌍의 좌석회전프레임(161)은 하방으로 절곡된 양단부가 수직승강프레임(130)의 회전관부(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좌우로 회전이 된다.
또한, 도 11과 같이, 상기 두 좌석회전프레임(161)의 내측에는 의자(163)(163')가 대향 설치되는데, 상기 두 의자(163)(163')에는 환자의 엉덩이에 용이하게 끼움결합됨과 동시에 용변을 볼 수 있게 호형상의 용변홈부(164)(164')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두 좌석회전프레임(161)의 환자의 등을 안정되게 지지하면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160)가 절곡 형성되어진다.
한편, 도 4 및 도 9와 같이, 상기 두 좌석회전프레임(161)의 후방 양측에는 힌지축(151)에 의해 일정각 회동가능하게 보강대(150)가 설치되어 도 11과 같이 저부프레임(100)과 좌석회전프레임(161)의 사이로 침대(B)가 진입하였을 때 도 9의 화살표와 같이 수평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보강대(150)의 하단부가 위치하는 저부프레임(100)의 양측에 보강대(150)의 하단부를 안정되게 고정하여 환자가 착석하였을 때 좌석회전프레임(161)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113)이 설치됨과 동시에 좌석회전프레임(161)의 양측에도 수평으로 회전한 보강대(150)와 대응되는 좌석브라켓(165)가 설치된다.
이때, 하부의 고정브라켓(113)은 일정 높이 상승하는 보강대(150)가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113)과 좌석브라켓(165)에는 자석(114)(166)이 각각 설치되어 보강대(15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도 9와 같이 보강대(150)가 침대에 의해 화살표와 같이 회전하게 되면, 보강대(150)의 단부가 좌석회전프레임(161)의 좌석브라켓(165)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좌석브라켓(165)의 자석(166)이 보강대(150)를 결착시키고, 상기 보강대(150)에 힘을 가하여 하향시키면 보강대(150)의 하단부가 고정브라켓(113)의 자석(114)과 결착되어 임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좌석회전프레임(161) 후방의 두 손잡이부(160)에는 이들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결착수단이 설치되는데, 상기 좌석회전프레임(161)의 후방 일측에는 힌지(160)가 형성되고, 다른 좌석회전프레임(161)의 후방 일측에도 힌지(168)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168)에 회동브라켓(170) 중앙의 힌지공(172)이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회동브라켓(170)의 일측 단부에는 힌지(160)와 결합되는 고정홈(171)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브라켓(170)의 다른 일측에는 손잡이(164)가 설치된다.
한편, 도 6 및 도 8과 같이 상기 의자(163)(163')의 저부면 양측에는 가이드부(163a)(163b)가 대향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63a)(163b)에는 변기(200)의 양측 걸이부(미도시)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된다.
도 4 및 도 10과 같이, 상기 저부프레임(100)의 전방 중앙에는 승강컨트롤박스(140)가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승강컨트롤박스(140)는 그 내부에 충전이 가능한 DC전원으로 동작되는 모터(미도시) 및 기어부(미도시)가 설치되고, 그 상부로는 일정 높이 승강되는 승강샤프트(143)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샤프트(143)의 상단부는 수직승강프레임(130)의 보강대(132)에 결합되어 도 10의 점선과 같이 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컨트롤박스(140)의 일측에는 연결관부(142)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부(142)의 상단에는 승강컨트롤박스(140)를 조작할 수 있는 승강노브(144)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승강수단은 이미 널리 공지된 것으로 수많은 종류가 있으므로, 그 어떤 것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본원 발명에서 상세히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이송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침대에 있는 거동불편 환자를 화장실이나 소망하는 장소로 이송을 하고자 하면, 도 5와 같이 좌석회전프레임(161)을 좌우로 상하 대치되게 벌이게 되는데, 이때 좌석회전프레임(161)은 수직승강프레임(130)의 두 회전관부(131)를 중심으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좌석회전프레임(161)이 벌린 상태에서 도 11과 같이 환자를 침대(B)의 가장자리에 걸터 앉도록 한 후 이송장치를 침대(B)에 근접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송장치의 저부프레임(100)과 좌석회전프레임(161)의 사이로 침대(B)의 상판이 위치하게 되므로 최대한 깊숙히 이송장치를 밀어 넣어 환자의 엉덩이 양측에 좌석회전프레임(161)이 위치토록 한 다음, 벌어져 있는 좌석회전프레임(161)을 환자를 중심으로 오므린다.
상기 두 좌석회전프레임(161)을 오므리게 되면, 환자의 엉덩이를 한쪽 방향으로 기울이면서 두 의자(163)(163')를 근접시키게 되며, 이때 두 의자(163)(163')에는 호형상의 용변홈부(164)(164')가 형성되어 있어 환자의 엉덩이를 한쪽으로 ㅅ 심하게 기울이지 않아도 두 의자(163)(163')를 근접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두 좌석회전프레임(161)이 벌어질 수 있으므로 도 6 및 도 7과 같이 좌석회전프레임(161)의 후방 일측의 손잡이(164)를 힌지(160)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제치게 되는데, 이때 손잡이(164)와 연결된 회동브라켓(170)이 회동하여 그 일단에 형성되어진 고정홈(171)이 다른 좌석회전프레임(161)의 힌지(168)에 결합되므로 두 좌석회전프레임(161)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두 좌석회전프레임(161)이 안정되게 결합되면, 두 좌석회전프레임(161)의 의자(163)(163')가 침대(B)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송장치가 침대(B)로부터 분리하기가 불가능하므로 도 10과 같이 이송장치 전방의 손잡이(133)와 근접된 곳에 위치한 승강노브(144)를 조작하게 되는데, 이때 승강컨트롤박스(140) 내부의 모터가 회전하여 이와 교합된 기어부를 동작시킴으로써 승강샤프트(143)를 일정 높이 상승시킨다.
상기 승강샤프트(143)가 상승하면 이와 연결된 수직승강프레임(130)의 보강대(132)를 상승시키게 되고, 보강대(132)가 상승하면서 이와 연결된 수직승강프레임(130) 및, 이와 연결된 두 좌석회전프레임(161)이 상승하면서 두 좌석회전프레임(161)의 의자(163)(163')가 침대(B)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다.
그리고, 두 좌석회전프레임(161)의 의자(163)(163')가 침대(B)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면, 이송장치를 침대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는데, 이때 두 좌석회전프레임(161)의 의자(163)(163')에 환자가 앉아 있으므로 의자(163)(163')의 후방부에 환자의 하중이 집중되어 두 좌석회전프레임(161)의 이 휘거나 상기 두 좌석회전프레임(161)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수직승강프레임(130)의 두 회전관부(131)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될 수 있으므로 두 좌석회전프레임(161)의 양측에 설치되어진 좌석브라켓(165)의 자석(166)으로부터 보강대(150)를 분리하여 하향시킨다.
상기 두 좌석회전프레임(161)의 힌지축(151)을 중심으로 하향하고 있는 보강대(150)는 도 11과 같이 저부프레임(100)의 고정브라켓(113)에 접촉하게 되며, 이때 보강대(150)의 하단이 고정브라켓(113)의 자석(114)과 결합되므로 보강대(15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두 좌석회전프레임(161)과 저부프레임(100)의 사이에 보강대(150)가 지지하고 있으므로 환자의 몸무게에 의해 좌석회전프레임(161)이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환자가 위중하여 화장실에 가지 못할 시에는 좌석회전프레임(161)의 하부에 설치되어진 가이드부(163a)(163b)에 양측 걸이부를 슬라이드시켜 변기(200)를 설치하게 되면 변기(200)가 두 의자(163)(163')의 용변홈부(164)(164')와 일치하여 대소변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저부프레임 110:보강브라켓
110a:고정축 111:바퀴수단
130:수직승강프레임 131:회전관부
133:손잡이부 150:보강대
160:힌지 161:좌석회전프레임
164,164':용변홈부 165:좌석브라켓
168:힌지 170:회동브라켓
200:변기

Claims (5)

  1. 각 모서리부 하방에 바퀴수단이 구비된 사각형태의 저부프레임과;
    상기 저부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수직으로 일정 높이 설치되는 두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을 따라 상하로 일정 거리 승강되고, 회전관부가 양측에 형성되어지며, 손잡이부가 상단에 연결되어진 수직승강프레임과;
    상기 수직승강프레임의 회전관부에 좌우로 일정각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두 개로 양분되어진 두 의자가 회전관부를 중심으로 좌우로 벌어졌다 결합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두 의자에는 환자의 엉덩이에 용이하게 끼움결합됨과 동시에 용변을 볼 수 있게 용변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의자의 상방으로 상호 착탈 가능하게 손잡이부가 절곡 형성되어진 한쌍의 좌석회전프레임과;
    상기 저부프레임의 전방 중앙에 고정 설치되면서 내부의 모터 및 기어부에 의해 상부로 승강되는 승강샤프트가 수직승강프레임에 연결되어 승강샤프트의 승강에 따라 수직승강프레임 및 좌석회전프레임이 승강되게 하는 승강컨트롤박스와;
    상기 승강컨트롤박스와 연결되어 승강샤프트를 승강시키는 승강노브;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의 저부면 양측에 가이드부가 대향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변기가 착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이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회전프레임의 양측에 힌지축에 의해 일정각 회동가능하게 보강대가 설치되어 저부프레임과 좌석회전프레임 사이로 침대가 진입하였을 때 수평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저부프레임의 양측에 보강대의 하단부를 안정되게 고정하여 환자가 착석하였을 때 좌석회전프레임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이송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좌석회전프레임의 양측에 수평으로 회전한 보강대를 결착할 수 있게 자석을 구비한 좌석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도 보강대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게 자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이송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좌석회전프레임 후방의 두 손잡이부에 일측 힌지에 의해 두 좌석회전프레임을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결착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결착수단은 좌석회전프레임의 후방 일측에 힌지가 형성되고, 다른 좌석회전프레임의 후방 일측에도 힌지가 설치됨과 함께 상기 힌지에 회동브라켓 중앙의 힌지공이 결합되며, 상기 회동브라켓의 일측 단부에는 힌지와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브라켓의 다른 일측에는 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이송장치
KR1020210098446A 2021-07-26 2021-07-26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이송장치 KR20230016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446A KR20230016548A (ko) 2021-07-26 2021-07-26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446A KR20230016548A (ko) 2021-07-26 2021-07-26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548A true KR20230016548A (ko) 2023-02-02

Family

ID=8522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446A KR20230016548A (ko) 2021-07-26 2021-07-26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654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699B1 (ko) * 2023-04-21 2023-06-22 주식회사 엘티에스코리아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의자 장치
CN116570436A (zh) * 2023-05-31 2023-08-11 佛山达浩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移位车
KR102637549B1 (ko) * 2023-05-12 2024-02-16 주식회사 케어박스 이송용 체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693A (ko) 2015-03-25 2016-10-06 도레 엔지니아린구 가부시키가이샤 가열 건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693A (ko) 2015-03-25 2016-10-06 도레 엔지니아린구 가부시키가이샤 가열 건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699B1 (ko) * 2023-04-21 2023-06-22 주식회사 엘티에스코리아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의자 장치
KR102637549B1 (ko) * 2023-05-12 2024-02-16 주식회사 케어박스 이송용 체어 장치
CN116570436A (zh) * 2023-05-31 2023-08-11 佛山达浩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移位车
CN116570436B (zh) * 2023-05-31 2024-01-23 佛山达浩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移位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16548A (ko) 환자 운반용 기능성 이송장치
JP2021520284A (ja) 多機能車いす
KR20140050884A (ko) 환자 간호용 이승로봇
WO2015149694A1 (zh) 移动椅子
JPH07178134A (ja) 電動式車椅子
CN213190749U (zh) 一种可自由调节座椅高度的位移车
TWI693933B (zh) 多功能輪椅
US7661696B1 (en) Wheeled chair
JPH07303676A (ja) 患者移送用腰掛け、患者の移送方法及び患者移送システム
KR101462378B1 (ko)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
JP6029126B1 (ja) 移乗装置
GB2113086A (en) Mobile chair
US20140068854A1 (en) Nursing Care Support Device
JP2001161752A (ja) 分離合体型車椅子
JP2001129033A (ja) 介護補助装置
JP3474094B2 (ja) 介護装置
KR102640421B1 (ko) 이동 및 높이조절 리프트 의자
JP3038394B2 (ja) 障害者用の移動車
JP3796705B2 (ja) スライド式ベッド
CN110711087A (zh) 一种分离式坐站两用轮椅
JP2001129032A (ja) 介護補助装置
JP3067585U (ja) 介護用車椅子
JP2525048Y2 (ja) 身体障害者入浴用昇降装置
CN217409201U (zh) 一种骑跨式移位装置
JP4470167B2 (ja) 昇降便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