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769A - 배출용 부재, 수용 용기, 배출용 부재의 제조 방법, 사출 성형용 금형, 및, 폐색 부재 장착 배출용 부재 - Google Patents

배출용 부재, 수용 용기, 배출용 부재의 제조 방법, 사출 성형용 금형, 및, 폐색 부재 장착 배출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769A
KR20220112769A KR1020227018565A KR20227018565A KR20220112769A KR 20220112769 A KR20220112769 A KR 20220112769A KR 1020227018565 A KR1020227018565 A KR 1020227018565A KR 20227018565 A KR20227018565 A KR 20227018565A KR 20220112769 A KR20220112769 A KR 20220112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cylindrical
functional resin
cylindrical memb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8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루 이치카와
다카유키 고타니
도모나리 시노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Publication of KR20220112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Moulds having tubular moul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29C2045/14147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using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rough th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 B29L2031/565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with means for reclo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ub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ackag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ag Fram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배출에 사용되는 배출용 부재로서, 상기 용기에 장착되는 피장착부와, 통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로부터의 내용물이 통과하고,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기능성 수지층이 중간층으로서 배치된 통상 부재가 형성된 통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상 부재에 형성된 상기 기능성 수지층이, 당해 통상 부재의 외주면 및 내주면 중 당해 외주면측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배출용 부재.

Description

배출용 부재, 수용 용기, 배출용 부재의 제조 방법, 사출 성형용 금형, 및, 폐색 부재 장착 배출용 부재
본 발명은 배출용 부재, 수용 용기, 배출용 부재의 제조 방법, 사출 성형용 금형, 및, 폐색 부재 장착 배출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 대해서 배출용 부재가 장착되고,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이 배출용 부재를 통과시켜, 용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수지층의 산소 투과도가 10000 ㎖·㎛/㎡·24 hrs·㎫ (23 ℃·65 %RH) 이하이며, 또한 수지층의 수증기 투과도가 1000 g·㎛/㎡·24 hrs (38 ℃·90 %RH) 이하이고, 통상 성형체가, 용기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주출 (注出) 하기 위한 주출 유로를 형성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141061호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 대해서 배출용 부재가 장착되고,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이 배출용 부재를 통과시켜, 용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있다.
여기에서, 기능성 수지층을 배출용 부재에 설치하면, 예를 들어, 내용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성분이나 광선이 배출용 부재를 통과하기 어려워져,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품질을 보다 장기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기능성 수지층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기능성 수지층이 수분의 영향을 받아 기능성 수지층의 기능이 저하되어, 내용물의 품질 유지가 어려워지는 경우도 상정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성 수지층의 기능 저하를 억제하여,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품질을 보다 장기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배출용 부재는,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배출에 사용되는 배출용 부재로서, 상기 용기에 장착되는 피장착부와, 통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로부터의 내용물이 통과하고,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기능성 수지층이 중간층으로서 배치된 통상 부재가 형성된 통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상 부재에 형성된 상기 기능성 수지층이, 당해 통상 부재의 외주면 및 내주면 중 당해 외주면측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배출용 부재이다.
여기에서, 상기 통상부를 상기 내용물이 통과할 때, 당해 내용물은,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당해 통상부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측을 향하고, 상기 통상부에는, 상기 통상 부재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통상으로 형성되어 당해 통상 부재를 지지하는 통상부 본체가 형성되고, 상기 통상부 본체의 상기 일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단면과, 상기 통상 부재의 당해 일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단면의 위치를 비교했을 경우에, 당해 통상 부재의 당해 하류측 단면쪽이, 당해 통상부 본체의 당해 하류측 단면보다, 상기 통상부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측에 위치해도 된다.
또, 상기 기능성 수지층은, 상기 통상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됨과 함께 당해 통상 부재의 상기 하류측 단면까지 도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상 부재의 상기 하류측 단면 중, 상기 기능성 수지층이 도달하는 부분이, 당해 하류측 단면에 대향 배치된 수지층에 의해서 덮여 있어도 된다.
또, 상기 통상 부재는, 상기 하류측 단면과는 반대측에 상류측 단면을 갖고, 상기 기능성 수지층은, 상기 통상 부재의 상기 상류측 단면까지 도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상 부재의 상기 상류측 단면 중, 상기 기능성 수지층이 도달하는 부분이, 당해 상류측 단면에 대향 배치된 수지층에 의해서 덮여 있어도 된다.
또, 중간층으로서 배치된 상기 기능성 수지층은, 당해 기능성 수지층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다른 층보다 산소 투과도가 낮고, 당해 기능성 수지층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다른 층보다 산소 투과도가 낮으며, 산소의 투과를 억제하는 층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을 수용 용기로 파악했을 경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용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당해 용기에 장착되어 당해 용기 내의 내용물의 배출에 사용되는 배출용 부재를 구비하고, 당해 배출용 부재가 상기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배출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을 배출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 파악했을 경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배출용 부재의 제조 방법은,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배출에 사용되어 내주면 및 외주면을 갖고 기능성 수지층이 중간층으로서 배치된 통상 부재가 형성된 배출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단측에 대직경부를 갖는 코어 핀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기능성 수지층이 중간층으로서 배치되며 또한 당해 기능성 수지층이 상기 외주면측에 가깝게 배치된 상기 통상 부재의 장착을 행함과 함께, 당해 대직경부 중의 당해 코어 핀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면에 대해서 당해 통상 부재를 닿게 하여 당해 코어 핀에 대한 당해 통상 부재의 장착을 행하는 장착 공정과, 상기 통상 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상기 코어 핀의 주위의 공간에 용융 수지를 충전하는 충전 공정을 갖는 배출용 부재의 제조 방법이다.
여기에서, 상기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면은, 상기 코어 핀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장착 공정에서는, 상기 코어 핀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상기 면에, 상기 통상 부재가 닿아져도 된다.
또, 상기 대직경부의 외직경쪽이, 상기 통상 부재의 외직경보다 작고, 상기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상기 면에 대해서, 당해 통상 부재의 단면의 일부가 닿아져도 된다.
또, 상기 대직경부에는, 상기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상기 면인 제 1 면에 접속되어 상기 통상 부재의 상기 단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면이 형성되고, 상기 충전 공정에서는, 상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상기 제 2 면의 주위의 공간에도, 용융 수지가 충전되고, 상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상기 제 2 면은, 상기 코어 핀의 축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거나, 또는, 당해 코어 핀의 기단측을 향하여 진행됨에 따라서 당해 코어 핀의 축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진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기능성 수지층의 내직경보다 상기 대직경부의 외직경쪽이 작아도 된다.
또, 상기 대직경부의 외직경쪽이, 상기 통상 부재의 외직경보다 작고, 상기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상기 면인 제 1 면에 대해서 상기 통상 부재의 단면이 닿을 때, 당해 통상 부재 중의 상기 기능성 수지층보다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당해 제 1 면에 닿고, 당해 기능성 수지층이, 당해 제 1 면에 접촉하지 않아도 된다.
또, 상기 대직경부의 외직경이, 상기 통상 부재의 외직경과 내직경의 합을 2 로 나눈 값보다 작아도 된다.
또, 본 발명을 사출 성형용 금형으로 파악했을 경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출 성형용 금형은,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배출에 사용되어 내주면 및 외주면을 갖고 기능성 수지층이 중간층으로서 배치된 통상 부재가 형성된 배출용 부재의 제조에 사용하는 사출 성형용 금형으로서, 봉상으로 형성되고,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면이 형성된 대직경부를 기단측에 갖고, 상기 기능성 수지층이 중간층으로서 배치되며 또한 상기 외주면측에 당해 기능성 수지층이 가깝게 배치된 상기 통상 부재의 장착이 선단측부터 행해지고, 선단측부터 장착된 당해 통상 부재가 당해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당해 면에 닿아지는 코어 핀과, 상기 코어 핀의 주위에 배치되고, 용융 수지를 충전하기 위한 공간을 당해 코어 핀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형을 구비하는 사출 성형용 금형이다.
또, 본 발명을 배출용 부재로 파악했을 경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배출용 부재는,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배출에 사용되는 배출용 부재로서, 통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로부터의 내용물이 통과하고,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개구가 형성되어 당해 개구의 주위에 환상의 단면이 형성되고, 기능성 수지층이 중간층으로서 배치된 통상부와, 상기 환상의 상기 단면에 접촉하는 환상의 접촉부를 갖고, 상기 통상부의 상기 일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개구를 막는 폐색 부재를 구비하는, 폐색 부재 장착 배출용 부재이다.
여기에서, 상기 통상부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비교했을 경우에, 상기 환상의 상기 접촉부와 상기 환상의 상기 단면이 접촉하는 접촉 지점쪽이, 상기 기능성 수지층보다, 당해 통상부의 축심에 가까운 측에 위치해도 된다.
또, 상기 기능성 수지층은, 상기 통상부의 상기 단면까지 도달해 있지 않고, 당해 기능성 수지층의 당해 단면측의 단부와, 상기 접촉부가 접촉하는 당해 단면 사이에,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을 수용 용기로 파악했을 경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용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당해 용기에 장착되어 당해 용기 내의 내용물의 배출에 사용되는 폐색 부재 장착 배출용 부재를 구비하고, 당해 폐색 부재 장착 배출용 부재가 상기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폐색 부재 장착 배출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능성 수지층의 기능의 저하를 억제하여,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품질을 보다 장기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수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배출용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도 2 의 III-III 선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배출용 부재의 성형에 사용하는, 사출 성형 금형의 웅형 (雄型) 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코어 핀에 대해서, 통상 부재가 장착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 (C) 는, 배출용 부재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비교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수용 용기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수용 용기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수용 용기 (1) 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수용 용기 (1) 에는, 용기 (10) 와, 배출용 부재 (20) 와, 폐색 부재 (캡) (30) 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 (10) 는, 밀폐된 자루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 (10) 는, 수지 필름과 알루미늄 등의 가스 배리어성이 높은 (산소 투과도 및 수증기 투과도가 낮은) 재료가 적층된 적층 필름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배출용 부재 (20) 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이다. 배출용 부재 (20) 는, 용기 (10) 에 장착된다. 배출용 부재 (20) 란, 용기 (10) 에 수용된 내용물이 용기 (10) 의 외부로 배출될 때에 이 내용물이 통과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10) 내의 내용물은, 용기 (10) 에 장착된 이 배출용 부재 (20) 를 통과하여, 수용 용기 (1) 의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에서, 내용물로는, 젤리 음료, 프루츠 퓌레, 이유식, 케찹 등의 유동체 (점도가 높은 액체) 나, 물, 쥬스 등의 액체 (점도가 낮은 액체) 를 일례로 들 수 있다. 또, 내용물로는, 식품에 한정되지 않고, 식품 이외의 것이어도 된다.
폐색 부재 (30) 란, 배출용 부재 (20) 에 형성된 개구를 통과하려고 하는 내용물의 이동을 규제하는 기능을 갖는 부재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폐색 부재 (30) 에 의해서, 배출용 부재 (20) 에 형성된 개구가 막혀, 내용물의 이동이 규제된다 (용기 (10) 의 외부로의 내용물의 배출이 규제된다).
도 2 는, 배출용 부재 (20) 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배출용 부재 (20) 에는, 용기 (10) (도 1 참조) 에 장착되는 피장착부 (21) 가 형성되어 있다.
피장착부 (21) 란, 배출용 부재 (20) 중의 용기 (10) 에 대해서 장착되는 지점을 가리킨다. 이 피장착부 (21) 는, 용기 (10) (도 1 참조) 의 내부에 꽂아 넣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른바 용착에 의해서, 이 피장착부 (21) 에 대해서, 용기 (10) 의 내면이 고정된다.
또한, 배출용 부재 (20) 에는, 원통상의 통상부 (22) 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부 (22) 란, 관통공이 형성되어 중공의 형상으로 되어 있는 부위를 가리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10) 로부터 내용물의 배출이 행해질 때, 용기 (10) 로부터의 내용물은 이 통상부 (22) 를 통과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부 (22) 를 내용물이 통과할 때, 이 내용물은, 통상부 (22)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 (22A) 측을 향하고, 이 일단부 (22A) 측으로부터 배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부 (22) 를 내용물이 통과할 때, 이 내용물은, 통상부 (22)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 (22B) 측으로부터 통상부 (22) 의 내부로 들어가고, 그 후, 통상부 (22)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 (22A) 측으로부터 배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부 (22) 의 타단부 (22B) 측에, 개구 (22C) (이하,「타단부측 개구 (22C)」라고 칭한다) 가 형성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타단부측 개구 (22C) 를 통과하여, 통상부 (22) 의 내부에 내용물이 들어간다.
그리고, 이 내용물은, 통상부 (22) 의 내부를 통과한 후, 통상부 (22) 의 일단부 (22A) 에 위치하는 개구 (22D) (이하,「일단부측 개구 (22D)」라고 칭한다) 에 도달하고, 이 일단부측 개구 (22D) 로부터 통상부 (22) 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색 부재 (30) 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폐색 부재 (30) 는, 통상부 (22) 의 일단부 (22A) 측에 장착되어, 일단부측 개구 (22D) 를 막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부 (22) 의 외주면에, 나선부 (22E) 가 형성되고, 또, 폐색 부재 (30) 의 내주면에도 나선부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부 (22), 폐색 부재 (30) 의 양자에 형성된 나선부에 의해서, 통상부 (22) 에 대해서, 폐색 부재 (30) 가 착탈 가능한 상태에서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부 (22) 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22F)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 (22F) 는, 2 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돌출부 (22F) 는, 통상부 (22) 의 직경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또,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2 개의 돌출부 (22F) 는, 서로 간극을 가진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도 3 은, 도 2 의 III-III 선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통상부 (22) 에는, 기능성 수지층 (22G) 이 중간층으로서 배치되어 있다. 이 기능성 수지층 (22G) 은, 통상으로 형성되고, 또, 통상부 (22) 와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기능성 수지층 (22G) 은, 통상부 (22) 의 축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부 (22) 에는, 통상부 본체 (22H) 와, 이 통상부 본체 (22H) 의 내측에 형성된 통상 부재 (22K) 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 부재 (22K) 란, 관통공이 형성되어 중공으로 되어 있는 부재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중공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내용물이 통과한다. 또, 통상부 본체 (22H) 란, 통상부 (22) 의 기체가 되는 부분으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통상부 본체 (22H) 에 의해서 통상 부재 (22K) 가 지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부 (22)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통상 부재 (22K)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부 (22) 에는, 통상 부재 (22K)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통상으로 형성되어 통상 부재 (22K) 를 지지하는 통상부 본체 (22H)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통상 부재 (22K) 에 기능성 수지층 (22G) 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상 부재 (22K) 의 주위에 용융 수지를 충전하여, 통상부 본체 (22H) 를 형성한다.
이 경우, 용융 수지의 충전시에, 통상 부재 (22K) 의 외주면이 용융된다. 이 경우, 그 후에, 용융 수지가 경화되면, 통상 부재 (22K) 와 용융 수지가 경화됨으로써 형성되는 통상부 본체 (22H) 가 서로 고정되어, 통상 부재 (22K) 와 통상부 본체 (22H) 가 일체화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성 수지층 (22G) 으로서, 산소의 투과를 억제하는 층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성 수지층 (22G) 으로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수지 (EVOH) 에 의해서 구성된 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 통상 부재 (22K) 에는, 기능성 수지층 (22G) 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다른 층의 일례로서의 내측층 (22M) 과, 기능성 수지층 (22G) 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다른 층의 일례로서의 외측층 (22N) 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층 (22M) 이나 외측층 (22N) 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에 의해서 구성된다.
폴리에틸렌으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 (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등을 일례로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수증기 투과도나 강성이 우수한 점 등에서 HDPE 또는 PP 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HDPE 또는 PP 를 선택함으로써, 배출용 부재 (20) 의 수증기 투과도가 낮아지기 (수증기가 투과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내용물에 포함되는 수분이나 외기에 포함되는 수분의 영향에 의한 기능성 수지층 (22G) 의 가스 배리어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 용기 (1) 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레토르트 살균하는 경우에는, 살균 처리 온도에 따라서 내측층 (22M), 외측층 (22N) 및 접착제층의 수지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살균 처리 온도 100 도 미만인 보일 살균의 경우 및 살균 처리 온도가 100 ℃ 이상 120 ℃ 미만인 레토르트 살균의 경우에는, PE 계 및 PP 계 중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살균 처리 온도가 120 ℃ 이상인 레토르트 살균의 경우에는, 수지의 내열성 관계에서 PP 계의 수지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수지 (EVOH) 의 산소 투과도 (기능성 수지층 (22G) 의 산소 투과도) 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의 산소 투과도보다 작아 (낮아),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성 수지층 (22G) 이, 주로 산소 등의 기체의 투과를 억제하는 가스 배리어층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부 본체 (22H) 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의 수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도시는 생략하지만, 기능성 수지층 (22G) 과 외측층 (22N) 사이에는, 기능성 수지층 (22G) 과 외측층 (22N) 을 접착하는 접착제층 (접착제 수지) 이 형성되어 있다.
또, 기능성 수지층 (22G) 과 내측층 (22M) 사이에도, 기능성 수지층 (22G) 과 내측층 (22M) 을 접착하는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성 수지로는,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EVA) 등의 에틸렌계 수지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등의 프로필렌계 수지에, 아크릴산, 혹은, 메타아크릴산 등의 1 염기성 불포화 지방산, 또는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혹은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1 염기성 불포화 지방산의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말레산, 푸마르산 혹은 이타콘산 등의 2 염기성 지방산의 무수물 등을 화학적으로 결합시킨 폴리올레핀계 접착성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접착성 수지의 구체예로는, 미츠이 화학사 제조의 상품명「아드머」나 미츠비시 케미컬사 제조의 상품명「모딕」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통상 부재 (22K) 는, 외측층 (22N), 접착제층, 기능성 수지층 (22G), 접착제층, 내측층 (22M) 을 갖고, 5 층 구조로 되어 있다.
기능성 수지층 (22G)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 3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 250 ㎛ 이다. 외측층 (22N)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0 ㎛ ∼ 3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 250 ㎛ 이다. 내측층 (22M)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50 ㎛ ∼ 5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 400 ㎛ 이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 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 40 ㎛ 이다.
또, 내측층 (22M) 의 두께는, 적어도 통상 부재 (22K) 를 형성하는 층 중에서 가장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 또, 내측층 (22M) 의 두께는, 외측층 (22N) 의 두께에 대해서, 적어도 1.3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층 (22M) 이 두꺼우면, 수증기 투과도가 낮아지고, 내용물의 습도의 영향을 받아, 기능성 수지층 (22G) 의 가스 배리어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통상 부재 (22K) 는, 이른바 압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한 장척상의 부재를, 미리 정해진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통상 부재 (22K) 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증기나 열수에 의해서, 내용물이 수용된 후의 수용 용기 (1) 의 전체의 살균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 수용 용기 (1) 는 수분에 노출된다.
이 경우에, 외측층 (22N) 이나 내측층 (22M) 의 두께가 작으면, 수분이 외측층 (22N) 이나 내측층 (22M) 을 통과하여 기능성 수지층 (22G) 에 도달하기 쉬워진다.
이 경우, 기능성 수지층 (22G) 은, 수분에 약하고, 수분의 영향을 받으면, 그 기능이 저하되어 산소 투과도가 상승하기 쉬워진다.
이에 비해서, 기능성 수지층 (22G) 의 두께를 크게 하지 않고, 외측층 (22N) 이나 내측층 (22M) 의 두께가 큰 상태에 있으면, 기능성 수지층 (22G) 에 수분이 도달하기 어려워져, 기능성 수지층 (22G) 의 성능이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성 수지층 (22G) 으로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수지에 의해서 구성된 층을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능성 수지층 (22G) 으로서, 예를 들어, PVA (Poly Vinyl Alchol) 에 의해서 구성된 층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산소의 투과의 억제를 행할 수 있다.
또, 기능성 수지층 (22G) 으로서, 폴리염화비닐리덴 (PVDC) 에 의해서 구성된 층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서 구성된 층을 형성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성 수지층 (22G) 으로서, 산소의 투과를 억제하는 층을 형성한 경우를 일례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능성 수지층 (22G) 으로서, 예를 들어, 자외선 등의 광의 투과를 억제하는 층을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통상부 (22) 에 대해서, 산소의 투과를 억제하는 기능성 수지층 (22G) 을 형성하면, 통상부 (22) 의 외측으로부터 통상부 (22) 의 내측에 대한 산소의 이동이 억제된다. 또, 수용 용기 (1) 의 외부의 산소가, 통상부 (22) 의 내측으로 침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써, 통상부 (22) 의 내부에서 내용물이 산화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10) 에 대해서는, 상기와 같이, 알루미늄 등의 가스 배리어성이 높은 재료가 형성되어 있고, 용기 (10) 에 있어서는, 이 가스 배리어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서 산소의 투과가 억제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의 부호 3X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부 (22) 의 내주면 (22P) 이며 또한 통상부 (22) 의 선단부에, 제 1 직경 L1 을 갖는 제 1 내직경부 (23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내직경부 (23A) 보다 통상부 (22) 의 일단부 (22A) 측에, 제 2 내직경부 (23B)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내직경부 (23B) 는, 제 1 직경 L1 보다 큰 제 2 직경 L2 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내직경부 (23A) 와 제 2 내직경부 (23B) 를 접속하는 접속면 (23C) 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내직경부 (23A) 의 단부 (통상부 (22) 의 일단부 (22A) 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단부) 와, 제 2 내직경부 (23B) 의 단부 (통상부 (22) 의 타단부 (22B) (도 2 참조) 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단부) 를 접속하는 접속면 (23C)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면 (23C) 은, 통상부 (22) 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접속면 (23C) 은, 통상부 (22) 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부 (22) 의 내주면 (22P) 중, 제 1 내직경부 (23A) 에 위치하는 부분은, 통상부 (22) 의 축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부 (22) 의 내주면 (22P) 중, 제 2 내직경부 (23B) 에 위치하는 부분도, 통상부 (22) 의 축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상부 (22) 의 내주면 (22P) 중, 제 2 내직경부 (23B) 에 위치하는 부분은, 파선 3A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부 (22) 의 일단부 (22A) 측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통상부 (22)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시켜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부 (22)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비교했을 경우에, 기능성 수지층 (22G) 쪽이, 접속면 (23C) 과 제 2 내직경부 (23B) 의 접속부 (X) 보다, 통상부 (22)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위치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부 (22)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비교했을 경우에, 통상부 (22) 의 일단부 (22A) 측에 위치하는 단면 (22T) 보다, 기능성 수지층 (22G) 의 이 일단부 (22A) 측에 위치하는 단부 (22S) 쪽이, 통상부 (22) 의 타단부 (22B) (도 2 참조) 에 가까운 측에 위치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의 부호 3X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 부재 (22K) 에 형성된 기능성 수지층 (22G) 이, 통상 부재 (22K) 의 외주면 (K1) 및 내주면 (K2) 중, 외주면 (K1) 측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주면 (K2) 의 직경 LX 와 외주면 (K1) 의 직경 LY를 더한 값을 2 로 나눈 값의 직경을 갖는 가상의 원 3C 보다, 이 원 3C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기능성 수지층 (22G) 이 위치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층 (22M) 의 두께쪽이, 외측층 (22N) 의 두께보다 크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성 수지층 (22G) 이 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통상부 (22) 의 외측으로부터 통상부 (22) 의 내측에 대한 산소의 이동이 억제된다. 또, 수용 용기 (1) 의 외부의 산소가, 통상부 (22) 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써, 통상부 (22) 의 내부에서 내용물이 산화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성 수지층 (22G) 이, 외주면 (K1) 측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어, 내주면 (K2) 측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서, 내용물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기능성 수지층 (22G) 이, 내주면 (K2) 측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으면, 내측층 (22M) 의 두께가 얇아져, 내용물에 포함되는 수분이, 얇은 이 내측층 (22M) 을 통과하여, 기능성 수지층 (22G) 에 도달하기 쉬워진다.
이 경우, 기능성 수지층 (22G) 의 산소 투과도가 커진다. 기능성 수지층 (22G) 은 수분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쉬워, 기능성 수지층 (22G) 이, 내주면 (K2) 측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으면, 내용물에 포함되는 수분이, 기능성 수지층 (22G) 에 도달하기 쉬워져, 기능성 수지층 (22G) 의 산소 투과도가 커진다.
이에 비해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기능성 수지층 (22G) 이 외주면 (K1) 측에 가까이 있고, 내측층 (22M) 이 두꺼워지는 구성이면, 기능성 수지층 (22G) 은, 수분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워져, 기능성 수지층 (22G) 의 산소 투과도가 커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부 (22) 를 내용물이 통과할 때, 이 내용물은, 일 방향 (도 3 에 있어서의 상방) 으로 이동하여 통상부 (22)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 (22A) 측을 향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부 본체 (22H) 에 하류측 단면 (K3) 이 형성되어 있다. 하류측 단면 (K3) 은, 통상부 본체 (22H) 가 갖는 2 개의 단면 중, 상기한 일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단면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 부재 (22K) 에도 하류측 단면 (K4) 이 형성되어 있다. 하류측 단면 (K4) 은, 통상 부재 (22K) 가 갖는 2 의 단면 중, 상기한 일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단면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2 개의 하류측 단면 (K3, K4) 의 위치를 비교했을 경우에, 통상 부재 (22K) 의 하류측 단면 (K4) 쪽이, 통상부 본체 (22H) 의 하류측 단면 (K3) 보다, 통상부 (22) 의 타단부 (22B) (도 2 참조) 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성 수지층 (22G) 은, 통상 부재 (22K) 의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됨과 함께 통상 부재 (22K) 의 하류측 단면 (K4) 까지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 부재 (22K) 의 하류측 단면 (K4) 중, 기능성 수지층 (22G) 이 도달하는 부분 (3S) 이, 이 하류측 단면 (K4) 에 대향 배치된 수지층 (3G) 에 의해서 덮여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능성 수지층 (22G) 이 도달하는 부분 (3S) 는, 통상부 본체 (22H) 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에 의해서 덮여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 부재 (22K) 는, 하류측 단면 (K4) 과는 반대측에 상류측 단면 (K5) 을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성 수지층 (22G) 은, 통상 부재 (22K) 의 이 상류측 단면 (K5) 까지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 부재 (22K) 의 상류측 단면 (K5) 중, 기능성 수지층 (22G) 이 도달하는 부분 (3T) 이, 이 상류측 단면 (K5) 에 대향 배치된 수지층 (3H) 에 의해서 덮여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능성 수지층 (22G) 이 도달하는 부분 (3T) 은, 통상부 본체 (22H) 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에 의해서 덮여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기능성 수지층 (22G) 이 외주면 (K1) 측에 가까이 있고, 외측층 (22N) 의 두께가 내측층 (22M) 의 두께보다 작아지는 경우에는, 외측층 (22N) 을 구성하는 재료의 수축률 (온도가 소정의 단위 온도만큼 저하되었을 때의 수축률) 이, 내측층 (22M) 을 구성하는 재료의 수축률 (온도가 소정의 단위 온도만큼 저하되었을 때의 수축률) 보다 커지도록, 외측층 (22N) 을 구성하는 재료, 내측층 (22M) 을 구성하는 재료의 각각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층 (22N) 을 구성하는 재료, 내측층 (22M) 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서로 종류가 상이한 재료를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동일한 재료이면서 밀도가 서로 상이한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내측층 (22M) 의 두께가 외측층 (22N) 의 두께보다 큰 경우에 있어서, 내측층 (22M), 외측층 (22N) 의 재료로서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면, 내측층 (22M) 의 변형 정도가 외측층 (22N) 의 변형 정도보다 커져, 통상 부재 (22K) 의 동체부가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등, 통상 부재 (22K) 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해서, 외측층 (22N) 을 구성하는 재료의 수축률이, 내측층 (22M) 을 구성하는 재료의 수축률보다 크면, 이 변형 정도가 작아진다.
또, 그 밖의 형태로서, 기능성 수지층 (22G) 을, 통상부 (22) 의 내주면 (22J) 및 외주면 (22L) 중, 외주면 (22L) 측에 가깝게 하여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기능성 수지층 (22G) 을, 통상부 (22) 의 외주면 (22L) 측에 가깝게 하면, 기능성 수지층 (22G) 이, 통상부 (22) 의 내부의 내용물로부터 더욱 멀어지게 되어, 기능성 수지층 (22G) 이, 이 내용물의 수분의 영향을 더욱 받기 어려워진다.
또한, 기능성 수지층 (22G) 을, 통상부 (22) 의 외주면 (22L) 측에 가깝게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통상부 본체 (22H) 의 두께를 작게 하고, 또, 통상 부재 (22K) 의 외주면 (K1) 의 직경을 크게 한다.
배출용 부재 (20) 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는, 배출용 부재 (20) 의 성형에 사용하는, 사출 성형 금형의 웅형 (雄型) (41) 을 나타낸 도면이다.
웅형 (41) 에는, 기대 (42) 가 형성됨과 함께, 이 기대 (42) 로부터 돌출되는 원주상의 코어 핀 (43)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코어 핀 (43) 의 기단 (근본) (43X) 측에, 대직경부 (43A) 가 형성되고, 또, 이 대직경부 (43A) 보다 코어 핀 (43) 의 선단부 (43Y) 측에, 소직경부 (43B)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이 소직경부 (43B) 의 외직경보다, 대직경부 (43A) 의 외직경쪽이 크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대직경부 (43A) 가 갖는 면 중, 코어 핀 (43) 의 선단부 (43Y) 측에 위치하는 면 (코어 핀 (43) 의 선단부 (43Y) 측을 향하는 면) (이하,「선단면 (43C)」이라고 칭한다) 은, 코어 핀 (43) 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직경부 (43A) 의 외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면인 이 선단면 (43C) (제 1 면의 일례) 은, 코어 핀 (43) 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코어 핀 (43) 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출용 부재 (20) 의 제조에 있어서, 먼저, 화살표 4A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어 핀 (43) 에 대해서, 상기에서 설명한 통상 부재 (22K) 를 장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핀 (43) 의 선단부 (43Y) 측으로부터 이 코어 핀 (43) 에 대한 통상 부재 (22K) 의 장착을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부재 (22K) 의 내측에 코어 핀 (43) 을 통과하도록 하여, 코어 핀 (43) 에 대한 통상 부재 (22K) 의 장착을 행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핀 (43) 에 대한 통상 부재 (22K) 의 장착에 있어서, 대직경부 (43A) 에 형성된 상기한 선단면 (43C) 에 대해서, 통상 부재 (22K) 의 단면 (Y) 을 닿게 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 부재 (22K) 의 이 단면 (Y) 은, 통상 부재 (22K) 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통상 부재 (22K) 의 이 단면 (Y) 은, 통상 부재 (22K) 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핀 (43) 의 선단부 (43Y) 에 대해서, 선단을 향하여 가늘게 하는 처리 (테이퍼 처리) 를 행하고 있어 (코어 핀 (43) 의 선단부 (43Y) 에 테이퍼 형상을 부여하고 있어), 코어 핀 (43) 에 대한 통상 부재 (22K) 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코어 핀 (43) 의 선단부 (43Y) 에 테이퍼 형상을 부여하면, 코어 핀 (43) 의 선단부 (43Y) 가, 통상 부재 (22K) 에 잘 접촉하지 않게 되어, 통상 부재 (22K) 가 깎여지는 것이 억제된다. 이 경우, 통상 부재 (22K) 가 깎여짐으로써 발생되는 이물질의 내용물이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코어 핀 (43) 의 기단 (근본) (43X) (기단 (43X) 중 대직경부 (43A) 보다 선단부 (43Y) 측에 위치하는 부분) 의 외직경을 외직경 a, 코어 핀 (43) 의 선단부 (43Y) (선단부 (43Y) 중 테이퍼 형상이 부여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기단 (43X) 측에 위치하는 부분) 의 외직경을 외직경 b, 통상 부재 (22K) 의 일단부 (코어 핀 (43) 에 장착될 때에 이동하는 통상 부재 (22K) 의 이동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단부) 의 내직경을 내직경 c, 통상 부재 (22K) 의 타단부 (통상 부재 (22K) 의 이동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단부) 의 내직경을 내직경 d 로 했을 경우에, 외직경 a 와 내직경 c 의 치수 차, 외직경 b 와 내직경 d 의 치수 차의 각각을, 바람직하게는 0 ∼ 0.2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0.15 ㎜ 로 하면 된다.
치수 차가, 이들 범위의 하한치 이하이면, 통상 부재 (22K) 를 코어 핀 (43) 에 장착하기 어렵거나 또는 장착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또, 상한치 이상이면, 용융 수지가, 통상 부재 (22K) 와 코어 핀 (43) 사이로 들어가 버릴 우려가 있다. 이 경우, 통상 부재 (22K) 의 내부에, 수지가 부착된 상태가 되고, 이 수지가 그 후에 탈락되어, 이물질 혼입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또, 코어 핀 (43) 에 대한 통상 부재 (22K) 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코어 핀 (43) 의 외면 및 통상 부재 (22K) 의 내면에 테이퍼를 부여하여, 외직경 a > 외직경 b, 내직경 c > 내직경 d 로 해도 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통상 부재 (22K) 는, 압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하기 때문에, 내직경 c = 내직경 d 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이, 코어 핀 (43) 에 대한 통상 부재 (22K) 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내직경 c > 내직경 d 로 해도 된다.
도 5 는, 코어 핀 (43) 에 대해서, 통상 부재 (22K) 가 장착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직경부 (43A) 의 외직경 (G1) 쪽이, 통상 부재 (22K) 의 외직경 (G2) 보다 작고, 코어 핀 (43) 의 선단면 (43C) 에 대해서, 통상 부재 (22K) 의 단면 (Y) 의 일부가 닿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면 (Y) 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핀 (43) 의 선단면 (43C) 에 대해서, 환상의 단면 (Y) 의 일부가 닿는다.
더욱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 부재 (22K) 에 형성된 기능성 수지층 (22G) 의 내직경 (G3) 보다, 대직경부 (43A) 의 외직경 (G1) 쪽이 작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 부재 (22K) 중, 기능성 수지층 (22G) 보다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선단면 (43C) 에 닿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면의 일례인 선단면 (43C) 에 대해서 통상 부재 (22K) 의 단면 (Y) 이 닿을 때, 통상 부재 (22K) 중, 기능성 수지층 (22G) 보다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이 선단면 (43C) 에 닿는다.
기능성 수지층 (22G) 에 대해서는, 선단면 (43C) 에 접촉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성 수지층 (22G) 의 단부 (22S) 의 대향 위치에, 선단면 (43C) 이 위치하지 않아, 기능성 수지층 (22G) 의 단부 (22S) 가 노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핀 (43) 의 대직경부 (43A) 에, 제 2 면의 일례인 외주면 (22Z)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외주면 (22Z) 은, 제 1 면의 일례인 선단면 (43C) 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 외주면 (22Z) 은, 코어 핀 (43) 에 장착된 상태에 있는 통상 부재 (22K) 의 단면 (Y)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외주면 (22Z) 은, 선단면 (43C) 과의 접속부를 시작점으로 했을 경우에, 통상 부재 (22K) 의 단면 (Y)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외주면 (22Z) 은, 코어 핀 (43) 의 축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부호 5A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면 (22Z) 은, 코어 핀 (43) 의 기단 (43X) 측을 향하여 진행함에 따라서, 코어 핀 (43) 의 축심 (G8)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해도 된다.
이 경우, 도 3 에 있어서의 파선 3A 로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부 (22) 의 내주면 (22P) 중, 제 2 내직경부 (23B) 에 위치하는 부분이 경사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후에 설명하는 충전 공정에 있어서, 이 외주면 (22Z) (도 5 참조) 의 주위의 공간에도 용융 수지가 충전된다.
또한, 대직경부 (43A) (도 5 참조) 의 외주면 (22Z) 을 경사지게 할 경우, 이 외주면 (22Z) 의 경사 각도 α (코어 핀 (43) 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는, 60°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0°보다 크면, 통상 부재 (22K) 의 단면 (Y) 과 외주면 (22Z) 사이에 형성되는 쐐기상의 영역 R5 의 선단 각도를 크게 할 수 있어, 이 쐐기상의 영역 R5 에 용융 수지가 충전되기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가 잘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직경부 (43A) 의 외직경 (G1) 이, 통상 부재 (22K) 의 외직경 (G2) 과 내직경 (G5) 의 합을 2 로 나눈 값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직경부 (43A) 의 외주면 (22Z) 이, 통상 부재 (22K) 의 내주면 (23M) 과 외주면 (23N)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지점 C 보다, 코어 핀 (43) 의 축심 (G8) 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에서, 대직경부 (43A) 의 외직경 (G1) 이, 통상 부재 (22K) 의 외직경 (G2) 과 내직경 (G5) 의 합을 2 로 나눈 값보다 크면, 코어 핀 (43) 의 대직경부 (43A) 의 외주면 (22Z) 이, 기능성 수지층 (22G) 에 가까워지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기능성 수지층 (22G) 의 단부 (22S) 의 대향 위치에, 대직경부 (43A) 가 위치해 버린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부재 (22K) 의 위치 어긋남이나 통상 부재 (22K) 의 치수 오차 등이 상정되고, 이 경우, 기능성 수지층 (22G) 의 단부 (22S) 의 대향 위치에, 대직경부 (43A) 가 위치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기능성 수지층 (22G) 의 단부 (22S) 가, 수지에 의해서 덮이지 않는 사태가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이 경우, 기능성 수지층 (22G) 의 단부 (22S) 가 노출되어, 기능성 수지층 (22G) 이 수분의 영향을 받기 쉬워진다.
이에 비해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대직경부 (43A) 의 외직경 (G1) 을, 통상 부재 (22K) 의 외직경 (G2) 과 내직경 (G5) 의 합을 2 로 나눈 값보다 작게 하면, 기능성 수지층 (22G) 의 단부 (22S) 의 대향 위치에, 대직경부 (43A) 가 위치하는 경우가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이 경우, 기능성 수지층 (22G) 의 단부 (22S) 가 수지에 의해서 덮이지 않는 등의 사태가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도 6(A) ∼ (C) 는, 배출용 부재 (20) 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에서는, 자형 (雌型) (80) 을 나타내고 있다.
자형 (80) 은, 좌자형 (81) 과 우자형 (82) 에 의해서 구성되고, 좌우로 분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자형 (80) 의 내부에는, 캐비티 (32)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자형 (80) 의 내면의 형상은, 배출용 부재 (20) (도 1 참조) 의 외형 형상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자형 (80) 에는, 캐비티 (32) 를 16 개 ∼ 48 개 형성하는 등, 캐비티 (32) 를 복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비티 (32) 내에, 코어 핀 (43) 이 들어가면 (후술), 좌자형 (81) 과 우자형 (82) 이, 코어 핀 (43) 의 주위에 배치되고, 좌자형 (81) 과 우자형 (82) 은, 용융 수지를 충전하기 위한 공간을, 코어 핀 (43) 과의 사이에 형성한다.
또, 자형 (80) 에는 게이트 (33) 가 형성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출 성형기의 사출구로부터의 용융 수지는, 이 게이트 (33) 를 통과하여 캐비티 (32) 에 들어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웅형 (41) 이, 자형 (80) 에 대해서 진퇴하도록 되어 있고, 배출용 부재 (20) 의 형성시에는, 자형 (80) 내에 웅형 (41) 이 배치된다.
배출용 부재 (20) (도 1 참조) 는, 사출 성형용 금형 및 사출 성형기에 의해서 형성된다. 여기에서, 사출 성형용 금형은, 상기한 웅형 (41) 과 자형 (80) 에 의해서 구성된다.
배출용 부재 (20) 의 제조시에는, 먼저, 로봇 등의 자동 장착 장치를 사용하여,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웅형 (41) 의 코어 핀 (43) 에 대해서 통상 부재 (22K) 를 장착한다. 이 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단면 (43C) (도 5 참조) 에 대해서 이 통상 부재 (22K) 의 단면 (Y) (도 5 참조) 을 닿게 한다.
그 후,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 부재 (22K) 가 장착된 상태의 코어 핀 (43) 을, 자형 (80) 의 캐비티 (32) 에 넣는다.
이어서, 도 6(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용융 수지를 게이트 (33) 를 통해서 캐비티 (32) 에 사출한다. 이로써, 캐비티 (32) 에 용융 수지가 충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 부재 (22K) 가 장착된 상태의 코어 핀 (43) 의 주위의 공간에 용융 수지가 충전된다.
여기에서, 용융 수지의 충전을 행하면, 통상 부재 (22K) 는 용융 수지로부터의 압력을 받아, 코어 핀 (43) 의 대직경부 (43A) (도 5 참조) 에 형성된 선단면 (43C) 에 탄성 지지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선단면 (43C) 은, 코어 핀 (43) 의 직경 방향을 따르고 있고,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선단면 (43C) 에 의해서 통상 부재 (22K) 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여기에서, 비교예로서, 도 7 (비교예를 나타내는 도면) 에 나타내는 양태도 생각할 수 있다. 이 비교예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선단면 (43C) 에 상당하는 면 (400) 이 경사져 있다.
이 경우, 통상 부재 (22K) 의 지지가 불안정해지기 쉽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부재 (22K) 에는 치수의 편차가 있고, 이 경우, 본래의 위치보다, 코어 핀 (43) 의 기단 (43X) 측에서, 통상 부재 (22K) 의 위치 결정이 행해지거나, 코어 핀 (43) 의 직경 방향으로 통상 부재 (22K) 가 어긋난 상태에서, 통상 부재 (22K) 의 위치 결정이 행해지거나 한다.
또, 선단면 (43C) 에 상당하는 면 (400) 이 경사져 있으면, 부호 7A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각상의 쐐기상의 영역이 형성되고, 이 쐐기상의 영역에는, 용융 수지가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쐐기상의 영역에 용융 수지가 들어가기 어려워지면, 본래, 충전이 예정되어 있던 지점에, 용융 수지가 충전되지 않는 사태가 발생되기 쉬워진다
그리고, 이 경우, 기능성 수지층 (22G) 의 단부 (22S) 가, 수지에 의해서 덮이지 않게 되는 사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비해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코어 핀 (43) 의 직경 방향을 따른 선단면 (43C) 에, 통상 부재 (22K) 가 닿는 구성에서는, 통상 부재 (22K)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코어 핀 (43) 의 기단 (43X) 측에 대한 통상 부재 (22K) 의 이동이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이 경우, 통상 부재 (22K) 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직경부 (43A) 의 외주면 (22Z) 이 코어 핀 (43) 의 축 방향을 따르고 있거나, 또는, 코어 핀 (43) 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외주면 (22Z) 의 경사 각도 α 가 60°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쐐기상의 영역이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쐐기상의 영역 R5 (도 5 참조) 의 선단 각도는 커진다.
이 경우, 충전이 예정되어 있는 지점에, 용융 수지가 충전되지 않는다는 상기한 문제가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이 경우, 기능성 수지층 (22G) 의 단부 (22S) 가 수지에 의해서 덮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융 수지의 충전을 행하면, 도 6(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면 (22Z) 의 주위의 공간에도 용융 수지가 충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주면 (22Z) 의 주위의 공간으로서, 기대 (42) 와 통상 부재 (22K) 의 단면 (Y)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에 용융 수지가 충전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성 수지층 (22G) 의 단부 (22S) 가, 수지에 의해서 덮이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능성 수지층 (22G) 의 타단부 (22W) 도, 캐비티 (32) 내에 위치하고 있어, 기능성 수지층 (22G) 의 타단부 (22W) 도, 수지에 의해서 덮인다.
여기에서, 기능성 수지층 (22G) 의 단부 (일단부) (22S) 나 타단부 (22W) 가 노출된 상태에 있으면, 기능성 수지층 (22G) 이 수분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쉽고, 기능성 수지층 (22G) 의 산소 투과도가 커진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수용 용기 (1) 로의 내용물의 충전 후에, 증기나 열수에 의해서, 수용 용기 (1) 의 전체의 살균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 수용 용기 (1) 는 수분에 노출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기능성 수지층 (22G) 의 단부 (22S) 나 타단부 (22W) 가, 수지에 의해서 덮이는 구성이면, 기능성 수지층 (22G) 은, 수분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워져, 기능성 수지층 (22G) 의 산소 투과도가 커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융 수지의 충전을 행하면, 통상 부재 (22K) (도 5 참조) 의 외주면 (23N) 이, 용융 수지로부터의 열에 의해서 용융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융 수지가 후에 경화되면, 용융 수지가 경화됨으로써 형성되는 통상부 본체 (22H) (도 3 참조) 와, 통상 부재 (22K) 가 서로 고정된 상태로 된다.
그 후,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자형 (80) (도 6(C) 참조) 을 열어, 완성된 배출용 부재 (20) 를 꺼낸다.
도 8 은, 수용 용기 (1) 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구성예에서는, 통상 부재 (22K) 의 단면 (Y) 이, 수지에 의해서 덮이지 않고,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구성예에 있어서도, 상기와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배출용 부재 (20) 를 제조한다.
단, 도 8 에서 나타내는 이 배출용 부재 (20) 의 제조에 있어서는, 코어 핀 (43) 에 형성하는 대직경부 (43A) (도 5 참조) 의 두께 (코어 핀 (43)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를 작게 한 후에, 또, 통상 부재 (22K) 의 단면 (Y) 의 거의 전체 면을 선단면 (43C) (도 5 참조) 에 닿게 한 후에, 용융 수지의 충전을 행한다.
이 구성예에서는, 상기와 동일하게, 통상부 (22) 의 일단부측 개구 (22D) 의 주위에, 환상의 단면 (Y)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구성예에서는, 통상 부재 (22K) 의 단면 (Y) (통상부 (22) 의 일단부 (22A) 측에 위치하는 단면 (Y)) 이, 수지에 의해서 덮이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또한, 이 구성예에서는, 폐색 부재 (30) 에, 환상의 단면 (Y) 에 접촉하는 환상의 접촉부 (34)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부 (34) 는, 폐색 부재 (30) 중, 단면 (Y) 에 대향하는 대향면 (30V) 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접촉부 (34) 는, 원통상으로 형성된 폐색 부재 (30) 와 동심축 상에 배치되고, 또, 통상부 (22) 와 동심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이 구성예에서는, 통상부 (22)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비교했을 경우에, 환상의 접촉부 (34) 와 환상의 단면 (Y) 이 접촉하는 접촉 지점 SP1 쪽이, 기능성 수지층 (22G) 보다, 통상부 (22) 의 축 중심 (22R) 에 가까운 측에 위치한다.
또한, 이 구성예에서는, 폐색 부재 (30) 의 축 중심 (30R) 상에, 통상부 (22) 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그 선단이, 통상부 (22) 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원주상의 돌출부 (30T) 가 형성되어 있다.
기능성 수지층 (22G) 은, 상기와 같이, 수분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쉽고, 수분이 기능성 수지층 (22G) 에 가해지면, 산소 투과도가 상승하기 쉽다.
이 구성예에서는, 통상부 (22) 의 내부의 내용물이, 통상 부재 (22K) 의 단면 (Y) 의 대향 위치까지 이동하면, 수분이 기능성 수지층 (22G) 에 가해지는 형태가 되어, 기능성 수지층 (22G) 의 산소 투과도가 상승하기 쉽다.
이에 비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촉부 (34)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부 (22) 의 내부의 내용물의 이동이 이 접촉부 (34) 에 의해서 규제되게 되고, 통상 부재 (22K) 의 단면 (Y) 과 대향면 (30V) 사이를 통과하여, 내용물이 기능성 수지층 (22G) 에 도달하는 것이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 부재 (22K) 의 내주면 (23M) 에 돌출부 (30T) 가 접촉하고, 이 돌출부 (30T) 에 의해서도, 기능성 수지층 (22G) 으로의 내용물의 이동이 규제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촉부 (34) 가 형성됨으로써, 기능성 수지층 (22G) 으로의 내용물의 이동이 더욱 규제된다.
이 경우, 기능성 수지층 (22G) 의 산소 투과도가 상승하는 것이 억제되어, 수용 용기 (1) 에 수용된 내용물의 품질을 보다 장기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 에서 나타낸 폐색 부재 (30) 는, 도 1 ∼ 3 에서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사용해도 된다.
도 8 에서 나타낸 폐색 부재 (30) 를, 도 1 ∼ 3 에서 나타낸 배출용 부재 (20) 에 대해서 장착하면, 도 9 (수용 용기 (1) 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에 나타내는 구성이 된다.
이 구성에서는, 도 8 에서 나타낸 구성과는 달리, 통상 부재 (22K) 의 단면 (Y) 에 대해서 접촉부 (34) 가 접촉하는 것은 아니고, 용융 수지의 경화에 의해서 형성된 수지층 (220) 에 대해서 접촉부 (34) 가 접촉한다.
도 9 에서 나타내는 이 구성에서는, 통상 부재 (22K) 의 단면 (Y) 을 덮는 부분 (수지층 (220)) 에 대해서, 접촉부 (34) 가 접촉한다.
이 구성에서는, 기능성 수지층 (22G) 은, 통상부 (22) 의 단면 (22T) 까지 도달하지 않고, 기능성 수지층 (22G) 의 단부 (22S) 와, 접촉부 (34) 가 접촉하는 단면 (22T) 사이에, 통상 부재 (22K) 의 단면 (Y) 을 덮는 수지층 (220)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통상 부재 (22K) 의 단면 (Y) 을 덮는 이 수지층 (220) 에 대해서, 접촉부 (34) 가 접촉한다.
또, 이 구성에서는, 상기와 같이, 통상부 (22)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비교했을 경우에, 환상의 접촉부 (34) 와 환상의 단면 (22T) 이 접촉하는 접촉 지점 SP2 쪽이, 기능성 수지층 (22G) 보다, 통상부 (22) 의 축심 (22R) 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예에서도, 부호 10A 로 나타내는 공간 (이하,「공간 (10A)」라고 칭한다) 으로의 내용물의 이동이 발생되기 어려워져, 기능성 수지층 (22G) 에 수분이 공급되는 것이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이 구성예에서는, 단면 (Y) 을 덮는 수지층 (220) 을 사이에 두고, 단부 (22S) 가 위치하는 측은 반대측에 공간 (10A) 이 존재하지만, 이 공간 (10A) 으로의 내용물의 이동이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이 경우, 이 공간 (10A) 에 내용물이 도달하기 쉬운 구성에 비해서, 기능성 수지층 (22G) 에 수분이 공급되는 것이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본적으로, 상기한 수지층 (220) 을 형성함으로써, 기능성 수지층 (22G) 으로의 수분의 공급을 억제할 수 있지만, 접촉부 (34) 를 형성함으로써, 기능성 수지층 (22G) 으로의 수분의 공급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기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 에서 설명한 처리에 의해서, 배출용 부재 (20) 가 제조된다.
그 후,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조된 이 배출용 부재 (20) 가, 용기 (10) 에 장착된다. 그리고, 배출용 부재 (20) 의 일단부측 개구 (22D) (도 2 참조) 를 통해서, 용기 (10) 의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된다. 이어서, 폐색 부재 (30) 가 장착되고, 수용 용기 (1) 가 완성된다.
또, 그 밖에, 예를 들어, 배출용 부재 (20) 가 제조되면, 먼저, 이 배출용 부재 (20) 에 폐색 부재 (30) 를 장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내용물이 충전된 후의 용기 (10) 에 대해서, 폐색 부재 (30) 가 장착된 이 배출용 부재 (20) 를 장착하여, 수용 용기 (1) 를 완성시킨다.
1 : 수용 용기, 3G : 수지층, 3H : 수지층, 10 : 용기, 20 : 배출용 부재, 21 : 피장착부, 22 : 통상부, 22A : 일단부, 22B : 타단부, 22G : 기능성 수지층, 22H : 통상부 본체, 22K : 통상 부재, 22R : 축심, 22Z : 외주면, 23A : 제 1 내직경부, 23B : 제 2 내직경부, 23C : 접속면, 30 : 폐색 부재, 34 : 접촉부, 41 : 웅형, 43 : 코어 핀, 43A : 대직경부, 43C : 선단면, K1 : 외주면, K2 : 내주면, K3 : 하류측 단면, K4 : 하류측 단면, K5 : 상류측 단면, Y : 단면

Claims (18)

  1.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배출에 사용되는 배출용 부재로서,
    상기 용기에 장착되는 피장착부와,
    통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로부터의 내용물이 통과하고,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기능성 수지층이 중간층으로서 배치된 통상 부재가 형성된 통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상 부재에 형성된 상기 기능성 수지층이, 당해 통상 부재의 외주면 및 내주면 중 당해 외주면측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배출용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부를 상기 내용물이 통과할 때, 당해 내용물은,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당해 통상부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측을 향하고,
    상기 통상부에는, 상기 통상 부재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통상으로 형성되어 당해 통상 부재를 지지하는 통상부 본체가 형성되고,
    상기 통상부 본체의 상기 일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단면과, 상기 통상 부재의 당해 일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단면의 위치를 비교했을 경우에, 당해 통상 부재의 당해 하류측 단면쪽이, 당해 통상부 본체의 당해 하류측 단면보다, 상기 통상부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측에 위치하는 배출용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수지층은, 상기 통상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됨과 함께 당해 통상 부재의 상기 하류측 단면까지 도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상 부재의 상기 하류측 단면 중, 상기 기능성 수지층이 도달하는 부분이, 당해 하류측 단면에 대향 배치된 수지층에 의해서 덮여 있는 배출용 부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부재는, 상기 하류측 단면과는 반대측에 상류측 단면을 갖고,
    상기 기능성 수지층은, 상기 통상 부재의 상기 상류측 단면까지 도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상 부재의 상기 상류측 단면 중, 상기 기능성 수지층이 도달하는 부분이, 당해 상류측 단면에 대향 배치된 수지층에 의해서 덮여 있는 배출용 부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층으로서 배치된 상기 기능성 수지층은, 당해 기능성 수지층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다른 층보다 산소 투과도가 낮고, 당해 기능성 수지층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다른 층보다 산소 투과도가 낮으며, 산소의 투과를 억제하는 층인 배출용 부재.
  6.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당해 용기에 장착되어 당해 용기 내의 내용물의 배출에 사용되는 배출용 부재를 구비하고, 당해 배출용 부재가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출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용 용기.
  7.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배출에 사용되어 내주면 및 외주면을 갖고 기능성 수지층이 중간층으로서 배치된 통상 부재가 형성된 배출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단측에 대직경부를 갖는 코어 핀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기능성 수지층이 중간층으로서 배치되며 또한 당해 기능성 수지층이 상기 외주면측에 가깝게 배치된 상기 통상 부재의 장착을 행함과 함께, 당해 대직경부 중의 당해 코어 핀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면에 대해서 당해 통상 부재를 닿게 하여 당해 코어 핀에 대한 당해 통상 부재의 장착을 행하는 장착 공정과,
    상기 통상 부재가 장착된 상태의 상기 코어 핀의 주위의 공간에 용융 수지를 충전하는 충전 공정을 갖는 배출용 부재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면은, 상기 코어 핀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장착 공정에서는, 상기 코어 핀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상기 면에, 상기 통상 부재가 닿아지는 배출용 부재의 제조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부의 외직경쪽이, 상기 통상 부재의 외직경보다 작고, 상기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상기 면에 대해서, 당해 통상 부재의 단면의 일부가 닿아지는 배출용 부재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부에는, 상기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상기 면인 제 1 면에 접속되어 상기 통상 부재의 상기 단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면이 형성되고,
    상기 충전 공정에서는, 상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상기 제 2 면의 주위의 공간에도, 용융 수지가 충전되고,
    상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상기 제 2 면은, 상기 코어 핀의 축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거나, 또는, 당해 코어 핀의 기단측을 향하여 진행됨에 따라서 당해 코어 핀의 축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진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는 배출용 부재의 제조 방법.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수지층의 내직경보다 상기 대직경부의 외직경쪽이 작은 배출용 부재의 제조 방법.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부의 외직경쪽이, 상기 통상 부재의 외직경보다 작고,
    상기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상기 면인 제 1 면에 대해서 상기 통상 부재의 단면이 닿을 때, 당해 통상 부재 중의 상기 기능성 수지층보다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당해 제 1 면에 닿고, 당해 기능성 수지층이, 당해 제 1 면에 접촉하지 않는 배출용 부재의 제조 방법.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부의 외직경이, 상기 통상 부재의 외직경과 내직경의 합을 2 로 나눈 값보다 작은 배출용 부재의 제조 방법.
  14.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배출에 사용되어 내주면 및 외주면을 갖고 기능성 수지층이 중간층으로서 배치된 통상 부재가 형성된 배출용 부재의 제조에 사용하는 사출 성형용 금형으로서,
    봉상으로 형성되고,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면이 형성된 대직경부를 기단측에 갖고, 상기 기능성 수지층이 중간층으로서 배치되며 또한 상기 외주면측에 당해 기능성 수지층이 가깝게 배치된 상기 통상 부재의 장착이 선단측부터 행해지고, 선단측부터 장착된 당해 통상 부재가 당해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당해 면에 닿아지는 코어 핀과,
    상기 코어 핀의 주위에 배치되고, 용융 수지를 충전하기 위한 공간을 당해 코어 핀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형을 구비하는 사출 성형용 금형.
  15.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배출에 사용되는 배출용 부재로서,
    통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로부터의 내용물이 통과하고,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개구가 형성되어 당해 개구의 주위에 환상의 단면이 형성되고, 기능성 수지층이 중간층으로서 배치된 통상부와,
    상기 환상의 상기 단면에 접촉하는 환상의 접촉부를 갖고, 상기 통상부의 상기 일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개구를 막는 폐색 부재를 구비하는, 폐색 부재 장착 배출용 부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부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비교했을 경우에, 상기 환상의 상기 접촉부와 상기 환상의 상기 단면이 접촉하는 접촉 지점쪽이, 상기 기능성 수지층보다, 당해 통상부의 축심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폐색 부재 장착 배출용 부재.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수지층은, 상기 통상부의 상기 단면까지 도달해 있지 않고, 당해 기능성 수지층의 당해 단면측의 단부와, 상기 접촉부가 접촉하는 당해 단면 사이에,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폐색 부재 장착 배출용 부재.
  18.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당해 용기에 장착되어 당해 용기 내의 내용물의 배출에 사용되는 폐색 부재 장착 배출용 부재를 구비하고, 당해 폐색 부재 장착 배출용 부재가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폐색 부재 장착 배출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용 용기.
KR1020227018565A 2019-12-06 2020-12-01 배출용 부재, 수용 용기, 배출용 부재의 제조 방법, 사출 성형용 금형, 및, 폐색 부재 장착 배출용 부재 KR202201127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21740 2019-12-06
JP2019221740A JP2021091420A (ja) 2019-12-06 2019-12-06 排出用部材、収容容器、排出用部材の製造方法、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塞ぎ部材付き排出用部材
PCT/JP2020/044583 WO2021112053A1 (ja) 2019-12-06 2020-12-01 排出用部材、収容容器、排出用部材の製造方法、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塞ぎ部材付き排出用部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769A true KR20220112769A (ko) 2022-08-11

Family

ID=76222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8565A KR20220112769A (ko) 2019-12-06 2020-12-01 배출용 부재, 수용 용기, 배출용 부재의 제조 방법, 사출 성형용 금형, 및, 폐색 부재 장착 배출용 부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30002136A1 (ko)
EP (1) EP4070930A4 (ko)
JP (1) JP2021091420A (ko)
KR (1) KR20220112769A (ko)
CN (1) CN114787043A (ko)
AU (1) AU2020396319A1 (ko)
BR (1) BR112022010390A2 (ko)
CA (1) CA3164040A1 (ko)
MX (1) MX2022006580A (ko)
WO (1) WO202111205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41061A (ja) 2016-02-05 2017-08-17 旭化成株式会社 バリア口栓及びバリア口栓付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8064B2 (ja) * 2003-05-02 2010-11-10 株式会社細川洋行 口栓部の構造
JP2006327651A (ja) * 2005-05-27 2006-12-07 Hosokawa Yoko Co Ltd 液体容器
JP4848800B2 (ja) * 2006-03-06 2011-12-28 東洋製罐株式会社 複合スパウト及び複合スパウトを形成する射出成形装置
KR101321328B1 (ko) * 2006-03-06 2013-10-23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복합 스파우트 및 복합 스파우트를 형성하는 사출 성형 장치
JP5306587B2 (ja) * 2006-09-29 2013-10-02 東洋製罐株式会社 ガス遮断性を有するスパウ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スパウトを装着したスパウト付き容器
JP5955506B2 (ja) * 2011-02-03 2016-07-20 株式会社型システム スパウトの製造方法
JP5844120B2 (ja) * 2011-11-01 2016-01-13 押尾産業株式会社 注出口具
CN106458374B (zh) * 2014-06-23 2019-03-01 株式会社细川洋行 袋体用流出器、附带流出器的袋体以及袋体用流出器的制造方法
JP2019031328A (ja) * 2017-08-09 2019-02-28 旭化成株式会社 スパウト
JP7242174B2 (ja) * 2017-11-30 2023-03-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プリフォーム、及び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41061A (ja) 2016-02-05 2017-08-17 旭化成株式会社 バリア口栓及びバリア口栓付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2053A1 (ja) 2021-06-10
CA3164040A1 (en) 2021-06-10
EP4070930A4 (en) 2024-06-19
US20230002136A1 (en) 2023-01-05
BR112022010390A2 (pt) 2022-08-23
MX2022006580A (es) 2022-07-04
EP4070930A1 (en) 2022-10-12
CN114787043A (zh) 2022-07-22
AU2020396319A1 (en) 2022-06-23
JP2021091420A (ja)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5781B2 (en) Spout for pouch, spout-attached pouch,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pout for pouch
KR101321328B1 (ko) 복합 스파우트 및 복합 스파우트를 형성하는 사출 성형 장치
US11890784B2 (en)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an inner layer and the outer layer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preform for making it
EP1442762B1 (en) Prefilled syringe and production method for a barrel thereof
JP4771315B2 (ja) 多層ブロー容器
RU2463159C2 (ru) Составная упаковка "bag-in-container", изготовленная способом выдувного формования, состоящая из внутреннего слоя и слоя, содержащего энергопоглощающие присадки; преформа для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способ для ее производства
US20100239799A1 (en)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an inner layer and the outer layer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preform for making it
SE511766C2 (sv) Flerskiktsrör av plast och dess användning
WO2015119284A1 (ja) シリンジバレルの製造方法
JP4848800B2 (ja) 複合スパウト及び複合スパウトを形成する射出成形装置
KR20220112769A (ko) 배출용 부재, 수용 용기, 배출용 부재의 제조 방법, 사출 성형용 금형, 및, 폐색 부재 장착 배출용 부재
JPH0977136A (ja) 積層ボトル
JP2014046676A (ja) ブロー成形品のインサート部材の取付構造
JP4934330B2 (ja) 複合スパウト及び複合スパウトを形成する射出成形装置
US20200001544A1 (en) Method for installing filler tube and installation structure for filler tube
JP5072239B2 (ja) 複合スパウト
JP2019031328A (ja) スパウト
US11919384B2 (en) Resin filler tub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JP5471754B2 (ja) 燃料タンク製造方法及び燃料タンク
US20210188081A1 (en) Resin filler tub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JP2012071441A (ja) 注出具の製造方法及びその注出具
JPH0364389B2 (ko)
JP2909880B2 (ja) 搾り出しチューブ容器のチューブヘッド、及びそのチューブヘッドの製造方法
JP2014231376A (ja) 袋体用注出具、注出具付袋体、袋体用注出具の成形金型、及び、袋体用注出具の製造方法
JP2002234057A (ja) 樹脂製枠体の射出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