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469A - 에어백 모듈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469A
KR20220109469A KR1020227024060A KR20227024060A KR20220109469A KR 20220109469 A KR20220109469 A KR 20220109469A KR 1020227024060 A KR1020227024060 A KR 1020227024060A KR 20227024060 A KR20227024060 A KR 20227024060A KR 20220109469 A KR20220109469 A KR 20220109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bag
cover
airbag cushio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루 하부
쇼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20109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7/00Safety equipment
    • B62J27/20Airbag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ther means for limitation of cover motion during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65Type of vehicles
    • B60R2021/0088Cycles, e.g. 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의 팽창 전개 시에 하우징을 열리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한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모듈의 구성은 에어백 쿠션과, 에어백 쿠션에 내장된 인플레이터와, 에어백 쿠션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하우징은 단면도가 볼록한 다각 형상으로서 상측이 개구로 되어 있고 에어백이 팽창 전개할 시에 서로 대면하는 제1 한 쌍의 측면이 이간하도록 펼쳐지고, 상기 에어백 모듈은 하우징의 개구 및 측면을 덮는 커버를 더 구비하고, 커버 중 하우징의 개구를 덮는 상면 부분에는 상면 부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주위보다도 취약하며 제1 한 쌍의 측면이 이간함으로써 개열하는 제1 취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백 모듈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과, 에어백 쿠션을 수납하는 상자 형상의 하우징을 구비하는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에어백 장치가 대부분 표준 장비되어 있다. 에어백 장치는 차량 충돌 등의 긴급 시에 작동하는 안전 장치로서, 가스압으로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쿠션을 이용하여 승차인을 받아내어 보호한다. 팽창 전개 전의 에어백 쿠션은 접거나 권회 등에 의해 작게 정리된 수납 형태로 되어 차량의 각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스티어링 칼럼을 덮는 칼럼 커버의 하면 측에 접혀 수납되는 에어백과, 에어백에 팽창용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한 무릎 보호용 에어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 장치에서는 인플레이터로부터 토출된 팽창용 가스가 유입된 에어백이 칼럼 커버 하면 측의 수납 부위로부터 돌출하여 칼럼 커버의 하면 측을 덮도록 팽창 전개한다. 이에 의해 운전자의 양 무릎을 보호 가능하게 하고 있다.
특허문헌1 : 일본특허공개2007-203937호 공보
긴급 시에는 에어백을 신속하게 팽창 전개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하우징이 쉽게 열리지 않으면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지장이 발생하거나 에어백을 원하는 타이밍에 팽창 전개시키거나 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하우징을 더욱 쉽게 열리게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에어백의 팽창 전개 시에 하우징을 열리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한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모듈의 대표적인 구성은 접히거나 또는 권회된 에어백 쿠션과, 에어백 쿠션에 내장된 인플레이터와, 에어백 쿠션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하우징은 단면도가 볼록한 다각형 형상으로서, 상측이 개구로 되어 있고, 에어백 쿠션이 팽창 전개할 시에 서로 대면하는 제1 한 쌍의 측면이 이간하도록 펼쳐지고, 상기 에어백 모듈은 하우징의 개구 및 측면을 덮는 커버를 한층 더 구비하며, 커버 중 하우징의 개구를 덮는 상면 부분에는 상면 부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주위보다도 취약하며 제1 한 쌍의 측면부가 이간함으로써 개열하는 제1 취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쿠션에 의해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이 이간하도록 펼쳐진다. 이에 의해 하우징의 상측의 개구가 펼쳐진다. 이 때문에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시에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에어백 쿠션이 외부로 전개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하우징이 열리기 쉬워짐으로써 에어백 쿠션의 전개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개 거동이 안정하고 더욱 빠르게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기 때문에 승차인 상해값을 저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우징이 열리기 쉬워짐으로써 에어백 쿠션의 전개 시의 내압 저하에 의한 쿠션 내성(耐性)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쿠션 기포량(基布量)의 저하나 하우징의 판 두께 저감이 예상되기 때문에 가격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단순히 커버에 의해 하우징의 개구를 덮는 구성이면 특히 하우징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 에어백 쿠션이 커버를 찢어 외부로 팽창 전개하기 전에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이 이간하게 된다. 그러면 하우징의 변형만이 발생하고 에어백 쿠션의 전개가 지연되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상기 구성에서는 커버에 대하여 하우징의 상면 부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취약부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에어백 쿠션이 팽창 전개할 시에 커버는 제1 취약부에 있어서 개열한다. 이 때문에 에어백 쿠션이 개열한 제1 취약부로부터 외부로 효율적으로 팽창 전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을 신속하게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상기 볼록한 다각 형상은 사각 형상이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볼록한 다각형'이란 세 개 이상의 직선 또는 곡선의 선분으로 둘러싼 평면 도형으로서, 모든 각의 내각이 2직각보다 작은 다각형인 것을 가리킨다. 또한 단면도는 상하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부터 관찰한 것이라고 정의한다.
상기 커버 중 하우징의 서로 대면하는 제2 한 쌍의 측면을 덮는 부분에는 제1 취약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속하여 하방을 향하여 각각 연장하고 있고 주위보다도 취약하며, 제1 취약부의 개열에 연속하여 개열하는 제2 취약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시에 제2 취약부에 있어서도 커버가 개열한다. 이에 의해 에어백 쿠션이 팽창 전개할 시의 커버의 개구를 더욱 크게 열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2 한 쌍의 측면의 단면도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방향은 제1 한 쌍의 측면의 단면도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방향과 직교해도 된다.
상기 커버에는 하우징의 개구를 덮는 부분과 하우징의 제2 한 쌍의 측면을 덮는 부분의 경계를 따라 연장하고 있고 주위보다도 취약하며, 제1 취약부의 개열에 연속하여 개열하는 제3 취약부를 가져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커버는 제1 취약부 및 제3 취약부에 있어서 개열하게 된다. 이에 의해 커버의 개구를 더욱 넓게 할 수 있고 에어백 쿠션을 더 신속하게 팽창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의 팽창 전개 시에 하우징을 열리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한 에어백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버의 모식적인 A-A 단면도이다.
도 3은 커버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4는 커버의 제3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5는 제1 하우징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a)의 다리부를 직선 A-A로 절단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제1 하우징 구조의,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시의 거동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8은 제2 하우징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하우징 구조의 신축벽이 펼쳐진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3 하우징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a)의 연결 부재 근방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 모듈을 탑재한 차량을 예시하는 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기타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특별히 명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 기능, 구성을 가지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거나 또는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에서는 상방 및 하방을 'Up'및 'Down'으로 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 모듈(400)의 사시도이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1에서는 에어백 모듈(400)의 하우징(410), 에어백 쿠션(420) 및 인플레이터(430)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 모듈(400)은 하우징(410)을 구비한다. 하우징(410)의 내부에는 접히거나 또는 권회된 에어백 쿠션(420)이 수납되어 있다. 에어백 쿠션(420)에는 인플레이터(430)가 내장되어 있다.
하우징(410)은 단면도가 사각 형상으로서 상측이 개구(410a)로 되어 있다. 에어백 쿠션(420)이 팽창 전개할 시에 하우징(410)의 네 개의 측면(412a, 412b, 414a, 414b) 중 서로 대면하는 제1 한 쌍의 측면(412a, 412b)이 Ar1 방향으로 이간하도록 펼쳐져 하우징(410)이 변형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410)의 상측의 개구(410a)가 펼쳐진다. 에어백 쿠션(420)의 팽창 시에 하우징(410)의 개구(410a)로부터 에어백 쿠션(420)이 외부로 전개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하우징(410)이 열리기 쉬워짐으로써 에어백 쿠션(420)의 전개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개 거동이 안정되고 더욱 빠르게 승차인을 구속 가능하기 때문에 승차인 상해값을 저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우징(410)이 열리기 쉬워짐으로써 에어백 쿠션(420)의 전개 시의 내압 저하에 의한 쿠션 내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쿠션 기포량의 저하나 하우징(410)의 판 두께 저감이 예상되기 때문에 원가의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에서는 단면도가 사각 형상의 하우징(410)을 예시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410)은 사각 형상 이외의 볼록한 다각 형상이어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에어백 모듈(400)에서는 하우징(410)의 개구(410a) 및 네 개의 측면(412a, 412b, 414a, 414b)을 덮는 커버(440)를 더 구비한다. 커버(440)는 하우징(410)의 개구(410a)를 덮는 상면 부분(440a)과 하우징(410)의 네 개의 측면(412a, 412b, 414a, 414b)에 대향하는 네 개의 대향면(442a, 442b, 444a, 444b)을 가진다.
제1 실시형태의 특징으로서 커버(440)에는 제1 취약부(462) 및 제2 취약부(464a, 464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취약부(462)는 커버(440) 중 하우징(410)의 개구(410a)를 덮는 부분인 상면 부분(440a)에 형성되어 상면 부분(440a)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제1 취약부(462)는 주위보다도 취약하며 제1 한 쌍의 측면(412a, 412b)이 이간함으로써 개열한다.
제2 취약부(464a, 464b)는 커버(440) 중 하우징(410)의 서로 대면하는 제2 한 쌍의 측면(414a, 414b)을 덮는 부분인 대향면(444a, 444b)에 형성되어 제1 취약부(462)의 양단으로부터 연속하여 하방을 향하여 각각 연장하고 있다. 제2 취약부(464a, 464b)는 주위보다도 취약하며 제1 취약부(462)의 개열에 연속하여 개열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440)에 제1 취약부(462)를 설치함으로써 에어백 쿠션(420)이 팽창 전개할 시에 커버(440)는 제1 취약부(462)에 있어서 개열한다. 따라서 개열한 제1 취약부(462)로부터 에어백 쿠션(420)을 외부로 효율적으로 팽창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취약부를 가지지 않는 커버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에어백 쿠션(420)을 신속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 모듈(400)에서는 커버(440)에 제2 취약부(464a, 464b)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버(440)는 에어백 쿠션(420)의 팽창 전개 시에 제2 취약부(464a, 464b)에 있어서도 개열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420)이 팽창 전개할 시의 커버(440)의 개구를 더욱 크게 열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420)을 더욱 신속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외부로 팽창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한 쌍의 측면(414a, 414b)의 측면 단면도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방향은 제1 한 쌍의 측면(412a, 412b)의 단면도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방향과 교차하면 된다.
도 2는 도 1의 커버(440)의 모식적인 A-A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440)에는 에어백 쿠션(420)이 팽창 전개할 시에 이간하는 제1 한 쌍의 측면(412a, 412b)이 아닌 제2 한 쌍의 측면(414a, 414b)에 대향하는 대향면(444a, 444b)에 힌지(446a, 446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446a, 446b)를 대향면(444a, 444b)에 고정하기 위한 훅(hook) (448a, 448b, 448c, 448d)에 스트랩(450a, 450b)이 걸림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취약부(462) 및 제2 취약부(464a, 464b)가 개열함으로써 커버(440)가 두 개로 분열했다고 해도 스트랩(450a, 450b)에 의해 분열한 커버(440)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분열한 커버(440)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은 커버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이다. 제1 실시형태의 커버(440)에는 상면 부분(440a)에 제1 취약부(462)가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대향면(444a, 444b)에 제2 취약부(464a, 464b)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반해 도 3에 예시하는 커버(540)에는 제1 취약부(462) 및 제2 취약부(464a, 464b)에 더하여 제3 취약부(466a, 466b)가 형성되어 있다.
제3 취약부(466a, 466b)는 하우징(410)의 개구(410a)(도 1 참조)를 덮는 부분인 상면 부분(440a)과 하우징(410)의 제2 한 쌍의 측면(414a, 414b)(도 1 참조)을 덮는 부분인 대향면(444a, 444b)의 경계를 따라 연장하고 있다. 제3 취약부(466a, 466b)는 주위보다도 취약하며 제1 취약부(462)의 개열에 연속하여 개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커버(540)는 에어백 쿠션(420)의 팽창 전개 시에 제1 취약부(462) 및 제2 취약부(464a, 464b)에 더하여 제3 취약부(466a, 466b)에 있어서 개열한다. 이에 의해 커버(540)의 개구를 더욱 넓힐 수 있고 에어백 쿠션(420)을 더 신속하게 팽창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는 커버의 제3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이다. 제1 실시형태의 커버(440)에는 상면 부분(440a)에 제1 취약부(462)가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대향면(444a, 444b)에 제2 취약부(464a, 464b)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반해 도 4에 예시하는 커버(640)에는 제1 취약부(462)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2 취약부(464a, 464b)에 의한 대향면(444a, 444b)의 개열은 발생하지 않지만 제1 취약부(462)에 의한 상면 부분(440a)의 개열은 발생한다. 따라서 제1 취약부(462)의 개열 부분으로부터 에어백 쿠션(420)을 외부로 팽창 전개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4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640)처럼 제1 취약부(462)만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커버(640)는 적어도 상면 부분(440a)을 가지면 되고 반드시 대향면(442a, 442b, 444a, 444b)을 가질 필요는 없다.
(하우징)
이어서 도 1에 예시하는 하우징(410)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하우징 구조를 설명한다. 도 5는 제1 하우징 구조(110)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1의 하우징 구조(110)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제1 하우징 구조(110)를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a)의 다리부를 직선 A-A로 절단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6에서는 도 5(a)에 나타내지 않은 에어백 쿠션(420) 및 인플레이터(430)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5(a) 및 (b)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구조(110)는 사각 형상으로서 제1 부재(130) 및 제2 부재(140)를 가진다. 제1 부재(130)는 세 개의 측벽(130a, 130b, 130c)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부재(140)는 제1 부재(130)와 서로 마주하도록 세 개의 측벽(140a, 140b, 140c)을 이루고 제1 부재(130)의 내측과 겹쳐 있다.
도 6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부재(130) 및 제2 부재(140) 각각의 저벽(底壁)(132, 142)으로부터는 다리부(134, 144)가 연장하고 있다. 제1 하우징 구조(110)는 이 다리부(134, 144)에 있어서 볼트(152) 및 너트(154)에 의해 프레임(106)에 고정된다. 제1 하우징 구조(110)에서는 이 볼트(152)가 제1 부재(130)와 제2 부재(140)를 연결하여 이들이 상대적으로 회전 이동할 시의 회전 이동 축이 된다.
또한 도 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하우징 구조(110)에는 제1 부재(130)와 제2 부재(140)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 부재로서 핀(162) 및 브래킷(164)이 설치되어 있다. 핀(162)은 제1 부재(130)에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164)은 원호 형상으로서 제2 부재(140)에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164)에는 핀(162)이 삽입 통과되어 미끄럼 이동 가능한 원호 형상의 슬롯(164a)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도 5의 제1 하우징 구조(110)의, 에어백 쿠션(420)의 팽창 전개 시의 거동을 설명하는 도이다. 에어백 쿠션(420)이 팽창 전개하기 전에는 도 7(a)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핀(162)은 브래킷(164)의 슬롯(164a)의 시점(P1)에 위치한다. 그리고 에어백 쿠션(420)이 팽창 전개하면 그 압력에 의해 제1 부재(130)가 밀려나온다. 이에 의해 핀(162)이 브래킷(164)의 슬롯(164a) 내를 이동하고, 제1 부재(130)가 제2 부재(140)에 대하여 회전 이동 축(볼트(152))의 주위에서 회전 이동한다. 그리고 도 7(b)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핀(162)은 슬롯(164a)의 종점(P2)까지 이동하고, 상자 형상의 제1 하우징 구조(110)의 상측 개구(121)가 펼쳐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부재(130)가 제2 부재(140)에 대하여 회전 이동함으로써 제1 하우징 구조(110)의 상측의 개구가 펼쳐진다. 즉, 에어백 쿠션(420)의 팽창 전개 시에 제1 하우징 구조(110)의 개구가 열리기 쉬워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하우징 구조(110)가 열리기 쉬워짐으로써 에어백 쿠션의 전개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과 같이 제1 하우징 구조(110)에 핀(162) 및 브래킷(164)을 설치함으로써 제1 부재(130)의 제2 부재(140)에 대한 회전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된 동작이 가능해지고 원하는 거동을 확실하게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구조(110)는 회전 이동 축인 볼트(152)에 접속되는 베어링(166)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제1 부재(130)가 제2 부재(140)에 대하여 회전 이동할 시의 볼트(152)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재(130)나 제2 부재(140)가 더욱 원활하게 회전 이동하기 때문에 상술한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은 도 2의 하우징 구조(210)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구조(210)는 상측이 개구(210a)로 되어 있는 네 개의 측벽(212, 214, 216, 218) 및 두 개의 신축벽(220a, 220b)을 포함한다. 두 개의 신축벽(220a, 220b)은 한 개의 측벽(212)과 그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측벽(214, 218)을 연결하고 있다. 두 개의 신축벽(220a, 220b)은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420)(도 1 참조)이 팽창 전개하기 전에는 접힌 상태로 되어 있다.
도 9는 도 8의 하우징 구조(210)의 신축벽(220a, 220b)이 펼쳐진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신축벽(220a, 220b)은 에어백 쿠션(420)(도 1 참조)이 팽창 전개할 시에 이와 같이 펼쳐진다. 이에 의해 네 개의 측벽(212, 214, 216, 218)의 상측의 개구(210a)가 펼쳐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에어백 쿠션(420)의 팽창 전개 시에 하우징 구조(210)의 개구(210a)가 열리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에어백 쿠션(420)의 전개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고 전개 거동이 안정된다. 따라서 더욱 빠르게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기 때문에 승차인 상해값을 저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도 9에 예시하는 제2 하우징 구조(210)에서는 두 개의 신축벽(220a, 220b)은 삼각 형상을 가진다. 두 개의 신축벽(220a, 220b)은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대표하여 신축벽(220a)을 사용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벽(220a)은 측벽(212)의 가장자리를 따르는 제1 변(226)과, 측벽(214)의 가장자리를 따르는 제2 변(224)과, 제1 변(226) 및 제2 변(224)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3 변(222)으로 구성되는 삼각 형상을 가진다.
상기 구성에서는 두 개의 신축벽(220a, 220b)이 상방을 향함에 따라 폭이 넓어지는 삼각 형상이다. 이에 의해 에어백 쿠션(420)의 팽창 전개 시에 두 개의 신축벽(220a, 220b)이 펼쳐질 때, 하우징 구조(210)의 개구(210a)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 넓어진다. 이에 의해 에어백 쿠션(420)의 전개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0은 제3 하우징 구조(310)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0(a)은 제3 하우징 구조(310)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10(b)은 도 10(b)의 제3 하우징 구조(310)를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a)의 연결 부재(350) 근방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a) 및 (b)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3 하우징 구조(310)는 제1 부재(330) 및 제2 부재(340)를 포함한다. 제1 부재(330)는 세 개의 측벽(330a, 330b, 330c)을 가진다. 제2 부재(340)는 세 개의 측벽(340a, 340b, 340c)을 가지고 제1 부재(33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1 부재(330) 및 제2 부재(340)는 연결 부재(35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10(b) 및 도 1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부재(350)는 제1 연결 부재(360) 및 제2 연결 부재(370)를 포함한다. 제1 연결 부재(360)는 접합부(362), 연결부(364) 및 굴곡부(366)를 가진다. 접합부(362)는 제1 부재(330)에 접합되는 부위이고, 연결부(364)는 제2 연결 부재(370)와 연결되는 부위이다. 접합부(362)와 연결부(364) 사이에는 굴곡하는 부위인 굴곡부(366)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 부재(370)는 접합부(372), 연결부(374) 및 굴곡부(376)를 가진다. 접합부(372)는 제2 부재(340)에 접합되는 부위이고, 연결부(374)는 제1 연결 부재(360)와 연결되는 부위이다. 접합부(372)와 연결부(374)의 사이에는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굴곡한 부위인 굴곡부(376)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360)의 연결부(364)와 제2 연결 부재(370)의 연결부(374)는 도 10(a)에 나타내는 볼트(352)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너트(354)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의해 제1 연결 부재(360) 및 제2 연결 부재(370)를 개재하여 제1 부재(330)와 제2 부재(340)가 연결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에어백 쿠션(420)(도 1 참조)이 팽창 전개하면 그 압력에 의해 연결 부재(350)의 굴곡한 부위인 굴곡부(366, 376)가 도 11에 나타내는 화살표(D2, D3)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에 의해 제1 부재(330)가 도 10(a)에 나타내는 화살표(D1) 방향을 향하여 제2 부재(340)로부터 이간하여 제3 하우징 구조(310)의 상측의 개구(310a)(도 10(b) 참조)가 펼쳐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두 개의 연결 부재(제1 연결 부재(360) 및 제2 연결 부재(370))를 사용하는 구성을 예시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부재(360)의 연결부(364)를 제2 부재(340)에 접합하면 제2 연결 부재(370)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상술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에어백 모듈을 탑재한 차량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12(a)는 차량으로서 이륜차(10)를 예시하고, 이륜차(10)에 탑재하는 에어백 모듈로서 제1 실시형태의 에어백 모듈(400)을 예시한다. 단, 차량은 당연히 이륜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륜차여도 되고, 탑재되는 에어백 모듈도 다른 실시형태의 에어백 모듈을 사용해도 된다.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륜차(10)의 전부, 즉 승차인(P)의 전방에는 에어백 모듈(400)이 탑재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400)의 하우징(410)의 내부에는 접히거나 또는 권회된 에어백 쿠션(420) 및 그것에 내장된 인플레이터(430)가 수용되어 있다(도 1 참조).
도 12(b)는 도 12(a)의 에어백 모듈(400)이 팽창 전개할 시의 거동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이륜차(10)의 주행 시에는, 승차인(P)은 위치(P')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앞으로 기운 자세로 되어 있다. 긴급 시에는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410)이 제1 취약부(462), 제2 취약부(464a, 464b)(도 1 참조)에 있어서 개열한다. 이에 의해 에어백 쿠션(420)은 하우징(410)의 외부로 팽창 전개하여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차인(P)을 구속하여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이상에서 서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예로서, 이것 이외의 실시형태도 각종 방법으로 실시 또는 수행 가능하다. 특별히 본원 명세서 중에 한정된다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 발명은 첨부 도면에 나타낸 상세한 부품의 형상, 크기 및 구성 배치 등에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 명세서 중에 사용된 표현 및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특별히 한정된다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로 상정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며 그것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과, 에어백 쿠션을 수납하는 상자 형상의 하우징을 구비하는 에어백 모듈에 이용할 수 있다.
10…이륜차, 106…프레임, 110…제1 하우징 구조, 121…개구, 130…제1 부재, 130a…측벽, 130b…측벽, 130c…측벽, 132…저벽, 134…다리부, 140…제2 부재, 140a…측벽, 140b…측벽, 140c…측벽, 142…저벽, 144…다리부, 152…볼트, 154…너트, 162…핀, 164…브래킷, 164a…슬롯, 166…베어링, 210…제2 하우징 구조, 210a…개구, 212…측벽, 214…측벽, 216…측벽, 218…측벽, 220a…신축벽, 220b…신축벽, 222…제3 변, 224…제2 변, 226…제1 변, 310…제3 하우징 구조, 310a…개구, 330…제1 부재, 330a…측벽, 330b…측벽, 330c…측벽, 340…제2 부재, 340a…측벽, 340b…측벽, 340c…측벽, 350…연결 부재, 352…볼트, 354…너트, 360…제1 연결 부재, 362…접합부, 364…연결부, 366…굴곡부, 370…제2 연결 부재, 372…접합부, 374…연결부, 376…굴곡부, 400…에어백 모듈, 410…하우징, 410a…개구, 412a…측면, 412b…측면, 414a…측면, 414b…측면, 420…에어백 쿠션, 430…인플레이터, 440…커버, 440a…상면 부분, 442a…대향면, 442b…대향면, 444a…대향면, 444b…대향면, 446a…힌지, 446b…힌지, 448a…훅, 448b…훅, 448c…훅, 448d…훅, 450a…스트랩, 450b…스트랩, 462…제1 취약부, 464a…제2 취약부, 464b…제2 취약부, 466a…제3 취약부, 466b…제3 취약부, 540…커버, 640…커버

Claims (5)

  1. 접히거나 또는 권회된 에어백 쿠션과, 상기 에어백 쿠션에 내장된 인플레이터와, 상기 에어백 쿠션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단면도가 볼록한 다각 형상으로서 상측이 개구로 되어 있고,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 전개 시에 서로 대면하는 제1 한 쌍의 측면이 이간하도록 펼쳐지고,
    상기 에어백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 및 측면을 덮는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 중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덮는 상면 부분에는 상기 상면 부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주위보다도 취약하며 상기 제1 한 쌍의 측면이 이간함으로써 개열하는 제1 취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한 다각 형상은 사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중 상기 하우징의 서로가 대면하는 제2 한 쌍의 측면을 덮는 부분에는 상기 제1 취약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속하여 하방을 향하여 각각 연장하고 있고 주위보다도 취약하며 상기 제1 취약부의 개열에 연속하여 개열하는 제2 취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한 쌍의 측면의 단면도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방향은 상기 제1 한 쌍의 측면의 단면도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덮는 부분과 상기 하우징의 제2 한 쌍의 측면을 덮는 부분과의 경계를 따라 연장하고 있고 주위보다도 취약하며 상기 제1 취약부의 개열에 연속하여 개열하는 제3 취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KR1020227024060A 2019-12-18 2020-10-21 에어백 모듈 KR202201094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28075 2019-12-18
JP2019228075 2019-12-18
PCT/JP2020/039570 WO2021124674A1 (ja) 2019-12-18 2020-10-21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469A true KR20220109469A (ko) 2022-08-04

Family

ID=7647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060A KR20220109469A (ko) 2019-12-18 2020-10-21 에어백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04970B2 (ko)
EP (1) EP4079583A4 (ko)
JP (1) JP7254213B2 (ko)
KR (1) KR20220109469A (ko)
CN (1) CN114728680A (ko)
BR (1) BR112022009585A2 (ko)
WO (1) WO20211246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02454A1 (en) * 2019-11-25 2022-12-22 Sho Murakami Airbag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0986B (zh) * 2019-10-01 2023-11-14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气囊模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3937A (ja) 2006-02-03 2007-08-16 Toyoda Gosei Co Ltd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3986A (en) * 1988-11-14 1990-02-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dular occupant restraint system
US5308111A (en) * 1993-01-29 1994-05-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flatable restraint having an improved tether
DE29721644U1 (de) * 1997-12-08 1998-04-02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73551 Alfdorf Gassack-Modul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DE29721643U1 (de) * 1997-12-08 1998-04-02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73551 Alfdorf Gassack-Modul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DE29806083U1 (de) * 1998-04-02 1998-07-30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73553 Alfdorf Gassack-Modul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JP4016083B2 (ja) 1998-11-18 2007-12-05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構造
JP2000153745A (ja) 1998-11-20 2000-06-06 Kansei Corp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1010438A (ja) 1999-06-24 2001-01-16 T S Tec Kk サイドエアーバッグ装置装備シート
ES2215808T3 (es) * 2000-04-28 2004-10-16 Inoac Corporation Estructura rompible de un panel de airbag.
DE10136893B4 (de) * 2001-07-25 2006-02-09 Takata-Petri Ag Airbagmodul
US6848705B2 (en) * 2002-03-20 2005-02-01 Autoliv Asp, Inc. Airbag cover with multi-axis deployment
US6793238B2 (en) * 2002-03-20 2004-09-21 Autoliv Asp, Inc. Airbag covers for multi-axis deployment
US7104566B2 (en) * 2002-04-25 2006-09-12 Delphi Technologies, Inc. Airbag module and cover arrangement
JP4907184B2 (ja) 2006-02-02 2012-03-2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09029167A (ja) 2007-07-24 2009-02-12 Autoliv Development Ab エアバッグ用ハウジング
JP5333057B2 (ja) * 2008-11-12 2013-11-06 豊田合成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5479359B2 (ja) 2008-11-14 2014-04-2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JP2011000962A (ja) * 2009-06-18 2011-01-06 Hond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EP2517932B1 (en) * 2009-12-25 2017-09-20 Autoliv Development AB Air bag device
JP5604353B2 (ja) * 2011-03-31 2014-10-0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カバー
DE102013009065A1 (de) * 2013-05-28 2014-12-04 Autoliv Development Ab Knieaufprallschutz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EP3006275B1 (en) 2013-05-31 2018-12-05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device
JP6206310B2 (ja) 2014-04-18 2017-10-04 豊田合成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
DE102017120770A1 (de) 2017-09-08 2019-03-14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Lenkradairbagmodul, lenkradinformationsmodul, lenkrad sowie verfahren zum entfalten eines gassacks
US10688954B2 (en) 2017-11-29 2020-06-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bag assembly with tethered reaction surface and cushion configured to permit forward head rotation
CN208325072U (zh) 2018-06-06 2019-01-04 深圳市麦思美科技有限公司 一种可伸缩的车载蓝光播放器
DE202019103552U1 (de) * 2019-06-27 2020-10-08 ZF Automotive Safety Germany GmbH Fahrergassackmodul sowie Lenkvorrichtung mit einem solchen Fahrergassackmodul
US11447089B2 (en) * 2019-08-23 2022-09-20 Toyoda Gosei Co., Ltd. Airbag assembly with reaction surface
CN114390986B (zh) * 2019-10-01 2023-11-14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气囊模块
US11787362B2 (en) * 2019-11-25 2023-10-17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mod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3937A (ja) 2006-02-03 2007-08-16 Toyoda Gosei Co Ltd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02454A1 (en) * 2019-11-25 2022-12-22 Sho Murakami Airbag module
US11787362B2 (en) * 2019-11-25 2023-10-17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01998A1 (en) 2023-01-05
WO2021124674A1 (ja) 2021-06-24
EP4079583A4 (en) 2023-12-27
CN114728680A (zh) 2022-07-08
BR112022009585A2 (pt) 2022-08-02
EP4079583A1 (en) 2022-10-26
JPWO2021124674A1 (ko) 2021-06-24
JP7254213B2 (ja) 2023-04-07
US11904970B2 (en)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7765B1 (en) Side airbag device
EP1842741A2 (en) Guide plate for side air bag
EP1336537B1 (en) Passenger leg protection apparatus
KR20220109469A (ko) 에어백 모듈
KR20220100036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4433078B2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7345557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KR101786365B1 (ko) 서브챔버가 구비된 에어백
US20070057498A1 (en) Airbag device
CN114630771B (zh) 安全气囊模块
JP6185653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101331977B1 (ko) 에어백 장치
US20120153601A1 (en) Column-mounted knee airbag device
US9079557B2 (en) Airbag
JP2006273244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6240385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2581851B1 (ko)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및 그의 폴딩 방법
JP2006088923A (ja) エアバッグ及び非乗員保護装置
KR20240047519A (ko) 커튼 에어백용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
JP2016011093A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2009023612A (ja) コラム付けニーエアバッグ装置
KR20050076029A (ko) 에어백 보호 장치
KR20050082738A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