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252A -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252A
KR20220059252A KR1020200144610A KR20200144610A KR20220059252A KR 20220059252 A KR20220059252 A KR 20220059252A KR 1020200144610 A KR1020200144610 A KR 1020200144610A KR 20200144610 A KR20200144610 A KR 20200144610A KR 20220059252 A KR20220059252 A KR 20220059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acuum insulation
insulation assembly
door bod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중한
김정훈
신정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4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9252A/ko
Priority to EP21886969.1A priority patent/EP4239264A1/en
Priority to PCT/KR2021/015603 priority patent/WO2022092975A1/ko
Priority to US18/035,023 priority patent/US20230400245A1/en
Publication of KR20220059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8Filling preformed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4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2Household appliances
    • B29L2031/7622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단열조립체(50)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및 그 제조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도어바디(10)와 제2도어바디(20)가 서로 결합되어 도어의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바디(10)와 상기 제2도어바디(20)의 사이에는 단열공간이 만들어지고, 상기 단열공간에는 진공단열조립체(50)가 설치된다.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내부에는 밀폐된 진공챔버가 있고,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는 발포충진부(F)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냉장고 도어의 내부에는 진공단열조립체(50)가 설치되는데,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는 높은 단열성능을 가지므로 기존의 발포충진부(F)를 대체할 수 있고, 따라서 냉장고 도어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및 그 제조방법{Refrigerator door having vacuum insulation assembl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진공단열조립체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공단열체는 부품의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여 열전달을 억제하는 것이다. 상기 진공단열체는 대류 및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온장장치 및 냉장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냉장고에 적용되는 단열방식은 냉장과 냉동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대략 30센티미터가 넘는 두께의 발포 폴리우레탄 단열벽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단열벽은 냉장고의 내부 용적을 줄이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미국공개 특허공보 US2040226956A1(인용문헌 1)에는 진공상태로 냉장고의 단열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13345(인용문헌 2)에는 냉장고 벽체의 내부에 진공단열체를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냉장고의 벽체 내부에 진공단열체를 설치하는 것으로, 역시 단열이 필요한 냉장고 도어에는 진공단열체를 적용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냉장고의 도어는 벽체 보다 상대적으로 내부공간의 폭이 좁아 진공단열체의 설치가 어려운 것이다.
특히, 진공단열체의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용접부가 냉장고 도어의 좁은 내부공간에서 다른 부품과 간섭되기 쉬운데, 용접부가 다른 부품과 간섭되면 용접부가 벌어지면서 진공단열체의 진공상태가 해제될 염려가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냉장고 도어가 이중으로 구성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메인도어와 서브도어가 이중으로 설치되고, 서브도어를 열면 메인도어가 제공하는 서브저장실을 이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만약 진공단열체를 서브도어에 적용하면, 서브도어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서브저장실의 용적을 넓힐 수 있지만, 냉기가 전달될 수 있는 공간도 함께 넓어지면서 자칫 두 도어 사이에 설치된 가스켓 부분에 이슬이 맺힐 우려도 있다.
또한, 진공단열체의 내부에는 복사열을 방지하기 위한 복사차단막이 설치될 수도 있는데, 진공단열체를 냉장고 도어에 적용하면 냉장고 도어가 여닫히는 과정에서 복사차단막이 진공단열체 안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이처럼 복사차단만이 움직이게 되면 소음을 발생시키고, 냉장고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미국공개 특허공보 US2040226956A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1334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 도어의 내부에 진공단열조립체를 적용하되, 진공단열조립체가 냉장고 도어의 내부에서 다른 부품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단열조립체가 적용되어 도어의 수납공간이 넓어지더라도 냉기의 유동경로를 제한하여 가스켓의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장고 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진공단열체를 구성하는 복사차단막이 움직이지 않도록 복사차단막을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도어바디와 제2도어바디가 서로 결합되어 도어의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바디와 상기 제2도어바디의 사이에는 단열공간이 만들어지고, 상기 단열공간에는 진공단열조립체가 설치된다. 상기 진공단열조립체의 내부에는 밀폐된 진공챔버가 있고, 상기 진공단열조립체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는 발포충진부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냉장고 도어의 내부에는 진공단열조립체가 설치되는데, 상기 진공단열조립체는 높은 단열성능을 가지므로 기존의 발포충진부를 대체할 수 있고, 따라서 냉장고 도어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단열조립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접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진공단열조립체의 상기 진공챔버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접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단열공간 내부에서 주변부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발포충진부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도어 내부의 주변부와 상기 접합부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고, 부품간의 간섭에 의해 자칫 진공단열조립체의 진공상태가 해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도어바디에는 냉장고의 저장실 방향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상기 제2도어바디의 하부에는 상기 저장실 또는 메인도어를 향해 다이크부가 돌출된다. 상기 다이크부는 상기 냉장고의 프레임 또는 상기 메인도어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다이크부는 두 도어(메인도어-서브도어) 사이에 형성되는 냉기의 유동경로를 제한하거나, 냉기가 우회하도록 만들 수 있고, 이를 통해 두 도어 사이에 설치된 가스켓이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크부의 끝부분은 상기 제2도어바디와 상기 프레임 사이 또는 상기 제2도어바디와 상기 메인도어와의 사이에 구비되는 가스켓 보다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 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이크부는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메인도어와 만나는 부분의 상부를 덮어 누설유로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크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도어바디의 제1플레이트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다이크부는 서브도어와 메인도어 사이의 누설유로 전체를 차단해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단열조립체는 상기 제1도어바디와 마주보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진공챔버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단열조립체의 상기 진공챔버에는 복사차단막이 설치되고, 상기 복사차단막의 양쪽에는 한 쌍의 스페이서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스페이서는 상기 복사차단막의 결합홀을 통해 서로 조립되어 상기 복사차단막을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로부터 각각 이격시켜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제1케이스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2케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접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접합부는 상기 단열공간의 내부에서 주변부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합부는 도어 내부의 주변부와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고, 부품간의 간섭에 의해 자칫 진공단열조립체의 진공상태가 해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2도어바디는 상기 수납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공간의 배면을 형성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때, (i) 상기 제1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발포충진부가 채워지는 충진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제2도어바디의 일단부는 상기 진공단열조립체의 접합부와 이격되어 상기 접합부와의 사이에 제1이격공간을 가질 수 있고, (ii)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진공단열조립체의 제2케이스와 이격되어 상기 제2케이스와의 사이에 제2이격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두 이격공간은 상기 진공단열조립체가 도어 내부에서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결합홀을 통과하는 보스부가 돌출되는 제1스페이서와, 상기 결합홀을 통과한 상기 보스부의 끝부분이 결합되는 조립홈이 형성되는 제2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보스부는 상기 제1스페이서의 표면을 향해 점점 폭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부의 형상에 의해, 상기 복사차단막이 상기 제1스페이서의 표면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사차단막에는 상기 결합홀의 가장자리를 둘러 버링부가 절곡되고, 상기 버링부는 상기 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스부의 표면을 감쌀 수 있다. 이러한 버링부는 상기 스페이서에서 돌출된 보스부와의 접촉면적을 넓혀주고, 따라서 복사차단막이 한 쌍의 스페이서들 사이에서 승강되는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페이서에는 상기 제1스페이서 방향으로 플랜지부가 돌출되고, 상기 조립홈은 상기 플랜지부의 안쪽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부의 외경은 상기 결합홀의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사차단막이 상기 제2스페이서의 표면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사차단막에는 상기 제1케이스의 내면 또는 상기 제2케이스의 내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비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사차단막에 형성된 비드부는 얇은 복사차단막의 강도를 보강하여 복사차단막이 흔들리면서 발생시키는 소음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단열조립체에는 상기 진공챔버를 외부로 연결시키는 배기포트가 연결되고, 상기 배기포트의 끝부분은 상기 제2도어바디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상기 발포충진부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및 그 제조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냉장고 도어의 내부에는 진공단열조립체가 설치된다. 진공단열조립체는 높은 단열성능을 가지므로 기존의 발포충진부를 대체할 수 있고, 따라서 냉장고 도어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처럼 냉장고 도어의 두께가 줄어들면,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저장실의 체적이 상대적으로 늘어나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진공단열조립체는 내부의 진공챔버를 유지하기 위해 가장자리 부분이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접합부를 갖는데, 이러한 접합부는 냉장고 도어의 내부에서 다른 부품과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접합부가 발포충진부에 의해 감싸지면서, 도어 내부의 주변부와 접합부 사이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부품간의 간섭에 의해 자칫 진공단열조립체의 진공상태가 해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냉장고 도어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가 이중도어(Door in door)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설치되는 서브도어로부터 두 도어 사이를 가로 막는 방향으로 다이크부가 돌출된다. 다이크부는 두 도어 사이에 형성되는 냉기의 유동경로를 제한하거나, 냉기가 우회하도록 만들 수 있고, 이를 통해 두 도어 사이에 설치된 가스켓이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냉장고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진공단열조립체에는 복사차단막이 내장되는데, 복사차단막은 한 쌍의 스페이서로부터 각각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복사차단막이 진공단열조립체의 내면과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진공단열조립체를 구성하는 복사차단막에는 스페이서와의 조립을 위한 조립홀이 있는데, 조립홀의 가장자리에는 버링부가 절곡된다. 이러한 버링부는 스페이서에서 돌출된 보스부와의 접촉면적을 넓혀주고, 따라서 복사차단막이 한 쌍의 스페이서들 사이에서 승강되는 동작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어가 여닫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확실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복사차단막에 형성된 비드부는 얇은 복사차단막의 강도를 보강하여 복사차단막이 흔들리면서 발생시키는 소음을 더욱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어의 내부의 단열을 위해 진공단열조립체를 사용하고, 발포충진부는 진공단열조립체가 없는 가장자리 일부에만 충진된다. 따라서 발포충진부의 양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냉장고 도어의 제작속도가 빨라질 수 있고, 대량생산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발포충진부는 진공단열조립체의 가장자리 부분을 자연스럽게 감싸 고정해주는 역할도 하게 되므로, 별도의 고정장치를 두지 않아도 진공단열조립체가 주변부와의 간섭 없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의 일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의 구조를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서브도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서브도어의 구조를 도 3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5에 도시된 서브도어의 하부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서브도어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2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도 3의 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10은 도 3의 II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진공단열조립체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8의 B부분데 대한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진공단열조립체 중 복사차단막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복사차단막의 조립홀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진공단열조립체의 복사차단막과 제1스페이서가 서로 조립된 모습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구조를 측면에서 보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진공단열조립체(50)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이하 '냉장고 도어'라 함)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 도어의 내부에 진공단열조립체(50)가 내장되어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고, 냉장고 도어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로 구성된 일반적인 냉장고 도어에도 적용할 수 있지만, 도어인도어(Door in door) 타입의 이중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중도어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를 보면, 이중으로 구성된 냉장고 도어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냉장고의 캐비넷(미도시) 쪽에 설치되는 것은 메인도어(100)이고, 메인도어(100)의 바깥쪽에는 서브도어(1)가 설치된다. 여기서 메인도어(100)와 서브도어(1)는 편의상 부여한 명칭으로, 제1도어와 제2도어 또는 내부도어와 외부도어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상기 메인도어(100)와 상기 서브도어(1)는 각각 캐비넷에 설치되되,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도어(100)는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서브도어(1)만 회전시키면, 상기 서브도어(1)와 상기 메인도어(100)의 사이에 마련된 수납공간(P)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P)은 상기 서브도어(1)의 내면에 부착되는 바스켓(27) 등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브도어(1)의 내면이란, 아래에서 설명될 제2도어바디(20)의 표면 중에서 상기 캐비넷의 안쪽을 향하는 면을 의미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서브도어(1)를 열면 상기 메인도어(100)를 통해서 상기 캐비넷의 안쪽에 마련된 저장실이 연결되는데, 이와 달리 상기 서브도어(1)를 열어도 상기 메인도어(100)에 의해 저장실이 가로막힌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메인도어(100)를 먼저 설명하면, 상기 메인도어(100)는 상기 캐비넷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도어(100)의 골격은 대략 사각틀 형태의 메인프레임(105)에 의해 만들어진다. 상기 메인프레임(105)은 하나 또는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메인프레임(105)의 상부에는 상부프레임(107)이 설치되는데, 상기 상부프레임(107)은 상기 메인프레임(105)의 상부 보다 짧게 만들어져 힌지조립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5)과 상부프레임(107)은 일체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100)의 안쪽에는 메인수납공간(122)이 있다. 상기 메인수납공간(122)은 상기 메인프레임(105)에 의해 감싸지는 중심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이다. 상기 메인수납공간(122)은 아래에서 설명될 서브도어(1)의 서브수납공간(22)과 연결되어 하나의 수납공간(P)을 만들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5)의 표면에는 메인가스켓(110)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가스켓(110)은 상기 메인도어(100)와 상기 캐비넷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05)을 둘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가스켓(110)은 상기 메인도어(100)와 상기 캐비넷 사이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들 사이에 자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의 I-I'선에 대한 단면도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도어(100)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가스켓(110)의 아래쪽을 구성하는 메인커버부(115)가 있고, 상기 메인커버부(115)에는 서브도어(1)와 마주보는 하부프레임(120)이 연결된다. 상기 메인커버부(115)와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일체일 수도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에는 냉장고의 저장실 방향으로 돌출된 바닥부(130)가 있고, 상기 바닥부(130)의 위쪽으로는 상기 메인수납공간(122)이 마련된다. 도 2와 도 7을 보면, 상기 바닥부(130)에는 구획벽(140)이 있다. 상기 구획벽(140)은 상기 바닥부(130)에서 상부로 돌출된 구조로, 수납공간(P)을 구획하게 된다. 상기 구획벽(140)은 생략될 수도 있고, 여기에는 다른 부품이 더 결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서브도어(1)를 살펴보면, 도 1와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서브도어(1)는 상기 메인도어(100)와 밀착되어 대략 육면체 형상의 도어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1)는 상기 메인도어(100)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지만, 상기 메인도어(100)와 상기 서브도어(1)는 함께 회전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도어(100)와 상기 서브도어(1)가 함께 회전하여 열리면, 냉장고의 저장실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1)는 냉장고의 겉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상기 서브도어(1)는 냉장고의 외부로 드러난 부분이 된다. 상기 서브도어(1)는 냉장고의 전면 중에서 가장 바깥쪽을 구성하는 부분이므로, 상기 서브도어(1)도 단열기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서브도어(1)의 내부에는 진공단열조립체(50)가 삽입된다.
도 3과 도 4에는 상기 메인도어(100)를 생략하고, 상기 서브도어(1)의 구조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서브도어(1)의 구조를 보면, 크게 제1도어바디(10), 제2도어바디(20), 상부커버(30A) 및 하부커버(30B)가 결합하여 상기 서브도어(1)를 구성하는 하나의 골격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제1도어바디(10)는 상대적으로 바깥쪽을 구성하고, 상기 제2도어바디(20)는 상기 제1도어바디(10)에 결합하여 상기 저장실을 향하게 된다. 즉, 상기 제2도어바디(20)는 상기 서브도어(1)의 내면을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내면이란, 냉장고의 저장실을 향하는 표면을 의미한다.
상기 제1도어바디(10)는 대략 평판구조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도어바디(10)의 골격은 도어플레이트(11)가 만든다. 상기 도어플레이트(11)는 냉장고의 전면을 형성하게 되는 전면플레이트(11a)와, 상기 전면플레이트(11a)에서 절곡되는 측면플레이트(11b)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11a)와 측면플레이트(11b)는 서로 연결되어 대략 'ㄱ'자 형상이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면플레이트(11a)와 상기 측면플레이트(11b)는 일체로 만들어진 것이다.
분해도인 도 6을 보면, 상기 제1도어바디(10)에는 진공단열조립체(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도어바디(20)가 결합된다. 상기 제2도어바디(20)는 상기 제1도어바디(10)와 결합하여 그 사이에 단열공간을 만들 수 있다. 상기 단열공간은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와 후술할 발포충진부(F)에 의해 채워지는데,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가 차지하는 부분 이외에는 발포충진부(F)가 채워진다.
상기 제2도어바디(20)는 외곽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21')과, 상기 서브프레임(21')에 의해 감싸지는 형태의 내부프레임(21)을 포함한다. 상기 서브프레임(21')은 대략 사각틀형태이고, 상기 내부프레임(21)은 서브프레임(21')의 안쪽에 결합되어 상기 서브도어(1)의 내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내부프레임(21)의 구조를 보면,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내부프레임(21)은 제1도어바디(10) 방향, 즉 냉장고의 바깥쪽 방향으로 함몰되어 그 안쪽에 서브수납공간(22)을 만드는 형태가 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내부프레임(21)은 상기 서브수납공간(22)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1플레이트(21a)와, 상기 서브수납공간(22)의 배면을 형성하는 제2플레이트(21b)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서브수납공간(22)의 배면이란 냉장고의 저장실을 향하는 서브도어(1)의 안쪽면을 의미한다. 즉, 상기 제1플레이트(21a)는 내부프레임(21)의 측면부가 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21b)는 내부프레임(21)의 배면부이자 상기 서브수납공간(22)의 바닥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21a)와 상기 제2플레이트(21b)는 일체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21a)는 상기 내부프레임(21)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대략 사각틀형태가 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21b)는 평판구조이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제2플레이트(21b)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제1플레이트(21a)가 돌출된다고 볼 수 도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21a)에는 걸이부(21a')가 있다. 상기 걸이부(21a')는 상기 제1플레이트(21a)에서 돌출된 구조로, 여기에는 바스켓(27, 도 6참조)이 걸릴 수 있다. 상기 걸이부(21a')는 상기 제1플레이트(21a)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렇게 되면 다수개의 바스켓(27)이 상기 서브수납공간(2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21a')는 돌출된 구조가 아니라, 상기 제1플레이트(21a)의 안쪽으로 함몰된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서브수납공간(22)의 폭은 상기 제2도어바디(20)를 구성하는 제2플레이의 표면에서부터 상기 다이크부(24)의 끝부분까지로 볼 수 있다. 도 7에는 상기 서브수납공간(22)의 폭의 크기가 L1으로 표현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가 단열구조의 두께를 얇게 함과 동시에, 상기 다이크부(24)가 연장됨으로써 상기 서브수납공간(22)의 폭이 매우 커질 수 있다. 참고로 도면부호 27은 상기 메인도어(100)와 마주하는 상기 제1플레이트(21a)의 끝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와 도 7을 보면, 상기 제2도어바디(20)에는 다이크부(24)가 있다. 상기 다이크부(24)는 상기 제2도어바디(20)를 구성하는 상기 제1플레이트(21a)에서 더 연장된 구조로 볼 수 있는데, 상기 다이크부(24)는 상기 저장실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다이크부(24)는 상기 제1플레이트(21a)의 전체범위에 걸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일부구간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다이크부(24)는 상기 제2도어바디(20)의 하부에도 구비된다. 도 7을 보면, 상기 다이크부(24)는 상기 제2도어바디(20)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도어(100)를 향해 돌출된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다이크부(24)는 상기 저장실 방향으로 돌출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다이크부(24)는 상기 서브도어(1)의 하부구조를 형성하는 하부커버(30B) 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저장실 방향(도 7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더 돌출된다.
상기 다이크부(24)는 상기 메인도어(100)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다. 상기 다이크부(24)는 상기 메인도어(100)를 구성하는 상기 메인커버부(115)의 상면과 중첩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다이크부(24)의 끝부분이 상기 메인커버부(115) 위쪽에 적층되는 구조가 된다. 만약, 본 발명이 냉장고 도어가 메인도어(100)-서브도어(1)로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도어로 구성된다면, 상기 다이크부(24)의 끝부분은 상기 메인커버부(115)의 위쪽에 중첩되는 것이 아니라, 냉장고의 캐비넷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중첩될 수도 있다.
도시되는 않았으나, 상기 메인도어(100)와 상기 서브도어(1) 사이에는 서브가스켓이 설치되는데, 상기 다이크부(24)의 끝부분은 상기 서브도어(1)와 상기 메인도어(100)와의 사이에 구비되는 서브가스켓 보다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 방향으로 더 돌출된다. 참고로 도 7에는 내측공간(S3)이 표시되어 있는데, 이 부분에 상기 서브가스켓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 상기 다이크부(24)가 상기 메인도어(100)에 중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냉장고의 저장실에서 전달된 냉기가 상기 메인도어(100)와 상기 서브도어(1)의 사이에 위치한 내측공간(S3)으로 유동하기 위해서는 도 7의 화살표와 같은 우회경로를 가질 수밖에 없다. 즉, 냉장고의 냉기가 곧바로 상기 내측공간(S3)으로 유동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냉기는 내측공간(S3)으로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고, 냉기가 서브가스켓의 온도를 낮추어 서브가스켓에 이슬맺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공간(S3)은 결국 냉기의 누설유로가 되므로, 이를 상기 다이크부(24)가 막아주는 것이다.
특히, 냉장고의 냉기는 아래쪽으로 가라앉는 경향을 갖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다이크부(24)는 냉기가 빠져나가는 누설유로(내측공간(S3))의 입구를 가로막고 있어서 이러한 냉기의 유동을 방해해줄 수 있게 된다.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다이크부(24)의 끝부분의 표면과, 이에 중첩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메인커버부(115)의 표면은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사면은 상기 서브도어(1)가 상기 메인도어(100) 쪽으로 회전하면서 닫힐 때 상기 다이크부(24)의 끝부분과 상기 메인커버부(115) 사이가 자연스럽게 서로 안내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경사면은 상기 다이크부(24)가 상기 메인도어(100)에 중첩되는 구간을 길게 하여 냉기의 누설을 더욱 효과적으로 막아줄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다이크부(24)는 상기 제2도어바디(20)의 하부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플레이트(21a)의 전체구간에 걸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크부(24)는 상기 메인도어(100)의 메인프레임(105)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메인도어(100)의 전체 내면과 중첩될 수 있다. 도 5를 보면, 상기 다이크부(24)가 상기 제1플레이트(21a)의 아래쪽 뿐 아니라, 측면에 까지 구비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도 3의 II-II'선에 대한 단면도인 도 8과, 도 8의 A부분을 확대한 도 9를 보면, 상기 서브도어(1)에는 래치수단(23,25)이 있다. 상기 래치수단(23,25)은 상기 서브도어(1)가 상기 메인도어(10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해주는 것으로, 외력에 의해 서브도어(1)가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해준다. 상기 래치수단(23,25)은 래치몸체(25)가 회전운동하거나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메인도어(100)에 걸림상태 또는 풀림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바디(10)와 상기 제2도어바디(20) 사이에 형성된 상기 단열공간에 래치하우징(23)이 내장되고, 상기 래치몸체(25)는 상기 래치하우징(23)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래치하우징(23)은 상기 제2도어바디(2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2도어바디(20)와 별개물일 수도 있다.
상기 래치수단(23,25)에는 상기 래치몸체(25)를 주면을 덮는 래치커버(25a)와, 상기 래치커버(25a)의 안쪽에서 상기 래치몸체(25)를 장착상태로 만드는 장착부(25b)가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장착부(25b)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래치수단(23,25)이 걸림상태가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몸체(25)에는 버튼어셈블리(미도시)가 연결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래치몸체(25)를 동작시키면 상기 래치수단(23,25)이 풀림상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래치하우징(23)을 비롯한 상기 래치수단(23,25)의 주변은 모두 발포충진부(F)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도 9를 보면,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를 제외한 나머지 단열공간은 발포충진부(F)로 채워져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단열공간의 대부분은 진공단열조립체(50)가 차지하고 있는데,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가 차지하는 공간은 폭이 매우 좁다. 그리고,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양단에 해당하는 상기 서브도어(1)의 가장자리 부분에만 상기 발포충진부(F)가 채워진다.
이와 같이, 상기 발포충진부(F)가 채워지는 부분은 상기 단열공간의 가장자리에 한정되므로, 충진제의 주입량과 발포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포충진부(F)의 양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냉장고 도어의 제작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포충진부(F)는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가장자리 부분을 자연스럽게 감싸 고정해주는 역할도 하게 되므로, 별도의 고정장치를 두지 않아도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가 주변부와의 간섭 없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아래에서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열공간에는 진공단열조립체(50)가 삽입된다.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는 상기 서브도어(1)의 단열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내부가 진공챔버로 형성된다. 이러한 진공챔버는 상기 서브도어(1)의 단열성능을 크게 높일 수 있으나, 내부 복사열의 전달을 막는 것은 진공챔버만으로 부족하므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에는 복사차단막(55)이 포함된다.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는 대략 사각판 구조이다.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는 도 8과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서브도어(1)의 좌우길이(도 8참조)전체와, 상하높이(도 10참조) 전체와 유사한 좌우폭 및 상하높이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가장자리는 상기 서브도어(1)의 단열공간 내면으로부터 소정간격 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가장자리란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모서리를 둘러 형성되는 끝부분을 의미한다.
도 11에는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는 외곽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51) 및 제2케이스(53)와, 그 사이에 내장되는 복사차단부(55,57,59)를 포함한다. 상기 제1케이스(51)와 상기 제2케이스(53)는 각각 사각판 구조가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케이스(51) 및 제2케이스(53)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배기포트(53a)를 통해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내부를 진공챔버로 만드는 과정에서, 상기 제1케이스(51)와 상기 제2케이스(53)에는 강한 압력과 높은 온도가 가해질 수 있는데, 이를 견디기 위해서는 상기 제1케이스(51)와 상기 제2케이스(53)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케이스(51)와 상기 제2케이스(53)는 강판이나, 스테인리스스틸, 합금판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케이스(51)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절곡부(52)가 있다. 상기 절곡부(52)는 상기 제2케이스(53)의 표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부분이고, 상기 절곡부(52)에 의해서 상기 제1케이스(51)의 내면, 즉 상기 제2케이스(53)를 향하는 상기 제1케이스(51)의 표면이 대략 함몰된 형태가 된다. 이러한 함몰된 형태의 상기 제1케이스(51)의 안쪽이 바로 진공챔버가 되고, 동시에 상기 복사차단부(55,57,59)가 삽입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절곡부(52)는 상기 제2케이스(53)의 가장자리부(54)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53)에는 배기포트(53a)가 있다. 상기 배기포트(53a)는 상기 제2케이스(53)에서 돌출되는데, 일종의 빈 관구조이다. 상기 배기포트(53a)를 통해서 상기 진공챔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상기 진공챔버 내부의 진공도가 높아질 수 있다. 상기 배기포트(53a)는 배기공정을 마친 후에 일부만 남기고 잘라질 수 있고, 잘리는 과정에서 상기 배기포트(53a)의 끝부분은 압착되어 진공챔버의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배기포트(53a)는 상기 서브도어(1)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도어바디(20)에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단열공간 안에서 상기 상기 발포충진부(F) 안쪽에 묻혀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케이스(51)는 상기 제1도어바디(10)의 내면에 고정되는데, 상기 제1케이스(51)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상기 접합부(K1)는 상기 제1도어바디(1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도 8을 보면, 상기 제1케이스(51)의 양단에 형성된 접합부(K1)가 상기 제1도어바디(10)의 내면,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1a)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1케이스(51)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1a)의 내면에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등에 의해 가고정(假固定)될 수 있다. 상기 서브도어(1)의 내부에 존재하는 충진공간에 발포충진부(F)가 채워지면 상기 제1케이스(51)를 포함한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 전부는 상기 서브도어(1)의 내부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복사차단부(55,57,59)의 구조를 보면, 중간에 복사차단막(55)이 있고, 상기 복사차단막(55)의 양쪽에는 각각 스페이서들(57,59)이 있다. 상기 스페이서들(57,59)은 제1스페이서(57)와 제2스페이서(59)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스페이서(57)는 상기 제1케이스(51)에 가깝고, 상기 제2스페이서(59)는 상기 제2케이스(53)에 가깝다. 상기 스페이서들(57,59)은 상기 복사차단막(55)이 상기 제1케이스(51)의 표면이나 상기 제2케이스(53)의 표면에 닿지 않도록 해준다.
상기 복사차단막(55)은 알루미늄 재질로 만들어지거나, 사출물에 알루미늄증착필름을 부착하여 만들어질 수도 있고, 또는 다양한 재질의 박판의 표면에 금속도금을 하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내부에 상기 복사차단막(55)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복사차단막(55)은 제조와 조립 편의성을 위해서 다수개로 나뉠 수 있는 것인데, 이와 달리 하나의 부품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복사차단막(55)은 다수개가 적층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복사차단막(55)은 상기 한 쌍의 스페이서들(57,59)의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적층될 수도 있다.
상기 복사차단막(55)에는 결합홀(55a)이 있다. 상기 결합홀(55a)은 상기 복사차단막(55)을 관통해서 만들어지는 것인데, 상기 복사차단막(55)에는 복수개의 상기 결합홀(5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55a)을 통해서 상기 복사차단부(55,57,59)를 구성하는 한 쌍의 스페이서들(57,59)이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도 12를 보면, 상기 제1스페이서(57)에는 보스부(57a)가 기둥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복사차단막(55)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스페이서(57)의 반대편에 있는 상기 제2스페이서(59)에는 상기 보스부(57a)와 결합되는 조립홈(59a)이 있다. 상기 조립홈(59a)에는 상기 보스부(57a)의 끝부분이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보스부(57a)가 상기 조립홀을 통과해서 상기 조립홈(59a)에 끼워지므로, 상기 복사차단막(55)은 결과적으로 상기 제1스페이서(57)와 상기 제2스페이서(59) 사이에 설치된다.
도 12에서 보듯이,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전체 높이(H1)는 상기 제1케이스(51)와 상기 제2케이스(53) 사이의 거리가 된다. 상기 진공챔버만 제공하면 되므로, 진공단열조립체(50)의 전체 높이(H1)는 상대적으로 낮게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복사차단막(55)은 얇은 판상이므로,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전체 높이(H1)는 낮아질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보면, 상기 복사차단막(55)은 얇은 판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홀(55a)은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결합홀(55a)은 원형의 구멍이지만, 상기 결합홀(55a)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는 원형의 결합홀(55a)이 도시되어 있으나, 도 14에는 대략 타원형상의 결합홀(55a)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결합홀(55a)의 가장자리에는 버링부(55a')가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홀(55a)의 가장자리란 상기 결합홀(55a)의 내면을 둘러 형성되는 부분을 의미하는데, 상기 버링부(55a')는 이러한 결합홀(55a)의 가장자리를 둘러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버링부(55a')는 절곡된 형태로 만들어져 상기 결합홀(55a)의 전체 높이인 두께를 증가시킨다.
상기 버링부(55a')는 제1스페이서(57)의 보스부(57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스부(57a)의 표면을 감싸게 된다. 도 15에는 상기 결합홀(55a)을 통과한 상기 보스부(57a)의 표면이 상기 보스부(57a)에 의해 감싸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물론 도 15처럼 상기 결합홀(55a)이 타원형상일 수도 있지만, 상기 보스부(57a)의 횡단면과 같이 원형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보스부(57a)는 상부로 갈수록 점점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데, 달리 표현하면 상기 보스부(57a)는 상기 제1스페이서(57)의 표면을 향해 점점 폭이 넓어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스부(57a)의 돌출된 끝부분의 폭은 상기 결합홀(55a)의 내경 보다 작지만, 상기 제1스페이서(57)에 연결된 상기 보스부(57a)의 밑단은 상기 결합홀(55a)의 내경 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결합홀(55a)에 상기 보스부(57a)를 끼우면 도 15에서 보듯이 상기 결합홀(55a)의 내면과 상기 보스부(57a)의 외면 사이에 공간이 존재할 수 있으나, 상기 보스부(57a)를 상기 결합홀(55a)의 안쪽으로 더 깊이 끼워넣으면 상기 보스부(57a)의 외면이 상기 결합홀(55a)의 내면과 닿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링부(55a')는 상기 제1스페이서(57)에서 돌출된 상기 보스부(57a)와의 접촉면적을 넓혀줄 수 있다. 도 16에는 상기 버링부(55a')의 내면이 상기 보스부(57a)의 외면과 면접촉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복사차단막(55)이 한 쌍의 스페이서들(57,59) 사이에서 승강하는 동작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복사차단막(55)의 이동이 제한되면, 상기 서브도어(1)가 여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복사차단막(55)이 한 쌍의 스페이서(57,59)와 부딪히면서 내는 소음이나, 상기 복사차단막(55) 자체가 휘어지면서 발생하는 소음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도 13을 보면, 상기 복사차단막(55)에는 비드부(55b)가 있다. 상기 비드부(55b)는 상기 복사차단막(55)에서 상기 제1케이스(51)의 내면 또는 상기 제2케이스(53)의 내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펀칭공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비드부(55b)는 얇은 판상의 복사차단막(55)의 강도를 보강해주기 위한 구조다. 이러한 비드부(55b)는 얇은 복사차단막(55)의 강도를 보강하여 복사차단막(55)이 흔들리면서 발생시키는 소음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상기 비드부(55b)는 상기 결합홀(55a)의 사이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복사차단막(55)에 상기 비드부(55b)와 상기 결합홀(55a)이 번갈아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비드부(55b)는 다수개가 상기 복사차단막(55)에 구비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비드부(55b)는 상기 결합홀(55a)의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비드부(55b)는 원형으로 함몰된 구조이다.
물론, 상기 비드부(55b)는 상기 제1케이스(51)의 내면 또는 상기 제2케이스(53)의 내면에 닿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만 만들어져야 한다. 그리고 상기 비드부(55b)는 원형이 아니라 다양한 형상일 수 있고, 그 크기도 다양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스페이서(57,59)를 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스페이서(57,59)는 제1스페이서(57)와 제2스페이서(59)로 구성되고, 이들은 수지사출물과 같이 비교적 가볍고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스페이서(57)와 상기 제2스페이서(59)는 상기 복사차단막(55)의 양쪽에 각각 배치된다.
도 12에서 보듯이, 상기 제1스페이서(57)의 보스부(57a)는 상기 결합홀(55a)을 통과하여, 그 끝부분이 상기 제2스페이서(59)에 조립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스페이서(59)에는 조립홈(59a)이 형성되어서, 상기 보스부(57a)의 끝부분을 고정해줄 수 있다. 상기 보스부(57a)가 상기 조립홈(59a)의 안쪽에 고정되면, 상기 제1스페이서(57)와 상기 제2스페이서(59)는 상기 복사차단막(55)을 사이에 두고 서로 조립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2스페이서(59)에는 상기 제1스페이서(57) 방향으로 플랜지부(59a')가 돌출되고, 상기 조립홈(59a)은 상기 플랜지부(59a')의 안쪽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59a')의 외경이 상기 결합홀(55a)의 내경 보다 크면, 상기 플랜지부(59a')가 상기 결합홀(55a)의 안쪽으로 삽입되지 않고, 상기 결합홀(55a)의 가장자리 주변을 지지해줄 수 있다.
즉, (i) 상기 결합홀(55a)의 내경 보다 큰 보스부(57a)의 직경으로 인해서 상기 복사차단막(55)이 상기 제1스페이서(57)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제한되고, (ii) 반대방향으로는 제2스페이서(59)에서 돌출된 상기 플랜지부(59a')가 상기 결합홀(55a)의 주변을 지지하므로 상기 복사차단막(55)이 상기 제2스페이서(59)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도 제한된다.
한편, 상기 제1케이스(51)와 상기 제2케이스(53)는 서로 접합되어 상기 진공챔버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제1케이스(51)의 절곡부(52)는 상기 제2케이스(53)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접합되는 것인데, 예를 들어 상기 제1케이스(51)는 상기 제2케이스(53)와 용접을 통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51)와 상기 제2케이스(53)는 초음파 용착 등을 통해 서로 접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케이스(51)와 상기 제2케이스(53)는 서로 접합되는 접합부(K1)를 갖는데, 상기 접합부(K1)는 상기 접합부(K1)는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합부(K1)가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면, 상기 진공챔버의 내부체적을 최대한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진공챔버의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접합부(K1)가 접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접합부(K1)가 상기 단열공간 내부에서 주변부와 간섭되면 이러한 접합상태가 해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주변부란, 상기 단열공간에 구비된 다양한 부품을 모두 의미하는 것인데, 예를 들어 상기 단열공간에 내장된 래치하우징(23), 제2도어바디(20)의 내면 등이 모두 주변부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접합부(K1)는 이러한 주변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변부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갖는다. 도 8이 A부분을 확대한 도 9를 보면, 상기 접합부(K1)와 상기 주변부인 상기 래치하우징(23) 사이에는 제1이격공간(S1)이 있다. 상기 제1이격공간(S1)은 상기 래치하우징(23)과 상기 접합부(K1)의 사이가 소정거리만큼 떨어져 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만일, 상기 래치하우징(23)이 생략된다면, 상기 제2도어바디(20)를 구성하는 제1플레이트(21a)에서 연장되는 일단부와 상기 접합부(K1) 사이에 상기 제1이격공간(S1)이 존재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발포충진부(F)가 채워지는 충진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제1플레이트(21a)의 일단부와, 상기 접합부(K1)가 서로 이격되어 제1이격공간(S1)이 만들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일종의 빈 공간인 상기 제1이격공간(S1)은 발포충진부(F)에 의해 채워진다. 따라서, 상기 접합부(K1)를 포함하는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는 발포충진부(F)에 의해 감싸진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발포충진부(F)가 상기 접합부(K1)를 냉장고 도어의 내부에서 다른 부품과 간섭되지 않도록 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충진부(F)는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가 상기 서브도어(1)의 내부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도어바디(20)를 구성하는 상기 제1플레이트(21a)와 상기 제2플레이트(21b)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제2케이스(53)와 이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플레이트(21a)와 상기 제2플레이트(21b)가 연결되는 부분은 일종의 모서리가 되는데, 이 부분은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를 향해 가장 돌출된 부분이기도 하다. 상기 제1플레이트(21a)와 상기 제2플레이트(21b)가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상기 제1케이스(51)와 이격되어, 그 사이에 제2이격공간(S2)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이격공간(S1)과 상기 제2이격공간(S2)은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와 주변부 사이의 이격된 빈 공간이다. 그리고 이러한 제1이격공간(S1)과 제2이격공간(S2)은 상기 발포충진부(F)에 의해 채워진다. 상기 발포충진부(F)는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가 상기 주변부와 이격된 상태, 즉 상기 제1이격공간(S1)과 상기 제2이격공간(S2)이 형성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만일,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가 제작과정에서 휘어지거나, 또는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구조이지만 상기 제1도어바디(10)가 전체적으로 곡면형태로 만들어지면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와 제1도어바디(10)가 서로 간섭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이격공간(S1)과 상기 제2이격공간(S2)이 존재하므로,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와 상기 주변부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이격공간(S1)은 상기 제2이격공간(S2)보다 폭이 크다. 상기 제1이격공간(S1)은 상기 제2이격공간(S2) 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가장자리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이격공간(S1)은 상기 접합부(K1)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데, 상기 제2이격공간(S2) 보다 상기 제1이격공간(S1)이 크기 때문에 상기 접합부(K1)가 주변부(래치하우징(23) 등)와 간섭될 염려가 더 줄어들 수 있다.
이때, (i) 상기 제1플레이트(21a)와 상기 제2플레이트(21b)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래치하우징(23) 보다 상기 제1도어바디(10)의 상기 전면플레이트(11a)에 더 가깝기 때문에 상기 제1이격공간(S1)이 상기 제2이격공간(S2) 보다 더 가깝다고 볼 수 있고, 또는 (ii)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가 전체적으로 휘어져서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끝부분인 접합부(K1)가 상기 래치하우징(23)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커졌다고 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브도어(1)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면, 먼저 상기 제1도어바디(10)의 내면에 진공단열조립체(50)가 고정된다.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고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상기 제1케이스(51)가 상기 제1도어바디(10)의 전면플레이트(11a)의 내면 쪽에 접착테잎 등으로 고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는 내부에 진공챔버가 만들어진 상태이다. 즉,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는 상기 제1케이스(51)와 상기 제2케이스(53)의 사이에 진공챔버가 만들어지는데, 상기 진공챔버에는 상기 복사차단부(55,57,5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복사차단부(55,57,59)는 한 쌍의 스페이서들(57,59)과, 상기 한 쌍의 스페이서들(57,59)의 사이에 고정된 복사차단막(55)을 포함한다.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가 제조되는 과정을 보면, 먼저 상기 제1스페이서(57)의 보스부(57a)들이 상기 복사차단막(55)의 결합홀(55a)들을 통과하도록 한 후에, 반대편에서 상기 제2스페이서(59)가 조립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페이서(59)에 있는 조립홈(59a)에 상기 보스부(57a)의 끝부분이 끼워지면, 상기 복사차단막(55)이 상기 제1스페이서(57)와 상기 제2스페이서(59) 사이에 고정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복사차단막(55)의 상기 버링부(55a')는 상기 제1스페이서(57)에서 돌출된 상기 보스부(57a)와의 접촉면적을 넓혀줄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상기 복사차단막(55)이 한 쌍의 스페이서들(57,59) 사이에서 승강하는 동작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복사차단막(55)의 이동이 제한되면, 상기 서브도어(1)가 여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복사차단막(55)이 한 쌍의 스페이서(57,59)와 부딪히면서 내는 소음이나, 상기 복사차단막(55) 자체가 휘어지면서 발생하는 소음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복사차단부(55,57,59)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케이스(51)와 상기 제2케이스(53)가 조립되는데, 이들 사이의 조립은 용접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51)와 상기 제2케이스(53)의 바깥쪽을 따라서 용접이 이루어지면, 용접부는 접합부(K1)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51)와 상기 제2케이스(53)의 사이에는 진공챔버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내부에 진공챔버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면,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상기 배기포트(53a)를 통해서 상기 진공챔버에 존재하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진공배기단계에서는 가열로에 진공단열조립체(50)를 넣고 진공배기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누설테스트를 실시하여 진공챔버의 누설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누설테스트에서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용접 등에 대한 재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누설테스트를 문제없이 통과한 다음에는, 상기 배기포트(53a)를 핀치오프(pinch off)를 하여 상기 진공챔버를 외부공간에 대하여 밀폐할 수 있다.
다시 상기 서브도어(1)를 제작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제1도어바디(10)에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제1도어바디(10)에 제2도어바디(20)가 결합되는 단계가 이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바디(10)와 상기 제2도어바디(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부커버(30A) 및 하부커버(30B)가 결합되어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가 설치된 단열공간이 차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어바디(10)와 상기 제2도어바디(20) 사이의 조립은 별도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단열공간에 발포액이 충진되고 발포되면,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발포충진부(F)가 형성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발포충진부(F)는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가장자리 부분, 특히 상기 접합부(K1)를 자연스럽게 감싸 고정해주는 역할도 하게 되므로, 별도의 고정장치를 두지 않아도 진공단열조립체(50)가 주변부와의 간섭 없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발포충진부(F)에 의해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가 고정되면,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의 접합부(K1)는 주변부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발포충진부(F)가 상기 접합부(K1)를 냉장고 도어의 내부에서 다른 부품과 간섭되지 않도록 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충진부(F)는 상기 진공단열조립체(50)가 상기 서브도어(1)의 내부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해누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 서브도어 10: 제1도어바디
11: 도어플레이트 11a: 전면플레이트
11b: 측면플레이트 20: 제2도어바디
21: 내부프레임 21': 서브프레임
22: 서브수납공간 23: 래치하우징
24: 다이크부 25: 래치몸체
50: 진공단열조립체 51: 제1케이스
53: 제2케이스 55: 복사차단막
55a: 결합홀 55a': 버링부
55b: 비드부 57: 제1스페이서
57a: 보스부 59: 제2스페이서
59a: 조립홈 59a': 플랜지부
F: 발포충진부 K1: 접합부
S1: 제1이격공간 S2: 제2이격공간
S3: 내측공간

Claims (22)

  1.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도어바디;
    상기 제1도어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제1도어바디와의 사이에 단열공간을 만들고, 상기 제1도어바디와 함께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도어바디;
    상기 단열공간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밀폐된 진공챔버가 형성되는 진공단열조립체;와,
    상기 진공단열조립체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단열공간에 채워지는 발포충진부;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공단열조립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접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진공단열조립체의 상기 진공챔버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접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단열공간 내부에서 주변부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발포충진부에 의해 감싸지는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바디에는 냉장고의 저장실 방향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상기 제2도어바디의 하부에는 상기 저장실 또는 메인도어를 향해 다이크부가 돌출되며, 상기 다이크부는 상기 냉장고의 프레임 또는 상기 메인도어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이크부의 끝부분은 상기 제2도어바디와 상기 프레임 사이 또는 상기 제2도어바디와 상기 메인도어와의 사이에 구비되는 가스켓 보다 상기 냉장고의 저장실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이크부의 표면 및 상기 다이크부와 중첩되는 위치에 있는 상기 메인도어의 표면은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이크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까지 연장되어 구비되는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공단열조립체는
    상기 제1도어바디와 마주보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진공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제2도어바디와 마주보는 제2케이스;
    상기 진공챔버에 설치되고, 결합홀이 관통되는 복사차단막;과
    상기 복사차단막의 양쪽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결합홀을 통해 서로 조립되어 상기 복사차단막을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로부터 각각 이격시키는 한 쌍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제1케이스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2케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단열공간의 내부에서 주변부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갖는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바디는
    상기 수납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공간의 배면을 형성하고, 상기 진공단열조립체와 마주보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발포충진부가 채워지는 충진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제2도어바디의 일단부는 상기 진공단열조립체의 접합부와 이격되어 상기 접합부와의 사이에 제1이격공간을 갖고,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진공단열조립체의 제2케이스와 이격되어 상기 제2케이스와의 사이에 제2이격공간을 갖는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이격공간은 상기 제2이격공간 보다 폭이 큰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는 상기 제1도어바디의 내면에 고정되되 상기 제1케이스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1도어바디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결합홀을 통과하는 보스부가 돌출되는 제1스페이서;와,
    상기 결합홀을 통과한 상기 보스부의 끝부분이 결합되는 조립홈이 형성되는 제2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부는 상기 제1스페이서의 표면을 향해 점점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사차단막에는 상기 결합홀의 가장자리를 둘러 버링부가 절곡되고, 상기 버링부는 상기 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스부의 표면을 감싸는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스페이서에는 상기 제1스페이서 방향으로 플랜지부가 돌출되고, 상기 조립홈은 상기 플랜지부의 안쪽에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외경은 상기 결합홀의 내경 보다 큰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15.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사차단막에는 상기 제1케이스의 내면 또는 상기 제2케이스의 내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비드부가 구비되는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공단열조립체에는 상기 진공챔버를 외부로 연결시키는 배기포트가 연결되고, 상기 배기포트의 끝부분은 상기 제2도어바디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상기 발포충진부에 의해 감싸지는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17. 캐비넷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도어;와
    상기 메인도어와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캐비넷에 설치되고, 개방되면 상기 메인도어를 통해 상기 캐비넷의 저장실에 연결되는 서브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도어는
    상기 서브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도어바디;
    상기 제1도어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제1도어바디와의 사이에 단열공간을 만들고, 상기 제1도어바디와 함께 상기 서브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도어바디;
    상기 단열공간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밀폐된 진공챔버가 형성되는 진공단열조립체;와,
    상기 진공단열조립체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단열공간에 채워지는 발포충진부;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바디에는 상기 저장실을 향해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상기 제2도어바디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도어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메인도어의 프레임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다이크부가 구비되는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와 상기 서브도어의 사이에는 가스켓이 설치되고, 상기 다이크부는 상기 가스켓과 연결되는 상기 메인도어와 상기 서브도어의 사이 공간의 입구를 가로막는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20. 제1도어바디의 내면에 진공단열조립체가 고정되는 단계;
    상기 진공단열조립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도어바디에 제2도어바디가 결합되는 단계;
    상기 제1도어바디와 상기 제2도어바디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커버가 결합되어 상기 진공단열조립체가 설치된 단열공간이 차폐되는 단계;
    상기 단열공간에 발포액이 충진되고 발포되면, 상기 진공단열조립체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발포충진부가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바디의 내면에 상기 진공단열조립체가 고정되면, 상기 진공단열조립체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진공단열조립체 내부의 진공챔버를 밀폐하는 접합부는 상기 제1도어바디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2도어바디의 내면과도 이격되는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진공단열조립체에는 상기 진공단열조립체의 내부공기를 배기할 수 있는 배기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포트의 끝부분은 상기 제2도어바디에 결합되거나 상기 발포충진부에 의해 감싸지는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KR1020200144610A 2020-11-02 2020-11-02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59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610A KR20220059252A (ko) 2020-11-02 2020-11-02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및 그 제조방법
EP21886969.1A EP4239264A1 (en) 2020-11-02 2021-11-01 Refrigerator door having vacuum insulation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CT/KR2021/015603 WO2022092975A1 (ko) 2020-11-02 2021-11-01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및 그 제조방법
US18/035,023 US20230400245A1 (en) 2020-11-02 2021-11-01 Refrigerator door having vacuum insulation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610A KR20220059252A (ko) 2020-11-02 2020-11-02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252A true KR20220059252A (ko) 2022-05-10

Family

ID=81382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610A KR20220059252A (ko) 2020-11-02 2020-11-02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400245A1 (ko)
EP (1) EP4239264A1 (ko)
KR (1) KR20220059252A (ko)
WO (1) WO202209297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6956A1 (en) 2003-05-14 2004-11-18 Jeff Brooks Cryogenic freezer
KR20190013345A (ko) 2017-08-01 2019-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997B1 (ko) * 2005-12-22 2012-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447245B1 (ko) * 2015-08-03 202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5551B1 (ko) * 2015-08-03 202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42973B1 (ko) * 2015-08-03 2022-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9852B1 (ko) * 2015-08-03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6956A1 (en) 2003-05-14 2004-11-18 Jeff Brooks Cryogenic freezer
KR20190013345A (ko) 2017-08-01 2019-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400245A1 (en) 2023-12-14
WO2022092975A1 (ko) 2022-05-05
EP4239264A1 (en)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1678B2 (en) Refrigerator comprising vacuum space
KR20180072859A (ko) 냉장고
US12000644B2 (en) Refrigerator
KR20220059252A (ko)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및 그 제조방법
JP2021119325A (ja) 冷蔵庫
JP2013100942A (ja) 冷蔵庫
JP7109606B2 (ja) 冷蔵庫
JP7297616B2 (ja) 断熱箱体、冷蔵庫、および断熱箱体の製造方法
JP6934110B2 (ja) 冷却装置の断熱構造及び冷却装置
JP2023112848A (ja) 冷蔵庫の扉および冷蔵庫
JP2013100941A (ja) 冷蔵庫
JP2017044441A (ja) 冷蔵庫
JP2023116842A (ja) 断熱扉および貯蔵庫
KR20220059310A (ko) 진공단열체
KR20220059317A (ko) 진공단열체
KR20220059323A (ko) 진공단열체
KR20220059329A (ko) 진공단열체
KR20220059353A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220059320A (ko) 진공단열체
JP2013100940A (ja) 冷蔵庫
JP2014020570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