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852B1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Google Patents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852B1
KR102529852B1 KR1020150109724A KR20150109724A KR102529852B1 KR 102529852 B1 KR102529852 B1 KR 102529852B1 KR 1020150109724 A KR1020150109724 A KR 1020150109724A KR 20150109724 A KR20150109724 A KR 20150109724A KR 102529852 B1 KR102529852 B1 KR 102529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vacuum
space
vacuum space
s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6241A (ko
Inventor
정원영
윤덕현
김대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50109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852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010669915.7A priority patent/CN111854303B/zh
Priority to CN202010669947.7A priority patent/CN111854305B/zh
Priority to CN202010671000.XA priority patent/CN111854307B/zh
Priority to PCT/KR2016/008519 priority patent/WO2017023100A1/en
Priority to US15/749,132 priority patent/US11137201B2/en
Priority to CN201680046047.9A priority patent/CN107923702B/zh
Priority to EP16833336.7A priority patent/EP3332196A4/en
Priority to AU2016303870A priority patent/AU2016303870B2/en
Priority to RU2018107697A priority patent/RU2684737C1/ru
Publication of KR20170016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241A/ko
Priority to AU2019236677A priority patent/AU2019236677B2/en
Priority to US17/411,659 priority patent/US20210404737A1/en
Priority to AU2021240269A priority patent/AU2021240269B2/en
Priority to KR1020230057072A priority patent/KR20230069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6Thermal coupling structure or inte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5Break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체에는, 제 1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공간과 온도가 다른 제 2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공간의 온도와 상기 제 2 공간의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제 3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제 3 공간을 유지하는 서포팅유닛;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달량을 감소시키는 열저항유닛; 상기 제 3 공간의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포트; 상기 제 3 공간의 테두리부에 제공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3 공간의 벽을 정의하는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어 부품이 장착되는 주변부 프레임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섭없이 진공단열체의 각 부품을 장착할 수 있고,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본 발명은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진공단열체는 몸체의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여 열전달을 억제하는 물품이다. 상기 진공단열체는 대류 및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온장장치 및 냉장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 냉장고에 적용되는 단열방식은 냉장과 냉동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대략 30센티미터가 넘는 두께의 발포 폴리우레탄 단열벽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로써 냉장고의 내부 용적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냉장고의 내부 용적을 늘리기 위하여 상기 냉장고에 진공단열 체를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먼저,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10-0343719(인용문헌 1)가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 따르면 진공단열패널(Vacuum adiabatic panel)을 제작하고, 상기 진공단열패널을 냉장고의 벽에 내장하고, 상기 진공단열패널의 외부를 스티로폼인 별도 성형물로 마감하는 방식이다. 상기 방식에 따르면 발포가 필요 없고,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방식은 비용이 상승하고 제작방식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다른 예로서 공개특허 10-2015-0012712(인용문헌 2)에는 진공단열재로 벽을 제공하고 그에 더하여 발포 충전재로 단열벽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기술에 제시되어 있다. 이 방식도 비용이 증가하고 제작방식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냉장고의 벽을 전체로 단일물품인 진공단열 체로 제작하는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미국공개특허공보 US 20040226956A1(인용문헌 3)에는 진공상태로 냉장고의 단열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냉장고의 벽을 충분한 진공상태로 제공하여 실용적인 수준의 단열효과를 얻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온도가 서로 다른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와의 접촉부분의 열전달 현상을 막기가 어렵고, 안정된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진공상태의 음압에 따른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들 문제점으로 인하여 인용문헌 3의 기술도 극저온의 냉장장치에 국한하고, 일반 가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기술은 제공하지 못한다.
등록특허 10-0343719 공개특허 10-2015-0012712의 도 7 미국공개특허공보 US 20040226956A1
본 발명은 상기되는 배경에서 제안되는 것으로서, 진공에 의한 충분한 단열효과를 얻고, 상업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를 제안한다.
제 1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체에는, 제 1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공간과 온도가 다른 제 2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공간의 온도와 상기 제 2 공간의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제 3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제 3 공간을 유지하는 서포팅유닛;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달량을 감소시키는 열저항유닛; 상기 제 3 공간의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포트; 상기 제 3 공간의 테두리부에 제공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3 공간의 벽을 정의하는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어 부품이 장착되는 주변부 프레임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제공되는 보스와 상기 주변부 프레임에 제공되어 상기 보스와 정렬되는 홀이 포함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주변부 프레임이 서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주변부 프레임의 사이에는, 가스켓이 고정되는 간격부가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열저항유닛에는 상기 제 3 공간의 벽을 따라 흐르는 전도열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 부재보다 얇고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저항쉬트가 포함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전도저항쉬트를 덮어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가 제공되고, 상기 주변부 프레임에는 상기 포트의 돌출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제공된다. 상기 주변부 프레임에는 힌지축이 고정될 수 있는 힌지 장착부가 제공된다. 상기 서포팅유닛에 제공되는 리브; 및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리브와 접촉되는 안착단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공간부는 진공단열체의 에지부까지 확장될 수 있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의해서 제공되는 상기 진공공간부의 간격은 상기 플레이트 부재로 제공되는 상기 진공공간부의 간격에 비하여 좁게 제공될 수 있다.
제 2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체에는, 제 1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공간과 온도가 다른 제 2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공간의 온도와 상기 제 2 공간의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제 3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제 3 공간을 유지하는 서포팅유닛;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달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열저항유닛; 상기 제 3 공간의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포트; 및 상기 제 3 공간의 외주부에 폐곡선의 형상으로 장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이 장착되는 수지 재질의 주변부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열전달은, 고체전도열전달이 복사열전달보다 크고, 가스전도열이 가장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저항유닛에는 상기 제 3 공간의 벽을 따라 흐르는 열전도에 저항할 수 있는 전도저항쉬트가 포함되고, 상기 전도저항쉬트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와 함께 상기 제 1 진공공간부의 적어도 일부의 외벽을 제공하고, 상기 열저항유닛에는 상기 제 3 공간 내부에 판상으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복사저항쉬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 3 공간 내부에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간의 복사열전달에 저항하는 다공성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공간부의 진공도는 1.8×10-6Torr이상 2.65×10-1Torr이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부는 용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팅유닛에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지지하는 바를 포함하거나 다공성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는,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제공되는 본체; 및 외부공간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도어가 포함되고, 상기 캐비티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 및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열을 빼앗는 증발기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 및 상기 도어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진공단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단열체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외부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와 상기 외부공간의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진공공간부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진공공간부를 유지하는 서포팅유닛;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달량을 감소시키는 열저항유닛; 상기 진공공간부의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포트; 및 상기 제 3 공간의 외주부에 폐곡선의 형상으로 장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이 장착되는 수지 재질의 주변부 프레임이 포함된다.
상기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 프레임에는 힌지축이 고정될 수 있는 힌지 장착부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주변부 프레임과 체결되고, 상기 제 3 공간의 외벽을 제공할 수 있는 금속재질의 사이드 프레임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가 제공되고, 상기 주변부 프레임에는 상기 포트의 돌출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저항유닛에는 상기 제 3 공간의 벽을 따라 흐르는 전도열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 부재보다 얇고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저항쉬트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 측에 고정되는 가스켓은 상기 전도저항쉬트를 덮어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분한 진공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주변부 프레임에 의해서 다수의 부품이 장착될 수 있어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부품 간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냉장고의 본체 및 도어에 사용되는 진공단열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진공공간부의 내부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4는 전도저항쉬트 및 그 주변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체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사이드 프레임과 주변부 프레임의 정렬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8과 도 9는 힌지가 도어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서포팅유닛의 체결을 보이는 도면.
도 11은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진공압에 따른 단열성능의 변화와 가스전도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2는 서포팅유닛이 사용되는 경우에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배기하는 공정을 시간과 압력으로 관찰하는 그래프.
도 13은 진공압과 가스전도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체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체가 도어 인 도어(door in door) 형태의 냉장고에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어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15a는 종래 발포 우레탄이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도 15b는 진공단열체가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안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에 제시되는 도면은 실제 물품과는 다르거나 과장되거나 간단하거나 세밀한 부품은 삭제하여 표시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 기술사상 이해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에 제시되는 크기와 구조와 형상으로 제한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진공압은 대기압보다 낮은 그 어떤 압력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A가 B보다 진공도가 높다는 표현은 A의 진공압이 B의 진공압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에는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캐비티(9)가 제공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3)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3)는 회동할 수 있게 배치되거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캐비티(9)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캐티비(9)는 냉장실 및 냉동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부품이 마련된다. 상세하게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4)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6)와,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열을 빼앗는 증발기(7)가 포함된다. 전형적인 구조로서, 상기 증발기(7)가 인접하는 위치에 팬을 설치하고, 팬으로부터 송풍된 유체가 상기 증발기(7)를 통과한 다음에 캐비티(9)로 송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팬에 의한 송풍량 및 송풍방향을 조정하거나 순환 냉매의 양을 조절하거나 압축기의 압축률을 조정함으로써 냉동부하를 조절하여, 냉장공간 또는 냉동공간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냉장고의 본체 및 도어에 사용되는 진공단열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체 측 진공단열체는 상면과 측면의 벽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고, 도어 측 진공단열체는 전면의 벽 일부가 제거된 상태의 도면이다. 또한, 전도저항쉬트(60)(63)가 제공되는 부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어 이해가 편리하게 되도록 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진공단열체에는, 저온공간의 벽을 제공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고온공간의 벽을 제공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20)와,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의 사이 간격부로 정의되는 진공공간부(5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 간의 열전도를 막는 전도저항쉬트(60)(63)가 포함된다. 상기 진공공간부(50)를 밀폐상태로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를 밀봉하는 밀봉부(61)가 제공된다. 냉장고 또는 온장고에 상기 진공단열체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이너케이스라고 할 수 있고,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아웃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본체 측 진공단열체의 하측 후방에는 냉동사이클을 제공하는 부품이 수납되는 기계실(8)이 놓이고, 상기 진공단열체의 어느 일측에는 진공공간부(50)의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상태를 조성하기 위한 배기포트(40)가 제공된다. 또한, 제상수 및 전기선로의 설치를 위하여 진공공간부(50)를 관통하는 관로(6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측에 제공되는 제 1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측에 제공되는 제 2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제 2 공간은 온도가 서로 다른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공간의 위한 벽은, 공간에 직접 접하는 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공간에 접하지 않는 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공간에 접하는 별도의 벽을 더 가지는 물품의 경우에도 실시예의 진공단열체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진공단열체가 단열효과의 손실을 일으키는 요인은,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열전도와,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열복사, 및 진공공간부(50)의 가스전도(gas conduction)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열전달의 요인과 관련하여 단열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제공되는 열저항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의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는 진공단열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또 다른 단열수단을 더 가지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쪽 일면에 발포 등을 이용하는 단열수단을 더 가질 수도 있다.
도 3은 진공공간부의 내부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공간부(50)는 상기 제 1 공간 및 상기 제 2 공간과는 다른 압력, 바람직하게는 진공 상태의 제 3 공간으로 제공되어 단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 3 공간은 상기 제 1 공간의 온도 및 상기 제 2 공간의 온도의 사이에 해당하는 온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3 공간은 진공 상태의 공간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각 공간의 압력차만큼의 힘에 의해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수축하는 힘을 받기 때문에 상기 진공공간부(50)는 작아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진공공간부의 수축에 따른 복사전달량의 증가,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의 접촉에 따른 전도전달량의 증가에 따른 단열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변형을 줄이기 위하여 서포팅유닛(3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30)에는 바(31)가 포함된다. 상기 바(31)는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 간격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바(31)의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지지 플레이트(35)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바(31)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격자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와 접하는 면적이 작아져서 열전달이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31)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적어도 일 부분에서 고정되어,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사이에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는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여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31)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지지플레이트(35)의 총단면적은 상기 바(31)의 총단면적보다 크게 제공하여, 상기 바(31)를 통하여 전달되는 열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를 통하여 확산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의 재질로는, 높은 압축강도, 낮은 아웃게싱(outgassing) 및 물흡수율, 낮은 열전도율, 고온에서 높은 압축강도, 및 우수한 가공성을 얻기 위하여, PC, glass fiber PC, low outgassing PC, PPS, 및 LCP 중에서 선택되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진공공간부(50)를 통한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 간의 열복사를 줄이는 복사저항쉬트(3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는 부식방지와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인레스 재질은 방사율이 0.16으로서 비교적 높기 때문에 많은 복사열 전달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수지를 재질로 하는 상기 서포팅유닛의 방사율은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비하여 낮고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내면에 전체적으로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복사열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복사저항쉬트는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복사열 전달의 저감에 중점적으로 작용하기 위하여,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면적의 대부분을 가로질러서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사저항쉬트(32)의 재질로는, 방사율(emissivity)이 낮은 물품이 바람직하고, 실시예에서는 방사율 0.02의 알루미늄 박판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한 장의 복사저항쉬트로는 충분한 복사열 차단작용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적어도 두 장의 복사저항쉬트(32)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어느 한 장의 복사저항쉬트는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내면에 접하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서포팅유닛(30)에 의해서 플레이트 부재 간의 간격을 유지하고,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 다공성물질(33)을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물질(33)은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재질인 스테인레스보다는 방사율이 높을 수 있지만, 진공공간부를 충전하고 있으므로 복사열전달의 저항효율이 높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복사저항쉬트(32)가 없이도 진공단열체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진공공간부(50)를 유지하는 서포팅유닛(30)이 제공되지 않는다. 이를 대신하여 다공성물질(33)이 필름(34)에 싸인 상태로 제공되었다. 이때 다공성물질(33)은 진공공간부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압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필름(34)은 예시적으로 PE재질로서 구멍이 뚫려있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서포팅유닛(30)이 없이 진공단열체를 제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다공성물질(33)은 상기 복사저항쉬트(32)의 기능과 상기 서포팅유닛(30)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전도저항쉬트 및 그 주변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에는 각 전도저항쉬트가 구조가 간단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본 도면을 통하여 더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4a에 제시되는 전도저항쉬트는 본체 측 진공단열체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와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밀봉되어야 한다. 이때 두 플레이트 부재는 각각이 온도가 서로 다르므로 양자 간에 열전달이 발생할 수 있다. 종류가 다른 두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도저항쉬트(60)가 마련된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상기 제 3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고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양단이 밀봉되는 밀봉부(61)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상기 제 3 공간의 벽을 따라서 흐르는 열전도량을 줄이기 위하여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얇은 박판으로 제공된다. 상기 밀봉부(610)는 용접부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전도저항쉬트(60)와 플레이트 부재(10)(20)가 서로 융착되도록 할 수 있다. 서로 간의 융착 작용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와 플레이트 부재(10)(20)는 서로 같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스테인레스를 그 재질로 할 수 있다. 상기 밀봉부(610)는 용접부로 제한되지 않고 코킹 등의 방법을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곡선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열전도의 거리는 각 플레이트 부재의 직선거리보다 길게 제공되어, 열전도량은 더욱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를 따라서 온도변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그 외부와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는 차폐부(62)가 제공되어 단열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냉장고의 경우에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고온이고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저온이다. 그리고,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고온에서 저온으로 열전도가 일어나고 열흐름을 따라서 쉬트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한다. 그러므로, 상기 전도저항쉬트(60)가 외부에 대하여 개방되는 경우에는 개방된 곳을 통한 열전달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열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는 차폐부(62)가 제공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저항쉬트(60)가 저온공간 또는 고온공간의 어느 쪽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노출되는 양만큼 전도저항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상기 차폐부(62)는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면에 접하는 다공성물질로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 놓이는 별도의 가스켓으로 예시가능한 단열구조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본체 측 진공단열체가 도어 측 진공단열체에 대하여 닫힐 때 대응하는 전도저항쉬트(60)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공되는 진공단열체의 일 부분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도 열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차폐부(62)는 다공성물질 또는 별도의 단열구조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4b에 제시되는 전도저항쉬트는 도어 측 진공단열체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고, 도 4a에 대하여 달라지는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설명이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바깥쪽으로는 사이드 프레임(70)이 더 제공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70)은 도어와 본체와의 실링을 위한 부품과 배기공정에 필요한 배기포트와 진공유지를 위한 게터포트 등이 놓일 수 있다. 이는 본체 측 진공단열체의 경우에는 부품의 장착이 편리할 수 있지만, 도어측은 위치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도어 측 진공단열체의 경우에는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진공공간부의 선단부, 즉 모서리 측면부에 놓이기 어렵다. 이는 도어(3)의 모서리 에지부는 본체와 달리 외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더 상세하게 상기 전도저항쉬트(60)가 진공공간부의 선단부에 놓이면, 상기 도어(3)의 모서리 에지부는 외부로 드러나기 때문에,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단열을 위하여 별도의 단열부를 구성해야 하는 불리함이 있기 때문이다.
도 4c에 제시되는 전도저항쉬트는 진공공간부를 관통하는 관로에 바람직하게 설치될 수 있고, 도 4a 및 도 4b에 대하여 달라지는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설명이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관로(64)가 제공되는 주변부에는 도 4a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주름형 전도저항쉬트(63)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열전달경로를 길게 할 수 있고, 압력차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도저항쉬트의 단열을 위한 별도의 차폐부도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4a를 참조하여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열전달경로를 설명한다. 진공단열체를 통과하는 열에는, 상기 진공단열체의 표면, 더 상세하게 상기 전도저항쉬트(60)를 따라서 전달되는 표면전도열(①)과,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에 제공되는 서포팅유닛(30)을 따라서 전도되는 서포터전도열(②)과, 진공공간부의 내부 가스를 통한 가스전도열(③)과, 진공공간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복사전달열(④)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전달열은 다양한 설계 수치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가 변형되지 않고 진공압에 견딜 수 있도록 서포팅유닛을 변경할 수도 있고, 진공압을 변경할 수 있고, 플레이트 부재의 간격길이를 달리할 수 있고, 전도저항유닛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고, 플레이트 부재가 제공하는 각 공간(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의 온도차를 어느 정도를 하는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의 경우에는 총열전달량이 종래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제공되는 단열구조물에 비하여 열전달량이 작아지도록 하는 것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구성을 알아내었다. 여기서, 종래 폴리우레탄을 발포하는 냉장고에서의 실질열전달계수는 19.6mW/mK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실시예의 진공단열체의 열전달량을 상대적으로 분석하면, 가스전도열(③)에 의한 열전달이 가장 작아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열전달의 4%이하로 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면전도열(①) 및 상기 서포터전도열(②)의 합으로 정의되는 고체전도열에 의한 열전달이 가장 많다. 예를 들어 75%에 달할 수 있다. 상기 복사전달열(③)은 상기 고체전도열에 비해서는 작지만 가스전도열에 의한 열전달보다는 크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사전달열(③)은 전체 열전달량의 대략 20%를 차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달분포에 따르면, 실질열전달계수(eK: effective K)(W/mK)는 상기 전달열(①②③④)을 비교할 때 수학식 1의 순서를 가질 수 있다.
Figure 112015075349693-pat00001
여기서 상기 실질열전달계수(eK)는 대상 물품의 형상과 온도차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값으로서, 전체 열전달량과 열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온도를 측정하여 얻어낼 수 있는 값이다. 예를 들어 냉장고 내에 정량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가열원을 두고서 발열량을 알고(W), 냉장고의 도어 본체와 도어의 테두리를 통하여 각각 전달되는 열을 도어의 온도분포를 측정하고(K), 열이 전달되는 경로를 환산값으로 확인함으로써(m), 실질열전달계수를 구할 수 있는 것이다.
전체 진공단열체의 상기 실질열전달계수(eK)는 k=QL/A△T로 주어지는 값으로서, Q는 열전달량(W)으로서 히터의 발열량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고, A는 진공단열체의 단면적(m2)이고, L은 진공단열체의 두께(m)이고, △T는 온도차로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표면전도열은, 전도저항쉬트(60)(63)의 입출구의 온도차(△T), 전도저항쉬트의 단면적(A), 전도저항쉬트의 길이(L), 전도저항쉬트의 열전도율(k)(전도저항쉬트의 열전도율은 재질의 물성치로서 미리 알아낼 수 있다)를 통하여 전도열량을 알아낼 수 있다. 상기 서포터전도열은, 서포팅유닛(30)의 입출구의 온도차(△T), 서포팅유닛의 단면적(A), 서포팅유닛의 길이(L), 서포팅유닛의 열전도율(k)을 통하여 전도열량을 알아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팅유닛의 열전도율은 재질의 물성치로서 미리 알아낼 수 있다. 상기 가스전도열(③)과 상기 복사전달열(④)의 합은 상기 전체 진공단열체의 열전달량에서 상기 표면전도열과 상기 서포터전도열을 빼는 것에 의해서 알아낼 수 있다. 상기 가스 전도열과 상기 복사전달열의 비율은 진공공간부의 진공도를 현저히 낮추어 가스 전도열이 없도록 하였을 때의 복사전달열을 구하는 것으로서 알아낼 수 있다.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 다공성물질이 제공되는 경우에, 다공성물질전도열(⑤)은 상기 서포터전도열(②)과 복사열(④)을 합한 양으로 고려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물질전도열은 다공성물질의 종류와 양 등의 다양한 변수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인접하는 바(31)가 이루는 기하학적 중심과 바가 위치하는 곳과의 온도차(△T1)는 0.5도씨 미만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접하는 바가 이루는 기하학적 중심과 진공단열체의 에지부와의 온도차(△T2)는 5도씨 미만으로 제공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전도저항쉬트(60)(63)를 통과하는 열전달 경로가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만나는 지점에서,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평균온도와의 온도차이가 가장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공간이 상기 제 1 공간에 비하여 뜨거운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전도저항쉬트를 통과하는 열전달 경로가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만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지점에서 온도가 최저가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공간이 상기 제 1 공간에 비하여 차가운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전도저항쉬트를 통과하는 열전달 경로가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만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지점에서 온도가 최고가 된다.
이는 전도저항쉬트를 통과하는 표면전도열을 제외하는 다른 곳을 통한 열전달량은 충분히 제어되어야 하고, 표면전도열이 가장 큰 열전달량을 차지하는 경우에 비로소 전체적으로 진공단열체가 만족하는 전체 열전달량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온도변화량은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온도변화량보다 크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진공단열체를 제공하는 각 부품의 물리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진공단열체는 진공압에 의한 힘이 모든 부품에 가하여진다. 따라서, 일정한 수준의 강도(strength)(N/m2)를 가지는 재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70)은 진공압에도 불구하고 파손되지 않는 충분한 강도(strength)가 있는 재질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서포터전도열을 제한하기 위하여 바(31)의 개수를 작게 하는 경우에는 진공압에 의한 플레이트 부재의 변형이 발생하여 외관이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복사저항쉬트(32)는 방사율이 낮으면서 용이하게 박막가공이 가능한 물품이 바람직하고, 외부충격에 변형되지 않은 정도의 강도가 확보되어야 한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은 진공압에 의한 힘을 지지하고 외부충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로 제공되고 가공성이 있어야 한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얇은 판상이면서도 진공압을 견딜 수 있는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 사이드 프레임, 및 전도저항쉬트는 동일한 강도인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복사저항쉬트는 스테인레스보다는 약한 강도인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은 알루미늄보다 약한 강도인 수지를 그 재질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되는 바와 같은 재질의 측면에서 바라본 강도와 달리, 강성 측면에서의 분석이 요청된다. 상기 강성(stiffness)(N/m)은 쉽게 변형되지 않는 성질로서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그 형상에 따라서 강성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63)는 강도가 있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열저항을 높이고 진공압이 가하여질 때 거친면이 없이 고르게 펼쳐져 방사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강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사저항쉬트(32)는 변형으로 다른 부품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수준의 강성이 요청된다. 특히, 상기 복사저항쉬트의 테두리 부분은 자중에 따른 처짐이 발생하여 전도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일정 수준의 강성이 요청된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은 플레이트 부재로부터의 압축응력 및 외부충격에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이 요청된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 및 사이드 프레임은 진공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가장 강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팅유닛, 특히 바는 두번째로 큰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사저항쉬트는 서포팅유닛보다는 약하지만 전도저항쉬트보다는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도저항쉬트는 진공압에 의한 변형이 용이하게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여 가장 강성이 낮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공간부(50) 내부를 다공성물질(33)로 채우는 경우에도 전도저항쉬트가 가장 강성이 낮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레이트 부재 및 사이드 프레임이 가장 큰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체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제시되는 실시예는 도어 측의 진동단열체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설명이 제시되지 않는 부분은 도 4에 제시되는 진공단열체 중에서 도 4b로 제시되는 진공단열체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공간부(50)가 외부의 상압 공간에 대하여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부품으로서, 제 1 플레이트 부재(10), 제 2 플레이트 부재(20), 전도저항쉬트(60), 및 사이드 프레임(7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70)은, 절곡되는 형상으로서 바깥쪽 부분, 다시 말하면 진공단열체의 전체 형상으로 볼 때 테두리 부분은 높이가 낮아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하면, 상기 사이드 프레임(70)의 높이가 낮은 부분의 바깥쪽에는 용적의 손실이 없으면서도 소정의 공간을 확보하여 주변부 프레임(90)이 놓일 수 있다. 상기 주변부 프레임(90)에는 힌지(85)(86), 및 도어 스위치 또는 래치 등과 같은 부가물이 장착되는 주변부 프레임(9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70)의 일단은 상기 전도저항쉬트(60)와 밀봉부(61)에 의해서 체결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70)의 타단은 제 2 플레이트 부재(20)와 에지부에 체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진공공간부(50)가 진공단열체의 에지부까지 확장됨으로써 진공단열체 전체적으로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70)을 따라서 전달된 냉기에 의해서 이술맺힘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의 눈에는 띄지 않고, 사이드 프레임의 용접시에 발생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20)의 변형이 관찰되지 않아서 미감이 향상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는 서포팅유닛(30)이 제공되어 진공공간부(50)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는 복사저항쉬트(32)가 제공되어 진공공간부(50)의 내부를 통한 복사열전달에 대한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변부 프레임(90)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70)의 양측부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간격부(75)가 확보될 수 있다. 상기 간격부(75)에는 가스켓(80)의 일 부분이 삽입되어 가스켓(8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80)의 일 부분은 억지끼움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80)은 적어도 상기 전도저항쉬트(60)를 덮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도저항쉬트(60)의 외면을 통한 단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간격부(75)의 끝단까지 가스켓(80)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간격부(75)를 통한 단열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도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플레이트 부재(10), 제 2 플레이트 부재(20), 및 사이드 프레임(70)이 제공되어 그 내부 공간을 진공공간부(5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70)과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의 접촉부에는 전도저항쉬트가 제공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70)과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 간의 열전도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70)에는 주변부 프레임(90)이 장착된다.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주변부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그 사이에 소정의 간격부(75)가 개입되어 가스켓(80)의 일 부분이 상기 간격부(75)에 끼워져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주변부 프레임(90)은 사이드 프레임을 에워싸는 폐곡선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70)의 소정의 위치에는 배기포트(40), 및 게터포트(4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기포트(40), 및 게터포트(41)는 돌출된 구조물이기 때문에 주변부의 다른 부품에 간섭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데, 상기 주변부 프레임(90)의 적어도 어느 일부는 포트(40)(41)의 높이만큼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다른 물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70)에는 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스(71)는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서 사이드 프레임(70)에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보스(71)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서 발생하는 변형은 주변부 프레임(90)에 의해서 커버되어 외부에는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주변부 프레임(90)은 수지를 그 재질로 할 수 있고, 사이드 프레임(70)에 장착되고, 힌지가 장착되는 힌지 장착부가 제공되어 상측힌지(85) 및 하측힌지(86)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장착부가 제공됨으로써 상기 힌지(85)(86)의 힌지축이 냉장고의 도어 측, 즉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힌지축의 내부에는 토션스프링과 같은 힌지의 자체적인 동작을 위한 다수 구조물이 내장되어 일정한 부피를 가지는데, 이 부피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의 힌지 장착부가 상기 주변부 프레임(90)에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는 진공공간부(50)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서포팅유닛(30)이 제공되고, 복사단열효과를 얻기 위하여 복사저항쉬트(32)가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사이드 프레임과 주변부 프레임의 정렬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이드 프레임(70)에서 소정거리 돌출되는 구조물로서 게터포트(41) 및 배기포트(40)가 제공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70)의 내면에는 보스(71)가 다수 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주변부 프레임(90)에는 상기 포트(40)(41)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92)가 제공되어 상기 포트(40)(41)가 그 내부에 놓이도록 하여 포트가 다른 부품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주변부 프레임(90)에는 홀(83)이 제공되어 상기 홀(83)과 상기 보스(71)가 정렬되도록 하고, 나사가 홀과 보스를 통하여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이드 프레임(70)과 상기 주변부 프레임(90)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주변부 프레임(90)의 어느 일측에는 하측힌지 장착부(81)과 상측힌지 장착부(82)가 소정의 크기로 제공되어 있다. 상기 힌지 장착부(81)(82)는 힌지(85)(86)의 힌지축이 삽입되고 지지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와 강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사용되어 온 힌지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종래 폴리우레탄 방식으로 제공된 냉장고의 제작방식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어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힌지가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힌지(85)(86)의 동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힌지축이 대부분의 부피를 차지하는데, 상기 힌지축이 힌지 장착부(81)(82)에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주변부 프레임(90)은 수지로 제작되기 때문에 힌지의 규격에 맞추어서 다양한 양상으로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서포팅유닛의 체결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서포팅유닛(30)의 어느 일면에 리브(37)를 제공하고, 상기 리브(37)와 대응되는 위치의 제 1 플레이트 부재(10)에 안착단부(15)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가 상기 서포팅유닛(30) 상의 정위치에 놓일 때 상기 리브(37)와 상기 안착단부(15)가 서로 접하여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 부재(10)와 상기 서포팅유닛(30)이 서로 체결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고, 양자 간의 정렬이 편리해지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진공단열체의 내부 상태에 따라서 바람직하게 제시되는 진공압을 설명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는 열전달을 줄일 수 있도록 진공압을 유지해야 한다. 이때에는 가급적 낮은 진공압을 유지하는 것이 열전달의 저감을 위해서 바람직한 것은 용이하게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진공공간부는, 서포팅유닛(30)에 의해서만 열전달에 저항할 수도 있고,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 서포팅유닛과 함께 다공성물질(33)이 충전되어 열전달에 저항할 수도 있고, 서포팅유닛은 적용하지 않고 다공성물질로 열전달에 저항할 수도 있다.
서포팅유닛만이 제공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진공압에 따른 단열성능의 변화와 가스전도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진공압이 낮아질수록 즉, 진공도가 높아질수록 본체만의 경우(그래프 1) 또는 본체와 도어를 합한 경우(그래프 2)의 열부하는, 종래의 폴리우레탄을 발포한 물품과 비교하여 열부하(heat load)가 줄어들어서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정도는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진공압이 낮아질수록 가스전도도(그래프 3)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진공압이 낮아지더라도 단열성능 및 가스전도도가 개선되는 비율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급적 진공압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과도한 진공압을 얻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들고, 과도한 게터(getter)사용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점에서 최적의 진공압을 제안한다.
도 12는 서포팅유닛이 사용되는 경우에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배기하는 공정을 시간과 압력으로 관찰하는 그래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공간부(50)를 진공상태로 조성하기 위하여, 가열하면서(baking) 진공공간부의 부품에 남아있는 잠재적인 기체를 기화시키면서 진공펌프로 진공공간부의 기체를 배기한다. 그러나, 일정 수준 이상의 진공압에 이르면 더 이상 진공압의 수준이 높아지지 않는 지점에 이르게 된다(△t1). 이후에는 진공펌프의 진공공간부의 연결을 끊고 열을 가하여 게터를 활성화시킨다(△t2). 게터가 활성화되면 일정 시간 동안은 진공공간부의 압력이 떨어지지만 정상화되어 일정 수준의 진공압을 유지한다. 게터 활성화 이후에 일정수준의 진공압을 유지할 때의 진공압은 대략 1.8×10-6Torr이다.
실시예에서는 진공펌프를 동작시켜 기체를 배기하더라도 더이상 실질적으로 진공압이 낮아지지 않는 지점을 상기 진공단열체에서 사용하는 진공압의 하한으로 설정하여 진공공간부의 최저 내부 압력을 1.8×10-6Torr로 설정한다.
도 13은 진공압과 가스전도도(gas conductivity)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공간부(50) 내부의 사이 갭의 크기에 따라서 진공압에 따른 가스전도열(gas conductivity)을 실질열전달계수(eK)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갭은 2.76mm, 6.5mm, 및 12.5mm의 세 가지 경우로 측정하였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갭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내부에 상기 복사저항쉬트(32)가 있는 경우는 상기 복사저항쉬트와 인접한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이고, 상기 진공공간부의 내부에 복사저항쉬트가 없는 경우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거리이다.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단열재를 제공하는 종래의 실질열전달계수 0.0196 W/mk과 대응되는 지점은 갭의 크기가 작아서 2.76mm인 경우에도 2.65×10-1Torr인 것을 볼 수 있었다. 한편, 진공압이 낮아지더라도 가스전도열에 의한 단열효과의 저감효과가 포화되는 지점은 대략 4.5×10-3Torr인 지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4.5×10-3Torr의 압력은 가스전도열의 저감효과가 포화되는 지점으로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실질열전달계수가 0.1 W/mk일때에는 1.2×10-2Torr이다.
상기 진공공간부에 상기 서포팅유닛이 제공되지 않고 상기 다공성물질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갭의 크기가 수 마이크로미터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이다. 이 경우에는, 다공성물질로 인하여 비교적 진공압이 높은 경우에도, 즉 진공도가 낮은 경우에도 복사열전달은 작다. 따라서 그 진공압에 맞는 적절한 진공펌프를 사용한다. 해당하는 진공펌프에 적정한 진공압은 대략 2.0×10-4Torr이다. 또한, 가스 전도열의 저감효과가 포화되는 지점의 진공압은 대략 4.7×10-2Torr이다. 또한, 가스전도열의 저감효과가 종래의 실질열전달계수 0.0196 W/mk에 이르는 압력은 730Torr이다.
상기 진공공간부에 상기 서포팅유닛과 상기 다공성물질이 함께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포팅유닛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상기 다공성물질만을 사용하는 경우의 중간 정도의 진공압을 조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진공단열체의 주변부에 장착되는 부재가 크기 및 양에 따라서 상기 간격부(75)를 제공하기 어려운 등, 가스켓(80)이 진공단열체에 직접 체결될 때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고정부(100)에 가스켓(80)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홈으로 예시가능한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에는 도어로 사용가능한 진공단열체가 상기 고정부(100)에 대하여 닫혔을 때, 가스켓(80)이 적어도 전도저항쉬트(60)를 덮어 차폐부(62)로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고정부(100)는 냉장고의 경우에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또는 복수의 도어가 장착되는 냉장고의 경우에는 내측도어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체가 도어 인 도어 형태의 냉장고에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어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15a는 종래 발포 우레탄이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도 15b는 진공단열체가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어 인 도어 냉장고의 도어에는, 외부에 놓이는 제 1 도어(300)(301)와, 내부에 놓이는 제 2 도어(200)(201)가 포함된다. 종래의 제 1 도어(301)는 발포 우레탄을 적용하기 때문에 바스켓이 놓이는 전후방향의 폭이 좁아들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의 제 1 도어(300)는 슬림도어로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바스켓이 놓이는 전후방향의 폭이 넓어지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슬림도어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제 2 도어(200)의 전후방향의 폭을 길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된다. 예를 들어, 종래 발포 우레탄에서 실시예의 슬림도어로 변경되면서 축소된 폭만큼의 두께를 제 2 도어(200)에서 보충할 수 있도록 도어확장부(25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어확장부(250)는 동작에 필요한 부품이 장착될 수도 있고 단열효과를 얻기 위하여 추가적 단열재가 들어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되는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진공단열체의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부품은, 다른 실시예에 적절한 형상의 변경이나 차원의 변경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로써 더 나은 또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도어 측에 적합한 진공단열체의 경우라고 하더라도 형상 및 구성의 적절한 변형을 가함으로써, 본체 측에 적용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제시되는 진공단열체는 냉장고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진공단열체의 적용은 냉장고로 제한되지 아니하고, 초저온냉장장치, 온장장치, 및 송풍장치와 같은 다양한 개소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단열체가 다양한 단열설비에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단열효과를 높여서 에너지 사용효율을 높이고, 설비의 유효용적을 높일 수 있어서, 시급한 산업상의 적용이 적극적으로 기대된다.
90: 주변부 프레임

Claims (35)

  1. 제 1 플레이트 부재;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진공공간부;
    상기 진공공간부의 테두리부에 제공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진공공간부의 벽을 정의하는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어 부품이 장착되는 주변부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제공되는 보스와 상기 주변부 프레임에 제공되어 상기 보스와 정렬되는 홀이 포함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주변부 프레임이 서로 체결되는 진공단열체.
  2. 삭제
  3. 제 1 플레이트 부재;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진공공간부;
    상기 진공공간부의 테두리부에 제공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진공공간부의 벽을 정의하는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어 부품이 장착되는 주변부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주변부 프레임을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면서 가스켓이 고정되도록 간격부가 제공되는 진공단열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달량을 감소시키는 열저항유닛이 포함되는 진공단열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저항유닛에는 상기 진공공간부의 벽을 따라 흐르는 전도열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부재 각각 보다 얇고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저항쉬트가 포함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전도저항쉬트를 덮어서 제공되는 진공단열체.
  6. 제 1 플레이트 부재;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진공공간부;
    상기 진공공간부의 테두리부에 제공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진공공간부의 벽을 정의하는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어 부품이 장착되는 주변부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가 제공되고,
    상기 주변부 프레임에는 상기 포트의 돌출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제공되는 진공단열체.
  7. 제 1 플레이트 부재;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진공공간부;
    상기 진공공간부의 테두리부에 제공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진공공간부의 벽을 정의하는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어 부품이 장착되는 주변부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주변부 프레임에는 힌지축이 고정될 수 있는 힌지 장착부가 제공되는 진공단열체.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공간부는 진공단열체의 에지부까지 확장되는 진공단열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의해서 제공되는 진공공간부의 간격은 상기 제1플레이트 부재와 제2플레이트 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진공공간부의 간격에 비하여 좁은 진공단열체.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청구항 1과 청구항 3과 청구항 6과 청구항 7 중 어느 한 진공단열체가 본체 또는,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냉장고.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제 1 플레이트 부재;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진공공간부;
    상기 진공공간부의 테두리부에 제공되는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어 부품이 장착되는 주변부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주변부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돌출된 구조물 혹은, 상기 돌출된 구조물이 수용되는 수용 부위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면서, 상기 돌출된 구조물이 상기 수용 부위에 체결되거나 맞물리거나 수용되는 진공단열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구조물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주변부 프레임의 체결을 위한 보스 혹은, 포트가 포함되고,
    상기 수용 부위는, 상기 보스가 수용되는 홈 혹은, 수용부가 포함되는 진공단열체.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구조물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제공되고, 상기 수용 부위는 상기 주변부 프레임에 제공되는 진공단열체.
  28. 제 1 플레이트 부재;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진공공간부;
    상기 진공공간부의 테두리부에 제공되는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어 부품이 장착되는 주변부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주변부 프레임에는 힌지축이 고정되는 진공단열체.
  29. 제 1 플레이트 부재;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진공공간부;
    상기 진공공간부의 테두리부에 제공되는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어 부품이 장착되는 주변부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주변부 프레임은 부품의 고정을 위해 적어도 일부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진공단열체.
  30. 제 1 플레이트 부재;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진공공간부;
    상기 진공공간부의 테두리부에 제공되는 사이드 프레임;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달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열저항유닛;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어 부품이 장착되는 주변부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주변부 프레임의 적어도 어느 한 부위나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주변부 프레임 간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공간부 외부와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제공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체.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다공성 물질이나 별도의 단열구조물 혹은, 가스켓 중 하나로 제공되는 진공단열체.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공간부를 유지하는 서포팅유닛이 더 포함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제 2 플레이트 부재 간의 대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서포팅유닛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게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진공단열체.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저항유닛은 상기 진공공간부 내에 위치되어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제 2 플레이트부재 간의 복사열 전달을 저감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제 2 플레이트 부재 간의 대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저항유닛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게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진공단열체.
  3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저항유닛은 상기 진공공간부의 벽을 따라 흐르는 열전도에 저항할 수 있는 전도저항쉬트가 포함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제 2 플레이트 부재 간의 대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게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진공단열체.
  35.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저항유닛은, 상기 진공공간부 내에 위치되어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제 2 플레이트부재 간의 복사열 전달을 저감하는 복사저항쉬트와, 상기 진공공간부의 벽을 따라 흐르는 열전도에 저항하는 전도저항쉬트가 포함되고,
    상기 전도저항쉬트와 상기 복사저항쉬트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제 2 플레이트 부재 간의 대향 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게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진공단열체.
KR1020150109724A 2015-08-03 2015-08-03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9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724A KR102529852B1 (ko) 2015-08-03 2015-08-03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AU2016303870A AU2016303870B2 (en) 2015-08-03 2016-08-02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CN202010671000.XA CN111854307B (zh) 2015-08-03 2016-08-02 真空绝热体
PCT/KR2016/008519 WO2017023100A1 (en) 2015-08-03 2016-08-02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US15/749,132 US11137201B2 (en) 2015-08-03 2016-08-02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CN201680046047.9A CN107923702B (zh) 2015-08-03 2016-08-02 真空绝热体及冰箱
CN202010669915.7A CN111854303B (zh) 2015-08-03 2016-08-02 真空绝热体
CN202010669947.7A CN111854305B (zh) 2015-08-03 2016-08-02 真空绝热体
RU2018107697A RU2684737C1 (ru) 2015-08-03 2016-08-02 Вакуумный адиабатический элемент и холодильник
EP16833336.7A EP3332196A4 (en) 2015-08-03 2016-08-02 ADIABATIC VACUUM BODY AND REFRIGERATOR
AU2019236677A AU2019236677B2 (en) 2015-08-03 2019-09-25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US17/411,659 US20210404737A1 (en) 2015-08-03 2021-08-25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AU2021240269A AU2021240269B2 (en) 2015-08-03 2021-09-30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1020230057072A KR20230069062A (ko) 2015-08-03 2023-05-02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724A KR102529852B1 (ko) 2015-08-03 2015-08-03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7072A Division KR20230069062A (ko) 2015-08-03 2023-05-02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241A KR20170016241A (ko) 2017-02-13
KR102529852B1 true KR102529852B1 (ko) 2023-05-08

Family

ID=579441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724A KR102529852B1 (ko) 2015-08-03 2015-08-03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0230057072A KR20230069062A (ko) 2015-08-03 2023-05-02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7072A KR20230069062A (ko) 2015-08-03 2023-05-02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137201B2 (ko)
EP (1) EP3332196A4 (ko)
KR (2) KR102529852B1 (ko)
CN (4) CN111854307B (ko)
AU (3) AU2016303870B2 (ko)
RU (1) RU2684737C1 (ko)
WO (1) WO20170231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3709A (zh) * 2016-12-29 2018-07-0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
KR102427466B1 (ko) 2017-08-01 2022-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용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449175B1 (ko) 2017-08-01 2022-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49177B1 (ko) 2017-08-01 2022-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9116B1 (ko) * 2017-08-01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진공단열체의 제작방법, 및 그 진공단열체로 단열하는 냉온장고
KR102459784B1 (ko) 2017-08-01 2022-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59786B1 (ko) 2017-08-16 2022-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68407B1 (ko) 2018-06-27 2023-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200072257A (ko) * 2018-12-12 2020-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210006740A (ko) * 2019-07-09 2021-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냉장고
KR20210006717A (ko) * 2019-07-09 2021-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모듈, 및 냉장고
WO2022092961A1 (en) * 2020-11-02 2022-05-05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KR20220059252A (ko) * 2020-11-02 202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도어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8509A (ja) * 2006-02-17 2007-08-30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13169A (en) 1919-07-25 1922-04-18 Charles B Lawton Insulating construction
US1588707A (en) 1924-07-23 1926-06-15 Csiga Alexander Vacuum ice chest
US2000882A (en) 1928-09-07 1935-05-07 Stator Refrigeration Inc Insulating housing
US1845353A (en) 1928-12-14 1932-02-16 Virgil K Snell Heat-insulating construction
US2708774A (en) 1949-11-29 1955-05-24 Rca Corp Multiple glazed unit
US2715976A (en) * 1952-04-28 1955-08-23 Motor Products Corp Breaker strip assembly
US2768046A (en) 1952-07-09 1956-10-23 Gen Electric Insulating structures
DE956899C (de) 1952-10-28 1957-01-24 Gen Electric Waermeisolator
US2729863A (en) 1952-12-11 1956-01-10 Gen Electric Insulated cabinet
US2786241A (en) 1954-06-02 1957-03-26 Whirlpool Seeger Corp Refrigerator door and gasket seal
US3091946A (en) 1958-03-27 1963-06-04 Gen Motors Corp Cabinet and process for making same
GB890372A (en) * 1959-01-27 1962-02-28 Union Carbide Corp Vacuum panel insulation
US3161265A (en) 1959-01-27 1964-12-15 Union Carbide Corp Vacuum panel insulation
US3370740A (en) 1965-07-28 1968-02-27 James H. Anderson Vacuum jacketed joint construction
US3289423A (en) 1965-11-30 1966-12-06 Union Carbide Corp Load support means for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US4056211A (en) 1976-08-30 1977-11-01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Support and retention liner gasket
FR2379751A1 (fr) 1977-02-03 1978-09-01 Balleyguier Alain Materiau composite isolant thermiquement
DE2939878A1 (de) 1979-10-02 1981-04-16 Friedrich 5600 Wuppertal Hensberg Waermeisolierung
DE3121351A1 (de) 1981-05-29 1982-12-16 Genbee Osaka Kawaguchi Abstandhalter fuer eine vakuum-isoliereinrichtung
US4646934A (en) 1986-01-21 1987-03-03 Mcallister Ian R Vacuum insulated shipping container and method
US4959111A (en) 1986-08-19 1990-09-25 Whirlpool Corporation Heavy gas-filled multilayer insulation panel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4822117A (en) 1987-06-12 1989-04-18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case/liner interface and related components for automated assembly
KR970001913B1 (ko) * 1988-07-12 1997-02-19 산덴 가부시기가이샤 진열장(display case)
US5011729A (en) 1989-11-15 1991-04-30 Mcallister Ian R Vacuum insulated panels with concave surfaces on the surface layers
US5185981A (en) 1989-11-20 1993-02-16 Perfil En Frio, S.A. Abutment of insulating panels
US5018328A (en) * 1989-12-18 1991-05-28 Whirlpool Corporation Multi-compartment vacuum insulation panels
DE9204365U1 (ko) 1992-03-31 1992-07-02 Liebherr-Hausgeraete Gmbh, 7955 Ochsenhausen, De
DE4342947A1 (de) 1993-12-16 1995-06-22 Licentia Gmbh Wandelement
JPH07269779A (ja) 1994-03-28 1995-10-20 Toshiba Corp 断熱筐体及び真空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US5532034A (en) 1994-12-06 1996-07-02 Whirlpool Corporation Getter system for vacuum insulation panel
JPH11505591A (ja) 1995-03-16 1999-05-21 オウェンス コーニング ブレンドウール充填材を有する真空絶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5947479A (en) 1995-03-31 1999-09-07 John Crane Inc. Mechanical seal with flexible metal diaphragm
US5950450A (en) 1996-06-12 1999-09-14 Vacupanel, Inc. Containment system for transporting and storing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s
JP3876491B2 (ja) 1997-02-27 2007-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断熱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冷蔵庫
NL1005962C1 (nl) 1997-05-02 1998-11-03 Rudolf Wolfgang Van Der Pol Vacuum isolatiepaneel.
DE29809807U1 (de) 1997-06-25 1998-11-19 Uvt Gmbh Vakuumisolationspaneel
DE19745825A1 (de) 1997-10-16 1999-04-22 Bosch Siemens Hausgeraete Wärmeisolierende Wandung
DE19745860A1 (de) * 1997-10-16 1999-06-17 Bosch Siemens Hausgeraete Wärmeisolierende Wandung
JPH11211334A (ja) 1998-01-30 1999-08-06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蔵ショーケース
US6244458B1 (en) 1998-07-09 2001-06-12 Thermo Solutions, Inc.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
DE19840640A1 (de) 1998-09-05 2000-03-16 Isovac Ingenieurgesellschaft M Isoliergehäuse, insbesondere für Kühlgeräte und/oder Energiespeicher
DE19907182A1 (de) 1999-02-19 2000-08-24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Wärmeisolierende Wand
DE29912917U1 (de) * 1999-07-23 1999-11-18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Wärmeisolierende Wandung
TW508426B (en) 1999-08-17 2002-11-01 Toshiba Corp Door opening device for storage apparatus
KR100402599B1 (ko) 1999-08-27 2003-10-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가스켓 체결구조
KR100343719B1 (ko) 2000-01-14 2002-07-20 엘지전자주식회사 진공 단열재 패널을 구비한 냉장고 도어
JP3750534B2 (ja) 2001-02-20 2006-03-01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および断熱パネル
ITMI20010472A1 (it) * 2001-03-07 2002-09-07 Ilpea Ind Spa Insieme di tenuta migliorato per mobili frigoriferi e simili con profilo di materia plastica
JP2002340280A (ja) 2001-05-18 2002-11-27 Jamco Corp 真空断熱ブロック
US6684646B2 (en) * 2001-05-22 2004-02-03 Integrated Bio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reezing, storing and thawing biopharmaceutical material
US20030062813A1 (en) 2001-07-19 2003-04-03 Cording Christopher R. Energy-free refrigeration doo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03106760A (ja) 2001-09-27 2003-04-09 Mitsubishi Corp 高断熱複合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構造体
US6598283B2 (en) 2001-12-21 2003-07-29 Cabot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aerogel-containing insulation article
US7278279B2 (en) 2002-03-13 2007-10-09 Matsushita Refrigeration Co. Refrigerator
JP4216516B2 (ja) 2002-03-15 2009-01-28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真空断熱パネル
TW593919B (en) 2002-05-31 2004-06-21 Matsushita Refrigeration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refrigerator using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JP2004044980A (ja) 2002-07-15 2004-02-12 Toshiba Corp 冷蔵庫扉
JP2004196411A (ja) 2002-12-20 2004-07-15 Mitsubishi Chem Mkv Co 保冷容器
CA2522571C (en) * 2003-04-18 2010-05-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acuum heat insulator and apparatuses using the same
US20040226956A1 (en) 2003-05-14 2004-11-18 Jeff Brooks Cryogenic freezer
DE10324854A1 (de) 2003-06-02 2004-12-2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ür mit Isolierverglasung und damit ausgestattetes Haushaltsgerät
CN2700790Y (zh) 2003-09-24 2005-05-18 青岛亨达实业有限公司 新型冰柜玻璃门体
KR100608869B1 (ko) 2003-12-24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캐비넷의 제조 방법
JP2005214372A (ja) 2004-02-02 2005-08-11 Sangaku Renkei Kiko Kyushu:Kk 密閉断熱構造体及び断熱壁面間補強方法
ITTO20040455A1 (it) 2004-07-05 2004-10-05 Luca Gandini Pannello sottovuoto ad elevato isolamento termico ed acustico
CN2748848Y (zh) 2004-09-02 2005-12-28 孟范中 真空隔热电冰箱
KR100865199B1 (ko) 2004-12-07 2008-10-23 파나소닉 주식회사 진공 단열재,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및 진공 단열재를이용한 단열 박스
EA011394B1 (ru) * 2005-01-24 2009-02-27 Термовак Лтд. Вакуумная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ая панель
DE102005021587A1 (de) 2005-05-10 2006-11-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CN1896657A (zh) * 2005-07-15 2007-01-1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冰箱箱门
EP2554891A3 (en) * 2005-09-26 2013-02-13 Panasonic Corporation Gas adsorbing device, vacuum heat insulator making use of gas adsorbing device and process for producing vacuum heat insulator
CN102401215B (zh) * 2005-10-18 2015-01-28 Lg电子株式会社 真空隔热板以及应用该真空隔热板的制冷器隔热结构
KR100700612B1 (ko) 2006-01-03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립식 냉장고의 단열 판넬의 결합 구조 및 이를 구비한조립식 냉장고
JP2008045580A (ja) * 2006-08-11 2008-02-28 Hitachi Appliances Inc 真空断熱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機器
GB0701472D0 (en) 2007-01-26 2007-03-07 Rickards Michael J A braced sound barrier vacuum panel
JP4962399B2 (ja) 2007-09-05 2012-06-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気体吸着デバイス
US20090113899A1 (en) 2007-11-02 2009-05-07 John Dain Systems and Methods for Ultra Low Temperature Storage
JP4553976B2 (ja) 2007-12-28 2010-09-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それを備える燃料電池
CN201191121Y (zh) 2007-12-29 2009-02-04 孟范中 电冰柜真空隔热箱体
KR101041086B1 (ko) 2009-03-03 2011-06-14 한국과학기술원 진공 단열체
KR101238999B1 (ko) 2009-06-19 2013-03-04 (주)엘지하우시스 진공단열패널
CN201428906Y (zh) 2009-07-09 2010-03-24 丁琪 带支撑的真空双层玻璃
KR101597554B1 (ko) * 2009-08-07 2016-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재 및 진공단열재를 구비한 냉장고
KR101544453B1 (ko) 2009-08-07 2015-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단열재의 코어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JP5575452B2 (ja) 2009-10-09 2014-08-20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US8943770B2 (en) * 2009-11-20 2015-02-03 Electrolux Home Products Pty Limited Insulated panel and method of assembly
EP2333179A1 (de) 2009-11-27 2011-06-15 Iso-Pan International GmbH Vakuumisolationspaneel
DE102011050473A1 (de) 2010-05-18 2011-11-24 Viktor Schatz Diskontinuierliches Strahlungsunterdrückungsmittel
CN102261470B (zh) 2010-05-28 2016-02-10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密封***以及具有这种密封***的家用电器
JP5492685B2 (ja) * 2010-07-06 2014-05-1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真空断熱材及びそれを用いた冷蔵庫
DE102010031249A1 (de) 2010-07-12 2012-01-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häusekomponente für ein Kältegerät
CN201764779U (zh) 2010-09-02 2011-03-16 许春钢 一种制冷设备保温填充材料
CN102401216B (zh) * 2010-09-14 2014-05-14 日立空调·家用电器株式会社 真空绝热材料以及使用了该真空绝热材料的冰箱
CN103189696B (zh) * 2010-10-11 2015-05-27 Lg电子株式会社 真空绝热玻璃面板及具有该真空绝热玻璃面板的冰箱
KR101227516B1 (ko) 2010-10-28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147779B1 (ko) * 2010-10-28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898487B1 (ko) 2010-10-28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FR2969739B1 (fr) 2010-12-22 2013-02-15 Georges Marguerite Dispositif d'isolation thermique mince a haute performance
KR101506413B1 (ko) 2010-12-27 2015-03-26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DE102011014302A1 (de) 2011-03-17 2012-09-20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Türelement für ein Kühl- und/oder Gefriergerät
JP2012211721A (ja) * 2011-03-31 2012-11-01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JP5931355B2 (ja) 2011-06-09 2016-06-08 株式会社東芝 断熱箱
JP5890973B2 (ja) * 2011-06-24 2016-03-22 株式会社松田技術研究所 真空断熱パネル
DE102011079209A1 (de) * 2011-07-14 2013-01-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akuumisolationselement
KR101808568B1 (ko) 2011-08-12 2017-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130099650A1 (en) 2011-10-21 2013-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door for the same
US9528749B2 (en) 2011-11-02 2016-12-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861831B1 (ko) 2011-11-02 2018-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832763B1 (ko) 2011-11-02 201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JP5978520B2 (ja) * 2011-12-06 2016-08-2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断熱箱
DE102012100490A1 (de) 2012-01-23 2013-07-25 Götz von Waldeyer-Hartz Thermowand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6081069B2 (ja) 2012-03-21 2017-02-1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04203372B (zh) 2012-03-21 2017-09-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气体吸附器件和收纳其的中空体
US9400133B2 (en) 2012-03-23 2016-07-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Vacuum insulation material and heat insulation housing using the same
WO2013146286A1 (ja) 2012-03-26 2013-10-03 三菱電機株式会社 断熱箱体、及びこの断熱箱体を備えた冷蔵庫及び貯湯装置
US8986483B2 (en) 2012-04-02 2015-03-24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folded vacuum insulated structure
US20130257257A1 (en) * 2012-04-02 2013-10-03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to create vacuum insulated cabinets for refrigerators
KR101410459B1 (ko) 2012-05-02 2014-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도어의 제조 방법
KR20140009647A (ko) 2012-07-12 201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KR101560355B1 (ko) * 2012-07-27 2015-10-15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진공 단열재, 냉장고, 진공 단열재를 사용한 기기
CN103575038A (zh) 2012-08-02 2014-02-12 开利公司 框架以及冷藏装置
JP6178055B2 (ja) * 2012-08-20 2017-08-0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KR101565420B1 (ko) * 2012-12-13 2015-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RU129188U1 (ru) 2012-12-19 2013-06-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ма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путей сообщения" (СамГУПС)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е изделие
CN203095854U (zh) 2013-01-25 2013-07-31 李梦琪 保温彩晶玻璃及冰柜
US9464751B2 (en) 2013-02-06 2016-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insulation material, insulation case unit, and refrigerator
KR101728196B1 (ko) 2013-04-26 201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40137108A (ko) 2013-05-22 2014-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3292B1 (ko) 2013-07-26 2020-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104344653A (zh) 2013-09-27 2015-02-11 海尔集团公司 冰箱
JP6571911B2 (ja) 2013-10-22 2019-09-0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扉
CN104746690A (zh) 2013-12-25 2015-07-01 戴长虹 密封条封边双真空层金属真空复合板及其制备方法
US9574819B2 (en) 2014-01-07 2017-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9463918B2 (en) 2014-02-20 2016-10-11 Aarne H. Reid Vacuum insulated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DE102014210472A1 (de) 2014-06-03 2015-12-03 BSH Hausgeräte GmbH Tür für ein Haushaltsgerät sowie Haushaltsgerät
CN204026956U (zh) 2014-07-14 2014-12-1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除湿机的顶盖组件和除湿机
CN107108102B (zh) 2014-12-19 2019-08-30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真空容器
CN106794413B (zh) 2015-06-24 2021-04-23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气体吸附器件和使用其的真空绝热件
US9441779B1 (en) 2015-07-01 2016-09-13 Whirlpool Corporation Split hybrid insulation structure for an appliance
KR102442069B1 (ko) 2015-10-19 2022-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JP2017106526A (ja) 2015-12-09 2017-06-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真空断熱体、それを備える断熱機器、及び真空断熱体の製造方法
JP6593596B2 (ja) 2016-03-02 2019-10-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真空断熱体、それを備える断熱機器、及び真空断熱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8509A (ja) * 2006-02-17 2007-08-30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16873A1 (en) 2018-08-02
EP3332196A1 (en) 2018-06-13
CN111854303B (zh) 2022-08-12
AU2016303870B2 (en) 2019-06-27
EP3332196A4 (en) 2019-03-27
KR20230069062A (ko) 2023-05-18
RU2684737C1 (ru) 2019-04-12
WO2017023100A1 (en) 2017-02-09
AU2021240269B2 (en) 2023-11-02
US11137201B2 (en) 2021-10-05
CN111854305A (zh) 2020-10-30
CN111854307A (zh) 2020-10-30
US20210404737A1 (en) 2021-12-30
AU2021240269A1 (en) 2021-10-28
AU2016303870A1 (en) 2018-02-22
CN107923702B (zh) 2020-08-07
AU2019236677A1 (en) 2019-10-17
CN111854307B (zh) 2023-01-24
CN111854305B (zh) 2023-05-26
CN111854303A (zh) 2020-10-30
KR20170016241A (ko) 2017-02-13
AU2019236677B2 (en) 2021-07-01
CN107923702A (zh)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9213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76435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5551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9852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97139B1 (ko) 진공단열체
KR102593894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47245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66470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5550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6037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98210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230042451A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66886B1 (ko) 진공단열체
KR102539478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