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678A - 트레이 매거진 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이 매거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678A
KR20220012678A KR1020200091756A KR20200091756A KR20220012678A KR 20220012678 A KR20220012678 A KR 20220012678A KR 1020200091756 A KR1020200091756 A KR 1020200091756A KR 20200091756 A KR20200091756 A KR 20200091756A KR 20220012678 A KR20220012678 A KR 20220012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y
loading
magazine devic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석
최철호
이상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200091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2678A/ko
Publication of KR20220012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0/00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stacking and de-stack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트레이가 로딩되는 로딩부와, 상기 로딩부에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가 언로딩되는 언로딩부와, 상기 로딩부에서 상기 언로딩부로 상기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와, 상기 트레이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상기 로딩부 및 상기 언로딩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2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매거진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레이 매거진 장치{Tray magazine device}
본 발명은 트레이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트레이 매거진 장치에 대한 것이다.
가공 대상물, 부품 등의 작업물은 트레이에 적재되어 운반되는데, 작업물이 적재된 트레이는 트레이 매거진 장치의 공급 위치로 공급된다. 이어, 트레이 매거진 장치는 공급된 트레이를 작업 위치로 옮기게 되는데, 작업 위치에서는 로봇, 사람 등이 트레이로부터 작업물을 꺼내어 가공, 포장 등의 다음 공정으로 옮기게 된다.
트레이로부터 작업물을 다 꺼내고 나면 트레이는 비어 있는 상태가 되는데, 트레이 매거진 장치는 빈 트레이를 배출 위치로 옮겨 배출 작업을 진행한다.
등록특허 10-2122086호에는, 전자 부품이 안치된 트레이를 공급받아, 트레이로부터 부품을 추출하고, 부품 추출이 완료된 트레이를 배출하는 트레이 로딩 및 언로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개선된 구성을 가진 트레이 매거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트레이가 로딩되는 로딩부;와, 상기 로딩부에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가 언로딩되는 언로딩부;와, 상기 로딩부에서 상기 언로딩부로 상기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와, 상기 트레이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상기 로딩부 및 상기 언로딩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2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매거진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트레이를 좌우로 움직이는 제1 좌우 이동부와,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제1 좌우 이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를 상하로 움직이는 제1 상하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제1 좌우 이동부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좌우 이동부의 좌우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트레이를 상하로 움직이는 제2 상하 이동부와, 상기 제2 상하 이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2 상하 이동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2 상하 이동부의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딩부로 상기 트레이를 이송하는 트레이 공급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 공급부는, 상기 트레이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는 트레이 공급 이동부와, 상기 트레이 공급 이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트레이 공급 지지부와, 상기 트레이 공급 이동부의 상하 좌우 이동을 수행하는 트레이 공급 갠추리부와, 상기 트레이 공급 갠추리부를 구동하는 트레이 공급 구동부와, 상기 트레이가 놓여지는 이송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 롤러부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 공급부는 대차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 공급부는 트레이 공급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트레이 매거진 장치에 따르면, 로딩부로 공급된 트레이가 작업 위치로 순차적으로 상승하고, 작업이 종료된 트레이를 언로딩부로 이송시켜 순차적으로 적층함으로써, 트레이의 작업 경로와 이송 경로를 최적화시킬 수 있으므로, 공정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트레이 매거진 장치의 정면 쪽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트레이 매거진 장치의 배면 쪽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제1 이송부의 제1 좌우 이동부, 제1 상하 이동부, 제1 지지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제2 이송부의 제2 상하 이동부, 제2 지지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트레이 매거진 장치가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트레이 매거진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트레이 매거진 장치의 트레이 공급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트레이 매거진 장치의 트레이 공급부가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트레이 매거진 장치의 정면 쪽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트레이 매거진 장치의 배면 쪽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제1 이송부의 제1 좌우 이동부, 제1 상하 이동부, 제1 지지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제2 이송부의 제2 상하 이동부, 제2 지지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트레이 매거진 장치(100)는 트레이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공정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전용 트레이 뿐만 아니라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트레이도 적용될 수 있다.
트레이 매거진 장치(100)는, 로딩부(110), 언로딩부(120), 제1 이송부(130), 제2 이송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로딩부(110)는, 트레이(T)가 로딩되는 부분으로서, 트레이(T)가 수용되는 공간(S1)을 포함하고 있으며 로딩부(110)의 형상은 프레임(F)으로 구성된다.
로딩부(110)에는 복수개의 센서(D)가 배치되어 있어, 로딩부(110)에 트레이(T)가 얼마나 배치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즉 로딩부(110)의 수용 공간(S1)에 트레이(T)가 적재된 로딩 대차(LD)가 위치할 경우, 센서(D)에서 보내온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부(150)는 로딩 대차(LD)의 세부 위치, 적재된 트레이(T)의 높이 및 트레이(T)의 개수를 인식할 수 있다. 로딩부(110)에 사용되는 센서(D)로는 초음파 근접 센서, 광센서, 자기 센서, 접촉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언로딩부(120)는 로딩부(110)에 이웃하여 배치되며, 트레이(T)가 언로딩되는 부분이다. 언로딩부(120)는 트레이(T)가 수용되는 공간(S2)을 포함하고 있으며 언로딩부(120)의 형상은 프레임(F)으로 구성된다.
언로딩부(120)에는 복수개의 센서(D)가 배치되어 있어, 언로딩부(120)에 트레이(T)가 얼마나 배치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즉 언로딩부(120)로 트레이(T)가 이송되는 경우, 센서(D)에서 보내온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부(150)는 트레이(T)의 높이 및 개수, 언로딩 대차의 존재 여부와 언로딩 대차가 존재하는 경우에 언로딩 대차의 세부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언로딩부(120)에 사용되는 센서(D)로는 초음파 근접 센서, 광센서, 자기 센서, 접촉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이송부(130)는 로딩부(110)에서 언로딩부(120)로 트레이(T)를 이송시키는 부분이다.
제1 이송부(130)는 제1 좌우 이동부(131), 제1 상하 이동부(132), 제1 지지부(133), 제1 가이드부(134), 제1 구동부(135)를 포함한다.
제1 좌우 이동부(131)는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프레임(F)에 설치되는데, 트레이(T)를 좌우로 움직인다.
제1 상하 이동부(132)는 제1 좌우 이동부(131)에 설치되며 트레이(T)를 상하로 움직인다.
제1 상하 이동부(132)의 상하 운동을 위해 제1 상하 이동 구동부(132a)와 제1 상하 이동 가이드부(132b)가 설치된다.
제1 상하 이동 구동부(132a)는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아 제1 상하 이동부(132)를 상하로 움직인다. 이를 위해 제1 상하 이동 구동부(132a)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모터로 구동되는 볼 스크류 장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등의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제1 상하 이동부(132)를 움직일 수 있다면 그 구성, 형식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제1 상하 이동부(132)에 의한 트레이(T)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능은 제2 이송부(140)와 제어부(150)에 의하여 구현이 될 수 있다. 제1 이송부(130)가 이동 대상 트레이의 상부에 위치하면 제2 이송부(140)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제1 이송부(130)가 이동 대상 트레이(T)를 측면에서 픽업을 하고 해당 트레이(T)가 픽업이 되면 제2 이송부(140)가 하강을 하여 이동 대상 트레이(T)를 분리하여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소정의 위치로 이동된 대상 트레이(T)에 대하여 다른 일측의 제2 이송부(140)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트레이(T)의 적층 및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상하 이동 가이드부(132b)는 봉이나 빔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좌우 이동부(131)의 가이드 구멍(131a)에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어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지지부(133)는 제1 상하 이동부(132)에 설치되며 트레이(T)를 지지한다.
제1 지지부(133)는,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된 그리퍼(133a)와, 그리퍼(133a)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트레이(T)를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는 그리퍼 구동부(133b)를 포함한다.
그리퍼 구동부(133b)는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아 그리퍼(133a)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그리퍼 구동부(133b)는 그리퍼(133a)의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해 리니어 액추에이터, 모터로 구동되는 볼 스크류 장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등의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그리퍼(133a)를 움직일 수 있다면 그 구성, 형식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제1 가이드부(134)는 제1 좌우 이동부(131)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하는데, 프레임(F)에 가이드 레일, 가이드 봉 등의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구동부(135)는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아 구동되는데, 제1 좌우 이동부(131)의 좌우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제1 구동부(135)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모터로 구동되는 볼 스크류 장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등의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제1 좌우 이동부(131)를 움직일 수 있다면 그 구성, 형식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한편, 제2 이송부(140)는 트레이(T)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로딩부(110) 및 언로딩부(120)에 각각 설치된다.
제2 이송부(140)는, 제2 상하 이동부(141), 제2 지지부(142), 제2 가이드부(143), 제2 구동부(144)를 포함한다.
제2 상하 이동부(141)는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프레임(F)에 설치되는데, 트레이(T)를 상하로 움직인다.
제2 지지부(142)는 제2 상하 이동부(141)에 설치되며 트레이(T)를 지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142)는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된 걸림부(142a)와, 걸림부(142a)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트레이(T)를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는 걸림부 구동부(142b)를 포함한다.
걸림부 구동부(142b)는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아 걸림부(142a)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걸림부 구동부(142b)는 걸림부(142a)의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해 공압 실린더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부 구동부(142b)는 공압 실린더의 구성을 가지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걸림부 구동부(142b)는 걸림부(142a)를 움직일 수 있으면 되고, 그 구성, 형식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걸림부 구동부(142b)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모터로 구동되는 볼 스크류 장치, 유압 실린더 등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43)는 제2 상하 이동부(14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데, 가이드 봉, 가이드 빔 등의 형상을 가지며 프레임(F)에 설치된다. 본 제1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 가이드부(143)가 제2 상하 이동부(141)의 가이드 구멍(141a)에 끼워져 제2 상하 이동부(14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제2 구동부(144)는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아 구동되며, 제2 상하 이동부(141)의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제2 구동부(144)는 모터(144a)와 볼 스크류(144b)를 포함한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구동부(144)는 모터(144a)와 볼 스크류(144b)를 포함하여 구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동부는 제2 상하 이동부(141)를 움직일 수 있다면 그 구성, 형식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동부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등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로딩부(110)와 언로딩부(120)에 배치된 센서들(D)로부터 신호를 받으며, 제1 이송부(130), 제2 이송부(140)를 적절히 제어한다. 즉 제어부(150)는 로딩부(110)와 언로딩부(120)에 배치된 센서들(D)로부터 신호를 받고,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여러 제어 작용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여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전기 회로 기판, 집적 회로칩 등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 또는 제어 알고리즘의 제어를 받아 구동된다.
제어부(150)는 트레이 매거진 장치(100) 전용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트레이 매거진 장치(100)가 적용되는 여러 장치, 즉, 부품 가공 장치, 작업물 하역 장치 등의 전체 제어부와 통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매거진 장치(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트레이 매거진 장치가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내부에 각각 작업물들이 배치된 트레이(T)들을 로딩 대차(LD)에 순차적으로 적재시킨 후, 로딩 대차(LD)를 움직여 로딩부(110)의 수용 공간(S1)에 위치시킨다.
로딩부(110)에 설치된 복수개의 센서(D)는 로딩 대차(LD), 트레이(T)의 적재 높이, 트레이(T)의 개수에 대한 정보 등을 제어부(150)로 보낸다. 제어부(150)는 센서(D)에서 보내온 신호에 근거하여 로딩 대차(LD)의 위치, 적재된 트레이(T)의 높이 및 트레이(T)의 개수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로딩부(110)의 수용 공간(S1)에 위치한 트레이(T)의 개수 및 높이를 인식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동부(144)를 구동시켜 로딩부(110)에 설치된 제2 이송부(140)의 제2 상하 이동부(141)를 제일 하단의 트레이(T)로 이동시킨다.
이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가 걸림부 구동부(142b)를 구동시켜 걸림부(142a)의 사이의 거리를 줄여서, 걸림부(142a)가 트레이(T)의 돌출부(P)에 걸리도록 한다.
이어, 제어부(150)는 제2 구동부(144)를 구동시켜 제일 상부에 위치한 트레이(T)가 작업 위치에 있도록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고, 로봇팔(R)을 작동시켜 제일 상부에 위치한 트레이(T) 내부에 배치된 작업물을 꺼낸다.
로봇팔(R)이 제일 상부에 위치한 트레이(T) 내부에 배치되어 있던 작업물을 다 꺼낸 후, 제어부(150)는 제1 이송부(130)를 구동시켜 작업이 종료된 제일 상부의 트레이(T)를 언로딩부(120)로 이송시키는데,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50)는 제1 구동부(135)를 구동시켜 제1 좌우 이동부(131)를 로딩부(110)로 이송시킨다.
이어, 제어부(150)는 제1 상하 이동 구동부(132a)를 구동시켜 제1 상하 이동부(132)를 하강시킨 후, 그리퍼 구동부(133b)를 구동시켜 제1 지지부(133)의 그리퍼(133a)들 사이의 거리를 줄임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일 상부에 위치한 트레이(T)의 돌출부(P)에 그리퍼(133a)가 걸리도록 한다.
이어, 제어부(150)는 제1 상하 이동 구동부(132a)를 구동시켜 제1 상하 이동부(132)를 상승시킴으로써, 제일 상부의 트레이(T)를 바로 아래에 위치한 트레이(T)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어 제어부(150)는 제1 구동부(135)를 구동시켜 제1 좌우 이동부(131)를 언로딩부(120)로 이송시킴으로써, 작업이 종료된 제일 상부에 위치한 트레이(T)를 언로딩부(120)로 이송시킨다.
이어, 제어부(150)는, 언로딩부(120)의 제2 지지부(142)의 걸림부 구동부(142b)를 구동시켜 걸림부(142a) 사이의 거리를 줄여서 언로딩부(120)로 이송된 트레이(T)의 돌출부(P)에 걸림부(142a)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트레이(T)를 지지한 후, 그리퍼 구동부(133b)를 구동시켜 제1 지지부(133)의 그리퍼(133a)들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켜 트레이(T)의 돌출부(P)에 그리퍼(133a)의 걸림을 해제하도록 한다.
이 때, 만약 언로딩부(120)에 이미 트레이(T)가 존재하는 경우라면, 제어부(150)는 언로딩부(120)에 추가적인 트레이(T)가 이송되기 전에 언로딩부(120)에 설치된 제2 구동부(144)를 구동시켜 제2 상하 이동부(141)를 하강시킨다. 즉 언로딩부(120)에 이미 존재하는 트레이(T)를 하강시킴으로써 트레이(T)의 추가 적층에 대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미 언로딩부(120)로 이송된 트레이(T)의 상부에, 나중에 이송된 트레이(T)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된다.
한편, 작업이 종료된 제일 상부에 위치한 트레이(T)를 언로딩부(120)로 이송시킨 후에, 제어부(1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부(110)에 설치된 제2 구동부(144)를 구동시켜 제2 상하 이동부(141)를 상승시킨다. 즉 제어부(150)는, 제일 상부에 위치한 트레이(T)의 바로 아래에 있었던 트레이(T)를 상승시켜 작업 위치에 있도록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로봇팔(R)의 작업을 계속 수행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로딩부(110)에 적재된 트레이(T)들을 순차적으로 상승시켜 작업 위치의 높이로 위치시킨 후, 트레이(T) 내부에 배치된 작업물을 꺼내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어 작업이 종료된 트레이(T)는 언로딩부(120)로 이송시켜 순차적으로 적재시켜 최종적으로 언로딩 대차(UD)에 위치시키게 된다.
아울러,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매거진 장치(100)는 다수의 센서(D)와 제어부(150)를 구비하여 상당수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매거진 장치는 적어도 일부 공정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매거진 장치(100)에 의하면, 로딩부(110)로 공급된 트레이(T)가 작업 위치의 높이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고, 작업이 종료된 트레이(T)를 언로딩부(120)로 이송시킴으로써, 트레이(T)의 이송 경로를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공정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매거진 장치(100)에 의하면, 로딩부(110), 로딩부(110)에 이웃하여 배치된 언로딩부(120), 트레이(T)를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130), 로딩부(110) 및 언로딩부(120)에 각각 설치되는 제2 이송부(140)의 배치 구조가 최적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전적으로 설치 공간과 작업 공간을 줄일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장비의 소형화, 설치 공간의 최적화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매거진 장치(100)에 의하면, 작업에 투입되는 트레이(T)는 전용 트레이뿐만 아니라 시중에 유통되는 기존의 트레이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트레이 구매 비용 및 작업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트레이 매거진 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트레이 매거진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트레이 매거진 장치의 트레이 공급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트레이 매거진 장치의 트레이 공급부가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매거진 장치(200)는, 로딩부(210), 언로딩부(220), 제1 이송부(230), 제2 이송부(240), 트레이 공급부(250),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매거진 장치(200)의 로딩부(210), 언로딩부(220), 제1 이송부(230), 제2 이송부(240), 제어부(26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매거진 장치(100)의 로딩부(110), 언로딩부(120), 제1 이송부(130), 제2 이송부(140), 제어부(150)의 구성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매거진 장치(200)는 추가로 트레이 공급부(25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매거진 장치(200)의 로딩부(210), 언로딩부(220), 제1 이송부(230), 제2 이송부(240), 제어부(26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매거진 장치(100)의 로딩부(110), 언로딩부(120), 제1 이송부(130), 제2 이송부(140), 제어부(150)의 구성 및 작용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매거진 장치(200)의 로딩부(210), 언로딩부(220), 제1 이송부(230), 제2 이송부(240), 제어부(26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트레이 매거진 장치(200)의 트레이 공급부(250)와 그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트레이 공급부(250)는 트레이(T)를 로딩부(210)로 공급하는데, 트레이 공급 이동부(251), 트레이 공급 지지부(252), 트레이 공급 갠추리부(253), 트레이 공급 구동부(254), 이송 롤러부(255), 대차 가이드부(256), 트레이 공급 센서부(257)를 포함한다.
트레이 공급 이동부(251)는 트레이(T)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킨다.
트레이 공급 지지부(252)는 트레이 공급 이동부(251)에 설치되며, 트레이(T)를 지지한다.
트레이 공급 지지부(252)는,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된 걸림부(252a)와, 걸림부(252a)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트레이(T)를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는 걸림부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걸림부(252a)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트레이(T)를 지지하는 작용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걸림부(142a)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걸림부(142a)가 트레이(T)의 돌출부(P)에 걸리거나 걸림을 해제하도록 하는 작용과 대동소이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걸림부 구동부(미도시)는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아 구동되며 걸림부(252a)의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해 리니어 액추에이터, 모터로 구동되는 볼 스크류 장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등의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걸림부 구동부(미도시)가 걸림부(252a)를 움직일 수 있으면 되고, 그 구성, 형식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트레이 공급 갠추리부(253)는 트레이 공급 이동부(251)의 상하 좌우 이동을 수행하는데, 베이스부(B)에 설치된다. 트레이 공급 갠추리부(253)는 트레이 공급 이동부(251)의 상하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구조물, 가이드 구조물 등을 포함하며,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아 구동된다.
트레이 공급 구동부(254)는 트레이 공급 갠추리부(253)에 동력을 제공하여 트레이 공급 갠추리부(153)의 구동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트레이 공급 구동부(254)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모터, 유공압 액추에이터 등 다양한 구동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롤러부(255)에는 트레이(T)가 놓여지는데, 이송 롤러부(255)는 단순히 지지만 수행하는 복수개의 지지 롤러(255a)와 트레이(T)를 이송하는 구동 롤러(255b)를 포함한다.
지지 롤러(255a)와 구동 롤러(255b)는 회동이 가능하도록 베이스부(B)에 설치된다.
구동 롤러(255b)는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는데, 롤러 구동부(255b_1)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롤러 구동부(255b_1)는 모터, 기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260)에 의해 제어된다.
대차 가이드부(256)는 베이스부(B)에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로딩 대차(LD)의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트레이 공급 센서부(257)는 대차 가이드부(256)와 베이스부(B)에 설치되며 트레이(T)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260)로 신호를 보내 제어에 활용된다. 이를 위해 트레이 공급 센서부(257)는 초음파 근접 센서, 광센서, 자기 센서, 접촉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매거진 장치(200)의 트레이 공급부(250)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각각 작업물들이 배치된 트레이(T)들을 로딩 대차(LD)에 적재시킨 후, 로딩 대차(LD)를 움직여 대차 가이드부(256) 방향으로 이동시켜 트레이 공급부(250)의 수용부(S3)에 로딩 대차(LD)를 위치시킨다.
트레이 공급 센서부(257)는 로딩 대차(LD)가 트레이 공급부(250)의 수용부(S3)에 안착되면 안착 신호를 제어부(260)로 보내고, 제어부(260)는 트레이 공급 센서부(257)에서 보내온 신호에 근거하여 안착 상태를 인식한다. 이어 제어부(260)는 트레이 공급 갠추리부(253) 및 트레이 공급 구동부(254)를 이용하여 트레이 공급 이동부(251)를 트레이(T) 쪽으로 이동시킨다.
트레이 공급 이동부(251)가 트레이(T)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한 후, 제어부(260)는 트레이 공급 지지부(252)의 걸림부(252a)들 사이를 좁혀 걸림부(252a)가 트레이(T)의 돌출부(P)에 걸리도록 하여 트레이(T)를 지지한다.
이어, 제어부(260)는 트레이 공급 갠추리부(253) 및 트레이 공급 구동부(254)를 이용하여 트레이 공급 이동부(251)를 움직여, 트레이(T)를 이송 롤러부(255) 쪽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공급 이동부(251)를 위로 움직여 트레이(T)를 들어 올린 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공급 이동부(251)를 이송 롤러부(255) 쪽으로 이동시켜 트레이(T)를 이송 롤러부(255) 위에 위치시킨다.
이어, 제어부(260)는 이송 롤러부(255)의 롤러 구동부(255b_1)를 작동시켜, 구동 롤러(255b)를 회전시킨다. 그렇게 되면 적층된 트레이(T)는 로딩부(210)로 이동하게 되는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트레이(T)는 로딩부(210)에 로딩 대기 상태가 된다. 로딩부(210)에 로딩되어 있던 기존 트레이(T)가 모두 언로딩부(220)로 이송되면, 제어부(260)는 로딩 대기 상태의 트레이(T)를 움직여 로딩부(210)로 로딩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레이 공급부(250)가 트레이(T)를 로딩부(210)에 로딩시키는데, 로딩부(210)에 트레이(T)가 로딩된 후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공정이 수행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250)를 트레이 매거진 장치(200)에 적용하게 되면, 신속하게 자동으로 트레이(T)를 로딩부(210)로 로딩할 수 있게 되고, 많은 개수의 트레이(T)를 로딩 상태로 대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로딩 공정의 끊김을 최소화할 수 있고 로딩 속도를 증가시켜 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제2 실시예의 트레이 매거진 장치(200)에 따르면 트레이 공급부(250)가 로딩부(210)에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추가로 언로딩부(220)에도 트레이 공급부(250)의 구성을 이용한 트레이 배출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트레이 매거진 장치와 관련된 사업에 이용될 수 있다.
100, 200: 트레이 매거진 장치 110, 210: 로딩부
120, 220: 언로딩부 130, 230: 제1 이송부
140, 240: 제2 이송부 150, 260: 제어부
250: 트레이 공급부

Claims (11)

  1. 트레이가 로딩되는 로딩부;
    상기 로딩부에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가 언로딩되는 언로딩부;
    상기 로딩부에서 상기 언로딩부로 상기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트레이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상기 로딩부 및 상기 언로딩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매거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트레이를 좌우로 움직이는 제1 좌우 이동부; 및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매거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제1 좌우 이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를 상하로 움직이는 제1 상하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트레이 매거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제1 좌우 이동부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좌우 이동부의 좌우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트레이 매거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트레이를 상하로 움직이는 제2 상하 이동부; 및
    상기 제2 상하 이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매거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2 상하 이동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상하 이동부의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트레이 매거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로 상기 트레이를 이송하는 트레이 공급부가 더 설치되는, 트레이 매거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공급부는,
    상기 트레이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는 트레이 공급 이동부;
    상기 트레이 공급 이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는 트레이 공급 지지부;
    상기 트레이 공급 이동부의 상하 좌우 이동을 수행하는 트레이 공급 갠추리부;
    상기 트레이 공급 갠추리부를 구동하는 트레이 공급 구동부; 및
    상기 트레이가 놓여지는 이송 롤러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매거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롤러부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를 포함하는, 트레이 매거진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공급부는 대차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트레이 매거진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공급부는 트레이 공급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트레이 매거진 장치.
KR1020200091756A 2020-07-23 2020-07-23 트레이 매거진 장치 KR20220012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756A KR20220012678A (ko) 2020-07-23 2020-07-23 트레이 매거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756A KR20220012678A (ko) 2020-07-23 2020-07-23 트레이 매거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678A true KR20220012678A (ko) 2022-02-04

Family

ID=80268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756A KR20220012678A (ko) 2020-07-23 2020-07-23 트레이 매거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26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291B1 (ko) 트레이 공급 장치
US7621710B2 (en) Work sheet conveying and housing system and work sheet conveying and housing method
JP5850661B2 (ja) 部品供給装置
KR20090069530A (ko) 제조라인의 트레이 자동 공급과 회수 방법 및 그 장치
JP2015104793A (ja) 板材搬送システム、板材加工システム、及び仕分け装置
CN106465578B (zh) 元件安装装置
KR20130129123A (ko) 수납 장치
JP2008049356A (ja) 板材搬出装置
JP5094145B2 (ja) 棚装置及び製品パレットへのワーク載置方法
KR102037725B1 (ko) 물류 이송 시스템
JP6584320B2 (ja) ワーク移送システム
JP6484820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方法
KR20220012678A (ko) 트레이 매거진 장치
EP3125665B1 (en) Component mounting device
JP2018150177A (ja) ワーク移送システム
JP2011029282A (ja) 部品供給装置のパレット引出しオフセット教示方法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JP6528134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方法
JP4664043B2 (ja) 材料棚装置
KR10138957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출케이스 인서트플레이트 공급기
JP2003023295A (ja) 電気部品装着システム
CN107182196B (zh) 部件供给装置以及部件供给方法
WO2021014545A1 (ja) トレイ式部品供給装置
KR100325528B1 (ko) 트레이공급장치
KR100567848B1 (ko) 메모리 디바이스 핸들러
JP4672541B2 (ja) 部品移載装置および表面実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