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123A -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123A
KR20130129123A KR1020130054737A KR20130054737A KR20130129123A KR 20130129123 A KR20130129123 A KR 20130129123A KR 1020130054737 A KR1020130054737 A KR 1020130054737A KR 20130054737 A KR20130054737 A KR 20130054737A KR 20130129123 A KR20130129123 A KR 20130129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bstrate
storage
shaped member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토시 야마가타
아키라 키시다
아츠시 오카다
토시미치 사토우
Original Assignee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9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1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eparate article supports or holders movable in a closed circuit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5/00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 B65G25/02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different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walking beam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65G47/51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 B65G47/510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 B65G47/5109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first In - First Out systems: FIFO
    • B65G47/51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first In - First Out systems: FIFO using stacking and/or destacking arrangements or stacks of articles or article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65G47/51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 B65G47/510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 B65G47/515First In-Last Out systems [FILO]; Last In-First Out systems [LIFO]
    • B65G47/5181First In-Last Out systems [FILO]; Last In-First Out systems [LIFO] using stacking or destacking arrangements or stacks of articles or article-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the articles being stacked by direct action of the feeding conveyor
    • B65G57/11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the articles being stacked by direct action of the feeding conveyor the conveyor being adjustable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7/30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 B65G57/3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the stack being lowered by mobile grippers or holders onto ad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7/305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otary devices or endless elements
    • B65G57/307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otary devices or endless elements the rotary devices be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7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the axis of the st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3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 H05K13/0434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with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수납 장치는 판 형상 부재를 수납 가능한 복수의 수납부를 상하 방향으로 병렬로 구비하는 수납 부재와, 이 수납 부재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유지한 채로 상기 수납 부재에 수납되어 있는 각 판 형상 부재를 일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승강 기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수납 장치{RECEIVING DEVICE}
본 발명은 프린트 기판이나 부품 공급용 팰릿 등의 판 형상 부재를 상하 복수단으로 또한 출납 가능하게 수납하는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수납 장치의 일례로서 종래 일본 특허 공개 2009-147197호 공보(특허문헌이라고 한다)에 개시된 부품 공급 장치가 이미 알려져있다. 이 부품 공급 장치는 QFP(Quad Flat Package) 등의 패키지형 전자 부품(이하, 간단히 부품이라고 약칭한다)을 트레이에 수납한 상태에서 공급하는 것이다.
이 부품 공급 장치는 상자형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측에 지지되고 상기 트레이를 각각 적재한 팰릿(판 형상 부재)이 상하 복수단으로 수납되는 스토커와, 이 스토커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승강시키는 스토커 승강 장치와, 상기 스토커로부터 팰릿을 인출하는 인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소정의 높이 위치에 상기 팰릿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출 장치는 이 인출구의 전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이 부품 공급 장치는 상기 스토커를 승강시켜서 원하는 부품(트레이)이 적재된 팰릿을 상기 인출구에 대향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팰릿을 상기 인출 장치에 의해 인출함으로써 부품의 공급을 행한다.
상기 종래의 부품 공급 장치(수납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팰릿이 수납된 스토커를 승강시킬 필요가 있다. 비교적 중량이 커지는 상기 스토커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하우징 등에 높은 강성이 요구됨과 아울러 큰 구동력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부품 공급 장치가 비교적 크고 또한 고중량이며, 그리고 비용이 비싸진다는 결점이 있다. 그러나, 특정 높이 위치에서 팰릿을 출납할 수 있고, 또한 가동 부분이 모두 하우징 내에 수용된다는 구조상의 이점이 있기 때문에 사용 빈도는 결코 낮지 않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부품 공급 팰릿 등의 판 형상 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고, 점유 스페이스 및 중량을 억제함과 아울러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는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의한 수납 장치는 판 형상 부재를 상하 복수단으로 수납하는 수납 장치로서, 판 형상 부재를 수납 가능한 복수의 수납부를 상하 방향으로 병렬로 구비하는 수납 부재와, 이 수납 부재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유지한 채로 상기 수납 부재에 수납되어 있는 각 판 형상 부재를 일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승강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장치(제 1 실시형태)를 구비한 부품 실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부품 실장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부품 공급 장치의 매거진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팰릿 승강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매거진의 하면도이다.
도 5는 나사축과 이것에 의해 지지되는 팰릿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장치(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 약도이다.
도 7은 수납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약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장치(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 약도이다.
도 9는 매거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매거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a~11c는 매거진에 있어서의 기판의 위로 올림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2a~12d는 매거진에 있어서의 기판의 위로 올림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일형태에 대하여 상술한다.
(제 1 실시형태)
이 제 1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장치가 부품 실장 장치의 트레이 부품 공급 장치로서 적용된 것이다. 도 1은 부품 실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부품 실장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동 도면 및 후에 사용하는 도면에는 방향 관계를 명확화하기 위해서 XYZ 직각 좌표축이 나타내어져 있다.
부품 실장 장치는 기대(1)와, 이 기대(1) 상에 배치되어서 프린트 배선판(PWB; Printedwiring board) 등의 기판(3)을 X방향으로 반송하는 기판 반송 기구(2)와, 부품 공급부(4, 5)와, 부품 실장용 헤드 유닛(6)과, 이 헤드 유닛(6)을 구동하는 헤드 유닛 구동 기구 등을 구비한다.
상기 기판 반송 기구(2)는 기대(1) 상에 있어서 기판(3)을 반송하는 1쌍의 벨트컨베이어(2a)를 포함한다. 이들 벨트컨베이어(2a)는 도 1의 우측으로부터 기판(3)을 받아들여서 소정의 실장 작업 위치(동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로 반송하고, 도시 생략한 유지 장치에 의해 상기 기판(3)을 유지한다. 그리고, 실장 작업 후 상기 기판(3)의 유지를 해제하고, 이 기판(3)을 동 도면의 좌측으로 반출한다.
상기 부품 공급부(4, 5)는 상기 기판 반송 기구(2)의 양측(Y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부품 공급부(4, 5) 중 장치 전방측(+Y방향측)의 부품 공급부(4)에는 기판 반송 기구(2)를 따라 X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테이프 피더(4a)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테이프 피더(4a)는 IC, 트랜지스터, 콘덴서 등의 소편 형상의 칩 부품을 수납, 유지한 테이프가 권회된 릴을 구비하고, 이 릴로부터 간헐적으로 테이프를 풀어내어 기판 반송 기구(2) 근방의 소정의 부품 공급 위치로 부품을 공급한다. 한편, 장치 후방측(-Y방향측)의 부품 공급부(5)에는 QFP(Quad Flat Package)나 BGA(Ball Grid Array) 등의 패키지형 부품(이하, 간단히 부품이라고 약칭한다)을 트레이에 수납한 상태에서 공급하는 2개의 트레이 부품 공급 장치(5a)가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트레이 부품 공급 장치(5a)는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장치의 일례이고 X방향으로 병렬로, 또한 후방측(-Y방향측)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트레이 부품 공급 장치(5a)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하기로 한다.
상기 헤드 유닛(6)은 상기 헤드 유닛 구동 기구에 의해 일정한 영역 내에서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헤드 유닛 구동 기구는 기대(1) 상에 설치되는 1쌍의 고가 프레임(1a, 1a)에 각각 고정되고, Y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1쌍의 고정 레일(9)과, 이들 고정 레일(9)에 지지되어서 X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닛 지지 부재(12)와, 이 유닛 지지 부재(12)에 나사결합 삽입되어서 Y축 서보모터(11)에 의해 구동되는 볼나사축(10)을 포함한다. 또한, 헤드 유닛 구동 기구는 유닛 지지 부재(12)에 고정되어서 헤드 유닛(6)을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레일(13)과, 헤드 유닛(6)에 나사결합 삽입되어 X축 서보모터(15)를 구동원으로 해서 구동되는 볼나사축(14)을 포함한다. 즉, 헤드 유닛 구동 기구는 X축 서보모터(15)의 구동에 의해 볼나사축(14)을 통하여 헤드 유닛(6)을 X방향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Y축 서보모터(11)의 구동에 의해 볼나사축(10)을 통하여 유닛 지지 부재(12)를 Y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결과 헤드 유닛(6)을 일정한 영역 내에서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헤드 유닛(6)은 선단에 각각 부품 흡착용 노즐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실장용 헤드(7)와, 이들 실장용 헤드(7)를 헤드 유닛(6)에 대하여 승강(Z방향의 이동) 및 노즐 중심축 둘레로 회전시키기 위한 헤드 구동 기구 등을 구비한다. 헤드 구동 기구는 도시하지 않은 서보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각 실장용 헤드(7)의 노즐은 각각 전동 전환 밸브를 통하여 부압 발생 장치, 정압 발생 장치 및 대기 중 어느 하나에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상기 노즐에 부압이 공급됨으로써 상기 노즐에 의한 부품의 흡착이 가능해지고, 그 후에 정압이 공급됨으로써 상기 부품의 흡착이 해제된다.
이어서, 부품 공급부(5)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트레이 부품 공급 장치(5a)에 대하여 도 1~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트레이 부품 공급 장치(5a)는 QFP 등의 부품이 수납된 트레이(T)를 팰릿(P)(본 발명의 판 형상 부재에 상당한다) 상에 적재한 상태에서 상하 복수단으로 수납하는 매거진(20)(본 발명의 수납 장치에 상당한다)과, 이 매거진(20)에 대하여 상기 팰릿(P)을 출납하는 인출 기구(30)(본 발명의 판 형상 부재 이동 장치에 상당한다)를 구비하고 있다. 트레이 부품 공급 장치(5a)는 매거진(20) 내의 팰릿(P)을 인출 기구(30)에 의해 상기 매거진(20)의 전방(+Y방향)으로 인출함으로써 상기 팰릿(P)에 지지되어 있는 트레이(T) 내의 부품을 상기 헤드 유닛(6)에 의해 인출시킨다. 또한, 팰릿(P)은 둘레벽부를 구비한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장방형)의 접시형의 부재이고, 상기 매거진(20)은 팰릿(P)의 장변이 X방향과 평행이 되는 상태로 상기 팰릿(P)을 수납하고, 인출 기구(30)는 팰릿(P)을 그 단변과 평행한 방향(Y방향)으로 출납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매거진(20)은 복수의 팰릿(P)을 상하 방향(Z방향)으로 병렬로 또한 출납 가능하게 수납하는 단면 직사각형의 상자형 프레임(22)과, 이 상자형 프레임(22)에 수납된 팰릿(P)을 그것들의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팰릿 승강 기구(본 발명의 제 1 승강 기구에 상당한다)를 포함한다.
상기 상자형 프레임(22)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볼 때에 모두 직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221) 및 톱 플레이트(222)와, 이들 플레이트(221, 222) 사이에 설치되는 4개의 나사축(223)과, 팰릿(P)을 외측으로부터 덮는 측판(224) 등을 포함하고, 팰릿(P)을 상기 복수개의 나사축(223)으로 지지한다. 본 예에서는 상기 나사축(223)이 팰릿(P)을 수납 가능한 복수의 수납부를 상하 방향으로 병렬로 구비하는 수납 부재에 상당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4개의 나사축(223)은 그 기단부로부터 선단부의 대략 전역에 걸쳐서 동일 형상의 나사산이 연속적으로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동일한 나사축이다. 각 나사축은 양 플레이트(221, 222)의 네 모서리의 위치에서 상기 플레이트(221, 22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팰릿(P)은 그 길이 방향(X방향)의 양단에 상기 둘레벽부의 상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 1쌍의 플랜지부(Pa)(도 5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플랜지부(Pa)는 나사축(223)의 나사홈(골부)에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즉, 팰릿(P)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플레이트(221, 222)의 폭 방향(X방향)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나사축(223) 사이에 삽입되고, 또한 플랜지부(Pa)가 각 나사축(223)의 나사홈(골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나사축(223)에 의해 지지된다. 요컨대, 팰릿(P)은 각 나사축(223)의 같은 높이 위치의 나사홈을 수납부로 해서 매거진(20)에 수납된다. 본 예에서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측면으로 볼 때 나사홈 하나 걸러서 팰릿(P)이 지지된다.
상기 팰릿 승강 기구는 각 나사축(223)을 동일 방향으로 동기해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나사축(223)에 지지되어 있는 각 팰릿(P)을 그것들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를 유지한 상태에서 일체적으로 승강시킨다. 상세하게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팰릿 승강 기구는 베이스 플레이트(221) 및 톱 플레이트(222)에 설치되어서 각 나사축(223)을 그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등의 나사축 지지부(230)와, 각 나사축(223)을 동일 방향으로 동기해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를 구비한다. 회전 구동 기구는 베이스 플레이트(221)의 하방에 있어서 각 나사축(223)에 장착되는 풀리(231)와, 이들 풀리(231)에 걸쳐지는 무단 형상의 전동 벨트(232)와, 이 전동 벨트(232)를 장설하기 위한 텐션 풀리(233, 234)와, 이 텐션 풀리(234)와 동축에 설치되는 구동 풀리(235)와, 모터(236)와, 상기 모터(236)의 출력축에 장착되는 풀리(237)와, 상기 풀리(237)와 상기 구동 풀리(235)에 걸쳐지는 구동 벨트(238)를 포함한다. 즉, 팰릿 승강 기구는 모터(236)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각 풀리 및 벨트를 통해서 각 나사축(223)에 전달함으로써 각 나사축(223)을 동기 회전시킴과 아울러 모터(235)의 구동 방향의 스위칭에 의해 나사축(223)의 회전 방향을 스위칭한다. 이것에 의해, 팰릿 승강 기구는 팰릿(P)을 각 나사축(223)의 회전에 따라 그것들의 나사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상자형 프레임(22)에는 팰릿(P)의 수평 방향으로의 어긋남을 방지하면서 상기 팰릿(P)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도시 생략한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나사축(223)의 회전력이 팰릿(P)에 작용하는 것에 기인하여 상기 나사축(223)에 대하여 각 팰릿(P)이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이 억제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자형 프레임(22)[측판(224)] 중 그 전방면에는 팰릿 출납용의 개구부(2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22a)를 통하여 상기 인출 기구(30)에 의해 팰릿(P)의 출납이 행하여진다. 한편, 상자형 프레임(22)의 후방면에는 문(도시 생략)이 구비되어 있고, 이 문을 열어서 상자형 프레임(22)을 개방함으로써 부품[트레이(T)] 교환이나 부품 보충 등의 작업을 매거진(20)의 후방으로부터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매거진(20)은 상자형 프레임(22)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간[나사축(223)의 대략 중간]에 상기 개구부(22a)를 구비하고 있고, 이 개구부(22a)를 통해서 인출 기구(30)에 의한 팰릿(P)의 출납이 가능해지도록 상기 부품 공급부(5)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매거진(20)은 상기 팰릿 승강 기구의 작동에 의한 팰릿(P)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최상위(최상단) 및 최하위(최하단)의 팰릿(P)을 상기 개구부(22a)에 대향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팰릿(P)의 최대 수납수가 정해져 있다. 이것에 의해, 매거진(20)은 상기 매거진(20) 내에 수납된 팰릿(P) 중 임의의 팰릿(P)을 상기 인출 기구(30)에 의해 상기 개구부(22a)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인출 기구(3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거진(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인출 기구(30)는 팰릿(P)을 그 플랜지부(Pa)를 지지해서 전후방향(Y방향)으로 안내하는 1쌍의 가이드 레일(32)과, 이들 가이드 레일(32) 사이의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납용 헤드(34)와, 이 출납용 헤드(34)를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출납용 헤드(34)는 팰릿(P)의 전단 중앙에 설치되는 훅(Pb)에 맞물림 가능하고, 또한 예를 들면 에어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맞물림 상태와 해제 상태로 스위칭 가능한 연결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즉, 이 인출 기구(30)는 연결 장치를 팰릿(P)의 훅(Pb)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출납용 헤드(34)를 팰릿(P)에 연결하고, 이 상태에서 출납용 헤드(34)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매거진(20)에 대하여 팰릿(P)을 가이드 레일(32)을 따라 출납한다.
또한, 출납용 헤드(34)의 상기 구동 기구는 예를 들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구동 풀리와, 이 구동 풀리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출납용 헤드(34)에 일부분이 고정되는 무단 형상의 구동 벨트와, 상기 구동 풀리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 등을 포함하고, 이 모터에 의해 구동 벨트를 통해서 출납용 헤드(34)를 이동시킨다.
이어서, 상술한 부품 실장 장치에 의한 부품의 실장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트레이 부품 공급 장치(5a)로부터 부품을 인출하여 기판(3)에 실장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장 동작에서는 우선 매거진(20) 내에 수납되는 부품 중 실장 대상이 되는 부품[트레이(T)]을 지지한 팰릿(P)이 인출 기구(30)에 의한 인출 높이 위치[개구부(22a)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팰릿 승강 기구의 작동에 의해 각 나사축(223)이 동기해서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에 따라 매거진(20) 내에 수납된 팰릿(P)이 일체적으로 나사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원하는 팰릿(P)이 상기 개구부(22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어서, 인출 기구(30)의 출납용 헤드(34)가 매거진(20)에 접근하고, 상기 연결 장치를 통해서 팰릿(P)에 연결된 후에 역방향, 즉 벨트컨베이어(2a)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팰릿(P)이 가이드 레일(32)을 따라 매거진(20)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팰릿(P)에 지지된 부품[트레이(T)]이 헤드 유닛(6)의 가동 영역 내에 설정된 소정의 부품 공급 위치에 배치된다. 이렇게 부품[트레이(T)]이 부품 공급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트레이(T) 상의 부품이 헤드 유닛(6)에 의해 인출되어서 기판(3) 상으로 반송되고, 상기 기판(3) 상의 소정의 위치에 실장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헤드 유닛(6)이 상기 트레이(T)와 기판(3) 사이를 왕복 이동하면서 마찬가지로 해서 부품의 실장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부품 공급 위치로 인출된 트레이(T)로부터 모든 부품이 인출되었을 경우, 또는 다른 부품을 인출할 경우에는 상술한 순서와는 반대의 순서로 팰릿(P)이 매거진(20)으로 되돌려진 후에 다른 팰릿(P)이 매거진(20)으로부터 인출된다.
이상과 같이, 이 부품 실장 장치에 적용되는 상기 트레이 부품 공급 장치(5a)에서는 매거진(20)은 팰릿(P)을 나사축(223)에 의해 지지(수납)하고, 상기 나사축(223)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상기 매거진(20)에 수납되어 있는 팰릿(P)을 일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매거진(20)은 팰릿(P)이 수납되어 있는 수납 부재의 위치[나사축(223)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유지한 채로 수납된 팰릿(P)만을 일체적으로 그것들의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트레이 부품 공급 장치(5a)에 의하면 팰릿과 그 수납 부재(스토커)의 양쪽을 이동시키는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장치(배경기술의 특허문헌 1)에 비하여 모터(236)의 출력이나 상자형 프레임(22) 등의 강도를 낮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그만큼 이 트레이 부품 공급 장치(5a)에 의하면 종래 장치에 비하여 점유 스페이스 및 중량을 억제함과 아울러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트레이 부품 공급 장치(5a)에서는 상기와 같이 팰릿(P)을 지지(수납)하는 수납 부재[나사축(223)]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팰릿(P)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팰릿 승강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팰릿(P)의 이동을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또한 팰릿 승강 기구의 점유 스페이스를 억제한 구성으로, 그리고 비교적 적은 구동력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점에서도 상기 트레이 부품 공급 장치(5a)는 점유 스페이스 및 중량의 억제나 저렴화에 기여하는 것이 된다.
또한, 상술한 매거진(20)의 예에서는 4개의 나사축(223)에 의해 팰릿(P)을 지지하지만, 나사축(223)의 수는 팰릿(P)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이면 4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장치가 로더에 적용된 것이다. 이 로더는 프린트 배선판 등의 복수매의 기판을 스톡하고, 상기 기판을 부품 실장 기판의 생산 라인 상으로 1매씩 송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로더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세로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수평 방향의 단면도이며, 각각 로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더는 벨트컨베이어 등의 기판 반송 기구(16)에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이 로더는 부품 실장 전의 기판(3)(본 발명의 판 형상 부재에 상당한다)을 상하 복수단으로 수납하는 매거진(40)과, 이 매거진(40)으로부터 기판(3)을 송출하는 송출 기구(50)(본 발명의 판 형상 부재 이동 장치에 상당한다)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로더는 매거진(40) 내의 기판(3)을 송출 기구(50) 에 의해 매거진(40) 전방(동 도면에서는 좌측)으로 송출함으로써 상기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기판 반송 기구(16)에 기판(3)을 전달한다.
상기 매거진(40)은 피수납물인 판 형상 부재가 기판(3)인 점을 제외하면 제 1 실시형태의 매거진(20)과 거의 동등한 구성을 갖는 것이다. 그 때문에, 여기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매거진(20)과 공통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고, 주로 상기 매거진(20)과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매거진(40)은 복수의 기판(3)을 상하 방향으로 병렬로 또한 매거진(40)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상태로 수납하는 상자형 프레임(22)과, 이것에 수납된 기판(3)을 그것들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를 유지한 상태에서 일체로 승강시키는 기판 승강 기구(본 발명의 제 1 승강 기구에 상당한다)를 포함한다.
상자형 프레임(22)은 그 베이스 플레이트(221)가 상기 로더의 기대로서 공통화되어 있고, 기판(3)을 송출하기 위한 개구부(22a)가 이 기대의 근방 위치, 즉 상자형 프레임(22)의 전방면 중 그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사축(223)은 기판(3)의 단부가 나사홈(골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기판(3)을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기판 승강 기구는 제 1 실시형태의 팰릿 승강 기구와 동등한 구성이고, 나사축(223)의 회전에 따라 기판(3)을 나사홈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매거진(40)에서는 그 하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개구부(22a)로부터 기판(3)을 송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판 승강 기구는 주로 기판(3)을 하강시키기 위해서만 작동한다. 또한, 이 매거진(40)에 있어서는 상기 기판 승강 기구를 구성하는 모터(236)나 각 풀리 및 벨트 등은 상자형 프레임(22)의 톱 플레이트(222)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송출 기구(50)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거진(40)의 내저부, 즉 베이스 플레이트(221) 상에 설치되어 있다. 송출 기구(50)는 베이스 플레이트(221) 상에 고정되어서 전후 방향(동 도면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레일(53)과, 상기 레일(53)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송출 헤드(52)와, 이 송출 헤드(52)에 나사결합 삽입되어서 모터(55)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나사축(54)을 포함하고, 이 나사축(54)의 구동에 의해 송출 헤드(52)를 매거진(40)의 내외에 걸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송출 헤드(52)는 기판(3)의 하면을 흡인함으로써 상기 기판(3)을 유지하는 지지부(52a)를 구비하고 있고, 전동 전환 밸브(56)를 통해서 부압/정압 발생 장치(58) 및 대기 중 어느 하나에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송출 기구(50)는 기판(3)의 하면을 흡인함으로써 상기 기판(3)을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송출 헤드(52)를 이동시킴으로써 기판(3)을 매거진(40)으로부터 그 전방으로 송출한다.
로더에 의한 기판(3)의 송출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송출 헤드(52)가 매거진(40) 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기판 승강 기구가 작동하여 최하위(최하단)의 기판(3)이 소정의 송출 높이 위치, 즉 송출 헤드(52)에 의해 유지 가능한 높이 위치로 될 때까지 매거진(40) 내의 기판(3)이 일체로 하강한다. 최하위의 기판(3)이 소정의 송출 높이 위치에 도달하면 송출 헤드(52)[유지부(52a)]가 상기 기판(3)을 흡인해 유지한다. 그리고, 송출 헤드(52)가 이 상태에서 매거진(40)의 외부 전방의 소정의 기판 전달 위치까지 이동하고, 상기 기판(3)을 기판 반송 기구(16)에 전달한다. 이 전달은 상기 기판(3)이 기판 반송 기구(16)에 지지된 시점에서 송출 헤드(52)가 상기 기판(3)의 흡인을 해제하고, 그 후에 송출 헤드(52)가 매거진(40) 내에 리셋됨으로써 행하여진다. 이후, 상기 동작이 반복해 행하여짐으로써 매거진(40) 내에 수납된 기판(3)이 그 최하위의 것으로부터 순서대로 송출되게 된다.
이러한 로더에 의하면, 나사축(223)에 의해 기판(3)을 지지(수납)하도록 매거진(40)이 구성된 후에 상기 나사축(223)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매거진(40)에 수납되어 있는 기판(3)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기판 승강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의 트레이 부품 공급 장치(5a)와 마찬가지로 로더의 점유 스페이스 및 중량의 억제나 저렴화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이 로더는 매거진(40)에 수납된 기판(3)을 순차적으로 하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개구부(22a)로부터 송출하는 구성이지만, 반대의 구성 즉 매거진(40) 중 그 상단부 근방에 개구부(22a)를 형성해 두고, 매거진(40)에 수납된 기판(3)을 순차적으로 상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개구부(22a)로부터 송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송출 기구(50)가 매거진(40)의 상부에 설치된다.
(제 3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장치가 기판의 버퍼 장치, 즉 부품 실장 기판의 생산 라인을 따라 반송되는 기판을 인출해서 스톡하고, 필요에 따라 생산 라인으로 되돌리기 위한 장치로서 적용된 것이다.
도 8은 상기 버퍼 장치를 측면도에 의해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버퍼 장치는 벨트컨베이어 등의 기판 반송 기구(18)의 측방이고, 상기 기판 반송 기구(18) 중 후기하는 기판 들어올림 기구(19)가 배치되는 소정의 기판 출납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측방에 배치된다.
이 버퍼 장치는 기판(3)(본 발명의 판 형상 부재에 상당한다)을 상하 복수단으로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매거진(60)과, 이 매거진(60)과 기판 반송 기구(18) 사이에서 기판(3)의 전달을 행하는 중계 장치(62)(본 발명의 판 형상 부재 이동 장치에 상당한다)와, 이 중계 장치(6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중계 장치 구동 기구(본 발명의 제 2 승강 기구에 상당한다)를 포함하고, 중계 장치(62)에 의해 기판 반송 기구(18) 상의 기판(3)을 인출해서 매거진(60)에 수납하고, 상기 매거진(60)에 수납되어 있는 기판(3)을 필요에 따라서 기판 반송 기구(18)로 리턴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매거진(60)은 제 2 실시형태의 매거진(40)과 거의 동등한 구성을 갖는 것이다. 그 때문에, 여기에서는 제 2 실시형태의 매거진(40)과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중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고, 주로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매거진(60)[상자형 프레임(22)]은 그 전방면(동 도면에서는 우면)에 기판 출납용의 상하 2개의 개구부(22a, 22b)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개구부(22a, 22b) 중 상측의 개구부(22a)[상측 개구부(22a)라고 한다]는 매거진(60)에 기판(3)을 수납하기 위한 개구부이고 상기 매거진(60)의 상단부 근방에 위치한다. 한편, 하측의 개구부(22b)[하측 개구부(22b)라고 한다]는 매거진(60)으로부터 기판(3)을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이고 상기 매거진(60)의 하단부 근방에 위치한다.
상기 중계 장치(62)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기판(3)을 지지해서 안내하기 위한 전후 방향(동 도면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과, 이것들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출납용 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중계 장치(62)는 이 출납용 헤드에 의해 기판 반송 기구(18)로부터 상기 가이드 레일 상으로 기판(3)을 끌어넣음과 아울러 상기 기판(3)을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매거진(60) 내에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출납용 헤드는, 예를 들면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송출 헤드(52)와 유사한 구성을 갖고 있고, 기판(3)의 하면을 흡인함으로써 상기 기판(3)을 유지한다. 또한, 중계 장치 구동 기구는 모터(63)를 구동원으로 하는 나사 이송 기구 등이고, 상기 매거진(60)의 전방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64)를 따라 중계 장치(62)를 이동시킨다.
버퍼 장치에 의한 기판(3)의 출납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매거진(60)에 기판(3)을 스톡할 때에는 소정의 인입 가능한 높이 위치에 기판(3)이 배치되는, 구체적으로는 기판 반송 기구(18)에 부설되는 기판 들어올림 기구(19)에 의해 들어올려진 기판(3)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로 중계 장치(62)가 이동한 후 출납용 헤드가 상기 기판(3)을 유지해서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끌어넣는다. 또한, 기판 들어올림 기구(19)는 선단에 볼 등의 회전체를 구비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핀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핀 부재에 의해 기판(3)을 하측으로부터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기판(3)을 기판 반송 기구(18)로부터 들어올린다.
중계 장치(62) 상에 기판(3)이 끌어넣어지면 상기 상측 개구부(22a)에 대향하는 소정의 수납 높이 위치까지 중계 장치(62)가 상승한 후, 출납용 헤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기판(3)이 상기 중계 장치(62)로부터 매거진(60) 내로 수납된다. 이때, 기판(3)의 단부가 나사축(223)의 나사홈(골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나사축(223)에 지지된 상태에서 기판(3)이 매거진(60)에 수납된다. 또한, 기판(3)의 수납시에는 기판 승강 기구의 작동에 의해 사전에 매거진(60) 내의 기판(3)이 일체적으로 아래로 내려짐으로써 매거진(60)의 최상위에 기판(3)을 수납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한편, 매거진(60) 내에 스톡된 기판(3)을 기판 반송 기구(18)로 되돌릴 경우에는 최하위(최하단)의 기판(3)이 하측 개구부(22b)에 대응하는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기판 승강 기구의 작동에 의해 매거진(60) 내에 수납된 기판(3)이 일체로 하강한다. 또한, 중계 장치(62)가 하측 개구부(22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출납용 헤드에 의해 기판(3)이 하측 개구부(22b)를 통해서 매거진(60)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레일 상으로 인출된 후, 또한 출납용 헤드의 이동 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중계 장치(62)로부터 기판 반송 기구(18)측으로 압출된다. 이때, 상기 기판 들어올림 기구(19)의 핀 부재가 상승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중계 장치(62)로부터 이들 핀 부재 상으로 기판(3)이 전달되고, 그 후에 상기 핀 부재가 하강함으로써 기판 반송 기구(18) 상으로 상기 기판(3)이 되돌려진다. 또한, 매거진(60)으로부터 기판(3)이 인출된 후에는 기판 승강 기구의 작동에 의해 사전에 매거진(60) 내의 기판(3)이 일체적으로 아래로 내려짐으로써 매거진(60)의 최하위에 다음의 기판(3)이 준비된다.
이상과 같은 버퍼 장치에 의하면, 매거진(60)이 제 1, 제 2 실시형태의 매거진(20, 40)과 동등한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 버퍼 장치에 의하면 제 1, 제 2 실시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버퍼 장치의 점유 스페이스 및 중량의 억제나 저렴화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버퍼 장치에서는 상측 개구부(22a)로부터 매거진(60) 내로 기판(3)을 수납하고, 하측 개구부(22b)로부터 기판(3)을 인출하도록 하고 있지만, 물론 반대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술한 동작과 상하 반대의 동작에 따라서 기판(3)의 출납이 행하여진다.
또한, 통상은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한쪽측의 개구부(22a)(또는 22b)를 사용해서 기판(3)의 출납을 행하고, 필요에 따라서 다른쪽측의 개구부(22b)(또는 22a)를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한쪽측의 개구부를 생략하고, 편측의 개구부(22a)(또는 22b)만으로 기판(3)의 출납을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런데, 이 버퍼 장치에서는 상기 매거진(60) 대신에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매거진(60A)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이 매거진(60A)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동 도면에는 방향 관계를 명확화하기 위해서 XYZ 직각 좌표축이 나타내어져 있고, +Y측이 매거진(60A)의 전방측, 즉 상기 중계 장치(62)가 배치되는 측(도 8의 우측)이다.
매거진(60A)은 평면으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70)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70)의 폭 방향(X방향) 양단에 위치하고 상기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판 형상의 1쌍의 제 1 기판 지지 부재(72)와, 이들 제 1 기판 지지 부재(72)에 근접 설치되어서 그것들의 내측에 배열되고 상기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해서 배열되는 판 형상의 1쌍의 제 2 기판 지지 부재(74)와, 상기 제 1 기판 지지 부재(72)를 그것들의 배열 방향(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지지 부재 구동 기구와, 상기 제 2 기판 지지 부재(74)를 그것들의 배열 방향(X방향) 및 상하 방향(Z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지지 부재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매거진(60A)에 있어서는 1쌍의 제 1 기판 지지 부재(72)가 본 발명의 1쌍의 수납 부재에 상당하고, 레일(78)이 본 발명의 수납 부재 지지부에 상당하고, 제 1 지지 부재 구동 기구가 본 발명의 수납 부재 구동 기구에 상당하고, 제 2 기판 지지 부재(74) 및 제 2 지지 부재 구동 기구 등이 본 발명의 이송 기구에 상당한다.
상기 1쌍의 제 1 기판 지지 부재(72)는 각각 전후 방향(Y방향)으로 가늘고 긴 측면으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인 플레이트(73a)와, 각 플레이트(73a)의 대향면이고 그 전후 방향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1쌍의 지지 블록(73b)과, 상기 플레이트(73a)의 대향면의 상단이고 양 지지 블록(73b) 사이의 위치에서 플레이트(73a)에 고정되는 중간 블록(73c)을 구비하고 있다.
각 제 1 기판 지지 부재(72)의 지지 블록(73b)은 서로 대향해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단의 가이드홈(731)을 각각 구비하고 있고, 이들 가이드홈(731)에 기판(3)의 양단이 삽입됨으로써 기판(3)의 양단을 X방향 외측으로부터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지지 블록(73b)은 4개의 가이드홈(731)을 구비하고 있고, 각 제 1 기판 지지 부재(72)는 이들 가이드홈(731)에 의해 기판(3)을 지지함과 아울러 지지 블록(73b) 및 중간 블록(73c)의 상면으로 기판(3)을 지지한다. 따라서, 이 매거진(60A)은 최대 5매의 기판(3)을 상하 방향으로 병렬로 지지한 상태에서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각 제 1 기판 지지 부재(72)의 지지 블록(73b)의 가이드홈(731)이나, 지지 블록(73b) 및 중간 블록(73c)의 상면이 본 발명의 선반에 상당한다. 또한, 각 지지 블록(73b)의 가이드홈(731) 중 동일 높이의 가이드홈이나, 지지 블록(73b) 및 중간 블록(73c)의 상면이 본 발명의 수납부에 상당한다.
각 제 1 기판 지지 부재(72)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0)에 고정된 X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78)에 각각 대좌(76)를 통해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제 1 기판 지지 부재(72)는 1쌍의 지지 블록(73b)에 의해 기판(3)을 지지할 수 있는 접근 위치와, 상기 접근 위치보다 간격이 넓어지고 양 제 1 기판 지지 부재(72) 사이에서 기판(3)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이간 위치에 걸쳐서 이동 가능해지도록 상기 레일(78)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 부재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제 1 지지 부재 구동 기구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그 길이 방향의 대략 중간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0)에 지지축(70a)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링크 부재(81)와, 지지축(70a)을 경계로 해서 제 1 링크 부재(81)의 길이 방향 양 측부와 상기 각 대좌(76)를 각각 힌지 구조로 연결하는 1쌍의 제 2 링크 부재(82)와, 상기 제 1 링크 부재(81)에 힌지 구조로 연결되어 공기압의 급배 스위칭에 따라 상기 제 1 링크 부재(81)를 지지축(70a) 둘레로 구동하는 에어실린더(80)를 구비한다. 즉, 제 1 지지 부재 구동 기구는 에어실린더(80)에 의해 제 1 링크 부재(81)를 지지축(70a) 둘레로 요동시키고, 이 제 1 링크 부재(81)의 요동에 따라 각 제 2 링크 부재(82)를 통해서 각 제 1 기판 지지 부재(72)를 접근 위치와 이간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1쌍의 제 2 기판 지지 부재(74)는 전후 방향(Y방향)으로 가늘고 긴 측면으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의 블록 부재이다. 이들 제 2 기판 지지 부재(74)는 상기 1쌍의 제 1 기판 지지 부재(72)의 각 플레이트(73a) 사이이고, 각 제 1 기판 지지 부재(72)의 전후의 지지 블록(73b)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 2 기판 지지 부재(74)는 그것들의 대향면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가이드홈(741)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가이드홈(741)에 기판(3)의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기판(3)을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각 제 2 기판 지지 부재(74)는 도시 생략한 가이드 부재를 통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0) 상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 플레이트(84)에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제 2 기판 지지 부재(74)는 가동 플레이트(84)를 통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0)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든(4개) 가이드홈(741)이 각각 상기 지지 블록(73b)의 가이드홈(731)과 합치하는 상승 위치와, 가이드홈(741)의 1피치분만큼 제 1 기판 지지 부재(72)에 대하여 하방으로 어긋난 하강 위치에 걸쳐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각 제 2 기판 지지 부재(74)는 가동 플레이트(84)에 고정된 X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88)에 대좌(86)를 통해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제 2 기판 지지 부재(74)는 기판(3)을 지지 가능한 접근 위치와, 상기 접근 위치보다 간격이 넓어지고 양 제 2 기판 지지 부재(74) 사이에서 기판(3)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이간 위치에 걸쳐서 이동 가능해지도록 상기 레일(88)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 2 지지 부재 구동 기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0)의 하면에 고정되고, 공기압의 급배 스위칭에 따라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84)를 베이스 플레이트(7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실린더(8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 부재 구동 기구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그 길이 방향의 대략 중간에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84)에 지지축(84a)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링크 부재(91)와, 지지축(84a)을 경계로 해서 제 1 링크 부재(91)의 길이 방향 양 측부와 상기 대좌(86)를 각각 힌지 구조로 연결하는 1쌍의 제 2 링크 부재(92)와, 상기 제 1 링크 부재(91)의 길이 방향 편측 단부에 힌지 구조로 연결되어 공기압의 급배 스위칭에 따라서 상기 제 1 링크 부재(91)를 지지축(84a) 둘레로 구동하는 에어실린더(90)를 구비한다. 즉, 제 2 지지 부재 구동 기구는 에어실린더(85)에 의해 가동 플레이트(84)를 승강시킴으로써 각 제 2 기판 지지 부재(74)를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에어실린더(90)에 의해 제 1 링크 부재(91)를 그 지지축(84a) 둘레로 요동시킴으로써, 이 제 1 링크 부재(91)의 요동에 따라 각 제 2 링크 부재(92)를 통해서 각 제 2 기판 지지 부재(74)를 접근 위치와 이간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양 제 1 기판 지지 부재(72) 및 양 제 2 기판 지지 부재(74)가 모두 접근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각 제 1 기판 지지 부재(72)의 각 지지 블록(73b)의 가이드홈(731)(내저부)의 위치와 각 제 2 기판 지지 부재(74)의 가이드홈(741)(내저부)의 위치가 X방향에 있어서 일치하고, 이것에 의해 양 제 1 기판 지지 부재(72) 및 양 제 2 기판 지지 부재(74)가 함께 기판(3)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상태로부터 양 제 1 기판 지지 부재(72)만이 이간 위치에 배치되면 각 제 1 기판 지지 부재(72)의 양 지지 블록(73b)의 가이드홈(731)의 위치가 각 제 2 기판 지지 부재(74)의 가이드홈(741)의 위치에 대하여 X방향 외측으로 어긋난다. 즉, 각 제 1 기판 지지 부재(72)의 양 지지 블록(73b)의 가이드홈(731)의 위치가 각 제 2 기판 지지 부재(74)에 지지된 기판(3)의 X방향 단부의 위치보다 X방향 외측으로 어긋난다. 이것에 의해, 양 제 2 기판 지지 부재(74)는 기판(3)을 지지한 채로 양 제 1 기판 지지 부재(72)의 플레이트(73a)의 내측의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제 2 기판 지지 부재(74)는 각 제 1 기판 지지 부재(72)가 접근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접근 위치와 이간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되도록 상기 제 2 기판 지지 부재(74)의 두께 치수(X방향의 두께 치수)가 제 1 기판 지지 부재(72)의 상기 지지 블록(73b)의 두께 치수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1 기판 지지 부재(72)[지지 블록(73b)]에 의한 기판(3)의 지지 상태를 유지한 채로 각 제 2 기판 지지 부재(74)만을 이간 위치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 2 기판 지지 부재(74)에 의한 기판(3)의 지지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양 제 2 기판 지지 부재(74)의 대향면의 위치를 양 제 1 기판 지지 부재(72)의 지지 블록(73b)의 가이드홈(531)(내저부)의 위치보다 X축 방향 외측에 배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도 각 제 2 기판 지지 부재(74)와 제 1 기판 지지 부재(72)의 플레이트(73a) 사이에는 간극이 유지되고, 각 제 2 기판 지지 부재(74)는 상기 이간 위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이 매거진(60A)에서는 각 제 1 기판 지지 부재(72)가 접근 위치에 셋팅됨과 아울러 각 제 2 기판 지지 부재(74)가 접근 위치이고 또한 상승 위치에 셋팅된 상태에서 기판(3)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 상태 하에서 상기 중계 장치(62)(도 8 참조)에 의해 기판(3)의 출납이 행하여진다. 즉, 이 상태에서는 제 1 기판 지지 부재(72)의 4개의 가이드홈(731)과 제 2 기판 지지 부재(74)의 4개의 가이드홈(741)이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일치하여 기판(3)을 지지 가능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4개의 홈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제 1 기판 지지 부재(72)의 지지 블록(73b)의 상면과 제 2 기판 지지 부재(74)의 상면에 의해 기판(3)을 지지 가능한 1개의 지지부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최대 5매의 기판(3)이 지지 가능해진다.
이어서, 이 매거진(60A)에 있어서의 기판(3)의 승강 동작에 대해서 도 11 및 도 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동 도면은 각 기판 지지 부재(72, 74)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구조상 실제로는 제 2 기판 지지 부재(74)가 제 1 기판 지지 부재(72)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없지만, 일부의 도면(예를 들면 도 11c 등)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 2 기판 지지 부재(74)가 제 1 기판 지지 부재(72)의 외측으로 이동한 도면을 그리고 있다.
전제로서,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상단(최상위)을 제외한 각 단에 기판(3)이 지지(수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에는 상기와 같이, 각 제 1 기판 지지 부재(72)는 접근 위치에 셋팅되고, 각 제 2 기판 지지 부재(74)는 접근 위치이고 또한 상승 위치에 셋팅되어 있다.
우선, 각 제 2 기판 지지 부재(74)가 이간 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 위치로 이동한 후 이간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이동한다(도 11b, 도 11c, 도 12a). 이것에 의해, 제 1 기판 지지 부재(72)에 대하여 제 2 기판 지지 부재(74)가 하측으로 오프셋되고, 기판(3)이 지지되는 제 2 기판 지지 부재(74)의 가이드홈(741)의 위치가 1단만큼 위로 어긋나게 된다. 이어서, 각 제 1 기판 지지 부재(72)가 이간 위치로 이동하고, 이 상태에서 제 2 기판 지지 부재(74)가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이동한 후 각 제 1 기판 지지 부재(72)가 이간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이동한다(도 12b~도 12d). 이것에 의해, 기판(3)이 지지되어 있는 제 1 기판 지지 부재(72)의 가이드홈(731)의 위치가 1단만큼 위로 어긋나고, 그 결과 매거진(60A)에 지지되어 있는 기판(3)의 위치가 그것들의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로 함께 1단만큼 위로 올라가게 된다.
이상, 매거진(60A)에 수납된 기판(3)을 위로 올리는(상승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술한 동작과 반대의 동작에 따름으로써 기판(3)을 아래로 내리는(하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매거진(60A)에 대해서도 상술한 제 3 실시형태의 매거진(60)과 마찬가지로 복수매(5매)의 기판을 상하 복수단으로 스톡할 수 있고, 또한 스톡한 기판(3)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낸 버퍼 장치의 매거진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매거진(60A)의 구성은 도 8에 나타내는 버퍼 장치에 한정하지 않고, 도 6에 나타내는 로더의 매거진으로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각 지지 부재(72, 74)의 가이드홈(731, 741)에 의해 팰릿(P)의 플랜지부(Pa)를 지지하도록 하면 도 1에 나타내는 트레이 부품 공급 장치(5a)의 매거진으로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장치가 적용되는 트레이 부품 공급 장치(5a), 로더 및 버퍼 장치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들은 본 발명에 의한 수납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예시이고, 그 구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판 형상 부재를 상하 복수단으로 수납하는 수납 장치이고, 상기 판 형상 부재를 수납 가능한 복수의 수납부를 상하 방향으로 병렬로 구비하는 수납 부재와, 이 수납 부재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유지한 채로 상기 수납 부재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각 판 형상 부재를 일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승강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 수납 장치는 판 형상 부재가 수납되는 수납 부재의 그 자체의 상하 방향의 위치는 유지한 채로 상기 수납 부재에 수납되어 있는 판 형상 부재만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수납 장치에 의하면 수납 부재(스토커)와 그것에 수납되는 판 형상 부재(팰릿)의 양쪽을 승강시키는 종래의 수납 장치에 비하면 상기 승강에 요하는 구동력이나 기구 부분에 요구되는 강도를 대폭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수납 장치의 점유 스페이스 및 중량을 억제함과 아울러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수납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나사축이고, 이들 나사축의 같은 높이 위치의 나사홈을 상기 수납부로 해서 상기 나사홈에 삽입된 상기 판 형상 부재의 단부를 지지하는 것이며, 상기 제 1 승강 기구는 상기 각 나사축을 그것들의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나사축 지지부와, 상기 각 나사축을 동일 방향으로 동기해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각 나사축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판 형상 부재를 나사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판 형상 부재가 수납(지지)되는 수납 부재와, 판 형상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판 형상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가 공통화된다. 또한, 판 형상 부재를 이동시킬 때에는 수납 부재인 나사축을 그 축 둘레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수납 부재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수반하지 않고 각 판 형상 부재를 일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서로 대향해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단의 선반을 각각 구비하고, 동일 높이 위치의 상기 선반을 상기 수납부로 해서 상기 선반에 의해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양단을 외측으로부터 지지하는 1쌍의 상기 수납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승강 기구는 상기 판 형상 부재를 지지 가능한 접근 위치와 상기 판 형상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이간 위치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상기 1쌍의 수납 부재를 지지하는 수납 부재 지지부와, 상기 1쌍의 수납 부재를 상기 접근 위치와 상기 이간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납 부재 구동 기구와, 상기 1쌍의 수납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판 형상 부재를 일체적으로 유지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해 상기 판 형상 부재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1쌍의 수납 부재를 이간 위치에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해 상기 판 형상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상기 1쌍의 수납 부재를 상기 접근 위치로 되돌림으로써 상기 판 형상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수납 부재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수반하지 않고 각 판 형상 부재를 일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판 형상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수납 부재에 대하여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수납 및 인출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판 형상 부재 이동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납 부재에 대한 판 형상 부재의 수납 및 인출 중 적어도 한쪽의 동작을 상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자동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상기 판 형상 부재 이동 장치를 상기 수납 부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승강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적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납 부재에 대하여 판 형상 부재를 수납하는 위치와, 수납 부재로부터 판 형상 부재를 인출하는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다른 경우라도 판 형상 부재의 수납이나 인출 동작을 지장없이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 부재 이동 장치는 상기 수납 부재의 상기 복수의 수납부 중 최상위의 수납부에 대하여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수납 및 인출 중 적어도 한쪽의 동작을 행하는 것이고, 상기 제 1 승강 기구는 상기 판 형상 부재 이동 장치에 의해 상기 판 형상 부재가 수납될 때에는 상기 수납 전에 상기 각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수납 위치를 일체적으로 아래로 내리는 한편, 상기 판 형상 부재 이동 장치에 의해 상기 판 형상 부재가 인출될 때에는 상기 인출 후에 상기 각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수납 위치를 일체적으로 위로 올리는 것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판 형상 부재를 최상위의 수납부를 경유하면서 효율적으로 수납 부재에 수납하는 것, 또는 수납 부재에 수납되어 있는 복수의 판 형상 부재를 최상위의 수납부를 경유하면서 효율적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 부재 이동 장치는 상기 수납 부재의 상기 복수의 수납부 중 최하위의 수납부에 대하여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수납 및 인출 중 적어도 한쪽의 동작을 행하는 것이고, 상기 제 1 승강 기구는 상기 판 형상 부재 이동 장치에 의해 상기 판 형상 부재가 수납될 때에는 상기 수납 전에 상기 각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수납 위치를 일체적으로 위로 올리는 한편, 상기 판 형상 부재 이동 장치에 의해 상기 판 형상 부재가 인출될 때에는 상기 인출 후에 상기 각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수납 위치를 일체적으로 아래로 내리는 것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판 형상 부재를 최하위의 수납부를 경유하면서 효율적으로 수납 부재에 수납하는 것, 또는 수납 부재에 수납되어 있는 복수의 판 형상 부재를 최하위의 수납부를 경유하면서 효율적으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판 형상 부재를 상하 복수단으로 수납하는 수납 장치로서:
    상기 판 형상 부재를 수납 가능한 복수의 수납부를 상하 방향으로 병렬로 구비하는 수납 부재와,
    이 수납 부재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유지한 채로 상기 수납 부재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각 판 형상 부재를 일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승강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나사축이고, 이들 나사축의 같은 높이 위치의 나사홈을 상기 수납부로 해서 상기 나사홈에 삽입된 상기 판 형상 부재의 단부를 지지하는 것이고,
    상기 제 1 승강 기구는 상기 각 나사축을 그것들의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나사축 지지부와 상기 각 나사축을 동일 방향으로 동기해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각 나사축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판 형상 부재를 나사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해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단의 선반을 각각 구비하고, 동일 높이 위치의 상기 선반을 상기 수납부로 해서 상기 선반에 의해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양단을 외측으로부터 지지하는 1쌍의 상기 수납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승강 기구는 상기 판 형상 부재를 지지 가능한 접근 위치와 상기 판 형상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이간 위치로 이동 가능해 지도록 상기 1쌍의 수납 부재를 지지하는 수납 부재 지지부와, 상기 1쌍의 수납 부재를 상기 접근 위치와 상기 이간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납 부재 구동 기구와, 상기 1쌍의 수납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판 형상 부재를 일체적으로 유지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해 상기 판 형상 부재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1쌍의 수납 부재를 이간 위치에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해 상기 판 형상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상기 1쌍의 수납 부재를 상기 접근 위치로 되돌림으로써 상기 판 형상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수납 부재에 대하여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수납 및 인출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판 형상 부재 이동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 부재 이동 장치를 상기 수납 부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승강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 부재 이동 장치는 상기 수납 부재의 상기 복수의 수납부 중 최상위의 수납부에 대하여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수납 및 인출 중 적어도 한쪽의 동작 을 행하는 것이고,
    상기 제 1 승강 기구는 상기 판 형상 부재 이동 장치에 의해 상기 판 형상 부재가 수납될 때에는 상기 수납 전에 상기 각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수납 위치를 일체적으로 아래로 내리는 한편, 상기 판 형상 부재 이동 장치에 의해 상기 판 형상 부재가 인출될 때에는 상기 인출 후에 상기 각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수납 위치를 일체적으로 위로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 부재 이동 장치는 상기 수납 부재의 상기 복수의 수납부 중 최하위의 수납부에 대하여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수납 및 인출 중 적어도 한쪽의 동작을 행하는 것이고,
    상기 제 1 승강 기구는 상기 판 형상 부재 이동 장치에 의해 상기 판 형상 부재가 수납될 때에는 상기 수납 전에 상기 각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수납 위치를 일체적으로 위로 올리는 한편, 상기 판 형상 부재 이동 장치에 의해 상기 판 형상 부재가 인출될 때에는 상기 인출 후에 상기 각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수납 위치를 일체적으로 아래로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장치.
KR1020130054737A 2012-05-17 2013-05-15 수납 장치 KR201301291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13460A JP5926115B2 (ja) 2012-05-17 2012-05-17 収納装置
JPJP-P-2012-113460 2012-05-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123A true KR20130129123A (ko) 2013-11-27

Family

ID=4847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737A KR20130129123A (ko) 2012-05-17 2013-05-15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46901B2 (ko)
EP (1) EP2664565A3 (ko)
JP (1) JP5926115B2 (ko)
KR (1) KR20130129123A (ko)
CN (1) CN10342906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783A (ko) * 2018-05-25 2020-09-29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수납 장치 및 인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08005B2 (ja) * 2014-07-28 2018-10-17 株式会社Fuji ノズル収納庫
CN108502579B (zh) * 2017-02-24 2024-04-05 杭州凯坤科技有限公司 一种板卡堆栈机构
CN107934003A (zh) * 2017-12-04 2018-04-20 广东北玻电子玻璃有限公司 步进式易插玻璃板机构
DE112018007695T5 (de) * 2018-06-05 2021-02-18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Druckvorrichtung
CN109532097A (zh) * 2018-12-05 2019-03-29 广东力顺源智能自动化有限公司 一种用于酒盒成型机的上底板装置
CN109573629B (zh) * 2019-01-30 2024-04-02 昆山同日工业自动化有限公司 一种托盘自动拆卸生产线及控制方法
CN112158510A (zh) * 2020-09-28 2021-01-01 苏州天准科技股份有限公司 上下料设备及点胶***
CN112620830B (zh) * 2020-12-28 2022-02-11 宁波爱柯迪精密部件有限公司 工件输送机构和内螺纹加工设备
US11884197B2 (en) * 2021-07-19 2024-01-30 Nicholas P. Carter Systems and methods of automated deployment of mounting devices for photovoltaic modules for solar plant installation
CN114348622A (zh) * 2022-02-18 2022-04-15 苏州杰锐思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缓存装置
CN117125492B (zh) * 2023-10-27 2024-01-02 山西雅美德印刷科技有限公司 一种平面印刷用成品输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5056A (ja) 1982-02-05 1983-08-11 株式会社 オ−ク製作所 板状体搬送装置
JPS60183740U (ja) * 1984-05-17 1985-12-05 富士通株式会社 プリント板供給装置
US4950120A (en) * 1989-02-27 1990-08-21 Burnd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card edge connectors and connector magazines
JPH0532315A (ja) 1991-07-29 1993-02-09 Unitec Eng:Kk 先入れ先出しバツフア装置
DE9111388U1 (de) 1991-09-13 1991-11-21 Rogic, Vladimir, 7000 Stuttgart Lageranordnung für Lagergut
JP3285165B2 (ja) * 1993-05-12 2002-05-27 株式会社ナガオカ製作所 プリント基板用ストッカー
JP2992200B2 (ja) * 1994-06-21 1999-12-20 花王株式会社 箱物品積層方法及び装置
JP3236464B2 (ja) 1995-01-26 2001-12-10 株式会社アマダ 板材加工機におけるワーク搬入、搬出装置
US5645392A (en) 1995-09-08 1997-07-08 Micromatic Operations, Inc. Dunnage handling system
DE19619486A1 (de) * 1996-05-14 1997-12-04 Luekon Paul Luescher Werke Ag Förder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Durchlauföfen und einen damit ausgerüsteten Durchlaufofen
IT1292842B1 (it) * 1997-04-08 1999-02-11 Azionaria Costruzioni Acma Spa Impianto per il confezionamento di prodotti.
US20040101386A1 (en) 2002-11-22 2004-05-27 Bellheimer Metallwerk Gmbh Vertical carousel with top and side access stations
JP4414314B2 (ja) 2004-09-29 2010-02-1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表面実装機
JP2007137459A (ja) 2005-11-17 2007-06-07 Daisey Machinery Co Ltd パック供給方法及び装置
JP4989439B2 (ja) 2007-12-17 2012-08-01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トレイ部品供給装置
GB2468667A (en) * 2009-03-17 2010-09-22 Herbert R J Eng Ltd Tray lift comprising elevator screws
JP5278122B2 (ja) 2009-04-06 2013-09-04 ソニー株式会社 トレイ供給装置
CN101808499B (zh) 2010-03-31 2011-08-17 深南电路有限公司 暂存***及其存取装置
DE102010035231B4 (de) 2010-08-24 2013-05-16 Hänel & Co. Lagerregalsystem zur Lagerung von Lagergu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783A (ko) * 2018-05-25 2020-09-29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수납 장치 및 인쇄 시스템
US11338568B2 (en) 2018-05-25 2022-05-24 Fuji Corporation Storage device and prin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37558A (ja) 2013-11-28
US9446901B2 (en) 2016-09-20
EP2664565A2 (en) 2013-11-20
JP5926115B2 (ja) 2016-05-25
US20130309051A1 (en) 2013-11-21
CN103429064A (zh) 2013-12-04
CN103429064B (zh) 2016-05-11
EP2664565A3 (en)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9123A (ko) 수납 장치
KR101677291B1 (ko) 트레이 공급 장치
KR101472874B1 (ko) 부품 공급 장치, 부품 실장 장치 및 부품 공급 방법
KR100276523B1 (ko) 부품실장장치
JP2013026403A (ja) 部品供給装置
JP2005347317A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実装機
JP4414314B2 (ja) 表面実装機
KR101427084B1 (ko) 트레이 피더
JP5841901B2 (ja) 部品供給装置、部品実装装置及び部品供給方法
JP4369301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実装機
JP4448383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実装機
JP2005032846A (ja)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供給装置を備えた実装機
JP4414315B2 (ja) 表面実装機
KR20090098222A (ko) 칩 트레이 공급장치
JP4414816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実装機
JP2002217590A (ja) トレイ電子部品搭載装置
JP4369300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実装機
JP4369302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実装機
JP2006100583A (ja) 表面実装機
JPH08293696A (ja) 実装機の部品供給装置
JP2005347323A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実装機
JP2006100582A (ja) 表面実装機
JP2005347320A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実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065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202

Effective date: 2016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