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218A - 도어록, 특히 자동차 도어록 - Google Patents

도어록, 특히 자동차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218A
KR20210151218A KR1020217037407A KR20217037407A KR20210151218A KR 20210151218 A KR20210151218 A KR 20210151218A KR 1020217037407 A KR1020217037407 A KR 1020217037407A KR 20217037407 A KR20217037407 A KR 20217037407A KR 20210151218 A KR20210151218 A KR 20210151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unlocking
door lock
actuat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레스 케이다나
로스티슬라브 솔닷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10151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05B81/21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with means preventing or detecting pinching of objects or body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26Output elements
    • E05B81/30Rotary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4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down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캐치(3)와 폴(4)로 구성된 잠금 메커니즘(3, 4)으로 설계된 도어록, 특히 자동차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또한, 잠금 메커니즘(3, 4)에 작용하는 폐쇄장치(5, 6, 7, 8, 9; 16, 17))가 제공되며, 이때 폐쇄장치(5 내지 9)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구동식 작동 레버(8), 잠금 메커니즘 구성요소(3, 4)와 상호작용하는 구동 폴(5), 및 작동 레버(8)와 구동 폴(5) 사이의 힘의 흐름을 기계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잠금해제 요소(16, 17)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잠금해제 요소(16, 17)는 비상 잠금해제 기능을 위해 대체로 힘을 가하지 않고 폐쇄장치(5 내지 9; 16, 17)를 분리하는 커플링 요소(7)에 작용하며, 상기 커플링 요소는 그 과정에서 이전의 "결합" 상태에서 "결합해제" 기능 위치로 전환된다.

Description

도어록, 특히 자동차 도어록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캐치(catch)와 폴(pawl)로 구성된 잠금 메커니즘을 갖고 잠금 메커니즘에 작용하는 폐쇄장치를 갖는 도어록, 특히 자동차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폐쇄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구동식 작동 레버, 잠금 메커니즘 구성요소와 상호작용하는 구동 폴, 및 작동 레버와 구동 폴 사이의 힘의 흐름을 기계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잠금해제 요소를 구비한다.
도어록, 특히 자동차 도어록에는 요즘 편의상 폐쇄장치가 장착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예를 들어 테일게이트의 자동차 도어록뿐만 아니라 측면 도어의 자동차 도어록에도 점점 더 많이 적용된다. 폐쇄장치의 도움으로, 해당 자동차 도어록은 이전에 원래 취하고 있던 예비폐쇄 잠금 위치에서 주 잠금 위치로 모터에 의해 이동된다. 대조적으로, 예비잠금 위치는 일반적으로 수동으로 취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연관된 자동차 도어 또는 자동차 플랩(flap)을 예비잠금 위치까지 폐쇄하고 그 후 전동식 폐쇄장치가 주 잠금 위치로의 변환을 보장한다. 이것은 원칙적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자동차 도어나 자동차 플랩이 닫힐 때, 예를 들어 작업자의 의복이나 기타 물건이 끼거나 최악의 경우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끼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관리하기 위해, 예를 들어 DE 10 2006 059 275 A1은 자동차 플랩의 잠금 과정의 비상 종료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위해 플랩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 레버가 모니터링되며, 이는 근접 센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잠금 과정은 비상 잠금해제 기능 동안 전기적으로 중단되며, 이때 이와 관련하여 연관된 제어 구동장치의 역순의 운동이 제공된다.
DE 20 2008 015 789 U1에 따른 비상 중단 기능을 위한 다른 절차에서, 구동 폴에는 개폐 과정을 선택적으로 중단하기 위한 이젝터 유닛이 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젝터 유닛의 도움으로 구동 폴을 배출함으로써 비상시에 폐쇄 과정이 중단된다.
EP 0 979 915 A2에 따른 종래 기술은 잠금해제 요소가 작동될 때 작동 레버용 구동장치와 폐쇄 보조장치 또는 구동 폴 사이의 힘의 흐름이 동시에 차단되도록 하는 도어 등의 잠금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위해 잠금해제 요소 또는 잠금해제 메커니즘이 토글 레버에 직접 작용한다. 비상 잠금해제 기능을 위해 핸드 레버 또는 테일게이트 핸들이 작동된다. 결과적으로 작동 레버가 피벗된다. 결과적으로 캐치가 완전히 해제되고 이와 관련하여 해당 도어록이 장착된 테일게이트가 고무 시일의 압력 하에서 갑자기 홱 열린다.
종래 기술은 폐쇄 과정 중에 도어록 또는 자동차 도어록을 비상 잠금해제시키는 기본적인 가능성과 관련하여 원칙적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종래기술은, 비상 잠금해제 기능의 경우, 폐쇄장치의 기계적 힘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구동 폴 또는 작동 레버가 작동되어야 하는 방식으로 기능한다. 이는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는데, 왜냐하면 폐쇄 과정에서 작동 레버와 구동 폴이 모두 모터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하기 때문이며, 즉 이들은 "사전 인장된"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종래 기술이 교시하는 바와 같이, 작동 레버가 이동되거나 구동 폴이 배출되는 경우, 비상 중단 또는 비상 잠금해제 기능을 위해 이러한 사전 인장력을 극복해야 한다. 이로 인해 잠금해제 요소에 작용해야 하는 상당한 작동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종류의 증가된 작동력은 점점 더 파괴적인 것으로 인식된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이를 개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잠금해제 요소에 필요한 작동력이 종래 기술에 비해 감소되는 방식으로 초기에 설명한 구조의 도어록, 특히 자동차 도어록을 추가로 개발하는 기술적 과제를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반적인 도어록, 특히 자동차 도어록에서 잠금해제 요소가 비상 잠금해제 기능을 위해 대체로 힘을 가하지 않고 폐쇄장치를 분리하는 커플링 요소에 작용하며, 상기 커플링 요소는 그 과정에서 이전의 "결합" 상태에서 "결합해제" 기능 위치로 전환된다.
필수적인 모터구동식 작동 레버와 잠금 메커니즘 구성요소에 작용하는 구동 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커플링 요소를 또한 사용한다. 정상적인 폐쇄 과정 중에는 커플링 요소는 "결합" 위치를 취한다. 그런 다음 폐쇄장치 전체가 기계적으로 닫히고 모터 구동장치에서 작동 레버, 커플링 요소를 거쳐 최종적으로 구동 폴까지 힘이 계속 흐른다.
이를 위해, 구동 폴은 다시, 예를 들어 전달 요소 또는 전달 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해당 전달 요소 또는 전달 레버 역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커플링 요소를 수용하며, 이 커플링 요소는 일반적으로 커플링 레버이다. 커플링 레버 자체는 적어도 "결합" 위치에서는 작동 레버 상의 작동 윤곽부와 상호작용한다. 그러나 커플링 요소 또는 커플링 레버가 "결합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 작동 윤곽부가 있는 작동 레버가 커플링 요소에 작용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전달 요소 및 여기에 장착된 구동 폴에 힘을 가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 잠금해제 기능을 위한 잠금해제 요소가 해당 커플링 요소에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전체 설계이다. 여기에서 커플링 요소는 이전의 "결합" 위치에서 "결합해제" 기능 위치로 전환된다. 동시에 폐쇄장치는 대체로 힘을 가하지 않고 분리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는 커플링 요소를 이전의 "결합" 상태에서 "결합해제" 기능 위치로 전환시키기 위해 잠금해제 요소가 커플링 요소에만 작용한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작동 레버와 구동 폴, 그리고 적용 가능한 경우 전달 요소는 위치를 유지한다. 즉, 이들은 잠금해제 요소의 도움으로 명백히 움직이지 않거나, 회전하지 않거나, 또는 유사하게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폐쇄장치의 개별 구성요소의 기계적 연결은 대체로 힘을 가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 경우 커플링 요소 또는 커플링 레버와 작동 레버 상의 작동 윤곽부 사이의 마찰력만 극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작동 레버뿐 아니라 전달 요소 또는 구동 폴에 대한 추가 작용도 없으므로, 커플링 요소 또는 커플링 레버가 폐쇄 과정에서 원래 취했던 "결합" 기능 상태에서 "결합해제" 기능 위치로 전환되는 일이 종래 기술에 비해 특히 적은 힘으로 발생할 수 있다.
커플링 요소 또는 커플링 레버를 제외하고 폐쇄장치의 다른 모든 기능 요소는 이 과정에서 위치가 유지된다. 커플링 요소가 "결합해제" 기능 상태에 있을 때 폐쇄장치가 기계적으로 중단되자마자, 구동 폴의 도움으로 작동하는 잠금 메커니즘 구성요소는 다른 하나의 잠금 메커니즘 구성요소에서 멀어질 수 있으며 잠금 메커니즘은 즉시 개방 위치를 취한다. 이 모든 것은 작업자가 잠금해제 요소에 특히 적은 힘을 가할 수 있어서, 폐쇄 과정 동안의 모든 불편이 이러한 방식으로 빠르고 쉽게 그리고 낮은 작동력으로 관리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여기에 본질적인 이점이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해제 요소는 비상 잠금해제 레버와 이젝터 레버를 갖는 두 부분으로 설계된다. 이젝터 레버는 일반적으로 비상 잠금해제 기능을 위해 커플링 레버 상의 작동 핀과 상호작용한다. 이를 위해, 이젝터 레버는 유리하게는 C자형 또는 U자형 방식으로 설계된다. 대부분의 경우 이젝터 레버는 커플링 암과 작동 암을 갖는다.
이젝터 레버의 작동 암은 일반적으로 비상 해제 레버 상의 작동 탭과 결합하기 위한 윤곽부를 가진다. 비상 해제 레버 자체는 일반적으로 2-암 또는 3-암 레버로 설계된다. 비상 해제 레버의 한 암은 이젝터 레버의 작동 암 상에 있는 윤곽부에 맞물리는 작동 탭 역할을 한다.
작동 암에 추가하여 제공되는 이젝터 레버 상의 커플링 암은 일반적으로 커플링 레버의 작동 핀을 위한 스톱 에지를 갖는다. 이젝터 레버는 다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이젝터 레버는 일반적으로 잠금 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잠금해제 평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잠금 평면에는 일반적으로 잠금 메커니즘의 일부인 캐치 및 적어도 하나의 폴이 걸쳐진다. 대조적으로, 잠금해제 평면은 상기 잠금 평면의 위 또는 아래에서 잠금 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젝터 레버도 잠금해제 평면에 위치한다.
대부분의 경우 비상 잠금해제 레버는 이젝터 레버와 함께 해당 잠금해제 평면에 걸쳐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 결과, 두 부분으로 된 잠금해제 요소의 두 구성요소인 비상 잠금해제 레버와 이젝터 레버는 토폴로지상 잠금 메커니즘에서 결합해제되고 결과적으로 이와 관련하여 원치 않는 상호작용이 발생할 수 없다. 오히려, 비상 잠금해제 레버는 이젝터 레버에 작용하고, 이는 다시 커플링 레버의 작동 핀 상에 있는 커플링 암 상의 스톱 에지와 함께 작용한다. 커플링 레버는 전달 요소와 함께 추가의 제3 평면에 놓여 있으며, 제3 평면은 한편으로 잠금 평면과 다른 한편으로 잠금해제 평면 사이에 대부분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개별 레버는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기능적으로 서로 결합해제될 수 있다.
구동 폴은 일반적으로 잠금 평면에 배치되는데, 이는 구동 폴이 일반적으로 그 폐쇄 목적으로 폴 및/또는 캐치에 작용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경우, 구동 폴은 닫힐 때 캐치의 윤곽부와 맞물리고 캐치를 이전에 수동으로 취했던 예비잠금 위치에서 주 잠금 위치로 전환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구동 폴은 잠금 메커니즘 전체를 예비잠금 위치에서 주 잠금 위치로 전환하기 위해 폴에 작용할 수도 있다.
그 결과, 특히 낮은 힘의 비상 잠금해제 기능을 제공하는 도어록, 특히 자동차 도어록이 제공된다. 이는 본질적으로 비상 잠금해제 기능을 위한 잠금해제 요소가 폐쇄장치의 일부로서 커플링 요소에 작용하며 이 과정 동안에 대체로 힘을 가하지 않고 폐쇄장치가 분리된다는 사실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잠금해제 요소는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비상 잠금해제 레버는 잠금해제 요소의 일부로서 도어 핸들, 플랩 핸들 등에 연결될 수 있거나 이러한 핸들 외에 추가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작업자가 폐쇄 과정을 중단하는 즉시 핸들 및 그에 따라 잠금해제 요소에 작용하여 폐쇄 과정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폐쇄장치가 대체로 힘을 가하지 않고 분리되기 때문에, 폐쇄 과정은 아무런 어려움 없이 사실상 모든 단계에서 기계적으로 중단될 수 있다. 잠금해제 요소의 수동 작동에는 낮은 작동력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 모든 것이 특히 빠르고 효과적으로 성공한다. 여기에 본질적인 이점이 있다.
단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록의 개요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폐쇄 과정의 상이한 단계의 전면 및 후면도이며,
도 3a는 폐쇄 과정인 경우의 비상 잠금해제 또는 비상 중단 기능의 시작을 도시하고,
도 3b는 달성된 비상 잠금해제 또는 비상 중단 기능을 도시한다.
도면은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자동차 도어록인 도어록을 도시한다. 도시된 자동차 도어록은 예를 들어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측면 도어록 또는 탱크 플랩 잠금장치, 전면 후드 잠금장치 등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도 1에서, 자동차 도어록은 주 잠금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적 위치를 취하기 위해, 도 1에 표시된 잠금 볼트(1)가 먼저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캐치(3)의 예비잠금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인렛 마우스(inlet mouth)(2) 내로 이동한다. 캐치(3)를 점선으로 표시된 예비잠금 위치에서 도 1의 실선으로 표시된 주 폐쇄 위치로 전환하는 일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폐쇄장치(5, 6, 7, 8, 9; 16, 17)가 캐치(3) 및 폴(4)로 구성된 도시되고 구현된 잠금 메커니즘(3, 4)에 작동하는 방식으로 발생한다.
폐쇄장치(5 내지 9; 16, 17)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구동식 작동 레버(8)를 갖는다. 도면에서, 모터 구동장치(9)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되며, 이는 도 2a 내지 2c의 도시에서 작동 레버(8)가 예를 들어 정면도에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1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 이동을 실행하는 방식으로 좌측에 도시된 정면도에 따라 폐쇄 과정 동안 작동 레버(8)에 작용한다. 모터 구동장치(9)는 일반적으로 전기 모터이며, 이는 추가로 제공된 센서(12)가 잠금 메커니즘(3, 4)의 잠금 위치를 취했음을 감지하자마자 표시된 제어장치(11)에 의해 작동된다. 이를 위해, 센서(12)는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캐치(3)의 예비잠금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잠금 메커니즘(3, 4)이 예비잠금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제어장치(11)는 전동 구동장치(9)에 작용함으로써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도에서 작동 레버(8)가 그 축(1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피벗되는 것을 보장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장치(5, 6, 7, 8, 9; 16, 17)는 전달 요소 또는 전달 레버(6) 상의 축(1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폴(5)을 또한 포함한다. 이를 위해 자체 축(1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커플링 레버(7)는 전달 요소 또는 전달 레버(6)에 또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커플링 레버(7)와 구동 폴(5)은 전달 레버(6)의 양쪽에 배치되고 지지된다.
커플링 레버(7)에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작동 레버(8) 상의 작동 윤곽부(8')와 상호작용하는 작동 탭(7')이 장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폴(5)은 잠금 메커니즘 구성요소(3, 4), 특히 캐치(3)와 상호작용한다. 이를 위해 캐치(3)는 작동 윤곽부(3')를 갖고, 여기서 구동 폴(5) 상의 추가 작동 윤곽부(5')는 캐치(3)와 맞물리거나 상호작용하여, 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예비잠금 위치에서 시작하여 실선으로 도시된 주 폐쇄 잠금으로 캐치(3)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캐치(3)는 도 1에 표시된 반시계 방향으로 축(15)을 중심으로 피벗된다. 동시에, 잠금 볼트(1)는 이 과정에서 걸려서 주 잠금 위치에 고정되는데, 왜냐하면 잠금장치(3, 4)의 주 잠금 위치에서 폴(4)은 평소와 같이 캐치(3)에 떨어져서 캐치(3)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폐쇄장치(5 내지 9; 16, 17)의 모터구동식 작동 레버(8)와 잠금 메커니즘 구성요소(3, 4)와 상호작용하는 구동 폴(5)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록은 폐쇄장치(5 내지 9; 16, 17)의 일부로서 필수적인 기능 요소인 잠금해제 요소(16, 17)를 또한 갖는다. 잠금해제 요소(16, 17)의 도움으로 작동 레버(8)와 구동 폴(5) 사이의 힘의 흐름이 차단될 수 있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폐쇄장치(5 내지 9; 16, 17)가 기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그리고 비상 잠금해제 또는 비상 중단 기능을 위해, 잠금해제 요소(16, 17)는 이미 위에서 설명한 커플링 요소 또는 커플링 레버(7)에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쇄장치(5 내지 9; 16, 17)의 비상 잠금해제 또는 비상 중단 기능을 위해 잠금해제 요소(16, 17)가 대체로 힘을 가하지 않고 폐쇄장치(5 내지 9; 16, 17)를 분리하는 커플링 레버(7)에 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상기 커플링 요소는 그 과정에서 이전의 "결합" 상태에서 "결합해제" 기능 위치로 전환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a 내지 도 2c 또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잠금해제 요소(16, 17)는 다시 비상 잠금해제 레버(16)와 이젝터 레버(17)가 있는 두 부분으로 형성된다. 이는 필수 구성요소로 축소된 자동차 도어록을 각각 후면도로 보여주는 도 3a 및 3b를 비교할 때 가장 잘 알 수 있다.
비상 잠금해제 레버(16)는 2-암 또는 3-암 레버로 설계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 잠금해제 레버(16)는 한편으로는 작동 탭(16a) 및 다른 한편으로는 작동 암(16b)을 갖는 3-암 레버로서 장착된다. 특히 도 3a 및 도 3b에 기초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상 잠금해제 레버(16)의 작동 암(16b)은 도시된 힘(F)으로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 힘(F)은 폐쇄장치(5 내지 9; 16, 17)가 예를 들어 끼인 의복이나 손가락을 즉시 해제하기 위해 폐쇄 과정 중에 중단되어야 하는 경우 작업자에 의해 비상 잠금해제 레버(16)에 가해진다. 이를 위해, 비상 잠금해제 레버(16)는 다시 도어 핸들 또는 일반적으로 핸들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물론 예시로서만 적용되고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여하튼, 도 3a에 도시되고 비상 잠금해제 기능을 위해 작업자에 의해 구축된 비상 잠금해제 레버(16)에 작용하는 힘(F)으로 인해 비상 잠금해제 레버(16)는 도 3a에 표시된 시계 방향으로 그 축(16')을 중심으로 피벗된다. 그 결과, 비상 잠금해제 레버(16)는 이젝터 레버(17) 상의 윤곽부(17a)에서 그 작동 탭(16a)과 맞물리거나 해당 윤곽부(17a)와 상호작용한다.
이젝터 레버(17)는 다시 또 C자형 또는 U자형이다. 그 결과, 이젝터 레버(17)는 한편으로는 전술한 윤곽부(17a)를 갖는 작동 암(17b) 및 다른 한편으로는 스톱 에지(17d)를 갖는 커플링 암(17c)을 갖는다. 이젝터 레버(17) 자체는 축(1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젝터 레버(17)의 커플링 암(17c) 상의 스톱 에지(17d)는 커플링 레버(7)의 작동 핀(7a)과 상호작용한다.
전반적으로, 잠금 메커니즘 구성요소(3, 4), 즉 캐치(3) 및 폴(4) 양쪽 모두는 구동 폴(5)이 또한 위치하는 잠금 평면에 그 연관된 축과 함께 걸쳐 있도록 토폴로지 설계가 되어 있다. 비상 잠금해제 레버(16) 및 이젝터 레버(17)는 함께 결합되어 잠금 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3a의 평면도에서 상기 잠금 평면 위쪽에 배치되는 잠금해제 평면을 정의하고 이에 걸쳐 있다. 잠금해제 평면과 잠금 평면 사이에 추가적인 제3 평면이 제공되며, 이 평면에는 전달 요소 또는 전달 레버(6)와 커플링 요소 또는 커플링 레버(7)가 대체로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개별 기능 요소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서로 독립적으로 그리고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작용되고 이동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 폐쇄 과정이 이제 일반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각각의 경우 정면도에서 좌측 부분에, 후면도에서 우측 부분에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 따른 기능적 위치에서 시작하여, 폐쇄 구동장치(5 내지 9; 16, 17)는 시작 위치 또는 초기 위치에 있다. 모터 구동장치(9)가 센서(12)를 확인한 후 제어장치(11)로부터 잠금 메커니즘(3, 4)의 예비잠금 신호를 감지하자마자 구동장치(9)는 제어장치(11)에 의해 작동되어, 도 2a에서 도 2b로의 전환의 정면도에서, 작동 레버(8)는 표시된 반시계 방향으로 축(10)을 중심으로 피벗된다. 구동 폴(5)은 도면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구동 폴(5)의 윤곽부(5')가 캐치(3)의 관련 윤곽부(3')에 닿아 정지하게 된다는 점에서 캐치(3)의 윤곽부(3')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구동 폴(5)의 이러한 하향 이동의 결과로서, 캐치(3)는 도 1에 따른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예비잠금 위치에서 시작하여 축(15)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주 잠금 위치의 방향으로 축(15)을 중심으로 피벗된다.
구동 폴(5)의 도시된 하향 움직임은 폐쇄 과정의 시작 부분에서 관찰될 수 있는, 축(10)을 중심으로 하는 작동 레버(8)의 반시계 방향 움직임이 작동 레버(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전달 레버(6) 역시 이 과정 중에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결과를 가져오고 이에 따라 구동 폴(5)은 위에서 이미 설명한 하향 이동을 실행한다는 점에 의해 설명된다.
잠금 과정의 끝이 이제 도 2c에 도시된다. 이 전체 기능 순서에서, 커플링 레버(7)는 도 3a에 확대 도시된 "결합" 기능 위치에 있다. 이것은 커플링 레버(7) 상의 탭(7')이 작동 레버(8) 상의 작동 윤곽부(8')와 상호작용하거나 이 작동 윤곽부(8')와 맞물린다는 사실에 대응한다. 그 결과, 폐쇄장치(5 내지 9; 16, 17)의 폐쇄 레버 체인이 구현되며, 원하는 바에 따라 힘은 구동장치(9)로부터 작동 레버(8), 커플링 레버(7), 및 전달 레버(6)를 거쳐 구동 폴(5)로 따라서 캐치(3)로 전달되어 이를 닫을 수 있다.
비상 잠금해제 또는 비상 중단 기능이 있는 경우 이 폐쇄 과정이 종료되고 힘의 흐름이 중단되어야 한다면, 본 발명은 비상 잠금해제 기능을 위해 잠금해제 요소(16, 17)가 대체로 힘을 가하지 않고 폐쇄장치(5 내지 9; 16, 17)를 분리하는 커플링 레버(7)에 작용하도록 제공한다. 이는 도 3a에서 도 3b로의 전환에서 명백하다. 도 3a는 이러한 비상 잠금해제 기능의 시작에 해당한다.
이를 위해, 비상 잠금해제 레버(16)는 작업자에 의해 힘(F)으로 작동되어, 도 3a에 표시된 시계 방향으로 축(16')을 중심으로 피벗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비상 잠금해제 레버(16) 상의 작동 탭(16a)은 이젝터 레버(17)의 윤곽부(17a)와 맞물린다. 그 결과, 이젝터 레버(17)는 표시된 반시계 방향으로 축(18)을 중심으로 피벗된다. 그 결과, 이젝터 레버(17) 상의 스톱 에지(17d)는 커플링 레버(7)의 작동 핀(7a)에 대항하여 이동한다.
이는 도 3a에서 도 3b로의 전환에서 커플링 레버(7)가 축(14)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피벗되고 그 결과 커플링 레버(7) 상의 탭(7')이 작동 레버(8)의 작동 윤곽부(8')로부터 해제된다는 결과를 낳는다. 이 과정 동안, 커플링 레버(7)는 도 3a의 표현에 따른 이전에 취한 "결합" 기능 위치에서 도 3b의 표현에 따른 "결합해제" 기능 상태로 전환된다. 이 경우 폐쇄장치(5 내지 9; 16, 17)는 대체로 힘을 가하지 않고 분리되는데, 왜냐하면 작동 레버(8)와 전달 레버(6) 및 구동 폴(5)이 모두 위치를 유지하고 이 과정 도중에 작용하지 않거나 적어도 단지 약간만 작용하여, 작동 탭(7')과 윤곽부(8') 사이의 마찰력을 극복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폐쇄장치(5 내지 9; 16, 17)의 힘의 흐름을 차단하는 설명된 과정은 언제든지 낮은 작동력(F)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b에 따른 기능적 위치에서, 커플링 레버(7)는 이제 그 "결합해제" 위치를 취한다. 그 결과, 캐치(3)는 스프링의 도움으로 구동 폴(5)을 위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따라서 잠금 볼트(1)가 즉시 해제되고 설명한 자동차 도어록이 장착된 자동차 도어 또는 자동차 플랩이 열릴 수 있게 된다. 이전에 끼인 의복이나 손가락이 해당 도어 또는 덮개와 자동차 차체 사이의 틈새로부터 직접 당겨질 수 있다.
1 잠금 볼트
2 인렛 마우스
3 캐치
3' 작동 윤곽부
4 폴
3, 4 잠금 메커니즘
5 구동 폴
5' 작동 윤곽부
5, 6, 7, 8, 9 폐쇄장치
6 전달 레버
7 커플링 레버
7' 작동 탭
8 작동 레버
8' 작동 윤곽부
9 구동장치
10 축
11 제어장치
12 센서
13 축
14 축
15 축
16' 축
16, 17 잠금해제 요소
16a 작동 탭
16b 작동 암
17 이젝터 레버
17a 윤곽부
17b 작동 암
17c 커플링 암
17d 스톱 에지
18 축
F 힘

Claims (10)

  1. 실질적으로 캐치(3)와 폴(4)로 구성된 잠금 메커니즘(3, 4)을 갖고 상기 잠금 메커니즘(3, 4)에 작용하는 폐쇄장치(5, 6, 7, 8, 9; 16, 17))를 갖는 도어록, 특히 자동차 도어록으로, 상기 폐쇄장치(5 내지 9; 16, 17)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구동식 작동 레버(8), 상기 잠금 메커니즘 구성요소(3, 4)와 상호작용하는 구동 폴(5), 및 상기 작동 레버(8)와 상기 구동 폴(5) 사이의 힘의 흐름을 기계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잠금해제 요소(16, 17)를 포함하는 도어록으로서, 상기 잠금해제 요소(16, 17)는 비상 잠금해제 기능을 위해 대체로 힘을 가하지 않고 상기 폐쇄장치(5 내지 9)를 분리하는 커플링 요소(7)에 작용하며, 상기 커플링 요소는 그 과정에서 이전의 "결합" 상태에서 "결합해제" 기능 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 요소(16, 17)는 비상 잠금해제 레버(16)와 이젝터 레버(17)를 갖는 두 부분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레버(17)는 비상 잠금해제 기능을 위해 상기 커플링 레버(7) 상의 작동 핀(7a)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레버(17)는 커플링 암(17c) 및 작동 암(17b)을 갖는 C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암(17b)은 상기 비상 잠금해제 레버(16) 상의 작동 탭(16a)과 맞물리기 위한 윤곽부(17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암(17c)은 상기 커플링 레버(7)의 상기 작동 핀(7a)을 위한 스톱 에지(17d)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레버(17)는 축(1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레버(17)는 상기 잠금 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잠금해제 평면에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잠금해제 레버(16)는 축(1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2-암 또는 3-암 레버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잠금해제 레버(16)는 상기 이젝터 레버(17)와 함께 상기 잠금해제 평면에 걸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KR1020217037407A 2019-04-18 2020-04-14 도어록, 특히 자동차 도어록 KR202101512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10253.7A DE102019110253A1 (de) 2019-04-18 2019-04-18 Türschloss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9110253.7 2019-04-18
PCT/DE2020/100296 WO2020211905A1 (de) 2019-04-18 2020-04-14 Türschloss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schlo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218A true KR20210151218A (ko) 2021-12-13

Family

ID=7266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407A KR20210151218A (ko) 2019-04-18 2020-04-14 도어록, 특히 자동차 도어록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2012785B2 (ko)
EP (1) EP3956534B1 (ko)
JP (1) JP7485258B2 (ko)
KR (1) KR20210151218A (ko)
CN (1) CN113710863B (ko)
DE (1) DE102019110253A1 (ko)
WO (1) WO20202119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48085B2 (ja) * 2020-01-11 2023-09-20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スライドドア用開閉装置
DE102020132139A1 (de) * 2020-12-03 2022-06-09 Kiekert Aktiengesellschaft Zuzieh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Schloss
DE102021120893A1 (de) 2021-08-11 2023-02-16 Kiekert Aktiengesellschaft Zuzieh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schlos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2615B1 (en) * 1998-07-20 2002-07-23 Mannesmann Vdo Ag Closure device with shutting aid
DE19933371A1 (de) * 1998-08-11 2000-02-17 Mannesmann Vdo Ag Schließeinrichtung mit Zuziehhilfe
DE19919765A1 (de) * 1999-04-29 2000-11-09 Bosch Gmbh Robert Kraftfahrzeug-Türschloß o.dgl. mit elektrischer Öffnungshilfe und Schließhilfe
DE10114438A1 (de) * 2001-03-23 2002-10-02 Siemens Ag Schließeinrichtung mit Zuziehhilfe
DE102006059275A1 (de) * 2006-12-13 2008-06-19 Kiekert Ag Verfahren zum Notabbruch eines Schließvorgangs einer Kraftfahrzeugklappe
FR2926747B1 (fr) 2008-01-25 2011-01-1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Objet comportant un element graphique reporte sur un support et procede de realisation d'un tel objet.
JP2009249836A (ja) 2008-04-02 2009-10-29 Mitsuba Corp 車両用ドア自動閉鎖装置
DE102008048773A1 (de) 2008-09-24 2010-03-25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202008014183U1 (de) * 2008-10-24 2010-03-25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202008015789U1 (de) * 2008-11-28 2010-04-22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JP5582291B2 (ja) * 2010-03-26 2014-09-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ダブルロック式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12036579A (ja) * 2010-08-04 2012-02-23 Shiroki Corp ラゲージロック装置
US8789861B2 (en) * 2010-09-03 2014-07-29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Vehicle door operating mechanism
DE102011018512A1 (de) * 2011-04-23 2012-10-25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US8894103B2 (en) * 2012-06-29 2014-11-25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Vehicle door opening-closing device
DE202013102505U1 (de) * 2012-09-07 2013-06-17 Kiekert Aktiengesellschaft Zuzieh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schloss
DE102012023236A1 (de) * 2012-11-28 2014-05-28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3217377A1 (de) * 2013-08-30 2015-03-05 Kiekert Ag Elektrisches Kraftfahrzeugschloss mit Notentriegelung
DE102013220382A1 (de) * 2013-10-09 2015-04-09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5212411B4 (de) * 2015-07-02 2023-03-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loss mit Hilfsmotor für eine Klappe eines Kraftfahrzeugs
DE202016104688U1 (de) 2016-08-26 2017-11-28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CN206917458U (zh) * 2017-05-19 2018-01-23 北京长城华冠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门门锁紧急解锁装置
CN208669124U (zh) 2018-03-30 2019-03-2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门锁装置以及具有其的车辆
CN208669126U (zh) * 2018-03-30 2019-03-2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门锁及具有其的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10863A (zh) 2021-11-26
US12012785B2 (en) 2024-06-18
EP3956534B1 (de) 2024-05-15
DE102019110253A1 (de) 2020-10-22
CN113710863B (zh) 2023-05-12
EP3956534A1 (de) 2022-02-23
JP2022529952A (ja) 2022-06-27
JP7485258B2 (ja) 2024-05-16
US20220195757A1 (en) 2022-06-23
WO2020211905A1 (de)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2504B2 (en) Latch assembly with power release and dual stage cinch function
CN112900990B (zh) 包括具有棘轮保持功能的系拉机构的电力闭合闩锁组件
KR20210151218A (ko) 도어록, 특히 자동차 도어록
US20240110411A1 (en) Latch assembly with power release and dual stage cinch function
US10358848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11377881B2 (en) Lock for motor vehicle hood
US11933091B2 (en) Motor-vehicle door lock
US9638299B2 (en) Actuating device
US11643852B2 (en) Motor-vehicle door lock
US10865589B2 (en) Motor vehicle door latch
KR20220005078A (ko) 자동차 도어 락
US20030218340A1 (en) Latch arrangement
US20220364396A1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7946634B2 (en) Vehicle door latch
CN109690001B (zh) 机动车门锁
CN111279042B (zh) 具有紧急开启功能的锁操作装置
EP1346122A1 (en) Latch apparatus and method
CN113389446A (zh) 门锁、特别是机动车门锁
JPH0245399Y2 (ko)
CN116219703A (zh) 推推型门闩锁及装配有该推推型门闩锁的家用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