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029A - 결속기 - Google Patents

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029A
KR20210057029A KR1020217006745A KR20217006745A KR20210057029A KR 20210057029 A KR20210057029 A KR 20210057029A KR 1020217006745 A KR1020217006745 A KR 1020217006745A KR 20217006745 A KR20217006745 A KR 20217006745A KR 20210057029 A KR20210057029 A KR 20210057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ntact member
wire
reinforcing bar
m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모리지리
노부타카 다시마
신페이 스기하라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57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6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4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with means for guiding the binding material around the articles prior to severing from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28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twi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28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twisting
    • B65B13/285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10Bundling rods, sticks, or like elongated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E04G21/123Wire twis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가이드부(5)는 규제부(4)의 규제 부재(43)로 와이어(W)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51)와, 규제부(4) 및 제1 가이드(51)에 의해 컬링성이 부여된 와이어(W)를 비틀기부(7)로 안내하는 제2 가이드(52)를 구비한다. 제1 가이드(51) 및 제2 가이드(52)는 본체부(10)의 전방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가이드(52)는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제1 가이드(51)와 대향하여 마련된다. 제2 가이드(52)는 축(52b)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으로,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와, 제1 가이드(51)의 단부(51c)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L1)인 제1 위치와,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와, 제1 가이드(51)의 단부(51c)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L1)보다 짧은 제2 거리(L2)인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Description

결속기
본 개시는, 철근 등의 결속 대상물을 와이어로 결속하는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와이어 이송 장치로부터 송출한 와이어를 철근의 둘레에 루프상으로 권회하고, 이 와이어를 비틀기용 훅으로 파지하여 비틀어, 와이어로 철근을 감아 결속하는 철근 결속기라고 칭하는 결속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철근 결속기는, 와이어 릴로부터 보내져 온 와이어에 컬링성을 부여하여 하방으로 송출하는 컬 가이드와, 컬 가이드에 의해 이송된 와이어를 다시 상방의 컬 가이드의 소정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안내하는 하부 컬 가이드가 결속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배치되어 있다. 하부 컬 가이드는 지지축을 통하여 결속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하부 컬 가이드의 선단측이 상 방향으로 가압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5182212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철근 결속기에서는, 하부 컬 가이드는 선단측이 상측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가압되어 있고, 컬 가이드와 하부 컬 가이드의 간격이 정해져 있다. 철근 결속기의 방향에 따라서는, 컬 가이드와 하부 가이드가 잘 보이기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컬 가이드와 하부 가이드의 간격이 정해져 있으면, 철근을 컬 가이드와 하부 컬 가이드 사이에 넣기 어렵다.
본 개시는,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한 쌍의 가이드 사이에 철근이 용이하게 넣어지도록 한 결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개시에 관계되는 결속기는, 본체부와, 와이어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본체부의 한쪽 단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결속 대상물이 넣어지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와이어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와,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에 의해 안내된 와이어를 비트는 비틀기부와,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의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을, 제1 거리로부터, 제1 거리보다 짧은 제2 거리로 변화시키는 가이드 이동부를 구비한다.
이 결속기에서는,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의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을, 제2 거리보다 긴 제1 거리로 한 상태에서,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 사이에 결속 대상물이 넣어진다. 그리고,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의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을, 제1 거리로부터, 제1 거리보다 짧은 제2 거리로 변화시킨다.
본 개시에 관계되는 결속기에서는,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의 제2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을, 제2 거리보다 긴 제1 거리로 한 상태에서,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 사이에 결속 대상물이 넣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 사이에 결속 대상물을 용이하게 넣을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내부 구성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a는 가이드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b는 가이드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가이드부 및 콘택트 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콘택트 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b는 콘택트 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제2 가이드를 검지하는 출력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9a는 가이드 이동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b는 가이드 이동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a는 가이드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b는 가이드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a는 가이드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b는 가이드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a는 제2 가이드를 검지하는 출력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b는 제2 가이드를 검지하는 출력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a는 콘택트 부재를 검지하는 출력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b는 콘택트 부재를 검지하는 출력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a는 콘택트 부재를 검지하는 출력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b는 콘택트 부재를 검지하는 출력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5a는 콘택트 부재를 검지하는 출력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5b는 콘택트 부재를 검지하는 출력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18은 제2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핸들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2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제2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내부 구성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2a는 가이드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2b는 가이드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가이드부 및 콘택트 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4a는 콘택트 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4b는 콘택트 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제2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6a는 가이드 이동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6b는 가이드 이동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7a는 콘택트 부재를 검지하는 출력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7b는 콘택트 부재를 검지하는 출력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8a는 콘택트 부재를 검지하는 출력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8b는 콘택트 부재를 검지하는 출력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9는 제3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0a는 제4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0b는 제4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1a는 제4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1b는 제4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2a는 제4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2b는 제4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결속기의 실시 형태로서의 철근 결속기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예>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내부 구성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1A)는 와이어(W)가 감긴 와이어 릴(20)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2)와, 수용부(2)에 수용된 와이어 릴(20)에 감긴 와이어(W)를 이송하는 이송부(3)를 구비한다. 또한, 철근 결속기(1A)는 이송부(3)에 의해 이송되는 와이어(W)에 컬링성을 부여하는 규제부(4)와, 규제부(4)에 의해 컬링성이 부여되는 와이어(W)를 안내하는 가이드부(5)를 구비한다. 또한, 철근 결속기(1A)는 와이어(W)를 절단하는 절단부(6)와, 와이어(W)를 비트는 비틀기부(7)와, 절단부(6) 및 비틀기부(7) 등을 구동하는 구동부(8)를 구비한다.
철근 결속기(1A)는 본체부(10)의 한쪽 측에 가이드부(5)가 마련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부(5)가 마련되는 측을 전방이라고 정의한다. 철근 결속기(1A)는 본체부(10)에 핸들부(10h)가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되고, 핸들부(10h)의 전방측에, 철근 결속기(1A)를 작동시키는 조작을 받는 트리거(10t)가 마련된다.
수용부(2)는 와이어 릴(20)의 착탈 및 지지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송부(3)는 이송 부재로서의 한 쌍의 이송 기어(30)를 구비한다. 이송부(3)는 와이어(W)가 한 쌍의 이송 기어(30)의 사이에 끼움 지지된 상태에서, 이송 기어(30)를 도시하지 않은 모터가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W)를 보낸다. 이송부(3)는 이송 기어(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와이어(W)를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정방향과, 화살표 R로 나타내는 역방향의 양쪽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절단부(6)는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와이어(W)의 정방향으로의 이송에 대하여 이송부(3)의 하류측에 마련된다. 절단부(6)는 고정날부(60)와, 고정날부(60)와의 협동으로 와이어(W)를 절단하는 가동날부(61)를 구비한다. 또한, 절단부(6)는 구동부(8)의 움직임을 가동날부(61)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62)를 구비한다.
고정날부(60)는 와이어(W)가 통과하는 개구(60a)를 구비한다. 가동날부(61)는 고정날부(60)를 지지점으로 한 회전 동작으로, 고정날부(60)의 개구(60a)를 통과하는 와이어(W)를 절단한다.
규제부(4)는 이송부(3)에 의해 이송되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따른 복수 개소, 본 예에서는 적어도 3군데에서 와이어(W)에 접하는 제1 내지 제3 규제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도 3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와이어(W)의 이송 경로(Wf)를 따르는 컬링성을 와이어(W)에 부여한다.
규제부(4)는 제1 규제 부재가 상술한 고정날부(60)로 구성된다. 또한, 규제부(4)는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와이어(W)의 정방향으로의 이송에 대하여 고정날부(60)의 하류측에, 제2 규제 부재로서 규제 부재(42)를 구비하고, 규제 부재(42)의 하류측에, 제3 규제 부재로서 규제 부재(43)를 구비한다. 규제 부재(42) 및 규제 부재(43)는 원기둥형 부재로 구성되고, 외주면에 와이어(W)가 접한다.
규제부(4)는 나선형이 되는 와이어(W)의 이송 경로(Wf)에 맞추어, 고정날부(60), 규제 부재(42) 및 규제 부재(43)가 곡선 상에 배치된다. 고정날부(60)는 와이어(W)가 통과하는 개구(60a)가 와이어(W)의 이송 경로(Wf) 상에 마련된다. 또한, 규제 부재(42)는 와이어(W)의 이송 경로(Wf)에 대하여 직경 방향의 내측에 마련된다. 또한, 규제 부재(43)는 와이어(W)의 이송 경로(Wf)에 대하여 직경 방향의 외측에 마련된다.
이에 의해, 이송부(3)에 의해 이송되는 와이어(W)가, 고정날부(60), 규제 부재(42) 및 규제 부재(43)에 접하면서 통과함으로써, 와이어(W)의 이송 경로(Wf)를 따르도록, 와이어(W)에 컬링성이 부여된다.
규제부(4)는 구동부(8)의 움직임을 규제 부재(42)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44)를 구비한다. 규제 부재(42)는 이송부(3)에 의해 와이어(W)를 정방향으로 보내어 와이어(W)에 컬링성을 부여하는 동작에서는, 와이어(W)가 접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와이어(W)를 역방향으로 보내어 철근(S)에 와이어(W)를 감는 동작에서는, 와이어(W)와 접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4a, 도 4b는, 가이드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가이드부 및 콘택트 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a, 도 6b는, 콘택트 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다음에, 한 쌍의 가이드를 작동시키는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이드부(5)는 규제부(4)의 규제 부재(43)가 마련되고, 와이어(W)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51)와, 규제부(4) 및 제1 가이드(51)에 의해 컬링성이 부여된 와이어(W)를 비틀기부(7)로 안내하는 제2 가이드(52)를 구비한다.
제1 가이드(51)는 본체부(10)의 전방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가이드(5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부(3)에 의해 이송되는 와이어(W)가 미끄럼 접촉하는 가이드면(51g)을 가진 홈부(51h)를 구비한다. 제1 가이드(51)에 있어서, 본체부(10)에 설치되는 측을 기단측, 본체부(10)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을 선단측이라 했을 때, 규제 부재(42)가 제1 가이드(51)의 기단측에 마련되고, 규제 부재(43)가 제1 가이드(51)의 선단측에 마련된다. 제1 가이드(51)는 기단측이 본체부(10)의 금속 부분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이란, 엄밀한 의미에서의 고정이 아니라, 제1 가이드(51)가 본체부(10)에 대하여 덜거덕거리는 등, 다소 움직이는 것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제1 가이드(51)의 가이드면(51g)과, 규제 부재(42)의 외주면 사이에는, 와이어(W)가 통과 가능한 간극이 형성된다. 규제 부재(43)는 외주면의 일부가 제1 가이드(51)의 가이드면(51g)으로 돌출된다.
제2 가이드(52)는 본체부(10)의 전방측의 단부에 설치된다. 제2 가이드(52)는 제1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핸들부(10h)가 연장되는 방향에 따른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제2 방향으로, 제1 가이드(51)와 대향하여 마련된다.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 사이는, 제2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이 벌려지고,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 사이에, 도 4a,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철근(S)이 삽입 발출되는 삽입 발출구(53)가 형성된다.
제2 가이드(5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화살표 A3으로 나타내는 제3 방향을 따라서 대향하는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52a)를 구비한다. 제2 가이드(52)에 있어서, 본체부(10)에 설치되는 측을 기단측, 본체부(10)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을 선단측이라 했을 때,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52a)는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간격이 좁아진다.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52a)는 기단측이, 와이어(W)가 통과하는 것이 가능한 간격으로 대향한다.
제2 가이드(52)는 기단측이 축(52b)에 지지되어서 본체부(10)에 설치된다. 축(52b)의 축선은, 제3 방향에 따른 방향이다. 제2 가이드(52)는 축(52b)을 지지점으로 하여 본체부(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다. 제2 가이드(52)는 선단측의 단부(52c)가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제2 방향으로 제2 가이드(52)와 대향하는 제1 가이드(51)의 단부(51c)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 가이드(51)의 단부(51c)에는, 홈부(51h)의 단부(P2)가 노출된다.
제2 가이드(52)는 축(52b)을 지지점으로 한 회동으로, 도 4a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와, 제1 가이드(51)의 단부(51c)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 L1인 제1 위치와, 도 4a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도 4b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와, 제1 가이드(51)의 단부(51c)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 L1보다 짧은 제2 거리 L2인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제2 가이드(52)는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와, 제1 가이드(51)의 단부(51c) 사이가 개방된 상태이다. 제2 가이드(52)는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와, 제1 가이드(51)의 단부(51c)의 간격이 확대되어,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 사이의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을 넣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제2 가이드(52)는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사이드 가이드(52a)가 도 4a, 도 4b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와이어(W)의 이송 경로(Wf)에 위치한다. 제2 가이드(52)는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와, 제1 가이드(51)의 단부(51c)의 간격이,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보다 넓어지는 것이라면, 사이드 가이드(52a)가 와이어(W)의 이송 경로(Wf)에 위치하고 있어도 되고, 도 4a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가이드(52a)가 와이어(W)의 이송 경로(Wf)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제2 가이드(52)는 제1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는 가압 부재(54)에 의해 가압되어, 제1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유지된다.
철근 결속기(1A)는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 사이의 삽입 발출구(53)에 삽입된 철근(S)이 맞닿음으로써 철근(S)을 검지하여, 제2 가이드(52)를 작동시키는 콘택트 부재(9A)를 구비한다. 또한, 철근 결속기(1A)는 본체부(10)의 전방측의 단부를 덮는 커버부(11)를 구비한다.
커버부(11)는 본체부(10)의 전방측의 단부로부터 제3 방향에 따른 본체부(10)의 좌우 양측에 걸쳐서 설치된다. 커버부(11)는 금속의 판재 등으로 구성되어, 제1 가이드(51)의 기단측과 제2 가이드(52)의 기단측 사이에서, 본체부(10)의 전방측의 단부의 일부 또는 전부와, 본체부(10)의 전방측 좌우 양측의 일부를 덮는 형상이다. 본체부(10)가 수지로 구성되는 데 반해, 커버부(11)가 금속으로 구성됨으로써, 콘택트 부재(9A) 및 철근(S)이 금속으로 구성되는 커버부(11)에 맞닿더라도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콘택트 부재(9A)는 가이드 이동부의 일례이며, 축(90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커버부(11)를 통하여 본체부(10)에 설치된다. 콘택트 부재(9A)는 굴곡된 형상이며, 축(90A)에 대하여 한쪽 측에, 철근(S)에 맞닿게 하는 맞닿음부(91A)가 마련되고, 축(90A)에 대하여 다른 쪽 측에, 제2 가이드(52)와 연결되는 연결부(92A)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축(90A)에 대하여 한쪽 측에 맞닿음부(91A)가 마련되고, 다른 쪽 측에 연결부(92A)가 마련된다.
콘택트 부재(9A)는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 사이의 중간 부근에 축(90A)이 마련된다. 또한, 콘택트 부재(9A)는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 사이에서, 축(90A)으로 지지되는 부위 근방으로부터 제1 가이드(51)측에, 한 쌍의 맞닿음부(91A)가 마련된다. 맞닿음부(91A)는 철근(S)을 결속한 와이어(W)가 통과하는 것이 가능한 간격을 두고, 도 3에 도시하는 제1 가이드(51)의 홈부(51h)를 통과하는 와이어(W)의 이송 경로(Wf)를 포함하는 도 5에 도시하는 가상면(Dm)에 대하여 제3 방향에 따른 양측에 마련된다. 맞닿음부(91A)는 제1 가이드(51)의 좌우 양측까지 연장된다.
또한, 콘택트 부재(9A)는 축(90A)으로 지지되는 부위로부터 제2 가이드(52)측에 연결부(92A)가 마련되고, 제2 가이드(52)에 있어서 제1 가이드(51)와 대향하는 측과 반대측의 부위에 접하는 변위부(93A)가 연결부(92A)의 선단측에 마련된다.
콘택트 부재(9A)는 축(90A)을 지지점으로 하여 본체부(10)에 대하여 회동하고,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91A)가 커버부(11)로부터 삽입 발출구(53)로 돌출되는 대기 위치와,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91A)가 커버부(11)에 접근하는 작동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A)는 도 6b에 도시하는 작동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맞닿음부(91A)가 축(90A)으로부터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제2 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51)가 마련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다. 따라서, 콘택트 부재(9A)는 축(90A)을 지지점으로 한 회동으로, 맞닿음부(91A)가 축(90A)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따라,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 사이의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을 삽입하는 동작에서는, 철근 결속기(1A)는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철근 결속기(1A)와 철근(S)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콘택트 부재(9A)는 맞닿음부(91A)가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에 따른 힘으로 밀려서, 작동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축(90A)을 지지점으로 한 회동으로 맞닿음부(91A)가 이동하는 방향이, 철근 결속기(1A)와 철근(S)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철근(S)이 맞닿음부(91A)를 미는 힘의 방향에 따른 방향이 된다. 또한, 도 6b에 도시하는 작동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콘택트 부재(9A)는 연결부(92A)가 축(90A)으로부터 맞닿음부(91A)에 대하여 전방으로 경사지고, 제2 가이드(52)가 마련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다. 따라서, 콘택트 부재(9A)는 축(90A)을 지지점으로 한 회동으로, 변위부(93A)가 축(90A)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따라,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제2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콘택트 부재(9A)는 가압 부재(54)에 가압되어서,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변위부(93A)가 제2 가이드(52)에 의해 제1 가이드(5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린다. 이 때문에, 콘택트 부재(9A)는 축(90A)을 지지점으로 한 회동으로 대기 위치로 이동하여, 맞닿음부(91A)가 커버부(11)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콘택트 부재(9A)는 제2 가이드(52)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54)의 힘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콘택트 부재(9A)를 가압하는 다른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콘택트 부재(9A)는 맞닿음부(91A)가 철근(S)에 압박되면, 맞닿음부(91A)가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콘택트 부재(9A)는 축(90A)을 지지점으로 회동하여, 작동 위치로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A)가 작동 위치로 이동하면, 축(90A)을 지지점으로 한 연결부(92A)의 회동으로, 변위부(93A)가 제1 가이드(5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변위부(93A)가 제2 가이드(52)를 밀어서,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맞닿음부(91A)에 철근(S)이 맞닿은 것, 맞닿음부(91A)에 철근(S)이 맞닿아 변위부(93A)가 이동한 것에 의해,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A)와 제2 가이드(52)를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함으로써, 맞닿음부(91A)부터 축(90A)까지의 거리, 변위부(93A)부터 축(90A)까지의 거리, 제2 가이드(52)의 축(53b)과 콘택트 부재(9A)의 변위부(93A)가 접하는 부위까지의 거리 등에 따라서 소위 배력 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콘택트 부재(9A)의 동작량과, 제2 가이드(52)의 동작량을 최적화할 수 있다.
도 7은, 제2 가이드를 검지하는 출력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이어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제1 출력부(12A)의 상세를 설명한다. 철근 결속기(1A)는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하여, 소정의 출력을 행하는 제1 출력부(12A)를 구비한다. 제1 출력부(12A)는 예를 들어, 가동자(120)의 변위에 따라 출력이 변화하는 구성이다. 본 예에서는, 콘택트 부재(9A)가 대기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 이동하면, 제2 가이드(52)가 가동자(12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을 오프로 한다. 이에 비해, 콘택트 부재(9A)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제2 가이드(52)가 가동자(120)를 미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을 온으로 한다.
이어서, 각 도면을 참조하여, 비틀기부(7) 및 구동부(8)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틀기부(7)는 와이어(W)가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70)와, 걸림 결합부(7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71)를 구비한다. 걸림 결합부(70)는 작동부(71)의 동작으로 회전함으로써, 철근(S)에 감긴 와이어(W)를 비튼다.
구동부(8)는 비틀기부(7) 등을 구동하는 비틀기 모터(80)와, 감속 및 토크의 증폭을 행하는 감속기(81)와, 감속기(81)를 통하여 비틀기 모터(80)에 구동되어서 회전하는 회전축(82)과, 절단부(6) 및 규제 부재(4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이동 부재(83)를 구비한다. 비틀기부(7)와 구동부(8)는 회전축(82)과, 작동부(71) 및 걸림 결합부(70)의 회전 중심이 동축 상에 배치된다. 회전축(82)과, 작동부(71) 및 걸림 결합부(70)의 회전 중심을 축선 Ax라고 칭한다.
걸림 결합부(70)는 이송부(3)에 의해 절단부(6)에 이송된 와이어(W)가 통과하는 제1 통로와, 규제부(4)에 의해 컬링성이 부여되고, 가이드부(5)에 의해 비틀기부(7)로 안내된 와이어(W)가 통과하는 제2 통로가 형성된다.
구동부(8)는 회전축(82)의 회전 동작으로, 회전축(82)의 축방향을 따라서 작동부(71)를 이동시킨다. 작동부(71)가 회전축(82)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걸림 결합부(70)는 가이드부(5)에 의해 비틀기부(7)로 안내된 와이어(W)의 선단측을 보유 지지한다.
구동부(8)는 작동부(71)가 회전축(82)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동작과 연동하여, 이동 부재(83)가 회전축(82)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이동 부재(83)의 움직임이 전달 기구(44)에 의해 규제 부재(42)에 전달되어, 규제 부재(42)가 와이어와 접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작동부(71)가 회전축(82)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이동 부재(83)의 움직임이 전달 기구(62)에 의해 가동날부(61)에 전달되어, 가동날부(61)가 작동하여 와이어(W)가 절단된다.
구동부(8)는 회전축(82)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킨 작동부(71)를 회전축(82)의 회전 동작으로 회전시킨다. 작동부(71)는 회전축(82)의 축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걸림 결합부(70)로 와이어(W)를 비튼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철근 결속기(1A)는 콘택트 부재(9A)가 철근(S)에 압박되는 동작으로 작동하는 제1 출력부(12A)와, 트리거(10t)의 조작으로 작동하는 제2 출력부(13)의 출력을 제어부(100A)에서 검지한다. 제어부(100A)는 제1 출력부(12A)와, 제2 출력부(13)의 출력에 따라서, 이송 기어(30)를 구동하는 이송 모터(31)와, 비틀기부(7) 등을 구동하는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한다.
이어서, 철근 결속기(1A)에 의해 철근(S)을 와이어(W)로 결속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업자는, 철근 결속기(1A)의 핸들부(10h)를 손으로 잡고, 2개의 철근(S)의 교차 개소에 가이드부(5)의 위치를 맞추고,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을 넣는다.
철근 결속기(1A)는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이 넣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 이동하여,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와, 제1 가이드(51)의 단부(51c)의 간격이 확대된다. 이에 의해,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을 넣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작업자는,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을 넣는 방향으로 철근 결속기(1A)를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콘택트 부재(9A)의 맞닿음부(91A)에 철근(S)을 압박한다.
콘택트 부재(9A)는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을 넣는 방향으로 철근 결속기(1A)를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철근 결속기(1A)가 이동하는 방향에 따른 힘을 받아서 맞닿음부(91A)가 밀린다. 이에 의해, 콘택트 부재(9A)는 맞닿음부(91A)가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축(90A)을 지지점으로 회동하여,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동 위치로 이동한다.
교차한 2개의 철근(S)이 삽입 발출구(53)에 넣어지면, 한쪽 철근(S)은, 제1 가이드(51)의 한쪽 측부에 위치하고, 다른 쪽 철근(S)은, 제1 가이드(51)의 다른 쪽 측부에 위치한다. 이에 비해, 콘택트 부재(9A)는 한 쌍의 맞닿음부(91A)가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 사이로부터, 제1 가이드(51)의 좌우 양측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삽입 발출구(53)에 넣어진 철근(S)이, 확실하게 맞닿음부(91A)에 맞닿아, 콘택트 부재(9A)를 작동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콘택트 부재(9A)의 맞닿음부(91A)는 축(90A)을 지지점으로 한 회동 동작으로,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을 넣는 방향으로 철근 결속기(1A)를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맞닿음부(91A)를 밀 수 있어, 콘택트 부재(9A)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철근 결속기(1A)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콘택트 부재(9A)가 작동 위치로 이동하면, 축(90A)을 지지점으로 한 연결부(92A)의 회동으로, 변위부(93A)가 제1 가이드(5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2 가이드(52)를 밀어서,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온으로 되어, 제어부(100A)는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한다.
작업자는, 콘택트 부재(9A)의 맞닿음부(91A)에 철근(S)을 압박한 상태에서, 트리거(10t)를 조작한다. 트리거(10t)가 조작됨으로써, 제2 출력부(13)의 출력이 온으로 되어, 제어부(100A)는 제2 출력부(13)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한다.
제어부(100A)는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한 상태에서, 제2 출력부(13)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는, 작업자가 트리거(10t)를 조작함으로써, 제2 출력부(13)의 출력이 온으로 된 상태에서, 콘택트 부재(9A)의 맞닿음부(91A)에 철근(S)을 압박하는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해도 된다.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송 모터(3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송 기어(30)가 정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와이어(W)가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정방향으로 이송된다. 이송부(3)에 의해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는, 규제부(4)를 구성하는 제1 규제 부재인 고정날부(60)와, 제2 규제 부재인 규제 부재(42)를 통과한다. 규제 부재(42)를 통과한 와이어(W)는, 제1 가이드(51)의 가이드면(51g)에 접함으로써, 제3 규제 부재인 규제 부재(43)에 안내된다.
이에 의해, 이송부(3)에 의해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는, 고정날부(60), 규제 부재(42), 규제 부재(43)와, 제1 가이드(51)의 가이드면(51g)에 접함으로써 원호형으로 구부러진다. 그리고, 이송부(3)에 의해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는, 원호형의 외주 방향으로부터 고정날부(60)와 규제 부재(43)가 접하고, 고정날부(60)와 규제 부재(43) 사이에서, 원호형의 내주 방향으로부터 규제 부재(42)가 접함으로써, 대략 원을 그리는 컬링성이 부여된다.
제1 가이드(51)의 단부(51c)와,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의 사이는,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소정의 간격이 벌어진다. 단,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52a)가 와이어(W)의 이송 경로(Wf)에 위치하고 있어, 이송부(3)에 의해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규제부(4)에 의해 컬링성이 부여되므로, 제2 가이드(52)의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52a)의 사이로 안내된다.
제2 가이드(52)의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52a)의 사이에 안내되는 와이어(W)는, 이송부(3)에 의해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에 의해, 제2 가이드(52)의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52a)에 의해 비틀기부(7)의 걸림 결합부(70)로 안내된다. 그리고, 제어부(100A)는 와이어(W)의 선단부가 소정의 위치까지 보내졌다고 판단하면, 이송 모터(31)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와이어(W)가 철근(S)의 주위에서 나선형으로 감긴다. 또한,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하지 않았고,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오프인 상태에서는, 제어부(100A)는 와이어(W)의 이송을 행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와이어(W)가 비틀기부(7)의 걸림 결합부(70)에 걸림 결합되지 않아, 이송 불량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즉,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에 있으면, 와이어(W)는 비틀기부(7)의 걸림 결합부(70)로 안내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어부(100A)는 와이어(W)의 정방향으로의 이송을 정지한 후, 비틀기 모터(8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비틀기 모터(8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작동부(71)에 의해 걸림 결합부(70)를 작동시켜, 걸림 결합부(70)로 와이어(W)의 선단측을 보유 지지한다.
제어부(100A)는 걸림 결합부(70)로 와이어(W)를 보유 지지할 때까지, 비틀기 모터(80)를 회전시켰다고 판단하면, 비틀기 모터(80)의 회전을 정지하고, 이송 모터(3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걸림 결합부(70)로 와이어(W)를 보유 지지할 때까지, 비틀기 모터(80)를 회전시키면, 이동 부재(83)의 움직임이 전달 기구(44)에 의해 규제 부재(42)에 전달되어, 규제 부재(42)가 와이어와 접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송 모터(3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송 기어(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와이어(W)가 화살표 R로 나타내는 역방향으로 이송된다. 와이어(W)를 역방향으로 이송하는 동작으로, 와이어(W)는 철근(S)에 밀착되도록 하여 감긴다.
제어부(100A)는 와이어(W)를 철근(S)에 감을 때까지, 이송 모터(3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켰다고 판단하면, 이송 모터(31)의 회전을 정지시킨 후, 비틀기 모터(8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비틀기 모터(8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동 부재(83)에 의해 전달 기구(62)를 통하여 가동날부(61)가 작동하여, 와이어(W)가 절단된다.
와이어(W)가 절단된 후, 비틀기 모터(80)의 정방향 회전을 계속함으로써 걸림 결합부(70)를 회전시켜, 와이어(W)를 비튼다.
제어부(100A)는 와이어(W)를 비틀 때까지, 비틀기 모터(8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켰다고 판단하면, 비틀기 모터(8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비틀기 모터(8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걸림 결합부(7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켜, 와이어(W)의 보유 지지를 해제한다. 이에 의해, 철근(S)을 결속한 와이어(W)를 걸림 결합부(70)로부터 빼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어부(100A)는 걸림 결합부(70) 등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때까지, 비틀기 모터(8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켰다고 판단하면, 비틀기 모터(8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작업자는, 와이어(W)로 결속된 철근(S)을 삽입 발출구(53)로부터 빼는 방향으로 철근 결속기(1A)를 이동시킨다. 철근(S)을 삽입 발출구(53)로부터 빼는 방향으로 철근 결속기(1A)를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콘택트 부재(9A)의 맞닿음부(91A)를 미는 힘이 걸리지 않게 되면, 가압 부재(54)의 힘으로,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 이동하면, 콘택트 부재(9A)는 변위부(93A)가 제1 가이드(5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려서, 축(90A)을 지지점으로 한 회동으로 대기 위치로 이동하여, 맞닿음부(91A)가 커버부(11)로부터 돌출된다.
작업자가, 와이어(W)로 결속된 철근(S)을 삽입 발출구(53)로부터 빼는 방향으로 철근 결속기(1A)를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 이동하여,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와, 제1 가이드(51)의 단부(51c)의 간격이 확대된다. 이에 의해, 삽입 발출구(53)로부터 철근(S)을 빼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도 9a 및 도 9b는, 가이드 이동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변형예의 가이드 이동부는, 철근(S)이 맞닿는 콘택트 부재(9B)와, 제2 가이드(52)와 연결되는 연결부(92B)가 일체가 아니라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또한, 콘택트 부재(9B)가 직선을 따라서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B)는 복수개의 축(94B)에 지지되어서 본체부(10)의 측부에 설치된다. 콘택트 부재(9B)는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형상으로, 제1 방향에 따른 선단부에, 삽입 발출구(53)에 면하여 맞닿음부(91B)가 마련되고,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제2 방향에 따른 한쪽 부위에, 연결부(92B)를 작동시키는 작동부(95B)가 마련된다. 작동부(95B)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요철이 형성된 캠면으로 구성된다. 맞닿음부(91B)는 철근(S)을 결속한 와이어(W)가 통과하는 것이 가능한 간격을 두고, 제3 방향에 따른 양측에 마련된다. 맞닿음부(91B)는 제1 가이드(51)의 좌우 양측까지 연장된다. 맞닿음부(91B)는 제2 가이드(52)의 좌우 양측까지 연장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콘택트 부재(9B)는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에 따른 긴 구멍(96B)이 마련되고, 긴 구멍(96B)에 축(94B)이 넣어진다. 이에 의해, 콘택트 부재(9B)는 본체부(10)에 대하여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91B)가 커버부(11)로부터 삽입 발출구(53)로 돌출되는 대기 위치와,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91B)가 커버부(11)에 접근하는 작동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B)는 대기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유지된다.
연결부(92B)는 축(90B)에 지지되어서 커버부(11)에 설치된다. 연결부(92B)는 축(90B)을 사이에 두고 한쪽 측에, 콘택트 부재(9B)의 작동부(95B)에 미끄럼 접촉 가능한 피작동부(97B)가 마련되고, 축(90B)을 사이에 두고 다른 쪽 측에, 제2 가이드(52)에 있어서 제1 가이드(51)와 대향하는 측과 반대측의 부위에 접하는 변위부(93B)가 마련된다.
콘택트 부재(9B)의 맞닿음부(91B)에 철근(S)이 맞닿지 않은 상태에서는, 콘택트 부재(9B)는 제2 가이드(52)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54)와는 다른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에 의해 맞닿음부(91B)가 커버부(1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도 9a에 도시하는 대기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콘택트 부재(9B)가 대기 위치로 이동하면, 연결부(92B)는 콘택트 부재(9B)의 작동부(95B)의 요철 형상에 따라서 피작동부(97B)가 이동하여, 변위부(93B)가 제1 가이드(5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축(90B)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2 가이드(52)가 가압 부재(54)에 가압되어서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제2 가이드(52)의 위치는, 도 7에서 설명한 제1 출력부(12A)에서 검지되고,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오프로 된다.
콘택트 부재(9B)는 맞닿음부(91B)에 철근(S)이 압박되면,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작동 위치로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B)가 작동 위치로 이동하면, 연결부(92B)의 피작동부(97B)가 콘택트 부재(9B)의 작동부(95B)의 요철 형상에 따라서 이동하고, 축(90B)을 지지점으로 한 연결부(92B)의 회동으로, 변위부(93B)가 제1 가이드(5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변위부(93B)가 제2 가이드(52)를 밀어서,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온으로 된다. 이와 같이, 맞닿음부(91B)에 철근(S)이 맞닿은 것, 맞닿음부(91B)에 철근(S)이 맞닿아 변위부(93B)가 이동한 것에 의해,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도 8에 도시하는 제어부(100A)는 콘택트 부재(9B)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온으로 되어 있음을 검지한 상태에서, 트리거(10t)가 조작됨으로써 제2 출력부(13)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는, 작업자가 트리거(10t)를 조작함으로써, 제2 출력부(13)의 출력이 온으로 된 상태에서, 콘택트 부재(9B)의 맞닿음부(91B)에 철근(S)을 압박하는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해도 된다.
콘택트 부재(9B)는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에 따른 긴 구멍(96B)이 마련되고, 긴 구멍(96B)에 축(94B)이 넣어짐으로써, 제1 방향을 따라서 직선 상을 이동한다.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 사이의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을 삽입하는 동작에서는, 철근 결속기(1A)는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철근 결속기(1A)와 철근(S)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콘택트 부재(9B)는 맞닿음부(91B)가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에 따른 힘으로 밀린다. 이에 의해, 콘택트 부재(9B)가 이동하는 방향이, 철근 결속기(1A)와 철근(S)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철근(S)이 맞닿음부(91B)를 미는 힘의 방향에 따른 방향이 된다. 이에 비해, 콘택트 부재(9B)와 연결부(92B)를 독립된 부품으로 함으로써, 연결부(92B)는 축(90B)을 지지점으로 한 회동으로, 제2 가이드(5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철근(S)에 밀려서 작동하는 콘택트 부재(9B)의 이동 방향과, 제2 가이드(52)를 이동시키기 위한 연결부(92B)의 이동 방향을, 각각 최적화할 수 있다.
도 10a, 도 10b는, 가이드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a에서는, 제2 가이드(52)는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긴 구멍(55)이 마련되고, 본체부(10)에 마련한 축(56)에 긴 구멍(55)이 넣어진다. 이에 의해, 제2 가이드(52)는 본체부(10)에 대하여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제2 방향을 따라서 직선 상을 이동 가능하며, 도 10a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제1 위치와, 도 10a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제2 가이드(52)는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와, 제1 가이드(51)의 단부(51c)의 간격이 확대되어,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 사이의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을 넣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철근(S)이 삽입 발출구(53)에 넣어져, 소정의 상태로 되면,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이동부에 의해,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와, 제1 가이드(51)의 단부(51c) 사이의 거리가,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 이동한 상태보다 좁아진다.
도 10b에서는,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의 어느 한쪽, 혹은,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의 양쪽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 및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이다.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의 어느 한쪽, 혹은,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의 양쪽이, 도 10b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와, 제1 가이드(51)의 단부(51c)의 간격이 확대되어,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 사이의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을 넣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철근(S)이 삽입 발출구(53)에 넣어져, 소정의 상태로 되면,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이동부에 의해,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의 어느 한쪽, 혹은,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의 양쪽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의 어느 한쪽, 혹은,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의 양쪽이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와, 제1 가이드(51)의 단부(51c) 사이의 거리가,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의 어느 한쪽, 혹은,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의 양쪽이 제1 위치로 이동한 상태보다 좁아진다.
도 11a, 도 11b는, 가이드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a, 도 11b에서는, 제2 가이드(52)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된다.
콘택트 부재(9C)는 축(90C)으로 지지되는 부위로부터 제2 가이드(52)측에 연결부(92C)가 마련되고, 제2 가이드(52)에 마련한 피변위부(57)에, 제1 가이드(51)와 대향하는 측으로부터 접하는 변위부(93C)가 연결부(92C)에 마련된다.
콘택트 부재(9C)는 대기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콘택트 부재(9C)를 대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로 가압하는 힘쪽이, 제2 가이드(52)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로 가압하는 힘보다 크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콘택트 부재(9C)가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되고, 또한,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된다.
콘택트 부재(9C)의 맞닿음부(91C)에 철근(S)이 맞닿지 않은 상태에서는, 콘택트 부재(9C)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에 의해 맞닿음부(91C)가 커버부(1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도 11a에 도시하는 대기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콘택트 부재(9C)가 대기 위치로 이동하면, 콘택트 부재(9C)의 변위부(93C)가 제1 가이드(5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2 가이드(52)의 피변위부(57)가 콘택트 부재(9C)의 변위부(93C)에 밀려,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제2 가이드(52)의 위치는, 도 7에서 설명한 제1 출력부(12A)에서 검지되어,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오프로 된다.
콘택트 부재(9C)는 맞닿음부(91C)가 철근(S)에 압박되면, 맞닿음부(91C)가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축(90C)을 지지점으로 회전하여, 작동 위치로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C)가 작동 위치로 이동하면, 축(90C)을 지지점으로 한 연결부(92C)의 회전으로, 변위부(93C)가 제1 가이드(5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2 가이드(52)가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에 가압되어서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온으로 된다. 이와 같이, 맞닿음부(91C)에 철근(S)이 맞닿은 것, 맞닿음부(91C)에 철근(S)이 맞닿아 변위부(93C)가 이동한 것에 의해,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도 8에 도시하는 제어부(100A)는 콘택트 부재(9C)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한 상태에서, 트리거(10t)가 조작됨으로써 제2 출력부(13)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한다.
도 12a, 도 12b는, 제2 가이드를 검지하는 출력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a, 도 12b에서는, 비접촉의 센서에 의해 제1 출력부(12B)가 구성되는 예에서, 본 예에서는, 홀 소자를 사용한 센서로 제1 출력부(12B)가 구성된다.
제2 가이드(52)는 축(52b)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으로 이동하는 검출자(58)를 구비하고,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 이동하면, 검출자(58)가 제1 출력부(12B)의 검출 위치의 밖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하면, 검출자(58)가 제1 출력부(12B)의 검출 위치로 이동한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 부재(9A)가 대기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 이동하면, 검출자(58)가 제1 출력부(12B)의 검출 위치의 밖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2 가이드(52)의 검출자(58)가 제1 출력부(12B)의 검출 위치의 밖으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 출력부(12B)의 출력을 오프로 한다. 이에 비해,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 부재(9A)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하면, 검출자(58)가 제1 출력부(12B)의 검출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2 가이드(52)의 검출자(58)가 제1 출력부(12B)의 검출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 출력부(12B)의 출력을 온으로 한다.
도 8에 도시하는 제어부(100A)는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1 출력부(12B)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한 상태에서, 트리거(10t)가 조작됨으로써 제2 출력부(13)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는, 작업자가 트리거(10t)를 조작함으로써, 제2 출력부(13)의 출력이 온으로 된 상태에서,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1 출력부(12B)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해도 된다.
비접촉의 센서에 의해 제1 출력부(12B)가 구성됨으로써, 티끌 등의 영향에 의한 오검지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3a, 도 13b, 도 14a, 도 14b, 도 15a, 도 15b는, 콘택트 부재를 검지하는 출력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a, 도 13b, 도 14a, 도 14b, 도 15a, 도 15b에서는, 콘택트 부재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함으로써,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했다고 판단한다.
도 13a, 도 13b는, 도 6a, 도 6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축(52b)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 동작으로,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구성이며, 또한,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가압 부재(54)에 의해 가압되어서, 제1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유지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콘택트 부재(9A)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하는 제1 출력부(14A)를 구비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콘택트 부재(9A)는 제2 가이드(52)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54)의 힘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콘택트 부재(9A)를 가압하는 다른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1 출력부(14A)는 도 7에서 설명한 제1 출력부(12A)와 마찬가지의 구성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가동자(140)의 변위에 따라 출력이 변화하는 구성이다. 본 예에서는,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 부재(9A)가 대기 위치로 이동하면, 콘택트 부재(9A)의 맞닿음부(91A)가 가동자(14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콘택트 부재(9A)가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을 오프로 한다. 이에 비해,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 부재(9A)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콘택트 부재(9A)의 맞닿음부(91A)가 가동자(140)를 미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콘택트 부재(9A)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을 온으로 한다.
콘택트 부재(9A)는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변위부(93A)가 제1 가이드(5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려서, 축(90A)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으로 대기 위치로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A)가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오프로 된다.
콘택트 부재(9A)는 맞닿음부(91A)가 철근(S)에 압박되면,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91A)가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축(90A)을 지지점으로 회전하여, 작동 위치로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A)가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된다. 또한, 콘택트 부재(9A)가 작동 위치로 이동하면, 축(90A)을 지지점으로 한 연결부(92A)의 회전으로, 변위부(93A)가 제1 가이드(5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변위부(93A)가 제2 가이드(52)를 밀어서,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콘택트 부재(9A)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함으로써,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맞닿음부(91A)에 철근(S)이 맞닿은 것, 맞닿음부(91A)에 철근(S)이 맞닿아 변위부(93A)가 이동한 것에 의해,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도 8에 도시하는 제어부(100A)는 콘택트 부재(9A)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한 상태에서, 트리거(10t)가 조작됨으로써 제2 출력부(13)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는, 작업자가 트리거(10t)를 조작함으로써, 제2 출력부(13)의 출력이 온으로 된 상태에서, 콘택트 부재(9A)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해도 된다.
도 14a, 도 14b는, 도 9a, 도 9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철근(S)이 맞닿는 콘택트 부재(9B)와, 제2 가이드(52)와 연결되는 연결부(92B)가 일체가 아니라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또한, 콘택트 부재(9B)가 직선을 따라서 이동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콘택트 부재(9B)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하는 제1 출력부(14A)를 구비한다.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 부재(9B)가 대기 위치로 이동하면, 콘택트 부재(9B)가 제1 출력부(14A)의 가동자(14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콘택트 부재(9B)가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을 오프로 한다. 이에 비해,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 부재(9B)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콘택트 부재(9B)가 가동자(140)를 미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콘택트 부재(9B)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을 온으로 한다.
콘택트 부재(9B)의 맞닿음부(91B)에 철근(S)이 맞닿지 않은 상태에서는, 콘택트 부재(9B)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에 의해 맞닿음부(91B)가 커버부(1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도 14a에 도시하는 대기 위치로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B)가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오프로 된다. 또한, 콘택트 부재(9B)가 대기 위치로 이동하면, 연결부(92B)는 콘택트 부재(9B)의 작동부(95B)의 요철 형상에 따라서 피작동부(97B)가 이동하여, 변위부(93B)가 제1 가이드(5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축(90B)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B)는 맞닿음부(91B)에 철근(S)이 압박되면,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작동 위치로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B)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된다. 또한, 콘택트 부재(9B)가 작동 위치로 이동하면, 연결부(92B)의 피작동부(97B)가 콘택트 부재(9B)의 작동부(95B)의 요철 형상에 따라서 이동하고, 축(90B)을 지지점으로 한 연결부(92B)의 회전으로, 변위부(93B)가 제1 가이드(5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변위부(93B)가 제2 가이드(52)를 밀어서,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콘택트 부재(9B)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함으로써,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맞닿음부(91B)에 철근(S)이 맞닿은 것, 맞닿음부(91B)에 철근(S)이 맞닿아 변위부(93B)가 이동한 것에 의해,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도 8에 도시하는 제어부(100A)는 콘택트 부재(9B)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되어 있음을 검지한 상태에서, 트리거(10t)가 조작됨으로써 제2 출력부(13)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는, 작업자가 트리거(10t)를 조작함으로써, 제2 출력부(13)의 출력이 온으로 된 상태에서, 콘택트 부재(9B)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해도 된다.
도 15a, 도 15b는, 도 11a, 도 11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축(52b)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 동작으로,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구성이며, 또한,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서,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유지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콘택트 부재(9C)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하는 제1 출력부(14A)를 구비한다. 여기서, 콘택트 부재(9C)를 대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로 가압하는 힘쪽이, 제2 가이드(52)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로 가압하는 힘보다 크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콘택트 부재(9C)가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되고, 또한,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된다.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 부재(9C)가 대기 위치로 이동하면, 콘택트 부재(9C)의 맞닿음부(91C)가 제1 출력부(14A)의 가동자(14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콘택트 부재(9C)가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을 오프로 한다. 이에 비해,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 부재(9C)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콘택트 부재(9C)의 맞닿음부(91C)가 가동자(140)를 미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콘택트 부재(9C)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을 온으로 한다.
콘택트 부재(9C)의 맞닿음부(91C)에 철근(S)이 맞닿지 않은 상태에서는, 콘택트 부재(9C)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에 의해 맞닿음부(91C)가 커버부(1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기 위치로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C)가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오프로 된다. 또한, 콘택트 부재(9C)가 대기 위치로 이동하면, 콘택트 부재(9C)의 변위부(93C)가 제1 가이드(5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2 가이드(52)의 피변위부(57)가 콘택트 부재(9C)의 변위부(93C)에 밀려,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C)는 맞닿음부(91C)가 철근(S)에 압박되면, 맞닿음부(91C)가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축(90C)을 지지점으로 회전하고,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동 위치로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C)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된다. 또한, 콘택트 부재(9C)가 작동 위치로 이동하면, 축(90C)을 지지점으로 한 연결부(92C)의 회전으로, 변위부(93C)가 제1 가이드(5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콘택트 부재(9C)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함으로써,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맞닿음부(91C)에 철근(S)이 맞닿은 것, 맞닿음부(91C)에 철근(S)이 맞닿아 변위부(93C)가 이동한 것에 의해,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도 8에 도시하는 제어부(100A)는 콘택트 부재(9C)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한 상태에서, 트리거(10t)가 조작됨으로써 제2 출력부(13)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는, 작업자가 트리거(10t)를 조작함으로써, 제2 출력부(13)의 출력이 온으로 된 상태에서, 콘택트 부재(9C)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해도 된다.
또한, 도 13a, 도 13b, 도 14a, 도 14b, 도 15a, 도 15b에 있어서, 콘택트 부재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하는 출력부를, 도 12a, 도 12b에서 설명한 비접촉의 센서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예>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18은, 제2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1B)는 제1 본체부(301)와, 제2 본체부(302)와, 제1 본체부(301)와 제2 본체부(302)를 연결하는 긴 연결부(303)를 구비한다. 제1 본체부(301)는 조작자가 파지 가능한 한 쌍의 그립부(304L, 304R)를 가진 핸들부(304h)를 구비한다.
도 19는, 핸들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핸들부(304h)는, 주로 오른손으로 파지되는 그립부(304R)에 조작부(304t)를 구비한다. 조작부(304t)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축을 지지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그립부(304R)에 설치되고, 그립부(304R)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조작부(304t)는, 작업자에 의해 그립부(304R)와 함께 파지됨으로써, 그립부(304R)에 대하여 회동함으로써 작동한다.
도 20은, 제2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1은, 제2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내부 구성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2 본체부(302)는 와이어(W)가 감긴 와이어 릴(20)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2)와, 수용부(2)에 수용된 와이어 릴(20)에 감긴 와이어(W)를 이송하는 이송부(3)를 구비한다. 또한, 제2 본체부(302)는 이송부(3)에 의해 이송되는 와이어(W)에 컬링성을 부여하는 규제부(4)와, 규제부(4)에 의해 컬링성이 부여되는 와이어(W)를 안내하는 가이드부(5)를 구비한다. 또한, 제2 본체부(302)는 와이어(W)를 절단하는 절단부(6)와, 와이어(W)를 비트는 비틀기부(7)와, 절단부(6) 및 비틀기부(7) 등을 구동하는 구동부(8)를 구비한다.
철근 결속기(1B)는 제2 본체부(302)의 한쪽 측에 가이드부(5)가 마련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부(5)가 마련되는 측을 전방이라고 정의한다. 철근 결속기(1B)는 제1 본체부(301)와 제2 본체부(302)가 연결부(303)로 연결됨으로써, 연결부(303)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철근 결속기와 비교하여, 가이드부(5)와 핸들부(304h) 사이가 연신된 형태가 된다.
수용부(2)는 와이어 릴(20)의 착탈 및 지지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송부(3)는 이송 부재로서의 한 쌍의 이송 기어(30)를 구비한다. 이송부(3)는 와이어(W)가 한 쌍의 이송 기어(30)의 사이에 끼움 지지된 상태에서, 이송 기어(30)를 도시하지 않은 모터가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W)를 보낸다. 이송부(3)는 이송 기어(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와이어(W)를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정방향과, 화살표 R로 나타내는 역방향의 양쪽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절단부(6)는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와이어(W)의 정방향으로의 이송에 대하여 이송부(3)의 하류측에 마련된다. 절단부(6)는 고정날부(60)와, 고정날부(60)의 협동으로 와이어(W)를 절단하는 가동날부(61)를 구비한다. 또한, 절단부(6)는 구동부(8)의 움직임을 가동날부(61)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62)를 구비한다.
고정날부(60)는 와이어(W)가 통과하는 개구(60a)를 구비한다. 가동날부(61)는 고정날부(60)를 지지점으로 한 회전 동작으로, 고정날부(60)의 개구(60a)를 통과하는 와이어(W)를 절단한다.
규제부(4)는 이송부(3)에 의해 이송되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따른 복수 개소, 본 예에서는 적어도 3군데에서 와이어(W)에 접하는 제1 내지 제3 규제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도 21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와이어(W)의 이송 경로(Wf)를 따르는 컬링성을 와이어(W)에 부여한다.
규제부(4)는 제1 규제 부재가 상술한 고정날부(60)로 구성된다. 또한, 규제부(4)는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와이어(W)의 정방향으로의 이송에 대하여 고정날부(60)의 하류측에, 제2 규제 부재로서 규제 부재(42)를 구비하고, 규제 부재(42)의 하류측에, 제3 규제 부재로서 규제 부재(43)를 구비한다. 규제 부재(42) 및 규제 부재(43)는 원주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외주면에 와이어(W)가 접한다.
규제부(4)는 나선형이 되는 와이어(W)의 이송 경로(Wf)에 맞추어, 고정날부(60), 규제 부재(42) 및 규제 부재(43)가 곡선 상에 배치된다. 고정날부(60)는 와이어(W)가 통과하는 개구(60a)가 와이어(W)의 이송 경로(Wf) 상에 마련된다. 또한, 규제 부재(42)는 와이어(W)의 이송 경로(Wf)에 대하여 직경 방향의 내측에 마련된다. 또한, 규제 부재(43)는 와이어(W)의 이송 경로(Wf)에 대하여 직경 방향의 외측에 마련된다.
이에 의해, 이송부(3)에 의해 이송되는 와이어(W)가, 고정날부(60), 규제 부재(42) 및 규제 부재(43)에 접하면서 통과함으로써, 와이어(W)의 이송 경로(Wf)를 따르도록, 와이어(W)에 컬링성이 부여된다.
규제부(4)는 구동부(8)의 움직임을 규제 부재(42)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44)를 구비한다. 규제 부재(42)는 이송부(3)에 의해 와이어(W)를 정방향으로 보내어 와이어(W)에 컬링성을 부여하는 동작에서는, 와이어(W)가 접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와이어(W)를 역방향으로 보내어 철근(S)에 와이어(W)를 감는 동작에서는, 와이어(W)와 접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22a, 도 22b는, 가이드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3은, 가이드부 및 콘택트 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4a, 도 24b는, 콘택트 부재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이어서, 한 쌍의 가이드를 작동시키는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이드부(5B)는 규제부(4)의 규제 부재(43)가 마련되고, 와이어(W)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51B)와, 규제부(4) 및 제1 가이드(51B)로 컬링성이 부여된 와이어(W)를 비틀기부(7)로 안내하는 제2 가이드(52)를 구비한다.
제1 가이드(51B)는 제2 본체부(302)의 전방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가이드(51B)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송부(3)에 의해 이송되는 와이어(W)가 미끄럼 접촉하는 가이드면(51g)을 가진 홈부(51h)를 구비한다. 제1 가이드(51B)에 있어서, 제2 본체부(302)에 설치되는 측을 기단측, 제2 본체부(302)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을 선단측이라 했을 때, 규제 부재(42)가 제1 가이드(51B)의 기단측에 마련되고, 규제 부재(43)가 제1 가이드(51B)의 선단측에 마련된다. 제1 가이드(51B)는 기단측이 제2 본체부(302)의 금속 부분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이란, 엄밀한 의미에서의 고정이 아니라, 다소 움직이는 것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제1 가이드(51B)의 가이드면(51g)과, 규제 부재(42)의 외주면 사이에는, 와이어(W)가 통과 가능한 간극이 형성된다. 규제 부재(43)는 외주면의 일부가 제1 가이드(51B)의 가이드면(51g)으로 돌출된다.
제2 가이드(52)는 제2 본체부(302)의 전방측의 단부에 설치된다. 제2 가이드(52)는 제1 방향과 직교하는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제2 방향으로, 제1 가이드(51B)와 대향하여 마련된다. 제1 가이드(51B)와 제2 가이드(52) 사이는, 제2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이 벌려지고, 제1 가이드(51B)와 제2 가이드(52) 사이에, 도 22a, 도 2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철근(S)이 삽입 발출되는 삽입 발출구(53)가 형성된다.
가이드부(5B)는 철근(S)을 삽입 발출구(53)로 유도하는 유도부(59)를 구비한다. 유도부(59)는 제1 가이드(51B)의 선단측에 마련되고, 유도부(59)의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해서, 제1 가이드(51B)와 제2 가이드(52)의 간격이 접근하는 면을 마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유도부(59)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가이드(51B)의 선단(P1)으로부터, 제1 가이드(51B)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홈부(51h)의 단부(P2)의 근방을 향해서,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에 대하여 제1 가이드(51B)와 제2 가이드(52)의 간격이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제2 가이드(52)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직교하는 화살표 A3으로 나타내는 제3 방향을 따라서 대향하는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52a)를 구비한다. 제2 가이드(52)에 있어서, 제2 본체부(302)에 설치되는 측을 기단측, 제2 본체부(302)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을 선단측이라 했을 때,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52a)는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간격이 좁아진다.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52a)는 기단측이, 와이어(W)가 통과하는 것이 가능한 간격으로 대향한다.
제2 가이드(52)는 기단측이 축(52b)에 지지되어서 제2 본체부(302)에 설치된다. 축(52b)의 축선은, 제3 방향에 따른 방향이다. 제2 가이드(52)는 축(52b)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2 본체부(30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다. 제2 가이드(52)는 선단측의 단부(52c)가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제2 방향으로 제2 가이드(52)와 대향하는 제1 가이드(51)의 단부(51c)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 가이드(51)의 단부(51c)에는, 홈부(51h)의 단부(P2)가 노출된다.
제2 가이드(52)는 축(52b)을 지지점으로 한 회동으로, 도 22a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와, 제1 가이드(51B)의 단부(51c)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 L1인 제1 위치와, 도 22a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도 22b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와, 제1 가이드(51B)의 단부(51c)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 L1보다 짧은 제2 거리 L2인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제2 가이드(52)는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와, 제1 가이드(51B)의 단부(51c) 사이가 개방된 상태이다. 제2 가이드(52)는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와, 제1 가이드(51B)의 단부(51c)의 간격이 확대되어, 제1 가이드(51B)와 제2 가이드(52) 사이의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을 넣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제2 가이드(52)는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사이드 가이드(52a)가 도 22a, 도 22b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와이어(W)의 이송 경로(Wf)에 위치한다. 제2 가이드(52)는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와, 제1 가이드(51B)의 단부(51c)의 간격이,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보다 넓어지는 것이라면 사이드 가이드(52a)가 와이어(W)의 이송 경로(Wf)에 위치하고 있어도 되고, 도 22a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가이드(52a)가 와이어(W)의 이송 경로(Wf)에서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제2 가이드(52)는 제1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는 가압 부재(54)에 의해 가압되어, 제1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유지된다.
철근 결속기(1B)는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 사이의 삽입 발출구(53)에 삽입된 철근(S)이 맞닿음으로써 제2 가이드(52)를 작동시키는 콘택트 부재(9A)를 구비한다. 또한, 철근 결속기(1B)는 제2 본체부(302)의 전방측의 단부를 덮는 커버부(11)를 구비한다.
커버부(11)는 제2 본체부(302)의 전방측의 단부로부터 제3 방향에 따른 제2 본체부(302)의 좌우 양측에 걸쳐서 설치된다. 커버부(11)는 금속의 판재 등으로 구성되어, 제1 가이드(51B)의 기단측과 제2 가이드(52)의 기단측 사이에서, 제2 본체부(302)의 전방측의 단부의 일부 또는 전부와, 제2 본체부(302)의 전방측 좌우 양측의 일부를 덮는 형상이다. 제2 본체부(302)가 수지로 구성되는 데 비해, 커버부(11)가 금속으로 구성됨으로써, 콘택트 부재(9A) 및 철근(S)이 커버부(11)에 맞닿아도, 커버부(11)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콘택트 부재(9A)는 가이드 이동부의 일례이며, 축(90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커버부(11)를 통하여 제2 본체부(302)에 설치된다. 콘택트 부재(9A)는 굴곡된 형상이며, 축(90A)에 대하여 한쪽 측에, 철근(S)에 맞닿게 하는 맞닿음부(91A)가 마련되고, 축(90A)에 대하여 다른 쪽 측에, 제2 가이드(52)와 연결되는 연결부(92A)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축(90A)에 대하여 한쪽 측에 맞닿음부(91A)가 마련되고, 다른 쪽 측에 연결부(92A)가 마련된다.
콘택트 부재(9A)는 제1 가이드(51B)와 제2 가이드(52) 사이의 중간 부근에 축(90A)이 마련된다. 또한, 콘택트 부재(9A)는 축(90A)으로 지지되는 부위 근방으로부터 제1 가이드(51B)측에, 철근(S)을 결속한 와이어(W)가 통과하는 것이 가능한 간격을 두고, 화살표 A3으로 나타내는 제3 방향으로 한 쌍의 맞닿음부(91A)가 마련된다. 맞닿음부(91A)는 제1 가이드(51B)의 좌우 양측까지 연장된다.
또한, 콘택트 부재(9A)는 축(90A)으로 지지되는 부위로부터 제2 가이드(52)측에 연결부(92A)가 마련되고, 제2 가이드(52)에 있어서 제1 가이드(51B)와 대향하는 측과 반대측의 부위에 접하는 변위부(93A)가 연결부(92A)의 선단측에 마련된다.
콘택트 부재(9A)는 축(90A)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2 본체부(302)에 대하여 회동하고, 도 2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91A)가 커버부(11)로부터 삽입 발출구(53)로 돌출되는 대기 위치와, 도 2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91A)가 커버부(11)에 접근하는 작동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A)는 도 24b에 도시하는 작동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맞닿음부(91A)가 축(90A)으로부터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제2 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51B)가 마련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다. 따라서, 콘택트 부재(9A)는 축(90A)을 지지점으로 한 회동으로, 맞닿음부(91A)가 축(90A)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따라,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제1 가이드(51B)와 제2 가이드(52) 사이의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을 삽입하는 동작에서는, 철근 결속기(1B)는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철근 결속기(1B)와 철근(S)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콘택트 부재(9A)는 맞닿음부(91A)가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에 따른 힘으로 밀려서, 작동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축(90A)을 지지점으로 한 회동으로 맞닿음부(91A)가 이동하는 방향이, 철근 결속기(1B)와 철근(S)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철근(S)이 맞닿음부(91A)를 미는 힘의 방향에 따른 방향이 된다. 또한, 도 24b에 도시하는 작동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콘택트 부재(9A)는 연결부(92A)가 축(90A)으로부터 맞닿음부(91A)에 대하여 전방으로 경사지고, 제2 가이드(52)가 마련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다. 따라서, 콘택트 부재(9A)는 축(90A)을 지지점으로 한 회동으로, 변위부(93A)가 축(90A)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따라,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제2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콘택트 부재(9A)는 가압 부재(54)에 가압되어서,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변위부(93A)가 제2 가이드(52)에 의해 제1 가이드(5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린다. 이 때문에, 콘택트 부재(9A)는 축(90A)을 지지점으로 한 회동으로 대기 위치로 이동하여, 맞닿음부(91A)가 커버부(11)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콘택트 부재(9A)는 제2 가이드(52)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54)의 힘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콘택트 부재(9A)를 가압하는 다른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콘택트 부재(9A)는 맞닿음부(91A)가 철근(S)에 압박되면, 맞닿음부(91A)가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콘택트 부재(9A)는 축(90A)을 지지점으로 회동하여, 작동 위치로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A)가 작동 위치로 이동하면, 축(90A)을 지지점으로 한 연결부(92A)의 회동으로, 변위부(93A)가 제1 가이드(51B)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변위부(93A)가 제2 가이드(52)를 밀어서,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맞닿음부(91A)에 철근(S)이 맞닿은 것, 맞닿음부(91A)에 철근(S)이 맞닿아 변위부(93A)가 이동한 것에 의해,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철근 결속기(1B)는 도 7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등한 구성으로,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하는 제1 출력부(12A)를 구비한다. 또한, 도 12a, 도 12b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등한 구성으로, 비접촉의 센서에 의해,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하는 제1 출력부(14A)를 구비해도 된다.
이어서, 각 도면을 참조하여, 비틀기부(7) 및 구동부(8)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틀기부(7)는 와이어(W)가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70)와, 걸림 결합부(7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71)를 구비한다. 걸림 결합부(70)는 작동부(71)의 동작으로 회전함으로써, 철근(S)에 감긴 와이어(W)를 비튼다.
구동부(8)는 비틀기부(7) 등을 구동하는 비틀기 모터(80)와, 감속 및 토크의 증폭을 행하는 감속기(81)와, 감속기(81)를 통하여 비틀기 모터(80)에 구동되어서 회전하는 회전축(82)과, 절단부(6) 및 규제 부재(4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이동 부재(83)를 구비한다. 비틀기부(7)와 구동부(8)는 회전축(82)과, 작동부(71) 및 걸림 결합부(70)의 회전 중심이 동축 상에 배치된다. 회전축(82)과, 작동부(71) 및 걸림 결합부(70)의 회전 중심을 축선 Ax라고 칭한다.
걸림 결합부(70)는 이송부(3)에 의해 절단부(6)에 이송된 와이어(W)가 통과하는 제1 통로와, 규제부(4)에 의해 컬링성이 부여되어, 가이드부(5)에 의해 비틀기부(7)로 안내된 와이어(W)가 통과하는 제2 통로가 형성된다.
구동부(8)는 회전축(82)의 회전 동작으로, 회전축(82)의 축방향을 따라서 작동부(71)를 이동시킨다. 작동부(71)가 회전축(82)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걸림 결합부(70)는 가이드부(5)에 의해 비틀기부(7)로 안내된 와이어(W)의 선단측을 보유 지지한다.
구동부(8)는 작동부(71)가 회전축(82)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동작과 연동하여, 이동 부재(83)가 회전축(82)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이동 부재(83)의 움직임이 전달 기구(44)에 의해 규제 부재(42)에 전달되어, 규제 부재(42)가 와이어와 접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작동부(71)가 회전축(82)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이동 부재(83)의 움직임이 전달 기구(62)에 의해 가동날부(61)에 전달되어, 가동날부(61)가 작동하여 와이어(W)가 절단된다.
구동부(8)는 회전축(82)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킨 작동부(71)를 회전축(82)의 회전 동작으로 회전시킨다. 작동부(71)는 회전축(82)의 축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걸림 결합부(70)로 와이어(W)를 비튼다.
도 25는, 제2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철근 결속기(1B)는 콘택트 부재(9A)가 철근(S)에 압박되는 동작으로 작동하는 제1 출력부(12A)와, 조작부(304t)의 조작으로 작동하는 제2 출력부(15)의 출력을 제어부(100B)에서 검지한다. 제어부(100B)는 제1 출력부(12A)와, 제2 출력부(15)의 출력에 따라서, 이송 기어(30)를 구동하는 이송 모터(31)와, 비틀기부(7) 등을 구동하는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한다.
이어서, 철근 결속기(1B)에 의해 철근(S)을 와이어(W)로 결속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업자는, 철근 결속기(1B)의 핸들부(304h)를 양손으로 파지한다. 즉, 작업자는, 오른손으로 핸들부(304h)의 그립부(304R)를 파지하고, 왼손으로 핸들부(304h)의 그립부(304)L을 파지한다.
작업자에 의해 조작부(304t)가 그립부(304R)와 함께 파지되면, 조작부(304t)가 그립부(304R)에 대하여 회동함으로써 작동한다. 조작부(304t)가 작동하면, 제2 출력부(15)의 출력이 온으로 되어, 제어부(100A)는 제2 출력부(15)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한다.
작업자는, 철근 결속기(1B)의 핸들부(304h)를 양손으로 파지하고, 2개의 철근(S)의 교차 개소에 가이드부(5B)의 위치를 맞추고,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을 넣는다.
철근 결속기(1B)는 작업자의 발밑의 철근(S)을 결속하기 위해서, 가이드부(5B)를 아래로 향하게 하여, 작업자가 선 상태에서 사용된다.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와 비교하여,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제2 방향에 따른 삽입 발출구(53)의 간격이 좁다. 이 때문에, 철근(S)의 삽입 시에,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종래의 결속기로는, 철근(S)을 삽입 발출구(53)에 넣기 어렵다. 그래서, 철근 결속기(1B)는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이 넣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2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 이동하여,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와, 제1 가이드(51B)의 단부(51c)의 간격이 확대된다. 또한, 철근 결속기(1B)는 제1 가이드(51B)의 선단측에, 철근(S)을 삽입 발출구(53)로 유도하는 형상의 유도부(59)가 마련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철근(S)을 유도부(59)에 대고, 철근(S) 상을 유도부(59)가 미끄러지게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을 넣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작업자는,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을 넣는 방향으로 철근 결속기(1B)를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콘택트 부재(9A)의 맞닿음부(91A)에 철근(S)을 압박한다.
콘택트 부재(9A)는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을 넣는 방향으로 철근 결속기(1A)를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철근 결속기(1B)가 이동하는 방향에 따른 힘을 받아서 맞닿음부(91A)가 밀린다. 이에 의해, 콘택트 부재(9A)는 맞닿음부(91A)가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축(90A)을 지지점으로 회동하여, 도 2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동 위치로 이동한다.
교차한 2개의 철근(S)이 삽입 발출구(53)에 넣어지면, 한쪽 철근(S)은, 제1 가이드(51)의 한쪽 측부에 위치하고, 다른 쪽 철근(S)은, 제1 가이드(51B)의 다른 쪽 측부에 위치한다. 이에 비해, 콘택트 부재(9A)는 한 쌍의 맞닿음부(91A)가 제1 가이드(51B)와 제2 가이드(52) 사이로부터, 제1 가이드(51B)의 좌우 양측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삽입 발출구(53)에 넣어진 철근(S)이, 확실하게 맞닿음부(91A)에 맞닿아 콘택트 부재(9A)를 작동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콘택트 부재(9A)의 맞닿음부(91A)는 축(90A)을 지지점으로 한 회동 동작으로,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을 넣는 방향으로 철근 결속기(1A)를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맞닿음부(91A)를 밀 수 있어, 콘택트 부재(8A)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철근 결속기(1A)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콘택트 부재(9A)가 작동 위치로 이동하면, 축(90A)을 지지점으로 한 연결부(92A)의 회동으로, 변위부(93A)가 제1 가이드(51B)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2 가이드(52)를 밀어서,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온으로 되어, 제어부(100B)는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한다.
제어부(100A)는 제2 출력부(15)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한 상태에서,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는, 콘택트 부재(9A)의 맞닿음부(91A)에 철근(S)을 압박하는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그립부(304R)가 파지됨으로써 조작부(304t)가 작동하고, 제2 출력부(15)의 출력이 온이 되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해도 된다. 또한, 조작부(304t), 제2 출력부(15)를 구비하지 않고, 콘택트 부재(9A)의 맞닿음부(91A)에 철근(S)을 압박하는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해도 된다.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송 모터(3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송 기어(30)가 정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와이어(W)가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정방향으로 이송된다. 이송부(3)에 의해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는, 규제부(4)를 구성하는 제1 규제 부재인 고정날부(60)와, 제2 규제 부재인 규제 부재(42)를 통과한다. 규제 부재(42)를 통과한 와이어(W)는, 제1 가이드(51B)의 가이드면(51g)에 접함으로써, 제3 규제 부재인 규제 부재(43)로 안내된다.
이에 의해, 이송부(3)에 의해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는, 고정날부(60), 규제 부재(42), 규제 부재(43)와, 제1 가이드(51B)의 가이드면(51g)에 접함으로써 원호형으로 구부러진다. 그리고, 이송부(3)에 의해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는, 원호형의 외주 방향으로부터 고정날부(60)와 규제 부재(43)가 접하고, 고정날부(60)와 규제 부재(43) 사이에서, 원호형의 내주 방향으로부터 규제 부재(42)가 접함으로써, 대략 원을 그리는 컬링성이 부여된다.
제1 가이드(51B)의 단부(51c)와,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의 사이는,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소정의 간격이 벌어진다. 단,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52a)가 와이어(W)의 이송 경로(Wf)에 위치하고 있고, 이송부(3)에 의해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규제부(4)에 의해 컬링성이 부여되므로, 제2 가이드(52)의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52a)의 사이로 안내된다.
제2 가이드(52)의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52a)의 사이에 안내되는 와이어(W)는, 이송부(3)에 의해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에 의해, 제2 가이드(52)의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52a)에 의해 비틀기부(7)의 걸림 결합부(70)로 안내된다. 그리고, 제어부(100B)는 와이어(W)의 선단부가 소정의 위치까지 보내졌다고 판단하면, 이송 모터(31)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와이어(W)가 철근(S)의 주위에서 나선형으로 감긴다. 또한,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하지 않았고,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오프인 상태에서는, 제어부(100A)는 와이어(W)의 이송을 행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와이어(W)가 비틀기부(7)의 걸림 결합부(70)에 걸림 결합되지 않아, 이송 불량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즉,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에 있으면, 와이어(W)는 비틀기부(7)의 걸림 결합부(70)로 안내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어부(100B)는 와이어(W)의 정방향으로의 이송을 정지한 후, 비틀기 모터(8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비틀기 모터(8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작동부(71)에 의해 걸림 결합부(70)를 작동시켜, 걸림 결합부(70)로 와이어(W)의 선단측을 보유 지지한다.
제어부(100B)는 걸림 결합부(70)로 와이어(W)를 보유 지지할 때까지, 비틀기 모터(80)를 회전시켰다고 판단하면, 비틀기 모터(80)의 회전을 정지하고, 이송 모터(3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걸림 결합부(70)로 와이어(W)를 보유 지지할 때까지, 비틀기 모터(80)를 회전시키면, 이동 부재(83)의 움직임이 전달 기구(44)에 의해 규제 부재(42)에 전달되어, 규제 부재(42)가 와이어와 접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송 모터(3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송 기어(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와이어(W)가 화살표 R로 나타내는 역방향으로 이송된다. 와이어(W)를 역방향으로 이송하는 동작으로, 와이어(W)는 철근(S)에 밀착되도록 하여 감긴다.
제어부(100B)는 와이어(W)를 철근(S)에 감을 때까지, 이송 모터(3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켰다고 판단하면, 이송 모터(31)의 회전을 정지시킨 후, 비틀기 모터(8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비틀기 모터(8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동 부재(83)에 의해 전달 기구(62)를 통하여 가동날부(61)가 작동하여, 와이어(W)가 절단된다.
와이어(W)가 절단된 후, 비틀기 모터(80)의 정방향 회전을 계속함으로써 걸림 결합부(70)를 회전시켜, 와이어(W)를 비튼다.
제어부(100B)는 와이어(W)를 비틀 때까지, 비틀기 모터(8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켰다고 판단하면, 비틀기 모터(8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비틀기 모터(8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걸림 결합부(7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켜, 와이어(W)의 보유 지지를 해제한다. 이에 의해, 철근(S)을 결속한 와이어(W)를 걸림 결합부(70)로부터 빼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어부(100B)는 걸림 결합부(70) 등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때까지, 비틀기 모터(8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켰다고 판단하면, 비틀기 모터(8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작업자는, 와이어(W)로 결속된 철근(S)을 삽입 발출구(53)로부터 빼는 방향으로 철근 결속기(1B)를 이동시킨다. 철근(S)을 삽입 발출구(53)로부터 빼는 방향으로 철근 결속기(1B)를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콘택트 부재(9A)의 맞닿음부(91A)를 미는 힘이 걸리지 않게 되면, 가압 부재(54)의 힘으로,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 이동하면, 콘택트 부재(9A)는 변위부(93A)가 제1 가이드(51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려, 축(90A)을 지지점으로 한 회동으로 대기 위치로 이동하여, 맞닿음부(91A)가 커버부(11)로부터 돌출된다.
작업자가, 와이어(W)로 결속된 철근(S)을 삽입 발출구(53)로부터 빼는 방향으로 철근 결속기(1B)를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 이동하여, 제2 가이드(52)의 단부(52c)와, 제1 가이드(51B)의 단부(51c)의 간격이 확대된다. 이에 의해, 삽입 발출구(53)로부터 철근(S)을 빼는 것이나, 다음 결속 개소로의 이동이 보다 용이해진다.
도 26a 및 도 26b는, 가이드 이동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변형예의 가이드 이동부는, 철근(S)이 맞닿는 콘택트 부재(9B)와, 제2 가이드(52)와 연결되는 연결부(92B)가 일체가 아니라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또한, 콘택트 부재(9B)가 직선을 따라서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B)는 복수개의 축(94B)에 지지되어서 제2 본체부(302)의 측부에 설치된다. 콘택트 부재(9B)는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형상으로, 제1 방향에 따른 선단부에, 삽입 발출구(53)에 면하여 맞닿음부(91B)가 마련되고,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제2 방향에 따른 한쪽 부위에, 연결부(92B)를 작동시키는 작동부(95B)가 마련된다. 작동부(95B)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요철이 형성된 캠면으로 구성된다.
콘택트 부재(9B)는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에 따른 긴 구멍(96B)이 마련되고, 긴 구멍(96B)에 축(94B)이 넣어진다. 이에 의해, 콘택트 부재(9B)는 제2 본체부(302)에 대하여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서, 도 2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91B)가 커버부(11)로부터 삽입 발출구(53)로 돌출되는 대기 위치와, 도 2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91B)가 커버부(11)에 접근하는 작동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B)는 대기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유지된다.
연결부(92B)는 축(90B)에 지지되어서 커버부(11)에 설치된다. 연결부(92B)는 축(90B)을 사이에 두고 한쪽 측에, 콘택트 부재(9B)의 작동부(95B)에 미끄럼 접촉 가능한 피작동부(97B)가 마련되고, 축(90B)을 사이에 두고 다른 쪽 측에, 제2 가이드(52)에 있어서 제1 가이드(51B)와 대향하는 측과 반대측의 부위에 접하는 변위부(93B)가 마련된다.
콘택트 부재(9B)의 맞닿음부(91B)에 철근(S)이 맞닿지 않은 상태에서는, 콘택트 부재(9B)는 제2 가이드(52)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54)와는 다른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에 의해 맞닿음부(91B)가 커버부(1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도 26a에 도시하는 대기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콘택트 부재(9B)가 대기 위치로 이동하면, 연결부(92B)는 콘택트 부재(9B)의 작동부(95B)의 요철 형상에 따라서 피작동부(97B)가 이동하여, 변위부(93B)가 제1 가이드(51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축(90B)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2 가이드(52)가 가압 부재(54)에 가압되어서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제2 가이드(52)의 위치는, 도 7에서 설명한 제1 출력부(12A)에서 검지되어,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오프로 된다.
콘택트 부재(9B)는 맞닿음부(91B)에 철근(S)이 압박되면,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작동 위치로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B)가 작동 위치로 이동하면, 연결부(92B)의 피작동부(97B)가 콘택트 부재(9B)의 작동부(95B)의 요철 형상에 따라서 이동하고, 축(90B)을 지지점으로 한 연결부(92B)의 회전으로, 변위부(93B)가 제1 가이드(51B)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변위부(93B)가 제2 가이드(52)를 밀어서,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온으로 된다. 제2 가이드(52)의 위치는, 도 12a, 도 12b에서 설명한 제1 출력부(12B)에서 검지해도 된다. 이와 같이, 맞닿음부(91B)에 철근(S)이 맞닿은 것, 맞닿음부(91B)에 철근(S)이 맞닿아 변위부(93B)가 이동한 것에 의해,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도 25에 도시하는 제어부(100B)는 조작부(304t)가 조작됨으로써 제2 출력부(15)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한 상태에서, 콘택트 부재(9B)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하여,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는, 콘택트 부재(9B)의 맞닿음부(91B)에 철근(S)을 압박하는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한 상태에서, 조작부(304t)가 조작됨으로써 제2 출력부(15)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해도 된다. 또한, 조작부(304t), 제2 출력부(15)를 구비하지 않고, 콘택트 부재(9B)의 맞닿음부(91B)에 철근(S)을 압박하는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제1 출력부(12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해도 된다.
콘택트 부재(9B)는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에 따른 긴 구멍(96B)이 마련되고, 긴 구멍(96B)에 축(94B)이 넣어짐으로써, 제1 방향을 따라서 직선 상을 이동한다.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 사이의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을 삽입하는 동작에서는, 철근 결속기(1A)는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철근 결속기(1A)와 철근(S)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콘택트 부재(9B)는 맞닿음부(91B)가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에 따른 힘으로 밀린다. 이에 의해, 콘택트 부재(9B)가 이동하는 방향이, 철근 결속기(1A)와 철근(S)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철근(S)이 맞닿음부(91B)를 미는 힘의 방향에 따른 방향이 된다. 이에 비해, 콘택트 부재(9B)와 연결부(92B)를 독립된 부품으로 함으로써, 연결부(92B)는 축(90B)을 지지점으로 한 회동으로, 제2 가이드(5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철근(S)에 밀려서 작동하는 콘택트 부재(9B)의 이동 방향과, 제2 가이드(52)를 이동시키기 위한 연결부(92B)의 이동 방향을, 각각 최적화할 수 있다.
도 27a, 도 27b, 도 28a, 도 28b는, 콘택트 부재를 검지하는 출력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7a, 도 27b, 도 28a, 도 28b에서는, 콘택트 부재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함으로써,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했다고 판단한다.
도 27a, 도 27b는, 도 24a, 도 24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축(52b)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 동작으로,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구성이며, 또한,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서, 제1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유지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콘택트 부재(9A)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하는 제1 출력부(14A)를 구비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콘택트 부재(9A)는 제2 가이드(52)를 가압하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의 힘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콘택트 부재(9A)를 가압하는 다른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1 출력부(14A)는 도 7에서 설명한 제1 출력부(12A)와 마찬가지의 구성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가동자(140)의 변위에 따라 출력이 변화하는 구성이다. 본 예에서는, 도 2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 부재(9A)가 대기 위치로 이동하면, 콘택트 부재(9A)의 맞닿음부(91A)가 가동자(14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콘택트 부재(9A)가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을 오프로 한다. 이에 비해, 도 2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 부재(9A)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콘택트 부재(9A)의 맞닿음부(91A)가 가동자(140)를 미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콘택트 부재(9A)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을 온으로 한다.
콘택트 부재(9A)는 도 2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변위부(93A)가 제1 가이드(51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려, 축(90A)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으로 대기 위치로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A)가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오프로 된다.
콘택트 부재(9A)는 맞닿음부(91A)가 철근(S)에 압박되면, 도 2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91A)가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축(90A)을 지지점으로 회전하여, 작동 위치로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A)가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된다. 또한, 콘택트 부재(9A)가 작동 위치로 이동하면, 축(90A)을 지지점으로 한 연결부(92A)의 회전으로, 변위부(93A)가 제1 가이드(51B)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변위부(93A)가 제2 가이드(52)를 밀어서,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콘택트 부재(9A)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함으로써,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맞닿음부(91A)에 철근(S)이 맞닿은 것, 맞닿음부(91A)에 철근(S)이 맞닿아 변위부(93A)가 이동한 것에 의해,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도 25에 도시하는 제어부(100B)는 조작부(304t)가 조작됨으로써 제2 출력부(15)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한 상태에서, 콘택트 부재(9A)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는, 콘택트 부재(9A)의 맞닿음부(91A)에 철근(S)을 압박하는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한 상태에서, 조작부(304t)가 조작됨으로써 제2 출력부(15)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해도 된다. 또한, 조작부(304t), 제2 출력부(15)를 구비하지 않고, 콘택트 부재(9A)의 맞닿음부(91A)에 철근(S)을 압박하는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해도 된다.
도 28a, 도 28b는, 도 26a, 도 26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철근(S)이 맞닿는 콘택트 부재(9B)와, 제2 가이드(52)와 연결되는 연결부(92B)가 일체가 아니라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또한, 콘택트 부재(9B)가 직선을 따라서 이동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콘택트 부재(9B)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하는 제1 출력부(14A)를 구비한다.
도 2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 부재(9B)가 대기 위치로 이동하면, 콘택트 부재(9B)가 제1 출력부(14A)의 가동자(14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콘택트 부재(9B)가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을 오프로 한다. 이에 비해, 도 2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 부재(9B)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콘택트 부재(9B)가 가동자(140)를 미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콘택트 부재(9B)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을 온으로 한다.
콘택트 부재(9B)의 맞닿음부(91B)에 철근(S)이 맞닿지 않은 상태에서는, 콘택트 부재(9B)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에 의해 맞닿음부(91B)가 커버부(1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도 28a에 도시하는 대기 위치로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B)가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오프로 된다. 또한, 콘택트 부재(9B)가 대기 위치로 이동하면, 연결부(92B)는 콘택트 부재(9B)의 작동부(95B)의 요철 형상에 따라서 피작동부(97B)가 이동하여, 변위부(93B)가 제1 가이드(51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축(90B)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2 가이드(52)가 도시하지 않은 다른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B)는 맞닿음부(91B)에 철근(S)이 압박되면, 도 2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작동 위치로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B)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된다. 또한, 콘택트 부재(9B)가 작동 위치로 이동하면, 연결부(92B)의 피작동부(97B)가 콘택트 부재(9B)의 작동부(95B)의 요철 형상에 따라서 이동하고, 축(90B)을 지지점으로 한 연결부(92B)의 회전으로, 변위부(93B)가 제1 가이드(51B)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변위부(93B)가 제2 가이드(52)를 밀어서,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콘택트 부재(9B)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함으로써,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맞닿음부(91B)에 철근(S)이 맞닿은 것, 맞닿음부(91B)에 철근(S)이 맞닿아 변위부(93B)가 이동한 것에 의해, 제2 가이드(52)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도 25에 도시하는 제어부(100B)는 조작부(304t)가 조작됨으로써 제2 출력부(15)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한 상태에서, 콘택트 부재(9B)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는, 콘택트 부재(9B)의 맞닿음부(91B)에 철근(S)을 압박하는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한 상태에서, 조작부(304t)가 조작됨으로써 제2 출력부(15)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해도 된다. 또한, 조작부(304t), 제2 출력부(15)를 구비하지 않고, 콘택트 부재(9B)의 맞닿음부(91B)에 철근(S)을 압박하는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예>
도 29는 제3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철근 결속기(1C)는 철근(S)을 검지하는 검지부(101)를 구비한다. 검지부(101)는 압전 소자 등의 접촉식의 센서, 화상 센서 등의 비접촉식의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도 1 등에 도시하는 제1 가이드(51) 또는 제1 가이드(51B)와, 제2 가이드(52) 사이의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이 넣어진 것을 검지한다.
제어부(100C)는 검지부(101)의 출력으로부터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이 넣어진 것을 검지하면, 가이드 개폐 모터(102)를 제어하여, 제2 가이드(52)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어부(100C)는 제2 가이드(52)가 제2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하면, 이송 기어(30)를 구동하는 이송 모터(31)와, 비틀기부(7) 등을 구동하는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이 실행 가능하게 된다.
<제4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예>
도 30a, 도 30b, 도 31a, 도 31b, 도 32a, 도 32b는, 제4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4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는, 콘택트 부재와 제2 가이드가 연동하지 않는 구성이다. 도 30a, 도 30b에 도시하는 철근 결속기(1D)는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5)를 구비한다. 가이드부(5)는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를 구비한다. 제1 가이드(51) 및 제2 가이드(52)는 본체부(10)의 전방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가이드(52)는 제1 방향과 직교하는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제2 방향으로, 제1 가이드(51)와 대향하여 마련된다. 제2 가이드(52)는 도시하지 않은 축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으로, 제1 가이드(51)에 의해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철근 결속기(1D)는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 사이의 삽입 발출구(53)에 삽입된 철근(S)이 맞닿는 콘택트 부재(9D)를 구비한다. 콘택트 부재(9D)는 축(90D)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커버부(11)를 통하여 본체부(10)에 설치된다. 콘택트 부재(9D)는 축(90D)에 대하여 한쪽 측에, 철근(S)을 맞닿는 맞닿음부(91D)가 마련된다. 콘택트 부재(9D)는 맞닿음부(91D)가 축(90D)으로부터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제2 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51)가 마련된 방향으로 연장된다.
콘택트 부재(9D)는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 사이의 중간 부근에 축(90D)이 마련된다. 또한, 콘택트 부재(9D)는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 사이에서, 축(90D)으로 지지되는 부위 근방으로부터 제1 가이드(51)측에, 한 쌍의 맞닿음부(91D)가 마련된다. 맞닿음부(91D)는 철근(S)을 결속한 와이어(W)가 통과하는 것이 가능한 간격을 두고, 제3 방향에 따른 양측에 마련된다. 맞닿음부(91D)는 제1 가이드(51)의 좌우 양측까지 연장된다.
콘택트 부재(9D)는 축(90D)을 지지점으로 하여 본체부(10)에 대하여 회전하고, 도 3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91D)가 커버부(11)로부터 삽입 발출구(53)로 돌출되는 대기 위치와, 도 3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91D)가 커버부(11)에 접근하는 작동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D)는 대기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유지된다.
교차한 2개의 철근(S)이 삽입 발출구(53)에 넣어지면, 한쪽 철근(S)은, 제1 가이드(51)의 한쪽 측부에 위치하고, 다른 쪽 철근(S)은, 제1 가이드(51)의 다른 쪽 측부에 위치한다. 콘택트 부재의 한 쌍 맞닿음부가,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 사이에 마련되어 있지만, 제1 가이드의 좌우 양측에까지 연장되지 않은 구성에서는, 철근을 맞닿게 하는 것이 가능한 맞닿음부의 면적이 작아져, 철근을 맞닿음부에 확실하게 맞닿게 하기 어려울 경우가 있다.
이에 비해, 콘택트 부재(9D)는 한 쌍의 맞닿음부(91D)가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 사이로부터, 제1 가이드(51)의 좌우 양측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삽입 발출구(53)에 넣어진 철근(S)이, 확실하게 맞닿음부(91D)에 맞닿아 콘택트 부재(9D)를 작동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콘택트 부재(9D)의 맞닿음부(91D)는 축(90D)을 지지점으로 한 회동 동작으로,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을 넣는 방향으로 철근 결속기(1D)를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맞닿음부(91D)를 밀 수 있어, 콘택트 부재(9D)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철근 결속기(1D)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철근 결속기(1D)는 콘택트 부재(9D)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하는 제1 출력부(14A)를 구비한다. 제1 출력부(14A)는 예를 들어, 가동자(140)의 변위에 따라 출력이 변화하는 구성이다. 본 예에서는, 도 3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 부재(9D)가 대기 위치로 이동하면, 콘택트 부재(9D)의 맞닿음부(91D)가 가동자(14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콘택트 부재(9D)가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을 오프로 한다. 이에 비해, 맞닿음부(91D)가 철근에 압박되고, 도 3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 부재(9D)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콘택트 부재(9D)의 맞닿음부(91D)가 가동자(140)를 미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콘택트 부재(9D)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을 온으로 한다.
도 8에 도시하는 제어부(100A)는 콘택트 부재(9D)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한 상태에서, 트리거(10t)가 조작됨으로써 제2 출력부(13)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는, 작업자가 트리거(10t)를 조작함으로써, 제2 출력부(13)의 출력이 온으로 된 상태에서, 콘택트 부재(9D)의 맞닿음부(91D)에 철근(S)을 압박하는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해도 된다.
도 31a, 도 31b에 도시하는 철근 결속기(1E)는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5)를 구비한다. 가이드부(5)는 제1 가이드(51)와 제2 가이드(52)를 구비한다. 제1 가이드(51) 및 제2 가이드(52)는 본체부(10)의 전방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가이드(52)는 제1 방향과 직교하는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제2 방향으로, 제1 가이드(51)와 대향하여 마련된다. 제2 가이드(52)는 도시하지 않은 축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으로, 제1 가이드(51)에 의해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철근 결속기(1E)는 철근(S)이 맞닿는 콘택트 부재(9E)를 구비한다. 콘택트 부재(9E)는 복수개의 축(94E)에 지지되어서 본체부(10)의 측부에 설치된다. 콘택트 부재(9E)는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형상으로, 제1 방향에 따른 선단부에, 삽입 발출구(53)에 면하여 맞닿음부(91E)가 마련된다.
콘택트 부재(9E)는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에 따른 긴 구멍(96E)이 마련되고, 긴 구멍(96E)에 축(94E)이 넣어진다. 이에 의해, 콘택트 부재(9E)는 본체부(10)에 대하여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서, 도 3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91E)가 커버부(11)로부터 삽입 발출구(53)로 돌출되는 대기 위치와, 도 3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91E)가 커버부(11)에 접근하는 작동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E)는 대기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유지된다.
철근 결속기(1E)는 콘택트 부재(9E)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하는 제1 출력부(14A)를 구비한다. 도 3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 부재(9E)가 대기 위치로 이동하면, 콘택트 부재(9E)가 제1 출력부(14A)의 가동자(14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콘택트 부재(9E)가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을 오프로 한다. 이에 비해, 맞닿음부(91E)가 철근에 압박되고, 도 3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 부재(9E)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콘택트 부재(9E)가 가동자(140)를 미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콘택트 부재(9E)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을 온으로 한다.
도 8에 도시하는 제어부(100A)는 콘택트 부재(9E)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한 상태에서, 트리거(10t)가 조작됨으로써 제2 출력부(13)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는, 작업자가 트리거(10t)를 조작함으로써, 제2 출력부(13)의 출력이 온으로 된 상태에서, 콘택트 부재(9E)의 맞닿음부(91E)에 철근(S)을 압박하는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해도 된다.
도 32a, 도 32b에 도시하는 철근 결속기(1F)는, 도 16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본체부(301)와 제2 본체부(302)가 긴 연결부(303)로 연결된 형태의 철근 결속기에 적용된다. 철근 결속기(1F)는,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5B)를 구비한다. 가이드부(5B)는 제1 가이드(51B)와 제2 가이드(52)를 구비한다. 제1 가이드(51B) 및 제2 가이드(52)는 제2 본체부(302)의 전방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가이드(52)는 제1 방향과 직교하는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제2 방향으로, 제1 가이드(51B)와 대향하여 마련된다. 제2 가이드(52)는 도시하지 않은 축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으로, 제1 가이드(51B)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가이드부(5B)는 철근을 삽입 발출구(53)로 유도하는 유도부(59)를 구비한다. 유도부(59)는 제1 가이드(51B)의 선단측에 마련된다.
철근 결속기(1F)는, 제1 가이드(51B)와 제2 가이드(52) 사이의 삽입 발출구(53)에 삽입된 철근(S)이 맞닿는 콘택트 부재(9D)를 구비한다. 콘택트 부재(9D)는 축(90D)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커버부(11)를 통하여 제2 본체부(302)에 설치된다. 콘택트 부재(9D)는 축(90D)에 대하여 한쪽 측에, 철근(S)을 맞닿는 맞닿음부(91D)가 마련된다. 콘택트 부재(9D)는 맞닿음부(91D)가 축(90D)으로부터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제2 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51B)가 마련된 방향으로 연장된다.
콘택트 부재(9D)는 제1 가이드(51B)와 제2 가이드(52) 사이의 중간 부근에 축(90D)이 마련된다. 또한, 콘택트 부재(9D)는 제1 가이드(51B)와 제2 가이드(52) 사이에서, 축(90D)으로 지지되는 부위 근방으로부터 제1 가이드(51B)측에, 한 쌍의 맞닿음부(91D)가 마련된다. 맞닿음부(91D)는 철근(S)을 결속한 와이어(W)가 통과하는 것이 가능한 간격을 두고, 제3 방향에 따른 양측에 마련된다. 맞닿음부(91D)는 제1 가이드(51B)의 좌우 양측까지 연장된다.
콘택트 부재(9D)는 축(90D)을 지지점으로 하여 본체부(10)에 대하여 회전하고, 도 3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91D)가 커버부(11)로부터 삽입 발출구(53)로 돌출되는 대기 위치와, 도 3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91D)가 커버부(11)에 접근하는 작동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콘택트 부재(9D)는 대기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유지된다.
교차한 2개의 철근(S)이 삽입 발출구(53)에 넣어지면, 한쪽 철근(S)은, 제1 가이드(51B)의 한쪽 측부에 위치하고, 다른 쪽 철근(S)은, 제1 가이드(51B)의 다른 쪽 측부에 위치한다. 이에 비해, 콘택트 부재(9D)는 한 쌍의 맞닿음부(91D)가 제1 가이드(51B)와 제2 가이드(52) 사이로부터, 제1 가이드(51B)의 좌우 양측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삽입 발출구(53)에 넣어진 철근(S)이, 확실하게 맞닿음부(91D)에 맞닿아 콘택트 부재(9D)를 작동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콘택트 부재(9D)의 맞닿음부(91D)는 축(90D)을 지지점으로 한 회동 동작으로,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삽입 발출구(53)에 철근(S)을 넣는 방향으로 철근 결속기(1F)를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맞닿음부(91D)를 밀 수 있어, 콘택트 부재(9D)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철근 결속기(1D)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철근 결속기(1F)는, 콘택트 부재(9D)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지하는 제1 출력부(14A)를 구비한다. 도 3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 부재(9D)가 대기 위치로 이동하면, 콘택트 부재(9D)의 맞닿음부(91D)가 가동자(14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콘택트 부재(9D)가 대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을 오프로 한다. 이에 비해, 맞닿음부(91D)가 철근에 압박되고, 도 3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택트 부재(9D)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콘택트 부재(9D)의 맞닿음부(91D)가 가동자(140)를 미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콘택트 부재(9D)가 작동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의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을 온으로 한다.
도 25에 도시하는 제어부(100B)는 조작부(304t)가 조작됨으로써 제2 출력부(15)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한 상태에서, 콘택트 부재(9D)가 작동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한다. 또는, 콘택트 부재(9D)의 맞닿음부(91D)에 철근(S)을 압박하는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그립부(304R)가 파지됨으로써 조작부(304t)가 작동하고, 제2 출력부(15)의 출력이 온이 되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해도 된다. 또한, 조작부(304t), 제2 출력부(15)를 구비하지 않고, 콘택트 부재(9D)의 맞닿음부(91D)에 철근(S)을 압박하는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제1 출력부(14A)의 출력이 온으로 되었음을 검지하면, 이송 모터(31)와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일련의 동작을 실행해도 된다.
본 출원은, 2018년 9월 7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168247호에 기초하는 것이고,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1A, 1B, 1C: 철근 결속기
10: 본체부
10h: 핸들부
10t: 트리거
11: 커버부
12A, 12B, 14A: 제1 출력부
120, 140: 가동자
13, 15: 제2 출력부
2: 수용부
20: 와이어 릴
3: 이송부
30: 이송 기어
31: 이송 모터
4: 규제부
42: 규제 부재
43: 규제 부재
44: 전달 기구
5, 5B: 가이드부
51, 51B: 제1 가이드
51g: 가이드면
51h: 홈부
51c: 단부
52: 제2 가이드
52a: 사이드 가이드
52b: 축
52c: 단부
53: 삽입 발출구
54: 가압 부재
55: 긴 구멍
56: 축
57: 피변위부
58: 검출자
59: 유도부
6: 절단부
60: 고정날부
60a: 개구
61: 가동날부
62: 전달 기구
7: 비틀기부
70: 걸림 결합부
71: 작동부
8: 구동부
80: 비틀기 모터
81: 감속기
82: 회전축
83: 이동 부재
9A, 9B, 9C: 콘택트 부재(가이드 이동부)
90A, 90B, 90C: 축
91A, 91B, 91C: 맞닿음부
92A, 92B, 92C: 연결부
93A, 93B, 93C: 변위부
94B: 축
95B: 작동부
96B: 긴 구멍
97B: 피작동부
100A, 100B, 100C: 제어부
101: 검지부
102: 가이드 개폐 모터
301: 제1 본체부
302: 제2 본체부
303: 연결부
304h: 핸들부
304L, 304R: 그립부
304t: 조작부
W: 와이어

Claims (13)

  1. 본체부와,
    와이어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본체부의 한쪽 단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결속 대상물이 넣어지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와이어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와,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에 의해 안내된 와이어를 비트는 비틀기부와,
    상기 간격을, 제1 거리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짧은 제2 거리로 변화시키는 가이드 이동부를 구비한, 결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기부는, 와이어가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간격이 상기 제2 거리가 되면,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와이어가,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에 의해 상기 걸림 결합부로 안내되는, 결속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와이어에,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 사이에 넣어지는 결속 대상물의 주위를 따르게 하는 컬링성을 부여함으로써, 와이어의 이송 경로를 규정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간격이 상기 제2 거리가 되면, 상기 규제부에 의해 규정되는 와이어의 이송 경로에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가 위치하는, 결속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제1 가이드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결속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제2 가이드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결속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1 가이드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제1 가이드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결속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이동부는,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 사이에 넣어진 결속 대상물이 맞닿는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맞닿음부에 결속 대상물이 맞닿으면, 상기 간격을, 상기 제1 거리로부터 상기 제2 거리로 변화시키는, 결속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이동부는,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 사이에 넣어진 결속 대상물이 맞닿는 맞닿음부와, 상기 맞닿음부에 결속 대상물이 맞닿음으로써 이동하는 변위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위부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간격을, 상기 제1 거리로부터 상기 제2 거리로 변화시키는, 결속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이동부는,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회동하는, 결속기.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이동부는,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직선형으로 이동하는, 결속기.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와이어의 이송 경로를 포함하는 가상면의 양측에 마련되는, 결속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제3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 가이드 또는 상기 제2 가이드의 양측에 마련되는, 결속기.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 사이에 넣어진 결속 대상물을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검지부가 결속 대상물을 검지하면, 상기 간격을, 상기 제1 거리로부터, 상기 제2 거리로 변화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 결속기.
KR1020217006745A 2018-09-07 2019-09-05 결속기 KR202100570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68247A JP7275506B2 (ja) 2018-09-07 2018-09-07 結束機
JPJP-P-2018-168247 2018-09-07
PCT/JP2019/035086 WO2020050382A1 (ja) 2018-09-07 2019-09-05 結束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029A true KR20210057029A (ko) 2021-05-20

Family

ID=69721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745A KR20210057029A (ko) 2018-09-07 2019-09-05 결속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890732B2 (ko)
EP (1) EP3848535A4 (ko)
JP (1) JP7275506B2 (ko)
KR (1) KR20210057029A (ko)
CN (1) CN112639235A (ko)
AU (1) AU2019336839A1 (ko)
BR (1) BR112021004224A2 (ko)
CA (1) CA3111758A1 (ko)
CL (1) CL2021000560A1 (ko)
MX (1) MX2021002664A (ko)
PH (1) PH12021550459A1 (ko)
WO (1) WO20200503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4687B2 (ja) 2018-09-07 2023-10-03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7275506B2 (ja) 2018-09-07 2023-05-18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CN112449934A (zh) * 2020-10-10 2021-03-09 宁波欣仪伟业进出口有限公司 一种智能捆扎机捆扎方法
USD1002313S1 (en) * 2022-03-25 2023-10-24 Innovation Fabrication Commercialisation Infaco Machine for tying pla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2212B2 (ja) 2009-05-12 2013-04-17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41822A (en) 1924-08-15 1927-09-06 Gustave W Mattson Wire twisting and cutting tool
SU311515A1 (ru) 1969-04-09 1977-12-05 Burov A S В зальна машина
EP0144404B1 (de) 1983-05-30 1987-05-06 RUNKEL, Adolf Verfahren zum verbinden zweier sich kreuzender stäbe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H06156420A (ja) 1992-11-17 1994-06-03 Takuwa:Kk 自動束線機
JPH07275983A (ja) * 1994-04-08 1995-10-24 Toyota Kihan:Kk 鉄筋結束機
CN1064319C (zh) 1995-02-17 2001-04-11 日本自动机械株式会社 物品的捆扎方法与捆扎设备
JP3050367B2 (ja) * 1995-03-10 2000-06-12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における結束用ワイヤの巻き回し案内装置
DE69613258T2 (de) 1995-03-10 2001-09-20 Max Co Ltd Werkzeug zum Binden von Bewehrungsstäben
US6401766B1 (en) 1999-07-23 2002-06-11 Max Co., Ltd. Binding machine for reinforcing bars
JP4144133B2 (ja) * 1999-11-17 2008-09-03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GB0520523D0 (en) 2005-10-10 2005-11-16 Tymatic Ltd Object binding
BRPI0617434A2 (pt) 2005-10-10 2011-07-26 Tymatic Ltd amarraÇço
TWI516415B (zh) 2008-12-12 2016-01-11 美克司股份有限公司 鐵筋捆紮機
RU2675829C1 (ru) 2015-07-22 2018-12-25 Макс Ко., Лтд. Обвязочная машина
NZ738556A (en) 2015-07-22 2019-03-29 Max Co Ltd Binding machine
TWI742739B (zh) 2015-07-22 2021-10-11 日商美克司股份有限公司 捆束機
JP6674265B2 (ja) * 2016-01-28 2020-04-01 株式会社マキタ 鉄筋結束機
JP6887760B2 (ja) 2016-05-20 2021-06-16 株式会社マキタ 鉄筋結束機
US11332934B2 (en) * 2017-01-10 2022-05-17 Makita Corporation Tying machine
JP6926592B2 (ja) 2017-03-29 2021-08-25 宇部興産株式会社 石炭成型体の製造方法
CN107366431A (zh) 2017-05-23 2017-11-21 成都智诚利合科技有限公司 一种混凝土中预埋钢筋捆扎设备的捆扎器
PL3848292T3 (pl) 2018-09-07 2024-05-13 Max Co., Ltd. Wiązarka
JP7163679B2 (ja) 2018-09-07 2022-11-01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7354687B2 (ja) 2018-09-07 2023-10-03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7379941B2 (ja) 2018-09-07 2023-11-15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WO2020050385A1 (ja) 2018-09-07 2020-03-12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7275506B2 (ja) 2018-09-07 2023-05-18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7354688B2 (ja) 2018-09-07 2023-10-03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2212B2 (ja) 2009-05-12 2013-04-17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48535A4 (en) 2022-06-08
AU2019336839A1 (en) 2021-03-25
JP2020040695A (ja) 2020-03-19
MX2021002664A (es) 2021-05-12
CA3111758A1 (en) 2020-03-12
US20210316428A1 (en) 2021-10-14
EP3848535A1 (en) 2021-07-14
BR112021004224A2 (pt) 2021-05-25
PH12021550459A1 (en) 2021-12-06
TW202017812A (zh) 2020-05-16
JP7275506B2 (ja) 2023-05-18
CL2021000560A1 (es) 2021-09-03
CN112639235A (zh) 2021-04-09
WO2020050382A1 (ja) 2020-03-12
US11890732B2 (en)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7029A (ko) 결속기
JP6922221B2 (ja) 結束機
US10094127B2 (en) Reinforcing bar binding machine
CN108454928B (zh) 捆扎机
TWI835852B (zh) 捆束機
AU2016296572A1 (en) Binding machine
TWI744596B (zh) 捆束機
JPS62270238A (ja) 鉄筋結束機
CN115214921A (zh) 捆扎机
AU2020201050A1 (en) Binding machine
KR20210033469A (ko) 결속기
CN111688971B (zh) 捆扎机
TW202306844A (zh) 捆束機
TWI842737B (zh) 捆束機
JP7293880B2 (ja) 結束機
RU2801194C2 (ru) Обвязочная машина
RU2797819C2 (ru) Обвязочная машина
JP2023175805A (ja) 結束機
TWI830881B (zh) 捆束機
EP4332325A1 (en) Binding machine
JPH07205916A (ja) 結束機
CN117927029A (zh) 捆扎机
CN112399949A (zh) 捆扎机
JPH02445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