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108U - 유체 토출 용기 - Google Patents

유체 토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108U
KR20210000108U KR2020207000069U KR20207000069U KR20210000108U KR 20210000108 U KR20210000108 U KR 20210000108U KR 2020207000069 U KR2020207000069 U KR 2020207000069U KR 20207000069 U KR20207000069 U KR 20207000069U KR 20210000108 U KR20210000108 U KR 202100001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nector
connector plate
lower contain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7000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미코 요시다
도모아키 나카타니
신야 쇼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팍쿠푸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팍쿠푸라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팍쿠푸라스
Publication of KR202100001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0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4Cartridges, i.e. containers specially designed for easy attachment to or easy removal from the rest of the spr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일반 소비자가 수용 봉지를 간단하면서 확실하게 교환할 수 있는 유체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체를 수용하는 수용 봉지(1)를 격납하고, 수용 봉지(1) 내의 유체를 외부에 토출하기 위한 유체 토출 용기이며, 관통 구멍(124)이 마련된 커넥터(12)를 상부에 갖는 수용 봉지(1)와, 개구부(23)가 형성되며, 개구부(23)로부터 수용 봉지(1)가 격납되는 하측 용기(2)와, 하측 용기(2)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상측 용기(3)와, 상측 용기(3)에 마련되며, 수용 봉지(1)의 커넥터(12)의 관통 구멍(124)에 삽입되는 수형 부재(41)를 갖는 토출 기구(4)를 구비한다. 커넥터(12)는, 최대 외경이 하측 용기(2)의 개구부(23)의 내경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측 용기(3)의 내경보다도 작게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측 용기(3)와 하측 용기(2)에 끼움 부착되는 양태로 고정된다.

Description

유체 토출 용기
본 고안은, 유체를 수용하는 수용 봉지를 격납하고, 해당 수용 봉지 내의 유체를 외부에 토출하기 위한 유체 토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파마액, 샴푸, 린스, 보디 소프, 소독액, 조미료 등의 다양한 유체를 용기 내부에 수용하고, 용기 외부에 유체를 토출하는 유체 토출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 유체 토출 용기는, 유체를 용기 내부에 직접 수용하고, 용기 상부에 마련된 손 누름식 펌프나 트리거식 펌프 등의 토출 기구에 의해 용기의 내부의 유체를 흡입하여, 용기 외부에 유체를 토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유체 토출 용기는, 사용에 의해 용기 내부의 유체가 없어지면 용기째로 폐기되었지만, 에콜로지(자연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용기 내부의 유체가 없어진 경우, 리필용의 봉지에 수용된 동일한 유체를 유체 토출 용기의 내부에 옮겨 담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유체를 봉지로부터 용기로 옮겨 담는 것이면, 유체가 봉지나 용기의 외부의 공기에 접촉하기 때문에, 유체의 품질을 열화시킬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용기 내부에 유체를 직접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유체가 수용된 수용 봉지를 용기 내부에 격납하고, 해당 수용 봉지 내의 유체를 외부에 토출하는 유체 토출 용기가 주목받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 유체 토출 용기는, 커넥터를 상부에 갖는 수용 봉지와, 수용 봉지가 격납되는 하측 용기와, 수용 봉지의 커넥터를 걸림 고정하기 위한 걸림 고정 부재를 갖는 상측 용기와, 상측 용기에 마련된 토출 기구를 구비하고, 유체가 수용된 수용 봉지의 커넥터를 상측 용기의 걸림 고정 부재에 걸림 고정시킨 후, 수용 봉지를 하측 용기의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측 용기를 하측 용기에 장착한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61287호
그러나, 이와 같은 유체 토출 용기이면, 용기에 수용 봉지를 격납할 때, 수용 봉지의 커넥터를 상측 용기의 걸림 고정 부재에 일부러 걸림 고정해야만 하고, 또한 용기로부터 수용 봉지를 취출할 때, 수용 봉지의 커넥터를 상측 용기의 걸림 고정 부재로부터 일부러 떼어 내야만 하였다. 이 때문에, 일반 소비자에게는 수용 봉지의 교환 방법을 알기 어렵고, 교환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상측 용기에 걸림 고정 부재를 별도로 마련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제조 비용이 늘어난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일반 소비자에게는 수용 봉지를 간단하면서 확실하게 교환할 수 있는 유체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체를 수용하는 수용 봉지를 격납하고, 해당 수용 봉지 내의 유체를 외부에 토출하기 위한 유체 토출 용기이며, 관통 구멍이 마련된 커넥터를 상부에 갖는 수용 봉지와, 개구부가 형성되며, 해당 개구부로부터 상기 수용 봉지가 격납되는 하측 용기와, 상기 하측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상측 용기와, 상기 상측 용기에 마련되며, 상기 수용 봉지의 상기 커넥터의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수형 부재를 갖는 토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최대 외경이 상기 하측 용기의 개구부의 내경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상측 용기의 내경보다도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측 용기의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하측 용기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유체 토출 용기에 있어서 수용 봉지를 교환할 때, 상측 용기를 하측 용기로부터 떼어 내어, 사용 후의 수용 봉지를 상측 용기 또는 하측 용기로부터 떼어 낸 후, 하측 용기에 새로운 수용 봉지를 격납하고, 상측 용기를 하측 용기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에게는 수용 봉지를 간단하면서 확실하게 교환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상측 용기와 상기 하측 용기에 끼움 부착되는 양태로 고정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수용 봉지를 하측 용기에 안정적으로 격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상측 용기의 내측에 마련된 단차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상측 용기와 상기 하측 용기에 끼움 부착되는 양태로 고정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수용 봉지의 커넥터를 상측 용기와 하측 용기 사이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용기의 전체의 사이즈를 변경하지 않아도, 단차부의 높이를 다양하게 설계함으로써, 수용 봉지의 커넥터의 끼움 부착 정도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단차부의 형상을 상측 용기의 외측에 반영시킨 경우, 토출 기구를 덮기 위한 캡 부재를 상측 용기의 단차부의 외측 부분에 끼워 맞출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축선 방향의 상측에 마련된 상측 커넥터판과, 축선 방향의 하측에 마련된 하측 커넥터판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커넥터판의 최대 외경이 상기 하측 용기의 개구부의 내경보다도 작게 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하측 커넥터판의 최대 외경이 상기 하측 용기의 개구부의 내경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측 커넥터판의 주연부의 상면이 상기 상측 용기의 단차부에 맞닿고, 또한 상기 하측 커넥터판의 주연부의 하면이 상기 하측 용기의 주위벽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상측 용기와 상기 하측 용기에 끼움 부착되는 양태로 고정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제조 시에 있어서 상측 커넥터판과 하측 커넥터판 사이에 다른 걸림 고정 부재를 걸림 고정시킴으로써 수용 봉지에 유체를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음과 함께, 사용 시에 있어서 수용 봉지의 커넥터를 하측 용기의 개구부에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하측 커넥터판의 주연부의 하면에 걸림 고정 부재가 마련되고, 해당 걸림 고정 부재가 상기 하측 용기의 주위벽부의 내측에 위치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커넥터의 직경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기 때문에, 커넥터를 하측 용기의 개구부에서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축선 방향의 상측에 마련된 상측 커넥터판과, 축선 방향의 하측에 마련된 하측 커넥터판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커넥터판의 최대 외경이 상기 하측 용기의 개구부의 내경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하측 커넥터판의 최대 외경이 상기 하측 용기의 개구부의 내경보다도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상측 커넥터판의 주연부의 상면이 상기 상측 용기의 단차부에 맞닿고, 또한 상기 상측 커넥터판의 주연부의 하면이 상기 하측 용기의 주위벽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상측 용기와 상기 하측 용기에 끼움 부착되는 양태로 고정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사용 시에 있어서 수용 봉지의 커넥터를 하측 용기의 개구부에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하측 커넥터판의 주연부가 상기 하측 용기의 주위벽부의 내면에 맞닿아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커넥터의 직경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기 때문에, 커넥터를 하측 용기의 개구부에서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일반 수요자는 수용 봉지의 커넥터의 오목부에 손의 손가락(예를 들어, 집게 손가락과 엄지 손가락)을 갖다 댐으로써, 커넥터를 간단하게 집을 수 있어, 수용 봉지를 교환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적어도 2개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각 오목부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일반 수요자는 수용 봉지의 커넥터의 2개의 오목부에 손의 복수개의 손가락(예를 들어, 집게 손가락과 엄지 손가락)을 갖다 댐으로써, 커넥터를 보다 한층 더 간단하게 집을 수 있어, 수용 봉지를 보다 한층 더 교환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토출 기구의 상기 수형 부재가 상기 관통 구멍에 밀착 상태로 삽입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사용 시에 있어서 수용 봉지에 수용된 유체가 외부의 공기에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유체 토출 용기에 있어서 수용 봉지를 교환할 때, 상측 용기를 하측 용기로부터 떼어 내어, 사용 후의 수용 봉지를 상측 용기 또는 하측 용기로부터 떼어 낸 후, 하측 용기에 새로운 수용 봉지를 격납하고, 상측 용기를 하측 용기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는 수용 봉지를 간단하면서 확실하게 교환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수용 봉지의 커넥터를 하측 용기에 그대로 걸림 고정시키는 간이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유체 토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체 토출 용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유체 토출 용기의 주요부를 확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수용 봉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하측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측 용기 및 토출 용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하측 용기에 수용 봉지를 격납한 상태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은 유체 토출 용기로부터 수용 봉지를 떼어 내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유체 토출 용기에 수용 봉지를 격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유체 토출 용기의 주요부를 확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3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유체 토출 용기의 주요부를 확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4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유체 토출 용기의 주요부를 확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다음에, 본 고안에 관한 유체 토출 용기(이하, 본 용기라 함)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용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샴푸나 린스, 화장액 등의 유체를 수용하는 수용 봉지(1)와, 수용 봉지(1)가 격납되는 하측 용기(2)와, 하측 용기(2)의 개구부(23)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상측 용기(3)와, 상측 용기(3)에 마련된 토출 기구(4)를 구비한다.
상기 수용 봉지(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스탠딩 파우치라 불리는 합성 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가요성의 봉지체(11)와, 합성 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강성의 커넥터(12)로 구성된다.
상기 봉지체(11)는, 일방측에 배치되는 정면으로 보아 직사각형의 제1 시트재(111)와, 타방측에 배치되는 제1 시트재(111)와 동대동형의 제2 시트재(112)와, 하측에 배치되는 제3 시트재(113)를 구비하고, 제1 시트재(111)와 제2 시트재(112)의 상단부끼리(커넥터(12)가 배치되는 부분을 제외함)와 측단부끼리가 히트 시일에 의해 용착됨과 함께, 제1 시트재(111) 및 제2 시트재(112)의 하단부와 제3 시트 부재(113)의 주연부가 히트 시일에 의해 용착됨으로써, 전체로서 내부에 유체가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봉지체(11)는, 이와 같은 스탠딩 파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매의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평 파우치나, 4매의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가젯 봉지 등, 그 밖의 구성의 봉지체여도 된다.
또한, 봉지체(11)의 높이 H1은, 하측 용기(2)의 내부 깊이 H2와 동일 혹은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봉지체(11)의 폭은, 봉지체(11)에 유체를 수납하였을 때 봉지체(11)가 하측 용기(2)에 격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12)는, 본체부(121)와, 본체부(121)의 축선 방향의 상측에 마련된 상측 커넥터판(122)과, 본체부(121)의 축선 방향의 하측에 마련된 하측 커넥터판(123)과, 본체부(121)를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양태로 마련된 관통 구멍(124)과, 관통 구멍(124)의 하단부에 마련된 덮개 부재(125)를 구비하고, 본체부(121)의 하부 측면이 제1 시트재(111)와 제2 시트재(112) 사이에 히트 시일에 의해 끼움 부착됨으로써, 관통 구멍(124)과 봉지체(11)의 축선 방향이 일치하는 양태로 봉지체(11)의 상단부 중앙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상측 커넥터판(122)은,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태의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2개의 오목부(122b)가 서로 대향하는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12)의 하측 커넥터판(123)도, 상기 커넥터(12)의 상측 커넥터판(122)과 마찬가지로,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태의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2개의 오목부(123b)가 서로 대향하는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상측 커넥터판(122)의 오목부(122b)와 하측 커넥터판(123)의 오목부(123b)는, 축선 방향을 따라서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의 손의 손가락(예를 들어, 집게 손가락과 엄지 손가락)을 오목부(122b, 123b)를 따르게 함으로써 커넥터(12)를 잡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하측 커넥터판(123)은, 최대 외경 R1이 하측 용기(2)의 개구부(23)의 내경 R3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봉지(1)를 하측 용기(2)에 격납하였을 때, 하측 커넥터판(123)의 주연부(123a)의 하면과 하측 용기(2)의 상단부(22a)의 단부면이 맞닿기 때문에, 수용 봉지(1)의 커넥터(12)가 하측 용기(2)의 개구부(23)에서 걸림 고정되어, 수용 봉지(1)의 봉지체(11)가 하측 용기(2)의 내부에서 매달린 상태가 된다.
또한, 하측 커넥터판(123)은, 최대 외경 R1이 상측 용기(3)의 내경 R4보다도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커넥터판(122)도, 최대 외경 R2가 하측 용기(2)의 개구부(23)의 내경 R3보다도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봉지(1)를 하측 용기(2)에 격납한 상태에서 상측 용기(3)를 하측 용기(2)에 완전히 장착하였을 때, 커넥터(12)의 전체가 상측 용기(3)의 내부 공간(33)에 들어간 상태가 된다.
또한, 상측 커넥터판(122)과 하측 커넥터판(123)은, 커넥터(12)의 축선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이격하면서 대향하는 양태로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조 시에 있어서 수용 봉지(1)에 유체를 충전할 때, 수용 봉지(1)의 커넥터(12)의 상측 커넥터판(122)과 하측 커넥터판(123) 사이에 별도로 마련된 걸림 고정 부재를 걸림 고정시킴으로써, 유체를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상기 하측 용기(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 형상의 저벽부(21)와, 저벽부(21)의 주연으로부터 기립 설치된 원통상의 주위벽부(22)로 이루어지는 합성 수지제의 강성의 용기이며, 주위벽부(22)의 상부에 개구부(23)가 형성됨과 함께, 주위벽부(22)의 상부의 외주면에 수나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나사부(2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측 용기(3)의 암나사부(34)와 나사 결합한다.
상기 상측 용기(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 형상의 천장 벽부(31)와, 천장 벽부(31)의 주연으로부터 수하된 원통상의 주위벽부(32)로 이루어지는 합성 수지제의 강성의 용기이며, 수용 봉지(1)의 커넥터(12)를 피복하는 내부 공간(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측 용기(3)는, 주위벽부(32)의 하부의 내주면에 암나사부(34)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 용기(2)에 형성된 수나사부(24)와 나사 결합함으로써 하측 용기(2)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상측 용기(3)는, 천장 벽부(31)의 중앙부에 관통 구멍(35)이 형성되어 있어, 토출 기구(4)가 상측 용기(3)에 설치되었을 때, 토출 기구(4)의 수형 부재(41)가 관통 구멍(35)을 관통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상측 용기(3)는, 주위벽부(32)의 상부에 있어서, 축 방향의 단면이 L자상인 단차부(36)가 주위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36)는, 상측 용기(3)가 하측 용기(2)에 완전히 장착되었을 때, 수용 봉지(1)의 커넥터(12)의 하측 커넥터판(123)의 직경 방향 내측이며, 또한 상측 커넥터판(122)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봉지(1)를 하측 용기(2)에 격납한 상태에서, 상측 용기(3)를 하측 용기(2)에 완전히 장착하였을 때, 하측 커넥터판(123)의 주연부(123a)의 상면이 상측 용기(3)의 단차부(36)의 하면에 맞닿고, 또한 하측 커넥터판(123)의 주연부(123a)의 하면이 하측 용기(2)의 주위벽부(22)의 상단부(22a)에 맞닿기 때문에, 커넥터(12)를 상측 용기(3)와 하측 용기(2)에 끼움 부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용기(3)의 전체의 사이즈를 변경하지 않아도, 단차부(36)의 높이를 다양하게 설계함으로써, 수용 봉지(1)의 커넥터(12)의 끼움 부착 정도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단차부(36)의 형상을 상측 용기(3)의 외측에 반영시킴으로써 상측 용기(3)의 주위벽부(32)의 외측을 오목하게 들어가게 한 경우, 토출 기구(4)를 덮기 위한 캡 부재(5)를 상측 용기(3)의 단차부(36)의 외측 부분에 끼워 맞출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부(36)는, 상측 용기(3)가 하측 용기(2)에 완전히 장착되었을 때, 상측 커넥터판(12)의 상면과 상측 용기(3)의 천장 벽부(31)의 하면 사이에 있어서 약간의 간극이 생기는 축 방향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측 용기(3)를 하측 용기(2)에 장착할 때, 상측 용기(3)의 암나사부(34)와 하측 용기(2)의 수나사부(24)를 마지막까지 확실하게 나사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부(36)는, 상측 용기(3)가 하측 용기(2)에 완전히 장착되었을 때, 상측 커넥터판(122)의 측면과 단차부(36)의 측면 사이에 있어서 약간의 간극이 생기거나, 혹은 가볍게 맞닿는 직경 방향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측 용기(3)를 하측 용기(2)로부터 떼어 낸 후, 수용 봉지(1)를 상측 용기(3)로부터 주위벽부(32)의 내면에 마찰을 발생시키지 않고 간단하게 떼어 낼 수 있다.
상기 토출 기구(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위 푸시식 펌프가 채용되어 있고, 상측 용기(3)의 천장 벽부(31)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 토출 기구(4)는, 하단부에 유체를 흡인하는 흡인구(44)를 갖는 관상의 수형 부재(41)와, 상단부에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구(45)를 갖는 펌프부(42)와, 내부를 관통하는 양태로 흡인구(44)와 토출구(45)와 연통하는 유체 통로(43)를 갖는다.
또한, 상기 토출 기구(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용기(3)가 하측 용기(2)에 장착되었을 때, 수형 부재(41)가 수용 봉지(1)의 커넥터(12)의 관통 구멍에 밀착 상태로 삽입되어, 수용 봉지(1)의 커넥터(12)의 관통 구멍(124)의 하단부에 마련된 덮개 부재(125)를 압출함으로써, 수용 봉지(1)의 내부에 면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펌프부(42)를 작업자의 손으로 1회 내지 복수회 누르면, 펌프의 흡인 작용에 의해 수용 봉지(1)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수형 부재(41)의 흡인구(44)로부터 흡인하여, 유체 통로(43)를 통해 토출구(45)로부터 용기 외부에 토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용기에 있어서의 수용 봉지(1)의 교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용기로부터 사용 완료된 수용 봉지(1)를 떼어 내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용기(3)를 하측 용기(2)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측 용기(3)의 암나사부(34)와 하측 용기(2)의 수나사부(24)의 나사 결합이 점차적으로 해제되어 가서, 상측 용기(3)가 하측 용기(2)에 대하여 부상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용기(3)의 암나사부(34)와 하측 용기(2)의 수나사부(24)의 나사 결합이 완전히 해제된 후, 상측 용기(3)를 하측 용기(2)로부터 들어올리면, 사용 완료된 수용 봉지(1)가 상측 용기(3)에 장착된 상태로 하측 용기(2)로부터 떼어 내어진다. 또한, 사용 완료된 수용 봉지(1)가 상측 용기(3)에 장착된 상태가 되는 것은, 상측 용기(3)에 마련된 토출 기구(4)의 수형 부재(41)가 수용 봉지(1)의 커넥터(12)의 관통 구멍에 밀착 상태로 삽입 관통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 완료된 수용 봉지(1)를 상측 용기(3)에 대하여 하방으로 끌어내리면, 수용 봉지(1)의 커넥터(12)의 관통 구멍(124)으로부터 토출 기구(4)의 수형 부재(41)가 뽑아내어져, 수용 봉지(1)가 상측 용기(3)로부터 떼어 내어진다.
그 후에는, 본 용기로부터 떼어 내어진 사용 완료된 수용 봉지(1)를 폐기하면 된다.
다음에, 본 용기에 새로운 수용 봉지(1)를 격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로운 수용 봉지(1)를 하측 용기(2)의 개구부(23)로부터 끼워 넣으면,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봉지(1)가 하측 용기(2)에 격납된다. 이때, 수용 봉지(1)의 커넥터(12)의 하측 커넥터판(123)의 최대 외경 R1은 하측 용기(2)의 개구부(23)의 내경 R3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12)의 하측 커넥터판(123)의 주연부(123a)의 하면과 하측 용기(2)의 주위벽부(22)의 상단부(22a)의 단부면이 맞닿는다. 이 때문에, 수용 봉지(1)의 커넥터(12)가 하측 용기(2)의 개구부(23)에서 걸림 고정되어, 수용 봉지(1)의 봉지체(11)가 하측 용기(2)의 내부에서 매달린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용기(3)의 주위벽부(32)의 암나사부(34)와 하측 용기(2)의 주위벽부(22)의 수나사부(24)를 맞추어, 상측 용기(3)를 하측 용기(2)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측 용기(3)의 암나사부(34)와 하측 용기(2)의 수나사부(24)가 점차적으로 나사 결합되어도 가, 상측 용기(3)가 하측 용기(2)에 장착된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봉지(1)의 하측 커넥터판(123)의 주연부(123a)의 상면과 상측 용기(3)의 단차부(36)의 하면이 맞닿는다. 이 때문에, 하측 커넥터판(123)의 주연부(123a)의 상면이 상측 용기(3)의 단차부(36)의 하면에 맞닿고, 또한 하측 커넥터판(123)의 주연부(123a)의 하면이 하측 용기(2)의 주위벽부(22)의 상단부(22a)의 단부면에 맞닿기 때문에, 커넥터(12)가 상측 용기(3)와 하측 용기(2)에 끼움 부착되는 양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용기에 있어서 수용 봉지(1)를 교환할 때, 상측 용기(3)를 하측 용기(2)로부터 떼어 내어, 사용 후의 수용 봉지(1)를 상측 용기(3)로부터 떼어 낸 후, 하측 용기(2)에 새로운 수용 봉지(1)를 격납하고, 상측 용기(3)를 하측 용기(2)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가 수용 봉지(1)를 간단하면서 확실하게 교환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수용 봉지(1)의 커넥터(12)를 하측 용기(2)에 그대로 걸림 고정시키는 간이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커넥터(12)는, 상측 용기(3)의 단차부(36)와 하측 용기(2)의 상단부(22a)에 끼움 부착되는 양태로 고정되는 구조로 하였지만, 그 밖의 구조에 의해 상측 용기(3)와 하측 용기(2)에 끼움 부착되는 양태로 고정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12)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용기(3)에 단차부(36)를 마련하지 않음으로써, 하측 용기(2)의 개구부(23)에서 하측 용기(2)(상단부(22a))에 걸림 고정되는 것만의 구조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12)는, 상측 커넥터판(122)의 최대 외경 R2보다도 하측 커넥터판(123)의 최대 외경 R1이 크게 되도록 형성하였지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한 최대 외경이 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12)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해, 하측 커넥터판(123)의 주연부(123a)의 하면에 걸림 고정 부재(123c)가 마련되고, 해당 걸림 고정 부재(123c)가 하측 용기(2)의 주위벽부(22)의 내측에 위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12)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커넥터판(122)의 최대 외경이 하측 용기(2)의 개구부(23)의 내경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하측 커넥터판(123)의 최대 외경이 하측 용기(2)의 개구부(23)의 내경보다도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상측 커넥터판(122)의 주연부(122a)의 상면이 상측 용기(3)의 단차부(36)의 하면에 맞닿고, 또한 상측 커넥터판(122)의 주연부(122a)의 하면이 하측 용기(2)의 주위벽부(22)의 상단부(22a)의 단부면에 맞닿음으로써, 상측 용기(3)와 하측 용기(2)에 끼움 부착되는 양태로 고정되어도 된다. 이때, 하측 커넥터판(123)의 주연부(123a)의 외주면이 하측 용기(2)의 주위벽부(22)의 내면에 맞닿음으로써, 커넥터(12)의 직경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12)는, 상측 커넥터판(122) 및 하측 커넥터판(123) 중 어느 것에도 2개의 오목부(122b, 123b)를 마련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1개 또는 3개 이상의 오목부를 마련해도 되고, 혹은 오목부를 마련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12)(상측 커넥터판(122) 및 하측 커넥터판(123)), 상기 하측 용기(3) 또는 상기 상측 용기(4)는,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 이외의 그 밖의 형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상술한 최대 외경 혹은 내경은, 각 부재의 평면 방향의 최대 외측 치수 혹은 내측 치수에 대응한다.
또한, 토출 기구(4)의 수형 부재(41)가 수용 봉지(1)의 커넥터(12)의 관통 구멍(124)에 밀착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밀착 상태로 고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사용 완료된 수용 봉지(1)를 새로운 수용 봉지(1)로 교환할 때, 상측 용기(3)를 하측 용기(2)로부터 떼어 내면,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 완료된 수용 봉지(1)는 하측 용기(2)에 격납된 채로의 상태가 되기 때문에, 사용 완료된 수용 봉지(1)의 커넥터(12)를 잡으면서 하측 용기(2)로부터 빼내는 것만으로, 본 용기로부터 사용 완료된 수용 봉지(1)를 간단하게 떼어 낼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도시한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본 고안과 동일한 범위 내에 있어서, 혹은 균등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수용 봉지
11: 봉지체
111: 제1 시트재
112: 제2 시트재
113: 제3 시트재
12: 커넥터
121: 본체부
122: 상측 커넥터판
123: 하측 커넥터판
124: 관통 구멍
125: 덮개 부재
2: 하측 용기
21: 저벽부
22: 주위벽부
23: 개구부
24: 수나사부
3: 상측 용기
31: 천장 벽부
32: 주위벽부
33: 내부 공간
34: 암나사부
35: 관통 구멍
36: 단차부
4: 토출 기구
41: 수형 부재
42: 펌프부
43: 유체 통로
44: 흡인구
45: 토출구
5: 캡 부재

Claims (10)

  1. 유체를 수용하는 수용 봉지를 격납하고, 해당 수용 봉지 내의 유체를 외부에 토출하기 위한 유체 토출 용기이며,
    관통 구멍이 마련된 커넥터를 상부에 갖는 수용 봉지와,
    개구부가 형성되며, 해당 개구부로부터 상기 수용 봉지가 격납되는 하측 용기와,
    상기 하측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상측 용기와,
    상기 상측 용기에 마련되며, 상기 수용 봉지의 상기 커넥터의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수형 부재를 갖는 토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최대 외경이 상기 하측 용기의 개구부의 내경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상측 용기의 내경보다도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측 용기의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하측 용기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토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상측 용기와 상기 하측 용기에 끼움 부착되는 양태로 고정되는, 유체 토출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상측 용기의 내측에 마련된 단차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상측 용기와 상기 하측 용기에 끼움 부착되는 양태로 고정되는, 유체 토출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축선 방향의 상측에 마련된 상측 커넥터판과, 축선 방향의 하측에 마련된 하측 커넥터판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커넥터판의 최대 외경이 상기 하측 용기의 개구부의 내경보다도 작게 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하측 커넥터판의 최대 외경이 상기 하측 용기의 개구부의 내경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측 커넥터판의 주연부의 상면이 상기 상측 용기의 단차부에 맞닿고, 또한 상기 하측 커넥터판의 주연부의 하면이 상기 하측 용기의 주위벽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상측 용기와 상기 하측 용기에 끼움 부착되는 양태로 고정되는, 유체 토출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하측 커넥터판의 주연부의 하면에 걸림 고정 부재가 마련되고, 해당 걸림 고정 부재가 상기 하측 용기의 주위벽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유체 토출 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축선 방향의 상측에 마련된 상측 커넥터판과, 축선 방향의 하측에 마련된 하측 커넥터판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커넥터판의 최대 외경이 상기 하측 용기의 개구부의 내경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하측 커넥터판의 최대 외경이 상기 하측 용기의 개구부의 내경보다도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상측 커넥터판의 주연부의 상면이 상기 상측 용기의 단차부에 맞닿고, 또한 상기 상측 커넥터판의 주연부의 하면이 상기 하측 용기의 주위벽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상측 용기와 상기 하측 용기에 끼움 부착되는 양태로 고정되는, 유체 토출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하측 커넥터판의 주연부가 상기 하측 용기의 주위벽부의 내면에 맞닿는, 유체 토출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유체 토출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적어도 2개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각 오목부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태로 형성되어 있는, 유체 토출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토출 기구의 상기 수형 부재가 상기 관통 구멍에 밀착 상태로 삽입되는, 유체 토출 용기.
KR2020207000069U 2019-02-22 2020-01-10 유체 토출 용기 KR20210000108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30144 2019-02-22
JP2019030144 2019-02-22
PCT/JP2020/000759 WO2020170649A1 (ja) 2019-02-22 2020-01-10 流体吐出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08U true KR20210000108U (ko) 2021-01-13

Family

ID=7214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7000069U KR20210000108U (ko) 2019-02-22 2020-01-10 유체 토출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383287B2 (ko)
KR (1) KR20210000108U (ko)
CN (1) CN214357783U (ko)
TW (1) TWM599786U (ko)
WO (1) WO20201706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38219A (ja) * 2021-03-10 2022-09-26 株式会社パックプラス 流体吐出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1287A (ja) 2002-11-11 2004-06-10 Shiseido Co Ltd ディスペンサー容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0969A (ja) * 1993-03-15 1994-09-27 Suntory Ltd 二液混合容器
JP4958148B2 (ja) 2006-10-31 2012-06-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噴出容器
JP3159981U (ja) 2010-02-17 2010-06-10 株式会社エイエムジー 液状物容器
JP6996730B2 (ja) 2017-05-19 2022-02-03 株式会社パックプラス 流体吐出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1287A (ja) 2002-11-11 2004-06-10 Shiseido Co Ltd ディスペンサー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38804A (ja) 2020-09-03
TWM599786U (zh) 2020-08-11
JP7383287B2 (ja) 2023-11-20
CN214357783U (zh) 2021-10-08
WO2020170649A1 (ja)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048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687325B1 (ko) 60리터 내측 리저버 복합 용기 및 약액 배출 튜브
WO2014050373A1 (ja) 流体吐出容器
CN113692382A (zh) 双重容器
KR20210000108U (ko) 유체 토출 용기
CN210259479U (zh) 流体吐出容器
JP7196191B2 (ja) 化粧品容器
KR200485326Y1 (ko) 회전식 토출형 화장료 용기
CN220221965U (zh) 流体吐出容器
KR20210043540A (ko) 화장품 용기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2245650B1 (ko) 화장품 용기
JP5074979B2 (ja) 混合容器
KR200475969Y1 (ko) 벤딩형 스템구조가 구비된 펌프
JP6227518B2 (ja) 受皿ユニット、およびこれとポンプユニットとを備えたディスペンサ容器用のポンプシステム
KR200393324Y1 (ko) 화장품 용기
EP2904931A9 (en) Cream type cosmetic container
KR20160129661A (ko) 액상 용기의 밀폐 장치
US11655079B1 (en) Anti-theft plastic bottle cap
KR101751982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JP7481623B2 (ja) ノズル及びこれを備えた吐出容器
JP2008161548A (ja) 薬剤放出器具
JP6991654B2 (ja) 押下げポンプ用ホルダー
KR200475159Y1 (ko) 적층형 용기
JP2023163808A (ja) 二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