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159Y1 - 적층형 용기 - Google Patents

적층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159Y1
KR200475159Y1 KR2020140004037U KR20140004037U KR200475159Y1 KR 200475159 Y1 KR200475159 Y1 KR 200475159Y1 KR 2020140004037 U KR2020140004037 U KR 2020140004037U KR 20140004037 U KR20140004037 U KR 20140004037U KR 200475159 Y1 KR200475159 Y1 KR 2004751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tacked
groove
container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조
Original Assignee
박범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범조 filed Critical 박범조
Priority to KR2020140004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1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1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1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2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bottom presenting projecting peripheral elements receiving or surrounding the closure or peripheral elements projecting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층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들을 적층시키는 경우에 용기들 간에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안정감 있게 적층할 수 있는 적층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그에 따른 본 고안의 적층형 용기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액상물질을 유입받아 내부에 상기 액상물질을 수용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유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를 밀폐하는 마개를 포함하는 적층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에 상기 마개가 끼워맞춤결합되도록 하는 용적을 가지는 마개홈이 형성되고, 적어도 두 개의 적층형 용기를 적층시키는 경우, 상부에 위치한 적층형 용기의 마개홈에, 하부에 위치한 적층형용기의 마개가 끼워맞춤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층형 용기{BUILT UP CASE}
본 고안은 적층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들을 적층시키는 경우에 용기들 간에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안정감 있게 적층할 수 있는 적층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 가운데, 가정용 용기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어 요식업종이나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용기로써, 말통이라 불리우는 용기가 있다.
이러한 용기(말통)는 그 구조가 사각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공간에는 유입구를 밀폐하는 마개와, 손잡이 기능을 하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 경우, 종래 용기(말통)는 적층형 용기로써, 다수의 용기들을 적층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용기의 상부공간에는 마개와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들의 적층시에 하부에 위치하는 용기의 마개와 손잡이가 동시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에 위치하는 용기의 하부면에 요홈을 형성하고, 하부에 위치하는 용기의 마개와 손잡이가 상부에 위치하는 요홈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용기들간에 적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요홈은 종래 용기들의 적층시에 마개와 손잡이가 모두 포함할 수 있을 만큼의 크기로 형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요홈은 마개와 손잡이가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마개와 손잡이 사이에 많은 유격이 존재하게 된다.
보통, 상기한 용기들은 운송과정에서 하부 용기의 마개와 손잡이가 상부 용기의 요홈에 삽입된 형태로 적층되어 운송되는데, 이 경우, 운송과정에서 충격이 발생되어 용기로 전달된다.
이 경우, 적층된 용기들 가운데 윗 부분에 위치하는 용기는 유격에 의해 작은 충격에도 위치가 틀어지게 된다.
특히, 삼단 이상과 같이 많은 용기를 적층한 경우, 상부와 중간 부분에 위치한 용기가 상기한 바와 같은 유격에 의해 위치가 틀어지게 되면, 적층된 용기들은 균형이 흐트러져 그대로 쓰러져 버리는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한 바와 같은 용기들은 운송과정에서 용기들간의 마찰이나 용기 내부 액상물질의 유동에 의해 마개가 풀리는 경우가 발생함으로써, 내부 액상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11113호(2003. 02. 06 공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기들을 적층시킨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송하는 과정에서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용기들의 적층형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는 적층형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운송작업과 같이 계속적이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 적층된 용기들의 마찰이나 용기 내부의 액상물질의 유동에 의해 마개가 풀리는 것이 방지되는 적층형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용기들을 적층시킨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송하는 과정에서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용기들의 적층형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구현하고, 운송작업과 같이 계속적이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 적층된 용기들의 마찰이나 용기 내부의 액상물질의 유동에 의해 마개가 풀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현하는데 있어, 용기들의 적층 작업을 여러 방향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적층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적층형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적층형 용기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액상물질을 유입받아 내부에 상기 액상물질을 수용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유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를 밀폐하는 마개를 포함하는 적층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에 상기 마개가 끼워맞춤결합되도록 하는 용적을 가지는 마개홈이 형성되고, 적어도 두 개의 적층형 용기를 적층시키는 경우, 상부에 위치한 적층형 용기의 마개홈에, 하부에 위치한 적층형용기의 마개가 끼워맞춤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마개의 외주연에는 복수 개의 마개용리브가 돌출되어 더 형성되고, 상기 마개용리브는 상기 마개홈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홈의 내주연에는 복수 개의 홈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홈리브는 상기 마개가 상기 마개홈에 삽입시에 상기 마개의 외주연에 밀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마개는 상부면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링형상의 테두리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마개는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끼움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마개홈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끼움홈이 형성되는 삽입체가 더 형성되고, 상기 마개는 상기 마개홈에 삽입시, 상기 삽입체는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으로 요입되되,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마개홈은 서로 간에 이격되도록 두 개로 구성되되 서로 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마개는 상기 두 개의 마개홈 가운데 어느 하나에 결합된 상태에서 다른 마개홈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도 두 개의 적층형 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적층형 용기들을 적층시에 하부에 위치한 적층형 용기의 마개가 상부에 위치한 적층형 용기의 마개홈에 끼워맞춤결합하기 때문에, 용기들을 적층시킨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송하는 과정에서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용기들의 적층형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적층형 용기들을 적층시에 하부에 위치한 적층형 용기의 끼움돌기가 상부에 위치한 적층형 용기의 끼움홈에 끼워맞춤결합하기 때문에, 운송작업과 같이 계속적이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 적층된 용기들의 마찰이나 용기 내부의 액상물질의 유동에 의해 마개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적층형 용기들을 적층시킨 상태로 보관하거나 운송하는 과정에서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용기들의 적층형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구현하고, 운송작업과 같이 계속적이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 적층된 적층형 용기들의 마찰이나 용기 내부의 액상물질의 유동에 의해 마개가 풀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현하는데 있어, 적층형 용기에 두 개의 마개홈을 형성하기 때문에 적층형 용기들의 적층 작업을 여러 방향에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적층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적층형 용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두 개의 적층형 용기를 도시하되, 두 개의 적층형 용기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세 개의 적층형 용기를 적층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두 개의 적층형 용기가 적층되기 전에 분해된 상태를 확대하여 본 부분 단면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용기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적층형 용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두 개의 적층형 용기를 도시하되, 두 개의 적층형 용기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세 개의 적층형 용기를 적층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두 개의 적층형 용기가 적층되기 전에 분해된 상태를 확대하여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용기는 마개(10)와 용기본체(20)를 포함한다.
상기 마개(10)는 고분자수지재질로 형성되어 용기본체(20)의 유입구(21)에 밀폐하는 것으로써, 유입구(21)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나사결합을 하여 용기본체(20)의 유입구(21)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20)는 사각통체 형상의 고분자수지재질로 형성되며, 상부에 유입구(21)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액상물질을 유입받아 내부에 액상물질을 수용한다. 또한, 용기본체(20)는 유입구(21)가 이격되는 위치에 손잡이(22)가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손잡이(22)를 부여잡고 적층용 용기를 용이하게 들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용기본체(20)는 하단에 마개홈(23)이 형성된다. 이 경우, 용기본체(20)의 마개홈(23)이 형성되는 위치에는 손잡이(22)가 수용될 수 있도록 용기본체(20)의 하방에서 상부로 요입되는 요홈(20a)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요홈(20a)은 배경기술에서 예시한 요홈과 유사한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적 특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용기는 용기본체(20)의 하단에 마개(10)가 끼워맞춤결합되도록 하는 용적을 가지는 마개홈(23)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용기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어도 2개 이상 적층시키는 경우, 상부에 위치한 적층형 용기의 마개홈(23)에, 하부에 위치한 적층형용기의 마개(10)가 끼워맞춤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에 위치한 적층형 용기는 하부에 위치한 적층형 용기와 끼워맞춤결합된 상태로 용기들을 보관하거나 운송하게 되면, 용기들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져도 용기들의 적층형태가 흐트러지지 않게 된다.
나아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용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용기들의 적층시에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용기들의 적층형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마개(10)의 외주연에는 복수 개의 마개용리브(11)가 돌출되어 더 형성되고, 이 경우, 마개(10)가 마개홈(23)에 삽입되는 경우, 마개용리브(11)는 마개홈(23)의 내주연에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개용리브(11)는 마개(10)의 외주연에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마개(10)가 마개홈(23)에 삽입시에 더욱 밀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용기들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진 경우에도 용기들의 적층형태가 더욱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게 된다.
또한, 마개(10)의 외주연에 상기한 바와 같은 마개용리브(11)를 형성하여 마개(10)와 마개홈(23)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개홈(23)의 내주연에는 복수 개의 홈리브(24)가 돌출되어 더 형성되고, 이 경우, 홈리브(24)는 마개(10)가 마개홈(23)에 삽입시에 마개(10)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마개(10)와 마개홈(23)의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홈리브(24)는 마개(10)가 마개홈(23)에 삽입되는 경우, 마개용리브(11)와 중첩되지 않도록 이격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마개(10)가 마개홈(23)에 삽입됨으로써, 적층형 용기들의 적층형태를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과 더불어, 적층형 용기들의 적층시에 마개(10)의 풀림방지를 위한 수단으로써, 마개(10)는 상부면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링형상의 테두리부(12)가 더 형성되고, 이 경우, 마개(10)는 테두리부(1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끼움돌기(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개홈(23)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외주연에 끼움홈(26)이 형성되는 삽입체(2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테두리부(12)와 끼움돌기(13)를 더 구성하는 마개(10)는 마개홈(23)에 삽입시, 삽입체(25)가 테두리부(12)의 내측으로 요입되되, 끼움돌기(13)가 끼움홈(26)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끼움돌기(13)가 끼움홈(26)에 삽입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마개(10)가 마개홈(23)에 삽입시에 서로 간에 적층된 적층형 용기들이 충격이나 진동을 전달받은 경우에도 적층형 용기들이 적층형태가 더욱 흐트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끼움돌기(13)가 끼움홈(26)에 삽입되어 마개(10)가 풀리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운송작업과 같이 계속적인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마개(1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끼움돌기(13)와 끼움홈(26)에 의한 끼움결합에 발휘되는 효과는 전술한 마개(10)가 마개홈(23)에 삽입되어 적층형 용기들의 적층형태를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마개(10)와 마개홈(23)의 끼워맞춤결합을 대체하여 상기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끼움돌기(13)와 끼움홈(26)에 의한 끼움결합과 마개(10)와 마개홈(23)의 끼워맞춤결합은 동시에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마개(10)가 마개홈(23)에 삽입되어 적층형 용기의 적층형태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마개(10)의 풀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 적층형용기를 적층시에 특정 결합 위치에서만 마개(10)가 마개홈(23)에 삽입되는 사용방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마개홈(23)은 서로 간에 이격되도록 두 개로 구성되되 서로 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 경우, 마개(10)는 두 개의 마개홈(23) 가운데 어느 하나에 결합된 상태에서 다른 마개홈(23)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도 두 개의 적층형 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적층형 용기를 적층시키는 경우, 상부의 적층형 용기의 손잡이(22)와 하부의 적층형 손잡이(22)가 나란히 배치되었는지만을 판단하여 적층시키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적층형 용기의 적층형태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마개(10)의 풀림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마개 11 ; 마개용리브
12 ; 테두리부 13 ; 끼움돌기
20 ; 용기본체 21 ; 유입구
22 ; 손잡이 23 ; 마개홈
24 ; 홈리브 25 ; 삽입체
26 ; 끼움홈

Claims (5)

  1. 유입구(21)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액상물질을 유입받아 내부에 상기 액상물질을 수용하는 용기본체(20)와, 상기 유입구(21)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21)를 밀폐하는 마개(10)를 포함하는 적층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20)의 하단에 상기 마개(10)가 끼워맞춤결합되도록 하는 용적을 가지는 마개홈(23)이 형성되고,
    적어도 두 개의 적층형 용기를 적층시키는 경우, 상부에 위치한 적층형 용기의 마개홈(23)에, 하부에 위치한 적층형용기의 마개(10)가 끼워맞춤결합하며,
    상기 마개(10)는 상부면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링형상의 테두리부(12)가 더 형성되고, 상기 마개(10)는 상기 테두리부(1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끼움돌기(13)가 더 형성되며, 상기 마개홈(23)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끼움홈(26)이 형성되는 삽입체(25)가 더 형성되고, 상기 마개(10)는 상기 마개홈(23)에 삽입시, 상기 삽입체(25)는 상기 테두리부(12)의 내측으로 요입되되, 상기 끼움돌기(13)가 상기 끼움홈(26)에 삽입되어 상기 마개(10)와 상기 마개홈(23)의 끼워맞춤결합을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10)의 외주연에는 복수 개의 마개용리브(11)가 돌출되어 더 형성되고,
    상기 마개용리브(11)는 상기 마개홈(23)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홈(23)의 내주연에는 복수 개의 홈리브(24)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홈리브(24)는 상기 마개(10)가 상기 마개홈(23)에 삽입시에 상기 마개(10)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용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홈(23)은 서로 간에 이격되도록 두 개로 구성되되 서로 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마개(10)는 상기 두 개의 마개홈(23) 가운데 어느 하나에 결합된 상태에서 다른 마개홈(23)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도 두 개의 적층형 용기가 적층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용기.
KR2020140004037U 2014-05-27 2014-05-27 적층형 용기 KR2004751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037U KR200475159Y1 (ko) 2014-05-27 2014-05-27 적층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037U KR200475159Y1 (ko) 2014-05-27 2014-05-27 적층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159Y1 true KR200475159Y1 (ko) 2014-11-07

Family

ID=52287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037U KR200475159Y1 (ko) 2014-05-27 2014-05-27 적층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15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0842Y1 (en) * 1997-06-25 1999-11-15 Ok Bong Co Ltd A loadable liquid vessel
KR200370717Y1 (ko) * 2004-10-05 2004-12-16 허봉 대형 토출구를 가진 적재가능한 사각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0842Y1 (en) * 1997-06-25 1999-11-15 Ok Bong Co Ltd A loadable liquid vessel
KR200370717Y1 (ko) * 2004-10-05 2004-12-16 허봉 대형 토출구를 가진 적재가능한 사각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543B1 (ko) 용기 뚜껑
KR200483708Y1 (ko) 적층되는 결합구조를 갖는 용기
US10688293B2 (en) Medical connector
US10501308B2 (en) Beverage feeder and beverage feeder assembly
WO2017199697A1 (ja) キャップ及び吐出容器
US20150060477A1 (en) Container with a lid
KR200475159Y1 (ko) 적층형 용기
JP6044622B2 (ja) 密閉包装容器
JP2009286435A (ja) 錠剤容器
WO2010146997A1 (ja) 蓋付容器
KR20140002817U (ko) 용기
WO2013103079A1 (ja) ガスケット収納容器
JP2016043989A (ja) 注出口栓及び包装容器
JP2017210280A (ja) 反転変形可能なボトル
JP5022826B2 (ja) 耐衝撃性容器
KR200474980Y1 (ko) 액체 및 분체 보관용 용기
JP6227518B2 (ja) 受皿ユニット、およびこれとポンプユニットとを備えたディスペンサ容器用のポンプシステム
JP2009234638A (ja) 混合容器
JP6469104B2 (ja) 栓およびこれを備える容器
KR101383581B1 (ko) 속마개
US20120156334A1 (en) Single-use barrel for storing and racking a pressurized beverage such as beer or lemonade
KR20220001068U (ko) 음식물 포장용 용기
JP2017088192A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478709Y1 (ko) 밀폐 용기
KR101511711B1 (ko) 식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